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ouch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객체의 이동(웹 브라우징의 경우 스크롤링 등)이 행하여지는 통상적인 터치 모드(이하 통상모드라 한다)가 진행된다. 이후 사용자 터치 이벤트가 기설정된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새로운 가상 터치 위치가 생성되는, 이른바 가상모드가 시작된다. 상기 사용자 터치 이벤트 조건으로 다양한 터치 이벤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소정 시간 이상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를 터치하거나(여기에서 실질적으로라는 표현을 사용한 이유는 터치 위치가 사용자의 의도와 달리 미세히 변경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기 위함이다), 일정 압력 이상으로 터치하는 등의 터치 이벤트가 가능하다. 하지만, 기기 환경에 따라 다양한 터치 이벤트 조건이 설정가능하며, 통상적인 터치 모드와 구분되는 한 어떠한 조건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또한 상기 터치의 수는 단일터치(하나의 입력수단에 의한 터치)뿐만 아니라 복수의 입력수단에 의한 멀티터치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멀티터치 환경에서 소정거리 이내의 인접한 두 개의 터치가 검출되는 경우 가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first, a normal touch m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normal mode) in which an object is moved (scrolling in the case of web browsing) is performed. Thereafter, when the user touch event satisfies a predetermined condition, a so-called virtual mode is started, in which a new virtual touch position is generated. Various touch events may be used as the user touch event condition. For example, the touch position may be touched at substantially the same posi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substantially, the term “substantially herein” may be changed slightly unlike the intention of the user). In this case, a touch event such as a touch over a predetermined pressure is possible. However, various touch event conditions may be set according to the device environment, and any condition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distinguished from a general touch mode. In addition, the number of touches is not only single touch (touch by one input means) but also multi-touch by a plurality of input means. For example, when two adjacent touche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detected in the multi-touch environment, the virtual mode may be entered.
가상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 터치 위치가 계산, 생성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상 터치 위치에 표지가 생성된다 (S200). 상기 가상 터치 위치 생성 위치는 객체 내의 사용자 터치 위치와 점대칭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상 터치 위치는 터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예로서 3cm) 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지의 예로서 손가락 모양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표지로서 손가락 모양 이외의 다양한 모양 예로서 화살표, 원 또는 사각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표지 뒤에 위치한 이미지 객체가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표지의 일부 영역이 투명이거나, 표지의 일부 또는 전체 영역이 반투명일 수 있다. In the virtual mode,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calculated and gener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 touch positio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ark is generated at the virtual touch position (S200). The virtual touch position generation position may be a point of symmetry with a user touch position in an object. Also,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be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3 cm) from the touch position, 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ger shape is used as an example of a mark. However, as the mark,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finger shape may be used as arrows, circles, squares, and the like. For example, to make the image object located behind the cover visible, some areas of the cover may be transparent or some or all of the cover may be translucent.
이후 터치 방식에 따라 두 개의 명령이 수행되는데, 그 중 하나는 터치 위치의 거리 변화에 따른 제 1 명령이다.(S100). 제 1 명령의 예로서, 사용자 터치 위치가 터치 위치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객체의 축소(줌-아웃)의 수행이 결정되고, 간격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객체의 확대(줌-인)의 수행이 결정된다. 상기 터치 위치의 이동은 드래그(drag)에 의한 이동일 수 있는데, 여기에서 드래그란 입력 수단을 터치 스크린에 접촉한 채 이동함을 의미한다. Thereafter, two commands a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touch method, one of which is the first comm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distance of the touch position (S100). As an example of the first command, if the user touch position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reduced, performing the reduction (zoom-out) of the object is determined. The performance of (zoom-in) is determined. The movement of the touch position may be a movement by dragging, where the drag means moving while the input means is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상 모드에서 사용자 터치 회전각 변화에 따른 제 2 명령을 수행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S220, S230) 상기 회전각의 기준점은 상기 사용자 터치 위치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중심점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최초 터치 위치가 중심점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상 터치 위치와 상기 사용자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 및 회전각 변화에 따라 확대, 축소, 또는 이전 또는 다음 객체로의 전환 등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figuration for performing a second command according to the user touch rotation angle change in the virtual mode. The reference point of the rotation angle may be a center point between the user touch position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or the initial touch position of the user may be the center point.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distance and rotation angle between the virtual touch position and the user touch position, the enlargement, reduction, or switching to the previous or next object is perform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각각을,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ach of the step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통상모드Normal mode
도 2는 통상 모드(S100)인 동안에 터치 스크린 장치의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객체(310A)의 내부를 터치 및 드래그하면 객체(310A)가 이동한다. 도면에서 310A, 310B, 330A 및 330B는 이동 전의 객체, 이동 후의 객체, 이동 전의 터치 위치 및 이동 후의 터치 위치를 각각 나타낸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the touch screen device during the normal mode S100. Referring to FIG. 2A, when the inside of theobject 310A is touched and dragged, theobject 310A moves. In the figure, 310A, 310B, 330A, and 330B indicate an object before movement, an object after movement, a touch position before movement, and a touch position after movement, respectively.
