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glucose meter and a blood glucose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od glucose meter for measuring blood glucose and a blood glucose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많은 진단시험이 혈액 또는 다른 체액에 있는 물질의 양 또는 존재를 평가하기 위해 사람에게 일상적으로 행해지고 있다.Many diagnostic tests are routinely performed on humans to assess the amount or presence of substances in blood or other body fluids.
당뇨병은 주된 건강 관심사이며, 보다 심한 형태의 상태인 타입 I(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치료는 매일 1회 이상의 인슐린 주사를 필요로 한다. 인슐린은 혈액에서의 글루코스 또는 당의 이용을 제어하고, 고치지 않은 채로 있으면 케톤증이 될 수 있는 고혈당증을 예방한다.Diabetes is a major health concern, and treatment of Type I (insulin-dependent) diabetes, a more severe form of the condition, requires one or more insulin injections daily. Insulin controls the use of glucose or sugars in the blood and prevents hyperglycemia that can become ketosis if left untreated.
타입 I 당뇨병의 합병증을 피하거나 적어도 최소화하는 수단으로서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를 자주 모니터링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또한, 타입 II(비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이 있는 환자는 식이요법 및 운동에 의해 그 상태를 제어하면서, 주기적으로 혈중 글루코스의 농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수적이다.It is essential to monitor blood glucose levels frequently as a means of avoiding or at least minimizing the complications of Type I diabetes.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hat patients with Type II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onitor their blood glucose levels periodically, while controlling their condition by diet and exercise.
종래의 혈중 글루코스 모니터링 방법은 일반적으로 바늘 형태의 글루코스 센서를 이용한 침습형 글루코스 모니터링 시스템을 사용하였으나, 바늘 센서를 사용함에 따른 삽입 통증, 이물감, 감염 가능성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늘 센서에 우연히 접촉되는 미량의 클루코스만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blood glucose monitoring methods generally use an 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 using a needle-shaped glucose sensor.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of insertion pain, foreign body sensation, infection possibility, and the like due to the use of a needle sensor. In addition, since only a very small amount of cluchos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needle sensor is measured, there is a problem that accuracy is lowered.
상술한 바늘 센서의 삽입에 따른 단점들을 보완하고자, 역이온영동법을 이용한 비침습형 혈당측정 방법들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역이동영동법을 이용한 혈당측정 방법은 세포간액을 피부 위로 추출하여 글루코스를 측정하기 때문에, 바늘 센서를 이용한 침습형 혈당측정 방법보다 더욱 미량의 클루코스를 측정하게 되어, 정확도가 더욱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피부 타입이나 조건(땀, 체모 등)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insertion of the needle sensor described above,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s using a reverse ionization method have been developed. However, since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reverse movement electrophoresis method measures the glucose by extracting the intracellular fluid onto the skin, it is possible to measure a much smaller amount of clearance than the 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needle sensor, (Sweat, body hair, etc.).
한편, 혈당 측정기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10-1512566호가 있다.On the other hand, Korean Patent No. 10-1512566 discloses a conventional blood glucose met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물감이 적으며 정확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lood glucose meter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with a small amount of foreign object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는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전극부 및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와 다르다.The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blood glucose by being installed on the skin. The blood glucose meter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and applies current to the body. (-) electrode uni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and the (-) electrode uni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 electrode uni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 electrod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에 의하면 이물감이 적으며 정확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blood glucose meter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oreign body sensation is small and the blood glucose can be accurately measured.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가 인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human body.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2 and 3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of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개략 블록도.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의 개략 순서도.FIG. 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may readily be suggested,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는 피부에 설치되어 혈당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및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전극부 및 (-)전극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The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blood glucose by being installed on the skin. The blood glucose meter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kin and applies current to the body. (-) electrode uni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unit and the (-) electrode unit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nsor unit and the (-) electrode unit,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and the (+) electrode portion.
또, 상기 전극부와 상기 센서부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위치 규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defining unit that defines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electrode unit and the sensor unit.
또, 상기 전극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portion is fix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regulating portion, and the sensor portion can be subcutaneously penetr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osition regulating portion.
