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50092911A - 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 Google Patents

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92911A
KR20250092911AKR1020230183580AKR20230183580AKR20250092911AKR 20250092911 AKR20250092911 AKR 20250092911AKR 1020230183580 AKR1020230183580 AKR 1020230183580AKR 20230183580 AKR20230183580 AKR 20230183580AKR 20250092911 AKR20250092911 AKR 20250092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tion device
laparoscopic surgery
forceps
laparoscopic
tissue t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3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지훈
제갈준용
문형환
Original Assignee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filedCritical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183580ApriorityCriticalpatent/KR20250092911A/en
Priority to PCT/KR2024/019070prioritypatent/WO2025127524A1/en
Publication of KR2025009291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50092911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복강경 수술시 복강 내의 장기를 포함하는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이루는 4개의 메인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네 꼭지점부가 접히거나 펼칠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꼭지점부를 완전히 접고, 다른 한 쌍의 제2 꼭지점부를 완전히 펼치면 직선형상이 되어, 수술공에 설치한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로 투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Specifically, in a device for pulling tissue including organs in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four main frames forming a bar sh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diamond shape, and the four corners are structured to be able to fold or unfold, so that when a pair of first corners facing each other are completely folded and another pair of second corners are completely unfolded, it becomes a straight shape,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installed in a surgical instrumen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The tissue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본 발명은 복강경 수술에 사용되는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복강경 수술시 수술대상 및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복강 내부의 장기 또는 조직들을 리프팅하거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that can lift or adjust the position of organs or tissues inside the abdominal cavity to secure a surgical target and field of view during laparoscopic surgery.

담낭과 관련된 문제를 보유한 환자의 수는 국내외에 셀 수 없이 많다.The number of patients with gallbladder-related problems is countless both at home and abroad.

수술적 적응증에 해당하는 담낭염 및 담낭용종을 보유한 환자는 빠른 시일 내에 수술적 치료를 받게 되고 이중 상당수가 복강경으로 진행되는 담낭절제술이며 이는 대체로 3~4개의 수술공을 뚫어 진행이 된다.Patients with cholecystitis and gallbladder polyps that meet surgical indications will undergo surgical treatment as soon as possible, and many of these will underg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which is usually performed through three to four surgical incisions.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전통적인 개복 수술을 하지 않고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한 후 그곳을 통하여 복강을 카메라로 들여다보면서 하는 비침습 수술로, 절개 부위의 개수에 따라 크게 다중 복강경 수술과 단일공 복강경 수술로 구분할 수 있다. 다중 복강경 수술은 다중 투과침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배꼽 주변에 다수의 상처가 남는 단점에 불구하고, 수술의 용이성 때문에 많은 수술에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laparoscopic surgery is a non-invasive surgery that uses a camera to look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minimally invasive incision instead of a traditional open surge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incisions, 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multi-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and single-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Multi-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uses multiple penetrating needles, and despite the disadvantage of leaving multiple wounds around the navel, it is used in many surgeries because of its ease of operation.

허나 최근에는 미용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위해 환자의 병적 상태와 환자의 희망여부를 고려해 단일공 복강경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는 빈도가 늘고 있다.However, recently, the frequency of performing single-por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is increasing, taking into account the patient's pathological condition and wishes to achieve excellent cosmetic results.

단일공 복강경 수술은 예를 들어 배꼽 부위의 한 군데에 대략 3cm 내지 4cm 정도 절개하여 매우 작은 구멍, 즉 1개의 창상만을 내어, 이곳으로 모든 수술도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법으로, 다중 투과침을 사용하는 복강경 수술에 비해 훨씬 더 우월한 비침습성을 나타내며, 배꼽 주변의 상처가 거의 보이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Single-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is a method in which all surgical tools are inserted through a very small hole, i.e. a single wound, made by making an incision of about 3 to 4 cm in one place, for example, in the navel area. It is much more non-invasive than laparoscopic surgery using multiple penetration needles and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scar around the navel that is barely visible.

