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74682A -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 Google Patents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74682A
KR20240174682AKR1020230074220AKR20230074220AKR20240174682AKR 20240174682 AKR20240174682 AKR 20240174682AKR 1020230074220 AKR1020230074220 AKR 1020230074220AKR 20230074220 AKR20230074220 AKR 20230074220AKR 20240174682 AKR20240174682 AKR 20240174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tube
guide tube
pair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경민
Original Assignee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filedCritical신경민
Priority to KR1020230074220ApriorityCriticalpatent/KR20240174682A/en
Priority to PCT/KR2024/006492prioritypatent/WO2024253347A1/en
Publication of KR20240174682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74682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는 일단에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과,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간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와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클립과 타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 연결체 ; 상기 삽입관에 구비된 고정관체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구와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안내관체 ; 및 상기 제1안내관체의 타관과 결합되는 접속관체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집게편과 대응하는 외면에 한쌍의 개구부를 개구형성하고,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에 구비된 굴곡부가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노출되면서 구속해제되는 클립의 한쌍의 집게를 벌림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comprises: an insertion tube having a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at one end and arranged internally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a clip having a pair of forceps pieces whose ends are bent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whose lengths intersect each other; a clip connecting body having one end hook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the other end hooked to the clip; a first guide tub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a fixed tube provided on the insertion tube,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body hooked to the connection port is arranged so as to be guided and movable; and a second guide tube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a connecting tube coupled to the other tube of the first guide tube, and having a pair of openings formed on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orceps pieces,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body hooked to the clip is arranged so as to be guided and movable; wherein a bent portion provided on the clip is positioned at the opening and exposed, thereby converting a pair of forceps of the clip to an open state when they are released.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는 클립의 반복적인 벌림작동, 오므림 작동 및 클립의 회전작동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capable of simply and stably performing repeated spreading operations, retracting operations, and rotating operations of a clip for clamping body tissue.

일반적으로 신체의 병변부위를 내시경을 통한 수술 또는 복강경 시술등을 수술 중에 병변부위의 일부 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포셉(Forcep), 병변부위에 이미 시술한 스텐트 등을 제거하기 위한 스네어(Snare) 및 신체에 들어 있는 담석과 같은 이물질을 부수기 위한 스톤 바스켓(Stone Basket)등이 알려져 있다.In general, forceps are known for separating some tissue from a lesion site during surgery such as endoscopic surgery or laparoscopic surgery, snares for removing stents already inserted in the lesion site, and stone baskets for crush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gallstones in the body.

이 중 포셉은 체내 조직을 조직학적으로 검사하여 질병의 유무 또는 그 진행 정도를 진단하기 위하여 내시경과 함께 인체의 장기나 체강 등에 삽입되어 체내 조직을 채취하는 도구이다.Among these, forceps are tools that are inserted into organs or body cavities of the human body together with an endoscope to collect tissues in order to histologically examine the tissues in the body and diagnose the presence or progression of a disease.

체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한 일회용 내시경 처리장치는 집게을 구비하여 체내 조직을 집어서 채취하는 클립과, 상기 집게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집게를 작동할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한다.A disposable endoscopic processing device for collecting body tissue includes a clip equipped with forceps for picking up and collecting body tissue, and a handle for operating the forceps using a wire connected to the forceps.

체내 조직을 채취하기 위해선 먼저 와이어로 연결된 클립을 내시경과 함께 체내에 삽입한 후 채취할 체내 조직에 위치시킨다.To collect body tissue, a clip connected to a wire is first inserted into the body together with an endoscope and then positioned on the body tissue to be collected.

그리고 상기 손잡이로 클립을 작동시키면, 와이어가 이동하여 벌어진 클립을 오므림 작동시켜 오므려지는 클립에 의해서 체내 조직이 클램핑된 다음 손잡이를 사용하여 체내 조직이 클램핑된 집게를 체외로 꺼내면 체내조직이 절제되면서 채집되는 것이다.And when the clip is operated with the handle, the wire moves to retract the spread clip, and the tissue in the body is clamped by the retracted clip, and then when the handle is used to pull the forceps with the clamped tissue out of the body, the tissue in the body is resected and collected.

(특허문헌 1) KR10-2014087 B1(Patent Document 1) KR10-2014087 B1

(특허문헌 2) KR10-1667744 B1(Patent Document 2) KR10-1667744 B1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는 손잡이로부터 연장된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된 집게인 클립을 손잡이의 전후진 및 회전조작에 의해서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여 절제분리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s 1 and 2 disclose a method of clamping and resecting body tissue at a lesion site by moving the clip, which is a pair of forceps connected via a wire extending from a handle, forward and backward and by rotating the handle.

