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50071024A - 3way wrist teether - Google Patents

3way wrist teet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71024A
KR20250071024AKR1020230157554AKR20230157554AKR20250071024AKR 20250071024 AKR20250071024 AKR 20250071024AKR 1020230157554 AKR1020230157554 AKR 1020230157554AKR 20230157554 AKR20230157554 AKR 20230157554AKR 20250071024 AKR20250071024 AKR 20250071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wristband
fastening
body part
w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57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진명
Original Assignee
이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명filedCritical이진명
Priority to KR1020230157554ApriorityCriticalpatent/KR20250071024A/en
Publication of KR20250071024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50071024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영유아의 손가락을 덮고 손등이 노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영유아의 손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저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된 제1돌기부;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저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돌출된 제2돌기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2돌기부가 돌출된 측면의 반대편 타 측면에 돌출된 제3돌기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가 자립 가능하도록 편평한 하부 모서리를 포함하고 영유아의 손목에 고정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손목체결부; 및 상기 제2돌기부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제3돌기부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의 타 측면으로 상기 결합공간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is provided.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formed in a partially open form to cover the fingers of an infant or toddler and expose the back of the hand, and forming a joining space inside for the hand of the infant or toddler to be joined; a first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infant or toddler can chew with the gums or teeth; a second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infant or toddler can chew with the gums or teeth; a third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side from which the second protrusion part protrudes; a wrist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flat lower edge so that the body part can be self-supporting, and having a length adjustable so as to be fixed to the wrist of the infant or toddler; and a handle part formed across the joining space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where the second protrusion part is loca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where the third protrusion part is located.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3way wrist teether}{3way wrist teether}

본 발명은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유아의 손목에 맞추어 체결되고 손가락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영유아의 치아발육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that effectively assists the teeth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by fitting it to the wrist of the infant and toddler and preventing exposure of the fingers.

치아 발육기는 영유아가 치아 발달 과정에서 소양감이나 통증을 느낄 경우 이를 해소시키며 유치의 원활한 발달을 보조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 시기의 영유아는 구강에 물체를 넣고 씹거나 빠는 행위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추구할 수 있다.The teething period is intended to relieve the itching or pain that infants and toddlers feel during the teeth development process and to help the smooth development of baby teeth. In addition, infants and toddlers during this period can seek psychological stability by putting objects in their mouths and chewing or sucking them.

이때 영유아는 본인의 손가락, 보호자 또는 주변 사물을 깨물 수 있는데, 이 경우 영유아의 입안에 상처가 생기거나 치열에 부정교합이 발생하기 쉬우며, 영유아의 손가락 관절이나 피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At this time, infants and toddlers may bite their own fingers, their guardians, or objects around them. This can easily cause injuries in the infant's mouth or malocclusion of the teeth, and can als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infant's finger joints and skin.

따라서 치아 발달 시기의 영유아가 소양감 및 긴장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의 손가락이나 주변 사물을 깨무는 것을 방지하고, 영유아의 입안에 넣어도 무방하도록 안전한 재질과 구조로 설계된 치아 발육기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ething device designed with safe materials and structures that can be safely placed in the mouths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at prevents infants and toddlers from biting their fingers or surrounding objects to relieve the feeling of itching and tension during the teeth development period.

