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65180A - 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 Google Patents

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5180A
KR20240165180AKR1020230062620AKR20230062620AKR20240165180AKR 20240165180 AKR20240165180 AKR 20240165180AKR 1020230062620 AKR1020230062620 AKR 1020230062620AKR 20230062620 AKR20230062620 AKR 20230062620AKR 20240165180 AKR20240165180 AKR 202401651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angle
elasticity
fixing
sele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26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진
이영직
강보성
변준섭
정규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타약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타약품filedCritical주식회사 메타약품
Priority to KR1020230062620ApriorityCriticalpatent/KR20240165180A/en
Publication of KR2024016518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65180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길이 "?향으?* 장방향 형성되는 스트링 타입이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안착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이 세팅되는 보디부; 및 보디부의 외주면에 외향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며, 보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선택적인 돌출 방향으로 제공되는 리프팅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technical idea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a predetermined directional type region set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o as to allow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o be settled, which is a string typ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length "? direction?"; and a lifting control part which form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is provided in a selective protrusion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본 발명은 봉합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구간별로 방향에 대한 영역을 할당하고, 해당 영역의 선택적 확장과 축소를 통해 영역 범위를 재 편성하며, 다단의 유선을 가진 돌출된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되, 다단의 앵글은 리프팅과 고정 구간을 갖도록 하여 선택적 탄성을 제공함은 물론 목적하는 위치로부터 임의 이탈을 방지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tu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ture system that allocates an area for a direction by section, reorganizes the area range through selec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area, provides a protruding shape with multi-stage streamlines, and the multi-stage angles have lifting and fixing sections to provide selective elasticity while preventing arbitrary departure from a target position, and controls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s.

국제미용성형외과학외(ISAPS)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대한민국 성형 시장 규모는 약5조원으로 추정된다.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Aesthetic Plastic Surgery (ISAPS), the size of the South Korean plastic surgery market in 2017 was estimated at approximately 5 trillion won.

대한민국의 성형 시장은 세계 시장의 4분의 1을 차지할 만큼 활성화되어 있으며, 인구 1000명당 연간 성형수술 건수는 13.5건 정도로 세계 1위를 차지하고 있다.The plastic surgery market in Korea is so active that it accounts for a quarter of the global market, and the number of plastic surgeries per year per 1,000 people is approximately 13.5, ranking first in the world.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국내 미용 성형 산업은 소비 연령층의 확대 및 트랜드 변화로 비침습/최소침습 시술이 증가하게 되었으며, 가정용 미용의료기기의 시장 개화에 따른 지속적 성장도 예상된다.Based on the domestic market, the domestic cosmetic surgery industry is expected to see an increase in non-invasive/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due to the expansion of the consumer age group and changes in trends, and continued growth is also expected due to the opening of the home cosmetic medical device market.

비침습/최소침습 시술의 증가는 회복 기간 및 부작용의 최소화와 즉각적이고 자연스러운 효과를 원하는 소비 트랜드 변화에 기인하는 것이다.The rise of non-invasive/minimally invasive procedures is due to changing consumer trends that want immediate, natural results with minimal recovery time and side effects.

봉합사는 수술, 외상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부를 봉합하거나 성형 수술에서 쓰이는 실로서, 조직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Sutures are threads used to close damaged tissues due to surgery or trauma, or in plastic surgery to support tissues.

봉합사는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 방향으로 장력을 주어 당기게 되면 봉합사의 표면에 위치한 돌기가 조직과 단단히 견착되어 조직을 지지하고 이탈을 방지함으로 피부 조직의 고정 유지 뿐 아니라, 주름 제거까지 가능하도록 한다.When the suture is inserted in one direction and then pulled with tension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protrusions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firmly adhere to the tissue, supporting the tissue and preventing detachment, thereby maintaining the fixation of skin tissue and even removing wrinkles.

리프팅실의 주름개선에 대한 효과는 WSRS (Wrinkle Severity Rating Scale) 또는 GAIS (Global Aesthetic Improvement Scale)의 방법을 사용하며, 리프팅실의 경우, 귀에서 1~1.5cm 앞에서 실을 삽입하고 팔자 주름(Naso-labial fold) 부분까지 실은 넣어 리프팅(lifting)한다.The effectiveness of lifting thread on improving wrinkles is evaluated using the WSRS (Wrinkle Severity Rating Scale) or GAIS (Global Aesthetic Improvement Scale) methods. In the case of lifting thread, the thread is inserted 1 to 1.5 cm in front of the ear and lifted up to the naso-labial fold.

