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900008691Y1 - Signal input device - Google Patents

Signal inpu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691Y1
KR900008691Y1KR2019840001501UKR840001501UKR900008691Y1KR 900008691 Y1KR900008691 Y1KR 900008691Y1KR 2019840001501 UKR2019840001501 UKR 2019840001501UKR 840001501 UKR840001501 UKR 840001501UKR 900008691 Y1KR900008691 Y1KR 900008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operator
support
projection
hand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50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2852U (en
Inventor
야스오 후나모또
마사하루 가시이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filedCritical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852UpublicationCriticalpatent/KR850002852U/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691Y1publicationCriticalpatent/KR900008691Y1/en
Expir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신호입력 장치Signal input device

제 1 도 및 제 2 도는 종래의 신호 입력장치의 일예도로서, 제 1 도는 신호입력 장치의 전체를 가리키는 사시도.1 and 2 are exemplary views of a conventional signal input apparatus, and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ignal input apparatus.

제 2 도는 조작상태를 가리키는 측면도.2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제 3 도 및 제 12 도는 본 고안 신호 입력장치의 실시의 일예로서 제 3 도는 신호입력 장치의 전체를 가리키는 사시도.3 and 12 i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sig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ignal input device.

제 4 도는 장치 전체의 분해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ntire apparatus.

제 5 도는 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5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제 6 도는 제 3 도의 A-A선에 따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제 7 도는 제 3 도의 B-B선에 따르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 8 도는 제 7 도의 C-C선에 따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제 9 도는 상측의 하반부의 저면도.9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half of the upper side.

제 10 도는 하측의 하반부의 저면도.10 is a bottom view of the lower half of the lower side.

제 11 도는 상하의 하반부가 일체화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 10 도의 D-D선에 따르는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0 in a state where the upper and lower half portions are integrated.

제 12 도는 조작상태를 가리키는 종단면도.1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베이스 45a, 45b, 45c, 45d : 제 1 트리거스위치1: Base 45a, 45b, 45c, 45d: 1st trigger switch

31 : 지지통 57 : 스위치 조작자31: support container 57: switch operator

75 : 지지체 87 : 손잡이부75 support body 87 handle

본 고안은 신호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input device.

상세하게는 컴퓨터등의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신호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한손으로, 더욱이 손목의 동작만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여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작에 의한 피로의 경감을 꾀한 새로운 신호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신호처리 장치 이를테면 소위 마이크로 컴퓨터를 사용한 신호처리 장치는 최근 눈부시게 보급되고 매우 다중 다양의 목적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input device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new signal input device which improves the sense and the speed of 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es the fatigue caused by the operation.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such as signal processing apparatuses using microcomputers, have recently been in widespread use and have been used for a wide variety of purposes.

그런데 컴퓨터등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서 종래부터 입력 장치의 키보드에 설치된 키버튼을 누름에 따라 신호를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지고 있다.By the way, as a means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into a computer or the like, inputting a signal is generally performed by pressing a key button provided on a keyboard of an input device.

그런데 상기한 것과같이 컴퓨터 등의 사용목적이 다양화 되어오면서 신호의 입력수단으로서 키 버튼을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적당하지 않은 경우가 생긴다. 예를들면 컴퓨터 등을 사용하여 소위 텔레비젼게임을 행하는 경우 혹은 그래픽 액션을 행하는 경우 조작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이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신호입력 조작을 행한다. 이러한 경우 처리 신호를 키 버튼을 누름에 따라 입력하면 처리되는 화상이 화면의 다방향에 이동되는 것에 대하여 조작자의 조작은 키버튼을 누른다고 하는 단순한 압압 동작의 반복 때문에 처리되는 화상의 움긱임과 조작자의 신호입력 동작사이에 일체감을 얻을 수 없다. 이 때문에 왕왕 조작하여야할 키 버튼의 선택을 실수하고 혹은 키버튼을 누르는 동작이 늦어지게되고 게임이나 그래픽 액션을 생각한데로 처리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상기한 것과 같은 키버튼에 의한 신호입력 수단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틱형의 조작 레버를 다 방향으로 경사가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이, 레버를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시켰을 때 소정의 처리신호가 입력되도록 한 신호입력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그와 같은 조작 레버를 구비한 종래의 신호입력 장치(a)의 일예를 명시한다.However, as the purpose of using a computer or the like is diversified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always appropriate to use a key button as a signal input means. For example, in the case of playing a so-called television game or performing a graphic action using a computer or the like, the operator performs a signal input operation for processing the image while watching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apparatus. In this case, when the processing signal is input by pressing the key button, the processed image is moved in the multi-direction of the screen, and the operator's operation is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image processed by the simple pressing operation of pressing the key button. There is no sense of unity between signal input operations. For this reason, a mistake in selecting a key button to be operated by a king or a delay of pressing a key button causes a problem that cannot be handled as a game or graphic action is conceiv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ignal input means by the key button as described above, the stick type operation lever is installed to be inclined in various directions, and when the lever is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 predetermined processing signal is inputted. A signal input device has been proposed. 1 and 2 show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ignal input device (a) having such an operation lever.

도면에 있어서, b는 얇은 하우징형으로 형성된 케이스이고, 이 케이스(b)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c는 케이스(b)의 상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대부(사다리꼴부)이다. d는 케이스(b)의 상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단이 대부(c)의 내부에 있어서 적당한 지지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레버축이고 이 레버축(d)의 대부(c)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레버(e)가 장착되어 있다. f는 그 상부가 레버(e)의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 푸시버튼이며 이 푸시버튼(f)에는 레버(e)의 내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다른 스위치의 가동접점이 설치되어 있다.In the figure, b is a case formed in a thin housing shape, and a plurality of switches are provided inside the case b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a computer (not shown). c is a large part (trapezoidal part)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 d is a lever shaft which extends in a substantially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b) and whose lower end is rotatably supported by suitable supporting means in the inside of the large part (c), and from the large part (c) of the lever axis (d) The lever e is attached to the part which protruded upwards. f is a push button whose upper part protrudes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lever e, and this push button f is provided with the movable contact of the other switch which is not shown in the inside of the lever e.

그리고 레버축(d)의 하단은 케이스(b)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위치의 각 가동접점과 관계되어있고, 레버축(d)의 소정의 방향으로 경사되었을때에 소정의 스위치가 조작되게금 되어 있다. 그리고 g는 코드이고 일단이 상기한 각 스위치와 접속되어 있고 타단에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하여 코드(g)의 커넥터를 컴퓨터의 소정의 입력부에 끼워 넣으면 신호입력장치(a)와 컴퓨터의 입력부가 연결된다.The lower end of the lever shaft d is associated with each movable contact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in the case b, and the predetermined switch is operated when the lever shaft d is inclin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s hard. And g is a cord,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switch described abov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equipped with a connector (not shown). Thus, when the connector of the cord g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input portion of the computer, the signal input device a and the input portion of the computer are connected.

거기서 상기와 같은 신호 입력 장치(a)를 사용하여 이를테면 텔레비젼 게임이나 그래픽 액션을 행하면, 화상의 움직임과 일체감이 있는 신호 입력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Thereby, if the above-described signal input device (a) is used, for example, a television game or a graphic action, a signal input operation having a sense of unity with the movement of the image can be performed.

즉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게임이나 그래픽액션의 프로그램에 미리레버(e)의 이차원적인 경사 방향과 대응한 화상의 처리 방향을 정의하여 두면 표시된 화상은 레버(e)의 경사방향과 똑같은 방향으로 이동처리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화상의 움직임과 일체감을 가지고 신호 입력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That is, if the processing direction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two-dimensional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lever e is defined in a game or a graphic action program executed by a computer, the displayed image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lever e. do. Therefore, the operator can perform the signal input operation with the movement and the sense of unity of the image.

그런데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신호 입력 장치(a)에 의하면 조작에 현저한 지체와 피로를 수반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레버(e)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이 조작될 때 전체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움직임이 커지고, 따라서, 조작자는 팔의 전체를 움직이지 않으면 아니된다. 이와같이 팔이 전체를 움직이는 조작이기 때문에 조작의 스피드가 완만하게 됨과 동시에 현저하게 피로를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ignal input device (a),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involves significant delay and fatigue. That is, the lever e moves as the whole is inclined when it is operated,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operator must move the whole arm. As such, since the arm moves the who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eed of the operation is smooth and the fatigue is remarkably accompanied.

또 레버(e)의 전체가 기울어지면, 레버(e)를 조작하기 위하여 가해진 압압력은 레버(e)의 축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케이스(b)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신호입력장치(a)가 움직이는 문제가 있다.When the entirety of the lever e is tilted,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operate the lever e is direct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lever e. Therefore, if the case b is not fixed, the signal input device There is a problem with (a).

이것 때문에 조작자는 한쪽편의 손으로 케이스(b)를 눌러두고 다른한쪽의 손으로 레버(e)를 기울이는 자세를 취하지 않을 수가 없었다.For this reason, the operator was forced to hold the case b with one hand and to incline the lever e with the other hand.

그리고 레버(e)의 움직임이 크게 되기 때문에 자칫하면 스위치의 가동부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고 스위치가 고장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movement of the lever e is larg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movable part of the switch, and the switch is easily broken.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이므로,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한손으로 더욱이 손목의 동작만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 있게금하여서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작에 수반되는 피로의 경감을 꾀한 신호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so that the operation unit for inputting a signal can be manipulated in any direction with only one movement of the wrist with one hand, thereby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and the operation speed and simultaneous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gnal input device for reducing the accompanying fatigue.

본 고안 신호 입력장치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비치한 베이스와 그 베이스로부터 돌설된 지지통 및 지지체와, 이 지지통 및 지지체의 선단에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된 손잡이부와 일단이 이 손잡이부와 관계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와 관계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였을때에 상기 복수의 스위치중의 소정의 것이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input device comprising: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 support cylinder and a support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a support cylinder and a support of When the handle part and the one end which are rotatab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a support cylinder and a support body at the front-end are related to this handle part, and the other end is related to the said switch, and the said handle part wa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thing of a some switch consists of a switch operator operated.