KRKR 10-211901910-2119019B1B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영유아의 손목에 맞추어 체결되고 손가락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영유아의 치아발육을 효과적으로 보조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that is fastened to fit the wrist of an infant or toddler and prevents exposure of the fingers, thereby effectively assisting the dental development of the infant or toddler.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아의 손가락을 덮고 손등이 노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유아의 손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저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된 제1돌기부; 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저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돌출된 제2돌기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2돌기부가 돌출된 측면의 반대편 타 측면에 돌출된 제3돌기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가 자립 가능하도록 편평한 하부 모서리를 포함하고 유아의 손목에 고정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손목체결부; 및 상기 제2돌기부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제3돌기부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의 타 측면으로 상기 결합공간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body part formed in a partially open form to cover the fingers of an infant and expose the back of the hand, and forming a joining space inside for the infant's hand to be joined; a first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infant can chew with the gums or teeth; a second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infant can chew with the gums or teeth; a third protrusion part protru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opposite to the side from which the second protrusion part protrudes; a wrist fastening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flat lower edge so that the body part can be self-standing, and having a length adjusted so as to be fixed to the wrist of the infant; and a handle part formed across the joining space from one side of the body part where the second protrusion part is loca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art where the third protrusion part is located.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고리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리형으로 돌출된 돌기에 제1미세돌기, 제2미세돌기 및 제3미세돌기가 추가로 돌출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protrusion may protrude in a ring shape relative to the body portion, and a first micro-protrusion, a second micro-protrusion, and a third micro-protrusion may additionally protrude from the ring-shaped protrus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3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원통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통형으로 돌출된 돌기에서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지 않은 일 말단의 모서리를 감싸고 돌출되는 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주돌기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의 일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원통형으로 돌출된 돌기에 굴곡을 형성하는 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hird protrusion may include a main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cylindrically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and surround an edge of one end of the cylindrically protruding protrusion that is not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and a sub-protrus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bend in the cylindrically protruding protrusion.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목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유아의 손목을 감싸도록 체결구를 형성하는 손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밴드가 상기 몸체부와 함께 개방되는 일 말단이 연장되어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 말단에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목밴드를 따라 상기 체결공에서 연장되어 체결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목밴드는 상기 몸체부가 자립 가능하도록 하부 모서리가 편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ri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wrist band extending from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form a fastening hole to wrap around the wrist of an infant, wherein one end of the wrist band that opens together with the body portion is extended to form a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a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n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where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are not formed to allow the first fasten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trusion to be coupled, and a fastening extension hole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hole along the wrist band, and the wrist band can have a lower edge formed flat so that the body portion can be self-supporting.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는 유아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홈을 포함하여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andle portion may be formed with a curve including a groove to prevent a child's hand from slipp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영유아의 손가락을 덮는 몸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가 본인의 손가락을 깨물거나 빨지 않도록 손가락 노출을 방지하여 치아발육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that covers the fingers of infants and toddlers, thereby preventing exposure of the fingers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do not bite or suck their fingers, thereby effectively assisting teeth develop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영유아의 잇몸 및 치아에 물리는 세 개의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영유아의 치아 발달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ssist the development of teeth in infants and toddlers by having three protrusions that bite into the gums and teeth of infants and toddle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주된 돌출부부에 굴곡이 부가된 보조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의 치아 발달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assist the development of teeth in infants and toddlers by including an auxiliary protrusion with a curve added to the main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몸체부 및 돌기부를 비롯한 모든 모서리를 둥글고 완만하게 구비함으로써 치아 발육기 사용 시 영유아가 다치지 않도록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ll edges, including the body and protrusions, rounded and gently formed, thereby improving safety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injured when using the teeth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몸체부를 포함함으로써 치아 발육기 사용 시 영유아가 잘못 삼키지 않도록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safety by including a body part to prevent infants and toddlers from accidentally swallowing the teether when using 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영유아의 손목 둘레에 맞추어 체결되도록 여러 개의 체결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치아 발육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teether by including multiple fastening projections so that it can be fastened to fit the wrist circumference of an infant or toddl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는 굴곡을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놓치지 않도록 보조하여 사용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convenience of use by including a handle part including a curve to help infants and toddlers not miss the tee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전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배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체결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다른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또 다른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a combined form of a fastening part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for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for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전면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front configuration diagra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 제1돌기부(120), 제2돌기부(130), 제3돌기부(140) 및 손목체결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include a body part (110), a first protrusion part (120), a second protrusion part (130), a third protrusion part (140), and a wrist fastening part (150).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사용자인 영유아의 손목에 착용되고 치아 발달 과정의 영유아가 깨물고 빨 수 있도록 형성됨으로써 유치의 발달을 돕는 장치이다. 즉,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가 입안에 넣어도 무방하도록 안전한 연질의 소재와 곡선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이때,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 제1돌기부(120), 제2돌기부(130), 제3돌기부(140) 및 손목체결부(15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에게 지속적으로 물릴 경우에도 탈거되거나 절단되지 않으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소독이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is a device that is worn on the wrist of a user, an infant or toddler, and is formed so that an infant or toddler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eeth can bite and suck it, thereby helping the development of baby teeth. That is,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designed with a soft material and a curved structure that are safe for an infant or toddler to put in their mouth. At this time,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formed as an integral part so that the body (110), the first protrusion (120), the second protrusion (130), the third protrusion (140), and the wrist fastening (150) do not become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ensure safety by not being removed or cut even when continuously bitten by an infant or toddler. 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is formed as an integral piece, making it easy to sterilize and clean.

