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용시 무게 부담이 적고 외관이 콤팩트하며 단말기와 연계한 기능이 장착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support device and a headse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 support device equipped with a function having low weight, compact appearance, and associated with a terminal, and a headse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일반적으로 일자목 증후군 또는 거북목 증후군(이하, 거북목 증후군으로 통칭함)은 목뼈가 일자 모양으로 변형되거나 전방측으로 휘어지는 증상이다. 목뼈가 일자로 되면 충격 완화 효과가 감소해 목 디스크가 유발될 확률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어깨의 근육이나 척추에도 상당한 무리가 가해져 일상 생활에서의 불편함을 유발시킬 수 있다.In general, single-neck syndrome or turtle neck syndro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urtle neck syndrome) is a symptom that the neck bone is deformed or curved forward. When the neck bone is dated, the shock dampening effect is reduced, which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causing neck discs. In addition, a significant amount of stress on the muscles and spine of the shoulder can cause discomfort in everyday life.
예전에는 거북목 증후군이 나이가 들고 근육량이 감소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요즘에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 이동 단말기의 사용이 많은 성장기의 청소년이나 주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업무를 보는 젊은층에게 흔히 나타나는 등 연령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거북목 증후군을 교정하기 위한 제품이나 운동요법이 소개되고 있다.In the past, Turtle Neck Syndrome has been known to occur as age and muscle mass decrease, but nowadays it is common to adolescents in the growing age who use mobile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or young people who work mainly using computers. Regardless of gender or gender, it is frequently occurring. In recent years, products and exercise therapies for the correction of turtle neck syndrome have been introduced.
하지만, 주로 알려진 거북목 교정장치는 그 실효성이 충분하게 검증되지 않아 대부분의 환자가 약물 치료에 의존하거나, 병원을 방문하여 물리치료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거북목 교정장치는 이미 거북목 증상이 진행된 이후에나 교정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될 수는 있어도 근본적인 치료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 종래의 거북목 교정장치는 그 부피가 크고 무거워서 일상 생활에서 착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가 많아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이고도 만족할만큼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했다.However, the known turtle neck correction device has not been sufficiently validated, and most patients rely on medication or have to visit a hospital for physical therapy. In addition, since most turtle neck correction devic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orrecting turtle neck symptoms or for the purpose of correction, the symptoms may be temporarily relieved, but the basic treatment is limited.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urtle neck correction device is often bulky and heavy, which is not suitable to wear in everyday life, so many times and costs are often not satisfactory.
반면, 거북목을 예방하기 위한 자세 교정 기구는 상대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는 않다. 또, 알려진 자세 교정 기구는 주로 사용하고 있는 영상기기를 통해 자세를 취득하고 이 취득된 자료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현재의 자세에 대해 위험 신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94854호, 제10-2013-0023129호 등이 상기와 같은 방식의 장치들이다.On the other hand, posture correction mechanisms for preventing turtles are relatively unknown. In addition, the known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as to acquire a posture through an image device that is mainly used, and provide a danger signal to the current posture based on the acquired data. Korean Patent Publication Nos. 10-2011-0094854, 10-2013-0023129, and the like are devices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 위험 신호만을 제공할 뿐, 실질적으로 자세를 교정하거나 예방하는 역할은 하지 못하므로 실효성에 한계가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posture correcting mechanism provides only a danger signal to the user as described above, and thus does not substantially correct or prevent posture, thereby limiting effectiveness.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이동 단말기 또는 데스크탑PC와 같은 고정 단말기에서 영상을 취득하여 송신하거나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자세 교정을 위해 이러한 기능을 어플 형태로 추가 제공을 받거나 또는 기능이 탑재된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하여야 하는 비용상의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sture correction mechanism can be used only when a function of acquiring, transmitting, or displaying an image from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or a fixed terminal such as a desktop PC is installed. For posture correction, there was a cost problem of receiving additional functions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or purchasing a new terminal equipped with the functions.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세 교정 기구는, 인체에 직접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영상을 취득하여 현재의 자세에 대한 위험 여부를 화면이나 사용자가 착용한 헤드셋 등을 통해 알려주는 기능만을 수행할 뿐, 자세 교정 기구 자체가 다른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does not wear directly on the human body, but merely performs a function of acquiring an image to inform the user of the danger of the current posture through the screen or a headset worn by the user, Posture correction mechanisms themselves had limitations in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ality.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착용하여 스스로의 자세에 대해 경각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나빠진 자세를 스스로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ear a user to not only be alert to their posture, but also to correct the bad posture by yourself to support the neck support device that can treat, alleviate or prevent the turtle neck syndrome, and a headset,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I'm trying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거나 또는 각종 단말기와 쉽게 호환되어 별도의 비용상승 없이 활용도가 높은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 support device having a high utilization, and a headset,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ithout any additional cost by being provided independently of the terminal or easily compatible with various termina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세 교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적용할 수 있는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ck support device, a headse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which can apply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as well as posture correction.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지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portion is supported on the user's body; A second frame part supporting the user's chin or the chin and having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part; And a band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to be mounted on the user's neck.
