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하, 복수의 디스플레이 영역들을 가지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relates to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areas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를 탑재한 모바일 장치가 출시되어 점차 대중화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모바일 장치의 경우, 모바일 장치의 휴대성을 높이면서 보다 확장된 스크린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anks to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technology,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particular,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s have been released and are gradually becoming popular. Mobile devices equipped with flexible displays have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portability of mobile devices while providing users with a more expanded screen.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main display),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상기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스트랩 하우징(strap housing), 상기 스트랩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스트랩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제1 측에 위치된 제1 부분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측에 반대되는 제2 측에 위치된 제2 부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strap display),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저장 매체들을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개별적으로 및/또는 집합적으로 실행될 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활동 속성(activity property)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상기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레스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표현을 상기 제1 부분 표시 영역과 함께 상기 제2 부분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ain display, a strap housing that wraps around at least a portion of a user's wrist when worn on the user's wrist, a strap display that is arrang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housing on one side of the strap housing and includes a first partial display area located on a first side relative to the main display and a second partial display area located on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relative to the main display, at least one processor including a processing circuit, and a memory including one or more storage media storing instructions, wherein when the instructions are individually and/or collectively executed by the at least one processo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cause the user to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in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a progress level of an activity property of the user being below a threshold level, and to display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together with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a progress level of the user being above the threshold level.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main display),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상기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스트랩 하우징(strap housing), 상기 스트랩 하우징의 일면에서 상기 스트랩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제1 측에 위치된 제1 부분 표시 영역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측에 반대되는 제2 측에 위치된 제2 부분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strap display)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활동 속성(activity property)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상기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 및 상기 프로그레스 레벨이 상기 임계 레벨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시각적 표현을 상기 제1 부분 표시 영역과 함께 상기 제2 부분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ain display, a strap housing that wraps around at least a portion of a user's wrist when worn on the user's wrist, a strap display that is arrang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housing on one side of the strap housing and includes a first partial display area positioned on a first side relative to the main display and a second partial display area positioned on a second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relative to the main display, and a method performed b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include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in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a progress level of an activity property of the user being less than a threshold level, and an operation of display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together with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the progress level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vel.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FIG. 1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부러진 상태 및 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bent and unfolded states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screen through a strap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FIG. 4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FIG. 4b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뷰잉 영역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ing area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a progress bar area based on a posture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들 간의 전환에 따라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plays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s it transitions between multiple operation modes.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다양한 활동 속성들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plays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progress levels for various activity attributes.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을 선택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selecting an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a strap display by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strap execution screen displayed through a strap display by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ctivity attributes of another us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visual feedback through a main display and a strap display wh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도 13a, 도 13b, 및 도 13c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알림 화면과 관련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13A, 13B, and 13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strap execution screen related to a notification screen on a strap display wh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notification screen through a main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예시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number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모듈(150), 음향 출력 모듈(155), 디스플레이 모듈(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연결 단자(178),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연결 단자(178), 가입자 식별 모듈(196))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예: 센서 모듈(176), 카메라 모듈(180), 또는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로 통합될 수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n a network environment (10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Referring to FIG. 1, in the network environment (100),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an electronic device (102) via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or may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device (104) or a server (108) via a second network (199) (e.g., a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device (104) via the server (108).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clude a processor (120), a memory (130), an input module (150), an audio output module (155), a display module (160), an audio module (170), a sensor module (176), an interface (177), a connection terminal (178), a haptic module (179), a camera module (180), a power management module (188), a battery (189), a communication module (190),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or an antenna module (197). In some embodiment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omit at least one of these components (e.g., the connection terminal (178),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or may hav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dded. In some embodiments, some of these components (e.g., the sensor module (176), the camera module (180), or the antenna module (197))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e.g., the display module (160)).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로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여러 프로세서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이 여러 프로세서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 프로세서들의 조합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 중 일부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120) may control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e.g., a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connected to the processor (120) by executing, for example, software (e.g., a program (140)), and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s at least a part of the data processing or calculations, the processor (120) may store a command or data received from another component (e.g., a sensor module (176) or a communication module (190)) in a volatile memory (132), process the command or data stored in the volatile memory (132), and store result data in a nonvolatile memory (134). The processor (120) may also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or an integrated circuit (IC) that performs processing. The processor (120) may include one or more processors. The opera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erformed by one processor or by a combination of multiple processors. When the opera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are performed by a combination of multiple processors, any one processor included in the combination of processors may perform some of the opera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신경망 처리 장치(NPU: neural processing unit),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메인 프로세서(121) 및 보조 프로세서(123)를 포함하는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120) may include a main processor (121) (e.g., a central processing unit or an application processor) or a secondary processor (123) (e.g., a graphics processing unit, a neural processing unit (NPU), an image signal processor, a sensor hub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that can operate independently or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ncludes the main processor (121) and the secondary processor (123), the secondary processor (123) may be configured to use lower power than the main processor (121) or to be specialized for a given function. The secondary processor (123)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main processor (121) or as a part thereof.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디스플레이 모듈(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신경망 처리 장치)는 인공지능 모델의 처리에 특화된 하드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지능 모델은 기계 학습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은, 예를 들어, 인공지능 모델이 수행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자체에서 수행될 수 있고, 별도의 서버(예: 서버(108))를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은, 예를 들어,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인공 신경망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RBM(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심층 Q-네트워크(deep Q-networks) 또는 상기 중 둘 이상의 조합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하드웨어 구조 이외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소프트웨어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xiliary processor (123) may control at least a portion of functions or states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display module (160), the sensor module (176), or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for example, on behalf of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inactive (e.g., sleep) state, or together with the main processor (121) while the main processor (121) is in an active (e.g., application execution) state. 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processor (123) (e.g., an image signal processor or a communication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part of another functionally related component (e.g., a camera module (180) or a communication module (190)). In one embodiment, the auxiliary processor (123) (e.g., a neural network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hardware structure specialized for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be gener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Such learning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tself on which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s executed, or may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server (e.g., server (108)). The learning algorithm may include, for exampl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semi-supervised learning, or reinforcement learning,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layers.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may be one of a deep neural network (DNN),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RBM), a deep belief network (DBN), a 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BRDNN), deep Q-networks,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hardware structur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include a software structure.
메모리(1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 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 및 디스플레이 모듈(16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시각적 콘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인스트럭션들은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고, 여러 메모리에 나뉘어 저장될 수도 있다.The memory (130) can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the processor (120) or the sensor module (176))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he data can include, for example, software (e.g., the program (140)), input data or output data for commands related thereto, and visual contents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module (160). The memory (130) can include a volatile memory (132) or a non-volatile memory (134). The memory (130) can store at least one instruction executable by the processor (120). The memory (130) can include one or more memories.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the processor (120)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can be stored in one memory or can be divided and stored in multiple memories.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am (140) may be stored as software in memory (130)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n operating system (142), middleware (144), or an application (146).
입력 모듈(15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모듈(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키보드, 키(예: 버튼), 또는 디지털 펜(예: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50) can receive commands or data to be used for component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e.g., processor (120)) from an external source (e.g., a user)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he input module (150) can include, for example, a microphone, a mouse, a keyboard, a key (e.g., a button), or a digital pen (e.g., a stylus pen).
음향 출력 모듈(155)은 음향 신호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5)은,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5) can output an audio signal to the outsid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he audio output module (155) can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or a receiver. The speaker can be used for general purposes such as multimedia playback or recording playback. The receiver can be used to receive an incoming cal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eceiver can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speaker or as a part thereof.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예: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를 검출하도록 설정된 터치 센서,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예시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구조, 폴딩 가능한 구조 및/또는 롤러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60) can visually provide information to an external party (e.g., a user)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he display module (160) can include, for example, a display (e.g., a flexible touch display), a holographic device, or a projector and a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can include a touch sensor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or a pressure sensor configured to measure the intensity of a force generated by the touch. The display module (160) can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bendable structure, a foldable structure, and/or a rollable structure.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모듈(150)을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모듈(155), 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이어폰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The audio module (170) can convert sound into an electrical signal, or vice versa,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so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udio module (170) can obtain sound through the input module (150), or output sound through an audio output module (155),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an electronic device (102)) (e.g., a speaker, earphones, or headphones)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ed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센서 모듈(176)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벤딩 센서(bending sensor), 관성 센서(inertia measurement unit; IMU),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module (176) can detect an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r an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 an electric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or module (176) can include, for example, a bending sensor, an inertia measurement unit (IMU), a gesture sensor, a gyro sensor, a barometric pressure sensor, a magnetic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rip sensor, a proximity sensor, a color sensor, an IR (infrared) sensor, a biometric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인터페이스(177)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face (177) may support one or more designated protocols that may be used to directly or wirelessly connec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In one embodiment, the interface (177)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 universal serial bus (USB) interface, an SD card interface, or an audio interface.
연결 단자(178)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는,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이어폰 커넥터,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a connector that allow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on terminal (178) may include, for example, an HDMI connector, a USB connector, an SD card connector, or an audio connector (e.g., an earphone connector, a headphone connector).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179) can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 mechanical stimulus (e.g., vibration or movement) or an electrical stimulus that a user can perceive through a tactile or kinesthetic sen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aptic module (179) can include, for example, a motor, a piezoelectric element,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80) can capture still images and moving image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amera module (180) can include one or more lenses, image sensors, image signal processors, or flashes.
전력 관리 모듈(188)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1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manage power supplied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88) can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t least a part of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배터리(189)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189) can power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n one embodiment, the battery (189) can include, for example, a non-rechargeable primary battery,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or a fuel cell.