몸체부(110)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의 중심이 되는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제1돌기부(120), 제2돌기부(130), 제3돌기부(140) 및 손목체결부(150)가 배치되는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영유아의 흥미를 자극하도록 캐릭터의 얼굴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모서리가 없는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영유아의 잇몸 및 구강이 다치지 않도록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사용자인 영유아의 주먹을 감쌀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110)는 영유아에게 삼켜져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The body part (110) can form a main body that is the center of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That is, the body part (110) can form a main body in which the first protrusion part (120), the second protrusion part (130), the third protrusion part (140), and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are arranged. Here, the body part (110) can be formed in a shape like a character's face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the body part (110) can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without corners. In other words, the body part (110) can be formed in a streamlined shape so that the gums and oral cavity of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injured. In addition, the body part (110) can be formed in a size that can wrap around the fist of the infant or toddler who is the user. Accordingly, the body part (110)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from occurring due to infants and toddlers swallowing it.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를 포함함으로써 치아 발육기 사용 시 영유아가 잘못 삼키지 않도록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afety by including a body part (110)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do not accidentally swallow the teether when using it.

제1돌기부(120)는 몸체부(110)의 전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돌기부(120)는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씹고 빨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돌기부(120)는 캐릭터의 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인 영유아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다. 이때, 제1돌기부(120)는 모서리가 둥근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돌기부(120)는 영유아의 잇몸 및 구강이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가 곡선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of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can chew and suck with their gums or teeth. For example,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like a character's nose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the infant and toddler who are the users.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In other words, the firs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with curved corners so that the gums and oral cavity of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injured.

제2돌기부(130)는 몸체부(110)의 일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부(130)는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씹고 빨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돌기부(130)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2돌기부(130)는 영유아의 흥미를 자극하도록 캐릭터의 귀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돌기부(130)는 영유아의 입안이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가 없는 튜브형 고리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돌기부(130)는 컵의 손잡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130)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가 사용되지 않을 때 위생적으로 보관되도록 수납용 고리로 기능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can chew and suck with their gums or teeth. Her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like a character's ear to stimulate the interest of infants and toddlers. In addition,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 a tube-shaped ring shape without corners so that the mouth of infants and toddlers is not injured. Her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in a shape like a handle of a cup.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function as a storage ring so that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stored hygienically when not in use.

제3돌기부(14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돌기부(140)는 제2돌기부(130)가 돌출된 측면의 반대편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돌기부(140)는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씹고 빨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돌기부(140)는 영유아의 구강이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가 둥근 원통형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제3돌기부(140)는 컵이나 주전자의 주둥이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protrusion (140)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third protrusion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second protrusion (130) protrudes. In addition, the third protrusion (140) may be formed to protrude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can chew and suck with their gums or teeth. At this time, the third protrusion (14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so that the oral cavity of infants and toddlers is not injured. For example, the third protrusion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spout of a cup or a teapot.

즉,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와 제1돌기부(120), 제2돌기부(130) 및 제3돌기부(140)에 의해 컵이나 주전자 형태의 캐릭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인식 발달을 보조할 수 있다.That is,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formed into a character shape in the form of a cup or a teapot by the body (110), the first protrusion (120), the second protrusion (130), and the third protrusion (140). Accordingl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assist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잇몸 및 치아에 물리는 세 개의 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영유아의 치아 발달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assist the development of teeth in infants and toddlers by having three protrusions that bite into the gums and teeth of infants and toddlers.