도 2의 (b)를 참조하면, 일종의 객체(오브젝트)인 전체 화면(340)을 터치 및 드래그하면 전체 화면(340)의 이동과 동시에 바탕 화면(340)에 포함된 객체들(350A, 360A)도 이동한다. 도면에서 350A 및 360A는 이동 전의 객체들을 350B 및 360B는 이동 후의 객체들을 나타낸다. 또한 도면에서 370A는 이동 전의 터치 위치를, 370B는 이동 후의 터치 위치를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2B, when touching and dragging theentire screen 340, which is a kind of object (object), theobjects 350A and 360A included in thedesktop 340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of theentire screen 340. Go too. In the figure, 350A and 360A represent objects before movement and 350B and 360B represent objects after movement. In the figure, 370A indicates the touch position before the movement and 370B indicates the touch position after the movement.
가상모드Virtual mo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rtual m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수단(예를 들면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100)의 객체(310A) 내의 특정 지점(A)을 사용자가 소정 시간이상 터치하는 경우 상기 객체(310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 대칭하는 위치(B)에 가상 터치 위치가 생성되며, 이러한 사용자 터치 위치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대칭적인 위치 관계는 가상모드에서 지속된다. 하지만, 상기 가상모드가 실행되는 터치 이벤트는 상기 터치 시간뿐만 아니라, 터치 압력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심점은 사용자가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when the user input means (for example, a finger) touches a specific point A in theobject 310A of thetouch screen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he center point of theobject 310A is referred to. As a result, a virtual touch position is generated at a point symmetrical position B, and the symmetric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 touch position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persists in the virtual mode. However, the touch event in which the virtual mode is executed may be not only the touch time but also a touch press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center point can be freely set by the user.
또한, 상기 생성된 가상 터치 위치에는 사용자의 직관적인 이해를 돕고자 표지가 나타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지는 손가락 모양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a cover may be displayed on the generated virtual touch position to help the user's intuitive understanding.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has a finger shap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터치 이벤트 조건에 따라 가상 터치 위치가 계산, 생성된 후 2 가지의 명령이 수행되는데, 그 중 하나는 사용자 터치 위치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 변화에 기반한 제 1 명령이고, 나머지 하나는 회전각 변화에 기반하며, 상기 제 1 명령과 상이한 제 2 명령이다. 이하, 이를 자세히 설명한다. After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calculated and generated according to the touch event condition, two commands are performed, one of which is a first command based on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user touch position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and the other is a rotation angle change. Based on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an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제 1 명령First comman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명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기 설명되는 제 1 명령은 확대, 축소이지만, 이는 모두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사용자 터치 위치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 변화에 따른 또 다른 명령도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comm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mands described below are enlarged and reduced, but they all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other commands according to the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user touch position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are possible, which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터치 위치(41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간격이 늘어나도록 드래그가 수행되면, 객체(420A)의 확대가 수행된다. 즉, 상대적인 대칭관계를 나타내는 가상 터치 위치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410A)가 객체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동일하게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터치 위치(41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는 짧아지고, 반대로 사용자 터치 위치가 중심 방향으로부터 멀어지는 경우 터치 위치(41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는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이러한 상대적 길이 변화를 활용하여 객체를 확대, 축소하게 된다. 예로서, 객체(420A)의 확대율((확대 후의 면적의 제곱근 - 최초 면적의 제곱근) / (최초 면적의 제곱근))은 터치 위치(41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의 변경율((변경 후의 거리 - 최초 거리) / (최초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객체(420A)의 확대율은 터치 위치(410A)와 중심점(425) 사이의 거리의 변경율에 비례할 수 있다. 도면에서 410B, 415B 및 420B는 확대 후의 터치 위치, 확대 후의 표지 및 확대 후의 객체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가상 터치 위치는 터치 위치(410A)의 이동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이동하는 가상 터치 위치의 경로는 이동하는 터치 위치(410A)의 경로의 점 대칭에 해당할 수 있다. 점은 예로서 객체(420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객체(420A)의 중심점(425)일 수 있다. 도면과 달리, 가상 터치 위치는 터치 위치(410A)의 이동과 무관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4, when dragging is performed such that an interval between thetouch position 410A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increased, an enlargement of theobject 420A is performed. That is, the virtual touch position representing the relative symmetry moves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user'stouch position 410A moves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object,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touch position 410A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shortened. On the contrary, when the user touch position is far from the center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touch position 410A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becomes long.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enlarged and reduced by utilizing such a relative length change. For example, the magnification ratio ((square root of area after magnification-square root of initial area) / (square root of initial area) of theobject 420A is the rate of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touch location 410A and the virtual touch location ((after change). Distance-initial distance) / (initial distance)). As another example, the magnification of theobject 420A may be proportional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touch position 410A and thecenter point 425. In the drawings, 410B, 415B, and 420B represent a touch position after enlargement, a cover after enlargement, and an object after enlargement, respectively. As represented in the figure,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touch position 410A. In this case, the path of the moving virtual touch location may correspond to the point symmetry of the path of the movingtouch location 410A. The point may, for example, be located inside theobject 420A and may be thecenter point 425 of theobject 420A. Unlike the drawing,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be fixed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touch position 410A.
