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WO2014092218A1 -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92218A1
WO2014092218A1PCT/KR2012/010889KR2012010889WWO2014092218A1WO 2014092218 A1WO2014092218 A1WO 2014092218A1KR 2012010889 WKR2012010889 WKR 2012010889WWO 2014092218 A1WO2014092218 A1WO 201409221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nsmitter
signal
person
warning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2/010889
Other languages
French (fr)
Korean (ko)
Inventor
이정필
Original Assignee
Lee Jung Pil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Jung PilfiledCriticalLee Jung Pil
Publication of WO2014092218A1publicationCriticalpatent/WO201409221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Definitions

Landscapes

Abstract

Disclosed is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The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comprises: a transmitting unit worn on the face of a person so as to emit a signal downwardly to a predetermined region;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t the top of the feet of the person. The apparatus issues warnings if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is no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during a predetermined time period.

Description

보행 자세 교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Walking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자세 교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ib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lking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사람이 그릇된 보행 자세를 가지는 경우 근골격계에 불균형한 부하가 걸려 고통을 호소하게 된다.If a person has a wrong walking posture, the musculoskeletal system has an unbalanced load, which causes pain.
일반적으로 사람이 앞으로 기울인 상태로 걷는 것이 근골격계에 걸리는 부하의 불균형을 최소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허리를 앞 쪽으로 기울인 상태로 보행하는 것이 근골격계에 걸리는 부하가 균형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general, walking forward with a person inclined to minimize the imbalance of the load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That is, walking with the waist tilted forward is known to balance the load on the musculoskeletal system.
한국등록특허 제10-0744453호에는 직립자세에서 신체의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0744453 discloses a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a wrong posture or a load of a body in an upright position.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0744453호에 개시된 측정장치는 직립자세인 상태에서 그릇된 자세 또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으나, 그릇된 보행 자세를 올바른 보행 자세를 교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measuring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744453 can measure a wrong posture or a load in an upright position,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correct walking posture cannot be corrected.
한국등록특허 제10-1101003호에는 자이로센서 및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보행 자세를 측정하는 센서노드를 이용한 신체의 움직임 및 균형 감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101003 discloses a body movement and balance detection system using a sensor node for measuring a walking posture using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101003호에 개시된 센서노드를 이용한 신체의 움직임 및 균형 감지 시스템은 사람의 부적절한 팔다리 움직임 패턴을 교정할 수 있으나, 허리 자세 즉, 허리가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측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그릇된 보행 자세를 올바른 보행 자세로 교정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body movement and balance detection system using the sensor node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101003 can correct an inappropriate limb movement pattern of a person, but it is configured to measure a waist posture, that is, a state where the waist is tilted forward. It is not disclos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correct the wrong walking posture to the correct walking postur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허리가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걷는 올바른 보행 자세로 교정할 수 있는 보행 자세 교정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lking posture corr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correct the correct walking posture walking in a state inclined forward.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사람의 얼굴에 착용되어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사람의 발등에서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에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를 출력하는 보행 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unit which is worn on the face of the person to emit a signal to a predetermined downward area; And a receiving unit at the instep of a person receiving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and providing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device to output a warning when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사람의 허리에 착용되어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신호를 사람의 발 뒤꿈치에서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에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신호가 일정한 시간동안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를 출력하는 보행 자세 교정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unit which is worn on the waist of the person to emit a signal to a predetermined downward area; And a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at a heel of a person, and output a warning when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사람의 얼굴에 