여기서,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는 단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frame portion,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the band portion may be formed in a single body.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개의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 또는 상기 밴드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ther frame part or the band part.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다른 부재에 착탈되는 프레임부와그 프레임부가 착탈되는 부재 사이에는 프레임부의 착탈을 조절하는 후크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ok unit may be provided to adjust the detachment of the frame unit between the frame unit detachable from another member among the first frame unit and the second frame unit and the member detachable from the frame unit.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탄력적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that an interval between both frame parts may be elastically varied.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에서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 또는 밴드부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 또는 힌지 결합되는 프레임부와 밴드부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may be hinged to the other frame part or the band part, and between the frame part and the band part hinged to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밴드부에는 사용자의 몸통의 등쪽으로 절곡되는 등 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부에는 사용자의 턱의 전방쪽으로 절곡되는 턱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band portion may have a back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toward the back of the user's torso,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may have a jaw support portion that is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user's jaw.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중 어느 한 쪽에는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간격 유지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either one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may be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part that detects a change in gap between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and informs the user.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에는 헤드셋 본체 및 그 헤드셋 본체에 연결되는 리시버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셋 본체에는 단말기와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는 신호 전달부가 구비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portion,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the band portion includes a headset body and a receiver connected to the headset body, and the headset body includes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 signal with the terminal. Can be.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및 밴드부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frame, the second frame and the band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사용자의 목에 걸쳐지고 상기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사이를 연결하는 밴드; 및 상기 복수 개의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 양단이 결합되어 사용자의 턱을 지지하는 턱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셋이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dset body; A band spanning the neck of the user and connecting between the plurality of headset bodies; And a chin support memb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plurality of headset bodies or bands to support the user's chin.
여기서, 상기 헤드셋 본체에는 상기 턱 지지부재의 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프레임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headset body may be formed with a frame mounting groove that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jaw support member is coupled.
그리고, 상기 헤드셋 본체에는 리시버 및 해당 단말기와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는 신호 전달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headset body may include a receiver and a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electrical signal with the corresponding terminal.
그리고, 상기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는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headset body or band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terminal.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상기 제1 프레임부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및 밴드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힌지 결합되어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장착되는 제3 프레임부; 상기 제3 프레임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밴드부, 제3 프레임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rame portion is supported on the user's body; A second frame part supporting the user's chin or the chin and having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rame part; A band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second frame part to be mounted on a user's neck; A third frame portion hinged to any one of the first frame portion,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the band portion and mounted to the head of the user; A display unit provided in the third frame unit and configured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a user;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provid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frame unit, the second frame unit, the band unit, and the third frame unit.
여기서, 상기 제3 프레임부는 상기 제1 프레임부, 제2 프레임부, 밴드부 중에서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third frame portion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ny one of the first frame portion, the second frame portion, and the band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헤드셋,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스스로의 자세에 대해 인지 또는 경각심을 가지게 할 뿐만 아니라, 나빠진 자세를 교정하도록 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을 치료 또는 경감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다.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headset, an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not only to have a user's own awareness or awareness of their posture, but also to treat or alleviate turtle neck syndrome by correcting a bad posture It can be prevented.
또, 단말기와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단말기와 연결되더라도 단말기의 기종에 관련 없이 쉽게 호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상승 없이 활용도가 높은 목 지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ighly versatile neck support device without additional cost increase by allowing the device to be easily used regardless of the model of the terminal even if it is provided and used independently of the terminal or connected to the terminal.
