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16247A - 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 Google Patents

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6247A
KR20240116247AKR1020230008938AKR20230008938AKR20240116247AKR 20240116247 AKR20240116247 AKR 20240116247AKR 1020230008938 AKR1020230008938 AKR 1020230008938AKR 20230008938 AKR20230008938 AKR 20230008938AKR 20240116247 AKR20240116247 AKR 20240116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auxiliary device
pusher catheter
delivery system
cond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709819B1 (en
Inventor
정광준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filedCritical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30008938ApriorityCriticalpatent/KR102709819B1/en
Publication of KR2024011624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16247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09819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709819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delivery system. The system may include: a stent having a first conduit through which a guide wire passes and having an end portion formed as a pig tail portion; a pusher catheter having a second conduit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passes and disposed behind the stent; and an auxiliary device having a third conduit into which the stent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pig tail portion is unfolded on one side and into which the pusher catheter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The guide wire may pass directly through the first conduit of the stent to the second conduit of the pusher catheter in a state in which the stent and the pusher catheter are closely inserted into the third conduit of the auxiliary devic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 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본 발명은 내시경적 역행성 췌담도 조영술(ERCP) 시술에 사용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시 스텐트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 및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보조장치를 갖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nt delivery system used in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ERCP) procedures, and more specifically, to a functionally reinforced pusher catheter to facilitate stent insertion during the procedure, and a guide wire passing through the stent and pushing the stent. It relates to a stent delivery system with an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passage directly through a catheter.

종래, 혈관, 소화관, 담관, 췌장관, 요관 등의 생체 내 관강에 형성된 협착부에 대하여, 이 협착부를 확장하고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의료용 스텐트의 삽입이 행해진다. 스텐트를 협착부에 전달하기 위해 당 업계에 공지된 가이드 카테터와 푸셔 카테터가 사용된다. 스텐트, 가이드 카테터, 및 푸셔 카테터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딜리버리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04476호에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a medical stent is inserted into a stenosis formed in an in vivo lumen such as a blood vessel, digestive tract, bile duct, pancreatic duct, or ureter in order to expand the stenosis and maintain the open state. Guide catheters and pusher catheters known in the art are used to deliver the stent to the stricture. Stents, guide catheters, and pusher catheters make up the stent delivery system. This type of delivery system is disclosed, for example,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204476.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은, 가이드 카테터, 가이드 카테터의 외주에 끼워지는 스텐트, 및 가이드 카테터의 외주에 끼워지고 스텐트에 대해 손 측에 더 가깝게 위치되는 푸셔 카테터를 포함한다.The delivery system includes a guide catheter, a stent fit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catheter, and a pusher catheter fitt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guide catheter and positioned closer to the hand side relative to the stent.

상기 딜리버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가이드 와이어를 내시경의 채널을 통해 담관 내에 도입하고, 그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가 협착부를 넘는 위치까지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스텐트와 상기 스텐트의 기단측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가 구비된 딜리버리 시스템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손 측에서 상기 가이드 카테터로 끼워 맞추며, 가이드 와이어를 가이드로 사용하여 스텐트를 담관 내부로 강제 전진시킨다.The delivery system is used as follows. A guide wire is introduced into the bile duct through the channel of the endoscope, and the tip of the guide wire is inserted to a position beyond the stricture. Next, a delivery system equipped with a stent and a pusher catheter disposed on the proximal side of the stent fits the guide wire from the hand side to the guide catheter, and uses the guide wire as a guide to forcibly advance the stent into the bile duct. I order it.

이어서, 가이드 카테터와 푸셔 카테터의 기단측 소켓을 분리하고, 가이드 카테터와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푸셔 카테터에 의해 스텐트를 밀어낸다. 이때, 스텐트는 후단에 배치된 플랩이 십이지장 유두와 접촉할 때까지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스텐트를 협착부에 위치시킨다. 스텐트의 길이는 의료진이 미리 환자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기 때문이다.Next, the proximal socket of the guide catheter and the pusher catheter are separated, and the stent is pushed out using the pusher catheter while maintaining the positions of the distal ends of the guide catheter and guide wire. At this time, the stent is inserted until the flap placed at the rear end contacts the duodenal papilla. In this state, the stent is placed in the stricture.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stent is appropriately selected by the medical staff in advance according to the patient.

