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smartphone)이나 태블릿 피씨(tablet PC)를 비롯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대중들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관련 기술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로부터 특정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의 하나로서 표시장치인 디스플레이와 일체화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내장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터치스크린 이외의 입력장치로서 각종 기능키(function key)나 소프트키(soft key)를 구비하기도 한다.Recently, as public attention has focused 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 PCs,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related technical fields are actively progress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ten incorporate a touch screen integrated with a display, which is a display device, as one of input devices for receiving a specific command from a user. In additi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y have various function keys or soft keys as input devices other than the touch screen.
도 1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인 스마트폰의 일반적인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00)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부(1100)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데, 사용자의 신체(손가락 등)가 디스플레이부에 접촉하면, 내장된 커패시터의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1 illustrates a general shape of a smartphone that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ferring to FIG. 1, adisplay unit 1100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portableelectronic device 1000. Thedisplay unit 1100 includes a capacitive touch screen. When the user's body (finger, et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splay unit, thedisplay unit 1100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built-in capacitor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touch is performed.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반응이 즉각적이고, 별도의 입력도구가 필요없으며, 멀티터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하지만, 사용자가 반드시 터치스크린에 소정의 면적 또는 압력 이상의 터치를 수행해야만 감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정밀한 입력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었다.Capacitive touch screens are very convenient in that they are responsive, do not need a separate input tool, and can be multi-touched, but they can only be detected if the user touches the touch screen over a certain area or pressure. And, this has a disadvantage that the precise input is difficul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기펜을 이용한 터치스크린 기술이 도입되었다.  전자기펜은 전자기 공진(EMR: Electro-Magnetic Resonance) 펜으로도 불리며, 내부에 콘덴서와 코일을 내장하고 있다.  터치스크린에는 루프 코일이 배치되며, 이 루프 코일에 전류를 도통시켜 발생된 전자기파가 전자기펜에 흡수되고, 전자기펜은 흡수한 전자기파를 특정 주파수로 방출하게 되는데, 터치스크린의 루프 코일이 이 특정 주파수의 전자기파를 다시 흡수함으로써, 전자기펜의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전자기펜에 의한 터치스크린 입력 방식은 사용자에게 익숙한 필기도구의 느낌을 주며, 보다 정밀한 터치감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펜을 사용하기 위해 손을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는 경우에도 펜의 입력만을 선택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a touch screen technology using an electronic pen has been introduced. The electronic pen is also called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EMR) pen and has a capacitor and a coil inside. The loop coil is disposed on the touch screen, and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by conducting current through the loop coil are absorbed by the electromagnetic pen, and the electromagnetic pen emits the absorbed electromagnetic waves at a specific frequency. The loop coil of the touch screen is the specific frequency. By absorbing again the electromagnetic wave, the position of the electromagnetic pen is detected. The touch screen input method by the electronic pen gives a feeling of a writing tool familiar to the user, and can transmit a more precise touch feeling. In addition, even when the user touches the hand with the touch screen to use the pe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recognize only the input of the pen.
최근에는 정전용량 방식과 전자기펜 방식을 결합하여, 두 가지 경우 모두에 대해 사용할 수 있는 복합 터치스크린이 개발되어 상용화되고 있다.Recently, by combining a capacitive method and an electromagnetic pen method, a composite touch screen that can be used for both cases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한편,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하부에는 실행 확인, 실행 취소, 메뉴 표시, 되돌리기 등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홈키(home key)(1200) 및 기능키(130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홈키(1200) 또는 기능키(1300)는 터치스크린을 가진 디스플레이부(1100)와는 별도의 입력장치로서, 이론적으로는 기계적인 스위칭 방식의 키, 또는 디스플레이부(1100)와 같이 정전용량 방식이나 전자기펜 방식의 입력이 모두 가능하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수용 공간의 제한 등의 이유로 인해 기계적인 스위칭 방식의 키(주로 홈키(1200)에 사용)나 정전용량 방식의 센서(주로 기능키(1300)에 사용)가 이용되어 왔다.Meanwhile, ahome key 1200 and afunction key 1300 may be provided under the portableelectronic apparatus 10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execution check, undo, menu display, and reversion. Thehome key 1200 or thefunction key 1300 is an input device separate from thedisplay unit 1100 having a touch screen, and in theory, such as a mechanical switching key or adisplay unit 1100, Electromagnetic pen type input is possible, but in practice, the mechanical switching key (used mainly for the home key 1200) or the capacitive sensor (mainly used for the function key 1300) due to limitations in the accommodation space. Use) has been used.
