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실시간 생체신호 측정을 통해 라이프로그(Lifelog)를 획득하도록 하는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that acquires a lifelog by measuring real-time bio-signals using a wearable device.
일반적으로 정신적 스트레스는 혈중 스트레스 호르몬을 증가시키거나, 교감신경을 항진시킴으로써 다양한 증상 과 결과를 초래하고, 스트레스 및 불안, 우울, 적대감 등 스트레스와 관련된 감정상태는 체내의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데, 특히 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을 분비시켜서 만성질환을 악화시킬 뿐 아니라, 심장질환의 발병률도 증가시킬 있다. 즉, 정신적 스트레스는 당뇨병을 비롯한 고혈압,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우울증과 같은 다양한 만성질환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In general, mental stress increases stress hormones in the blood or stimulates the sympathetic nerves, causing various symptoms and results. Emotional states related to stress, such as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hostility, affect hormones in the body, and in particular, by secreting hormones such as adrenaline, not only can chronic diseases worsen, but also increase the incidence of heart disease. In other words, mental stress is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various chronic disease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hyperlipidemia,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pression.
피검자로부터 획득된 심전도, 근전도, 맥박, 피부온도, 피부전기저항, 호흡수 등 다양한 생체정보는 피검자의 정신적 스트레스와 건강상태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파라미터로 활용되고 있다.Various biometric data obtained from the subject, such as electrocardiogram, electromyogram, pulse, skin temperature, skin electrical resistance, and respiratory rate, are used as important parameters for analyzing the subject's mental stress and health status.
여기서, 심전도는 심장에서 흥분도가 발생되고 소실될 때 생기는 전위의 변화를 체표면에서 기록하는 것으로 PQRS-T와 같은 고유의 파형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ECG 또는 EKG이라고 한다.Here, the electrocardiogram records the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hat occur when excitement is generated and lost in the heart on the body surface, and has unique waveform information such as PQRS-T, and is called ECG or EKG.
또한, 맥파는 광용적맥파측정법(photoplethysmograph, PPG)를 이용하여 획득되며, 생체조직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혈관에 흐르는 혈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심박활동 상태를 추정하는 신호로 사용된다.Additionally, pulse waves are obtained using photoplethysmography (PPG), and are used as signals to estimate heart rate activity by measuring the amount of blood flowing through blood vessels using the optical properties of biological tissue.
이와 같이, 획득된 심전도 또는 맥파로부터 심박동과 박동 사이의 간격(RRI: R-R intervals)를 추출하고, 상기 RRI로부터 심박변이도(HRV : Heart Rate Variability)을 산출하게 된다.In this way, the intervals between heartbeats (RRI: R-R intervals) are extracted from the acquired electrocardiogram or pulse,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Heart Rate Variability) is calculated from the RRI.
상기 HRV는 건강유지와 질병 예방에 필요한 생체신호 정보 분석기술로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특히 상기 심박수변화량을 분석하여 신체의 자율신경계(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파라미터로 피검자의 정신적 스트레스를 정량화하게 된다.The above HRV is being actively studied as a bio-signal information analysis technology necessary for maintaining health and preventing disease, and in particular, by analyzing the above heart rate variability, the degree of activity of the body's autonomic nervous system (sympathetic nerves and parasympathetic nerves) can be determined, and this can be used as a parameter to quantify the subject's mental stress.
최근 심전도측정장치는 병원 등의 심전도 검사실에 비치되어 피검자가 침대에 누운상태에서 측정하는 고정식이 있으며, 소형화하여 환자가 휴대가 간편하도록 하여, 언제 어디서나 심전도를 측정할 수 있는 휴대용으로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이 있으며, 가슴에 파스형태로 부착하여 원격으로 측정된 심전도신호를 휴대폰 또는 컴퓨터로 무선신호로 전송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형이 있다.Recently,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s are installed in electrocardiogram examination rooms such as hospitals, and are fixed types that measure electrocardiograms while the subject is lying in bed; portable types that are made small and easy for patients to carry around, so that electrocardiograms can be measured anywhere at any time; and attachable types that are attached to the chest in the form of a patch and transmit electrocardiogram signals measured remotely as wireless signals to a mobile phone or comput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심전도측정을 이용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국내 등록특허 10-1410989 호에 개시되어 있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stress monitoring device us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ich i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10989.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10)는 전극(11)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극(11)은 사용자의 인체에 부착된다. 또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10)는 휴대가 용이한 사이즈로 제작되며, 전극(11)을 통해 수집된 심전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하여 심박동 변이(HRV) 신호를 분석하고, 스트레스 지수를 계산하여 스트레스 지수를 디스플레이 창을 통하여 출력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the stress monitoring device (10)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ctrode (11), and the electrode (11) is attached to the user's body. In addition, the stress monitoring device (10) is manufactured in a size that is easy to carry, records electrocardiogram data collected through the electrode (11) in real time, analyzes a heart rate variability (HRV) signal, calculates a stress index, and outputs the stress index through a display window.