계속해서, 푸셔 카테터를 스텐트에 접촉시켜 스텐트를 지지하고, 스텐트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 카테터만 손 측으로 다시 끌어당긴다. 그 결과, 스텐트는 협착의 적절한 위치에 남아서 그 안에 삽입된다.Continuing, the pusher cathet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ent to support the stent, and while the stent is fixed so as not to move, only the guide catheter is pulled back to the hand side. As a result, the stent remains in the appropriate location of the stricture and is inserted therein.

그러나, 푸셔 카테터가 스텐트를 밀어줄 때, 기존의 푸셔 카테터는 밀어주는 힘이 약하고,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날 때 푸셔 카테터와의 접점이 없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에 다이렉트로 삽입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기존에는, 스텐트와 푸셔 카테터 간의 접점이 없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면서 푸셔 카테터를 따로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However, when the pusher catheter pushes the stent, the pushing force of the existing pusher catheter is weak, and there is no contact point with the pusher catheter when the guide wire passes the stent, making it difficult for the guide wire to pass through the stent and be directly inserted into the pusher catheter. there is a problem. Previously, there was no contact point between the stent and the pusher catheter, so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nect the pusher catheter separately while the guide wire passed through the stent.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6-204476호(2006.08.10. 공개)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06-204476 (published on August 10,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ERCP 시술시 기능적 강화된 푸셔 카테터를 통해 스텐트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보조장치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와 푸셔 카테터를 따로 연결하지 않아도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바로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stent insertion through a functionally enhanced pusher catheter during ERCP procedures, and to allow the guide 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the pusher catheter without separately connecting the guide wire and the pusher catheter through an auxiliary device. , providing a stent delivery system.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스템은,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 스텐트;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를 가지며, 상기 스텐트의 후방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 및 일측으로 상기 스텐트가 상기 피그테일부가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푸셔 카테터가 삽입되는 제3 관로를 갖는 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에 상기 스텐트와 상기 푸셔 카테터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스텐트의 제1 관로를 지나 상기 푸셔 카테터의 제2 관로로 바로 지나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stent delivery system. The system includes a stent having a first conduit through which a guide wire can pass and an end formed as a pig tail; a pusher catheter disposed behind the stent and having a second conduit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can pass; And an auxiliary device having a third conduit into which the stent is inserted on one side with the pigtail portion unfolded, and the pusher catheter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wherein the stent and the pusher catheter are located within the third conduit of the auxiliary device. When fitted in close proximity, the guide wire may pass directly through the first conduit of the stent and into the second conduit of the pusher cathet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와 근접 위치한 측의 상기 푸셔 카테터의 단부에는, 상기 스텐트을 밀어주는 힘을 강화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메탈 팁이 장착되며, 상기 메탈 팁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 of the pusher catheter on the side located close to the stent is equipped with a metal tip made of a metal material to strengthen the force pushing the stent, and the guide wire can pass through the metal tip.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는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stent may be formed as a pigtail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에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스텐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측벽에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로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evice has an inser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of the third pipe of the auxiliary device formed on a side wall so that the stent can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insertion hol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third conduit of the auxiliary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텐트는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하며 피그테일부를 펼쳐주는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끼워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s of the stent are formed with pigtail portions, and a pigtail expansion member that moves left and 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and spreads the pigtail portion may be fit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nt.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장치의 선단에는, 상기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장치의 몸체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펼침부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ansion member mounting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body width of the auxiliary device may be formed at the tip of the auxiliary device so that the pigtail expansion member can be mounted.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 카테터의 선단에 금속 팁을 장착하여 푸셔 카테터의 밀어주는 힘을 강화하고, 보조장치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에 다이렉트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al tip is mounted on the tip of the pusher catheter to strengthen the pushing force of the pusher catheter, and the guide wire can pass through the stent and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pusher through an auxiliary device.

