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 바로가기
한국경제 통합검색

    한국경제 회원이 되어 보세요

    지금 바로 한국경제 회원으로 가입하시고, 독점 혜택을 누려보세요

    • 특별한 뉴스와 분석 보고서 접근
    • 주식 시장 및 경제 동향에 대한 최신 정보
    • 한경만의 독자적인 콘텐츠에 대한 접근
    • 이벤트 및 세미나 참가 기회

    이미 회원이시면로그인을 클릭해 주세요

    한경 AI로 맞춤 뉴스와 빠른 검색을 경험하세요!

      산업

      ADVERTISEMENT

      IPO로 '인도 국민 브랜드' 정조준…LG전자, 美 의존도 낮춘다

      황정수 기자
      김채연 기자
      박의명 기자
      입력2025.04.06 17:40 수정2025.04.14 15:21 지면A12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월 인도 증시 상장
      인도 남동부 중심 도시 첸나이에서 북쪽으로 90㎞ 떨어진 안드라프라데시주(州) 스리시티. LG전자는 대도시와 가까운 데다 물류 인프라도 잘 갖춰진 이곳을 올해 착공할 인도 가전 신(新)공장으로 낙점했다.

      투자금액은 최소 5억달러(약 7300억원). 세계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몸 사리기’에 나선 다른 글로벌 기업과 달리 LG전자가 ‘통 큰 투자’를 결정한 데는 이유가 있다. 인도법인 상장(IPO)으로 최대 15억달러를 손에 쥘 수 있어서다. 기존 노이다 및 푸네공장과 함께 인도에 ‘트라이앵글 생산거점’을 구축하게 된 LG전자는 내년부터 현지 공장을 통해 ‘100달러 에어컨’ 같은 인도 특화 가전을 줄줄이 내놓을 계획이다.

      ◇ 美 의존도 낮출 ‘회심의 카드’

      IPO로 '인도 국민 브랜드' 정조준…LG전자, 美 의존도 낮춘다
      최근 미국 정부가 한국에 25%, 인도에 26% 상호관세를 부과하자 산업계에선 “LG전자가 인도 상장을 늦추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LG전자는 “오히려 인도 시장 공략의 필요성이 커졌다”며 일축한다. 재무구조 개선, 미래 투자 확대, 주주환원 등 밀린 숙제를 한 번에 풀 수 있는 데다 미국 시장 의존도도 낮출 수 있는 카드란 이유에서다.

      LG전자가 인도법인 IPO를 통해 확보하는 자금은 대략 10억~15억달러(약 1조4000억~2조2000억원). 인도법인 지분 15%의 시장가치다. 작년 말 기준 LG전자의 현금 및 현금성 자산(별도 기준) 1조2000억원을 웃도는 현금이 일시에 들어오는 것이다.

      LG전자는 이렇게 확보한 자금 일부를 스리시티 공장 건설 등에 투입할 계획이다. 2006년 푸네 공장 후 약 20년 만에 건립되는 LG전자 인도 3공장은 내년 상반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 인도 국민 브랜드 노리는 LG

      LG전자는 스리시티 공장 등에서 인도인을 겨냥한 ‘특화 제품’을 쏟아낼 계획이다. 100달러대 에어컨이 대표적이다. 인도는 국토 대부분이 열대 기후여서 냉방 기기 수요가 많지만, 에어컨 보급률은 12%(2024년 기준)에 그친다. 현지에서 “에어컨은 고소득층을 위한 제품”이란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LG전자는 공급망을 단순화하고 냉방 기능에 주력한 초저가 에어컨을 출시해 인도 중산층을 고객으로 끌어들인다는 방침이다. 인도 전통의상 ‘사리(Saree)’의 옷감 손상을 방지하는 전용 코스를 적용한 세탁기와 인도의 낙후한 수질, 수압을 고려해 UV 살균 및 스테인리스 저수조를 넣은 정수기도 LG전자가 준비 중인 ‘특화 가전’이다.

      LG전자는 IPO를 계기로 인도 가전시장의 최강자를 넘어 인도 ‘국민 브랜드’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업계에선 현재 21%(세탁기), 34%(냉장고)에 불과한 인도 가전제품 보급률이 수년 안에 70~80%로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LG전자는 세탁기(2024년 상반기 점유율 33.5%), 냉장고(28.7%), TV(25.8%), 에어컨(19.4%) 시장 1위인 만큼 향후 인도 시장이 성장하면 가장 큰 수혜를 볼 것”이라며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인도 국민 브랜드가 되고 싶다’고 말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 조달액 일부 ‘주주환원’ 활용 가능성

      LG전자는 IPO를 통해 확보한 조(兆) 단위 자금을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도 투입할 계획이다. 산업계에선 LG전자가 인도 IPO 자금 중 일부를 로봇, 웹 OS(스마트TV 운영체제) 등 미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활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조달액의 일부를 LG전자 본사 주주 대상 ‘주주환원’에 투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거론된다.

      인도법인 상장을 통해 LG전자 본사 재무 구조 개선 및 기업가치 재평가 가능성도 거론된다. 블룸버그통신은 LG전자 인도법인 시가총액이 130억달러(약 19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도했다. 지난 4일 기준 LG전자 시가총액(11조9136억원)을 웃도는 수준이다.

      황정수/김채연/박의명 기자 hjs@hankyung.com

      ⓒ 한경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관련 뉴스
      1. 1

        포스코, 中 접고 美·인도에 新생산거점

        포스코그룹이 미·중 무역전쟁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응해 글로벌 생산기지 재편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에 이은 제2 ‘K철강 메카’로 육성한 중국 사업은 대폭 ...

        포스코, 中 접고 美·인도에 新생산거점
      2. 2

        1분기 역대 최다 판매…현대차, 인도서 질주

        현대자동차그룹이 인도에서 올해 1분기 역대 최대 판매 기록을 썼다. 인도는 중국과 미국에 이은 세계 3위 자동차 시장이다. 13일 인도자동차공업협회(SIAM)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인도에서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1...

      3. 3

        검사장비社 쎄크 청약…오가노이드 수요예측

        이번주에는 쎄크가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일반 청약에 나선다.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원일티엔아이 등은 수요예측을 진행한다.13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쎄크는 14일까지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한 뒤 공모가를 확정...

      ADVERTISEMENT

      글자크기
      • 1단계
      • 2단계
      • 3단계
      • 4단계
      • 5단계
      글자행간
      • 1단계
      • 2단계
      • 3단계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 입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아니오

      스크랩한 기사를 삭제 하시겠습니까?

      ADVERTISEMENT

      상단 바로가기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