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개시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video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keyword-based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A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images.
특히, 영상표시장치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 기반의 방송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display a broadcast image based on a received broadcast signal.
한편,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위한 기능이 영상표시장치에 탑재되고 있으나,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시부터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가 수행된다.Meanwhile, although the function for reserved viewing or reserved recording of broadcast programs is installed in the video display device, reserved viewing or reserved recording is performed from the start of the broadcast program.
이러한 경우, 시청자가 원하는 부분만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such cas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for viewers to reserve viewing or recording only the parts they want.
본 개시의 해결 과제는,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keyword-based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본 개시의 다른 해결 과제는,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video display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scheduled viewing or scheduled record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저장부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에 따라,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 storage unit,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based on a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receiv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viewing reservation mode or a recording reservation mode, and, after a broadcast program for which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is started, if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program, controls an image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point of detection of the keyword information.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receiv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control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stored in a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한편, 영상 수신부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튜너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image receiving unit includes a tuner unit that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tuner unit when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control the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stored in a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한편, 영상 수신부는, 셋탑 박스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receiving unit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 set-top box,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when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signal processing unit can control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stored in a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한편, 영상 수신부는, 셋탑 박스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상태에서, 셋탑 박스가 전원 오프인 경우, 전원 온 신호를 셋탑 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video receiving unit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an transmit a power-on signal to the set-top box when the set-top box is powered off when a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has been reache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이후, 셋탑 박스가 온 되는 경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the set-top box is turned on after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has been reached, receiv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controls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 내의 자막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이미지 내에,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receives a video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a video receiving unit, extracts a subtitle image within the video signal, and,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within the extracted subtitle image, controls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stored in a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자막 데이터 내에,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receives subtitle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within the received subtitle data, controls the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extract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extract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for data exchange with an external network,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be controlled to connect to a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receive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server.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에 각각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모드로 동작하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이후,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 DC voltage to each of a display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before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and can operate in a display off mode after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한편, 전원 공급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시청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in display on mode according to a viewing reservation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a broadcast program.
한편, 전원 공급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녹화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in display off mode according to a recording schedule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a broadcast program.
한편, 전원 공급부는, 입력 교류 전압을 스위칭하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소자에 접속되며, 입력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c/dc 컨버터와, 릴레이 소자에 이격되며, 입력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컨버터와, 제1 ac/dc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제1 dc/dc 컨버터와, 제1 ac/dc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신호 처리 장치로 동작 전압을 출력하는 제2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lay element that switches an input AC voltage, a first AC/DC converter connected to the relay element and converting the input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 second AC/DC converter separated from the relay element and converting the input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 first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a level of a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and outputs a display driving voltage to a display, and a second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a level of a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and outputs an operating voltage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한편, 전원 공급부는,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의 오프, 및 제2 ac/dc 컨버터에 동작에 기초하여, 대기 전압을 마이컴으로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의 온, 제1 ac/dc 컨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utput a standby voltage to the microcomputer based on the off state of the relay ele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DC converter in the standby mode, and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based on the on state of the relay element,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DC converter,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C/DC converter in the display off mode.
한편, 전원 공급부는,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의 온, 제1 ac/dc 컨버터, 제1 dc/dc 컨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to the display based on the on state of the relay element,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C/DC converter, the first DC/DC converter,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in the display on mode.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a storage unit that stor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controls, after a broadcast program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starts, to display an image for the broadcast program on the display or to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point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when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program.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receiv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control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stored in a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저장부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에 따라,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 video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a storage unit,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based on a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receiv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viewing reservation mode or a recording reservation mode, and, after a broadcast program for which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is started, if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program, controls an image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Accordingly, keyword-based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of a part of a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reaches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it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it can control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영상 수신부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튜너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image receiving unit includes a tuner unit that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tuner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controls the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stored in a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영상 수신부는, 셋탑 박스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video receiving unit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when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controls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영상 수신부는, 셋탑 박스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상태에서, 셋탑 박스가 전원 오프인 경우, 전원 온 신호를 셋탑 박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video receiving unit includes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onnected to the set-top box, a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can transmit a power-on signal to the set-top box when the set-top box is powered off when a time related to the scheduled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has been reach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scheduled viewing or scheduled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이후, 셋탑 박스가 온 되는 경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the set-top box is turned on after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has arrived,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controls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 내의 자막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이미지 내에,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receives a video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extracts a subtitle image within the video signal, and,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within the extracted subtitle image, controls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자막 데이터 내에,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when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receives subtitle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and,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within the received subtitle data, controls the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extract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extract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외부의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for data exchange with an external network, 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an be controlled to access a server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receive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server.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신호 처리 장치에 각각 직류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전원 공급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모드로 동작하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이후,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반한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의 시작 전까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a DC voltage to each of the display 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before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and can operate in a display off mode after reaching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until the start of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based on a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시청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를 예약 시청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in the display on mode according to the viewing reservation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erve view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녹화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perate in the display off mode according to the recording reservation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는, 입력 교류 전압을 스위칭하는 릴레이 소자와, 릴레이 소자에 접속되며, 입력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c/dc 컨버터와, 릴레이 소자에 이격되며, 입력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컨버터와, 제1 ac/dc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제1 dc/dc 컨버터와, 제1 ac/dc 컨버터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신호 처리 장치로 동작 전압을 출력하는 제2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반한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의 시작 전까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lay element that switches an input AC voltage, a first AC/DC converter connected to the relay element and converting the input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 second AC/DC converter separated from the relay element and converting the input AC voltage into a DC voltage, a first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a level of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and outputs a display driving voltage to a display, and a second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the level of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and outputs an operating voltage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until the start of scheduled viewing or scheduled recording based on a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는,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의 오프, 및 제2 ac/dc 컨버터에 동작에 기초하여, 대기 전압을 마이컴으로 출력하며,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의 온, 제1 ac/dc 컨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반한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의 시작 전까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utput a standby voltage to the microcomputer based on the off state of the relay element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DC converter in the standby mode, and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based on the on state of the relay element and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C/DC converter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in the display off mod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until the start of scheduled viewing or scheduled recording based on a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는,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의 온, 제1 ac/dc 컨버터, 제1 dc/dc 컨버터, 및 제2 dc/dc 컨버터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을 신호 처리 장치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을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to the display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DC converter, the first DC/DC converter,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in the display on mode.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f a part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와,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영상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신호 처리 장치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a storage unit that stor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 image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processing device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based on the signal received by the image receiving unit to the display, where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controls, after a broadcast program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starts, to display an image for the broadcast program on the display or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when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program. Accordingly, keyword-based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of a part of a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he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reaches a time related to a reservation time of a broadcast program, it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it can control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ure 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ure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of Figure 2.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a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4b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내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 5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unit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6a는 도 5의 전원 공급부 내의 제1 ac/ dc 컨버터의 회로도의 일예이다.FIG. 6a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ac/dc converter in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도 6b는 도 5의 전원 공급부 내의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의 일예이다.Fig. 6b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in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도 6c는 도 5의 전원 공급부 내의 제2 ac/dc 컨버터의 회로도의 일예이다.FIG. 6c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ac/dc converter in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ures 7a to 7d ar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5.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개시의 관련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명니다.FIGS. 8A to 8D are diagrams for reference i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9a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9b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10a 내지 도 12d는 도 9a 또는 도 9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S. 10a to 12d ar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FIG. 9a or FIG. 9b.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simp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is specification, and do not in themselves impart any particularly important meaning or role. Accordingly, the above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display (180).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다양한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80)는, 액정표시패널(LCD 패널), 유기발광패널(OLED 패널), 무기발광패널(LED 패널)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180) may be implemented as any one of various panels. For example, the display (180) may be any one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an organic light-emitting panel (OLED panel), an inorganic light-emitting panel (LED panel), etc.
액정표시패널은, 영상 표시를 위한 패널 외에 추가로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할 수 있다.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may require a separate backlight in addition to the panel for displaying images.
한편, 유기발광패널 또는 무기발광패널은, 영상 표시를 위해,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 없다.Meanwhile, organic light-emitting panels or inorganic light-emitting panels do not require a separate backlight for image display.
영상표시장치(100)는, 내부의 튜너부(도 2의 105) 등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receive broadcast signals through an internal tuner unit (105 in FIG. 2).
또는, 영상표시장치(100)는, 유선 케이블 등을 통해 셋탑 박스(STB)와 접속될 수 있으며, 셋탑 박스(STB)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nected to a set-top box (STB) via a wired cable or the like, and can receive broadcast signals through the set-top box (STB).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provides a function for reserved viewing or reserved recording of a broadcast program.
