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명세서는 사용자에게 스마트폰 앱으로 메타버스 체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물품 구매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에 것에 관한 것이다.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moting the purchase of goods by providing a metaverse experience to users through a smartphone app.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응용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및 혼합현실(Mixed Reality) 기술이 발달하고 있다.Recently,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echnologies that apply computer graphics technology are being developed.
가상현실 기술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현실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가상 공간을 구축한 후 그 가상 공간을 현실처럼 느끼게 하는 기술을 말하고,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 기술은 현실 세계 위에 컴퓨터에 의해 생성된 정보를 덧붙여 표현하는 기술, 즉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을 말한다.Virtual reality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uses a computer to create a virtual space that does not exist in the real world and then makes that virtual space feel real, while augmented reality or mixed reality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adds computer-generated information on top of the real world, that is, a technology that allows real-time interaction with users by combining the real world and the virtual world.
이들 중 증강현실과 혼합현실 기술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예컨대, 방송 기술, 의료 기술, 게임 기술 등)들과 접목되어 활용되고 있는데, 증강현실 또는 혼합현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대표적인 서비스로서 메타버스(Meta-verse)가 있다.Among these,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technologies are being utilized in conjunction with technologies in various fields (e.g., broadcasting technology, medical technology, game technology, etc.), and the metaverse is a representative service that provides augmented reality or mixed reality to users.
메타버스는 가공 또는 추상을 의미하는 '메타(Meta)'와 현실세계를 의미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3차원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메타버스는 기존의 가상현실 환경(Virtual reality environment)이라는 용어보다 진보된 개념으로서, 웹과 인터넷 등의 가상세계가 현실세계에 흡수된 증강 현실 환경을 제공한다.Metaverse is a compound word of 'Meta', meaning fictitious or abstract, and 'Universe', meaning the real world, and refers to a three-dimensional virtual world. Metaverse is a more advanced concept than the existing term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nd provides a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 where virtual worlds such as the web and the Internet are absorbed into the real world.
한편, 이러한 변화에 기반하여 메타버스의 가상공간은 판매 및 소비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는 자신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소비가 가상공간에 적용되지 않아서 소비생활에 있어서 가상공간과 현실 간의 괴리가 발생하여 가상공간의 활동에 흥미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Meanwhile, based on these changes, the virtual space of the metaverse is being used as a space for sales and consumption. However, users of the virtual space have the problem that their online and offline consumption is not applied to the virtual space, so there is a gap between the virtual space and reality in their consumption life, and interest in activities in the virtual space decreases.
또한 상품 판매자는 소비자의 가상공간 활동이 실제적인 구매로 이루어져 판매가 촉진되길 원하나 아직까지 가상공간의 활동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구매를 효과적으로 접목시킬 수 있는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In addition, product sellers want to promote sales by having consumers' virtual space activities lead to actual purchases, but there is currently no system in place that can effectively combine virtual space activities with online or offline purch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타버스 상에서 소비자의 활동이 실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품 구매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consumer activities in the metaverse to promote actual online and offline product purchasing activities.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장치는 매장 점주의 요청에 의해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SaaS)를 구동하여 메타버스 상에 매장 점주의 매장 공간을 생성하고 매장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매장 생성부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의 구매 활동을 수집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구매현황 수집부와, 사용자의 단골 매장 등록 요청에 의해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매장 정보를 추출하여 메타버스 상에 단골 매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골 매장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구매이력을 통해 사용자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여 광고용 게임 또는 추천 상품을 제공하는 매칭부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용 게임이 수행되거나 추천 상품에 대한 조회 이벤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보상부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e creation unit which creates a store space of a store owner on the metaverse and registers it in a store database by driving a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SaaS) at the request of the store owner, a purchase status collection unit which collects purchasing activities of users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and registers them in a user database, a regular store creation unit which extracts corresponding store information from the store database at the request of the user to register a regular store and creates a regular store space on the metaverse, a matching unit which identifies the user's consumption tendencies through the purchase history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and provides an advertising game or recommended product, and a reward unit which provides a reward to the user when the user plays the advertising game or there is an inquiry event for a recommended product.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방법으로서, 매장 점주의 요청에 의해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SaaS)를 구동하여 메타버스 상에 매장 점주의 매장 공간을 생성하고 매장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의 구매 활동을 수집하여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단골 매장 등록 요청에 의해 상기 매장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매장 정보를 추출하여 메타버스 상에 단골 매장 공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구매이력을 통해 사용자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여 광고용 게임 또는 추천 상품을 제공하는 단계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광고용 게임이 수행되거나 추천 상품에 대한 조회 이벤트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ore on a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tore on a metaverse performed by a service providing device, comprising: a step of creating a store space of a store owner on a metaverse and registering it in a store database by driving a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SaaS) at the request of a store owner; a step of collecting purchase activities of users in online and offline stores and registering them in a user database; a step of extracting store information from the store database at the request of a user to register a regular store and creating a regular store space on the metaverse; a step of identifying a user's consumption tendencies through purchase history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and providing an advertising game or a recommended product; and a step of providing a reward to the user when the user performs the advertising game or there is an inquiry event for a recommended product.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르면, 메타버스 상에서 매장 점주는 자신의 매장을 구축하고 소비자는 자신의 단골 매장을 꾸며 구매 활동을 가시화할 수 있고 단골 매장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in the metaverse, store owners can build their own stores, and consumers can decorate their favorite stores to visualize their purchasing activities and receive rewards through their favorite store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SaaS)를 통해 메타버스 상에 매장 공간을 생성하고, 이렇게 구축된 매장 정보를 이용해 메타버스 상에 소비자를 위한 단골 매장 공간을 만들어 주어 소비자가 단골 매장 공간에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상품 구매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tore space on the metaverse through a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SaaS), and uses the store information thus created to create a regular store space for consumers on the metaverse, thereby enabling consumers to engage in various activities in the regular store space, thereby having the effect of promoting consumer product purchasing activiti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시스템에서 각 주체 간의 신호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매장 구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 구축된 매장 점주의 매장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 구축된 사용자의 단골 매장 공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re construction system on a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signal flow between each entity in a store construction system on a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ervice providing device (store con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showing the store space of a store owner built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a user's regular store space constructed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in Figure 6 in more detail.
