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 내에 조립된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여 단순히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센서 모듈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별도의 트랜스미터를 센서 모듈에 연결하여 센서 모듈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트랜스미터를 계속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센서 모듈 및 어플리케이터를 1회용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정확하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유지 관리 또한 편리한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More specifically, by manufacturing the sensor module assembled in the applicator, the user can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simply by operating the applicator by minimizing the additional work of the user for attaching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It is possible to use the sensor module by embedding the battery in the sensor module and connecting a separate transmitter to the sensor module to supply the power of the sensor module. Therefore, the transmitt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economically, and the sensor module and the applicator are used for on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which enables accurate and safe use and is also convenient for maintenance.
당뇨병은 현대인에게 많이 발생되는 만성질환으로 국내의 경우 전체 인구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에 이르고 있다.Diabetes is a chronic disease that occurs frequently in modern people, and in Korea, more than 2 million people, or 5% of the total population.
당뇨병은 비만,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선천적 유전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인슐린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거나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혈액에서 당에 대한 균형을 바로 잡아주지 못함으로써 혈액 안에 당 성분이 절대적으로 많아지게 되어 발병한다.Diabetes has a huge amount of sugar in the blood due to the lack of or relative lack of insulin produced by the pancreas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obesity, stress, poor diet, and congenital heredity. Loses and develops.
혈액 중에는 보통 일정 농도의 포도당이 함유되어 있으며 조직 세포는 여기에서 에너지를 얻고 있다.Blood usually contains a certain concentration of glucose, and tissue cells are getting energy from it.
그러나, 포도당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게 되면 간장이나 근육 또는 지방세포 등에 적절히 저장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축적되며, 이로 인해 당뇨병 환자는 정상인보다 훨씬 높은 혈당이 유지되며, 과다한 혈당은 조직을 그대로 통과하여 소변으로 배출됨에 따라 신체의 각 조직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당분은 부족해져서 신체 각 조직에 이상을 불러일으키게 된다.However, when glucose is increased more than necessary, it is not properly stored in the liver, muscle, or fat cells, and accumulates in the blood, which causes diabetes patients to maintain a much higher blood sugar level than a normal person, and excessive blood sugar passes through the tissues directly into the urine. As it is released, the sugars that are absolutely necessary for each tissue of the body are insufficient, causing abnormalities in each tissue of the body.
당뇨병은 초기에는 거의 자각 증상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 병이 진행되면 당뇨병 특유의 다음, 다식, 다뇨, 체중감소, 전신 권태, 피부 가려움증, 손과 발의 상처가 낫지 않고 오래가는 경우 등의 특유의 증상이 나타나며, 병이 한층 더 진행되면 시력장애, 고혈압, 신장병, 중풍, 치주질환, 근육 경련 및 신경통, 괴저 등으로 진전되는 합병증이 나타난다.Diabetes is characterized by almost no symptoms in the early stages, and when the disease progresses, it is characteristic of diabetes mellitus, followed by polyps, polyuria, weight loss, systemic boredom, itching of the skin, and long-lasting pain in the hands and feet. When the disease progresses further, complications develop into vision disorders, hypertension, kidney disease, stroke, periodontal disease, muscle spasms and neuralgia, gangrene, and the like.
이러한 당뇨병을 진단하고 합병증으로 진전되지 않도록 관리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혈당 측정과 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In order to diagnose this diabetes and manage it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systematic blood glucose measurement and treatment should be combined.
당뇨병 환자 및 당뇨병으로 진전되지 않았으나 혈액 내에 정상보다 많은 당이 검출되는 사람들을 위하여 많은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는 가정에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혈당 측정기를 제공하고 있다.For diabetics and people who have not advanced to diabetes but have detected more than normal sugar in their blood, many medical device manufacturers offer a variety of blood glucose meters to measure blood glucose at home.
혈당 측정기는 사용자가 손가락 끝으로부터 채혈하여 혈당 측정을 1회 단위로 수행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배와 팔 등에 부착하여 혈당 측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이 있다.The blood glucose meter includes a method in which a user collects blood from a fingertip and performs blood glucose measurement in a unit of time, and a method in which blood glucose measurement is continuously attached to a user's abdomen and arm.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혈당과 저혈당 상태를 오가게 되는데, 응급 상황은 저혈당 상태에서 찾아오고, 의식을 잃거나 당분 공급 없이 저혈당 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저혈당 상태의 즉각적인 발견은 당뇨병 환자에게 매우 중요하나 간헐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채혈식 혈당 측정기로는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In people with diabetes, they usually go between high and low blood sugar levels, and emergencies come from low blood sugar, and they may die if they are unconscious or have a low blood sugar for a long time without sugar. Therefore, the immediate detection of hypoglycemic state is very important for diabetics, but there is a limit to accurately grasp it with a blood glucose meter which measures blood glucose intermittently.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수분 간격으로 혈당치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CGMS: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당뇨병 환자의 관리와 응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Recently, a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CGMS), which is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and measures blood glucose levels at intervals of minutes, has been developed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reby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diabetes patients and coping with emergencies. Can be done.
또한, 채혈식 혈당 측정기는 당뇨병 환자가 자신의 혈당을 검사하기 위해 바늘로 통증에 민감한 손끝을 찔러 혈액을 채취하는 방식으로 혈당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채혈 과정에서 고통과 거부감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고통과 거부감을 최소화하기 위해 통증이 상대적으로 덜한 배와 팔 등의 부위에 바늘 형태의 센서를 삽입한 후 연속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수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 혈당을 측정하는 비침습 혈당 측정 시스템(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에 대한 연구 개발 또한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In addition, the blood glucose meter is a blood glucose measurement by diagnosing a blood glucose measurement by diagnosing the blood sugar of a patient with a needle to check his blood sugar, causing pain and rejection in the blood collection process. In order to minimize such pain and rejection, a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that continuously measures blood glucose after inserting a needle-like sensor into a region of the lower pain and abdomen has been conducte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Non-Invasive Glucose Monitoring System, which measures blood glucose without collecting blood, has also been actively conducted.
비침습 혈당 측정 시스템은 지난 과거 40여년간 혈액을 채취하지 않고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광학적인 방법, 전기적인 방법, 호기에서 측정하는 등의 다양한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시그너스사(Cygnus, Redwoo City, Ca, USA)는 역이온 삼투요법을 이용하여 손목시계 형태의 Glucowatch G2 Biographer 를 개발하여 출시하였으나, 피부 자극 문제와 검정에 대한 문제, 발한시 기기가 멈추는 문제, 고혈당에 비해 저혈당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 등으로 인해 2007년 판매가 중단되었다. 현재까지 많은 무채혈 혈당 측정 기술이 등장했고 보고되고 있지만 정확성이 떨어져 실용적으로 사용되지는 못하고 있다.The non-invasive blood glucose measurement system has been studied for various methods such as optical method, electrical method, and exhalation measurement to measure blood glucose without collecting blood for the past 40 years. Cygnus, Redwoo City, Ca, USA, developed and released a wristwatch-type Glucowatch G2 Biographer using reverse ion osmosis, but had skin irritation and blackness, device stopped during sweating, and high blood sugar. In 2007, the company was discontinued due to problems with low blood sugar. To date, many bloodless blood glucose measurement techniques have emerged and are reported, but they are not used in practice due to their poor accuracy.
