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복수의 PA 및 송신 안테나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UL MIMO(Up Link Multi-Input Multi-Output)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plurality of PAs and transmission antenn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UL MIMO (Up Link Multi-Input Multi-Output).
최근 이동 단말기는 LTE 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향후에는 5G 통신 기술을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LTE 주파수 대역 중 일부를 5G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할당될 수 있다.Recently,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LTE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commercialized for mobile terminals, providing various services. In addition, in the futur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ing 5G communication technology are expected to be commercialized and provide various services. Meanwhile, some of the LTE frequency bands may be allocated to provide 5G communication services.
상기 5G 네트워크 통신의 경우 데이터 전송률이 높아짐에 따라 하향 링크(Download Link) 뿐만 아니라 상향 링크(Up Link)에 대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5G 통신이 지원가능한 통상적인 이동 단말기는, 상기 다수의 안테나 중 복수개를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에 모두 사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정확도를 향상시키거나 보다 넓은 송신 커버리지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방안이 연구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서 UL MIMO(Up Link Multi-Input Multi-Output) 방식이 등장하였다. UL MIMO 방식은 복수의 송신 안테나가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5G network communication, as the data transmission rate increases, more improved data transmission is required not only for a download link but also an uplink. Accordingly, a typical mobile terminal currently capable of supporting 5G communication uses a plurality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for both data reception and transmission to improve the data transmission accuracy of the mobile terminal or to secure wider transmission coverage. The way to do this was studied. 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UL MIMO (Up Link Multi-Input Multi-Output) method appeared. The UL MIMO scheme allows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to transmit the same data, and has an advantage in that data can be transmitted more efficiently.
한편 이러한 UL MIMO 방식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 환경이 양호한 경우 UL MIM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데이터의 유실율을 크게 낮출 수 있다. 그런데 UL MIMO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송신 안테나가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안테나 각각의 송신 파워(power)에 의해 결정되는 합 파워(Sum Power)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파워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 UL MIMO 방식은 하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통상의 방식보다 더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에 현재의 이동 단말기는 기지국의 요청에 따라 UL MIMO 방식 또는 하나의 안테나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일 전송(Single Transmission) 방식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지국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is UL MIMO scheme can be selectively used. For example, when the channel environme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is good, the base station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data loss rate by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UL MIMO method. However, in the UL MIMO metho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transmission antennas simultaneously transmit data, and the data transmission power of the mobile terminal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um power determined by the transmission pow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ntennas. Can be determined. Therefore, if the channel environment is not good, the UL MIMO method may be more efficient than a conventional method using one antenna, and thus, the current mobile terminal may use the UL MIMO method or one antenna at the request of the base station. The data may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by selectively using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for transmitting a.
그런데 상향 링크에 대한 보다 향상된 데이터 전송 요구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파워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데이터의 송신 파워가 향상되면 PA에 보다 많은 전류가 공급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PA는 보다 높은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a more advanced data transmission request for an uplink, there is a demand for an improvement in transmission power for transmitting data from a mobile terminal. In this case, if the data transmission power is improved, more current must be supplied to the PA, and accordingly, the PA of the mobile terminal may generate higher heat.
이 경우 UL MIMO 방식에 따르면 복수의 PA에 의해 송신 파워가 분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일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하나의 PA에 의해 송신 파워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UL MIMO 방식보다 더 많은 전류가 PA에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파워의 향상 시 이동 단말기의 특정 부분, 예를 들어 PA가 배치된 부분에 높은 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기기 내부의 손상 및 사용자의 상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UL MIMO scheme, transmission power may be shared by a plurality of PAs. However, when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ingle transmission scheme, transmission power must be formed by one PA, and thus more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PA than the UL MIMO scheme. Therefore, when the transmission power is improved, there is a problem that high heat may be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a part in which a PA is disposed, and accordingly, damage inside the device and injury to the user may occur.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 송신 파워를 향상시키면서도 발열량이 낮은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설정된 회피 영역의 경계를 추종하여 자율 주행이 가능한 로봇 청소기 및 그 로봇 청소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and other problems, and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with low heat generation while improving transmission power when transmitting data in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and a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The purpos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cleaner capable of autonomous driving by following a boundary of an avoidance area set by a user, and a control method of the robot cleane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송수신 겸용으로 사용하는 두 개의 안테나를 포함하는 복수의 안테나와, 상기 두 개의 안테나에 각각 연결되며,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두 개의 안테나에서 송신될 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두 개의 PA(Power Amplifier)와, 상기 두 개 PA의 구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와, 상기 두 개 PA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요청하는 기지국의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두 개의 PA 각각의 송신 파워 헤드룸(headroom)에 근거하여 제1 PA를 선택 및 선택된 제1 PA에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PA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PA의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P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 및 상기 제1 PA와 다른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ntennas including two antennas used for b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two power amplifiers (PAs) each connected to the two antennas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signals to be transmitted from the two antennas according to an input current Wow, a power supply unit that supplies current for driving the two PAs, a temperature sensing unit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each of the two PAs, and a control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requesting to transmit data through one antenna is received. In this case, the first PA is selec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each of the two PAs, and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so that current is supplied only to the selected first PA, and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P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power supply unit to cut off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PA based o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and to supply current to a second PA different from the first P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PA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PA에서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상기 제2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에 근거하여 더 검출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제1 온도 이상인 상태에서, 상기 제2 PA가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P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 및 상기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제2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PA is usable when the temperature sensed by the first PA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in a state where current is supplied to the first PA. Further detec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PA is usable when the sensed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first temperature,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PA is cut off and the second PA is The power supply unit is controlled to supply current, and whether the second PA is usable or not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the second P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PA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PA와 제2 PA간의 온도 차이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 차이가 제2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두 개의 PA에 교번하여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detects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in a state where current is supplied to the second PA, and when the detected temperatur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second temperature, the two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to supply current to the two PAs alternatel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안테나 모두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되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2개 PA의 온도 차이에 근거하여, 송신 파워의 헤드룸에 따라 어느 하나의 PA에만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두 개의 PA에 교번하여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when the control message is received in a stat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through both antennas, is based on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As, according to a headroom of transmission pow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to supply current to only one of the PAs or to alternately supply current to the two PA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PA에 교번하여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두 개의 PA 각각의 송신 파워 헤드룸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PA를 선택 및 선택된 PA에만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selects and selects any one PA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each of the two PAs when a preset time elapses when current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two PA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upply is controlled to supply current only to the PA.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 개의 PA에 교번하여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주기 마다 서로 다른 PA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supplies current to different PAs for each data transmiss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time division multiplexed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when current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two PA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power supply to b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PA는, 상기 두 개의 PA 중,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이 큰 PA임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A is a PA having a large transmit power headroom value among the two PA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메시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두 개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데이터들이 송신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들에 근거하여 판단한 채널 환경에 따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message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a channel environment determined by the base station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when data is simultaneously transmitted from two antennas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 PA에 기 설정된 최대 송신 파워 헤드룸들 각각으로부터, 각 PA의 현재 송신 출력값을 차감하여, 상기 두 개의 PA 각각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calculates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each of the two PAs by subtracting the current transmission power value of each PA from each of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headrooms preset for each PA. do.