가이드 와이어가 스텐트를 지나 푸셔 카테터로 한 번에 지나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이드 와이어를 스텐트에 삽입하고 난 후에 스텐트의 피그테일부(pig tail)를 펴서, 다시 가이드 와이어가 지나가면 그 뒤로 푸셔 카테터를 별도로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By allowing the guide wire to pass through the stent and into the pusher catheter at once, the user inserts the guide wire into the stent, unfolds the pigtail of the stent, and when the guide wire passes again, the pusher catheter is inserted behind it. You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repeating the task of connecting separat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삽입홀을 통해 보조장치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shows a s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ent with one end formed as a pigtail is applied.
Figure 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ent with both ends formed as pigtails is applie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stent used in the stent delivery system of Figure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nt of Figure 3 into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auxiliary devic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n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er catheter is inserted into an auxiliary device behind the stent of Figure 5.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ent used in the stent delivery system of FIG. 2.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nt of Figure 7 into one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n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of Figure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er catheter is inserted into an auxiliary device behind the stent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Also,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related known func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y are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스텐트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Figure 1 shows a s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ent with one end formed as a pigtail is applied. Figure 2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tent with both ends formed as pigtails is appli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은 스텐트(100), 푸셔 카테터(200), 및 보조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stent deliver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nt 100, a pusher catheter 200, and an auxiliary device 300.

스텐트(100)는 가이드 와이어(10)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110)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다. 스텐트(1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원통형 모양의 관형으로 연장된다. 도 1, 2에서는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된 스텐트(100)의 단부에 형성된 피그테일부(130a)가 펴진 상태로 도시된다.The stent 100 has a first conduit 110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10 can pass, and its end is formed as a pig tail. The stent 10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extends into a cylindrical tubular shape. 1 and 2, the pigtail portion 130a formed at the end of the stent 100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300 is shown in an unfolded state.

스텐트(100)는, 도 1과 같이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130a)로 형성된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single pig tail plastic stent)(100a), 또는 도 2와 같이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130a, 130b)로 형성된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double pig tail plastic stent)(100b)로 구성될 수 있다. 스텐트(100a)의 외주면 선단부에는 플랩(120)이 형성된다. 플랩(120)은 기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The stent 100 is a single pig tail plastic stent 100a having one end formed of a pigtail portion 130a as shown in FIG. 1, or a single pig tail plastic stent 100a having both ends formed of a pigtail portion 130a as shown in FIG. 2. It may be composed of a double pig tail plastic stent (100b) formed by 130a, 130b). A flap 120 is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nt 100a. The flap 120 is formed to open radially outward toward the proximal end.

도 2의 실시예에서, 스텐트(100b)의 외주면에는, 스텐트(100b)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하여 피그테일부(130a, 130b)를 펼쳐주는 피그테일 펼침부재(400)가 끼워진다. 도 2와 같이 스텐트(100b)가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인 경우, 스텐트(100b)의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130a, 130b)로 형성되어 있다. 피그테일 펼침부재(400)는, 스텐트(100b)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양측의 피그테일부(130a, 130b)를 각각 펼쳐주는 역할을 한다.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a pigtail expansion member 400 that moves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100b to spread the pigtail portions 130a and 130b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nt 100b. As shown in FIG. 2, when the stent 100b is a double pigtail plastic stent, both ends of the stent 100b are formed as pigtail portions 130a and 130b. The pigtail expansion member 400 moves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stent 100b and serves to unfold the pigtail portions 130a and 130b on both sides, respectively.

푸셔 카테터(200)는 가이드 와이어(10)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210)를 가지며, 스텐트(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푸셔 카테터(20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원통형 모양의 관형으로 연장된다. 푸셔 카테터(200)는 보조장치(300)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스텐트(100)를 밀어주는 역할을 한다.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에 스텐트(100)와 푸셔 카테터(200)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다.The pusher catheter 200 has a second conduit 210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10 can pass, and is disposed behind the stent 100. The pusher catheter 200 is made of plastic material and extends into a cylindrical tubular shape. The pusher catheter 200 moves forward within the auxiliary device 300 and serves to push the stent 100. The stent 100 and the pusher catheter 200 are fitted in close proximity within the third conduit 310 of the auxiliary device 300.

상기 스텐트(100)와 근접 위치한 측의 푸셔 카테터(200)의 단부에는, 스텐트(100)를 밀어주는 힘을 강화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메탈 팁(220)이 장착된다. 메탈 팁(220)은 푸셔 카테터(200)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장착되며, 메탈 팁(220)에는 가이드 와이어(10)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금속 소재의 메탈 팁(220)은, 기존 플라스틱 푸셔 카테터(200)보다 스텐트(100)를 밀어주는 힘을 훨씬 증가시켜, 안정적으로 인체에 스텐트(100)를 안착시킬 수 있다.At the end of the pusher catheter 200 located close to the stent 100, a metal tip 220 made of a metal material is mounted to strengthen the force pushing the stent 100. The metal tip 220 is mounted on the pusher catheter 200 by screwing, and a through hole 221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10 can pass is formed in the metal tip 220. The metal tip 220 made of metal significantly increases the force pushing the stent 100 compared to the existing plastic pusher catheter 200, allowing the stent 100 to be stably seated in the human body.