이로 인해 사용자가 전자기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100)에 명령을 입력하는 중에 기능키(13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자기펜이 아닌 손가락으로 기능키(1300)를 터치해야만 하는 등, 사용자 경험상의 여러가지 불편이 있었다.Accordingly, in order to use thefunction key 1300 while the user inputs a command to thedisplay unit 1100 using the electronic pen method, various inconveniences in the user experience, such as having to touch thefunction key 1300 with a finger instead of the electronic pen, are required. There was this.
한편, 최근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안이 중요시됨에 따라, 홈키(1200)에 지문센서를 내장한 형태가 도입되었다.  지문센서는 인간의 손가락 지문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지문센서를 통해 사용자 등록이나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고,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the securit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important, a form in which a fingerprint sensor is embedded in thehome key 1200 has been introduced. The fingerprint sensor is a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finger fingerprint. The fingerprint sensor protects data stor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prevents a security accident by performing a user registration or authentication procedure through the fingerprint sensor.
또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는 커서와 같은 포인터의 조작을 수행하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지문센서에 통합시키기도 한다.  그 외에도,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스위칭 기능을 지문센서에 통합하기도 한다.Portable electronics also incorporate navigation into the fingerprint sensor to perform pointer manipulation, such as cursors. In addition, a switching function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a user may be integrated into the fingerprint sensor.
그러나, 종래에는 지문센서 형태의 홈키(1200)와, 정전용량 방식의 기능키(1300)가 각각 별도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됨으로 인해, 각각 별도의 공정이 필요함으로 인한 공정의 비효율화 및 비용증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능키(1300)는디스플레이부(1100)가 전자기펜 입력을 지원하는 경우에는 전자기펜 이용시 사용자 경험상의 불편함도 존재하였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home key 1200 of the fingerprint sensor type and thefunction key 1300 of the capacitive type are mounted separately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rocess inefficiency and the cost increase due to the separate process are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display unit 1100 supports the electronic pen input, thefunction key 1300 may cause inconvenience in the user experience when using the electronic pen.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지문센서를 내장한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n input device with a fingerprint sensor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olve such problems.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th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의 (b)는 그 평면도이다.  여기서,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피씨, 노트북 컴퓨터, 휴대용 음원재생기(MP3 플레이어), 및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모든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다.Figure 2 (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b) is a plan view thereof. 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phone, a PDA,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 portable sound player (MP3 player), and 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f a similar type.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장치(10)는 베이스 기판(100), 지문센서 모듈(200) 및 복합 감지센서(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합 감지센서(300)는 지문센서 모듈(2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센서(300a; 300b)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1개 또는 3개 이상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지문센서 모듈(200)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홈키(1200)에 대응하는 것이고, 2개의 복합 감지센서(300a; 300b)는 도 1에 도시된 2개의 기능키(1300a; 1300b)에 각각 대응하는 것이다.As shown, theinput device 10 includes abase substrate 100, a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and acomposite sensor 300. Here, thecomposite sensor 300 is shown as being composed of twosensors 300a; 300b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but may be composed of one or three or more sensors.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corresponds to thehome key 1200 of the portableelectronic apparatus 1000 shown in FIG. 1, and the twocomposite detection sensors 300a and 300b include twofunction keys 1300a shown in FIG. 1. 1300b).
지문센서 모듈(200)은 베이스 기판(100) 상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센서를 포함한다.  지문센서 모듈(2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의 누름을 인식하는 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is located on thebase substrate 100 and includes a fingerprint sensor that recognizes a user's fingerprint.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may further include a dome switch that recognizes a user's finger press.