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최대 송신 파워 헤드룸들은, 상기 각 PA에 설정된 최대 송신 파워 출력들이며, 상기 각 PA의 현재 송신 출력값은, 상기 기지국의 요청에 포함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된 송신 출력임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maximum transmission power headrooms are maximum transmission power outputs set for each PA, and the current transmission power value of each PA is a transmission power controlled by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included in the request of the base station. It is characterized by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겸용으로 사용하는 두 개의 안테나는, 5G NR(New Radio) 프로토콜에 따라 n41 밴드, n77 밴드, n78 밴드 및 n79 밴드 중 어느 한 밴드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들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two antennas used for both transmission and reception are antenna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of any one of n41 band, n77 band, n78 band, and n79 band according to the 5G NR (New Radio) protocol. It feature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모뎀(MODEM),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임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a modem (MODEM), an application processor (AP), or a terminal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 방식이 변경되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UL MIMO(Up Link Multi Input Multi Output)를 위해 구비된 복수의 송수신 겸용 채널 각각의 PA(Power Amplifier)들에 대한 송신 파워 헤드룸들을 산출하고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에 근거하여 제1 PA를 선택하는 제1 단계와, 선택된 제1 PA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제1 PA를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제1 PA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PA의 온도 측정 및 상기 제1 PA와 다른 제2 PA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1 PA의 온도 측정 결과 및 상기 제2 PA의 사용 가능 여부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P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1 PA를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PA를 활성화하는 제4 단계와, 상기 활성화된 제2 PA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비활성화된 제1 PA와 활성화된 제2 PA의 온도 차이가 제1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제1 PA 및 제2 PA에 교번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서로 다른 PA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object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in which a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L MIMO (Up Link Multi Input Multi Output) A first step of calculating transmission power headrooms for power amplifiers (PAs) of each of a plurality of transmission/reception channels provided for) and selecting a first PA based on the calculated transmission power headroom, and the selected first A second step of activating the first PA by supplying current to a PA, and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through the activated first PA, and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different from the first PA.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be usable or not, according to a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of the first PA and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cond PA is usable, inactivating the first PA by blocking the current supplied to the first PA, and A fourth step of activating a second PA by supplying current to the second PA, a fifth step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the activated second PA, and the deactivated first PA and a second activated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PA is less than the first temperature, by alternately supplying current to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and a sixth step of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through different PAs at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o do.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preset time is a time corresponding to a data transmiss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ime division multiplexed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시분할 다중화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수신 주기 마다, 서로 다른 PA의 송신 출력 변경을 위한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6-1 단계와, 상기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 각각에 따라, 상기 제1 PA 및 제2 PA의 송신 출력을 각각 제어하는 제6-2 단계와,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상기 제1 PA 및 제2 PA의 각각 제어된 송신 출력에 근거하여 각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들을 재산출하는 제6-3 단계 및, 재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들에 근거하여 제1 PA를 다시 선택하는 제6-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in the sixth step, a sixth step of receiving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for changing transmission power of different PAs from the base station for each data reception period of the time division multiplexed mobile terminal. Step -1 and step 6-2 of respectively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according to each of the received transmission power parameters,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first PA and the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제1 PA와 제2 PA의 온도를 측정 및 측정된 온도의 차이를 산출하는 제1-1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각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들을 바로 산출하거나, 또는 상기 제1 PA 및 제2 PA에 교번하여 전류를 공급하여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서로 다른 PA를 통해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한 이후에 각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들을 산출하는 제1-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step comprises step 1-1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and calcul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temperature, Transmission power headrooms of each PA are calculated immediately, or transmission of each PA is performed after data transmission is performed through different PAs at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by alternately supplying current to the first and second PAs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1-2 step of calculating the power headrooms.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는, 상기 제2 PA에 대해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 embodiment, whether the second PA is usable is determ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calculated transmission power headroom for the second PA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value.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단일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시에, 2개의 PA를 서로 스위칭하여 활성화하여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된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heat that may occur locally in the mobile terminal by switching and activating two PAs to transmit data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stable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시에, 각 PA로부터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headroom)에 근거하여, 보다 채널 환경이 양호한 채널에 대응하는 PA가 우선적으로 활성화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면서도 소모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PA corresponding to a channel with a better channel environment to be preferentially activated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calculated from each PA when data is transmitted according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the heat that may be generated locally.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1B and 1C are exemplary views as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의 무선 통신부 구조에서, 송수신 겸용 안테나들 및 상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들의 PA들에 전류가 공급되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current is supplied to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s and PAs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s in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데이터들이 교환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ata is exchanged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어느 하나의 PA를 활성화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ctivating any one PA when data is transmitted in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에 따라 어느 하나의 PA가 우선적으로 선택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PA is preferentially selected according to a calculated transmission power headroom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2개의 PA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PA를 서로 스위칭하여 활성화되는 경우에 데이터가 송신되는 채널의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examples of channels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when one or two PAs among two PAs are switched to each other and activa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PA의 발열량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8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heat generation amount of a PA when data is transmitted in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PA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PA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prepara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modification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Mobile terminal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mobile phones, smart phones, laptop computers,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navigation systems, and slate PCs. , Tablet PC (tablet PC), ultrabook (ultrabook),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smartwatch,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HMD (head mounted display)), etc. may be included. have.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 desktop computer, digital signage,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mobile terminals. .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1A to 1C, FIG. 1A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B and 1C are conceptual diagrams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는 예컨대 4G 통신 네트워크 및 5G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components, the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4G 무선 통신 모듈(111), 5G 무선 통신 모듈(112), 근거리 통신 모듈(113), 위치정보 모듈(1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4G 무선 통신 모듈(111)은 4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4G 기지국과 4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4G 무선 통신 모듈(111)은 하나 이상의 4G 송신 신호를 4G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4G 무선 통신 모듈(111)은 하나 이상의 4G 수신 신호를 4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4G
이와 관련하여, 4G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4G 송신 신호에 의해 상향링크(UL: Up-Link)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4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4G 수신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DL: Down-Link)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이 수행될 수 있다.In this regard, an uplink (UL) multi-input multi-output (MIMO)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4G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to the 4G base station. In addition, a downlink (DL) multi-input multiple output (MIMO)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4G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a 4G base station.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5G 기지국과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은 비-스탠드 얼론(NSA: Non-Stand-Alone)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은 셀 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공통-배치 구조(co-located structure)일 수 있다. 또는, 5G 기지국은 4G 기지국과 별도의 위치에 스탠드-얼론(SA: Stand-Alone)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The 5G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5G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5G 기지국과 5G 신호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하나 이상의 5G 송신 신호를 5G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은 하나 이상의 5G 수신 신호를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5G
이때, 5G 주파수 대역은 4G 주파수 대역과 동일한 대역을 사용할 수 있고, 이를 LTE 재배치(re-farming)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한편, 5G 주파수 대역으로, 6GHz 이하의 대역인 Sub6 대역이 사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5G frequency band may use the same band as the 4G frequency band, and this may be referred to as LTE re-farming. On the other hand, as the 5G frequency band, the Sub6 band, which is a band below 6GHz, may be used.
반면, 광대역 고속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 5G 주파수 대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 사용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기지국과의 통신 커버리지 확장(coverage expansion)을 위해 빔 포밍(beam 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may be used as a 5G frequency band to perform broadband high-speed communication. When the millimeter wave (mmWave) band is used, the
한편, 5G 주파수 대역에 관계없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송 속도 향상을 위해, 더 많은 수의 다중입력 다중출력(MIMO: Multi-Input Multi-Output)을 지원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복수의 5G 송신 신호에 의해 상향링크(UL: Up-Link) MIMO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의 5G 수신 신호에 의해 하향링크(DL: Down-Link) MIMO가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regardless of the 5G frequency band, in a 5G communication system, a greater number of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s (MIMO) may be supported to improve transmission speed. In this regard, uplink (UL) MIMO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5G transmission signals transmitted to the 5G base station. In addition, downlink (DL) MIMO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5G reception signals received from the 5G base station.