또, 상기 위치 규정부는 상기 센서부가 피하에 침투되는 위치를 규정하는 침투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The position regulating portion may include an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for defining a position where the sensor portion is subcutaneously injected, and the sensor portion may be subcutaneously infiltrated through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또, 상기 침투 유도부는 관통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through space.
또, 상기 관통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 상에서 상기 센서부와 상기 위치 규정부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가 피하에 침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unit disposed on the through space to guide the sensor unit and the position defining unit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hrough space and to guide the sensor unit into the subcutaneous space.
또,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part and the (-) electrode part may b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sensor part and the (+) electrode part.
또, 상기 센서부의 단부는 (-)전극부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print)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sensor portion may be disposed in a footprint occupied by the negative (-) electrode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는 상기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방법일 수 있다.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thod of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the blood glucose meter.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components i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가 인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a human body.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의 개략 단면도이다.2 and 3 are schematic sectional views of a blood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4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혈당 측정기의 개략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의 개략 순서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blood glucose m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chematic flowchart of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 측정기(100)는 역이온영동을 응용하는 구성일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일례로, 상기 혈당 측정기(100)는 역이온영동을 응용하되 침습형/반침습형 혈당 측정원리를 응용한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혈당 측정기(100)는 송신기(10), 전극부(20) 및 글루코스 센서(3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송신기(10)는 글루코스 센서(30)에서 측정한 글루코스 농도값 또는 혈당값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미도시)에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For example, the
출력장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출력장치(PC, 스마트폰, 시계형태의 출력장치 등)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output device can use various known output devices (PC, smartphone, clock-type output device, etc.).
전극부(20)는 (-)극(21) 및 (+)극(22)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역이온영동에 의해 (-)극(21) 쪽으로 충분한 양의 글루코스가 모일 수 있도록 피부를 통하여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때, 전극부(20)의 재질은 백금(Pt), 금(Au), 은(Ag) 및 이들에 탄소(C)를 포함하는 전극 또는 은/염화은(Ag/AgCl)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전극부(20)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material of the
상기 전극부(20)는 공지된 임의의 방법, 예를 들면, 스크린 프린팅 방법 및 스퍼터링 등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이때, 전극부(20)를 반침습 또는 완전 침습 방식의 바늘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층 내부(반침습) 또는 피하층(완전 침습)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글루코스 센서(30)는 미세한 바늘 또는 바늘과 같은 구조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효소전극(미도시)을 형성하여 외과적인 방법으로 피하에 이식되어 세포 간액에서의 글루코스의 농도를 직접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세포 간액 내의 글루코스 농도와 혈관 내의 글루코스 농도는 서로 연동되어 변하기 때문에, 세포 간액 내의 글루코스의 농도와 혈관 내의 글루코스의 농도는 거의 비례하는 값을 갖는다.Since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intracellular fluid and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vessel are chang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intracellular fluid and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vessel are almost proportional to each other.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글루코스 센서(3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일례로, 글루코스 센서(30)는 시술에 의해 피하에 이식될 수도 있다.As an example, the
즉, 글루코스 센서(30)는 시술에 의해 피하에 완전 이식 및 삽입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That is, the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방법은 공지된 기술인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이란, 효소전극(미도시)에 의해 추출된 글루코스로부터 산소를 소모하여 과산화수소를 생성시키고,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적정 전위를 걸어 산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전자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의미할 수 있다.The method for measur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through the
다만,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한 글루코스 농도 측정방법은 앞서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역이온영동에 의해 글루코스가 집중된 영역에 배치되어 집중된 영역 상의 글루코스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당업자의 입장에서 다양하게 변형가능 하다.However, the method of measuring the glucose concentration through the