보통 단일공 수술 시 배꼽 아래에 만든 하나의 구멍으로 3개의 수술 도구를 삽입하여 수술하게 되는데, 이는 복강경 카메라를 위한 것과 수술 집도의의 수술 도구 2개로 구성된다. 이 경우 고전적 방식의 복강경 담낭절제술과 달리 보조의가 사용할 수 있는 도구의 통로가 없어 간의 크기가 크거나 담낭의 위치가 간에 가려져 있는 등의 문제가 있을 경우 수술의 난이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길어지며 심한 경우 수술을 제대로 마무리할 수 없는 일이 생길 수 있다.Usually, in single-port surgery, three surgical instruments are inserted into a single hole made under the navel to perform the surgery, which consists of two surgical instruments for the surgeon and one for the laparoscopic camera. In this case, unlike the classic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there is no passage for the instruments that the assistant can use, so if there are problems such as a large liver or the gallbladder being obscured by the liver, the difficulty of the surgery increases and the time is prolonged, and in severe cases, the surgery may not be completed properly.

이럴 경우 보조의를 위한 수술공을 하나 더 뚫어 수술을 진행할 수는 있으나 이렇게 되면 단일공 수술의 이점이 상당부분 사라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surgery by making an additional surgical incision for the assistant, but this has the problem that many of the advantages of single-incision surgery are lost.

복강경 수술 시 간의 위치 조정은 수술자에게 있어 큰 과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로 제시되어 왔고 만들어진 수술기구도 있으나 이는 모두 복강에 5mm이상의 수술공을 필요로하거나 봉합과 관리가 필요한 수준의 상처를 만드는 것이거나 복잡한 관절 장치들을 연결해야 해 관리나 보관에도 부담이 되는 문제가 있다.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live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is a major challenge for surgeons,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surgical instruments have been created. However, all of these require a surgical hole of 5 mm or more in the abdominal cavity, create a wound that requires suturing and management, or connect complex joint devices, which are burdensome to manage and store.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아래 선행기술들과 같이 다양한 견인장치들이 제시되었다.To solve these problems, various traction devices have been proposed, such as the prior arts below.

그러나 대부분의 견인장치들은 복잡한 구조이며, 사용하기 복잡하여 숙련된 동작을 위해 연습이 필요하고 보조수술자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However, most traction devices have a complex structure and are difficult to use, requiring practice for skilled operation and requiring an assistant surgeon.

그리고 이러한 도구를 삽입하기 위해 추가로 트로카를 사용해서 수술공을 뚫어야 하므로 단일공 수술의 장점이 사라진다.Additionally, the advantage of single-port surgery is lost because an additional trocar must be used to insert these instruments through the surgical incision.

또한, 도구나 장비의 가격이 비싸서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 한계가 있다.Additionally, the high price of tools and equipment limits their use for single-use.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2-0152944(2022.11.17.)"복강경 수술에서 인체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22-0152944 (2022.11.17.) "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78070(2019.7.4.)"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기구"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9-0078070 (2019.7.4.) "Laparoscopic Surgery Tissue Traction Device"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26604(2017..11.20.)"복강경 수술용 견인장치"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7-0126604 (2017..11.20.) "Laparoscopic surgery traction device"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의 변형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져, 단일공 복강경 수술시 단일공을 통해 복강 내부로 투입하고, 집게 달린 수술도구를 사용하여 복강 내부에서 형상을 변형시켜 장기나 조직을 용이하게 견인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provide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which is formed with a structure that is easy to change shape, can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single port during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and can easily traction organs or tissues by changing shape inside the abdominal cavity using a surgical tool with forcep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는, 복강경 수술시 복강 내의 장기를 포함하는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이루는 4개의 메인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네 꼭지점부가 접히거나 펼칠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꼭지점부를 완전히 접고, 다른 한 쌍의 제2 꼭지점부를 완전히 펼치면 직선형상이 되어, 수술공에 설치한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로 투입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traction of tissues including organs in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wherein four main frames forming a bar shap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diamond shape, and the four corners are structured to be foldable or unfoldable, so that when a pair of first corners facing each other are completely folded and another pair of second corners are completely unfolded, it becomes a straight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installed in a surgical instrument.

여기서, 상기 제1,2 꼭지점부는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둥근 형상의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구조일 수 있다.Here, the first and second vertex portions are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frame, and a round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이때, 상기 제1 꼭지점부 중 어느 하나에는 집게가 구비된 수술기구로 그리핑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돌편이 형성되고, 상기 돌편의 단부에는 집게로 그리핑할 때 집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rotruding stone piece is formed at one of the first vertex portions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a surg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forceps, and that a bent catc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stone piece so as to prevent the forceps from coming off when gripping with the forceps.

