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의료용 3웨이 스탑콕에 관한 것으로, 연결튜브에 원터치형 3웨이 스탑콕을 연결하여 의료진은 석션기를 제거하지 않고 석션과 세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3-way stopcock, which allows medical staff to freely perform suction and cleaning without removing the suction device by connecting the one-touch 3-way stopcock to a connecting tube.
통상의 척추수술은 척추를 외부로 개방하기 위하여 비교적 큰 절개를 시행하므로 통증이 심하고 회복시간이 길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가 있어서, 최소침습방식의 수술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Conventional spine surgery involves making a relatively large incision to open the spine to the outside,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severe pain and long recovery time, so minimally invasive surgery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이러한 최소침습방식의 수술은 최소한의 절개 부위로 국소 마취하에서 카테터를 경피적으로 병변 부위에 도달시킨 후, 필요한 치료를 수행하는 방법이다.This minimally invasive surgery involves inserting a catheter percutaneously into the lesion area under local anesthesia with minimal incision and then performing the necessary treatment.
최근에는 이러한 최소침습방식을 이용한 척추내시경술이 시행되고 있는데, 피부를 절개하여 척추 내시경에 필요한 도구를 삽입하여 진행하고 있다.Recently, spinal endoscopy using this minimally invasive method is being performed by cutting the skin and inserting the tools necessary for spinal endoscopy.
특히 양방향 척추내시경술(UBE: Unilateral Biportal Endoscopy)이 시행되기도 하는데, 이는 피부에 두 개의 작은 구멍을 내고, 일측 구멍에는 척추내시경을, 다른 쪽 구멍에는 수술에 필요한 도구를 삽입하여 진행하는 수술법으로서, 근육을 포함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술 감염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Unilateral Biportal Endoscopy (UBE) is sometimes performed, which is a surgical method that involves making two small holes in the skin, inserting a spinal endoscope into one hole and inserting the tools necessary for the surgery into the other hole. It ha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damage to tissues, including muscles, and having almost no surgical infection.
이러한 척추내시경술에서는 중요한 점은 정확한 시야확보이다. 내시경 선단의 렌즈가 체내 조직이나 내부 출혈 혈액 등에 의해 가려질 경우 빠르고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척추내시경술뿐만 아니라 무릎, 어깨 등과 같은 관절경 수술에서도 시야 확보는 중요하다.An important point in this kind of spinal endoscopy is securing an accurate field of view. This is because quick and effective treatment cannot be performed if the lens at the tip of the endoscope is obscured by body tissue or internal bleeding blood. Ensuring visibility is important not only in spinal endoscopy but also in arthroscopic surgeries such as knee and shoulder surgery.
이를 위해 수술 도구가 개발되고 있으며, 병변치료를 위한 ablation을 할뿐만 아니라, 내시경의 시야확보를 위해 연조직이나 인대를 제거한다거나 지혈을 위해 고주파 치료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For this purpose, surgical tools are being developed, and in addition to ablation for lesion treatment,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s are used to remove soft tissue or ligaments to secure the endoscope's field of view, and to achieve hemostasis.
이러한 고주파 치료장치는 제너레이터(generator)에 연결되어 수술 시 시야를 방해하는 체내 연조직이나 인대를 바로 제거하고, 신속한 지혈작용이 가능하며, 치료 부위에 식염수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체외로 배출할 수 있어 효과적인 수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is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is connected to a generator and immediately removes soft tissues or ligaments in the body that interfere with vision during surgery, enables rapid hemostasis, and discharges contaminants out of the body by passing saline solution through the treatment area. This makes effective surgery possible.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주파 치료장치에는 상기 제거된 조직과 오염물질을 체외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튜브가 후방에 연결되게 되는데, 상기 배출튜브는 석션기(sunction)와 연결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되고 있다.As shown in Figure 1, the conventional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has a discharge tube connected to the rear to discharge the removed tissue and contaminants out of the body. The discharge tube is connected to a suction devic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t is being used to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구조로는 석션만 가능하기 때문에 관수가 필요한 경우에는 의료진이 배출튜브와 연결된 석션기를 제거하고 주입기(syringe)를 연결하여 세척(irrigation)을 수행하고 있다.However, since this conventional structure only allows suction, when irrigation is needed, medical staff removes the su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discharge tube and connects a syringe to perform irrigation.
