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출생용품 기념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irth commemorative commemor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몸체와 받침판의 분리 단면도이고,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ody and the support plate,
도 3은 출생시점표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irth time display unit,
도 4는 몸체가 받침판에 안착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dy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 support pla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 몸체, 110; 수용부,10;Body 110; Receiving,
112; 수용공간, 113; 보관함,112; Receivingspace 113; locker,
114; 제습제수용부, 114a; 제습제,114; Dehumidifier compartment, 114a; Dehumidifier,
116; 투명부재, 120; 캡부,116; Transparent member, 120; Cap,
130; 캡몸체, 132; 출생시점표시부,130; Cap body, 132; Birth Mark,
132a; 표시판, 132b; 회전바늘,132a;Display panel 132b; Spinning Needle,
134,310; 수용홈, 135; 돌기홈,134,310; Receiving groove, 135; Groove,
140; 투명커버, 30; 받침판,140; Transparent cover, 30; Support Plate,
312; 자석부재, 313; 고무부재,312; Magnet member, 313; Rubber member,
C; 시디.C; C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출생용품 기념함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몸체(10)와 받침판(30)의 분리 단면도이다.Figure 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irth commemorative commemor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body 10 and thesupport plate 30.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출생용품 기념함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10) 및 받침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Birth commemorative commemorativ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2, largely comprises abody 10 and thesupport plate 30.
먼저, 상기 몸체(10)는 유아의 출생과 관련된 베냇저고리, 탯줄, 태모, 모자 및 신발 등을 포함한 기념품을 보관하는 것으로써,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irst, thebody 10 is to store a souvenir including a nasal loop, umbilical cord, umbilical cord, hat and shoes related to the birth of the infant, it may be made of an elliptical shape as shown in Figs.
한편, 상기 몸체(10)는 예를 들어, 금속재질, 합성수지재질, 고무재질, 유리재질, 석재질, 나무재질 및 한지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body 10 may be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a rubber material, a glass material, a stone material, a wood material and a hanji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몸체(1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유아의 출생과 관련된 기념품을 수용하며 유아의 출생과 관련된 사진 및 동영상 등의 자료가 저장된 시디(Compact Disc)(C)가 상부에 안착되는 수용공간(112)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는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상부에 하단이 나사결합되고 상단 내부에 유아의 출생일을 표시하는 출생시점표시부(132)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캡몸체(130)와, 상기 캡몸체(130)의 상부에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투명커버(140)로 이루어지는 캡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body 10 has an open side and accommodates a souvenir related to the birth of the infant therein, and has a compact disc C storing data such as pictures and videos related to the birth of the infant. Thereceiving portion 110 is seated in thereceiving space 112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lower end is screw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receiving portion 110 and the birthtim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birth date of the infant inside the upper end It includes acap body 130 made of acap body 130, the upper portion is open so that it can be accommodated, and thetransparent cover 140 is screwed on the upper end of thecap body 130.
도 3은 출생시점표시부(132)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birthtime display unit 132.
그리고, 상기 출생시점표시부(132)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유아가 출생한 년, 월, 일, 시, 분이 기록된 오방색의 표시판(132a)과, 상기 표시판(132a)에 기록된 년, 월, 일, 시, 분을 가리킬 수 있도록 상기 표시판(132a)의 중심부에 축고정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바늘(132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irthtime display unit 132 records the five-colored display panel 132a in which the year, month, day, hour, and minute of the birth of the infant are recorded, and thedisplay panel 132a. It may include arotary needle 132b that is rotated by the user in a state fixed to the center of thedisplay panel 132a to indicate the year, month, day, hour, minute.
보다 구체적으로, 유아가 출생했을 경우 사용자가 유아의 출생시점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출생시점표시부(132)의 회전바늘(132b)을 회전시켜 상기 표시판(132a)상에 기록된 년, 월, 일, 시, 분에 상기 회전바늘(132b)을 위치시킴으로써, 유아의 출생시점을 가리킬 수 있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infant is born, the user rotates therotary needle 132b of the birthtime display unit 132 to display the birth time of the infant, and the year, month, day, and the like recorded on thedisplay panel 132a. By placing therotary needle 132b in hours and minutes, it is possible to indicate the birth time of the infant.
이때, 상기 캡부(120)가 예를 들어, 플라스틱재질 등의 투명커버(14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출생시점표시부(132)에 표시된 유아의 출생시점을 보다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cap part 120 is made of, for example, atransparent cover 140 such as a plastic material, the user can more easily identify the birth time point of the infant displayed on the birthtime display part 132.
여기서, 상기 캡부(120)의 캡몸체(130)의 하단 내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시디(C)를 수용하는 수용홈(134)과, 상기 수용홈(134)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공간(112)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시디(C)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시디(C)를 위치고정시키는 돌기부(135)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Here, in the lower end of thecap body 130 of thecap portion 120 as shown in Figure 2 receivinggroove 134 for receiving the CD (C), and protrudes vertically in thereceiving groove 134 It is preferable that aprotrusion 135 is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D C sea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receiving space 112 to fix the CD C.
이와 같이 상기 캡부(120)의 캡몸체(130)의 하단 내부에 수용홈(134)과, 상기 시디(C)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시디(C)를 위치고정시키는 돌기부(135)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시디(C)를 상기 캡부(120)의 캡몸체(130)의 하단에 보다 용이하게 위치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such, theprotrusion 135 is inserted into thereceiving groove 134 and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D C in the lower end of thecap body 130 of thecap 1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CD C. ) Is formed so that the CD (C) can be easily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cap body 130 of thecap portion 120.