한편, 무선 통신부(110)는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 이중 연결(DC: Dual Connectivity)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의 이중 연결을 EN-DC(EUTRAN NR DC)이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EUTRAN은 Evolved Universal Telecommunication Radio Access Network로 4G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하고, NR은 New Radio로 5G 무선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Meanwhile, the
한편, 4G 기지국과 5G 기지국이 공통-배치 구조(co-located structure)이면, 이종 반송파 집성(inter-CA(Carrier Aggregation)을 통해 스루풋(throughput) 향상이 가능하다. 따라서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과 EN-DC 상태이면,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통해 4G 수신 신호와 5G 수신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4G base station and the 5G base station have a co-locat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roughput through inter-CA (Carrier Aggregation). In the -DC state, a 4G reception signal and a 5G reception signal may be simultaneously received through the 4G
근거리 통신 모듈(113)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
한편,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간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지국을 경유하지 않고 이동 단말기들 간에 D2D (Device-to-Device) 방식에 의해 근거리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terminals may be performed using the 4G
한편, 전송 속도 향상 및 통신 시스템 융합(convergence)을 위해,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 중 적어도 하나와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G 무선 통신 모듈(111)과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4G + WiFi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과 Wi-Fi 통신 모듈(113)을 이용하여 5G + WiFi 반송파 집성(CA)이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carrier aggregation (CA) using at least one of the 4G
위치정보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5G 무선 통신 모듈(112)을 활용하면, 5G 무선 통신 모듈 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5G 기지국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의 5G 기지국은 좁은 커버리지를 갖는 소형 셀(small cell)에 배치(deploy)되므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는 것이 유리하다.Specifically, if the mobile terminal utilizes the 5G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Also,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이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단말기 제어부(180)라고 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90)를 단말기 전원공급부(190)라고 하기로 한다.The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an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mobile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B and 1C, the disclosed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body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referring to the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A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한편,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중 일부가 방사체(radiator)로 동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In some cases, electronic components may be mounted on the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when the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wo or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단말기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The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As such, the
제1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first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The
제1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The first and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카메라(121b)는 제1 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A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The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 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The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A second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4G 무선 통신 모듈(111) 및 5G 무선 통신 모듈(112)과 연결되는 복수의 안테나는 단말기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may be provided in the terminal body. The antenna may be embedded in the terminal body or may be formed in a case. Meanwhile, a plurality of antennas connected to the 4G
한편, 단말기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테나는 MIMO를 지원하도록 4개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5G 무선 통신 모듈(112)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복수의 안테나 각각이 배열 안테나(array antenna)로 구현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 복수의 배열 안테나가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four or more antenna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may be implemented to support MIMO. In addition, when the 5G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말기 전원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단말기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body is provided with a terminal power supply unit 190 (see FIG. 1A) for supplying power to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송신 시스템 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특히 이종 무선 시스템(heterogeneous radio system)에서 전력 증폭기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 multiplex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particularly a power amplifier in a heterogeneous radio system, and embodiments related to a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1 전력 증폭기(210), 제2 전력 증폭기(220) 및 RFIC(250)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모뎀(Modem, 270)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뎀(Modem, 270)과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와 물리적으로 하나의 chip에 구현되고, 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리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된 칩(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2 shows the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한편, 이동 단말기는 수신부에서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LNA: Low Noise Amplifier, 261 내지 26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전력 증폭기(210), 제2 전력 증폭기(220), RFIC(250) 및 복수의 저잡음 증폭기(261 내지 264)는 모두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다. 이때, 제1 통신 시스템과 제2 통신 시스템은 각각 4G 통신 시스템과 5G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low noise amplifiers (LNAs) 261 to 264 in the receiver. Here, th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C(250)는 4G/5G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응용에 따라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RFIC(250)가 4G/5G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5G 회로 간 동기화 (synchronization)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모뎀(270)에 의한 제어 시그널링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 the
한편,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 RFIC 및 5G RFIC로 각각 지칭될 수 있다. 특히, 5G 대역이 밀리미터파 대역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같이 5G 대역과 4G 대역의 대역 차이가 큰 경우,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4G 대역과 5G 대역 각각에 대하여 RF 특성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when the
한편, RFIC(250)가 4G/5G 분리형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4G RFIC 및 5G RFIC가 논리적 및 기능적으로 분리되고 물리적으로는 하나의 칩(chip)에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even when the
한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이동 단말기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모뎀(270)을 통해 이동 단말기의 각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application processor (AP) 280 is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processor (AP, 28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mobile terminal through the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이동 단말기의 저전력 동작(low power operation)을 위해 전력 관리 IC(PMIC: Power Management IC)를 통해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뎀(270)은 RFIC(250)를 통해 송신부 및 수신부의 전력 회로를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application processor (AP, 280) may control the
이와 관련하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이동 단말기가 대기 모드(idle mode)에 있다고 판단되면, 모뎀(270)을 통해 RFIC(250)를 다음과 같이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대기 모드(idle mode)에 있다면,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110, 120) 중 적어도 하나가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거나 또는 오프(off)되도록 모뎀(270)을 통해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In this regar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terminal is in an idle mode, the application processor (AP) 280 may control the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이동 단말기가 저전력 모드이면, 저전력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을 제공하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4G 기지국, 5G 기지국 및 액세스 포인트 중 복수의 엔티티와 연결된 경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가장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루풋(throughput)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근거리 통신 모듈(113)만을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도록 모뎀(270)과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low power mode, the application processor (AP) 280 may control the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이 임계치 이상이면, 최적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배터리 잔량과 가용 무선 자원 정보에 따라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모뎀(27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배터리 잔량 정보는 PMIC로부터 수신하고, 가용 무선 자원 정보는 모뎀(270)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잔량과 가용 무선 자원이 충분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는 4G 기지국 및 5G 기지국 모두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모뎀(270)과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mobile termi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the
한편, 도 2의 다중 송수신 시스템(multi-transceiving system)은 각각의 무선 시스템(radio System)의 송신부와 수신부를 하나의 송수신부로 통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 프론트 엔드(Front-end)에서 두 종류의 시스템 신호를 통합하는 회로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in the multi-transceiving system of FIG. 2, the transmitt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of each radio system may be integrated into one transceiving unit.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circuit part that integrates two types of system signals can be eliminated from the RF front-end.
또한, 프론트 엔드 부품을 통합된 송수신부로 제어 가능하므로, 송수신 시스템이 통신 시스템 별로 분리되었을 경우보다 효율적으로 프론트 엔드 부품이 통합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end parts can be controlled by the integrated transmission/reception unit, the front end parts can be integrated more efficiently than when th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is separated for each communication system.
또한, 통신 시스템 별로 분리되는 경우, 필요에 따라 다른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이로 인한 시스템 지연(system delay)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불가능하다. 반면에, 도 2와 같은 다중 송수신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다른 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한 시스템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separated for each communication system, it is impossible to control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s necessary, or because a system delay is increased due to this, it is impossible to efficiently allocate resources. On the other hand, the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s shown in FIG. 2 has an advantage of enabling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s needed, and thereby minimize system delay.
한편,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는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통신 시스템이 4G 대역 또는 Sub6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20)는 제1 및 제2 통신 시스템에서 모두 동작 가능하다.Meanwhile, the
반면에, 5G 통신 시스템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에서 동작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는 어느 하나는 4G 대역에서 동작하고, 다른 하나는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5G communication system operates in the millimeter wave (mmWave) band, one of the first and
한편, 송수신부와 수신부를 통합하여, 송수신 겸용 안테나를 이용하여 하나의 안테나로 2개의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같이 4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4x4 MIMO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하향링크(DL)를 통해 4x4 DL MIMO가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by integrating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wo differe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with a single antenna using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tenna. At this time, 4x4 MIMO can be implemented using four antennas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4x4 DL MIMO may be performed through downlink (DL).
한편, 5G 대역이 Sub6 대역이면, 제1 내지 제4 안테나(ANT1 내지 ANT4)는 4G 대역과 5G 대역에서 모두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5G 대역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면, 제1 내지 제4 안테나(ANT1 내지 ANT4)는 4G 대역과 5G 대역 중 어느 하나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5G 대역이 밀리미터파(mmWave) 대역이면, 별도의 복수 안테나 각각이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배열 안테나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5G band is the Sub6 band,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ANT1 to ANT4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both the 4G band and the 5G band. On the other hand, if the 5G band is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the first to fourth antennas ANT1 to ANT4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any one of the 4G band and the 5G band. In this case, if the 5G band is a millimeter wave (mmWave) band, each of a plurality of separate antennas may be configured as an array antenna in the millimeter wave band.