연속 혈당 측정기는 신체의 피부에 부착되어 체액을 추출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과, 센서 모듈에 의해 측정된 혈당 수치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트랜스미터와, 전송받은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 모듈에는 피하지방에 삽입되어 세포 간질액을 추출하도록 바늘 모양으로 형성된 센서 프로브 등이 구비되며,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별도의 어플리케이터가 사용된다.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includes a sensor module attached to the skin of the body and extracting body fluid to measure blood glucose,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blood glucose level measured by the sensor module to the terminal, a terminal for outputting the received blood glucose level, and the like. It is composed. The sensor module is provided with a sensor probe or the like inserted into the subcutaneous fat and formed in the shape of a needle to extract the cell interstitial fluid, and a separate applicator is used to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이러한 연속 혈당 측정기는 제조사마다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그 사용방식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속 혈당 측정기들은 1회용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신체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제작 유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1회용 센서 모듈의 신체 부착을 위한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을 위해 여러 단계의 작업을 수행해야 하며,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한 후, 바늘을 직접 뽑아내야 하는 등 여러가지의 후속 절차들을 수행해야 한다.Such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s are manufactured in various forms for each manufacturer, and various methods of use are also made. However, most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s are manufactured and distributed by attaching the disposable sensor module to the body through the applicator, and the user has to perform several steps to operate the applicator for the body attachment of the disposable sensor module. After attaching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a number of follow-up procedures must be performed, including the need to pull out the needle directly.
예를 들면, 1회용 센서 모듈의 포장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삽입해야 하고,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에 삽입한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센서 모듈을 피부에 삽입시키며, 삽입 이후에는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센서 모듈의 바늘을 피부로부터 직접 뽑아내는 등의 작업들을 수행해야 한다.For example, the package of the disposable sensor module should be peeled off and inserted into the applicator correctly. The senso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skin by operating the applicator while the senso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applicator. Tasks such as pulling the sensor module needle directly out of the skin should be performed.
따라서, 연속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센서 모듈의 정보를 단말기에 전송하는 트랜스미터는 상당히 고가임에도 센서 모듈과 함께 1회용으로 사용 완료됨으로써,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도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ask for measuring blood glucose using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is very cumbersome and inconvenient. In addition, the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module to the terminal, even though it is quite expensive, is used for one-time use with the sensor module, there is a problem that is very inefficient in terms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pects.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 내에 조립된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여 단순히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the sensor module assembled in the applicator, thereby minimizing the additional work of the user to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simply by applying the applicator It is to provide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that can be attached to the body simply by operating it more convenient to us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센서 모듈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별도의 트랜스미터를 센서 모듈에 연결하여 센서 모듈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트랜스미터를 계속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센서 모듈 및 어플리케이터를 1회용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정확하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유지 관리 또한 편리한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mbed the battery in the sensor module and to connect a separate transmitter to the sensor module to receive the power supply of the sensor module, the transmitt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economical, disposable sensor module and applicator It is to provide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to enable accurate and safe use, and also easy to maintain.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하는 센서 모듈이 어플리케이터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하나의 단위 제품으로 조립 제작되며, 상기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센서 모듈이 외부 토출되어 신체에 부착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로서, 상기 어플리케이터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일측에는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가압 버튼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 및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부 제 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 1 위치에서 외부 토출 방향인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모듈이 상기 플런저 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와 함께 일체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메인 케이스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제 2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제 1 위치로 복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귀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he sensor module for periodically measuring blood glucose is assembled and manufactured as a unit product in the state inserted into the applicator, the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for the sensor module is externally discharged and attached to the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or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wherein the applicator includes: a main case in which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one surface is opened, and a pressure button is mounted at one side to be pressed by a user; And a plunger body disposed at an inner first position of the main case and linearly moving from the first position to a second position in an external discharge direc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wherein the sensor module is connected to the plunger body. Coupled to move together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tegrally with the plunger body, and the main case prevents the plunger body from returning to the first position after the plunger body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Provided is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urn prevention means is provided.
이때, 상기 복귀 방지 수단은, 상기 플런저 바디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하향 이동 완료시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에 맞물림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복귀 방지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turn preventing means, the return preventing hook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body so that the plunger body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when the downward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completed. It may include.
또한, 상기 복귀 방지 후크는, 상기 메인 케이스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 바디; 및 상기 탄성 바디의 일측면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바디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을 탄성 가압하고, 상기 플런저 바디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바디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이동하여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부에 맞물림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return preventing hook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bod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extending from the inner upper surface of the main case to the lower side; And a hook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elastic body, wherein the hook portion elastically presses an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body by an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in a state where the plunger body is positioned in a first position, In the state where the plunger body is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the plunger body may be elastical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to be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또한, 상기 탄성 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바디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이동하여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탄성 바디의 탄성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in the state in which the plunger body in the second position is elastically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body to limit the elastic movement distance of the elastic body in a manne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body. The stopp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able to.
또한, 상기 메인 케이스는 일측에 상기 가압 버튼이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플런저 바디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 방지 후크는 상기 외부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ase includes an outer case in which the pressing button is mounted on one side, and an inner case which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outer case to guide the linear movement path of the plunger body, and the return preventing hook is the It may be formed in the outer case.
또한, 상기 외부 케이스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상단면에는 별도의 커버 케이스가 결합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복귀 방지 후크는 상기 커버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ase is formed in the form of a separate cover case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in the form of a hollow pipe, the return preventing hook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ver case.
본 발명에 의하면,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 내에 조립된 상태로 제작함으로써,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을 최소화하여 단순히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the sensor module assembled in the applicator, the user can attach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simply by operating the applicator by minimizing the additional work of the user for attaching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used.
또한, 센서 모듈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별도의 트랜스미터를 센서 모듈에 연결하여 센서 모듈의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으로써, 트랜스미터를 계속해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센서 모듈 및 어플리케이터를 1회용으로 사용되도록 하여 정확하고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유지 관리 또한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embedding a battery in the sensor module and connecting a separate transmitter to the sensor module to receive power from the sensor module, the transmitter can be used semi-permanently and economically, so that the sensor module and the applicator can be used for one time. It allows for accurate and safe use and is convenient for maintenance.
또한, 어플리케이터의 작동에 의해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바늘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바늘 제거시 신체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통증 없이 신속하게 바늘이 제거되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ttaching the sensor module to the body by the operation of the applicator to automatically remove the nee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injuries when removing the needle and to remove the needle quickly without pain, so that the effec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have.