주름 개선 등에 대한 미용 및 성형에 대한 수요가 증가됨에 따라 봉합사를 통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리프팅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봉합사에 관한 선행 특허문헌으로는 "3차원 돌기를 형성하는 봉합사 및 그 제조 방법(공개번호 제10-2022-0021748호,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가 존재한다.As the demand for cosmetic and plastic surgery for wrinkle improvement, etc. increases, research on efficient and effective lifting techniques using sutures is being conducted. As a prior patent document regarding sutures, there exists "Suture forming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ublication No. 10-2022-002174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특허문헌1의 경우, 탄성력을 갖는 봉합사 전신체를 회전 가공하고, 성형 몰드를 통해 봉합사 전신체의 표면에 3차원의 미세돌기(Micro Cog)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봉합사 전신체에 포함되는 주성분의 녹는점 이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의 조건에서, 성형 몰드의 공간적 위치를 변형시켜, 미세돌기가 형성된 봉합사 전신체에 인장력과 회전력을 가함으로써, 3차원 구조를 갖는 봉합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돌기를 형성하는 봉합사 제조방법을 제안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1,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uture forming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is proposed, including the steps of rotating a suture body having elasticity and forming three-dimensional micro-protrusions (micro cogs) on the surface of the suture body through a molding mold, and the step of applying tensile force and rotational force to the suture body on which the micro-protrusions have been formed by deforming the spatial position of the molding mold under conditions of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main component included in the suture body, thereby manufacturing a suture having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마찬가지로 "미늘 봉합사(등록번호 제10-1073980호, 이하 특허문헌2라 한다.)"가 존재한다.Likewise, there exists a “barbed suture (registration number 10-107398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2의 경우, 과용 바늘과 결합되게 인간 또는 동물을 연결하는 미늘 봉합사. 봉합사는 신장된 본체 및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복수개의 미늘을 포함한다. 각각의 미늘은 미늘이 마주보는 반대방향으로 봉합사 이동을 억제하게 한다. 본체 상에서 미늘의 배열은 지그재그, 가연절단 복수 나선, 오버래핑 또는 불규칙일 수 있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2, a barbed suture for connecting a human or an animal in combination with an overuse needle. The suture comprises an elongated body and a plurality of barbs projecting from the body. Each barb restrains movement of the sutur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ich the barbs face. The arrangement of the barbs on the body may be zigzag, twist-cut multiple spiral, overlapping, or irregular.

특허문헌2에 의한 발명에 따르면, 미늘의 모형은 특정의 나선각 α, 미늘 절단각 θ, 미늘 절단깊이, 미늘 절단길이, 미늘절단거리, 주름형 미늘 하측, 아치형 미늘 베이스 또는 변화하는 미늘 사이즈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by patent document 2, the barb model can be a specific helical angle α, barb cutting angle θ, barb cutting depth, barb cutting length, barb cutting distance, wrinkled barb lower side, arched barb base or varying barb size.

또한, "성형 시술용 실(등록번호 제10-1874065호, 이하 특허문헌3이라 한다.)"도 존재한다.In addition, there is also a “thread for plastic surgery (registration number 10-187406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특허문헌3의 경우, 성형 시술용 실에 관한 것으로서, 성형 시술을 위하여 인체의 피부 조직에 삽입될 수 있는 실로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실 몸체; 실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실 몸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돌기를 포함하며, 돌기는, 밑면의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가 실 몸체에 결합되어 있으며, 실 몸체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patent document 3, it relates to a thread for plastic surgery, and is a thread that can be inserted into human skin tissue for plastic surgery, comprising: a thread body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protrusions arranged on the thread body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ad body; and the protrusions ar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a rim of a bottom surface is joined to the thread body and have a pair of horns that are arrang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hread body.

발명에 따르면, 돌기가 피부에 삽입된 후 피부 조직과 견고하게 결합되어 리프팅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fter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skin, it is firmly combined with the skin tissue, so that the lifting effect can last for a long time.

봉합사의 경우 표면이 거칠다는 등의 단점으로 거친 표면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며, 다양한 물리적 구조개선을 통한 유연성 향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In the case of sutures,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improve the disadvantages of rough surfaces, such as rough surfaces, and research on improving flexibility through various physical structural improvements should continue.

공개번호 제10-2022-0021748호Publication number 10-2022-0021748등록번호 제10-1073980호Registration No. 10-1073980등록번호 제10-1874065호Registration No. 10-1874065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제시한다.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presents the following tasks to be solved.

첫째, 봉합사의 영역을 할당하여 방향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영역의 선택적 확장/축소를 통해 영역 범위를 재편성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the suture area is allocated to provide directionality, and the area range can be reorganized through selective expansion/reduction of the area.

둘째, 봉합사 내 방향에 대한 채택을 통해 고정력 부여가 이루어지는 영역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영역의 할당이 가능하도록 한다.Second, the adoption of the direction within the suture allows for allocation of the area where fixation force is provided and the area where elasticity is provided.