그러나, 정확한 위치에서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여 절제 분리하기 위해서는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서 클립을 최대로 개각시키는 벌림 작동 및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기 위한 오므림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원활하지 않고, 체내 조직에 대한 정확한 클램핑이 수행되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However, in order to clamp and resect the body tissue of the lesion site at an accurate location, it is not smooth to repeatedly perform the spreading operation to open the clip to the maximum angle and the closing operation to clamp the body tissue by manipulating the handle, and accurate clamping of the body tissue is not performed,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또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서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도록 오므려진 클립을 회전조작하는 것이 원활하지 못하여 클립으로 집어서 클램핑한 체내 조직을 병변 부위로부터 절제하여 분리후 채집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면서 사용상 불편함을 초래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clip, which is folded to clamp the body tissue by rotating the handle, is not smooth, the work of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body tissue that is picked up and clamped by the clip after resecting it from the lesion site is not smoothly performed, resulting in inconvenience in us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는 클립의 반복적인 벌림작동, 오므림 작동 및 클립의 회전작동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that can easily and stably perform repeated spreading operations, retraction operations, and rotation operations of a clip for clamping body tissu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단에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과,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간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와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클립과 타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 연결체 ; 상기 삽입관에 구비된 고정관체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구와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안내관체 ; 및 상기 제1안내관체의 타관과 결합되는 접속관체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집게편과 대응하는 외면에 한쌍의 개구부를 개구형성하고,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에 구비된 굴곡부가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노출되면서 구속해제되는 클립의 한쌍의 집게를 벌림 상태로 전환시키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n insertion tube having a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at one end thereof and arranged internally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and a clip having a pair of forceps pieces whose ends are bent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whose middle lengths intersect each other; a clip connecting body having one end hook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the other end hooked to the clip; a first guide tube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a fixed tube provided on the insertion tube,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body hooked to the connection port is arranged so as to be guided and movable; and a second guide tube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a connecting tube coupled to the other tube of the first guide tube, and having a pair of openings formed on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forceps pieces,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body hooked to the clip is arranged so as to be guided and movable; wherein a bent portion provided on the clip is positioned at the opening and exposed, thereby converting a pair of forceps of the clip to an open state when they are released.

이때, 상기 제1안내관체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편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관체의 외면에 함몰형성된 환고리형 결합홈에 걸림연결되는 제1결합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guide tube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elastic piece formed by a cutting portion cut outwardly at an e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piece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step that is hooked and connected to a ring-shaped coupling groove sunken into an outer surface of the fixed tube body.

이때, 상기 제2안내관체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편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관체의 외면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에 걸림연결되는 제2결합턱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tube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elastic piece formed by a second cut portion cut outwardly at an end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elastic piece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step that is hooked and connected to a coupling hol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이때, 상기 제2안내관체는 상기 제2탄성편과 대응하는 내부면에 상기 클립과 대응하는 제2안내관체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안내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guide tube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in a recessed manner on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astic piece so as to extend to an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corresponding to the clip.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는, 클립의 굴곡부를 제2안내관체의 내부에서 전후진시키면서 제2안내관체의 내면에 구속된 상태에서 제2안내관체의 개구부에 노출시켜 구속해제함으로써 클립의 굴곡부를 제2안내관체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외부로 완전 노출시킨 다음 제2안내관체의 개방된 단부로 재진입시키는 것에 비하여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나 번거움없이 클립의 벌림 및 오므름 상태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클립을 반복적으로 벌림 작동 및 오므림 작동시켜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여 절제하는 내시경 시술 작업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체내 조직의 채취효율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lip's spread and closed states to be easily and quickly switched without errors or inconveniences occurring during the switching process, as compared to a process in which the clip's curved portion is exposed to the opening of the second guide tube while being restrained inside the second guide tube while moving the clip forward and backward inside the second guide tube, and then re-entering the clip's open en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nd stably perform an endoscopic treatment to clamp and resect body tissue by repeatedly operating the clip to spread and close,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arvesting body tissue.

손잡이의 간단한 회전조작에 의해서 제1,2안내관체와 더불어 클립을 삽입관의 고정관체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벌림 상태 또는 오므림 상태의 클립을 회전변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체내 조직을 클램핑한 클립의 회전에 의해서 체내 조직을 절제하여 분리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채취하고자 하는 체내 조직에 대한클립의 클램핑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여 내시경 시술 효율을 높일 수 있다.By simply rotating the handle, the clip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fixed tube of the insertion tube along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thereby rotating and displacing the clip in the spread or closed state. Therefore, the work of resecting and separating the tissue in the body can be smoothly performed by rotating the clip that has clamped the tissue in the body, and the clamping position of the clip for the tissue in the body to be extracted can be accurately aligned,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endoscopic procedur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서 클립 후진이동에 의한 오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서 클립 후진이동에 의한 오므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서 벌어진 클립과 오므려진 클립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folding due to backward movement of a clip i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folding due to backward movement of a clip i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rotational states of an opened clip and a closed clip i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by which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the configurations may hav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ed example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cribe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in front of," "behind," "above," or "below"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includes not only being positioned "in front of," "behind," "above," or "below" the other component in direct contact with it, but also cases where there are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Furthermore,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it includes cases where they are in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well as cases where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a 와 도 3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a and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and 5b are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100)는 도 1, 도 2 및 도 3a,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구(12)를 갖는 와이어(15)가 안내이동되는 삽입관(10), 한쌍의 집게(21a,21b)를 갖는 클립(20), 상기 클립(20)과 연결되는 클립 연결체(30) 및 상기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되는 제1안내관체(40)와 제2안내관체(60)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s shown in FIGS. 1, 2, and 3a and 3b, an insertion tube (10) through which a wire (15) having a connection port (12) is guided, a clip (20) having a pair of forceps (21a, 21b), a clip connecting body (30) connected to the clip (20), and a first guide tube (40) and a second guide tube (60) through which the clip connecting body is guided.