손목체결부(150)는 몸체부(110)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손목체결부(15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인 영유아의 손목을 감싸고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손목체결부(150)는 영유아의 손목이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목체결부(150)는 몸체부(110)가 자립되고 영유아의 손목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두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be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110). That is,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part (110) to wrap around and secure the wrist of the user, the infant or toddler. At this time,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be formed with rounded corners so that the wrist of the infant or toddler is not injured. In addition,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be formed with a thickness so that the body part (110) is self-supporting and does not cause stimulation to the wrist of the infant or toddle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 및 돌기부를 비롯한 모든 모서리를 둥글고 완만하게 구비함으로써 치아 발육기 사용 시 영유아가 다치지 않도록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safety by providing all edges, including the body and protrusions, to be rounded and gently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do not get hurt when using the tee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배면 구성도이다.FIG. 2 is a rear configuration diagra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도 1의 구성요소인 몸체부(110), 제2돌기부(130), 제3돌기부(140) 및 손목체결부(150)에 결합공간(111), 체결구(151) 및 손잡이부(16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joining space (111), a fastening hole (151), and a handle (160) in addition to the body (110), the second protrusion (130), the third protrusion (140), and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of FIG. 1.

몸체부(110)는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영유아의 손이 결합되었을 때 손가락을 가리고 손등이 노출되는 형태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110)는 구성되는 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모서리가 예리하지 않도록 면의 가장자리에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10)는 사용자인 영유아의 손에 부담되는 무게를 줄이도록 구성되는 면의 중심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영유아의 손이 결합되도록 결합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open form. That is, 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to be open so that the fingers are covered and the back of the hand is exposed when the hands of the infant or toddler are joined. Here, 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to become thicker as it goes toward the edge of the surface on which it is formed. That is, 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to become thicker at the edge of the surface so that the corners are not sharp. At this time, the body part (110) may be formed to become thinner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of the surface on which it is formed so as to reduce the weight burden on the hands of the infant or toddler who is the user. In addition, the body part (110) may form a joining space (111) so that the hands of the infant or toddler are joined.

결합공간(111)은 사용자인 영유아의 손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공간(111)은 몸체부(110)가 영유아의 손을 감싸도록 일부 개방된 채로 휘어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공간(111)은 영유아의 주먹의 형상에 맞추어 상단부가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공간(111)은 영유아의 팔목이 위치하는 하단부는 비교적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결합공간(111)은 영유아의 팔목이 위치하는 하단부에서 손목체결부(150)에 의해 형성된 체결구(151)와 연결될 수 있다.The joining space (111) can be joined with the hand of the user, the infant or toddler. At this time, the joining space (111) can be formed by bending while the body part (110) is partially open to wrap around the hand of the infant or toddler. For example, the joining space (111) can be formed with a wide upper portion to fit the shape of the fist of the infant or toddler. In addition, the joining space (111) can be formed with a relatively narrow lower portion where the wrist of the infant or toddler is located. In addition, the joining space (111) can be connected to a fastening hole (151) formed by a wrist fastening part (150) at the lower portion where the wrist of the infant or toddler is located.

제2돌기부(130)는 제1미세돌기(132), 제2미세돌기(134) 및 제3미세돌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2돌기부(130)는 고리형으로 돌출된 주된 돌출부에 제1미세돌기(132), 제2미세돌기(134), 및 제3미세돌기(136)가 추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돌기부(130)는 고리형의 주된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하여 제1미세돌기(132), 제2미세돌기(134), 및 제3미세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130)는 제1미세돌기(132), 제2미세돌기(134), 및 제3미세돌기(136)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인 영유아의 잇몸이나 유치를 자극하여 치아의 발달을 추가로 보조할 수 있다.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include a first micro-protrusion (132), a second micro-protrusion (134), and a third micro-protrusion (136). For exampl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by additionally protruding a first micro-protrusion (132), a second micro-protrusion (134), and a third micro-protrusion (136) from a main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a ring shape. Here, the second protrusion (130)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first micro-protrusion (132), the second micro-protrusion (134), and the third micro-protrusion (136)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protrusion of the ring shape.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130) includes a first micro-protrusion (132), a second micro-protrusion (134), and a third micro-protrusion (136), thereby stimulating the gums or baby teeth of the user, infant or toddler, thereby further assisting the development of teeth.