보조장치(300)는, 일측으로 스텐트(100)가 피그테일부(130a)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푸셔 카테터(200)가 삽입되는 제3 관로(310)를 갖는다.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에는, 스텐트(100)와 푸셔 카테터(200)가 서로 인접하도록 끼워진다. 스텐트(100)의 일 단부는 피그테일 형태로 말아져 있는데, 보조장치(300) 내로 스텐트(100)의 피그테일부(130a) 측을 수납하여 피그테일부(130a)를 최대한 일자로 펼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이드 와이어(10)가 스텐트(100)의 제1 관로(110)를 지나 인접한 푸셔 카테터(200)의 제2 관로(210)로 바로 지나갈 수 있다.The auxiliary device 300 has a third conduit 310 into which the stent 100 is inserted with the pigtail portion 130a unfolded on one side, and the pusher catheter 2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In the third conduit 310 of the auxiliary device 300, the stent 100 and the pusher catheter 200 are inserted adjacent to each other. One end of the stent 100 is rolled up into a pigtail shape. By storing the pigtail portion 130a of the stent 100 in the auxiliary device 300, the pigtail portion 130a can be unfolded as straight as possible. . Through this, the guide wire 10 can pass directly through the first conduit 110 of the stent 100 and into the second conduit 210 of the adjacent pusher catheter 200.

보조장치(300)에는, 외측으로부터 스텐트(100a)가 삽입 가능하도록 측벽에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와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홀(320)이 형성된다. 스텐트(100a)는 삽입홀(320)을 통해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로 삽입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텐트(100a)를 보조장치(300) 내로 용이하게 끼우는 것이 가능하다. 보조장치(300)의 선단에는, 피그테일 펼침부재(400)가 장착 가능하도록 보조장치(300)의 몸체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펼침부재 장착부(330)가 형성된다. 펼침부재 장착부(330)와 보조장치(300)의 몸체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되며, 피그테일 펼침부재(400)는 상기 단턱에 의해 펼침부재 장착부(330) 내에 고정된다.In the auxiliary device 300, an insertion hole 320 is formed in the side wall to allow the stent 100a to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pipe 310 of the auxiliary device 300 and the outside. The stent 100a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nduit 310 of the auxiliary device 300 through the insertion hole 320.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insert the stent 100a into the auxiliary device 300. At the tip of the auxiliary device 300, an expansion member mounting portion 330 is formed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body width of the auxiliary device 300 so that the pigtail expansion member 400 can be mounted. A step is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member mounting portion 330 and the body of the auxiliary device 300, and the pigtail expansion member 400 is fixed within the expansion member mounting portion 330 by the step.

도 3은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삽입홀을 통해 보조장치 내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ent used in the stent delivery system of FIG. 1.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nt of Figure 3 into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auxiliary device.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n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er catheter is inserted into an auxiliary device behind the stent of Figure 5.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100a)를 사용하는 도 1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tent delivery system of FIG. 1 using the single pigtail plastic stent 100a is described as follows.

도 3을 참조하면, 스텐트(100a)는 플랩(120)이 형성된 선단부와 후단 피그테일부(130a)를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스텐트(100a)의 선단부를 보조장치(300)의 측벽에 형성된 삽입홀(320) 내로 밀어넣어 보조장치(300)의 제3 관로(310) 내로 삽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텐트(100a)는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되어 선단이 보조장치(30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텐트(100a)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200)가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된다. 푸셔 카테터(200)의 전단에는 메탈 팁(220)이 장착되어 스텐트(100a)를 강화된 힘으로 밀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stent 100a has a front end with a flap 120 formed thereon and a rear pigtail portion 130a. Referring to FIG. 4, the user inserts the distal end of the stent 100a into the third conduit 310 of the auxiliary device 300 by pushing it into the insertion hole 320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auxiliary device 300. Referring to FIG. 5, the stent 100a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300 and the tip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auxiliary device 300. Referring to FIG. 6, the pusher catheter 20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300 behind the stent 100a. A metal tip 22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pusher catheter 200 to push the stent 100a with increased force.