또, 자세 교정을 위한 목 지지 장치에 국한되지 않고 헤드셋 기능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같은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적용하여 제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product by apply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headset function or a wearable device without being limited to a neck support device for posture corre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Ⅴ-Ⅴ"선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프레임부 사이의 탄성부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lastic member between the frame portion i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제조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5 and 6 are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7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착탈식 구조로 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removable structure i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따른 착탈식 목 지지 장치에서 프레임부를 잠그는 후크부를 보인 단면도 및 "Ⅵ-Ⅵ"선단면도,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VI-VI" sectional view showing a hook portion locking the frame portion in the removabl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10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 wears a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 1;
도 11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턱 지지부와 등 지지부를 가지는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having a jaw support and a back support i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12는 도 11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user wearing a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13은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간격 유지부가 구비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spacing part i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 헤드셋 기능이 추가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headset function is added to a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헤드셋에 적용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headset;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를 활용한 전자기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1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Ⅴ-Ⅴ"선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따른 목 지지 장치에서 프레임부 사이의 탄성부재에 대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V-V" of Figure 1, Figures 3 and 4 is a frame i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Figure 1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Example about the elastic member between part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1)는,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1 프레임부(10)에 단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조립되어 사용자의 턱 아래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20)와,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결합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되는 밴드부(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부(30)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을 연결하여 목 지지 장치(1)의 후방측이 폐루프를 이루도록 한 개로 된 연결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이 분리되어 벌어질 수 있도록 복수 개인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는 분리형 밴드부가 도시되었다. 밴드부(30)가 연결형인 경우에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복수 개로 분리되어 전방측에서 벌려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목 지지 장치(1)가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목에 걸고 사용하는 제품임을 감안하면 목의 움직임이 어느 정도는 자유로워야 하는 동시에 무게가 가벼워야 하므로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그리고 밴드부(30)는 탄성을 가지는 얇은 선재(線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만, 밴드부(30)는 사용자의 목에 거치되어 지지되어야 하므로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장방형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Considering that the
하지만,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중에서 한 쪽 프레임부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반면 다른 쪽 프레임부는 탄성을 가지지 않는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모두 탄성을 가지지 않되 별도의 탄성부재가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의 사이, 또는 어느 한 쪽 프레임부(10)(20)와 밴드부(30) 사이에 설치되어 제2 프레임부(20)가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면 족하다.However, one frame portion of the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부(10)에 힌지홈(15)이, 제2 프레임부(20)에 힌지돌기(25)가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고,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벌어진 중간에 압축스프링과 같이 상하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는 탄성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도 4에서와 같이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도 3의 실시예와 같이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고, 그 연결되는 지점에 텐션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0)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프레임부(20)에 제1 프레임부(1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제2 프레임부(20)의 양단이 밴드부 역할을 