그리고 상기 제1 꼭지점부 중 상기 돌편이 형성되지 않은 제1 꼭지점부에는 상기 집게가 진입 및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And, in the first vertex portion where the stone piece is not formed among the first vertex portions,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so that the tongs can enter and be fixed.

한편, 인접하는 두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각각 보강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중앙부와 양단부에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reinforcing frame is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two adjacent main frames, and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frame can be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frame to facilitate folding and unfolding.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의 각 중앙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두 보강프레임이 'X'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 및 보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parts of each of the reinforcing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two reinforcing frames can support and reinforce the main frame while forming an ‘X’ shape.

이상에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단일공 수술이 가능하면서, 견인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수술공을 추가로 뚫을 필요가 없이 바늘 굵기의 수술기구만 관통시켜 조직을 견인할 수 있으므로 단일공 수술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되, 보조수술자가 없이도 수술이 가능하다.First, since single-port surgery is possible and tissue can be pulled by only passing a surgical instrument the size of a needle without having to drill an additional surgical port to insert a traction device, the advantages of single-port surgery are maximized, but surgery can be performed without an assistant surgeon.

둘째, 추가적인 수술공을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다.Second, scarring can be minimized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surgical incisions.

셋째, 수지재질로 이루어지고,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1회용으로도 제조하기 쉽다.Third, it is made of resin and is inexpensive, so it is easy to manufacture even for single u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측에 바라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복강경 수술시 장기(간)를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5는 집게가 달린 수술도구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pulling an organ (live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surgical instrument with forceps.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아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ereinaft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for easi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embodiments below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nd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또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and specifically defined.

덧붙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하측에 바라 본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평면도를 나타낸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looking downw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4개의 메인프레임(100)과 2개의 보강프레임(20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상기 보강프레임(200)이 'X' 형태로 교차하여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형상을 유지 및 보강 지지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four main frames (100) and two reinforcing frames (200), wherein the main frames (100) form a diamond shape, and the reinforcing frames (200) intersect in an 'X' shape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shape of the main frames (100).

특히,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각 꼭지점의 내각이 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본 발명은 직선형상이 되도록 완전히 접어서 트로카(trocar)를 통해 복강 내부로 투입이 용이하고, 펼친 상태로 변형시켜 복강 내의 조직을 지지하면서 견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 main frame (1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angle of each vertex can be chang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t can be completely folded into a straight shape and easily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and can be deformed into an unfolded state to support and pull the tissue in the abdominal cavity.

먼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mainframe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길이로 4개가 구비되며, 각각이 서로 연결되어 폐쇄된 사각형, 구체적으로 마름모 형상을 이룬다.The above main frame (10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is provided with four of the same length, each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losed square, specifically a rhombus shape.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단부가 서로 만나는 네 꼭지점부(110,120)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폭이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꼭지점부(110,120)가 힌지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지점이 될 수 있다.The four corner points (110, 120) where the ends of the main frame (100) meet each other are formed to be relatively thinner than the width or thickness of the main frame (100). Therefore, the corner points (110, 120) can become points where they fold or unfold like a hinge.

그리고 상기 꼭지점부(110,120)는 둥근 형상의 라운딩부(R)가 형성되어 접힘과 펼침이 더 용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nd the top point (110, 120) may have a rounded portion (R) formed in a round shape, so that it can have a structure that makes folding and unfolding easier.

이러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재질은 TPU와 같은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꼭지점부는 변형시키더라도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이 존재할 수 있다.Since the material of the above main frame (100) can be made of a resin such as TPU, the vertex portion can have elasticity that allows it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even if deformed.

따라서, 상기 꼭지점부(110,120)들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두 꼭지점부를 완전히 접으면 다른 두 꼭지점부는 완전히 펼쳐지게 되어 본 발명은 직선형상이 될 수 있으므로 수술공에 설치한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부로 투입시킬 수 있다.Accordingly, when two opposing apexes among the above apexes (110, 120) are completely folded, the other two apexes are completely unfold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 a straight shape, and thus can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installed in a surgical instrument.