이에 본 개시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효율적으로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방안을 개시한다.Accordingly, in this disclosure, a method is disclosed that allows a user to efficiently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only the portion desired by the user.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저장부(140)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도 2의 105)와,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도 2의 170)를 포함한다.To this end, an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180), a storage unit (140), an image receiving unit (105 of FIG. 2)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70 of FIG. 2)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to the display (180).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에 따라,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하고,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ccording to a viewing reservation mode or a recording reservation mode, and, after a broadcast program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starts, if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corresponding broadcast program, controls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or store it in the storage (140) from the time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Accordingly, keyword-based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can be performed for a part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40)와,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105)와,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되는 신호에 기반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를 포함한다.Meanwhile, a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180), a storage unit (140) that stor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 image receiving unit (105) that receives a signal from the outside,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170)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based on a signal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to the display (180).
한편,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a broadcast program for which viewing or recording is scheduled after the broadcast program has started, controls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Accordingly, keyword-based viewing or recording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viewing or record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keywords.
한편, 도 1의 영상표시장치(100)는, TV, 모니터, 태블릿 PC, 이동 단말기 등이 가능하다.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f Fig. 1 can be a TV, monitor, tablet PC, mobile terminal, etc.
도 2는 도 1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ure 2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of Figure 1.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신호 처리 장치(170),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n image receiving unit (105),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 storage unit (140), a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 sensor unit (not shown),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 display (18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전원 공급부(190)와, 마이컴(1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further include a power supply unit (190) and a microcomputer (173).
영상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deo receiving unit (105) may include a tuner unit (110), a demodulator unit (120),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and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한편, 영상 수신부(105)는, 도면과 달리, 튜너부(110), 복조부(120)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만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Meanwhile, unlike the drawing, the video receiving unit (105) may include only a tuner unit (110), a demodulator unit (120), and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at is, it may not include a network interface unit (130).
튜너부(110)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The tuner unit (110) selects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an antenna (not shown). In addition, it converts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or a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selected RF broadcast signal is a digital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 digital IF signal (DIF), and if it is an analog broadcast signal, it is converted into an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That is, the tuner unit (110) can process a digital broadcast signal or an analog broadcast signal. The analog baseband video or audio signal (CVBS/SIF) output from the tuner unit (110) can be directly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tuner unit (110) may be equipped with multiple tuners to receive broadcast signals of multiple channels. Alternatively, a single tuner that simultaneously receives broadcast signals of multiple channels is also possible.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The demodulation unit (120) receives a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tuner unit (110) and performs a demodulation operation.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The demodulator (120) can output a stream signal (TS) after performing demodulation and channel decoding. At this time, the stream signal can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20) can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performs demultiplexing, image/audio signal processing, etc., and then outputs an image to the display (180) and outputs an audio to the audio output device (18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미도시), 예를 들어, 셋탑 박스(5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or receive data wit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a set-top box (50).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include an A/V input/output unit (not shown).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be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Blu ray, game device, camera, camcorder, computer (laptop), set-top box, etc., via wired/wireless connection, and can also perform input/output operations with the external devices.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미도시)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The A/V input/output unit can receive video and audio signals from an external device. Meanwhi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can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other electronic devices.
이러한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인접하는 이동 단말기(60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특히,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미러링 모드에서, 이동 단말기(60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Through this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exchange data with an adjacent mobile terminal (600). In particula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receive device information, running application information, application images, etc. from the mobile terminal (600) in mirroring mod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For examp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can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the Internet or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programs for each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with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nd may also store signal-processed images, voices, or data signals.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perform a function for temporary storage of video, audio or data signals input to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broadcast channel through a channel memory function such as a channel map.
도 2의 저장부(140)가 신호 처리 장치(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개시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Although the storage unit (140) of FIG. 2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storage unit (140)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140) may be included with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ransmits a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r transmits a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o the user.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신호 처리 장치(170)에 전달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input signal such as power on/off, channel selection, screen setting, etc. may be transmitted/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local key (not shown) such as a power key, a channel key, a volume key, a setting value, etc. may be transmitted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 user input signal input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that senses a user's ges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r a signal fro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may be transmitted to a sensor unit (not shown).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emultiplex an input stream or process demultiplexed signals through a tuner unit (110), a demodulator unit (120), a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o generate and output a signal for video or audio output.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 수신부(105)에서 수신된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 등을 수신하고, 수신되는 방송 신호 또는 HDMI 신호에 기초한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신호 처리된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a broadcast signal or an HDMI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perform signal processing based on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 or HDMI signal, and output a signal-processed image signal.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An image signal processed in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may be input to a display (180) and display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image signal. In addition, an image signal processed in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may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be output as sound to the audio output unit (185). In addition, the voice signal processed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be input to an external output device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다양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Although not shown in FIG. 2,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an image processing unit, etc. 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may perform various signal processing, and thu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그 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with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tuner unit (110) to select (tune)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a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an image. At this tim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may be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and may be a 2D image or a 3D image.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내에, 소정 오브젝트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ause a predetermined object to be displayed within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For example, the object can be at least one of a connected web screen (newspaper, magazine, etc.),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various menus, widgets, icons, still images, moving images, and text.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ognize the user's location based on the image captured from the shooting unit (not shown). For example, the distance (z-axis coordinate) between the user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x-axis coordinate and the y-axis coordinate with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user's location can be determined.
디스플레이(180)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The display (180) converts an image signal, data signal, OSD signal, control signal, etc.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r an image signal, data signal, control signal, etc.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o generate a driving signal.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180)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an output device.
오디오 출력부(185)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nd outputs it as voice.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170)에 입력될 수 있다.The camera unit (not shown) photographs the user. The camera unit (not shown) may be implemented with one camer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multiple cameras.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unit (not shown) may be input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신호 처리 장치(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etect a user's gesture based on an image captured from a camera unit (not shown) or a signal detected from a sensor unit (not shown), or a combination thereof.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90) supplies power to the entir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supply power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ystem on chip (SOC), a display (180) for image display,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for audio output.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ㅁㅊ/dc 컨버터와,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equipped with a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alternating current voltage into direct current voltage and a dc/dc converter that converts the level of the direct current voltage.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user input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To this end,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use Bluetooth,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IR (Infrared) communication, UWB (Ultra Wideband), ZigBee, etc.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receive images, voices, or data signals output from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and display or output them as voices 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a digital broadcast receiver capable of receiving fixed or mobile digital broadcasts.
한편, 도 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2 is a block diagram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according to the specification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tually implemented.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sub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eded. In addition, the functions performed by each block are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specific operations or devices thereof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도 2의 신호 처리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ure 3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of Figure 2.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개시의 일실시예에 의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오디오 처리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demultiplexing unit (310), an image processing unit (320), a processor (330), and an audio processing unit (370). In addition, a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The demultiplexer (310) demultiplexes the input stream. For example, if MPEG-2 TS is input, it can be demultiplexed to separate it into video, audio, and data signals, respectively. Here,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310)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tuner (110), the demodulator (120),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130).
영상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영상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부(310)로부터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can perform signal processing on an input image. For example,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can perform image processing on an image signal demultiplexed from the demultiplexing unit (310).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스케일러(335), 화질 처리부(635), 영상 인코더(미도시), OSD 처리부(34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may include an image decoder (325), a scaler (335), an image quality processing unit (635), an image encoder (not shown), an OSD processing unit (340), a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and a formatter (360).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The video decoder (325) decodes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and the scaler (335) scales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so that it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180).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MPEG-2, H,264 디코더, 색차 영상(color image) 및 깊이 영상(depth image)에 대한 3D 영상 디코더, 복수 시점 영상에 대한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video decoder (325) can be equipped with decoders of various standards. For example, it can be equipped with an MPEG-2, H.264 decoder, a 3D video decoder for color images and depth images, a decoder for multi-view images, etc.
스케일러(3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를 스케일링할 수 있다.The scaler (335) can scale an input video signal that has been decoded in a video decoder (325), etc.
예를 들어, 스케일러(3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작은 경우, 업 스케일링하고, 입력 영상 신호의 크기 또는 해상도가 큰 경우, 다운 스케일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caler (335) can upscale when the size or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is small, and downscale when the size or resolution of the input image signal is large.
화질 처리부(635)는, 영상 디코더(325) 등에서 영상 복호 완료된, 입력 영상 신호에 대한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 image quality processing unit (635) can perform image quality processing on an input image signal for which image decoding has been completed in an image decoder (325), etc.