함께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 사용자가 고개를 일정 범위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구성이면 족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모두 탄성을 가지는 예를 중심으로 살펴본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그리고 밴드부(3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밴드부(3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단일한 소재로 형성되거나, 또는 안쪽에는 탄성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가지는 얇은 심재(心材)가 구비되고 바깥쪽에는 심재의 외주면를 감싸며 상대적으로 연성을 가지는 보호재가 구비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보호재는 피부와 직접 접촉되는 점을 감안하여 부드러운 실리콘이나 소프트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그리고 목 지지 장치가 심재와 보호재로 된 이중 구조인 경우에는 목 지지 장치 전체가 이중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만 이중 구조로 형성되고 밴드부(30)는 보호재와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단일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And if the neck support device is a dual structure consisting of a core material and a protective material, the entire neck support device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but only the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 제2 프레임부(20), 밴드부(30)는 도 5에서와 같이 환형으로 형성된 심재를 땅콩모양으로 잘록하게 오므려 좁아진 부위를 다시 절곡하여 단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잘록하게 오므려진 부위가 밴드부(30)를 이루며 그 밴드부(30)를 중심으로 볼록한 양쪽 부위가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씨(C)자 모양으로 된 복수 개의 프레임부(10)(20)를 묶어 그 양단이 밴드부(30)를, 둥근 중간 부위가 각각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는 클립과 같은 체결부재(60)로 묶어 결합하고, 체결부재(60)를 포함하여 밴드부(30)는 보호재(70)로 감싸 은폐할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6, the plurality of
한편,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쪽 프레임부는 다른 쪽 프레임부의 양단 부근 또는 중간 지점에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가 결합되는 부위에서 멀어질수록 두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이 점점 벌어지게 되고, 그 두 프레임부(10)(20) 사이의 간격은 절곡된 프레임부의 탄성력 또는 별도의 탄성부재가 구비된 경우에는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증감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가 절곡되는 경우에는 그 제1 프레임부(10)가 사용자의 가슴선에 대응하도록 중앙부위가 하향 절곡되는 것이 제1 프레임부(10)가 사용자의 가슴에 밀착되어 착용감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반면, 제2 프레임부(20)가 절곡되는 경우에는 그 제2 프레임부(20)의 전방측, 즉 사용자의 턱밑에 접하는 부위만 받쳐줄 수 있도록 전방측만 절곡 형성하는 것이 밴드부(30)가 어깨에 얹히게 되므로 지지력이 향상되고 옷깃에 감춰질 수 있어 미관상 유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는 그 역할이 상이함에 따라 단면 형상도 역할에 맞게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부(10)는 사용자의 몸통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납작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프레임부(20)는 사용자의 턱밑에 밀착되어 지지되므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전방측에 턱 지지면(21)이 다른 부위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확장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ole of the
한편,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20)가 밴드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순 보행 중이거나 간단한 운동 중일 때에는 목을 좀더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에는 목 지지 장치(1)를 벗어 따로 보관할 수도 있지만 상기 목 지지 장치(1)에 후술할 헤드셋과 같은 별도의 기능이 부가된 경우에는 일부 프레임부를 분리하여 따로 보관하고 헤드셋 기능이 부가된 프레임부만 목에 건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를 위해, 도 7에서와 같이 밴드부(30)에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프레임부가 삽입되거나 분리되어 착탈되는 프레임 장착홈(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20)를 필요에 따라 밴드부에서 분리하거나 결합시켜 사용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프레임 장착홈은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20)에 형성될 수도 있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7, the
여기서, 제1 프레임부(10) 또는 제2 프레임부(이하에서는, 편의상 제2 프레임부가 착탈 가능한 구조로 설명한다)(20)가 밴드부(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2 프레임부(20)가 밴드부(30)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후크부(80)가 밴드부(3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Here, when the
예를 들어, 후크부(80)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밴드부(30)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후크돌기(81)와, 제2 프레임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후크돌기(81)가 삽입되는 후크홈(8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후크돌기(81)는 밴드부(30)에 구비되는 후크구멍(83)에 미끄러지게 결합되어 후크구멍(83)의 안쪽에 구비되는 후크 스프링(84)에 의해 후크홈 방향으로 탄력 지지될 수 있다.The
후크홈(82)은 제2 프레임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가 있다.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목 지지 장치(1)의 밴드부(30)를 벌려 사용자의 목에 걸면 제1 프레임부(10)는 사용자의 어깨와 가슴에 밀착되어 지지되는 한편 제2 프레임부(20)는 사용자의 턱밑을 가볍게 받쳐 고개를 상하 방향에 대해 지지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0, when the user opens the
그러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의자에 앉아 노트북이나 데스크탑PC의 모니터를 주시할 때 화면이 시선보다 낮아 고개를 숙이려고 할 때, 사용자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의 탄성력을 이기고 숙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고개를 숙이거나 머리를 앞쪽으로 내밀어 화면을 주시하던 습관을 자제시켜 목뼈가 거북목이 되는 것을 예방하거나 교정할 수 있다.Then, when the user use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or sits in a chair and looks at the monitor of the laptop or desktop PC, the screen is lower than the gaze and the user tries to bow his head. Since the user must habitually bow his head or bow his head forward to avoid the habit of staring at the screen by winning the elastic force between the second frame part and the