Figure 8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processor illustrated in Figure 6 or Figure 7.
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additio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assigned similar drawing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When a part of a specification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terms “?? unit” and “??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below, a store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on a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1 illustrate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tore construction system on a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구축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로 구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ore construction system on the metaver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nd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200).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될 수 있는 웹 기반 또는 앱 기반의 플랫폼이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컴퓨팅 장치들(200) 상에 설치되어 있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client application)에 의해 접근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 업체가 보유하고 있는 서버 상에 구축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s a web-based or app-based platform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a network by a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200).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s accessed by a web browser or client application installed on the computing devices (200).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can be built on a server owned by a metaverse service provider.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이 접속할 수 있는 메타버스 환경을 제공하고 메타버스 상에서 다양한 영역과 객체를 생성하며 메타버스 이용자들의 활동과 인터랙션을 관리할 수 있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provides a metaverse environment to which multiple computing devices (200) can connect, creates various areas and objects on the metaverse, and manages the activities and interactions of metaverse users.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메타버스 상에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통해 매장 점주의 매장 공간을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단골 매장 공간을 만들어 주어 메타버스 상에서 소비자의 활동을 촉진시킨다.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tore space for a store owner through software as a service (SaaS) in the metaverse and creates a regular store space for the user, thereby promoting consumer activities in the metaverse.
이러한 메타버스 상에서 매장 구축 서비스 기능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되어 있거나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The store building service function in this metaverse may be included i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or provided through a separate device.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매장 구축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매장 구축 장치라고 명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구축 장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별도로 존재하는 장치일 수 있다.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providing a store construction service is called a store construction device.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or a device existing separately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복수의 컴퓨팅 장치들(200)은 메타버스 서비스 이용자들이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다. 컴퓨팅 장치로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앱이나 웹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할 수 있는 기기라면 어떠한 종류의 장치도 가능하다.The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200)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re computing devices owned by metaverse service users. The computing devices may be smartphones, tablet PCs, laptop computers, personal computers, etc., and any type of device that can connect to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through an app or web may be used.
메타버스 서비스 이용자는 매장 점주와 사용자이다. 매장 점주는 상품을 판매하는 편의점, 24시 마트 등 오프라인 매장을 가지고 있는 업주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편의점, 24시 마트 등의 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이다.Metaverse service users are store owners and users. Store owners can be business owners who have offline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24-hour marts that sell products. Users are consumers who use stor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nd 24-hour marts.
이에 따라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컴퓨팅 장치(200)는 점주 단말(200-1)과 사용자 단말(200-2)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According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lurality of computing devices (200) are assumed to include a store terminal (200-1) and a user terminal (200-2).
점주 단말(200-1)은 편의점, 24시 마트 등의 업주가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고, 사용자 단말(200-2)은 편의점, 24시 마트 등의 매장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소유한 컴퓨팅 장치이다.The store terminal (200-1) is a computing device owned by the owner of a convenience store, 24-hour mart, etc., and the user terminal (200-2) is a computing device owned by a consumer who uses a store such as a convenience store, 24-hour mart, etc.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한 매장 구축 기능이 주요 내용이 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매장 구축 장치를 동일한 것으로 보고, 매장 구축 장치에도 동일한 도면 부호 100을 사용하기로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tore construction function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is the main conten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and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are considered to be the same, and 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타버스 상에서의 매장 제공 시스템에서 각 주체간의 신호 처리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2 illustrates the signal processing flow between each entity in a store provision system on the metaver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점주 단말(200-1)은 매장 구축 장치(100)에 접속하여 SaaS(Software-as-a-Service)로 제공되는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를 통해 메타버스 상에서 자신의 매장 공간을 구축한다(S10).Referring to FIG. 2, first, the store owner terminal (200-1) connects to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100) and constructs its own store space on the metaverse through the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provided as SaaS (Software-as-a-Service) (S10).
점주 단말(200-1)은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를 이용해 매장 공간을 다층 구조로 형성하고, 각 층에 카테고리별로 제품을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다.The store owner terminal (200-1) can use the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to form a multi-layered store space and place products by category on each floor.
점주 단말(200-1)은 지점별로 제공되는 혜택 및 주력 상품에 따라 매장 공간 내 제품을 배치할 수 있다.The store owner terminal (200-1) can arrange products within the store space according to the benefits and main products provided by each branch.
매장 구축 장치(100)는 점주 단말(200-1)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의 사용에 따라 메타버스 상에 매장 공간을 생성한다(S12).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creates a store space on the metaverse (S12) based on the use of software as a service (SaaS) of the store owner terminal (200-1).
매장 구축 장치(100)는 복수의 점주 단말(200-1)이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를 통해 생성한 매장 공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매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놓는다(S14).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builds a store database by registering store space information created by multiple store owner terminals (200-1) through the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in the database (S14).
또한 매장 구축 장치(100)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의 구매 활동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16).In addition, 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builds a user database by collecting the user's purchasing activities in an online or offline store and registering them in the database (S16).
다음, 사용자 단말(200-2)은 매장 구축 장치(100)에 접속하여 단골 매장 등록을 요청한다(S18).Next, the user terminal (200-2) connects to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100) and requests registration of a regular store (S18).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사용자 단말(200-2)로 매장의 바코드를 찍었을 때 단골 매장 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apply for registration as a regular store when he or she visits the store in person and scans the store's barcode with a user terminal (200-2).
사용자는 매장 방문 및 바코드 스캔을 통해 메타버스 내 단골 매장을 여러 개 등록할 수 있고, 단골 매장을 등록해야 나만의 매대를 만들어 각종 서비스와 리워드를 받을 수 있다.Users can register multiple regular stores within the metaverse by visiting stores and scanning barcodes, and by registering regular stores, they can create their own counters and receive various services and rewards.
매장 구축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2)로부터 단골 매장 등록 요청을 받으면, 점주 단말(200-1)에 의해 구축된 매장 정보를 이용해 단골 매장 공간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200-2)에 제공한다(S20).When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100) receives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regular store from a user terminal (200-2), it creates a regular store space using the store information constructed by the store owner terminal (200-1)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200-2) (S20).