예를 들어, 화질 처리부(635)는, 입력 영상 신호의 노이즈 제거 처리를 하거나, 입력 영상 신호의 도계조의 해상를 확장하거나, 영상 해상도 향상을 수행하거나, 하이 다이나믹 레인지(HDR) 기반의 신호 처리를 하거나, 프레임 레이트를 가변하거나, 패널 특성, 특히 유기발광패널에 대응하는 화질 처리 등을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age quality processing unit (635) may perform noise removal processing of an input image signal, expand the resolution of the gradation of an input image signal, perform image resolution enhancement, perform signal processing based on high dynamic range (HDR), vary the frame rate, or perform image quality processing corresponding to panel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an organic light-emitting panel.
OSD 처리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The OSD processing unit (340) generates an OSD signal based on a user input or on its own. For example, based on a user input signal, a signal for displaying various information as graphics or text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180) can be generated. The generated OSD signal can include various data such as a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various menu screens, widgets, and icons. In addition, the generated OSD signal can include a 2D object or a 3D object.
또한, OSD 처리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처리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처리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OSD processing unit (340) can generate a pointer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a pointing signal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particular, such a pointer can be generated in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and the OSD processing unit (240) can include such a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Of course, the pointing signal processing unit (not shown) can also be provided separately, rather than being included in the OSD processing unit (24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frame rate converter (FRC) (350) can convert the frame rate of an input video. Meanwhile, the frame rate converter (350) can also output as is without a separate frame rate conversion.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신호로 변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matter (360) can change the format of an input video signal into a video signal for display on a display and output it.
특히, 포맷터(Formatter)(36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하도록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화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ormatter (360) can change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to correspond to the display panel.
한편, 포맷터(360)는,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포맷, 탑 다운(Top / Down) 포맷,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포맷, 인터레이스 (Interlaced) 포맷, 체커 박스(Checker Box) 포맷 등의 다양한 3D 포맷 중 어느 하나의 포맷으로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formatter (360) can also change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format of the 3D video signal can be changed to any one of various 3D formats, such as a side-by-side format, a top-down format, a frame sequential format, an interlaced format, and a checker box format.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330) can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withi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cessor (330) can control the tuner (110) to select (tune) an RF broadcast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 pre-stored channel.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330) can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by a user command or internal program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330) can perform data transmission control wit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5) or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또한, 프로세서(330)는,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ocessor (3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emultiplexing unit (310) and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with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오디오 처리부(370)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audio processing unit (370) with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perform audio processing of the demultiplexed audio signal. To this end, the audio processing unit (370) can be equipped with various decoders.
또한,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오디오 처리부(37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udio processing unit (370) with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process bass, treble, volume control, etc.
신호 처리 장치(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The data processing unit (not shown) i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perform data processing of a demultiplexed data signal. For example, if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is an encoded data signal, it can be decoded. The encoded data signal can be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the start time and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 on each channel.
한편, 도 3에 도시된 신호 처리 장치(170)의 블록도는 본 개시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illustrated i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Each component of the block diagram may be integrated, added, or omitted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f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ctually implemented.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영상 처리부(320) 외에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frame rate conversion unit (350) and formatter (360)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320).
도 4a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a is a drawing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As shown in (a) of Fig. 4a, a pointer (205) corresponding to a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a의 (b)), 앞뒤(도 4a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 또는 3D 포인팅 장치라 명명할 수 있다.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up and down, left and right ((b) of FIG. 4a), forward and backward ((c) of FIG. 4a).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orresponds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ointer (205) of this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mov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in 3D space, so it can be called a space remote control or a 3D pointing device.
도 4a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4a (b) exemplifies that when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left, the pointer (205)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also moves to the left in response.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etected through the senso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5)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image display device can display the pointer (205)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4a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FIG. 4a (c) illustrates a case where a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way from the display (180) while pressing a specific button with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s a result, a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in and displayed in an enlarged manner. Conversely, when the user move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loser to the display (180), a selection area within the display (180) corresponding to the pointer (205) may be zoomed out and displayed in a reduced manner. Meanwhile,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the display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out, and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closer to the display (180), the selection area may be zoomed in.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Meanwhile,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pressed, recognition of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can be excluded. That is,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oves away from or toward the display (180),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are not recognized, and only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can be recognized. When a specific button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not pressed, only the pointer (205) moves according to the up, down, left, and right movement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Meanwhile, the movement speed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pointer (205) can correspond to the movement speed or movement direc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도 4b는 도 2의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Fig. 4b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of Fig. 2.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425), 사용자 입력부(435), 센서부(440), 출력부(450), 전원공급부(460), 저장부(470),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a user input unit (435), a sensor unit (440), an output unit (450), a power supply unit (460), a storage unit (470), and a control unit (480).
무선통신부(4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with any one of the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described above. Among the image display device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image display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4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423)을 구비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n RF module (421)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RF communication standards.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be equipped with an IR module (423)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accordance with IR communication standards.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전송한다.In this embodiment,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ransmits a signal containing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421).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4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4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by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F module (421). In additio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transmit commands for power on/off, channel change, volume change, etc.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R module (423) as needed.
사용자 입력부(4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4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user input unit (435) may be composed of a keypad, a button,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435). If the user input unit (435) has a hard key butto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a push operation of the hard key button. If the user input unit (435) has a touch screen, the user can input a command related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y touching a soft key of the touch screen. In addition, the user input unit (435) may be equipped with various types of input means that the user can operate, such as a scroll key or a jog key, and the present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disclosure.
센서부(440)는 자이로 센서(441) 또는 가속도 센서(4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440) may be equipped with a gyro sensor (441) or an acceleration sensor (443). The gyro sensor (441) may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일예로, 자이로 센서(4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4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yro sensor (441)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based on the x, y, and z axes. The acceleration sensor (443) can sense information about the moving speed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eanwhile, a distance measuring sensor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and thereby the distance to the display (180) can be sensed.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4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450) can output a video or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435) or to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output unit (450), the user can recognize whether the user input unit (435) is being operated or whether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being controlled.
일예로, 출력부(450)는 사용자 입력부(4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4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4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4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457)을 구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utput unit (450) may be equipped with an LED module (451) that lights up when the user input unit (435) is operated or a signal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a vibration module (453) that generates vibration, an audio output module (455) that outputs audio, or a display module (457) that outputs an image.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4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460) supplies power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power supply unit (460) can reduce power waste by stopping the power supply wh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mov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power supply unit (460) can resume the power supply when a predetermined key provi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s operated.
저장부(4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4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4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470) can store various types of programs, application data, etc. required for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wirelessly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hrough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nd the RF module (421),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rough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The control unit (480)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store and refer to information about the frequency band, etc., that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he paired image display device (100).
제어부(4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사용자 입력부(4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4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4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480) controls all matter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480) can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key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435) or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ensed by the sensor unit (440)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425).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415)를 구비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be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a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coordinate value calculation unit (415) capable of calculating the coordinate values of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4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4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RF module (412). In addition, it can receive signals transmitted by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through the IR module (413).
좌표값 산출부(415)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5)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on unit (415) can calculate the coordinate value (x, y) of the pointer (205)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70) by correcting hand shake or error from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된다. 신호 처리 장치(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A transmission signal of a remote control device (200)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is transmitted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etermine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on and key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response thereto.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calculate the pointer coordinat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and output them to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In this case,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received pointer coordinate values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without a separate hand shake or error correction process.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4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신호 처리 장치(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coordinate value calculation unit (415) may be provided insid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ather than the user input interface unit (150), unlike in the drawing.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내의 전원 공급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FIG. 5 is an example of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power supply unit in a video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면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180)와, 디스플레이(180)에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디스플레이(180)에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하고 신호 처리 장치(170)로 동작 전압(Vop)을 출력하는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an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display (180),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at outputs an image signal to the display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that outputs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and an operating voltage (Vop)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190)는, 입력 교류 전압(Va)을 스위칭하는 릴레이 소자(RL)와, 릴레이 소자(RL)에 접속되며, 입력 교류 전압(Va)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1 ac/dc 컨버터(905)와, 릴레이 소자(RL)에 이격되며, 입력 교류 전압(Va)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제2 ac/dc 컨버터(925)와, 제1 ac/dc 컨버터(905)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는 컨버터(910)를 구비할 수 있다.A power supply unit (19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relay element (RL) for switching an input AC voltage (Va), a first AC/DC converter (905) connected to the relay element (RL) for converting the input AC voltage (Va) into a DC voltage, a second AC/DC converter (925) separated from the relay element (RL) for converting the input AC voltage (Va) into a DC voltage, and a converter (910) for converting a level of a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한편, 제1 ac/dc 컨버터(905)는, 릴레이 소자(RL)를 경유한 입력 교류 전압(Va)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나, 제2 ac/dc 컨버터(925)는, 릴레이 소자(RL)를 경유하지 않는 입력 교류 전압(Va)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converts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Va) that passes through the relay element (RL) into a direct current voltage, but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can convert the input alternating voltage (Va)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relay element (RL) into a direct current voltage.