도 4의 (b)를 참조하면, 소정 기간 이상 터치 위치(430A)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가상 터치 위치에 표지(435A)가 표시된다. 가상 터치 위치는 터치에 의하여 선택된 객체인 바탕 화면(45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위치(430A)와 가상 터치 위치는 바탕 화면(450)의 중심점(455) 대칭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도면과 달리, 터치 위치(430A)와 가상 터치 위치는 중심점(455) 대칭 관계를 가지지 아니할 수 있다. 그 후, 터치 위치(43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도록 드래그가 수행되면, 바탕 화면(450)의 축소와 함께 바탕 화면(450)에 포함된 객체들(440A, 445A)의 축소가 수행된다. 예로서, 객체들(440A, 445A)의 축소율((축소 후의 면적의 제곱근 - 최초 면적의 제곱근) / (최초 면적의 제곱근))은 터치 위치(43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의 변경율((변경 후의 거리 - 최초 거리) / (최초 거리))에 비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객체들(440A, 440B)의 축소율은 터치 위치(430A)와 중심점(455) 사이의 거리의 변경율에 비례할 수 있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430B 및 435B는 축소 후의 터치 위치 및 축소 후의 표지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면부호 440B 및 445B는 축소 후의 객체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 확대 명령만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상기 가상 터치 위치를 사용자 터치 위치와 동일 지점에 생성시킴으로써, 효과적인 확대 명령을 수행하는데,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Referring to FIG. 4B, when thetouch positions 430A remain the sa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mark 435A is displayed at the virtual touch position.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be located inside thebackground screen 450 which is the object selected by the touch. Thetouch location 430A and the virtual touch location may have a symmetric relationship with thecenter point 455 of thedesktop 450. Unlike the drawing, thetouch position 430A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not have acenter point 455 symmetry relationship. Thereafter, when dragg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touch location 430A and the virtual touch location is reduced, the reduction of theobjects 440A and 445A included in thedesktop 450 is reduced along with the reduction of thedesktop 450. Is performed. As an example, the reduction rate ((square root of area after reduction minus square root of initial area) / (square root of initial area) ofobjects 440A and 445A is the rate of change of distance betweentouch location 430A and virtual touch location ( It can be proportional to (distance after change-initial distance) / (initial distance). As another example, the reduction ratio of theobjects 440A and 440B may be proportional to the rate of change of the distance between thetouch position 430A and thecenter point 455. In the drawings,reference numerals 430B and 435B denote touch positions after reduction and marks after reduction, respectively. Also,reference numerals 440B and 445B denote objects after reduction.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erforms an effective enlargement command by generating the virtual touch position at the same point as the user touch position in an environment where only an enlargement instruction is requir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및 6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5 and 6 are views illustrating a touch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 입력수단(200, 본 도면에서는 손가락으로 표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에 의한 제 1 터치위치(210a)가 검출된다. 이때 상술한 터치 이벤트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터치위치(210a)와 동일위치에 가상 터치 위치(210b)가 생성된다. 특히, 상기 가상 터치 위치(210b) 생성조건은 상술한 경우(터치 시간, 압력) 이외에도 화면상의 특정 영역 내에서의 사용자 입력수단의 터치시간, 버튼 등의 별도 입력수단을 통한 모드 변환 등이 가상 터치 위치(210b) 생성조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200)은 일정 방향(A)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상 터치 위치(210b)는 상기 제 1 터치위치(210a)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200)의 이동방향(A)과 대칭되는 방향(B)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상 터치 위치(210b)와 사용자 입력수단(200)의 터치위치 사이의 거리는 길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거리에 비례하여 화면(220)의 확대(줌-인) 비율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터치 위치(210b)는 사용자가 인식하게 할 수 있는 표지, 예를 들면 손가락 모양으로 구현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줌-인되는 범위를 인식할 수 있으나, 상기 가상 터치 위치(210b)에는 표지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표지 모양도 어떠한 형식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제어방법은 모바일폰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작은 터치패널을 갖는 기기에서 모서리, 경계면의 줌-인 명령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first, thefirst touch position 210a is detected by the user input means 200 (indicated by a finger in the dra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virtual touch position 210b is generat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first touch position 210a according to the touch event condition described above. Particularly,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ase (touch time and pressure), thevirtual touch location 210b may be generated by a touch time of a user input means in a specific region on the screen, a mode change by a separate input means such as a button, or the like. Thelocation 210b may be used as a condition for generating thelocation 210b. Referring to FIG. 6, the user input means 200 mov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At this time, thevirtual touch position 210b is centered on thefirst touch position 210a. It moves in the direction B which is symmetrical with the movement direction A of 200.