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목적, 구성 및 효과를 용이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only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merely provided to easily inform the configuration and effect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됨을 배제하지 않는다.Meanwhile,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devices in which the mentioned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devices are described. Or does not exclude addi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에 대하여, 스프링을 이용한 방식으로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고, 압력 센서를 이용한 방식으로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 method using a spring, and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 method using a pressure sensor for the stylus pen for adjusting the writing feel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 제1 실시예를 설명하고, 도 6에 관한 상세한 설명으로서 제2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and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tylus pen for adjusting the writing fee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working principle of the stylus pen for adjusting the writing fee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illustrative view explaining.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300)은 하우징(390)과, 하우징(390) 내에 배치되어, 디지타이저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경우 입력 신호를 가하는 코팅볼과, 코팅볼의 탈거를 방지하는 자석볼(310) 및 자석볼(310)에 대하여 코팅볼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여, 코팅볼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 필기감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한다.Thestylus pen 300 for adjusting the writing feelin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housing 390, a coating ball disposed in thehousing 390 to apply an input signal when contacted with a touch screen of the digitizer, and a coating. Themagnetic ball 310 and themagnetic ball 310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ball to adjust the pressure applied in the coating ball direction, and includes a press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input writing feeling on the touch screen of the coating ball.
하우징(390)은 스타일러스 펜(300)의 외면을 구성하여, 코팅볼, 자석볼(310) 및 압력 조절부가 내부에 배치되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볼이 배치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그 내경이 좁아지거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볼이 배치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하향으로 그 내경이 일정한 형상인 것이 가능하다.Thehousing 390 constitutes an outer surface of thestylus pen 300, and the coating ball, themagnet ball 310, and the pressure adjusting part are disposed therein, and are downwardly based on a portion where the coating ball is disposed as shown in FIG. 3. As a result, the inner diameter thereof may be narrowed, or as shown in FIG. 4, the inner diameter thereof may be downward in shape with respect to the portion where the coating ball is dispos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자석볼(310)은 쇠구슬(370) 및 실리콘(360) 코팅 재질로 구성된 코팅볼을 자력으로 끌어당기므로, 하우징(390)이 하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좁아져 코팅볼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구성되거나, 하향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일정하더라도 자석볼(310)에 의하여 코팅볼의 탈거가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magnetic ball 310 attracts the coating ball made of themetal ball 370 and thesilicon 360 coating material by magnetic force, the inner diameter of thehousing 390 is downward as thehousing ball 390 moves downward. The narrowing is configured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coating ball, or even if the inner diameter of the downward downward is constant, the removal of the coating ball by themagnet ball 310 is prevent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코팅볼은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펜 입력에 따라 회전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또는 교체형 펜팁에 비하여 그 마모도가 현저히 감소된다.Since the coated b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stylus pen input, its wear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integrated or replaceable pen t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마모도 감소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390)은 코팅볼이 회전하는 부위와 맞닿는 면에 코팅볼 홀더(380)를 포함하며, 이러한 코팅볼 홀더(380)는 실리콘 코팅된 코팅볼과 맞닿는 부분이 매끄러운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reduce wear, thehousing 39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oating ball holder 380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a portion where the coating ball rotates, and thecoating ball holder 380 is coated with silic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 contacting the coating ball is made of a smooth materia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코팅볼은 쇠구슬(370) 및 쇠구슬(370)의 외면을 감싸는 실리콘(3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쇠구슬(370)은 상부의 자석볼(310)에 의하여 탈거가 방지되고, 실리콘(360)은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펜 입력 시 터치 스크린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고, 필기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쇠구슬(370)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이다.The coated bal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metal ball 370 and thesilicon 36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metal ball 370. That is, theiron ball 370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by the uppermagnetic ball 310, thesilicon 360 to prevent wear due 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s stylus pen input, to improve the writing feeling It is a configura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iron ball 37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390)의 내면에서 자석볼(3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자석볼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쇠(3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 of thehousing 390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magnet ball 310 to further include alatch 320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magnetic ball.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우, 종래 기술에 비하여 실리콘 펜팁의 마모도가 감소하여, 펜팁 교체의 주기는 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도 코팅볼의 교체만 이루어지면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걸쇠(320)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입력 시 자석볼(31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뿐 아니라, 코팅볼의 교체 시 자석볼(310)이 함께 딸려나오는 것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ar of the silicon pen tip compared to the prior art, so that the period of pen tip replacement is longer. In addition, even if replacement is required only replacement of the coating ball. Theclasp 3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events themagnetic ball 310 from being separated during input using the stylus pen, but also prevents themagnetic ball 310 from coming out together when replacing the coated ball. do.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부는 일면이 코팅볼과 맞닿는 자석볼(310)의 타면에 배치되어 자석볼(310)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는 누름쇠(330)와, 누름쇠(330)의 상면에 배치되어 코팅볼 방향으로 가해지는 반발력이 조절되는 스프링(340)과, 스프링(340)의 상면에 배치되어 스프링(340)의 반발력을 조절하는 조절부(350)를 포함한다.The pressure adjusting par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magnet ball 310 in contact with the coating ball on one side of thepush button 330 to adjust the pressure applied to themagnet ball 310, and the push button ( Aspring 34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330 is applied to the coating ball direction is adjusted, and anadjustment unit 35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pring 340 to adjust the repulsive force of thespring 340.