이하에 본 고안 신호 입력장치의 상세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etails of the sig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1은 약간 얇은 케이스형으로 형성된 베이스로서 돌로 나누어져 형성된 하반부(2)와 상반부(3)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다.1 is a base formed in a slightly thin case shape, and is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half 2 and the upper half 3 formed by dividing into stones.

하반부(2) (제 10 도 참조)는 대략 장방형상의 저판부(4)와 저판부(4)의 외주에 붙어서 일체로 세어설치된 벽부(5)에 의하여 상면이 개구된 쟁반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판부(4)의 앞쪽, 즉 제 10 도에 있어서의 좌측(이하, 다른 도면에 있어서도 이 방향을 장치의 앞쪽으로 하고 동 도면에 있어서의 우측을 장치의 뒤쪽으로 하며, 또, 동 도면에 있어서의 윗쪽은 장치의 좌측, 똑같이 아래쪽을 장치의 우측으로 한다.) 부분의 중앙부는 대략 ⊃자 형으로 절결된 절결부(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6)의 한쪽을 따른 부분에는 저 벽부(5)가 형성되고 있다. 저판부(4)의 각각의 각부에는 미끄럼 방지부재(7)가 장착되어 있다. 이 미끄럼 방지부재(7)는 고무등의 마찰계수가 높은 소재에 의하여 형성되고, 중간부의 가는지름부(細徑部) (8)가 저판부(4)에 형성된 구멍(9)(제 11 도 참조)에 계합되고 또한 하부가 저판부(4)로부터 아래쪽에 돌출되어 저판부(4)에 장착되어 있다. 또 저판부(4)의 상기 미끄럼 방지 부재(7)가 장착된 위치의 안쪽에 의한 위치에는 저판부(4)의 일부를 상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돌기부(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10)의 중심부에는 나사 삽통용의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half 2 (see FIG. 1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tray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by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bottom plate 4 and a wall 5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4 and integrally count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part 4, that is, the left side in FIG. 10 (hereinafter, in other drawings, this direction is the front side of the apparatus, and the right side in the same figure is the rear side of the apparatus.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apparatus is the left side of the apparatus, and the lower side of the apparatus is equally the lower side of the apparatus. And the low wall part 5 is formed in the part along one side of this notch 6. Each part of the bottom plate part 4 is equipped with the anti-slip member 7. The non-slip member 7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such as rubber, and has a hole 9 in which the middle diameter portion 8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formed in the bottom plate portion 4 (Fig. 11). And a lower portion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plate portion 4 and are attached to the bottom plate portion 4. Moreover, the projection part 10 which protruded a part of the bottom plate part 4 upward is provided in the position by the in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said slipper member 7 of the bottom plate part 4 was mounted, and this projection part 10 is provided. The hole 11 for screw inse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

12는 하반부(2)의 저판부(4)의 앞쪽으로 편의한 위치에 돌출설치된 돌기부이고 이 돌기부(12)의 상단면에는 두 개의 환사돌조(13, 14)가 동심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안쪽의 환상돌조(13)의 내부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한 반구면형의 요부(15)로 되어있다. 그리고 저판부(4)의 상기 돌기부(12)의 주위에 있어서 돌기부(12)로부터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각각 등거리로 떨어진 위치와 뒤쪽에 편위한 위치등에 작은 돌기(16)가 형성되어 있다.12 is a projection projecting at a convenient position toward the front of the bottom plate portion 4 of the lower half (2), and two projection projections (13, 14) are formed concentr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12). The inside of the annular protrusion 13 is a concave hemispherical recess 15 opened upward. Small projections 16 are formed around the projections 12 of the bottom plate 4 at positions equidistant from the projections 12 a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and at the positions laid on the rear side.

17은 하반부(2)의 저판부(4)의 뒤쪽에 편위한 위치에 돌출설치된 대략 통형태의 돌기부로서 이 돌기부(17)의 내부에는 위쪽으로부터 보아 대략 십자형으로 교차된 리브(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17')의 돌기부(17)의 내주면과 접하는 부분에는 절결(18)이 형성되어 있다.17 is a roughly cylindrical projection projecting at a position flattened behind the bottom plate portion 4 of the lower half 2, and the rib 17 'intersected in a cross shape in a cross shape as viewed from above is integrated inside the projection 17. The notch 18 is formed in the part which contact | connect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17 of this rib 17 '.

19는 저판부(4)에 있어서의 상기 돌기부(17)와 벽부(5)의 뒤쪽의 부분사이에 좌우방향에 이간되고 또한 서로 향하여 설치된 스위치레버 지지편이고, 스위치레버 지지편(19) 상단에는 위쪽을 향하여 개구된 대략 반원형의 절결요부(20) (제 6 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레버 지지편(19) 사이에는 보강 리브(2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19 is a switch lever support piece which is spaced apart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provided toward each other between the said projection part 17 in the bottom plate part 4, and the back part of the wall part 5, and is upper side on the switch lever support piece 19 upper end. An approximately semicircular cutout 20 (see FIG. 6) is opened which is opened toward the side. Furthermore, the reinforcing rib 21 is integrally formed between the lever support pieces 19.

22는 저판부(4)의 앞쪽에 편기한 부분의 주위에 배치되어서 돌출설치된 기반지지 돌기이고 각각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판부(4)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와 앞쪽에 가까이간 부분과의 각각의 좌우양측에 편위한 위치에 있어서 서로 L자형으로 절결된 쪽을 대향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또 상기 돌기부(17)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L자형으로 절결된 측을 저판부(4)의 앞쪽에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부(4)의 앞쪽에 근접한 위치에 벽부(5)의 앞쪽 벽부(5')와 평행으로 연장되는 돌조(29)가 형성되어 있다.22 is a base support protrusion which is arranged around the portion knitted in front of the bottom plate part 4, and protrudes,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L shape from each side, and is substantially center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bottom plate part 4;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each of the portions closer to the front side, the sides cut in the L-shape face each other, and the L-shaped cut-out side in the position close to the protrusion 17 is stored. It is arrange | positioned toward the front of the board | plate part 4. And the protrusion 29 extend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wall part 5 'of the wall part 5 is formed in the position near the front part of the bottom plate part 4. As shown in FIG.

상반부(3) (제 9 도 참조)는 대략 장망형상의 천판부(24)의 이 천판부(24)의 외주에 따라 설치된 벽부(25)에 의하여 하면이 개구된 대강 재이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천판부(24)의 앞쪽 부분의 중앙부는 대략 ㄷ자 형으로 절결된 절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26)의 안에 따른 부분에는 낮은 벽부(25')가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half 3 (see FIG. 9) is formed in a roughly half-shaped shape having a lower surface opened by a wall portion 25 provid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op plate portion 24 of the substantially top plate portion 24.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portion 24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26 cut into a substantially c-shape, and a lower wall portion 25 'is formed at the portion along the cutout portion 26.

그리고 천판부(24)의 상기한 하반부(2)에 형성된 나사 삽통용 구멍(11)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나사 결합용 구멍(27)을 가지고 돌기부(28)가 돌출설치되어 있다.And the projection part 28 is provided with the screw engaging hole 27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crew insertion hole 11 formed in the said lower half part 2 of the top plate part 24.

29는 상반부(3)의 천판부(24)의 앞쪽에 편위한 위치에서 위쪽에 돌출하겠금 형성된 대부로서 이 대부(29)의 중심은 상기 하반부(2)에 형성된 이중의 환상돌조(13, 14)를 가지는 돌기부(12)의 축심의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게금 설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대부(29)는 천판부(24)의 상면으로부터 위쪽으로 향하여 좀 낮은 원추 대형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있고, 그리고 대부(29)의 내부에는 요부(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대부(29)에는 그 상단면의 외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한 원통형의 (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통(31)의 내주면에는 이 지지통(31)의 축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홈(32)이 형성되어 있다. 또 대부(29)의 상단면 중심부에는 삽통구멍(33)이 형성되어 이 삽통구멍(33)의 주위에는 계합공(34)이 형성되어 있다.29 is a large por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position in front of the top plate portion 24 of the upper half 3, the center of the large portion 29 is a double annular protrusion (13, 14) formed in the lower half (2) It is provided so that it may be locat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shaft center of the projection part 12 which has (). Thus, the large portion 29 is formed to protrude in a slightly lower cone siz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24 upwards, and the recess portion 30 is formed inside the large portion 29. And the large part 29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cylindrical 31 which protruded upwards from the outer side of the upper end surface, and extends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is support cylinder 31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is support cylinder 31. Groove 32 is formed. In addition, an insertion hole 33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face of the upper portion 29, and an engagement hole 34 is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33. As shown in FIG.

35는 대부(29)의 내부에 형성된 요부(30)의 개구모서리의 외측에 개구모서리와 약간 이간하여 배치되고 또한, 하반부(2) 축을 향하여 돌출하여 형성된 환상돌조이다. 그리고, 이 환상돌조(35)는 상기한 하반부(2)에 돌출설치된 작은 돌기(16)의 위치를 지나가고 또한 돌기부(12)의 축심부를 중심으로 그려지는 원의 조금 외측 위치와 대응하도록 배이되어 있다.35 is an annular protrusion which is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opening edge of the recessed part 30 formed inside the large part 29 and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edge, and protrudes toward the lower half part 2 axis. The annular protrusion 35 is doubled so as to pass through the position of the small protrusion 16 protruding from the lower half 2 and correspond to the slightly outside position of the circle drawn around the shaft center of the protrusion 12. .

36은 후술하는 기판의 부착용 나사가 결합되는 구멍(37)이 형성된 돌길부이고 천판부(24)의 중앙부로부터 조금 앞쪽으로 편위한 위치의 좌우양측에 하반부(2)축을 향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36 is a projection part in which the hole 37 to which the attachment screw of the board | substrate which is mentioned later is engaged is formed, and it protrudes toward the lower half part 2 axi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osition which shifted slightly forward from the center part of the top plate part 24.