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virtual touch position 210b and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input means 200 becomes long.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the enlargement (zoom-in) ratio of thescreen 220 in proportion to the distance. . 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virtual touch position 210b is implemented as a mark, for example, a finger shape, which can be recognized by the user. Through this,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e zoom-in range, the cover may not be formed in thevirtual touch position 210b, the cover shape may be any form.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mplement a zoom-in command of the corner, the boundary surface in a device having a relatively small touch panel, such as a mobile phone.
도 7 및 8은 모서리에서의 줌-인 명령을 예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7 and 8 are diagrams for illustrating the zoom-in command at the corners.
도 7을 참조하면, 가상 터치 위치를 생성시킬 수 있는 조건으로 사용자 입력수단(200)이 줌-인을 원하는 터치패널 디스플레이(300)의 모서리 영역(310)의 특정 위치(310a)를 터치하게 되면, 상기 특정 위치(310a)에 가상 터치 위치(310b)가 생성된다. Referring to FIG. 7, when the user input means 200 touches aspecific position 310a of thecorner area 310 of thetouch panel display 300 to zoom in under a condition that a virtual touch position may be generated. Thevirtual touch position 310b is generated at thespecific position 310a.
도 8을 참조하면, 이후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200)은 화면중심 방향(C)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상 터치 위치(310b)는 상기 제 1 터치위치(310a)를 중심으로 상기 사용자 입력수단(200)의 이동방향과 대칭되는 방향(D)으로 움직인다. 이때, 상기 가상 터치 위치(310a)(또는 제 1 터치위치(310a)일 수 있다)와 사용자 입력수단(200) 사이의 거리는 점차 멀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거리 변화를 화면(320)의 줌-인 또는 줌-아웃 비율로 이용하게 되며, 이때 줌-인, 줌-아웃 명령은 제 1 터치지점(310a)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상 터치 위치는 손가락 등과 같은 물리적 입력수단이 아니므로,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터치패널의 디스플레이(300) 외부까지 확장 가능한데, 이는 두 개의 물리적 입력수단을 사용하는 종래의 멀티 터치와 구별되는 또 다른 장점 중 하나이다. Referring to FIG. 8, the user input means 200 moves in the screen center direction C. In this case, thevirtual touch position 310b is centered on thefirst touch position 310a. It moves in the direction D which is symmetrical with the moving direction of 200.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virtual touch position 310a (or may be thefirst touch position 310a) and the user input means 200 gradually increases, and the present invention zooms the distance on thescreen 320. The zoom-in or zoom-out command may be started from thefirst touch point 310a. Furtherm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not a physical input means such as a finger, it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display 300 of the physical touch panel as shown in FIG. 3B, which uses two physical input means. It is one of the other advantages distinguished from the conventional multi-touch.
제 2 명령Second command
본 발명은 상기 제 1 명령이 수행되는 가상모드 중 사용자 드래그에 의하여 회전각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 1 명령과 상이한 제 2 명령이 수행되는 구성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second comman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and is performed when a rotation angle change occurs due to a user drag in a virtual mode in which the first command is per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각 변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9 is a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rotation ang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 터치 위치(520)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위치(510)가 계산, 생성된다. 상기 가상 터치 위치(510)는 상기 사용자 터치 위치(520)에 대하여 중심점(530)을 기준으로 점대칭하는 위치에 해당하는데, 상기 사용자 터치 위치(5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중심점(530)을 기준으로 회전각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7에서 시계방향(B)인 경우 θ2, 반시계방향(A)인 경우 θ1 만큼의 회전각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회전각 변화를 통하여 제 2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도 변화량에 따라 이에 비례하는 연속적인 명령(예를 들면, 이미지 객체의 회전)을 수행하였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각의 기준치를 임의의 값으로 미리 설정한 후, 상기 회전각이 상기 기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 2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9, a virtual touch position 510 corresponding to theuser touch position 520 is calculated and generated. The virtual touch position 510 corresponds to a position that is point-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user touch position 520 with respect to thecenter point 530, and based on thecenter point 530 as the user touch position 510 moves. The rotation angle is generated. For example, in FIG. 7, it can be seen that a rotation angle of θ2 in the clockwise direction B and θ1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A occurs.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second command through the rotation angle change.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inuous command (for example, rotation of an image object) is performed in proportion to the angle change amount, and in another embodiment, a reference value of the rotation angle is an arbitrary value. After setting in advance, if the rotation angle exceeds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second command is performed.