셋째, 체내 인입과정에서 조직의 침습을 최소화하고, 목적하는 위치로부터의 임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ird, it minimizes tissue invasion during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effectively prevents arbitrary displacement from the intended location.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은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가진다.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olving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은 길이 "?향으?* 장방향 형성되는 스트링 타입이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안착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이 세팅되는 보디부; 및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에 외향 돌출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선택적인 돌출 방향으로 제공되는 리프팅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ody part having a string typ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direction?" and a preset directional type region set on an outer surface thereof so as to allow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o settle; and a lifting control part forming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hat are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provided in a selective protrusion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는, 상기 보디부의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의 세팅에 따라, 상기 돌출 방향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임의 영역 설정되며, 상기 임의 영역에 따라 상기 돌출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ifting control unit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optional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direction is set to an arbitrary area in the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reset direction type area of the body part, and has the directionality of the protrus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bitrary area.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설정된 동일 영역 내 상기 돌출 방향의 일방성을 제공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는 이격되어 상기 보디부 상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 방향의 양방성을 제공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t directional type region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region providing one-wayness of the protrusion direction within the preset same region; and a second reg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and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providing two-wayness of the protrusion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상기 제1영역와 상기 제2영역의 영역별 개념 영역의 확장범위와 축소범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범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set directional type area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range and reduction range of the concept area of each area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selectively set, so that the rang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selectively adjusted.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는, 사용자의 피하조직 내에서 외력 발생시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임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에 안착하며, 소정의 제1앵글을 형성하는 픽싱 안착부; 및 상기 픽싱 안착부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소정의 제1앵글과는 상이한 제2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픽싱 안착부와는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는 벤더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ifting control part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xing fixing part that is fix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prevent arbitrary detachmen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and forms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nd a bendable edge part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an upper end of the fixing fixing part and has a second angle that is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first angle and forms a predetermined step with respect to the fixing fix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픽싱 안착부는,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리프팅 콘트롤 부와 상기 보디부가 연장되도록 제공되도록 하는 픽싱부; 및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는 면을 제공하는 페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fixing anchoring portion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xing portion that forms an area to be anchor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that the lifting control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are provided to be extended; and a facing portion tha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and provides a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issue.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벤더블 에지부는, 상기 픽싱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페이싱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의 외측에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는 벤딩 슬라이스부; 및 상기 벤딩 슬라이스부와 대응하여 제공되며 상기 보디부에 당김힘 발생 시 상기 보디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저항력 또는 벤딩을 형성하는 리스트레인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endable edge portion of the suture system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bending slice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fac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ing portion and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to contact the skin tissue of the user; and a restraint portion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slice portion and forming a resistance force or b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portion is pulled when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body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는, 상기 제2앵글이 상기 픽싱 안착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각도가 변이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lifting control unit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optional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gle is set to continuously change its angle as it moves awa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ing anchorage unit.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소정의 단차는, 상기 페이싱부와 상기 벤딩 슬라이스부 사이에 둔턱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조직과 상기 둔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피부조직과의 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step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forming a blunt between the facing portion and the bending slice portion, and forming a space between the user's skin tissue and the blunt portion to provide a gap with the skin tissue.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상기 벤더블 에지부는,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상기 보디부가 제1방향으로 당김 외력 발생시, 상기 연속적으로 변이된 제1각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하 조직내에서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져 상기 피하조직내에서 임의 이동 가능하되,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상기 보디부가 제2방향으로 당김 외력 발생시, 상기 연속적으로 변이된 제2각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하 조직내에서 완곡한 세워짐 현상이 이루어져, 상기 리스트레인부를 통해 임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bendable edge portion of the suture system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external force pulling the body portion in a first direction occurs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 continuously changed first angle forms a gentle bend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so that the body portion can move arbitrarily within the subcutaneous tissue, but when an external force pulling the body portion in a second direction occurs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 continuously changed second angle forms a gentle standing phenomenon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so that a resistance to arbitrarily moving is formed through the restraint portion.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uture system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봉합사의 영역별로 방향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영역에 대한 선택적 확장/축소를 통해 영역 범위의 재편성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it provides directionality for each area of the suture and allows for reorganization of the area range through selective expansion/reduction of the area.

둘째, 봉합사 내 방향에 대한 채택을 통해 고정력 부여가 이루어지는 영역과 탄성력을 제공하는 영역의 할당이 가능하도록 하며, 선택적인 편향성을 통해 임의 고정 및 방향성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econd, the allocation of the area where fixation force is applied and the area where elasticity is provided is possible through the adoption of the direction within the suture, and arbitrary fixation and directionality are achieved through selective bias.

셋째, 다단의 앵글을 부여하여 봉합사로의 고정력 및 부착력에 대한 보장이 가능하도록 하며, 체내 인입과정에서 의도하지 않은 침습을 최소화하도록 한다.Third, by providing multiple angles, it is possible to ensure fixation and adhesion to the suture, and to minimize unintended invasion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on into the body.

넷째, 다단의 단계적 유선과 앵글을 부여하도록 하고 고정된 부분 외에서는 선택적 찬성을 제공하여, 목적하는 위치로부터의 임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Fourth, by providing multi-stage stepwise streamlines and angles and providing selective consent outside of fixed section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arbitrary deviation from the target positio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보디부에 영역이 할당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영역별로 돌기의 돌출 방향에 대한 방향성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용자별로 관자놀이와 턱의 면적과 거리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용자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용자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와 (b) 종래의 봉합사의 돌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가 평향성을 가지고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중 리프팅 콘트롤부가 일방향으로 제공되고 보디부의 당김 방향에 따라 당김에 대한 저항 또는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중 리프팅 콘트롤부가 양방향으로 제공되고 보디부의 당김 방향에 따라 당김에 대한 저항 또는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the allocation of regions to the body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that directionality is provided for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by region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that the area and distance of the temple and chin are formed differently for each user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optional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the user.
FIG. 6 is another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uture system in which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are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a user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lifting control unit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optional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llustrates (a) a lifting control section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a projection of a conventional suture.
FIG. 9 illustrates a lifting control section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with a flat surface.
FIG. 10 illustrates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lifting control section is provided in one direction and resistance to pulling or gentle bending is achieved depending o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FIG. 11 illustrates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lifting control section is provided in both directions and resistance to pulling or gentle bending is achieved depending o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시도와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보디부에 영역이 할당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영역별로 돌기의 돌출 방향에 대한 방향성이 제공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용자별로 관자놀이와 턱의 면적과 거리가 상이하게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용자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사용자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이 선택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도시한 또 다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와 (b) 종래의 봉합사의 돌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가 평향성을 가지고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중 리프팅 콘트롤부가 일방향으로 제공되고 보디부의 당김 방향에 따라 당김에 대한 저항 또는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중 리프팅 콘트롤부가 양방향으로 제공되고 보디부의 당김 방향에 따라 당김에 대한 저항 또는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llocation of regions to a body of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provision of directionality for protrusion directions of protrusions for each region of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different formation of areas and distances of temples and chins for each user of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selective setting of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for each user of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other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re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the user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llustrates a lifting control part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llustrates (a) a lifting control part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a protrusion of a conventional suture. FIG. 9 illustrates a lifting control part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formed to have a parallel orientation. FIG. 10 illustrates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lifting control part is provided in one direction and resistance to pulling or a gentle bending is performed depending o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FIG. 11 illustrates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a lifting control section is provided in both directions and resistance to pulling or gentle bending is achieved depending on the pulling direction of the body section.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은 보디부(100), 리프팅 콘트롤부(2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100) and a lifting control part (200).