제3돌기부(140)는 주돌기(142) 및 부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3돌기부(140)는 원통형으로 돌출된 주된 돌출부의 일 말단의 모서리를 감싸고 돌출되는 주돌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돌기(142)는 제3돌기부(140)의 원통형 주된 돌출부가 몸체부(110)에 부착되지 않은 타측 모서리를 감싸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돌기부(140)는 주돌기(142)의 일 측면에 형성되어 원통형의 주된 돌출부에 굴곡을 형성하는 부돌기(1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protrusion (140) may include a main protrusion (142) and a sub-protrusion (144). For example, the third protrusion (140) may include a main protrusion (142) that surrounds and protrudes an edge of one end of a cylindrical main protrusion. At this time, the main protrusion (142) may be formed by surrounding an edge of the other end of the cylindrical main protrusion of the third protrusion (140) that is not attached to the body (110). In addition, the third protrusion (140) may include a sub-protrusion (144)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protrusion (142) and forms a bend in the cylindrical main protrus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주된 돌출부부에 굴곡이 부가된 보조 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의 치아 발달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ffectively assist the development of teeth in infants and toddlers by including an auxiliary protrusion with a curve added to the main protrusion.

손목체결부(150)는 손목밴드(152), 체결공(153), 체결연장공(155),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목체결부(150)는 몸체부(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목체결부(150)는 몸체부(110)가 자립 가능하도록 편평한 하부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체결부(150)는 체결공(153), 체결연장공(155),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의 결합으로 영유아의 손목에 맞게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include a wrist band (152), a fastening hole (153), a fastening extension hole (155), a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a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a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Here,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be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110). In addition,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include a flat lower edge so that the body part (110) can be self-supporting. The length of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may be adjusted to fit the wrist of an infant or toddler by combining the fastening hole (153), the fastening extension hole (155),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손목밴드(152)는 체결구(15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손목밴드(152)는 영유아의 손목이 위치하여 결합되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체결구(15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152)는 몸체부(110)에서 연장되어 일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목밴드(152)는 영유아의 손목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152)는 몸체부(110)가 자립 가능하도록 두께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목밴드(152)는 안정적으로 자립 가능하도록 편평하게 형성된 하부 모서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wristband (152) may form a fastening hole (151). That is, the wristband (152) may form a fastening hole (151) that forms a space for the wrist of an infant or toddler to be positioned and connected. In addition, the wristband (152) may be formed in a partially open shape by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110). Here, the wristband (152)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o as not to stimulate the wrist of an infant or toddler. In addition, the wristband (152) may be formed with a thickness so that the body portion (110) can be self-supporting. In this case, the wristband (152) may include a lower edge that is formed flat so that it can be self-supporting stably.

여기서, 손목밴드(152)는 일부 개방된 양 끝단에서 영유아의 손목 둘레에 맞추어 체결이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손목밴드(152)는 연장 형성된 일 끝단에 체결공(153) 및 체결연장공(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목밴드(152)는 연장 형성된 다른 끝단에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손목밴드(152)는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가 결합되도록 관통 구멍인 체결공(1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152)는 체결공(153)을 관통하여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가 결합될 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관통 구멍이 확장된 체결연장공(155)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wristband (152) may be extended to fit the wrist circumference of an infant or toddler at both ends that are partially open. For example, the wristband (152) may have a fastening hole (153) and a fastening extension hole (155) formed at one end that is extended. At this time, the wristband (152) may have a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a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a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formed at the other end that is extended. That is, the wristband (152) may have a fastening hole (153) formed as a through hole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may be coupled. In addition, the wristband (152) may include a fastening extension hole (155) with an expanded through-hole to facilitate fastening when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are fasten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153).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는 손목밴드(152)의 연장 형성된 다른 끝단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는 원통형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 체결편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체결돌기(154), 제2체결돌기(156) 및 제3체결돌기(158)는 모서리가 둥근 갓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end of the extended wrist band (152). Here,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 fastening piece that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and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may protrude in a rounded cap shape.

손잡이부(160)는 영유아의 손이 결합공간(111)에 위치했을 때 안정적으로 잡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60)는 몸체부(110)의 내측면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60)는 결합공간(111)을 가로질러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손잡이부(160)는 제2돌기부(130)가 위치한 일 측면에서 제3돌기부(140)가 위치한 타 측면으로 결합공간(111)을 가로지르며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160) can be stably supported when the hand of an infant or toddler is positioned in the joining space (111). At this time, the handle part (160) can be formed by being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art (110). That is, the handle part (160) can be formed across the joining space (111). For example, the handle part (160) can be formed across the joining space (111) from one side where the second protrusion part (130) is positioned to the other side where the third protrusion part (140) is positioned.