누름쇠(330)는 실린더 모양으로 구성되어, 그 윗부분(330a)은 스프링(340)과 연결되어 있고, 아랫부분(330b)은 자석볼(310)과의 적절한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실리콘 또는 그와 비슷한 마찰계수를 가지는 재질로 구성된다. 즉, 누름쇠(330)는 스프링(340)에 의한 압력에 의하여, 자석볼(310)과의 마찰력을 조절시키는 부재이다.Thedepressor 330 has a cylindrical shape, theupper portion 330a is connected to thespring 340, and thelower portion 330b is formed of silicon or its for generating an appropriate friction force with themagnet ball 310. It is composed of materials with similar coefficients of friction. That is, thedepress 330 is a member for adjust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magnet ball 310 by the pressure by thespring 340.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부(350)는 하우징(390)의 외면에 배치되는 회전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스프링(340)이 배치된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되어, 스프링(340)의 반발력을 조절하고, 조절된 스프링(340)의 반발력은 누름쇠(330)를 통하여 가해지는 압력으로 자석볼(310)에 전달되어, 자석볼(310)과 누름쇠(330) 간 및 자석볼(310)과 코팅볼 간의 마찰력을 조절한다.Adjustingunit 35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spring 340 is dispos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ng unit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housing 390, the repulsive force of thespring 340 Adjusting, the repulsive force of the adjustedspring 340 is transmitted to themagnetic ball 310 by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pressing 330, between themagnetic ball 310 and the pressing 330 and themagnetic ball 310 Adjust the friction between the ball and the coating ball.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절부(350)는 스프링(340)이 배치된 방향 쪽으로 튀어나오게 되고,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절부(350)는 스프링(34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들어가게 된다. 즉, 조절부(350)의 전후방 이동에 따라, 스프링(340)에 걸리게 되는 반발력이 달라지고, 그 반발력은 누름쇠(330)에 전달되어 자석볼(310)의 마찰력이 조절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회전부에 대한 회전 입력을 통하여, 자석볼(310)의 마찰력을 조절함으로써, 그와 연결된 코팅볼이 부드럽게 또는 빡빡하게 움직이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디지타이저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 시 그 필기감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As shown in FIG. 5A, when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adjustingpart 350 protrudes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spring 340 is disposed, and as shown in FIG. 5B, when the rotating part is rotat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adjustingunit 350 enters the direction away from thespring 340. That is, according to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adjustment unit 350, the repulsive force is caught by thespring 340 is changed, the repulsive force is transmitted to thedepressor 330 to adjust the friction force of themagnet ball 310. The user can adjust the friction force of themagnet ball 310 through a rotational input to the rotating part, as necessary, so that the coated ball can be set to move smoothly or tightly, so that the touch screen of the digitizer pen can be used. It is easy to adjust the writing feeling when typing 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A and 6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tylus pen for adjusting a writing feel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필기감을 조절하는 스타일러스 펜(400)은 하우징(490)과, 하우징(490) 내에 배치되어 디지타이저의 터치 스크린에 접촉되는 경우 입력 신호를 가하는 코팅볼과, 코팅볼의 탈거를 방지하는 자석볼(410) 및 자석볼(410)에 대하여 코팅볼 방향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여, 코팅볼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 필기감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한다.Thestylus pen 400 for adjusting the writing feel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housing 490, a coating ball disposed in thehousing 490 to apply an input signal when the stylus touches the touch screen of the digitizer, and a coating ball. By controlling the pressure applied in the coating bal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magnet ball 410 and themagnet ball 410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pressure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put writing to the touch screen of the coating ball.