38은 천판부(24)의 뒤쪽에 근접한 위치의 좌우양측에 형성된 계합돌기부이고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ㄷ자형의 개구부를 서로 대향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그리하여 천판부(24)의 상기 계합돌기부(38)가 형성된 위치로부터 조금 앞쪽에 가까이간 위치에 대략 장방형상의 개구부(39)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천판부(24)의 앞쪽에 근접한 위치에는 천판부(24)의 전후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표시구멍(40a, 40b)이 형성되어 있다.38 is an engaging projection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t positions close to the rear of the top plate portion 24, and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shape, and is disposed so that the C-shaped openings face each other. Thu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opening 39 is formed at a position slightly closer to the front side from the position at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38 of the top plate portion 24 is formed. In addition, display holes 40a and 40b extending al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top plate portion 24 are formed at positions near the front of the top plate portion 24.

그리하여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된 하반부(2)와 상반부(3)는 그 개구부를 맞되게 하는 것과 같이 하여 겹치고 그리고 하단부(2)의 돌기부(10)에 형성된 구멍(11)을 통하게 하는 나사(41)를 상반부(3)의 돌기부(28)에 형성된 구멍(27)에 결합함에 따라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하여 약간 얇은 하우징형으로 된 베이스(1)가 형성된다. 또, 상반부(3)와 하반부(2)가 일체적으로 결합됨에 따라서 베이스(1)의 앞측면의 중앙부에는 상반부(3)의 낮은 벽부(25')와 하반부(2)의 낮은 벽부(5')에 의하여 대략 장방형상의 개구부(42)가 형성된다.Thus, the lower half portion 2 and the upper half portion 3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are overlapped in such a manner that their openings are fitted, and the screws 41 for passing through the holes 11 formed in the protrusions 10 of the lower portion 2 are provided. By engaging the holes 27 formed in the projections 28 of the upper half 3, a base 1 is formed which is integrally joined and thus has a slightly thin housing shape. Further, as the upper half 3 and the lower half 2 are integrally coupled, the lower wall 25 'of the upper half 3 and the lower wall 5' of the lower half 2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ide of the base 1. ),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opening 42 is formed.

43은 상기 베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프린트 기판이고 복수의 트리거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다. 즉, 프린트기판(43)은 그의 중앙부로부터 조금 앞쪽 가까이에 위치하여 삽통구멍(44)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있어서의 삽통구멍(44)의 주위에는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가 배치 고정되어 있다. 이들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가 배치된 위치는 삽통구멍(44)의 축심으로부터 전후 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각각 등거리로 간격을 둔 위치로 되어있고 이 위치는 기판(43)이 베이스(1) 내부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었을 때의 하반부(2)에 형성된 상기 작은 돌기(16)의 위치와 대응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43)의 상면에 있어서의 후단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는 제 3 트리거 스위치(46)가 배치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는 그 상부에 압압자(47)가 설치되어 있고 압압자(47)가 아래쪽으로 압압되는 것에 의해 이들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와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접점이 폐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43 is a printed board disposed inside the base 1 and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trigger switches. That is,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is located a little closer to the front part from the center thereof, and the insertion hole 44 is formed, and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is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44 on the upper surface. ) Is arranged and fixed. The positions where these trigger switches 45a, 45b, 45c, and 45d are arranged are positioned at equal distances from the axial center of the insertion hole 44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respectively. (1) It corresponds to the position of the said small projection 16 formed in the lower half part 2 when mount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And the 3rd trigger switch 46 is arrange | positioned and fixed in the position near the rear edg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 substrate 43. FIG.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an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are provided with an indenter 47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the indenter 47 is pressed downwards. The contacts of the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and the 3rd trigger switch 46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be closed.

그리하여 압압자(47)는 상기한 압력이 해제되면 자동적으로 원상 복구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접점이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Thus, the indenter 47 is automatically restored to the original state when the pressure is released, thereby opening the contact point of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an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48은 프린트 기판(43)의 상면에 있어서의 전단모서리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 고정된 절환 위치이고 좌우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자(49)가 전반에 돌출하게금 설치되어 있다.48 is a switching position fixed at a position near the front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and an operator 49 is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front.

그리고 기판(43)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의 좌우 양측에 가까이간 위치에 기판고정용의 구멍(50)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hole for fixing a board | substrate 50 is formed in the position near to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ubstantially center pa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board | substrate 43. As shown in FIG.

51은 상기 절환 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이고 절환스위치(48)의 조작자(49)의 선단부가 감합되는 요부(52)가 형성되고 또한 조작돌기(53)가 전방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측판(54)가 이 측판(54)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설치된 표시판(55)이 대략 역 ㄴ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일체 결합되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판(55)의 상면에는 좌우로 이간하여 배치된 표시 요소(56a, 56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표시요소(56a, 56b)는 예를들면 황색의 테이프를 접착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51 is an operation knob of the changeover switch 48, and a main portion 52 into which the front end of the operator 49 of the changeover switch 48 is fitted is formed, and the side plate 54 with which the operation protrusion 53 protrudes toward the front is formed. The display panel 55 protruding toward the rear from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 54 is formed integrally coupled so as to have an approximately inverted b shape. In addition, display elements 56a and 56b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55 to be spaced apart from left and right. The display elements 56a and 56b are formed by, for example, adhering a yellow tape.

그리하여 프린트 기판(43)은 상반부(3)에 나사(41')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로서 베이스(1)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다. 즉, 프린트 기판(43)은 그의 상면 즉, 상기한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 그리고 절환스위치(48)가 장착된 측의 면이 상반부(3)의 천판부(24)의 하면과 대면된 상태로서 그 기판 고정용의 구멍(50)에 상반부의 천판부(24)로부터 돌출 설치된 상기 돌기부(36)의 선단부가 감합되고 이 돌기부(36)의 구멍(37)에 나사(41') 결합된다.Thus, the printed board 4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ase 1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by the screw 41 'to the upper half 3.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board 43, that is, the side on which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and the changeover switch 48 are mounted, is upper half (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projection portion 36 protruding from the top plate portion 24 of the upper half is fitted into the hole 50 for fixing the substrate in a state of faci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24 of 3). The screw 41 'is coupled to the hole 37 of the.

이에 의하여 기판(43)은 이 돌기부(36)의 선단에 고정된다.As a result, the substrate 43 is fixed to the tip of the protrusion 36.

그리고 절환 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는 기판(43)이 상기한 것과 같이하여 상판부(3)에 고정되기 전에 절환스위치(48)의 조작자(49)에 감착되어 표시판(55)이 상반부(3)의 천판부(24) 하면에 따라 위치되고 또한, 절환스위치(48)의 조작자(49)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프린트 기판(43)이 상반부(3)에 고정되고 이 상태로서 상반부(3)와 하반부(2)가 상기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되면, 프린트 기판(43)의 삽통구멍(44)에 하반부(2)의 돌기부(12)가 삽통됨과 동시에, 프린트 기판(43)의 주위 모서리가 하반부(2)에 형성된 상기 기판 지지돌기(22)의 L자형의 절결부분 및 돌조(23)의 상면에 재치된다. 이에 의하여 프린트 기판(43)의 하반부(2)에 대한 위치 결정이 행하여 진다. 이와같이 하여 프린트 기판(43)은 베이스(1)의 소정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프린트 기판(43)이 베이스(1)의 소정위치에 배치되면 하반부(2)에 형성된 작은 돌기(16)는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각 축심부와 대응하여 위치되고 프린트 기판(43)상의 이 각 제1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3트리거 스위치(46)가 장착된 부분을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도록 되므로 이들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압압자(47)가 압압되는 것에 의하여 기판이 국부적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The operating knob 51 of the changeover switch 48 is attached to the operator 49 of the changeover switch 48 before the substrate 43 is fixed to the upper plate portion 3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isplay panel 55 has an upper half portion. It is located along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24 in (3), and is prevented from falling out of the operator 49 of the switching switch 48.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is fixed to the upper half portion 3 and the upper half portion 3 and the lower half portion 2 are integrally combined 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hol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is provided. The projections 12 of the lower half 2 are inserted into the 44, and the L-shaped cutouts and protrusions 23 of the substrate support protrusion 22, the peripheral edges of the printed board 43 being formed on the lower half 2, are inserted. It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reby, positioning with respect to the lower half part 2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is performed. In this way,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1. When the printed board 4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ase 1, the small protrusions 16 formed on the lower half 2 may include the first trigger switches 45a, 45b, 45c, and 45d an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Are position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espective shaft center portion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3 so as to support the portions on which the respective first trigger switches 45a, 45b, 45c, 45d an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on the printed board 43 are mounted from below. The pressing of the presser 47 of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an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can prevent the substrate from bending locally.

또, 절환 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의 표시판(55)에 형성된 표시요소(56a, 56b)는 조작 손잡이(51)를 좌측으로 이동시켰을때에 좌측의 표시요소(56a)가 상반부(3)의 표시구멍(40a)을 통하여 표시되고 또 조작 손잡이(51)를 우측으로 이동시켰을때에 우측의 표시요소(56b)의 표시구멍(40b)을 통하여 표시되겠금 된다. 더욱이 이 표시요소(56a, 56b)은 후에 설명하는 좌우일체의 제 2 트리거 스위치의 어느쪽의 것이 선택되고 있는가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display elements 56a and 56b formed on the display panel 55 of the operation knob 51 of the changeover switch 48 have the upper half of the display element 56a on the left side when the operation knob 51 is moved to the left. It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hole 40a of 3) and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hole 40b of the display element 56b of the right side when the operation knob 51 is moved to the right side. Furthermore, these display elements 56a and 56b are for indicating which of the left and right second trigger switches to be described later is selected.

