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59849A - Method for treating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a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 Google Patents

Method for treating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a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9849A
KR20240159849AKR1020247033968AKR20247033968AKR20240159849AKR 20240159849 AKR20240159849 AKR 20240159849AKR 1020247033968 AKR1020247033968 AKR 1020247033968AKR 20247033968 AKR20247033968 AKR 20247033968AKR 20240159849 AKR20240159849 AKR 2024015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ody
seq
amino acid
acid sequence
muc16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39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바르셀로스 곤칼브스 프리실라 헤르몬트
Original Assignee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filedCritical리제너론 파아마슈티컬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4015984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59849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암(예를 들어 재발성 상피 육종)을 치료하거나, 이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이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뮤신 16(MUC16) 및 CD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예정된 사멸 1(PD-1)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치료적 유효량과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reducing the severity of, or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e.g., recurrent epithelial sarcoma).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mucin 16 (MUC16) and CD3,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programmed death 1 (PD-1) recepto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이중특이적 항-MUC16 x 항-CD3 항체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재발성 상피 육종을 치료하는 방법Method for treating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a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서열 목록에 대한 참조Reference to the sequence list

본 출원은, 2023년 3월 16일에 생성되고 54,705 바이트를 함유한, 11138WO01_Sequence로 명명된 ST.26 XML 포맷의 컴퓨터 판독 가능 서열 목록을 참조로서 통합한다.This application incorporates by reference a computer-readable sequence listing in ST.26 XML format named 11138WO01_Sequence, created on March 16, 2023 and containing 54,705 bytes.

기술분야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뮤신 16(MUC16) 및 CD3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cancer using a bispecific antibody that binds to mucin 16 (MUC16) and CD3,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암 항원 125, 암종 항원 125, 탄수화물 항원 125, 또는 CA-125로도 알려진 뮤신 16(MUC16)은 상피 육종에서 고도로 발현되는 단일 막관통 도메인의 고도로 당질화된 일체형 막 당단백질이다(Hoshino, M. 등의 문헌[2010,J Cancer Res Clin Oncol., 136(3):457-64] 참조). MUC16은 다음 3개의 주요 도메인으로 구성된다: 세포외 N-말단 도메인; 성게 정자, 엔테로키나아제, 및 아그린(SEA) 도메인이 산재된 큰 탠덤 반복 도메인; 및 막관통 영역의 분절 및 짧은 세포질 꼬리를 포함하는 카르복실 말단 도메인. 단백질 분해 절단은 MUC16의 세포외 부분을 혈류 내로 배출시킨다. MUC16은 상피 육종, 난소암, 유방암, 췌장암, 비소세포 폐암, 간내 담관암종-종괴 형성 유형, 자궁 경부 선암종, 및 위관 선암종을 포함하는 암, 및 염증성 장 질환, 간경화증, 심부전, 복막 감염증, 및 복부 수술을 포함하는 질환 및 병태에서 과발현된다. (Haridas, D. 등의 문헌[2014,FASEB J., 28:4183-4199]; Hoshino, M. 등의 문헌[2010,Cancer Res Clin Oncol., 136(3):457-64] 참조). 암세포에서의 발현은 면역체계로부터 종양 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보인다. (Felder, M. 등의 문헌[2014,Molecular Cancer, 13:129] 참조). MUC16에 대한 항체를 사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다. 오레고보맙(oregovomab) 및 압고보맙(abgovomab)은 제한적으로 성공한 항-MUC16 항체이다 (Felder의 전술한 문헌, Das, S. 및 Batra, S.K.의 문헌[2015,Cancer Res. 75:4660-4674.] 참조).Mucin 16 (MUC16), also known as cancer antigen 125, carcinoma antigen 125, carbohydrate antigen 125, or CA-125, is a highly glycosylated integral membrane glycoprotein with a single transmembrane domain that is highly expressed in epithelioid sarcomas (see Hoshino, M. et al. [2010,J Cancer Res Clin Oncol. , 136(3):457-64]). MUC16 consists of three major domains: an extracellular N-terminal domain; a large tandem repeat domain interspersed with sea urchin sperm, enterokinase, and agrin (SEA) domains; and a carboxyl-terminal domain that contains segments of the transmembrane region and a short cytoplasmic tail. Proteolytic cleavage releases the extracellular portion of MUC16 into the bloodstream. MUC16 is overexpressed in cancers including epithelial sarcoma, ovarian cancer, breast cancer, pancreatic cancer, non-small cell lung cancer,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mastoid type, cervical adenocarcinoma, and gastric ductal adenocarcinoma, and in diseases and conditions includ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cirrhosis, heart failure, peritoneal infections, and abdominal surgery. (See Haridas, D. et al. [2014,FASEB J. , 28:4183-4199]; Hoshino, M. et al. [2010,Cancer Res Clin Oncol. , 136(3):457-64]). Expression in cancer cells appears to protect tumor cells from the immune system. (See Felder, M. et al. [2014,Molecular Cancer , 13:129]). Methods for treating cancer using antibodies against MUC16 have been studied. Oregovomab and abgovomab are anti-MUC16 antibodies with limited success (see Felder, supra; Das, S., and Batra, SK, 2015,Cancer Res. 75:4660-4674.).

CD3은 T 세포 수용체 복합체(TCR)와 관련하여 T 세포에서 발현되는 동종이량체 또는 이종이량체 항원이며, T 세포 활성화에 필요하다. 기능적 CD3은 4개의 상이한 사슬(엡실론, 제타, 델타, 및 감마) 중 2개의 이량체 결합으로부터 형성된다. CD3 이량체 배열은 감마/엡실론, 델타/엡실론, 및 제타/제타를 포함한다. CD3에 대한 항체는 T 세포 상에 CD3을 클러스터링함으로써, 펩티드 로딩된 MHC 분자에 의한 TCR의 결합과 유사한 방식으로 T 세포 활성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CD3 항체가 T 세포의 활성화를 포함하는 치료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또한, CD3 및 표적 항원에 결합할 수 있는 이중특이적 항체가, 표적 항원을 발현하는 조직 및 세포에 대한 T 세포 면역 반응을 표적화하는 것을 포함하는 치료적 용도로 제안되었다.CD3 is a homodimeric or heterodimeric antigen expressed on T cells in association with the T cell receptor complex (TCR) and is required for T cell activation. Functional CD3 is formed by the dimerization of two of four different chains (epsilon, zeta, delta, and gamma). The CD3 dimer configurations include gamma/epsilon, delta/epsilon, and zeta/zeta. Antibodies to CD3 have been shown to induce T cell activation in a manner similar to engagement of the TCR by peptide-loaded MHC molecules, by clustering CD3 on T cells. Therefore, anti-CD3 antibodies have been proposed for therapeutic purposes involving T cell activation. In addition, bispecific antibodies capable of binding to CD3 and a target antigen have been proposed for therapeutic purposes involving targeting T cell immune responses to tissues and cells expressing the target antigen.

종양 미세환경에서 예정된 사멸-1(PD-1) 수용체 신호 전달은 종양 세포가 숙주 면역체계에 의한 면역 감시를 회피할 수 있게 하는 데 핵심 역할을 한다. PD-1 신호 전달 경로의 차단은 다수의 종양 유형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활성이 입증되었으며, PD-1을 차단하는 항체 치료제(예: 니볼루맙 및 펨브롤리주맙)가 전이성 흑색종 및 전이성 편평 비소세포 폐암의 치료용으로 승인되었다. 최근 데이터는 공격성 NHL 및 호지킨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PD-1 차단의 임상 활성을 입증하였다(Lesokhin 등의 문헌[2014, Abstract 291, 56th ASH Annual Meeting and Exposition, Sanplastic, Calif.]; Ansell 등의 문헌[2015,N. Engl. J. Med. 372(4):311-9] 참조).Programmed death-1 (PD-1) receptor signaling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plays a key role in allowing tumor cells to evade immune surveillance by the host immune system. Blockade of the PD-1 signaling pathway has demonstrated clinical activity in patients with multiple tumor types, and antibody therapies that block PD-1 (e.g., nivolumab and pembrolizumab) are approved for the treatment of metastatic melanoma and metastatic squamous non-small cell lung cancer. Recent data have demonstrated clinical activity of PD-1 blockade in patients with aggressive NHL and Hodgkin lymphoma (see Lesokhin et al. [2014, Abstract 291, 56th ASH Annual Meeting and Exposition, Sanplastic, Calif.]; Ansell et al. [2015,N. Engl. J. Med. 372(4):311-9]).

상피 육종은 국소 재발, 국소 림프절 침범, 및 원격 전이에 대한 알려진 성향을 갖는 희귀한 고등급 연조직 종양이다.(Sobanko 등의 문헌[J Clin Aesthet Dermatol.2(5):49-54, 2009] 참조). 종양이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 성장을 시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손가락, 손, 팔뚝, 하퇴 또는 발의 피부 아래의 연조직에서 시작된다. 상피 육종은 무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악성 종양은 본질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이러한 종양의 오진은 치료가 지연되고 부적절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환자 생존에 악영향을 미친다. 상피 육종에 대한 현재의 치료 방법에는 근치적 종양 절제, 보조 화학요법, 감시 림프절 생검, 및 방사선 요법이 있다. (Casanova 등의 문헌[Cancer.106(3):708-17, 2006]; Sobanko 등의 문헌[J Clin Aesthet Dermatol.2(5):49-54, 2009] 참조). 대부분의 환자는 초기 치료에 반응하지만, 대부분은 질환 재발을 경험하여 반복된 수술과 추가로 수차례의 화학요법을 되풀이하게 된다. 비록 재발성 상피 육종이 추가 치료에 반응할 수 있다 하더라도, 사실상 이들 상피 육종 모두는 궁극적으로 현재 사용 가능한 요법에 내성을 갖게 될 것이다. 최근의 치료법 진전에도 불구하고, 재발성 전이성 상피 육종은 미충족 요구가 높은 질환으로 남아 있다.Epithelioid sarcoma is a rare, high-grade soft tissue tumor with a known propensity for local recurrence, regional lymph node involvement, and distant metastasis (see Sobanko et al. [J Clin Aesthet Dermatol. 2(5):49-54, 2009]). Although the tumors can begin to grow elsewhere in the body, most cases begin in the soft tissues beneath the skin of the fingers, hands, forearms, lower legs, or feet. Because epithelioid sarcomas appear innocuous, malignant tumors inherently carry a poor prognosis. Misdiagnosis of these tumors can result in delayed and inadequate treatment, which has a negative impact on patient survival. Current treatment options for epithelioid sarcoma include radical tumor resection, adjuvant chemotherapy, sentinel lymph node biopsy, and radiation therapy. (see Casanova et al. [Cancer. 106(3):708-17, 2006]; Sobanko et al. [J Clin Aesthet Dermatol. 2(5):49-54, 2009]). Most patients respond to initial treatment, but many experience disease recurrence, requiring repeat surgery and additional rounds of chemotherapy. Although recurrent epithelioid sarcomas may respond to additional treatment, virtually all of them will ultimately become resistant to currently available therapies. Despite recent advances in treatment, recurrent metastatic epithelioid sarcomas remain a disease with a high unmet need.

상피 육종이 일부 형태의 면역요법에 반응할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상피 육종 환자의 종양 표본은 이전에 높은 수준의 PD-L1 발현 및 CD3+/CD8+ T 림프구 침윤이 검출된 바 있다(Gong 등의 문헌[Front Oncol.,11: 728437, 2021] 참조). PD-1/PD-L1 관문 경로의 차단은 상피 육종에 유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로 차단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There is evidence that epithelioid sarcomas may respond to some forms of immunotherapy. For example, tumor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epithelioid sarcoma have previously been found to have high levels of PD-L1 expression and CD3+ /CD8+ T lymphocyte infiltration (see Gong et al. [Front Oncol., 11: 728-437, 2021]). Blockade of the PD-1/PD-L1 checkpoint pathway may be beneficial in epithelioid sarcomas. However, blockade of this pathway alone may not be sufficient.

따라서, 이러한 미충족 요구가 높다는 관점에서, 상피 육종을 표적화하기 위한 추가 요법이 필요하다.Therefore, in light of this high unmet need, additional therapies targeting epithelial sarcoma are needed.

일 양태에서, 본 개시는 MUC16-발현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표적 종양 세포 상의 뮤신 16(MUC1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도메인 및 T 세포 상의 인간 CD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적어도 1 mg의 투여량으로(예를 들어 매주) 대상체에게 투여된다.In one aspect, the present disclosure comprises a method of treating a MUC16-expressing cancer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bispecific antibody comprising a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mucin 16 (MUC16) on a target tumor cell and a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human CD3 on a T cell. 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t a dosage of at least 1 mg (e.g., weekly).

일부 구현예에서, MUC16-발현 암은 상피 육종이다. 일부 경우에, 대상체는 전이성 상피 육종을 갖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MUC16-expressing cancer is an epithelioid sarcoma. In some cases, the subject has a metastatic epithelioid sarcoma.

일부 구현예에서, MUC16-발현 암은 MUC16-발현 육종이다. 일부 경우에, 육종은 상피 육종, 신장 및 연조직의 횡문근양 종양, 횡문근육종, 유잉 육종, 또는 연조직 육종이다. 일부 경우에, MUC16-발현 육종은 상피 육종 또는 신장 및 연조직의 횡문근양 종양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MUC16-expressing cancer is a MUC16-expressing sarcoma. In some cases, the sarcoma is an epithelioid sarcoma, a rhabdoid tumor of the kidney and soft tissue, rhabdomyosarcoma, Ewing sarcoma, or a soft tissue sarcoma. In some cases, the MUC16-expressing sarcoma is an epithelioid sarcoma or a rhabdoid tumor of the kidney and soft tissue.

일부 구현예에서, MUC16-발현 암(예: 육종)은 기능성 통합효소 상호작용인자 1 단백질의 발현이 결핍되어 있다.In some embodiments, MUC16-expressing cancers (e.g., sarcomas) lack expression of functional integrase interacting factor 1 protein.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이전에 항암 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 일부 경우에, 대상체는 선행 요법에 내성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지 않거나, 선행 요법 후 재발한 상태이다. 일부 경우에, 대상체는 화학요법 약물, 방사선 요법, 수술, 또는 면역요법 약물로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있다. 일부 경우에, 화학요법 약물은 타제메토스타트(tazemetostat)이다. 일부 경우에, 면역요법 약물은 PD1 억제제 또는 CTLA4 억제제이다. 일부 경우에, 면역요법 약물은 펨브롤리주맙(pembrolizumab), 니볼루맙(nivolumab), 또는 이필리무맙(ipilimumab)이다. 일부 경우에, MUC16-발현 암은 선행 요법에 내성이 있거나 이에 대해 적절히 반응하지 않거나, 선행 요법 후 재발한 상태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previously been treated with anticancer therapy. In some cases, the subject is resistant to, inadequately responsive to, or has relapsed following prior therapy. In some cases, the subject has previously been treated with a chemotherapy drug, radiation therapy, surgery, or an immunotherapy drug. In some cases, the chemotherapy drug is tazemetostat. In some cases, the immunotherapy drug is a PD1 inhibitor or a CTLA4 inhibitor. In some cases, the immunotherapy drug is pembrolizumab, nivolumab, or ipilimumab. In some cases, the MUC16-expressing cancer is resistant to, inadequately responsive to, or has relapsed following prior therapy.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한다: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내에 함유된 3개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1, HCDR2, 및 HCDR3); 및 (b)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 내에 함유된 3개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1, LCDR2, 및 LCDR3). 일부 경우에,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 일부 경우에,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 일부 경우에,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ing: (a) three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CDR1, HCDR2, and HCDR3) contained within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b) three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LCDR1, LCDR2, and LCDR3) contained within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In some cases,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a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and a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 In some cases,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a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2; and a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 In some cases,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이 전술한 바와 같은 것들을 포함하는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한다: (a)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내에 함유된 3개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1, HCDR2, 및 HCDR3); 및 (b)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 내에 함유된 3개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1, LCDR2, 및 LCDR3). 일부 경우에,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 일부 경우에,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다음을 포함한다: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 일부 경우에,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wherein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those described above,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ing: (a) three heavy chain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s (HCDR1, HCDR2, and HCDR3) contained within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b) three light chain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s (LCDR1, LCDR2, and LCDR3) contained within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In some cases,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4; a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a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6. In some cases,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a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2; and a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 In some cases,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은 이소형 IgG1이다. 일부 경우에,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은 이소형 IgG4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human IgG heavy chain constant region. In some cases, the human IgG heavy chain constant region is of isotype IgG1. In some cases, the human IgG heavy chain constant region is of isotype IgG4.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동일한 이소형의 야생형 힌지에 비해 Fcγ 수용체 결합을 감소시키는 키메라 힌지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chimeric hinge that reduces Fcγ receptor binding compared to a wild-type hinge of the same isotype.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의 제1 중쇄 또는 제2 중쇄는 H435R(EU 넘버링) 변형 및 Y436F(EU 넘버링) 변형을 포함하는 CH3 도메인을 포함하지만, 둘 다 이를 포함하지는 않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first heavy chain or the second heavy chain of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CH3 domain comprising a H435R (EU numbering) modification and a Y436F (EU numbering) modification, but not both.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서열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1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2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서열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1 중쇄,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2 중쇄, 및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공통 경쇄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first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9. 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second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1. 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first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9, a second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common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0.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상승된 혈청 CA-125 수준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정상 상한치의 적어도 2배인 혈청 CA-125 수준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92 U/ml 초과의 혈청 CA-125 수준을 갖는다.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an elevated serum CA-125 level. 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a serum CA-125 level that is at least twice the upper limit of normal. 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a serum CA-125 level greater than 92 U/ml.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제2 치료제 또는 치료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제2 치료제 또는 치료 요법은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는 세미플리맙(cemiplimab)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administering a second therapeutic agent or treatment regimen. In some cases, the second therapeutic agent or treatment regimen comprises an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In certain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is cemiplimab.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내에 함유된 3개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1, HCDR2, 및 HCDR3); 및 (b)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 내에 함유된 3개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1, LCDR2, 및 LCDR3). 일부 경우에,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PD-1 항체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a) three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CDR1, HCDR2, and HCDR3) contained within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3; and (b) three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LCDR1, LCDR2, and LCDR3) contained within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4. In some case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a H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5, a H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6, and a H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7. In some case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a LCDR1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8, a LCDR2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9, and a LCDR3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0. In some case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3, and a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4. In some case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is an anti-PD-1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1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2.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분할된 초기 투여량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으로 투여된다(예를 들어, 1 mg의 초기 투여량은 2 연속일에 걸쳐 투여되는 0.5 mg의 2개의 균등한 분획으로 분할됨).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매주 1 mg 내지 1000 mg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이중특이적 항체는 매주 250 mg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이중특이적 항체는 3주마다의 빈도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이중특이적 항체는 정맥내 투여를 통해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이중특이적 항체는 피하 투여를 통해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항-PD-1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 이전에, 이와 동시에, 또는 이후에 투여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in a dosing regimen that includes a divided initial dose (e.g., an initial dose of 1 mg divided into two equal fractions of 0.5 mg administered over two consecutive days). 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in a dosage of 1 mg to 1000 mg weekly. In some case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in a dosage of 250 mg weekly. In some case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t a frequency of every three weeks. In some case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via intravenous administration. In some case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via subcutaneous administration. In some cases, the anti-PD-1 antibody is administered prior to, concurrently with, or subsequent to the bispecific antibody.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1 내지 250 mg의 투여량으로 적어도 1주일 동안 투여한 후 안정한 질환, 부분 반응, 또는 완전 반응을 갖는다. 일부 경우에, 대상체의 유방 조직의 상피 육종은 1 내지 250 mg의 투여량으로 적어도 1주일 동안 이중특이적 항체를 투여한 후 크기가 감소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above methods, the subject has stable disease, a partial response, or a complete response after receiving the bispecific antibody at a dose of 1 to 250 mg for at least one week. In some cases, the epithelial sarcoma in the breast tissue of the subject decreases in size after receiving the bispecific antibody at a dose of 1 to 250 mg for at least one week.

상기 방법의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다음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으로 투여된다: 투여 요법의 1주차 동안 1 mg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초기 투여량의 투여; 투여 요법의 2주차 동안 20 mg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전환 투여량의 투여; 및 투여 요법의 3주차 동안 250 mg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전체 투여량의 투여. 일부 경우에, 초기 투여량은 연속일에 투여되는 2개의 균등한 분획으로 분할된다. 일부 경우에, 전환 투여량은 연속일에 투여되는 2개의 균등한 분획으로 분할된다. 일부 경우에, 전체 투여량은 연속일에 투여되는 2개의 분획으로 분할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전체 투여량의 2개의 분획은 50 mg 분획 및 250 mg 분획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투여 요법은 투여 요법의 4주차 동안 투여되는 250 mg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유지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유지 투여량은 투여 요법의 후속 주 동안 매주 투여된다. 일부 경우에, 유지 투여량은 투여 요법의 후속 주 동안 격주(Q2W)로 투여된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above method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in a dosing regimen comprising: administering an initial dose of 1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1 of the dosing regimen; administering a switching dose of 20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2 of the dosing regimen; and administering a total dose of 250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3 of the dosing regimen. In some cases, the initial dose is divided into two equal fractions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 In some cases, the switching dose is divided into two equal fractions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 In some cases, the total dose is divided into two fractions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 In some embodiments, the two fractions of the total dose comprise a 50 mg fraction and a 250 mg fraction. In some embodiments, the dosing regimen further comprises administering a maintenance dose of 250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4 of the dosing regimen. In some cases, maintenance doses are administered weekly during subsequent weeks of the dosing regimen. In some cases, maintenance doses are administered every other week (Q2W) during subsequent weeks of the dosing regimen.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by reviewing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원의 실시예 2에 기술된) ELISA에 의해 결정했을 때, 다양한 농도의 항-MUC16 클론 3A5 및 BSMUC16/CD3-001이 CA125에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다. BSMUC16/CD3-001 및 이의 MUC16 부모 항체는 MUC16의 반복 영역에 결합하는 항-MUC16 클론 3A5에 비해 시험된 모든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결합 신호를 나타냈다.
도 2는 (본원의 실시예 3에 기술된 바와 같이) CD3-결합 대조군 + 이소형 대조군(△), BSMUC16/CD3-005 + 이소형 대조군(□), CD3-결합 대조군 + 항-PD-1(▲), 및 BSMUC16/CD3-005 + 항-PD-1(■)로 치료한 마우스 군(군 당 5마리)에 대한 평균 종양 성장 곡선을 도시한다. 항-PD-1 항체와 항-CD3xMUC16 이중특이적 항체의 조합은 종양 성장을 상승적으로 억제하였다.
도 3은 T 세포를 BSMUC16/CD3-001과 함께 인큐베이션하는 것이 PD-1 양성 T 세포의 백분율에 미치는 영향을 도시한다.
Figure 1 illustrates binding of various concentrations of anti-MUC16 clone 3A5 and BSMUC16/CD3-001 to CA125 as determined by ELISA (as described in Example 2 herein). BSMUC16/CD3-001 and its MUC16 parent antibody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binding signals at all concentrations tested compared to anti-MUC16 clone 3A5, which binds to the repeat region of MUC16.
Figure 2 depicts the mean tumor growth curves for groups of mice (n = 5 per group) treated with CD3-binding control + isotype control (△), BSMUC16/CD3-005 + isotype control (□), CD3-binding control + anti-PD-1 (▲), and BSMUC16/CD3-005 + anti-PD-1 (■) (as described in Example 3 herein). The combination of anti-PD-1 antibody and anti-CD3xMUC16 bispecific antibody synergistically inhibited tumor growth.
Figure 3 illustrates the effect of incubating T cells with BSMUC16/CD3-001 on the percentage of PD-1 positive T cells.

본 발명을 기술하기 전에, 본 발명은 기술된 특정 방법 및 실험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는데, 이는 이러한 방법 및 조건이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되므로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 구현예를 기술하기 위한 목적이며,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임의의 구현예들 또는 구현예의 특징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고, 이러한 조합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명시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또는 본원에서 논의된 임의의 특정 값은 상기 또는 본원에서 논의된 다른 관련 값과 조합되어 범위의 상단과 하단을 나타내는 값을 갖는 범위를 열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는 본 개시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methods and experimental conditions described, as such methods and conditions may vary.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sinc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ny of the embodiments or features of the embodim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such combinations are express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specific value discussed above or herein may be combined with other relevant values discussed above or herein to enumerate ranges having values represen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anges, and such r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널리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은 인용된 특정 수치와 관련하여 사용될 때, 이러한 값이 인용된 값과 1% 이내에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설명에 사용된 바와 같이, 표현 "약 100"은 99와 101을 포함하고 그 사이의 모든 값(예, 99.1, 99.2, 99.3, 99.4 등)을 포함한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s used herein, the term "about" when used in connection with a specific numerical value recited means that such value can vary by within 1% of the recited value. For example,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 "about 100" includes 99 and 101 and all values therebetween (e.g., 99.1, 99.2, 99.3, 99.4, etc.).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재료와 유사 또는 동등한 어떠한 방법 및 재료도 본 발명의 실시 또는 검사에 사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한 방법 및 재료는 지금부터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모든 특허, 출원, 및 비 특허 공개 문헌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Although any methods and materials similar or equivalent to those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in the practice or tes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methods and materials are now described. All patents, applications, and non-patent publications mentioned herei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their entirety.

암을 치료하거나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How to treat cancer or inhibit its growth

본 발명은 대상체에서 암(예: 재발성 상피 육종)을 치료하거나, 이의 적어도 하나의 증상 또는 적응증의 중증도를 개선 또는 감소시키거나, 이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방법은 MUC16 및 CD3에 대한 이중특이적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치료적 유효량과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치료(treat, treating 등)"는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증상의 원인을 일시적인 방식 또는 영구적인 방식으로 제거하거나, 종양의 성장을 지연 또는 억제하거나, 종양 세포 부하 또는 종양 부담을 감소시키거나, 종양 퇴행을 촉진하거나, 종양의 축소, 괴사 및/또는 제거를 유도하거나, 종양 재발을 방지하고/하거나, 대상체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methods for treating, ameliorating or reducing the severity of at least one symptom or indication thereof, or inhibiting the growth of cancer (e.g., recurrent epithelial sarcoma) in a subject. Methods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body to MUC16 and CD3,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specifically binds PD-1. As used herein, the term "treat", "treating", etc., means alleviating a symptom, eliminating the cause of the symptom, either temporarily or permanently, delaying or inhibiting the growth of a tumor, reducing the tumor cell burden or tumor burden, promoting tumor regression, inducing shrinkage, necrosis and/or elimination of a tumor, preventing tumor recurrence, and/or prolonging the survival of a subject.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라는 표현은 암의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적응증을 나타내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 및/또는 상피 육종을 포함하여 암으로 진단되어 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또는 비인간 포유동물을 의미한다. 많은 구현예에서, 용어 "대상체"는 용어 "환자"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대상체는 원발성 종양이나 전이성 종양으로 진단될 수 있고/있거나, 림프절 비대, 복부 팽만, 흉통/흉압, 원인 불상의 체중 감소, 발열, 도한, 지속적 피로, 식욕 부진, 비장 비대, 가려움증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하나 이상의 증상 또는 적응증으로 진단될 수 있다. 상기 표현은 원발성 상피 육종 또는 확립된 상피 육종을 가진 대상체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표현은 상피 육종 또는 MUC16을 발현하는 또 다른 종양을 가지고 있고 이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대상체를 포함한다. 다른 특정 구현예에서, 상기 표현은 MUC16+ 종양(예를 들어, 유세포 계측법에 의해 결정된 MUC16 발현을 갖는 종양)을 가진 대상체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란 표현은, 선행 요법(예를 들어, 종래의 항암제를 사용하는 치료)에 대해 내성을 가지거나 불응성이거나 선행 요법에 의해 적절히 조절되지 않는 상피 육종을 가진 환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은 화학요법제(예: 타제메토스타트) 또는 탁솔 화합물(예: 도세탁셀)과 같은 화학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대상체를 포함한다. 상기 표현은, 또한 예를 들어, 독성 부작용으로 인해 통상적인 항암 요법을 권장할 수 없는 상피 육종을 가진 대상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은 독성 부작용을 수반하는 화학요법으로 1회 이상 치료 받은 적이 있는 환자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란 표현은 치료를 받았지만 후속하여 재발하였거나 전이된 상피 육종을 가진 환자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종양 퇴행을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항암제로 치료를 받았을 수 있지만; 후속하여 하나 이상의 항암제 내성 암(예를 들어, 화학요법 내성 암)이 재발한 상피 육종을 가진 환자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치료된다.As used herein, the expression "subject in need thereof" refers to a human or non-human mammal exhibiting one or more symptoms or indications of cancer, and/or a human or non-human mammal diagnosed with cancer, including epithelioid sarcoma, and in need of treatment therefor. In many embodiments, the term "subjec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term "patient." For example, the human subject may be diagnosed with a primary tumor or a metastatic tumor, and/or may be diagnosed with one or more symptoms or indicatio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lymphadenopathy, abdominal distension, chest pain/pressure, unexplained weight loss, fever, night sweats, persistent fatigue, anorexia, splenomegaly, and pruritus. The expression encompasses a subject having a primary epithelioid sarcoma or an established epithelioid sarcoma. In certain embodiments, the expression encompasses a human subject having an epithelioid sarcoma or another tumor expressing MUC16 and in need of treatment therefor. 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expression includes a subject having a MUC16+ tumor (e.g., a tumor having MUC16 expression as determined by flow cytometry). In certain embodiments, the expression "a subject in need thereof" includes a patient having an epithelioid sarcoma that is resistant or refractory to prior therapy (e.g., treatment with conventional anticancer agents) or is not adequately controlled by prior therapy. For example, the expression includes a subject who has been treated with a chemotherapy agent (e.g., tazemetostat) or a taxol compound (e.g., docetaxel). The expression also includes a subject having an epithelioid sarcoma for which conventional anticancer therapy is not recommended due to, for example, toxic side effects. For example, the expression includes a patient who has been treated one or more times with a chemotherapy regimen that is associated with toxic side effects. In certain embodiments, the expression "a subject in need thereof" includes a patient having an epithelioid sarcoma that has subsequently relapsed or metastasized after treatment. For example, a patient with an epithelial sarcoma who has been treated with one or more anticancer agents to induce tumor regression; but subsequently develops one or more anticancer agent-resistant cancers (e.g., chemotherapy-resistant cancers) is treated with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라는 표현은 또한 상피 육종에 걸릴 위험이 있는 대상체, 예를 들어, 상피 육종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 상피 육종과 연관된 감염의 과거력이 있는 사람, SMARCB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사람, 또는 HIV 감염으로 인해 또는 면역억제 약물로 인해 손상된 면역체계를 갖는 사람을 포함한다.The phrase "subjects in need thereof" also includes subjects at risk for developing epithelioid sarcoma, for example, those with a family history of epithelioid sarcoma, those with a history of infections associated with epithelioid sarcoma, those with a mutation in the SMARCB1 gene, or those with a compromised immune system due to HIV infection or due to immunosuppressive drugs.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승된 수준의 하나 이상의 암 연관 바이오마커(예를 들어 예정된 사멸 리간드 1(PD-L1), CA125, 인간 부고환 단백질 4(HE4), 및/또는 암배아 항원(CEA))를 나타내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은 PD-L1 및/또는 CA125 수준이 상승한 환자에게 항-PD-1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병용하여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an be used to treat a patient who exhibits elevated levels of one or more cancer-associated biomarkers (e.g., programmed death ligand 1 (PD-L1), CA125, human epididymis protein 4 (HE4), and/or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For example,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patient having elevated levels of PD-L1 and/or CA125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nti-PD-1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상피 육종을 앓는 대상체에서 사용된다. 용어 "종양", "암", 및 "악성 종양"은 본원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피 육종"은 연조직, 예를 들어 손가락, 손, 팔뚝, 하퇴, 또는 발의 피부 아래의 종양을 지칭하지만; 종양이 신체의 다른 영역에서도 성장을 시작할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in a subject suffering from an epithelioid sarcoma. The terms "tumor," "cancer," and "malignant tumor" are used interchangeably herein. The term "epithelial sarcoma," as used herein, refers to a tumor under the skin of soft tissue, such as a finger, hand, forearm, lower leg, or foot; however, the tumor may also begin to grow in other areas of the body.