이하, 도 1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6.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은 전극부(20)를 피부에 접촉 및/또는 피하에 침투시킴과 동시에 글루코스 센서(30)를 삽입하는 단계(S10), 전극부(20)를 통하여 전류를 인가하는 단계(S20),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단계(S30)로 크게 나눌 수 있다.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inserting the
이하, 각 단계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step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전극부(20)를 피부에 접촉 및/또는 피하에 침투시킴과 동시에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 센서(3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전극부(20)를 반침습 또는 완전 침습 방식의 바늘 형태로 형성하여 피부층 내부(반침습) 또는 피하층(완전 침습)으로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First, the
글루코스 센서(30)는 미세한 바늘 형태로 내부에 효소전극(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부(20)의 (-)극(21) 방향으로 피하에 삽입되어 세포 간액에서의 글루코스 농도를 직접 측정할 수 있다.The
이후, 전극부(20)를 통하여 전류를 인가시킨다.Thereafter, an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전극부(20)를 통해 전류가 인가되면, 경피 내 세포 간액에 전류가 인가되어 세포 간액 내 Na+등의 양이온은 (-)극(21) 방향으로, Cl-등의 음이온은 (+)극(22) 방향으로의 이온 흐름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온 흐름을 통해 세포간액 내의 글루코스가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극(2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집중되어 농도가 높아지는 상태가 된다.When an electric current is applied through the
이때, 글루코스가 자체로 이온성을 띠지는 않지만, Na+등의 양이온이 (-)극(21)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온흐름에 편승하여 함께 (-)극(2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although the glucose itself does not become ionic, cations such as Na + migrate toward the (-)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가 집중된 후,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한다.The glucose concentration is measured through the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한 글루코스의 농도 측정은 공지된 기술인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화학적 분석방법은 글루코스를 글루코스 센서(30) 내에 고정화되어 있는 포도당 산화효소에 의해 과산화수소를 생성하게 하고, 생성된 과산화수소에 일정 전압을 인가하여 산화되면서 발생되는 전류, 즉 전기량을 측정함으로써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glucose through the
종래의 침습방식은 전극 부젼의 소정영역에 자연적으로 유입된 글루코스만을 측정하는 것이어서 전극 주변에 유입되는 글루코스의 양이 적어서 측정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렵지만, 본 발명은 역이온영동을 이용하여 전극주변에 강제적으로 글루코스를 모이게 하여 집중시키는 방법이므로, 전극 주변에 유입되는 글루코스의 양이 많아서 측정의 정확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method, only the glucose naturally flows into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electrode, so that it is difficult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because the amount of glucose introduced into the periphery of the electrode is small. However, Since the method of forcibly collecting and concentrating glucose, the amount of glucose introduced into the vicinity of the electrode is large, and the accuracy of measurement is remarkably improved.
측정된 글루코스 농도는 송신기(10)를 통해 체외에 있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미도시)로 송신되어, 출력장치(미도시)를 통해 측정된 글루코스 농도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measured glucose concentration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device (not shown) including the receiver located outside the body via the
정해진 시간 단위로 연속적으로 측정된 글루코스 농도는 출력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수일간의 글루코스 농도를 기록하여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glucose concentration continuously measured in a predetermined time unit can be stored in an output device (not shown), and it is possible to record and manage the glucose concentration for several day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당측정방법은 전극부(20)를 통해 인가된 전류로 인해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가 집중된 후, (-)극(21) 방향으로 삽입된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혈당측정방법에 비해 측정 정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lucose is concentrated in the (-)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역이온영동을 응용한 침습형 연속 혈당 측정기(100)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방법은 전극부(20)를 통해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극(21) 방향으로 글루코스를 집중시킨 후, (-)극(21) 방향으로 삽입된 글루코스 센서(30)를 통해 글루코스의 농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종래의 혈당 측정기(100)에 비해 측정 정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a result,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invasive continuous
나아가, 글루코스 센서(30)가 피하에 침투되는 깊이를 작게 하여도 정확한 글루코스 농도의 측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물감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accurate glucose concentration can be measured even if the depth to which th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한 혈당 측정기(10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일례로, 전극부(20)는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어 체내에 전류를 인가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전극부(20)는 피부의 표피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진피, 피하지방층 등에 삽입 배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여기서, 글루코스 센서(30)(이하, 센서부로 지칭)는 피하에 침투되어 글루코스를 측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Here, the glucose sensor 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nsor portion) may be a structure for penetrating subcutaneously to measure glucose.