상기 삽입관(10)은 도 1, 도 2 및 도 3a, 도 3b 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 튜브관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중공 튜브관의 내부공을 통해 외력에 의해서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조작용 와이어인 일정길이의 와이어(15)를 포함하여 시술시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된다.The above insertion tube (10) is made of a hollow tube having a certain length as shown in FIGS. 1, 2, and 3a and 3b, and includes a wire (15) of a certain length, which is a manipulation wire that is inserted and arranged to be able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n external force through the inner hole of the hollow tube, and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of the endoscope during the procedure.

상기 삽입관(10)은 내시경의 삽입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만곡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 insertion tube (1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flexible overall so that it can naturally bend along the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상기 와이어(15)의 선단에는 상기 클립(20)과 선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 연결체(30)의 후단에 접속연결되는 원추단면상의 접속구(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p of the above wire (15) may include a conical cross-section-shaped connecting hole (12) that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a clip connecting body (30) through which the tip is hooked and connected to the clip (20).

이러한 접속구(12)의 후단에는 와이어(15)의 선단과 일체로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구(12a)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12)를 선단에 구비하는 와이어(15)의 후단은 상기 삽입관의 내부에 배치된 와이어(15)의 전후진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하여 조작하는 손잡이(17)와 연결된다.The rear end of the connection port (12) includes a wire connection port (12a) tha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tip of the wire (15), and the rear end of the wire (15) having the connection port (12) at the tip is connected to a handle (17) that the user holds and operates so that the wire (15) placed inside the insertion tube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rotated.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6 은 상기 삽입관과 연결되어 전후진 방향(A) 및 회전방향(B)으로 조작되는 손잡이(17)를 지지하는 홀더부재이다.In Fig. 1, the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6 is a holder member that supports a handle (17) that is connected to the insertion tube and is operated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 and the rotational direction (B).

상기 클립(20)은 도 2 와 도 3a 및 도 3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간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21a,21b)를 구비하여 상기 클립 연결체(30)의 선단과 걸림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3a and 3b, the clip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orceps (21a, 21b) whose ends face each other and whose lengths intersect each other, so that the clip can be hooked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clip connecting body (30).

이러한 클립(20)은 상기 클립 연결체와 걸림연결되어 후술하는 접속관체(70)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제1안내관체(40)와 제2안내관체(60)의 내부에 수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se clips (20) can be accommodated and placed inside the first guide tube (40) and the second guide tube (60) which are connected by means of a connecting tube (70) described later by being hooked to the clip connecting body.

한쌍의 집게(21a,21b)는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된 일단에 톱니부(22a,22b)를 갖는 일정길이의 집게판(23a,23b)과, 상기 집게판(23a,23b)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어 서로 교차되는 교차판(24a,24b) 및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24a,24b)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판(25)을 포함한다.A pair of forceps (21a, 21b) includes forceps plates (23a, 23b) of a predetermined length having sawtooth portions (22a, 22b) at one end that are bent to face each other, cross plates (24a, 24b) that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orceps plates (23a, 23b)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tersect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late (25) that integrally connects one end of the pair of cross plates (24a, 24b) that intersect each other.

상기 톱니부(22a,22b)는 외측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집게(21a,21b)들간의 근접에 따른 오므림 작동시 서로 맞물려 내시경을 통한 시술시 체내 조직의 일부를 절제하여 분리하기 위한 클램핑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집게판(23a,23b)의 각 단부에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The above-mentioned gear parts (22a, 22b) are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at each end of the pair of forceps plates (23a, 23b) so that they interlock with each other when the pair of forceps (21a, 21b) that spread outwardly come into contact and operate in a manner that generates a clamping force for cutting and separating a portion of the body tissue during an endoscope procedure.

상기 집게판(23a,23b)은 대략 원형공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제1,2안내관체 내부에서의 이동시 마찰저항에 의한 관체 내부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gripping plates (23a, 23b)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arcuate cross-section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due to frictional resistance when moving within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which are formed in an approximately circular cross-section.

상기 교차판(24a,24b)은 상기 집게판(23a,23b)의 판폭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폭크기를 갖는 판부재로 이루어져 서로 교차되며, 상기 연결판(25)은 상기 교차판(24a,24b)의 각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판부재이다.The above cross plates (24a, 24b) are made of plate members having a width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grip plates (23a, 23b) and intersect each other, and the connecting plate (25) is a plate member that is bent from each end of the cross plates (24a, 24b) and connects them to each other.