이러한 과정은 수술 중 매우 번거롭고, 수술 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되고 있어, 새로운 구조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This process is very cumbersome during surgery and has become a problem that delays surgery time, necessitating the need for a new structure.
본 발명은 상기 필요성에 의해 고안된 것으로서, 연결튜브에 3웨이 스탑콕을 연결하여 석션과 세척이 가능하도록 하고, 의료진은 석션기를 제거하지 않고 석션과 세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signed in response to the above need, and is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that enables suction and cleaning by connecting a 3-way stopcock to a connecting tube, and allows medical staff to freely perform suction and cleaning without removing the suction devic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결튜브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이 오픈되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헤드부는 상기 본체의 오픈된 부분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3웨이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탑퍼와, 상기 본체의 공간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탑퍼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3웨이 유로 및 상기 연결튜브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 및 상기 스탑퍼의 누름동작 및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원터치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connecting tube, has a space formed inside, a main body formed to be open on the upper side,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head part is exposed to the open part of the main body. is formed, a 3-way flow path is formed inside, a stopper rotated inside the main body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head portion, and a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pace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3-way flow path is formed by the rotating action of the stopper. The technical gist is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that includes a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ortions formed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nd the connection tube, and a one-touch control portion that controls the pressing and rotating operations of the stopper.
또한, 상기 스탑퍼의 헤드부는, 상기 3웨이 유로에 대응되게 3웨이를 지시하는 지시구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ead portion of the stopp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indicator indicating 3 ways corresponding to the 3 way flow path.
또한, 상기 제1연결부는 석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는 관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튜브와 선택적으로 각각 개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irrigation part, and is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with the connection tube.
또한,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에는 상기 석션부 및 관수부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구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be further formed with a coupler for connection with the suction part and the irrigation part.
또한, 상기 원터치 제어부는, 상기 본체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로와, 상기 스탑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탑퍼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로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수용되며, 상기 스탑퍼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탑퍼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ne-touch control unit includes a guide path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 stopping protrus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opper and moved in one direction along the guide path by a pressing action of the stopper, and It is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sp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es an elastic par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topper to provide elastic force to the stopper.
또한,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본체 내부면을 따라 상하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탑퍼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안내되어 상기 스탑퍼의 회전동작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로와, 상기 스탑퍼의 누름동작의 해제에 의해 상기 걸림턱이 안내되어 상기 스탑퍼의 회전동작 및 스탑동작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guide includes a first guide that is formed in a zigzag shape up and dow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uides the locking protrusion by a pressing action of the stopper to induce a rotational action of the stopp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pper is guided by the release of the pressing action of the stopper and consists of a second guide that guides the rotation and stopping actions of the stopper.
또한, 상기 제1가이드로는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가이드로는 상기 스탑퍼의 회전동작 및 스탑동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에 비해 폭이 넓은 곡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second guide is preferably formed in a curved shape that is wider than the first guide in order to induce rotation and stopping operations of the stopper.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튜브와의 연결을 위한 제3연결부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third connection part for connection to the connection tube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3웨이 유로는, 9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three-way flow path is preferably formed at 90-degree intervals.
또한, 상기 연결튜브는, 내시경 수술용 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dditionally, the connecting tube is preferably connected to an endoscopic surgical device.
본 발명은 내시경 수술용 장치에 연결되어, 스탑퍼에 의해 3웨이 유로를 개폐시켜 석션과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n endoscopic surgical device and opens and closes the 3-way flow path using a stopper to facilitate suction and cleaning, thereby enabling quick response during surgery.
또한, 본 발명은 스탑퍼의 회전이 누름동작 및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되므로, 기존의 수동으로 스탑퍼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비해 유로의 개폐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수술시간을 줄이면서, 수술시 다변하는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stopp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a one-touch operation using a pressing action and elastic force,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ath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of manually rotating the stopper. By reducing surgical tim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during surgery.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척추내시경술뿐만 아니라 무릎, 어깨 등과 같은 관절경 수술 등 다양한 내시경 수술에 적용할 수 있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endoscopic surgeries, such as arthroscopic surgeries such as knee, shoulder, etc., as well as spinal endoscopy.