단골 매장 공간이 생성되면, 매장 구축 장치(100)는 해당 매장의 점주 단말(200-1)로 단골 매장 공간이 생성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S22).When a regular store space is created,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100) can notify the store owner terminal (200-1) of the creation of a regular store space (S22).
메타버스 내에 단골 매장 공간이 생성되면, 단골 매장 공간에 배치된 상품들이 사용자의 구매 활동에 따라 실시간 가시화된다.When a regular store space is created within the metaverse, products placed in the regular store space are visualized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user's purchasing activity.
매장 구축 장치(100)는 단골 매장 공간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2)에 광고용 게임 또는 추천 상품을 제공할 수 있다(S24).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can provide advertising games or recommended products to user terminals (200-2) through regular store spaces (S24).
사용자 단말(200-2)은 광고용 게임을 실행하거나 추천 상품에 대한 조회를 하는 경우 매장 구축 장치(100)로부터 포인트, 쿠폰 등을 받거나 단골 매장에서의 고객 레벨업을 받을 수 있다(S26).When a user terminal (200-2) runs an advertising game or searches for recommended products, it can receive points, coupons, etc. from 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or receive a customer level-up at a regular store (S26).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장 구축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tore constr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매장 구축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02)와 제어부(104)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102) and a control unit (104).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컴퓨팅 장치들(2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부분이다.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인터넷과 접속되어 TCP/IP 통신을 수행하는 이더넷 등의 통신 모듈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102) is a part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computing devices (200). The communication interface (102) is a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Ethernet that is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performs TCP/IP communication.
제어부(104)는 매장 구축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부분이다. 제어부(104)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장 공간 구축, 구매현황 수집, 단골 매장 생성, 보상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104) is a part that controls and manage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04) performs various functions,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performs functions such as store space construction, purchase status collection, regular store creation, and rewards.
매장 생성부(110)는 점주 단말(200-1)이 매장 공간 생성을 요청하면 점주용 관리자 서비스를 통해 점주의 소프트웨어 사용에 따라 매장 공간을 생성하고 매장 공간 내 상품을 배치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매장 공간 정보를 매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When a store owner terminal (200-1) requests the creation of a store space, the store creation unit (110) creates a store space and places products in the store space according to the store owner's use of software through the store owner management service, thereby storing the store space information in the store database.
매장 생성부(110)는 매장 점주의 매장 공간을 다층 구조로 생성하여 각 층에 카테고리별 상품을 배치하고 지점별 혜택 및 주력 상품을 일반 상표과 다르게 표시할 수 있다.The store creation unit (110) can create a store space for the store owner in a multi-layer structure, place products by category on each floor, and display branch-specific benefits and main products differently from general brands.
구매현황 수집부(120)는 사용자의 구매나 소비 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메타버스 내 구매 이력은 물론 매장 구축 장치(100)에 연동된 다양한 오프라인 매장 및 구매 사이트에서 발생한 구매 이력을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The purchase status collection unit (120) collects purchase history within the metaverse as well as purchase history from various offline stores and purchase sites linked to the store construction device (100) and registers them in the database to build a user database so as to understand the user's purchase or consumption tendencies.
단골 매장 생성부(130)는 사용자의 단골 매장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매장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매장 정보를 추출하여 메타버스 상에 사용자를 위한 단골 매장 공간을 생성한다.When a request for registration of a user's regular store is received, the regular store creation unit (130) extracts the corresponding store information from the store database and creates a regular store space for the user in the metaverse.
사용자의 단골 매장 등록 요청 시 사용자의 실제적인 단골 매장임을 보증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해당 매장에 방문하여 매장의 바코드나 QR 코드 등 매장의 고유 식별정보를 스캔하여 서버로 보낼 때 단골 매장 등록 요청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When a user requests to register a regular store, the request for regular store registration is processed when the user visits the store in person and scans the stor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store's barcode or QR code, and sends it to the server to ensure that the store is actually the user's regular store.
단골 매장 생성부(130)는 단골 매장 공간에 나만의 매대를 생성하고 사용자의 구매활동에 따라 나만의 매대에 있는 상품의 상태를 가변시킬 수 있다.The regular store creation unit (130) can create a stand for oneself in a regular store space and change the status of products on the stand for oneself according to the user's purchasing activity.
매칭부(14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의 구매이력을 통해 사용자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광고용 게임 또는 추천 상품을 제공한다.The matching unit (140) identifies the user's consumption tendencies through the user's purchase history registered in the user database and provides advertising games or recommended products that are suitable for the user.
매칭부(140)가 사용자를 위한 맞춤 광고용 게임 또는 추천 상품을 선정하여 단골 매장 생성부(130)에 전달하면, 단골 매장 생성부(130)는 기 생성된 단골 매장 공간에 광고용 게임 또는 추천 상품을 가시화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matching unit (140) selects a customized advertising game or recommended product for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regular store creation unit (130), the regular store creation unit (130) visualizes the advertising game or recommended product in the regular store space already created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
본 발명에 따른 매칭부(140)는 규칙 기반(Rule-based) 모델을 이용하거나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반 모델을 학습시켜 소비 성향을 파악하고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 게임,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The matching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dentify consumption tendencies and recommend customized advertisements, games, and products to users by using a rule-based model or learning a machine learning-based model.
보상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광고용 게임이 수행되거나 추천 상품에 대한 열람 또는 조회가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포인트 또는 쿠폰 지급, 고객 레벨업 등의 리워드를 제공한다.The rewards department (150) provides rewards such as point or coupon payment, customer level up, etc. to the user when the user plays an advertisement game or views or inquires about a recommended produc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내에 생성된 매장 공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4 illustrates a store space created withi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된 매장 공간은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 각 층에 상품이 배치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4, the store space created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is formed in a multi-layer structure, with products placed on each floor.
예를 들어, 매장 점주는 매장 공간을 3개의 층(1, 2, 3)으로 형성하고 각 층마다 제품을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배치할 수 있다.For example, a store owner can organize the store space into three floors (1, 2, 3) and place products on each floor by category.