센서부(30)는 직접 글루코스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으나, 글루코스와 접촉되어 발생될 수 있는 데이터 및/또는 화학적 변화를 획득하여 간접적으로 글루코스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다.The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극(22)(이하, (+)전극부로 지칭) 및 (-)극(21)(이하, (-)전극부로 지칭)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전극부(22)와 상기 (-)전극부(21)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여기서, 일례로, 피하에 침투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피부에 설치된 상기 (-)전극부(21) 간의 이격거리는 피하에 침투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피부에 설치된 상기 (+)전극부(22)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에 침투되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센서부(30)의 끝단(하측 단부)과 상기 (-)전극부(21)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30)의 끝단(하측 단부)과 상기 (+)전극부(22) 간의 이격거리와 다를 수 있다.3,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end (lower end) of the
일례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21)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센서부(30)의 단부와 상기 (+)전극부(22)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The distance between the end of the
즉, 상기 센서부(30)의 단부는 상기 (+)전극부(22)보다 (-)전극부(21) 쪽으로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end portion of the
또한, 일례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는 (-)전극부(21)가 차지하는 풋프린트(footprint, A)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end of th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전극부(21)가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전극부(21)의 하측은 상기 (-)전극부(21)의 풋프린트(A)가 차지하는 일정 영역이 규정되며, 여기서, 상기 센서부(30)의 끝단은 상기 (-)전극부(21)가 규정하는 풋프린트(A)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전극부(21)로 유도된 글루코스와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앞서 설명한 상기 센서부(30)의 단부는 상기 센서부(30)의 형상으로 볼 때 하측 끝단을 의미할 수도 있으나, 글루코스와의 반응에서 볼 때 상기 센서부(30) 중 글루코스와 반응할 수 있는 부분의 끝단을 의미할 수도 있다.The end of th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의 위치 관계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일례로, 혈당 측정기(100)는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위치 규정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전극부(21)와 상기 (+)전극부(22) 간의 위치관계,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전극부(22) 간의 위치관계 및/또는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전극부(21) 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위치관계라 함은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가 인체에 설치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전극부(20)와 산기 센서부(30) 간의 위치, 상호 떨어진 거리 및/또는 각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The positional relationship refers to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즉, 상기 전극부(20)가 피부에 설치되어 피부 상에 직/간접적으로 위치 고정되고,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되되 외력을 가하여도 더 이상 깊이 침투되지 않는 최대의 침투 상태(인체에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 간의 위치관계가 정의될 수 있다.That is, the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일례로, 상기 (+)전극부(22) 및/또는 상기 (-)전극부(21)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하면 상에 스크린 프린팅 방법 및 스퍼터링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기계적 결합,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고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그 결과,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하측 상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또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서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위치를 미리 규정할 수 있다.That is, the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되는 위치를 규정하는 침투 유도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에 침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위치를 미리 규정하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그 결과,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전극부(20)의 위치를 규정할 뿐만 아니라 상기 피하에 침투되는 상기 센서부(30)의 위치를 규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전극부(20)와 상기 센서부(30) 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여기서, 일례로, 상기 침투 유도부는 관통공간(S)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for example,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formed as a through space S.