도 1 - 종래의 고주파 치료장치에 연결된 배출튜브를 통해 석션을 수행하는 장치를 나타낸 모식도.Figure 1 -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device that performs suction through a discharge tube connected to a conventional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사시도.Figure 2 -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분해 사시도.Figure 3 -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단면 작동 모식도(A-A').Figure 4 - A cross-sectional operational schematic diagram (A-A')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단면도(B-B').Figure 5 - Cross-sectional view (B-B')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작동 모식도.6 to 8 - Schematic diagram of the operation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사용 예시도.Figure 9 - An example of the use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내시경 수술용 장치에 연결되어, 석션과 관수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that can be connected to an endoscopic surgical device and conveniently perform suction and irrigation.
특히 스탑퍼에 의해 3웨이 유로를 개폐시켜 연결튜브와 제1연결부, 연결튜브와 제2연결부 간의 개폐를 조절하여 석션과 세척이 각각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진은 석션기를 제거하지 않고 석션과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stopper opens and closes the 3-way flow path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between the connecting tube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ng tube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allowing suction and cleaning, respectively, so medical staff can easily suction and clean without removing the suction device. It is about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that can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단면 작동 모식도(A-A')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에 대한 단면도(B-B')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작동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사용 예시도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operational schematic diagram (A-A')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B-B')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Figures 6 to 8 are schematic diagrams of the operation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9 is an example of the use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은, 연결튜브(20)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측이 오픈되게 형성된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며, 헤드부(210)는 상기 본체(100)의 오픈된 부분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3웨이 유로(230)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1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회전되는 스탑퍼(200)와,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3웨이 유로(230) 및 상기 연결튜브(20)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된 제1연결부(300) 및 제2연결부(400) 및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 및 회전동작을 제어하는 원터치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the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은 본체(100), 스탑퍼(200), 제1연결부(300) 및 제2연결부(400) 그리고 스탑퍼(200)의 원터치 동작을 제어하는 원터치 제어부(600)로 크게 구성된다.That is, the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touch device that controls the one-touch operation of the
본 발명에서의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은 내시경 수술용 장치(10), 예컨대 척추내시경술을 위한 고주파 치료장치 등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와 연결된 연결튜브(20)에 의해 연결되게 된다.The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an endoscopic
상기 고주파 치료장치는 병변치료를 위한 ablation을 할뿐만 아니라, 내시경의 시야확보를 위해 연조직이나 인대를 제거한다거나 지혈을 하는 등의 능동적 보조를 위한 것으로, 제너레이터(generator)에 연결되어 수술 시 시야를 방해하는 체내 연조직이나 인대를 바로 제거하고, 신속한 지혈작용이 가능하며, 치료 부위에 식염수를 통과시켜 오염물질을 체외로 배출시킨다.The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not only performs ablation for lesion treatment, but also provides active assistance such as removing soft tissue or ligaments or hemostasis to secure the view of the endoscope. It is connected to a generator and interferes with the view during surgery. It immediately removes soft tissue or ligaments in the body, enables quick hemostasis, and passes saline solution through the treatment area to expel contaminants out of the body.
이러한 고주파 치료장치에는 치료 부위에 식염수를 제공하고(관수), 오염물질을 체외로 배출(석션)시키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관수 및 석션을 신속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In such a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the operation of providing saline solution to the treatment area (irrigation) and discharging contaminants out of the body (suction) must be performed quick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quickly perform such irrigation and suction.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100)는 연결튜브(20)에 연결되며, 내부에 공간부(110)가 형성되고, 상측이 오픈되게 형성된다.First, the
상기 본체(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후술할 스탑퍼(200) 및 탄성부(630)가 수용될 수 있으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이 용이하도록 공간부(110)가 형성되며, 상측이 오픈되게 형성된다.The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10)와 연통되면서 상기 스탑퍼(200)의 3웨이 유로(230)에 대응되어 연결튜브(20)와 연결되는 제3연결부(500), 석션부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300), 관수부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400)가 각각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제1연결부(300)가 관수부, 제2연결부(400)가 석션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A third connection portion ( 500), a