여기서, 손잡이부(160)는 모서리가 둥근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부(160)는 영유아의 부족한 악력을 보조하도록 굴곡을 포함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손잡이부(160)는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andle part (16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At this time, the handle part (16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cluding a curve to assist in the insufficient grip strength of infants and toddlers. For example, the handle part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slipp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굴곡을 포함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가 치아 발육기를 놓치지 않도록 보조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convenience of use by helping infants and toddlers not to miss the teether by including a handle portion that includes a curv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사용상태도이다.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usage status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일부 개방 형성된 몸체부(110)에 의해 손등이 노출되는 방향으로 영유아의 손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손에 장착되었을 때 영유아의 손가락을 덮어 손가락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몸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손가락을 덮는 몸체부(110)로 인해 영유아가 제1돌기부(120, 도 1 참조)를 깨물고 빨면서 흐를 수 있는 영유아의 침이 손에 묻지 않도록 막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손이 침으로 짓무르거나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일부 개방된 몸체부(110)를 포함하여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일부 개방된 몸체부(110)에 의해 위생적으로 세척 및 건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engaged with the hand of an infant or toddl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ck of the hand is exposed by the partially open body portion (110). That is,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include the body portion (110) to cover the fingers of the infant or toddler when worn on the hand, thereby preventing the exposure of the fingers. 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prevent the saliva of the infant or toddler from flowing out when the infant or toddler bites and sucks the first protrusion portion (120, see FIG. 1) from getting on the hand due to the body portion (110) that covers the fingers of the infant or toddler. As a result,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prevent the hand of the infant or toddler from being swollen with saliva or from developing inflammation. 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ventilated by including a partially open body part (110). At this time,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hygienically washed and dried by the partially open body part (1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손가락을 덮는 몸체부를 포함함으로써 영유아가 본인의 손가락을 깨물거나 빨지 않도록 손가락 노출을 방지하여 치아발육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that covers the fingers of infants and toddlers, thereby preventing exposure of the fingers so that the infants and toddlers do not bite or suck their fingers, thereby effectively assisting teeth developme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체결부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showing a combined form of a fastening part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a)는 체결공(153)에 제1체결돌기(154)가 관통하여 결합된 형태이고, (b)는 체결공(153)에 제2체결돌기(156)가 관통하여 결합된 형태이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 is a form in which a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penetrates and is joined to a fastening hole (153), and (b) is a form in which a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penetrates and is joined to a fastening hole (153).

도 4의 (a)를 참조하면, 손목체결부(150)는 제1체결돌기(154)가 체결공(153)을 관통함으로써 체결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체결돌기(154)가 형성된 체결편의 직경은 체결공의 내경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손목체결부(150)는 결합이 빠지거나 쉽게 헐거워지지 않도록 제1체결돌기(154)와 체결공(153)을 결합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a) of Fig. 4,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can be connected by a fastening piece by having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penetrate the fastening hole (153).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fastening piece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is formed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astening hole. That is,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can combine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and the fastening hole (153) so that the connection does not come off or become loose easily.

도 4의 (b)를 참조하면, 손목체결부(150)는 제2체결돌기(156)가 체결공(153)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도 3을 참조하면, 손목체결부(150)는 연장 형성된 손목밴드(152)의 양 끝단이 부착되며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b) of Fig. 4,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can be connected by having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pass through the fastening hole (153).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3, the wrist fastening part (150) can be connected by having both ends of an extended wrist band (152) attached.