57은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자이다. 58은 보스부이고, 이 보스부(58)의 하면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돌기(5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59)의 하단은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60은 보스부(58)의 하면보다 약간 아래쪽에 위치되고 또한 보스부(58)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원환형으로 형성된 링이고, 이 링(60)과 보스부(48)는 복수의 연결핀(61)을 통해 일체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링(60)의 하면에는 약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압압돌기(62a, 62b, 62c, 62d)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또, 링(60)의 하면의 약 180도의 각도로 대응하는 위치에는 선단이 링(60)의 외주모서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계합 돌기(63)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부(58)의 축심부에는 보스부(58)의 축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핀(64)의 하단부가 매입형으로 지지되어 있고, 이 핀(64)의 상단부는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보스부(58)의 하면에는 그 외주모서리에 따라서 환상의 돌조(65)가 형성되어 있다.57 is an operator for operating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58 is a boss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is boss part 58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jection 59 which protrudes downward, and the lower end of this projection 59 is formed in spherical shape. 60 is a ring located slightly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boss portion 58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around the axis of the boss portion 58. The ring 60 and the boss portion 48 have a plurality of connections. It is integrally connected via the pin 61. Thus, the pressing projections 62a, 62b, 62c, 62d, which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about 90 degrees, protrude downwards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 60, and correspond to an angle of about 180 degre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ing 60. In the position, the engaging projection 63 which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ing 60 protrudes. And the lower end part of the pin 64 exten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ss part 58 is supported by the axial center part of the boss | hub part 58 in an embedded shape, and the upper end part of this pin 64 is formed in substantially conical shape. . Moreover, the annular protrusion 65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oss | hub part 58 according to the outer periphery edge.

더욱이 상기한 상반부(3)에 형성된 환상돌조(35)의 하단면에는 상기 스위치 조작자(57)의 링(60)에 돌출설치된 계합돌기(63)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돌기(66)가 돌출설치되어 있다.Furthermore, the guide projection 66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nnular protrusion 35 formed in the upper half 3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projection 63 protruding from the ring 60 of the switch operator 57. It is.

그리하여 스위치 조작자(57)는 코일스프링(67)에 의하여 상반부(3)의 천판부에 압접된 상태로서 베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다. 즉 베이스(1)의 상반부(3)의 하반부(2)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 하반부(2)의 돌기부(12)의 내측의 환상돌조(13)에 코일 스프링(67)의 하단을 외부에서 끼우고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을 상반부(3)의 대부(29)에 형성된 삽통구멍(33)을 통하여 지지통(31)내에 삽입하고 또한 링(60)을 상반부(3)의 환상돌조(35)의 내부에 위치시킨다.Thus, the switch operator 57 is installed inside the base 1 in a state of being pressed against the top plate of the upper half 3 by the coil spring 67. That is, in the state before the lower half part 2 of the upper half part 3 of the base 1 was integrally couple | bonded as mentioned above, in the annular protrusion 13 of the inner side of the protrusion part 12 of the lower half part 2, the coil spring ( 67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the pin 64 of the switch operator 57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cylinder 31 through the insertion hole 33 formed in the upper portion 29 of the upper half 3 and the ring 60. ) Is positioned inside the annular protrusion 35 of the upper half 3.

이때, 링(60)의 계합돌기(63)의 선단보를 상반부(3)의 환상돌조(35)에 형성된 가이드돌기(66) 사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계합홈부에 각각 계합시킨다. 이와같은 상태로부터 상반부(3)와 하반부(2)를 상기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하면 코일스프링(67)을 압축된 상태에서 그 상단이 스위치 조작자(57)의 보스부(58)의 하면에 형성된 환상돌조(65)의 내측에 감합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보스부(58)의 하면에 돌출설치된 돌기(59)는 하반부(2)의 돌기부(12)의 요부(15)와 대략 동축상에 대응되고 또한 돌기(59)의 하단면은 요부(15)의 저면과 약간 이간하여 대응하게 된다. 그리하여 스위치 조작자(57)는 링(60)의 상면의 외주모서리에 기댄 부분이 코일스프링(67)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반부(3)의 요부(30)의 개구모서리에 압접 상태로 당접함과 동시에 각 압압돌기(62a, 62b, 62c, 62d)가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와 대략 동측상에, 그리고 약간 이간하여 대응되도록 된다.At this time, the tip beams of the engaging projections 63 of the ring 60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s formed by the guide projections 66 formed in the annular projection 35 of the upper half 3, respectively. In such a state, when the upper half 3 and the lower half 2 are integr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end of the upper half 3 and the lower half 2 are compres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ss 58 of the switch operator 57. It fits inside of the formed annular protrusion 65. In this state, the projection 59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ss portion 58 corresponds substantially coaxially with the recess portion 15 of the projection portion 12 of the lower half 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59 is the recess portion. Corresponds slightly to the bottom of (15). Thus, the switch operator 57 abuts on the outer edg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ing 60 in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of the recessed portion 30 of the upper half 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67. Each pressing protrusion 62a, 62b, 62c, 62d is made to correspond substantially on the ipsilateral side to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and slightly apart.

더욱이 상기한 프린트기판(43)의 부착은 스위치 조작자(57)가 상반부(3)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후에 행하여 진다.Further, the above-described printed board 43 is attached after the switch operator 57 is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 half 3.

따라서 이와같이 하여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스위치 조작자(57)는 이것이 전후좌우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면 압압돌기(62a, 62b, 62c, 62d)는 어느 것이나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압압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들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는 어느 것이나 오프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또, 스위치 조작자(57)가 전후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기울게 되면 기울어진 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압압돌기(62a, 62b, 62c, 62d)가 이것과 대응하는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의 압압자(47)를 압압하기 때문에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가 온의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자(57)의 상기한 기울기 조작은 후술하는 손잡이부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Therefore, if the switch operator 57 dispos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in this way does not tilt in any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y of the pressing protrusions 62a, 62b, 62c, 62d is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keeps the state of being off. In addition, when the switch operator 57 is inclined in any of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any of the pressing protrusions 62a, 62b, 62c, 62d positioned in the inclined direc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Since the presser 47 of 45d) is pressed, the first trigger switches 45a, 45b, 45c, and 45d are turned on. And the said tilt operation of the switch operator 57 is performed by the knob part mentioned later.

68은 상기한 프린트 기판(43)에 장착된 제 3 트리거 스위치(46)를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 레버이고, 베이스(1)의 내부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68 is a switch lever for operating the 3rd trigger switch 46 attached to the above-mentioned printed circuit board 43, and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base 1.

즉 69는 스위치 레버(68)의 후단면에 따라서 일체로 형성된 지축이고, 이 지축(69)의 양단부는 상단부(3)에 형성된 상기 ㄷ자형의 계합돌기부(38)에, 또, 중간부의 하측반부는 하반부(2)에 형성된 스위치레버 지지편(19)의 요부(20)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That is, 69 is a support shaft integrally formed along the rear end surface of the switch lever 68,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69 are connected to the c-shaped engaging projection 38 formed at the upper end 3, and the lower half of the intermediate portion.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recessed part 20 of the switch lever support piece 19 formed in the lower half part 2.

70은 스위치 레버(68)의 앞측에 편위한 위치의 상방으로 대략 베드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압압부이고, 이 압압부(70)의 내부는 요부로 되어 있다. 71은 스위치 레버(68) 하면의 대략 중앙부에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통형돌기이고, 이 통형돌기(71)의 축심부에는 선단이 돌기(71)의 선단 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된 핀(7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위치 레버(68) 하면의 전단 모서리의 중앙부에 가까이한 위치에는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한 압력핀(73)이 돌출설치되어 있다. 74는 스위치 레버(68)와 상기한 하반부(2)에 형성된 통형의 돌기부(17)사이에 압축된 상태로서 개장되는 코일 스프링이다.70 is a press part which protruded in substantially bed shape to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lever 68 in the position which was sewn up, and the inside of this press part 70 is a recessed part. 71 is a tubular protrusion projecting downwar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 lever 68, and a pin 72 is formed at the shaft center of the tubular protrusion 71 with the tip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tip of the protrusion 71. FIG. It is. Moreover, the pressure pin 73 which protrudes downward is protruded in the position near the center part of the front-end | tip edg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witch lever 68. 74 is a coil spring retrofitted as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switch lever 68 and the cylindrical protrusion 17 formed in the lower half part 2 mentioned above.

그리하여 스위치 레버(68)는 베이스(1) 내부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하반부(2)의 통형 돌기부(17)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십자형의 리브(17')의 절결(18)에 코일 스프링(74)의 하단을 감합하고 또, 스위치 레버(68)의 지축(69)의 양단을 상반부(3)의 ㄷ자형의 계합돌기부(38)에 계합하고 또한 압압부(70)를 상반부(3)의 개구부(39)에 위치하게 하고 이 상태로서 상반부(3)과 하반부(2)를 상기한 것과 같이하여 일체적으로 결합한다. 그러면 코일 스프링(74)은 압축된 상태로서 그 상단이 스위치 레버(68)의 통형돌기(71)내에 감합되고 또 지축(69)의 양단부에는 아래쪽으로부터 하반부(2)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 레버 지지편(19)의 반원형의 요부(20)가 가볍게 맞닿게 된다. 이에 의하여 지축(69)은 베이스(1)의 상반부(3)에 접근한 위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스위치레버(68)의 상면이 코일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반부(3)에 접근한 위치에 있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스위치레버(68)의 상면이 코일스프링(74)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반부(3)의 천판부(24)의 하면에 압접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압력 핀(73)은 제 3 트리거 스위치(46)와 동축상에 위치되고 또한 압력핀(73)의 선단은 이 제 3 트리거 위치(46)의 압압자(47)와 약간 이간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리하여 스위치 레버(68)는 압압부(70)가 늘려짐에 따라서 지축(69)이 지지된 위치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고, 압력핀(73)이 제 3 트리거 스위치(46)의 압압자(47)를 압압하여 이로서 이 스위치(46)가 온으로 된다. 더욱이 스위치 레버(68)의 통형돌기(71)의 내부에 배치된 핀(72)은 스위치 레버(68)가 소정의 행정 즉, 스위치(46)의 압압자(47)가 압압되어 접저믈 폐쇄하는데 필요한 행정 만큼 회동된 시점에서 그 선단면이 하단부(2)의 통형돌기부(17)내의 십자형의 리브(17')의 상단면에 충합되어, 이에 의하여 스위치레버(68)가 필요이상으로 회동되어 스위치(46)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Thus, the switch lever 68 is rotatably moun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ase 1.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coil spring 74 is fitted to the notch 18 of the cross-shaped rib 17 'formed inside the tubular protrusion 17 of the lower half 2, and the support shaft of the switch lever 68 Both ends of 69 are engaged with the c-shaped engaging projection 38 of the upper half 3, and the pressing portion 70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39 of the upper half 3, and in this state, the upper half 3 and the lower half (2) is integrally combined as mentioned above. Then, the coil spring 74 is in a compressed state, the upper end of which is fitted into the tubular projection 71 of the switch lever 68, and the switch lever support piece formed on the lower half 2 from the lower end at both ends of the support shaft 69 ( The semicircular recessed portion 20 of 19) is brought into light contact. Thereby, the support shaft 69 is rotatably supported in the position approaching the upper half 3 of the base 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lever 68 is supported by the resilience of the coil spring 74 to the upper half 3 )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position approaching the upper side of the switch lev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witch lever 68 is pressed against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portion 24 of the upper half 3 by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74. . In this state, the pressure pin 73 is coaxial with the third trigger switch 46 and the tip of the pressure pin 73 is slightly separated from the presser 47 at the third trigger position 46. Will be located. In this way, the switch lever 68 is rotated by using the position where the support shaft 69 is supported as the pivot point as the pressing portion 70 is extended, and the pressure pin 73 is the pusher of the third trigger switch 46. By pressing 47, this switch 46 is turned on. In addition, the pin 72 disposed inside the cylindrical projection 71 of the switch lever 68 has a switch lever 68 pressed by a predetermined stroke, that is, the presser 47 of the switch 46 is pressed and closed. At the time when the required stroke is rotated, the distal end face is fitted to the upper end face of the cross rib 17 'in the cylindrical protrusion 17 of the lower end 2, whereby the switch lever 68 is rotated more than necessary to switch (46) is not to be damaged.