그리고 복강 내부로 투입되면 탄성력에 의해 접힌 두 꼭지점부는 펼쳐지게 되어 마름모형상으로 복원되므로, 복강 내부에서 집게 달린 수술기구로 그리핑할 수 있다. 구체적인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nd when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e two folded corners are unfolded by elastic force and restored to a diamond shape, so that they can be gripped with a surgical instrument with forceps inside the abdominal cavity. The specific method of use will be described later.

이하에서, 상기 꼭지점부(110,12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을 제1 꼭지점부(110)로 하고, 마주보는 다른 한 쌍을 제2 꼭지점부(120)라고 구분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bove-described vertices (110, 120) are described by distinguishing one pair facing each other as the first vertex (110) and the other pair facing each other as the second vertex (120).

상기 제1 꼭지점부(110) 중 어느 하나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편(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편(111)은 상기 제1 꼭지점부(110)의 내측면에서 하부로부터 마주하는 제1 꼭지점부(11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It is preferable that a stone piece (111) protruding inwardly is formed on one of the first vertex portions (110). Specifically, the stone piece (11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vertex portion (110) toward the first vertex portion (110) facing from below.

그리고 마주하는 제1 꼭지점부(110)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안착홈(113)이 형성된다.And, a portion of the first vertex (110) facing the surface is cut to form a fixing groove (113).

상기 안착홈(113)은 집게가 구비된 수술기구의 가느다란 몸체가 진입하면서 안착될 수 있게 한다.The above-mentioned fixing groove (113) allows the slender body of a surg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forceps to be fixed upon entry.

따라서, 복강 내에 투입된 본 발명을 집게가 구비된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상기 안착홈(113)을 통과하도록 안착한 상태에서 집게(G)로 상기 돌편(111)을 그리핑함으로써 상기 제2 꼭지점부(120)가 접히면서, 본 발명은 나비와 유사한 형태로 펼쳐져 장기나 조직을 지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is placed in a state where it passes through the placement groove (113) using a surg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forceps, and by gripping the protrusion (111) with the forceps (G), the second vertex (120) is fold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spread out in a butterfly-like shape to be able to support organs or tissues.

바람직한 것은 상기 돌편(111)의 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향 돌출된 걸림턱(11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112)으로 인해 집게로 그리핑하기 용이하고, 좀 더 견고하게 클램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Preferably, a vertically bent and upwardly protruding catch (112)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above-mentioned stone piece (111). Due to the catch (112), it is easy to grip with forceps and a more firmly clamped state can be maintained.

다음으로 상기 보강프레임(20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above reinforcing frame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보강프레임(2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이 이루는 마름모 형상을 유지하고, 견인시 충분한 견인력을 제공하도록 강도를 향상시킨다.The above reinforcing frame (200) maintains the diamond shape formed by the main frame (100) and enhances strength to provide sufficient traction force when towing.

상기 보강프레임(200)은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100)들 중 인접하는 두 메인프레임(100)을 연결하여 지지한다.The above reinforcing frame (200) is formed in a bar shape and is provided in pairs to connect and support two adjacent main frames (100) among the above main frames (100).

즉, 하나의 보강프레임(200)의 일단은 어느 하나의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결합된다.That is, one end of one reinforcing frame (20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one main frame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another adjacent main frame (100).

그리고 다른 보강프레임(200)의 일단은 또 다른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결합되고, 타단은 인접하는 또 다른 하나의 메인프레임(100)의 중앙에 결합된다.And one end of another reinforcing frame (200)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another main frame (10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center of another adjacent main frame (100).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중앙부(210)에는 상기 꼭지점부(110,120)와 마찬가지로 접힘 및 펼침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두께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동시에 라운딩부(R)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entral portion (210) of the reinforcing frame (200)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r width of the reinforcing frame (200) so that it can be easily folded and unfolded, similar to the apex portion (110, 120), and at the same time, a rounded portion (R) be formed.

더불어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결합되는 부위인, 상기 보강프레임(200)이 양단부(220)도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frame (200), which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main frame (100), is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t both ends (220).

따라서,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중앙부는 탄성에 의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동시에 양단부는 결합된 메인프레임(100)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frame (200) can be folded or unfolded by elasticity, and at the same time, both ends can be folded or unfolded with respect to the combined main frame (100).