상기 스트레스 지수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 즉 휴대폰으로 전송되고, 휴대폰은 수신한 스트레스 지수를 다시 무선으로 병원 내에 구축된 서버로 전송한다.The above stress index is transmitted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20), i.e., a mobile phone, and the mobile phone wirelessly transmits the received stress index back to a server built within the hospital.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심전도 측정을 이용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기존의 스트레스 분석방법을 응용한 고유의 스트레스 지수를 추출함으로써 좀더 정확하게 스트레스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기존에는 어려웠던 스트레스를 객관적으로 실시간 측정하고 이를 병원 진료시스템과 공유함으로써 스트레스와 관련된 다양한 질환, 예를 들면 당뇨병, 심근경색, 소화기능장애, 우울증 등에 응용하여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이로 인한 질병악화를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tres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in this way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quantify the level of stress more accurately by extracting a unique stress index by applying the existing stress analysis method, and also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level of stress and preventing the worsening of the disease caused by it by objectively measuring stress in real time, which was difficult in the past, and sharing this with the hospital treatment system by applying it to various diseases related to stress, such as diabetes, myocardial infarction, digestive dysfunction, depression, etc.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무구속 무자각 상태의 심전도 획득을 위하여 피검자의 신체에 부착하여 측정할 때, 휴대폰과의 통신 등에 소요되는 전력소비로 인해 발생된 구동전원의 한계로 인하여 단시간의 심전도만을 획득할 수 있을 뿐, 일주일 이상의 장시간 지속 심전도는 획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measuring by attaching the device to the subject's body to obtain an electrocardiogram in a non-restrained, unconscious state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was a problem in that only a short-term electrocardiogram could be obtain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riving power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phone, etc., and a long-term continuous electrocardiogram for more than a week could not be obtained.
또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10)와 전극(11)을 연결하기 위한 전선들로 인해 이를 착용하고 일상생활을 하기에는 매우 불편함이 있어, 피검자의 일상생활에서의 심전도를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피검자가 신체일부에 부착 또는 착용하여 측정할 경우 피검자가 움직임 또는 자세변화로 인한 발생된 스트레스 신호와 순수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분별하지 못해 정신적 스트레스만을 산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because of the wires for connecting the stress monito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de (11), it is very inconvenient to wear it and go about daily life, so there is a limit to measuring the electrocardiogram in the subject's daily life. In addition, when the subject attaches or wears it to a part of the body and measures it,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only the mental stress because the subject cannot distinguish between the stress signal generated by movement or change in posture and pure mental stress.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간 생체신호 측정을 통해 라이프로그(Lifelog)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고,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의 모듈화 기술을 적용한 생체신호 획득용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 가능한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applicable to a wearable device for obtaining a lifelog through real-time bio-signal measurement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pplicable to a wearable device for obtaining bio-signals by applying modularization technology of a sensor for detecting bio-signals.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는 피검자로부터 획득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모듈을 이용하여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은 피검자로부터 획득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MCU; 상기 피검자의 움직임(IMU), 체온(Temp)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상기 MCU로 출력하는 생체신호 측정센서; 상기 피검자의 심전도신호(ECG)를 획득하여 상기 MCU로 출력하는 ECG센서; 상기 MCU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 및 ECG센서로부터 입력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uses a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that transmits a bio-signal acquired from a subject to an external device in real time, wherein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includes an MCU that receives and stores a bio-signal acquired from a subject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external device; a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that acquires the subject's movement (IMU) and body temperature (Temp) in real time and outputs them to the MCU; an ECG sensor that acquires the subject's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and outputs it to the MCU; and a flash memory that stores the bio-signals input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and the ECG sensor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and transmits them to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MCU는 무선통신으로 연동된 외부기기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시작, 종료, 전원 또는 설정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생체신호 획득모듈의 상태정보 및 획득된 생체신호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MCU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bio-signal measurement start, end, power or setting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link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f the bio-signal acquisition module and acquired bio-signals to the peripheral device.