한편, 4개의 안테나 중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에 연결된 2개의 안테나를 이용하여 2x2 MIMO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상향링크(UL)를 통해 2x2 UL MIMO (2 Tx)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2x2 UL MIMO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 Tx 또는 4 Tx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5G 통신 시스템이 1 Tx로 구현되는 경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 중 어느 하나만 5G 대역에서 동작하면 된다. 한편, 5G 통신 시스템이 4Tx로 구현되는 경우, 5G 대역에서 동작하는 추가적인 전력 증폭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송신 경로 각각에서 송신 신호를 분기하고, 분기된 송신 신호를 복수의 안테나에 연결할 수 있다.Meanwhile, 2x2 MIMO can be implemented using two antennas connected to the
한편, RFIC(250)에 해당하는 RFIC 내부에 스위치 형태의 분배기(Splitter) 또는 전력 분배기(power divider)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의 부품이 외부에 배치될 필요가 없고 이로 인해 부품 실장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50)에 해당하는 RFIC 내부에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형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2개의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의 송신부(TX) 선택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a switch-type splitter or power divider is built into the RFIC corresponding to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듀플렉서(duplexer, 231), 필터(232) 및 스위치(2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 mobile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in a plura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듀플렉서(231)는 송신 대역과 수신 대역의 신호를 상호 분리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를 통해 송신되는 송신 대역의 신호는 듀플렉서(231)의 제1 출력 포트를 통해 안테나(ANT1, ANT4)에 인가될 수 있다. 반면에, 안테나(ANT1, ANT4)를 통해 수신되는 수신 대역의 신호는 듀플렉서(231)의 제2 출력포트를 통해 저잡음 증폭기(261, 264)로 수신될 수 있다.The
필터(232)는 송신 대역 또는 수신 대역의 신호를 통과(pass)시키고 나머지 대역의 신호는 차단(block)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필터(232)는 듀플렉서(231)의 제1 출력 포트에 연결되는 송신 필터와 듀플렉서(231)의 제2 출력포트에 연결되는 수신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필터(232)는 제어 신호에 따라 송신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수신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스위치(233)는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 중 어느 하나만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233)는 시분할 다중화(T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으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도록 SPDT (Single Pole Double Throw)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는 동일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고, 이에 따라 듀플렉서(231)는 서큘레이터(circulator)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스위치(233)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FDD: 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때, 스위치(233)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각각 연결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DPDT (Double Pole Double Throw)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듀플렉서(231)에 의해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스위치(233)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에 해당하는 모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RFIC(250)와 모뎀(270)을 각각 제1 제어부 (또는 제1 프로세서)와 제2 제어부(제2 프로세서)로 지칭할 수 있다. 한편, RFIC(250)와 모뎀(270)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RFIC(250)와 모뎀(270)은 물리적으로 하나의 회로에 논리적 또는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Meanwhile,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모뎀(270)은 RFIC(250)를 통해 서로 다른 통신 시스템을 통한 신호의 송신과 수신에 대한 제어 및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모뎀(270)은 4G 기지국 및/또는 5G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Control Information)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정보는 물리 하향링크 제어 채널(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을 통해 수신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모뎀(270)은 특정 시간 및 주파수 자원에서 제1 통신 시스템 및/또는 제2 통신 시스템을 통해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RFIC(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RFIC(250)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4G 신호 또는 5G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를 포함한 송신 회로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RFIC(250)는 특정 시간 구간에서 4G 신호 또는 5G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1 내지 제4 저잡음 증폭기(261 내지 264)를 포함한 수신 회로들을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도 2와 같은 다중 송수신 시스템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구체적인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 이하에서 검토하기로 한다.Meanwhile, detailed operations and function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quipped with the multiple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as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a 및 도 3b는 상기 도 2의 무선 통신부 구조에서, 송수신 겸용 안테나들 및 상기 송수신 겸용 안테나들의 전력 증폭기에 전류가 공급되는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current is supplied to a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 and a power amplifier of the transmission/reception antennas in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FIG. 2.
먼저 도 3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는 4개의 안테나(ANT 1, ANT 2, ANT 3 및 ANT 4)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중 두 개의 안테나(ANT 1, ANT 2)가 송수신 겸용 안테나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두 개의 안테나(ANT 1, ANT 2)를 각각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로 칭하기로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3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our antennas (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서로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일정 거리 이상의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5G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도록 형성된 안테나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5G NR(New Radio) 프로토콜에 따라 n41 밴드(2496~2690MHz), n77 밴드 및 n78 밴드 (3300~4200MHz 및 3300~3800 MHz), n79 밴드(4400~5000 MHz)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는 서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일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be formed to have a separation distanc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exclude an influence due to interference between each other. Also,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be antennas formed to transmit or receive 5G signals.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are n41 band (2496-2690 MHz), n77 band and n78 band (3300-4200 MHz and 3300-3800 MHz), n79 band (4400-5000 MHz) according to the 5G NR (New Radio) protocol. ) May be an antenna capable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a signal.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may be antennas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of the same frequency ban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에 각각 연결되는 제1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 210)) 및 제2 전력 증폭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 각각에 동작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30), 상기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하는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power amplifier (PA) 210 and a
먼저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는 각각 제1 안테나 및 제2 안테나에, 스위치(23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RFIC(250)로부터 입력된 송신 신호들을 기 설정된 출력 레벨, 즉 파워 레벨을 가지는 신호로 각각 증폭할 수 있다. 그리고 증폭된 송신 신호를 연결된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안테나 또는 제2 안테나는 상기 기 설정된 파워 레벨을 갖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First, the first and
한편 전원공급부(330)는 각 전력 증폭기(210, 22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330)는 전력 관리 IC (PMIC: Power Management IC)일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는 공급되는 전류에 근거하여 RFIC(25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전력 증폭기는 공급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증폭되는 송신 신호의 출력 레벨, 즉 송신 파워 레벨을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일 예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증가하는 경우 보다 높은 파워 레벨의 신호로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류의 양이 감소하는 경우 보다 낮은 파워 레벨의 신호로 송신 신호를 증폭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210, 220)는 전원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송신 신호의 파워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제어부(350)는 상기 전원공급부(330)에서 각 전력 증폭기(210, 220)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50)는 선택적으로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에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50)는 모뎀(MODEM, 270)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280)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350)는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180)일 수 있다.Meanwhile, the
제어부(350)는 데이터 송신 방식이 단일 전송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 활성화될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headroom)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하나의 전력 증폭기에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 파워 헤드룸은, 각 전력 증폭기의 하드웨어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최대 송신 출력에서 현재의 송신 출력을 차감한 출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당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 마진(margin)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the
제어부(350)는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하고, 송신 파워 헤드룸이 큰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전력 증폭기에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되지 않은 다른 전력 증폭기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는 활성화되고, 선택되지 않은 다른 전력 증폭기는 비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면 활성화된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서만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활성화된 상기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에는 전류가 계속 공급되므로 발열이 지속되는 반면, 비활성화된 다른 전력 증폭기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주변 공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송신 파워 헤드룸의 차이에 따라 선택되는, 즉 상기 제1 및 제2 전력 증폭기들(210, 220) 중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이 보다 큰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제1 PA라고 칭하기로 하고, 상기 제1 PA보다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이 작은 다른 하나의 전력 증록기를 제2 PA라고 칭하기로 한다.The
제1 P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어부(350)는 기 설정된 PA 변경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PA 변경 조건의 충족 여부는 현재 활성화된 전력 증폭기, 즉 제1 PA의 온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A is activated, the
이 경우 현재 상기 제1 PA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초과하면, 제어부(350)는 PA 변경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1 PA로의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1 PA가 비활성화될 수 있으며, 비활성 상태에 있던 제2 PA가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면 제2 PA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current temperature of the first PA exceeds a preset first temperature, the
한편 제2 PA가 활성화된 경우, 제어부(350)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제1 PA의 온도와 제2 P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PA의 온도(T1)와 제2 PA의 온도(T2)가 기 설정된 제2 온도 미만인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기 설정된 시간 주기로 상기 제1 PA와 제2 PA에 교번하여 전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전력 증폭기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32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20)는 각 전력 증폭기에서 현재 증폭된 신호의 출력 크기를 감지하기 위한 출력 센서(Power 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온도 센서에서 계측된 온도 및 출력 센서에서 계측된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 크기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부(350)로 입력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second PA is activated, the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주기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50)는 데이터 송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활성화되는 전력 증폭기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서로 다른 전력 증폭기에서 송신 신호가 증폭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 즉, 데이터 송신 주기가 변경될 때마다 서로 다른 안테나 경로(채널)로 송신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The preset time period may be the same as a data transmiss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ime division multiplexed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In this case, the
한편 이처럼 데이터 송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 데이터 수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기지국으로부터 각 안테나 채널에 대한 송신 출력 파라미터가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송신 출력 파라미터는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의 세기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송신 신호 출력을 증가(up)시키거나 또는 감소(down)시키기 위한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when data is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antennas every time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arrives, the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for each antenna channel may b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whenever the data reception period arrives. Here, the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strength of a signal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and increases or decreases the transmission signal outpu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at the base station. It may include control information for making it.