소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종양을 치료하거나 종양의 성장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종양 퇴행을 촉진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종양 세포 부하를 감소시키거나 종양 부담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종양 재발을 예방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각각의 항체는, 예를 들어 특정 치료 투여 요법의 일부로서 다회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된다. 예를 들어, 치료 투여 요법은 대상체에게 항-MUC16 x CD3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1일에 약 1회, 2일마다 1회, 3일마다 1회, 4일마다 1회, 5일마다 1회, 6일마다 1회, 1주에 1회, 2주마다 1회, 3주마다 1회, 4주마다 1회, 1개월에 1회, 2개월마다 1회, 3개월마다 1회, 4개월마다 1회, 또는 그 이하의 빈도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의 1회 이상의 투여량과 병용으로 투여되며, 여기서 항-PD-1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은 대상체에게 1일에 약 1회, 2일마다 1회, 3일마다 1회, 4일마다 1회, 5일마다 1회, 6일마다 1회, 1주에 1회, 2주마다 1회, 3주마다 1회, 4주마다 1회, 1개월에 1회, 2개월마다 1회, 3개월마다 1회, 4개월마다 1회, 또는 그 이하의 빈도로 투여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for treating a tumor or delaying or inhibiting the growth of a tumor. 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for promoting tumor regression. 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for reducing tumor cell burden or reducing tumor burden. 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comprises a method for preventing tumor recurrence. Methods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wherein each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in multiple doses, for example as part of a specific therapeutic regimen. For example, a therapeutic dosing regimen can include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one or more doses of an anti-MUC16 x CD3 antibody about once daily, once every two days, once every three days, once every four days, once every five days, once every six days, once weekly, once every two weeks, once every three weeks, once every four weeks, once monthly, once every two months, once every three months, once every four months, or less frequently. In certain embodiments, one or more doses of the anti-PD-1 antibody ar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doses 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wherein the one or more doses of the anti-PD-1 antibody ar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bout once daily, once every two days, once every three days, once every four days, once every five days, once every six days, once a week, once every two weeks, once every three weeks, once every four weeks, once a month, once every two months, once every three months, once every four months, or less frequently.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MUC16/항-CD3 항체의 각각의 투여량은 주어진 투여 기간 내에 2회 이상의 분획으로,예를 들어 2 내지 5회 분획으로 투여된다("분할 투여"). 항-MUC16/항-CD3 이중특이적 항체는 항체의 투여에 반응하여 유도된 사이토카인 "스파이크"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하기 위해 분할된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사이토카인 스파이크는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사이토카인 폭풍") 및 주입 관련 반응의 임상 증상을 지칭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항-PD-1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과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이중특이적 항체의 투여량은 주어진 투여 기간 내에 분할 투여량으로서 투여되거나, 1회를 초과하는 분획, 예를 들어, 2회 분획으로, 3회 분획으로, 4회 분획으로, 또는 5회 분획으로 투여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의 투여량은 2개 이상의 분획으로 분할되며, 여기서 각각의 분획은 다른 분획과 동일한 항체의 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000 μg을 포함하는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량이 주 1회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투여량은 주 내에 2회의 분획으로 투여되고, 각각의 분획은 500 μg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의 투여량은 2회 이상의 분획으로 분할되어 투여되며, 여기서 분획은 항체의 불균등한 양,예를 들어, 제1 분획보다 더 많거나 더 적은 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1000 μg을 포함하는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량이 주 1회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투여량은 주 내에 2회의 분획으로 투여되고, 제1 분획은 700 μg을 포함하고 제2 분획은 300 μg을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1000 μg을 포함하는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량이 2주에 1회 투여될 수 있으며, 여기서 투여량은 2주 기간 내에 3회의 분획으로 투여되고, 제1 분획은 400 μg을 포함하고, 제2 분획은 300 μg을 포함하고, 제3 분획은 300 μg을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each dose of anti-MUC16/anti-CD3 antibody is administered in two or more fractions within a given dosing period,For example, administered in two to five fractions (“split administration”). The anti-MUC16/anti-CD3 bispecific antibody may be administered in fractionated doses to reduce or eliminate cytokine “spikes” induced in response to administration of the antibody. Cytokine spikes refer to clinical manifestations of cytokine release syndrome (“cytokine storm”) and infusion-related reactions.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one or more doses of an anti-PD-1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doses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wherein the doses of the bispecific antibody are administered as fractionated doses within a given dosing period, or are administered in more than one fraction, e.g., in two fractions, in three fractions, in four fractions, or in five fractions. In certain embodiments, the dose of the bispecific antibody is divided into two or more fractions, wherein each fraction contains the same amount of antibody as the other fraction. For example, a dose of anti-MUC16/anti-CD3 antibody comprising 1000 μg may be administered once a week, wherein the dose is administered in two fractions within the week, each fraction containing 500 μg. In certain embodiments, the dose of the bispecific antibody is divided into two or more fractions, wherein the fractions contain unequal amounts of antibody,For example, a dose of anti-MUC16/anti-CD3 antibodies comprising more or less than the first fraction. For example, a dose of anti-MUC16/anti-CD3 antibodies comprising 1000 μg may be administered once a week, wherein the dose is administered in two fractions within the week, wherein the first fraction comprises 700 μg and the second fraction comprises 300 μg. As another example, a dose of anti-MUC16/anti-CD3 antibodies comprising 1000 μg may be administered once every two weeks, wherein the dose is administered in three fractions within a two week period, wherein the first fraction comprises 400 μg, the second fraction comprises 300 μg, and the third fraction comprises 300 μg.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종양 전이 또는 말초 기관으로의 종양 침윤을 억제, 지연, 또는 중단시키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태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encompasses a method of inhibiting, delaying, or stopping tumor metastasis or tumor invasion into a peripheral organ. According to this aspect,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특정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항종양 효능을 증가시키거나 종양 억제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방법은, 상피 육종을 가진 대상체에게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기 전에 항-PD-1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항-PD-1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체의 약 1일, 1일 초과, 2일 초과, 3일 초과, 4일 초과, 5일 초과, 6일 초과, 7일 초과, 또는 8일 초과 전에 투여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항-PD-1 항체 이전에 이중특이적 항체로 투여된 대상체와 비교했을 때 예를 들어, 약 20%, 20% 초과, 30% 초과, 40% 초과, 50% 초과, 60% 초과, 70% 초과, 또는 80% 초과만큼 종양 억제를 증가시킨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creasing anti-tumor efficacy or increasing tumor inhibition. A method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having epithelial sarcoma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nti-PD-1 antibody prior to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wherein the anti-PD-1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about 1 day, more than 1 day, more than 2 days, more than 3 days, more than 4 days, more than 5 days, more than 6 days, more than 7 days, or more than 8 days prior to the bispecific antibody.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 increases tumor inhibition by, for example, about 20%, greater than 20%, greater than 30%, greater than 40%, greater than 50%, greater than 60%, greater than 70%, or greater than 80% compared to a subject administered the bispecific antibody prior to the anti-PD-1 antibody.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CD3xMUC16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상피 육종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은 성장이 느리거나 또는 공격적이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선행 요법에 반응하지 않거나 선행 요법 후 재발한 상태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정상 상한치(ULN)의 2배 이상(예를 들어 약 92 U/ml 이상)인 CA-125 수준을 갖는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치료 전) 대상체의 혈청 CA-125 수준은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또는 200 U/ml 이상이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추가 치료제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patient having epithelioid sarcoma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In further embodiments, the epithelioid sarcoma is slow-growing or aggressive.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bject is refractory to prior therapy or has relapsed following prior therapy. In some embodiments, the subject has a CA-125 level tha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2 times the upper limit of normal (ULN) (e.g., greater than or equal to about 92 U/ml). In various embodiments, the subject's serum CA-125 level (prior to treatment)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or 200 U/ml.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n additional therapeutic agent.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MUC16+ 암을 가진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암은 상피 육종이다. 추가의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은 진행이 느리거나 또는 공격적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은 환자의 흉벽, 폐, 및/또는 유방 조직에 존재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 환자는 혈청 CA-125의 상승된 수준(예를 들어, 적어도 2x ULN)을 갖는다. 일부 구현예에서, 암은 화학요법 약물에 내성이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대상체는 선행 요법에 반응하지 않거나 선행 요법(예: 화학요법) 후 재발한 상태이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a subject having a MUC16+ cancer. In certain embodiments, the cancer is an epithelial sarcoma. In further embodiments, the epithelial sarcoma is slow-growing or aggressive. In some embodiments, the epithelial sarcoma is present in the chest wall, lung, and/or breast tissue of the patient. In some embodiments, the epithelial sarcoma patient has an elevated level of serum CA-125 (e.g., at least 2x ULN). In some embodiments, the cancer is resistant to a chemotherapy drug. In certain embodiments, the subject is refractory to prior therapy or has relapsed following prior therapy (e.g., chemotherapy).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1선" 치료(예: 초기 치료)로서 항-PD-1 항체를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를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병용으로 "2선" 치료로서(예를 들어, 선행 요법 후의) 투여한다. 예를 들어, 항-PD-1 항체를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병용으로 "2선" 치료로서 예를 들어 화학요법으로 진행한 선행 요법 이후 재발한 대상체에 투여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n anti-PD-1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s a "first-line" treatment (e.g., an initial treatment). In other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is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s a "second-line" treatment (e.g., following prior therapy). For example, the anti-PD-1 antibody is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s a "second-line" treatment to a subject who has relapsed following prior therapy, such as chemotherapy.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MRD-양성 질환을 가진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미세잔존질환(MRD)은 치료 도중 또는 치료 후에 환자에게 남아 있는 적은 수의 암세포를 지칭하며, 여기서 환자는 질환의 증상 또는 징후를 나타내거나 나타내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잔존 암세포를 제거하지 않으면, 빈번하게 질환 재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MRD 시험 시 환자에게 남아있는 잔존 암 세포를 억제 및/또는 제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MRD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예: MRD 유세포 분석)에 따라 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라, 상기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are used to treat a patient with a MRD-positive disease. Minimal residual disease (MRD) refers to a small number of cancer cells remaining in a patient during or after treatment, which may or may not exhibit symptoms or signs of the disease. Failure to remove these residual cancer cells frequently leads to disease relapse. The invention encompasses methods for inhibiting and/or removing residual cancer cells remaining in a patient in a MRD assay. MRD can be assayed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MRD flow cytometry.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소정의 구현예에 따라, 본 발명의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 및 임의로 제3 치료제와 병용으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치료제는 다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사선, 화학요법, 수술, 암 백신, PD-L1 억제제(예: 항-PD-L1 항체), LAG3 억제제(예: 항-LAG3 항체), CTLA-4 억제제(예: 항-CTLA-4 항체), TIM3 억제제, BTLA 억제제, TIGIT 억제제, CD47 억제제, 인돌아민-2,3-디옥시게나아제(IDO) 억제제, 혈관 내피 성장 인자(VEGF) 길항제, Ang2 억제제, 형질전환 성장 인자 베타(TGF 베타) 억제제,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EGFR) 억제제, 종양-특이적 항원에 대한 항체(예: CA9, CA125, 흑색종-연관 항원 3(MAGE3), 암배아 항원(CEA), 비멘틴, 종양-M2-PK, 전립선-특이적 항원(PSA), 뮤신-1, MART-1, 및 CA19-9), 백신(예를 들어, 바실러스 칼메트-게랭),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자극 인자, 세포독소, 화학요법제, IL-6R 억제제, IL-4R 억제제, IL-10 억제제, IL-2, IL-7, IL-21, 및 IL-15와 같은 사이토카인, 코르티코스테로이드와 같은 항염증제,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항산화제와 같은 식이 보충제.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체는 화학요법제(예: 타제메토스타트, 파클리탁셀, 카보플라틴, 독소루비신, 시클로포스파미드, 시스플라틴, 젬시타빈, 또는 도세탁셀), 방사선, 및 수술을 포함하는 요법과 병용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와 병용으로(in combination with)"라는 문구는 항체가 제3 치료제의 투여와 동시에, 투여 직전, 또는 투여 직후에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제3 치료제는 항체와의 공동-제형으로서 투여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and, optionally, a third therapeutic agent. The third therapeutic agent may be an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radiation, chemotherapy, surgery, a cancer vaccine, a PD-L1 inhibitor (e.g., an anti-PD-L1 antibody), a LAG3 inhibitor (e.g., an anti-LAG3 antibody), a CTLA-4 inhibitor (e.g., an anti-CTLA-4 antibody), a TIM3 inhibitor, a BTLA inhibitor, a TIGIT inhibitor, a CD47 inhibitor, an indoleamine-2,3-dioxygenase (IDO) inhibitor, a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tagonist, an Ang2 inhibitor, a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 beta) inhibitor, 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EGFR) inhibitor, antibodies to tumor-specific antigens (e.g., CA9, CA125, melanoma-associated antigen 3 (MAGE3),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vimentin, tumor-M2-PK, prostate-specific antigen (PSA), mucin-1, MART-1, and CA19-9), a vaccine (e.g., Bacillus Calmette-Guérin), granulocyte-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cytotoxins, chemotherapeutic agents, cytokines such as IL-6R inhibitors, IL-4R inhibitors, IL-10 inhibitors, IL-2, IL-7, IL-21, and IL-15, anti-inflammatory agents such as corticosteroids,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agents, and dietary supplements such as antioxidants. In certain embodiments, the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ith a therapy including a chemotherapeutic agent (e.g., tazemetostat, paclitaxel, carboplatin, doxorubicin, cyclophosphamide, cisplatin, gemcitabine, or docetaxel), radiation, and surgery. As used herein, the phrase "in combination with" means that the antibody is administered to a subject simultaneously with, immediately prior to, or immediately following administration of a third therapeutic agent. In certain embodiments, the third therapeutic agent is administered as a co-formulation with the antibody.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병용 요법이 투여되는 경우, 항체의 투여는 종양 성장의 억제를 증가시킨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종양 성장은 미치료 대상체 또는 항체 중 어느 하나로 단일요법으로서 투여받은 대상체와 비교해 적어도 약 10%, 약 20%,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또는 약 80%만큼 억제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대상체에 대한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는 종양 퇴행, 종양 축소, 및/또는 소멸을 증가시킨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는 종양 성장 및 발생을 지연시키는, 예를 들어, 종양 성장은 미치료 대상체 또는 항체 중 어느 하나로 단일요법으로서 치료받은 대상체와 비교해 약 3일, 3일 초과, 약 7일, 7일 초과, 15일 초과, 1개월 초과, 3개월 초과, 6개월 초과, 1년 초과, 2년 초과, 또는 3년 초과만큼 지연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를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병용으로 투여하는 것은 종양 재발을 방지하고/하거나 대상체의 생존 기간을 연장시키는데, 예를 들어, 미치료 대상체 또는 항체 중 어느 하나로 단일요법으로서 투여받은 대상체보다 생존 기간을 15일 초과, 1개월 초과, 3개월 초과, 6개월 초과, 12개월 초과, 18개월 초과, 24개월 초과, 36개월 초과, 또는 48개월 초과만큼 연장시킨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체의 병용 투여는 무진행 생존 기간 또는 전체 생존 기간을 증가시킨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를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병용으로 투여하는 것은, 미치료 대상체 또는 항체 중 어느 하나를 단일요법으로서 받은 대상체에 비해, 대상체에서 반응 및 반응 지속 기간을, 예를 들어, 2% 초과, 3% 초과, 4% 초과, 5% 초과, 6% 초과, 7% 초과, 8% 초과, 9% 초과, 10% 초과, 20% 초과, 30% 초과, 40% 초과, 또는 50% 초과만큼 증가시킨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 환자에게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투여하면 종양 세포의 모든 증거가 완전한 소멸된다("완전 반응"). 소정의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 환자에게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투여하면 종양 세포 또는 종양 크기가 적어도 30% 이상의 감소된다("부분 반응"). 소정의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 환자에게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투여하면 측정 가능한 신규 병변을 포함하여 종양 세포/병변이 완전 소멸 또는 부분 소멸된다. 종양 감소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X-선,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컴퓨터 단층 촬영(CT), 자기 공명 영상(MRI), 세포학, 조직학, 또는 분자 유전자 분석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는 단독으로 투여될 때의 두 제제의 조합된 효과를 초과하는 항종양 시너지 효과를 일으킨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When combination therapy is administered, administration of the antibodies increases inhibition of tumor growth. In certain embodiments, tumor growth is inhibited by at least about 10%, about 20%, about 30%, about 40%, about 50%, about 60%, about 70%, or about 80% compared to an untreated subject or a subject administered either the antibodies as a monotherapy.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ration of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a subject increases tumor regression, tumor shrinkage, and/or disappearance.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ration of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delays tumor growth and development, for example, tumor growth can be delayed by about 3 days, greater than 3 days, about 7 days, greater than 7 days, greater than 15 days, greater than 1 month, greater than 3 months, greater than 6 months, greater than 1 year, greater than 2 years, or greater than 3 years as compared to untreated subjects or subjects treated with either antibody as monotherapy.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ering an anti-PD-1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prevents tumor recurrence and/or prolongs survival in a subject, e.g., by greater than 15 days, greater than 1 month, greater than 3 months, greater than 6 months, greater than 12 months, greater than 18 months, greater than 24 months, greater than 36 months, or greater than 48 months, compared to an untreated subject or a subject administered either antibody as monotherapy. In certain embodiments, co-administration of the antibodies increases progression-free survival or overall survival.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ering the anti-PD-1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increases the response and duration of response in the subject by, for example, greater than 2%, greater than 3%, greater than 4%, greater than 5%, greater than 6%, greater than 7%, greater than 8%, greater than 9%, greater than 10%, greater than 20%, greater than 30%, greater than 40%, or greater than 50%, as compared to an untreated subject or a subject receiving either antibody as a monotherapy.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ering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a patient with epithelioid sarcoma results in complete disappearance of all evidence of tumor cells (a "complete response").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ering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a patient with epithelioid sarcoma results in a reduction of tumor cells or tumor size by at least 30% or more (a "partial response").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ration of an anti-PD-1 antibody and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a patient with epithelial sarcoma results in complete or partial disappearance of tumor cells/lesions, including measurable new lesions. Tumor reduction can be measured by any of the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for example, X-ray,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computed tomography (C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ytology, histology, or molecular genetic analysis. In certain embodiments, administration of an anti-PD-1 antibody and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results in a synergistic anti-tumor effect that exceeds the combined effect of the two agents when administered alone.

소정의 구현예에서, 투여된 항체의 조합은 안전하고 환자의 내약성이 양호하며, 여기서 단일요법으로서 이중특이적 항체를 투여한 환자와 비교하여 유해 부작용(예를 들어, 증가된 사이토카인 방출("사이토카인 폭풍") 또는 증가된 T-세포 활성화)이 증가하지 않는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combination of antibodies administered is safe and well tolerated by patients, and there is no increase in adverse side effects (e.g., increased cytokine release (“cytokine storm”) or increased T-cell activation) compared to patients administered the bispecific antibodies as monotherapy.

소정의 경우에, 요법에 대한 대상체의 반응은 완전 반응(CR), 부분 반응(PR), 진행성 질환(PD), 또는 안정한 질환(SD)으로 분류된다. CR은 모든 표적 병변의 소멸, 및 임의의 병리학적 림프절(표적 또는 비표적인지에 관계없이)의 짧은 축이 10 mm(1 cm) 미만으로 감소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PR은 베이스라인 직경 합계를 기준으로, 표적 병변 직경 합계가 적어도 30% 감소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PD는 연구 중 최소 합계(베이스라인 총합이 연구 중 최소 합계인 경우, 베이스라인 합계를 포함함)를 기준으로, 표적 병변의 직경 합계가 적어도 20% 증가하는 것으로서 정의된다. 합계는 20%의 상대 증가와 더불어, 적어도 5 mm (0.5 cm)의 절대 증가를 보여야 한다. (참고: 하나 이상의 새로운 병변의 출현도 질환진행으로 간주됨). SD는 연구 중 최소 직경의 합계를 기준으로, PR이 되기에도 불충분한 축소 및 PD가 되기에도 불충분한 증가로서 정의된다.In some cases, the subject's response to therapy is classified as complete response (CR), partial response (PR), progressive disease (PD), or stable disease (SD). CR is defined as disappearance of all target lesions and a decrease in the short axis of any pathologic lymph node (whether target or nontarget) of less than 10 mm (1 cm). PR is defined as a decrease in the sum of target lesion diameters of at least 30% from the baseline sum of diameters. PD is defined as an increase in the sum of target lesion diameters of at least 20% from the smallest sum on study (including the baseline sum if the baseline sum is the smallest sum on study). The sum must show an absolute increase of at least 5 mm (0.5 cm) with a relative increase of 20%. (Note: the appearance of one or more new lesions is also considered progression.) SD is defined as a decrease in the sum of the smallest sum of diameters on study that is insufficient to constitute PR and an increase in the sum of the smallest sum of diameters on study that is insufficient to constitute PD.

항-PD-1 항체 및 이의 항원 결합 단편Anti-PD-1 antibodies and antigen-binding fragments thereof

본 발명의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4개의 폴리펩티드 사슬, 즉 이황화 결합에 의해 상호 연결된 2개의 중쇄(H) 및 2개의 경쇄(L)를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분자뿐만 아니라 이의 다량체(예를 들어, IgM)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항체에서, 각각의 중쇄는 중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HCVR 또는 VH로 약칭됨) 및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중쇄 불변 영역은 3개의 도메인 CH1, CH2, 및 CH3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쇄는 경쇄 가변 영역(본원에서 LCVR 또는 VL로 약칭됨) 및 경쇄 불변 영역을 포함한다. 경쇄 불변 영역은 하나의 도메인을 포함한다(CL1). VH 영역 및 VL 영역은, 더 보존적인 영역(프레임워크 영역(FR)으로 지칭됨)이 중간에 끼어 있는 초가변 영역(상보성 결정 영역(CDR)으로 지칭됨)으로 추가로 세분화될 수 있다. 각각의 VH 및 VL은 아미노 말단에서 카르복시 말단의 방향으로 다음 순서로 배열된 3개의 CDR과 4개의 FR을 포함한다: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항-IL-4R 항체(또는 이의 항원 결합 부분)의 FR은 인간 생식선 서열과 동일하거나, 자연적으로 또는 인공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미노산 공통 서열은 둘 이상의 CDR의 병렬 분석에 기초하여 정의될 수 있다.According to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n anti-PD-1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As used herein, the term "antibody" includes immunoglobulin molecules comprising four polypeptide chains, namely two heavy (H) chains and two light (L) chains interconnected by disulfide bonds, as well as multimers thereof (e.g., IgM). In a typical antibody, each heavy chain comprises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bbreviated herein as HCVR or VH ) and a heavy chain constant region. The heavy chain constant region comprises three domains, CH 1 , CH 2 , and CH 3 . Each light chain comprise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abbreviated herein as LCVR or VL ) and a light chain constant region. The light chain constant region comprises one domain (CL 1 ). The VH domain and the VL domain can be further subdivided into hypervariable regions (termed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CDRs)) interspersed with more conserved regions (termed framework regions (FRs)). Each VH and VL comprises three CDRs and four FRs, arranged in the following order from amino terminus to carboxy terminus: FR1, CDR1, FR2, CDR2, FR3, CDR3, FR4. In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the FRs of the anti-IL-4R antibody (or antigen-binding portion thereof) can be identical to a human germline sequence, or can be naturally or artificially modified. An amino acid consensus sequence can be defined based on parallel analysis of two or more CDRs.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또한 전체 항체 분자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항체의 "항원 결합 부분",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 등은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임의의 자연적인, 또는 효소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또는 합성, 또는 유전자 조작된 폴리펩티드 또는 당단백질을 포함한다.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예를 들어 단백질 분해 소화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표준 기술 또는 항체 가변 도메인 및 임의로 불변 도메인을 암호화하는 DNA의 조작 및 발현을 포함하는 재조합 유전자 조작 기술을 사용해 전체 항체 분자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DNA는 공지되어 있고/있거나, 예를 들어 상업적인 공급원, (예를 들어, 파지-항체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DNA 라이브러리로부터 쉽게 이용할 수 있거나, 합성될 수 있다. 이러한 DNA는 서열화될 수 있고 화학적으로 또는 분자 생물학 기법을 사용하여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가변 및/또는 불변 도메인을 적절한 구성으로 배열하거나, 또는 코돈을 도입하거나, 시스테인 잔기를 생성하거나, 아미노산의 변형, 첨가, 또는 결실 등으로 조작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 "antibody" also includes antigen-binding fragments of whole antibody molecules. As used herein, the terms "antigen-binding portion" of an antibody, "antigen-binding fragment" of an antibody, and the like, include any natural, enzymatically obtainable, synthetic, or genetically engineered polypeptide or glycoprote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an antigen to form a complex. Antigen-binding fragments of antibodies can be derived from whole antibody molecules using any suitable standard technique, such as, for example, proteolytic digestion, or recombinant genetic engineering techniques, including the manipulation and expression of DNA encoding antibody variable domains and, optionally, constant domains. Such DNA is known and/or readily available, for example, from commercial sources, DNA libraries (including, for example, phage-antibody libraries), or can be synthesized. Such DNA can be sequenced and manipulated chemically or using molecular biology techniques, for example by arranging one or more variable and/or constant domains in an appropriate configuration, or by introducing codons, creating cysteine residues, or modifying, adding, or deleting amino acids.

항원 결합 단편의 비제한적 예는: (i) Fab 단편; (ii) F(ab')2 단편; (iii) Fd 단편; (iv) Fv 단편; (v) 단쇄 Fv(scFv) 분자; (vi) dAb 단편; 및 (vii) 항체의 초가변 영역(예: CDR3 펩티드와 같은 단리된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모방하는 아미노산 잔기, 또는 제한된 FR3-CDR3-FR4 펩티드로 이루어진 최소 인지 단위를 포함한다. 다른 조작된 분자, 예를 들어, 도메인 특이적 항체, 단일 도메인 항체, 도메인-결실 항체, 키메라 항체, CDR-이식 항체, 디아바디, 트리아바디, 테트라바디, 미니바디, 나노바디(예를 들어, 1가 나노바디, 2가 나노바디 등), 작은 모듈형 면역치료제(SMIP), 및 상어 가변 IgNAR 도메인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항원 결합 단편"이란 표현에 포함된다.Non-limiting examples of antigen-binding fragments include: (i) a Fab fragment; (ii) a F(ab')2 fragment; (iii) a Fd fragment; (iv) a Fv fragment; (v) a single-chain Fv (scFv) molecule; (vi) a dAb fragment; and (vii) a minimum recognition unit consisting of amino acid residues that mimic the hypervariable region of an antibody (e.g., an isolated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such as a CDR3 peptide), or a restricted FR3-CDR3-FR4 peptide. Other engineered molecules, such as domain-specific antibodies, single domain antibodies, domain-deleted antibodies, chimeric antibodies, CDR-grafted antibodies, diabodies, triabodies, tetrabodies, minibodies, nanobodies (e.g., monovalent nanobodies, bivalent nanobodies, etc.), small modular immunotherapeutics (SMIPs), and shark variable IgNAR domains, are also encompassed by the term "antigen-binding fragment" as used herein.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변 도메인을 포함할 것이다. 가변 도메인은 임의의 크기 또는 아미노산 조성일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레임워크 서열에 인접하거나 그것과 한 프레임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CDR을 포함할 것이다. VL 도메인과 결합된 VH 도메인을 갖는 항원 결합 단편에서, VH 및 VL 도메인은 임의의 적절한 배열로 서로 상대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변 영역은 이량체일 수 있고, VH-VH, VH-VL, 또는 VL-VL 이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단량체 VH 또는 VL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An antigen-binding fragment of an antibody will typically comprise at least one variable domain. The variable domain may be of any size or amino acid composition and will typically comprise at least one CDR that is adjacent to or in frame with one or more framework sequences. In an antigen-binding fragment having a VH domain associated with a VL domain, the VH and VL domains can be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in any suitable arrangement. For example, the variable regions may be dimeric and may comprise VH -VH , VH -VL , or VL -VL dimers. Alternatively, the antigen-binding fragment of an antibody may comprise monomeric VH or VL domains.