도 4에서는 매장 공간이 다층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단층 구조도 가능하며, 각 구획된 공간에 상품을 배치할 수 있다.In Figure 4, the store space is depicted as a multi-layered structure, but a single-layer structure divided into multiple spaces is also possible, and products can be placed in each divided spac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타버스 내 단골 매장 공간을 나타낸 것이다.Figure 5 illustrates a regular store space within the metaver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타버스 환경에서 생성된 단골 매장 공간에는 나만의 매대(5)가 배치되어 있고, 그 매대(5)에는 상품이 진열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 stand (5) of my own is placed in a regular store space created in a metaverse environment, and products are displayed on that stand (5).
사용자가 구매활동을 하게 되면 구매 활동 상황이 매장 구축 장치(100)와 연동되어 있어서 해당 상황이 단골 매장 공간에 반영되어 가시화될 수 있다.When a user makes a purchase, the purchase activity status is linked to the store building device (100), so the status can be reflected and visualized in the regular store space.
예를 들어, 예약 구매, 찜, 구독상품 등이 매대에 배치되어 데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실제 구매할 경우 구매내역 박스로 배치될 수 있으며, 픽업 가능 또는 배달도착 예정 상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items such as pre-order purchases, wish lists, and subscription products can be placed on the shelf to act as decorative elements, and when actually purchased, they can be placed in a purchase history box, and the status of items available for pickup or scheduled for delivery can be checked.
도면 부호 6은 배달도착 예정 상품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부호 7은 예약 구매, 찜, 구독 상품 등을 표시한 것이고, 도면 부호 8은 구매내역 박스를 나타낸 것이다.Drawing symbol 6 indicates the status of a product scheduled for delivery, drawing symbol 7 indicates a reserved purchase, a wish list, a subscription product, etc., and drawing symbol 8 indicates a purchase history box.
한편, 단골 매장 공간에는 여러 매대와 진열 상품 외에 사용자를 위한 맞춤 광고, 게임, 추천 상품이 비주기적으로 가시화될 수 있다.Meanwhile, in regular store spaces, in addition to various stalls and displayed products, customized advertisements, games, and recommended products for users can be displayed irregularly.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골 매장 공간에서 라면 끓이기 게임이 가시화되면 이를 클릭 또는 터치하여 게임을 진행하면서 라면 이미지에 표시된 특정 상품이나 브랜드를 확인할 수 있고, 게임 중에 표시된 특정 상품이나 브랜드를 터치하거나 클릭하게 되면 해당 상품과 브랜드에 대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로 이동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ramen boiling game is visualized in a regular store space, the user can click or touch it to play the game and check specific products or brands displayed in the ramen image, and when the user touches or clicks on a specific product or brand displayed during the game, the user can be taken to a site whe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and brand can be checked.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Devices to which th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may be applied>
이하, 본 명세서의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Below, a device to which th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can be applied is describe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00-2)은 메모리(1010), 프로세서(1020), 송수신부(1031), 전력 관리 모듈(1091), 배터리(1092), 디스플레이(1041), 입력부(1053), 스피커(1042) 및 마이크(1052),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6, the user terminal (200-2) includes a memory (1010), a processor (1020), a transceiver (1031), a power management module (1091), a battery (1092), a display (1041), an input unit (1053), a speaker (1042), a microphone (1052),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card, and one or more antennas.
프로세서(102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계층들은 프로세서(10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AP(application processor)일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모뎀(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의 예는 Qualcomm®에 의해 제조된 SNAPDRAGONTM 시리즈 프로세서, Samsung®에 의해 제조된 EXYNOSTM 시리즈 프로세서, Apple®에 의해 제조된 A 시리즈 프로세서, MediaTek®에 의해 제조된 HELIOTM 시리즈 프로세서, INTEL®에 의해 제조된 ATOMTM 시리즈 프로세서 또는 대응하는 차세대 프로세서일 수 있다.The processor (1020) may be configured to implement the proposed functions, procedures and/or methods described herein. Layers of a wireless interface protocol may be implemented in the processor (1020). The processor (1020) may include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another chipset, logic circuitry and/or data processing devices. The processor (1020) may be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e processor (10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nd a modem (modulator and demodulator). Examples of the processor (1020) may be a SNAPDRAGONTM series processor manufactured by Qualcomm®, an EXYNOSTM series processor manufactured by Samsung®, an A series processor manufactured by Apple®, a HELIOTM series processor manufactured by MediaTek®, an ATOMTM series processor manufactured by INTEL®, or a corresponding next-generation processor.
전력 관리 모듈(1091)은 프로세서(1020) 및/또는 송수신부(1031)에 대한 전력을 관리한다. 배터리(1092)는 전력 관리 모듈(1091)에 전력을 공급한다. 디스플레이(1041)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입력부(1053)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053)는 디스플레이(104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SIM 카드는 휴대 전화 및 컴퓨터와 같은 휴대 전화 장치에서 가입자를 식별하고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그와 관련된 키를 안전하게 저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집적 회로이다. 많은 SIM 카드에 연락처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The power management module (1091) manages power to the processor (1020) and/or the transceiver (1031). The battery (1092) supplies power to the power management module (1091). The display (1041) outputs the results processed by the processor (1020). The input unit (1053) receives input to be used by the processor (1020). The input unit (1053)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041). A SIM card is an integrated circuit used to securely store an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IMSI) and its associated keys, which are used to identify and authenticate subscribers in mobile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and computers. Contact information can also be stored on many SIM cards.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프로세서(610)를 동작시키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1010)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예컨대, 절차,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1010)에 저장될 수 있고 프로세서(10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내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1010)는 프로세서(1020) 외부에 구현될 수 있으며,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을 통해 프로세서(1020)에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memory (1010) is operably coupled with the processor (1020) and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operating the processor (610). The memory (1010) may include a read-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flash memory, a memory card, a storage medium, and/or other storage devices. When the embodiment is implemented in software, the technique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modules (e.g., procedures, functions, etc.) that perform the functions described herein. The modules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010) and executed by the processor (1020). The memory (1010) may be implemented within the processor (1020). Alternatively, the memory (1010) may be implemented outside the processor (1020) and may b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the processor (1020) via various means known in the art.