통신 모듈(19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 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와이파이 통신 모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레거시 셀룰러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차세대 통신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의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를 확인 또는 인증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support establishment of a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electronic device (102), the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and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operate independently from the processor (120) (e.g., the application processor) and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processors that support direct (e.g.,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e.g.,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194)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mong these communication modules, a corresponding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via a first network (198)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or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or a second network (199) (e.g., a long-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legacy cellular network, a 5G network, a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a LAN or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implemented as multiple separate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use subscriber information (e.g.,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stored in the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196) to identify or authenticat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with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무선 통신 모듈(192)은 4G 네트워크 이후의 5G 네트워크 및 차세대 통신 기술, 예를 들어, NR 접속 기술(new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할 수 있다. NR 접속 기술은 고용량 데이터의 고속 전송(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단말 전력 최소화와 다수 단말의 접속(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고신뢰도와 저지연(URLLC(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예를 들어, 높은 데이터 전송률 달성을 위해,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고주파 대역에서의 성능 확보를 위한 다양한 기술들, 예를 들어,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전차원 다중입출력(FD-MIMO: full dimensional 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또는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예: 제 2 네트워크(199))에 규정되는 다양한 요구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eMBB 실현을 위한 Peak data rate(예: 20Gbps 이상), mMTC 실현을 위한 손실 Coverage(예: 164dB 이하), 또는 URLLC 실현을 위한 U-plane latency(예: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 각각 0.5ms 이하, 또는 라운드 트립 1ms 이하)를 지원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can support a 5G network and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fter a 4G network, for example, NR access technology (new radio access technology). The NR access technology can support high-speed transmission of high-capacity data (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terminal power minimization and connection of multiple terminals (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or high reliability and low latency (URLLC (ultra-reliable and low-latency communication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can support, for example, a high-frequency band (e.g., mmWave band) to achieve a high data transmission rat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various technologies for securing performance in a high-frequency band, such as beamforming, massive multiple-input and multiple-output (MIMO),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array antenna, analog beam-forming, or large scale antenna.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various requirements specified i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electronic device (104)), or a network system (e.g., second network (199)).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92) may support a peak data rate (e.g., 20 Gbps or more) for eMBB realization, a loss coverage (e.g., 164 dB or less) for mMTC realization, or a U-plane latency (e.g., 0.5 ms or less for downlink (DL) and uplink (UL) each, or 1 ms or less for round trip) for URLLC realization.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의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서브스트레이트(예: PCB) 위에 형성된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진 방사체를 포함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의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방사체 이외에 다른 부품(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이 추가로 안테나 모듈(197)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The antenna module (197) can transmit or receive signals or power to or from the outside (e.g.,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97) can include an antenna including a radiator formed of a conductor or a conductive pattern formed on a substrate (e.g., a PC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ntenna module (197) can include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In this case, at least one antenna suitable for a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a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the first network (198) or the second network (199), can b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antennas by,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 signal or power can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selected at least one antenna.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in addition to the radiator, another component (e.g., a 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 (RFIC)) can be additionally formed as a part of the antenna module (197).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mmWave 안테나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mmWave 안테나 모듈은 인쇄 회로 기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1 면(예: 아래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지정된 고주파 대역(예: mmWave 대역)을 지원할 수 있는 RFIC,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 2 면(예: 윗 면 또는 측 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지정된 고주파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복수의 안테나들(예: 어레이 안테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antenna module (197) may form a mmWave antenna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mWave antenna module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an RFIC disposed on or adjacent a first side (e.g., a bottom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supporting a designated high-frequency band (e.g., a mmWave band), and a plurality of antennas (e.g., an array antenna) disposed on or adjacent a second side (e.g., a top side or a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in the designated high-frequency band.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interconnected and exchange signals (e.g., commands or data) with each other via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peripheral devices (e.g., a bus, a 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GPIO),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or a 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MIPI)).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외부의 전자 장치(102, 또는 104) 각각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의 전자 장치들(102, 104, 또는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의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모바일 에지 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예를 들어, 분산 컴퓨팅 또는 모바일 에지 컴퓨팅을 이용하여 초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의 전자 장치(104)는 IoT(internet of things)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108)는 기계 학습 및/또는 신경망을 이용한 지능형 서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의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는 제 2 네트워크(199) 내에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commands or data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betwe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via a server (108) connected to a second network (199). Each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or 104) may be the same or a different type of device a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n one embodiment, all or part of operations executed b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executed by one or more of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102, 104, or 108).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s to perform a certain function or service automatically o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 user or another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instead of or in addition to executing the function or service itself, request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o perform at least a part of the function or service. One or mor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at have received the request may execute at least a part of the requested function or service, or an additional function or service related to the request, and transmit the result of the executi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vide the result, as is or additionally processed, as at least a part of a response to the request. For this purpose, cloud computing, distributed computing, mobile edge computing (MEC), or client-server computing technology may be used,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provide an ultra-low latency service by using distributed computing or mobile edge computing,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may include an IoT (Internet of Things) device. The server (108) may be an intelligent server using machine learning and/or a neural netw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104) or the server (108) may be included in the second network (199).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terminology used t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can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disclosure, each of the phrase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t least one of A, B, or C" can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mer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components in any other respect (e.g., importance or order).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a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와 같은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term "modul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unit implemented in hardware, software or firmware, and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logic, logic block, component, or circuit, for example. A module may be an integrally configured component or a minimum unit of the component or a part thereof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 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 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 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e.g., a program (140)) including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an internal memory (136) or an external memory (138)) readable by a machine (e.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For example, a processor (e.g., a processor (120)) of the machine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call at least one instruction among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the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machine to operate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called at least one instruction.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non-transitory’ simply means that the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does not contain signals (e.g. electromagnetic waves), and the term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cases where data is stored semi-permanently or temporarily on the storage medium.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개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 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 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rovided as inclu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traded between a seller and a buyer as a commodity.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a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may be distributed online (e.g., downloaded or uploaded) via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TM) or directly between two user devices (e.g., smart 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art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may be at least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generated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n intermediary server.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component (e.g., a module or a program)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include a single or multiple entities, and some of the multiple entities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components or ope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multiple components (e.g., a module or a program)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such a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of the multiple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multiple components before the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module,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될 수 있는 시계 또는 뱅글 타입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시계 타입의 전자 장치인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스마트 워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스마트 워치는 일반적인 워치(typical watch)보다 향상된 다양한 기능들(예: 무선 통신 기능, 생체 신호 센싱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수행할 수 있는 워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가 뱅글 타입의 전자 장치인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손목, 손가락, 팔, 발, 목, 머리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어 동작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a watch or bangle type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user's body. In one embodiment,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s a watch typ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function as a smart watch worn on a user's wrist. A smart watch may mean a watch that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e.g.,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io-signal sensing, and/or application execution) that are enhanced compared to a typical watch. In one embodiment,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is a bangle typ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may be worn on a part of the user's body, such as a wrist, a finger, an arm, a foot, a neck, a head, etc., and may be operated.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display driver integrated chip; DDI)를 포함할 수 있다. DDI는 인터페이스 모듈, 메모리(예: 버퍼 메모리), 이미지 처리 모듈, 또는 맵핑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DI은, 예를 들면, 영상 데이터, 또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하는 영상 제어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정보는 프로세서(120)(예: 메인 프로세서(121)(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의 기능과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DDI는 터치 회로 또는 센서 모듈(176) 등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하여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다. 또한, DDI는 상기 수신된 영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메모리에,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 모듈은, 예를 들면, 상기 영상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영상 데이터의 특성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처리 또는 후처리(예: 해상도, 밝기, 또는 크기 조정)를 수행할 수 있다. 맵핑 모듈은 이미지 처리 모듈을 통해 전처리 또는 후처리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의 생성은 예를 들면,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픽셀들의 속성(예: 픽셀들의 배열(RGB stripe 또는 pentile 구조), 또는 서브 픽셀들 각각의 크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 픽셀들은, 예를 들면, 상기 전압 값 또는 전류 값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구동됨으로써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이모지, 아이콘, 기하학 패턴)가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module (160) may include a flexible touch display and a display driver integrated chip (DDI)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DDI may include an interface module, a memory (e.g., a buffer memory), an image processing module, or a mapping module. The DDI may receive, for example, image information including image data or an imag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image data, from another component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For examp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processor (120) (e.g., the main processor (121) (e.g., the application processor) or the auxiliary processor (123) (e.g., the graphic processing unit) that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function of the main processor (121). The DDI may communicate with the touch circuit or the sensor module (176)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In addition, the DDI may store at least some of the received image information in the memory, for example, on a frame basis. The image processing module may perform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e.g., resolution, brightness, or size adjustment) on at least some of the image data based on at lea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data 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y, for example. The mapping module may generate a voltage value or a current value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hat has been preprocessed or postprocess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generation of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may be performed based at least in part on the properties of the pixels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e.g., the arrangement of the pixels (RGB stripe or pentile structure), or the size of each of the sub-pixels). At least some pixels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are driven based at least in part on, for example, the voltage value or the current value, so that visual content (e.g., text, an image, an emoji, an icon, a geometric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flexible touch display.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터치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회로는 터치 센서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 센서 IC($53)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는, 예를 들면,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검출하기 위해 터치 센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센서 IC는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특정 위치에 대한 신호(예: 전압, 광량, 저항, 또는 전하량)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 IC는 검출된 터치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에 관한 정보(예: 위치, 면적, 압력, 또는 시간)를 프로세서(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회로의 적어도 일부(예: 터치 센서 IC)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또는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부로,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160)의 외부에 배치된 다른 구성요소(예: 보조 프로세서(123))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circuit. The touch circuit may include a touch sensor and a touch sensor IC ($53)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touch sensor IC may control the touch sensor, for example, to detect a touch input or a hovering input for a specific location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For example, the touch sensor IC may detect the touch input or the hovering input by measuring a change in a signal (e.g., voltage, light amount, resistance, or charge amount) for a specific location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The touch sensor IC may provide information (e.g., location, area, pressure, or time) about the detected touch input or hovering input to the processor (120). In one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touch circuit (e.g., the touch sensor IC) may be included as a display driver IC, as a part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or as a part of another component (e.g., the auxiliary processor (123)) disposed externally to the display module (16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은 센서 모듈(176)의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조도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 또는 이에 대한 제어 회로는 디스플레이 모듈(160)의 일부(예: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 또는 DDI) 또는 터치 회로의 일부에 임베디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생체 센서(예: 지문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생체 센서는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부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생체 정보(예: 지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160)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이 압력 센서를 포함할 경우, 상기 압력 센서는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터치 입력과 연관된 압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치 센서 또는 센서 모듈(176)은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의 픽셀 레이어의 픽셀들 사이에, 또는 상기 픽셀 레이어의 위에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play module (160)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ensor (e.g., a fingerprint sensor, an iris sensor, a pressure sensor, or an illuminance sensor) of the sensor module (176), or a control circuit therefor.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sensor or the control circuit therefor may be embedded in a part of the display module (160) (e.g., a flexible touch display or a DDI) or a part of the touch circuit. For example, if the sensor module (176) embedded in the display module (160) includes a biometric sensor (e.g., a fingerprint sensor), the biometric sensor may obtain biometric information (e.g., a fingerprint image) associated with a touch input through a part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As another example, if the sensor module (176) embedded in the display module (160)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e pressure sensor may obtain pressur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touch input through a part or the entire part of the flexible touch displ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touch sensor or sensor module (176) may be positioned between pixels in a pixel layer of a flexible touch display, or above or below the pixel layer.
상기 설명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의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 또는 제어될 수 있다.The opera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described above may be performed or controlled by one or more processors (120).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부러진 상태 및 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bent and unfolded states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는 메인 디스플레이(210), 스트랩 하우징, 및 스트랩 하우징을 따라 배치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를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may include a main display (210), a strap housing, and a strap display (220) disposed along the strap housing.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시계 형태(watch type)를 가질 수 있고, 메인 디스플레이(210)는 시계에서 시간을 제공하는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메인 디스플레이(210)에서 시계 화면을 포함하는 메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후술하겠으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메인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시간 정보만 출력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may have a watch type, and the main display (210) may correspond to an area that provides time on the watch.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may display a main execution screen including a watch screen on the main display (210).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may output not only time information through the main display (210), but also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스트랩 하우징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때, 사용자의 손목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스트랩 하우징의 일면에서 스트랩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 하우징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시계에서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기 위하여 구부러지거나 사용자의 손목으로부터 착용 해제되기 위하여 펼쳐지는 것이 가능한 결착 부재에 대응할 수 있다. 스트랩 하우징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220)의 상태는 구부려진 상태 및 펴진 상태(201) 간에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예: 벤더블 디스플레이(bendable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메인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메인 실행 화면에 관련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 실행 화면은, 메인 실행 화면에서 표시된 사용자의 활동 속성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을 나타내는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rap housing, when worn on a user's wrist, can wrap a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user's wrist. The strap display (220) can b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trap housing on one side of the strap housing. The strap housing and the strap display (220) can correspond to fastening members that can be bent to be worn on a user's wrist or unfolded to be removed from the user's wrist in the watch. The state of the strap housing and/or the strap display (220) can be switched between a bent state and an unfolded state (201). For example, the strap display (220) can be implemented as a flexible display (e.g., a bendable display). The strap display (220) can output a strap execution screen related to a main execution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210). For example, the strap execution screen can include a screen indicating a progress level for an activity attribute of the user displayed on the main execution scree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랩 하우징은 복수의 스트랩 하우징들(예: 제1 스트랩 하우징 및 제2 스트랩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복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들(예: 제1 스트랩 디스플레이 및 제2 스트랩 디스플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들은, 복수의 스트랩 하우징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들 각각은 대응하는 스트랩 하우징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rap housing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p housings (e.g., a first strap housing and a second strap housing), and the strap display (2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rap displays (e.g., a first strap display and a second strap display). The plurality of strap displays may individuall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trap housings. Each of the plurality of strap displays may be disposed on one surface of a corresponding strap housing.