제1 전력 증폭기(210)에 연결되는 제1 안테나와, 제2 전력 증폭기(220)에 연결되는 제4 안테나는 서로 간에 간섭 현상을 피하기 위해 일정 거리 이상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안테나와 제4 안테나는 이동 단말기의 상하 방향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상반된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간에 최대한의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공급부(330)는 제1 전력 증폭기(210) 및 제2 전력 증폭기(220)에 각각 구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The first antenna connected to the
한편 제어부(350)는 제1 전력 증폭기(210) 및 제2 전력 증폭기(220)의 센서부(320)에 구비된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320)에 구비된 출력 센서로부터 송신 신호의 출력 크기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송신 신호의 출력 크기에 따라 산출되는 송신 파워 헤드룸 값 및 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제1 전력 증폭기(210) 및 제2 전력 증폭기(220) 중 어느 하나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원 공급부(330)에 입력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상기 도 3b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송신하는 안테나의 위치가 서로 다르므로, 각 안테나 채널에 대한 채널 환경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에 수신되는 신호의 세기는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는 안테나 채널 별로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현재 데이터가 송신된 안테나의 송신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채널 별로 송신 출력 파라미터가 다르게 수신되는 경우 각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는 송신 신호 출력의 크기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3B, since the locations of antennas for transmitting data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hannel environment for each antenna channel may be different.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signal received by the base station may be different, and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may be different for each antenna channel. Then, the
한편 제어부(350)는 상기 제1 PA와 제2 PA에 교번하여 전류가 공급되는 경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두 개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전력 증폭기에서 증폭되는 송신 신호 출력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산출되는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 역시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50)는 보다 큰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다시 선택할 수 있으며, 다시 제1 PA 하나만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PA가 활성화되면 상술한 과정을 다시 수행하여, 기 설정된 PA 변경 조건의 충족 여부에 따라 상기 제2 전력 증폭기를 활성화 및, 제1 PA의 온도와 제2 PA의 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1 PA와 제2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Meanwhile, when current is alternately supplied to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the
한편 상기 PA 변경 조건은 상기 제1 PA 온도 조건 뿐만 아니라,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50)는 제2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하고,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에 근거하여 상기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the PA change condition may further include whether the second PA is usable as well as the first PA temperature condition. For example, the
이 경우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이 기 설정된 값(예 : 0) 이하인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제2 PA가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활성화되는 PA를 제2 PA로 변경하는 것을 일정 시간동안 보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PA가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비록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제1 PA에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In this case, if the calculated transmission power headroom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eg, 0),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간의 채널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된 채널 환경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데이터의 송신 방식을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UL MIMO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손실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 손실량에 따라 채널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된 채널 환경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 방식을 단일 전송 방식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은 데이터의 송신 방식을 변경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 메시지에는 변경된 데이터 송신 방식 및 그에 따른 송신 출력 파라미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근거하여, 데이터 송신 방식을, 복수의 안테나에서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UL MIMO 방식에서,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일 전송 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 증폭기들 각각으로부터 산출되는 송신 파워 헤드룸 값에 근거하여 제1 PA를 선택하여 활성화 및, 활성화된 제1 PA의 송신 출력을 상기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a base station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a channel environment between the mobil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based on data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In addition, based on the determined channel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request the mobile terminal to chang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example, the base station may detect a loss amount of data received from a mobile terminal using a UL MIMO method and determine a channe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detected data loss amount. Further, it may be requested to chang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channel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control message for chang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the control message may include a chang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corresponding thereto. Then, based on the control message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
이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특정 송신 파워 레벨을 요청받는 경우에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데이터 교환 과정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요청된 송신 파워 레벨, 즉 통합 파워 레벨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가 각 전력 증폭기에서 형성되는 송신 파워 레벨을 형성하는 동작 과정을 하기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In this way, when a specific transmission power level is requested from the base station, the data exchange process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transmission power level requested from the base station, that is, the transmission formed by each power amplifier based on the integrated power level. The operation process of forming the power level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below.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간에 데이터들이 교환되는 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ata is exchanged between a mobile terminal and a base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a)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된 이동 단말기의 송수신 스케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의 (a)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신호 송신(TX) 시간(400)에 기지국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으며, 신호 수신(RX) 시간(410)에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 송신(TX) 시간(400)과 신호 수신(RX) 시간(410)은 이동 단말기의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에 교환된 제어 데이터에 따라 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호 송신(TX) 시간(400)과 신호 수신(RX) 시간(410) 사이에는 소정의 전환기가 있을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4A, FIG. 4A shows a transmission/reception schedule of a mobile terminal subjected to time division multiplexing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According to (a) of FIG. 4, the mobile terminal may transmit data to the base station at a signal transmission (TX)
그리고 도 4의 (b)는 상기 신호 송신(TX) 시간(400)과 신호 수신(RX) 시간(410)에 데이터들의 교환이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In addition, (b) of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data is exchanged at the signal transmission (TX)
먼저 신호 송신 시간(TX)(400)에서는, 이동 단말기(430)로부터 기지국(420)에 데이터(TX 데이터)들이 송신될 수 있다. 이 경우 UN MIMO 방식에 따라 두 개의 안테나를 통해 동시에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라면 동일한 송신 데이터(TX data)가 2개씩 송신될 수 있다.First, at the signal transmission time (TX) 400, data (TX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그러면 기지국(420)은 수신된 TX 데이터들에 근거하여, 기지국(420)과 이동 단말기(430) 사이의 채널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기지국(420)은 신호 송신 시간(TX)(400) 동안 수신된 TX 데이터들의 손실량에 근거하여 기지국(420)과 이동 단말기(430) 사이의 채널 환경을 판단할 수도 있다(S452).Then, the
상기 S452 단계에서 기지국(420)이 채널 환경을 판단한 결과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라면 기지국(420)은 현재의 채널 환경이, UL MIMO 방식의 데이터 송신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420)은 데이터 송신 방식 변경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호 수신(RX) 시간(410)에 상기 제어 메시지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430)는 UL MIMO 방식을 유지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반면 상기 S452 단계에서 기 설정된 수준 이상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한 경우, 기지국(420)은 현재의 채널 환경이 UL MIMO 통신 방식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지국(420)은 이동 단말기(430)의 데이터 송신 방식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52).On the other hand, when a data loss of more than a preset level occurs in step S452, the
상기 S452 단계의 판단 결과, 데이터 송신 방식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420)은 데이터 송신 방식의 변경을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S454). 이 경우 상기 제어 메시지는 데이터 송신 방식을 단일 전송 방식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파라미터와, 데이터 전송 방식의 변경에 따른 송신 신호의 출력 증가를 요청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If,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452, it is determined that the change of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necessary, the
한편 상기 제어 메시지는 신호 수신(RX) 시간(410)에 상기 기지국(420)으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들과 함께 전송될 수 있다(S460). 그러면 이동 단말기(430)는 수신된 데이터들 중에 상기 제어 메시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S462). 그리고 제어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데이터 송신 방식을 단일 전송 방식으로 변경하고,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송신 신호의 출력이 증가하도록 전력 증폭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S464).Meanwhile, the control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data received from the
도 5는 이처럼 데이터 송신 방식이 UL MIMO 방식에서 단일 전송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선택하여 활성화 및 선택된 전력 증폭기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shows, in the case where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from the UL MIMO method to the single transmission method,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wer amplifier is selected and activated, an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the selected power amplifier. It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제어부(350)는 먼저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할 수 있다(S500). 여기서 상기 송신 파워 헤드룸은, 여기서 상기 송신 파워 헤드룸은,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 마진(margin)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 전력 증폭기의 하드웨어 특성에 따라 기 설정된 최대 송신 출력에서 현재의 송신 출력을 차감한 출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모리(170)에는 상기 각 전력 증폭기에 대해 기 설정된 최대 송신 출력들이 미리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전력 증폭기의 현재 송신 출력은 각 전력 증폭기의 출력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송신 신호 출력 크기로부터 검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the
한편 S500 단계에서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들이 산출되면, 제어부(350)는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350)는, 전력 증폭기들(210, 220) 중 보다 큰 송신 파워 헤드룸 값을 가지는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선택할 수 있다.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이 큰 전력 증폭기는, 송신 출력이 최대 송신 출력에 비하여 낮은 전력 증폭기이며, 송신 출력이 낮을수록 공급되는 전류가 적기 때문이다. 또한 공급되는 전류가 적을수록 발열량이 낮기 때문이다.Meanwhile, when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s of each power amplifier are calculated in step S500, the
여기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이 크다는 의미는, 그 전력 증폭기에 연결된 안테나의 채널 환경이 다른 안테나의 채널 환경보다 양호하다는 의미일 수도 있다. 이는 송신 신호의 출력, 즉 전력 증폭기의 출력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며, 기지국은 채널 환경이 열악할수록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통해 송신 신호의 출력 증가를 이동 단말기에 요청하기 때문이다.Here, the meaning that the value of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is large may mean that the channel environment of the antenna connected to the power amplifier is better than that of other antennas. This means that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that is, the output of the power amplifier,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output parameter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se station outputs the transmission signal through the transmission output parameter included in the control message as the channel environment is poor.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s requested from the mobile terminal.