본 발명에서의 연결튜브(20)는 상기 내시경 수술용 장치(10)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석션 또는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connecting
그리고 상기 스탑퍼(200)는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며, 헤드부(210)는 상기 본체(100)의 오픈된 부분으로 노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3웨이 유로(230)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1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100)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형성된다.And the
상기 스탑퍼(200)는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며,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서 회전 및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도록 형성되며, 헤드부(210)는 상기 본체(100)의 오픈된 부분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상기 헤드부(210)에는 상기 3웨이 유로(230)에 대응되게 3웨이를 지시하는 지시구(211)가 형성된다. 상기 지시구(211)는 상기 제1연결부(300), 제2연결부(400) 및 제3연결부(500)의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지시구(211)의 방향을 보고 연결튜브(20)가 어느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어 수술시 빠른 대응을 할 수 있게 된다.An
상기 3웨이 유로(230)는 상기 스탑퍼(200)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연결부(300), 제2연결부(400) 및 제3연결부(500)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탑퍼(200)의 중심에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연결부(300), 제2연결부(400) 및 제3연결부(500)와 각각 연통되게 된다.The three-
즉,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3웨이 유로(230)와 상기 연결부 간은 개폐되어 연결튜브(20)-제1연결부(300), 연결튜브(20)-제2연결부(400) 간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스탑퍼(200)를 회전시켜 연결튜브(20)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by the rotation of the
본 발명에서의 스탑퍼(200)의 회전은 누름동작 및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되며, 기존의 수동으로 스탑퍼(200)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유로의 개폐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 of the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300) 및 제2연결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3연결부(500)와 같이 상기 3웨이 유로(230)의 방향에 대응되게 형성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제1연결부(300) 및 제2연결부(400)는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와 연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3웨이 유로(230) 및 상기 연결튜브(20)와 선택적으로 개폐되게 된다.The
상기 제1연결부(300)는 석션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연결부(400)는 관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에 의해 연결튜브(20)-제1연결부(300), 연결튜브(20)-제2연결부(400) 간의 유로를 형성하여, 의료진은 수술 도중 석션부를 제거하거나 관수부를 연결하지 않고도 스탑퍼(200)의 누름동작만으로 석션과 관수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이러한 상기 제1연결부(300) 및 제2연결부(400)에는 상기 석션부 및 관수부와의 연결을 위한 결합구(310),(4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310),(410)는 나사산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에 결합된 연결잭에 의해 석션부 및 관수부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제어부(600)는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 및 회전동작을 제어하게 된다.And the one-
상기 원터치 제어부(600)는, 상기 본체(100) 내부면을 따라 형성된 가이드로(610)와, 상기 스탑퍼(200)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로(610)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걸림턱(620)과,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며, 상기 스탑퍼(200)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탑퍼(2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63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The one-
즉,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스탑퍼(200)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620)이 상기 본체(100) 내부면에 형성된 가이드로(610)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과 스탑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탑퍼(200)는 상기 탄성부(630)에 의해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누름동작 및 스탑동작시 작동을 원활하게 하면서 일정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임의로 누름동작 및 스탑동작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That is,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상기 가이드로(610)는 상기 본체(100)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가이드로(610)를 따라 걸림턱(620)이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The
상기 가이드로(610)는 상기 본체(100) 내부면을 따라 상하로 지그재그 형상으로 형성되어 360도 전 방향으로 연속되어 형성된다.The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로(610)는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턱(620)이 안내되어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을 유도하는 제1가이드로(611)와,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의 해제에 의해 상기 걸림턱(620)이 안내되어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 및 스탑동작을 유도하는 제2가이드로(612)로 이루어진다.Specifically, the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가이드로(611)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을 유도하며, 상기 제2가이드로(612)는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 및 스탑동작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제1가이드에 비해 폭이 넓은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the
상기 탄성부(630)는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수용되며, 상기 스탑퍼(200)의 하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탑퍼(200)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탄성재질로 형성되거나 스프링 등으로 형성된다.The