송수신부(1031)는 프로세서(1020)와 동작 가능하게 결합되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송수신부(1031)는 전송기와 수신기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31)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저 대역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부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테나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20)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음성 통신 데이터를 구성하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명령 정보를 송수신부(1031)에 전달한다. 안테나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무선 신호를 수신할 때, 송수신부(1031)은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달하고 기저 대역으로 신호를 변환할 수 있다. 처리된 신호는 스피커(1042)를 통해 출력되는 가청 또는 가독 정보로 변환될 수 있다.The transceiver (1031) is operably coupled to the processor (1020) and transmits and/or receives a radio signal. The transceiver (1031) include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The transceiver (1031) may include a baseband circuit for processing a radio frequency signal. The transceiver controls one or more antennas to transmit and/or receive a radio signal. The processor (1020) transmits command information to the transceiver (1031) to initiate communication, for example, to transmit a radio signal constituting voice communication data. The antenna functions to transmit and receive radio signals. Upon receiving a radio signal, the transceiver (1031) may transmit the signal for processing by the processor (1020) and convert the signal to a baseband. The processed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audible or readable information output through the speaker (1042).
스피커(104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처리된 소리 관련 결과를 출력한다. 마이크(1052)는 프로세서(1020)에 의해 사용될 소리 관련 입력을 수신한다.The speaker (1042) outputs sound-related results processed by the processor (1020). The microphone (1052) receives sound-related input to be used by the processor (1020).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입력부(1053)의 버튼을 누르거나(혹은 터치하거나) 또는 마이크(1052)를 이용한 음성 구동(voice activation)에 의해 전화 번호 등과 같은 명령 정보를 입력한다.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명령 정보를 수신하고,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등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구동 상의 데이터(operational data)는 심카드 또는 메모리(1010)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사용자가 인지하고 또한 편의를 위해 명령 정보 또는 구동 정보를 디스플레이(1041)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 user inputs command information, such as a telephone number, for example, by pressing (or touching) a button on an input unit (1053) or by voice activation using a microphone (1052). The processor (1020) receives the command information and processes it to perform an appropriate function, such as making a call to the telephone number. Operational data may be extracted from a SIM card or memory (1010). In addition, the processor (1020) may display command information or operational information on a display (1041) for the user to recognize and for convenienc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illustrated in Figure 6 in more detail.
사용자 단말(200-2)은 송수신부(1030), 프로세서(1020), 메모리(1030), 센싱부(1060), 출력부(1040), 인터페이스부(1090), 입력부(1050) 및 전원 공급부(10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단말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단말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2) may include a transceiver (1030), a processor (1020), a memory (1030), a sensing unit (1060), an output unit (1040), an interface unit (1090), an input unit (1050), and a power supply unit (1080).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7 are not essential for implementing the terminal, and thus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have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e components listed abo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송수신부(1030)는,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단말과 다른 단말 사이, 또는 단말과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수신부(1030)는, 단말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mong the above components, the transceiver (103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terminal and another terminal, or between a terminal and an external server. In addition, the transceiver (103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connect the terminal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송수신부(1030)는, 방송 수신부(1032), 이동통신 송수신부(1031), 무선 인터넷 송수신부(1033), 근거리 통신부(1034), 위치정보 모듈(115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is transceiver (10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roadcast receiving unit (1032), a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031), a wireless Internet transceiver (1033),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0).
입력부(105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05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05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05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05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The input unit (1050) may include a camera (1051)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052) or an audio input unit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and a user input unit (1053, for example,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 user.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050)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into a user's control command.
센싱부(1060)는 단말 내 정보, 단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060)는 근접센서(106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06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05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05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사용자 단말은,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06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06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oximity sensor (1061), an illumination sensor (1062), a touch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sensor, a gyroscope sensor, a mo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e.g., a camera (see 1051)), a microphone (see 1052),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 gas detection sensor, etc.), and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recognition sensor, etc.). Meanwhile, the user terminal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utilize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in combination.
출력부(10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041), 음향 출력부(1042), 햅팁 출력부(1043), 광 출력부(10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단말(200-2)단말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05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200-2)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040) is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ion, hearing, or tactile sensations,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041), an audio output unit (1042), a haptic output unit (1043), and an optical output unit (1044). The display unit (1041) may be formed as a layer structure with a touch sensor or formed as an integral part, thereby implementing a touch screen. This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1053)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a user terminal (200-2) and a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2) and the user.
인터페이스부(1090)는 사용자 단말(200-2)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09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2)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9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090) serves as a passageway for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200-2). The interface unit (109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d an earphone port. In the user terminal (200-2), appropriate control related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can be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external device being connected to the interface unit (1090).
또한, 메모리(1030)는 사용자 단말(200-2)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030)는 사용자 단말(200-2)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200-2)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200-2)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단말(200-2)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030)에 저장되고, 단말(200-2)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020)에 의하여 상기 단말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mory (1030) stores data that supports various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2). The memory (1030) can store a plurality of application programs (or applications) running on the user terminal (200-2), data for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200-2), and commands.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can be downloaded from an external server via wireless communication. 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se application programs can exist on the terminal (200-2) from the time of shipment for the basic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2) (e.g., call reception, call transmission, message reception, call transmission functions). Meanwhile, the application program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030), installed on the terminal (200-2), and driven by the processor (1020) to perform the operation (or function) of the terminal.
프로세서(102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02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0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s related to the above application, the processor (102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processor (1020) can proces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or can operat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030) to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the user.
또한, 프로세서(102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XX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2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020) may control at least some of the components examined together with FIG. XX in order to drive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030). Furthermore, the processor (1020) may operate at least two or more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drive the application program.
전원공급부(1080)는 프로세서(102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자 단말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08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8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20) and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user terminal. The power supply unit (108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or a replaceable battery.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0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user terminal may be implemented on the user terminal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030).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XX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Below, before examining various embodiments implemented through the user terminals examined above, the components listed above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XX.
먼저, 송수신부(1030)에 대하여 살펴보면, 송수신부(1030)의 방송 수신부(1032)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First, regarding the transceiver (1030),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32) of the transceiver (1030)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or a terrestrial channel. Two or more of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s may be provid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for simultaneous broadcast reception or broadcast channel switching for at least two broadcast channels.