한편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가 제1 PA로 선택되면, 제어부(350)는 선택된 제1 PA에만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PA로 선택된 전력 증폭기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선택되지 않은 다른 전력 증폭기, 즉 제2 PA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S502).Meanwhile, when any one power amplifier is selected as the first PA, the
상기 S502 단계에서 제1 PA가 활성화되면, 제어부(35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활성화된 제1 PA를 통해 송신 신호를 증폭하고, 제1 PA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송신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1 PA의 송신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first PA is activated in step S502, the
한편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350)는 제1 P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PA의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PA의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의 판단은 상기 제2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 값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 값을 산출한 결과, 산출된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제2 PA가 사용가능하지 않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산출된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제2 PA가 사용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504).Meanwhile, when a preset time elapses, the
그리고 제어부(350)는 측정된 제1 PA의 온도와 제2 PA의 사용가능 여부 판단 결과에 근거하여 PA 변경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6). 예를 들어 상기 PA 변경 조건은 제1 PA의 온도가 제1 온도를 초과하는 상태에서, 제2 PA가 사용 가능한 경우에 충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50)는 위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제1 PA가 활성화된 상태, 즉 제1 PA에만 전류가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S504 단계로 진행하여 제1 PA의 온도 측정 및 제2 PA의 사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Further, the
반면 상기 S506 단계에서, 위 두 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350)는 활성화되는 전력 증폭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350)는 제1 P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1 PA를 비활성화할 수 있으며,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여 비활성화된 상태에 있는 제2 PA를 활성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S508).On the other hand, in step S506, when both of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따라서 활성화된 제2 PA를 통해 송신 신호가 증폭될 수 있으며, 제2 PA에 연결된 안테나를 통해 송신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2 PA의 송신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그러면 비활성화된 제1 PA는 주변 공기와의 온도 차이로 인한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활성화된 제1 PA의 온도는 점차 낮아질 수 있으며,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제2 PA의 온도는 점차 증가될 수 있다.Accordingly, a transmission signal may be amplified through the activated second PA, and a transmiss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hrough an antenna connected to the second PA.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second PA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Then, the deactivated first PA may be cooled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with ambient air. Accordingly, the temperature of the deactivated first PA may gradually decreas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A changed to the activated state may gradually increase.
그리고 제어부(35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10).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현재 비활성화된 제1 PA의 온도 및 활성화된 제2 P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S512).In addition, the
상기 S512 단계의 측정 결과 제1 PA의 온도와 제2 PA의 온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온도 이상인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다시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제1 PA가 비활성화된 상태 및 제2 PA가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상기 S510 단계와 S512 단계를 다시 수행하고, 측정된 제1 PA의 온도와 제2 PA의 온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온도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n step S512,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emperature, the
반면 상기 S512 단계의 측정 결과 제1 PA의 온도와 제2 PA의 온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제2 온도 미만인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제1 PA와 제2 PA에 교번하여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S516). 이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제1 PA 및 제2 PA는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A is less than a preset second temperature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in step S512, the
한편 상기 기 설정된 시간 주기는,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에 따라 시분할 다중화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송신 주기와 같을 수 있다. 이 경우 데이터 송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활성화되는 PA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송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서로 다른 전력 증폭기에서 송신 신호가 증폭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t time period may be the same as a data transmission period of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time division multiplexed according to a Time Division Duplex (TDD) method. In this case, the PA activated whenever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arrives may be changed. Therefore, each time a data transmission period arrives, a transmission signal may be amplified by different power amplifiers, and data may be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antennas.