즉,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일부가 관통되어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That is,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a space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일례로,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전극부(22)와 상기 (-)전극부(21) 사이에 형성될수 있으며, 나아가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전극부(21)를 향하여 경사긴 상기 관통공간(S)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ne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사용자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삽입시킬 수 있다.The user can insert the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관통공간(S)일 수도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다른 부분과 구별되는 식별 표시일 수도 있다.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the penetrating space 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n identification mark distinguished from other portions of the
여기서, 일례로, 혈당 측정기(100)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S) 상에서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위치 규정부(40)가 상호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배치된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관통공간(S)을 규정하는 상기 위치 규정부(40)가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나아가,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관통공간(S) 상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공간(S)으로 삽입되는 상기 센서부(30)가 상기 위치 규정부(40)로 향하지 않고 피하로 침투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중공을 가지는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가이드부(50)가 형성하는 중공을 지나 피하로 침투될 수 있다.The
일례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위치 규정부(40)와 다른 재질을 가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센서부(3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30)와 연동되어 위치 이동될 수도 있다.The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혈당 측정기(100) 및 혈당측정방법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겠다.Hereinafter, the
우선 사용자는, 상기 전극부(20)가 장착된 상기 위치 규정부(40)를 피부에 설치할 수 있다.First, the user can install the
일례로, 피부에 대향하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의 하면은 피부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접착층이 형성될 수도 있고 밴드와 같은 열결부재를 구비하여 인체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of the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하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패드 형상일 수도 있고, 케이스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사용자는 상기 위치 규정부(40)를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할 수 있다.The user can fix the
그 결과, 상기 (+)전극부(22) 및 상기 (-)전극부(21)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의해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 상기 전극부(20)를 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후, 사용자는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침투시킬 수 있다.After the
이 때, 사용자는 상기 위치 규정부(40)가 구비하는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침투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subcutaneously infiltrate the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정도는 미리 정해질 수 있다.The extent to which the
일례로,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50)와 직/간접적으로 접촉됨으로 인해 피하로 침투되는 정도가 미리 정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degree of penetration into the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상기 센서부(30)를 피하로 침투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센서부(30)를 미리 정해진 정도까지만 침투시킬 수 있고, 이 보다 더 이상 침투시키고자 상기 센서부(30)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50) 간에 직/간접적으로 접촉되어 더 이상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지 않을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a user applies an external force to infiltrate the
결과적으로,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또는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센서부(30)와 상기 전극부(20) 간의 위치관계를 규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센서부(30)가 피하로 침투되는 깊이의 정도를 규정할 수도 있다.As a result, the
상기 센서부(30)가 미리 정해진 피하의 소정의 위치에 삽입된 후, 상기 전극부(20)가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전극부(21) 쪽으로 글루코스가 집중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After the
그 후,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전극부(21) 쪽으로 유도된 글루코스와 반응하여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Thereafter, the
도 4는 혈당 측정기(100)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투 유도부는 상기 (-)전극부(A21)가 규정하는 풋프린트(A)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4,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footprint A defined by the (-) electrode portion A21.
즉, 상기 침투 유도부는 적어도 일측 방향으로 상기 (-)전극부(A21)에 의해 포위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침투 유도부를 통해 피하로 침투되는 상기 센서부(30)는 상기 (-)전극부(A21)가 규정하는 풋프린트(A) 상에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may be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infiltration inducing portion is surrounded by the (-) electrode portion A21 in at least one direction, and the
도 5는 혈당 측정기(100)의 구성에 대한 개략 블록도로서, 혈당 측정기(100)는 상기 송신기(10), 상기 전극부(20), 상기 센서부(30) 및 제어부(60)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onfiguration of the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전극부(20)의 전류인가에 대한 제어, 상기 센서부(30)로부터 센싱되는 데이터의 연산/산출 및/또는 상기 송신기(10) 작동의 제어 등을 구현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일례로, 혈당 측정기(100)가 구성하는 상기 송신기(10), 상기 전극부(20), 상기 센서부(30), 상기 제어부(60), 상기 위치 규정부(40) 및 상기 가이드부(50)는 적어도 하나가 다른 어느 하나와 상호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즉,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와 탈착되어 새로운 상기 전극부(20)로 교체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50)는 상기 위치 규정부(40)와 탈착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일례로, 상기 위치 규정부(40)는 상기 송신기(10)와 탈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또한, 일례로, 상기 전극부(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침투 유도부를 지나 피하에 침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극부(20)는 이미 상기 침투 유도부를 지나 상기 위치 규정부(40) 상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즉, 사용자가 상기 위치 규정부(40)를 피부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고정된 상기 전극부(20)가 피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위치 규정부(40)에 고정된 상기 센서부(30)가 피하에 침투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user sets the