75는 베이스(1)에 대하여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서 일체적으로 설치된 지지체이고 대략 반구형으로 형성된 두부(頭部)(76)와 이 두부(76)의 하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돌출하여 일체 형성된 다리부(77)로 이루어진다. 즉, 두부(76)는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고 또한 외주면이 반구형의 구면에 형성된 대략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두부(76)의 저판(78) 중앙부는 원형으로 개구(79)되어 있고, 이 개구(79)의 개구모서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통형의 보스부(80)가 일어선 상태로 일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보스부(80)의 상단은 두부(76)의 상단으로부터 약간 상방으로 위치되고, 또한 보스부(80)의 상단 개구모서리는 내측을 향하여 절곡되어 있고, 이 개구모서리(81)는 구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75 is a support body which is integrally installed as it protrudes upwardly with respect to the base 1, and a head 76 formed in a substantially hemispherical shape, and a leg part which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head 76 and is integrally formed. It consists of 77. That is, the head 76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main shape with an opening toward the top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on a hemispherical spherical surfa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ttom plate 78 of the head 76 has a circular opening 79,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ylindrical boss 80 extending upward from the opening edge of the opening 79. The upper end of the boss portion 80 is located slight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head 76, and the upper edge of the boss portion 80 is bent toward the inside, and the opening edge 81 is spherical. It is formed in a mold.

또, 두부(76)의 내주면과 보스부(80)의 외주면과는 다수의 리브(82)에 의하여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76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80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plurality of ribs 82.

83은 두부(76)의 상단모서리의 약 120도 이간한 위치로부터 상방 및 외부쪽을 향하여 돌설된 계합돌기이고 이 계합돌기(83)의 선단은 두부(76)의 상단모서리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여 위치되어 있다.83 is an engaging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and outward from a position spaced about 120 degrees apart from the upper edge of the head 76. The distal end of the engaging protrusion 83 protrudes outward from the upper edge of the head 76. It is.

다리부(77)는 두부(76)의 저판(78)의 외주모서리로부터 약간 내측에 가까이한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단으로 감에 따라 점차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며, 하단부는 외측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계지돌기(8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다리부(77)의 외측면의 중아에는 지지체(75)의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계합돌조(85)가 형성되어 있다.The leg portion 77 protrudes downward from a position slightly closer to the inner si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ottom plate 78 of the head 76, and is formed to gradually become thinner as it goes to the lower end, and the lower portion is directed outward. The bent protrusions 84 are formed by bending at approximately right angles.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85 exten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75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part 77. As shown in FIG.

그리하여, 지지체(75)는 상반부(3)에 돌출설치된 상기 지지통(31)에 계착됨에 따라서 베이스(1)와 일체로 결합된다. 즉, 지지체(75)는 그 다리부(77)가 지지통(31)의 내부에 삽입되고, 이때, 다리부(77)의 외측면에 형성된 계합돌조(85)는 지지통(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홈(32)과 계합된다. 그리고 지지체(75)는 그 두부(76)의 저판(78) 하면이 지지통(31)의 상단과 충합되는데까지 지지통(31)내에 삽입되면 다리부(77)의 하단에 형성된 계지돌기(84)가 상반부(3)의 대부(29) 상단면에 형성된 상기 계합구멍(34)의 모서리부와 계합된다. 이에 의하여 지지체(75)는 지지통(31)에 대하여 회전장치와 빠짐 방지가 행하여진 상태로서 장착되고 두부(76)가 지지통(31)의 상단부에 배치된다. 더욱이 지지체(75)의 두부(76) 저판(78)에는 2곳이 절결부(8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한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의 선단부는 지지체(75)의 보스부(8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Thus, the support 75 is integrally coupled with the base 1 as it is engaged with the support cylinder 31 protruding from the upper half 3. That is, the support body 75 is the leg portion 77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upport cylinder 31, at this time, the engaging projection 8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g portion 77 is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upport cylinder 31 It is engaged with the groove 32 formed in the. And the supporter 75 is a locking projection (8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leg portion 77 when the bottom plate 78 of the head 76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cylinder 31 until the bottom of the support cylinder 31 is fused ) Is engaged with the corner portion of the engagement hole 3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29 of the upper half 3. Thereby, the support body 75 is mounted as the rotation apparatus and the fall prevention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ylinder 31, and the head 76 is arrange | positioned at the upper end part of the support cylinder 31. As shown in FIG. Furthermore, two cutouts 86 are formed in the head 76 and the bottom plate 78 of the support 75. Thus, the tip of the pin 64 of the switch operator 57 is located inside the boss 80 of the support 75.

87은 대략 하우징형으로 형성된 손잡이부이고 대략 둘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 하반부(88)와 상반부(89)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87 is a handle portion formed in a substantially housing shape and is formed by combining a lower half portion 88 and an upper half portion 89 formed in a substantially divided form.

하반부(88)는 저판부(90)와 이 저판부(90)의 외주 모서리에 따라서 상반부(89)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주벽(91)에 의하여 상방을 향해 개구된 대략 쟁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벽(91)의 후측의 다른 부분보다 좀 낮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벽(91)의 좌우 양측부의 후측에 가까이간 위치에는 절결부(92)가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half portion 88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y shape opened upward by the bottom plate portion 90 and a circumferential wall 91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half portion 89 s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0. It is formed a little lower than the other part of the rear side of 91. And the notch part 92 is formed in the position near to the rear side of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wall 91. As shown in FIG.

93은 저판부(90)의 약간 앞쪽에 편위한 위치에 형성된 원형의 개구부이고, 이 개구부(93)의 개구모서리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된 환상돌조(94)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상돌조(94)의 내측 상부는 구면형의 면(94')에 형성되어 있다. 95는 저판부(90)의 상기 개구부(93)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 저판부(90)의 일부를 위쪽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돌기부이고, 그 중심부에는 나사 삽통용의 구멍(96)의 형성되어 있다. 97은 98은 저판부(90)의 후측에 가까이간 위치에 한조씩 배치된 스위치기판계합용의 돌기부이고, 한편의 돌기부(97)는 주벽(91)의 내측에 두개가 근접하여 형성되고, 또 다른쪽의 돌기부(98)는 ⊃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이 ⊃자형의 개구부를 상기 한쪽의 돌기부(97)에 대향시키고, 저판부(90)로부터 돌출설치되어 있다.93 is a circular opening formed at the position slightly ahead of the bottom plate part 90, and the annular protrusion 94 which protrudes upward is formed in the opening edge of this opening 93, and this annular protrusion 94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 is formed on the spherical surface 94 '. 95 is a projection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pening portion 93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0 so as to project a part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0 upward, and at the center thereof, a hole 96 for screw insertion is formed. It is. 97 and 98 are protrusions for switch board engagement arranged one set at a position close to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portion 90, while the other protrusions 97 are formed in close proximity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wall 91. The other projection 98 is formed in a U-shape, and the U-shaped opening is opposed to the one of the protrusions 97 so as to protrude from the bottom plate 90.

상반부(89)는 천판부(99)와 이 천판부(99)의 외주 모서리에 따라서 하반부(88)측으로 돌출형성된 주위벽(100)에 의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개구된 대략 쟁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주벽(100)의 후측의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좀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주위벽(100)의 좌우 양측의 후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는 절결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102는 천판부(99)의 중심부로부터 약간 전반으로 치우진 위치에서 아래쪽을 향해 일체 돌설된 연결축이고, 이 연결축(102)의 중심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구멍(103)이 형성되고, 또한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조(10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조(104)는 연결축(102)의 축심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것과 같이 배치되고 또한 하단은 연결축(102)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의 위치에서 끝나고 있다. 그리고 돌조(104)의 하단은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upper half portion 89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y shape opened downward by the top plate portion 99 and the peripheral wall 100 protruding toward the lower half portion 88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top plate portion 99. The part of the back side of 100 is formed a little higher than the other part. And the notch part 101 is formed in the position inclined to the rear side of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surrounding wall 100. As shown in FIG. 102 is a connecting shaft integrall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position slightly shifted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portion 99, and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shaft 102 is formed with a hole 103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104 are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And this protrusion 104 is arrange | positioned as extending radially from the axial center part of the connecting shaft 102, and the lower end ends in the position of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art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shaft 102. As shown in FIG.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04 is formed in substantially circular arc shape.