복합 감지센서(300)는 베이스 기판(100) 상에서 지문센서 모듈(200)과 이격되어 위치하며, 도전체 및 전자기펜의 접근 또는 접촉을 감지한다.  이와 같이, 지문센서 모듈(200)과 복합 감지센서(300)는 동일한 베이스 기판(100) 상에 일체화되어 설치되며, 이와 같이 패키지화된 입력장치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함으로써, 지문센서 모듈(200)과 복합 감지센서(300)를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경우에 비해 공정이 간단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며,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Thecomposite sensor 300 is spaced apart from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on thebase substrate 100 and senses the approach or contact of the conductor and the electronic pen. As such,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and thecomposite sensor 300 are integrally installed on thesame base substrate 100, and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is mounted by mounting the packaged input device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and themultiple sensor 300 are mount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separate process, the process is simpler, the cost is reduced, and the process time can be shortened.
먼저, 구체적인 지문센서 모듈(200)의 구성,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구체적인 복합 감지센서(300)의 구성, 기능, 및 작용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action of the specific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below, and the configuration, function, and action of the specificcomposite senso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8 and FIG.
도 3은 도 2(b)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지문센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지문센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2B,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gerprint sensor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ngerprint sensor shown in FIG. 3.
도시된 바와 같이, 지문센서 모듈(200)은 브라켓(210), 지문센서(220), 베젤(230), 및 코팅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센서(220)는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라인이 형성되며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부(221)를 포함하며, 이 연결부(221)는 접착제(500)를 통해 베이스 기판(10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may include abracket 210, afingerprint sensor 220, abezel 230, and acoating layer 240. Thefingerprint sensor 220 includes aconnection part 221 having an external interface connection line and having flexibility, and theconnection part 221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base substrate 100 through the adhesive 500. .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브라켓(210)은 지문센서(220)를 고정시키는 부재로서, 지문센서 모듈(20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한다.  브라켓(210)의 재질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지문센서 모듈(200)이 유연(flexible) 기판 또는 유연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브라켓(210) 역시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bracket 210 is a member for fixing thefingerprint sensor 220 and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The material of thebracket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is used for a flexible substrate or a flexible display, thebracket 21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지문센서(220)는 지문 감지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브라켓(210)의 상측에 위치하며, 유연 기판(222)에 형성된 센싱부(223)와 이 센싱부(2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서회로부(224)를 가진다(도 5 참조).Thefingerprint sensor 220 is a member having a fingerprint sensing function, and is positioned above thebracket 210 and includes asensing unit 223 formed on theflexible substrate 222 and a sensor circuit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sensing unit 223. 224) (see FIG. 5).
도 5를 참조하여 센싱부(223) 및 센서회로부(224)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센싱부(223)는 기판(222)의 상면에 마련되며, 센서회로부(224)는 기판(222)의 하면에 마련된다.  도 5의 (a)는 기판(222)의 상면을, 도 5의 (b)는 기판(222)의 하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으며, 도 5의 (c)는 센싱부(223)와 센서회로부(224)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알기 쉽게 나타낸 구성도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sensing unit 223 and thesensor circuit unit 22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Thesensing unit 22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ubstrate 222, and thesensor circuit unit 224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substrate 222. FIG. 5A illustrates a top surface of thesubstrate 222 and FIG. 5B illustrates a bottom surface of thesubstrate 222, and FIG. 5C illustrates asensing unit 223 and a sensor circuit unit (FIG. 5A). 22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clearly.
기판(222)은 유연(flexible) 기판일 수 있으며, 예컨대 폴리마이드(polymide) 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substrate 222 may be a flexible substrate, for example, but may be made of a polymide film, but is not limited thereto.
센싱부(223)는 기판(222) 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구동전극(223a) 및 이미지 수신전극(223b)을 포함한다.  구동전극(223a) 및 이미지 수신전극(223b)은 도전체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sensing unit 223 includes a plurality of drivingelectrodes 223a andimage receiving electrodes 223b formed on thesubstrate 222. The drivingelectrode 223a and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may be formed of conductor lines.
구동전극(223a)은 센서회로부(224)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이미지 수신전극(223b) 측으로 신호를 송출한다.  이미지 수신전극(223b)은 구동전극(223a)으로부터 사용자(정확히는 사용자의 손가락)를 거쳐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한다.The drivingelectrode 223a receives the driving signal from thesensor circuit unit 224 and transmits a signal to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electrode 223a via a user (previously, a user's finger).