이때, 상기 교차판(24a,24b)의 폭은 상기 한쌍의 집게(21a,21b)의 탄성적인 벌림 및 오므림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집게판(23a,23b)의 대략 1/2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cross plate (24a, 24b) be provided to be approximately half the size of the gripper plate (23a, 23b) so that the elastic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air of grippers (21a, 21b)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집게판(23a,23b)보다 폭이 좁은 교차판(24a,24b)에는 벌림 및 오므림 변형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도록 외측으로 밴딩된 굴곡부(26a,26b)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ross plates (24a, 24b) narrower than the grip plates (23a, 23b) may include a bent portion (26a, 26b) that is bent outwardly to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restores the original state when deformed by spreading or folding.

이때, 상기 굴곡부(26a,26b)는 상기 제2안내관체의 내면과 접해져 구속되는 경우 한쌍의 집게(21a,21b)의 벌림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상기 굴곡부(26a,26b)가 상기 제2안내관체(60)에 관통형성된 개구부(65)에 노출되어 구속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집게(21a,21b)는 벌어진 개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bent portion (26a, 26b)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tube and is restrained, the spread state of a pair of forceps (21a, 21b) is maintained, whereas when the bent portion (26a, 26b) is exposed to the opening (65) formed through the second guide tube (60) and the restraint is released, the forceps (21a, 21b) are maintained in the spread state.

상기 클립 연결체(30)는 도 2,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a,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12)와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클립(20)과 타단이 걸림연결되고, 접속관체(70)를 매개로 하여 연통 연결된 제1안내관체(40)와 제2안내관체(6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20)과 접속구(12)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As shown in FIGS. 2, 3a, 3b, 4, and 5a, 5b, the above clip connector (30) is a connecting member that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nnection port (12), at the other end to the clip (20), and is arranged inside the first guide tube (40) and the second guide tube (60)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connection tube (70). The clip (20) and the connection port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러한 클립 연결체(30)는 원추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속구(12)가 도면상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대응삽입되어 걸림연결되는 원추단면상의 제1걸림홈(33)을 함몰형성한 제1연결구(31)와, 상기 클립(20)의 후단에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연결판(25)이 도면상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수직방향으로 대응삽입되어 걸림연결되는 일자형 제2걸림홈(34)을 함몰형성한 제2연결구(32)를 양단에 각각 구비하는 일정길이의 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This clip connector (30) may include a connecting bar of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has a first connecting hole (31) formed in a cone-shaped cross-section and has a first engaging groove (33) sunken into it, into which a connecting hole (12) formed in a cone-shaped cross-section is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and a second connecting hole (32) formed in a plate-shaped cross-section and has a second engaging groove (34) sunken into it, into which a connecting plate (25)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t the rear end of the clip (20) is vertically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drawing, and into which a connecting plate (25)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t the rear end of the clip (20) is vertically inserted and connected.

그리고, 상기 접속구(12)와 와이어 연결구(12a)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네크는 상기 제1걸림홈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네크홈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네크홈에 형성된 평면상의 내면과 면접촉될 수 있도록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ck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 (12) and the wire connection port (12a) is inserted into a neck groove extending outward from the first engaging groove, and may include a flat surface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lat surface formed in the neck groove.

이러한 경우, 상기 클립(20)과 와이어(15)는 상기 클립 연결체(30)를 매개로 하여 상기 손잡이(17)와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손잡이(17)의 전후진 조작시 상기 클립(20)은 상기 제1,2안내관체의 내부에서 전후진 방향(A)으로 왕복이동되고 상기 손잡이(17)의 회전 조작시 상기 클립(20)은 상기 제1,2안내관체와 더불어 회전방향(B)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ip (20) and wire (15) are connected to the handle (17) via the clip connecting body (30), so that when the handle (17)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clip (20) moves back and for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 inside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and when the handle (17) is rotated, the clip (20) can rotat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B) together with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상기 제1안내관체(40)는 도 2,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a,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10)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된 고정관체(50)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구(12)와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30)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공원통부재이다.As shown in FIGS. 2, 3a, 3b, 4, and 5a, 5b, the above first guide tube (40)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in which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a fixed tube (50) integrally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sertion tube (10), and a clip connecting body (30) hooked to the connecting port (12) is arranged to be movable in a guided manner.

이러한 제1안내관체(40)는 상기 고정관체(50)와 대응하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제1절개부(44)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편(4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uide tube (40)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elastic piece (41) formed by a first cut portion (44) cut outward at an end corresponding to the fixed tube (50).

상기 제1탄성편(41)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관체(50)의 외면에 함몰형성된 환고리형 결합홈(52)에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면서 상기 고정관체에 대하여 상기 제1안내관체의 회전이동을 허락하도록 상기 제1안내관체와 고정관체와의 사이를 결합하는 제1결합턱(4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41)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step (42) that is elastically hooked onto a ring-shaped coupling groove (52)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body (50) and that couples the first guide body and the fixed body to allow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guide body with respect to the fixed body.