아울러, 사용자의 고개가 약간 숙여지더라도 목 지지 장치가 머리의 무게를 분산시켜 목뼈는 물론 어깨근육이나 척추에 전달되는 부하를 경감시켜 통증이 유발되거나 자세가 틀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user's head is slightly bowed, the neck support device distributes the weight of the head to reduce the load transmitted to the neck bone as well as the shoulder muscles or spine to prevent the pain caused or the posture is misaligned.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목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도 지지하여 목을 앞으로 내미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ort the neck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lso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to extend the neck forward.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목 지지 장치(1)는 도 11 및 도 12에서와 같이, 밴드부(30)의 일측이 사용자의 등에 걸려 전방쪽으로 지지되는 등 지지부(33)가 절곡 형성되고, 턱을 받쳐주는 제2 프레임부(20)의 전방측에 사용자의 턱을 걸어 후방쪽으로 지지하는 턱 지지부(2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등 지지부(33)와 턱 지지부(23)는 밴드부(30)와 제2 프레임부(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목 지지 장치는 사용자의 턱을 상하 방향으로만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목을 화면쪽으로 길게 내미는 습관을 충분하게 억제시키지 못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목 지지 장치(1)에 등 지지부(33)와 턱 지지부(23)를 가지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목(또는, 턱)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목을 전후 방향에 대해서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목을 앞으로 길게 내미는 습관도 교정할 수 있어 그만큼 거북목 예방이나 교정하는데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eck support device may be formed to support the user's chin on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at the user may not sufficiently suppress the habit of extending the neck toward the screen. However, when the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목 지지 장치는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 사이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가 현재의 목 위치를 인지하여 스스로 자세를 교정하거나 또는 자세가 불량하게 되는 것을 자제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현재의 목 위치나 자세를 더욱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목 지지 장치에 간격 유지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y the elastic force between the first frame portion and the second frame por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e current neck position to correct the posture themselves or refrain from poor posture. However, in order to allow the user to recognize the current neck position or posture more accurately, the neck support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part.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간격 유지부(90)는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에 설치되어 양쪽 프레임부 사이의 간격 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간격 감지부(91)와, 간격 감지부(9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 간격 감지부(91)에 의해 감지된 간격 변화가 일정 이상인 경우 목이 너무 숙여지거나 앞으로 내민 것으로 판단하여 진동이나 알람 등의 신호를 발생하는 알림부(92)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interval maintaining part 90 is installed between the
상기와 같은 간격 유지부(90)가 구비된 목 지지 장치는, 사용자가 목 지지 장치(1)를 사용하면서도 신경이 무디거나 하여 제1 프레임부(10)와 제2 프레임부(20) 사이의 탄성력만으로 목이 숙여졌는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 간격 유지부(90)에 의해 현재의 목이나 전체적인 자세가 많이 숙여졌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어 거북목을 더욱 효과적으로 교정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The neck support device provided with the space maintaining part 90 as described above, the user using the neck support device (1) while the nerves are dull, so that between the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오므려 두 프레임이 겹치도록 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납유닛은 두 프레임을 묶어 보관하는 밴드, 클립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to keep the two frames overlapping. The storage unit may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such as a band and a clip for binding two frames.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목 지지 장치는 거북목을 교정하거나 예방하는 것 외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ded to a variety of functions in addition to correcting or preventing the turtle neck.
예를 들어, 상기 목 지지 장치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거나 또는 PC를 장시간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거북목을 교정 또는 예방하는 것에 주목한 바, 이와 관련된 부가제품으로도 헤드셋 기능이 탑재되거나 기존의 헤드셋에 목 지지 장치를 추가 탑재할 수 있다.For example, it is noted that the neck support device corrects or prevents the turtle neck that commonly occurs in people who use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a tablet PC or use the PC for a long time. This feature can be added or an additional neck support can be added to an existing headset.