소정의 구현예에서,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적어도 하나의 불변 도메인에 공유 결합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 도메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가변 및 불변 도메인의 비제한적인 예시적 구성은 다음을 포함한다: (i) VH-CH1; (ii) VH-CH2; (iii) VH-CH3; (iv) VH-CH1-CH2; (v) VH-CH1-CH2-CH3; (vi) VH-CH2-CH3; (vii) VH-CL; (viii) VL-CH1; (ix) VL-CH2; (x) VL-CH3; (xi) VL-CH1-CH2; (xii) VL-CH1-CH2-CH3; (xiii) VL-CH2-CH3; 및 (xiv) VL-CL. 위에서 열거된 임의의 예시적인 구성을 포함하는 가변 및 불변 도메인의 임의의 구성에서, 이러한 가변 및 불변 도메인은 직접적으로 상호간에 연결되거나 또는 전체 또는 부분적인 힌지 또는 링커 영역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힌지 영역은 단일 폴리펩티드 분자의 인접한 가변 및/또는 불변 도메인 사이에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연결을 초래하는 적어도 2개(예: 5, 10, 15, 20, 40, 60개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위에서 열거된 가변 및 불변 도메인 구성 중 어느 하나의 동종-이량체 또는 이종-이량체(또는 다른 다량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비공유 결합되고/되거나, 하나 이상의 단량체 VH 또는 VL 도메인과 비공유 결합된다(예를 들어, 이황화 결합(들)에 의해).In certain embodiments, the antigen-binding fragment of the antibody can comprise at least one variable domain covalently linked to at least one constant domain. Non-limiting exemplary configurations of variable and constant domains that may be found within the antigen-binding fragment of the antibody of the invention include: (i) VH -CH 1; (ii) VH -CH 2; (iii) VH -CH 3; (iv) VH -CH 1-CH 2; (v) VH -CH 1-CH 2-CH 3; (vi) VH -CH 2-CH 3; (vii) VH -CL ; (viii) VL -CH 1; (ix) VL -CH 2; (x) VL -CH 3; (xi) VL -CH 1-CH 2; (xii) VL -CH 1-CH 2-CH 3; (xiii) VL -CH 2-CH 3; And (xiv) VL -CL . In any of the configurations of variable and constant domains comprising any of the exemplary configurations enumerated above, the variable and constant domains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may be connected in whole or in part by a hinge or linker region. The hinge region may be comprised of at least two (e.g., 5, 10, 15, 20, 40, 60 or more) amino acids that provide a flexible or semi-flexible linkage between adjacent variable and/or constant domains of a single polypeptide molecule. In addition, the antigen-binding fragments of the antibodies of the invention may comprise homo-dimers or hetero-dimers (or other multimers) of any of the variable and constant domain configurations enumerated above, which are non-covalent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or non-covalentl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monomeric VH or VL domains (e.g., by disulfide bond(s)).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항체"는 다중특이적(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체도 포함한다. 다중 특이적 항체 또는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가변 도메인을 포함하게 되며, 여기서 각각의 가변 도메인은 별도의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거나 동일한 항원 상의 상이한 에피토프(epitope)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임의의 다중 특이적 항체 포맷은 당업계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일상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체의 항원 결합 단편의 맥락에서 사용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이중특이적 항체의 용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하며, 여기서 면역글로불린의 하나의 아암은 PD-1 또는 이의 단편에 특이적이고, 면역글로불린의 다른 하나의 아암은 제2 치료 표적에 특이적이거나 치료 모이어티에 접합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이중특이적 포맷으로는, 제한 없이, 예를 들어, scFv-계열 또는 디아바디 이중특이적 포맷, IgG-scFv 융합, 이중 가변 도메인(DVD)-Ig, 콰드로마(quadroma), 놉-인투-홀(knobs-into-holes), 공통 경쇄(예컨대 놉-인투-홀을 가지는 공통 경쇄 등), 크로스맙(CrossMab), 크로스팝(CrossFab), (SEED)바디, 류신 지퍼, 듀오바디, IgG1/IgG2, 이중으로 작용하는 Fab (DAF)-IgG, 및 Mab.sup.2 이중특이적 포맷을 포함한다(전술한 포맷을 검토하려면, 예를 들어 Klein 등의 문헌[2012, mAbs 4:6, 1-11] 및 동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을 참조한다). 이중특이적 항체는 펩티드/핵산 접합을 사용해서도 작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여기서 직교 화학 반응성을 갖는 비천연 아미노산은 부위특이적 항체-올리고뉴클레오티드 접합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고, 이는 정의된 조성, 원자가, 및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다량체 복합체로 자기 조립된다. (예를 들어 Kazane 등의 문헌[J. Am. Chem. Soc. [Epub: 2012년 12월 4일]] 참조).As used herein, the term "antibody" also includes multispecific (e.g., bispecific) antibodies. Multispecific antibodies or antigen-binding fragments of antibodies will generally comprise at least two different variable domains, wherein each variable domain can specifically bind to a separate antigen or can specifically bind to a different epitope on the same antigen. Any multispecific antibody format can be adapted for use in the context of the antibodies or antigen-binding fragments of antibodies of the invention using routine techniques available in the art. For example, the invention includes methods comprising the use of bispecific antibodies, wherein one arm of the immunoglobulin is specific for PD-1 or a fragment thereof, and the other arm of the immunoglobulin is specific for a second therapeutic target or is conjugated to a therapeutic moiety. Exemplary bispecific formats that may be use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ithout limitation, scFv-based or diabody bispecific formats, IgG-scFv fusions, dual variable domain (DVD)-Ig, quadroma, knobs-into-holes, common light chains (e.g., common light chains with knobs-into-holes), CrossMabs, CrossFabs, (SEED)bodies, leucine zippers, duobodies, IgG1/IgG2, dually functional Fab (DAF)-IgG, and Mab.sup.2 bispecific formats (for a review of the aforementioned formats, see, e.g., Klein et al. [2012, mAbs 4:6, 1-11] and references cited therein). Bispecific antibodies can also be constructed using peptide/nucleic acid conjugates, for example, wherein unnatural amino acids with orthogonal chemical reactivities are used to generate site-specific antibody-oligonucleotide conjugates, which self-assemble into multimeric complexes of defined composition, valence, and geometry. (See, e.g., Kazane et al., J. Am. Chem. Soc. [Epub: December 4, 2012]).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항체는 인간 항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선 면역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래된 가변 및 불변 영역을 갖는 항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선 면역글로불린 서열에 의해 암호화되지 않은 아미노산 잔기(예컨대, 시험관 내 무작위 또는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또는 생체 내 체세포성 돌연변이에 의해 도입된 돌연변이)를 예를 들어 CDR에 포함할 수 있고, 특히 CDR3에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인간 항체"는 또 다른 포유류 종, 예를 들면 쥐의 생식선으로부터 유도된 CDR 서열이 인간 프레임워크 서열 위로 그래프트되어 있는 항체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지는 않는다.The antibodies used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human antibodies. The term "human antibody"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antibodies having variable and constant regions derived from human germline immunoglobulin sequences. However, the human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mino acid residues that are not encoded by human germline immunoglobulin sequences (e.g., mutations introduced in vitro by random or site-specific mutagenesis, or in vivo by somatic mutation), for example in the CDRs, and particularly in CDR3. However, the term "human antibody" as used herein is not intended to include antibodies in which CDR sequences derived from the germline of another mammalian species, such as a mouse, are grafted onto human framework sequences.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항체는 재조합 인간 항체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재조합 인간 항체"는 재조합 수단에 의해 제조되거나, 발현되거나, 생성되거나, 또는 분리된 모든 인간 항체, 예를 들어 숙주 세포 안에 형질전환된 재조합 발현 벡터를 사용하여 발현된 항체(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됨), 재조합된 조합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분리된 항체(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됨),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에 대해 유전자가 도입된 동물(예를 들어, 쥐)로부터 분리된 항체(예를 들어, Taylor 등의 문헌[Nucl. Acids Res. 20:6287-6295(1992)] 참조), 또는 다른 DNA 서열에 대해 인간 면역글로불린 유전자 서열의 스플라이싱을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수단에 의해 제조되거나, 발현되거나, 생성되거나 또는 분리된 항체를 포함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재조합 인간 항체는 인간 생식선 면역글로불린 서열로부터 유래된 가변 및 불변 영역을 갖는다. 그러나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러한 재조합 인간 항체는 시험관 내 돌연변이 유발(또는 인간 Ig 서열에 대해 유전자 도입된 동물이 사용되는 경우에서의, 생체 내 체세포성 돌연변이 유발)을 거치므로, 재조합 항체의 VH 및 VL 영역의 아미노산 서열은 인간 생식선 VH 및 VL 서열로부터 유래되고 이들과 관련되지만, 생체 내에서 인간 항체 생식선 레퍼토리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서열이다.The antibodies used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combinant human antibodies. The term "recombinant human antibody" as used herein is intended to include all human antibodies that are prepared, expressed, generated, or isolated by recombinant means, including antibodies expressed using a recombinant expression vector transformed into a host cell (described in detail below), antibodies isolated from a recombinant combinatorial human antibody library (described in detail below), antibodies isolated from an animal (e.g., a mouse) that has been transgenic for human immunoglobulin genes (see, e.g., Taylor et al., Nucl. Acids Res. 20:6287-6295 (1992)), or antibodies prepared, expressed, generated, or isolated by any other means that involves splicing of human immunoglobulin gene sequences to other DNA sequences. Such recombinant human antibodies have variable and constant regions derived from human germline immunoglobulin sequences. However, in certain embodiments, such recombinant human antibodies have undergone in vitro mutagenesis (or, in vivo, somatic mutagenesis, when an animal transgenic for human Ig sequences is used), such that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VH and VL regions of the recombinant antibodies are sequences that are derived from and related to human germline VH and VL sequences, but which may not naturally exist within the human antibody germline repertoire in vivo.

소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항체는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또는 이와 유사한 용어는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항원과 비교적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항체가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평형 투석, 표면 플라스몬 공명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는, 표면 플라스몬 공명 검정에서 측정했을 때, 약 500 nM 미만, 약 300 nM 미만, 약 200 nM 미만, 약 100 nM 미만, 약 90 nM 미만, 약 80 nM 미만, 약 70 nM 미만, 약 60 nM 미만, 약 50 nM 미만, 약 40 nM 미만, 약 30 nM 미만, 약 20 nM 미만, 약 10 nM 미만, 약 5 nM 미만, 약 4 nM 미만, 약 3 nM 미만, 약 2 nM 미만, 약 1 nM 미만, 또는 약 0.5 nM 미만의 KD로 PD-1 또는 이의 일부에 결합하는 항체를 포함한다. 그러나, 인간 PD-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리된 항체는 다른 (비-인간) 종 유래의 PD-1 분자와 같은 다른 항원에 대해 교차 반응성을 가질 수 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antibody used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binds to PD-1. The term "specifically binds" or similar means that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forms a relatively stable complex with the antigen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Methods for determining whether an antibody specifically binds to an antigen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for example, equilibrium dialysis, surface plasmon resonance, and the like. For example, as use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PD-1 includes an antibody that binds to PD-1 or a portion thereof with a K D of less than about 500 nM, less than about 300 nM, less than about 200 nM, less than about 100 nM, less than about 90 nM, less than about 80 nM, less than about 70 nM, less than about 60 nM, less than about 50 nM, less than about 40 nM, less than about 30 nM, less than about 20 nM, less than about 10 nM, less than about 5 nM, less than about 4 nM, less than about 3 nM, less than about 2 nM, less than about 1 nM, or less than about 0.5nM as measured in a surface plasmon resonance assay. However, isolated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human PD-1 may have cross-reactivity to other antigens, such as PD-1 molecules from other (non-human) species.

본 발명의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미국 특허 공개 제20150203579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항-PD-1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경쇄 가변 영역(LCVR), 및/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한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3개의 HCDR(HCDR1, HCDR2, 및 HCDR3) 및 3개의 LCDR(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며, 여기서 HCDR1은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HCDR2는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HCDR3은 서열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LCDR1은 서열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LCDR2는 서열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LCDR3은 서열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3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34를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항-PD-1 항체의 용도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항체는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는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한다.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항체는 REGN2810으로서 알려진(세미플리맙으로도 알려짐) 완전한 인간 항-PD-1 항체이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REGN2810 또는 이의 생물학적 등가물의 용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생물학적 등가물"은 항-PD-1 항체 또는 PD-1 결합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으로서, 유사한 실험 조건 하에 동일한 몰 투여량(1회 투여량 또는 다회 투여량)으로 투여되었을 때 REGN2810의 흡수 속도 및/또는 정도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는 약학적 등가물 또는 약학적 대안인, 항-PD-1 항체 또는 PD-1 결합 단백질 또는 이들의 단편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상기 용어는 PD-1에 결합하는 항원 결합 단백질로서, 안전성, 순도, 및/또는 효능에 있어서 REGN2810과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항원 결합 단백질을 지칭한다.According to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es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and/or a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 (CDR) comprising any on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of an anti-PD-1 antibody as set forth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50203579.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can be used in the context of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eavy chain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 (HCDR) of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3 and a light chain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 (LCDR) of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4. In certain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es three HCDRs (HCDR1, HCDR2, and HCDR3) and three LCDRs (LCDR1, LCDR2, and LCDR3), wherein HCDR1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5; HCDR2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6; HCDR3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7; LCDR1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8; LCDR2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9; and LCDR3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0. In another embodiment,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SEQ ID NO: 33 and an LCVR comprising SEQ ID NO: 34.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the use of an anti-PD-1 antibody, wherein the antibody comprises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1. In some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2. An exemplary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1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2 is a fully human anti-PD-1 antibody known as REGN2810 (also known as cemiplimab).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the use of REGN2810 or a bioequivalent thereof. The term "bioequivalent" as used herein refers to an anti-PD-1 antibody or a PD-1 binding protein or a fragment thereof that is a pharmaceutical equivalent or pharmaceutical alternative that does not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and/or extent of absorption of REGN2810 when administered at the same molar dose (single dose or multiple doses) under similar experimental conditions.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refers to an antigen binding protein that binds to PD-1, wherein the antigen binding protein is not clinically significant different from REGN2810 in terms of safety, purity, and/or efficacy.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항-PD-1 항체는, 예를 들어 니볼루맙(미국 특허 제8,008,449호), 펨브롤리주맙(미국 특허 제8,354,509호), MEDI0608(미국 특허 제8,609,089호), 피딜리주맙(미국 특허 제8,686,119호)으로서 당업계에 알려져 있고 이렇게 지칭되는 항체, 또는 미국 특허 제6,808,710호, 제7,488,802호, 제8,168,757호, 제8,354,509호, 제8,779,105호, 또는 제8,900,587호에 제시된 것과 같은 항-PD-1 항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Other anti-PD-1 antibodies that may be used in the context of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ny of the antibodies known in the art and referred to as nivolumab (U.S. Pat. No. 8,008,449), pembrolizumab (U.S. Pat. No. 8,354,509), MEDI0608 (U.S. Pat. No. 8,609,089), pidilizumab (U.S. Pat. No. 8,686,119), or the anti-PD-1 antibodies set forth in U.S. Pat. Nos. 6,808,710, 7,488,802, 8,168,757, 8,354,509, 8,779,105, or 8,900,587.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항-PD-1 항체는 pH 의존적 결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항-PD-1 항체는 중성 pH에 비해 산성 pH에서 PD-1에 대한 결합 감소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본 발명의 항-PD-1 항체는 중성 pH에 비해 산성 pH에서 이의 항원에 대해 향상된 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산성 pH"란 표현은 약 6.2 미만, 예를 들어, 약 6.0, 5.95, 5.9, 5.85, 5.8, 5.75, 5.7, 5.65, 5.6, 5.55, 5.5, 5.45, 5.4, 5.35, 5.3, 5.25, 5.2, 5.15, 5.1, 5.05, 5.0, 또는 그 이하의 pH 값을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사용된 "중성 pH"란 표현은 약 7.0 내지 약 7.4의 pH를 의미한다. "중성 pH"란 표현은 약 7.0, 7.05, 7.1, 7.15, 7.2, 7.25, 7.3, 7.35, 및 7.4의 pH 값을 포함한다.The anti-PD-1 antibodies used in the context of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pH dependent binding properties. For example, the anti-PD-1 antibodies for use in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reduced binding to PD-1 at acidic pH as compared to neutral pH. Alternatively, the anti-PD-1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hibit enhanced binding to their antigen at acidic pH as compared to neutral pH. The phrase "acidic pH" includes pH values that are less than about 6.2, for example, about 6.0, 5.95, 5.9, 5.85, 5.8, 5.75, 5.7, 5.65, 5.6, 5.55, 5.5, 5.45, 5.4, 5.35, 5.3, 5.25, 5.2, 5.15, 5.1, 5.05, 5.0, or less. The expression "neutral pH" as used herein means a pH of about 7.0 to about 7.4. The expression "neutral pH" includes pH values of about 7.0, 7.05, 7.1, 7.15, 7.2, 7.25, 7.3, 7.35, and 7.4.

소정의 경우에, "중성 pH와 비교했을 때 산성 pH에서 PD-1에 대한 감소된 결합"은, 산성 pH에서 PD-1에 결합하는 항체의 KD 값 대 중성 pH에서 PD-1에 결합하는 항체의 KD 값의 비율(또는 그 반대의 비율)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이 약 3.0 이상의 산성 KD/중성 KD 비율를 나타내는 경우,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중성 pH에 비해 산성 pH에서 PD-1에 대한 감소된 결합"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에 대한 산성 KD/중성 KD 비율은 약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14.5, 15.0, 20.0, 25.0, 30.0, 40.0, 50.0, 60.0, 70.0, 100.0,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In certain instances, "reduced binding to PD-1 at acidic pH as compared to neutral pH" is expressed as a ratio of the KD value of the antibody that binds to PD-1 at acidic pH to the KD value of the antibody that binds to PD-1 at neutral pH (or vice versa). For example, if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exhibits an acid KD /neutral KD ratio of about 3.0 or greater, the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an be considered, for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hibit "reduced binding to PD-1 at acidic pH as compared to neutral pH."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 acidic KD /neutral KD ratio for an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of the invention can be about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0.5, 11.0, 11.5, 12.0, 12.5, 13.0, 13.5, 14.0, 14.5, 15.0, 20.0, 25.0, 30.0, 40.0, 50.0, 60.0, 70.0, 100.0, or more.

pH-의존적 결합 특징을 가진 항체는, 예를 들어 중성 pH와 비교하여 산성 pH에서 특정 항원에 대한 결합이 감소(또는 향상)되는지 항체 집단을 스크리닝함으로써 수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아미노산 수준에서 항원 결합 도메인을 변형시켜 pH 의존적 특징을 갖는 항체를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CDR 내의) 항원 결합 도메인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을 히스티딘 잔기로 치환함으로써, 중성 pH에 비해 산성 pH에서 항원 결합이 감소된 항체를 수득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산성 pH"란 표현은 6.0 이하의 pH를 의미한다.Antibodies with pH-dependent binding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screening a population of antibodies for those that exhibit reduced (or enhanced) binding to a particular antigen at acidic pH compared to neutral pH. Additionally, antibodies with pH-dependent characteristics can be obtained by modifying the antigen-binding domain at the amino acid level. For example, by substituting one or more amino acids in the antigen-binding domain (e.g., within a CDR) with a histidine residue, an antibody with reduced antigen binding at acidic pH compared to neutral pH can be obtained. As used herein, the expression "acidic pH" means a pH of 6.0 or less.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본 발명의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CD3 및 MUC1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의 치료적 유효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항체는, 본원에서, 예를 들어, "항-MUC16/항-CD3", 또는 "항-MUC16xCD3", 또는 "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According to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es administering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of a bispecific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CD3 and MUC16. Such antibodies may be referred to herein, for example, as "anti-MUC16/anti-CD3", or "anti-MUC16xCD3", or "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or other similar terms.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중특이적 항체"라는 표현은 적어도 제1 항원 결합 도메인 및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면역글로불린 단백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제1 항원(예: MUC1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고,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제2의 구별되는 항원(예: CD3)에 특이적으로 결합한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각 항원 결합 도메인은 중쇄 가변 도메인(HCVR) 및 경쇄 가변 도메인(LCVR)을 포함하고, 각각은 3개의 CDR을 포함한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맥락에서,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의 CDR은 접두어 "A"로 지정될 수 있고,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접두어 "B"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의 CDR은 본원에서 A-HCDR1, A-HCDR2, 및 A-HCDR3로 지칭될 수 있고;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의 CDR은 본원에서 B-HCDR1, B-HCDR2, 및 B-HCDR3로 지칭될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expression "bispecific antibody" refers to an immunoglobulin protein comprising at least a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and a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specifically binds a first antigen (e.g., MUC16) and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specifically binds a second, distinct antigen (e.g., CD3). Each antigen binding domain of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heavy chain variable domain (HCVR) and a light chain variable domain (LCVR), each comprising three CDRs. In the context of a bispecific antibody, the CDRs of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may be designated with the prefix "A" and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may be designated with the prefix "B". Thus, the CDRs of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may be referred to herein as A-HCDR1, A-HCDR2, and A-HCDR3; The CDRs of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may be referred to herein as B-HCDR1, B-HCDR2, and B-HCDR3.

제1 항원 결합 도메인 및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각각 별도의 다량체화 도메인에 연결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량체화 도메인"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 또는 구성의 제2 다량체화 도메인과 결합하는 능력이 있는 임의의 거대분자, 단백질, 폴리펩티드, 펩티드, 또는 아미노산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다량체화 성분은 면역글로불린의 (CH2-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Fc 부분, 예를 들어 이소형 IgG1, IgG2, IgG3, 및 IgG4뿐만 아니라 각 이소형 군 내의 임의의 동종이인자형(allotype)으로부터 선택된 IgG의 Fc 도메인이다.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and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are each linked to a separate multimerization domain. As used herein, a "multimerization domain" is any macromolecule, protein, polypeptide, peptide, or amino acid capable of binding to a second multimerization domain of the same or similar structure or composition.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merization component is an Fc portion (comprising the CH2 -CH3 domains) of an immunoglobulin, e.g., an Fc domain of an IgG selected from the isotypes IgG1, IgG2, IgG3, and IgG4, as well as any allotype within each isotype group.

본 발명의 이중특이적 항체는 일반적으로 2개의 다량체화 도메인, 예를 들어 각각 개별적으로 별개 항체 중쇄의 일부분인 2개의 Fc 도메인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다량체화 도메인은, 예를 들어, IgG1/IgG1, IgG2/IgG2, IgG4/IgG4와 같은 동일한 IgG 이소형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및 제2 다량체화 도메인은 예를 들어, IgG1/IgG2, IgG1/IgG4, IgG2/IgG4 등과 같은 상이한 IgG 이소형일 수 있다.The bispecific antibodies of the invention generally comprise two multimerization domains, e.g., two Fc domains, each of which is part of a separate antibody heavy chain. The first and second multimerization domains may be of the same IgG isotype, e.g., IgG1/IgG1, IgG2/IgG2, IgG4/IgG4. Alternatively, the first and second multimerization domains may be of different IgG isotypes, e.g., IgG1/IgG2, IgG1/IgG4, IgG2/IgG4, etc.

임의의 이중특이적 항체 포맷 또는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항원 결합 특이성을 갖는 항체 또는 이의 단편은 (예를 들어, 화학적 결합, 유전자 융합, 비공유 결합 또는 다른 것에 의해) 하나 이상의 다른 분자 엔티티, 예컨대, 제2 항원 결합 특이성을 갖는 또 다른 항체 또는 항체 단편에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예시적인 이중특이적 포맷은 제한 없이, 예를 들어, scFv-기반 또는 디아바디 이중특이적 포맷, IgG-scFv 융합체, 이중 가변 도메인(DVD)-Ig, 콰드로마, 놉-인투-홀, 공통 경쇄(예를 들어, 놉-인투-홀을 가지는 공통 경쇄 등), 크로스맙, 크로스팝, (SEED)바디, 류신 지퍼, 듀오바디, IgG1/IgG2, 이중 작용 Fab (DAF)-IgG, 및 Mab2 이중특이적 포맷을 포함한다(전술한 포맷에 대한 검토는 예를 들어, Klein 등의 문헌[2012, mAbs 4:6, 1-11], 및 동 문헌에 인용된 참고문헌을 참조한다).Any bispecific antibody format or technology can be used to prepare the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s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an antibody or fragment thereof having a first antigen binding specificity can be functionally linked (e.g., by chemical bonding, genetic fusion, non-covalent bonding, or otherwise) to one or more other molecular entities, such as another antibody or antibody fragment having a second antigen binding specificity, to produce a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 Specific exemplary bispecific formats that may be used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ithout limitation, scFv-based or diabody bispecific formats, IgG-scFv fusions, dual variable domain (DVD)-Ig, quadromas, knobs-into-holes, common light chains (e.g., common light chains with knobs-into-holes, etc.), crossMab, crossPop, (SEED) bodies, leucine zippers, duobodies, IgG1/IgG2, dual acting Fab (DAF)-IgG, and Mab2 bispecific formats (for a review of the foregoing formats, see, e.g., Klein et al. [2012, mAbs 4:6, 1-11], and references cited therein).

본 발명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맥락에서, Fc 도메인은 Fc 도메인의 자연 발생 버전인 야생형과 비교했을 때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변화(예: 삽입, 결실, 또는 치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Fc 도메인에서 하나 이상의 변형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은 Fc와 FcRn 사이에서 변형된 결합 상호작용(예를 들어, 강화 또는 감소)을 갖는 변형된 Fc 도메인을 야기한다. 일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는 CH2 또는 CH3 영역에서 변형을 포함하며, 변형은 산성 환경(예를 들어, pH가 약 5.5 내지 약 6.0인 엔도솜)에서 FcRn에 대한 Fc 도메인의 친화도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Fc 변형의 비제한적인 예는 그 전체가 본원에 통합된 미국 특허 공개 제20150266966호에 개시되어 있다.In the context of the bispecific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c domain can comprise one or more amino acid changes (e.g., insertions, deletions, or substitutions) compared to a wild-type, naturally occurring version of the Fc domai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s comprising one or more modifications in an Fc domain, wherein the modifications result in a modified Fc domain having an altered binding interaction (e.g., enhanced or decreased) between Fc and FcRn. In one embodiment, the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 comprises a modification in the CH 2 or CH 3 region, wherein the modifications increase the affinity of the Fc domain for FcRn in an acidic environment (e.g., an endosome having a pH of about 5.5 to about 6.0). Non-limiting examples of such Fc modifications are disclos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50266966,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in its entirety.

본 발명은 또한, 제1 CH3 도메인 및 제2 Ig CH3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1 및 제2 Ig CH3 도메인은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만큼 서로 상이하고, 적어도 하나의 아미노산 차이는 아미노산 차이가 없는 이중특이적 항체와 비교해 단백질 A에 대한 이중특이적 항체의 결합을 감소시킨다. 일 구현예에서, 제1 Ig CH3 도메인은 단백질 A에 결합하고, 제2 Ig CH3 도메인은 H95R 변형(IMGT 엑손 넘버링에 의함; EU 넘버링에 의하면 H435R임)과 같이 단백질 A 결합을 감소시키거나 제거하는 돌연변이를 함유한다. 제2 CH3은 Y96F 변형(IMGT 넘버링에 의함; EU 넘버링은 Y436F)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8,586,713호를 참조한다. 제2 CH3에서 발견할 수 있는 추가의 변형은 다음을 포함한다: IgG1 항체의 경우 D16E, L18M, N44S, K52N, V57M, 및 V82I(IMGT에 의함; EU에 의하면 D356E, L358M, N384S, K392N, V397M, 및 V422I); IgG2 항체의 경우 N44S, K52N, 및 V82I(IMGT에 의함; EU에 의하면 N384S, K392N, 및 V422I); 및 IgG4 항체의 경우 Q15R, N44S, K52N, V57M, R69K, E79Q, 및 V82I(IMGT에 의함; EU에 의하면 Q355R, N384S, K392N, V397M, R409K, E419Q, 및 V422I).The invention also encompasses a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 comprising a first CH 3 domain and a second Ig CH 3 domai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Ig CH 3 domains differ from each other by at least one amino acid, and wherein the at least one amino acid difference decreases binding of the bispecific antibody to protein A compared to a bispecific antibody without the amino acid difference. In one embodiment, the first Ig CH 3 domain binds protein A, and the second Ig CH 3 domain contains a mutation that reduces or eliminates protein A binding, such as a H95R modification (by IMGT exon numbering; which is H435R by EU numbering). The second CH 3 can additionally comprise a Y96F modification (by IMGT numbering; which is Y436F by EU numbering). See, e.g., U.S. Patent No. 8,586,713. Additional modifications that can be found in the second CH 3 include: for IgG1 antibodies D16E, L18M, N44S, K52N, V57M, and V82I (by IMGT; D356E, L358M, N384S, K392N, V397M, and V422I by EU); for IgG2 antibodies N44S, K52N, and V82I (by IMGT; N384S, K392N, and V422I by EU); and for IgG4 antibodies, Q15R, N44S, K52N, V57M, R69K, E79Q, and V82I (by IMGT; Q355R, N384S, K392N, V397M, R409K, E419Q, and V422I by EU).

소정의 구현예에서, Fc 도메인은 둘 이상의 면역글로불린 이소형으로부터 유래된 Fc 서열을 조합하는 키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메라 Fc 도메인은 인간 IgG1, 인간 IgG2, 또는 인간 IgG4 CH2 영역 유래의 CH2 서열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인간 IgG1, 인간 IgG2, 또는 인간 IgG4 유래의 CH3 도메인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키메라 Fc 도메인은 또한 키메라 힌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메라 힌지는 인간 IgG1, 인간 IgG2, 또는 인간 IgG4 힌지 영역 유래의 "하부 힌지" 서열과 조합된, 인간 IgG1, 인간 IgG2, 또는 인간 IgG4 힌지 영역 유래의 "상부 힌지"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제시된 항원 결합 분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는 키메라 Fc 도메인의 특정 예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IgG4 CH1] - [IgG4 상부 힌지] - [IgG2 하부 힌지] - [IgG4 CH2] - [IgG4 CH3]. 본원에 제시된 항원 결합 분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는 키메라 Fc 도메인의 또 다른 예는 N-말단에서 C-말단 방향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IgG1 CH1] - [IgG1 상부 힌지] - [IgG2 하부 힌지] - [IgG4 CH2] - [IgG1 CH3]. 본 발명의 항원 결합 분자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는 키메라 Fc 도메인의 이러한 예 및 다른 예들은 미국 특허 공개 제20140243504호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는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조적 배열을 갖는 키메라 Fc 도메인 및 이의 변이체는 변경된 Fc 수용체 결합을 가질 수 있고, 이는 결국 Fc 효과기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Fc domain can be a chimera combining Fc sequences from two or more immunoglobulin isotypes. For example, a chimeric Fc domain can comprise part or all of a CH 2 sequence from a human IgG1, human IgG2, or human IgG4 CH 2 domain, and can comprise part or all of a CH 3 domain from a human IgG1, human IgG2, or human IgG4. A chimeric Fc domain can also comprise a chimeric hinge region. For example, a chimeric hinge can comprise an "upper hinge" sequence from a human IgG1, human IgG2, or human IgG4 hinge region combined with a "lower hinge" sequence from a human IgG1, human IgG2, or human IgG4 hinge region. Specific examples of chimeric Fc domains that may be included in any of the antigen binding molecules provided herein comprise, from N-terminus to C-terminus: [IgG4 CH 1] - [IgG4 upper hinge] - [IgG2 lower hinge] - [IgG4 CH2] - [IgG4 CH3]. Another example of a chimeric Fc domain that may be included in any of the antigen binding molecules provided herein comprises, from N-terminus to C-terminus: [IgG1 CH 1] - [IgG1 upper hinge] - [IgG2 lower hinge] - [IgG4 CH2] - [IgG1 CH3]. These and other examples of chimeric Fc domains that may be included in any of the antigen binding molecule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40243504,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n its entirety. Chimeric Fc domains and variants thereof having this general structural arrangement may have altered Fc receptor binding, which ultimately affects Fc effector function.

본 발명의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112001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A-HCVR 및 B-HCVR), 경쇄 가변 영역(A-LCVR 및 B-LCVR), 및/또는 상보성 결정 영역(CDR)을 포함한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A-HCVR)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A-HCDR1, A-HCDR2, 및 A-HCDR3),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A-LCVR)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A-LCDR1, A-LCDR2, 및 A-LCDR3)을 포함하는 제1 항원 결합 아암; 및 (b)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B-HCVR)의 중쇄 CDR(B-HCDR1, B-HCDR2, 및 B-HCDR3),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B-LCVR)의 경쇄 CDR(B-LCDR1, B-LCDR2, 및 B-LCDR3)을 포함하는 제2 항원 결합 아암. 소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A-HCDR1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A-HCDR2는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A-HCDR3은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A-LCDR1은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A-LCDR2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A-LCDR3은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HCDR1은 서열번호 14, 서열번호 17, 서열번호 20, 서열번호 23, 또는 서열번호 2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HCDR2는 서열번호 15, 서열번호 18, 서열번호 21, 서열번호 24, 또는 서열번호 2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HCDR3은 서열번호 16, 서열번호 19, 서열번호 22, 서열번호 25, 또는 서열번호 2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LCDR1은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LCDR2는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고; B-LCDR3은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은 다음을 포함한다: (a) 서열번호 1을 포함하는 HCVR(A-HCVR) 및 서열번호 2를 포함하는 LCVR(A-LCVR)을 포함하는 제1 항원 결합 아암; 및 (b) 서열번호 3, 서열번호 4, 서열번호 5, 서열번호 6, 또는 서열번호 7을 포함하는 HCVR(B-HCVR), 및 서열번호 2를 포함하는 LCVR(B-LCVR)을 포함하는 제2 항원 결합 아암.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CD3xMUC16 항체는 서열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MUC16-결합 아암; 및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CD3-결합 아암을 포함한다. 소정의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CD3xMUC16 항체는 서열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MUC16-결합 아암; 및 서열번호 3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CD3-결합 아암을 포함한다.According to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es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HCVR and B-HCVR),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A-LCVR and B-LCVR), and/or a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comprising any one of the amino acid sequenc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s set forth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80112001.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that can be used in the context of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a first antigen-binding arm comprising heavy chain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s (A-HCDR1, A-HCDR2, and A-HCDR3) of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A-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light chain complementary determining regions (A-LCDR1, A-LCDR2, and A-LCDR3) of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A-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and (b) a second antigen-binding arm comprising heavy chain CDRs (B-HCDR1, B-HCDR2, and B-HCDR3) of an HCVR (B-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SEQ ID NO: 4, SEQ ID NO: 5, SEQ ID NO: 6, or SEQ ID NO: 7, and light chain CDRs (B-LCDR1, B-LCDR2, and B-LCDR3) of an LCVR (B-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In certain embodiments, A-HCDR1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A-HCDR2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A-HCDR3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 A-LCDR1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A-LCDR2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2; A-LCDR3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 B-HCDR1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4, SEQ ID NO: 17, SEQ ID NO: 20, SEQ ID NO: 23, or SEQ ID NO: 26; B-HCDR2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5, SEQ ID NO: 18, SEQ ID NO: 21, SEQ ID NO: 24, or SEQ ID NO: 27; B-HCDR3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6, SEQ ID NO: 19, SEQ ID NO: 22, SEQ ID NO: 25, or SEQ ID NO: 28; B-LCDR1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B-LCDR2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2; and B-LCDR3 comprises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 In another embodiment,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 comprises: (a) a first antigen-binding arm comprising an HCVR comprising SEQ ID NO: 1 (A-HCVR) and an LCVR comprising SEQ ID NO: 2 (A-LCVR); and (b) a second antigen-binding arm comprising an HCVR comprising SEQ ID NO: 3, SEQ ID NO: 4, SEQ ID NO: 5, SEQ ID NO: 6, or SEQ ID NO: 7 (B-HCVR), and an LCVR comprising SEQ ID NO: 2 (B-LCVR).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y comprises a MUC16-binding arm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9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0; and a CD3-binding arm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0. In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y comprises a MUC16-binding arm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9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0; and a CD3-binding arm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2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0.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이중특이적 항-CD3xMUC16 항체의 항종양 활성은 순환하는 CA125의 높은 수준(예를 들어 최대 10,000 U/ml)의 존재에 의해 실질적으로 방해받지 않는다. CA125의 혈청 수준은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의 혈청에서 증가한다(공개된 수준 중앙값은 약 656 U/ml임). 하기 실시예 2에서 입증된 바와 같이, 혈청 또는 복수에서 높은 수준의 CA125는 본 발명의 이중특이적 항체의 항종양 프로파일을 유의하게 방해하지 않을 것이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antitumor activity of the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ies of the invention is substantially unimpaired by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circulating CA125 (e.g., up to 10,000 U/ml). Serum levels of CA125 are elevated in the serum of most ovarian cancer patients (the published median level is about 656 U/ml). As demonstrated in Example 2 below, high levels of CA125 in serum or ascites will not significantly interfere with the antitumor profile of the bispecific antibodi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방법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공개 제20180112001호에 제시된 항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Other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ies that may be used in the context of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for example, any of the antibodies set forth in U.S. Patent Publication No. 20180112001.