또한,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랍식의 제습제수용부(114)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제수용부(114)의 내부에는 제습제(114a)가 수용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receiv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ure 2, the drawer typedehumidifier receiving portion 114 is provided, thedehumidifying agent 114 is preferably inside the dehumidifying agent (114a) is accommodated.
이때, 상기 제습제수용부(114)에는 예를 들어, 서랍식의 제습제수용함(미도시)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습제수용함(미도시)에는 상기 제습제(114a)가 수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humidifyingagent accommodating part 114, for example, a drawer-type dehumidifying accommodating container (not shown) is fitted to sl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dehumidifying agent container (not shown) accommodates the dehumidifying agent (114a). Can be.
한편. 상기 제습제(114a)로는 예를 들어, 숯, 실리카겔, 알루미나겔 및 몰리크러시브스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As the dehumidifying agent (114a), for example, charcoal, silica gel, alumina gel, and molyblyx can be used,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의 하부에 서랍식의 상기 제습제수용부(114)가 구비되고, 상기 제습제수용부(114)의 내부에는 상기 제습제(114a)가 수용되기 때문에 유아의 출생과 관련된 기념품 및 배넷저고리, 탯줄, 태모, 모자 및 신발 등을 상기 수용부(110)에 장기간 보관하더라도 습기에 의해 변질 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rawer-typedehumidifier receiving part 114 is provided below thereceiving part 110, and thedehumidifying agent 114a is accommodated inside thedehumidifying agent part 114, so that the souvenirs associated with the birth of an infant and Even if the banet jersey, umbilical cord, wool, hat and shoes stored in thereceiving portion 110 for a long tim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re is no fear of being deteriorated by moisture.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12)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아의 기념품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수용공간(112)에 수직으로 적층되는 보관함(113)이 두 개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2, two ormore storage boxes 113 stacked vertically on theaccommodation space 112 may be stacked in theaccommodation space 112 to accommodate the souvenir of the child therein.
아울러, 상기 수용공간(112) 내부의 제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112)의 바닥면과 상기 보관함(113)에는 복수의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hole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accommodation space 112 and thestorage box 113 to improve the dehumidification effect in theaccommodation space 112.
또한, 상기 수용부(110)의 외주면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상태의 예를 들어, 플라스틱재질 등의 투명부재(11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부재(116)에는 유아의 사진이 분리가능하게 좌우로 슬라이딩삽입되거나 또는 유아의 이름, 성별, 몸무게, 키, 혈액형 및 부모 이름 등을 포함한 정보가 기재된 표시부(미도시)가 분리가능하게 좌우로 슬라이딩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receiv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ure 1, for example, one side of the open state may be provided with atransparent member 116, such as a plastic material, thetransparent member 116 is a child The photographs may be detachably slid left and right, or the display unit (not shown) inclu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ant's name, gender, weight, height, blood type, and parent's name may be detachably slid left and right.
아울러, 상기 수용부(110)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유아의 출생 이후의 성장기간을 년, 월, 일, 시, 분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 등의 디데이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accommodation unit 110, for example, a D-day display unit (not shown) such as a digital method that can display the growth period after the birth of the infant in years, months, days, hours, and minutes may be provided. Can be.
한편, 상기 디데이표시부(미도시)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day display unit (not shown)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몸체(10)가 받침판(30)에 안착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body 10 is seated and supported on thesupport plate 30,
다음으로, 상기 받침판(30)은 상기 몸체(10)를 안착지지하는 것으로써,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하부를 수용하는 상측이 개방된 수용홈(310)이 형성된다.Next, thesupport plate 30 is to support thebody 10 is seated, as shown in Figure 4 is formed in the receivinggroove 310 is opened the upper side for receiv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0).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수용공간(112)에 유아의 출생과 관련된 기념품 및 배넷저고리, 탯줄, 태모, 모자 및 신발 등을 보관할 수 있고, 상기 출생시점표시부(132)가 수용되는 상기 캡몸체(130)와 상기 캡몸체(130)의 상부에 하단이 나사결합되는 투명커버(140)로 이루어지는 상기 캡부(120)로 인해 유아의 출생일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p body, which can store souvenirs related to the birth of the infant, a umbilical cord, a umbilical cord, a nanny, a hat and shoes, etc., in theaccommodation space 112 of thebody 10, and accommodates the birthtime display unit 132. Due to thecap portion 120 made of atransparent cover 140, the lower end is screw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130 and thecap body 130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identify the date of birth of the infant.
여기서, 상기 수용부(1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특히,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30)의 수용홈(310)에는 자석부재(312)가 부착고정되는 것이 좋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ure 4, the receivingportion 110, in particular, made of a metal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magnet member 312 is fixed to the receivinggroove 310 of thesupport plate 30.
이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받침판(30)의 수용홈(310)에는 상기 자석부재(312)가 부착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부(110)가 상기 자석부재(312)의 자력에 의해 상기 받침판(30)의 수용홈(310)에 보다 용이하게 수용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accommodating part 110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magnet member 312 is fixed to theaccommodating groove 310 of thesupport plate 30, theaccommodating part 110 is themagnet member 312.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fixed in a state that is easily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groove 310 of thesupport plate 30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아울러, 상기 받침판(30)의 하단 외주연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부재(313)가 몰딩처리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rubber member 313 is mol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support plate 30 as shown in FIG. 4.
이와 같이 상기 받침판(30)의 하단 외주연에 상기 고무부재(313)가 몰딩처리되기 때문에 상기 받침판(30)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의 바닥과 상기 받침판(30)의 하단과의 마찰력이 향상됨으로써, 상기 받침판(30)이 보다 안전하게 바닥에 안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us, since therubber member 313 is mol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support plate 30,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bottom of thesupport plate 30 and the bottom of thesupport plate 30 is improved.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support plate 30 can be more securely seated on the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