착용되어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송신부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동안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신호를 사람의 발등에서 수신하는 수신부에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ignal to a transmitter which is worn on the face of the person and emits a signal to a certain downward area; And outputting a warning if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not received in a 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at the instep of a person for a predetermined tim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사람의 허리에 착용되어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송신부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 및 일정시간동안 상기 송신부에서 방출된 신호를 사람의 발 뒤꿈치에서 수신하는 수신부에 상기 송신부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tep of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transmitter to be worn on the waist of the person to emit a signal to a certain downward area; And outputting a warning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is not received in the receiver receiving the signal emitted from the transmitter at the heel of the person for a predetermined tim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사람의 허리가 앞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걷는 올바른 보행 자세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correct walking posture walking with the waist of the person inclined forwar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ansmitt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수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ceiv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사람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by a person.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ransmitt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ce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사람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by a person.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에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and first,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 / 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or any item of a plurality of rel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람의 얼굴에 착용되는 송신부(10), 사람의 발에 착용되는 수신부(20), 수신부(20)에서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람의 허리 기울기가 일정한 범위를 이탈하는 경우 경고를 출력하는 제어부(30) 및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되어 경고를 음향 형태로 출력하는 경고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경고는 경고음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when a person's waist tilts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by using a signal received from atransmitter 10 worn on a face of a person, areceiver 20 worn on a person's feet, and areceiver 20.Control unit 30 for outputting the warning and thecontrol unit 30 and thewarning unit 40 for outputting the warning in the form of a sound. Here, the warning may be a warning soun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ransmitt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송신부(10)는 사람의 양쪽 귀에 걸려지는 좌우귀걸이(11, 12), 좌우귀걸이(11, 12)를 연결하는 프레임(13), 사람의 코의 양쪽면에 착용되어 프레임(13)의 중간 부분를 지지하는 좌우중간지지부(14, 15) 및 프레임(13)에 부착되어 하방으로 신호를 방출하는 방출부(1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transmission unit 10 is aframe 13 which is worn on both sides of a person's nose, aframe 13 connecting the left andright ear hooks 11 and 12, and the left andright ear hooks 11 and 12 to be caught by both ears of the person. Left and right intermediate supportportions 14 and 15 for supporting the middle portion of (13) and theemission portion 16 attached to theframe 13 to emit a signal downward.
방출부(16)는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른 위치 변화가 최소화되도록 좌우중간지지부(14, 15)의 상측에 부착된다. 즉, 대부분 사람들의 미간 위치는 대체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방출부(16)는 미간 부분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3)의 중간부분에 부착되어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따른 위치 변화가 최소화된다.Discharge part 16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left and right intermediate support (14, 15) to minimize the positional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earer's face.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human eye of most people is generally known to be in the same position. Therefore, thedischarge part 16 is attached to the middle part of theframe 13 so as to be located in the forehead part, thereby minimizing the position chang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earer's face.
방출부(16)는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방출장치 또는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엘이디 광을 방출하는 엘이디로 구현될 수 있다.Theemitter 16 may be implemented as an infrared emitter for emitting infrared rays to a lower predetermined region or an LED for emitting LED light to a lower constant region.
좌우중간지지부(14, 15)는 서로의 사이 거리(d)가 조절될 수 있도록 프레임(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좌우중간지지부(14, 15)의 사이 거리(d)가 좁아지면 프레임(13)은 상측으로 이동되고, 좌우중간지지부(14, 15)의 사이 거리(d)가 넓어지면 프레임(13)이 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방출부(16)의 위치 또는 지향방향이 미세 조절될 수 있게 된다.The left and right intermediate supports 14 and 15 are rotatably coupled to theframe 13 so that the distance d between each other can be adjusted. Accordingly,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left and rightmiddle support parts 14 and 15 is narrowed, theframe 13 moves upward, and when the distance d between the left and rightmiddle support parts 14 and 15 is widened, theframe 13 By moving downward, the position or directing direction of thedischarge portion 16 can be finely adjusted.