도 14는 목 지지 장치에 헤드셋 기능이 탑재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15는 헤드셋에 목 지지 장치가 탑재된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headset function is mounted on a neck support device, and FIG.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neck support device is mounted on a headset.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밴드부(130)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전술한 실시예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의한 제1 프레임부(또는, 제2 프레임부나 밴드부)(110)에는 헤드셋 본체(151)가 내장되고, 헤드셋 본체(151)에는 사용자가 귀에 꽂아 음향을 청취할 수 있는 리시버(155)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목 지지 장치를 이용하여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헤드셋 본체(151)에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처리하거나 그 헤드셋 본체(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와 전기 신호를 송 수신하여 그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 전달부를 이루는 전자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 본체(151)에는 그 헤드셋 본체(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5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 본체(151)에는 전화 통화를 위한 통화기능부(153) 등 통상적인 헤드셋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목 지지 장치만으로 헤드셋 기능을 이용하거나, 헤드셋 본체에 연결된 단말기를 제어하여 이동 전화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The
또, 밴드부(또는, 제1 프레임부나 제2 프레임부)(130)에는 배터리 수납부(131)가 형성되고, 배터리 수납부(131)에는 헤드셋 본체에 필요한 전원 또는 단말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 배터리(140)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밴드부(130)에는 보조 배터리(140)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커넥터(13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었을 경우 목 지지 장치에 장착된 보조 배터리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헤드셋 본체(151)와 연결되는 단말기에는 이동 단말기가 포함되고,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하지만, 이동 단말기 외에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Here, a terminal connected to the
또, 헤드셋 본체(151)와 연결되는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셋 본체(151)와 단말기는 블루투스 기술에 의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목 지지 장치에 헤드셋 기능이 탑재된 경우에는 제1 프레임부(110), 제2 프레임부(120), 밴드부(1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한 곳에 헤드셋 본체(151)가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목 지지 장치(1)를 이용하여 거북목을 교정하거나 예방하면서도 헤드셋 기능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 등을 이용할 때 별도의 헤드셋을 구비할 필요가 없이 목 지지 장치만으로도 헤드셋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When the headset function is mounted on the neck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여기서, 목 지지 장치(1)에 헤드셋과 같은 전자기기적 기능이 추가됨에 따라 제1 프레임부(110)이나 제2 프레임부(120) 또는 밴드부(130)에는 전자파 차단을 위한 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Here, as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headset is added to the
한편, 기존의 헤드셋에 목 지지 장치가 장착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neck support device is mounted on the existing headset as follows.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프레임부에 헤드셋 본체가 내장되고, 헤드셋 본체에 리시버가 연결되는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는 헤드셋 본체에 턱 지지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물론, 턱을 지지하기 위한 턱 지지부재가 헤드셋 본체 또는 후술할 밴드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eadset body is built in the first frame part, and the receiver is connected to the headset body. In this embodiment, the chin support memb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headset body. Of course, the jaw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jaw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eadset body or a band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도 15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은, 양쪽 헤드셋 본체(210)와, 양쪽 헤드셋 본체(210)를 서로 연결하는 밴드(220)와, 밴드(또는, 양쪽 헤드셋 본체)(2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턱 지지부재(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the
헤드셋 본체(2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헤드셋 본체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밴드(2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단에 헤드셋 본체(210)가 각각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헤드셋 본체(210)가 결합된 밴드(220)의 양측면(221)에는 턱 지지부재(23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프레임 장착홈(22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턱 지지부재(230)는 씨(C)자 모양의 선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턱 지지부재(230)는 헤드셋 본체(210)가 목 주변의 가슴에 밀착되는 점을 감안하여 사용자의 턱밑을 받쳐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소정의 각도만큼 상향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턱 지지부재는 밴드 또는 헤드셋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므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후크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nd since the jaw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nd or the headset body, the hook portion shown in FIGS. 7 to 9 may be further provided,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헤드셋 기능을 활용하기 위한 전원은 헤드셋 본체 또는 밴드에 구비되는 보조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4에 도시된 보조 배터리의 설치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the power source for utilizing the headset function may use an auxiliary battery provided in the headset body or the band, but a description thereof may be the same as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auxiliary battery shown in FIG.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턱 지지부재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제2 프레임부와 그 기본적인 구성이 유사하고, 턱 지지부재가 장착된 헤드셋 본체 역시 도 15에 도시한 실시예의 헤드셋 본체와 그 작용 효과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255는 리시버이다.In addition, the jaw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asic configuration similar to that of the second frame par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headset body equipped with the jaw support member also has the effect of the headset body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Since it is similar,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figure,
한편, 최근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일예로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has recently been extended to the wearable device (wearable device) area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beyond the user is mainly held in the hand. One example of such a wearable device is a glass type terminal.