먼저 보디부(100)의 경우, 길이 방향으로 장"??* 형성되는 스트링 타입이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안착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이 세팅된다.First, in the case of the body part (100), it is a string typ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reset directional type area is set to allow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보디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링 타입으로 제공되며, 몸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실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The body part (100) is provided in a string type as shown in Fig. 1, and may be provided in a thread-like shape to form the body.

리프팅 콘트롤부(200)는 보디부(100)의 외주면에 외향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며, 보디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선택적인 돌출 방향으로 제공된다.The lifting control unit (200) form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hat protrude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and are provided in a selective protrusion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보디부(100)는 사용자의 피부 내로 삽입된다.The body part (100) is inserted into the user's skin.

소정의 돌기는 보디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미세한 돌기를 제공하며, 미세한 돌기를 통하여 피부 조직을 지지 또는 물리적으로 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protrusions provide fine protrusion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can play a role in supporting or physically pulling skin tissue through the fine protrusions.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200)는, 보디부(100)의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의 세팅에 따라, 돌출 방향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임의 영역 설정되며, 임의 영역에 따라 돌출 방향의 방향성을 제공한다.The lifting control unit (200)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optional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ts the protrusion direction in an arbitrary area in the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reset direction type area of the body part (100), and provides the directionality of the protrus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bitrary area.

보디부(100)의 경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을 가지게 된다.In the case of the body part (100), it has a preset direction type area.

예컨대, 보디부(100) 내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방향 타입이 동일하게 설정되는 영역 또는 양방향성으로 형성되는 영역으로 설정된다.For example, a preset direction type area within the body part (100) is set as an area where the direction type is set identically or an area formed bidirectionally.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개념적으로 설정되는 영역에 해당하며, 개념적으로 설정되는 영역은 리프팅 콘트롤부(200)가 형성되는 돌출 방향에 따라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는 영역에 해당할 수 있다.The preset directional type area corresponds to a conceptually set area, and the conceptually set area may correspond to an area that can be visually confirmed according to the protrusion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control unit (200) is formed.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영역과 제2영역으로 형성된다.The preset directional type area is formed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s shown in Fig. 2.

제1영역의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설정된 동일 영역 내 돌출 방향의 일방성을 제공하며, 제2영역은 제1 영역과는 이격되어 보디부(100) 상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돌출 방향의 양방성을 제공한다.The preset direction type area of the first area provides one-wayness of the protrusion direction within the same se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part from the first area and provides two-wayness of the protrusion direction.

예컨대 돌출 방향이 동시 채택되어 양방향을 형성하는 경우, 목적하는 부위에 대한 선택적인 편향성을 통하여 할당된 영역에 대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For example, when the protrusion directions are adopted simultaneously to form a bidirectional direc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fixation force for the allocated area through selective bias toward the target area.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제1영역과 제2영역의 영역별 개념 영역의 확장범위와 축소범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제1영역과 제2영역의 범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한다.The preset directional type areas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set the expansion and reduction ranges of the conceptual area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so that the range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are selectively adjusted.

제1영역과 제2영역은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며, 제2영역과 제2영역은 사용자별 안면의 윤곽 혹은 목적하는 리프팅 거리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reas can be expanded or reduced, and the second and second areas can be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the user's facial contour or the desired lifting distance.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안면의 윤곽을 가지며, 예컨대, 사용자마다 턱과 관자놀이 또는 귀 밑의 상호 간 거리가 상이하게 설정된다.Users have different facial contours, as shown in Fig. 4, and for example, the distance between the chin and temple or under the ear is set differently for each user.

또한, 턱 모양 또는 털이 차지하는 면적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ape of the chin or the area occupied by the hair can be set differently.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사용자별 안면 윤관 턱과 귀 밑의 상호 간 거리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턱이 차지하는 면적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reas can be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hin and the under-ear of the user's facial contour, and the first and second areas can be selectively set according to the area occupied by the chin.

예컨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윤곽과 턱과 귀 밑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되어 설정 가능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can be customized and set according to the user's facial contou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hin and the bottom of the ear.

제2영역의 경우, 귀 밑으로부터 턱과 귀밑의 일부 지점까지 제공될 수 있으며, 제1영역의 경우, 턱으로부터 턱과 귀밑의 일부 지점까지 제공되어질 수 있다.For the second area, it can be provided from under the ear to the chin and some point under the ear, and for the first area, it can be provided from the chin to the chin and some point under the ea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 윤곽에 따라 귀밑과 턱까지의 거리가 먼 경우, 제2영역이 확대되어 형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if the distance between the ear and the chin is far depending on the user's facial contour, the second region may be formed in an expanded manner.