상기 고정관체(50)는 상기 삽입관(10)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추어 상기 삽입관의 본딩결합되는 본딩결합부(51)를 포함하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 fixed body (50)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an outer diameter identical to that of the insertion tube (10) and including a bonding joint (51) to which the insertion tube is bonded.

이때, 상기 결합홈(52)은 상기 제1탄성편(41)의 단부가 상기 본딩결합부와 접해지면서 상기 제1결합턱이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도록 상기 본딩결합부(51)에 접하여 환고리형으로 함몰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groove (52) be formed in a ring shape by contacting the bonding joint (51) so that the first bonding projection is elastically hooked when the end of the first elastic piece (4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nding joint.

이에 따라, 상기 제1안내관체는 상기 제1탄성편의 제1결합턱이 상기 고정관체의 결합홈에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면서 상기 고정관체와 결합되고, 상기 접속구와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의 제1연결구는 상기 와이어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안내관체에 배치되거나 상기 고정관체를 통과하여 삽입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위치변경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guide tube is connected to the fixed tube by elastically engaging the first coupling jaw of the first elastic piece in the engaging groove of the fixed tube, and the first connection port of the clip connection body that is engaged with the connection port can be positioned on the first guide tube or positioned inside the insertion tube by passing through the fixed tub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wire.

그리고, 상기 제1결합턱은 상기 결합홈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안내이동되면서 상기 삽입관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고정관체에 대한 제1안내관체의 회전이동을 허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step can allow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guide tube relative to the fixed tube integrally fixed to the end of the insertion tube while being gui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oupling groove.

상기 제2안내관체(60)는 도 2, 도 3a, 도 3b, 도 4 및 도 5a,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관체(40)의 타단과 결합되는 접속관체(70)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클립(20)과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30)가 안내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중공원통부재이다.As shown in FIGS. 2, 3a, 3b, 4, and 5a, 5b, the second guide tube (60) i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in which one end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connecting tube (70)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guide tube (40), and in which a clip connecting body (30) that is hooked to the clip (20) is arranged to enable guided movement.

상기 제2안내관체(60)는 상기 클립(20)에 구비되는 한쌍의 집게(21a,21b)와 대응하는 외면에 대략 직각단면상으로 관통형성되어 상기 클립에 구비된 굴곡부(26a,26b)와의 대응시 이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한쌍의 개구부(65)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guide tube (60) may include a pair of openings (65) formed in an approximately right-angled cross-section through th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a pair of tongs (21a, 21b) provided on the clip (20) and exposing it to the outside when in contact with a bent portion (26a, 26b) provided on the clip.

이러한 제2안내관체(60)는 상기 접속관체(70)와 대응하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64)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편(61)을 포함할 수 있다.This second guide tube (60) may include at least one second elastic piece (61) formed by a second cut portion (64) cut outward at an end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ng tube (70).

상기 제2탄성편(61)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관체(70)의 외면에 관통형성된 결합공(72)에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면서 상기 제2안내관체와 접속관체와의 사이를 결합하는 제2결합턱(62)을 포함할 수 있다.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61) may include a second coupling projection (62) that is elastically hooked to a coupling hole (72)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70) and connects the second guide pipe and the connecting pipe.

상기 접속관체(70)는 상기 제1안내관체(40)의 선단이 내부면으로 대응삽입되고, 상기 제2안내관체(60)의 후단이 내부면으로 대응삽입되어 이들 사이를 서로 연통연결하는 중공원통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onnecting pipe (70) may be provided as a hollow cylindrical member in which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pipe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guide pipe (6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there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이때, 상기 접속관체(70)의 길이중앙 외부면에는 상기 제1안내관체(40)의 선단과 상기 제2안내관체의 후단이 접해지는 환고리형 돌출턱(73)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central length of the connecting pipe (70) may include a ring-shaped protrusion (73) through which the front end of the first guide pipe (40)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guide pipe come into contact.

또한, 상기 제2안내관체(60)는 상기 제2탄성편(61)과 대응하는 내부면에 상기 클립과 대응하는 제2안내관체(60)의 단부까지 상기 클립 연결체(30)의 전후진방향과 나란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요홈(66)을 함몰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guide tube (60) can form a guide groove (66)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clip connecting body (30) to an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60) corresponding to the clip on the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astic piece (61).

이러한 경우, 상기 클립이 걸림연결되는 제2걸림홈(34)을 형성하는 제2연결구(32)의 상,하단은 원주방향으로 개구부(65)와 대략 90도의 간격을 두고 상기 제2안내관체의 내부면에 함몰형성되는 한쌍의 안내요홈(66) 측으로 돌출형성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2연결구(32)의 상,하단 돌출부위는 상기 손잡이의 전후진 조작에 기인하는 클립 연결체(30)의 전후진시 상기 한쌍의 안내요홈을 따라 전후진 왕복이동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의 회전조작에 기인하는 클립 연결체(30)의 회전시 상기 제1,2안내관체를 클립과 더불어 고정관체에 대하여 회전이동시킬 수 있도록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2) forming the second engaging groove (34) through which the clip is engaged are arranged to protrude toward a pair of guide grooves (66)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tube at a distance of approximately 90 degrees from the opening (65)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upper and lower protruding portions of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2) can reciprocally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pair of guide grooves when the clip connecting member (3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du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handle, and can generate an engaging for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fixed tube together with the clip when the clip connecting member (30) is rotated due to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andle.