즉, 릴레이 소자(RL)와, 제2 ac/dc 컨버터(925)는, 병렬 접속될 수 있다.That is, the relay element (RL) and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한편, 컨버터(910)는, 복수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910) can output multiple levels of DC voltage.
예를 들어, 컨버터(910)는, 제1 ac/dc 컨버터(905)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하거나, 신호 처리 장치(170)로 동작 전압(Vop) 또는 대기 전압(Vst)를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ter (910) can convert the level of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to output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or output the operating voltage (Vop) or standby voltage (Vst)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이를 위해, 컨버터(910)는, 멀티 레벨의 LL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nverter (910) may be equipped with a multi-level LLC converter.
한편, 컨버터(910)는, 제1 ac/dc 컨버터(905)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180)로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하는 제1 dc/dc 컨버터(912)와, 제1 ac/dc 컨버터(905)로부터의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신호 처리 장치(170)로 동작 전압(Vop)을 출력하는 제2 dc/dc 컨버터(91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verter (910) may include a first dc/dc converter (912) that converts the level of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outputs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and a second dc/dc converter (915) that converts the level of the DC voltage from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outputs an operating voltage (Vop)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예를 들어,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는, 대략 24V의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within the converter (910) can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of approximately 24 V.
한편, 컨버터(910) 내의 제2 dc/dc 컨버터(915)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 대략 12V의 동작 전압(Vop) 또는 대략 8V의 대기 전압(Vst)를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within the converter (910)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Vop) of approximately 12 V or a standby voltage (Vst) of approximately 8 V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이때, 제1 dc/dc 컨버터(912)와 제2 dc/dc 컨버터(915)는 병렬 접속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can be connected in parallel.
도면에에서는, n3 노드와 n1 노드 사이에, 제1 dc/dc 컨버터(912)가 배치되고, n3 노드와 n5 노드 사이에, 제2 dc/dc 컨버터(915)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In the drawing, a first dc/dc converter (912) is placed between the n3 node and the n1 node, and a second dc/dc converter (915) is placed between the n3 node and the n5 node.
또한, 도면에서는, n2 노드와 n6 노드 사이에, 제2 ac/dc 컨버터(925)가 배치되며, n4 노드와 n3 노드 사이에, 제1 ac/dc 컨버터(905)가 배치되는 것을 예시한다.Additionally, the drawing illustrates that a second ac/dc converter (925) is placed between the n2 node and the n6 node, and a first ac/dc converter (905) is placed between the n4 node and the n3 node.
한편, 제1 dc/dc 컨버터(912)의 출력 노드인 n1은, 디스플레이(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n1, the output node of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180).
제1 ac/dc 컨버터(905)는, 다이오드 또는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여, 입력 교류 전압(Va)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first AC/DC converter (905) can convert an input AC voltage (Va) into a DC voltage and output it by having a diode or switching element.
한편, 제1 dc/dc 컨버터(912)는, 입력되는 직류 전압의 레벨을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can convert the level of the input DC voltage and output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예를 들어, 제1 dc/dc 컨버터(912)는, 직류 전압을 승압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can step up a DC voltage and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한편, 디스플레이(180)가 유기발광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은, 유기발광 픽셀의 픽셀 구동 전압일 수 있다.Meanwhile, if the display (180) is an organic light-emitting panel,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may be the pixel driving voltage of the organic light-emitting pixel.
한편, 디스플레이(180)가 무기발광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은, 무기발광 픽셀의 픽셀 구동 전압일 수 있다.Meanwhile, if the display (180) is an inorganic light-emitting panel,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may be the pixel driving voltage of the inorganic light-emitting pixel.
한편, 디스플레이(180)가 액정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은, 백라이트 구동 전압 또는 액정 화소 구동 전압일 수 있다.Meanwhile, if the display (180) is a liquid crystal panel,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may be a backlight driving voltage or a liquid crystal pixel driving voltage.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는, 신호 처리 장치(170)와 마이컴(173)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BD)를 더 포함한다.Meanwhile,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urther includes a main board (BD) including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nd a microcomputer (173).
한편, 메인 보드(BD)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2 ac/dc 컨버터(925)로 구동 제어 신호(SSwd)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ac/dc 컨버터(925)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main board (BD) or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SSwd) to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Accordingly,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can be stably driven.
한편, 메인 보드(BD)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제1 ac/dc 컨버터(905)로 구동 제어 신호(SSwa)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ac/dc 컨버터(905)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main board (BD) or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SSwa) to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ccordingly,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can be stably driven.
한편, 메인 보드(BD)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는,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로 구동 제어 신호(SSwb)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main board (BD) or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SSwb) to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within the converter (910). Accordingly,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within the converter (910) can be stably driven.
한편, 메인 보드(BD)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는, 컨버터(910) 내의 제2 dc/dc 컨버터(915)로 구동 제어 신호(SSwc)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버터(910) 내의 제2 dc/dc 컨버터(915)를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main board (BD) or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output a driving control signal (SSwc) to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within the converter (910). Accordingly,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within the converter (910) can be stably driven.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컨버터(910)와 메인 보드(BD) 사이에 접속되는 신호 전달부(FDK)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unit (FDK) connected between the converter (910) and the main board (BD).
신호 전달부(FDK)는, 신호 처리 장치(170)를 포함하는 메인 보드(BD)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로부터 디스플레이 온 신호(Spo)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신호(Spf)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온 신호(Spo)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신호(Spf)를 컨버터(91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ssion unit (FDK) can receive a display on signal (Spo) or a display off signal (Spf) from a main board (BD) including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r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nd transmit the display on signal (Spo) or the display off signal (Spf) to the converter (910).
예를 들어,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가, 디스플레이 온 신호(Spo)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로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within the converter (910) receives a display on signal (Spo), it can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according to the display on mode.
다른 예로,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가, 디스플레이 오프 신호(Spf)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로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within the converter (910) receives a display off signal (Spf), it may not output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depending on the display off mode.
도 6a는 도 5의 전원 공급부 내의 제1 ac/ dc 컨버터의 회로도의 일예이다.FIG. 6a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ac/dc converter in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의 제1 ac/dc 컨버터(905)는, 대전력의 파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스위칭 소자(Sa,Sb)와 복수의 다이오드 소자(Da,Db)를 구비하며, 스위칭 소자(Sa,Sb)의 스위칭 동작에 기초하여, 입력 교류 전압(Vac)의 레벨을 변환하여, 직류 전압(Vdc)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of FIG. 5 has a plurality of switching elements (Sa, Sb) and a plurality of diode elements (Da, Db) to efficiently supply high power, and can convert the level of an input ac voltage (Vac) based on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ing elements (Sa, Sb) to output a direct current voltage (Vdc).
구체적으로, 제1 ac/dc 컨버터(905)는,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다이오드 소자(Da)와 제1 스위칭 소자(Sa)를 구비하는 제1 레그(lega)와, 제1 레그(lega)에 병렬 접속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2 다이오드 소자(Db)와 제2 스위칭 소자(Sb)를 구비하는 제2 레그(legb)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may include a first leg having a first diode element (Da) and a first switching element (Sa) that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leg (legb) that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first leg and has a second diode element (Db)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Sb) that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제1 다이오드 소자(Da)의 일단(캐소드)은 제1 ac/dc 컨버터(905)의 출력단(na-nb)의 일단(na)에 접속되며, 제1 다이오드 소자(Da)의 타단(애노드)은 제1 노드(nc)에 접속될 수 있다.One end (cathode) of the first diode element (Da) is connected to one end (na) of the output terminal (na-nb)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other end (anode) of the first diode element (Da)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c).
제1 스위칭 소자(Sa)의 일단은 제1 노드(nc)에 접속되며, 제1 스위칭 소자(Sa)의 타단은 제1 ac/dc 컨버터(905)의 출력단(na-nb)의 타단(nb)에 접속될 수 있다.One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a) is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c),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a)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nb) of the output terminal (na-nb)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제2 다이오드 소자(Db)의 일단(캐소드)은 제1 ac/dc 컨버터(905)의 출력단(na-nb)의 일단(na)에 접속되며, 제2 다이오드 소자(Db)의 타단(애노드)은 제2 노드(nd)에 접속될 수 있다.One end (cathode) of the second diode element (Db) is connected to one end (na) of the output terminal (na-nb)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other end (anode) of the second diode element (Db)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d).