도 2에서, 예시적으로, 제1 스트랩 하우징 및 제1 스트랩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210)의 제1 측에 연결되고, 제2 스트랩 하우징 및 제2 스트랩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210)의 제2 측(예: 제1 측과 반대)에 연결될 수 있다.In FIG. 2, by way of example, the first strap housing and the first strap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first side of the main display (210), and the second strap housing and the second strap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second side (e.g., opposite the first side) of the main display (210).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펴진 상태(201)일 때 제1 스트랩 하우징 및 제1 스트랩 디스플레이는 제2 스트랩 하우징 및 제2 스트랩 디스플레이와 이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구부러진 상태(202)일 때 제1 스트랩 하우징 및/또는 제1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210)에서 가장 먼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제2 스트랩 하우징 및/또는 제2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contact)되거나 중첩(overlay)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구부러진 상태(202)일 때, 복수의 스트랩 하우징들 및/또는 복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들이 연결되어 스트랩 실행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in an unfolded state (201), the first strap housing and the first strap display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trap housing and the second strap display.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in a bent state (202),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strap housing and/or the first strap display, which is furthest from the main display (210), may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r overlaid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trap housing and/or the second strap display. As a result,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in a bent state (202), a plurality of strap housings and/or a plurality of strap displays may be connected to provide a strap execution screen.
다만, 스트랩 하우징(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220))가 복수의 스트랩 하우징들(또는 복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랩 하우징은 단일 스트랩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단일 스트랩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However, the strap housing (or strap display (220)) is not limited to including a plurality of strap housings (or a plurality of strap display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rap housing may be composed of a single strap housing. The strap display (220) may be arranged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ingle strap housing.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펴진 상태(201)일 때, 스트랩 하우징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메인 디스플레이(210)의 제1 측에 연결되고, 메인 디스플레이(210)의 제2 측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가 구부러진 상태(202)일 때, 스트랩 하우징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220)의 일단은 메인 디스플레이(210)의 제1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스트랩 하우징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220)의 타단은 메인 디스플레이(210)의 제2 측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in an unfolded state (201), the strap housing and the strap display (220) may be connected to a first side of the main display (210) and spaced apart from a second side of the main display (210).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in a bent state (202), one end of the strap housing and/or the strap display (22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of the main display (210), and the other end of the strap housing and/or the strap display (22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ide of the main display (210).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상태는, 펴진 상태(201) 및 구부러진 상태(202) 간의 전환이 가능하다. 펴진 상태(201)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착용을 해제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구부러진 상태(202)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플렉서블 터치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손목의 전체 또는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착용된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can be switched between an unfolded state (201) and a bent state (202). The unfolded state (201) may correspond to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taken off wear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The bent state (202) may correspond to a state in which the flexible touch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is worn in a form that wraps around all or part of the user's wris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220)의 표시 영역(230))는, 제1 부분 표시 영역(231) 및 제2 부분 표시 영역(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 표시 영역(231)은, 메인 디스플레이(210)를 기준으로 제1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부분 표시 영역(232)은, 메인 디스플레이(210)를 기준으로 제2 측에 위치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210)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220)의 부분 표시 영역들 간의 위치관계는, 구부러진 상태(202)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펴진 상태(201)를 기준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trap display (220) (or the display area (230) of the strap display (220)) may include a first partial display area (231) and a second partial display area (232).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231) may be positioned on a first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display (210).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232) may be positioned on a second side with respect to the main display (210).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al display areas of the main display (210) and the strap display (22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bent state (202),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determined based on the unfolded state (201).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의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 또는 제어될 수 있다.The operation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erformed or controlled by one or more processors (e.g., the processor (120) of FIG. 1).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스트랩 하우징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서로 별개의 구성으로 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랩 하우징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220)는 하나의 하드웨어 구성으로 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 하우징은 스트랩 디스플레이(220)(예: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strap housing and the strap display (220) are mainly described as separate component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the strap housing and the strap display (220)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hardware configuration. For example, the strap housing may be configured only with the strap display (220) (e.g., a flexible display).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screen through a strap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의 활동(activity)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may display a strap execution screen that indicates information about a user's activity through a strap display.
동작(310)에서,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활동 속성(activity property)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부분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부터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In operation (310), th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in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whether the progress level for the user's activity property is below a threshold level.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starting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among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s.
활동 속성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은, 사용자의 신체 활동(physical activity)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신체 활동은, 예시적으로, 걸음 수, 물 섭취량, 칼로리 소모량, 또는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은, 전자 장치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작함으로써 수행되는 전자 장치(예: 웨어러블 전자 장치,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의 전자 장치를 통해 타이머(timer)를 실행하고/하거나, 일정 시간 길이를 가지는 컨텐츠(예: 음악,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다.The activity attribute may mean information about an activity of a user us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user's activity may include a physical activity of the user. The user's physical activity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number of steps, the amount of water consumed, the amount of calories consumed, or the amount of activity time. For example, the user's activity may include an activity of the user through an electronic device (e.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performed by manipulating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For example, the user may execute a timer and/or play content (e.g., music, video) having a certain length of time through the user's electronic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활동 속성은, 사용자의 걸음 수, 사용자의 물 섭취량, 타이머의 진행 상태, 음악의 재생 상태, 또는 비디오의 재생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ctivity attribut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user's number of steps, the user's water intake, the progress of a timer, the playback status of music, or the playback status of a video.
프로그레스 레벨은, 사용자의 활동 속성의 진행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활동 속성은 속성 값을 가질 수 있다. 프로그레스 레벨은, 목표 값 대비 사용자의 활동과 관련된 값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 목표 값은, 초기에 미리 결정된 기본 값(default value)으로 설정될 수 있고, 추후 사용자의 조작에 기초하여 다른 값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progress level can indicate the progress of the user's activity attribute. For example, the user's activity attribute can have an attribute value. The progress level can include a ratio of a value related to the user's activity to a target value. The target value can be initially set to a predetermined default value and can be changed to another value based on the user's operation later.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걸음 수는, 미리 결정된 기간(예: 프로그레스 레벨의 결정 시점과 같은 날 자정으로부터 현재 시각까지의 시간 길이) 동안 측정된 걸음 수를 속성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걸음 수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은, 설정된 목표 걸음 수 대비 측정된 사용자의 걸음 수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s step count may have as an attribute value the number of steps measured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e.g., the length of time from midnight on the same day as the determination point of the progress level to the current time). The progress level for the user's step count may include a ratio of the user's measured step count to a set target step count.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물 섭취량은,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누적된 물 섭취량을 속성 값으로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물 섭취량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은, 설정된 목표 물 섭취량 대비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누적된 물 섭취량의 비율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s water intake may have as an attribute value the accumulated water intak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ve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rogress level of the user's water intake may include a ratio of the accumulated water intake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to the set target water intake.
예시적으로, 타이머는 누적 시간 정보 또는 잔여 시간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누적 시간 정보는, 시작 시점(start time point)으로부터 현재 시점(current time point)까지의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잔여 시간 정보는, 타이머의 전체 시간 길이가 타이머의 시작 전에 설정된 경우, 현재 시점으로부터 타이머의 종료 시점(end time point)까지의 시간 길이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타이머의 종료 시점은, 타이머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타이머의 전체 시간 길이 이후의 시점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a timer may mean a function that outputs accumulated time information or remaining time information. The accumulated time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ime from a start time point to a current time point. The remaining time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about the length of time from a current time point to an end time point of the timer when the total time length of the timer is set before the start of the timer. The end time point of the timer may mean a time point after the total time length of the timer from the start time point of the timer.
진행 중인 타이머의 진행 상태는, 타이머의 시작 시점, 타이머의 종료 시점, 또는 현재 시점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타이머의 진행 상태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은, 타이머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길이, 타이머의 전체 시간 길이 중에서 타이머의 시작 시점으로부터 현재 시점까지의 시간 길이의 비율, 또는 타이머의 전체 시간 길이 중에서 현재 시점으로부터 타이머의 종료 시점까지의 시간 길이의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gress of an ongoing timer can be determined based on at least one of a start time of the timer, an end time of the timer, or a current time. The progress level of the progress of the timer can include at least one of a time length from a start time of the timer to a current time, a ratio of a time length from a start time of the timer to a current time out of a total time length of the timer, or a ratio of a time length from a current time out of a total time length of the timer to an end time of the timer.
예시적으로, 재생 중인 음악 또는 비디오의 재생 상태는, 재생 중인 음악 또는 비디오의 전체 재생 시간 중에서 음악 또는 비디오의 현재 재생 부분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의 전체 재생 시간은, 비디오의 시작점 및 종료점 간의 시간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비디오의 재생 상태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은 비디오의 전체 재생 시간 중에서 비디오의 시작점으로부터 현재 재생 부분까지의 시간 길이(또는 현재 재생 부분으로부터 비디오의 종료점까지의 시간 길이)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비디오의 전체 재생 시간이 1시간(예: 60분)이고 현재 재생 부분이 비디오의 시작점으로부터 15분 이후의 부분일 수 있다. 비디오의 재생 상태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은 25%(또는 75%)를 포함 수 있다.For example, the playback status of a currently playing music or video may include the position of the currently playing portion of the music or video among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currently playing music or video.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video may refer to the length of time between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video. The progress level of the playback status of the video may refer to the ratio of the length of tim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video to the currently playing portion (or the length of time from the currently playing portion to the end point of the video) among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video. The total playback time of the video may be 1 hour (e.g., 60 minutes) and the currently playing portion may be a portion that is 15 minutes after the start point of the video. The progress level of the playback status of the video may include 25% (or 75%).
시각적 표현은, 프로그레스 레벨을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픽 표현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현은,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바(bar) 형태의 그래픽 객체(예: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일 수 있다. 그래픽 객체는,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부터 연장된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각적 표현의 길이는 시각적 표현이 스트랩 하우징(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길이는, 프로그레스 레벨이 높을수록,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에서부터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에 따라 더 길(longer) 수 있다.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mean a graphical representation that visually represents a progress level. For example,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be a graphical object in the form of a bar (e.g., a progress bar)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display. The graphical object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from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mean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housing (or the strap display).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may be longer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display as the progress level is higher.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미만인 경우, 시각적 표현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가 임계 길이 미만이고,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에서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임계 레벨 미만의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임계 레벨 미만의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표시를 제2 부분 표시 영역에서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임계 길이 미만의 시각적 표현은, 제1 부분 표시 영역만으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progress level is less than the threshold level,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is less than the threshold length, and as a resul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less than the threshold level in a first partial display area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strap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not display a display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less than the threshold level in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The visual representation less than the threshold length may be displayed only in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동작(320)에서,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을 제1 부분 표시 영역과 함께 제2 부분 표시 영역에서 표시할 수 있다.In operation (320), th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together with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the progress level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level.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이상인 경우, 시각적 표현의 길이 방향에 따른 길이가 임계 길이 이상이고, 결과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에서 제1 부분 표시 영역과 함께 제2 부분 표시 영역에서 임계 레벨 이상의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임계 길이 이상의 시각적 표현은, 제1 부분 표시 영역만으로 표시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고, 제1 부분 표시 영역에 추가적으로 제2 부분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서 표시되어야 할 수 있다.When the progress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vel, a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isual expression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ngth, and as a resul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vel in a second partial display area together with a first partial display area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strap display. The visual expression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ngth may be difficult to display in only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and may need to be displayed in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in addition to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표현의 길이는, 프로그레스 레벨이 변화함에 따라 점진적으로(gradually) 변화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레벨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시점들(예: 샘플링 시점들)의 프로그레스 레벨들이, 기준 레벨(예: 10걸음, 1초, 1%) 미만의 차이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시각적 표현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은, 시간적으로 인접한 두 시점들(예: 샘플링 시점들)의 시각적 표현의 길이들이, 임계 레벨 미만의 길이 차이를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length of a visual represent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gradually change as the progress level changes. The gradual change in the progress level may mean that the progress levels of two temporally adjacent points in time (e.g., sampling points in time) have a difference of less than a reference level (e.g., 10 steps, 1 second, 1%). The gradual change in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mean that the length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s of two temporally adjacent points in time (e.g., sampling points in time) have a length difference of less than a threshold level.