즉,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제1체결돌기(154) 및 제2체결돌기(156)에 의해 손목체결부(150)의 둘레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상단부가 넓고 하단부에서 좁아지는 형태로 체결구(151)와 연결되는 결합공간(111)을 포함함으로써 영유아의 손 모양에 맞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도면에 도시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의 체결돌기의 개수는 일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제3체결돌기(158, 도 2 참조)를 포함하여 총 세 개의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제3체결돌기(158, 도 2 참조)를 제외하고 총 두 개의 체결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손에서 쉽게 빠지거나 구강 내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That is,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have the circumference of the wrist fastening portion (150) adjusted by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4) and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156). Here,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be mounted to fit the shape of an infant's hand by including a connecting space (111) that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hole (151) in a form that is wide at the upper end and narrows at the lower end. However, the number of fastening projections of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illustrated in the drawing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can include a total of three fastening projections including the third fastening projection (158, see FIG. 2). 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include a total of two fastening protrusions excluding the third fastening protrusion (158, see FIG. 2). As a result,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does not easily fall out of the hand of an infant or toddler or enter the mouth, thereby preventing safety accident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영유아의 손목 둘레에 맞추어 체결되도록 여러 개의 체결돌기를 포함함으로써 치아 발육기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teether by including multiple fastening projections so that it can be fastened to fit the wrist circumference of an infant or toddl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다른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5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for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에 통기구(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의 전면에 통기구(113)가 추가로 형성됨으로써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통기구(113)에 의해 영유아의 손가락이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된 몸체부(110)에 통기성을 더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웃는 입 모양으로 형성된 통기구(113)에 의해 영유아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다. 이때, 통기구(113)는 영유아가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further include a ventilation hole (113) in the body part (110). Here,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improve ventilation by additionally forming a ventilation hole (113) in the front of the body part (110). That is,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further add ventilation to the body part (110) formed so that the fingers of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exposed by the ventilation hole (113). 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100) may stimulate the interest of infants and toddlers by the ventilation hole (113) formed in the shape of a smiling mouth.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hole (113) may be formed with rounded corners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are not injured.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의 또 다른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showing another form of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도 5에 형성된 통기구(113)보다 더 넓은 통기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의 전면에 넓은 통기구(113')를 포함하여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글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100)는 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제1돌기부(120)가 제외된 2방향의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wristband-type three-way tooth developer (100) may include a wider ventilation hole (113') than the ventilation hole (113) formed in FIG. 5. That is, the wristband-type three-way tooth developer (100) may further improve ventilation by including a wider ventilation hole (113') in the front of the body (110). At this time, the wristband-type three-way tooth developer (100) may be formed in a glove shape. In addition, the wristband-type three-way tooth developer (100) may include two-way protrusions excluding the first protrusion (120) formed in the front of the body (11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장의 범위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suggest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nvention,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110 : 몸체부111 : 결합공간
120 : 제1돌기부130 : 제2돌기부
132 : 제1미세돌기134 : 제2미세돌기
136 : 제3미세돌기 140 : 제3돌기부
142 : 주돌기144 : 부돌기
150 : 손목체결부151 : 체결구
152 : 손목밴드153 : 체결공
154 : 제1체결돌기155 : 체결연장공
156 : 제2체결돌기158 : 제3체결돌기
160 : 손잡이부
100 : Wristband type 3-way teether
110: Body 111: Joint space
120: 1st protrusion 130: 2nd protrusion
132: First microprotrusion 134: Second microprotrusion
136: Third microsegment 140: Third protrusion
142 : Main process 144 : Sub process
150: Wrist fastening part 151: Fastening hole
152 : Wristband 153 : Fastener
154: First fastening projection 155: Fastening extension hole
156: 2nd fastening projection 158: 3rd fastening projection
160 : Handle

Claims (5)