도 7은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스텐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스텐트가 보조장치의 일측으로 삽입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보조장치 내로 스텐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텐트 후방으로 푸셔 카테터가 보조장치 내로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showing a stent used in the stent delivery system of FIG. 2. Figure 8 is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stent of Figure 7 into one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stent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of Figure 8.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usher catheter is inserted into an auxiliary device behind the stent of FIG. 9.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100b)를 사용하는 도 2의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 the operating method of the stent delivery system of FIG. 2 using the double pigtail plastic stent 100b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7을 참조하면, 스텐트(100b)는 전단 피그테일부(130b)와 후단 피그테일부를 갖는다. 스텐트(100b)의 몸체에는 피그테일부를 펴기 위한 피그테일 펼침부재(400)가 끼워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그테일 펼침부재(400)로 스텐트(100b)의 전방 피그테일부(130b)로 이동시켜 말린 형태의 피그테일부를 편다. 이 상태에서 스텐트(100b)를 보조장치(300)의 일측으로 삽입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텐트(100b)은 전방부가 보조장치(300) 내로 삽입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텐트(100b)와 반대편에서 보조장치(300)에 푸셔 카테터(200)가 삽입된다. 푸셔 카테터(200)의 전단에는 메탈 팁(220)이 장착되어 스텐트(100b)를 강화된 힘으로 밀게 된다.Referring to FIG. 7, the stent 100b has a front end pigtail portion 130b and a rear end pigtail section. A pigtail expansion member 400 for spreading the pigtail portion is fitted to the body of the stent 100b. Referring to FIG. 8, the user moves the pigtail unfolding member 400 to the front pigtail portion 130b of the stent 100b to spread the rolled pigtail portion. In this state, the stent 100b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auxiliary device 300. Referring to FIG. 9, the front portion of the stent 100b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300. Referring to FIG. 10, the pusher catheter 200 is inserted into the auxiliary device 300 from the opposite side to the stent 100b. A metal tip 220 is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pusher catheter 200 to push the stent 100b with increased force.

이 분야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The scope of protection in this fiel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ption and expression of the embodiments explicitly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is added once again that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limited due to changes or substitutions that are obviou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100: 스텐트
100a: 싱글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
100b: 더블 피그테일 플라스틱 스텐트
110: 제1 관로 120: 플랩
130a, 130b: 피그테일부
200: 푸셔 카테터 210: 제2 관로
220: 메탈 팁 221: 관통홀
300: 보조장치 310: 제3 관로
320: 삽입홈 330: 펼침부재 장착부
400: 피그테일 펼침부재
100: stent
100a: single pigtail plastic stent
100b: Double pigtail plastic stent
110: first conduit 120: flap
130a, 130b: Pigtail part
200: pusher catheter 210: second conduit
220: Metal tip 221: Through hole
300: Auxiliary device 310: Third pipe
320: Insertion groove 330: Expansion member mounting portion
400: Pigtail expansion member

Claims (6)

Translated fromKorean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1 관로를 가지며 단부가 피그테일부(pig tail)로 형성된 스텐트;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제2 관로를 가지며, 상기 스텐트의 후방에 배치된 푸셔 카테터; 및
일측으로 상기 스텐트가 상기 피그테일부가 펴진 상태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상기 푸셔 카테터가 삽입되는 제3 관로를 갖는 보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에 상기 스텐트와 상기 푸셔 카테터가 근접 위치하게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상기 스텐트의 제1 관로를 지나 상기 푸셔 카테터의 제2 관로로 바로 지나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A stent having a first conduit through which a guide wire can pass and an end formed as a pig tail;
a pusher catheter disposed behind the stent and having a second conduit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can pass; and
It includes an auxiliary device having a third pipe into which the stent is inserted on one side with the pigtail portion unfolded, and the pusher catheter is inserted on the other side,
In a state where the stent and the pusher catheter are fitted in close proximity within the third conduit of the auxiliary device, the guide wire can pass directly through the first conduit of the stent and into the second conduit of the pusher catheter. , stent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와 근접 위치한 측의 상기 푸셔 카테터의 단부에는, 상기 스텐트을 밀어주는 힘을 강화시키기 위한 금속 소재의 메탈 팁이 장착되며, 상기 메탈 팁에는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t the end of the pusher catheter on the side located close to the stent, a metal tip made of metal is mounted to strengthen the force pushing the stent, and the metal tip is characterized in that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wire can pass is formed. , stent delivery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일 단부가 피그테일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ent is a stent deli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ne end is formed as a pigtail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에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스텐트가 삽입 가능하도록 측벽에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와 외부를 연통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는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보조장치의 제3 관로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3,
In the auxiliary device,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third pipe of the auxiliary device so that the stent can be inserted from the outside,
A stent deli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nt is inserted into the third conduit of the auxiliary device through the insertion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양 단부가 모두 피그테일부로 형성되며,
상기 스텐트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텐트의 길이방향 좌우로 이동하며 피그테일부를 펼쳐주는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Both ends of the stent are formed as pigtail parts,
A stent deli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 pigtail expansion member that moves to the left and righ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nt and expands the pigtail portion is fitt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e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의 선단에는, 상기 피그테일 펼침부재가 장착 가능하도록 상기 보조장치의 몸체 폭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펼침부재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딜리버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use 5,
A stent delivery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n expansion member mounting portion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e body width of the auxiliary devic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auxiliary device so that the pigtail expansion member can be mounted.
KR1020230008938A2023-01-202023-01-20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ActiveKR102709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08938AKR102709819B1 (en)2023-01-202023-01-20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08938AKR102709819B1 (en)2023-01-202023-01-20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16247Atrue KR20240116247A (en)2024-07-29
KR102709819B1 KR102709819B1 (en)2024-09-25