한편, 방출부(16)의 일측에는 레이저 포인터 등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보폭을 유도하는 보폭유도부(17)가 더 형성된다. 여기서, 보폭유도부(17)는 레이저 포인터로 구현되는 것이 제안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지점을 알려주는 LED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보폭유도부(17)는 사용자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떨어진 지면으로 빔(S2)(도 4 참조)을 방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빔(S2)이 지시하는 곳으로 발을 내딛는 적당한 보폭으로 보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보행 자세 교정효과는 더욱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emitter 16 is implemented with a laser pointer or the like is further formed astride induction unit 17 to induce the stride of the user. Here, thestride induction unit 17 has been proposed to be implemented as a laser poin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tride induction unit 17 may also be implemented as an LED for indicating a point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stride-guidingpart 17 emits the beam S2 (see FIG. 4) to the ground spaced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Accordingly, the user can walk with an appropriate stride length to reach the place indicated by the beam S2, so that the walking posture correcting effect of the user can be further improved.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수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ceiv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수신부(20)는 신발(21) 및 신발(21)의 앞부분에 부착되는 수신센서(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receiver 20 includes ashoe 21 and areception sensor 22 attached to the front of theshoe 21.
수신센서(22)는 일정한 방향 및 일정한 영역으로부터 입사되는 신호만을 수신한다. 이러한 수신센서(22)는 방출부(16)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한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Thereception sensor 22 receives only a signal inciden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area. Thereceiving sensor 22 receives a signal emitted from theemitter 16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controller 3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사람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by a person.
도 4를 참조하면, 송신부(10)과 수신부(20)는, 이들이 사람에게 착된 상태에서 허리가 일정하게 앞으로 기울어 지고 발이 일정한 거리만큼 내딛져진 경우에만, 송신부(10)에서 방출된 신호(S1)가 수신부(20)로 입사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사람의 허리가 일정하게 앞으로 기울어진 각도(θ1)는 5~15도이며, 정확하게는 7.5도가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4, thetransmitter 10 and thereceiver 20 emit a signal S1 emitted from thetransmitter 10 only when the waist is constantly inclined forward and the foot is inclined by a certain distance in a state where they are attached to a person. Is designed to be incident on thereceiver 20. Here, the angle θ1 at which the waist of the person is constantly inclined forward is 5 to 15 degrees, and precisely 7.5 degrees is preferable.
이러한 송신부(10)와 수신부(20)의 구성에 의해 제어부(30)는 송신부(10)에 신호(S1)가 입사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람의 허리가 일정하게 앞으로 기울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By the configuration of thetransmitter 10 and thereceiver 20, thecontroller 30 can determine whether the waist of the person is inclined constantly according to whether the signal S1 is incident on thetransmitter 1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0)는 송신부(10)를 제어하여 송신부(1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501).Referring to FIG. 5, first, thecontroller 30 controls thetransmitter 10 so that thetransmitter 10 transmits a signal (501).
*그 다음, 제어부(30)는 일정시간동안 수신부(20)에 송신부(10)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502).Next, the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transmitter 10 is received by thereceiver 20 for a predetermined time (502).
이때, 수신부(20)에서 신호가 수신되면 종료한다.At this time, when the signal is received by the receivingunit 20 ends.
반면, 수신부(20)에서 일정시간동안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30)는 경고부(40)를 제어하여 경고부(40)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면서(503) 종료한다.On the other hand, if a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receivingunit 20, thecontrol unit 30 controls thewarning unit 40 so that thewarning unit 40 outputs a warning sound (503).
이로써, 송신부(10)와 수신부(20)을 착용한 사용자는 허리를 앞으로 일정하게 기울인 상태로 걸을 수 있도록 유도된다.As a result, the user wearing thetransmitter 10 and thereceiver 20 is guided so that the user can walk in a state where the waist is inclined forward.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와 비교되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ut only a part compared to the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는 송신부(50)에 부착되어 송신부(50)가 수평인지를 감지하는 수평센서(6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수평센서(60)에 의해 제어부(30)는 수평센서(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송신부(50)가 수평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경고를 출력한다. 이 경고에 의해 사용자는 송신부(50)를 정위치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6, the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horizontal sensor 60 attached to thetransmitter 50 to detect whether thetransmitter 50 is horizontal. By thehorizontal sensor 60, the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transmitter 50 is in a horizontal state by using a signal input from thehorizontal sensor 60 and outputs a warning. This warning allows the user to wear thetransmitter 50 in place.