또한, 상기 제2탄성편(62)은 함몰형성되는 안내요홈(66)의 단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제2탄성편의 판두께가 상기 클립의 굴곡부(26a,26b)가 접해지는 제2안내관체의 판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관체(70)의 결합공(72)에 걸림연결되는 제2탄성편의 탄성복원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상기 클립(30)의 굴곡부(26a,26b)는 제2탄성편의 판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된 제2안내관체의 내면과 접하여 왕복이동되면서 부품의 내구성을 확보하고 부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elastic piece (6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groove (66) that is formed to be sunken, and the plate thickness of the second elastic piece is formed thinn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second guide tube to which the bent portion (26a, 26b) of the clip is in contact, thereby increasing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piece that is hooked and connected to the joint hole (72) of the connecting tube (70), and the bent portion (26a, 26b) of the clip (30)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er than the plate thickness of the second elastic piece, thereby reciprocating and securing the durability of the part and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part.

이에 따라, 상기 제2안내관체는 상기 제2탄성편의 제2결합턱이 상기 접속관체의 결합공에 탄력적으로 걸림연결되면서 상기 접속관체와 결합되고, 상기 클립과 연결된 클립 연결체의 제2연결구는 상기 와이어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상기 제2안내관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위치변경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second guide tube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ube by elastically engaging the second coupling jaw of the second elastic piece in the connecting hole of the connecting tube,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 of the clip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clip is positioned and changed inside the second guide tube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wire.

그리고, 상기 손잡이의 전후진 조작에 의해서 클립 연결체와 더불어 이동되는 클립의 굴곡부가 상기 제2안내관체의 개구부에 위치되면, 상기 제2안내관체의 내면과 접하여 구속되어 굴곡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노출되면서 구속해제되어 상기 클립의 한쌍의 집게는 오므림 상태에서 벌림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And, when the bent portion of the clip, which moves together with the clip connecting body by the forward and backward operation of the handle,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of the second guide tube, the bent portion is restrained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tube, and the restraint is released when the bent port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so that the pair of tongs of the clip are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ed state.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서 클립 후진이동에 의한 오므림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서 클립 후진이동에 의한 오므림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folding due to backward movement of a clip in a disposable endoscope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folding due to backward movement of a clip in a disposable endoscope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손잡이(17)의 후진조작과 연동하는 클립(20)의 후진이동에 의하여 벌어져 있던 클립(20)의 집게(21a,21b)를 벌림 상태에서 오므림 상태로 전환하는 작업은, 도 6 과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의 후진조작에 의해서 삽입관(10) 내부의 와이어(15)가 후진이동되면, 상기 접속구(12)와 연결된 클립 연결체(30)가 상기 제1,2안내관체(40,60)의 내부에서 후진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 연결체와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클립(20)의 굴곡부(26a,26b)는 상기 제2안내관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65)에 위치되어 구속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제2안내관체(60)의 내면에 접해지는 구속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operation of switching the clip (20)'s grippers (21a, 21b) from the opened state to the closed state by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lip (20) in conjunction with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handle (17) is such that when the wire (15) inside the insertion tube (10) is moved backward by the backward operation of the handle, the clip connector (3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2) is moved backwar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40, 60), and therefore, the bent portion (26a, 26b) of the clip (20) that is moved backward together with the clip connector is positioned in the opening (65) formed through the second guide tube and is switched from an unbound state to a bound state in which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tube (60).

이러한 경우, 상기 클립에 구비되는 한쌍의 집게는 벌림 상태에서 오므림 상태로 전환되어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절제하여 분리할 수 있도록 클램핑하게 된다.In such a case, a pair of forceps provided in the clip is switched from a spread state to a closed state to clamp the body tissue at the lesion site so that it can be resected and separated.

반면에,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언클램핑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17)의 전진조작과 연동하는 클립(20)의 전진이동에 의하여 오므려져 있던 클립(20)의 집게(21a,21b)를 벌림 상태로 전환하는 작업은, 도 2 와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의 전진조작에 의해서 삽입관 내부의 와이어가 전진복귀이동되면, 상기 접속구(12)와 연결된 클립 연결체(30)가 상기 제1,2안내관체(40,60)의 내부에서 전진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 연결체(30)와 더불어 전진이동되는 클립(20)의 굴곡부(26a,26b)는 상기 제2안내관체(60)의 내면에 접해진 구속상태에서 상기 제2안내관체에 관통형성된 개구부(65)에 위치하여 외부노출되면서 구속해제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unclamp the body tissue of the lesion site, the work of switching the forceps (21a, 21b) of the clip (20), which had been closed, to an open state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lip (20) linked with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handle (17), as shown in FIGS. 2 and 4, when the wire inside the insertion tube is moved forward and back by the forward operation of the handle, the clip connector (3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2) is moved forwar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40, 60), so that the bent portion (26a, 26b) of the clip (20), which is moved forward together with the clip connector (30), is switched from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tube (60) to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released from being positioned in the opening (65) formed through the second guide tube.