사용자의 얼굴 윤곽과 목적하는 리프팅 거리에 따라 제1영역과 제2영역은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areas can be selectively set depending on the user's facial contour and the desired lifting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200)는, 픽싱 안착부(210), 벤더블 에지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lifting control unit (200)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anchoring unit (210) and a bendable edge unit (220).

픽싱 안착부(210)는 사용자의 피하조직 내에서 외력 발생시 보디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임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보디부(100)의 외주면에 안착하며, 소정의 제1앵글을 형성한다.The fixing fixing member (21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prevent arbitrary detachmen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and forms a predetermined first angle.

벤더블 에지부(220)는 픽싱 안착부(210)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제공되어, 소정의 제1앵글과는 상이한 제2앵글을 구비하며, 픽싱 안착부(210)와는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mounting portion (210), has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first angle, and forms a predetermined step with respect to the fixing mounting portion (21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콘트롤부(200)는 보디부(100)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픽싱 안착부(210)와 픽싱 안착부(2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픽싱 안착부(210)와 상이한 앵글을 형성하는 벤더블 에지부(220)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7,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is formed by a fixing fixing part (210) tha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part (100) and a bendable edge part (220) tha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xing fixing part (210) but forms a different angle from the fixing fixing part (210).

픽싱 안착부(210)의 경우, 제1앵글을 형성되는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1과 θ1인 제1앵글로 형성되어진다.In the case of the fixing anchor (210), a first angle is formed, and as shown in (a) of Fig. 8, the first angle is formed as d1 and θ1.

또한 벤더블 에지부(220)는 제2앵글로 형성되는데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d2과 θ2인 제2앵글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is formed as a second angle, as shown in (a) of Fig. 8, and is formed as a second angle of d2 and θ2.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픽싱 안착부(210)와 벤더블 에지부(220)의 제1앵글과 제2앵글을 통하여 다단의 단계적 유선을 형성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7, a multi-stage stepwise streamline can be formed through the first angle and second angle of the fixing fixing portion (210) and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200)의 픽싱 안착부(210)는 페이싱(facing)부(211), 픽싱(fixing)부(212), 리지스팅(resisting)부(213)로 구성된다.The fixing anchoring portion (210)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200) of the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facing portion (211), a fixing portion (212), and a resisting portion (213).

또한, 리프팅 콘트롤부(200)의 벤더블 에지(bendable edge)부(220)는 벤딩 슬라이스(bending slice)부(221), 리스트레인(restrain)부(222)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200) is composed of a bending slice portion (221) and a restraint portion (222).

먼저 픽싱부(212)는, 보디부(100)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여, 리프팅 콘트롤부(200)가 보디부(100)와 연장되도록 제공된다.First, the fixing part (212) forms an area that is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is provided to extend from the body part (10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싱부(212)는 보디부(100)에 접촉하여 리프팅 콘트롤부(200)가 보디부(100)의 외주면에 안착되도록 제공된다.As shown in Fig. 7, the fixing part (212) is provided to contact the body part (100) so that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is secu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페이싱부(2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부(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피부조직과 접촉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facing portion (211)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100) and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issue.

리지스팅부(213)의 경우, 페이싱부(211)와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보디부(10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격되어 제공된다.In the case of the registration part (213), it is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acing part (211) and is provided spaced apart in a direction facing the body part (100).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싱부(211)는 외측에서d1의 앵글을 형성하고 리지스팅부(213)는 내측에 형성되고 θ1앵글로 제공된다.As shown in Fig. 8, the facing portion (211) forms an angle of d1 on the outside, and the resisting portion (213) is formed on the inside and provided at an angle of θ1.

페이싱부(211)의 외측에 형성되는 d1앵글과 리지스팅부(213)의 내측에 형성되는 θ1앵글을 통해 픽싱 안착부(210)는 제1앵글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fixing anchoring portion (210) forms a first angle through the d1 angl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acing portion (211) and the θ1 angl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resisting portion (213).

또한, 벤더블 에지부(220)의 경우, 페이싱부(2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픽싱 안착부(210)와 상이한 제2앵글로 제공되고, 사용자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는 벤딩 슬라이스부(221)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it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acing portion (211), is provided at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fixing fixing portion (210), and includes a bending slice portion (22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issue.

리프팅 콘트롤부(200) 중 벤더블 에지부(220)와 페이싱부(211)는 일측에서 피부 조직과 접촉하며, 리지스팅부(213)와 리스트레인부(222)는 타측에서 보디부(100)와 리프팅 콘트롤부(200) 사이에 피부조직과 접촉하게 된다.Among the lifting control portion (200),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and the facing portion (211) come into contact with skin tissue on one side, and the resisting portion (213) and the restraining portion (222) come into contact with skin tissue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lifting control portion (200) on the other side.

또한, 벤딩 슬라이스부(221)와는 대응하는 방향에 제공되고, 픽싱부(212)와 연장되어 제공되는 리스트레인부(222)를 포함한다.In addition, it includes a restraint section (222) that is provi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slice section (221) and is provided extended from the fixing section (212).