도 7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transmitt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송신부(50)는 벨트(51), 벨트(51)에 부착되는 방출부(5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7, thetransmission unit 50 includes abelt 51 and adischarge unit 52 attached to thebelt 51.
방출부(52)는 벨트(51)가 사람에게 착용되는 경우 사람의 엉덩이 부분에 위치되는 벨트(51)의 중간부분에 부착되어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적외선 방출장치 또는 하방 일정한 영역으로 엘이디 광을 방출하는 엘이디로 구현될 수 있다.The emittingunit 52 is an infrared emitting device or a lower constant region that is attached to the middle portion of thebelt 51 positioned at the buttocks of the person when thebelt 51 is worn by a person and emits infrared rays to a lower predetermined region. It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emitting light.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recei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수신부(70)는 신발(71) 및 신발(71)의 뒤꿈치 부분에 부착되는 수신센서(7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receiver 70 includes ashoe 71 and areception sensor 72 attached to a heel portion of theshoe 71.
수신센서(72)는 일정한 방향 및 일정한 영역으로부터 입사되는 신호만을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수신센서(72)는 방출부(52)에서 방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한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한다.The receivingsensor 72 is designed to receive only signals incident from a certain direction and a certain area. The receivingsensor 72 receives a signal emitted from theemitter 52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to thecontroller 30.
도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송신부와 수신부가 사람에게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worn by a person.
도 9를 참조하면, 송신부(50)와 수신부(70)는, 이들이 사람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허리가 일정하게 앞으로 기울어 지고 발이 일정거리만큼 뒤에 있을 경우에만, 송신부(50)에서 방출된 신호(S1)가 수신부(70)로 입사되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허리가 일정하게 앞으로 기울어진 각도(θ2)는 5~15도이며, 정확하게는 7.5도가 바람직하다.Referring to FIG. 9, thetransmitter 50 and thereceiver 70 emit a signal S1 emitted from thetransmitter 50 only when the waist is constantly inclined forward and the foot is behin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they are worn by a person. ) Is designed to be incident on thereceiver 70. Here, the angle θ2 at which the waist is constantly inclined forward is 5 to 15 degrees, and precisely 7.5 degrees is preferable.
이러한 송신부(50)와 수신부(70)에 의해 제어부(30)는 송신부(50)에 신호(S2)가 입사되는지 여부에 따라 사람의 허리가 일정하게 앞으로 기울어졌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By thetransmitter 50 and thereceiver 70, thecontroller 30 may determine whether the waist of the person is constantly inclined forward according to whether the signal S2 is incident on thetransmitter 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에에 따른 보행 자세 교정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제어부(30)는 수평센서(60)로부터 수평이탈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여 수평인가를 판단한다(1001).Referring to FIG. 10, first, the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the horizontal deviation signal is input from thehorizontal sensor 60 to determine whether it is horizontal (1001).
이때, 수평이탈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0)는 경고부(40)에서 오착용 경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면서(1002) 종료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송신부(50)을 정확하게 착용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orizontal departure signal is input, thecontrol unit 30 terminates while controlling the warning message for the misappearance from the warning unit 40 (1002). As a result, the user can accurately wear thetransmitter 50.
반면, 수평이탈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30)는 송신부(50)를 제어하여 송신부(50)가 신호를 송신하도록 한다(1003).On the other hand, if the horizontal deviation signal is not input, thecontrol unit 30 controls thetransmitter 50 so that thetransmitter 50 transmits the signal (1003).
그 다음, 제어부(30)는 일정시간동안 수신부(70)에서 송신부(50)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1004).Next, thecontroller 30 determines whethe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transmitter 50 is received from thereceiver 70 for a predetermined time (1004).
이때, 제어부(30)는 수신부(70)에서 송신부(50)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면 종료하고, 수신부(70)에서 송신부(50)에서 송신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경고부(40)를 제어하여 경고부(40)가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면서(1005) 종료한다.At this time, thecontroller 30 ends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transmitter 50 is received by thereceiver 70, and controls thewarning unit 40 when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transmitter 50 is not received by thereceiver 70. Then, thewarning unit 40 ends while outputting the warning sound (1005).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 part'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refers to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n ASIC, and '~ par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play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means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and the like.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the components and the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the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the 'parts'. In addition, the components and '~'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the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Claims (12)