제2 스위칭 소자(Sb)의 일단은 제2 노드(nd)에 접속되며, 제2 스위칭 소자(Sb)의 타단은 제1 ac/dc 컨버터(905)의 출력단(na-nb)의 타단(nb)에 접속될 수 있다.One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 is connected to the second node (n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b)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nb) of the output terminal (na-nb)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한편, 도 6a의 제1 ac/dc 컨버터(905)를, 하브 브릿지 방식의 ac/dc 컨버터라 명명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of Fig. 6a can be named a half-bridge type AC/DC converter.
한편, 제1 ac/dc 컨버터(905)는, 제1 다이오드 소자(Da)와 제1 스위칭 소자(Sa) 사이의 제1 노드(na)와 입력 교류 전압(Vac)이 입력되는 입력단 사이에 배치되는 인덕터(L)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may further include an inductor (L) disposed between the first node (na) between the first diode element (Da) an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a) and an input terminal to which an input alternating current voltage (Vac) is input.
한편, 제1 ac/dc 컨버터(905)의 출력단(nc-nd)에는, dc단 커패시터(Ca)의 양단에 접속되는 컨버터(910)가 접속될 수 있다.Meanwhile, a converter (910) connected to both ends of a dc capacitor (Ca) can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nc-nd)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도 6b는 도 5의 전원 공급부 내의 dc/dc 컨버터의 회로도의 일예이다.Fig. 6b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dc/dc converter in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의 dc/dc 컨버터(910)는 멀티 레벨의 LLC 컨버터일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dc/dc converter (910) of FIG. 5 may be a multi-level LLC converter.
한편, 도 6b의 dc/dc 컨버터(910)는, 도 5의 제1 dc/dc 컨버터(912) 또는 제2 dc/dc 컨버터(915)일 수 있다.Meanwhile, the dc/dc converter (910) of Fig. 6b may be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or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of Fig. 5.
한편, dc/dc 컨버터(910)는, 트랜스포머(805)와, 트랜스포머(805)의 입력단에 배치되며, 서로 직렬 접속되는 제1 스위칭 소자(SW1)와 제2 스위칭 소자(SW2)와, 트랜스포머(805)의 입력단과 제2 스위칭 소자(SW2)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공진 커패시터(Cr)와 공진 인덕터(L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 또는 신호 처리 장치(170)의 동작 전압(Vop) 또는 대기 전압(Vst)을 출력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c/dc converter (910) may include a transformer (805), a first switching element (SW1) and a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which are arranged at an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805) and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 resonant capacitor (Cr) and a resonant inductor (Lr)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between the in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805)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or an operating voltage (Vop) or a standby voltage (Vst) of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based on resonance.
한편, dc/dc 컨버터(910)는, 트랜스포머(805)의 출력단에 배치되는 풀 브릿지 다이오드 소자들(D1~D4)과, 풀 브릿지 다이오드 소자들(D1~D4)의 출력단의 양단(nda-ndb)에 배치되는 커패시터 소자(C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진에 기반하여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안정적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c/dc converter (910) may further include full bridge diode elements (D1 to D4) arrang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former (805) and capacitor elements (Cd) arranged at both ends (nda-ndb)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ull bridge diode elements (D1 to D4). Accordingly,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can be stably output based on resonance.
한편, 커패시터 소자(Cd)의 양단(nda-ndb)에 저항 소자가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it is desirable that no resistor elements are placed at both ends (nda-ndb) of the capacitor element (Cd).
커패시터 소자(Cd)의 양단(nda-ndb)에 저항 소자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저항 소자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의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Since no resistor element is placed at both ends (nda-ndb) of the capacitor element (Cd),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resistor element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be reduced.
한편, dc/dc 컨버터(910)는,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양단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9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c/dc converter (91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detection circuit (935) that detects 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한편, dc/dc 컨버터(910)는, 전압 검출 회로(935)에서 검출된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양단(nm-nb)의 전압이 영 전압인 경우, 제2 스위칭 소자(SW2)를 온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영전압 스위칭을 수행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dc/dc converter (910) can turn on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when the voltage across both terminals (nm-nb)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detected by the voltage detection circuit (935) is zero voltage. Accordingly, zero voltag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can be performed, thereby reducing noise.
한편, 전압 검출 회로(935)는, 제1 스위칭 소자(SW1)와 제2 스위칭 소자(SW2) 사이의 노드(nm)에 접속되는 커패시터(Ct)와, 커패시터(Ct)와 접지단 사이에 배치되는 제너 다이오드(Dt)와, 커패시터(Ct)와 제너 다이오드(Dt) 사이의 노드(nb)에 일단이 접속되는 저항 소자(Rt)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양단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검출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voltage detection circuit (935) may include a capacitor (Ct) connected to a node (nm) between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W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a zener diode (Dt) arranged between the capacitor (Ct) and a ground terminal, and a resistance element (R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node (nb) between the capacitor (Ct) and the zener diode (Dt). Accordingly, the voltage across both ends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can be stably detected.
한편, dc/dc 컨버터(910)는, 제1 스위칭 소자(SW1)와 제2 스위칭 소자(SW2)를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9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c/dc converter (91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control unit (925) that controls the first switching element (SW1) an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한편, 스위칭 제어부(925)는, nb 노드의 전압에 기초하여,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영전압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위칭 소자(SW2)의 영전압 스위칭을 수행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witching control unit (925) can control the zero voltag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based on the voltage of the nb node. Accordingly, by performing the zero voltage switching of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SW2), noise can be reduced.
도 6c는 도 5의 전원 공급부 내의 제2 ac/dc 컨버터의 회로도의 일예이다.FIG. 6c is an example of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ac/dc converter in the power supply unit of FIG. 5.
도면을 참조하면, 제2 ac/dc 컨버터(925)는, 플라이백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may include a flyback converter.
즉, 제2 ac/dc 컨버터(925)는, 트랜스포머(Ts), 트랜스포머(Ts)의 입력측의 노드(nt)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sm), 트랜스포머(Ts)의 출력측의 노드(n6)에 접속되는 다이오드 소자(Dm)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may be equipped with a transformer (Ts), a switching element (sm) connected to a node (nt) on the input side of the transformer (Ts), and a diode element (Dm) connected to a node (n6) on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s).
이에 따라, n2 노드로부터의 입력 교류 전압(Va)이, 스위칭 소자(sm)의 스위칭에 기초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n6-n7 노드의 양단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put AC voltage (Va) from the n2 node can be converted into a DC voltage based on the switching of the switching element (sm) and output through both ends of the n6-n7 node.
도 7a 내지 도 7d는 도 5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ures 7a to 7d ar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of Figure 5.
도 7a의 도 5의 영상표시장치(100)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7a illustrates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f FIG. 5 operates in standby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가 오프(off)되고, 제2 ac/dc 컨버터(925)가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standby mode, the relay element (RL)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can operate.
즉, 전원 공급부(190)는,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의 오프, 및 제2 ac/dc 컨버터(925)에 동작에 기초하여, 대기 전압(Vzw)을 마이컴(173)으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the standby voltage (Vzw) to the microcomputer (173) based on the off state of the relay element (RL) 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in the standby mode.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대기 모드에서, 제2 ac/dc 컨버터(925)를 경유하는 PTHa의 전류 패쓰에 기초하여, 대략 3.3V의 대기 전압(Vzw)을 마이컴(173)으로 출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a standby voltage (Vzw) of approximately 3.3 V to the microcomputer (173) based on the current path of the PTHa passing through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in standby mode.
한편, 제2 ac/dc 컨버터(925)가, 플라이 백 컨버터인 경우, 트랜스포머(Ts)의 입력측과 출력측이 절연되므로, 제2 ac/dc 컨버터(925)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거의 없게 된다.Meanwhile, if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is a flyback converter, the input side and the output side of the transformer (Ts) are insulated, so that the power consumed by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is almost zero.
이에 대기 모드는 제로 와트(zero watt) 대기 모드라 명명될 수 있다.Therefore, the standby mode can be named zero watt standby mode.
한편, 대기 모드에서, 마이컴(173) 외에, IR 수신부(413)와, 저장부(140)가 활성화되고, 다른 모듈 등은 오프될 수 있다.Meanwhile, in standby mode, in addition to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413) and the storage unit (140) are activated, and other modules may be turned off.