또한, 보호캡 분리시 센서 모듈의 접착 테이프의 이형지가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캡 분리 작업 이외에 별다른 부가 작업없이 센서 모듈을 신체에 부착할 수 있어 사용이 더욱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lease paper of the adhesive tape of the sensor module is removed when the protective cap is removed, the sensor module can be attached to the body without any additional work in addition to the protective cap separation operation, thereby making it more convenient to use.
또한,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킨 이후에는 다시 재사용이 안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사용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안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fter the applicator is operated,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used again, thereby preventing the abnormal use of the user and thus enabling the safer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hape of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에 트랜스미터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upling a transmitter to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도 6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캡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캡의 분리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8a and 8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eparation removal process of the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캡과 함께 이형지 분리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9A and 9B are views for explaining a release paper separation and removal process together with a protective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세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센서부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unit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센서부와 바늘부의 결합 가이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guide state of the sensor unit and the needle unit of the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 버튼과 안전 잠금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4 and 15 are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sing button and the safety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잠금 장치와 보호 캡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6A and 16B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safety lock device and a protection ca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바디의 센서 고정 후크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fixing hook of the plunger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와 센서 모듈의 분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8A and 18B are views for explaining a separation structure of an applicator and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9a 및 도 1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재사용 방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9A and 19B are views for explaining a reuse prevention structure of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복귀 방지 후크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20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return preventing hook of an applic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동작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1 to 24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에 트랜스미터를 결합시키는 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ssembly shape of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coupling a transmitter to a sens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figuration of a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는 센서 모듈(20)과 어플리케이터(10)가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 제품으로 제작된 조립체로서, 연속 혈당 측정기의 사용시 사용자의 부가 작업이 최소화되는 형태로 사용 방식이 매우 단순한 구조이다.The sensor applicator assembly 1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ssembly in which the
센서 모듈(20)은 체액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도록 신체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며, 혈당 측정 결과를 단말기(미도시) 등의 외부 기기에 전송할 수 있도록 별도의 트랜스미터(30)가 연결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어플리케이터(10)는 센서 모듈(20)이 내부에 결합 고정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센서 모듈(20)을 외부 토출하도록 작동한다.The
이때, 센서 모듈(20)은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조립 제작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따라 외부 토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는 제작 단계에서 센서 모듈(20)이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만으로 센서 모듈(20)이 피부에 부착되도록 조립 제작되고, 이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므로, 사용자는 센서 모듈(20)을 피부에 부착하기 위한 별도의 부가 작업 없이 단순히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키는 작업만으로 센서 모듈(20)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 모듈(20)을 피부에 부착시킨 이후, 센서 모듈(20)에 별도의 트랜스미터(30)를 결합함으로써, 연속 혈당 측정기의 단말기에 혈당 측정 결과가 주기적으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sensor applicator assembly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kin of the
센서 모듈(20)이 신체에 부착된 상태로 대략 1주일 정도 사용하면 수명이 다하고, 이후 새로운 센서 모듈(20)을 또 다시 신체에 부착해야 하는데, 이때, 센서 모듈(20)과 어플리케이터(10)는 1회용으로 제작 사용되고, 트랜스미터(30)는 별도 독립적인 제품으로 계속 사용된다. 즉, 센서 모듈(20)은 신체에 부착 가능한 상태로 어플리케이터(10)에 조립 상태로 공급되므로, 사용자가 센서 모듈(20)을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하거나 별도의 부가 작업을 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단순히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키는 방식으로 센서 모듈(20)을 신체에 부착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사용된 센서 모듈(20)과 어플리케이터(10)는 사용이 완료된 이후 재사용이 불가하고, 다시 새로운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1)를 이용하여 새롭게 센서 모듈(20)을 신체에 부착시키게 된다. 이때, 트랜스미터(30)는 1회용이 아닌 별도의 독립적인 제품으로 계속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종래의 일반적인 연속 혈당 측정기는 별도로 포장된 센서 모듈을 포장을 벗겨낸 후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히 삽입하고, 삽입한 이후 어플리케이터를 작동시켜 센서 모듈을 피부에 부착시키게 되는데, 센서 모듈을 어플리케이터에 정확하게 삽입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나 노약자 분들의 경우 이러한 작업시 센서 모듈을 오염시키는 등의 이유로 혈당 측정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The conventional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removes a separately packaged sensor module and accurately inserts the package into the applicator. After inserting, the sensor module is attached to the skin by operating the applicator. The operation of inserting the sensor module accurately into the applicator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cumbersome and difficult, there was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 blood sugar measurement accuracy, such as the contamination of the sensor module during the operation of young children or elderly peop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작 단계에서 센서 모듈(20)을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한 상태로 제작 유통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서 모듈(20)을 벗겨내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하는 과정 등이 생략되고, 단순히 어플리케이터(10)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센서 모듈(20)을 피부에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며, 특히, 센서 모듈(20)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혈당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nufacturing and distributing the
이와 같이 센서 모듈(20)을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한 상태로 제작되므로, 센서 모듈(20) 및 어플리케이터(10)는 재사용이 불가능한 1회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재사용 불가 구조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터(10)는 내부에 삽입된 센서 모듈(20)이 외부 토출되도록 1회 작동한 이후에는 센서 모듈(20)의 재삽입이 불가능하도록 형성된다.Since the
즉, 어플리케이터(10)는 일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센서 모듈(20)은 어플리케이터(10)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외부 토출되도록 구성되는데, 어플리케이터(10)의 최초 1회 작동을 통해 내부의 센서 모듈(20)을 외부 토출시키게 되면, 이후에는 다른 센서 모듈(20)을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하여 사용하지 못하도록 사용자에 의한 센서 모듈(20)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어플리케이터(10)에는 센서 모듈(20)이 어플리케이터(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노출이 차단되도록 별도의 보호캡(20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보호캡(200)을 분리한 이후에만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센서 모듈(20)을 신체에 부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separate
이때, 센서 모듈(20)의 신체 접촉면에는 센서 모듈(20)이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접착 테이프(560)가 부착되고, 접착 테이프(560)의 신체 접촉면에는 접착 테이프(560) 보호를 위해 이형지(561)가 부착되는데,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561)는 보호캡(200)을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예를 들면, 이형지(561)는 일측이 보호캡(200)에 접착되어 있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자가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보호캡(200)을 분리하면, 보호캡(200)과 함께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호캡(200)을 분리하게 되면,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561)가 분리 제거되므로,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센서 모듈(20)을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또한, 어플리케이터(10)는 센서 모듈(20)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20)을 결합 고정하고 센서 모듈(20)이 외부 토출 이동한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20)에 대한 결합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모듈(20)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삽입 조립된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20)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어플리케이터(10)를 작동시켜 센서 모듈(20)을 외부 토출하여 피부에 부착되도록 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터(10)와 센서 모듈(20)의 결합 고정 상태가 해제되므로,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10)를 분리하면 센서 모듈(20)과 분리되고, 피부에는 센서 모듈(20)만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게 된다.In addition, the
다음으로, 각각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Next, let's take a closer look at each detailed configuration.
