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 통신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원하는 모든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정보 환경이 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통신 정보 기기들은 대부분 배터리에 의존하고 있고, 유선 전원 코드에 의한 전원을 공급받아 통신 정보 기기의 사용이 제한을 받고 있다.
따라서, 무선 정보 네트워크 환경은 단말기 전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진정으로 자유로워질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많은 방식이 개발되고 있는데, 전파(Microwave)를 이용한 전파 수신형 방식, 자기장을 이용한 자기 유도 방식 또는 자기장과 전기장의 에너지 전환에 의한 자기 공명 방식 등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전파 수신형 방식은 안테나를 통해 전파를 공기 중으로 방사함으로써 먼 거리까지 전력 전송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공기 중에서 소모되는 방사 손실(Radiation loss)이 매우 커서 전력 전송의 효율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자기 유도 방식은 송신기로 전송 코일을 사용하고, 수신기로 2차 코일을 사용하여 1차 및 2차 코일에 의한 자기 에너지 결합을 이용한 기술로 높은 전력 전송의 효율성을 갖는 장점이 있으나, 전력 전송을 위해서 1차 및 2차 코일이 수 ㎜ 정도의 짧은 거리에 인접해 있어야 하며, 1차 및 2차 코일의 정렬에 따라 전력 전송의 효율성이 급격하게 변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 자기 유도 방식과 유사하나 코일형의 인덕터(L)와 커패시터(C)에 의한 특정 공진 주파수에 에너지가 집중되게 하여 자기 에너지 형태로 전력을 송신하는 자기 공명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자기 공명 방식은 비교적 큰 에너지를 수 미터까지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높은 공진 특성(High quality factor)을 요구하고 있다. 즉, 자기 공명 방식은 임피던스 정합 여부, 공진 주파수 일치 여부에 따라 효율이 급격하게 변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자기 공명에 의한 충전과 유도에 의한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 양자간의 자기 간섭현상으로 인하여 충전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인 공명 전력 신호 및 유도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에서의 공명 충전과 유도 충전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전체적으로 직각 패널 형상을 가지며, 그 주면에는 충전 위치(A)가 형성된다. 이 충전 위치(A)에 유도 전력 수신 장치(200)가 놓이게 되면 유도 전력 신호가 발신되어서, 유도 전력 수신 장치(200)가 충전된다. 또한,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가 충전 거리(B) 내에 위치하게 되면 공명 전력 신호가 발신되어서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가 충전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두 개의 상이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300)를 충전하게 되는 경우, 전송 안테나(121)와 전송 코일(111)간에 자기 간섭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자의 충전이 잘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기 간섭을 보정할 수 있도록, 임피던스 매칭을 조절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임피던스 매칭 조절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하이브리드 전송 장치(1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0)는 유도 전력 신호를 출력하는 유도 전력 전송부(110)와, 공명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자기 공명 전송부(120), 그리고, 이들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전력 전송부(110)와 자기 공명 전송부(120) 각각은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제 1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 및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제어부(130)는 충전 위치에 유도 전력 수신 위치(200)가 위치함과 더불어서 충전 거리(B)에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가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과 상기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23)을 조절하면서, 상기 유도 전력 신호 및 공명 전력 신호를 동시에 발진하도록 상기 유도 전력 전송부(120) 및 상기 자기 공명 전송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전송 제어부(130)는, 상기 제 1 및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 123)의 커패시턴스를 랜덤하게 조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시도할 수도 있고, 임피던스 매칭이 보다 더 중요한 상기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23)의 임피던스 매칭을 우선적으로 행하고 난 뒤, 제 1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의 임피던스 매칭을 시도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예로는 유도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유도 전력 수신 장치와, 공명 전력 신호를 수신하는 자기 공명 수신장치가 있다. 이들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중 유도 전력 전송부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전력 전송부(110)는, 전송 코일(111)과, 제 1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을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코일(111)을 유도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제 1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은 전송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전송 코일(111)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수신 코일(210)과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커패시턴스 값이 변경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제 1 가변 커패시터 블록(113)은 비교적 큰값으로 변경되고, 수신 코일(210)에 연결되는 제 3 커패시터 블록(220)은 비교적 적은 값으로 변경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도 5참조).