도 7b는 도 5의 영상표시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7b illustrates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f FIG. 5 operates in display off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가 온(on)되고, 제1 ac/dc 컨버터(905)와, 컨버터(910)가 동작할 수 있다. 그 외,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제2 ac/dc 컨버터(925)도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display off mode, the relay element (RL) is turned on, and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converter (910) can operate. In addition, in the display off mode,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can also operate.
즉,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의 온, 제1 ac/dc 컨버터(905), 및 제2 dc/dc 컨버터(915)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Vop)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the operating voltage (Vop)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based on the on of the relay element (R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display off mode.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 제1 ac/dc 컨버터(905), 및 제2 dc/dc 컨버터(915)를 경유하는 PTHb의 전류 패쓰에 기초하여, 대략 8 내지 12V의 동작 전압(Vop)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Vop) of approximately 8 to 12 V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based on the current path of the PTHb through the relay element (RL),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display off mode.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제1 dc/dc 컨버터(912)를 오프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turn off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in the display off mode.
이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로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출력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the power supply unit (190) does not output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in the display off mode.
한편,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0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splay off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etc.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may be activated.
한편,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Meanwhile, in display off mode, the display (180) and audio output (185) can be deactivated.
또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디스플레이(180)만 비활성화되고, 오디오 출력부(185)가, 활성화되는 것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in display off mode, only the display (180) may be deactivated and the audio output (185) may be activated.
한편, 도 7b의 디스플레이 모드와 유사하게, 제2 대기 모드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similar to the display mode of Fig. 7b, it is also possible for a second standby mode to be performed.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90)는, 제2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의 온, 제1 ac/dc 컨버터(905), 및 제2 dc/dc 컨버터(915)의 동작에 기초하여, 대기 전압(Vst)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a standby voltage (Vst)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based on the on state of the relay element (RL),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second standby mode.
즉, 전원 공급부(190)는, 제2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 제1 ac/dc 컨버터(905), 및 제2 dc/dc 컨버터(915)를 경유하는 PTHb의 전류 패쓰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Vop) 보다 레벨이 낮은 대기 전압(Vst)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a standby voltage (Vst) having a lower level than the operating voltage (Vop)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based on the current path of PTHb passing through the relay element (RL),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second standby mode.
한편, 제2 대기 모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드와 달리, 신호 처리 장치(17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만 활성화되고, 영상 수신부(10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등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second standby mode, unlike the display mode, only the signal processing unit (170), storage unit (140), microcomputer (173), IR receiver unit (413), etc. are activated, and the tuner unit (110), demodulator unit (120), network interface unit (130),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may be deactivated.
도 7c는 도 5의 영상표시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온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예시한다.FIG. 7c illustrates that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f FIG. 5 operates in display on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가 온되고, 제1 ac/dc 컨버터(905), 제1 dc/dc 컨버터(912), 및 제2 dc/dc 컨버터(915)가 동작할 수 있다. 그 외,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제2 ac/dc 컨버터(925)도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display on mode, the relay element (RL) is turned on, and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can operate. In addition, in the display on mode,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can also operate.
즉,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의 온, 제1 ac/dc 컨버터(905), 제1 dc/dc 컨버터(912), 및 제2 dc/dc 컨버터(915)의 동작에 기초하여, 동작 전압(Vop)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the operating voltage (Vop)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nd the display driving voltage (Vdd) to the display (180) based on the on state of the relay element (RL) and the operations o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display on mode.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 제1 ac/dc 컨버터(905), 및 제1 dc/dc 컨버터(912)를 경유하는 PTHc의 전류 패쓰에 기초하여, 대략 24V의 디스플레이 구동 전압(Vdd)을 디스플레이(180)로 출력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a display driving voltage (Vdd) of approximately 24 V to the display (180) based on the current path of the PTHc through the relay element (RL),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in the display on mode.
또한,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 소자(RL), 제1 ac/dc 컨버터(905), 및 제2 dc/dc 컨버터(915)를 경유하는 PTHb의 전류 패쓰에 기초하여, 대략 8 내지 12V의 동작 전압(Vop)을 신호 처리 장치(170)로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utput an operating voltage (Vop) of approximately 8 to 12 V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based on the current path of the PTHb through the relay element (RL),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display on mode.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0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디스플레이(180)와, 오디오 출력부(185)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display on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the display (180), and the audio output unit (185) within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may be activated.
도 7d는 대기 모드,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의 전원 공급부(190)의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7d is a drawing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ower supply unit (190) in standby mode, display off mode, and display on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RL)가 오프, 제1 ac/dc 컨버터(905) 오프, 제2 ac/dc 컨버터(925)가 동작, dc/dc 컨버터(910)가 오프되어, 디스플레이(180)가 오프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standby mode, the relay (RL) is turned off,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is turned off, the second ac/dc converter (925) operates, the dc/dc converter (910) is turned off, and the display (180) is turned off.
한편,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 또는 제2 대기 모드에서, 릴레이(RL)가 온, 제1 ac/dc 컨버터(905)가 동작, dc/dc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만 동작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오프된다.Meanwhile, in the display off mode or the second standby mode, the relay (RL) is turned on,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operates, and only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in the dc/dc converter (910) operates, so that the display (180) is turned off.
한편, 디스플레이 온 모드에서, 릴레이(RL)가 온, 제1 ac/dc 컨버터(905)가 동작, dc/dc 컨버터(910) 내의 제1 dc/dc 컨버터(912)와, 제2 dc/dc 컨버터(915)가 모두 동작하여, 디스플레이(180)가 온된다.Meanwhile, in the display on mode, the relay (RL) is turned on, the first ac/dc converter (905) operates, and both the first dc/dc converter (912) and the second dc/dc converter (915) in the dc/dc converter (910) operate, so that the display (180) is turned on.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개시의 관련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설명에 참조되는 도명니다.FIGS. 8A to 8D are diagrams for reference in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 8a는 시청 예약 설정 화면의 일예이다.Figure 8a is an example of a view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81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 setting screen (810) for setting a viewing reservation.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810) 내에, 시청 예약 시간, 시청 예약 채널, 시청 예약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viewing reservation time, viewing reservation channel, and viewing reservation program within the setting screen (810).
도 8b는 도 8a의 시청 예약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시청 예약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8b is a drawing exemplifying a viewing reservation being performed based on the view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of FIG. 8a.
도면을 참조하면, 시청 예약 시간인, 2023년 9월 9일의 18:30인 타이밍에 대응하는 TTa 시점 이전까지,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a와 같은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as in FIG. 7a until the TTa time corresponding to the timing of 18:30 on September 9, 2023, which is the viewing reservation time.
그리고, TTa 시점에 도달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시청 예약에 따라, 도 7c와 같은 디스플레이 온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And, when the TTa time point is reach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perform a display on mode as in Fig. 7c according to the viewing reservation.
한편, 도 8a 및 도 8b와 같이, 시청 예약에 기반한, 방송 시청을 하는 경우, 시청자가 원하는 부분만 예약 시청이 되지 못하고,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불편함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8a and 8b, when viewing a broadcast based on a viewing reserv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viewer cannot view only the portion he or she wants to view, and the video is display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도 8c는 녹화 예약 설정 화면의 일예이다.Figure 8c is an example of a record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녹화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82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 setting screen (820) for setting a recording reservation.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820) 내에, 녹화 예약 시간, 녹화 예약 채널, 녹화 예약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the recording reservation time, recording reservation channel, and recording reservation program within the setting screen (820).
도 8d는 도 8c의 녹화 예약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녹화 예약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8d is a drawing exemplifying that recording reserv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ecord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of FIG. 8c.
도면을 참조하면, 녹화 예약 시간인, 2023년 9월 10일의 19:30인 타이밍에 대응하는 TTb 시점 이전까지,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a와 같은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as in FIG. 7a until the TTb point corresponding to the timing of 19:30 on September 10, 2023, which is the recording reservation time.
그리고, TTa 시점에 도달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녹화 예약에 따라, 녹화 온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And, when the TTa time point is reach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perform recording on mode according to the recording reservation.
한편, 도 8c 및 도 8d와 같이, 녹화 예약에 기반한, 방송 시청을 하는 경우, 시청자가 원하는 부분만 예약 녹화가 되지 못하고,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부터 녹화가 수행되는 불편함이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8c and 8d, when watching a broadcast based on a recording reserva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recording is performed from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rather than recording only the portion desired by the viewer.
이에 본 개시에서는, 시청자가 원하는 부분만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개시한다. 특히,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Accordingly, in this disclosure, a method is disclosed that allows a viewer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only a desired portion. In particular, a method that allows keyword-based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is proposed.
