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Wayback Machine
5 captures
06 Apr 2023 - 15 Jun 2025
MarAPRJul
Previous capture06Next capture
202220232024
success
fail
COLLECTED BY
TIMESTAMPS
loading
The Wayback Machine - https://web.archive.org/web/20230406070533/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51321
본문 바로가기
의견&문의이용 안내

제안공()

제안공()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전기 제15대 숙종의 아들인 왕자.
이칭
시호
사절(思節)
이칭
서(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31년(인종 9)
정의
고려전기 제15대 숙종의 아들인 왕자.
개설

이름은 왕서(王偦). 숙종의 아들로, 어머니는 명의태후 유씨(明懿太后 柳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103년(숙종 8) 제안후(齊安侯)에 봉(封)하여졌다.

1106년(예종 1) 익성치리공신 개부의동삼사 검교상서령 수사공 상주국 제안후(翊聖致理功臣開府儀同三司檢校尙書令守司空上柱國齊安侯)에 임명되어 식읍(食邑) 2,000호, 식실봉(食實封) 200호를 받았다. 1110년에는 봉화공신 수사도(奉化功臣守司徒)가 되어 식읍 2,500호를 받았다.

1114년에는 동덕공신 검교태보 수태위(同德功臣檢校太保守太尉)로 식읍 300호, 식실봉 250호를 받았고, 1122년(예종 17)에 제안후에서 제안공으로 봉하여졌다.

인종 재위시 권력을 장악한 이자겸(李資謙)이 왕족을 시기하여 대방공(帶方公)과 대원공(大原公)을 귀양보내자 호종(扈從) 인원을 없애고 문을 닫고 들어앉아 손님을 접견하지 않고 술도 함부로 마시지 않으며 스스로 절제하여 화를 면하였다. 시호는 사절(思節)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집필자
진성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인간
    부수 一 / 총획 5
    마루
    부수 宀 / 총획 8
    abcd
    abcd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
    공공누리의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표시제도에 따라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 미디어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서비스에만 활용하도록 허가받은 자료로서,미디어 자유이용(다운로드)은 불가합니다.

    항목 관련 의견·문의

    항목 내용 중 오류나 보충하여야 할 사항을 상세하게 남겨주시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처리 결과는의견·문의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항목명
    의견 주제
    첨부파일
    미디어 관련 의견·문의

    미디어 또는 미디어 설명에 수정하여야 할 사항을 상세하게 남겨주시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처리 결과는의견·문의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미디어
    의견 주제
    첨부파일
    의견·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대한 문의나 의견을 남겨주시면 검토하여 반영하겠습니다. 처리 결과는의견·문의 게시판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의견 주제
    첨부파일
    미디어 다운로드

    이용목적을 상세히 작성하여 남겨주세요.
    서비스 개선에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 시 아래와 같이 출처를 표시해 주세요.

    <사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