기판(222)의 상면에 위치하는 이미지 수신전극(223b)의 일단부 부분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미지 수신전극(223b)의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복수개의 구동전극(223a)이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연장 형성된다(도 5의 (a) 참조).  이미지 수신전극(223b)은 기판(222)의 하면에서 센서회로부(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e end portion of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ubstrate 222 is formed to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drivingelectrodes 223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extends (see FIG. 5A).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sensor circuit unit 22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substrate 222.
복수개의 구동전극(223a)의 일단부는 이미지 수신전극(223b)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위치한다.  또한, 복수개의 구동전극(223a)의 타단부는 기판(222)의 하면에서 센서회로부(2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One end of the plurality of drivingelectrodes 223a is spaced apart from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ddition, the other ends of the plurality of drivingelectrodes 223a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sensor circuit unit 224 on the bottom surface of thesubstrate 222.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전극(223a)과 이미지 수신전극(223b)은 이격되어 있으며, 구동전극(223a)에서 송신된 구동신호는 사용자를 거쳐 이미지 수신전극(223b)에서 수신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치한 지문골 또는 지문산의 유무에 따른 전계 변화를 측정하여 지문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 the drivingelectrode 223a and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electrode 223a is received by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via a user.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fingerprint by measuring the electric field chang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ngerprint bone or fingerprint acid located on the user's finger.
첨부된 도면에서는 구동전극(223a)을 9개만 표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예컨대 200개의 구동전극을 설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구동전극(223a)에 시분할한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이미지 수신전극(223b)으로부터 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받아, 한 라인의 지문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지문센서(220)에 대해 손가락을 슬라이딩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지문정보를 스택(stack)함으로써, 하나의 전체적인 지문 이미지가 얻어지게 된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nly nine drivingelectrodes 223a are displayed,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200 driving electrodes may be installed. A time-divided driving signal is supplied to the plurality of drivingelectrodes 223a, and the signals are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to receive a line of fingerprint information. When the user slides his or her finger with respect to thefingerprint sensor 220, by stacking the above-described fingerprint information, one overall fingerprint image is obtained.
한편, 지문센서(200)는 구동전극 보다 이미지 수신전극이 더 많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는 구동전극으로부터 인가된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복수의 이미지 수신전극이 지문골 또는 지문산의 유무에 따른 전계변화를 측정하여 지문의 인식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fingerprint sensor 200 may be implemented with more image receiving electrode than the driving electrode. In this case, in response to the driving signal applied from the driving electrode, the plurality of image receiving electrodes measure the electric field chang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fingerprint bone or the fingerprint acid, thereby enabling the recognition of the fingerprint.
다시 도 5의 (b) 및 (c)를 참조하면, 센서회로부(224)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라인(225)을 가질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 연결라인(225)은 전술한 연결부(221) 상에 마련되며, 예컨대,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또는 에스피아이(SPI: Serial Peripheral Interface) 연결라인일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5B and 5C, thesensor circuit unit 224 may have an externalinterface connection line 225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The externalinterface connection line 225 is provided on theconnection unit 221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 example, a universal serial bus (USB) or a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connection line.
연결부(221)는 유연 기판(22)에 일체로 형성되며, 따라서 가요성을 가진다.  연결부(221)는 지문센서 모듈(200)로부터 돌출 형성된 형상을 가지며, 연결부(221)가 가요성을 지니기 때문에 연결부(221)를 크게 휘어 그 선단(221a)을 접착제(500)를 써서 베이스 기판(100)의 하면에 연결할 수 있다(도 3 참조).  접착제(500)는 예컨대 이방성 도전 필름(ACF: Anisotropic Conductive Film)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nnectingportion 2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lexible substrate 22 and thus has flexibility. Theconnection part 221 has a shape protruding from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and since theconnection part 221 is flexible, theconnection part 221 is bent greatly, and thetip 221a is used as an adhesive 500 to form a base substrate ( 100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see FIG. 3). The adhesive 50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지문센서(220)는 COF(Chip-On-Flex)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기판(222)의 상면에는 센싱부(223), 즉 구동전극(223a)과 이미지 수신전극(223b) 만을 형성하고, 기판(222)의 하면에는 센싱부(223)와 연결되는 센서회로부(224)를 설치함으로써, 전체적인 외형을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기판(222)의 상면에 센서회로부를 마련하지 않음으로써, 지문센서 모듈(200) 상에 글래스를 설치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데, 이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특히 유용한 효과이다.  또한, 종래와 달리 지문센서(220)를 유연 기판 상에 구현하면서도 구동 전극용 금속 베젤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게 됨으로써, 지문센서 모듈, 나아가 전자기기의 유연화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비용적인 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fingerprint sensor 220 may be implemented in a chip-on-flex method. In particular, thesensing unit 223, that is, only the drivingelectrode 223a and theimage receiving electrode 223b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substrate 222, and thesensor circuit unit 224 connected to thesensing unit 223 on the lower surface of thesubstrate 222. ), The overall appearance can be made compact. In addition, by not providing a sensor circu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substrate 222, it is easier to install the glass on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which is a particularly useful effect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n addition, unlike the related art, thefingerprint sensor 220 is implemented on a flexible substrate, but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a metal bezel for driving electrodes, thereby helping to soften the fingerprint sensor module and even electronic devices, and in terms of cost. Is advantageous.