특히, 상기 제 2 명령은 통상모드와 구별되는 가상모드에서 수행된다. 따라서 복잡한 터치 제스쳐가 수행되는 통상 모드에서 제스쳐 기반 명령을 인식하고 수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명확한 명령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드래그에 의한 회전각이 지속적으로 변화되어 기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즉시 제 2 명령(예를 들면 객체 변환)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복잡한 알고리즘에 기반하는 매칭과정이 필요 없으며, 회전각의 비교만으로 제 2 명령이 수행 가능하므로, 매우 신속하고 즉각적인 명령의 수행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the second command is performed in a virtual mode distinct from the normal mode. Accordingly, a more effective and clear command is possible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technology of recognizing and performing a gesture-based command in a normal mode in which a complex touch gesture is performed. Furthermore, if the rotation angle by the user's drag continuously changes and exceeds the preset value, the second command (for example, object conversion) is performed immediately, so that no matching process based on a complicated algorithm is required. Since the second command can be executed only by comparing the rotation angles,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command very quickly and immediately.
도 10은 회전각 변화에 따른 객체의 회전명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tation command of an object according to a change in rotation angle.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소정 기간 이상 터치 위치(460A)가 동일하게 유지되면, 가상 터치 위치에 표지(465A)가 표시된다. 그 후, 터치 위치(46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기울기가 변경되도록 드래그가 수행되면, 이미지 객체(470A)의 회전이 수행된다. 예로서, 이미지 객체(470A)의 회전각은 터치 위치(460A)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기울기의 변화에 비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미지 객체(470B)의 회전각은 터치 위치(460A)와 중심점(475) 사이의 기울기의 변화에 비례할 수 있다. 도면에서 460B, 465B 및 470B는 회전 후의 터치 위치, 회전 후의 표지 및 회전 후의 이미지 객체를 각각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0C, when thetouch positions 460A remain the sam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r more, themark 465A is displayed at the virtual touch positions. Thereafter, when dragg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between thetouch position 460A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changed, rotation of theimage object 470A is performed. As an example, the rotation angle of theimage object 470A may be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slope between thetouch position 460A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As another example, the rotation angle of theimage object 470B may be proportional to the change in the slope between thetouch position 460A and thecenter point 475. In the drawings, 460B, 465B, and 470B represent touch positions after rotation, indicia after rotation, and image objects after rotation,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식은 종래의 멀티 터치 기술이 가지는 두 손가락 회전시의 회전각 한계-두 손가락이 터치 상태를 유지한 채 1회 회전하는 경우,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기는 어려우며, 360도 회전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손가락만으로도 원하는 횟수만큼 연속적인 방식으로 객체 등을 검색하거나, 소리 볼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abov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tation angle limit of two-finger rotation of the conventional multi-touch technology. When two fingers rotate once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it is difficult to rotate more than 180 degrees, and rotate 360 degrees.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is physically impossible,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object or the like, or to control the sound volume in a continuous manner as many times as desired with one finger.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명령 중 객체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여기에서 객체는 전체 화면상의 일부 또는 전체 화면이 될 수 있다. FIG. 11 is a view for explaining object switching among second comma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bject may be a part or a full screen on a full screen.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위치(520)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위치(510)가 상술한 터치 이벤트 조건에 따라 생성되며, 이들의 거리 변화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의 명령이 수행된다. 더 나아가, 상기 가상 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 위치가 시계방향(A) 또는 반시계방향(B)로 회전하는 경우(즉, 회전각이 발생하는 경우), 이에 따라 다음 화면 또는 이전 화면과 같은 객체의 전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11에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 제스쳐가 발생하는 경우, 웹 브리우징 명령 중 다음 페이지, 반시계방향인 경우 이전페이지로 객체(전체 화면)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방식은 특히 연속적인 객체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기설정된 명령 수행 회전각이 A인 경우, 사용자가 시계방향으로 회전 제스쳐를 취하여 A만큼 회전각이 발생하면 다음 객체로 전환되는데, 이후 사용자의 연속적인 회전제스쳐로 또 다시 A만큼 회전각이 발생하는 경우, 그 다음 또는 그 이전 객체로 전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연속적으로 한 손가락만을 회전시킴으로써도, 무한횟수만큼 객체 전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객체의 전환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객체에 대하여도 적용될 수 있으며, 회전각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 이전 또는 그 다음 객체가 전환,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편의성을 고려하여, 상기 회전각 정보 또는 명령 정보(540) 및/또는 터치 위치 이동 경로 등이 화면상에 표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virtual touch location 510 corresponding to atouch location 520 of a user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ouch event condition, and an enlargement or reduction command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istance change thereof. Furthermore, when the user's touch position rotates clockwise (A) or counterclockwise (B) in the virtual mode (that is, when a rotation angle occurs), an object such as a next screen or a previous screen is accordingly The transition is made. That is, in FIG. 11, when the clockwise rotation gesture occurs, the object (full screen) is switched to the next page of the web browsing