상기 외부기기는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폰등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기기는 무선통신으로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피검자의 스트레스 또는 건강상태를 판단하거나, 개인용컴퓨터(PC)를 포함하여 유선통신으로 수신된 생체신호를 분석하여 피검자의 스트레스 또는 건강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external device includes a smartwatch or a smartphone, and the external device is characterized by analyzing a bio-signal received via wireless communication to determine the stress or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or analyzing a bio-signal received via wired communication including a personal computer (PC) to determine the stress or health condition of the subject.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는 실시간 생체신호 측정을 통해 라이프로그를 획득할 수 있도록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하고,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의 모듈화 기술을 적용한 생체신호 획득용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므로, 스마트워치, 스마트 폰 등 모바일 스마트기기뿐만 아니라, PC와도 연동하여 피검자의 스트레스 또는 건강상태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to acquire a life log through real-time bio-signal measurement, and since it is applied to a wearable device for acquiring bio-signals to which a modularization technology of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is applied, it has the effect of enabling real-time confirmation of a subject's stress or health condition by linking with not only mobile smart devices such as smart watches and smart phones, but also a PC.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심전도측정을 이용한 스트레스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스마트기기에서 생체신호를 분석한 결과에 대한 다양한 라이프 로그 데이터를 표시한 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a stress monitoring device us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life log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biosignals in the smart device of Figure 2.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Th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re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take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exemplifi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ure form,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스마트 건강케어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어, 피검자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외부기기는 스마트워치 또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기기(100) 및 개인용컴퓨터(PC)(120)과, 상기 스마트기기(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고, 피검자의 생체신호를 획득하여 상기 스마트기기(100) 또는 PC(120)으로 전송하는 생체신호 측정모듈(110)로 구성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is configured with a smart health care application installed thereon, an external device for monitoring the health status of a subject, and a smart device (100) including a smartwatch or a smartphone and a personal computer (PC) (120), and a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that is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smart device (100) and acquires a bio-signal of the subject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device (100) or the PC (120).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은 피검자로부터 획득된 생체신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이를 상기 주변기기로 전송하는 MCU(111)와, 상기 피검자의 움직임(IMU) 및 체온(Temp)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상기 MCU(111)로 출력하는 생체신호센서(112)와, 상기 피검자의 심전도신호(ECG)를 획득하여 상기 MCU(111)로 출력하는 ECG센서(113)와, 상기 MCU(111)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측정센서(112) 및 ECG센서(113)로부터 입력된 생체신호를 저장하고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플래시메모리(114)로 구성된다.The abov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is composed of an MCU (111) that receives and stores bio-signals acquired from a subject and transmits them to the peripheral device, a bio-signal sensor (112) that acquires the subject's movement (IMU) and body temperature (Temp) in real time and outputs them to the MCU (111), an ECG sensor (113) that acquires the subject's electrocardiogram signal (ECG) and outputs them to the MCU (111), and a flash memory (114) that stores bio-signals input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sensor (112) and the ECG sensor (113) under the control of the MCU (111) and transmits them to the external device.
여기서, 상기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센서로 x,y,z 3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가속도센서(Accelerometer)와, 3축 각속도 측정을 위한 자이로센서(Gyroscope)를 포함한다.Here, the IMU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 includes an accelerometer capable of measuring acceleration in the x, y, and z three-axis directions, and a gyroscope for measuring three-axis angular velocity.
또한, 상기 생세신호 측정센서는 상기 센서들에 한정하지 않고, PPG센서 또는 비침습적 당뇨측정센서 등의 센서들을 추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sensor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sensors, and sensors such as a PPG sensor or a non-invasive diabetes measuring sensor can be added.