예를 들어, 프로그레스 레벨이 점진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시각적 표현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레벨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시각적 표현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레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경우, 시각적 표현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progress level gradually changes,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gradually change. If the progress level gradually increases,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gradually increase. If the progress level gradually decreases,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gradually decrease.
다만, 프로그레스 레벨이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만 시각적 표현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레스 레벨이 제1 레벨에서 제1 레벨과 임계(예: 기준 레벨) 이상의 차이를 가지는 제2 레벨로 변화하는 경우에도, 시각적 표현은 제1 레벨을 지시하는 제1 길이에서부터 제2 레벨을 지시하는 제2 길이까지 점진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However,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is not limited to changing gradually only when the progress level changes gradually. For example, even when the progress level changes from a first level to a second level that has a differe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threshold (e.g., a reference level) from the first level, the visual representation can change gradually from a first length indicating the first level to a second length indicating the second leve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표현 중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표시되는 부분(예: 제1 부분 시각적 표현) 및 제2 부분 표시 영역에서 표시되는 부분(예: 제2 부분 시각적 표현)은 통합된 단일 그래픽 객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현은, 제1 부분 시각적 표현으로부터 제2 부분 표시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연장된 제2 부분 시각적 표현을 포함하는 바 형태의 그래픽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portion displayed in a first partial display area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e.g., the first partial visual representation) and a portion displayed in a second partial display area (e.g., the second partial visual representation) may be a single, integrated graphical object. For example,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include a bar-shaped graphical object that includes a second partial visual representa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partial visual representation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예를 들어,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미만인 것에 기초하여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부터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progress level being below a threshold level,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can be extended lengthwise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in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 이상인 것에 기초하여, 제1 부분 표시 영역에서 임계 레벨에 대응하는 임계 길이를 가지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부분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부터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을 향해 길이 방향을 따라 시각적 표현을 연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레벨로부터 임계 레벨이 차감된 나머지 레벨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시각적 표현을 연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having a threshol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level in the first partial display area based on the progress level being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level.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xtend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length direction from a portion of the second partial display area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toward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xtend the visual representation by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level after subtracting the threshold level from the progress level.
도 4a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FIG. 4A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가 제1 자세일 때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자세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바라볼 때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is a first posture. The first posture may mea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when a user looks at a main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센서(예: 관성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생체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를 통해 수집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를 결정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e.g., an inertial sensor, a gyro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biometric sensor) and determine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based on sensing data collected through the sensor.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1 부분(421a), 또는 제1 부분(421a)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부분(422a)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가 제1 자세인 것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2 부분(422a)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a에서, 제1 부분(421a)은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의 위쪽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이고, 제2 부분(422a)은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의 아래쪽에서 스트랩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may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a visual representation as either a first portion (421a) or a second portion (422a) located opposite the first portion (421a) based o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may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s the second portion (422a)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being the first posture. For example, in FIG. 4A, the first portion (421a) may b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from above the main display, and the second portion (422a) may b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adjacent to the strap display from below the main display.
도 4a를 참조하면, 상태(401a)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가 제1 자세일 때, 제1 레벨의 프로그레스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가 제1 자세인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2 부분(422a)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제1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제1 길이를 결정하고, 제1 길이의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a, in state (401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can obtain a progress level of a first level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is a first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can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a visual representation as a second portion (422a)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being the first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can determine a first length of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vel, and display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irst length.
상태(402a)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가 제1 자세일 때, 제2 레벨의 프로그레스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레벨은, 제1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상태(401a)에서와 마찬가지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의 자세가 제1 자세인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2 부분(422a)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제2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제2 길이를 결정하고, 제2 길이의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길이는, 제1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레스 레벨이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증가한 경우(예: 제1 상태(401a)에서 제2 상태(402a)로 변경된 경우), 제1 길이의 시각적 표현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430a)으로 제2 길이까지 연장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430a)은, 제2 부분(422a)으로부터 제1 부분(421a)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430a)은, 시각적 표현 중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으로의 방향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state (402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can obtain a progress level of a second level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is the first posture. The second level can be higher than the first level. Similar to state (401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can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as the second portion (422a)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being the first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can determine a second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vel and display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econd length. The second length can be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For example, when the progress level increases from the first level to the second level (e.g., when the progress level changes from the first state (401a) to the second state (402a)),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irst length can be extended to the secon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430a) of the strap display. The longitudinal direction (430a) of the strap display may mea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econd portion (422a) toward the first portion (421a). The longitudinal direction (430a) of the strap display may mea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to a portion far from the main display amo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참고로, 도 4a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펴진 상태로 도시한 전개도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부러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의 일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은 메인 디스플레이의 타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 4A, the unfolded view sh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n a bent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도 4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한다.FIG. 4b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가 제2 자세일 때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자세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목 안쪽에 배치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일부를 바라볼 때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is a second posture. The second posture may mea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when the user looks at a part of a strap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placed on the inside of the user's wrist.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1 부분(421b), 또는 제1 부분(421b)의 반대편에 위치한 제2 부분(422b) 중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가 제2 자세인 것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1 부분(421b)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4b에서, 제1 부분(421b)은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의 위쪽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이고, 제1 부분(421b)은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의 아래쪽에서 스트랩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may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a visual representation as either the first portion (421b) or the second portion (422b) located opposite the first portion (421b)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may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s the first portion (421b)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being the second posture. For example, in FIG. 4b, the first portion (421b) may b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from above the main display, and the first portion (421b) may b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adjacent to the strap display from below the main display.
도 4b를 참조하면, 상태(401b)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가 제2 자세일 때, 제1 레벨의 프로그레스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가 제2 자세인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1 부분(421b)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제1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제1 길이를 결정하고, 제1 길이의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in state (401b),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can obtain a progress level of the first level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is the second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can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as the first portion (421b)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being the second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can determine a first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evel, and display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irst length.
상태(402b)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가 제2 자세일 때, 제2 레벨의 프로그레스 레벨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레벨은, 제1 레벨보다 높을 수 있다. 상태(401b)에서와 마찬가지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의 자세가 제2 자세인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시작 부분을 제1 부분(421b)으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제2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의 제2 길이를 결정하고, 제2 길이의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길이는, 제1 길이보다 길 수 있다.In state (402b),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can obtain a progress level of a second level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is the second posture. The second level can be higher than the first level. Similar to state (401b),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can determine a start por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as the first portion (421b)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being the second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can determine a second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evel and display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second length. The second length can be longer than the first length.
예를 들어, 프로그레스 레벨이 제1 레벨에서 제2 레벨로 증가한 경우(예: 제1 상태(401b)에서 제2 상태(402b)로 변경된 경우), 제1 길이의 시각적 표현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430b)으로 제2 길이까지 연장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430b)은, 제2 부분(422b)으로부터 제1 부분(421b)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길이 방향(430b)은, 시각적 표현 중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으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으로의 방향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gress level increases from the first level to the second level (e.g., when the progress level changes from the first state (401b) to the second state (402b)),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first length can be extended to the secon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430b) of the strap display. The longitudinal direction (430b) of the strap display may mea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second portion (422b) toward the first portion (421b). The longitudinal direction (430b) of the strap display may mean a longitudinal direction from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to a portion far from the main display among the visual representations.
참고로, 도 4b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펴진 상태로 도시한 전개도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부러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의 일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은 메인 디스플레이의 타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 4b, the unfolded view sh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n a bent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뷰잉 영역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viewing area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뷰잉 영역(viewing region)을 결정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can determine a viewing region based o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뷰잉 영역은,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뷰잉 영역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뷰잉 영역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바라보는 것으로 추정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가속도 센서 또는 자이로 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및/또는 뷰잉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The viewing area may refer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line of sight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The viewing area may refer to an area that the user looks at. The viewing area may include an area that the user is estimated to look at based o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the posture and/or the viewing area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or the gyro sensor.
도 5를 참조하면, 제1 상태(5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는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자세에 대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상태(501)에서, 뷰잉 영역을 메인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에 인접한 부분(예: 제1 뷰잉 영역(521))으로 결정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the first state (501) may correspond to the posture in which the user views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the viewing area as a portion adjacent to the main display among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and the display area of the strap display (e.g., the first viewing area (521)) in the first state (501).
사용자가 손목을 회전시킴에 따라,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제2 상태(5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는 사용자가 손목을 제1 상태(501)로부터 약 90도 회전시킨 자세일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상태(502)에서, 뷰잉 영역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예: 제2 뷰잉 영역(522))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the user rotates the wrist,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rn on the wrist may change. In the second state (502),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 posture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wrist by about 90 degrees from the first state (501). In the second state (50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the viewing area as a portion located below the main display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strap display (e.g., the second viewing area (522)).
사용자가 손목을 더 회전시킴에 따라, 손목에 착용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다시 변경될 수 있다. 제3 상태(5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는 사용자가 손목을 제1 상태(501)로부터 약 180도 회전시키거나, 제2 상태(502)로부터 약 90도 회전시킨 자세일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3 상태(503)에서, 뷰잉 영역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예: 제3 뷰잉 영역(523))으로 결정할 수 있다.As the user further rotates the wrist,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rn on the wrist may change again. In the third state (503),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a posture in which the user rotates the wrist about 180 degrees from the first state (501) or about 90 degrees from the second state (502). In the third state (5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the viewing area as a portion located below the main display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strap display (e.g., the third viewing area (523)).