도 9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9a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on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면을 참조하면, 도 9a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설정을 수행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9a is a drawing showing an operational method for performing settings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에 기초하여,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S910),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he device to enter the viewing reservation mode or recording reservation mode when an input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is received (S910) based on a remote control device (200), etc.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 또는 녹화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viewing reservation or a setting screen for setting a recording reservation.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시간의 입력에 따라, 시청 예약 시간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S915), 시청 예약 채널의 입력에 따라, 시청 예약 채널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20).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viewing reservation tim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iewing reservation time (S915), and can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viewing reservation channel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viewing reservation channel (S920).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과 관련한 키워드 입력이 있는 경우, 입력되는 키워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25).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ntrol to display the input keyword when there is a keyword input related to viewing reservation (S925).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에 따라,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한다.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reservation mode or recording reservation mode.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자의 음성 인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through viewer voice recognition.
다른 예로,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을 통한, 키워드 문자 입력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through keyword character input via a setting screen.
그리고,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설정 또는 녹화 예약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end the viewing reservation mode or recording reservation mode when the viewing reservation setting or recording reservation setting is completed.
즉,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설정 또는 녹화 예약 설정이 완료되는 경우, 시청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 또는 녹화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의 표시를 종료할 수 있다.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end the display of the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viewing reservation or the setting screen for setting the recording reservation when the viewing reservation setting or the recording reservation setting is completed.
한편,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 등을 통해, 설정된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에 대한 정보를 저장부(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controlled to store information on set viewing reservations or recording reservations in the storage unit (140) through a setting screen, etc.
도 9b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9b is a flowchart showing an operating method of an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면을 참조하면, 도 9b는 설정된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에 따라,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하는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FIG. 9b is a drawing showing an operational method for performing scheduled viewing or scheduled recording according to a set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a와 같이 대기 모드로 동작한다(S950).Referring to the drawing,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perates in standby mode as shown in Fig. 7a (S950).
한편, 대기 모드로 동작 중인,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S955), 대기 모드를 종료하고, 도 7b와 같은,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S960).Meanwhile,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perating in standby mode can end the standby mode and switch to the display off mode (S960) as shown in Fig. 7b when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S955).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 영상 수신부(10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As the display switches to off mod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ing unit (413), etc. may be activated.
이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튜너부(11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은,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에 대응하는 예약 채널로 전환한다(S970).Accordingly, the tuner unit (110) or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witches to a reservation channel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S970).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전환된 예약 채널로부터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다.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a video signal,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from the switched reservation channel.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예약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한다(S975).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extracts text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received from a reservation channel (S975).
다음, 신호 처리 장치(170)는, 추출된 텍스트에, 예약 키워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80), 해당되는 경우 시청 예약 모드에 따라(S985), 디스플레이 온 모드로 전환하여(S987), 해당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89).Next,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ed text includes a reservation keyword (S980), and if so, switches to the display on mode (S987) according to the viewing reservation mode (S985) and controls the display of the video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S989).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추출된 텍스트에, 예약 키워드가 포함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980), 해당하는 경우, 녹화 예약 모드에 따라(S990), 해당 채널의 영상 등을 녹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995).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determines whether the extracted text includes a reservation keyword (S980), and if so, can control recording of the video, etc. of the corresponding channel according to the recording reservation mode (S990) (S995).
이에 따라,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keyword-based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In particular,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도 9a와 도 9b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모드 또는 녹화 예약 모드에 따라,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방송 프로그램 정보와 관련된 키워드 정보를 수신한다.According to FIGS. 9A and 9B,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receives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keyword information related to the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viewing reservation mode or the recording reservation mode.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키워드 기반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fter a broadcast program for which viewing or recording is scheduled has started, if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ontrols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Accordingly, keyword-based viewing or recording can be performed. In particular, viewing or record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keywords.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105)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a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105) when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nd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105)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영상 신호 내의 자막 이미지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막 이미지 내에,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a video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video receiving unit (105), extracts a subtitle image within the video signal, and if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within the extracted subtitle image, controls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when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수신부(105)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자막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되는 자막 데이터 내에,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subtitle data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when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nd if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in the received subtitle data,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or store it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extract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수신되는 데이터 신호 내에 포함되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EPG)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extract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EPG) included in the received data signal.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서버(미도시)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be controlled to access a server (not shown) that provides information about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for viewing reservation or recording reservation, and receive start time information or channel informa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server (not shown).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원 공급부(19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모드로 동작하며,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이후,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반한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의 시작 전까지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operate in a standby mode before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nd may operate in a display off mode after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efore the start of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based on a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시청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온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를 예약 시청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perate in display on mode according to a viewing reservation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a broadcast progr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serve viewing of a portion of a broadcast program based on a keyword.
한편, 전원 공급부(19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녹화 예약에 따라,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power supply unit (190) can operate in the display off mode according to the recording reservation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도 10a 내지 도 12d는 도 9a 또는 도 9b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FIGS. 10a to 12d ar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FIG. 9a or FIG. 9b.
먼저,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청 예약 설정 화면의 일예이다.First, FIG. 10a is an example of a view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101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 setting screen (1010) for setting a viewing reservation.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1010) 내에, 시청 예약 시간(1012), 시청 예약 채널(1014), 시청 예약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1016)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a viewing reservation time (1012), a viewing reservation channel (1014), and a viewing reservation program (1016) within the setting screen (1010).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1010) 내에, 키워드 입력을 위한 표시창(10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isplay a display window (1017) for keyword input within the setting screen (1010). Accordingly, keywords can be input easily.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수신하거나, 문자 입력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a keyword based on the user's voice or based on character input.
도 10b는 도 10a의 설정 화면 내에 키워드가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10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keyword being entered into the settings screen of Figure 10a.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키워드 수신 이후, 설정 화면(1010) 내에, 입력되는 키워드 정보(1018)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 입력 완료 및 시청 예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o display the input keyword information (1018) within the setting screen (1010) after receiving the keyword. Accordingly, keyword input and viewing reservation can be completed.
도 10c는 도 10b의 시청 예약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시청 예약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10c is a drawing exemplifying a viewing reservation being performed based on the view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of FIG. 10b.
도면을 참조하면, 시청 예약 시간인, 2023년 9월 9일의 18:30인 타이밍에 대응하는 Ta1 시점 보다, 소정 기간 이른 타이밍인 Ta0 시점 이전까지,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a와 같은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as shown in FIG. 7a until the Ta0 time point, which is a predetermined period earlier than the Ta1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reservation time of 18:30 on September 9, 2023.
한편, 시청 예약 시간 보다 소정 기간 이른 타이밍은 Ta0은,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이라 명명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ming Ta0, which is a predetermined period earlier than the viewing reservation time, can be named as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한편,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인 Ta0 시점에 도달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시청 예약에 따라, 도 7c와 같은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ime Ta0, which is a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perate in a display off mode as in FIG. 7c according to the viewing reservation.
한편,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0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splay off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etc.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05) may be activated.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인 Ta1 이전부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before Ta1, which is the start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scheduled for viewing or recording.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인 Ta1 이후, 계속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inuously receive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fter Ta1, which is the start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for viewing or recording.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시청 예약 또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인 Ta2 이후 부터, 도 7c와 같은 디스플레이 온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ontrols the display to enter the display on mode as shown in FIG. 7c after Ta2, which is the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time, when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fter the start of the broadcast program for viewing or recording.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인 Ta2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시청자가 원하는 부분만 예약 시청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display (180) to display the image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a2, which is the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poi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f only the part desired by the viewer.
다음,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예약 설정 화면의 일예이다.Next, FIG. 11a is an example of a record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면을 참조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신호 처리 장치(170)는, 녹화 예약 설정을 위한 설정 화면(1110)을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display a setting screen (1110) for setting a recording reservation.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1110) 내에, 녹화 예약 시간(1112), 녹화 예약 채널(1114), 녹화 예약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1116)를 표시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isplay information about a recording reservation time (1112), a recording reservation channel (1114), and a recording reservation program (1116) within the setting screen (1110).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설정 화면(1110) 내에, 키워드 입력을 위한 표시창(1117)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편하게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display a display window (1117) for keyword input within the setting screen (1110). Accordingly, keywords can be input easily.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사용자 음성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수신하거나, 문자 입력에 기초하여 키워드를 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a keyword based on the user's voice or based on character input.
도 11b는 도 11a의 설정 화면 내에 키워드가 입력되는 것을 예시한다.Figure 11b illustrates an example of a keyword being entered into the settings screen of Figure 11a.
도면을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70)는, 키워드 수신 이후, 설정 화면(1110) 내에, 입력되는 키워드 정보(1118)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 입력 완료 및 녹화 예약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o display the input keyword information (1118) within the setting screen (1110) after receiving the keyword. Accordingly, keyword input and recording reservation can be completed.