이러한 경우, 상기 클립에 구비되는 한쌍의 집게는 체내 조직의 클램핑을 위한 오므림 상태에서 벌림 상태로 전환되어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언클램핑하거나 다른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기 위해서 벌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such a case, a pair of forceps provided in the clip can be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for clamping body tissue to a spread state, and can be maintained in a spread state for unclamping body tissue at a lesion site or for clamping body tissue at another lesion site.

즉, 상기 손잡이의 간단한 후진 및 전진복귀 조작에 의해서 클립의 굴곡부를 개구부에 대응위치시키면서 구속을 해제하거나 상기 제2안내관체의 내면에 접하여 구속시킴으로써 상기 클립의 굴곡부를 제2안내관체의 개방된 단부를 통해 외부노출시켜 벌림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제2안내관체의 개방된 단부 내면과 접하록 재진입시키는 과정에서 클립이 탈락하거나 재진입이 곤란해지는 오작동의 염려없이 상기 클립에 구비되는 한쌍의 집게를 오므림 상태에서 벌림 상태로 그리고 벌림 상태에서 오므림 상태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by simply moving the handle backward and forward, the bending portion of the clip is released from the restraint by positioning it relative to the opening or restrained by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tube, thereby exposing the bending portion of the clip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and converting it to the opened state, and then re-entering it so as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open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so that the clip can be quickly and easily switched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ed state and from the opened state to the closed state without worrying about a malfunction such as the clip falling off or being difficult to re-enter.

도 8a 및 도 8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에서 벌어진 클립과 오므려진 클립의 회전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S. 8A and 8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rotational states of an opened clip and a closed clip i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손잡이(17)의 회전조작과 연동하여 오므려져 있거나 벌어져 있는 클립(20)을 회전변위시키는 작업은, 도 8a 와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안내관체(40)에 구비되는 제1탄성편의 제1결합턱이 상기 고정관체(50)의 외면에 환고리형으로 함몰형성된 결합홈에 걸림연결되면서 상기 결합홈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안내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손잡이의 회전조작시 상기 접속관체(70)를 매개로 연결된 제1,2안내관체(40,60)는 상기 클립과 더불어 상기 고정관체(5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work of rotating and displacing the clip (20) that is folded or sprea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andle (17) is performed because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of the first elastic piece provided on the first guide tube (40) is hooked and connected to a coupling groove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tube (50) and can be guided and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coupling groove, so that when the handle is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40, 60)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tube (70)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tube (50) together with the clip.

이때, 상기 클립의 굴곡부(26a,26b)는 상기 개구부(65)에 배치되거나 상기 클립 연결체(30)의 제2연결구(32) 상,하단이 안내요홈에 배치되면서 상기 제2안내관체와의 걸림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접속관체를 매개로 연결된 제1,2안내관체(40,60)를 클립과 더불어 상기 고정관체(50)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원활하게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bent portion (26a, 26b) of the clip is placed in the opening (65) or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 (32) of the clip connecting body (30) are placed in the guide groove, thereby generating a locking force with the second guide tube, thereby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guide tubes (40, 60) connected via the connecting tube to smoothly rotate in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xed tube (50) together with the clip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handle.

이러한 경우, 벌림 상태로 전환된 클립(20) 또는 오므림 상태로 전환된 클립(20)은 상기 손잡이의 회전이동량에 맞추어 회전변위되면서 클램핑된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절제하여 분리하거나 병변 부위의 체내 조직을 클램핑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회전변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lip (20) converted to the spread state or the clip (20) converted to the closed state can be rotated and displac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amount of the handle so as to resect and separate the body tissue of the clamped lesion site or change the position at which the body tissue of the lesion site is clamp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삽입관12 : 접속구
15 : 와이어17 : 손잡이
20 : 클립21a,21b : 집게
24a,24b : 교차판26a,26b : 굴곡부
30 : 클립 연결체31 : 제1연결구
32 : 제2연결구33 : 제1걸림홈
34 : 제2걸림홈40 : 제1연결관체
41`: 제1탄성편42 : 제1결합턱
50 : 고정관체52 : 결합홈
60 : 제2안내관체61 : 제2탄성편
62 : 제2결합턱65 : 개구부
70 : 접속관체72 : 결합공
10: Insertion tube 12: Connection port
15: Wire 17: Handle
20:Clip 21a,21b: Forceps
24a,24b:Cross plate 26a,26b: Bend section
30: Clip connector 31: First connector
32: Second connecting port 33: First hanging groove
34: 2nd hanging groove 40: 1st connecting pipe
41`: 1st elastic section 42: 1st connecting jaw
50: Fixed body 52: Joint groove
60: 2nd guide tube 61: 2nd elastic piece
62: Second joint jaw 65: Opening
70: connecting pipe 72: joining hole