즉, 데이터 송신 주기가 변경될 때마다 서로 다른 안테나 경로(채널)로 송신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 주기에는, 서로 다른 안테나 채널에 대한 송신 출력 파라미터가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각 채널의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whenever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is changed, transmission signals may be output through different antenna paths (channels). In this case, in a data reception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data transmission period, transmission output parameters for different antenna channels may be received. Then, the
그리고 상기 S516 단계에 따라 제1 PA 및 제2 PA가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되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350)는 다시 S50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 값들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S502 단계로 진행하여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 값들에 근거하여 전력 증폭기들 중 제1 PA를 다시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PA로 선택되지 않은 전력 증폭기는 제2 PA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S504 단계 내지 S516 단계에 이르는 과정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도 5의 과정은 기지국으로부터 UL MIMO 방식으로의 데이터 송신 방식 변경 요청이 수신될 때까지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while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are activated by crossing each other in step S516, the
한편 상기 도 5의 S500 단계에서 각 전력 증폭기로부터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이 기 설정된 허용 오차 이내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은 서로 같은 값이라고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50)는, 일정 시간동안 제1 PA 및 제2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하고 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각 채널의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된 송신 출력에 따라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재산출하고 재산출한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선택할 수 있다.Meanwhile, values of transmission power headroom calculated from each power amplifier in step S500 of FIG. 5 may be within a preset tolerance. In this case, the values of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value. In this case, the
도 6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에 따라 어느 하나의 PA가 선택되는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in which a PA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transmission power headroom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먼저 제어부(350)는 상기 도 5의 S500 단계에서 각 전력 증폭기로부터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이 산출되면,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이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0).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 값들의 차이가 기 설정된 허용 오차 이내인 경우 두 값이 서로 동일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UL MIMO 방식에 따라 동작하는 중에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각 전력 증폭기로부터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은 서로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First, when values of transmission power headroom are calculated from each power amplifier in step S500 of FIG. 5, the
한편 상기 S600 단계의 판단 결과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의 값들이 동일한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일정 시간동안, 기 설정된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제1 PA와 제2 PA에 교번하여 전류가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330)를 제어할 수 있다(S602). 이 경우 상기 데이터 송신 주기마다 제1 PA 및 제2 PA가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S602).Meanwhile, if the values of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0 are the same, the
이 경우 데이터 송신 주기가 변경될 때마다 서로 다른 안테나 채널로 송신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데이터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데이터 수신 주기에는, 서로 다른 안테나 채널에 대한 송신 출력 파라미터가 수신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각 채널의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S604). 이 경우 각 채널의 무선 환경에 따라 송신 출력이 다르게 제어됨으로써,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In this case, transmission signals may be output through different antenna channels whenever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is changed. In this case, in a data reception period corresponding to each data transmission period, transmission output parameters for different antenna channels may be received. Then, the
그리고 제어부(350)는, 각 채널에 대응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된 각 채널의 전력 증폭기 송신 출력에 근거하여,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다시 산출할 수 있다(S606). 그리고 재산출된 각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이 동일한지 여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S608).Further, the
한편 S608 단계의 판단 결과, 재산출된 각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이 동일한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상기 S602 단계에서 S604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S608 단계의 판단 결과 재산출된 각 PA의 송신 파워 헤드룸이 서로 다른 경우라면, 보다 큰 송신 파워 헤드룸 값을 가지는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선택하고 제1 PA에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S610). 그리고 제어부(350)는, 활성화된 제1 PA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도 5의 S504 단계로 진행하여 제1 PA의 온도를 측정 및,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Meanwhil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608, if the recalculated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each PA is the same, the
한편 상기 S600 단계의 판단 결과 송신 파워 헤드룸 값들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바로 S610 단계로 진행하여, 보다 큰 송신 파워 헤드룸 값을 가지는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도 5의 S504 단계로 진행하여 제1 PA의 온도를 측정 및, 제2 PA가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n step S600 is not the same as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values,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2개의 PA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의 PA를 서로 스위칭하여 활성화되는 경우에 데이터가 송신되는 채널의 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examples of channels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when one or two PAs among two PAs are switched to each other and activated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의 (a)는 도 5의 S516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 주기에 따라 제1 PA와 제2 PA가 교차하여 활성화되는 경우에 제1 PA에 연결된 안테나(제1 채널)와, 제2 PA에 연결된 안테나(제2 채널)를 통해 이동 단말기에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First, FIG. 7(a) shows an antenna (first channel) connected to the first PA when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cross and activate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as described in step S516 of FIG. 5, An exampl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through an antenna (second channel) connected to a second PA is illustrated.
도 7의 (a)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 주기(701)는 제1 데이터 송신 주기(721)와 제1 데이터 수신 주기(711)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 송신 주기(721)에서 제1 PA가 활성화되는 경우라면, 제1 PA와 연결된 안테나(제1 채널 : #1)를 통해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PA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A, the
그러면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1 데이터 수신 주기(711)에서 송신 신호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신호 출력의 증가 또는 감소가 필요없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 메시지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Then,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e base station can transmit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for requesting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in the first
한편 제1 데이터 수신 주기(721)에서 송신 출력 파라미터가 수신되는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1 PA의 송신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주기(702)의 제2 데이터 송신 주기(722)가 도래하는 경우, 제1 P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1 PA를 비활성화하고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PA를 활성화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데이터 송신 주기(722)에서는, 제2 PA와 연결된 안테나(제2 채널 : #2)를 통해 데이터가 기지국으로 전송될 수 있다.Meanwhile, if the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is received in the first
그러면 기지국은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제2 데이터 수신 주기(712)에서 송신 신호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를 요청하기 위한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50)는 제2 데이터 수신 주기(722)에 송신 출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경우,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2 PA의 송신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Then, based on the received data, the base station may transmit a control message including a transmission power parameter for requesting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output of the transmission signal in the second
한편 이러한 과정은 각 주기마다 반복되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2개의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되는 경우라면, 도 7의 (a)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서로 다른 전력 증폭기에서 송신 신호가 증폭 및, 서로 다른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가 송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응답으로 수신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이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this process may be repeated for each cycle. Therefore, if two PAs are activated by crossing each other, as shown in Fig. 7(a), each time the data transmission period arrives, the transmission signal is amplified by different power amplifiers and data is transmitted through different antennas.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and transmission output of each power amplifier may be differently controlled based on a transmission output parameter received in response thereto.
한편 도 7의 (b)는 도 5의 S502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PA 하나만이 활성화됨에 따라 제1 채널(#1)을 통해서만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는 제1 채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수신된 제어 메시지에 포함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1 PA의 송신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1 PA만 활성화되는 경우, 제2 PA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될 수 있으며, 열 교환으로 인해 제2 PA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Meanwhile, FIG. 7B shows an exampl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반면 도 7의 (c)는 도 5의 S508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PA 하나만이 활성화됨에 따라 제2 채널(#2)을 통해서만 데이터가 송신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송신 출력 파라미터는 제2 채널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350)는 수신된 송신 출력 파라미터에 따라 제2 PA의 송신 출력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처럼 제2 PA만 활성화되는 경우, 제1 PA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열 교환으로 인해 제1 PA의 온도가 낮아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c) of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data is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PA의 발열량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FIG. 8 is a graph showing changes in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by the PA when data is transmitted in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T1(830)은 제1 PA로부터 측정되는 온도를, T2(840)는 제2 PA로부터 측정되는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한 온도(X)는 기 설정된 제1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먼저 UL MIMO로 동작하는 구간(850)의 경우, 각 안테나로부터 동시에 데이터가 출력되므로, 두 개의 전력 증폭기 온도가 서로 유사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메시지를 통해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의 송신 방식 변경이 요청되는 경우 제어부(350)는 제1 PA를 선택 및 선택된 제1 PA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First, in the case of the
이처럼 단일 전송 방식으로의 데이터 송신 방식 변경되는 경우,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에서 신호가 송신되므로, 송신 신호 출력의 증가가 요청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PA 만이 활성화되는 경우, 제1 PA에는 보다 많은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의 제1 PA 동작 구간(800)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1 PA의 온도(T1)이 지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반면 제2 PA에는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비활성화되므로, 제2 PA의 온도(T2)는 점차 낮아질 수 있다.Whe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since a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one antenna, an increase in transmission signal output may be requested. Accordingly, when only the first PA is activated, more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first PA. Accordingly, as shown in the first
한편 T1이 기 설정된 제한 온도(X)에 도달하는 경우, 제어부(350)는 제1 P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제1 PA를 비활성화하고, 제2 PA에 전류를 공급하여 제2 PA를 활성화할 수 있다(제2 PA 동작 구간(810)). 따라서 도 8의 제2 PA 동작 구간(810)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제2 PA의 온도(T2)가 점차 증가하고, 제1 PA의 온도(T1)는 점차 낮아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1 reaches a preset limit temperature (X), the