도 11c는 도 11b의 녹화 예약 설정 화면에 기반하여, 녹화 예약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ure 11c is a drawing exemplifying that recording reserva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recording reservation setting screen of Figure 11b.
도면을 참조하면, 녹화 예약 시간인, 2023년 9월 10일의 19:30인 타이밍에 대응하는 Tb1 시점 보다, 소정 기간 이른 타이밍인 Tb0 시점 이전까지,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7a와 같은 대기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perate in a standby mode as shown in FIG. 7a until the time Tb0, which is a predetermined period earlier than the time Tb1 corresponding to the recording reservation time of 19:30 on September 10, 2023.
한편, 녹화 예약 시간 보다 소정 기간 이른 타이밍은 Tb0은,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이라 명명할 수 있다.Meanwhile, the timing Tb0, which is a predetermined period earlier than the recording reservation time, can be named as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한편,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인 Tb0 시점에 도달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는, 녹화 예약에 따라, 도 7c와 같은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ime Tb0, which is a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perate in a display off mode as in FIG. 7c according to the recording reservation.
한편,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에서,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1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display off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etc.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15) can be activated.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인 Tb1 이전부터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receive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before Tb1, which is the start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scheduled for recording.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70)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점인 Tb1 이후, 계속하여,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n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inuously receive a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fter Tb1, which is the start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scheduled for recording.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녹화 예약된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된 이후, 해당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가 검출되는 경우,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인 Tb2 이후 부터, 녹화 온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ontrols the recording on mode to be entered after Tb2, which is the time point of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when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after the start of the broadcast program scheduled for recording.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키워드 정보 검출 시점인 Tb2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저장부(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녹화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시청자가 원하는 부분만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o store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point Tb2, which is the keyword information detection tim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scheduled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erform scheduled recording of only the part desired by the viewer.
도 12a는 대기 모드시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ure 12a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operation of a video display device in standby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대기 모드시에,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원 공급부(190)는, PMa와 같은 신호 패쓰에 따라, 마이컴(173)으로 대기 전압(vzw)을 출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standby mode, the power supply unit (190) i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output standby voltage (vzw) to the microcomputer (173) according to a signal path such as PMa.
도 12b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시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ure 12b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 display off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시에,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1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display off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etc.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15) may be activated.
이에 따라, 튜너부(110), 복조부(120), 신호 처리 장치(170)와 같은 신호 패쓰(PMb)에 따라, 방송 영상 신호 또는 방송 오디오 신호 또는 방송 데이터 신호가, 신호 처리 장치(170)로 전달될 수 있다.Accordingly, a broadcast video signal, a broadcast audio signal, or a broadcast data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ccording to a signal path (PMb) such as a tuner unit (110), a demodulator unit (120), or a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도 12b는 디스플레이 온 모드시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ure 12b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 display on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온 모드시에,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1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display on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the display (180), the audio output unit (185), etc. in the image receiving unit (115) may be activated.
이에 따라, 튜너부(110), 복조부(120), 신호 처리 장치(170), 디스플레이(180)와 같은 신호 패쓰(PMc)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70)에서 처리된 방송 영상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ignal path (PMc) such as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or unit (120), the signal processing unit (170), and the display (180), the broadcast image processed in the signal processing unit (17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한편, 도 12c와 관련하여, 신호 처리 장치(17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튜너부(11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with respect to FIG. 12c, when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s reached,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tuner unit (110),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video for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도 12c와 달리, 방송 신호는, 튜너부(110)가 아닌, 셋탑 박스(STB)와 접속되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unlike Fig. 12c, the broadcast signal can also be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onnected to a set-top box (STB), rather than a tuner unit (110).
즉, 신호 처리 장치(17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하는 경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aches a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it receives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or a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and when a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or the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it can control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상태에서, 셋탑 박스(STB)가 전원 오프인 경우, 전원 온 신호를 셋탑 박스(STB)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can transmit a power-on signal to the set-top box (STB) when the set-top box (STB) is powered off when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has been reached. Accordingly,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ortion of the broadcast program can be performed based on a keyword.
한편, 신호 처리 장치(170)는, 방송 프로그램의 예약 시간과 관련된 시간에 도달한 이후, 셋탑 박스(STB)가 온 되는 경우,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고, 방송 프로그램의 영상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키워드 정보와 관련한 텍스트가 검출되는 경우, 텍스트 검출 시점 이후 부터,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키워드에 기초하여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의 예약 시청 또는 예약 녹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receives a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from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when the set-top box (STB) is turned on after the time related to the reservation time of the broadcast program has been reached, and when text related to keyword information is detected from the video signal or audio signal or data signal of the broadcast program,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can control the video of the broadcast program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80) o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from the time of text det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erform reservation viewing or reservation recording of a part of the broadcast program based on the keyword.
도 12d는 녹화 온 모드시의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Figure 12d is a drawing illustrating the internal operation of the video display device in recording on mode.
도면을 참조하면, 녹화 온 모드는, 디스플레이 오프 모드와 동일하게, 신호 처리 장치(170) 외에, 영상 수신부(115) 내의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마이컴(173), IR 수신부(413) 등이 활성화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 in the recording on mod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display off mode, in addition to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ion unit (120), the network interface unit (130), the external device interface unit (130), the storage unit (140), the microcomputer (173), the IR receiver unit (413), etc. within the image receiving unit (115) can be activated.
이때, 디스플레이(180), 오디오 출력부(185) 등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180), audio output unit (185), etc. may be deactivated.
이에 따라, 튜너부(110), 복조부(120), 신호 처리 장치(170), 저장부(140)와 같은 신호 패쓰(PMd)에 따라, 방송 영상 등이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Accordingly, broadcast images, etc.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according to the signal path (PMd) such as the tuner unit (110), the demodulator unit (120), the signal processing device (170), and the storage unit (140).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as claimed in the claims, and such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idea or pro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3/019916WO2025121466A1 (en) | 2023-12-05 | 2023-12-05 | Video display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3/019916WO2025121466A1 (en) | 2023-12-05 | 2023-12-05 | Video display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5121466A1true WO2025121466A1 (en) | 2025-06-12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23/019916PendingWO2025121466A1 (en) | 2023-12-05 | 2023-12-05 | Video display device |
| Country | Link |
|---|---|
| WO (1) | WO2025121466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18360A (en)* | 2007-08-17 | 2009-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roadcasting method which adopted video recording method and the method |
| KR20110035261A (en)* | 2009-09-30 | 2011-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scheduled recording method |
| KR20140063269A (en)* | 2012-11-16 | 2014-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roadcast program recording apparatus connected with cloud server and recording method of the broadcast program recording apparatus |
| KR20210011290A (en)* | 2019-07-22 | 2021-0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20220164965A (en)* | 2021-06-07 | 2022-12-14 | 유한회사 리얼임팩트 | Pv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90018360A (en)* | 2007-08-17 | 2009-02-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roadcasting method which adopted video recording method and the method |
| KR20110035261A (en)* | 2009-09-30 | 2011-04-0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gital broadcast receiver and scheduled recording method |
| KR20140063269A (en)* | 2012-11-16 | 2014-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Broadcast program recording apparatus connected with cloud server and recording method of the broadcast program recording apparatus |
| KR20210011290A (en)* | 2019-07-22 | 2021-0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 KR20220164965A (en)* | 2021-06-07 | 2022-12-14 | 유한회사 리얼임팩트 | Pvr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O2017003007A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 |
| WO2019039634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WO2021132757A1 (en) | Display apparatus | |
| WO2021117953A1 (en) | Display apparatus | |
| WO2017111321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WO2016043404A1 (en) | Multimedia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o signal thereof | |
| WO2018088667A1 (en) | Display device | |
| WO2018190517A1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s thereof | |
| EP3698349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 WO2019078541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 |
| WO2021040369A1 (en) |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 WO2022270655A1 (en) | Remote control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 WO2016035983A1 (en) | Image provid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 WO2023008606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WO2015170938A1 (en) | Image providing device | |
| WO2020138962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WO2025121466A1 (en) | Video display device | |
| WO2022260196A1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comprising same | |
| WO2014115937A1 (en) | Display apparatus | |
| WO2023003055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WO2022085831A1 (en) | Wireless sound output device and wireless sound output system comprising same | |
| WO2015012500A1 (en) | Multimedia device and user command prediction method therefor | |
| WO2021137333A1 (en) | Display device | |
| WO2025058096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 WO2021080060A1 (en) | Image display devic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23960896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