Claims (4)

Translated fromKorean
일단에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왕복이동가능하게 내부배치된 삽입관과,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간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 ;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구와 일단이 걸림연결되고, 상기 클립과 타단이 걸림연결되는 클립 연결체 ;
상기 삽입관에 구비된 고정관체와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접속구와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1안내관체 ;
상기 제1안내관체의 타관과 결합되는 접속관체에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한쌍의 집게편과 대응하는 외면에 한쌍의 개구부를 개구형성하고, 상기 클립과 걸림연결된 클립 연결체가 안내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안내관체 ; 를 포함하여,
상기 클립에 구비된 굴곡부가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어 노출되면서 구속해제되는 클립의 한쌍의 집게를 벌림 상태로 전환시키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
A clip comprising: an insertion tube having a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arranged internally so as to be reciprocally movable; and a pair of forceps pieces having ends that are bent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intersecting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length;
A clip connector having one end hooked and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connection port and the other end hooked and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clip;
A first guide tube body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fixed tube body provided in the above insertion tube, and a clip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 in a manner such that it can be guided and moved;
A second guide tube having one end detachably connected to a connecting tube that is connected to the other tube of the first guide tube, a pair of openings formed on an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pair of grippers, and a clip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clip in a manner that allows for guided movement; including
A disposable endoscopic device, wherein a pair of forceps of the clip are opened when the bent portion provided in the clip is exposed and positioned in the opening to release the cl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내관체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절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편의 단부에는 상기 고정관체의 외면에 함몰형성된 환고리형 결합홈에 걸림연결되는 제1결합턱을 포함하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guide body includes at least one first elastic piece formed by a cut portion cut outwardly at an end portio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ncludes a first coupling jaw that is hooked onto a ring-shaped coupling groove formed in a recessed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ed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관체는 단부에 외측으로 절개된 제2절개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탄성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탄성편의 단부에는 상기 접속관체의 외면에 관통형성된 결합공에 걸림연결되는 제2결합턱을 포함하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guide tube includes at least one second elastic piece formed by a second cut portion cut outwardly at an end portion,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ncludes a second connecting jaw that is hooked onto a connecting hole formed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내관체는 상기 제2탄성편과 대응하는 내부면에 상기 클립과 대응하는 제2안내관체의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안내요홈을 포함하는, 일회용 내시경 처치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A 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wherein the second guide tube includes a guide groove formed in an inn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lastic piece so as to extend to an end of the second guide tube corresponding to the clip.
KR1020230074220A2023-06-092023-06-09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CeasedKR20240174682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74220AKR20240174682A (en)2023-06-092023-06-09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PCT/KR2024/006492WO2024253347A1 (en)2023-06-092024-05-13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74220AKR20240174682A (en)2023-06-092023-06-09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74682Atrue KR20240174682A (en)2024-12-17

Family

ID=93795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074220ACeasedKR20240174682A (en)2023-06-092023-06-09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KR (1)KR20240174682A (en)
WO (1)WO2024253347A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703453B1 (en)*2015-11-252017-02-06김병철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793631B1 (en)*2016-12-232017-11-03(주) 태웅메디칼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918711B1 (en)*2018-01-082018-11-14주식회사 인코아Medical clip applier
KR102218943B1 (en)*2019-07-052021-02-23(주) 태웅메디칼Cartridg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CN112137672B (en)*2019-06-282024-11-29南微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Tissue clamping device for passing through endosco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24253347A1 (en)2024-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9844366B2 (en)Needle for laparoscopic suturing instrument
US5342389A (en)Tissue manipulator
US9211125B2 (en)Flexible clip applier
JP3742542B2 (en) Endoscope foreign matter collection tool
CN103717155A (en)Treatment instrument
JP6072365B2 (en) Surgical instruments
US20160100851A1 (en)Push-to-close actuated dual action spaced pivot assembly for surgical instrument jaws, blades, and forceps
JP7592942B2 (en) Micro Forceps
EP2774557A1 (en)Anvil grasper
JPH11502744A (en) Endoscope multi-sample biopsy device with advanced bite action
JP2022522470A (en) Systems, equipment and related methods for fastening organizations
KR20130031403A (en)Structure of effector of surgical instrument
JP2018510717A (en) Endoscope gripping device
KR101109734B1 (en)A Controll Device for the medical Instrument as a like the Forcep
KR101601911B1 (en)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JP3649730B2 (en) Portable sample tube type sample collection device for multiple biopsies
JP6908791B2 (en) Clip unit and mucosal lifting system
KR20240174682A (en)Disposable endoscopic treatment device
JP2018504997A (en) Endoscopic surgery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ples and an endoscopic applicator
JP5695835B2 (en) Surgical instrument
CA2759576A1 (en)Surgical clamp
CN117940077A (en) Clip Instruments
JP7546851B2 (en) Suction head for vacuum-operated surgical graspers
JP2023527537A (en) System for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CN209252952U (en)A kind of stomach endoscope sampling clamp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PN2301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1-asn-PN2301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