기존의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착용하여 사용하다가 사용을 하지 않을 때에는 벗어서 따로 보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통상의 이동 단말기와 달리 글래스 타입 단말기는 바지 주머니에 넣어 보관하기가 곤란하여 분실하거나 떨어졌을 경우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Existing glass-type terminals are worn on the user's head and stored separately when not in use. However, in this case, unlike a conventional mobile terminal, the glass type terminal is difficult to store in a pants pocket, which may be damaged when lost or dropped.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의 목 지지 장치에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결합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게 되면, 글래스 타입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파손될 우려를 줄일 수 있다.In view of this, when the glass type terminal is coupled to or detachably coupled to the neck suppor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isk of losing or breaking the glass type terminal.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는, 사용자의 몸통에 지지되는 제1 프레임부(310)와, 사용자의 턱 또는 턱 주변을 받쳐 지지하며 제1 프레임부(310)와의 사이에 이격된 부위를 가지는 제2 프레임부(320)와,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의 일단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에 거치하는 밴드부(330) 및 밴드부(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6, the
제1 프레임부(310), 제2 프레임부(320), 밴드부(330)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irst frame part 310, the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는 밴드부(330)에 구비되는 힌지(3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프레임부(341)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3 프레임부(341)는 밴드부(330)에 항구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프레임부(341)는 밴드부(330) 뿐만 아니라 제1 프레임부(310) 또는 제2 프레임부(320)에도 결합될 수 있고,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가 힌지 결합되는 부위에도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3 프레임부(341)를 회전시켜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을 두부에 착탈 할 수 있다.The
여기서, 제1 프레임부(310)와 제2 프레임부(320), 그리고 밴드부(33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기본적인 구성 및 작용 효과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first frame portion 310, the
제3 프레임부(341)는 제1 프레임부(310)나 제2 프레임부(320) 또는 밴드부(33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프레임부(341)는 사용자의 두부에 밀착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한 금속, 합성수지 재질과 같은 플렉시블한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제3 프레임부(341)은 사용자의 두부 전면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부(341)의 전면에는 좌안과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342)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그리고 제3 프레임부(341)에는 사용자에게 시각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343), 디스플레이부(343)를 제어하는 제어부(344), 제어부(344)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5), 카메라(346), 사용자 입력부(347), 골전도 진동 방식의 음향 출력 모듈(348) 등 더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와 전원공급부, 사용자 입력부 등은 제1 프레임부나 제2 프레임부, 또는 밴드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디스플레이부(343)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The
제어부(344)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344)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related to the application program, the
전원공급부(345)는 제어부(344)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345)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충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배터리는 도 16에서와 같이 제3 프레임부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밴드부에 보조 배터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보조 배터리는 제1 프레임부 또는 제2 프레임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The
카메라(346)는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46)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346)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347)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346) 또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microphone) 등의 동작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전자기기는, 목 지지 장치에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가 일체로 결합되거나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목 지지 장치를 착장한 상태에서 필요할 때에는 글래스 타입 단말기(340)를 회전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다시 회전시켜 목 지지 장치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할 때에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향상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As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1 : 목 지지 장치10,110 : 제1 프레임부DESCRIPTION OF SYMBOLS 1: Neck support apparatus 10110: 1st frame part
20,120 : 제2 프레임부21 : 턱 지지면20,120: second frame portion 21: jaw support surface
23 : 턱 지지부30,130 : 밴드부23: jaw support 30,130: band portion
31 : 프레임 장착홈33 : 등 지지부31
50 : 탄성부재60 : 체결부재50: elastic member 60: fastening member
70 : 보호부80 : 후크부70: protection portion 80: hook portion
81 : 후크돌기82 : 후크홈81: hook projection 82: hook groove
140 : 보조 배터리155 : 리시버140: auxiliary battery 155: receiver