105 및 106은 천판부(99)의 후측으로 치우진 위치에 좌우 한조씩 배치된 스위치 기판계합용의 돌기부이고 이들 돌기부(105, 106)의 형태는 상기한 하반부(88)에 형성된 돌기부(97, 98)와 똑같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형성 위치는 하반부(88)측의 돌기부(97, 98)와 대응하겠금 되어 있다. 107은 주위벽(100)의 후측 부분의 내면 중앙부에 이 주위벽(100)의 높이 방향에 따라 서로 조금 이간하여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이고 이들의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에는 상기한 지지체(75)의 두부(76)에 형성된 계합돌기(83)의 한쪽의 것이 스라이드 가능한 상태에서 계합된다. 또 108은 주위벽(100)의 앞측의 부분과 좌측의 부분이 교차하는 다리부에 주위벽(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하고 또한 서로 조금 떨어져서 형성된 다른 가이드 돌기부이고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 사이에는 상기한 지지체(75)의 두부에 형성된 계합돌기(83)의 다른쪽것이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서 계합된다. 109는 나사가 결합되는 구멍(110)이 형성된 돌기부이고 천판부(99)의 좌우양측부에 있어서의 상기한 하반부(88)의 돌기부(95)의 형성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설치되어 있다.105 and 106 are protrusions for switch substrate engagement arranged one by one in the position offset to the rear side of the top plate 99, and the shape of these protrusions 105 and 106 is the protrusions 97 formed on the lower half 88 described above. 98, and the formation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rotrusions 97 and 98 on the lower half 88 side. 107 is a guide protrusion formed slightly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100 in the inner surfac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peripheral wall 100 and the head of the support 75 described above between the gaps formed therebetween ( One of the engaging projections 83 formed at 76 is engaged in a slidable state. 108 is another guide protrusion which extends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eripheral wall 100 and is sligh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leg portion where the front part and the left part of the peripheral wall 100 intersect, and are formed between the gaps formed therebetween. The other of the engaging projections 83 formed on the head of the support body 75 is engaged as a slidable state. 109 is a projection in which the hole 110 to which a screw is engaged is formed, and it protrudes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rojection 95 of the lower half part 88 i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top plate 99.

그리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반부(89)와 하반부(88)는 그 각 개구부를 서로 맞대개하는 것과 같이 겹치게 하고, 또한 하반부(88)의 돌기부(95)에 형성된 구멍(96)을 삽통된 나사(111)를 상반부(89)의 돌기부(109)의 구멍(110)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서 일체적으로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 대략 하우징형으로된 손납이부(87)가 형성된다.Thus, the upper half portion 89 and the lower half portion 88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overlap each of the opening portions as opposed to each other, and also insert the holes 96 formed in the protrusions 95 of the lower half portion 88 through the screw ( As the screw 111 is screwed into the hole 110 of the protrusion 109 of the upper half 89, a fastener 87 is formed that is substantially housing-like.

그리고, 112a, 112b는 각기 스위치 기판(113)에 장착된 제 2 트리거 스위치이고 손잡이부(87)의 하반부(88)와 상반부(89)가 상기한 것과 같이 일체적으로 결합될 때, 그 스위치 기판(113)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에 의하여 보유됨에 의하여 손잡이부(87)의 내부에 배치된다. 즉, 스위치기판(113)의 상단부는 상반부(89)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 기판 보유용의 돌기부(105)와 돌기부(105)의 ㄷ자형 요부와의 사이에 계합되고, 또, 하단부는 하단부(88)에 형성된 상기 스위치 기판 보유용 돌기부(97)와 돌기부(98)의 ㄷ자형 요부 사이에 계합되어, 이에 의하여 스위치 기판(113)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보유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 있어서,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는 손잡이부(87)의 좌우 양측부에 절결부(92)와 절결부(101)의 협동작용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부(114)와 대응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한 것과 같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가 일체적으로 결합되면, 상반부(89)의 주벽(100)에 형성된 절결부(101)와 하반부(88)의 주벽(91)에 형성된 절결부(92)의 각각의 개구부가 서로 접합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의 좌우양측면의 후측에 가까이간 위치에 개구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위치기판(113)이 상기한 것과 같이 하반부(88)와 상반부(89)의 소정 위치에 보유되면 스위치(112a, 112b)는 상기 개구부(114, 114)와 대응한 곳에 위치하게 된다.And 112a and 112b are second trigger switches respectively mounted on the switch substrate 113 and when the lower half 88 and the upper half 89 of the handle 87 are integr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substrate The 113 is disposed inside the handle portion 87 by being held by the lower half 88 and the upper half 89.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switch substrate 113 is engaged between the projection 105 for holding the switch substrate formed in the upper half portion 89 and the c-shaped recess of the protrusion 105, and the lower end 88 of the lower substrate 88. Is engaged between the switch substrate holding protrusion 97 formed therein and the U-shaped recess of the protrusion 98, whereby the switch substrate 113 is h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half 88 and the upper half 89. FIG. In this state, the second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correspond to the opening 114 formed by the cooperative action of the cutout 92 and the cutout 101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87. It will be located there. That is, when the lower half portion 88 and the upper half portion 89 are integrally coupled as described above, the cutout portion 101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wall 100 of the upper half portion 89 and the circumferential wall 91 of the lower half portion 88 are formed. Since the openings of the cutouts 92 are joined to each other, the openings 114 are formed at positions close to the rea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87. When the switch substrate 113 is hel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half 88 and the upper half 89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es 112a and 112b are position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nings 114 and 114.

115는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의 압압버튼이고, 이 압압버튼(115)의 내측에는 감합요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압압버튼(115)은 그 감합요부(116)내에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의 가동접점을 조작하는 가동자(117)로부터 일체로 돌출하여 형성된 조작축(118)이 감합됨에 따라서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에 일체적으로 장착된다. 그리하여, 스위치기판(113)은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에 압압 버튼(115)이 장착된 상태에서 하반부(88)와 상반부(89)에 의하여 보유된다.115 is a press button of the 2nd trigger switch 112a, 112b, The fitting recess 116 is formed in this press button 115 inside. Thus, the pressing button 115 is formed by fitting the operation shaft 118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mover 117 for operating the movable contacts of the second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in the fitting recess 116. It is integrally mounted to the two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Thus, the switch substrate 113 is held by the lower half 88 and the upper half 89 in a state where the push buttons 115 are mounted on the second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그리하여 손잡이부(87)는 상기한 지지체(75)의 두부(76)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우선 손잡이부(87)의 하반부(88)는 지지체(75)가 지지통(31)에 장착되기 전에 그 저판부(90)에 형성된 개구부(93)에 지지체(75)의 다리부(77)를 삽통시켜, 이 상태에서 지지체(75)가 상기한 것과 같이 하여 지지통(31)에 장착된다.Thus, the handle portion 87 is rotat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head 76 of the support body 75 described above. That is, first, the lower half 88 of the handle 87 is the leg 77 of the support 75 in the opening 93 formed in the bottom plate 90 before the support 75 is mounted on the support cylinder 31. In this state, the support body 75 is attached to the support cylinder 31 as mentioned above.

그래서 지지체(75)의 보스부(80)에 코일 스프링(119)의 하단부가 밀착상태로 외부에 끼여서 이 상태에서 하반부(88)에 대하여 상반부(89)가 상기한 것과 같이하여 나사(111)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가 지지체(75)의 선단부에 이 지지체(75)의 축방향과 약간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지지체(75)로부터 빠짐방지와 지지체(75)의 축둘레 방향으로의 회전방지가 행하여진다. 즉, 하반부(88)의 개구부(93)의 개구모서리에 형성된 구면(94')이 지지체(75)의 두부(76)의 구면형으로 형성된 외부면과 미끄럼접촉하고,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는 지지체(75)로부터의 빠짐방지가 행하여진다. 또, 상반부(89)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107) 및 가이드돌기부(108)간에 지지체(75)의 두부(76)에 돌출설치된 계합돌기(83)가 스라이드 가능하게 계합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의 지지체(75)의 축둘레 방향에의 회전 방지가 행하여진다.Thus,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coil spring 119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ss portion 80 of the support member 75 so that the upper half portion 89 is attached to the screw 111 with respect to the lower half portion 88 in this state. By integrally coupled. As a result, the handle portion 87 is rotatably support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support body 75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75, and at the same time prevents the release from the support body 75 and the shaft circumference of the support body 75. The rotation in the direction is prevented. That is, the spherical surface 94 'formed in the opening corner of the opening 93 of the lower half 88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formed in the spherical shape of the head 76 of the support 75, thereby the handle portion 87 The fall prevention from the support body 75 is performed. In addition, since the engaging projection 83 protruding on the head 76 of the support 75 between the guide projection 107 and the guide projection 108 formed on the upper half 89 is slidably engaged, the handle portion 87 Rotation of the support body 75 in the axial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performed.

그리고 코일스프링(119)은 압축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가 상반부(89)의 연결축(102)이 돌출설치된 위치의 주위에 형성된 환상돌조(120)의 내측에 감합된다. 따라서 손잡이부(87)는 코일스프링(119)의 탄발력에 의하여 항항 상방을 향해 떠오르는 것같이 탄발 부세되기 때문에 하반부(88)의 환상돌조(94)의 상단 내면에 형성된 구면(94')이 지지체(75)의 두부(76)의 구면상의 외주면에 탄발적으로 접촉되게 된다. 또, 상반부(89)로부터 돌출설치된 연결축(102)은 그 선단으로부터 중간부까지의 부분이 지지체(75)의 보스부(80) 내부에 삽통되어 돌조(104)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하단부가 지지체(75)의 보스보(80) 요부 구면형의 개구모서리(81)와 좀 떨어져 위치된다. 따라서 손잡이부(87)는 이것이 아래쪽으로의 압압에 의하여 연결축(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조(104)의 원호형으로된 하단부가 지지체(75)의 보스부(80)의 요부 구면형으로 형성된 개구모서리(81)에 당접하게 된다.The coil spring 119 is fitted into the annular protrusion 120 forme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upper half portion 89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shaft 102 in the compressed state. Therefore, since the handle portion 87 is elastically urged as it floats upward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coil spring 119, the spherical surface 94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annular protrusion 94 of the lower half 88 is supported. The spheric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ead 76 of 75 is elastically contacted. In addition, the connecting shaft 102 protruding from the upper half portion 89 has a lower end portion formed in an arc shape of the protrusion 104 by inserting a portion from the front end to the middle portion into the boss portion 80 of the support 75. The boss bo 80 of the 75 is positioned slightly away from the spherical spherical opening edge 81. Accordingly, the handle portion 87 is formed in the spherical shape of the recessed portion of the boss portion 80 of the support body 75 of the lower end of the circular arc of the protrusion 10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shaft 102 by pressing downward The opening edge 81 abuts.

