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로딩중

서울경제

전체메뉴

검색
전체메뉴검색서경인마켓시그널
닫기검색
닫기

전체서비스

e-Paper

구독

구독신청
이용약관개인정보취급방침을 읽었으며, 이에 동의합니다. (필수)이메일을 통한 서울경제의 서비스 및 이벤트 정보 수신에 동의합니다. (선택)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

facebooktwitterkakaoemail복사
이메일보내기
증권일반
urlhttps://www.sedaily.com/NewsView/2GQGL4ON5R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

※ 여러명에게 보낼 경우 콤마(,)로 구분하세요.

환율, 금융위기後 최고…코스피 2500 깨졌다

입력2025-03-31 17:39:34수정 2025.03.31 17:39:34윤지영 기자·워싱턴=이태규 특파원·김혜란 기자

◆공매도 재개 첫날, 자본시장 패닉

관세공포 맞물려 外人 2.5조 던져

코스피·코스닥 3% 넘게 곤두박질

환율은 6.4원 올라 1500원 '목전'

국내 주식시장 공매도가 재개된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공매도 재개, 상호관세 우려 속에 전 거래일보다 3% 하락한 2481.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연합뉴스viewer

국내 주식시장 공매도가 재개된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공매도 재개, 상호관세 우려 속에 전 거래일보다 3% 하락한 2481.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연합뉴스




1년 5개월간 중단됐던 공매도 전면 재개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 공포가 맞물리면서 코스피와 코스닥 지수가 3% 넘게 급락했다. 증시 충격은 외환시장에도 고스란히 반영돼 원·달러 환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 이후 15년 9개월 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안전자산 선호가 이어지면서 국제 금 가격은 사상 처음으로 트로이온스당 3100달러 선을 넘어섰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 하락한 2481.12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가 2400선으로 떨어진 것은 2월 10일 이후 49일 만이다. 코스닥도 3.01% 떨어진 672.85로 장을 마감했다.



외국인은 이날 하루 선물과 현물을 합해 2조 5492억 원을 팔아치우며 8개월 연속 순매도 행렬을 이어갔다. 공매도는 2차전지뿐 아니라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시가총액 상위 종목을 집중 타깃으로 삼았다. 이날 코스피·코스닥 시장에서 공매도 규모는 1조 6038억 원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공매도 전면 재개로 어느 정도 예측됐던 증시 하락세가 미국발 관세 전쟁과 겹치면서 하락 폭을 더 키웠다고 보고 있다. 이번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대선 공약으로 내세웠다가 취임 후 슬그머니 뒤로 미룬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한 20% 보편관세’ 카드를 다시 검토한다는 보도가 닛케이지수(-4.05%) 등 아시아 증시 급락을 불러왔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올 2월 3일과 28일에 이어 벌써 세 번째 관세 충격에 따른 증시 쇼크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화 대비 원화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6.4원 오른 1472.9원에 주간 거래를 마쳤다. 지난해 12월 30일 기록한 연중 최고 종가(1472.5원)보다도 높다. 장중 낙폭이 3% 이상 커져 코스피 2500선이 무너지며 외국인 이탈이 가속한 것이 환율 상승에 기름을 부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본 사이트에 게재되는 정보는 오류 및 지연이 있을 수 있으며,그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시간주요 뉴스
    서경 디지털

    EBITDA 마진율

    회계기준에 따른 차이를 제거한 현금기준 실질 수익성 판단 지표로, 매출을 통해 어느정도의 현금이익을 창출 했는가를 의미한다.
    즉, EBITDA마진율은 매출액 대비 현금창출능력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이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EBITDA마진율 = (EBITDA÷ 매출액)*100%

    구독

    회원님은 부터asdf를 구독하고 계십니다.

    아래 ‘구독취소’ 버튼을 클릭해서 구독을 ‘취소’하실 수 있습니다.

    해당 구독 취소의 효과는 “”에 한정되며, 서울경제 뉴스레터 수신에 대한 설정값이나 다른 뉴스레터 수신여부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구독

    ‘구독’을 선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의 기사가 출고되면, 회원님의 이메일()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여러 연재를 동시에 '구독'하실 수도 있으니, 편리하게 사용해주시기 바랍니다.

    하단의 구독하기 버튼을 누르면 뉴스레터 수신에 동의하는 것으로간주됩니다.

    구독취소
    닫기서울경제의 다섯가지 색다른 뉴스레터
    1. 코주부
    코인, 주식, 부동산 투자 정보만 쏙쏙! 코주부와 성투해요.
    2. 지구
    나랑 상관 있는 친환경 뉴스. 매주 화·목요일에 만나요.
    3. Daily Brief
    매일 아침, 데일리브리프가 핵심 경제 뉴스를 전해드립니다.
    4. 연재기사
    서울경제의 모든 연재기사를 메일함에서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5. 스타기자
    서울경제의 스타기자를 구독하세요. 기사가 출고되면 이메일로 알려드려요.
    공지
    관련사이트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

    모바일 버전 보기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