리스트레인부(222)는 벤딩 슬라이스부(221)와 대응하여 제공되며 보디부(100)에 당겨지는 힘 발생 시 보디부(100)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저항력 또는 벤딩을 형성한다.The restraint section (222) is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bending slice section (221) and forms a resistance force or b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section (100) is pulled when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body section (100).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리프팅 콘트롤부(200)는 제2앵글이 픽싱 안착부(210)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각도가 변이되도록 설정된다.The lifting control unit (200)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the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optional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so that the angle changes continuously as the second angle moves away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anchoring unit (210).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리프팅 콘트롤부(200)는 상단부에 해당하는 픽싱 안착부(210)로부터 멀어질수록 각도는 변이되어 형성된다.As shown in (a) of Fig. 8, the lifting control uni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n angle that changes as it gets farther away from the fixing mounting unit (210)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제2앵글은 벤딩 슬라이스부(221)가 형성하는 앵글인 d2와 리스트레인부(222)가 형성하는 앵글에 해당하는 θ2를 통하여 벤더블 에지부(220)의 제2앵글을 형성하게 된다.The second angle of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is formed through the angle d2 formed by the bending slice portion (221) and the angle θ2 corresponding to the angle formed by the restrain portion (222).

종래의 봉합사의 돌출 돌기의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가지며, 봉합사의 실에 연장되어 연결되는 연결 영역(30)와 피부 조직을 잡아주는 저항 영역(20) 및 외측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는 접촉 영역(10, 40)으로 형성된다.In the case of the protruding projection of a conventional suture, it has a shape as shown in Fig. 8(b) and is formed by a connecting region (30) that extends and is connected to the thread of the suture, a resistance region (20) that holds skin tissue, and a contact region (10, 4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tissue on the outside.

종래의 봉합사의 돌출 돌기는 돌출되는 영역에 대한 방향성만을 가지며, 접촉 영역(10, 40)이 서로 다른 앵글을 형성하지 않는 것으로 봉합사 실이 움직이게 되면, 한쪽 방향으로의 저항력이 강하게 형성되고 실이 끊어지게 되며, 접촉 영역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살이 쓸리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The protruding projections of conventional sutures only have a directionality with respect to the protruding area, and the contact areas (10, 40) do not form different angles, so when the suture thread moves, a strong resistance is formed in one direction, causing the thread to break, and the contact area is formed sharply, causing the flesh to be scratched.

반면, 본 발명의 경우, 픽싱 안착부(210)와 벤더블 엣지부(220)를 통해 제1앵글과 제2앵글을 형성하고, 제1앵글과 제2앵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are formed through the fixing fixing portion (210) and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또한, 종래의 봉합사는 접촉 영역(10, 40)이 앵글을 형성하지 않음으로 돌출되는 면적이 크게 형성되나, 본 발명은 제1앵글과 제2앵글을 형성함을 통하여 돌출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area (10, 40) of the conventional suture does not form an angle, the protruding area is formed to be large,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protruding area to be small by forming the first angle and the second angle.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소정의 단차는 페이싱부(211)와 벤딩 슬라이스부(221) 사이에 둔턱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피부조직과 둔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접촉하는 피부조직과의 갭을 제공한다.The predetermined step of the suture system controlling the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the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blunt between the facing portion (211) and the bending slice portion (221), and forms a space between the user's skin tissue and the blunt, thereby providing a gap with the skin tissue in contact.

둔턱은 도 7 및 도 8(a)에 도시된 DB(discrete blade)영역에 해당한다.The blunt jaw corresponds to the DB (discrete blade) area shown in Fig. 7 and Fig. 8(a).

DB영역은 페이싱부(211)와 벤딩 슬라이스부(221) 사이에 불연속적인 영역을 제공하는 것으로, 페이싱부(211)와 벤딩 슬라이스부(221)가 연속적으로 피부조직을 쓸어내리면서 이동하지 않도록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The DB region provides a discontinuous region between the facing portion (211) and the bending slice portion (221), thereby forming a space to prevent the facing portion (211) and the bending slice portion (221) from moving while continuously sweeping the skin tissue.

또한, 리프팅 콘트롤부(200)의 외측에서 페이싱부(211)와 벤딩 슬라이스부(221) 사이에 살이 안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In addition, a space for flesh to be settled is formed between the facing portion (211) and the bending slice portion (221) on the outside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200).

벤더블 에지부(220)와 픽싱 안착부(210)는 DB영역을 통하여 돌출되는 앵글의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desirable that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and the fixing mounting portion (210) have a change in angle at which they protrude through the DB area.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벤더블 에지부(220)는,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보디부(100)가 제1방향으로 당김 외력 발생시, 연속적으로 변이된 각도(제1각도)는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져 피하조직내에서 임의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of the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ause a continuously changed angle (first angle) to cause a gentle bending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when an external force pulling the body portion (100) in a first direction occurs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reby enabling arbitrary movement within the subcutaneous tissue.

또한,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보디부(100)가 제2방향으로 당김 외력 발생시, 연속적으로 변이된 각도(제2각도)는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완곡한 세워짐 현상이 이루어져, 리스트레인부(222)를 통해 임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한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to pull the body part (100) in the second direction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 continuously changed angle (second angle) causes a gentle erection phenomenon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reby forming a resistance to arbitrary movement through the restraint part (222).