이에 의하여 손잡이부(87)는 연결축(102)의 돌조(104)의 하단부가 보스부(80)의 상단의 개구모서리(81)와 당접된 위치를 회동지점으로 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어느쪽으로도 회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As a result, the handle portion 87 has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rotrusion 104 of the connecting shaft 102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edge 81 at the upper end of the boss portion 80 as a pivot point. You can also turn to the side.

그리고 상기한 것과 같이 손잡이부(87)가 지지체(75)의 선단에 장착되면 상기한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의 상단부는 손잡이부(87)의 연결축(102)의 구멍(103)에 감합되고, 이에 의하여 연결축(102)의 기울기 동작이 스위치 조작자(57)에 전달된다. 즉, 예를들면, 손잡이부(87)가 후방을 향해 회동되면 연결축(102)의 선단은 전방으로 변위되기 때문에 이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자(57)는 전방으로 기울게 된다. 그리고 스위치 조작자(57)는 그 보스부(58)의 하면에 돌출설치된 돌기(59)의 선단면이 베이스(1)의 돌기부(12)의 중심부에 형성되 요부(15)와 당접되는 점. 혹은 이 보스부(58)의 하면이 코일 스프링(67)의 상단에 위하여 지지된 점을 회동 지점으로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스위치 조작자(57)가 전방으로 기울게 되면, 그 링(60)의 앞쪽 부분이 아래쪽으로 변위된다. 따라서 링(60)의 앞쪽 부분에 돌출 설치된 압압돌기(62a)가 제 1 트리거 스위치(45a)의 압압자(47)를 눌러 압력을 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이 제 1 트리거 스위치(45a)가 온된다(제 12 도에 실선으로 명시하는 상태), 그리고 상기한 것과 똑같이 하여 손잡이부(87)가 앞쪽을 향해 회동되면 스위치 조작자(57)는 뒤쪽으로 경동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스위치 조작자(57)의 압압돌기(62b)가 제 1 트리거 서위치(45b)의 압압자(47)를 압압하고 이에 따라서, 이 트리거 스위치(45b)가 온된다(제 12 도에 2점 쇄선으로 명시하는 상태). 다시, 똑같이 하여, 손잡이부(87)가 좌쪽을 향해 회동되면, 제 1 트리거 스위치(45c)가 온되고, 또, 손잡이부(87)가 우측을 향해 회동되면 제 1 트리거 스위치(45d)가 온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andle part 87 is mounted at the front end of the supporter 75, the upper end of the pin 64 of the switch operator 57 has a hole 103 in the connecting shaft 102 of the handle part 87. ), And the tilting operation of the connecting shaft 102 is transmitted to the switch operator 57. That is, for example, when the handle portion 87 is rotated to the rear,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02 is displaced forward, whereby the switch operator 57 is inclined forward. And the switch operator (57) is that the tip surface of the projection (59)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oss portion 58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projection portion 12 of the base (1) to abut the recessed portion (15). Alternatively, when the switch operator 57 is inclined forward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lower surface of the boss portion 58 supports the point supported for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67, the front part of the ring 60 This is displaced downwards. Accordingly, since the pressing projection 62a protruding from the front portion of the ring 60 presses the pressing member 47 of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is turned on accordingly. (The state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12), and when the handle portion 87 is rotated forwar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he switch operator 57 is tilted backwards, and accordingly, the pressing projection of the switch operator 57 62b presses the indenter 47 of the first trigger position 45b, and accordingly, this trigger switch 45b is turned on (state indicated by a dashed-dotted line in FIG. 12). Again, in the same manner, when the knob 87 is turned to the left, the first trigger switch 45c is turned on, and when the knob 87 is turned to the right, the first trigger switch 45d is turned on. do.

그리고 손잡이부(87)를 초기 중립의 상태(제 6도 및 제 7 도에 명시하는 상태)로 복귀시키면 연결축(102)은 지지체(75)의 축 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스위치 조작자(57)은 초기의 상태로 돌아오고 이에 따라 스위치 조작자(57)의 압압돌기(62a, 62b, 62c, 62d)의 어느 것이라 하여도 어느 것의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온하지 않은 상태로 된다.And when returning the handle part 87 to the state of initial neutrality (state shown to FIG. 6 and FIG. 7), since the connecting shaft 102 will be extend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75, switch operator 57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and accordingly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of any of the pushing projections 62a, 62b, 62c, 62d of the switch operator 57 is thereby returned. It is not turned on.

또한, 스위치 조작자(57)는 손잡이부(87)를 잡고 있던 손을 놓기만 하여도 초기의 중립 상태로 자동적으로 복귀된다. 즉, 손잡이부(87)는 코일 스프링(119)의 탄발력에 의하여 항상 위로 떠올라가려고 하겠금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방향인가로 회동된 상태로서 손잡이부(87)로부터 손을 놓아주면 손잡이부(87)는 코일스프링(119)의 탄발력을 가장 안정된 상태로 받을수가 있는 자세, 즉, 상반부(89)의 천판부(99)가 코일스프링(119)의 축방향과 직교 하게금 위치하는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한다.In addition, the switch operator 57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itial neutral state only by releasing the hand holding the handle 87. That is, since the handle 87 is always urged to rise up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19, the handle portion 87 is released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handle portion 87 in a rotational direction. 87 is a posture in which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119 can be received in the most stable state, that is, the top plate portion 99 of the upper half 89 is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il spring 119. I want to go back.

따라서 손잡이부(87)는 이것을 잡고 있던 손을 놓으면 자동적으로 초기의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연결축(102)의 선단부는 지지체(75)의 축심위치로 복귀되고, 이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자(57)의 핀(64)의 상단부로 지지체(75)의 축심위치로 복귀되고 이것으로 스위치 조작자(57)는 초기의 중립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Accordingly, the handle portion 87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when the hand that is holding this is released. Thus,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shaft 102 is returned to the axial center position of the support 75, thereby returning to the upper end of the pin 64 of the switch operator 57 to the axial center position of the support 75, thereby switching the operator. Reference numeral 57 returns to the initial neutral state.

그리고, 121은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 및 제 3 트리거 스위치(46)와 신호처리 장치의 신호 입력 회로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코드이고 (122)는 이 코드(121)의 선단에 설치된 커넥터이고 이 커넥터(122)가 도시하지 않은 신호처리 장치에 접속된다.121 is a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the second trigger switch 112a, 112b, and the third trigger switch 46 and the signal input circuit of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The cord 122 is a connector provided at the tip of the cord 121, and the connector 122 is connected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not shown).

그리하여 이와같이 구성된 신호 입력차이는 예를 들면 이것을 사용하여 텔레비젼 게임 및 그래픽 액션을 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하여 사용된다. 또한 이 신호 입력장치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는 미리 상기한 각 트리거 스위치의 어느 것이 온되었을 때에는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지는 가를 정의해두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조작자는 그 잘쓰는 팔에 따라 절환스위치(48)의 회로를 절환해둔다. 즉, 손잡이부(87)의 좌우 양측부에 배치된 제 2 의 트리거 스위치(112a, 112b)는 절환스위치(48)를 절환함에 따라서 어느 것인가 일방의 스위치를 선택할 수가 있다. 이를테면 조작자의 잘 쓰는 팔이 오른팔인 경우에는 절환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를 좌로 스라이드하면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중의 손잡이부(87)의 좌측에 배치된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가 선택된다. 따라서 조작자는 손잡이부(87)를 우측손으로 잡고 이 상태에서 우측손의 엄지손가락이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에 설치된 압압 버튼(115)를 조작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절환스위치(48)의 조작 손잡이(51)를 좌측으로 스라이드하면 베이스(1)의 상반부(3)에 형성된 좌측의 표시구멍(40a)에 상기한 표시요소(56a)가 표시되고 이에 의하여 제 2 트리거 스위치(112a, 112b)중 좌측 트리거 스위치(112a)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 임이 표시된다.Thus, the signal input difference configured in this way is used as follows, for example, when playing a TV game and graphic action using this. In addition, in a program executed in accordance with a signal input by the signal input device, it is necessary to define in advance which processing is performed when any of the above-described trigger switches is turned on. And the operator switches the circuit of the switching switch 48 according to the well-used arm. That is, the second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both sides of the handle 87 can select either one of the switches by switching the switching switch 48.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s well-used arm is the right arm, the second trigger switch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andle part 87 of the second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when the operation knob 51 of the changeover switch 48 is left. 112a is selected. Therefore, the operator can hold the handle 87 with the right hand and in this state, the thumb of the right hand can operate the pressing button 115 provided in the second trigger switch 112a. Then, when the operation knob 51 of the changeover switch 48 slides to the left side, the display element 56a is displayed in the display hole 40a on the left side formed in the upper half 3 of the base 1, whereby the second display element 56a is displayed. It is displayed that the left trigger switch 112a is selected from the trigger switches 112a and 112b.

거기서 조작자는 우측손으로서 손잡이부(87)를 잡는다. 이 손잡이부(87)의 잡는 방법은 특히 특정되는 일은 없지만 보다 빠르게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87)의 좌측에 대고 또 다른 손가락을 손잡이부(87)의 후면에 닿게하여 잡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part 87 with a right hand. The grip method of the handle 87 is not particularly specified, but in order to be able to operate it more quickly, it is preferable to hold another finger against the rear side of the handle 87 in order to hold it to the left side of the handle 87. Do.