먼저, 보호 캡(200)은 어플리케이터(10)의 개방된 일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된 센서 모듈(2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러한 보호 캡(2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캡(200)이 어플리케이터(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 방지되도록 잠금 부재(210)가 형성되며, 잠금 부재(21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잠금 및 잠금 해제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이러한 잠금 부재(210)는 보호 캡(2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잠금 레버(211)와, 잠금 레버(211)의 일단에 형성되는 잠금 걸림 돌기(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잠금 레버(211)는 중간 지점에 탄성 힌지축(212)이 형성되고, 탄성 힌지축(212)을 중심으로 양단이 탄성 회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터(10)의 외주면에는 잠금 부재(210)의 구성에 대응하여 잠금 걸림 돌기(213)가 삽입 맞물림될 수 있는 잠금 걸림홈(1011)이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이때, 잠금 레버(211)는 잠금 걸림 돌기(213)가 잠금 걸림홈(1011)에 삽입 맞물림되는 방향으로 탄성 힌지축(212)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cking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호 캡(20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잠금 레버(211)의 하단을 가압하지 않는 이상 어플리케이터(10)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며, 잠금 레버(211)를 가압하여 잠금 걸림 돌기(213)가 잠금 걸림홈(1011)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된 상태에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캡(200)을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이러한 보호 캡(200)은, 어플리케이터(10)의 외주면을 접촉하는 형태로 감싸며 어플리케이터(10)의 일단부에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외측 커버부(201)와, 외측 커버부(201)의 일단으로부터 어플리케이터(10)의 내측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202)와, 연장부(202)로부터 상향 연장되어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된 센서 모듈(20)의 신체 접촉면을 지지하는 내측 지지부(2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내측 지지부(203)의 중심부에는 센서 모듈(20)의 신체 접촉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센서 프로브(521) 및 바늘부(550)를 감싸도록 센서 보호부(204)가 국부적으로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따라서, 보호 캡(200)은 어플리케이터(10)의 내부에 삽입된 센서 모듈(20)의 외부 노출 차단 뿐만 아니라 센서 모듈(20)에 대한 지지 기능 또한 수행하며, 전체적으로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킨다.Accordingly,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모듈(20)에는 신체 접촉면에 접착 테이프(560) 및 이형지(561)가 부착되며,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561)는 보호 캡(200)을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에서 보호 캡(200)과 함께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되도록 형성된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이때, 이형지(561)는 보호 캡(200)의 내측 지지부(203)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 부재(562)를 통해 보호 캡(200)의 내측 지지부(203)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형지(561)의 하면 일측에는 별도의 접착 부재(562)가 접착되며, 이러한 접착 부재(562)는 보호 캡(200)의 내측 지지부(203) 상면과 이형지(561) 사이에 위치하여 하면이 내측 지지부(203)의 상면에 접착된다. 접착 부재(562)의 접착력은 이형지(561)와 접착 테이프(560) 사이의 접착력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보호 캡(200)을 어플리케이터(10)로부터 분리하면, 접착 부재(562)를 통해 보호 캡(200)의 내측 지지부(203)에 접착된 이형지(561)가 함께 분리되며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된다.In this case, the
이때, 이형지(561)에는 접착 부재(562)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이격 거리를 갖는 2개의 절개선(미도시)이 상호 평행하게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캡(20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접착 부재(562)와 함께 이형지(561)가 절개선을 따라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먼저 분리 이탈되며, 이후, 보호 캡(200)의 분리 과정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즉, 보호 캡(200)이 도 9b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계속 하향 이동함에 따라 절개선 이외 부분의 이형지(561)가 견인되어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분리 제거된다. 이러한 이형지 분리 제거 과정을 통해 이형지(561)의 분리 제거 작업을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At this time, two release lines (not shown) having a separation distance of the same size as the width of the
한편, 전술한 보호 캡(200)의 잠금 레버(211)는 보호 캡(200)의 외측 커버부(201)의 중심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측 커버부(201)의 일부분을 절개한 형태로 잠금 레버(211)를 형성하고 절개 라인의 일측에 탄성 힌지축(212)을 형성하여 외측 커버부(201)에 연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cking
센서 모듈(20)은 포드부(510)와, 센서부(520)와, PCB 기판(530)과, 배터리(540)를 포함한다.The
포드부(510)는 어플리케이터(10)에 의해 외부 토출 이동하여 신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단면에 접착 테이프(560)가 부착되며 일측에는 트랜스미터(3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단자(513)가 형성되는데, 평판 형태로 하단면에 접착 테이프(560)가 부착되는 포드 베이스(511)와, 포드 베이스(511)의 상부 공간을 감싸도록 포드 베이스(511)의 상면 일측에 케이스 형태로 형성되는 포드 바디(512)를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포드 바디(512)는 포드 베이스(511)의 상면 일측에 위치하고, 일단에 연결 단자(513)가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센서부(520), PCB 기판(530), 배터리(540) 등이 배치된다. 포드부(510)가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의해 신체에 부착되는데, 포드 베이스(511)가 접착 테이프(560)에 의해 신체에 부착되며, 이후 별도의 트랜스미터(30)가 포드 베이스(511)의 상면에 안착되는 형태로 포드 바디(512)의 연결 단자(513)와 연결되도록 결합된다.The
센서부(520)는 일단부가 포드부(510)로부터 하향 돌출되도록 포드부(5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며 포드부(510)가 외부 토출 이동함에 따라 신체에 삽입되어 혈액을 추출하고 혈당을 측정한다. 센서부(520)는 일단부가 신체에 삽입되어 혈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포드 베이스(511)의 하단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는 센서 프로브(521)를 포함한다.The
PCB 기판(530)은 포드부(5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어 센서 프로브(521)의 타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프로브(521)의 일단부가 피부에 삽입되어 체액의 혈당에 의해 반응하게 되는데, 이때, 혈당 농도에 따라 발생하는 센서 프로브(521)의 전류 변화 정보가 PCB 기판(530)에 전기적으로 전달된다. PCB 기판(530)에는 포드부(510)에 형성된 연결 단자(513)와 연결되도록 단자 연결 접점(532)이 형성된다.The
배터리(540)는 포드부(510)의 내부 공간에서 PCB 기판(530)에 장착되어 센서부(520)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PCB 기판(530)에는 배터리(540)가 실장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배터리 지지 브래킷(531)이 형성된다. 배터리(540)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은 PCB 기판(530)을 통해 연결 단자(513)로 공급되고, 트랜스미터(30)가 포드부(510)의 연결 단자(513)에 연결 결합된 상태에서 연결 단자(513)를 통해 트랜스미터(30)에 공급된다. 즉, 트랜스미터(30)는 센서 모듈(20)에 내장된 배터리(540)의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한다. 아울러, 센서부(520)에 의한 전류 변화 정보 또한 PCB 기판(530) 및 연결 단자(513)를 통해 트랜스미터(30)로 전달되고, 트랜스미터(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다. 또한, 트랜스미터(30)는 센서 모듈(20)의 배터리(5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므로, 트랜스미터(30) 내부에는 별도의 배터리가 불필요하며, 따라서, 트랜스미터(30)는 배터리 소진에 따른 교체가 불필요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어플리케이터(10)의 작동에 의해 포드부(510)가 외부 토출 방향으로 이동하여 신체에 부착되면, 이와 동시에 센서부(520)의 일단부가 신체에 삽입되며, 센서부(520)는 체액과의 반응에 의해 혈당 농도에 따라 전류값이 달라지는데, 이러한 전류 변화 정보가 PCB 기판(530)에 전달되고, PCB 기판(530) 및 연결 단자(513)를 통해 트랜스미터(30)에 인가되며, 트랜스미터(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다.When the