command and the previous pag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is approach has a particularly advantageous effect over the prior art, in that it is possible to switch between continuous objects. For example, if the preset command rotation angle is A, when the user makes a rotation gesture in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rotation angle is generated by A, it is converted to the next object, and then rotates again by A with the user's continuous rotation gesture. When an angle occurs, it can be switched to the next or previous objec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rotates only one finger continuously, the object can be changed as many times as infinite. Such object switching may be applied to a plurality of objects as described above, and the previous or next object may be sequentially converted and display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user convenience, the rotation angle information or command information 540 and / or the touch position movement path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12 is yet another diagram for explaining a second comm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위치(520)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위치(510)의 거리 변화에 따라 확대, 축소 등이 가능하며,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가 시계방향(A) 또는 반시계방향(B)로 회전하는 터치 형태를 취하는 경우, 시계방향에서 소리 볼륨이 증가하고, 반시계방향에서 소리 볼륨이 감소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터치 위치(520)와 가상 터치 위치(510)의 각도 변화량은 상기 소리 볼륨의 증가 또는 감소량을 결정하는데 적용된다. 즉, 시계방향으로 지속적인 회전각 증가가 인식되는 경우 소리 볼륨이 커지고,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각 증가가 인식되는 경우 소리 볼륨이 작아진다. 이러한 방식은 소리와 같은 음성정보 뿐만 아니라, 명암, 콘트라스트와 같은 디스플레이 정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distance of the virtual touch location 510 corresponding to thetouch location 520 of the user, zooming in and out may be performed. Furthermore, the user's touch may be clockwise (A) or counterclockwise. In the case of the touch form rotating in the direction B, the sound volume increases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sound volume decreas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is case, the angle change amount of theuser touch position 520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510 is applied to determine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ound volume. That is, the sound volume is increased when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rotation angle in the clockwise direction is recognized, and the volume of the sound decreases when the increase in the rotation angle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s recognized. This method can be applied to continuously changing not only voice information such as sound but als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contrast and contrast.
또한 명령 수행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명령 모드가 연속성 및 무한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스크롤바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이 가지는 한계, 즉, 디스플레이 하드웨어적인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표현능력의 한계를 간단히 극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폰의 전화부, 음악 리스트 등과 같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브라우징 하는 경우 종래 기술에서는 스크롤바의 크기가 작아져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연속적인 패닝 동작으로 인하여 사용자 피로도가 증가하며, 더 나아가 스크롤 속도가 일정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제 2 명령을 이용하는 경우, 항상 일정한 스크롤 양으로 스크롤 하여 방대한 자료를 정확하게 찾을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회전 방향에 따라 데이터의 스크롤링-업, 스크롤링-다운이 가능하며, 회전각에 따라 연속적인 스크롤링-업, 다운이 가능하며, 그 하드웨어적인 제한없이 무한히 반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xecution of commands, the command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tinuity and infinity, which simply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using scroll bars, that is, the limitation of expressiveness caused by the limitation of display hardware. Can be. For example, when browsing a large amount of data such as a phone part of a mobile phone, a music list, etc., in the prior art, the size of the scroll bar is small, so that the operation is not easy, and the user fatigue is increased due to the continuous panning operation. The problem is that the scroll speed is not constant.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when using the second comman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data can be accurately found by scrolling with a constant scroll amount. That is, scrolling-up and scrolling-down of data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nd continuous scrolling-up and down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nd can be infinitely repeated without the hardware limita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 1 및 제 2 명령은 명령량(명령의 증가 또는 감소 정도)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제스쳐 기반 명령에 비하여 매우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예 이외에도, 연속적인 증가 또는 감소가 요구되는 명령(예를 들면, 음성 볼륨, 영상 명암 등과 같이 명령량이 지속적으로 변화되는 명령)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의 지속적인 변화를 상기 명령량의 증가 또는 감소에 대응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식은 종래의 멀티 터치 기술이 가지는 두 손가락 회전시의 회전각 한계-두 손가락이 터치 상태를 유지한채 1회 회전하는 경우, 180도 이상으로 회전하기는 어려우며, 360도 회전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획기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한 손가락만으로도 원하는 횟수만큼 연속적인 방식으로 객체 등을 검색하거나, 소리 볼륨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omma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very advantageous effec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esture-based command in that the user can arbitrarily adjust and control the amount of commands (degree of increase or decrease). Therefore,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in a command requiring continuous increase or decrease (for example, a command in which the command amount is continuously changed, such as voice volume or image contrast), the continuous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is increased by the increase in the command amount. Or a reduction. In particular,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tation angle limit of two-finger rotation of the conventional multi-touch technology-when two fingers are rotated once while maintaining a touch state, it is difficult to rotate more than 180 degrees, 360 degrees rotation Is to overcome the limitation that is physically impossible, it is possible to search the object or the like, or to control the sound volume in a continuous manner as many times as desired with one finger.