병용 요법Combination therapy

소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은 항-MUC16/항-CD3 이중특이적 항체를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암, 바람직하게는 상피 육종을 치료하기 위한 부가적 또는 상승적 활성을 위해 항체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와 병용으로"라는 표현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가 항-PD-1 항체 전에, 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와 병용으로"라는 용어는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순차적 투여 또는 동시(concomitant) 투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전에" 투여하는 경우, 항-PD-1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투여하기 150시간 초과, 약 150시간, 약 100시간, 약 72시간, 약 60시간, 약 48시간, 약 36시간, 약 24시간, 약 12시간, 약 10시간, 약 8시간, 약 6시간, 약 4시간, 약 2시간, 약 1시간, 약 30분, 약 15분, 또는 약 10분 전에 투여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후에" 투여하는 경우, 항-PD-1 항체는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투여한지 약 10분, 약 15분, 약 30분, 약 1시간, 약 2시간, 약 4시간, 약 6시간, 약 8시간, 약 10시간, 약 12시간, 약 24시간, 약 36시간, 약 48시간, 약 60시간, 약 72시간, 또는 72시간 초과 후에 투여될 수 있다.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와 "동시" 투여하는 것은 항-PD-1 항체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투여 5분 미만이내(투여 전, 후, 또는 동시에)에 별도의 투여 형태로 대상체에게 투여되거나,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둘 다를 포함하는 단일 조합 투여 제형으로서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o a subject an anti-MUC16/anti-CD3 bispecific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the antibodies for additive or synergistic activity for treating cancer, preferably epithelioid sarcoma. As used herein, the term "in combination with" means that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is administered before, after, or simultaneously with the anti-PD-1 antibody. The term "in combination with" also includes sequential or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For example, when administered “before”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he anti-PD-1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more than 150 hours, about 150 hours, about 100 hours, about 72 hours, about 60 hours, about 48 hours, about 36 hours, about 24 hours, about 12 hours, about 10 hours, about 8 hours, about 6 hours, about 4 hours, about 2 hours, about 1 hour, about 30 minutes, about 15 minutes, or about 10 minutes prior to administration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When administered “after”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he anti-PD-1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about 10 minutes, about 15 minutes, about 30 minutes, about 1 hour, about 2 hours, about 4 hours, about 6 hours, about 8 hours, about 10 hours, about 12 hours, about 24 hours, about 36 hours, about 48 hours, about 60 hours, about 72 hours, or more than 72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Concurrent” administration with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means that the anti-PD-1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in a separate dosage form less than 5 minutes prior to (or subsequent to, or concurrently with) administration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or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s a single combination dosage form comprising both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제3 치료제를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제3 치료제는 항암제이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항-PD-1 항체 및 항-MUC16/항-CD3 이중특이적 항체를 방사선 요법과 병용으로 투여하여 장기간의 지속적인 항종양 반응을 생성하고/하거나 암 환자의 생존을 향상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a third therapeutic agent, wherein the third therapeutic agent is an anticancer agent.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an anti-PD-1 antibody and an anti-MUC16/anti-CD3 bispecific antibody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therapy to produce a long-term, sustained anti-tumor response and/or improve the survival of a cancer patient.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암 환자에게 투여하기 전, 동시, 또는 후에 방사선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방사선 요법은,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이 투여된 후에, 종양 병변에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사선 요법은 항-PD-1 항체 및/또는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전신 투여 후에, 환자 종양의 국소 면역원성을 강화시키기 위해(보조 방사선) 국소 투여될 수 있고/있거나 종양 세포를 사멸시키기 위해(절제 방사선) 종양 병변에 국소 투여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administering radiation therapy prior to, concurrently with, or subsequent to administering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the cancer patient. For example, the radiation therapy can be administered to the tumor lesion in one or more dose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one or more doses of the antibodies. In some embodiments, the radiation therapy can be administered locally to the tumor lesion after systemic administration of the anti-PD-1 antibody and/or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o enhance local immunogenicity of the patient's tumor (adjuvant radiation) and/or to kill tumor cells (ablative radiation).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administration

본 발명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항체(들)는 별도의 또는 조합된 (단일) 약학적 조성물 내에 함유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적절한 수송, 전달, 내성 등을 제공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기타 제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다수의 적절한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자들에게 공지된 다음의 처방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mington의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이들 제형은, 예를 들어, 분말, 페이스트, 연고, 젤리, 왁스, 오일, 지질, 소포체를 함유하는 (양이온성 또는 음이온성) 지질(예를 들어, LIPOFECTIN™), DNA 접합체, 무수 흡수 페이스트, 수중유 및 유중수 유화제, 유화제 카보왁스(다양한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반고형 겔, 및 카보왁스를 함유하는 반고형 혼합물을 포함한다. Powell 등의 문헌["Compendium of excipients for parenteral formulations" PDA (1998)J Pharm Sci Technol 52:238-311]도 참조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wherein the antibody(ies) are contained in separate or combined (sing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with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other agents which provide suitable transport, delivery, tolerability, etc. Many suitable formulations are available in the following formularies known to all pharmaceutical chemists: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These formulations include, for example, powders, pastes, ointments, jellies, waxes, oils, lipids, lipids (cationic or anionic) containing vesicles (e.g., LIPOFECTIN™), DNA conjugates, anhydrous absorption pastes, oil-in-water and water-in-oil emulsifiers, emulsifying carbowaxes (polyethylene glycols of various molecular weights), semisolid gels, and semisolid mixtures containing carbowaxes. See also Powell et al. ["Compendium of excipients for parenteral formulations" PDA (1998)J Pharm Sci Technol 52:238-311].

다양한 전달 시스템, 예를 들어 캡슐화된 리포좀, 마이크로입자, 마이크로캡슐, 돌연변이체 바이러스를 발현할 수 있는 재조합 세포, 수용체 매개 세포내 섭취 등이 알려져 있고,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Wu 등의 문헌[1987,J. Biol. Chem. 262:4429-4432] 참조). 투여 방법은 피내, 근육내, 복강내, 정맥내, 피하, 비강내, 경막 외 및 구강 경로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성물은 임의의 편리한 경로에 의해, 예를 들어 주입 또는 볼루스 주사에 의해, 상피 또는 피부점막의 내벽(예를 들어 구강 점막, 직장 및 장 점막 등)을 통한 흡수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기타 생물학적 활성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Various delivery systems, such as encapsulated liposomes, microparticles, microcapsules, recombinant cells capable of expressing mutant viruses, receptor-mediated cellular uptake, etc., are known and can be used to administ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see, e.g., Wu et al. [1987,J. Biol. Chem. 262:4429-4432]). Routes of administra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intradermal, intramuscular, intraperitoneal,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nasal, epidural, and oral routes. The compositions can be administered by any convenient route, for example, by infusion or bolus injection, by absorption through the lining of an epithelium or mucosa (e.g., the oral mucosa, rectal and intestinal mucosa, etc.), and can be administered together with other biologically active agents.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표준 바늘 및 주사기를 사용하여 피하로 또는 정맥내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피하 전달의 경우, 펜 전달 장치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전달하는 데 용이하게 적용된다. 이러한 펜 전달 장치는 재사용식이거나 일회용일 수 있다. 재사용식 펜 전달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약학적 조성물이 담긴 교체식 카트리지가 사용된다. 일단 카트리지 내의 모든 약학적 조성물이 투여되어 카트리지가 비면, 빈 카트리지를 쉽게 폐기하고 약학적 조성물이 담긴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할 수 있다. 그러면, 펜 전달 장치를 재사용할 수 있다. 일회용 펜 전달 장치에는 교체식 카트리지가 없다. 오히려, 일회용 펜 전달 장치는 약학적 조성물이 장치 내의 저장조에 미리 담긴 상태로 제공된다. 일단 저장조의 약학적 조성물이 비게 되면, 전체 장치가 폐기된다.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elivered subcutaneously or intravenously using a standard needle and syringe. In addition, for subcutaneous delivery, a pen delivery device is readily adapted to deliver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pen delivery devices may be reusable or disposable. Reusable pen delivery devices typically utilize a replaceable cartridge contain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nce all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cartridge has been administered and the cartridge is empty, the empty cartridge can be easily discarded and replaced with a new cartridge containing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The pen delivery device can then be reused. Disposable pen delivery devices do not have a replaceable cartridge. Rather, disposable pen delivery devices are provided with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e-filled in a reservoir within the device. Once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 the reservoir is empty, the entire device is discarded.

다수의 재사용식 펜 전달 장치 및 자가주입 전달 장치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피하 전달하는 데 적용된다. 예로서 몇 가지만 거명하자면, AUTOPEN™(Owen Mumford, Inc., Woodstock, UK), DISETRONIC™ 펜(Disetronic Medical Systems, Bergdorf, Switzerland), HUMALOG MIX 75/25™ 펜, HUMALOG™ 펜, HUMALIN 70/30™ 펜(Eli Lilly and Co., Indianapolis, IN), NOVOPEN™ I, II 및 III(Novo Nordisk, Copenhagen, Denmark), NOVOPEN JUNIOR™(Novo Nordisk, Copenhagen, Denmark), BD™ 펜(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J), OPTIPEN™, OPTIPEN PRO™, OPTIPEN STARLET™, 및 OPTICLIK™(sanofi-aventis, Frankfurt, Germany)이 포함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피하 전달하는 데 적용되는 일회용 펜 전달 장치의 예를 몇 가지만 거명하자면, SOLOSTAR™ 펜(sanofi-aventis), FLEXPEN™(Novo Nordisk), 및 KWIKPEN™(Eli Lilly), SURECLICK™ Autoinjector(Amgen, Thousand Oaks, CA), PENLET™(Haselmeier, Stuttgart, Germany), EPIPEN(Dey, L.P.), 및 HUMIRA™ 펜(Abbott Labs, Abbott Park IL)이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A number of reusable pen delivery devices and autoinjector delivery devices have been adapted for subcutaneous delivery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UTOPEN™ (Owen Mumford, Inc., Woodstock, UK), DISETRONIC™ pen (Disetronic Medical Systems, Bergdorf, Switzerland), HUMALOG MIX 75/25™ pen, HUMALOG™ pen, HUMALIN 70/30™ pen (Eli Lilly and Co., Indianapolis, IN), NOVOPEN™ I, II and III (Novo Nordisk, Copenhagen, Denmark), NOVOPEN JUNIOR™ (Novo Nordisk, Copenhagen, Denmark), BD™ pen (Becton Dickinson, Franklin Lakes, NJ), OPTIPEN™, OPTIPEN PRO™, OPTIPEN STARLET™, and OPTICLIK™ (sanofi-aventis, Frankfurt, Germany). Examples of disposable pen delivery devices adapted for subcutaneous delivery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SOLOSTAR™ pen (sanofi-aventis), FLEXPEN™ (Novo Nordisk), and KWIKPEN™ (Eli Lilly), SURECLICK™ Autoinjector (Amgen, Thousand Oaks, CA), PENLET™ (Haselmeier, Stuttgart, Germany), EPIPEN (Dey, L.P.), and HUMIRA™ pen (Abbott Labs, Abbott Park IL).

소정의 상황에서는, 약학적 조성물이 방출 조절 시스템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중합체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Langer 및 Wise (eds.), 1974, CRC Pres., Boca Raton, Fla. 참조). 또 다른 구현예에서, 방출 조절 시스템은 조성물의 표적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신 투여량의 단지 일부만을 필요로 한다(예를 들어, 전술한 Goodson의 문헌[1984, in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vol. 2, pp. 115-138] 참조). 다른 방출 조절 시스템은 Langer의 리뷰 문헌[1990, Science 249:1527-1533]에서 논의되었다.In certain embodiments,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delivered by a controlled release system. In one embodiment, a pump may be used. In another embodiment, polymeric materials may be used (see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Langer and Wise (eds.), 1974, CRC Pres., Boca Raton, Fla.).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led release system may be positioned proximate the target of the composition, thus requiring only a portion of the systemic dose (see, e.g., Goodson, 1984, in Medical Applications of Controlled Release, vol. 2, pp. 115-138, as cited above). Other controlled release systems are discussed in the review article by Langer, 1990, Science 249:1527-1533.

주사식 제제는 정맥내, 피하, 피내 및 근육내 주사, 적가 주입 등을 위한 투약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주사식 제제는 알려진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사식 제제는, 예를 들어 주사용으로 종래에 사용되는 멸균 수성 매질 또는 유성 매질에 전술한 항체 또는 이의 염을 용해, 현탁, 또는 유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주사용 수성 매질로서는, 예를 들어, 생리 식염수, 글루코오스 및 기타 보조제 등을 함유하는 등장성 용액이 있고, 이는 알코올(예를 들어, 에탄올), 다가알코올(예를 들어,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예를 들어, 폴리소르베이트 80, HCO-50(수소 첨가 피마자유의 폴리옥시에틸렌(50 몰) 부가물)] 등과 같은 적절한 가용화제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유성 매질로서는, 예를 들어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알코올 등과 같은 가용화제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참기름, 대두유 등이 사용된다. 그렇게 제조된 주사제는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앰플에 채워진다.Injectable preparations may include dosage forms for intravenous, subcutaneous, intradermal and intramuscular injection, dropwise infusion, etc. These injectable preparations may be prepared by known methods. For example, the injectable preparations may be prepared by dissolving, suspending or emulsifying the antibody or its salt as described above in, for example, a sterile aqueous medium or an oily medium conventionally used for injection. Examples of aqueous media for injection include isotonic solutions containing physiological saline, glucose and other adjuvants, and these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ppropriate solubilizing agents such as alcohols (e.g., ethanol), polyhydric alcohols (e.g.,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nonionic surfactants (e.g., polysorbate 80, HCO-50 (polyoxyethylene (50 mole) adduct of hydrogenated castor oil)) and the like. As the oily medium, sesame oil, soybean oil, etc., which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solubilizing agent such as benzyl benzoate, benzyl alcohol, etc., are used. The injection thus prepared is preferably filled into an appropriate ampoule.

유리하게는, 전술한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활성 성분의 투여량에 적절히 맞춰진 단위 투여량의 투약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단위 투여량의 투약 형태는, 예를 들어, 정제, 알약, 캡슐, 주사제(앰플), 좌약 등을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oral or parenteral use as described above are prepared in dosage forms of unit dosages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Such dosage forms of unit dosages include, for example, tablets, pills, capsules, injections (ampoules), suppositories, etc.

투여 요법Dosage regimen

본 발명은, 치료 반응이 달성되는 한, 주 약 4회, 주 2회, 주 1회, 2주마다 1회, 3주마다 1회, 4주마다 1회, 5주마다 1회, 6주마다 1회, 8주마다 1회, 12주마다 1회, 또는 그 이하의 빈도로 이중특이적 항-MUC16 x CD3 항체 및/또는 항-PD-1 항체를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a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a bispecific anti-MUC16 x CD3 antibody and/or an anti-PD-1 antibody about 4 times a week, about 2 times a week, about 1 time a week, about 2 weeks, about 3 weeks, about 4 weeks, about 5 weeks, about 6 weeks, about 8 weeks, about 12 weeks, or less frequently as long as a therapeutic response is achieved.

본 발명의 소정의 구현예에 따르면,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다회 투여량이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정의된 시간 과정에 걸쳐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과 병용으로 대상체에게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순차적 투여"는 항체의 각 투여량이, 예를 들어, 소정의 간격(예를 들어, 몇시간, 몇일, 몇주, 또는 몇개월)을 두고 상이한 시점에 대상체에게 투여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항체의 1회 초기 투여량, 이어서 항체의 하나 이상의 2차 투여량, 및 이어서 임의로 항체의 1회 이상의 3차 투여량을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certai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ultiple dos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over a defined time course. Methods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sequentially administering to a subject one or more dos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ne or more doses of the anti-PD-1 antibody. As used herein, "sequential administration" means that each dose of the antibodies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t different time points, for exampl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e.g., hours, days, weeks, or months). 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methods comprising sequentially administering one initial dose of an antibody, followed by one or more secondary doses of the antibody, and optionally followed by one or more tertiary doses of the antibody.

용어 "초기 투여량", "2차 투여량" 및 "3차 투여량"은 시간적 투여 순서를 지칭한다. 따라서, "초기 투여량"은 치료 요법의 시작 시 투여되는 투여량("베이스라인 투여량"으로도 지칭됨)이고; "2차 투여량"은 초기 투여 후 투여되는 투여량이고; "3차 투여량"은 2차 투여 후 투여되는 투여량이다. 초기, 2차, 및 3차 투여량은 모두 동일한 양의 항체(항-PD-1 항체 또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의 구현예에서, 초기 투여량, 2차 투여량, 및/또는 3차 투여량에 함유된 양은 치료 과정 동안 서로 다를 수 있다(예를 들어, 적절하게 상향 또는 하향 조절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1회 이상(예를 들어, 1, 2, 3, 4, 또는 5회)의 투여량이 치료 요법 시작 시 "로딩 투여량"으로서 투여되고, 더 적은 빈도수로 투여되는 후속 투여량(예를 들어, "유지 투여량")이 이어진다. 예를 들어, 항-PD-1 항체는 상피 육종 환자에게 약 1 내지 3 mg/kg의 로딩 투여량으로 투여되고, 이어서 약 0.1 내지 20 mg/kg(환자 체중)의 유지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The terms "initial dose," "second dose," and "third dose" refer to a temporal sequence of administration. Thus, the "initial dose" is the dose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of a treatment regimen (also referred to as the "baseline dose"); the "second dose" is the dose administered following the initial dose; and the "third dose" is the dose administered following the second dose. The initial, second, and third doses may all contain the same amount of antibody (anti-PD-1 antibody or bispecific antibody). However, in certain embodiments, the amounts contained in the initial dose, second dose, and/or third dose may vary (e.g., may be adjusted upward or downward as appropriate) over the course of treatment. In certain embodiments, one or more (e.g., 1, 2, 3, 4, or 5) doses are administered at the start of a treatment regimen as a “loading dose” followed by subsequent doses administered at less frequent intervals (e.g., “maintenance doses”). For example, an anti-PD-1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to a patient with epithelioid sarcoma at a loading dose of about 1 to 3 mg/kg, followed by a maintenance dose of about 0.1 to 20 mg/kg (patient body weigh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각각의 2차 및/또는 3차 투여량은 직전 투여량의 투여 후 1/2 내지 14주에(예를 들어 1/2, 1, 1½, 2, 2½, 3, 3½, 4, 4½, 5, 5½, 6, 6½, 7, 7½, 8, 8½, 9, 9½, 10, 10½, 11, 11½, 12, 12½, 13, 13½, 14, 14½주, 또는 더 후에) 투여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직전 투여량(the immediately preceding dose)"이라는 문구는, 다회 투여의 순서에 있어서,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및/또는 PD-1 항체)의 투여량이 순서 상 바로 다음 투여량의 투여 이전에 환자에게 투여되고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투여량이 없음을 의미한다.In on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econd and/or third doses is administered 1/2 to 14 weeks after the immediately preceding dose (e.g., 1/2, 1, 1½, 2, 2½, 3, 3½, 4, 4½, 5, 5½, 6, 6½, 7, 7½, 8, 8½, 9, 9½, 10, 10½, 11, 11½, 12, 12½, 13, 13½, 14, 14½ weeks, or more). As used herein, the phrase "the immediately preceding dose" means that, in a multiple dose sequence, the dose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d/or PD-1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prior to administration of the immediately subsequent dose in the sequence, with no intervening doses.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및/또는 항-PD-1 항체)의 임의의 수의 2차 및/또는 3차 투여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구현예에서, 2차 투여량은 1회만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2회 이상의 (예를 들어, 2, 3, 4, 5, 6, 7, 8회 또는 그 이상의) 2차 투여량이 환자에게 투여된다. 마찬가지로, 소정의 구현예에서, 3차 투여량은 1회만 환자에게 투여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2회 이상의 (예를 들어, 2, 3, 4, 5, 6, 7, 8회 또는 그 이상의) 3차 투여량이 환자에게 투여된다.Methods 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can comprise administering to the patient any number of second and/or third dos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nd/or anti-PD-1 antibody). For example, in certain embodiments, the second dose i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only once. In other embodiments, two or more (e.g., 2, 3, 4, 5, 6, 7, 8 or more) second doses ar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Likewise, in certain embodiments, the third dose is administered to the patient only once. In other embodiments, two or more (e.g., 2, 3, 4, 5, 6, 7, 8 or more) third doses ar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다회의 2차 투여량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각각의 2차 투여량은 다른 2차 투여량과 동일한 빈도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2차 투여량은 직전 투여량의 투여 후 1 내지 2주차에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유사하게, 다회의 3차 투여량을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각각의 3차 투여량은 다른 3차 투여량과 동일한 빈도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3차 투여량은 직전 투여량의 투여 후 2 내지 4주차에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2차 및/또는 3차 투여량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빈도는 치료 요법의 과정에 걸쳐 달라질 수 있다. 투여 빈도는 임상 검사 후 개별 환자의 필요에 따라 의사가 치료 과정 동안 조정할 수도 있다.In embodiments comprising multiple secondary doses, each secondary dose may be administered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other secondary doses. For example, each secondary dose may b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1 to 2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dose. Similarly, in embodiments comprising multiple tertiary doses, each tertiary dose may be administered at the same frequency as the other tertiary doses. For example, each tertiary dose may b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2 to 4 week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immediately preceding dose. Alternatively,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second and/or tertiary doses are administered to the patient may vary over the course of the treatment regimen. The frequency of administration may also be adjusted by the physician during the course of treatment based on the individual patient's needs following clinical evaluation.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및, 예를 들어 항-PD-1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이 치료 요법 시작 시 "유도 투여량"으로서 더 많은 빈도로 (주 2회, 주 1회, 또는 2주에 1회) 투여되고, 이어서 후속 투여량("공고 투여량(consolidation dose)" 또는 "유지 투여량")이 더 적은 빈도로 (예를 들어, 4 내지 12주에 1회) 투여된다.In certain embodiments, one or more dos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nd, for example, an anti-PD-1 antibody) are administered more frequently (e.g., twice weekly, once weekly, or once every two weeks) as an "induction dose" at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regimen, followed by subsequent doses ("consolidation doses" or "maintenance doses") administered less frequently (e.g., once every 4 to 12 weeks).

본 발명은 상피 육종을 치료하기 위해,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를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환자에게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투여한 후 임의로 항-PD-1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방법은 항-PD-1 항체의 1회 투여량을 투여한 후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1회 이상의 투여량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피 육종 환자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하고/하거나 종양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약 0.1 mg/kg 내지 약 20 mg/kg의 항-PD-1 항체를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투여한 후 이어서 약 0.1 mg/kg 내지 약 20 mg/kg의 이중특이적 항체를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항-PD-1 항체를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투여하고, 이어서 이중특이적 항체를 1회 이상의 투여량으로 투여하면 항종양 효능이 증가된다(예를 들어, 미치료 대상체 또는 항체 중 어느 하나를 단일요법으로서 투여한 대상체와 비교했을 때 종양 성장이 더 크게 억제되거나, 종양 재발이 더 많이 예방됨). 본 발명의 대안적인 구현예는, 항-PD-1 항체 및 이중특이적 항체의 동시 투여가 관한 것으로, 이중특이적 항체는 항-PD-1 항체에 대비해 비슷하거나 상이한 빈도의 별도 투여량으로 투여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항-PD-1 항체의 투여 전, 후, 또는 동시에 투여된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이중특이적 항체는 항-PD-1 항체와 함께 1회 투여 제형으로서 투여된다.The present invention encompasses methods for treating epithelial sarcoma, comprising sequentially administering to a patient a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the methods comprise administering one or more dos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optionally followed by one or more doses of an anti-PD-1 antibody. In certain embodiments, the methods comprise administering one dose of the anti-PD-1 antibody, followed by one or more doses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the anti-PD-1 antibody may be administered in one or more doses at a dose of from about 0.1 mg/kg to about 20 mg/kg, followed by the bispecific antibody in one or more doses at a dose of from about 0.1 mg/kg to about 20 mg/kg, to inhibit tumor growth and/or prevent tumor recurrence in a patient with epithelial sarcoma. In some embodiments, administering the anti-PD-1 antibody in one or more doses, followed by the bispecific antibody in one or more doses, results in increased anti-tumor efficacy (e.g., greater inhibition of tumor growth or greater prevention of tumor recurrence as compared to an untreated subject or a subject administered either antibody as a monotherapy).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relate to the simultaneous administration of the anti-PD-1 antibody and the bispecific antibody,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in separate doses at a similar or different frequency as the anti-PD-1 antibody. In some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prior to, subsequent to, or concurrently with the anti-PD-1 antibody. In certain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as a single-dose formulation together with the anti-PD-1 antibody.

투여administration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및 임의로 항-PD-1 항체의 양은 일반적으로 치료적 유효량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치료적 유효량"이라는 문구는 미치료 대상체 또는 항체 중 어느 하나를 단일요법으로서 투여한 대상체와 비교했을 때 다음 중 하나 이상을 초래하는 항체(항-PD-1 항체 또는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양을 의미한다: (a) 암(예: 상피 육종)의 증상의 중증도 또는 지속기간의 감소; (b) 종양 성장의 억제 또는 종양 괴사의 증가, 종양 축소 및/또는 종양 소멸; (c) 종양 성장 및 발달의 지연; (d) 종양 전이의 억제 또는 지연 또는 중단; (e) 종양 성장 재발의 예방; (f) 암(예: 상피 육종) 환자의 생존율 증가; 및/또는 (g) 종래의 항암 요법의 사용 또는 이에 대한 필요성의 감소(예를 들어, 화학요법제 또는 세포독성제의 사용 감소 또는 제거).The amount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nd optionally the anti-PD-1 antibody administered to a subject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As used herein, the phrase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of the antibody (either the anti-PD-1 antibody or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that results in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as compared to an untreated subject or a subject administered either antibody as a monotherapy: (a) a decrease in the severity or duration of symptoms of a cancer (e.g., epithelioid sarcoma); (b) an inhibition of tumor growth or an increase in tumor necrosis, tumor shrinkage, and/or tumor disappearance; (c) a delay in tumor growth and progression; (d) an inhibition or delay or cessation of tumor metastasis; (e) a prevention of tumor growth recurrence; (f) an increase in the survival rate of a patient with a cancer (e.g., epithelioid sarcoma); and/or (g) a decrease in the use or need for conventional anticancer therapy (e.g., a decrease in or elimination of the use of chemotherapeutic or cytotoxic agents).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의 경우, 치료적 유효량은 약 0.1 mg 내지 1000 mg, 예를 들어, 약 0.1 mg, 약 0.2 mg, 약 0.3 mg, 약 0.5 mg, 약 1 mg, 약 3 mg, 약 5 mg, 약 10 mg, 약 20 mg, 약 40 mg, 약 60 mg, 약 100 mg, 약 120 mg, 약 150 mg, 약 200 mg, 약 250 mg, 약 300 mg, 약 350 mg, 약 400 mg, 약 450 mg, 약 500 mg, 약 550 mg, 약 600 mg, 약 700 mg, 약 800 mg, 약 900 mg, 또는 약 1000 mg의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일 수 있다.For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ie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can be from about 0.1 mg to 1000 mg, for example, about 0.1 mg, about 0.2 mg, about 0.3 mg, about 0.5 mg, about 1 mg, about 3 mg, about 5 mg, about 10 mg, about 20 mg, about 40 mg, about 60 mg, about 100 mg, about 120 mg, about 150 mg, about 200 mg, about 250 mg, about 300 mg, about 350 mg, about 400 mg, about 450 mg, about 500 mg, about 550 mg, about 600 mg, about 700 mg, about 800 mg, about 900 mg, or about 1000 mg of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항-PD-1 항체의 경우, 치료적 유효량은 약 0.05 mg 내지 약 600 mg, 예를 들어 약 0.05 mg, 약 0.1 mg, 약 1.0 mg, 약 1.5 mg, 약 2.0 mg, 약 10 mg, 약 20 mg, 약 30 mg, 약 40 mg, 약 50 mg, 약 60 mg, 약 70 mg, 약 80 mg, 약 90 mg, 약 100 mg, 약 110 mg, 약 120 mg, 약 130 mg, 약 140 mg, 약 150 mg, 약 160 mg, 약 170 mg, 약 180 mg, 약 190 mg, 약 200 mg, 약 210 mg, 약 220 mg, 약 230 mg, 약 240 mg, 약 250 mg, 약 260 mg, 약 270 mg, 약 280 mg, 약 290 mg, 약 300 mg, 약 310 mg, 약 320 mg, 약 330 mg, 약 340 mg, 약 350 mg, 약 360 mg, 약 370 mg, 약 380 mg, 약 390 mg, 약 400 mg, 약 410 mg, 약 420 mg, 약 430 mg, 약 440 mg, 약 450 mg, 약 460 mg, 약 470 mg, 약 480 mg, 약 490 mg, 약 500 mg, 약 510 mg, 약 520 mg, 약 530 mg, 약 540 mg, 약 550 mg, 약 560 mg, 약 570 mg, 약 580 mg, 약 590 mg, 또는 약 600 mg의 항-PD-1 항체일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350 mg의 항-PD-1 항체가 투여된다.For anti-PD-1 antibodies, a 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 is from about 0.05 mg to about 600 mg, for example, about 0.05 mg, about 0.1 mg, about 1.0 mg, about 1.5 mg, about 2.0 mg, about 10 mg, about 20 mg, about 30 mg, about 40 mg, about 50 mg, about 60 mg, about 70 mg, about 80 mg, about 90 mg, about 100 mg, about 110 mg, about 120 mg, about 130 mg, about 140 mg, about 150 mg, about 160 mg, about 170 mg, about 180 mg, about 190 mg, about 200 mg, about 210 mg, about 220 mg, about 230 mg, about 240 mg, about 250 mg, about 260 mg, about 270 mg, about 280 mg, about 290 mg, about 300 mg, about 310 mg, about 320 mg, about 330 mg, about 340 mg, about 350 mg, about 360 mg, about 370 mg, about 380 mg, about 390 mg, about 400 mg, about 410 mg, about 420 mg, about 430 mg, about 440 mg, about 450 mg, about 460 mg, about 470 mg, about 480 mg, about 490 mg, about 500 mg, about 510 mg, about 520 mg, about 530 mg, about 540 mg, about 550 mg, about 560 mg, about 570 mg, about 580 mg, about 590 mg, or about 600 mg of anti-PD-1 antibody In one embodiment, 350 mg of anti-PD-1 antibody is administered.

개별 투여량 내에 함유된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및 임의로 항-PD-1 항체의 양은 대상체 체중의 킬로그램 당 항체의 밀리그램(즉, mg/kg)으로 표현될 수 있다. 소정의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 및 임의로 항-PD-1 항체는 약 0.0001 내지 약 100 mg/kg(대상체 체중)의 투여량으로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중특이적 항-MUC16/항-CD3 항체는 환자의 체중 1 kg당 약 0.1 mg 내지 약 2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고, 임의로 항-PD-1 항체는 환자의 체중 1 kg당 약 0.1 mg 내지 약 20 mg의 투여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The amount of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nd optionally anti-PD-1 antibody contained in an individual dosage form can be expressed as milligrams of antibody per kilogram of body weight of the subject (i.e., mg/kg). In certain embodiments,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and optionally anti-PD-1 antibody used in the methods of the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t a dosage of from about 0.0001 to about 100 mg/kg of body weight of the subject. For example, the bispecific anti-MUC16/anti-CD3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at a dosage of from about 0.1 mg/kg to about 20 mg/kg of body weight of the patient, and the optional anti-PD-1 antibody can be administered at a dosage of from about 0.1 mg/kg to about 20 mg/kg of body weight of the patient.

본원에 참조된 서열 및 상응하는 서열번호의 요약은 아래 표 1에 나타나 있다.A summary of the sequences and corresponding sequence numbers referenced herein is shown in Table 1 below.