즉,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걸림턱(620)이 제1가이드로(611)를 따라 안내되면서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이 유도되고, 상기 스탑퍼(200)가 최대로 눌러지는 부분에서 상기 상기 걸림턱(620)은 제2가이드로(612)로 안내되어 스탑퍼(200)의 회전동작 및 스탑동작이 유도되도록 한다.That is, by the pressing action of the
상기 제2가이드로(612)는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 및 스탑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가이드에 비해 폭이 넓은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620)이 제1가이드로(611)를 벗어나는 순간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이 해제됨고 동시에 상기 탄성부(630)에 의해 스탑퍼(200)를 상승시키면서 상기 걸림턱(620)은 제2가이드로(612)를 통해 안내되어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되면서 최종적으로 정지되게 된다.The
상기 스탑퍼(200)가 정지된 위치에서는 상기 3웨이 유로(230)와 상기 제1연결부(300) 및 제2연결부(400) 그리고 제3연결부(500)와의 개폐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At a position where th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탑퍼(200)의 원터치 누름동작에 의해 스탑퍼(200)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스탑퍼(200) 내부에 형성된 3웨이 유로(230)가 상기 제1연결부 내지 제3연결부(300),(400),(500)와 연통되면서, 연결튜브(20)-제1연결부(300), 연결튜브(20)-제2연결부(400) 간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4 to 9,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작동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s 6 to 8 show a schematic diagram of the operation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탑퍼(200)의 지시구(211)는 제1연결부(300)와 제3연결부(500)를 지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연결튜브(20)(제3연결부(500))-제1연결부(300)가 연통되어 석션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ure 6 (a), the
이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620)이 상기 가이드로(610) 내부에 최정점에 머무르게 되며, 상기 탄성부(630)에 의해 상기 스탑퍼(200)는 탄성력을 제공받아 스탑동작이 유지되도록 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b), the stopping
도 6(c)는 연결튜브(20)(제3연결부(500))-제1연결부(300) 간의 유로가 개방되어 연통되는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제1연결부(300)는 석션 통로를 사용하여, 석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1연결부(300)는 관수부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관수 통로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Figure 6(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low path between the connection tube 20 (third connection part 500) and the
도 7(a)는 상기 스탑퍼(2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스탑퍼(20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턱(620)은 제1가이드로(611)를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스탑퍼(200)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걸림턱(620)이 상기 가이드로(610) 내부에 최하점에 머무르게 된다.Figure 7(a) is intended to rotate the
상기 스탑퍼(200)의 지시구(211)는 제1연결부 내지 제3연결부(300),(400),(500) 중 어느 것도 지시하고 않게 되며, 이러한 상황은 3웨이 유로(230)와 제1연결부 내지 제3연결부(300),(400),(500) 모두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다.The
사용자는 이러한 지시구(211)의 방향을 보고 연결튜브(20)가 어느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는지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어 수술시 대응이 빠르게 이루질 수 있다.The user can quickly recognize which connection the connecting
도 7(c)는 3웨이 유로(230)와 제1연결부 내지 제3연결부(300),(400),(500) 모두가 닫혀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 7(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3-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탑퍼(200)의 지시구(211)는 제2연결부(400)와 제3연결부(500)를 지시하고 있으며, 이 경우 연결튜브(20)(제3연결부(500))-제2연결부(400)가 연통되어 관수가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Figure 8 (a), the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7(b)에서 상기 걸림턱(620)이 상기 가이드로(610) 내부 최하점에 머무르게 된 상태에서 누름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탄성부(630)에 의해 상기 스탑퍼(200)가 상측으로 힘을 받게 되면서 상기 걸림턱(620)은 상기 제1가이드로(611)에서 제2가이드로(612)를 따라 상승하여 누름동작의 해제와 동시에 상기 걸림턱(620)은 상기 가이드로(610) 내부에 최정점에 머무르게 되면서, 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b), when the pressing operation is released while the locking
도 8(c)는 연결튜브(20)(제3연결부(500))-제2연결부(400) 간의 유로가 개방되어 연통되는 상황을 도시한 단면도로, 상기 제2연결부(400)는 관수 통로를 사용하여, 관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제2연결부(400)는 석션부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석션 통로로 사용하여도 무방하다.Figure 8(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low path between the connection tube 20 (third connection part 500) and th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의 사용 예시를 나타낸 것으로, 척추내시경술 고주파 치료장치와 연결튜브(20)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튜브(2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이 연결되게 된다.Figure 9 shows an example of the use of a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pinal endoscopic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and a connecting
본 발명은 척추내시경술뿐만 아니라 무릎, 어깨 등과 같은 관절경 수술 등 다양한 내시경 수술시에 고주파 치료장치와 연결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high-frequency treatment device during various endoscopic surgeries such as spinal endoscopy as well as arthroscopic surgeries such as knee and shoulder surgerie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원터치 3웨이 스탑콕은 스탑퍼에 의해 3웨이 유로를 개폐시켜 석션과 세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시 빠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is way, the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ns and closes the 3-way flow path using a stopper to facilitate suction and cleaning, thereby enabling quick response during surgery.