예컨대, 보디부(100)에 당겨지는 힘이 발생되는 경우, 당겨지는 힘에 대한 방향에 따라 벤더블 에지부(220)는 벤딩되거나 완곡한 세워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데,For example, when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body part (100), the bendable edge part (220) can be bent or made to be gently erecte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pulling force.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부(100)에 리프팅 콘트롤부(200)가 돌출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제공되면, 리프팅 콘트롤부(200) 중 리지스팅부(213)와 리스트레인부(222)는 당겨지는 힘에 대하여 저항하는 힘을 형성된다.As shown in (a) of Fig. 10,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part (100)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protrudes, the resisting part (213) and the restraining part (222) of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form a force that resists the pulling force.

또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디부(100)에 리프팅 콘트롤부(200)가 돌출된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제공되면, 리프팅 콘트롤부(200) 중 리지스팅부(213)와 리스트레인부(222)는 당겨지는 힘에 따라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10,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body part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protrudes, the resisting part (213) and the restraint part (222) of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undergo a gentle bending according to the pulling force.

저항력을 통한 리지스팅부(213)와 리스트레인부(222)의 세워짐은 보디부(100)와 리프팅 콘트롤부(200)의 임의 이동을 방지한다.The erection of the resistance part (213) and the restraint part (222) through the resistance prevents arbitrary movement of the body part (100) and the lifting control part (200).

또한 완곡한 벤딩을 통해 임의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t can also be made to move arbitrarily through gentle bending.

종래의 봉합사는 저항력만을 형성하는 경우, 피부 조직 내에서 끊어지게 될 수 있는데, 외력에 따라 임의 이동이 가능함을 통하여 피부 조직 내에서 저항과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Conventional sutures may break within skin tissue if they only form resistance, but resistance and breakage within skin tissue can be prevented by allowing arbitrary movement according to external force.

또한, 체내 인입 후 피부 조직 내에서는 돌출 영역이 앵글을 형성함을 통하여 의도하지 않는 침습을 방지하며, 픽싱부(212) 외 벤더블 에지부(220)는 선택적으로 탄성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insertion into the body, the protruding area forms an angle within the skin tissue to prevent unintended invasion, and the bendable edge portion (220) other than the fixing portion (212) can be selectively designed to provide elasticity.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의 경우, 보디부(100) 외주면에 편향성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는데,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모두 형성되는 않으며 편향성은 선택적으로 설정 가능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with a bias, but as shown in (c) of FIG. 9, it is not formed entirely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bias may be selectively set.

예컨대, 보디부(100)의 외주면 중 외측으로 형성되는 돌출 영역은 외부로 만져지는 돌출 영역이 두드러지지 않도록 리프팅 콘트롤부(200)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For example, a protruding area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may not be provided with a lifting control part (200) so that the protruding area that is touched from the outside is not noticeable.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결정되며, 특허 청구범위에 사용된 괄호는 선택적 한정을 위해 기재된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성요소를 위해 사용되었으며, 괄호 내의 기재도 필수적 구성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laims, and the parentheses used in the claims are not described for optional limitation, but are used to indicate clear elements, and the description within the parentheses should also be interpreted as essential elements.