서열 요약Sequence Summary서열번호Sequence number설명explanation11항-MUC16 중쇄 가변 영역Anti-MUC16 heavy chain variable region22항-MUC16 및 항-CD3 경쇄 가변 영역Anti-MUC16 and anti-CD3 light chain variable region33항-CD3-G 중쇄 가변 영역Anti-CD3-G heavy chain variable region44항-CD3-G5 중쇄 가변 영역Anti-CD3-G5 heavy chain variable region55항-CD3-G9 중쇄 가변 영역Anti-CD3-G9 heavy chain variable region66항-CD3-G10 중쇄 가변 영역Anti-CD3-G10 heavy chain variable region77항-CD3-G20 중쇄 가변 영역Anti-CD3-G20 heavy chain variable region88항-MUC16 HCDR1Anti-MUC16 HCDR199항-MUC16 HCDR2Anti-MUC16 HCDR21010항-MUC16 HCDR3Anti-MUC16 HCDR31111항-MUC16 및 항-CD3 LCDR1Anti-MUC16 and anti-CD3 LCDR11212항-MUC16 및 항-CD3 LCDR2Anti-MUC16 and anti-CD3 LCDR21313항-MUC16 및 항-CD3 LCDR3Anti-MUC16 and anti-CD3 LCDR31414항-CD3-G HCDR1Anti-CD3-G HCDR11515항-CD3-G HCDR2Anti-CD3-G HCDR21616항-CD3-G HCDR3Anti-CD3-G HCDR31717항-CD3-G5 HCDR1Anti-CD3-G5 HCDR11818항-CD3-G5 HCDR2Anti-CD3-G5 HCDR21919항-CD3-G5 HCDR3Anti-CD3-G5 HCDR32020항-CD3-G9 HCDR1Anti-CD3-G9 HCDR12121항-CD3-G9 HCDR2Anti-CD3-G9 HCDR22222항-CD3-G9 HCDR3Anti-CD3-G9 HCDR32323항-CD3-G10 HCDR1Anti-CD3-G10 HCDR12424항-CD3-G10 HCDR2Anti-CD3-G10 HCDR22525항-CD3-G10 HCDR3Anti-CD3-G10 HCDR32626항-CD3-G20 HCDR1Anti-CD3-G20 HCDR12727항-CD3-G20 HCDR2Anti-CD3-G20 HCDR22828항-CD3-G20 HCDR3Anti-CD3-G20 HCDR32929항-MUC16 중쇄Anti-MUC16 heavy chain3030항-MUC16 및 항-CD3 경쇄Anti-MUC16 and anti-CD3 light chains3131항-CD3-G 중쇄Anti-CD3-G heavy chain3232항-CD3-G20 중쇄Anti-CD3-G20 heavy chain3333항-PD-1 중쇄 가변 영역Anti-PD-1 heavy chain variable region3434항-PD-1 경쇄 가변 영역Anti-PD-1 light chain variable region3535항-PD-1 HCDR1Anti-PD-1 HCDR13636항-PD-1 HCDR2Anti-PD-1 HCDR23737항-PD-1 HCDR3Anti-PD-1 HCDR33838항-PD-1 LCDR1Anti-PD-1 LCDR13939항-PD-1 LCDR2Anti-PD-1 LCDR24040항-PD-1 LCDR3Anti-PD-1 LCDR34141항-PD-1 중쇄anti-PD-1 heavy chain4242항-PD-1 경쇄anti-PD-1 light chain

실시예Example

다음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방법 및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의 완전한 개시 및 설명을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자들이 발명으로 간주하는 것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사용된 숫자(예를 들어, 양, 온도 등)와 관련하여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으나 약간의 실험 오차와 편차는 고려되어야 한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부(parts)는 중량 부(parts by weight)이고, 분자량은 평균 분자량이며, 온도는 섭씨 온도이고, 압력은 대기압이거나 거의 대기압이다.The following examples are presented so as to provide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a complete disclosure and description of how to make and use the methods and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what the inventors regard as the invention. Efforts have been made to ensure accuracy with respect to numbers used (e.g., amounts, temperatures, etc.) but some experimental error and deviation should be accounted for. Unless otherwise indicated, parts are parts by weight, molecular weight is average molecular weight, temperature is in degrees Celsius, and pressure is at or near atmospheric.

실시예 1: 난소 세포 특이적 (MUC16) 및 CD3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체의 생성Example 1: Generation of a bispecific antibody binding to ovarian cell-specific (MUC16) and CD3

본 발명은 CD3 및 MUC16에 결합하는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를 제공하며; 이러한 이중특이적 항원 결합 분자는 본원에서 "항-MUC16/항-CD3 또는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분자"로도 지칭된다. 항-MUC16/항-CD3 이중특이적 분자의 항-MUC16 부분은 MUC16(CA-125로도 알려짐)을 발현하는 종양 세포를 표적화하는 데 유용하고, 이중특이적 분자의 항-CD3 부분은 T 세포를 활성화하는 데 유용하다. 종양 세포 상의 MUC16과 T 세포 상의 CD3에 동시에 결합하면, 활성화된 T 세포가 표적화된 종양 세포를 유도 사멸(세포 용해)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s that bind to CD3 and MUC16; such bispecific antigen binding molecules are also referred to herein as "anti-MUC16/anti-CD3 or anti-MUC16xCD3 bispecific molecules". The anti-MUC16 portion of the anti-MUC16/anti-CD3 bispecific molecule is useful for targeting tumor cells expressing MUC16 (also known as CA-125), and the anti-CD3 portion of the bispecific molecule is useful for activating T cells. Simultaneous binding to MUC16 on a tumor cell and CD3 on a T cell facilitates the activated T cell to induce killing (cytolysis) of the targeted tumor cell.

항-MUC16 특이적 결합 도메인 및 항-CD3 특이적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표준 방법론을 사용하여 작제하였는데, 여기서 항-MUC16 항원 결합 도메인 및 항-CD3 항원 결합 도메인은 공통 LCVR과 쌍을 이룬 구별되는 상이한 HCVR을 각각 포함한다. 예시적인 이중특이적 항체에서, 분자는 항-CD3 항체로부터의 중쇄, 항-MUC16 항체로부터의 중쇄, 및 항-MUC16 항체로부터의 공통 경쇄를 사용해 작제하였다. 다른 경우에, 이중특이적 항체는 항-CD3 항체로부터의 중쇄, 항-MUC16 항체로부터의 중쇄, 및 항-CD3 항체로부터의 경쇄 또는 다양한 중쇄 아암과 효과적으로 혼화되거나 쌍을 이루는 것으로 알려진 항체 경쇄를 사용하여 작제할 수 있다.Bispecific antibodies comprising an anti-MUC16 specific binding domain and an anti-CD3 specific binding domain are constructed using standard methodologies, wherein the anti-MUC16 antigen binding domain and the anti-CD3 antigen binding domain each comprise distinct, different HCVRs paired with a common LCVR. In an exemplary bispecific antibody, the molecule is constructed using a heavy chain from an anti-CD3 antibody, a heavy chain from an anti-MUC16 antibody, and a common light chain from an anti-MUC16 antibody. In other cases, the bispecific antibody can be constructed using a heavy chain from an anti-CD3 antibody, a heavy chain from an anti-MUC16 antibody, and a light chain from an anti-CD3 antibody or antibody light chains known to effectively hybridize or pair with the various heavy chain arms.

2014년 8월 28일에 공개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번호 US20140243504A1에 제시된 바와 같이, IgG1 Fc 도메인(BSMUC16/CD3-001, -002, -003, 및 -004) 또는 변형된 (키메라) IgG4 Fc 도메인(BSMUC16/CD3-005)을 갖는 예시적인 이중특이적 항체를 제조하였다.Exemplary bispecific antibodies were prepared having either an IgG1 Fc domain (BSMUC16/CD3-001, -002, -003, and -004) or a modified (chimeric) IgG4 Fc domain (BSMUC16/CD3-005), a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US20140243504A1, published on August 28, 2014.

작제된 다양한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의 항원 결합 도메인의 성분 부분에 대한 요약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A summary of the components of the antigen-binding domain of the various constructed anti-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is presented in Table 2.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의 성분 부분 요약Summary of the components of anti-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이중특이적 항체 식별자Bispecific antibody identifier항-MUC16Anti-MUC16항-CD3Anti-CD3공통commonness
경쇄 가변 영역light chain variable region
항원 결합 도메인antigen binding domain항원 결합 도메인antigen binding domain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중쇄 가변 영역Heavy chain variable regionBSMUC16/CD3-001
(REGN4018로도 지칭됨)
BSMUC16/CD3-001
(also referred to as REGN4018)
(서열번호 1)(sequence number 1)CD3-VH-G
(서열번호 3)
CD3-VH-G
(sequence number 3)
(서열번호 2)(sequence number 2)
BSMUC16/CD3-002BSMUC16/CD3-002(서열번호 1)(sequence number 1)CD3-VH-G5
(서열번호 4)
CD3-VH-G5
(sequence number 4)
(서열번호 2)(sequence number 2)
BSMUC16/CD3-003BSMUC16/CD3-003(서열번호 1)(sequence number 1)CD3-VH-G9
(서열번호 5)
CD3-VH-G9
(sequence number 5)
(서열번호 2)(sequence number 2)
BSMUC16/CD3-004BSMUC16/CD3-004(서열번호 1)(sequence number 1)CD3-VH-G10(서열번호 6)CD3-VH-G10 (SEQ ID NO: 6)(서열번호 2)(sequence number 2)BSMUC16/CD3-005BSMUC16/CD3-005(서열번호 1)(sequence number 1)CD3-VH-G20(서열번호 7)CD3-VH-G20 (SEQ ID NO: 7)(서열번호 2)(sequence number 2)

실시예 2: CA-125는 시험관 내에서 항-MUC16xCD3 항체 활성을 방해하지 않는다Example 2: CA-125 does not interfere with anti-MUC16xCD3 antibody activity in vitro

가용성 CA-125(MUC16의 탈락 형태(shed form))가 BSMUC16/CD3-001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난소암 환자의 복수로부터 정제한 높은 수준의 CA-125가 존재하는 가운데 FACS 결합 검정 및 세포독성 검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CA-125 수준은 대부분의 난소암 환자의 혈청에서 증가하며, 순환하는 수준은 항원 싱크(antigen sink)로서 작용함으로써 임의의 MUC16-표적화 요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검정에 사용된 CA-125의 수준(10,000 U/ml)은 난소암 환자에서 656.6 U/mL의 공개된 수준 중앙값을 크게 초과한다. 인간 복수에서 농축한 가용성 CA-125(creative Biomart, NY, USA) 또는 5개의 카르복시 말단 SEA 도메인 및 MUC16의 검막 영역을 발현하는 막 근위 작제물(MUC16Δ)의 존재하에서 MUC16-발현 OVCAR-3 세포를 살해하는 BSMUC16/CD3-001의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4:1의 효과기/표적 비율에서 BSMUC16/CD3-001 또는 CD3-결합 대조군 항체의 농도는 고정하고(100pM), MUC16-1H 또는 MUC16Δ를 37℃에서 72시간 동안 연속 희석하였다. MUC16-보유 표적 세포의 특이적 살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OVCAR-3 세포를 1 uM의 바이올렛 세포 추적자(Violet Cell Tracker)로 표지하였다. 표지 후, 세포를 37℃에서 밤새 도말하였다. 별도로, 인간 PBMC를 보충된 RPMI 보충 배지에 1x106개의 세포/mL로 도말하고, 부착성 세포를 고갈시킴으로써 림프구를 농축시키기 위해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 날, 표적 세포를 부착성 세포가 고갈된 미노출 PBMC(효과기/표적 세포 4:1) 및 BSMUC16/CD3-001 또는 CD3-결합 대조군 중 하나의 연속 희석물과 함께 37℃에서 72시간 동안 공배양하였다. 트립신을 사용해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세포를 제거하고, FACS에 의해 분석하였다. FACS 분석을 위해, 세포를 dead/live far red cell tracker(Invitrogen)로 염색하였다. 살해의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바이올렛 세포 추적자로 표지된 집단에 대해 세포를 게이팅하였다. 조정 생존율을 계산하기 위해 살아있는 표적 세포의 백분율을 다음과 같이 보고하였다: 조정 생존율=(R1/R2)*100 (식 중 R1은 항체 존재 시 표적 세포의 생존율(%)이고, R2는 시험 항체 부재 시 표적 세포의 생존율(%)임). T 세포 활성화는 CD2, CD69, 및 CD25에 직접 접합된 항체와 함께 세포를 인큐베이션하고, 총 T 세포(CD2+) 중 활성화된 (CD69+) T 세포 또는 (CD25+) T 세포의 백분율을 보고함으로써 평가하였다.The effect of available CA-125 (shed form of MUC16) on the activity of BSMUC16/CD3-001 was evaluated using FACS binding assays and cytotoxicity assays in the presence of high levels of CA-125 purified from the ascites of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CA-125 levels are elevated in the serum of most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and circulating levels could affect any MUC16-targeting therapy by acting as an antigen sink. The level of CA-125 used in the assay (10,000 U/mL) significantly exceeds the published median level of 656.6 U/mL in patients with ovarian cancer. To evaluate the ability of BSMUC16/CD3-001 to kill MUC16-expressing OVCAR-3 cells in the presence of soluble CA-125 (Creative Biomart, NY, USA) concentrated from human ascites or a membrane proximal construct expressing the five carboxy-terminal SEA domains and the membrane region of MUC16 (MUC16Δ), the concentration of BSMUC16/CD3-001 or CD3-binding control antibody was fixed (100 pM) at an effector/target ratio of 4:1 and serially diluted MUC16-1H or MUC16Δ were incubated for 72 h at 37°C. To monitor specific killing of MUC16-bearing target cells, OVCAR-3 cells were labeled with 1 μM Violet Cell Tracker. After labeling, cells were plated overnight at 37°C. Separately, human PBMCs were plated at1x106 cells/mL in supplemented RPMI media and incubated overnight at 37°C to enrich for lymphocytes by depleting adherent cells. The following day, target cells were co-cultured with adherent cell-depleted, unexposed PBMCs (effector/target cells 4:1) and serial dilutions of either BSMUC16/CD3-001 or CD3-binding control for 72 h at 37°C. Cells were removed from the culture plates using trypsin and analyzed by FACS. For FACS analysis, cells were stained with dead/live far red cell tracker (Invitrogen). To assess the specificity of killing, cells were gated on the population labeled with violet cell tracker. To calculate adjusted survival, the percentage of live target cells was reported as: Adjusted survival = (R1/R2)* 100, where R1 is the percent survival of target cells in the presence of antibody, and R2 is the percent survival of target cells in the absence of test antibody. T cell activation was assessed by incubating cells with antibodies directly conjugated to CD2, CD69, and CD25, and reporting the percentage of activated (CD69+) T cells or (CD25+) T cells among total T cells (CD2+).

BSMUC16/CD3-001 및 CA-125에 결합하는 것으로 알려진 항체(클론 3A5)가 인간 복수 유체로부터 수득된 CA125에 결합하는 것은 효소 결합 면역흡착 검정(ELISA)에 의해 측정하였다. 간략하게, PBS 중 4000 단위/mL 농도의 가용성 CA-125(Creative Biomart, NY, USA)를 4℃에서 밤새 96-웰 마이크로역가 플레이트에 수동적으로 흡착시켰다. 그런 다음, 플레이트를 PBST로 세척하고 PBS 중 0.5% BSA로 1시간 동안 차단하였다. 비오티닐화된(biotinylated) BSMUC16/CD3-001, MUC16 부모 항체, a-MUC16 3A5, 및 결합하지 않는 대조군(BSMUC16/CD3-001 이소형 대조군 및 a-MUC16 3A5 이소형 대조군)을 PBS 중 0.5% BSA 중 10, 1, 0.3, 또는 0.1 nM의 농도로 플레이트에 1시간 동안 첨가한 다음, PBST로 세척하였다. 서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SA-HRP)(Thermo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스트렙트아비딘에 접합시킨 1.0 mg/mL 스톡 용액의 1:10000 희석물을 웰에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플레이트-결합된 비오티닐화된 항체를 검출하였다. 플레이트를 세척하고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3-3', 5-5'-테트라메틸벤지딘(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 기질로 발달시켰다. 빅터 다중표지 플레이트 판독기(Victor Multilabel Plate Reader, Perkin Elmer; Melville, NY)를 이용해 450 nm에서의 흡광도를 각 웰별로 기록하였다. 데이터는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로 분석하였다.Binding of an antibody (clone 3A5) known to bind to BSMUC16/CD3-001 and CA-125 to CA125 obtained from human ascites fluid was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Briefly, soluble CA-125 (Creative Biomart, NY, USA) at a concentration of 4000 units/mL in PBS was passively adsorbed to 96-well microtiter plates overnight at 4°C. The plates were then washed with PBST and blocked with 0.5% BSA in PBS for 1 h. Biotinylated BSMUC16/CD3-001, MUC16 parent antibody, a-MUC16 3A5, and nonbinding controls (BSMUC16/CD3-001 isotype control and a-MUC16 3A5 isotype control) were added to the plates at concentrations of 10, 1, 0.3, or 0.1 nM in 0.5% BSA in PBS for 1 h, followed by washing with PBST. Plate-bound biotinylated antibodies were detected by adding a 1:10000 dilution of a 1.0 mg/mL stock solution of horseradish peroxidase (SA-HRP) (Thermo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 conjugated to streptavidin to the wells and incubating for 1 h. Plates were washed and developed with 3-3', 5-5'-tetramethylbenzidine (BD Biosciences, Franklin Lakes, NJ, USA) substrate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bsorbance at 450 nm was recorded for each well using a Victor Multilabel Plate Reader (Perkin Elmer; Melville, NY). Data were analyzed with GraphPad Prism software.

과량의 CA-125는 OVCAR-3 세포에 대한 BSMUC16/CD3-0001 결합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CA-125에 대한 최소한의 결합을 시사한다(도 1). 대조적으로, CA-125는 MUC16의 반복 영역(항체 클론 3A의 자체 버전)에 결합할 가능성이 있는 비교자 항체의 능력을 크게 억제하였다(도 1). 또한, MUC16의 막 근위 영역에서 5번째 SEA 도메인까지를 함유하는 가용성 MUC16 작제물(MUC16Δ)은 BSMUC16/CD3-001의 결합을 극적으로 억제하였는데, 이는 본원에 참조로서 통합된 WO 2018/067331에서 보다 상세히 논의된 바와 같이, BSMUC16/CD3-001이 막 근위 영역에 결합함을 나타낸다. 결합 연구와 일관되게, BSMUC16/CD3-001은 CA-125의 존재 하에 T 세포 매개 살해도 유도할 수 있었지만, 고농도의 MUC16Δ의 존재 시에는 그렇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 따라서, BSMUC16/CD3-001은 고농도의 CA-125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MUC16에 결합하여 T 세포 재유도 살해를 유도할 수 있다.Excess CA-125 had minimal effect on BSMUC16/CD3-0001 binding to OVCAR-3 cells, suggesting minimal binding to CA-125 (Figure 1). In contrast, CA-125 dramatically inhibited the ability of a comparator antibody that likely binds to the repeat region of MUC16 (its own version of antibody clone 3A) (Figure 1). In addition, a soluble MUC16 construct containing the fifth SEA domain in the membrane proximal region of MUC16 (MUC16Δ) dramatically inhibited the binding of BSMUC16/CD3-001, indicating that BSMUC16/CD3-001 binds to the membrane proximal region, as discussed in more detail in WO 2018/067331,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Consistent with the binding studies, BSMUC16/CD3-001 was also able to induce T cell-mediated killing in the presence of CA-125, but not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MUC16Δ (data not shown). Thus, BSMUC16/CD3-001 can bind to MUC16 and induce T cell re-induction killing even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CA-125.

실시예 3: PD-1 차단은 이종 종양 모델 및 동계 종양 모델에서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의 항종양 활성을 향상시킨다Example 3: PD-1 blockade enhances the antitumor activity of anti-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in xenograft and syngeneic tumor models

PD-1 차단과 조합했을 때의 항-MUC16/항-CD3 이중특이적 항체의 생체 내 효능을 이종 종양 모델과 동계 종양 모델에서 먼저 평가하였다.The in vivo efficacy of anti-MUC16/anti-CD3 bispecific antibodies in combination with PD-1 blockade was first evaluated in xenograft and syngeneic tumor models.

A. 이종 모델 - OVCAR-3/LucA. Heterogeneous model - OVCAR-3/Luc

이종 모델의 경우, 인간 PBMC를 생착하고 13일 후에, 이전에 생체 내에서 계대한 OVCAR-3/Luc 세포를 면역결핍 NSG 마우스에게 복강내(IP) 주사하였다(0일차). 5일차 및 8일차에, 마우스에게 12.5 ug/마우스의 BSMUC16/CD3-001을 IP 주사하여 치료하거나, 12.5 ug의 CD3-결합 대조군을 단독으로 또는 100 ug의 REGN2810과 병용 투여하였다. 종양 이식 후 4, 8, 12, 15, 20, 및 25일차에 BLI에 의해 종양 부담을 평가하였다. 25일차에 BLI 측정에 의해 결정했을 때, 12.5 ug의 BSMUC16/CD3-001을 사용한 치료는 BLI 측정에 의해 결정했을 때 유의한 항종양 효능을 나타냈고, REGN2810(항-PD-1)과의 병용 치료는 항종양 효능을 추가로 향상시켰다. 모든 군은 투여 시작 전에 BLI에 의해 평가했을 때 유사한 종양 부담을 가졌다. 종양 부담에 있어서는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or the xenograft model, 13 days after engraftment of human PBMCs, immunodeficient NSG mice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P) with previously passaged in vivo OVCAR-3/Luc cells (day 0). On days 5 and 8, mice were treated IP with 12.5 ug/mouse of BSMUC16/CD3-001 or 12.5 ug of CD3-conjugated control,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100 ug of REGN2810. Tumor burden was assessed by BLI on days 4, 8, 12, 15, 20, and 25 after tumor engraftment. Treatment with 12.5 ug of BSMUC16/CD3-001 resulted in significant antitumor efficacy as determined by BLI measurement on day 25, and combination therapy with REGN2810 (anti-PD-1) further enhanced antitumor efficacy. All groups had similar tumor burden as assessed by BLI prior to the start of dos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mor burden between groups.

BSMUC16/CD3-001은 12.5 ug에서 종양 부담을 상당히 감소시키며, 항-PD-1을 추가한 경우에는 BSMUC16/CD3-001 단독 투여에 비해 항종양 효능이 향상된다. 인간 T 세포가 생착된 NSG 마우스에게 인간 OVCAR-3/Luc 세포를 이식하였다. 5일차 및 8일차에, 12.5 ug의 BSMUC16/CD3-001을 IV 투여하거나 CD3-결합 대조군 또는 비-결합 대조군(12.5 ug IV)으로 마우스를 치료하였다. 아래 표 3에 나타낸 데이터는 종양 이식 후 25일차에 BLI에 의해 평가했을 때의 종양 부담이다. 통계적 유의성은 독립표본 비모수 Mann-Whitney t 검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BSMUC16/CD3-001 +/- REGN2810을 사용한 치료를 CD3-결합 대조군과 비교하였고(BSMUC16/CD3-001의 경우 * p < 0.05, BSMUC16/CD3-001 및 REGN2810의 경우 ** p < 0.01), BSMUC16/CD3-001을 단독으로 사용한 치료를 REGN2810과의 병용 치료와 비교하였다(# p < 0.05).BSMUC16/CD3-001 significantly reduces tumor burden at 12.5 ug, and the addition of anti-PD-1 enhances the antitumor efficacy compared to BSMUC16/CD3-001 alone. Human OVCAR-3/Luc cells were transplanted into human T cell-engrafted NSG mice. On days 5 and 8, mice were treated with 12.5 ug of BSMUC16/CD3-001 IV or with CD3-binding control or non-binding control (12.5 ug IV). Data presented in Table 3 below are tumor burden as assessed by BLI on day 25 after tumor transplant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independent-samples nonparametric Mann-Whitney t test. Treatment with BSMUC16/CD3-001 +/- REGN2810 was compared with CD3-binding control (* p < 0.05 for BSMUC16/CD3-001, ** p < 0.01 for BSMUC16/CD3-001 and REGN2810), and treatment with BSMUC16/CD3-001 alone was compared with treatment in combination with REGN2810 (# p < 0.05).

종양 이식 후 25일차의 생물발광Bioluminescence at 25 days after tumor transplantation항체(ug)Antibody (ug)이식 후 25일차의 평균 휘도 [p/s/cm²/sr]Average luminance at 25 days after transplantation [p/s/cm²/sr]
(중앙값 ± SEM)(Median ± SEM)
hIgG4P-PVA CD3-결합 대조군 (12)hIgG4P-PVA CD3-binding control (12)7.71e+06 ± 1.07e+067.71e+06 ± 1.07e+06BSMUC16/CD3-001 (12)BSMUC16/CD3-001 (12)7.44e+03 ± 3.11e+037.44e+03 ± 3.11e+03hIgG4P-PVA CD3-결합 대조군 (12) + REGN2810 (100)hIgG4P-PVA CD3-binding control (12) + REGN2810 (100)9.29e+06 ± 1.82e+069.29e+06 ± 1.82e+06BSMUC16/CD3-001 (12) + REGN2810 (100)BSMUC16/CD3-001 (12) + REGN2810 (100)1.76e+03 ± 9.38e+011.76e+03 ± 9.38e+01

B. 동계 모델 - ID8-VEGF/huMUC16B. Winter model - ID8-VEGF/huMUC16

면역적격성 모델에서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쥣과 CD3 유전자를 인간 CD3으로 대체하고, 마우스 MUC16 유전자의 일부를 인간 서열로 대체하였다. 대체를 통해, 마우스 T 세포가 인간 CD3을 발현하고; BSMUC16/CD3-001 및 BSMUC16/CD3-005 이중특이적 항체가 결합하는 인간 MUC16의 일부를 함유하는 키메라 MUC16 분자를 발현하는 마우스를 생성하였다.To investigate efficacy in an immunocompetent model, the murine CD3 gene was replaced with human CD3 and part of the mouse MUC16 gene was replaced with human sequences. By replacing, mice were generated in which mouse T cells expressed human CD3; and mice expressing chimeric MUC16 molecules containing a part of human MUC16 to which the BSMUC16/CD3-001 and BSMUC16/CD3-005 bispecific antibodies bind.

이러한 제1 동계 종양 모델의 경우, 인간 MUC16의 일부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ID8-VEGF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마우스에게 ID8-VEGF/huMUC16 세포를 IP 주입하여 이식하고, 이식으로부터 3일 후에 5 mg/kg의 BSMUC16/CD3-001 또는 CD3-결합 대조군을 이소형 대조군과 함께 사용해 치료하거나, 항-PD-1(5 mg/kg IV)과 병용으로 치료하였다. BSMUC16/CD3-001 치료는 CD3-결합 대조군을 투여한 군에 비해 생존 중앙값을 연장시켰지만, 항-PD-1 차단을 추가한 경우에도 마우스의 50%가 생존하였다.For this first syngeneic tumor model, we used the ID8-VEGF cell line engineered to express a portion of human MUC16. Mice were implanted with ID8-VEGF/huMUC16 cells IP and treated 3 days post-implantation with 5 mg/kg BSMUC16/CD3-001 or CD3-binding control together with isotype control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5 mg/kg IV). BSMUC16/CD3-001 treatment prolonged median survival compared to the group receiving CD3-binding control, but 50% of mice survived even when anti-PD-1 blockade was added.

BSMUC16/CD3-001은 ID8-VEGF 복수 모델에서 생존기간 중앙값을 유의하게 증가시키고, PD-1(REGN2810) 차단을 추가하면 여러 마우스의 생존을 가능하게 한다. 마우스 CD3 대신에 인간 CD3 및 키메라 MUC16 분자를 발현하는 마우스에게 인간 MUC16의 일부를 발현하는 쥣과 난소 종양주(tumor line)를 이식하였다. 이식 후 3일차에, 마우스에게 BSMUC16/CD3-001(5 mg/kg IV)을 투여하거나 CD3-결합 대조군(5 mg/kg IV)을 이소형 대조군과 함께 투여하거나 항-PD-1과 함께 투여하였다. 종양 이식 후 3, 7, 10, 14, 17일차에 마우스를 치료하였다. 표시된 데이터는 생존 중앙값이다. 복수로 인해 복부가 팽창하여 마우스의 체중이 20% 넘게 증가했을 때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통계적 유의성은 Mantel-Cox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BSMUC16/CD3-001 및 BSMUC16/CD3-001 + 항-PD-1 치료 모두는 생존 기간 중앙값을 증가시켰고, BSMUC16/CD3-001 + 항-PD-1의 병용은 50%를 생존시켰는데, 이는 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와 항-PD-1 항체 간의 상승 효과를 입증한다. 결과는 아래 표 4에 도시된다.BSMUC16/CD3-001 significantly increases median survival in the ID8-VEGF ascites model, and addition of PD-1 (REGN2810) blockade enabled survival of multiple mice. Mice expressing human CD3 and chimeric MUC16 molecules in place of mouse CD3 were implanted with a murine ovarian tumor line expressing a portion of human MUC16. On day 3 post-implantation, mice were administered BSMUC16/CD3-001 (5 mg/kg IV) or a CD3-binding control (5 mg/kg IV) together with isotype control or anti-PD-1. Mice were treated on days 3, 7, 10, 14, and 17 post-tumor implantation. Data shown are median survival. Mice were sacrificed when abdominal distension due to ascites resulted in greater than 20% body weight gai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Mantel-Cox method. Both BSMUC16/CD3-001 and BSMUC16/CD3-001 + anti-PD-1 treatments increased median survival, with the combination of BSMUC16/CD3-001 + anti-PD-1 achieving 50% survival, demonstrating the synergistic effect between the MUC16xCD3 bispecific antibody and anti-PD-1 antibodie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ID8-VEGF/huMUC16 모델에서 생존 중앙값Median survival in the ID8-VEGF/huMUC16 model항체(mg/kg)Antibody (mg/kg)생존기간 중앙값(일)Median survival time (days)CD3 결합 대조군 (5) + 이소형 대조군 (5)CD3 binding control (5) + isotype control (5)3636BSMUC16/CD3-001 (5) + 이소형 대조군 (5)BSMUC16/CD3-001 (5) + Isotype Control (5)4646CD3-결합 대조군 (5) + PD-1 (5)CD3-binding control (5) + PD-1 (5)3232BSMUC16/CD3-001 (5) + PD-1 (5)BSMUC16/CD3-001 (5) + PD-1 (5)69.569.5

1 mg/kg의 BSMUC16/CD3-001을 항-PD-1 항체와 병용 투여했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다.Similar results were observed when 1 mg/kg of BSMUC16/CD3-001 was co-administered with anti-PD-1 antibody.

C. 동계 모델 - MC38/huMUC16C. Winter Model - MC38/huMUC16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험에 사용된 마우스는 쥣과 CD3 유전자가 인간 CD3 유전자로 대체되고 마우스 MUC16 유전자가 인간 서열로 대체되도록 조작한 것이다. 대체를 통해, 마우스 T 세포가 인간 CD3을 발현하고; BSMUC16/CD3-001 및 BSMUC16/CD3-005 이중특이적 항체가 결합하는 인간 MUC16의 일부를 함유하는 키메라 MUC16 분자를 발현하는 마우스를 생성하였다.As described above, the mice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engineered such that the murine CD3 gene was replaced with a human CD3 gene and the mouse MUC16 gene was replaced with a human sequence. By replacing, mice were generated in which mouse T cells expressed human CD3; and mice expressed chimeric MUC16 molecules containing a portion of human MUC16 to which the BSMUC16/CD3-001 and BSMUC16/CD3-005 bispecific antibodies bind.

이러한 제2 동계 종양 모델의 경우, 인간 MUC16의 일부를 발현하도록 조작된 MC38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마우스에게 MC38/huMUC16 세포를 SC 주입하여 이식하고, 이식 후 7일차에 BSMUC16/CD3-005 또는 CD3-결합 대조군을 이소형 대조군과 함께 사용해 치료하거나(1 mg/kg IV), 항-PD-1(5 mg/kg IV)과 병용으로 치료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항-PD-1 항체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쥣과 항체(클론 RMP1-14, BioXCell)였다. BSMUC16/CD3-005와 항-PD-1의 병용 치료는 상승적 항종양 효과를 나타냈다.For this second syngeneic tumor model, a MC38 cell line engineered to express a portion of human MUC16 was used. Mice were implanted with MC38/huMUC16 cells by SC injection and treated 7 days post-implantation with BSMUC16/CD3-005 or CD3-binding control together with isotype control (1 mg/kg IV)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5 mg/kg IV). The anti-PD-1 antibody used in this experiment was a commercially available murine antibody (clone RMP1-14, BioXCell). Combination treatment with BSMUC16/CD3-005 and anti-PD-1 showed synergistic anti-tumor effects.