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명령을 설명하기 위한 또 다른 도면이다. 13 is yet another view for explaining the second comman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터치 위치(520)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위치(510)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확대, 축소 등이 가능하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가 시계방향(A) 또는 반시계방향(B)로 회전 제스쳐를 취하는 경우, 시계방향인 경우, 빨리 감기 명령이 수행되고, 반시계방향인 경우 되감기 명령이 수행된다. 이와 유사하게 다음 또는 이전 동영상 매체의 실행(play)이 회전각을 발생시키는 상기 터치 이동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이때,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각에 기반한 제 2 명령 체계를 나타내는 별도의 표지(명령 정보, 명령량 정보)가 화면상에 나타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enlargement and reduct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change in relative position of the virtual touch position 510 corresponding to thetouch position 520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Furthermore, when the user's touch makes a rotational gesture in the clockwise direction A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 the fast forward command is perform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and the rewind command is performe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Similarly, play of the next or previous video medium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touch movement that generates the rotation angl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8, a separate mark (command information and command amount information) indicating a second command system based on the rotation angle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하지만, 상기 도면들은 모두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각 변화에 따라 수행되는 임의의 모든 명령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However, all of the abov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invention, and any and all instructions execu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angle change are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가상 모드 종료Exit virtual mode
상술한 제 1 또는 제 2 명령을 수행하는 상기 가상 모드는 종료되고, 다시 통상 모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14에서 도시된 단계에 따라 가상 모드를 종료하게 된다. The virtual mode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first or second command is terminated, and the normal mode is started agai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mode is terminated according to the steps shown in FIG. 14.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가상 모드에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가 종료되고 한 후, 다시 터치를 재개하는 사이의 시간(T1)과 기설정된 기준 시간(Td)을 비교한다. 이후 T1이 Td보다 큰 경우 상기 가상 모드는 종료되고, 작은 경우는 가상 모드가 유지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가상 모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시 상기 터치 이벤트를 재개하여야 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4, first, after the touch on the touch screen is terminated in the virtual mode, the time T1 between resuming the touch and the preset reference time Td are compared. Thereafter, when T1 is larger than Td, the virtual mode ends, and when it is small, the virtual mode is maintain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user having to resume the touch event again to maintain the virtual mode.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기설정된 기준 시간(Td) 동안 상기 가상 터치 위치의 표지를 유지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이 경우, 표지는 시간 경과에 따라 서서히 사라지게 된다. 특히 표지의 상기 사라지는 시간을 상기 기설정된 기준 시간(Td)으로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통하여 가상 모드의 유지 시간을 예상할 수 있다. Furthermor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figuration of maintaining the mark of the virtual touch position for the preset reference time Td. In this case, the label gradually disappears over time. In particular, when the disappearance time of the sign is set to the preset reference time Td, the user can estimate the retention time of the virtual mode through this.
터치 스크린 장치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터치 스크린 장치를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ouch screen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장치는 터치 위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부(600); 상기 터치 센서부에 의하여 감지된 사용자의 터치가 기설정된 이벤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생성시키며, 상기 터치 위치와 가상 터치 위치 사이의 거리 변화에 기반한 제 1 명령 또는 회전각 변화에 기반한 제 2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610); 및 상기 제어부(610)에 의하여 제어되며, 상기 가상 터치 위치에 표지를 표시하며, 상기 명령이 수행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표시부(62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ouch sensor unit 600 for detecting a touch position; When the user's touch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unit corresponds to a preset event, the virtual tou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is calculated and generated, and based on a change in distance between the touch position and the virtual touch position. Acontroller 610 for performing a first command or a second command based on a change in rotation angle; And adisplay unit 620 that is controlled by thecontroller 610, displays a mark at the virtual touch position, and displays an object on which the command is performed.