한편, 센서 모듈(20)은 센서 프로브(521)의 신체 삽입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별도의 바늘부(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늘부(550)는 포드부(5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포드부(510)가 외부 토출 이동함에 따라 센서 프로브(521)의 일단부가 신체에 안정적으로 삽입되도록 센서 프로브(521)의 일단부를 감싸며 센서 프로브(521)와 함께 신체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바늘부(5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드부(510)를 상하 관통하는 방향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센서 프로브(521)의 외부를 감싸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바늘 헤드(551)가 형성된다. 이러한 바늘부(550)는 포드부(510)가 어플리케이터(10)에 의해 외부 토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센서 프로브(521)보다 먼저 신체에 삽입되며 센서 프로브(521)가 안정적으로 피부에 삽입되도록 보조한다. 바늘 헤드(551)에는 바늘부(550)를 신체로부터 인출시 어플리케이터(10)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552)이 형성된다. The
어플리케이터(10)는 포드부(510)의 외부 토출 이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바늘부(550)를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하도록 작동하며, 이에 따라 포드부(510)가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신체 내부에는 센서 프로브(521)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부(550)는 인출 제거된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미터(30)가 연결 단자(513)에 연결되도록 포드부(510)에 결합된다.The
센서부(520)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센서부(520)는 신체에 삽입되어 혈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일단부(5211)가 포드 베이스(511)의 하단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고 타단부(5212)가 포드부(510)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센서 프로브(521)와, 센서 프로브(521)를 지지하도록 센서 프로브(521)의 일부 구간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센서 하우징(522)과, 센서 프로브(521)의 타단부(5212)가 관통 결합하도록 센서 하우징(522)에 결합되는 러버 블록(523)과, 센서 프로브(521)의 타단부(5212)가 관통 결합하도록 러버 블록(523)에 삽입되며 일단부가 PCB 기판(530)에 탄성 접촉하는 탄성 접점(5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센서 프로브(521)는 일단부(5211)와 타단부(5212)가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고, 센서 하우징(522)에는 내부에 센서 프로브(521)가 관통 삽입되어 위치 가이드되도록 프로브 통로(5221)가 형성되며, 상측에는 바늘부(550)가 관통 결합되는 바늘 지지부(522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다. 일측에는 러버 블록(523)이 삽입 수용되도록 러버 수용부(5223)가 형성되고, 러버 수용부(5223)의 측벽에는 러버 블록(523)과 맞물림되어 러버 블록(523)을 고정하는 러버 고정 후크(5224)와, 센서 하우징(522)이 포드부(510)와 맞물림되어 삽입 결합되도록 하는 센서 고정 후크(5225)가 형성된다. 포드부(510)의 포드 베이스(511)에는 센서 하우징(522)이 삽입 수용되며 결합되도록 센서 하우징 수용부(5111)가 형성되며, 센서 하우징(522)의 러버 수용부(5223)에 형성된 센서 고정 후크(5225)는 포드 베이스(511)의 센서 하우징 수용부(5111)와 맞물림되도록 형성된다.The
센서부(520)의 상부에 PCB 기판(530)이 배치되며, PCB 기판(530)의 상면에 배터리(540)가 실장된다. 센서부(520)의 센서 프로브(521)는 일단부(5211)가 피부에 삽입되고 타단부(5212)가 러버 블록(523) 및 탄성 접점(524)을 관통하며 결합하는데, 탄성 접점(524)이 PCB 기판(530)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센서 프로브(521)는 탄성 접점(524)을 통해 PCB 기판(5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한편, 바늘부(550)는 센서 하우징(522)의 바늘 지지부(5222)를 상하 관통하며 센서 프로브(521)의 외부 공간을 감싸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부에는 바늘 헤드(551)가 형성된다. 이때, 센서 하우징(522)과 바늘 헤드(551)에는 상호 결합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5226)과 가이드 홈(5226)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553)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하우징(522)의 바늘 지지부(5222) 상단부에는 가이드 홈(5226)이 형성되고, 바늘 헤드(551)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홈(5226)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553)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 헤드(551) 및 바늘부(550)의 센서 하우징(522)에 대한 삽입 방향이 가이드되어 바늘부(550)와 센서 프로브(521)가 정확한 배열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a
어플리케이터(10)는, 일측에 사용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도록 가압 버튼(110)이 장착되는 메인 케이스(100)와,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 제 1 위치에 결합 고정되고 가압 버튼(110)의 조작에 따라 제 1 위치에서 결합 고정 해제되어 외부 토출 방향인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플런저 바디(300)와,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도록 플런저 바디(300)에 탄성력을 가하는 플런저 탄성 스프링(S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센서 모듈(20)은 플런저 바디(300)의 일단에 결합되어 플런저 바디(300)와 함께 일체로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한다.The
메인 케이스(100)는 일측에 가압 버튼(110)이 장착되는 외부 케이스(101)와, 외부 케이스(101)의 내부에 결합되어 플런저 바디(300)의 직선 이동 경로를 가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이너 케이스(102)로 분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케이스(101)는 중공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에는 별도의 커버 케이스(103)가 결합될 수 있는데, 커버 케이스(103)에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한 상태에서 제 1 위치로 복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방지 후크(104)가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외부 케이스(10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버튼(110)의 가압 조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안전 잠금 장치(120)가 결합되고, 안전 잠금 장치(120)를 제거한 경우에만 가압 버튼(110)이 가압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사용자가 실수로 인해 어플리케이터(10)를 정위치에 위치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 버튼(110)을 가압 조작하게 되면,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에 위치한 센서 모듈(20)이 격발되어 외부 토출되게 되므로, 이러한 실수로 인한 센서 모듈(20)의 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안전 잠금 장치(120)를 장착함으로써, 더욱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When the user presses the
플런저 바디(300)에는 플런저 탄성 스프링(S1)에 의해 메인 케이스(100)의 내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도록 탄성력이 작용하는데,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너 케이스(102)에 맞물림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후크(310)가 형성된다. 이너 케이스(102)에는 제 1 위치에서 플런저 바디(300)의 탄성 후크(310)가 맞물림되도록 고정 단턱부(1021)가 형성된다.An elastic force acts on the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101)의 가압 버튼(110)을 내측 방향으로 가압 조작하면, 가압 버튼(110)의 내부 누름 돌기(111)가 플런저 바디(300)의 탄성 후크(310)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성 후크(310)와 이너 케이스(102)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어 플런저 바디(300)는 플런저 탄성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가압 버튼(1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안전 잠금 장치(120)를 제거한 경우에만 가압 조작이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또한, 플런저 바디(300)에는 제 2 위치로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 돌기(3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스토퍼 돌기(320)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이너 케이스(102)의 일측에 맞물림되는 방식으로 상기 플런저 바디(3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플런저 바디(300)는 스토퍼 돌기(320)에 의해 제 2 위치까지만 이동하며, 그 이상 범위로는 메인 케이스(100)로부터 외부 토출되지 않는다.In addition, a
