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아시아경제
실시간 뉴스
산업·IT

엔비디아, 인텔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1위…삼성전자 2위, 하이닉스 4위

2025년 05월 15일(목)

대선 아이콘대선 2025검색창 열기
아시아경제검색창 열기
검색영역
Dim영역
대선 2025
아시아미래기업포럼
아시아금융포럼

엔비디아, 인텔 제치고 글로벌 반도체 1위…삼성전자 2위, 하이닉스 4위

박소연기자

입력2025.04.11 10:08

수정2025.04.11 14:16

시계아이콘00분 48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공유스크랩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닫기
인쇄

엔비디아가 지난해 전 세계 반도체 공급사 매출 1위에 오르며 인텔과 삼성전자를 제쳤다. 인공지능(AI)용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 수요가 급증하면서 매출이 전년 대비 2배 이상 늘었다.




삼성전자는 재작년 1위였던 인텔을 3위로 밀어내고 2위를 유지했다. 반도체 업황 회복에 따라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사업에서 실적이 개선됐다. SK하이닉스는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력을 바탕으로 재작년 6위에서 지난해 4위로 상승했다.

11일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반도체 매출은 6559억달러로, 전년 대비 21.0% 증가했다. 이는 연초 예비치보다 약 300억달러 늘어난 수치다. 매출 급증에 따라 주요 반도체 기업들의 순위에도 변화가 생겼다.


당초 1위 탈환이 예상됐던 삼성전자는 최종 집계에서 엔비디아에 밀려 2위에 머물렀다. 삼성전자의 작년 반도체 매출은 657억달러로, 전년보다 60.8% 증가했다. 공급 과잉 해소에 따라 메모리 가격이 반등했고, 서버 및 모바일 수요 회복도 실적 개선에 기여했다.


SK하이닉스는 전년 대비 91.5% 증가한 442억달러를 기록했다. 성장률은 상위 10개 업체 가운데 엔비디아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고대역폭 메모리 수요가 확대되면서 인공지능 연산용 그래픽처리장치(GPU)와의 동반 수혜가 실적으로 이어졌다.

반면 인텔은 498억달러로, 3위로 밀렸다. 매출 증가율은 0.8%에 그쳤다. 팻 겔싱어 최고경영자 퇴진 등 경영 불안과 공장 투자 축소가 이어지고 있으며, 인공지능 수요 확산에서도 상대적으로 소외된 모습이다.


이번 조사에는 위탁 생산(파운드리) 중심의 대만 TSMC는 제외됐다. TSMC는 별도 공시에 따라 지난해 886억달러의 매출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포함하면 실질적인 반도체 매출 1위는 TSMC다.


가트너는 "상위 기업들의 순위 변동은 인공지능 인프라 수요와 함께 메모리 시장의 회복이 맞물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AD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함께 본 뉴스

새로보기

실시간 인기정보

AD

네이버 아이콘네이버 랭킹 기사

구독아이콘구독
간격처리를 위한 class

오늘의 추천 컨텐츠

AD

실시간 랭킹이슈

AD

많이 본 뉴스!가장 많이 읽힌 뉴스를 제공합니다. 집계 기준에 따라 최대 3일 전 기사까지 제공될 수 있습니다.

언론사 홈 구독
언론사 홈 구독
top버튼

한 눈에 보는 오늘의 이슈

거짓이 진실을 덮는다…가짜뉴스는 어떻게 퍼지나

워런 버핏 "아흔 되니 늙기 시작했다 느껴, 일은 계속"

"감히 나를 추월해?"…보복운전 피해 20% 급증한 교통문화 선진국

'대작 기근'이 불러온 관객 대이탈…"볼 게 없다"

롯데시네마·메가박스 합병의 명과 암

은행 파산하면 내 돈은?9월부터 1억까지 안전해요

이정현 "한동훈 당장 선대위 들어와야"

새로운 이슈 보기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