하우징(490)은 코팅볼이 회전하는 부위와 맞닿는 면에 배치되고, 그 맞닿는 부분이 매끄러운 재질로 형성된 코팅볼 홀더(480)를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하우징(490) 및 코팅볼 홀더(480)는 하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서, 코팅볼의 탈거를 방지하는 형상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석볼(410)은 코팅볼 내의 쇠구슬(470)에 대하여 인력을 작용시켜 코팅볼의 탈거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하우징(490) 및 코팅볼 홀더(480)가 도 4에 도시된 하우징과 같이 하향으로 갈수록 일정한 내경을 가지는 것 역시 가능하다.Thehousing 490 is disposed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ortion where the coating ball rotates, and includes acoating ball holder 480 formed of a smooth material. Thehousing 490 and the coatedball holder 480 shown in FIGS. 6A and 6B are narrowed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housing 490 and the coatedball holder 480 are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bu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magnetic ball 410 is able to prevent the removal of the coating ball by the attraction force to themetal ball 470 in the coating ball, thehousing 490 and thecoating ball holder 480 is shown in Figure 4 the housing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constant inner diameter as going downward.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팅볼은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펜 입력에 따라 회전되므로,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또는 교체형 펜팁에 비하여 그 마모도가 현저히 감소되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코팅볼은 쇠구슬(470) 및 쇠구슬(470)의 외면을 감싸는 실리콘(4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Since the coating ball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according to the user's stylus pen input, its wear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integrated or replaceable pen tip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coat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 comprises ametal ball 470 and asilicon 440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metal ball 470.
즉, 쇠구슬(470)은 상부의 자석볼(410)에 의하여 탈거가 방지되고, 실리콘(440)은 사용자의 스타일러스 펜 입력 시 터치 스크린과의 접촉에 따른 마모를 방지하고, 필기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쇠구슬(470)의 외면을 감싸는 구성이다.That is, themetal ball 470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by the uppermagnetic ball 410, thesilicon 440 is to prevent wear due to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when the user's stylus pen input, to improve the writing feeling It is a configuration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metal ball 47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490)의 내면에서 자석볼(4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되어 자석볼(4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쇠(4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inner surface of thehousing 49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magnetic ball 410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magnetic ball 410 ( It is preferred to further include 420.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절부는 일면이 코팅볼과 맞닿는 자석볼(410)의 타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450) 및 압력 센서(450)의 상면에 배치되는 도체로 구성된 누름쇠(460)를 포함한다.The pressure adjusting par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pressure sensor 450 having one surfac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magnet ball 410 contacting the coating ball, and a pressing member having a conducto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ssure sensor 450 ( 460).
즉, 도체인 누름쇠(460)와 도체인 자석볼(410)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 센서(450)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그 저항값이 변하는 구성이다. 도 6a와 비교하여 볼 때, 압력 센서(450)에 더 큰 압력이 가해진 도 6b의 경우와 같이, 압력이 가해진 경우 저항값이 줄어들게 되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한 디지타이저의 터치 스크린에 대한 입력 시 누르는 압력을 조절하여, 터치 스크린 상에서 이동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필기감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thepressure sensor 450 disposed between theconductor depressor 460 and theconductor magnet ball 410 is configured to change its resistance value according to the applied pressure. Compared with FIG. 6A, as in the case of FIG. 6B in which a greater pressure is applied to thepressure sensor 450, the resistance value is reduced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so that the user inputs the touch screen of the digitizer using a stylus pen. By adjusting the pressing pressur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riting feeling of the stylus pen moving on the touch screen.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So far I looked at the center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isclosed embodi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descriptive sense only and not for purposes of limita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wi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