이때, 플런저 바디(300)의 스토퍼 돌기(320)가 맞물림되는 이너 케이스(102)의 일측 부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가 이동 과정에서 맞물림될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 부재(10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1022)에 의해 어플리케이터 작동시 플런저 바디(300)의 이동 맞물림에 따른 충격음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플런저 바디(300)의 충격에 따른 반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센서 프로브(521)를 정확하게 신체에 삽입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플런저 바디(300)의 일단부에는 센서 모듈(20)이 삽입 수용되도록 센서 수용부(301)가 형성되고, 센서 모듈(20)은 센서 수용부(301)에 삽입 수용되어 플런저 바디(300)와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한다.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함에 따라 센서 모듈(20)의 센서 프로브(521) 및 바늘부(550)가 신체에 삽입된다.In addition, a sensor
이때, 센서 수용부(301)의 가장자리에는 센서 수용부(301)에 삽입된 센서 모듈(20)과 맞물림 결합되어 센서 모듈(2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센서 고정 후크(330)가 장착된다. 센서 고정 후크(330)는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센서 고정 후크(330)가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센서 모듈(20)과 맞물림 결합되고,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센서 고정 후크(33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센서 모듈(20)과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를 위해 이너 케이스(102)에는 후크 가이드부(140)가 형성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In this case, a
한편, 외부 케이스(101)에는 가압 버튼(110)이 삽입되어 가압 이동할 수 있도록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가이드 홈(1012)이 형성된다. 가압 버튼(110)의 내측면에는 가압 버튼(110)이 버튼 가이드 홈(1012)을 따라 가압 이동함에 따라 플런저 바디(300)의 탄성 후크(310)를 가압할 수 있는 누름 돌기(111)가 형성된다. 가압 버튼(110)은 힌지 로드(1112)를 통해 외부 케이스(101)의 일단에 일부 구간 회동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며, 회동 방식으로 가압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버튼 가이드 홈(1012)에는 가압 버튼(110)의 가압 조작에 대한 탄성 복귀 기능을 제공하도록 별도의 탄성편(1013)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가압 버튼(110)의 가압 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잠금 장치(120)는 외부 케이스(101)에 결합되는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 가이드 홈(1012)의 깊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버튼 가이드 홈(1012)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가압 버튼(110)의 가압 이동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외부 케이스(101)의 일측에는 이러한 안전 잠금 장치(120)가 버튼 가이드 홈(1012)으로 슬라이드 삽입되도록 슬라이드 삽입홈(1014)이 형성된다.
안전 잠금 장치(120)는, 버튼 가이드 홈(1012)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가압 방지 로드(121)와, 가압 방지 로드(121)의 일단에 연장 형성되며 가압 방지 로드(121)가 버튼 가이드 홈(10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스(10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외측 지지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압 방지 로드(121)가 버튼 가이드 홈(1012)에 삽입되면, 버튼 가이드 홈(1012)을 깊이 방향에 대한 직각 방향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가압 버튼(110)은 버튼 가이드 홈(1012)의 깊이 방향으로의 가압 이동이 구속된다.The
안전 잠금 장치(120)의 외측 지지부(122)의 일측에는 안전 잠금 장치(120)를 슬라이드 인출하고자 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돌기(123)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슬라이드 삽입시에는 안전 잠금 장치(120)의 삽입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외측 지지부(122)의 일측면에는 외부 케이스(101)에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한편, 이러한 안전 잠금 장치(120)는 메인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보호 캡(200)이 분리되지 않는 이상 메인 케이스(100)로부터 분리 제거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캡(200)을 분리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안전 잠금 장치(120)를 해제한 후, 가압 버튼(110)을 가압하면, 센서 프로브(521)가 보호 캡(200)에 부딪히며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안전 잠금 장치(120)의 외측 지지부(122)의 일측에는 외측 지지부(122)가 외부 케이스(101)의 외측면을 감싸며 결합한 상태에서 보호 캡(200)이 외부 케이스(101)에 결합됨에 따라 보호 캡(200)과 맞물림되도록 가압 방지 로드(121)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물림 연장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Therefore, the
이러한 구조에 따라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잠금 장치(120)가 외부 케이스(101)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에서 보호 캡(200)이 분리 제거되지 않으면, 안전 잠금 장치(120)의 맞물림 연장부(125)가 보호 캡(200)의 상단부에 맞물림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안전 잠금 장치(120)를 분리 제거할 수 없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캡(200)을 분리 제거하면, 안전 잠금 장치(120)의 맞물림 연장부(125)가 맞물림 해제되므로, 안정 잠금 장치(120)를 외부 케이스(101)로부터 슬라이드 인출하여 분리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16A, when the
한편, 어플리케이터(10)는 센서 모듈(20)이 내부에 삽입된 제 1 위치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20)을 결합 고정하고, 센서 모듈(20)이 외부 토출 이동한 제 2 위치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20)에 대한 결합 고정 상태를 해제하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의 센서 수용부(301) 가장자리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수용부(301)에 삽입된 센서 모듈(20)과 맞물림 결합되어 센서 모듈(20)을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센서 고정 후크(330)가 장착된다. 센서 고정 후크(330)는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센서 고정 후크(330)가 이너 케이스(102)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센서 모듈(20)과 맞물림 결합되고,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센서 고정 후크(33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어 센서 모듈(20)과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이를 위해 이너 케이스(102)에는 후크 가이드부(140)가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dge of the
센서 고정 후크(33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회전축(331)이 형성되는 회동 바디(3301)와, 회동 바디(3301)의 하단에 센서 모듈(20)과 맞물림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후크 돌기(33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런저 바디(300)에는 센서 고정 후크(330)의 회전축(33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회전축 결합홈(302)이 형성된다. 또한, 센서 모듈(20)의 포드 베이스(511) 양측단부에는 센서 모듈(20)이 센서 수용부(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센서 고정 후크(330)의 후크 돌기(3302)와 맞물림되도록 센서 고정 후크(330)에 대응되는 형태로 맞물림 결합홈(5112)이 형성된다.As shown in FIG. 17, the
후크 가이드부(140)는 이너 케이스(102)의 내측면에 내측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후크 가이드부(140)는 내측면이 돌출면(141) 및 오목면(142)을 갖도록 형성되며, 돌출면(141)은 센서 고정 후크(330)를 가압하고 오목면(142)은 센서 고정 후크(330)를 가압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오목면(142)은 센서 고정 후크(330)가 플런저 바디(300)와 함께 제 2 위치에 이동한 상태에서 센서 고정 후크(330)를 가압 해제하도록 형성된다. 즉, 돌출면(141)은 상대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플런저 바디(300)의 제 1 위치에서부터 제 2 위치 이동 직전 구간까지 이동 과정에서 센서 고정 후크(330)를 가압하게 되고, 오목면(142)은 상대적으로 오목한 형태이므로,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센서 고정 후크(330)를 가압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센서 고정 후크(330)는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후크 가이드부(140)의 돌출면(141)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플런저 바디(300)의 센서 수용부(301)에 삽입 수용된 센서 모듈(20)과 맞물림된다.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면, 센서 고정 후크(330)는 후크 가이드부(140)의 오목면(142)에 의해 가압 해제되므로, 센서 고정 후크(330)가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여 센서 모듈(20)과 맞물림 상태도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는, 즉, 플런저 바디(300)가 센서 모듈(20)과 함께 제 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센서 모듈(20)이 접착 테이프(560)에 의해 신체에 부착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어플리케이터(10)를 신체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분리하면, 센서 고정 후크(330)와 센서 모듈(20)이 맞물림 해제된 상태이므로, 어플리케이터(10)만 신체로부터 분리 제거되고, 신체에는 센서 모듈(20)만 부착된 상태로 남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센서 모듈(20)이 어플리케이터(10)에 삽입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0)에 또 다른 센서 모듈(20)을 삽입하여 재사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이를 위해 메인 케이스(100)에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로 이동한 이후에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로 복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복귀 방지 수단이 구비된다.To this end, the