앞서 설명한 혈당 측정기(10)는 혈당을 측정하는 용도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혈당 측정의 용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 동물 등에 설치되어 인체, 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데이터를 획득하는 다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즉,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함은 자명하다.That i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for other uses.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changes or modifications may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98943 | 2017-08-04 | ||
| KR1020170098943AKR20190014875A (en) | 2017-08-04 | 2017-08-04 | Invasive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applying reverse iontophoresis and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method using thereof | 
| KR1020180090166AKR102173405B1 (en) | 2018-08-02 | 2018-08-02 | Blood glucose test meter and Blood glucose test method using the same | 
| KR10-2018-0090166 | 2018-08-02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9027277A1true WO2019027277A1 (en) | 2019-02-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18/008815CeasedWO2019027277A1 (en) | 2017-08-04 | 2018-08-03 | Blood glucose 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same | 
| Country | Link | 
|---|---|
| WO (1) | WO2019027277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171090A (en)* | 2021-03-12 | 2021-07-27 | 中山大学 | Diabetes monitoring and treatment device and system based on mesoporous microneedl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75227A (en)* | 1994-03-15 | 1995-10-24 | Minimed Inc | Endermic sensor insertion set | 
| JP2013521942A (en)* | 2010-03-16 | 2013-06-13 | メドトロニック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nalyte sensor device with improved electrode configuration,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device | 
| KR101288400B1 (en)* | 2012-07-10 | 2013-08-02 | 주식회사 유엑스엔 | Measuring method of blood sugar level,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 
| JP2016518883A (en)* | 2013-03-15 | 2016-06-30 | プロメセオン ファーマ,エルエルシー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ompounds | 
| KR20170000409A (en)* | 2015-06-10 | 2017-0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table Air conditio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75227A (en)* | 1994-03-15 | 1995-10-24 | Minimed Inc | Endermic sensor insertion set | 
| JP2013521942A (en)* | 2010-03-16 | 2013-06-13 | メドトロニック ミニメ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Analyte sensor device with improved electrode configuration,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device | 
| KR101288400B1 (en)* | 2012-07-10 | 2013-08-02 | 주식회사 유엑스엔 | Measuring method of blood sugar level, apparatus and system thereof | 
| JP2016518883A (en)* | 2013-03-15 | 2016-06-30 | プロメセオン ファーマ,エルエルシー |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dermal delivery of compounds | 
| KR20170000409A (en)* | 2015-06-10 | 2017-0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table Air condition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3171090A (en)* | 2021-03-12 | 2021-07-27 | 中山大学 | Diabetes monitoring and treatment device and system based on mesoporous microneedles | 
| CN113171090B (en)* | 2021-03-12 | 2023-09-26 | 中山大学 | Diabetes monitoring and treatment device and system based on mesoporous microneedl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O2016182315A1 (en) | Biosensor electrode structure and biosensor including the same | |
| US5036861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non-invasively monitoring plasma glucose levels | |
| US7310543B2 (en) | Silicon microprobe with integrated biosensor | |
| WO2011145807A2 (en) | Device for examining nerve function | |
| WO2021025260A1 (en) | Method for processing noise i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data | |
| JPH09503924A (en) | Non-invasive glucose monitor | |
| US20060029991A1 (en) | Analyzer, analyzing method, and blood-sugar level measuring device | |
| WO2016108485A1 (en) | Guide device for injection needle puncture | |
| WO2017160015A1 (en) | Sleep apnea monitoring system | |
| WO2022173087A1 (en) | Brain wave measurement device | |
| WO201507646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 signal | |
| WO2023277269A1 (en) | Body-attachable unit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 |
| WO2019027277A1 (en) | Blood glucose meter and method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same | |
| WO2023277267A1 (en) |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 |
| WO2021020688A1 (en) | Method for stabilizing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23277270A1 (en) | Sensor unit for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 |
| WO2023120826A1 (en)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18221865A1 (en) | Body-attachable pulse wave measuring device | |
| WO2019182236A1 (en) | Biophotonics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diagnosing and treating decubitus ucler, and method for treating decubitus ucler using same | |
| WO2019117653A1 (en) | Active skin contact sensor | |
| WO2023136541A1 (en) | Applicator for medical device, and applicator assembly | |
| WO2023013869A1 (en) | Transcutaneous sensor applicator and applicator assembly | |
| WO2017061727A1 (en) | Biosensor and sensing method thereby | |
| WO2022250242A1 (en) | Adhesive tape for body-attached device | |
| WO2023277268A1 (en) | Applicator for transcutaneous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18841534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DE |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18841534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