또한, 본 발명은 스탑퍼의 회전이 누름동작 및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게 되므로, 기존의 수동으로 스탑퍼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의해 유로의 개폐가 용이하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수술시간을 줄이면서, 수술시 다변하는 상황에 대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stopper is automatically performed through a one-touch operation by pressing and elastic forc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low path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by the existing method of manually rotating the stopper, By reducing surgical time, it is possible to quickly respond to various situations during surgery.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2/008969WO2023249142A1 (en) | 2022-06-23 | 2022-06-23 | One-touch three-way medical stopcock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2/008969WO2023249142A1 (en) | 2022-06-23 | 2022-06-23 | One-touch three-way medical stopcock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3249142A1true WO2023249142A1 (en) | 2023-12-2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22/008969CeasedWO2023249142A1 (en) | 2022-06-23 | 2022-06-23 | One-touch three-way medical stopcock |
| Country | Link |
|---|---|
| WO (1) | WO2023249142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632361A (en)* | 1983-01-26 | 1986-12-30 | Callison & Associates Limited Partnership | Scheduled fluid control valve |
| US20080319401A1 (en)* | 2007-02-08 | 2008-12-2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topcock Valve |
| US8602058B1 (en)* | 2009-08-12 | 2013-12-10 | Gil Del Castillo | Pushbutton stopcock assembly |
| JP2014100566A (en)* | 2012-11-16 | 2014-06-05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Irrigated catheter with fluid evacuation |
| KR20200027267A (en)* | 2018-09-04 | 2020-03-12 | 곽정석 | Stop-cock of 3-way type for medical treatment |
| KR20220107543A (en)* | 2021-01-25 | 2022-08-02 | 주식회사 엔도비전 | Medical one-touch 3-way stop cock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632361A (en)* | 1983-01-26 | 1986-12-30 | Callison & Associates Limited Partnership | Scheduled fluid control valve |
| US20080319401A1 (en)* | 2007-02-08 | 2008-12-25 | Tyco Healthcare Group Lp | Stopcock Valve |
| US8602058B1 (en)* | 2009-08-12 | 2013-12-10 | Gil Del Castillo | Pushbutton stopcock assembly |
| JP2014100566A (en)* | 2012-11-16 | 2014-06-05 | Biosense Webster (Israel) Ltd | Irrigated catheter with fluid evacuation |
| KR20200027267A (en)* | 2018-09-04 | 2020-03-12 | 곽정석 | Stop-cock of 3-way type for medical treatment |
| KR20220107543A (en)* | 2021-01-25 | 2022-08-02 | 주식회사 엔도비전 | Medical one-touch 3-way stop cock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107572B2 (en) | Surgical method utilizing transluminal endoscope and instruments | |
| JP3342021B2 (en) | Medical device system that penetrates tissue | |
| RU2567270C2 (en) | Retractor creating minimum of obstacles | |
| US8439828B2 (en) | Treatment endoscope | |
| WO2010041900A2 (en) | Port and port assembly for use with to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and method of using same port and port assembly | |
| JP2008526360A (en) | Catheter with multiple visual elements | |
| WO2018203675A1 (en) | Microsurgical instrument capable of joint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 |
| WO2013028786A2 (en) | Hand-mounted, video-guided system for treating peritonitis and other medical conditions | |
| WO2022250191A1 (en) | Medical resection device | |
| WO2018066869A1 (en) | Detachable surgical gas evacuator for laparoscopic sugery device | |
| WO2018159908A1 (en) | High frequency treatment device for spinal endoscopic surgery | |
| WO2020075941A1 (en) | Non-closure circular stapler | |
| WO2020235872A2 (en) | Suturing apparatus integrated with trocar | |
| WO2023249142A1 (en) | One-touch three-way medical stopcock | |
| WO2023048331A1 (en) | Medical snare device | |
| US20230338046A1 (en) | Method and device for performing incisionless surgery | |
| KR102566128B1 (en) | Medical one-touch 3-way stopcock | |
| WO2020045882A1 (en) | Lesion marking system for laparoscopic surgery | |
| WO2020204632A1 (en) | Detachable medical snare current connection device and medical snare using same | |
| WO2018235994A1 (en) | Medical Trocar | |
| CN109620316B (en) | Lower casing cable of endoscope | |
| WO2023048332A1 (en) | Medical snare device | |
| WO2020185040A2 (en) | Body-insertable medical device module | |
| US20110105842A1 (en) | Su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instruments and method | |
| CN223111782U (en) | A vascular closure system capable of removing smoke from the laparoscopic surgical field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22948076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DE |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22948076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