BSMUC16/CD3-005와 항-PD-1 차단의 병용은 MC38 SC 모델에서 BSMUC16/CD3-005 단독보다 더 양호한 항종양 효능을 초래하였다. 마우스 CD3 대신에 인간 CD3 및 키메라 MUC16 분자를 발현하는 마우스에게 인간 MUC16의 일부를 발현하는 쥣과 종양주 MC38을 이식하였다. 이식 후 7일차에, 마우스에게 BSMUC16/CD3-005를 투여하거나 CD3-결합 대조군(1 mg/kg IV)을 이소형 대조군과 함께 투여하거나 항-PD-1(5 mg/kg IV)과 함께 투여하였다. 종양 이식 후 7, 11, 및 14일차에 마우스를 치료하였다. 결과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통계적 유의성은 Tukey 다중 비교 검정을 이용한 이원 ANOVA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BSMUC16/CD3-005 + 항-PD-1은 CD3-결합 대조군에 비해 종양 성장을 유의미하고 상승적으로 억제하였다.Combination of BSMUC16/CD3-005 and anti-PD-1 blockade resulted in better antitumor efficacy than BSMUC16/CD3-005 alone in the MC38 SC model. Mice expressing human CD3 and chimeric MUC16 molecules in place of mouse CD3 were transplanted with a murine tumor line MC38 expressing a portion of human MUC16. On day 7 after transplantation, mice were administered BSMUC16/CD3-005 or a CD3-binding control (1 mg/kg IV) together with an isotype control or together with anti-PD-1 (5 mg/kg IV). Mice were treated on days 7, 11, and 14 after tumor transplantation.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using a two-way ANOVA with Tukey's multiple comparisons test. BSMUC16/CD3-005 + anti-PD-1 significantly and synergistically inhibited tumor growth compared to the CD3-binding control.

실시예 4: 조작된 마우스에서의 면역-PET 영상화는 T 세포-풍부 기관에 대한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의 국소화를 나타냈다Example 4: Immuno-PET imaging in engineered mice revealed localization of anti-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to T cell-rich organs

야생형 마우스 및 유전적으로 인간화된 마우스를 대상으로 PET 영상화를 사용하여 BSMUC16/CD3-001 및 BSMUC16/CD3-005의 생체 내 국소화 및 MUC16 단백질의 발현을 평가하였다.89Zr-표지된 항-MUC16 항체(본원에서 "부모"로서 지칭되는 이중특이적 항체와 동일한 항-MUC16 중쇄 및 경쇄를 사용해 생성한 2가 항-MUC16 항체)의 생체분포는 야생형 마우스 및 인간화 마우스 모두에서 유사하였는데, 이는 항체에 대한 인간화 MUC16 단백질의 발현/가용성이 낮음을 시사한다. 대조적으로, 마우스에게89Zr-표지된 BSMUC16/CD3-001 이중특이적 항체의 치료적으로 관련이 있는 투여량을 투여했을 때, 비장 및 림프절로의 분포가 명백했는데, 이는 이들 림프 기관에서 CD3 양성 T 세포를 인식하였기 때문이다(데이터 미도시). 개별 조직에서의 생체 외 생체분포 분석을 통해 림프절 및 비장으로의 국소화를 확인하였다(데이터 미도시). 림프 조직에서89Zr-표지된 BSMUC16/CD3-005 이중특이적 항체의 흡수는 BSMUC16/CD3-001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CD3에 대한 친화도가 더 낮았기 때문이다. BSMUC16/CD3-001 및 BSMUC16/CD3-005가 MUC16-발형 종양에 축적될 수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ID8-VEGF-huMUC16Δ 종양을 가진 마우스에게89Zr-표지된 BSMUC16/CD3-001 및89Zr-표지된 BSMUC16/CD3-005를 투여하였다. 이중특이적 항체 간의 종양 흡수는 BSMUC16/CD3-001의 림프 흡수가 더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유의하게 상이하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The in vivo localization of BSMUC16/CD3-001 and BSMUC16/CD3-005 and expression of MUC16 protein were assessed using PET imaging in wild-type and genetically humanized mice. The biodistribution of the89 Zr-labeled anti-MUC16 antibody (a bivalent anti-MUC16 antibody generated using identical anti-MUC16 heavy and light chains as the bispecific antibody referred to herein as “parent”) was similar in both wild-type and humanized mice, suggesting low expression/availability of the humanized MUC16 protein for the antibody. In contrast, when mice were administered therapeutically relevant doses of the89 Zr-labeled BSMUC16/CD3-001 bispecific antibody, distribution to the spleen and lymph nodes was evident, as it recognized CD3 positive T cells in these lymphoid organs (data not shown). In vitro biodistribution analysis in individual tissues confirmed localization to lymph nodes and spleen (data not shown). Uptake of the89 Zr-labeled BSMUC16/CD3-005 bispecific antibody in lymphoid tissue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BSMUC16/CD3-001, which was attributed to its lower affinity for CD3. To evaluate whether BSMUC16/CD3-001 and BSMUC16/CD3-005 could accumulate in MUC16-type tumors, ID8-VEGF-huMUC16Δ tumor-bearing mice were administered89 Zr-labeled BSMUC16/CD3-001 and89 Zr-labeled BSMUC16/CD3-005. Tumor uptake between the bispecific antibodie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despite the higher lymphatic uptake of BSMUC16/CD3-001 (data not shown).

면역접합체의 제조 및 작은 동물 PET: 항체를 PNGase F로 탈당질화한 후, 미생물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에 의한 트랜스아미드화를 통해 위치 295에 있는 글루타민 잔기에 대한 DFO를 BSMUC16/CD3-001 및 대조군 항체에 접합시켰다. 그런 다음, DFO 접합 항체를 지르코늄-89(89Zr)로 킬레이트화하였다. 마우스에게 꼬리 정맥 주사를 통해 0.5 mg/kg의 항체를 최종 투여량으로 투여하였다. 그런 다음, 생체 외 생체분포 연구에 앞서, 방사성 면역접합체의 생체 내 국소화를 평가하기 위해 투여 후 6일차에 PET 영상화를 수행하였다. 종양 보유 마우스에서의 실험을 위해, 마우스에게 10x106 ID8-VEGF-huMUC16Δ 종양 세포를 피하 이식하였다. 이식하고 20일 후에 종양이 평균 150 mm3가 되었을 때, 종양 보유 마우스에게89Zr 방사성 표지된 항체를 투여하였다.Preparation of immunoconjugates and small animal PET: Antibodies were deglycosylated with PNGase F, followed by transamidation with microbial transglutaminase to conjugate DFO to the glutamine residue at position 295 to BSMUC16/CD3-001 and control antibodies. DFO-conjugated antibodies were then chelated with zirconium-89 (89 Zr). Mice were administered a final dose of 0.5 mg/kg of antibody via tail vein injection. PET imaging was then performed 6 days post-administration to assess in vivo localization of the radioimmunoconjugate prior to ex vivo biodistribution studies. For experiments in tumor-bearing mice, mice were implanted subcutaneously with 10x106 ID8-VEGF-huMUC16Δ tumor cells. Twenty days post-implantation, when tumors had grown to an average of 150 mm3 , tumor-bearing mice were administered89 Zr radiolabeled antibody.

사전 검교정된 Sofie Biosciences G8 PET/CT 기기(Sofie Biosciences (Culver city, CA) 및 Perkin Elmer)를 사용해 PET 및 CT 이미지를 얻었다. 에너지 윈도우는 150 내지 650 keV 범위였으며, 시야 중심에서의 재구성 해상도는 1.4 mm였다. 투여 후 6일차에, 이소플루란을 사용하여 마우스를 유도 마취시키고, 정태 PET를 획득하는 10분 동안 이소플루란을 연속적으로 흘렸다. PET 획득 후 CT 이미지를 획득하였다. 이어서, 사전 구성된 설정을 사용하여 PET 이미지를 재구성하였다. 흐림이 보정된 PET 데이터와 CT 데이터를 VivoQuant 소프트웨어(inviCRO Imaging Services)를 사용해 처리하여, 부피당 주입된 투여량(%ID/g으로 표현됨)의 0 내지 30% 신호 범위를 나타내도록 보정된 색상 척도 상에 위색화된(false-colored) 동시 기록 방식 PET-CT 최대 강도로 투사하였다. 생체 외 생체분포 분석을 위해, 투여 후 6일차에 영상화 후 마우스를 안락사시켰다. 심장 천자를 통해 혈액을 계수 튜브에 채취하였다. 그런 다음, 정상 조직(서혜부 및 액와 림프절, 흉선, 비장, 심장, 폐, 위, 소장, 간, 신장, 뼈, 및 난소)을 절제하고 계수 튜브에 넣었다. 유사하게, 종양을 계수 튜브에 채취하였다. 모든 튜브를 사전에 칭량하고, 채취한 튜브를 재칭량하여 혈액과 조직의 중량을 결정하였다. 그런 다음, 모든 샘플을 대상으로 γ-방출 방사능을 자동 감마 계수기(Wizard 2470, Perkin Elmer)를 이용해 계수하고, 결과를 분당 계수(cpm)로 보고하였다. 각 샘플에 대한 ID(%)는 원래 주입된 물질로 제조한 투여량-표준물 계수에 대한 상대 샘플 계수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이어서, 개별 ID/g(%) 값은, ID(%) 값을 적절한 혈액, 조직, 또는 종양 샘플 각각의 중량으로 나누어 이끌어 냈다.PET and CT images were acquired using a precalibrated Sofie Biosciences G8 PET/CT instrument (Sofie Biosciences (Culver City, CA) and Perkin Elmer, respectively). The energy window ranged from 150 to 650 keV, and the reconstruction resolution at the center of the field of view was 1.4 mm. On day 6 post-administration, mice were induced anesthetized with isoflurane and isoflurane was continuously flowed for 10 min during which static PET was acquired. CT images were acquired following PET acquisition. PET images were then reconstructed using preconfigured settings. Blur-corrected PET and CT data were processed using VivoQuant software (inviCRO Imaging Services) and projected at false-colored simultaneous recording PET-CT maximum intensity onto a color scale calibrated to represent the signal range from 0 to 30% of the injected dose per volume (expressed as %ID/g). For ex vivo biodistribution analysis, mice were euthanized on day 6 after administration. Blood was collected by cardiac puncture into counting tubes. Normal tissues (inguinal and axillary lymph nodes, thymus, spleen, heart, lung, stomach, small intestine, liver, kidney, bone, and ovaries) were then excised and placed into counting tubes. Similarly, tumors were collected into counting tubes. All tubes were preweighed, and the collected tubes were reweighed to determine the blood and tissue weights. All samples were then counted for γ-emitting radioactivity using an automated gamma counter (Wizard 2470, Perkin Elmer) and the results were reported as counts per minute (cpm). The ID (%) for each sample was determined using the relative sample count for the dose-standard count prepared from the original injected material. Individual ID/g (%) values were then derived by dividing the ID (%) value by the weight of the appropriate blood, tissue, or tumor sample.

89Zr-표지된 BSMUC16/CD3-001 및89Zr-표지된 BSMUC16/CD3-005는 MUC16+ 종양 및 CD3+ 림프 조직에 대한 특이적 국소화를 나타냈으며, 림프 분포는 상대 CD3 친화도와 상관 관계가 있었다. 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 모두는 CD3+ 조직의 존재 하에 동등한 종양 국소화를 나타냈다.89 Zr-labeled BSMUC16/CD3-001 and89 Zr-labeled BSMUC16/CD3-005 showed specific localization to MUC16+ tumor and CD3+ lymphoid tissue, and lymphoid distribution correlated with relative CD3 affinity. Both 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showed equivalent tumor localization in the presence of CD3+ tissue.

실시예 5: 시노몰구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독성학 연구는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에 대해 명백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Example 5: Toxicology studies in cynomolgus monkeys showed no apparent toxicity for anti-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BSMUC16/CD3-001은 원숭이 MUC16 및 CD3과 교차 반응한다. 이중특이적 항체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결정하고 약동학을 특성화하기 위해, 시노몰구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다회 투여량 독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6마리의 원숭이/성별/군에게 BSMUC16/CD3-001의 총 5회 투여량을 0.01, 0.1, 또는 1 mg/kg으로 매주 투여하였다. 투여 기간 완료 시, 3마리의 동물/성별/군을 안락사시키고 현미경 소견을 위해 조직을 검사하였고, 나머지 3마리의 동물/성별/군은 임의의 BSMUC16/CD3-001 관련 효과의 가역성 또는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해 12주의 무치료 회복을 거쳤다. BSMUC16/CD3-001은 내약성이 양호했으며, 모든 동물은 예정된 부검 시점까지 생존하였다. 독성동역학 분석은 투여량 군 전체에 걸쳐 투여량 비례적 노출 및 선형 동역학을 나타냈으며, 성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 투여 단계 전반에 걸쳐 BSMUC16/CD3-001에 대한 지속적인 노출이 관찰되었으며, BSMUC16/CD3-001 노출은 0.1 mg/kg 군의 모든 동물(n=6마리) 및 1.0 mg/kg 군의 동물의 50%에서 회복 단계가 끝날 때까지 유지되었다. 8주차 회복 후에, 0.01 mg/kg 군의 어떤 동물의 혈청에서도 BSMUC16/CD3-001이 검출되지 않았다. BSMUC16/CD3-001의 제거 반감기는 약 10일이었다.BSMUC16/CD3-001 cross-reacts with monkey MUC16 and CD3. To determine the safety and tolerability of the bispecific antibody and to characterize its pharmacokinetics, a multiple-dose toxicity study was conducted in cynomolgus monkeys. Six monkeys/sex/group were administered weekly a total of five doses of BSMUC16/CD3-001 at 0.01, 0.1, or 1 mg/kg. At the end of the dosing period, three animals/sex/group were euthanized and tissues were examined for microscopic findings, while the remaining three animals/sex/group underwent 12 weeks of treatment-free recovery to assess the reversibility or persistence of any BSMUC16/CD3-001-related effects. BSMUC16/CD3-001 was well tolerated, and all animals survived until the scheduled necropsy. Toxicokinetic analysis showed dose-proportional exposure and linear kinetics across dose groups, with no sex differences observed (data not shown). Continued exposure to BSMUC16/CD3-001 was observed throughout the dosing phase, and BSMUC16/CD3-001 exposure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recovery phase in all animals (n = 6) in the 0.1 mg/kg group and 50% of the animals in the 1.0 mg/kg group. After recovery at week 8, BSMUC16/CD3-001 was not detected in the serum of any animal in the 0.01 mg/kg group. The elimination half-life of BSMUC16/CD3-001 was approximately 10 days.

투여 기간 또는 회복 기간 동안, BSMUC16/CD3-001과 관련하여 임상적으로 관찰된 것은 없었으며, 소변검사 파라미터, 말초 혈액 면역표현형, 음식 섭취, 또는 체중에도 아무런 변화가 없었다. 중요하게는, BSMUC16/CD3-001 투여가, ECG 파라미터의 변화 없음을 포함하여, 호흡기, 신경, 또는 심혈관 안전성 약리학 평가에서 어떠한 변화도 초래하지 않았다. 기관 중량에 있어서 BSMUC16/CD3-001과 관련된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고, 최종 부검 또는 회복 부검에서도 아무런 육안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1.0 또는 0.1 mg/kg의 초기 투여량을 투여하고 1일 이내에 순환 염증 마커(C-반응 단백질(CRP) 및 IL-6)의 투여량 관련 가역적 상승이 관찰되었지만, 이들 상승은 후속 투여 후 분명하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 혈액 종양에 대한 여러 CD3 이중특이적 분자에 대해 기술된 것과 대조적으로, BSMUC16/CD3-001 투여 후 혈청 사이토카인의 최소 증가에 따른 T 세포 재분포는 검출되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There were no clinical observations related to BSMUC16/CD3-001 during the dosing or recovery periods, and no changes in urinalysis parameters, peripheral blood immunophenotype, food intake, or body weight. Importantly, BSMUC16/CD3-001 administration did not result in any changes in respiratory, neurological, or cardiovascular safety pharmacology assessments, including no changes in ECG parameters. No BSMUC16/CD3-001-related changes in organ weights were found, and no macroscopic changes were observed at final or recovery autopsy. Dose-related, reversible elevations in circulating inflammatory markers (C-reactive protein (CRP) and IL-6) were observed within 1 day of administration at initial doses of 1.0 or 0.1 mg/kg, but these elevations were not evident with subsequent dosing (data not shown). In contrast to what has been described for several CD3 bispecific molecules in hematological malignancies, no T cell redistribution with minimal increases in serum cytokines was detected following BSMUC16/CD3-001 administration (data not shown).

시노몰구스 원숭이 연구는 IACUC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노몰구스 원숭이(6마리/성별/군)에게 대조군 약물(희석된 위약) 또는 BSMUC16/CD3-001(0.01, 0.1, 또는 1 mg/kg)을 30분 IV 주입을 통해 주 1회 투여하였다. 대조군 약물은 10% 수크로오스 및 0.05% 폴리소르베이트 20이 포함된 pH 6의 10mM 히스티딘으로서, 주사용 0.9% 염화나트륨, USP(멸균 식염수)로 희석한 것이었다. 임상병리학 및 조직병리학을 위해 다양한 시점에 혈액 샘플 또는 조직을 채취하였다. BSMUC16/CD3-001 농도를 ELISA에 의해 결정하고, WinNonLi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독성동역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CRP는 Roche 모듈식 P 800 시스템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은 MSD(Meso Scale Diagnostics, Rockville, MD)에 의해 측정하였다. T 세포는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간략하게, 혈액을 칼륨 EDTA 튜브에 수집하고, 용해시키고, CD3, CD4, 및 CD8에 대해 염색하고(BD Biosciences), 각 표현형에 대한 상대 값을 FACS Canto II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그런 다음, 이들 값에 (혈액학 분석을 통한) 절대 림프구 값을 곱하여 각 표현형에 대한 절대 세포 수를 계수한다.Cynomolgus monkey studi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IACUC guidelines. Cynomolgus monkeys (6/sex/group) were administered control drug (diluted placebo) or BSMUC16/CD3-001 (0.01, 0.1, or 1 mg/kg) once weekly via a 30-minute IV infusion. The control drug was 10 mM histidine, pH 6, containing 10% sucrose and 0.05% polysorbate 20, diluted in 0.9% sodium chloride for injection, USP (sterile saline). Blood samples or tissues were collected at various time points for clinical and histopathology. BSMUC16/CD3-001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by ELISA, and toxicoki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WinNonLin software. CRP was assayed using the Roche Modular P 800 System. Cytokines were measured by MSD (Meso Scale Diagnostics, Rockville, MD). T cells were quantified using flow cytometry. Briefly, blood was collected in potassium EDTA tubes, lysed, stained for CD3, CD4, and CD8 (BD Biosciences), and relative values for each phenotype were determined using a FACS Canto II. These values were then multiplied by the absolute lymphocyte count (from hematology analysis) to enumerate absolute cell counts for each phenotype.

MUC16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은 예상 조직에 존재하였다: 췌장(중피, 관상 상피), 심장, 및 난소(데이터 미도시)뿐만 아니라 타액선(배상 세포), 간(중피, 담관), 폐(중피, 기관지/기관지 상피), 소장(중피), 고환(중피, 고환망/정소 소관), 및 편도(상피, 점액샘)(미도시).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 조직학적 염색에 의해 평가된 BSMUC16/CD3-001 관련 현미경적 변화에는 염증(백혈구 침윤); 및 중피 세포 크기 및 세포충실성의 증가, 및 이로 인한 다수의 흉부 및 복막 기관의 장막 내막 및/또는 중피하 결합 조직의 유해하지 않은 비후화가 포함되었다. 이들 변화는 일반적으로 성질상 초점성 또는 다초점성이었고, 최소 내지 약간의 중증이었고, 장막 상피(중피) 세포에서 MUC16의 발현과 T 세포 활성화가 결합되어 나타난, BSMUC16/CD3-001에 대한 온-타깃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중요하게는, 장막 변화는 회복 기간 종료 후 역전되거나 역전되는 경향이 있었다(데이터 미도시).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MUC16 was present in the expected tissues: pancreas (mesothelial, tubular epithelium), heart, and ovary (data not shown), as well as salivary gland (goblet cells), liver (mesothelial, biliary tract), lung (mesothelial, tracheal/bronchial epithelium), small intestine (mesothelial), testis (mesothelial, reticulum testis/testicular ductus), and tonsils (epithelium, mucous glands) (data not shown). Microscopic changes associated with BSMUC16/CD3-001 as assessed by hematoxylin and eosin (H&E) histologic staining included inflammation (leukocyte infiltrate); and increased mesothelial cell size and cellularity, resulting in non-invasive thickening of the serosal lining and/or submesothelial connective tissue of multiple thoracic and peritoneal organs. These changes were generally focal or multifocal in nature, minimal to moderately severe, and were considered to be on-target to BSMUC16/CD3-001, coupled with expression of MUC16 in mesothelial (mesothelial) cells and T cell activation. Importantly, the mesothelial changes were or tended to be reversed after the end of the recovery period (data not shown).

시노몰구스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독성학 연구는, BSMUC16/CD3-001 투여 후 혈청 사이토카인 및 C-반응성 단백질의 최소 및 일시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며, 명백한 독성은 없었다.Toxicology studies in cynomolgus monkeys showed minimal and transient increases in serum cytokines and C-reactive protein following BSMUC16/CD3-001 administration, with no apparent toxicity.

실시예 6: 종양을 가진 쥐에서 혈청 사이토카인 유도의 평가Example 6: Evaluation of serum cytokine induction in tumor-bearing mice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은 CD3 이중특이적 및 CAR T 세포 요법의 빈번한 중대한 부작용이기 때문에, BSMUC16/CD3-001로 치료한 후 관련 모델에서 혈청 사이토카인을 모니터링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양이 없는 유전적으로 인간화된 MUC16/CD3 마우스에서, BSMUC16/CD3-001 투여 후 혈청 사이토카인 반응은 명백하지 않았다.Because cytokine release syndrome (CRS) is a frequent serious adverse effect of CD3 bispecific and CAR T-cell therapy, we conducted a study to monitor serum cytokines in a relevant model following treatment with BSMUC16/CD3-001. In tumor-free, genetically humanized MUC16/CD3 mice, no serum cytokine response was evident following BSMUC16/CD3-001 administration.

BSMUC16/CD3-001에 의한 생체 내 T 세포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종양 보유 마우스의 혈청 사이토카인 수준을 측정하였다. 0.5 mg/kg의 BSMUC16/CD3-001 치료군, CD3-결합 대조군, 및 비-결합 대조군에서 1차 항체를 투여하고 4시간 후에 혈청 샘플을 채취하였다. IFNγ, TNFα, IL-2, IL-6, IL-8, 및 IL-10의 유도에 의해 결정했을 때, 비-결합 대조군 및 CD3 결합 대조군과 비교하여, BSMUC16/CD3-001을 이용한 치료는 T 세포를 활성화하였다(데이터 미도시). BSMUC16/CD3-001에 의해 유도된 사이토카인 반응은 T 세포뿐만 아니라 OVCAR-3/Luc 세포 둘 다의 존재를 필요로 하였는데, 이는 OVCAR3/Luc 세포만을 보유한 마우스가 혈청에서 검출 가능한 인간 IFNγ를 갖지 않았고, 가교 결합을 위한 MUC16을 제공하는 종양 세포가 없는 마우스가 BSMUC16/CD3-001에 반응하여 혈청 IFNγ의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기 때문이다(데이터 미도시).To evaluate in vivo T cell activation by BSMUC16/CD3-001, serum cytokine levels in tumor-bearing mice were measured.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4 hours after primary antibody administration in the 0.5 mg/kg BSMUC16/CD3-001 treatment group, CD3-binding control, and non-binding control groups. Treatment with BSMUC16/CD3-001 activated T cells compared to the non-binding control and CD3-binding control groups, as determined by the induction of IFNγ, TNFα, IL-2, IL-6, IL-8, and IL-10 (data not shown). The cytokine response induced by BSMUC16/CD3-001 required the presence of both T cells as well as OVCAR-3/Luc cells, since mice bearing only OVCAR3/Luc cells had no detectable human IFNγ in the serum and mice lacking tumor cells providing MUC16 for cross-linking did not show increases in serum IFNγ in response to BSMUC16/CD3-001 (data not shown).

혈청 사이토카인 수준의 측정: 처음 0.5 mg/kg의 투여량을 투여하고 4시간 후에 인터페론 γ(IFNγ), 종양 괴사 인자 α(TNFα), 인터류킨-2(IL-2), IL-4, IL-6, IL-8, IL-10, IL-12p70, IL-13, 및 IL-1B의 혈청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BSMUC16/CD3-001을 사용한 치료에 의한 T 세포 활성화를 평가하였다. 사이토카인 수준은 V-plex Human ProInflammatory-10 Plex 키트를 제조사(Meso Scale Diagnostics, Rockville, MA)의 지침에 따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이토카인은 군 당 4 내지 6마리의 마우스를 대상으로 한 2건의 별도 연구에서 측정하였다.Measurement of Serum Cytokine Levels: T cell activation by treatment with BSMUC16/CD3-001 was assessed by measuring serum concentrations of interferon γ (IFNγ),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interleukin-2 (IL-2), IL-4, IL-6, IL-8, IL-10, IL-12p70, IL-13, and IL-1B 4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an initial 0.5 mg/kg dose. Cytokine levels were assayed using the V-plex Human ProInflammatory-10 Plex kit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Meso Scale Diagnostics, Rockville, MA). Cytokines were measured in two separate studies with four to six mice per group.

실시예 7: 인간화 마우스에서의 MUC16 발현 및 항-MUC16xCD3 이중특이적 항체가 MUC16-양성 조직에 미치는 효과Example 7: MUC16 expression in humanized mice and the effect of anti-MUC16xCD3 bispecific antibodies on MUC16-positive tissues

완전 무결한 면역계를 가진 마우스에서 BSMUC16/CD3-001의 항종양 효능을 조사하기 위해, T 세포 상에서 및 항체 결합 영역을 덮는 MUC16 영역에서(둘 다 내인성 쥣과 유전자좌에 있음(녹-인 마우스)) 인간 CD3을 발현하도록 마우스를 유전적으로 조작하였다. 이들 마우스를 검증하기 위해, RT-PCR 및 IHC 둘 다에 의해 MUC16 발현을 조사하였다. 쥣과 MUC16 발현에 대해 공개된 데이터와 유사하게, 기관(trachea)에서 RNA 발현이 검출되었을 뿐만 아니라 폐, 심장, 난소, 췌장, 및 방광에서도 낮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데이터 미도시). MUC16 단백질 발현을 평가하기 위해, MUC16의 막-근위 영역을 인식하는 항-인간 MUC16 항체를 사용하여, 선택된 조직에서 IHC를 수행하였다. MUC16 단백질 발현은 이들 마우스에서 난소 및 위의 표면 상피에서 확인되었다. MUC16은, 인간을 대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기관 내막/상피뿐만 아니라 점막하샘에서도 관찰되었다(데이터 미도시).To investigate the antitumor efficacy of BSMUC16/CD3-001 in mice with a fully intact immune system, mice were genetically engineered to express human CD3 on T cells and in a region of MUC16 covering the antibody binding domain (both in the endogenous murine locus (knock-in mice)). To validate these mice, MUC16 expression was examined by both RT-PCR and IHC. Similar to published data for murine MUC16 expression, RNA expression was detected in the trachea, as well as at lower levels in the lung, heart, ovary, pancreas, and bladder (data not shown). To assess MUC16 protein expression, IHC was performed on selected tissues using an anti-human MUC16 antibody that recognizes the membrane-proximal region of MUC16. MUC16 protein expression was confirmed in the surface epithelium of the ovary and stomach in these mice. MUC16 was observed in the submucosal glands as well as in the tracheal lining/epithelium, as described in humans (data not shown).

마우스 조직에 대한 조직학:인간화 마우스 또는 WT 마우스의 조직을 수확하고, Ventana Discovery XT(Ventana; Tucson, AZ)를 사용하여 IHC에 의해, MUC16의 막 근위 도메인에 결합하는 항-MUC16 항체로 조직을 염색하였다. 5 μm 파라핀 절편을 Superfrost PLUS 슬라이드 상에 절단하고 60℃에서 1시간 동안 베이킹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Ventana DAB Map 검출 키트를 사용하여 Discovery XT 자동화된 IHC 염색 시스템을 이용해 수행하였다. 탈파라핀화는 75℃에서 8분 동안 EZ Prep 용액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Ventana의 Tris-EDTA 완충액 pH 9(CC1)를 사용하여 경미한 항원 회수를 수행하였다(95℃, 8분 후 100℃, 24분). 이어서 다수의 차단 단계를 수행하였다. 조직 절편을 항-MUC16 항체(2 μg/ml)와 함께 RT에서 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무관한 비-결합 항체를 인식하는 이소형 대조군 항체를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1차 항체 및 음성 대조군을 수동으로 도포하였다. 비오티닐화된 염소 항-인간 IgG(Jackson ImmunoResearch)를 2차 항체(1 μg/ml)로서 사용하고, 샘플을 RT에서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발색 신호는 Ventana DAB MAP 키트를 사용하여 발생시켰다. 헤마톡실린으로 슬라이드를 수동으로 대조 염색하고(2분), 탈수하고, 커버를 덮었다. Aperio AT 2 슬라이드 스캐너(Leica Biosystems; Buffalo Grove, IL)를 이용해 이미지를 획득하고, Indica HALO 소프트웨어(Indica Labs; Corrales, NM)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H&E 염색은 Histoserv, Inc(Germantown, MD, USA)에 의해 수행하였다.Histology of mouse tissues:Tissues from humanized or WT mice were harvested and stained by IHC with anti-MUC16 antibody, which binds to the membrane proximal domain of MUC16, using Ventana Discovery XT (Ventana; Tucson, AZ). 5 μm paraffin sections were cut on Superfrost PLUS slides and baked at 60°C for 1 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the Ventana DAB Map detection kit on the Discovery XT automated IHC staining system. Deparaffinization was performed using EZ Prep solution at 75°C for 8 min. Mild antigen retrieval was performed (95°C for 8 min followed by 100°C for 24 min) using Tris-EDTA buffer pH 9 (CC1) from Ventana. Multiple blocking steps were then performed. Tissue sections were incubated with anti-MUC16 antibody (2 μg/ml) at RT for 8 h. An isotype control antibody recognizing an irrelevant non-binding antibody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Primary antibodies and negative controls were manually applied. Biotinylated goat anti-human IgG (Jackson ImmunoResearch) was used as secondary antibody (1 μg/ml), and the samples were incubated for 1 h at RT. Color signals were generated using the Ventana DAB MAP kit. Slides were manually counterstained with hematoxylin (2 min), dehydrated, and coverslipped. Images were acquired using an Aperio AT 2 slide scanner (Leica Biosystems; Buffalo Grove, IL) and analyzed using Indica HALO software (Indica Labs; Corrales, NM). H&E staining was performed by Histoserv, Inc. (Germantown, MD, USA).