참고로, 도 5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펴진 상태로 도시한 전개도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부러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의 일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은 메인 디스플레이의 타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 5, the unfolded view sh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n the bent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뷰잉 영역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에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 영역은,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에서 뷰잉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결정된 프로그레스 바 영역이 결정된 뷰잉 영역을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뷰잉 영역에서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based on a viewing area.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rmine a progress bar area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strap display. The progress bar area may mean an area for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rmine a viewing area among the display areas of the strap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viewing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progress bar area including the determined view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결정된 프로그레스 바 영역 전체에서 시각적 표현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 대신에, 프로그레스 바 영역 중에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역(예: 뷰잉 영역)에 포함된 부분의 시각적 표현을 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revent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by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portion of a progress bar area that is included in an area viewed by a user (e.g., a viewing area) instead of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simultaneously across the entire determined progress bar area.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뷰잉 영역을 이동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이동된 뷰잉 영역 중에서 프로그레스 영역과 겹치는 영역까지 시각적 표현을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바 영역이 이동된 뷰잉 영역을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을 이동된 뷰잉 영역까지 연장시킴으로써 뷰잉 영역에서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바 영역이 이동된 뷰잉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배치를 고정함으로써 뷰잉 영역에서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move a viewing area corresponding to a user's gaze among display areas of a main display and a strap display based on detecting a change i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extend a visual representation to an area of the moved viewing area that overlaps with a progress area.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viewing area by extending the visual representation to the moved viewing area based on the progress bar area including the moved viewing are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restrict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viewing area by fixing the arrangement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based on the progress bar area not including the moved view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메인 디스플레이에 가까운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바라볼 수 있고, 프로그레스 영역은 뷰잉 영역(예: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에 가까운 영역, 손목 바깥쪽에 대응하는 영역)과 다른 영역(예: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영역, 손목 안쪽에 대응하는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영역에 표시된 시각적 표현을 바라보기 위한 손목을 회전시키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다른 영역이 뷰잉 영역에 포함되는 것에 기초하여 다른 영역에서 시각적 표현을 점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allow a user to view a strap display close to a main display, and a progress area may further include a viewing area (e.g., an area of a display area of the strap display close to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an outside of the wrist) and another area (e.g., an area of a display area of the strap display far from the main display, corresponding to an inside of the wrist). When the user rotates his/her wrist to view a visual representation displayed in the other are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gradually extend the visual representation in the other area based on which of the other areas is included in the viewing area.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determining a progress bar area based on a posture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뷰잉 영역을 결정하고, 결정된 뷰잉 영역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determine a viewing area based o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determine a progress bar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viewing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적 표현은,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와 독립적인 시작점으로부터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에 의존하는 종료점까지의 연장된 바 형태의 프로그레스 바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의 길이는,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고, 예시적으로, 프로그레스 바의 길이가 길수록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가 클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은,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가 변경되더라도 고정된 위치를 가질 수 있고,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은,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가 변경(예: 증가, 감소)되는 경우 시작점으로의 거리가 변경(예: 증가, 감소)됨으로써, 프로그레스 바의 길이가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include a progress bar in the form of an extended bar from a starting point that is independent of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to an ending point that is dependent on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The length of the progress bar may correspond to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and for example, a longer length of the progress bar may correspond to a larger size of the progress level. The starting point of the progress bar may have a fixed position even if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changes, and the ending point of the progress bar may have a distance from the starting point that changes (e.g., increases, decreases) when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changes (e.g., increases, decreases), such that the length of the progress bar may correspond to the progress level.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할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중에서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하는 것은,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 및/또는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을 결정하는 것은, 프로그레스 레벨이 가질 수 있는 가능한 레벨 크기들(또는 레벨 범위(예: 0% 이상 100% 이하))에 대한 복수의 종료점들의 위치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determine a progress bar area in which to display a progress ba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a progress bar area from among the display areas of a strap display. Determining the progress bar area may include determining a start point of the progress bar and/or an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Determining the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may include determining a position range of a plurality of end points for possible level sizes (or level ranges (e.g., 0% or more and 100% or less)) that a progress level may have.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뷰잉 영역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뷰잉 영역에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이 포함되도록 프로그레스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에 기초하여 뷰잉 영역이 이동되는 경우, 프로그레스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rmine the progress area based on the viewing are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rmine the progress area such that the viewing area includes an end point of a progress ba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change the progress area when the viewing area moves based on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1 자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선에 대응하는 제1 뷰잉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결정된 제1 뷰잉 영역 및 프로그레스 레벨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이 제1 뷰잉 영역에 포함되도록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결정된 프로그레스 바 영역에서 프로그레스 바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a first viewing area corresponding to the user's gaze based on a first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a progress bar area such that an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is included in the first viewing area based on the determined first viewing area and the progress level.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progress bar in the determined progress bar area.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되는 것에 기초하여, 제2 자세에 대한 제2 뷰잉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이 제2 뷰잉 영역에 포함되도록 프로그레스 바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변경된 프로그레스 바 영역으로 프로그레스 바를 이동시킬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rmine a second viewing area for the second posture based on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change the progress bar area such that an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is included in the second viewing are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move the progress bar to the changed progress bar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와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의 위치는 독립적(예: 무관)이고, 프로그레스 레벨의 크기에 따라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의 위치가 이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바라보는 영역(예: 뷰잉 영역)에서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프로그레스 레벨을 인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and the position of the start point of the progress bar are independent (e.g., unrelated), and when the position of the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mov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gress level, the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is displayed in an area that the user is looking at (e.g., viewing area),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progress level.
도 6을 참조하면, 제1 상태(6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제1 자세에 기초하여 제1 뷰잉 영역(611)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1 뷰잉 영역(611) 내에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612)이 배치되도록 프로그레스 영역(또는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 및/또는 종료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상태(6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미도시)을 제1 뷰잉 영역(611) 밖으로 결정하고,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612)을 제1 뷰잉 영역(611) 내로 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제1 자세일 때 프로그레스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제1 길이 방향(613)으로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612)을 이동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in the first state (6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a first viewing area (611) based on a first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determine a progress area (or a start point and/or an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such that an end point (612) of the progress bar is placed within the determined first viewing area (611). For example, in the first state (6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a start point (not shown) of the progress bar outside the first viewing area (611), and determine an end point (612) of the progress bar within the first viewing area (611). When the progress level increases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the first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move the end point (612) of the progress bar in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613).
제2 상태(602)에서, 사용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한 손목을 회전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는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In the second state (602), the user can rotate the wrist wear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changed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제3 상태(6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변경된 자세(예: 제2 자세)에 기초하여 제2 뷰잉 영역(621)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2 뷰잉 영역(621) 내에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622)이 배치되도록 프로그레스 영역(또는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 및/또는 종료점)을 변경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3 상태(6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미도시)을 제2 뷰잉 영역(621) 밖으로 변경하고,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622)을 제2 뷰잉 영역(621) 내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에서 예시적으로, 프로그레스 바의 시작점은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의 아래쪽 표시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제2 자세일 때 프로그레스 레벨이 증가하는 경우, 제2 길이 방향(623)으로 프로그레스 바의 종료점(622)을 이동시킬 수 있다.In the third state (6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ct that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has changed from the first posture to the second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rmine a second viewing area (621) based on the changed posture (e.g., the second posture), and change the progress area (or the start point and/or the end point of the progress bar) so that the end point (622) of the progress bar is placed within the determined second viewing area (621). For example, in the third state (6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change the start point (not shown) of the progress bar outside the second viewing area (621), and change the end point (622) of the progress bar into the second viewing area (621). For example, in FIG. 6 , the start point of the progress bar can be determined as a lower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among the strap display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move the end point (622) of the progress bar in the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623) when the progress level increases whe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the second posture.
참고로, 도 6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펴진 상태로 도시한 전개도는 설명을 위한 것이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구부러진 상태에서 메인 디스플레이의 일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 중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은 메인 디스플레이의 타 측에서 도시된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메인 디스플레이로부터 먼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For reference, in FIG. 6, the unfolded view showin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an unfolded stat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in the bent stat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one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strap display shown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display that is farther from the main display.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복수의 동작 모드들 간의 전환에 따라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plays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s it transitions between multiple operation modes.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복수의 동작 모드들로 동작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operate in multiple operating modes.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동작 모드(701)(예: 슬립 모드(sleep mode))로 동작하는 동안, 임계 전력 미만의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동작 모드(701)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주사율(refresh rate)을 임계 주사율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동작 모드(701)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임계 밝기 미만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임계 밝기 미만으로 표시되는 화면은 딤 화면(dim screen)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operate at a power below a threshold power while operating in a first operation mode (701) (e.g., a sleep mode). While operating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et a refresh rate of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to below the threshold refresh rate. While operating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creen of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at a brightness below the threshold brightnes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screen displayed at a brightness below the threshold may also be expressed as a dim screen.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동작 모드(702)(예: 웨이크 모드(wake mode))로 동작하는 동안, 임계 전력 이상의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동작 모드(702)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을 임계 주사율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동작 모드(702)로 동작하는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임계 밝기 이상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operate at a power higher than a threshold power while operating in a second operation mode (702) (e.g., a wake mod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et a refresh rate of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to a refresh rate higher than the threshold refresh rate while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creen of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at a brightness higher than the threshold brightness while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들 간의 전환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다른 자세로부터 기준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검출한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701)로부터 제2 동작 모드(702)로 전환할 수 있다. 기준 자세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것에 대응하는 자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임계 각도 이상 회전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모션을 검출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701)로부터 제2 동작 모드(702)로 전환할 수 있다.Switching between operation mode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at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hanges from another posture to a reference posture, the operation mod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switched from a first operation mode (701) to a second operation mode (702). The reference posture may mean a posture corresponding to a user looking at a main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i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mo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rotates more than a threshold angle, the operation mod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들 간의 전환은, 사용자 입력의 검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동작 모드(701)로 동작할 때,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동작 모드(701)에서 제2 동작 모드(702)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동작 모드(702)로 동작하는 동안 사용자 입력이 임계 시간 길이 이상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2 동작 모드(702)에서 제1 동작 모드(701)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Switching between operation modes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be performed based on detection of a user input.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operating in a first operation mode (7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based on detecting a user input. For exampl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operating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if no user input is detected for a threshold time length or long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to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 각각의 동작 모드를 개별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예: 메인 디스플레이, 스트랩 디스플레이)가 제1 동작 모드(701)로 동작하는 것은 해당 디스플레이가 임계 전력 미만으로 동작하고/하거나 해당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임계 밝기 미만의 밝기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예: 메인 디스플레이, 스트랩 디스플레이)가 제2 동작 모드(702)로 동작하는 것은 해당 디스플레이가 임계 전력 이상으로 동작하고/하거나 해당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임계 밝기 이상의 밝기로 표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예: 메인 디스플레이, 스트랩 디스플레이)가 제1 동작 모드(701)로 동작하는 것은 해당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임계 주사율 미만으로 화면을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예: 메인 디스플레이, 스트랩 디스플레이)가 제2 동작 모드(702)로 동작하는 것은 해당 디스플레이가 해당 디스플레이의 주사율이 임계 주사율 이상으로 화면을 설정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dividually determine an operation mode of each of the main display and the strap display. Operating each display (e.g., the main display, the strap display)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may include operating the display at a power lower than a threshold and/or displaying a screen of the display at a brightness lower than a threshold brightness. Operating each display (e.g., the main display, the strap display)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may include operating the display at a power higher than a threshold and/or displaying a screen of the display at a brightness higher than a threshold brightness. Operating each display (e.g., the main display, the strap display)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may include setting a screen with a refresh rate of the display lower than a threshold refresh rate. Operating each display (e.g., the main display, the strap display)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may include setting a screen with a refresh rate of the display higher than a threshold refresh rate.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 각각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independently determine the operating mode of the main display and the operating mode of the strap display.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을 검출한 경우에도,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들이 제1 동작 모드(701)일 때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가 다른 자세로부터 기준 자세로 변경되는 것을 검출한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701)로부터 제2 동작 모드(702)로 전환하고,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701)로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display based on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Even i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restrict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trap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modes of the main display and the strap display are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that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hanges from another posture to the reference post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the main display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and maintain the operation mode of the strap display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사용자 입력이 검출된 디스플레이(예: 메인 디스플레이,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한 디스플레이(예: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한 경우에도, 다른 디스플레이(예: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한느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701)인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전환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동작 모드를 제1 동작 모드(701)에서 제2 동작 모드(702)로 전환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user inpu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witch the operation mode of a display (e.g., a main display, a strap display) in which the user input is detected. Even when a user input is detected in one display (e.g.,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restrict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another display (e.g., a strap display) if the user input is not detected in the other display. For example,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strap display is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restrict switching the operation mode of the strap display if the main display detects a user input.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user input in the strap display, the operation mode of the strap display may be switched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based on detecting a change in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임계 전력 미만의 전력으로 동작할 때,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모션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ct a change in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perates at power below a threshold pow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through the strap display based on detecting the motion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전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의 화면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임계 전력 미만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임계 밝기 미만의 밝기로 상기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임계 전력 이상의 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임계 전력 이상의 전력으로 동작하는 동안, 시각적 표현을 임계 밝기 이상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adjust the brightness of a screen of a display based on the operating power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screen of the strap display with a brightness below a threshold brightness while operating at a power below a threshold pow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operate at a power above a threshold power based on detecting a change in a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with a brightness above a threshold brightness while operating at a power above a threshold power.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동작 모드(701)(예: 슬립 모드)인 동안,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화면을 표시하지 않거나, 제1 동작 모드(701)에 대하여 설정된 화면을 임계 밝기 미만의 밝기로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while in a first operation mode (701) (e.g., sleep mode), not display a screen on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or display a screen set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at a brightness lower than a threshold brightness.