Translated fromKorean
영유아의 손가락을 덮고 손등이 노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 영유아의 손이 결합되는 결합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저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돌출된 제1돌기부;
영유아가 잇몸이나 치아로 저작하도록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돌출된 제2돌기부;
상기 몸체부에서 상기 제2돌기부가 돌출된 측면의 반대편 타 측면에 돌출된 제3돌기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가 자립 가능하도록 편평한 하부 모서리를 포함하고 영유아의 손목에 고정되도록 길이가 조절되는 손목체결부; 및
상기 제2돌기부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서부터 상기 제3돌기부가 위치한 상기 몸체부의 타 측면으로 상기 결합공간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A body part formed in a partially open form to cover the fingers of an infant or toddler and expose the back of the hand, and forming a joint space inside to which the hand of an infant or toddler is joined;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from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can chew with their gums or teeth;
A second projec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infants and toddlers can chew with their gums or teeth;
A thir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from which the second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above body part;
A wrist fastening member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including a flat lower edge so that the body part can be self-supporting and having an adjustable length so as to be secured to the wrist of an infant or toddler; and
A handle portion formed across the joining space from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is located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portion where the third protrusion portion is located;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고리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리형으로 돌출된 돌기에 제1미세돌기, 제2미세돌기 및 제3미세돌기가 추가로 돌출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protrusion is,
It protrudes in a ring shape from the above body part,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in which first micro-protrusions, second micro-protrusions, and third micro-protrusions are additionally protruded from the above-mentioned ring-shaped protrus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돌기부는,
상기 몸체부에 대하여 원통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원통형으로 돌출된 돌기에서 상기 몸체부에 부착되지 않은 일 말단의 모서리를 감싸고 돌출되는 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주돌기에서 상기 몸체부 방향의 일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원통형으로 돌출된 돌기에 굴곡을 형성하는 부돌기를 포함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third protrusion above is,
Protruding cylindrically from the above body part,
A main protrusion is formed by wrapping around the edge of one end of the protrusion that is not attached to the body part and protruding in the above cylindrical protrusion,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ing device including a secondary protrusion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protrusion on one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forms a curve in the cylindrical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서 연장되어 영유아의 손목을 감싸도록 체결구를 형성하는 손목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손목밴드가 상기 몸체부와 함께 개방되는 일 말단이 연장되어 제1체결돌기 및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형성되지 않은 타 말단에 상기 제1체결돌기 및 상기 제2체결돌기가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손목밴드를 따라 상기 체결공에서 연장되어 체결연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손목밴드는 상기 몸체부가 자립 가능하도록 하부 모서리가 편평하게 형성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wrist joint is,
It includes a wrist band that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forms a fastening member to wrap around the wrist of an infant or toddler.
The wrist band has an end that opens together with the body part, and a first fastening projection and a second fastening projection are formed.
A fastening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where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are not formed so that the first fastening projection and the second fastening projection can be joined,
A fastening extension hole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astening hole along the wrist band.
The above wristband is a wristband-type three-way teether in which the lower edge is formed flat so that the body part can be self-support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영유아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홈을 포함하여 굴곡이 형성되는 손목밴드형 3방향 치아 발육기.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andle is a wristband-type 3-way teether with a curved shape including a groove to prevent the hands of infants and toddlers from slipping.
KR1020230157554A2023-11-142023-11-143way wrist teetherPendingKR202500710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157554AKR20250071024A (en)2023-11-142023-11-143way wrist teet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157554AKR20250071024A (en)2023-11-142023-11-143way wrist teeth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50071024Atrue KR20250071024A (en)2025-05-21

Family

ID=95931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157554APendingKR20250071024A (en)2023-11-142023-11-143way wrist teeth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50071024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119019B1 (en)2018-08-312020-06-04이석진Wrist teet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119019B1 (en)2018-08-312020-06-04이석진Wrist teeth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CA2474737C (en)Teether
US11793729B2 (en)Teether with wristband
ES2694225T3 (en) Teether
US20070288056A1 (en)Mitten teether/pacifier
US20090035048A1 (en)Finger toothbrush
US3690324A (en)Baby{40 s pacifier
US11446213B2 (en)Teething growth device having wrist band
KR20250071024A (en)3way wrist teether
KR101976272B1 (en)Multidirectional biteable upper part opening type wrist teether
KR101786033B1 (en)Anti finger sucking device
KR102713676B1 (en)Teether
CN110198698B (en)Tooth fixing device with wrist strap
KR102093937B1 (en)Teething ring having improved structure
CN213191316U (en)Hand-sleeved adjustable baby gutta-percha
KR101717346B1 (en)Baby Hand Covers
KR200499229Y1 (en)teether
US20110245870A1 (en)Teether Rings
CN111494215A (en)Pacifying nipple
KR20160046084A (en)Finger sucking prevention Braces
KR101656580B1 (en)Finger sucking prevention Braces
KR200301232Y1 (en)Device for Preventing Thumb-Sucking
JP3162395U (en) Feeding aids
US10335350B1 (en)Pacifier which helps wean toddlers off pacifiers
JPH0342901Y2 (en)
CN211410223U (en)Chew toy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1114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1114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5021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