이들 마우스의 T 세포는 T 세포 수용체(TCR) Vß 사용에 의해 평가했을 때 다클론이고, 인간 CD3을 발현하며, 야생형 마우스와 유사한 수로 존재한다(데이터 미도시). BSMUC16/CD3-001이 이들 동물에서 임의의 T 세포 활성화를 유도하거나 정상 조직에 대한 효과를 유도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무종양 마우스에게 고 투여량의 BSMUC16/CD3-001(10 mg/kg)를 주사한 다음, 혈액 중 T 세포 수, 혈청 사이토카인, 및 조직병리학을 조사하였다. 혈액으로부터 T 세포의 변연화 및 혈청 사이토카인의 수준 증가(데이터 미도시)에 의해 측정했을 때, T 세포가 항-인간 CD3 항체(OKT3)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지만, BSMUC16/CD3-001은 이러한 효과를 유도하지 않았으며, 이는 MUC16 표적의 제한된 접근성을 시사한다(데이터 미도시). BSMUC16/CD3-001이 MUC16-발현 조직에서 임의의 현미경적 변화를 유도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0일차 및 3일차에 MUC16 및 CD3 인간화 마우스에게 BSMUC16/CD3-001을 2회 투여량을 10 mg/kg으로 투여하였다. 5일차에, 여러 개의 MUC16-발현 조직(기관, 위, 및 난소)을 조사하였는데, BSMUC16/CD3-001 투여 후 이들 조직에서 세포 침윤 또는 괴사는 관찰되지 않았다(데이터 미도시). BSMUC16/CD3-001을 투여한 후 조사 시점에, 조직병리학 검사에서는 염증이나 MUC16-발현 조직 내로의 침윤이 드러나지 않았다.T cells from these mice were polyclonal as assessed by T cell receptor (TCR) Vß usage, expressed human CD3, and were present in similar numbers as in wild-type mice (data not shown). To determine whether BSMUC16/CD3-001 induced any T cell activation or effects on normal tissues in these animals, tumor-free mice were injected with a high dose of BSMUC16/CD3-001 (10 mg/kg) and then examined for T cell counts in the blood, serum cytokines, and histopathology. Although T cells could be activated by anti-human CD3 antibody (OKT3), as measured by marginalization of T cells from the blood and increases in serum cytokine levels (data not shown), BSMUC16/CD3-001 did not induce this effect, suggesting limited accessibility of the MUC16 target (data not shown). To determine whether BSMUC16/CD3-001 induced any microscopic changes in MUC16-expressing tissues, MUC16 and CD3 humanized mice were administered two doses of BSMUC16/CD3-001 at 10 mg/kg on days 0 and 3. On day 5, several MUC16-expressing tissues (trachea, stomach, and ovary) were examined, and no cellular infiltration or necrosis was observed in these tissues following BSMUC16/CD3-001 administration (data not show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did not reveal inflammation or infiltration into MUC16-expressing tissues at any of the time points examined following BSMUC16/CD3-001 administration.

본 연구를 비롯하여 실시예 5에서 논의된 시노몰구스 원숭이 연구의 결과도 BSMUC16/CD3-001의 안전성 프로파일을 입증한다. BSMUC16/CD3-001은 최소의 혈청 사이토카인만을 유도하였지만, 온-타깃 활성을 시사하는 MUC16-발현에서 염증의 병소 유도 및 장막 내벽의 비후화가 있었고, 이들 효과는 회복 기간 종료 시까지 해결되고 있었으며, 염증 및 복구를 나타내는 세포충실성 증가와 일치하였다. 관찰된 장막 변화는 임의의 임상적 관찰, 임상 병리학(염증 반응 제외), 또는 기저 실질에 대한 현미경적 변화와 상관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유전적으로 인간화된 마우스 및 시노몰구스 원숭이 둘 다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BSMUC16/CD3-001의 내약성이 양호하였음을 보여준다.Results from this study, as well as from the cynomolgus monkey study discussed in Example 5, support the safety profile of BSMUC16/CD3-001. Although BSMUC16/CD3-001 induced only minimal serum cytokines, there was an induction of foci of inflammation and thickening of the lining of the omentum in MUC16-expressing cells, suggesting on-target activity; these effects were resolving by the end of the recovery period and were consistent with increased cellularity indicative of inflammation and repair. The observed omental changes did not correlate with any clinical observations, clinical pathology (other than inflammatory response), or microscopic changes to the underlying parenchyma. Thus, studies in both genetically humanized mice and cynomolgus monkeys demonstrate that BSMUC16/CD3-001 was well tolerated.

실시예 8: 미노출 인간 효과기 세포를 사용하여 FACS-기반 세포독성 검정에서 PD-1 발현의 모니터링Example 8: Monitoring PD-1 Expression in a FACS-Based Cytotoxicity Assay Using Unexposed Human Effector Cells

유세포 분석에 의해 MUC16-보유 표적 세포의 특이적 살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난소 세포주 OVCAR-3을 1 uM의 바이올렛 세포 추적자로 표지하였다. 표지 후, 세포를 37℃에서 밤새 도말하였다. 별도로, 인간 PBMC를 보충된 RPMI 보충 배지에 1x106개의 세포/mL로 도말하고, 부착성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및 일부 단핵구를 고갈시킴으로써 림프구를 농축시키기 위해 37℃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다음 날, 표적 세포를 부착성 세포가 고갈된 미노출 PBMC(효과기/표적 세포 4:1) 및 BSMUC16/CD3-001 또는 CD3-결합 대조군 중 하나의 연속 희석물과 함께 37℃에서 72시간 동안 공배양하였다. 트립신을 사용해 배양 플레이트로부터 세포를 제거하고, FACS에 의해 분석하였다. FACS 분석을 위해, 세포를 dead/live far red cell tracker(Invitrogen)로 염색하였다. 살해의 특이성을 평가하기 위해, 바이올렛 세포 추적자로 표지된 집단에 대해 세포를 게이팅하였다.To monitor specific killing of MUC16-bearing target cells by flow cytometry, the ovarian cell line OVCAR-3 was labeled with 1 uM violet cell tracker. Following labeling, cells were plated overnight at 37°C. Separately, human PBMCs were plated at1x106 cells/mL in supplemented RPMI supplemented media and incubated overnight at 37°C to enrich for lymphocytes by depleting adherent macrophages, dendritic cells, and some monocytes. The following day, target cells were co-cultured with unexposed PBMCs depleted of adherent cells (effector/target cells 4:1) and serial dilutions of either BSMUC16/CD3-001 or CD3-binding control for 72 h at 37°C. Cells were removed from the culture plates using trypsin and analyzed by FACS. For FACS analysis, cells were stained with dead/live far red cell tracker (Invitrogen). To assess the specificity of killing, cells were gated on the population labeled with the violet cell tracker.

PD-1 발현은 세포를 CD2, CD4, CD8, 및 PD-1에 직접 접합된 항체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총 T 세포(CD2+)로부터 PD-1/CD4 양성 T 세포 또는 PD-1/CD8 양성 T 세포의 백분율을 보고하여 평가하였다. BSMUC16/CD3-001과 함께 인큐베이션한 결과, PD-1+T 세포의 백분율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10배 초과만큼(CD4+ T 세포) 또는 3배 초과만큼(CD8+ T 세포) 증가하였다. 결과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PD-1 expression was assessed by incubating cells with antibodies conjugated directly to CD2, CD4, CD8, and PD-1, and reporting the percentage of PD-1/CD4 positive T cells or PD-1/CD8 positive T cells from total T cells (CD2+). Incubation with BSMUC16/CD3-001 resulted in a greater than 10-fold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PD-1+ T cells (CD4+ T cells) or greater than 3-fold (CD8+ T cells) compared to the control.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실시예 9: 항-MUC16 x 항-CD3 이중특이적 항체 단독으로 또는 항-PD-1 항체와 병용으로 상피 육종을 치료하는 방법Example 9: Method for treating epithelioid sarcoma using an anti-MUC16 x anti-CD3 bispecific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기존의 모든 치료 옵션을 소진한 재발성 상피 육종을 가진 1명의 환자를 REGN4018(항-MUC16 x 항-CD3 이중특이적 항체)로 치료하였다.One patient with recurrent epithelioid sarcoma who had exhausted all previous treatment options was treated with REGN4018 (anti-MUC16 x anti-CD3 bispecific antibody).

본 연구에서, 치료 평가는 종양 반응에 기초하였다. 종양 반응 평가는 측정 가능한 질환이 있거나 없는 환자에서의 종양 마커인 CA-125의 수준을 기준으로 하였다. 또한, REGN4018 치료가 말초 CD3 T 세포의 집단을 일시적으로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되므로, 바이오마커 분석은 말초 T 세포 표현형 분석을 포함한다. 추가 분석에는 MUC16 및 PD-L1과 같은 단백질의 종양 발현과 같은 바이오마커가 포함되며, 기저 질환의 임상 경과에 영향을 미치거나 치료 부작용을 조절하는 변이에 대한 ctDNA, 종양(RNA 및 체세포 DNA 염기서열분석) 유전자 분석이 포함될 수 있다.In this study, treatment assessment was based on tumor response. Tumor response assessment was based on the level of the tumor marker CA-125 in patients with and without measurable disease. In addition, biomarker analysis included peripheral T cell phenotyping, as REGN4018 treatment is expected to transiently reduce the peripheral CD3 T cell population. Additional analyses may include biomarkers such as tumor expression of proteins such as MUC16 and PD-L1, and genetic analysis of ctDNA, tumor (RNA and somatic DNA sequencing) for mutations that affect the clinical course of the underlying disease or modulate treatment side effects.

목적:탐색적 목적을 탐구할 것이다.Objective: To explore exploratory objectives.

본 연구의탐색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The exploratory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생검을 통한 사이토카인 프로파일링, 약동학, 및 종양 조직용 혈액 채취는 선택적이다. 이용 가능한 경우, 이들 샘플은 다음의 탐색적 목적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Cytokine profiling, pharmacokinetics, and blood collection for tumor tissue via biopsy are optional. When available, these samples will be used for the following exploratory purposes:

(1) 작용기전, 질환/표적에 대한 이해 증가, 관찰된 독성, 및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잠재적 항종양 활성과 상관될 수 있는 바이오마커를 평가하는 것:(1) Evaluate biomarkers that may be correlated with mechanism of action, increased understanding of disease/target, observed toxicities, and potential anti-tumor activity,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 사이토카인을 포함하는 순환 단백질- Circulating proteins containing cytokines

- 종양의 유전자 발현 변화- Changes in gene expression in tumors

- MUC16과 같은 단백질의 종양 발현 수준.- Tumor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such as MUC16.

환자 인구통계 정보:Patient demographic information:

- 연령: 20세- Age: 20 years old

- 성별: 여성- Gender: Female

진단:환자는 흉벽 및 폐에 질환을 동반하는 다발성 재발성 전이성 상피 육종을 갖는다. 종양 시편은 면역조직화학에 의해 MUC16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혈청 샘플에서 CA-125(MUC16의 분리된 세포외 부분)가 상승하였다.Diagnosis: The patient had multiple recurrent metastatic epithelioid sarcoma with involvement of the chest wall and lungs. Tumor specimens were shown to express MUC16 by immunohistochemistry, whereas serum samples showed elevated CA-125 (the isolated extracellular fraction of MUC16).

현재까지의 질병 진행 이력: 환자는 처음에 우측 요골의 상피 육종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우측 상지 방사선 요법(50.4Gy) 및 음성 절제연을 갖는 국소 수술을 받았다. 첫 번째 재발은 수술적 절제 및 추가 방사선요법(54Gy)으로 치료한 중간 팔에서 결절 재발과 함께 발생하였다. 겨드랑이에서 PET-조류 결절 질환으로 추가 재발이 검출되었고 수술로 치료되었다. 이전 방사선 조사 영역 내에서 우측 팔꿈치에서 추가 질환 재발이 있었다. 환자는 초기 단계 임상시험에서 타제메토스타트로 치료받았지만 내약성 및 순응도의 문제로 인해 중단되었다. 팔에서 추가 질환 진행의 증거 및 폐 결절의 증거로, 환자는 펨브롤리주맙으로 치료받았다. 환자는 진행성 질환의 맥락에서 스터드를 벗기 전에 장기간 질환 안정성을 가졌다. 그런 다음, 환자는 니볼루맙/이필리무맙으로 치료받았고, 종양 관련 궤양의 악화를 고려하여 완화적 조치의 오른팔 전완부 절단을 받았다. 질환 평가는 흉부에서 질환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냈지만, 면역 관련 폐렴의 관점에서, 면역 관문 억제제 요법을 중단하였다. 환자는 타제메토스타트로 재치료받았고, 진행성 질환의 맥락에서 중단되었다. 이어서, CLR-131(분자 표적 방사선요법)로 치료받았지만, 질환이 더 진행되었다. 가장 최근에, 환자는 궤양성 피부 병변의 완화를 위해 우측 유방에 방사선요법(5회 분획으로 20Gy)을 받았다.History of disease progression to date: The patient was initially diagnosed with epithelioid sarcoma of the right radius. The patient underwent right upper extremity radiotherapy (50.4 Gy) and local surgery with negative resection margins. The first recurrence occurred with nodal recurrence in the middle arm treated with surgical resection and additional radiotherapy (54 Gy). A further recurrence was detected by PET-nodular disease in the axilla and treated surgically. A further recurrence occurred in the right elbow within the previous radiation field.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tazemetostat in an early-phase clinical trial, but was discontinued due to tolerability and compliance issues. With evidence of further disease progression in the arm and evidence of pulmonary nodule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pembrolizumab. The patient had long-term disease stability before stud removal in the context of progressive disease. The patient was then treated with nivolumab/ipilimumab and underwent palliative right forearm amputation in view of worsening tumor-related ulceration. Disease evaluation showed stable disease in the chest, but in view of immune-related pneumonitis, immune checkpoint inhibitor therapy was discontinued. The patient was retreated with tazemetostat, which was discontinued in the context of progressive disease. Subsequently,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CLR-131 (molecularly targeted radiotherapy), but the disease progressed. Most recently, the patient received radiotherapy (20 Gy in 5 fractions) to the right breast for palliation of ulcerative skin lesions.

현재, 환자는 양측 흉벽/유방 조직에서 질환의 증거를 가지고 있고, 양쪽 폐에서 다수의 측정 가능한 병변을 갖지고 있다. 환자는 임상적으로 안정적이며, 카르노프스키(Karnofsky) 점수는 70이다(주로 절단의 결과).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이용 가능한 임상시험 옵션 또는 질병에 대한 대안적인 '표준' 요법은 없다.Currently, the patient has evidence of disease in the chest wall/breast tissue on both sides and multiple measurable lesions in both lungs. The patient is clinically stable, with a Karnofsky score of 70 (mainly as a result of the amputation). In this context, there are currently no clinical trial options or alternative 'standard' therapies for the disease.

현재 연구 설계 및 치료 절차:REGN4018은 백금계 치료 경험이 있고/있거나 내약성이 없는 난소암, 난관암, 또는 원발성 복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 중인 성인 1/2상 연구에서 현재 평가되고 있는 시험용 제제이다.Current Study Design and Treatment Procedure: REGN4018 is an investigational agent currently being evaluated in an ongoing Phase 1/2 study in adults with platinum-experienced and/or intolerant ovarian, fallopian tube, or primary peritoneal cancer.

REGN4018은 매주 IV 주입으로 4시간(생리식염수 관류 포함)에 걸쳐 투여될 것이다. 치료는 6주(42일) 동안 지속되는 주기로 연속적으로(매주) 이루어될 것이다. 1주기 동안, 환자는 아래 표에 따라 전체 투여량에 도달하기 위해 REGN4018을 증가하는 투여량으로 투여받는다. 약물의 초기 투여량은 분할하여 연속일에 투여하였다(아래 참조). 임의의 투여량은 내약성을 개선하기 위해 임의의 시점에 분할될 수 있다.REGN4018 will be administered as a weekly IV infusion over 4 hours (including saline perfusion). Treatment will be administered continuously (weekly) in cycles lasting 6 weeks (42 days). During cycle 1, patients will receive increasing doses of REGN4018 to reach the total dose as indicated in the table below. Initial doses of the drug were divided and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 (see below). Any dose may be divided at any time point to improve tolerability.

REGN4018 요법을 위한 투여량 계획Dosage Plan for REGN4018 Therapy1주기 1일차1st cycle, 1st day초기 투여량Initial Dosage1 mg1 mg1주기 8일차, 1 주기 9일차8th day of cycle 1, 9th day of cycle 1전환 투여량Conversion dose20 mg (분할 10 mg/10 mg)20 mg (split 10 mg/10 mg)1주기 15일차, 1주기 16일차15th day of cycle 1, 16th day of cycle 1전체 투여량Total Dosage250 mg (분할 50 mg/200 mg)250 mg (split 50 mg/200 mg)1주기 22일차 이후After the 22nd day of the 1st cycle전체 (유지) 투여량Total (maintenance) dose250 mg250 mg

투여량 선택의 이론적 근거 - REGN4018은 진행 중인 성인 1/2상 연구에서 현재 평가되고 있는 시험용 제제이다. 이 SPS의 환자는 본 1/2상 연구의 단독요법 코호트에서 현재 평가 중인 투여량(450mg)보다 한 단계 낮은 투여량 수준, 즉 이미 내약성이 입증된 최고 투여량 수준인 250mg으로 치료받았다. 이어서, 투여량은 새로운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의 임상적 이익을 위해 의사의 재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Rationale for Dose Selection - REGN4018 is an investigational agent currently being evaluated in an ongoing adult Phase 1/2 study. Patients in this SPS were treated in the monotherapy cohort of this Phase 1/2 study at a dose level one step lower than the dose currently being evaluated (450 mg), i.e., the highest dose level that has already been well tolerated, 250 mg. The dose may then be adjusted at the physician's discretion based on new information for the patient's clinical benefit.

REGN4018 투약 절차 - REGN4018 의약품은 IV 주입에 의한 투여를 위해 5 mg/바이알 및 50 mg/바이알로 동결건조된 일회용 제품으로 공급된다. REGN4018은 매주 IV로 투여될 것이다. REGN4018은 매주 IV 주입으로 4시간(생리식염수 관류 포함)에 걸쳐 투여한다. 환자는 다음 투여량/상황에 대해 적어도 24시간 동안 모니터링된 환경에서 관찰되어야 한다:REGN4018 Dosing Procedure - REGN4018 drug product is supplied as a lyophilized single-use product in 5 mg/vial and 50 mg/vial for administration by IV infusion. REGN4018 will be administered IV weekly. REGN4018 is administered IV weekly over 4 hours (including saline perfusion). Patients should be observed in a monitored environment for at least 24 hours for the following administration/situations:

a) 1주기a) 1st period

- 1주기, 1일차, 최초 투여량- Cycle 1, Day 1, Initial Dose

- 1주기, 8/9일차, 전환 투여량- Cycle 1, Day 8/9, Switch Dosage

- 1주기, 15/16일차, 1차 전체 투여량 분할- Cycle 1, Day 15/16, 1st total dose split

- 1주기, 22일차, 1차 250 mg 투여량- Cycle 1, Day 22, 1st dose 250 mg

b) 새로운 최고 내약 투여량 수준으로 증량.b) Increase the dose to a new maximum tolerated dose level.

c) ≥ 2등급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근(CRS) AE가 관찰된 후 이루어지는 REGN4018의 임의의 후속 투여량.c) Any subsequent dose of REGN4018 administered after a Grade ≥ 2 cytokine release syndrome (CRS) AE was observed.

d) 장시간 휴약 기간 후(예: 21일 넘게 시험약 휴약) 시험약의 재시작 시.d) When restarting the study drug after a prolonged period of drug withdrawal (e.g., more than 21 days of drug withdrawal).

원내 관찰 기간 동안, 입원만으로는 AE를 중대한 것으로 분류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것이다. AE로 인한 입원 연장(프로토콜에서 요구하는 24시간 초과)은 중대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During the in-hospital observation period, hospitalization alone will not be sufficient to classify an AE as serious. Prolongation of hospitalization due to an AE (>24 hours as required by the protocol) will be considered serious.

투여량이 분할되는 경우, 둘째 날의 모니터링 시간은 주입 첫째 날의 동일한 지침을 따라야 한다. 1주기 9일차, 1주기 16일차, 1주기 23일차(적절한 경우)의 경우, 이는 24시간 모니터링되어야 한다.If the dose is split, the monitoring time on the second day should follow the same guidelines as on the first day of the infusion. On Cycle 1 Day 9, Cycle 1 Day 16, and Cycle 1 Day 23 (if appropriate), this should be monitored 24 hours a day.

환자가 첫번째 전체 투여량에 내약성을 보인 후, 환자는 후속으로 연구 요법을 외래 주입 병동에서 투여받을 수 있으며, 시험자는 REGN4018의 매주 주입의 내약성이 양호할 때마다 REGN4018 주입 시간(생리식염수 관류 포함)을 3시간, 그런 다음 2시간, 1시간, 및 30분으로 단축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질 것이다. REGN4018은 급성 치료 병동에 즉시 접근할 수 있는 입원 또는 주간 병원 환경에서 정맥내 투여될 것이다.After a patient tolerates the first full dose, the patient may subsequently receive study therapy in an outpatient infusion setting, and the investigator will have the option to shorten the REGN4018 infusion time (including saline perfusion) to 3 hours, then 2 hours, 1 hour, and 30 minutes as the weekly infusion of REGN4018 is well tolerated. REGN4018 will be administered intravenously in an inpatient or day hospital setting with immediate access to an acute care unit.

예비투약은 필요하지 않으며 시험자의 재량에 따른다.Premedication is not required and is at the discretion of the investigator.

투여량 증량 - 투여량 증량/재증량은 진행 중인 1/2상 연구의 최신 정보에 기초하여 시험자의 재량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더 높은 투여량이 1/2상 연구에서 내약성이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더 높은 투여량이 본 SPS에 도입될 수 있다.Dose Escalation - Dose escalation/reescalation may be performed at the discretion of the investigator based on updated information from the ongoing Phase 1/2 study. Specifically, if the higher dose is determined to be tolerable in the Phase 1/2 study, the higher dose may be introduced into this SPS.

투여량 조절 - REGN4018의 투여량 조절/감량은 시험자의 재량에 따라 환자의 최선의 이익을 고려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반응(AE)은 대증적으로 치료될 것이다.Dose Adjustment - Dose adjustment/reduction of REGN4018 may be implemented at the investigator's discretion and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atient. Adverse events (AEs) will be treated symptomatically.

치료 기간:REGN4018 요법의 경우, 각 주기는 6주(42일) 길이일 것이다. 치료는 허용되지 않는 독성, 임상적 이익 부족, 환자의 동의 철회, 의사의 재량(예: 견딜 수 없는 AE, 삶의 질, 새로운 치료 옵션에 기초함), 또는 약물 공급의 가용성 부족 시까지 계속될 것이다. 질환 진행의 맥락에서, 환자가 질환 진행 없이 치료를 견디고 있고, 시험자가 판단하기에, 환자가 연구 치료를 계속함으로써 임상적 이익을 얻고 있는 경우; 치료는 의사의 재량에 따라 계속될 수 있다. 임상적 이익은 본 프로토콜에 개략된 규칙적인 간격으로 종료 시 또는 임상적으로 필요한 경우 계획된 영상 재평가 (및 베이스라인과 비교)로 객관적으로 평가될 것이다.Duration of Treatment: For REGN4018 regimens, each cycle will be 6 weeks (42 days) long. Treatment will continue until unacceptable toxicity, lack of clinical benefit, patient withdrawal of consent, physician discretion (e.g., based on intolerable AEs, quality of life, new treatment options), or lack of availability of drug supply. In the context of disease progression, if the patient is tolerating treatment without disease progression and, in the judgment of the investigator, the patient is deriving a clinical benefit from continuing study treatment; treatment may be continued at the physician’s discretion. Clinical benefit will be objectively assessed at regular intervals outlined in this protocol, at termination or as clinically indicated by planned imaging reevaluation (and comparison to baseline).

최소 24주의 치료 후, 임상 또는 방사선 반응이 있는 경우, 환자는 REGN4018의 Q2W(2주마다) 투여 일정으로 전환하고 모든 관련 연구 평가를 계속할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후속 질환이 진행되면, 환자는 환자의 임상적 이익을 위해 시험자가 선택한 투여량 수준(새로운, 더 높은 투여량 수준 포함)으로 치료를 재개할 수 있다. 치료 후 추적 관찰은 마지막 투여 후 30일 이내에 이루어지며, 연구 종료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기 위해 마지막 투여 후 90일(±10일) 후에 다시 이루어진다.After a minimum of 24 weeks of treatment, if there is a clinical or radiographic response, patients may elect to transition to a Q2W (every 2 weeks) dosing schedule of REGN4018 and continue with all relevant study assessments. If there is subsequent disease progression, patients may resume treatment at the investigator’s choice of dose level (including a new, higher dose level) for the patient’s clinical benefit. Post-treatment follow-up will occur within 30 days of the last dose and again 90 days (±10 days) after the last dose to complete the end-of-study safety assessments.

REGN4018 요법에 대해 이용 가능한 안전성 데이터: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REGN4018의 성인 1/2상 연구는 진행 중이며 현재 450 mg(전체 투여량; 수준 8a)으로 등록 중이다. 250 mg의 이전 투여량 수준(투여량 수준 7a)은 본 SPS에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 투여량이며, 내약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치료 응급 이상반응(TEAE) 및 치료 관련 TEAE를 포함하여 현재 이용 가능한 안전성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Available Safety Data for REGN4018 Therapy: A Phase 1/2 study of REGN4018 in adults with ovarian cancer is ongoing and currently enrolling at 450 mg (total dose; Level 8a). The previous dose level of 250 mg (Dose Level 7a) is the proposed dose for use in this SPS and has been shown to be well tolerated. Currently available safety data, including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TEAEs) and treatment-related TEAEs, include:

치료 응급 이상반응 - 가장 흔히 보고된 TEAE(환자의 ≥ 10%에서 모든 등급)는 다음과 같았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n=20; 69%); 복통(n=18; 62.1%); 메스꺼움(n=13; 44.8%); 요통(n=10; 34.5%); 빈혈 및 피로(각각 n=9; 각각 31%; 구토(n=8; 27.6%); 설사 및 기침(각각 n=7; 각각 24.1%; 발열 및 저마그네슘혈증(n=5; 각각 17.2%); 변비, 호흡곤란, 건성안, 눈 분비물, 식욕 저하, 두통, 저혈압, 주입 관련 반응 및 소화불량, 흉막 통증(각각 n=4; 각각 13.8%); 무력증, 옆구리 통증, 비심장성 흉통, 근골격 통증, 눈 소양증, 안구 충혈, 결막염, 동성빈맥 및 오한(각각 n=3; 각각 10.3%). TEAE 발생률은 요법의 첫 주 동안 가장 높았고 이후 주에서 감소했다.Treatment-emergent adverse reactions - The most commonly reported TEAEs (all grades in ≥ 10% of patients) were: cytokine release syndrome (n=20; 69%); abdominal pain (n=18; 62.1%); nausea (n=13; 44.8%); back pain (n=10; 34.5%); Anemia and fatigue (n=9 each; 31% each; vomiting (n=8; 27.6%)); diarrhea and cough (n=7 each; 24.1% each; pyrexia and hypomagnesemia (n=5; 17.2% each); constipation, dyspnea, dry eye, ocular discharge, decreased appetite, headache, hypotension, infusion-related reactions and dyspepsia, pleuritic pain (n=4 each; 13.8% each); asthenia, flank pain, non-cardiac chest pain, musculoskeletal pain, ocular pruritus, ocular injection, conjunctivitis, sinus tachycardia, and chills (n=3 each; 10.3% each). The incidence of TEAEs was highest during the first week of therapy and decreased in subsequent weeks.

치료 관련 TEAE - 29명의 환자 중 28명(96.6%)이 치료 기간 동안 시험자가 평가했을 때 적어도 1건의 치료 관련 TEAE를 경험하였다. 시험자가 평가한 가장 흔히 보고된 치료 관련 TEAE(환자의 ≥ 10%에서 모든 등급)는 다음과 같았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n=20; 69%), 복통(n=16; 55.2%), 메스꺼움(n=7; 24.1%), 요통(n=6; 20.7%), 피로 및 빈혈(각각 n=5; 각각 17.2%), 구토, 흉막 통증, 저혈압, 주입 관련 반응 및 발열(각각 n=4; 각각 13.8%), 설사, 소화불량, 기침, 건성안, 결막염 및 옆구리 통증(각각 n=3; 각각 10.3%). 11명의 환자(37.9%)가 총 17건의 3등급 치료 관련 TEAE를 경험했다(표 9).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3등급 치료 관련 이상반응은 복통(n=6; 20.7%, DL3에서 2명 및 DL4에서 4명)이었다. 4등급 또는 5등급 치료 관련 TEAE는 없었다.Treatment-related TEAEs - Twenty-eight of 29 patients (96.6%) experienced at least 1 investigational-assessed treatment-related TEAE during the treatment period. The most commonly reported investigational-assessed treatment-related TEAEs (all grades in ≥ 10% of patients) were: cytokine release syndrome (n=20; 69%), abdominal pain (n=16; 55.2%), nausea (n=7; 24.1%), back pain (n=6; 20.7%), fatigue and anemia (n=5 each; 17.2% each), vomiting, pleuritic pain, hypotension, infusion-related reactions, and pyrexia (n=4 each; 13.8% each), diarrhea, dyspepsia, cough, dry eye, conjunctivitis, and flank pain (n=3 each; 10.3% each). Eleven patients (37.9%) experienced a total of 17 Grade 3 treatment-related TEAEs (Table 9).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Grade 3 treatment-related adverse event was abdominal pain (n=6; 20.7%, 2 in DL3 and 4 in DL4). There were no Grade 4 or 5 treatment-related TEAEs.

본 SPS에서 고려되는 환자에서 REGN4018 효능의 가능성:면역조직화학 검사 결과 본 환자의 암은 REGN4018의 관련 표적인 MUC16을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혈청 샘플에서 CA-125(MUC16의 분리된 세포외 부분)가 증가하였다. 잠재적 이익은 시험약이 일정 기간 동안 환자의 암 성장을 중단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암에 의해 야기되는 통증과 같은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Potential efficacy of REGN4018 in the patient considered in this SPS: Immunohistochemical results confirmed that this patient's tumor expressed MUC16, the relevant target of REGN4018. In addition, serum samples showed an increase in CA-125 (the isolated extracellular portion of MUC16). A potential benefit is that the trial drug may stop or reduce the patient's tumor growth for a period of time. This may alleviate symptoms such as pain caused by the cancer.

확인된 위험 및 잠재적 위험:다음은 약물 안전성 프로파일 및 환자 병력에 기초하여 요법의 중요한 확인된 위험 및 잠재적 위험이다.Identified and Potential Risks: The following are important identified and potential risks of the therapy based on the drug safety profile and patient history.

중요한 확인된 위험: 주입 관련 반응 및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 - 주입 관련 반응(IRR) 및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근(CRS)은 홍조, 빈맥, 저혈압, 호흡곤란, 기관지경련, 요통, 발열, 두드러기, 부종, 메스꺼움, 발진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전형적인 징후 및 증상과 관련이 있다.Key Identified Risks: Infusion-Related Reactions and Cytokine Release Syndrome - Infusion-related reactions (IRR) and cytokine release syndrome (CRS) are associated with typical signs and symptom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flushing, tachycardia, hypotension, dyspnea, bronchospasm, back pain, pyrexia, urticaria, edema, nausea, and rash.

주입 관련 반응은 단일클론 항체에서 관찰되는 흔한 약물이상반응(ADR)이다. 증상은 약물 투여와 시간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증상성 불편감에서 치명적 사례까지 다양할 수 있다. IRR을 확인하기 위해 다수의 보고 용어를 사용하며, 증상이 상당히 중복되지만 각각의 병인은 매우 다르다. 이러한 용어에는 아나필락시스, 아나필락토이드 반응, CRS, 보체 활성화 관련 슈도알레르기(CARPA)가 포함된다. 증상의 병인과 실제 진단을 확인하려는 주요 이유는 반복 노출 시 개선될 가능성이 높은 반응(아나필락토이드 반응 및 CRS)과 달리 이후 약물 노출 시 재발하거나 심지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반응(예: 아나필락시스)을 확인하기 위함이다.Infusion-related reactions are common adverse drug reactions (ADRs) observed with monoclonal antibodies. Symptoms are temporally related to drug administration and can range from symptomatic discomfort to life-threatening events. A number of reporting terms are used to identify IRRs, with considerable overlap in symptoms but very different etiologies. These terms include anaphylaxis, anaphylactoid reactions, CRS, and complement activation-associated pseudoallergy (CARPA). A major reason to try to determine the etiology of symptoms and the actual diagnosis is to identify reactions that are likely to recur or even worsen with subsequent drug exposure (e.g., anaphylaxis) as opposed to reactions that are likely to improve with repeated exposure (anaphylactoid reactions and CRS).

IRR은 주입 중 및 이후 2시간 동안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정의된다. 본 연구의 맥락에서, 주입 완료 후 2시간 넘게 경과하여 발생하는 IRR의 징후 및 증상은 CRS로 규정된다.IRR is defined as an adverse reaction occurring during and within 2 hours after the infusion. In the context of this study, signs and symptoms of IRR occurring more than 2 hours after completion of the infusion are defined as CRS.