예를 들어, 제1 동작 모드(701)에 대하여 설정된 화면은, 제2 동작 모드(702)에서 제1 동작 모드(701)로 전환되는 시점에 표시된 화면일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제2 동작 모드(702)에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때, 제2 동작 모드(702)에서 제1 동작 모드(701)로 전환된 경우, 제2 동작 모드(702)에서 표시된 상기 시각적 표현의 밝기가 임계 밝기 미만으로 조정되어 제1 동작 모드(701)에서 표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동작 모드(701)에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조정된 밝기로 표시하는 경우, 프로그레스 레벨의 변경(예: 증가, 감소)과 독립적으로 시각적 표현의 길이를 유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동작 모드(701)에서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레벨이 변경되더라도 시각적 표현(예: 프로그레스 바)의 업데이트를 제한(예: 지연, 보류)할 수 있다.For example, a screen set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may be a screen displayed at the time of switching from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to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if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is switched to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the brightnes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display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may be adjusted below a threshold brightness and display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with the adjusted brightness,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may be maintained independently of a change (e.g., increase, decrease) in the progress level. In other words, in the first operating mode (7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limit (e.g., delay, hold) the update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e.g., progress bar) even if the progress level changes.
이후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동작 모드가 제1 동작 모드(701)에서 제2 동작 모드(702)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제1 동작 모드(701)에서 표시되었던 시각적 표현의 밝기를 임계 밝기 이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변경된 프로그레스 레벨에 기초하여 시각적 표현의 길이를 조정(예: 증가, 감소)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변경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길이까지 점진적으로 시각적 표현을 변경(예: 연장, 축소)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operation mod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switches from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back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the brightnes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display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can be adjusted to a threshold brightness or high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adjust (e.g., increase, decrease) the length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based on the changed progress level.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gradually change (e.g., extend, reduce) the visual representation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progress level.
다만, 제1 동작 모드(701)에 대하여 설정된 화면이 제2 동작 모드(702)에서 표시되었던 화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동작 모드(702)에서 표시된 화면과 독립적으로 제1 동작 모드(701)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동작 모드(701)에 대하여 특정 패턴(예: 줄무늬, 체크)의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However, the screen set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is not limited to the screen display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and may be set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independently from the screen display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702). For example, a screen with a specific pattern (e.g., stripes, checks) may be set for the first operation mode (701).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다양한 활동 속성들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plays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progress levels for various activity attribute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활동 속성들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progress levels for activity attributes.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복수의 활동 속성들에 대한 복수의 프로그레스 레벨들을 획득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복수의 활동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활동 속성을 선택하고, 선택된 활동 속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의 선택(예: 추가) 및/또는 선택 해제(예: 삭제)는 도 9에서 보다 더 상세히 후술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obtain a plurality of progress levels for a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select at least one activity attribute among the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and display a strap execution screen for providing the selected activity attribute on the strap display. Selection (e.g., adding) and/or deselection (e.g., deleting) of an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the strap display can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9.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을 설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 중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도 8에서 예시적으로, 스트랩 디스플레이는 4개의 활동 속성들(예: 사용자의 걸음 수, 사용자의 물 섭취량, 음악의 재생 상태, 및 타이머의 진행 상태)에 대한 4 개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을 설정하고, 스트랩 실행 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활동 속성들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들은 서로 다를 수 있고, 프로그레스 레벨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들의 시각적 속성(visual property)(예: 색상, 패턴)는 서로 다를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set a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and switch a screen to be displayed on a strap display among the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based on a user input. As an example in FIG. 8, the strap display can set four strap execution screens for four activity attributes (e.g.,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the amount of water intake of the user, the playback status of music, and the progress status of a timer), and perform switching between the strap execution screens. As illustrated in FIG. 8, the progress levels for the four activity attributes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visual properties (e.g., colors, pattern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s corresponding to the progress levels can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태(8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걸음 수를 제공하는 제1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1 스트랩 실행 화면은, 사용자의 걸음 수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속성이 사용자의 걸음 수인 것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예: 신발 형태의 그래픽 객체) 및 활동 속성의 속성 값(예: 2740 걸음)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걸음 수를 제공하는 제1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스트랩 디스플레이(또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state (8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first strap running screen providing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on the strap display. The first strap running screen may include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of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graphic object indicating that an activity attribute is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e.g., a graphic object in the shape of a shoe) and a graphic object indicating an attribute value of the activity attribute (e.g., 2740 steps).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first strap running screen providing the number of step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swipe inpu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rap display (or main display).
상태(8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물 섭취량을 제공하는 제2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2 스트랩 실행 화면은, 사용자의 물 섭취량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속성이 사용자의 물 섭취량인 것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예: 물이 담긴 컵 형태의 그래픽 객체) 및 활동 속성의 속성 값(예: 6잔)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물 섭취량을 제공하는 제2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스트랩 디스플레이(또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state (80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providing the user's water intake based on the swipe input on the strap display. The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of the user's water intake.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graphical object indicating that the activity attribute is the user's water intake (e.g., a graphical object in the shape of a cup containing water) together with a graphical object indicating an attribute value of the activity attribute (e.g., 6 glasses).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providing the user's water intak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swipe inpu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rap display (or main display).
상태(8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음악의 재생 상태를 제공하는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은, 음악의 재생 상태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예: 프로그레스 바)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속성이 음악의 재생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예: 음표 형태(musical note shape)의 그래픽 객체) 및 활동 속성의 속성 값(예: 6분 30초)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걸음 수를 제공하는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스트랩 디스플레이(또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state (8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providing a playback status of music on the strap display. The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visual representation (e.g., a progress bar)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of the playback status of the music.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graphic object indicating that an activity attribute is a playback status of music (e.g., a graphic object in the shape of a musical note) and a graphic object indicating an attribute value of the activity attribute (e.g., 6 minutes and 30 seconds).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providing a step cou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swipe inpu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trap display (or the main display).
상태(804)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타이머의 진행 상태를 제공하는 제4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제4 스트랩 실행 화면은, 타이머의 진행 상태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속성이 타이머의 진행 상태인 것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예: 시계 형태의 그래픽 객체) 및 활동 속성의 속성 값(예: 7분 15초)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In state (804),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fourth strap execution screen on the strap display that provides a progress status of the timer based on the swipe input. The fourth strap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of the progress status of the timer.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graphical object indicating that an activity attribute is a progress status of the timer (e.g., a graphical object in the shape of a clock) together with a graphical object indicating an attribute value of the activity attribute (e.g., 7 minutes and 15 seconds).
도 8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통해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활동 속성을 전환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로부터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활동 속성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립(예: 페어링)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을 전환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게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활동 속성을 전환할 수 있다.In FIG. 8, switching an activity attribute to be displayed on a strap display throug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mainly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on an activity attribute to be displayed on the strap display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e.g., a smartphon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stablish communication (e.g., pair)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may obtain a user input for switching an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the strap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put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witch the activity attribute provided on the strap display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put obtained from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도 8에서, 하나의 스트랩 실행 화면은 하나의 활동 속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스트랩 실행 화면을 통해 복수의 활동 속성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활동 속성들을 제공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은 도 10에서 보다 더 상세히 후술한다.In Fig. 8, one strap execution screen is mainly described as providing one activity attribu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ultiple activity attributes may be provided through one strap execution screen. A strap execution screen providing multiple activity attributes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10.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을 선택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for selecting an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a strap display by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복수의 활동 속성들 중에서,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을 선택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select an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a strap display from among a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도 9를 참조하면, 상태(9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서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될 활동 속성의 선택 기능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그래픽 객체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in state (9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graphical object corresponding to a selection function of an activity attribute to be displayed on the strap display in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user input (e.g., a touch input) for selecting the graphical object.
상태(9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활동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위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활동 속성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위한 화면은,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 가능한 복수의 활동 속성들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걸음 수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state (90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creen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based on a user input. For example, the screen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aphical objects individually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that can be provided by the strap display. In FIG. 9,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user input (e.g., a touch input) for a graphic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teps of the user.
상태(9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걸음 수에 대응하는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사용자의 걸음 수를 제공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활동 속성(예: 사용자의 걸음 수)를 제공하는 것은,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활동 속성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In state (9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provide the user's step count on the strap display based on user input for a graphical object corresponding to the user's step cou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providing an activity attribute (e.g., the user's step count) on the strap display may mean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for the activity attribute on the strap display.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속성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선택된 활동 속성을 제공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추가할 수 있다.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 중 하나를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add a strap execution screen that provides the selected activity attribute based on detect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the activity attribute. As described above in FIG. 9,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one of the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on the strap display and perform switching between the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based on the user input.
상태(904)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된 시각적 표현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예: 터치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시각적 표현에 대하여 터치가 임계 시간 길이 이상 유지되는 사용자 입력(예: 롱 프레스 입력(long press input)은, 시각적 표현을 삭제 가능한 상태로 변경하는 입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시각적 표현에 대한 롱 프레스 입력을 검출하는 경우, 시각적 표현의 삭제에 대응하는 영역을 지시하는 그래픽 표현(예: 쓰레기통 형태의 그래픽 표현)을 표시할 수 있다. 삭제에 대응하는 영역은 쓰레기통 형태의 그래픽 표현으로 지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삭제에 대응하는 영역이 다른 영역보다 어둡게 표시됨(예: 음영 표시됨(shaded))으로써 지시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시각적 표현을 삭제에 대응하는 영역까지 드래그하는 드래그 입력에 기초하여,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시각적 표현을 삭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속성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삭제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활동 속성을 제공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삭제할 수 있다.In state (904),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ct a user input (e.g., a touch input)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displayed on the strap display. A user input (e.g., a long press input) in which a touch is maintained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for a threshold length of time or longer can be set as an input that changes the visual representation to a deleteable state.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etects a long press input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a graphical representation (e.g., a graphical representation in the form of a trash can) indicating an area corresponding to deletion of the visual representation. The area corresponding to deletion is not limited to being indicated by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in the form of a trash can, and can be indicated by, for example, the area corresponding to deletion being displayed darker than other areas (e.g., being shade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lete the visual representation from the strap display based on a drag input that drags the visual representation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deletio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lete a strap execution screen that provides an activity attribute based on a user input that deletes a visual representation for an activity attribute.
도 9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활동 속성을 변경(예: 추가, 삭제)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로부터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립(예: 페어링)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의 변경(예: 추가, 삭제)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활동 속성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In FIG. 9, changing (e.g., adding, deleting) an activity attribute to be displayed on a strap display through a main display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mainly describ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a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strap display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e.g., a smartphon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stablish communication (e.g., pairing)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hanging (e.g., adding, deleting) an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the strap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 may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activity attribute to be provided on the strap display and transmit the information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bination of a strap execution screen displayed through a strap display by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메인 실행 화면에 매핑된 활동 속성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provide activity attributes mapped to a main execution screen of a main display on a strap display.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 가능한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을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예: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화면을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 간에 전환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set multiple main execution screens that can be displayed on a main display, and can switch between the multiple main execution screens to b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based on a user input (e.g., a user's swipe input).
도 8에서 전술한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 간의 전환과 유사하게,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설정된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 간의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은,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각 메인 실행 화면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포함하고, 해당 메인 실행 화면에 대응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관련된 활동 속성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Similar to the tran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described above in FIG. 8,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perform transi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main execution screens set for the main display based on a user input. The plurality of main execution screens may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For example, each main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execution screen of an application, and the strap executio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main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visual representation of an activity attribute related to the execution screen of the application.