중요한 것은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길이는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길이의 1/2 정도가 되게 설계하여 상기 제2 꼭지점부(120)가 완전히 펼쳐질 때 상기 보강프레임(200)도 완전히 펼쳐져 본 발명이 트로카를 통과할 수 있는 직선형태가 될 수 있다.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frame (200) is designed to be approximately half the length of the main frame (100), so that when the second vertex (120) is fully unfolded, the reinforcing frame (200) is also fully unfolded,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come a straight line that can pass through the trocar.

여기서,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각 중앙부는 서로 결합되지 않는 상태로 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30)로 상호 연결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Here, the central portions of each of the reinforcing frames (200) may not be connected to each other, but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a connecting member (230) as shown.

상기 연결부재(230)로 인해 상기 보강프레임(200)이 'X'자 형상과 같이 서로 교차하는 구조를 이루어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보강프레임(200)이 탄성을 유지하면서, 트러스 구조와 같이 구조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간과 같이 무거운 장기나 조직도 견인이 용이하다.Due to the above connecting member (230), the reinforcing frame (200) forms a structure in which it intersects with each other in an 'X' shape, so that the main frame (100) and the reinforcing frame (200) can maintain elasticity while structurally improving strength like a truss structure. Accordingly, even heavy organs or tissues such as the liver can be easily towed.

부가적으로 상기 연결부재(230)는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중앙부의 하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집게가 구비된 수술기구로 상기 돌편(111)을 그리핑할 때, 수술기구가 상기 보강프레임(200)의 마주하는 중앙부(210)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좋다.Addition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ng member (230) connects the lower parts of the central portions of the reinforcing frames (200) to each other so that, when gripping the stone fragment (111) with a surg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forceps, a spac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surgical instrument can easily pass between the facing central portions (210) of the reinforcing frames (200).

이하에서 도 3 내지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여기서, 도 3(a)는 단일공을 통해 복강 내부에 투입하기 위한 형상을 나타내고, 도 3(b)는 복강 내부에 투입된 후 견인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ure 3(a) shows a shape for insertion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single hole, and Figure 3(b) shows a state for pulling after insertion into the abdominal cavity.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을 사용하여 복강경 수술시 장기(간)를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서, 도 4(a)는 간을 견인하기 위해 집게 달린 수술기구로 본 발명을 펼친상태를 나타낸다.And Fig. 4 is a photograph showing a state of pulling an organ (liver) during laparoscopic surgery using the present invention. Here, Fig. 4(a) shows a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unfolded as a surgical instrument with forceps for pulling the liver.

또 도 5는 집게가 달린 수술도구의 한 예를 나타내는 사진이다.Also, Figure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surgical instrument with forceps.

기존 견인장치가 별도로 준비해야 하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일공 수술을 하더라도 견인장치를 삽입하기 위한 수술공을 복부에 하나 더 뚫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수술공을 추가로 뚫지 않고 단일공을 통해 복부 내로 투입하며, 기존 수술기구를 사용하여 다른 위치에서 복부를 관통시켜 본 발명을 그리핑한 후 조직을 견인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Since existing traction devices must be prepared separately and have a complex structure, even if a single-port surgery is performed, another surgical port must be drilled into the abdomen to insert the traction devic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eat advantage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abdomen through a single port without drilling an additional surgical port,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gripped by penetrating the abdomen at a different location using an existing surgical instrument and then traction of the tissue.

구체적으로 도 3(a)와 같이 제2 꼭지점부를 완전히 펼치고, 제1 꼭지점부는 완전히 접은 상태의 직선형상으로 만든 후 단일공에 설치한 트로카를 통해 복부 내부로 본 발명을 밀어 넣어 투입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a), the second vertex is completely unfolded, the first vertex is made into a straight line shape with the shape completely folded, and then the present invention is pushed into the abdomen through a trocar installed in a single hole.

그리고 투입한 본 발명의 위치를 견인하고자 하는 장기나 조직으로 인접하게 접근 시킬 수 있는데, 이것은 수술자가 단일공을 통해 손으로 가능하다.And the 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has been injected can be approached adjacent to the organ or tissue to be pulled, and this can be done by the surgeon by hand through a single hole.