이와 같이 구성된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의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of the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configured in this manner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1 to 3 as follows.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과 무선 원격으로 통신하며,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의 측정시작/종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측정모드 또는 대기모드 등을 제어하고,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로부터 측정된 생체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스마트기기(100)에 내장된 건강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상기 생체신호 분석결과 피검자의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활동량, 수면정보, 체질량(BMI), 체성분(BIA), 수분손실량(Sweat Loss), 산소포화도(SpO2), 근육량, 지방량 또는 스트레스 등 라이프로그를 생성한다.Referring to FIG. 2, the smart device (100)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controls not only the start/end of measurement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but also various measurement modes or standby modes, and receives the bio-signals measured from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and analyzes them using a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 built into the smart device (100). As a result of the bio-signal analysis, a life log is created, including not only the subject's health status, but also the amount of activity, sleep information, body mass index (BMI), body composition (BIA), water loss (Sweat Loss), oxygen saturation (SpO2), muscle mass, fat mass, or stress.
이를 위하여 먼저, 스마트기기(100)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을 원격제어에 의해 생체신호 측정모드를 시작한다.To this end, first, the smart device (100) starts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e by remote control of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드가 시작됨에 따라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은 상기 MCU(111)에서 상기 IMU 및 체온센서(112)로부터 측정된 3축 자이로 센서값 및 가속도 센서값과 피검자의 피부 온도값을 입력받고, 상기 ECG센서(113)으로부터 측정된 ECG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스마트기기(100)로 전송한다.As the above bio-signal measurement mode starts,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receives the 3-axis gyro sensor values and acceleration sensor values measured from the IMU and body temperature sensor (112) in the MCU (111) and the subject's skin temperature value, and receives the ECG signal measured from the ECG sensor (113) and transmits it to the smart device (100).
이와 동시에 상기 MCU(111)의 IMU 및 체온센서(112)로부터 측정된 3축 자이로 센서값 및 3축 가속도 센서값과 피검자의 피부온도 측정값과 상기 ECG센서(113)으로부터 측정된 ECG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114)에 저장한다.At the same time, the 3-axis gyro sensor values and 3-axis acceleration sensor values measured from the IMU and body temperature sensor (112) of the MCU (111), the subject's skin temperature measurement value, and the ECG data measured from the ECG sensor (113) are stored in the flash memory (114).
이때,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은 바람직하게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At this time, the smart device (100)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preferably transmit data via Bluetooth communication.
또한, 상기 ECG센서(113)를 통해 획득된 ECG신호는 상기 MCU(111)와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In addition, the ECG signal acquired through the ECG sensor (113) transmits data to the MCU (111) using a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communication method.
한편, 상기 스마트기기(100)와 생체신호 측정모듈(110)간의 통신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PC(120)로 데이터를 전송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플래시 메모리(114)에 저장된 상기 ECG 데이터, IMU데이터 및 체온 데이터를 상기 PC(120) 전송한다.Meanwhile, if an error occurs i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smart device (100) and th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or if there is a request to transmit data to the PC (120), the ECG data, IMU data, and body temperature data stored in the flash memory (114) are transmitted to the PC (120).
상기 PC(120)는 상기 생체신호 측정모듈(110)과 USB 포트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above PC (120) receives data through the above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0) and a USB port.
이상과 같은 과정으로 수신된 상기 스마트기기(100) 또는 PC(120)는 내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라이프로그를 생성한다.The smart device (100) or PC (120) that receives the information through the above process analyzes it through the built-in application and creates a life log.
도 3을 참조하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분석된 스트레스/피로도, 심박수, 심전도 및 연속혈압, 체중/체성분, 걸음수, 산소포화도, 피부온도에 대한 실시간 추적 관리한다.Referring to Figure 3, real-time tracking and management of stress/fatigue, heart rate, electrocardiogram, continuous blood pressure, weight/body composition, number of steps, oxygen saturation, and skin temperature analyzed through the application are provided.