지문센서(220)는 기본적으로 지문의 감지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해 지문센서(220)는 지문의 특징점(예를 들면, 'Y' 지점과 같이 지문이 갈라지는 부분 등)에 대한 정보를 따로 저장해두고, 이러한 특징점을 비교하여 지문의 일치 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문 감지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프로세서의 단순화를 통해 소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장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Thefingerprint sensor 220 basically has a function of detecting a fingerprint. To this end, thefingerprint sensor 220 may store information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fingerprint (for example, the part where the fingerprint is divided, such as the 'Y' point), and compare the feature points to detect whether the fingerprints match. have. In this case, the time required for fingerprint detection can be shortened, and miniaturiz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processor, so that the mountability to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improved.
한편, 지문센서(220)는 지문 감지 기능과 함께 포인터 조작 기능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즉, 지문센서(220)는 사용자 지문 이미지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고, 그 움직임을 기초로 커서와 같은 포인터를 움직이는 포인터 조작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fingerprint sensor 220 may have a pointer manipulation function together with a fingerprint detection function. That is, thefingerprint sensor 220 may include a pointer manipulation function that detects a change over time of the user fingerprint image and moves a pointer such as a cursor based on the movement.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베젤(230)은 지문센서(220)의 측면에 위치하여 지문센서(220)의 테두리를 이룬다.  따라서, 사용자는 베젤(230)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지문센서 모듈(200)이 위치한 영역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베젤(230)은 지문센서(220)의 가장자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베젤(230)은 수지 또는 고무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3 again, thebezel 230 is positioned at the side of thefingerprint sensor 220 to form an edge of thefingerprint sensor 220. Accordingly, the user may recognize the area where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is locat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bezel 230. Thebezel 230 may be formed to cover all or part of the edge of thefingerprint sensor 220. Thebezel 230 is generally made of resin or rubber,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베젤(230)은 브라켓(210)과 일체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베젤(230)과 브라켓(210)은 사출에 의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베젤(230)은 지문센서(220)의 유연성을 가지는 부분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젤(230)은, 센서회로부(224)에 의해 생기는 단차로 인해 유연한 기판(222)이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판(222)을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bezel 230 may be formed to be integrated with thebracket 210. For example, thebezel 230 and thebracket 210 may be formed at the same time by injection. Here, thebezel 230 may be formed to support a portion having flexibility of thefingerprint sensor 220. In detail, thebezel 230 may serve as a support for fixing thesubstrate 222 to prevent theflexible substrate 222 from shaking due to the step caused by thesensor circuit unit 224.
코팅층(240)은 베젤(230) 및 지문센서(220)의 상측에 위치한다.  코팅층(240)은 복수개의 층(layer)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층의 기능에 따라 여러가지 작용을 하게 된다.Thecoating layer 240 is positioned above thebezel 230 and thefingerprint sensor 220. Thecoating layer 240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layers, and various function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the layer.
예컨대, 코팅층(240)은 도료를 이용한 박막으로 이루어진 후가공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후가공층은 예컨대, 인쇄 공정, 컬러 스프레이 공정, 프라이머(primer) 공정, 또는 자외선 코팅(UV coating) 공정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coating layer 240 may include a post-processing layer (not shown) made of a thin film using paint. The post-processing layer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a printing process, a color spray process, a primer process, or an UV coating process.