이동통신 송수신부(1031)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3GPP 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031) transmits and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 (Wideband CDMA),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3GPP 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etc.).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forms of data such as voice call signals, video call signals, or text/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무선 인터넷 송수신부(103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송수신부(103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transceiver (1033)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can be built into or externally installed in a user terminal. The wireless Internet transceiver (1033)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3GPP NR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송수신부(103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3GPP NR, etc., and the wireless Internet transceiver (1033)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3GPP NR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송수신부(1033)은 상기 이동통신 송수신부(1031)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erspective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3GPP NR, etc. is achiev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transceiver (1033) that performs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1031).
근거리 통신부(103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부(103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사용자 단말과 다른 사용자 단말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과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can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of Bluetooth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Wi-Fi (Wireless-Fidelity), Wi-Fi Direct, and Wireless USB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technologie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can support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nother user terminal, or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network where another user terminal or an external server is located,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ireless Area Network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a short-rang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여기에서, 다른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넥밴드(neckband),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034)은, 사용자 단말 주변에,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2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부(103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Here, the other user terminal may be a wearable device (e.g., a smartwatch, smart glasses, a neckband, a head mounted display (HMD)) capable of exchanging data with the user terminal (or capable of linking).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user terminal around the user terminal. Furthermore, if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he processor (1020) may transmit at least a part of data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to the wearable device via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Therefore, a user of the wearable device may use data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via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ccording to this, if a call is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make a phon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if a message is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the user can check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나아가, 상기 근거리 통신부(1034)을 통해 댁내 위치한 TV 또는 자동차 내부의 디스플레이 등과의 스크린 미러링이 이루어 지며, 예를 들어 MirrorLink 또는 Miracast 표준 등에 기반하여 해당 기능이 수행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TV 또는 자동차 내부의 디스플레이를 직접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screen mirroring with a TV located in a home or a display inside a car is perform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and the corresponding function is performed based on, for example, the MirrorLink or Miracast standar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trol a TV or a display inside a car using the user terminal.
위치정보 모듈(115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은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0)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송수신부(103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0)은 사용자 단말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0)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module or a WiFi (Wireless Fidelity) module. 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utilizes a GPS module, the user terminal can obta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us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GPS satellite. As anothe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utilizes a Wi-Fi module, the user terminal can obtain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based on information of a wireless AP (Wireless Access Point) that transmits or receives a wireless signal with the Wi-Fi module. If necessar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0) may perform any function of the other modules of the transceiver (1030) to obtain data regarding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s a substitute or in addi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0) is a module used to obtain the location (or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and is not limited to a module that directly calculates or obtains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방송 수신부(1032), 이동통신 송수신부(1031), 근거리 통신부(1034), 위치정보 모듈(1150) 각각은 해당 기능을 수행하는 별개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방송 수신부(1032), 이동통신 송수신부(1031), 근거리 통신부(1034) 및 위치정보 모듈(1150) 중 2개 이상에 대응하는 기능들이 하나의 모듈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Each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32),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unit (1031),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and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modules that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or functions corresponding to two or more of the broadcast receiving unit (1032), mobile communication transceiver unit (1031),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and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0) may be implemented by a single module.
다음으로, 입력부(105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05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05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04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03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05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051)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05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Next, the input unit (1050) is for inputting image information (or signal), audio information (or signal), data, or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In order to input image information, the user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one or more cameras (1051). The camera (105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an image sensor in a video call mode or a shoot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s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41) or stored in the memory (1030). Meanwhile, the plurality of cameras (1051) equipped in the user terminal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structure, and through the cameras (1051) forming the matrix structure in this way, a plurality of image information having various angles or foci may be input to the user terminal.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ameras (1051) may be arranged in a stereo structure to obtain left and right images for implementing a three-dimensional image.
마이크로폰(105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05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052) processes external acoustic signals into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utiliz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function being performed (or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Meanwhile, the microphone (1052) can implement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external acoustic signals.
사용자 입력부(105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05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프로세서(102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05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053) i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When information is input through the user input unit (1053), the processor (10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to correspond to the input information. The user input unit (1053) may include a mechanical input means (or a mechanical key, for example, a button located on the front, back, or side of the user terminal, a dome switch, a jog wheel, a jog switch, etc.) and a touch input means. As an example, the touch input means may be formed of a virtual key, a soft key, or a visual key displayed on a touch screen through software processing, or may be formed of a touch key placed on a part other than the touch screen. Meanwhile, the virtual key or visual key may have various forms and b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graphic, a text, an icon, a video,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센싱부(1060)는 사용자 단말 내 정보, 사용자 단말을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프로세서(102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06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Meanwhile, the sensing unit (1060) senses at least one of information within the user terminal, information about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user terminal, and user information,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corresponding thereto. Based on this sensing signal, the processor (1020) can control the operation or operation of the user terminal, or perform data processing, functions, or operations related to an application program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presentative sensors among various sensor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ensing unit (1060) will be examined in more detail.
먼저, 근접 센서(106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06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사용자 단말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061)가 배치될 수 있다.First, a proximity sensor (1061)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n object existing nearby without mechanical contact by using the power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etc. This proximity sensor (1061) may be placed in an internal area of a user terminal covered by the touch screen described above or near the touch screen.
근접 센서(106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06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1061) include a transmissiv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photoelectric sensor, a high-frequency oscillation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etc. In the case where the touch screen is capacitive, the proximity sensor (1061) may be configured to detect the proximity of a conductive object by a change in an electric field according to the proximity of the conductive object.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or touch sensor) itself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06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2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06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2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ct of approaching an object without touching the touch screen so that it is recognized that the object is located on the touch screen is called a "proximity touch," and an act of actually contacting the touch screen is called a "contact touch." The position of an object on the touch screen at which a proximity touch occurs means a position at which the object vertically corresponds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object is touched at a proximity touch. The proximity sensor (1061) can detect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etc.). Meanwhile, the processor (1020) processes data (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ximity touch ac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1061) as described above, and further outputs visu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rocessed data on the touch screen. Furthermore, the processor (1020) can control the user terminal so that different operations or data (or information) are processed depending on whether a touch on the same point on the touch screen is a proximity touch or a contact touch.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04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The touch sensor detects a touch (or touch input) applied to a touch screen (or display unit (1041))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method, a capacitive method, an infrared method, an ultrasonic method, and a magnetic field method.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changes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or electrostatic capacity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etc.,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location, area, pressure at the time of the touch, electrostatic capacity at the time of the touch, etc., of a touch target that applies a touch to the touch screen on the touch sensor. Here, the touch target is an object that applies a touch to the touch sensor,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etc.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프로세서(1020)로 전송한다. 이로써, 프로세서(1020)는 디스플레이부(10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프로세서(102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프로세서(1020) 자체일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processor (1020). As a result, the processor (102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041) has been touched, etc. Here, the touch controller may be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processor (1020) or may be the processor (1020) itself.