여기서, 상기 분석결과 데이터는 일 실시예일 뿐 다수의 GSR, PPG, 비침습적 당뇨센서 등을 추가할 경우, 수면정보, 체질량(BMI), 수분손실량(Sweat Loss), 근육량, 지방량, 당뇨지수 또는 스트레스 등 라이프로그 생성이 가능하다.Here, the above analysis result data is only an example, and if multiple GSR, PPG, non-invasive diabetes sensors, etc. are added, it is possible to create a life log such as sleep information, body mass index (BMI), sweat loss, muscle mass, fat mass, diabetes index, or stress.
이와 같은 라이프로그를 추적 관리를 통해 필요할 경우 피검자에게 경보하고, 더 나아가 피검자의 상기 스마트기기(100)를 통해 분석된 상기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관리서버(도면에 미도시)로 전송하여 관리하고, 피검자의 건강상태가 위험상태로 판단될 경우 이를 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Through tracking and managing such life logs, if necessary, the subject is alerted, and further, the life log data analyzed through the subject's smart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a management server (not shown in the drawing) for management, and if the subject's health condition is determined to be at risk, measures can be take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건강 케어를 위한 실시간 생체신호 획득장치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real-time bio-signal acquisition device for smart health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it is of course possible for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atent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100 : 스마트기기110 : 생체신호 측정모듈
111 : MCU112 :IMU 및 체온센서
113 : ECG센서114 : 플래시 메모리
120 : PC100: Smart device 110: Bio-signal measurement module
111: MCU 112: IMU and body temperature sensor
113 : ECG sensor 114 : Flash memory
120 : PC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86691AKR20250096916A (en) | 2023-12-20 | 2023-12-20 | Bio Signal Detector Apparatus for Smart Health Car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30186691AKR20250096916A (en) | 2023-12-20 | 2023-12-20 | Bio Signal Detector Apparatus for Smart Health Car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50096916Atrue KR20250096916A (en) | 2025-06-3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86691APendingKR20250096916A (en) | 2023-12-20 | 2023-12-20 | Bio Signal Detector Apparatus for Smart Health Car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50096916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06534B1 (en) | 2008-07-17 | 2011-01-07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Stres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006534B1 (en) | 2008-07-17 | 2011-01-07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Stress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heol Jeong et al. | Wearable devices for precision medicine and health state monitoring | |
| US11763665B2 (en) | Non-invasive multifunctional telemetry apparatus and real-time system for monitoring clinical signals and health parameters | |
| US11918386B2 (en) | Device-based maneuver and activity state-based physiologic status monitoring | |
| US11160459B2 (en) | Monitoring health status of people suffering from chronic diseases | |
| CN108697390B (en) | Sleep state measuring device, phase coherence calculating device, and pressure state measuring device | |
| US9026202B2 (en) | Cardiac performance monitoring system for use with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 |
| CN102281816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critical care parameters | |
| US11699524B2 (en) | System for continuous detection and monitoring of symptoms of Parkinson's disease | |
| US20050131288A1 (en) | Flexible, patient-worn, integrated, self-contained sensor systems for the acquisition and monitoring of physiologic data | |
| US2016000037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ssessment and prognosis of the risks of developing pathological states | |
| Lee et al. | Smart ECG monitoring patch with built-in R-peak detection for long-term HRV analysis | |
| US20150057512A1 (en) | Wearable heart failure monitor patch | |
| EP3593707B1 (en) | System for diagnosing sleep | |
| JPH11299740A (en) | Biological monitoring device | |
| CN114521126A (en) | Non-invasive, real-time, beat-to-beat,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 |
| WO2016185931A1 (en) | Biological-information measurement device | |
| KR20170142227A (en) | Method for Monitoring of Sleeping State using Bio Signals | |
| TWM618094U (en) | Sleep detection device, sleep detection data collection platform and sleep quality analyzation system | |
| Lubecke et al. | Wireless technologies in sleep monitoring | |
| KR20250096916A (en) | Bio Signal Detector Apparatus for Smart Health Care | |
| US11633152B2 (en) | Method of monitoring respiratory rate in a health monitoring device | |
| Rubi et al. | Wearable health monitoring systems using IoMT | |
| TW202241354A (en) | Sleep detection device, sleep detection data collection platform and sleep quality analyzation system | |
| Wasekar et al. | Health monitoring devices system and technology | |
| Gagnon-Turcotte et al. | Photoplethysmography-based derivation of physiological information using the biopoint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122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