터치 스크린의 예로서 저항(resistive) 방식, 정전용량(capacitive) 방식, SAW(surface acoustic wave) 방식 또는 IR(infrared) 방식의 터치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표시부(620) 및 표시부(620)에 장착된 터치 센서부(600)를 구비한다. As an example of the touch screen, a resistive method, a capacitive method, a surface acoustic wave (SAW) method, or an IR (infrared) method may be used. The touch screen includes adisplay unit 620 and atouch sensor unit 600 mounted on thedisplay unit 620.
터치 센서부(600)는 터치 위치를 감지한다. 터치 위치는 손가락, 손 또는 물체와 같은 입력 수단(미도시)이 터치 스크린에 접촉(터치)한 위치를 의미한다. Thetouch sensor unit 600 detects a touch position. The touch position refers to a position where an input means (not shown) such as a finger, a hand, or an object touches (touches) the touch screen.
표시부(620)는 표지 및 객체를 표시한다. 표시부(620)는 제어부(610)에 의하여 제어된다. 표시부(620)는 예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일 수 있다. 객체는 이미지 프로세싱(예로서 이미지의 변위 및 변형)이 수행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한다. 객체는 예로서 바탕 화면, 아이콘 또는 응용 프로그램(예로서 Word, Excel 및 internet explorer 등)용 윈도우 등일 수 있다. 객체는 예로서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이미지 객체가 있다.Thedisplay unit 620 displays a cover and an object. Thedisplay unit 620 is controlled by thecontroller 610. Thedisplay unit 620 may be,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An object refers to a unit in which image processing (eg, displacement and deformation of an image) can be performed. The object may be, for example, a desktop, an icon or a window for an application (eg Word, Excel and internet explorer, etc.). The object is, for example, an image object displayed on the entire area or a partial area of the touch screen.
제어부(610)는 소정의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터치 위치를 계산하고, 이를 생성시킨다. 여기에서 가상 터치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에서 표지가 표시되는 위치를 의미하며, 표지는 어떠한 모양이 되어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지는 가상 손가락 형태를 가지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상 터치 위치는 터치 위치 이외의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터치 위치와 동일한 지점에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터치 위치의 이동에 따라 가상 터치 위치도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가상 터치 위치는 터치 위치의 점 대칭에 해당할 수 있으며, 상기 점 대칭의 중심점은 상기 회전각을 결정하는 기준점이 될 수 있다. Thecontroller 610 calculates and generates a virtual touch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position of the user when a predetermined touch event occurs. Herein, the virtual touch position means a position at which a cover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ver may have any shape. That i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rker has the form of a virtual fing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be located in an area other than the touch position or may be generated at the same point as the touch position. In addition,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als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ser's touch position, where the virtual touch position may correspond to point symmetry of the touch position, and a center point of the point symmetry may be a reference point for determining the rotation angle. have.
상기 제어부(610)는 가상 터치 위치를 생성시킴에 따라 상술한 2개의 명령 체계를 수행한다. 첫 번째는 거리에 기반한 객체의 제 1 명령이고, 두 번째는 회전각에 기반하며, 상기 제 1 명령과 상이한 제 2 명령이다. 상기 제 1 및 제 2 명령으로 응용 가능한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으니, 이하 생략한다. Thecontroller 610 performs the above two command systems as the virtual touch position is generated. The first is a first command of the object based on distance, the second is a second command based on the angle of rotation and different from the first command. The form applicable to the said 1st and 2nd instruction is as above-mentioned, It abbreviate | omits below.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터치 스크린 장치는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는 임의의 모든 전자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한 손에 의한 터치 환경이 보다 중요한 소형 전자 장치, 예를 들면 모바일폰 또는 PDA, MP3 등과 같은 휴대형 소형 전자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대형 스크린이나 테이블 탑 등에도 적용가능하며, 이 경우, 사용자가 두 손을 복수회 뻗지 않고서도 두 손 너비 이상의 줌-인, 회전 등이 가능하다. The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ny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touch screen is used.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small electronic device in which a touch environment by one hand is more important, for example, a mobile compact device or a portable small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DA or an MP3. 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arge screen or a table top, and in this case, the user can zoom in, rotate, or the like more than two hands wide without extending the hands two or more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