복귀 방지 수단은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하향 이동 완료시 플런저 바디(300)의 상단에 맞물림되도록 플런저 바디(300)의 외측면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복귀 방지 후크(1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9A and 19B, the return preventing means may engage the outer surface of the
복귀 방지 후크(104)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부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탄성 재질의 탄성 바디(1041)와, 탄성 바디(1041)의 일측면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후크부(10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탄성 바디(1041)는 메인 케이스(100) 중 외부 케이스(101)의 상단에 결합되는 커버 케이스(103)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바디(1041)는 후크부(1042)가 플런저 바디(300)의 외측면을 탄성 가압할 수 있도록 하단으로 갈수록 중심측을 향해 경사지는 형태로 탄성 편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후크부(1042)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 바디(1041)의 탄성력에 의해 플런저 바디(300)의 외측면을 탄성 가압하고,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탄성 바디(1041)의 탄성력에 의해 중심측으로 탄성 이동하여 플런저 바디(300)의 상단부에 맞물림되도록 형성된다.The
이때, 탄성 바디(1041)의 하단에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2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탄성 바디(1041)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이동하여 플런저 바디(300)의 외측면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탄성 바디(1041)의 탄성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스토퍼부(1043)가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1041)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스토퍼부(1043)가 형성됨으로써, 플런저 바디(300)의 제 2 위치에서 탄성 바디(1041)가 중심측으로 탄성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토퍼부(1043)가 플런저 바디(300)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이동 구속되고, 이 상태에서 후크부(1042)가 플런저 바디(300)의 상단부에 맞물림된다. 즉, 스토퍼부(1043)가 형성됨으로써, 탄성 바디(1041)의 과도한 탄성 이동을 제한하여 후크부(1042)와 플런저 바디(300)의 맞물림 상태를 정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바디(1041)의 탄성 이동력을 크게 형성하더라도 스토퍼부(1043)에 의해 정위치에서 이동 구속되므로, 탄성 바디(1041)의 탄성 이동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더욱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복귀 방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s the
한편, 어플리케이터(10)는 센서 모듈(20)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외부 토출 이동 완료함과 동시에 센서 모듈(20)의 바늘부(550)를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터(10)는 플런저 바디(30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 완료함과 동시에 바늘부(550)를 상향 이동시켜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하는 바늘 인출 수단(N)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바늘 인출 수단(N)은, 바늘부(550)의 바늘 헤드(551)와 결합되며 플런저 바디(300)에 맞물림 결합되어 플런저 바디(300)와 함께 이너 케이스(102)를 따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바늘 인출 바디(400)와, 바늘 인출 바디(400)가 제 1 위치를 향해 상향 이동하는 방향으로 바늘 인출 바디(400)에 탄성력을 가하는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S2)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needle dispensing means N is engaged with the
바늘 인출 바디(400)는 플런저 바디(300)에 맞물림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바늘 인출 바디(400)에는 탄성 변형 가능한 별도의 탄성 후크(410)가 형성되고, 탄성 후크(410)는 플런저 바디(300)의 후크 맞물림부(340)에 맞물림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 편향된다. 따라서, 플런저 바디(300)가 가압 버튼(110)의 조작에 따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면, 바늘 인출 바디(400) 또한 플런저 바디(300)와 함께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한다.The
이때, 이너 케이스(102)에는 바늘 인출 바디(400)가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 후크(410)가 플런저 바디(300)의 후크 맞물림부(34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탄성 후크(410)를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바늘 인출 가압부(130)가 형성된다.In this case, the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가압 버튼(110)이 가압 조작되면, 바늘 인출 바디(400)는 플런저 바디(300)와 함께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직선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바늘 인출 바디(400)의 탄성 후크(410)가 이너 케이스(102)의 바늘 인출 가압부(130)에 의해 가압되어 후크 맞물림부(340)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므로, 바늘 인출 바디(400)는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위치를 향해 상향 복귀 이동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when the
이때, 바늘 인출 바디(400)는 일단의 바늘 헤드 결합부(420)를 통해 바늘부(550)의 바늘 헤드(551)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바늘 인출 바디(400)가 상향 복귀 이동하는 과정에서 바늘부(550)가 함께 이동하여 신체로부터 인출 제거된다. 바늘 헤드 결합부(420)는 바늘 헤드(551)에 형성된 결합홈(552)에 맞물림 결합되는 형태로 바늘 인출 바디(400)의 하단부에 형성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바늘 인출 바디(400)는 제 1 위치까지만 상향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면 상단까지 최대한 상향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늘 인출 바디(400)가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면 상단에 부딪히며 충격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메인 케이스(100)의 내측면 상단에는 완충 부재(1031)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1031)에 의해 충격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기기 작동의 불안함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 부재(1031)는 메인 케이스(100)의 상단을 구성하는 커버 케이스(103)에 결합될 수 있다.The
한편, 플런저 바디(300)가 플런저 탄성 스프링(S1)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센서 모듈(20)의 센서 프로브(521) 및 바늘부(550)가 신체에 삽입되는데, 바늘부(550)의 신체 삽입 과정에서 삽입 저항이 발생하여 반력에 의해 바늘부(550)가 신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미세하게 후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센서 프로브(521)가 정상적인 깊이로 신체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바늘부(550)의 후퇴가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바늘 인출 바디(400)에는 바늘부(550)가 바늘 인출 바디(400)에 대해 상부측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바늘부(550)의 상단을 하향 지지하는 바늘 지지 블록(430)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다음으로, 이상에서 설명한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도 21 내지 도 24을 중심으로 살펴본다.Next, the state of use of the sensor applicator assembly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1 to 24.