이리하여 조작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손잡이(87)를 전후 또는 좌우의 어느 것인가의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주면 화상은 조작자가 손잡이부(87)를 회동하는 방향에 따른 방향성을 가지고 처리된다. 또, 조작자는 엄지 손가락에 의하여 압압버튼(115)를 눌러주면 그것에 의하면 화상에 대한 다른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더욱이 좌측손(우측을 잘 쓰는 경우)으로서의 스위치 레버(68)의 압압부(70)를 눌러주면 그것에 의하여 화상에 대한 또 다른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In this way, the operator rotates the knob 87 in a desired direction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while looking 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device, and the image has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or rotates the knob 87. Is processed.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presses the pressing button 115 with a thumb, the operator can perform other processing on the image accordingly. Further, if the pressing portion 70 of the switch lever 68 is pressed as the left hand (when the right side is used well), further processing on the image can be performed thereby.

이상 기재된 바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신호입력 장치는, 신호처리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구비한 베이스와 이 베이스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지통 및 지지체와, 이 지지통 및 지지체의 선단에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손잡이부와, 일단이 이 손잡이부와 관계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와 관계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 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에 상기 복수의 스위치중의 소정의 것이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sig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a signal processing device, a support cylinder and a support protruding from the base, the support cylinder and A handle portion rotatably supported at the tip of the support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upport cylinder and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one end associated with the handle portion, the other end associated with the switch, and the handle portion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redetermined one of the plurality of switches is constituted by a switch operator operated.

따라서 본 고안의 신호 입력 장치에 의하면 조작자에 의하면 조작되는 부재는 지지통 및 지지체의 선단에 배치된 손잡이부 뿐이고, 더구나, 이 손잡이부의 회동지점은 통행 지지부의 선단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조작에 피로를 수반하는 일이 없다. 즉, 조작자가 손잡이부를 잡았을때의 손잡이부의 회동지점은 조작자의 손바닥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조작자는 손목을 소정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만으로 손잡이부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자의 동작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족하기 때문에 그 조작이 빠르고 또한 조작감이 좋으며 더욱이 조작이 수반하는 피로를 최소한도로 줄일 수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sig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operator, the member to be manipulated is only a handle portion disposed at the tip of the support cylinder and the support, and furthermore, since the pivot point of the handle is located at the tip of the passage support, The speed is excellent and operation is not accompanied by fatigue. That is, since the rotation point of the handle portion when the operator holds the handle portion is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palm of the operator, the operator can rotate the handle portion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only by moving the wrist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is satisfied with the minimum movement, the operation is quick and the operation feeling is good, and the fatigue accompanying the operation can be reduced to the minimum.

또, 손잡이부를 회동조작하기 위하여 손잡이부에 가해진 조작자의 힘은 대략 통해 지지부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향해 가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조작함에 따라서 신호 입력 장치 전체가 움직이게 되어버리는 걱정은 없다.In addition, since the force of the operator applied to the handle portion to rotate the handle portion is applied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there is no worry that the entire signal input device moves as the handle portion is operated.

따라서, 이 종류의 장치를 한손으로 조작할 수가 있고 신호 입력 장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손잡이부를 조작하지 않은 쪽의 손에 의하여 장치를 누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 점으로부터도 조작은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Therefore, this type of device can be operated with one hand, and even when the signal input device is not fixed, it is not necessary to press the device by the hand without the handle part, so the operation can be simplified from this point. have.

그리하여 본 고안의 신호 입력 장치의 손잡이부는 이것이 지지되는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조작자에 의하여 가해지는 힘은 이 지지통 및 지지체의 축방향과 대략 평행으로 가해지기 때문에 손잡이부를 조작하는 감각이 삼차원적인 움직임으로서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그래픽 화상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에 있어서, 삼차원 방향으로 이동처리 되는 그래릭 액션등을 행하고저 할 때 화면에 표시된 화상이 삼차원적인 움직임을 보면서 그 움직임과 일체감을 얻으면서 손잡이부를 조작할 수가 있다. 따라서 조작감각이 향상됨과 동시에 입력하여야할 신호의 선택을 잘못하는 걱정이 없다.Thus, the handle portion of the signal inpu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and the support on which it is supported, while the force exerted by the operator is appli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of the support cylinder and the support. The sense of operating the handle can be obtained as a three-dimensional movement. Therefore, for example, when a graphic image is performed on a screen of a display device, and a graric action is performed in a three-dimensional directi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can be manipulated while gaining a sense of unity with the movement while view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There is a number. Therefore, the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and there is no worry of incorrectly selecting a signal to be input.

이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신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조작부재를 한손으로 더욱이 손목 동작만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여 조작 감각 및 조작속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조작에 수반되는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신호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ember can be manipulated in any direction with only one hand to input a signal, so that the operation feeling and speed can be excellent and the fatigue associated with the operation can be reduced. A new signal input device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부에 설치해야 할 스위치를 손잡이부의 좌우양측에 배치하여 조작자의 잘 쓰는 팔에 맞춰 좌우 어느 것인가의 스위치를 조작할 수가 있게금 하였지만 이와같이 함에 따라서 우측손사용의 조작자이거나 좌측 손을 쓰는 조작자라도 그 잘쓰는 손에 의하여 조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보다 일층 향상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witch to be installed on the handle portion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handle portion so as to be able to operate either the left or right switch according to the operator's well-used arm. Even the operator who uses the left hand can operate by the well-used hand, and thus the ope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손잡이부와 스위치 조작자를 서로의 동작이 관련되겠금 관계시키는 수단으로서 스위치 조작자의 상단부를 손잡이부의 통형부에 감합하는 수단을 사용했지만 이것은 손잡이부의 중심부와 스위치 조작자의 상단부를 구형 조인트형의 연결부재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하여도 좋다.Furthermore, in the above embodiment, a means of fitting the upper end of the switch operator to the tubular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as a means for associat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switch operator with each other is related. The joint member may be rotatably connected.

Claims (1)

Translated fromKorean
신호처리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를 구비한 베이스(1)와, 이 베이스로부터 돌출설치된 지지통(31) 및 지지체(75)와, 이 지지통(31) 및 지지체(75)의 선단에 지지통(31) 및 지지체(75)의 측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손잡이부(87)와, 일단 이 손잡이부(87)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와 결합되며 또한 상기 손잡이부(87)를 소정 방향으로 회동하였을 때 상기 제 1 트리거 스위치(45a, 45b, 45c, 45d)중의 소정의 것이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자(5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입력 장치.A base (1) having first trigger switches (45a, 45b, 45c, 45d) for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to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 support cylinder (31) and a support (75) protruding from the base; A handle portion 87 supported at a distal end of the support cylinder 31 and the support body 75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lateral directions of the support cylinder 31 and the support body 75;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when the other end is engaged with the first trigger switch 45a, 45b, 45c, 45d and the knob portion 87 is rotat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switch operator (57) for operating any one of 45d).
KR2019840001501U1983-09-031984-02-24 Signal input deviceExpiredKR900008691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JP58-1528481983-09-03
JP1983152848UJPS6059910U (en)1983-09-301983-09-30 signal inpu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850002852U KR850002852U (en)1985-05-30
KR900008691Y1true KR900008691Y1 (en)1990-09-22

Family

ID=3033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2019840001501UExpiredKR900008691Y1 (en)1983-09-031984-02-24 Signal inpu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JP (1)JPS6059910U (en)
KR (1)KR90000869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01090877A1 (en)*2000-05-242001-11-29Youngventure Community Co., Ltd.Positio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ing variation of duty ratio of an accelerome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3621040B2 (en)*2000-10-312005-02-16Ykk株式会社 Reverse opening and closing insert for slide fastener
JP5021602B2 (en)*2008-10-312012-09-12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Operation position detection device and shift operation position detection device
JP5135554B2 (en)*2009-09-142013-02-06株式会社デンソー Operating device
JP6146779B2 (en)*2014-07-282017-06-14オムロンオートモーティブ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Power window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S5221647B2 (en)*1972-05-151977-06-11
JPS5366600U (en)*1976-11-051978-06-05
JPS5458314A (en)*1977-10-191979-05-11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Joy sti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01090877A1 (en)*2000-05-242001-11-29Youngventure Community Co., Ltd.Position information inputting device using variation of duty ratio of an acceler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850002852U (en)1985-05-30
JPS6059910U (en)1985-04-25
JPH039060Y2 (en)199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0569804B1 (en)Coordinate input device convertible between right-handed and left-handed modes
US6166721A (en)Mouse as computer input device having additional mechanism for controlling additional function such as scrolling
JP4276494B2 (en) Input device
US6394906B1 (en)Actuating device for game machine
US6362810B1 (en)Tiltable joystick pointing device
US4613853A (en)X-Y Input device
KR970004304B1 (en) Joystick with spring disconnect
CN104380415B (en)For controlling the multiposition switches assembly of vehicle displays
US5260696A (en)Multiple signaling mouse with faceted surfaces
WO1998016285A1 (en)Operating device for game machines
US20020052237A1 (en)Operating device with pendulum joystick
US5491497A (en)Multi-way input device
US10350490B2 (en)Games controller
KR900008691Y1 (en) Signal input device
JP2010522388A (en) Operating device
KR19990009118U (en) Mouse device
US4816622A (en)Joystick assemblies
JP2021176379A (en)Joystick controller and game appliance comprising joystick controller
US6429847B1 (en)Translatable cursor actuator control for a portable computer
JP2003256076A (en)Information processor
JP2000325658A (en)Controller to be used for game machine, etc.
JPH0975544A (en) Controller for game consoles
JP407916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N120215723B (en)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s, control handles, and control devices
JPH0757592A (en)Composite operation switch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UA0108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UA0108

U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UG1501

A201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UA02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UE0902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UG1604Publicatio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2-2-Q10-Q13-nap-UG1604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UE0701

REGI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UR0701

U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U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U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FPAY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19940831

Year of fee payment:5

U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U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LAPS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3-oth-UC1903

Not in force date:199509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UC1903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N-4-6-H10-H13-oth-U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19950923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U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UN2301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4-4-P10-P22-nap-X000

U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3-asn-UN2301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1-asn-UN23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