한편, 프로세서(102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사용자 단말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Meanwhile, the processor (1020)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the same control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ouch target that touches the touch screen (or a touch key provided other than the touch screen).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s or the same control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ouch target may be determined depending on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the user terminal or the running application.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Meanwhile, the touch sensor and proximity sensor discussed above can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sense various types of touch, such as short (or tap) touch, long touch, multi-touch, drag touch, flick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etc. on the touch screen.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02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The ultrasonic sensor can recogn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target using ultrasonic waves. Meanwhile, the processor (1020) can calculate the loca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through information detected from the light sensor and multiple ultrasonic sensors. The loca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can be calculated by using the property that light is much faster than ultrasonic waves, that is, the time it takes for light to reach the light sensor is much faster than the time it takes for ultrasonic waves to reach the ultrasonic sensor. 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of the wave generation source can be calculated by using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time at which ultrasonic waves arrive and the time at which light is a reference signal.
한편, 입력부(105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05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Meanwhile, the camera (1051) as seen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1050)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mera sensor (e.g., CCD, CMOS, etc.), a photo sensor (or image sensor), and a laser sensor.
카메라(105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The camera (1051) and the laser sensor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detect the touch of the detection target for the three-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 The photo sensor can be laminated on the display element, and the photo sensor is configured to scan the movement of the detection target close to the touch screen. More specifically, the photo sensor scans the contents placed on the photo sensor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light applied to the photo diode by mounting a photo diode and a TR (transistor) in rows/columns. That is, the photo sensor performs coordinate calculation of the detection target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nge in light, and through thi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tection target can be acquired.
디스플레이부(1041)는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41)는 사용자 단말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4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041) can display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running in the user terminal, or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nformation according to such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4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041) may be configured as a stereoscopic display unit that displays a stereoscopic image.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stereoscopic display unit can be applied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method such as a stereoscopic method (glasses method), an autostereoscopic method (glasses-free method), or a projection method (holographic method).
음향 출력부(104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송수신부(103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03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042)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04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042) can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transceiver unit (1030) or stored in the memory (103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etc. The audio output unit (1042) also outputs an audio signal related to a function performed in the user terminal (e.g., a call signal reception sound, a message reception sound, etc.). The audio output unit (1042) can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etc.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0)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출력부(104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출력부(104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프로세서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출력부(104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The haptic module (1530)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tactile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output unit (1043) may be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output unit (1043) may be controlled by the user's selection or the processor's settings. For example, the haptic output unit (1043) may synthesize and output different vibrations or output them sequentially.
햅틱 출력부(104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haptic output unit (1043) can generate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in addition to vibration, effects caused by stimulation such as pin arrays moving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ir injection or suction through nozzles or suction ports, brushing against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electrodes, electrostatic force, and effects caused by reproduction of hot and cold sensations using elements capable of absorbing or generating heat.
햅틱 출력부(104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출력부(1043)은 사용자 단말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output unit (1043) can not only deliver a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can also be implemente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le sense of the fingers or arms, etc. Two or more haptic output units (1043)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광출력부(1044)는 사용자 단말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The light output unit (1044) outputs a signal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vent using light from a light source of the user terminal.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user terminal may include message reception, call signal reception, missed call, alarm, schedule notification, email reception, and information reception through an application.
광출력부(1044)가 출력하는 신호는 사용자 단말이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The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output unit (1044) is implemented by the user terminal emitting light of a single color or multiple colors to the front or back. The signal output may be terminated when the user terminal detects the user's event confirmation.
인터페이스부(1090)는 사용자 단말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09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090)에 포함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090) acts as a passage for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e interface unit (109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supplies power to it, and transmits it to each component inside the user terminal, or allows data inside the user terminal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O (Input/Output) port, a video I/O (Input/Output) port, an earphone port, etc.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090).
한편, 식별 모듈은 사용자 단말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09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age rights of a user terminal, and may include a user identify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etc. A device equipped with an identification modu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interface unit (1090).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090)는 사용자 단말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face unit (1090)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user terminal when the user terminal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or may be a passage through which various command signals input by the user from the cradle ar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signals for recognizing that the user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in the cradle.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2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03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030) can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processor (1020) and can also temporarily store input/output data (e.g., phone book, message, still image, moving image, etc.). The memory (1030) can store data on various patterns of vibration and sound output when a touch input is made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0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0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The memory (1030) may include at least one type of storage medium among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n SSD (Solid State Disk type), an SDD (Silicon Disk Drive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an SD or XD memory, etc.),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a read-only memory (ROM), an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a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magnetic memory, a magnetic disk, and an optical disk. The user terminal may also be operated in relation to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030) on the Internet.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프로세서(102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0)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Meanwhile, as previously discussed, the processor (1020) controls operations related to applications and, typically, overall operations of the user terminal. For example, if the state of the user terminal satisfies a set condition, the processor (1020) may execute or release a lock state that restricts the user's input of control commands for applications.
또한, 프로세서(102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2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사용자 단말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1020) may perform control and processing related to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etc., or may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that can recognize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a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processor (1020) may control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implement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n a user terminal.
전원 공급부(1080)는 프로세서(10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08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8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02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The power supply unit (1080) includes a battery, and the battery may be a built-in battery that is rechargeable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for charging, etc.