도 10을 참조하면, 상태(10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제1 메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메인 실행 화면을 표시하는 동안,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1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메인 실행 화면은 제1 스트랩 실행 화면에 매핑될 수 있다. 제1 스트랩 실행 화면은, 제1 메인 실행 화면에 매핑된 제1 활동 속성에 대한 제1 프로그레스 레벨의 제1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1 메인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state (10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first main execu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While displaying the first main execution scre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first strap execution screen on the strap display. The first main execution screen may be mapped to the first strap execution screen. The first strap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first visual representation of a first progress level for a first activity attribute mapped to the first main execution screen. When displaying the first main execu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user's swipe input to the main display.
상태(10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제1 메인 실행 화면 대신에 제2 메인 실행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1 스트랩 실행 화면 대신에 제2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2 메인 실행 화면은 제2 스트랩 실행 화면에 매핑될 수 있다. 제2 스트랩 실행 화면은 제2 메인 실행 화면에 매핑된 제2 활동 속성에 대한 제2 프로그레스 레벨의 제2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2 메인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state (100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instead of the first main execution screen based on a swipe input of the us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on the strap display instead of the first strap execution screen based on a swipe input of the user. The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may be mapped to the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The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second visual representation of a second progress level for a second activity attribute mapped to the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it may detect a swipe input of the user to the main display.
상태(10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제2 메인 실행 화면 대신에 제3 메인 실행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에 기초하여,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2 스트랩 실행 화면 대신에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3 메인 실행 화면은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에 매핑될 수 있다.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은 제3 메인 실행 화면에 매핑된 제3 활동 속성에 대한 제3 프로그레스 레벨의 제3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 제3 메인 실행 화면을 표시할 때, 메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사용자의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In state (10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third main execu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instead of the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based on a swipe input of the user.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on the strap display instead of the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based on a swipe input of the user. The third main execution screen may be mapped to the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The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may include a third visual representation of a third progress level for a third activity attribute mapped to the third main execution screen. Whe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third main execu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it may detect a swipe input of the user to the main display.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상태(1003)에서 스와이프 입력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태(1002)로 복귀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return to state (1002) based on detecting a swipe input in state (1003).
상태(10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줌 아웃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줌 아웃 입력은, 사용자의 두 손가락들이 디스플레이에서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두 손가락들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줌 아웃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예: 제1 메인 실행 화면, 제2 메인 실행 화면, 및 제3 메인 실행 화면) 및/또는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예: 제1 스트랩 실행 화면, 제2 스트랩 실행 화면, 및 제3 스트랩 실행 화면)을 결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 대한 줌 아웃 입력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 및/또는 복수의 스트랩 실행 화면들을 하나의 스트랩 실행 화면으로 결합할 수 있다.In state (100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etect a zoom out input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The zoom out input can include an input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two fingers becomes closer while the two fingers of the user remain in a touching state on the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combine a plurality of main execution screens (e.g., a first main execution screen, a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and a third main execution screen) and/or a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e.g., a first strap execution screen, a second strap execution screen, and a third strap execution screen) based on the zoom out input. In other word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combine a plurality of main execution screens and/or a plurality of strap execution screens provided on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into a single strap execution screen based on the zoom out input for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상태(1004)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줌 아웃 입력에 기초하여 결합된 메인 실행 화면 및 결합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결합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통해, 복수의 활동 속성들을 하나의 스트랩 실행 화면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복수의 활동 속성들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각적 표현들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In state (1004),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generate a combined main run screen and a combined strap run screen based on the zoom out inpu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provide multiple activity attributes through a single strap run screen via the combined strap run screen.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display multiple visual representations on the strap display indicating progress levels for the multiple activity attributes.
도 10에서 예시적으로, 결합된 메인 실행 화면은, 제1 메인 실행 화면, 제2 메인 실행 화면, 및 제3 메인 실행 화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결합된 스트랩 실행 화면은, 제1 시각적 표현, 제2 시각적 표현, 및 제3 시각적 표현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결합된 스트랩 실행 화면은, 제1 활동 속성에 대한 제1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제1 시각적 표현, 제2 활동 속성에 대한 제2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제2 시각적 표현, 및 제3 활동 속성에 대한 제3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제3 시각적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in FIG. 10, the combined main execution scree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main execution screen, the second main execution screen, and the third main execution screen. The combined strap execution screen can be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visual representation, the second visual representation, and the third visual representation. The combined strap execution screen can include a first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first progress level for a first activity attribute, a second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second progress level for a second activity attribute, and a third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third progress level for a third activity attribute.
도 10에서 명시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태(1004)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줌 인 입력을 검출할 수 있다. 줌 인 입력은, 사용자의 두 손가락들이 디스플레이에서 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두 손가락들 간의 거리가 멀어지는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줌 인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활동 속성들에 대한 복수의 프로그레스 레벨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시각적 표현들을 포함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분할(split)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줌 인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이 결합된 메인 실행 화면을, 복수의 메인 실행 화면들로 분할할 수 있다.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10, at state (1004),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ct a zoom-in input on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The zoom-in input may include an input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two fingers increases while the two fingers remain in contact with the display. Based on the zoom-in inpu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plit the strap launch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visual representations representing a plurality of progress levels for a plurality of activity attributes. Based on the zoom-in inpu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plit the main launch screen,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plurality of main launch screens, into a plurality of main launch screens.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통해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화면을 전환 및/또는 결합하는 것을 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로부터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화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수립(예: 페어링)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할 화면을 전환 및/또는 결합하는 것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게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및/또는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제공하는 활동 속성을 전환 및/또는 결합할 수 있다.The invention primarily describes, but is not limited to, switching and/or combining screens to be displayed on a main display and/or a strap display via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receive information about screens to be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e.g., a smartphon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stablish communication (e.g., pair) wit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may obtain user input for switching and/or combining screens to be provided on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put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switch and/or combine activity attributes provided on the main display and/or the strap display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user input obtained from the 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in which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provides activity attributes of another user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사용자의 활동 속성에 대한 시각적 표현(1141)과 함께,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에 대한 다른 시각적 표현(1142)을 더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further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1142) of an activity attribute of another user, together with a visual representation (1141) of an activity attribute of a user.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 속성은, 대상 기간 동안의 걸음 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활동 속성은 대상 기간 동안의 물 섭취량, 대상 기간 동안의 칼로리 소모량, 또는 대상 기간 동안의 활동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n activity attribut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the number of steps taken during the target period. However, the activity attribute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water intake during the target period, calories consumed during the target period, or activity time during the target period.
사용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는, 제1 전자 장치(1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는, 제1 전자 장치(1111)와 통신을 수립(예: 페어링)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a user may include a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e.g., a smartphone)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may establish communication (e.g., pair) with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111)는 서버(1120)와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간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버(1120)로부터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에게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서버(1120)는 제1 전자 장치(1111)에게 신호를 전송하고, 제1 전자 장치(1111)는 서버(112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에게 전송하며,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로부터 서버(1120)에게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는 제1 전자 장치(1111)에게 신호를 전송하고, 제1 전자 장치(1111)는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버(1120)에게 전송하고, 서버(1120)는 제1 전자 장치(11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can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1120) and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For example,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1120) to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the server (1120) can transmit the signal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can transmit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server (1120) to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nd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can receive the signal. For example, when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a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to a server (1120),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can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to the server (1120), and the server (1120) can receive a signal from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다른 사용자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는 제2 전자 장치(113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및 제1 전자 장치(1111)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 및 제2 전자 장치(1131)는 통신을 수립하고, 서버(1120) 및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 간의 통신을 제2 전자 장치(1131)가 지원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f the other user may include a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The other electronic device (e.g., a smartphone) of the other user may include a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A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nd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the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may establish communication, and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may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server (1120) and the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도 1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 및 서버(1120) 간의 통신은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111), 제2 전자 장치(1131))에 의하여 지원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1111), 제2 전자 장치(1131))의 중계 없이 직접 서버(1120)에게 신호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및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 중 하나는 서버(112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하고,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및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 중 다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서버(112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In FIG. 11, communication betw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and a server (1120) is illustrated as being supported by another electronic device (e.g., a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a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may directly transmit or receive a signal to a server (1120) without the intermediary of another electronic device (e.g., a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a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For example, one of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nd the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can direct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server (1120), and the other of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and the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server (1120) through the other electronic device.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는, 서버(1120)로부터,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에 대한 다른 프로그레스 레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는 서버(1120)에게(또는 제2 전자 장치(1131)를 통해 서버(1120)에게)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에 대한 다른 프로그레스 레벨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1120)는,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에게(또는 제1 전자 장치(1111)를 통해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에게)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에 대한 다른 프로그레스 레벨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different progress levels of an activity attribute of another user from a server (1120). For example, the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different progress levels of an activity attribute of another user to the server (1120) (or to the server (1120) via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The server (112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different progress levels of an activity attribute of another user to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or to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via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는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1141)과 함께 다른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다른 시각적 표현(1142)을 표시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may display, via a strap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1141)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along with another visual representation (1142) corresponding to a different progress level.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복수의 시각적 표현(예: 시각적 표현(1141), 다른 시각적 표현(1142))들을 표시하는 경우, 각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된 시각적 효과를 해당 사용자에 대한 시각적 표현에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사용자에 대하여 색상(color), 아이콘(icon), 또는 캐릭터 중 적어도 하나가 시각적 효과로서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multiple visual representations (e.g., visual representation (1141), other visual representations (1142)) for multiple users,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apply a visual effect set for each user to the visual representation for the corresponding user and display the visual effect.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color, an icon, or a character may be set as a visual effect for each user.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사용자에 대한 시각적 효과는 해당 사용자의 전자 장치에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예: 제2 웨어러블 전자 장치(1130), 제2 전자 장치(1131))를 통해 다른 사용자에 대한 시각적 효과가 설정되고,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는 서버(1120)를 거쳐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설정된 시각적 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sual effect for each user can be set on the electronic device of the corresponding user. For example, the visual effect for another user is set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of another user (e.g., the second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30), the second electronic device (1131)), and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can obtain the visual effect set for the other user through the server (11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에서 표시될 시각적 표현(1141)들의 시각적 효과들은 사용자의 전자 장치(예: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110), 제1 전자 장치(1111))에서 모두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visual effects of the visual representations (1141) to be displayed on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can all be set on the user's electronic device (e.g.,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110),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와 함께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을 비교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른 사용자의 활동 속성을 통해 자신의 활동 속성을 향상시키기 것에 대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rovide an interface for comparing activity attributes of a user with those of other users, thereby motivating the user to improve his or her activity attributes through those of other users.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메인 디스플레이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providing visual feedback through a main display and a strap display wh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can provide visual feedback based on satisfy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결정된 조건은, 프로그레스 레벨이 임계 레벨에 도달한 것, 또는 다른 사용자의 다른 프로그레스 레벨보다 높은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미리 결정된 조건이 프로그레스 레벨과 관련된 것으로 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결정된 조건은 프로그레스 레벨과 독립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결정된 조건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와 통신으로 연결된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 및/또는 다른 사용자의 전자 장치로부터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progress level reaching a threshold level, or being higher than another progress level of another use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is primarily described as being related to the progress leve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be independent of the progress level. By way of example, the predetermined condition may include receiving a signal instructing to provide visual feedback from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nd/or an electronic device of the other user.
예를 들어, 상태(1201)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프로그레스 레벨이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하는 것에 기초하여, 햅틱 피드백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햅틱 피드백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메인 디스플레이를 바라보는 자세를 취할 수 있고,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이 발생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ate (120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output haptic feedback based on the progress level meeting a predetermined condition. The user may assume a posture looking at the main display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based on the haptic feedback, and a posture chang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occur.