2 : 헤드셋210 : 헤드셋 본체2: headset 210: headset body
220 : 밴드230 : 턱 지지부재220: band 230: jaw support member
255 : 리시버3 : 전자기기255
310 : 제1 프레임부320 : 제2 프레임부310: first frame portion 320: second frame portion
330 : 밴드부340 : 글래스 타입 단말기330: band portion 340: glass type terminal
341 : 제3 프레임부341: third frame por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5/004273WO2016175347A2 (en) | 2015-04-28 | 2015-04-28 | Neck support device and headse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KR1020160051775AKR101872741B1 (en) | 2015-04-28 | 2016-04-27 | Neck support and headset having the same, electronic produc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15/004273WO2016175347A2 (en) | 2015-04-28 | 2015-04-28 | Neck support device and headse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6175347A2true WO2016175347A2 (en) | 2016-11-03 | 
| WO2016175347A3 WO2016175347A3 (en) | 2017-05-1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PCT/KR2015/004273CeasedWO2016175347A2 (en) | 2015-04-28 | 2015-04-28 | Neck support device and headse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72741B1 (en) | 
| WO (1) | WO2016175347A2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78770B1 (en)* | 2018-08-06 | 2019-05-15 | 최종수 | Aid for supporting of jaw angle and jaw angle corr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250162B1 (en)* | 2019-02-14 | 2021-05-11 |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 Turtle neck syndrome prevention and drowsiness prevention neck wearable apparatus | 
| KR102775029B1 (en)* | 2023-04-04 | 2025-02-27 | 유태호 | Apparatus for correction of human bod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409694B1 (en) | 2000-06-23 | 2002-06-25 | Carlito V. Bugarin | Neck brace | 
| JP4575611B2 (en) | 2001-03-27 | 2010-11-04 | 健一 首藤 | Cervical spondylosis medical aid | 
| KR20030052930A (en)* | 2001-12-21 | 2003-06-27 | 이재기 | straightening device for neck | 
| KR20030097470A (en)* | 2002-06-21 | 2003-12-31 | 한정민 | A supplementary support in traction apparatus for the cervical vertebrae | 
| KR100644251B1 (en)* | 2005-04-18 | 2006-11-14 | 최후림 | Hard type necklace type video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US7674234B2 (en)* | 2005-07-28 | 2010-03-09 | Carsar, Llc | Cervical collar with geared adjustment | 
| KR100869693B1 (en)* | 2007-04-06 | 2008-11-21 | (주)태연메디칼 | The remedy for cervical vertebral | 
| KR20110027204A (en)* | 2009-09-10 | 2011-03-16 | 박재욱 | Portable video device support device | 
| GB2495972B (en)* | 2011-10-27 | 2017-11-01 | Handsome Ltd | Neck brace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28915A (en) | 2016-11-08 | 
| KR101872741B1 (en) | 2018-07-02 | 
| WO2016175347A3 (en) | 2017-05-1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082681B2 (en) | Composite wearable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 |
| CN109417662B (en) | Extendable Headphones for Electronic Devices | |
| WO2016032124A1 (en) | Rotar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
| US20020084990A1 (en) | Wearable computer system | |
| WO2016190604A1 (en) | Ear device for fixing earphone | |
| BRPI0706349A2 (en) | usable biological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s | |
| WO2018203588A1 (en) | Helmet-mounted/head-mounted display | |
| WO2018236126A1 (en) | Glasses with sound input / output function | |
| WO2022031027A1 (en)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
| US985759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press-on displays for fashionable eyewear and nosewear | |
| US20160004086A1 (en) | Glasses-type terminal | |
| WO2022071626A1 (en) | Personalized bruxism management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 |
| WO2016175347A2 (en) | Neck support device and headse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 |
| WO2019088501A1 (en) | Head mounting device | |
| JP5555366B1 (en) | Glasses frame, glasses with wearable computer | |
| WO2016182129A2 (en) | A wearable smart phone is equipped with a battery system connected in parallel. | |
| CN205318044U (en) | Split type intelligent glasses | |
| EP3894947B1 (en) | Glasses with audio playback function | |
| JP5848487B1 (en) | Electronic equipment holder | |
| EP4217786A1 (en) | Head-mountable device with connectable accessories | |
| CN105183175B (en) | Wearable communication apparatus | |
| WO2016195276A1 (en) | Smart glasses and watch including same | |
| CN112402789A (en) | Cochlear implant external device for external microphone | |
| KR101254468B1 (en) | Head-set for mounting camera module | |
| CN219456643U (en) | Single-eye AR intelligent glass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15890788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2 |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DE |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15890788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