임상적으로, CRS는 발열, 저혈압, 빈맥, 저산소증의 증상을 포함하는 증후군이다. 또한, 섬망, 뇌병증, 실어증, 무기력증, 초조, 진전, 및 발작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소견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면역 효과기 세포 관련 신경독성 증후군(ICANS)을 반영한다.Clinically, CRS is a syndrome that includes symptoms of fever, hypotension, tachycardia, and hypoxia. In addition, there may be neurological findings including delirium, encephalopathy, aphasia, lethargy, agitation, tremor, and seizures, reflecting immune effector cell-associated neurotoxicity syndrome (ICANS).

위험 완화 조치: IRR 및 CRSRisk Mitigation Measures: IRR and CRS

1) 전체 투여량 수준에 점진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초기 및 전환 투여량의 사용;1) Use of initial and transition doses to gradually approach full dose levels;

2) 초기 투여량 증량 동안 적어도 24시간 동안 및 달리 명시된 경우 입원 모니터링;2) Hospital monitoring for at least 24 hours during initial dose escalation and if otherwise specified;

3) 주입 관련 반응 및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은 기관 표준에 따라 대증 치료 및 지지 요법으로 관리되어야 한다.3) Infusion-related reactions and cytokine release syndrome should be managed symptomatically and supportively according to institutional standards.

약물 반응 평가:환자에서 REGN4018의 안전성 및 내약성은 AE에 대한 임상 평가, 및 활력징후(체온, 혈압, 맥박, 산소 포화도, 호흡), 신체검사(종합 및 제한), 12-리드 심전도( ECG), 심장 초음파, 흉부 X-선, 실험실 평가(표준 혈액학, 혈액 화학, 소변검사를 포함)를 포함하는 임상 평가의 반복 측정으로 모니터링될 것이다.Drug Response Assessment: The safety and tolerability of REGN4018 in patients will be monitored by clinical assessment for AEs and repeated measures of clinical assessments including vital signs (temperature, blood pressure, pulse, oxygen saturation, respiration), physical examination (comprehensive and limited), 12-lead electrocardiogram (ECG), cardiac ultrasound, chest X-ray, and laboratory evaluations (including standard hematology, blood chemistry, and urinalysis).

초기 투여(첫 투여 및/또는 이후 투여) 후 사이토카인 방출이 이중특이 항체 및 유사한 분자에서 관찰되었으므로, 본 연구를 위해 특정한 조치가 시행되었다. 이러한 조치에는 1 mg 최초 투여량(1주기 1일차), 20 mg의 전환 투여량(1주기 8일차), 분할 투여 옵션, 특정 투여량 투여 시 필수 모니터링, IRR/CRS 관리를 위한 항-IL-6 경로 요법(예: 토실리주맙),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사용이 포함된다.Because cytokine release following initial administration (first dose and/or subsequent doses) has been observed with bispecific antibodies and similar molecules, specific measures were implemented for this study. These measures included a 1 mg initial dose (day 1 of cycle 1), a 20 mg switch dose (day 8 of cycle 1), a split-dose option, mandatory monitoring during specific dose administration, anti-IL-6 pathway therapy (e.g., tocilizumab) for management of IRR/CRS, and the use of corticosteroids.

종양 평가에는 알려지거나 의심되는 모든 질환 부위가 포함된다. 종양 평가는 1주기 시작 전(베이스라인), 그 후 2주기 전(± 7일), 그 후 각 짝수 주기 전(± 7일)에 실시할 것이다. 추가 종양 평가는 임상적 적응증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종양 평가는 마지막 평가 이후 2회를 초과하는 주기가 경과한 경우, 적절한 경우 치료 종료 시 반복해야 한다. 평가는 기관 표준에 따라 수행되며, 연구 요법 시작 후 28일 이내에 측정한 베이스라인 측정치와 비교될 것이다.Tumor assessments include all known or suspected disease sites. Tumor assessments will be performed prior to the start of Cycle 1 (baseline), prior to Cycle 2 (±7 days), and prior to each even cycle thereafter (±7 days). Additional tumor assessments may be performed based on clinical indications. Tumor assessments should be repeated at the end of treatment if more than two cycles have elapsed since the last assessment, if appropriate. Assessments will be performed according to institutional standards and will be compared to baseline measurements taken within 28 days of the start of study therapy.

각막 및 결막 상피에 MUC16 발현으로 인해 베이스라인 눈 검사가 요구된다.Baseline ocular examination is required due to MUC16 expression in corneal and conjunctival epithelium.

약물 농도 측정 및 ADA 평가를 위한 혈액 검체를 채취한다.Blood samples are collected for drug concentration measurement and ADA evaluation.

시험약 투여 후 약 24시간 이내에 간이 신경학적 검사가 요구된다.A brief neurological examination is required within approximately 24 hours after administration of the test drug.

추가 바이오마커 분석을 위해 혈청 및 혈장 검체를 채취한다. REGN4018 치료 노출, 임상 활성, 또는 기저 질환과 관련된 탐색적 예측 및 약력학 바이오마커를 채취한 혈청, 혈장, 전혈, 체액, 보관 종양 조직, 연구 중 종양 생검 조직, 종양 DNA(순환 종양 DNA 포함), 종양 RNA 검체로부터 조사한다.Serum and plasma samples will be collected for additional biomarker analysis. Exploratory predictive and pharmacodynamic biomarkers related to REGN4018 treatment exposure, clinical activity, or underlying disease will be investigated from collected serum, plasma, whole blood, body fluids, archived tumor tissue, on-study tumor biopsy tissue, tumor DNA (including circulating tumor DNA), and tumor RNA samples.

항종양 활성은 CT 또는 MRI 또는 PET-CT, 전신수행상태 및 혈청 CA-125 수준 모니터링을 통해 평가한다.Antitumor activity is assessed by CT or MRI or PET-CT, systemic performance status, and serum CA-125 level monitoring.

허용되는 병용 요법 및 금지되는 병용 요법 및 이론적 근거:Acceptable and prohibited combination therapies and rationale:

금지 및 권장되지 않는 약물 - 현재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환자는 REGN4018 이외의 종양 치료를 위한 표준 또는 시험용 제제를 단일요법으로 투여받을 수 없으며, 허용되는 국소 완화적 외부 빔 방사선요법은 예외이다.Contraindicated and Not Recommended Drugs - While participating in the current study, patients cannot receive any standard or investigation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tumors other than REGN4018 as monotherapy, with the exception of permitted local palliative external beam radiotherapy.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및/또는 항-IL-6 경로 요법(예: 토실리주맙)에 반응하지 않았거나 반응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IRR/CRS 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필요할 정도로 심한 irAE를 치료하기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 환자에게 전체 연구 기간 동안 언제든 하이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Solu-Medrol®), 또는 덱사메타손(Decadron®)과 같은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지 않는 것이 권장된다. 흡입용, 국소용, 안과용, 또는 비강내 스테로이드는 허용된다.Patients are advised not to receive systemic corticosteroids such as hydrocortisone, prednisone, prednisolone (Solu-Medrol®), or dexamethasone (Decadron®) at any time during the study period, except in the case of a life-threatening emergency and/or to treat IRR/CRS that has not responded or is expected to be unresponsive to anti-IL-6 pathway therapy (e.g., tocilizumab) or irAEs severe enough to require corticosteroids. Inhaled, topical, ophthalmic, or intranasal steroids are permitted.

허용되는 약물 - 국소 완화 치료(예: 방사선요법)는 허용될 수 있다. 주입 전의 약물, 예를 들어 항히스타민제, 아세트아미노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예: 케토롤락 또는 이부프로펜), 및/또는 경구 오피오이드(예: 하이드로모르폰)는 시험자의 재량에 따른다. 프로토콜에 따라 특정 예비투약은 의무화되어 있지 않다.Acceptable medications - Local palliative treatments (e.g., radiotherapy) may be acceptable. Pre-infusion medications, such as antihistamines, acetaminophe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e.g., ketorolac or ibuprofen), and/or oral opioids (e.g., hydromorphone) are at the discretion of the investigator. No specific premedication is required by the protocol.

전신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의 생리학적 대체 투여량은, 프레드니손 등가물이 >10 mg/일의 경우에도 허용된다. 비-자가면역 병태(예: 접촉성 알레르겐으로 인한 지연형 과민 반응)의 예방(예: 조영제 알러지) 또는 치료를 위한 짧은 코스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가 허용된다.Physiological replacement doses of systemic corticosteroids are acceptable, even when prednisone equivalents are >10 mg/day. Short courses of corticosteroids are acceptable for the prevention (e.g., contrast agent allergy) or treatment of non-autoimmune conditions (e.g.,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reactions to contact allergens).

환자의 안녕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고 시험약의 평가를 방해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다른 약물은 시험자의 재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골 전이 치료(비스포스포네이트, 데노수맙) 및 호르몬 요법은 허용된다.Other medications deemed necessary for the patient's well-being and not expected to interfere with the evaluation of the study drug may be administered at the investigator's discretion. Treatment of bone metastases (bisphosphonates, denosumab) and hormonal therapy are permitted.

연구 평가변수(들):Study endpoint(s):

본 연구의 1차 평가변수는 요법에 대한 투여량 제한 독성, 치료 응급 이상반응(TEAE; 면역 관련 이상반응[irAE] 포함), 중대한 AE(SAE), 사망, 실험실 이상(CTCAE에 따라 3등급 이상), 및 PK이다.The primary endpoints of this study were dose-limiting toxicities,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TEAEs; including immune-related adverse events [irAEs]), serious AEs (SAEs), death, laboratory abnormalities (grade ≥3 per CTCAE), and PK.

본 연구의 2차 평가변수는 고형 종양의 반응 평가 기준(RESIST)에 기초한 ORR이다.The secondary endpoint of this study is ORR based on the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SIST).

예비 결과:재발성 상피 육종을 앓고 있는 단일 환자를 대상으로 한 REGN4018 단일요법 연구의 안전성 및 유효성 데이터가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Preliminary Results: Safety and efficacy data from the REGN4018 monotherapy study in a single patient with recurrent epithelioid sarcoma are presented below.

암 항원(CA)-125 수준이 상승된 재발성 상피 육종 환자는 REGN4018을 1 내지 250 mg의 투여량 범위로 매주 정맥내(IV) 투여받았다.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CRS)의 위험을 완화하기 위해 초기 2회 투여량에 대해 약물 노출의 점진적 증가를 통해 단계별로 투여하는 법을 활용하였다. 1차 평가변수는 안전성 및 PK를 포함하였다. 2차 평가변수는 고형 종양 반응 평가 기준(RECIST) 1.1에 따른 객관적 반응률(ORR)에 의해 결정했을 때의 효능을 포함하였다.Patients with recurrent epithelioid sarcoma with elevated cancer antigen (CA)-125 levels received REGN4018 administered intravenously (IV) weekly at doses ranging from 1 to 250 mg. A stepwise dosing regimen was utilized with gradual escalation of drug exposure over the initial 2 doses to mitigate the risk of cytokine release syndrome (CRS). Primary endpoints included safety and PK. Secondary endpoints included efficacy as determined by objective response rate (ORR) per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CIST) 1.1.

환자는 C1D2 및 C1D9에 2등급 사이토카인 방출 증후군을 경험하였다. 다른 치료 응급 이상반응은 1등급 기침 및 2등급 간헐적 저산소증, 근육통, 변비, 심낭 및 흉막 삼출이었다.The patient experienced grade 2 cytokine release syndrome on C1D2 and C1D9. Other treatment-emergent adverse events included grade 1 cough and grade 2 intermittent hypoxia, myalgia, constipation, pericardial and pleural effusions.

치료 시, 환자의 CA-125 수준은 떨어졌고 CT 스캔 상의 표적 병변은, 60주 동안 진행되어, 4주기 영상화에서 기준 직경이 89 mm에서 60 mm으로 감소하는, RECIST v1.1에 의하면 부분 반응을 나타냈다. 또한, 환자는 우측 유방에 피부암 궤양을 가졌는데, 이는 크기가 감소하였다. 이들 병변은 REGN4018 치료로 유의하게 개선되어, 거의 완전한 상처 치유가 되었으며 이러한 병변에 의해 야기된 통증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During treatment, the patient's CA-125 levels declined and the target lesion on the CT scan demonstrated a partial response by RECIST v1.1, progressing over 60 weeks, decreasing from 89 mm to 60 mm in diameter at baseline on Cycle 4 imaging. The patient also had a skin cancer ulcer on her right breast that decreased in size. These lesions significantly improved with REGN4018 treatment, with near-complete wound healing an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ain caused by these lesions.

REGN4018은 고형 종양 반응 평가 기준(RECIST)에 기초한 ORR에 의해 결정했을 때 임상 활성의 징후를 갖는 본 단일 환자 연구에서 환자에 의해 내약성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의 데이터는 REGN4018(항-MUC16 x 항-CD3) 이중특이적 항체를 사용하여 재발성 상피 육종이 치료되었음을 뒷받침한다.REGN4018 was well tolerated by patients in this single-patient study with evidence of clinical activity as determined by ORR based on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RECIST). Data from these analyses support the treatment of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REGN4018 (anti-MUC16 x anti-CD3) bispecific antibody.

세미플리맙과 병용하여 REGN4018을 사용한 상피 육종의 치료:재발성 상피 육종이 있는 본 환자에게 종양을 치료하기 위해 REGN4018 이중특이적 항체(즉, 항-MUC16 x 항-CD3 항체)와 병용하여 항-PD-1 항체(예: 세미플리맙)를 투여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Treatment of epithelioid sarcoma using REGN4018 in combination with cemiplimab: In patients with recurrent epithelioid sarcoma, an anti-PD-1 antibody (e.g., cemiplimab) may be considered in combination with REGN4018 bispecific antibody (i.e.,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to treat the tumors.

실시예 10: 소아 육종의 상이한 하위 유형에 걸친 반정량적 MUC16 면역조직화학 발현Example 10: Semiquantitative MUC16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across different subtypes of pediatric sarcoma

소아 육종의 상이한 하위 유형에 걸친 반정량적 MUC16 면역조직화학(IHC) 발현을 조사하였다. 소아 환자를 위한 병원에서 < 25세 환자로부터 2015년과 2021년 사이에 72개의 샘플을 채취하였고, 샘플에는 상피 육종(n=6), 신장 및 연조직의 횡문근양 종양(n=4), 횡문근육종(n=23), 유잉 육종(n=19), 및 기타 연조직 육종(n=19)을 포함하였다. IHC는 각각의 케이스 또는 샘플에 대한 대표적인 블록으로부터 4 μm 두께의 포르말린-고정, 파라핀-매립된 조직 절편 상에서 수행하였다. 항-CA125 항체(클론 M11, 단일클론 마우스, 즉시 사용 가능, DAKO, 카달로그 번호 GA701) 및 Envision Flex 검출 키트(DAKO, 카탈로그 번호 GV800)를 사용하는 DAKO Omnis 염색 플랫폼 상에서 검정을 수행하였다. 적절한 양성 및 음성 대조군을 사용하였다. 면역 반응성은 H-스코어 방법론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Semiquantitative MUC16 immunohistochemical (IHC) expression across different subtypes of pediatric sarcomas was investigated. Seventy-two samples were obtained from patients <25 years of age at a pediatric hospital between 2015 and 2021 and included epithelioid sarcomas (n=6), rhabdoid tumors of the kidney and soft tissue (n=4), rhabdomyosarcomas (n=23), Ewing sarcomas (n=19), and other soft tissue sarcomas (n=19). IHC was performed on 4 μm-thick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issue sections from representative blocks for each case or sample. Assays were performed on a DAKO Omnis staining platform using anti-CA125 antibody (clone M11, monoclonal mouse, ready-to-use; DAKO, catalog no. GA701) and the Envision Flex detection kit (DAKO, catalog no. GV800). Appropriate positive and negative controls were used. Immunoreactivity was assessed using the H-score methodology.

MUC16 IHC에 대해 선택된 6개의 상피 육종 샘플 중, 3개는 확산적이고 강한 염색 반응을 나타냈고(H-스코어 300), 1개는 이종 염색을 나타냈고(H-스코어 110), 나머지 2개는 음성이었다(H-스코어 0). 나머지 종양 엔티티 중에서, MUC16 발현은 신장 및 연조직의 4개의 횡문근양 종양 샘플 중 2개(각각 H-스코어 300 및 170)에 존재하였고, 나머지 62개 사례(H-스코어 0)에는 존재하지 않았다.Among the 6 epithelioid sarcoma samples selected for MUC16 IHC, 3 showed diffuse and strong staining reaction (H-score 300), 1 showed heterogeneous staining (H-score 110), and the remaining 2 were negative (H-score 0). Among the remaining tumor entities, MUC16 expression was present in 2 of 4 rhabdoid tumor samples from kidney and soft tissue (H-score 300 and 170, respectively) and absent in the remaining 62 cases (H-score 0).

MUC16 발현은 상피 육종에서 빈번한 특징이며, 다른 INI-1(SMARCB1)-결핍성 악성 종양에서 식별될 수 있다.MUC16 expression is a frequent feature in epithelioid sarcomas and can be identified in other INI-1 (SMARCB1)-deficient malignancies.

본 발명은 본원에 기술된 특정 구현예에 의해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원에 기술된 것들 외에,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은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이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scope by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fac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other than those described herei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Such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ST.26-포맷된 서열 목록에서 제외된 서열ST.26-Sequences excluded from the formatted sequence list서열번호Sequence number서열order1212TASTAS3939AASAAS

**************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Attach electronic file of sequence list

Claims (50)

Translated fromKorean
MUC16-발현 상피 육종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표적 종양 세포 상의 뮤신 16(MUC1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도메인 및 T 세포 상의 인간 CD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treating a MUC16-expressing epithelial sarcoma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bispecific antibody comprising a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mucin 16 (MUC16) on a target tumor cell and a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human CD3 on a T cell.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전이성 상피 육종을 갖는, 방법.A method in claim 1, wherein the subject has metastatic epithelial sarcoma.MUC16-발현 육종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이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표적 종양 세포 상의 뮤신 16(MUC16)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1 항원 결합 도메인 및 T 세포 상의 인간 CD3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을 포함하는 이중특이적 항체를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of treating a MUC16-expressing sarcoma in a subject in need thereof, the method comprising administering to the subject a bispecific antibody comprising a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mucin 16 (MUC16) on a target tumor cell and a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that specifically binds to human CD3 on a T cell.제3항에 있어서, 상기 MUC16-발현 육종은 상피 육종, 신장 및 연조직의 횡문근양 종양, 유잉 육종, 또는 연조직 육종인, 방법.A method in claim 3, wherein the MUC16-expressing sarcoma is an epithelial sarcoma, a rhabdoid tumor of the kidney and soft tissue, Ewing sarcoma, or a soft tissue sarcoma.제4항에 있어서, 상기 MUC16-발현 육종은 상피 육종, 또는 신장 및 연조직의 횡문근양 종양인, 방법.A method in claim 4, wherein the MUC16-expressing sarcoma is an epithelioid sarcoma or a rhabdoid tumor of the kidney and soft tissue.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UC16-발현 육종은 기능성 통합효소 상호작용인자 1의 발현이 결핍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UC16-expressing sarcoma is deficient in expression of functional integrase interacting factor 1.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이전에 항암 요법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subject has previously been treated with anticancer therapy.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선행 요법에 내성이 있거나, 선행 요법에 부적절하게 반응하거나, 선행 요법 후 재발한 상태인,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subject is resistant to prior therapy, has responded inadequately to prior therapy, or has relapsed after prior therapy.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원 결합 단백질은:
(a)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내에 함유된 3개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1, HCDR2, 및 HCDR3); 및
(b)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 내에 함유된 3개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방법.
In any one of claims 1 to 8, the first antigen binding protein:
(a) three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CDR1, HCDR2, and HCDR3) contained within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b) a method comprising three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LCDR1, LCDR2, and LCDR3) contained within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in claim 9, wherein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HCDR1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8, HCDR2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9, and HCDR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0.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LCDR1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LCDR2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2, and LCDR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wherein the first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 and an LCVR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원 결합 단백질은:
(a)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내에 함유된 3개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1, HCDR2, 및 HCDR3); 및
(b)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 내에 함유된 3개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방법.
In any one of claims 1 to 12, the second antigen binding protein:
(a) three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CDR1, HCDR2, and HCDR3) contained within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b) a method comprising three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LCDR1, LCDR2, and LCDR3) contained within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1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1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1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in claim 13, wherein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HCDR1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4, HCDR2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5, and HCDR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6.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1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1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1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claim 13 or 14, wherein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LCDR1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1, LCDR2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2, and LCDR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13.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항원 결합 도메인은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3 to 15, wherein the second antigen binding domain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 and an LCVR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human IgG heavy chain constant region.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은 이소형 IgG1인, 방법.A method in claim 17, wherein the human IgG heavy chain constant region is an isotype IgG1.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간 IgG 중쇄 불변 영역은 이소형 IgG4인, 방법.A method in claim 17, wherein the human IgG heavy chain constant region is of isotype IgG4.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동일한 이소형의 야생형 힌지에 비해 Fcγ 수용체 결합을 감소시키는 키메라 힌지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claim 18 or 19,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chimeric hinge that reduces Fcγ receptor binding compared to a wild-type hinge of the same isotype.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쇄 또는 상기 제2 중쇄는 H435R(EU 넘버링) 변형 및 Y436F(EU 넘버링) 변형을 포함하는 CH3 도메인을 포함하지만, 둘 다가 이들 변형을 포함하지는 않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20, wherein the first heavy chain or the second heavy chain comprises a CH3 domain comprising an H435R (EU numbering) modification and a Y436F (EU numbering) modification, but not both of which comprise these modifications.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서열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1 중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first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9.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2 중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second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1.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서열번호 2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1 중쇄, 서열번호 3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제2 중쇄, 및 서열번호 3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공통 경쇄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6,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comprises a first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29, a second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1, and a common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0.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92 U/ml 초과의 혈청 CA-125 수준을 갖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4, wherein the subject has a serum CA-125 level greater than 92 U/ml.제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치료제 또는 치료 요법을 투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5,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second therapeutic agent or treatment regimen.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료제 또는 치료 요법은 항-PD-1 항체 또는 이의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in claim 26, wherein the second therapeutic agent or treatment regimen comprises an anti-PD-1 antibody or an antigen-binding fragment thereof.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a)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 영역(HCVR) 내에 함유된 3개의 중쇄 상보성 결정 영역(HCDR1, HCDR2, 및 HCDR3); 및
(b)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 영역(LCVR) 내에 함유된 3개의 경쇄 상보성 결정 영역(LCDR1, LCDR2, 및 LCDR3)을 포함하는, 방법.
In claim 27,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a) three heavy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HCDR1, HCDR2, and HCDR3) contained within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H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3; and
(b) a method comprising three light chain 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s (LCDR1, LCDR2, and LCDR3) contained within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LCVR)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5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1, 서열번호 36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2, 및 서열번호 37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DR3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in claim 28, wherein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an HCDR1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5, an HCDR2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6, and an HCDR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7.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8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1, 서열번호 39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2, 및 서열번호 40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DR3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claim 28 or 29, wherein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LCDR1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8, LCDR2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9, and LCDR3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0.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33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HCVR 및 서열번호 34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LCVR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8 to 30, wherein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comprises an HCVR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3 and an LCVR comprising an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34.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 또는 항원 결합 단편은 서열번호 41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중쇄 및 서열번호 4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경쇄를 포함하는 항-PD-1 항체인, 방법.A method in claim 31, wherein the anti-PD-1 antibody or antigen-binding fragment is an anti-PD-1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1 and a light chain comprising the amino acid sequence of SEQ ID NO: 42.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분할된 초기 투여량을 포함하는 투여 요법으로 투여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2,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in a dosing regimen comprising divided initial doses.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매주 1 mg 내지 1000 mg의 투여량으로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3,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at a dosage of 1 mg to 1000 mg per week.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250 mg의 투여량으로 상기 대상체에게 매주 투여되는, 방법.A method in claim 34,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weekly at a dosage of 250 mg.제27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PD-1 항체는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 이전에, 이와 동시에, 또는 이후에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7 to 35, wherein the anti-PD-1 antibody is administered to the subject prior to, concurrently with, or subsequent to the bispecific antibody.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이전에 화학요법 약물, 방사선 요법, 수술, 또는 면역요법 약물로 치료받은 적이 있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6, wherein the subject has previously been treated with a chemotherapy drug, radiation therapy, surgery, or immunotherapy drug.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요법 약물은 타제메토스타트(tazemetostat)인, 방법.A method in claim 37, wherein the chemotherapy drug is tazemetostat.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 약물은 PD1 억제제 또는 CTLA4 억제제인, 방법.A method in claim 37, wherein the immunotherapy drug is a PD1 inhibitor or a CTLA4 inhibitor.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면역요법 약물은 펨브롤리주맙, 니볼루맙, 또는 이필리무맙인, 방법.A method in claim 37, wherein the immunotherapy drug is pembrolizumab, nivolumab, or ipilimumab.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가 1 내지 250 mg의 투여량으로 적어도 1주일 동안 투여된 후 안정한 질환, 부분 반응, 또는 완전 반응을 갖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6, wherein the subject has stable disease, a partial response, or a complete response after administration of the bispecific antibody at a dosage of 1 to 250 mg for at least 1 week.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유방 조직의 상피 육종은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가 1 내지 250 mg의 투여량으로 적어도 1주일 동안 투여된 후 크기가 감소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6, wherein the epithelial sarcoma of the breast tissue of the subject is reduced in size after administration of the bispecific antibody at a dosage of 1 to 250 mg for at least 1 week.제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항체는 상기 대상체에게 정맥내 또는 피하 투여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6, wherein the antibody is administered intravenously or subcutaneously to the subject.제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는 투여 요법으로 투여되며, 상기 투여 요법은: 상기 투여 요법의 1주차 동안 1 mg의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의 초기 투여량의 투여; 상기 투여 요법의 2주차 동안 20 mg의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의 전환 투여량의 투여; 및 상기 투여 요법의 3주차 동안 250 mg의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의 전체 투여량의 투여를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3, wherein the bispecific antibody is administered in a dosage regimen, wherein the dosage regimen comprises: administration of an initial dose of 1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1 of the dosage regimen; administration of a switch dose of 20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2 of the dosage regimen; and administration of a total dose of 250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during week 3 of the dosage regimen.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투여량은 2개의 균등한 분획으로 분할되어 연속일에 투여되는, 방법.A method in claim 44, wherein the initial dose is divided into two equal portions and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제44항 또는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투여량은 2개의 균등한 분획으로 분할되어 연속일에 투여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claim 44 or 45, wherein the conversion dose is divided into two equal portions and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투여량은 2개의 분획으로 분할되어 연속일에 투여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4 to 46, wherein the total dosage is divided into two fractions and administered on consecutive days.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투여량의 2개의 분획은 50 mg 분획 및 250 mg 분획을 포함하는, 방법.A method in claim 47, wherein the two fractions of the total dosage comprise a 50 mg fraction and a 250 mg fraction.제44항 내지 제4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 요법은 투여 요법의 4주 동안 투여되는 250 mg의 상기 이중특이적 항체의 유지 투여량을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A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44 to 48, wherein the dosage regimen further comprises administering a maintenance dose of 250 mg of the bispecific antibody administered for 4 weeks of the dosage regimen.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투여량은 상기 투여 요법의 후속 주 동안 매주 투여되는, 방법.
A method in claim 49, wherein the maintenance dose is administered weekly during subsequent weeks of the dosing regimen.
KR1020247033968A2022-03-172023-03-16 Method for treating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a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PendingKR2024015984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US202263320961P2022-03-172022-03-17
US63/320,9612022-03-17
US202263350503P2022-06-092022-06-09
US63/350,5032022-06-09
PCT/US2023/015347WO2023177772A1 (en)2022-03-172023-03-16Methods of treating recurrent epithelioid sarcoma with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i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antibodi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59849Atrue KR20240159849A (en)2024-11-06

Family

ID=8605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47033968APendingKR20240159849A (en)2022-03-172023-03-16 Method for treating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a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Country Status (8)

CountryLink
EP (1)EP4493280A1 (en)
JP (1)JP2025509567A (en)
KR (1)KR20240159849A (en)
CN (1)CN119677534A (en)
AU (1)AU2023236126A1 (en)
IL (1)IL315405A (en)
MX (1)MX2024011298A (en)
WO (1)WO202317777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9632993B (en)*2024-12-042025-09-23安徽医科大学Application of tazistat in preparation of medicine for treating acute kidney injur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EP2360254A1 (en)1999-08-232011-08-24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Assays for screening anti-pd-1 antibodies and uses thereof
US7488802B2 (en)2002-12-232009-02-10WyethAntibodies against PD-1
CA3151350A1 (en)2005-05-092006-11-16E. R. Squibb & Sons, L.L.C.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programmed death 1 (pd-1) and methods for treating cancer using anti-pd-1 antibodi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immunotherapeutics
CN102131828B (en)2007-06-182015-06-17默沙东有限责任公司 Antibody against human programmed death receptor PD-1
US8168757B2 (en)2008-03-122012-05-01Merck Sharp & Dohme Corp.PD-1 binding proteins
EP2927240A1 (en)2008-08-252015-10-07Amplimmune, Inc.Compositions of pd-1 antagonists and methods of use
PL2975051T3 (en)2009-06-262021-09-20Regeneron Pharmaceuticals, Inc.Readily isolated bispecific antibodies with native immunoglobulin format
RU2604814C2 (en)2011-07-242016-12-10Кьюртек Лтд.Versions of humanized immunomodulatory monoclonal antibodies
TWI682941B (en)2013-02-012020-01-21美商再生元醫藥公司Antibodies comprising chimeric constant domains
TWI681969B (en)2014-01-232020-01-11美商再生元醫藥公司Human antibodies to pd-1
TWI754319B (en)2014-03-192022-02-01美商再生元醫藥公司Methods and antibody compositions for tumor treatment
US10941208B2 (en)2016-09-232021-03-09Regeneron Pharmaceuticals, Inc.Anti-MUC16 antibodies
MA56537A (en)*2019-06-212022-04-27Regeneron Pharma USE OF B-SPECIFIC ANTIGEN-BINDING MOLECULES THAT BIND TO MUC16 AND CD3 IN COMBINATION WITH 4-1BB CO-STIM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IL315405A (en)2024-11-01
JP2025509567A (en)2025-04-11
CN119677534A (en)2025-03-21
EP4493280A1 (en)2025-01-22
WO2023177772A1 (en)2023-09-21
AU2023236126A1 (en)2024-09-19
MX2024011298A (en)2024-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1254752B2 (en)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ies and anti-PD-1 antibodies
KR20180089444A (en) A combination of an anti-PD-1 antibody and a specific anti-CD20 / anti-CD3 antibody to treat cancer
KR20230152804A (en)Methods of treating skin cancer by administering a pd-1 inhibitor
KR20240159849A (en) Method for treating relapsed epithelioid sarcoma with a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y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 anti-PD-1 antibody
US20240043560A1 (en)Methods of Treating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with Bispecific Anti-PSMA x Anti-CD28 Antibodies in Combination with Anti-PD-1 Antibodies
US20230312718A1 (en)Methods of Treating Recurrent Ovarian Cancer with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i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Antibodies
KR102870971B1 (en) 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ies and anti-PD-1 antibodies
US20250304714A1 (en)Methods of Treating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with Bispecific Anti-PSMA x Anti-CD3 Antibodi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Antibodies
HK40049064B (en)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ies and anti-pd-1 antibodies
HK40049064A (en)Methods for treating cancer with bispecific anti-cd3xmuc16 antibodies and anti-pd-1 antibodies
EA046291B1 (en) METHODS FOR TREATING MALIGNANT NEOPLOGMS WITH BISPECIFIC ANTIBODIES AGAINST CD3XMUC16 AND ANTIBODIES AGAINST PD-1
WO2025030041A1 (en)Methods of treating metastatic castration-resistant prostate cancer with bispecific anti-psma x anti-cd28 antibodies
WO2025128652A1 (en)Methods of treating endometrial cancer with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i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antibodies
CN118786145A (en) Methods of treating recurrent ovarian cancer using bispecific anti-MUC16 x anti-CD3 antibodie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anti-PD-1 antibodies
WO2025171124A1 (en)Methods of treating prostate cancer with bispecific anti-psma x anti-cd3 antibodies and bispecific anti-psma x anti-cd28 antibodies
WO2025030044A1 (en)Methods of treating clear cell renal cell carcinoma with bispecific anti-psma x anti-cd28 antibodie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5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41011

Patent event code:PA01051R01D

Comment text: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