코팅층(240)은 지문센서 모듈(200)에 컬러를 구현하거나, 지문센서 모듈(200)의 상면측 강도를 보강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하게 된다.  특히, 지문센서(220)가 유연 기판의 상면 및 하면에 위치한 센싱부(223)와 센서회로부(224)를 포함하므로, 상기와 같은 강도 보강의 효과는 더욱 유용하다.  지문센서(220)가 적절한 지문 센싱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후가공층을 포함하는 코팅층(240)의 두께가 0.1mm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coating layer 240 may implement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implementing colors in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or reinforcing the upper surface strength of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In particular, since thefingerprint sensor 220 includes asensing unit 223 and asensor circuit unit 224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lexible substrate, the effect of the strength reinforcement as described above is more useful. In order to enable thefingerprint sensor 220 to perform appropriate fingerprint sensing, it is known that the thickness of thecoating layer 240 including the post-processing layer is 0.1 mm or less.
브라켓(210)의 하면에는 돔 스위치(2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돔 스위치(250)는 브라켓(210)과 베이스 기판(1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돔 스위치(250)는 사용자의 누름 여부를 감지하여 원하는 정보 또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기계적 또는 전기적 방식의 스위칭 소자이며, 이러한 돔 스위치(25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포인팅된 메뉴나 아이콘을 스위칭을 통해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게 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bracket 210 may be provided with adome switch 250. That is, thedome switch 250 may be located between thebracket 210 and thebase substrate 100. Thedome switch 250 is a mechanical or electrical switching element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pressing and receiving a desired information or command. Thedome switch 250 includes a user to switch a pointed menu or icon. This makes it easy to choose.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도 2의 (b)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7에는 도 6의 지문센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For example,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along the line AA ′ of FIG. 2B),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ngerprint sensor of FIG. 6. Is shown.
앞의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의한 지문센서 모듈(200)에서는 돔 스위치(250)가 베이스 기판(100)의 하측에 위치한다.  또한, 지문센서(220)에 있어서 연결부(221)가 지문센서 모듈(200)의 측면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앞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지문센서(220)의 연결부(221)가 베이스 기판(100)의 하면에 연결되는 대신에, 베이스 기판(100)의 하면에는 돔 스위치(250)가 배치되고, 지문센서(220)의 연결부(221)는 베이스 기판(100)의 상면, 구체적으로는 지문센서 모듈(200)과 복합 감지센서(300)가 위치한 영역의 사이 부분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결합된다.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dome switch 250 is positioned below thebase substrate 100. In addition, in thefingerprint sensor 220, theconnection part 221 protrudes toward the side of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Therefore, instead of connecting the connectingportion 221 of thefingerprint sensor 2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base substrate 100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dome switch 250 is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base substrate 100, Theconnection part 221 of thefingerprint sensor 22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base substrate 100, specifically, between a region where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and thecomposite sensor 300 are located by using an adhesive.
다음으로, 복합 감지센서(300)에 대해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composite sensor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구비된 복합 감지센서가 정전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기기용 입력장치에 구비된 복합 감지센서가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8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capacitance change by a composite sensor provided in an input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n inpu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process of detecting a magnetic field change by the composite sensor provided in the devi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복합 감지센서(30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이를 대신하는 도전성 펜과 같은 도전체의 접근 또는 접촉을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전자기펜의 접근 또는 접촉을 자기장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즉, 복합 감지센서(300)는 정전용량 방식의 센싱 및 전자기 유도 방식의 센싱이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기펜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중에, 연속하여 별도의 기능키를 역시 전자기펜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composite senso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ct the approach or contact of a conductor such as a conductive pen instead of a user's finger or the like through a change in capacitance. In addition, the magnetic pen can detect the approach or contact of the electronic pen. That is, thecomposite sensor 300 may be both capacitive sensing and electromagnetic inductive sensing. Therefore, while the user uses the touch screen of the display unit by using the electronic pen, the user can continuously operate a separate function key by using the electronic pen.