이처럼 제1 PA의 온도(T1)는 점차 낮아지고, 제2 PA의 온도(T2)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제1 PA의 온도(T1)와 제2 PA의 온도(T2)의 차이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줄어드는 경우, 제어부(350)는 일정 시간 동안 제1 PA와 제2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교차 동작 구간(830)).As such,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T1) gradually decreases, and a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A (T2) gradually increas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A (T1)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A (T2) is a preset temperature. When it decreases to less than that, the
한편 상기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제어부(350)는 상기 교차 동작 구간(830) 중에 제어된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에 따라 제1 PA 및 제2 PA를 다시 선택하여 위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즉, 선택된 제1 PA를 먼저 활성화할 수 있으며(제1 PA 동작 구간), 제1 PA의 온도에 따라 제1 PA를 비활성화 및 제2 PA를 활성화할 수 있다(제2 PA 동작 구간). 그리고 현재 선택된 제1 PA의 온도(T1)와 제2 PA의 온도(T2)에 따라 다시 일정 시간 동안 제1 PA와 제2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교차 동작 구간).Meanwhil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 설정된 조건에 근거하여 전력 증폭기를 교차하여 활성화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일 전송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시에, 각 전력 증폭기로부터 산출된 송신 파워 헤드룸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먼저 활성화함으로써, 보다 채널 환경이 양호한 채널에 대응하는 전력 증폭기가 우선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열을 최소화하면서도 소모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rossing and activating the power amplifier based on a preset con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any one power amplifier from increasing above the preset temperature. In addition, when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by first activating any one power amplifier based on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calculated from each power amplifier, the power amplifier corresponding to the channel with a better channel environment is preferentially activated. To be able t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current consumption while minimizing heat that may be generated locally in the mobile terminal.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PA를 제어하는 동작 과정을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Meanwhile,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controlling a plurality of PAs in a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350)는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만으로 데이터의 송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PA 1만으로 동작 또는 PA 2 만으로 동작)(S900, S902).Referring to FIG. 9, first, the
그리고 PA 1 또는 PA 2 만으로 데이터의 송신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기 설정된 시간(예 : 3분)이 경과되면, 현재 사용되는 전력 증폭기의 온도(PA 1의 온도 : T1, PA 2의 온도 : T2)와 현재 사용되지 않는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전력 증폭기가 다른 전력 증폭기로 변경되도록 한다(S904, S906).And when a preset time (ex: 3 minutes) elapses while data is transmitted with
상기 S904 단계 및 S906 단계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하는 전력 증폭기가 다른 전력 증폭기로 변경되면, 제어부(350)는 PA 1의 온도(T1)와 PA 2의 온도(T2)를 비교하고(S908),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1 PA와 제2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S910).When the power amplifier used for data transmission is changed to another power amplifier according to steps S904 and S906, the
그리고 S910 단계에서 제1 PA와 제2 PA를 서로 교차하여 활성화되는 경우, 제어부(350)는 일정 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다시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할 수 있다(S900). 그리고 산출 결과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만으로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S902). 그리고 S904 단계에서 S910 단계에 이르는 과정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PA and the second PA are activated by crossing each other in step S910, th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하여 보다 양호한 무선 환경을 가지는 채널의 전력 증폭기를 제1 PA로 선택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ower amplifier of the channel having a better wireless environment is selected as the first PA by calculating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each power amplifier,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예로 보다 양호한 무선 환경을 가지는 채널의 전력 증폭기를 검출하기 위해 전류 센서 또는 전압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전력 증폭기의 센서부(320)는 전원 공급부(330)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전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전력 증폭기에 구비된 전류 센서는 각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전류의 양은 제어부(350)에 입력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350)는 각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으로부터, 현재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 크기를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송신 출력의 크기로부터 그 전력 증폭기가 연결된 안테나의 무선 환경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 출력이 낮을 수록, 즉 전력 증폭기로 유입되는 전류의 양이 적을 수록 보다 양호한 무선 환경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송신 출력이 보다 낮은 전력 증폭기가 제1 PA로 선택될 수 있다.For example, a current sensor or a voltage sensor may be used to detect a power amplifier of a channel having a better wireless environment. For example, the
한편 전력 증폭기에 유입되는 전류의 양은, 전류 센서 대신 전압 센서를 통해 측정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제어부(350)는 측정된 전압값과 각 전력 증폭기의 고정 저항값에 근거하여, 각 전력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전류의 양으로부터, 현재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 크기를 검출 및, 송신 출력의 크기로부터 그 전력 증폭기가 연결된 안테나의 무선 환경을 판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into the power amplifier may be measured through a voltage sensor instead of a current sensor. In this case, the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UL MIMO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하는 상태에서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하고 산출된 결과에 따라 각 전력 증폭기를 교번하여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각 전력 증폭기로부터 측정되는 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각 전력 증폭기를 교번하여 활성화시키거나 또는 어느 하나의 전력 증폭기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whe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while transmitting data according to the UL MIMO method, the transmission power headroom of each power amplifier is calculated, and each power amplifier is alternat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result.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activating or selectively activating one power amplifier, but alternately activating each power amplifier or selectively activating one power amplifier based on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measured from each power amplifier. Of course, it can also be activated with.
즉, 단일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 송신 방식이 변경되는 경우, 제1 전력 증폭기(210)의 온도와 제2 전력 증폭기(220)의 온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라면 제어부(350)는 상기 제1 전력 증폭기(210)와 제2 전력 증폭기(220)를 일정 시간 동안 교번하여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교번하여 활성화된 이후에 도 5의 S500 과정을 수행하여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의 나머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is changed to a single transmission metho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한편 1 전력 증폭기(210)의 온도와 제2 전력 증폭기(220)의 온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라면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출력이 서로 다를 가능성이 높으므로, 제어부(350)는 도 5의 S500 단계로 진행하여 각 전력 증폭기의 송신 파워 헤드룸을 산출 및 도 5의 나머지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he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in a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DD (Hard Disk Drive), SSD (Solid State Disk), SDD (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Also,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9/001919WO2020171243A1 (en) | 2019-02-18 | 2019-02-18 |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power amplifiers and transmission antennas,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9/001919WO2020171243A1 (en) | 2019-02-18 | 2019-02-18 |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power amplifiers and transmission antennas,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20171243A1true WO2020171243A1 (en) | 2020-08-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19/001919CeasedWO2020171243A1 (en) | 2019-02-18 | 2019-02-18 | Mobile terminal having multiple power amplifiers and transmission antennas, and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
| Country | Link |
|---|---|
| WO (1) | WO2020171243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00279621A1 (en)* | 2009-04-30 | 2010-11-04 | Motorola, Inc. | Method for multi-antenna uplink transmission |
| JP2013005353A (en)* | 2011-06-20 | 2013-01-07 | Toshiba Corp | Power amplifier and power amplification method |
| US20130100833A1 (en)* | 2009-11-06 | 2013-04-25 | Hua Xu |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US20140199952A1 (en)* | 2013-01-15 | 2014-07-17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a/device temperature by switching the antennas on a device |
| US20140349587A1 (en)* | 2012-02-06 | 2014-11-2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rrangement for Antenna Mode Switching |
| KR20150054475A (en)* | 2013-11-12 | 2015-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00279621A1 (en)* | 2009-04-30 | 2010-11-04 | Motorola, Inc. | Method for multi-antenna uplink transmission |
| US20130100833A1 (en)* | 2009-11-06 | 2013-04-25 | Hua Xu | Transmission of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JP2013005353A (en)* | 2011-06-20 | 2013-01-07 | Toshiba Corp | Power amplifier and power amplification method |
| US20140349587A1 (en)* | 2012-02-06 | 2014-11-27 |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 Method and Arrangement for Antenna Mode Switching |
| US20140199952A1 (en)* | 2013-01-15 | 2014-07-17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pa/device temperature by switching the antennas on a device |
| KR20150054475A (en)* | 2013-11-12 | 2015-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O2020256196A1 (en) |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endc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 WO2019208906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power control | |
| WO2020145421A1 (en) | Electronic device for transmitting reference signal | |
| WO2021049674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 |
| WO2021033806A1 (en) |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ransparent antenna | |
| WO2020222337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rray antennas | |
| WO2021033807A1 (en) |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ransparent antenna | |
| WO2021095934A1 (en) |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5g antenna | |
| WO2021045268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 |
| WO2020149434A1 (en) |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interference avoidance | |
| WO2021049672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ntenna | |
| WO2021085665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5g antenna | |
| WO2021187633A1 (en) |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5g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 |
| WO2021045249A1 (en) |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heat mitigation and control method of same electronic device | |
| WO2020251063A1 (en) |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 |
| WO2020218643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connector | |
| WO2020262745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for millimeter wave band | |
| WO2020241921A1 (en) | Beamforming electronic device | |
| WO2021049678A1 (en) | Non bc typ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ame electronic device | |
| WO2020162645A1 (en)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ntenna | |
| WO2020162644A1 (en) | Mobile terminal supporting beam form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 |
| WO2020251062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transmission line | |
| WO2021153819A1 (en) | Electronic device that operates in plurality of communication systems | |
| WO2021080034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5g array antenna | |
| WO2021033805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transparent antenna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19916048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DE |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19916048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