상태(1202)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 변경을 검출하는 것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자세에 기초하여 결정된 뷰잉 영역에서 조건의 충족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서,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을 뷰잉 영역으로 결정하고, 메인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에서 조건의 충족을 지시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In state (1202), based on detecting a change i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a graphic object indicating fulfillment of a condition may be displayed in a viewing area determined based on the pos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 FIG. 12, 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etermine a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as a viewing area, and display a graphic object indicating fulfillment of a condition in the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상태(1203)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뷰잉 영역에 인접한 영역으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영역을 결정된 뷰잉 영역에서부터 점진적으로 확장하여, 메인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및 스트랩 디스플레이의 표시 영역 전체까지 확장할 수 있다.In state (1203),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expand the area displaying the graphical object to an area adjacent to the viewing are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can gradually expand the area displaying the graphical object from the determined viewing area to the entire display area of the main display and the display area of the strap display.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영역을, 뷰잉 영역에서부터 스트랩 하우징의 제1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고, 확장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영역이 뷰잉 영역에 인접한 부분까지 도달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예: 한 방향으로 확장).By way of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xtend an area displaying a graphical object from the viewing area in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housing, and may extend the area displaying the extended graphical object to reach a portion adjacent to the viewing area (e.g., extending in one direction).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영역을, 뷰잉 영역에서부터 스트랩 하우징의 제1 길이 방향 및 제1 길이 방향의 반대 방향인 제2 길이 방향으로 확장하고, 확장된 그래픽 객체를 표시하는 영역이 서로 도달하도록 확장할 수 있다(예: 양 방향으로 확장)For examp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extend an area displaying a graphical object from the viewing area in a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rap housing and a second longitudinal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tend the areas displaying the extended graphical object so that they reach each other (e.g., extend in both directions).
도 13a, 도 13b, 및 도 13c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메인 디스플레이를 통해 알림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알림 화면과 관련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동작의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S. 13A, 13B, and 13C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n operation of displaying a strap execution screen related to a notification screen on a strap display wh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a notification screen through a main display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알림 화면(notification screen)을 표시하는 경우, 알림 화면과 관련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e.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when displaying a notification screen on a main display, display a strap execution screen related to the notification screen on the strap display.
알림 화면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알림 화면은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신체 활동이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는 활동 제안 알림 화면,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시각인 것을 알리는 알람 화면(alarm screen), 및/또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또는 사용자의 다른 전자 장치를 통해 전화(phone call)에 대한 알림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A notification screen may refer to a screen that provides notifications to a user wearing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The notification screen may include, for example, an activity suggestion notification screen based on the user's physical activity not being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an alarm screen that notifies that it is a time designated by the user, and/or a notification screen for a phone call vi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or another electronic device of the user.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된 알림 화면에 매핑된 활동 속성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응하는 시각적 표현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도 13a의 상태(1300a)에서 예시적으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활동 제안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신체 활동(예: 일어서기, 걷기)를 미리 결정된 시간 동안 검출되지 않은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신체 활동을 제안하는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활동 제안 알림 화면은, 사용자의 걸음 수에 매핑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활동 제안 알림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동안, 사용자의 걸음 수에 대한 프로그레스 레벨을 나타내는 프로그레스 바를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visual representation corresponding to a progress level for an activity attribute mapped to a notific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display on the strap display. For example, in state (1300a) of FIG. 13A,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n activity suggestion notifica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notification screen suggesting a physical activity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s physical activity (e.g., standing up, walking) not being detect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For example, the activity suggestion notification screen may be mapped to the user's step count. Whil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s the activity suggestion notification screen on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progress bar indicating a progress level for the user's step count on the strap display.
다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가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활동 속성의 프로그레스 레벨에 대한 시각적 표현을 표시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is not limited to display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the progress level of an activity attribute on the strap display.
예를 들어, 도 13b의 상태(1300b)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알람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알람 화면에 매핑된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기상 알람에 날씨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매핑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알람의 알람 화면을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동안, 해당 알람에 대하여 매핑된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ate (1300b) of FIG. 13b,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n alarm screen on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trap execution screen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mapped to the alarm screen on the strap display. A user may map a strap execution screen including weather information to a weather alarm. While displaying the alarm screen of the alarm on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trap execution screen mapped to the corresponding alarm through the strap display.
예를 들어, 도 13c의 상태(1300c)에서,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에서 전화에 대한 알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 장치는, 전화의 발신자와 사용자 간의 통화 및/또는 메시지에 대한 이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트랩 실행 화면을 스트랩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in state (1300c) of FIG. 13c,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notification screen for a call on the main display.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may display a strap execution scree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of calls and/or messages between the caller and the user on the strap display.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의 예시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예: 도 1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101), 도 2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200), 도 4a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a), 도 4b의 웨어러블 전자 장치(400b))는, 통신 모듈(1410)(예: 도 1의 통신 모듈(190)), 입력 모듈(1420)(예: 도 1의 입력 모듈(150)), 메모리(1430)(예: 도 1의 메모리(130)), 센싱 모듈(1440)(예: 도 1의 센서 모듈(176)), 프로세서(1450)(예: 도 1의 프로세서(120)), 및 디스플레이(1460)(예: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160))을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g.,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01) of FIG. 1,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200) of FIG. 2,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a) of FIG. 4a, and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400b) of FIG. 4b)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1410) (e.g., the communication module (190) of FIG. 1), an input module (1420) (e.g., the input module (150) of FIG. 1), a memory (1430) (e.g., the memory (130) of FIG. 1), a sensing module (1440) (e.g., the sensor module (176) of FIG. 1), a processor (1450) (e.g., the processor (120) of FIG. 1), and a display (1460) (e.g., the display module (160) of FIG. 1).
통신 모듈(141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예: 도 11의 제1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1110))와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1의 제1 전자 장치(1111), 도 11의 서버(1120)) 간의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1410) can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wired communication channel or a wireless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e.g., the first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1110) of FIG. 11) and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e.g., the first electronic device (1111) of FIG. 11, the server (1120) of FIG. 11), and performing communication through the established communication channel.
입력 모듈(1420)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검출 및/또는 획득할 수 있다. 입력 모듈(1420)은, 프로세서(1450)에게 검출되고/되거나 획득된 사용자의 입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1420) can detect and/or obtain a user's input to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The input module (142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detected and/or obtained user's input to the processor (1450).
메모리(143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1450), 센싱 모듈(144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이와 관련된 인스트럭션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 및/또는 디스플레이(146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는 시각적 콘텐츠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430) can store various data used by at least one component (e.g., processor (1450), sensing module (1440))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The data can include, for example, input data for software, instructions related thereto, or output data, and/or visual contents that can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1460).
센싱 모듈(1440)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싱 모듈(1440)는, 프로세서(1450)에게 검출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전달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1440) can detect the operating state (e.g., power or temperature) of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or the external environmental state (e.g., user state) and generate an electric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The sensing module (1440) can transmit the electric signal or data value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state to the processor (1450).
프로세서(1450)는, 메인 프로세서 또는 보조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450)는, 컨텐츠 분석 모듈(1450)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45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분석 모듈(1450)은, 디스플레이(1460)을 통해 표시할 컨텐츠(예: 프로그레스 바)에 관한 정보(예: 컨텐츠를 지시하는 정보,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표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관리 모듈(1452)은, 웨어러블 전자 장치(1401)에 설치된 프로그램(예: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14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in processor and a secondary processor. The processor (145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ntent analysis module (1450) and an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1452). The content analysis module (1450) may determine information about content (e.g., a progress bar)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460) (e.g., information indicating the content, the size of the content, the display location of the content). The application management module (1452) may control a program (e.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wearable electronic device (1401).
디스플레이(1460)는, 메인 영역(1461), 및 스트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 영역은, 제1 스트랩 영역(1462), 및 제2 스트랩 영역(1463)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460)에 포함된 영역들(예; 메인 영역(1461), 제1 스트랩 영역(1462), 제2 스트랩 영역(1463))은, 물리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되면서, 소프트웨어적으로(예: 인스트럭션들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고, 또는 영역들 중 적어도 두 영역들은 물리적으로 별개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메인 영역(1461)은, 메인 디스플레이로도 표현될 수 있고, 스트랩 영역은, 스트랩 디스플레이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제1 스트랩 영역(1462)은 제1 부분 표시 영역으로도 표현될 수 있고, 제2 스트랩 영역(1463)은 제2 부분 표시 영역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The display (1460) may include a main region (1461) and a strap region. The strap region may include a first strap region (1462) and a second strap region (1463). The regions included in the display (1460) (e.g., the main region (1461), the first strap region (1462), and the second strap region (1463)) may be implemented as a physically integrated single display module, while being separated by software (e.g., based on instructions), or at least two of the regions may be implemented as physically separate display modules.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main region (1461) may also be represented as a main display, the strap region may also be represented as a strap display, the first strap region (1462) may also be represented as a first partial display region, and the second strap region (1463) may also be represented as a second partial display region.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document may be devices of various forms. The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g., smartphones), computer devices, portable multimedia devices, portable medical devices, cameras, wearable devices, or home appliance devices. Th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devices.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components, software components, and/or a combination of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components. For example, the devices, method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using a general-purpose computer or a special-purpose computer, such as,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a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instructions and responding to them.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S. In addition, the processing device may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ease of understanding, th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alone,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ing elements and/or multiple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For example, a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multiple processors, or a processor and a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such as parallel processors, are also possible.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또는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software may includ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se, which may configure a processing device to perform a desired operation or may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command the processing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ied in any type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or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for interpretation by the processing device or for providing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The software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command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and the program command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those known to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tical disks,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commands such as ROMs, RAMs, flash memories, etc. Examples of program command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etc.
위에서 설명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또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86820 | 2023-12-20 | ||
| KR20230186820 | 2023-12-20 | ||
| KR1020240011660AKR20250096492A (en) | 2023-12-20 | 2024-01-25 |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2024-0011660 | 2024-01-25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5135494A1true WO2025135494A1 (en) | 2025-06-2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24/017466PendingWO2025135494A1 (en) | 2023-12-20 | 2024-11-07 |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Country | Link | 
|---|---|
| WO (1) | WO2025135494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54389A (en)* | 2013-11-12 | 2015-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 
| KR20170019456A (en)* | 2014-07-18 | 2017-02-21 | 애플 인크. | Raise gesture detection in a device | 
| US20170084133A1 (en)* | 2015-09-21 | 2017-03-23 | Apple Inc. | Indicator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 
| KR20200100936A (en)*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Wear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visual objects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workout level | 
| KR20200122896A (en)* | 2019-04-19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50054389A (en)* | 2013-11-12 | 2015-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pplication information | 
| KR20170019456A (en)* | 2014-07-18 | 2017-02-21 | 애플 인크. | Raise gesture detection in a device | 
| US20170084133A1 (en)* | 2015-09-21 | 2017-03-23 | Apple Inc. | Indicators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s | 
| KR20200100936A (en)* | 2019-02-19 | 2020-08-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Wearabl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visual objects adaptively changed according to workout level | 
| KR20200122896A (en)* | 2019-04-19 | 2020-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lexible display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O2022030996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WO202106646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WO202213154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 WO202209271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 |
| WO202202544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creen | |
| WO2022154379A1 (en) | Electronic device and brightness adjustment method | |
| WO2022211307A1 (en) |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display of always-on display conten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 WO2022108379A1 (en)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display and content provision method | |
| WO2022154635A1 (en) |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foldable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WO2022030993A1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 |
| WO2023054948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variable display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 WO2022092652A1 (en) | Electronic device providing user interface | |
| WO2022119055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folda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
| WO2023149782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unction | |
| WO2025135494A1 (en) | Wear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WO2023008854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optical sensor embedded in display | |
| WO2022080825A1 (en) |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of foldable device, and device therefor | |
| WO2025143488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one or more processing circuits for recognition of intended touch input, and method therefor | |
| WO2025100903A1 (en) | Electronic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ing same | |
| WO2024181683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 |
| WO2025178476A1 (en) | Head-mounted device, operating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 |
| WO2025143508A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color temperature of screen,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 |
| WO2025037781A1 (en) |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substan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same | |
| WO2024085642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 WO2025127661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24907779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