복강 내부로 투입된 본 발명은 탄성에 의해 대략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으로 복원된다.The present invention, when injec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is restored to a rhombus shape, as shown in Figures 1 and 2, due to elasticity.

이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가 달린 수술도구, 예를 들어, fascia closure device(근막폐쇄기구)와 같이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피부를 쉽게 뚫을 수 있고, 더불어 집게(G)가 형성된 구조의 수술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5, a surgical tool with forceps, for example, a fascia closure device, which has a sharp end to easily pierce the ski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forceps (G) are formed, can be used.

즉, 수술자는 다른 손으로 집게(G) 달린 수술도구를 복부의 다른 위치에서 복강을 관통시켜 복강 내부로 집게(G)가 진입하게 한다.That is, the surgeon uses a surgical tool with forceps (G) with the other hand to penetrate the abdominal cavity at a different location in the abdomen so that the forceps (G) enter the abdominal cavity.

그리고 수술자는 복강경을 통해 복강 내부를 모니터링하면서, 한 쪽 손으로 본 발명을 파지하고, 집게(G)에 인접하게 위치한 후 집게(G)가 상기 안착홈(113)에 안착되면서 상기 연결부재(230)를 지나 상기 돌편(111)에 이르면, 도 3(b)와 같이 외부에서 다른 쪽 손으로 수술기구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집게를 벌린 후 상기 돌편(111)을 그리핑한다.And while the surgeon monitors the inside of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the laparoscope, he/she holds the present invention with one hand, positions it adjacent to the forceps (G), and when the forceps (G) is settled in the fixing groove (113) and passes the connecting member (230) to reach the protrusion (111), he/she uses the handle of the surgical instrument with the other hand from the outside to spread the forceps and then grips the protrusion (111), as shown in FIG. 3(b).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제2 꼭지점부(120)는 접히고, 상기 제1 꼭지점부(110)는 펼쳐지면서, 상기 돌편(111)과 안착홈(113)이 서로 가까워지게 되어,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도 4(a)에 나타난 바처럼 마름모 또는 나비형상을 이룰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vertex (120) of the main frame (100) is folded, and the first vertex (110) is unfolded, so that the stone piece (111) and the fixing groove (113) come closer to each other,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diamond or butterfly shape as shown in Fig. 4(a).

이렇게 집게(G)로 상기 돌편(111)을 그리핑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100)과 보강프레임(200)이 이루는 본 발명을 견인하고자 하는 장기나 조직에 대고 도 4(b)와 같이 당기거나 미는 동작을 통해 견인이 이루어질 수 있다.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gripping the above-mentioned stone fragment (111) with the forceps (G), the main frame (100) and the reinforcing fram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lled or pushed against the organ or tissue to be pulled, as shown in Fig. 4(b).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drawings according to embodiments there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ake various application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contents.

100 : 메인프레임110 : 제1 꼭지점부
111 : 돌편112 : 걸림턱
113 : 안착홈120 : 제2 꼭지점부
200 : 보강프레임210 : 중앙부
220 : 양단부230 : 연결부재
R : 라운딩부G : 집게
100 : Mainframe 110 : First vertex
111 : Stone piece 112 : Snag
113: Settlement home 120: Second top point
200: Reinforcement frame 210: Central part
220: Both ends 230: Connecting member
R: Rounding part G: Forceps

Claims (7)