PCT/KR2012/0108892012-12-122012-12-14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WO2014092218A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20144755AKR20140076331A (en)2012-12-122012-12-12Apparatus for walking posture correcting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of
KR10-2012-01447552012-1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14092218A1true WO2014092218A1 (en)2014-06-19

Family

ID=5093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PCT/KR2012/010889WO2014092218A1 (en)2012-12-122012-12-14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20140076331A (en)
WO (1)WO201409221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995482B1 (en)2017-03-102019-07-02주식회사 비플렉스Motion s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gait-monitoring
KR101995484B1 (en)2017-03-102019-07-02주식회사 비플렉스Motion posture deriv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path of COP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425378A (en)*1994-07-111995-06-20Swezey; Robert L.Advanced posture-monitoring device
US5469861A (en)*1992-04-171995-11-28Mark F. PiscopoPosture monitor
US5919149A (en)*1996-03-191999-07-06Allum; John H.Method and apparatus for angular position and velocity based determination of body sway for the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of balance and gait disorders
US20020151824A1 (en)*2000-04-132002-10-17Peter FischerPosture measurment and feedback instrument for seated occupations
US20060047232A1 (en)*2004-09-012006-03-02Robert BourneBack training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5469861A (en)*1992-04-171995-11-28Mark F. PiscopoPosture monitor
US5425378A (en)*1994-07-111995-06-20Swezey; Robert L.Advanced posture-monitoring device
US5919149A (en)*1996-03-191999-07-06Allum; John H.Method and apparatus for angular position and velocity based determination of body sway for the diagnosis and rehabilitation of balance and gait disorders
US20020151824A1 (en)*2000-04-132002-10-17Peter FischerPosture measurment and feedback instrument for seated occupations
US20060047232A1 (en)*2004-09-012006-03-02Robert BourneBack trai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140076331A (en)2014-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403212B1 (en)Athletic band with removable module
KR20180053959A (en)A system for gait realignment
CN105636517A (en)Gait monitor and method of monitoring the gait of a person
JP2017144237A (en) Gait analysis system and method
KR20160024124A (en)Gait corr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WO2018088695A1 (en)Wearable device for preventing fall and fall risk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WO2014092218A1 (en)Walking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2115444A2 (en)Shock-absorbing device for the human body
CN106667494A (en)Moving posture monitoring insole
WO2018021738A1 (en)Chair-type virtual reality controller
US20230166155A1 (en)Sensing of stretching of straps of motion tracking system for enhanced usage of the system
US20150057576A1 (en)Wearable muscle strength training detector device
WO2020017731A1 (en)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WO2017036013A1 (en)Healthy shoe for preventing old person from tumbling, and control system
WO2016208794A1 (en)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r's exercise by means of clothing belt type wearable device
WO2024136110A1 (en)Aiming golf shoes
KR20170112955A (en)Shoes And Real-time Locating System
US20210121120A1 (en)Sen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nsing data
JP2021018225A (en)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0004976A1 (en)Smart health care system using elastic exercises
KR101905695B1 (en)Neckband wearable and activity notification system using it
WO2017039261A1 (en)Screen bowling simulation system
KR102742937B1 (en)Multifunctional smart clothing
KR102357259B1 (en)A walking pattern analysis system recognizing intuitively uniformity and symmetry of walking pattern
KR20180105310A (en)Detachable movement detection device and virtual reality contents operating system using the device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121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12890031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NENP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DE

122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12890031

Country of ref document:EP

Kind code of ref document:A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