또한, 전원공급부(108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09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wer supply unit (1080) may be equipped with a connection port, and the connection port may be configured as an example of an interface (1090) to which an external charger that supplies power for charging the battery is electrically connected.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08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08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ower supply unit (1080) may be configured to wirelessly charge the battery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port.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1080) may receive power from an external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of an inductive coupling method based on a 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and a magnetic resonance coupling method based on an electromagnetic resonance phenomenon.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for example, using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한편,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사용자 단말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Meanwhile, the user terminal can be expanded beyond the dimension that the user mainly holds and uses in his hand to a wearable device that can be worn on the body. Such wearable devices include smart watches, smart glasses, and HMDs (head mounted displays). Hereinafter, examples of user terminals expanded to wearable devices will be described.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사용자 단말과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1034)은, 사용자 단말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프로세서(102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부(103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사용자 단말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wearabl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exchange (or link) data with other user terminals.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may detect (or recognize) a wearable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on around the user terminal. Furthermore, if the detected wearable device is a device authenticat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terminal, the processor (1020) may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the data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to the wearable device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1034). Accordingly, the user may utilize the data process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For example, if a call is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make the call through the wearable device, or if a message is received at the user terminal, the user may check the received message through the wearable device.
도 8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프로세서의 상세 구성 블록도를 나타낸다.Figure 8 shows a detailed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processor illustrated in Figure 6 or Figure 7.
도 8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명세서의 개시가 구현된 프로세서(102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안된 기능, 절차 및/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복수의 회로(circuitry)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1020)은 제1 회로(1020-1), 제2 회로(1020-2) 그리고 제3 회로(102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프로세서(1020)은 더 많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8, the processor (1020) implementing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its to implement the proposed functions, procedures and/or methods described herein. For example, the processor (1020) may include a first circuit (1020-1), a second circuit (1020-2) and a third circuit (1020-3). Additionally, although not shown, the processor (1020) may include more circuits. Each circu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개시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ure 9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service providing device according to one disclosure of this specification.
도 9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와 메모리(105)와 일반 프로세서(104)를 포함할 수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9,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may includ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a memory (105), and a general processor (104).
한편,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이거나, NPU(Neural Processing Unit), 그래프 처리 유닛(graph processing unit), 혹은 TPU(Tensor Processing Unit)으로 불리기도 한다.Meanwhil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is also called a GPU (Graphic Processing Unit), NPU (Neural Processing Unit), graph processing unit, or TPU (Tensor Processing Unit).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는 복수의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는 제1 회로부, 제2 회로부, 제3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may include a plurality of circuit units. For example,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may include a first circuit unit, a second circuit unit, and a third circuit unit.
상기 메모리(105)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DRAM일 수 있다.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다.The above memory (105) may be a volatile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The volatile memory may be a DRAM. The nonvolatile memory may be a flash memory.
상기 메모리(105)는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를 동작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above memory (105) can store commands for operat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이와 같이, 상기 메모리(105)에 저장되는 상기 명령어들은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부들이 각 동작 별로 전술한 제1 회로부, 제2 회로부, 제3 회로부 등으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5)에 저장되는 상기 명령어들이 실행되지 않는 다면,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에 포함된 복수의 회로부들은 전술한 제1 내지 제3 회로부 등으로 기능적으로 구분되지 못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메모리(105)에 저장되는 상기 명령어들이 상기 인공신경망 가속 프로세서(107)에 의해서 실행되면, 상기 복수의 회로부들이 전술한 제1 내지 제3 회로부 등으로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5) can cause the plurality of circuit units included i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to be divided into the first circuit unit, the second circuit unit, the third circuit unit, etc., for each operation. If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5) are not executed, the plurality of circuit units included in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may not be functionally divided into the first to third circuit units, etc. In other words, if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memory (105) are executed by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cceleration processor (107), the plurality of circuit units can be functionally divided into the first to third circuit units, etc.
상기 일반 프로세서(104)는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기반의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프로세서 또는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기반의 아키텍처로 만들어진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반 프로세서는 IntelTM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거나 AMDTM의 CPU 혹은 ARMTM의 CPU일 수 있다.The above general processor (104) may be a processor made with a RISC (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based architecture or a processor made with a CISC (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based architecture. For example, the above general processor may b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of IntelTM , a CPU of AMDTM , or a CPU of ARMTM .
그 밖에 자세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중복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Since other details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above, we will not explain them again.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in any way as restrictive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coming within the equivalency range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embraced therein.
100: 서비스 제공 장치(매장 구축 장치)
102: 통신인터페이스104: 제어부
110: 매장 생성부120: 구매현황 수집부
130: 단골 매장 생성부140: 매칭부
150: 보상부
200: 컴퓨팅 장치200-1: 점주 단말
200-2: 사용자 단말100: Service providing device (store building device)
102: Communication interface 104: Control unit
110: Store creation section 120: Purchase status collection section
130: Regular store creation section 140: Matching section
150: Compensation Department
200: Computing device 200-1: Store terminal
200-2: User Termina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30016373 | 2023-02-07 | ||
| KR1020230016373 | 2023-02-07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124172Atrue KR20240124172A (en) | 2024-08-1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136238APendingKR20240124172A (en) | 2023-02-07 | 2023-10-12 |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store in meta-vers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40124172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89009A (en) | 2021-12-13 | 2023-06-20 | 주식회사 한컴위드 | A system that supports store operation and shopping mall opening in Metavers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89009A (en) | 2021-12-13 | 2023-06-20 | 주식회사 한컴위드 | A system that supports store operation and shopping mall opening in Metavers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0701663B2 (en) | Haptic functionality for network connected devices | |
| KR10167927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30730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070569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10235239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60126210A (en) | User equipment for recommending retargeting advertisement product, service providing device,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 |
| US20170024736A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US20170358003A1 (en) | Object recognition based retargeting advertisement product recommending server,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
| KR102068689B1 (en) | My own pricing method and fin coin generation system that combines o2o and internet of things, and fintech system | |
| KR20170045610A (en) | Multi-user payment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 |
| KR102353015B1 (en) | Digital sign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17001460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24012417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store in meta-verse | |
| US10003682B2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CN112884528B (en) | Interactive processing method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related device | |
| KR102291886B1 (en) | Digital sign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24012417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ta-verse oriented screen | |
| KR20240124171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avatar management in meta-verse | |
| KR2024012417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et management in metaverse | |
| KR20240123736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advertisements in meta-verse | |
| EP3107057A1 (en) | Mobile terminal and user profile using method thereof | |
| CN108269079A (en) | HCE mobile traffic card settlement methods | |
| KR20170018556A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 KR20220115450A (en) | Local clothing store information | |
| CN120342990A (en) | Information display method,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