Family

ID=92176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008938AActiveKR102709819B1 (en)2023-01-202023-01-20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7098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204476A (en)2005-01-272006-08-10Olympus Corp Endoscopic treatment tool
US20070050006A1 (en)*2005-08-312007-03-01Cook Ireland LimitedCoaxial dilatation method for stent implantation
KR20120079431A (en)*2011-01-042012-07-12(주) 태웅메디칼Catheter structure for stent surgical operation use guidewire stent
KR20210001149A (en)*2019-06-272021-01-06(주)세종헬스케어Drainage catheter
KR20210037420A (en)*2019-09-272021-04-06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Drainage catheter with st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2006204476A (en)2005-01-272006-08-10Olympus Corp Endoscopic treatment tool
US20070050006A1 (en)*2005-08-312007-03-01Cook Ireland LimitedCoaxial dilatation method for stent implantation
KR20120079431A (en)*2011-01-042012-07-12(주) 태웅메디칼Catheter structure for stent surgical operation use guidewire stent
KR20210001149A (en)*2019-06-272021-01-06(주)세종헬스케어Drainage catheter
KR20210037420A (en)*2019-09-272021-04-06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Drainage catheter with s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709819B1 (en)202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5603698A (en)Prosthesis delivery system
EP1694249B1 (en)Biliary stent introducer system
JP5014436B2 (en) Push-in sheath and placement device
JP4237410B2 (en) Guide device and method for inserting and advancing a catheter and guidewire into a patient's blood vessel during an endovascular procedure
EP0702535B1 (en)Prosthesis delivery system with dilating tip
JP3777469B2 (en) Stent insertion device using hydraulic pressure
US7651520B2 (en)Means and method for the accurate placement of a stent at the ostium of an artery
EP0880374B1 (en)Directional catheter
CA2121773A1 (en)Peel-Away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 Pancreatography Catheter and a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020055732A1 (en)Catheter assembly and method for positioning the same at a bifurcated vessel
US20020055733A1 (en)Catheter assembly and method of use
EP1031329A3 (en)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US20060190069A1 (en)Unidirectional delivery system
EP1031330A3 (en)Bifurcated axially flexible stent
US20100121426A1 (en)Stent Introducer System
JP2011528572A (en) Introducer for intravascular graft
JP2014525333A (en) Microcatheter
KR20130140025A (en)Medical catheter device
WO2010082399A1 (en)Selective cannulation method to lumen tissue having branch site and endoscopic tool
KR102709819B1 (en)Stent delivery system with functionally enhanced ercp pusher catheter and auxiliary device that allows guidewire to pass directly through the stent to pusher catheter
KR102136930B1 (en)Apparatus of stent loading with double lumen sheath structure and method of stent loading using the apparatus
US5460614A (en)Guidewire trapping catheter
US20070225790A1 (en)Introducer sheath for the placement of a stent at the ostium of an artery
WO2016021591A1 (en)Introduction assistance instrument with side hole
JPH10234860A (en)Catheter for stent delivery, and vasolidation utensil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