도 8에는 정전용량 방식의 센싱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복합 감지센서(300)는 기판 상에 마련된 송신전극(310) 및 수신전극(320)을 포함한다.  송신전극(310)은 별도의 회로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전달받아 외부로 송출하며, 수신전극(320)은 상기 구동신호가 도전체(사용자)를 거쳐 전달되는 것을 수신한다.  사용자(U)가 복합 감지센서(300)에 충분한 정도로 접근하거나 접촉한 경우, 송신전극(310)으로부터 수신전극(320)으로 형성되는 전계(E)가 사용자가 접근 또는 접촉하지 않은 경우와 상이하게 되고, 이는 정전용량의 변화로서 인식된다.  따라서, 사용자(U)가 터치를 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8 illustrates a capacitive sensing process. Thecomplex sensor 300 includes a transmittingelectrode 310 and a receivingelectrode 320 provided on a substrate. The transmittingelectrode 310 receives a driving signal from a separate circuit unit and transmits the driving signal to the outside, and the receivingelectrode 320 receives the driving signal transmitted through a conductor (user). When the user U approaches or touches thecomposite detection sensor 300 to a sufficient degree, the electric field E formed from the transmittingelectrode 310 to the receivingelectrode 320 is different from the case where the user does not approach or contact. This is recognized as a change in capacit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user U makes a touch.
도 9에는 전자기펜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방식의 센싱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기펜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펜으로서, EMR펜, 자기펜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9 illustrates a sensing process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method using an electromagnetic pen. Herein, the electromagnetic pen is a pen us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generally refers to an EMR pen and a magnetic pen.
복합 감지센서(300)는 전자기의 센싱을 위해 기판 상에 마련된 루프 코일(330) 및 자기센서(340)를 포함한다.  루프 코일(330)에 전류가 도통되면 자기장(M)이 발생하며, 이 자기장(M)이 전자기펜(600)에 의해 흡수된다.Thecomposite sensor 300 includes aloop coil 330 and amagnetic sensor 340 provided on a substrate for sensing of electromagnetic. When a current is conducted to theloop coil 330, a magnetic field M is generated, and the magnetic field M is absorbed by theelectromagnetic pen 600.
전자기펜(600)은 콘덴서(610) 및 코일(620)을 포함하며, 흡수한 자기장(M)을 소정의 주파수로 방출할 수 있다.  전자기펜(600)에 의해 방출된 자기장(M)은 복합 감지센서(300)의 루프 코일(330)에 의해 다시 흡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기센서(340)는 전자기펜(600)이 충분한 정도로 접근 또는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루프 코일(330)을 다수 설치할 경우 전자기펜(600)의 접근/접촉 여부뿐만 아니라, 전자기펜(600)이 어느 위치에 접근/접촉하였는지 여부까지 센싱할 수 있게 된다.Theelectromagnetic pen 600 includes acondenser 610 and acoil 620 and may emit the absorbed magnetic field M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The magnetic field M emitted by theelectromagnetic pen 600 may be absorbed again by theloop coil 330 of thecomposite sensor 300, and accordingly, themagnetic sensor 340 may have a sufficient magnitude for theelectromagnetic pen 600.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or not access or contact. When a plurality of loop coils 330 are installed, it is possible to sense not only whether theelectromagnetic pen 600 approaches / contacts, but also whether theelectromagnetic pen 600 approaches / contacts.
이상과 같은 지문센서 모듈(200) 및 복합 감지센서(300)를 베이스 기판(100) 상에 설치한 이후에는, 그 상측에 글라스를 부착하거나, 또는 전자기기에 실장하는 등의 공정이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After installing thefingerprint sensor module 200 and thecomposite sensor 300 as described above on thebase substrate 100, a process such as attaching a glass on the upper side or mounting the electronic device may be continued. .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outsid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베이스 기판 상에 지문센서 모듈 및 복합 감지센서를 배치함으로써, 지문센서와 복합 감지센서를 구비한 일체화된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지문센서를 사용하여 보안 기능을 가지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홈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전용량 방식과 전자기펜 방식의 입력이 모두 가능한 복합 감지센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사용자 경험을 주는 기능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the fingerprint sensor module and the composite sensor on the same base substrate, the integrated input device having a fingerprint sensor and the composite sensor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It can be provid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ome key that has a security function and is easy to use using a fingerprint sensor. In addition, by using a composite sensor capable of capacitive type and electromagnetic pen type inpu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unction key giving an excellent user experienc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illustration,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modif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it should be construed that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