100: 보디부
200: 리프팅 콘트롤부
210: 픽싱 안착부
211: 페이싱부
212: 픽싱부
213: 리지스팅부
220: 벤더블 에지부
221: 벤딩 슬라이스부
222: 리스트레인부
100: Body
200: Lifting control unit
210: Fixing anchor
211: Facing section
212: Fixing Department
213: Registration Department
220: Bendable Edge
221: Bending slice section
222: Listrain Department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길이 "?향으?* 장방향 형성되는 스트링 타입이며, 외주면에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안착하도록 하는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이 세팅되는 보디부; 및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에 외향 돌출 형성되는 상기 복수 개의 소정의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선택적인 돌출 방향으로 제공되는 리프팅 콘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A body part having a string typ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 length of "??* and a preset directional type area set to allow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o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rotrusions that protrude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includes a lifting control portion provided in a selective protrusion dir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는,
상기 보디부의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의 세팅에 따라, 상기 돌출 방향이 목적하는 방향으로 임의 영역 설정되며, 상기 임의 영역에 따라 상기 돌출 방향의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lifting control unit,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direction is set to an arbitrary region in a desir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preset direction type region of the above body part, and has the directionality of the protrusion direction according to the arbitrary reg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설정된 동일 영역 내 상기 돌출 방향의 일방성을 제공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는 이격되어 상기 보디부 상의 외주면에 배치되며, 상기 돌출 방향의 양방성을 제공하는 제2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preset direction type area is,
A first region providing one-wayness of the protrusion direction within the set same region; and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region that is arrang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gion and provides bidirectionality of the protrusion dir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방향타입 영역은,
상기 제1영역와 상기 제2영역의 영역별 개념 영역의 확장범위와 축소범위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범위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third paragraph, the preset direction type area is,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selectively adjusted by selectively setting the expansion and reduction ranges of the area-specific concept areas of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는,
사용자의 피하조직 내에서 외력 발생시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임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에 안착하며, 소정의 제1앵글을 형성하는 픽싱 안착부; 및
상기 픽싱 안착부의 상단부에 돌출되도록 제공되어, 상기 소정의 제1앵글과는 상이한 제2앵글을 구비하며, 상기 픽싱 안착부와는 소정의 단차를 형성하는 벤더블 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fourth paragraph, the lifting control unit,
A fixing fixing part that is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prevent arbitrary detachmen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and forms a predetermined first angle; and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endable edge portion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end of the fixing anchor portion, has a second angle different from the predetermined first angle, and forms a predetermined step with respect to the fixing anchor por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픽싱 안착부는,
상기 보디부의 외주면에 안착되는 영역을 형성하여 상기 리프팅 콘트롤 부와 상기 보디부가 연장되도록 제공되도록 하는 픽싱부; 및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는 면을 제공하는 페이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fifth paragraph, the fixing fixing part,
A fixing part that forms an area that is fix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lifting control part and the body part are provided to be extended; and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acing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and providing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issu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블 에지부는,
상기 픽싱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페이싱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의 외측에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피부 조직과 접촉하는 벤딩 슬라이스부; 및
상기 벤딩 슬라이스부와 대응하여 제공되며 상기 보디부에 당김힘 발생 시 상기 보디부가 당겨지는 방향으로 저항력 또는 벤딩을 형성하는 리스트레인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sixth paragraph, the bendable edge portion is
A bending slice portion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facing portio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xing portion and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ifting control portion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skin tissue; and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restraint section that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slice section and forms a resistance force or bendi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ody section is pulled when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body s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콘트롤부는,
상기 제2앵글이 상기 픽싱 안착부의 상단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연속적으로 각도가 변이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fifth paragraph, the lifting control unit,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ing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angle is set to continuously change in angle as it moves away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xing anchor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단차는,
상기 페이싱부와 상기 벤딩 슬라이스부 사이에 둔턱을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피부조직과 상기 둔턱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피부조직과의 갭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fifth paragraph, the predetermined step is,
A suture system for controlling fixation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a blunt protrusion is formed between the facing portion and the bending slice portion,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user's skin tissue and the blunt protrusion to provide a gap with the skin tissu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벤더블 에지부는,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상기 보디부가 제1방향으로 당김 외력 발생시, 상기 연속적으로 변이된 제1각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하 조직내에서 완곡한 벤딩이 이루어져 상기 피하조직내에서 임의 이동 가능하되,
사용자의 피하 조직내에서 상기 보디부가 제2방향으로 당김 외력 발생시, 상기 연속적으로 변이된 제2각도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피하 조직내에서 완곡한 세워짐 현상이 이루어져, 상기 리스트레인부를 통해 임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영역과 앵글 설정을 통한 고정력과 탄성력을 컨트롤 하는 봉합사 시스템.

In the seventh paragraph, the bendable edge portion is
When a pull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 continuously changed first angle is gently bent 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and can be moved arbitrarily in the subcutaneous tissue.
A suture system that controls fixation force and elasticity through selective region and angle settin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pulling force in a second direction occurs on the body part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 continuously changed second angle causes a gentle erection phenomenon within the user's subcutaneous tissue, thereby forming a resistance to arbitrary movement through the restraint section.

KR1020230062620A2023-05-152023-05-15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PendingKR202401651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62620AKR20240165180A (en)2023-05-152023-05-15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62620AKR20240165180A (en)2023-05-152023-05-15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65180Atrue KR20240165180A (en)2024-11-22

Family

ID=9370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062620APendingKR20240165180A (en)2023-05-152023-05-15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40165180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73980B1 (en)2002-09-302011-10-17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Barbed sutures
KR101874065B1 (en)2017-04-272018-07-03휴젤 주식회사A thread for cosmetic surgery
KR20220021748A (en)2020-08-142022-02-22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Suture forming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73980B1 (en)2002-09-302011-10-17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Barbed sutures
KR101874065B1 (en)2017-04-272018-07-03휴젤 주식회사A thread for cosmetic surgery
KR20220021748A (en)2020-08-142022-02-22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Suture forming a three-dimensional protrusion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CN101808587B (en)Self-anchoring tissue lift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and method of 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using same
US10265518B2 (en)Craniofacial neurostimulation for treatment of pain conditions
ES2644534T3 (en) Medical suture with microdientes on the surface and procedure to manufacture it
US5258011A (en)Corneal rivet
US7291105B2 (en)Self-anchoring cardiac harness
KR101682534B1 (en)Suture for skin lifting or expanding the volume of skin tissue
US20070276487A1 (en)Anatomic prosthesis for treating hernias, such as inguinal and crural and other hernias
EP1814464A1 (en)Surgical hook-shaped staple
US20220280166A1 (en)Occluder stabilizing members
US8585774B2 (en)Temporal brow lifting and fixation device
CN115969434A (en)Left auricle plugging device and left auricle plugging assembly
KR100679160B1 (en) Plastic Surgery Operating Room
KR20240165180A (en)System for suture by control holding and elasticity force through selective area and angle setting
EP2512367B1 (en)Brow lift implant
KR101874065B1 (en)A thread for cosmetic surgery
KR101403979B1 (en)Lift Material For Plastic Surgery
KR20200139387A (en)Method for extension of eyelash
KR101277609B1 (en)Implant Inserted Into Alar Margin To Get A Good Shape of Nose
US7993400B1 (en)Device and method for attaching hair
AU2015242541B2 (en)Surgical shield
KR101568995B1 (en)Surgical elastic thread for plastic surgery
KR102314301B1 (en)Thread Structure for Surgery
CN117042722A (en) Variable lifting cord for pain relief
JP7477731B2 (en) Lifting thread for nose surge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4199833A1 (en)Unidirectional and bidirectional anchor scaffold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