Translated fromKorean
복강경 수술시 복강 내의 장기를 포함하는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바(bar) 형상을 이루는 4개의 메인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마름모 형상을 이루고, 네 꼭지점부가 접히거나 펼칠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꼭지점부를 완전히 접고, 다른 한 쌍의 제2 꼭지점부를 완전히 펼치면 직선형상이 되어, 수술공에 설치한 트로카를 통해 복강 내로 투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a device for pulling tissues including organs in the abdominal cavity during laparoscopic surgery,
It consists of four main frames in the shape of a bar,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rhombus shape, and the four corners are structured to be able to fold or unfold.
A laparoscopic tissue 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first vertices facing each other are completely folded and another pair of second vertices are completely unfolded to form a straight line,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 trocar installed in a surgical instru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꼭지점부는 각각 상기 메인프레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둥근 형상의 라운딩부가 형성되어, 접힘과 펼침이 용이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paragraph 1,
A laparoscopic tissue 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vertices are provided with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main frame, and a rounded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structure is easy to fold and unfol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꼭지점부 중 어느 하나에는 집게가 구비된 수술기구로 그리핑할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돌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paragraph 1,
A laparoscopic tissue 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rotruding protrusion is formed on one of the first vertex portions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a surgical instrument equipped with forcep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편의 단부에는 집게로 그리핑할 때 집게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절곡된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a bent catch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bove stone piece to prevent detachment of the forceps when gripping with the forcep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꼭지점부 중 상기 돌편이 형성되지 않은 제1 꼭지점부에는 상기 집게가 진입 및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A laparoscopic surgical tissue tra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groove is formed in a first vertex portion among the first vertex portions where the stone fragment is not formed so that the forceps can enter and be fixed.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두 메인프레임 사이에는 각각 보강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프레임의 중앙부와 양단부에는 접힘과 펼침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강프레임의 두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to 5,
A reinforcing frame is connected between each of the two adjacent main frames.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 and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frame are formed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thickness of the reinforcing frame to facilitate folding and unfolding.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프레임의 각 중앙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두 보강프레임이 'X'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을 지지 및 보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강경 수술용 조직 견인장치.
In paragraph 6,
A tissue 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ral portions of the above reinforcing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member, so that the two reinforcing frames can support and reinforce the main frame while forming an 'X' shape.
KR1020230183580A2023-12-152023-12-15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PendingKR20250092911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183580AKR20250092911A (en)2023-12-152023-12-15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PCT/KR2024/019070WO2025127524A1 (en)2023-12-152024-11-28Tissue retractor for laparoscopic surg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183580AKR20250092911A (en)2023-12-152023-12-15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50092911Atrue KR20250092911A (en)2025-06-24

Family

ID=9605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183580APendingKR20250092911A (en)2023-12-152023-12-15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20250092911A (en)
WO (1)WO2025127524A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70126604A (en)2016-05-102017-11-20유한킴벌리 주식회사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20190078070A (en)2017-12-262019-07-04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Retractor of organ for laparocopic surgery
KR20220152944A (en)2021-05-102022-11-17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6464634B1 (en)*2000-09-272002-10-15Depuy Acromed, Inc.Surgical retractor system
US7229408B2 (en)*2004-06-302007-06-12Ethicon, Inc.Low profile surgical retractor
KR100941525B1 (en)*2007-05-162010-02-11이나경 Surgical Soft Tissue Retractor
US8758235B2 (en)*2011-07-132014-06-24Cook Medical Technologies LlcFoldable surgical retractor
WO2014143911A1 (en)*2013-03-152014-09-18Ultradent Products, Inc.Cheek retractor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70126604A (en)2016-05-102017-11-20유한킴벌리 주식회사Traction device for laparoscopic surgery
KR20190078070A (en)2017-12-262019-07-04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Retractor of organ for laparocopic surgery
KR20220152944A (en)2021-05-102022-11-17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25127524A1 (en)202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20210093310A1 (en)Minimally invasive surgical devices and methods
US9700295B2 (en)Universal height foam port
US9539027B2 (en)Laparoscopic instrument and trocar systems and related surgical method
US6878110B2 (en)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 for creating anatomic working space in minilaparotomy procedure
US5782845A (en)Trocar site suturing device
US20050080434A1 (en)Laparoscopic retractable dissector and suture and needle passer
US20070244515A1 (en)Multipurpose Surgical Tool
EP2374423A1 (en)Universal height access port
Kitamura et al.Transaxillary approach for the endoscopic extirpation of benign breast tumors
US9247955B2 (en)Thoracic access port
Kirschniak et al.Transumbilical single-incisio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preliminary experiences
KR20250092911A (en)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RU2066123C1 (en)Method for performing cholecystectomy from miniaccess
US20220160347A1 (en)Endoscopic stitching device for supporting suture needles in various orientations
JP2860079B2 (en) Surgical instruments
JP2000023989A (en)Miniature loop retractor
AU2014201677B2 (en)Universal height foam port
RU2119772C1 (en)Surgical needle
Chakravartty et al.Single Incision LAGB
KR20160130013A (en)Surgical clip applier
KR20140041990A (en)Structure of inner inserting device fixing for surgical instrument in the trocar
PL211079B1 (en)Surgical instrument for making suture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1215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1215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