한편, 유도 전력 전송부(110)의 전송 코일(111)은 ASK 통신 방식으로, 유도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의 유도 전력 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유도 전력 상태 정보는 전송 제어부에 알리게 되며, 이에 따라 전송 제어부(130)는 임피던스 매칭을 조절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중 자기 공명 전송부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공명 전송부(120)는, 전송 안테나(121)과,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23)과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로부터의 공명 전력 상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 안테나(121)는 공명 전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23)은 전송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하여 전송 안테나(121)와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의 수신 안테나(310)와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커패시턴스 값이 변경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제 2 가변 커패시터 블록(123)은 비교적 큰값으로 변경되고, 수신 안테나(310)에 연결되는 제 4 커패시터 블록(320)은 비교적 적은 값으로 변경됨으로써, 임피던스 매칭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근거리 통신부(125)는,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의 근거리 통신모듈(350)을 통해 전송되는 공명 전력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전송 제어부로 알린다. 이에 따라, 전송 제어부(130)는, 상기 공명 전력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임피던스 매칭을 조절하게 된다.
도 5는 도 2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중 유도 전력 수신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유도 전력 수신 장치(200)는, 수신 코일(210), 제 3 가변 커패시터 블록(220), 정류부(230), 부하(240) 및 유도 수신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수신 제어부(250)는, 부하(240)로부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유도 전력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수신 코일(210)을 통해 이를 ASK 통신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210)을 통해 수신되는 전송 장치(100)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 3 가변 커패시터 블록(220)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하게 된다. 이 때, 제 3 가변 커패시터 블록(220)의 커패시턴스는 미세 조절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명 전력신호와 유도 전력 신호가 동시에 발진되어서 임피던스 매칭이 비틀어지는 경우, 이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이 조절되므로, 전력 전송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3 가변 커패시터 블록(220)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수신 코일(210)을 통해 수신되는 전력 신호는 정류부(230)에서 직류 전원으로 정류되어서 부하로 공급되게 되고, 이에 따라 부하가 충전되게 된다.
도 6은, 도 2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중 공명 전력 수신 장치의 전자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자기 공명 수신 장치(300)는, 수신 안테나(310), 제 4 가변 커패시터 블록(320), 정류부(330), 부하(340), 근거리 통신 모듈(350) 및 공명 수신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서 설명된 부분과 중복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 수신 제어부(360)는, 부하(340)로부터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공명 전력 상태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근거리 통신 모듈(350)을 통해 하이브리드 전송 장치(100)로 전송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모듈(350)을 통해 수신되는 전송 장치(100)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 4 가변 커패시터 블록(320)의 커패시턴스를 조절하게 된다. 이 때, 제 4 가변 커패시터 블록(320)의 커패시턴스는 미세 조절되게 된다.
이에 따라, 공명 전력신호와 유도 전력 신호가 동시에 발진되어서 임피던스 매칭이 비틀어지는 경우, 이에 따른 임피던스 매칭이 조절되므로, 전력 전송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 4 가변 커패시터 블록(320)에 의해 임피던스 매칭된 수신 안테나(310)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 신호는 정류부(330)에서 직류 전원으로 정류되어서 부하(340)로 공급되게 되고, 이에 따라 부하(340)가 충전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가변 커패시터 블록의 회로구성에 대하여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서 설명하는 가변 커패스터 블록은 도 1 내지 6에서 설명한 제 1 내지 4 커패시터 블록에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예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시스템에 포함되는 제 1 내지 제 4의 가변 커패시터 블록의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유도 전력 신호 및 공명 전력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가변 커패시터 블록은, 다수의 직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C1~C4)와, 커패시터 사이에 배치되는 스위치(S1,S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보다 적은수의 커패시터로도 다양한 값의 커패시턴스를 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부품 점수가 적게 되어서, 제품의 경량화 및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충전 위치에 있는 유도 전력 수신 장치와 충전 거리에 있는 자기 공명 수신 장치에 대하여 동시에 무선 전력 신호를 전송하여 충전이 동시에 이루게 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코일과 전송 안테나가 동시에 동작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간섭현상을 커패시턴스 변경에 의해 보정함으로써, 공명 충전 및 유도 충전의 전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공명 전력 신호 및 유도 전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