도 21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 혈당 측정기용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의 사용 상태를 동작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21 to 24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a continuous glucose me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operation sequence.
먼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0)의 보호캡(200)을 분리한다. 보호캡(200)을 분리하는 과정에서 센서 모듈(20)의 접착 테이프(560)의 이형지(561)가 보호캡(200)과 함께 분리되어 접착 테이프(560)로부터 제거된다. 이후, 센서 모듈(20)을 부착할 신체 위치에 센서 어플리케이터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안전 잠금 장치(120)를 제거한다.First, as shown in Figure 21 to separate the
안전 잠금 장치(120)를 제거한 상태에서 가압 버튼(110)을 가압 조작하면,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가 플런저 탄성 스프링(S1)에 의해 외부 토출되는 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센서 모듈(20)의 바늘부(550)와 센서 프로브(521)가 신체(E)에 삽입된다. 물론, 이때, 센서 모듈(20)은 접착 테이프(560)에 의해 신체(E) 표면에 접착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가 외부 토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 바디(300)는 외부 케이스(101)의 복귀 방지 후크(104)에 의해 맞물림되어 다시 상승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한번 사용한 어플리케이터(10)는 다시 재사용이 불가하다.When the
플런저 바디(300)가 하향 이동하면,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 수용부(301)의 센서 고정 후크(330)는 후크 가이드부(140)의 오목면(142)에 의해 가압 해제되므로, 센서 모듈(20)과의 맞물림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바늘 인출 바디(400)의 탄성 후크(410)는 이너 케이스(102)의 바늘 인출 가압부(130)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플런저 바디(300)와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다.When the
따라서, 플런저 바디(300)가 하향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인출 바디(400)가 바늘 인출 탄성 스프링(S2)에 의해 상향 복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바늘 인출 바디(400)와 함께 바늘부(550)가 상향 이동하게 되므로, 바늘부(550)는 신체(E)로부터 인출 제거된다.Therefore, when the
이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 고정 후크(330)와 센서 모듈(20)과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이므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0)를 상향 분리 제거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어플리케이터(10)를 분리 제거하면, 신체(E)에는 센서 모듈(20)만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별도의 트랜스미터(30)를 연결 단자(513)에 연결되도록 센서 모듈(20)에 결합시키면, 센서 모듈(20)에 의한 혈당 측정 결과가 트랜스미터(30)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다.In this state, since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US16/618,785US11596356B2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EP18808963.5AEP3632315A4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PPLICATOR ARRANGEMENT FOR A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SYSTEM |
| EP23202289.7AEP4289354A3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JP2019566655AJP6866508B2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eter |
| US18/104,724US20230172547A1 (en) | 2017-06-02 | 2023-02-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170068964 | 2017-06-02 | ||
| KR10-2017-0068964 | 2017-06-02 | ||
| KR10-2018-0063374 | 2018-06-01 | ||
| KR1020180063374AKR102164783B1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nd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US16/618,785A-371-Of-InternationalUS11596356B2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US18/104,724ContinuationUS20230172547A1 (en) | 2017-06-02 | 2023-02-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8222016A1true WO2018222016A1 (en) | 2018-12-0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18/006320CeasedWO2018222016A1 (en) | 2017-06-02 | 2018-06-01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Country | Link |
|---|---|
| WO (1) | WO2018222016A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664415A (en)* | 2019-11-18 | 2020-01-10 | 天津九安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Application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1639942A1 (en)* | 2003-06-12 | 2006-03-2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living-body information |
| JP2016128031A (en)* | 2010-03-24 | 2016-07-14 |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 System for engaging inserter to analy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engaging inserter to analyte monitoring device |
| WO2016120919A1 (en)* | 2015-01-27 | 2016-08-04 | テルモ株式会社 | Sensor insertion device and sensor insertion device set |
| CN106137214A (en)* | 2016-08-12 | 2016-11-23 | 上海移宇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transcutaneous analyte sensing equipmen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KR20170045236A (en)* | 2014-09-03 | 2017-04-26 | 노바 바이오메디컬 코포레이션 | Subcutaneous sensor inserter and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1639942A1 (en)* | 2003-06-12 | 2006-03-29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Device and method of measuring living-body information |
| JP2016128031A (en)* | 2010-03-24 | 2016-07-14 | アボット ダイアベティス ケア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bbott Diabetes Care Inc. | System for engaging inserter to analyt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for engaging inserter to analyte monitoring device |
| KR20170045236A (en)* | 2014-09-03 | 2017-04-26 | 노바 바이오메디컬 코포레이션 | Subcutaneous sensor inserter and method |
| WO2016120919A1 (en)* | 2015-01-27 | 2016-08-04 | テルモ株式会社 | Sensor insertion device and sensor insertion device set |
| CN106137214A (en)* | 2016-08-12 | 2016-11-23 | 上海移宇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transcutaneous analyte sensing equipment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 Title |
|---|
| See also references ofEP3632315A4*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664415A (en)* | 2019-11-18 | 2020-01-10 | 天津九安医疗电子股份有限公司 | Application devic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WO2018222012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18222009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18222011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18222015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18222010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JP7389202B2 (en) | Sensor module, sensor transmitter assembly, and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blood glucose meter | |
| WO2020027424A1 (en)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device | |
| WO2020027426A1 (en) |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 |
| WO2020027427A1 (en) |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 |
| WO2020027423A1 (en) | Continuous blood sugar measuring device | |
| WO2021201457A1 (en) |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apparatus | |
| WO2018222014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20027425A1 (en) |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 |
| WO2020027434A1 (en) | Body attachment unit for continuous blood glucose monitoring | |
| WO2020027433A1 (en) | Continuous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 |
| WO2018222013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 WO2018222016A1 (en) | Sensor applicator assembly for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18808963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2019566655 Country of ref document:JP Kind code of ref document:A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DE | |
| WWE |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2018808963 Country of ref document:EP | |
| ENP |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document number:2018808963 Country of ref document:EP Effective date: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