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16177A - Medical Bipolar Snare - Google Patents

Medical Bipolar Sna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6177A
KR20240116177AKR1020230008764AKR20230008764AKR20240116177AKR 20240116177 AKR20240116177 AKR 20240116177AKR 1020230008764 AKR1020230008764 AKR 1020230008764AKR 20230008764 AKR20230008764 AKR 20230008764AKR 20240116177 AKR20240116177 AKR 20240116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nare
pole
dial
wire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동진
정준원
신연호
임경민
나경석
Original Assignee
(주)비엠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엠에이filedCritical(주)비엠에이
Priority to KR1020230008764ApriorityCriticalpatent/KR20240116177A/en
Publication of KR2024011617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16177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bipolar snare structure which is the elastic endoscopic procedure instrument capable of the polyp resection operation, which is convenient to use in the existing operation environment and equipment and effectively uses the electrical energy,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bipolar to the endoscopic procedure instrument snare. A medical bipolar snare comprises: a hollow body part which is extended in one direction; a slider handle which is combined to slide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par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wire assembly which is inserte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to the inside in an axi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handle; a hollow outer tube which is extended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art in one direction; a bipolar electrode which has a first electrode of (-) pole or (+) pole and a second electrode of (+) pole or (-) pole; and a power connection part which applies power to the bipolar electrod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Medical Bipolar Snare}Medical Bipolar Snare

본 발명은 연성 내시경 시술기구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 소화기관 점막의 용종 등 환부 조직을 절제하기 위해 바이폴라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시술기구로써 (+), (-) 양극성의 바이폴라 제1, 2 전극을 스네어에 인가하여 그 전기 에너지를 환자의 몸속 국소 환부에 집중하여 환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내시경 시술기구인 바이폴라 스네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bipolar snare, which is a flexible endoscopic surgical device. More specifically, it is a surgical device that uses bipolar electrical energy to excise diseased tissue such as polyps of the mucous membrane of the human digestive tract. It is a surgical device that uses bipolar snares of (+) and (-) polarities. It relates to a bipolar snare, an endoscopic surgical device that applie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the snare and focuses the electric energy on the local affected area in the patient's body to cut and remove the affected area.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Unless otherwise indicated herein, the material described in this section is not prior art to the claims of this application, and is not admitted to be prior art by inclusion in this section.

일반적으로 내시경을 이용한 최소 침습성 수술을 수행할 때, 예를 들어 대장내의 용종 제거를 최소 침습성 수술에 의해 진행할 때,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 기구에는 조직을 잡은 후 조직을 절제하는 스네어(snare)를 채용하게 된다. 스네어와 관련된 선행기술 중 한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42136호 "용종절제시술용 더블 스네어장치"(공개일자: 2012.05.03)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단위 스네어를 조종 핸들로 동작시켜 선택적으로 조직을 절제하도록 하는 기술을 나타낸다.In general, when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ing an endoscope, for example, when removing polyps in the large intestine through minimally invasive surgery, a snare is used as the surgical instrument that performs the surgery to grab the tissue and then excise the tissue. I do it. Among the prior arts related to snares, as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2136 "Double snare device for polypectomy surgery" (publication date: 2012.05.03), the unit snare is operated with a control handle. It refers to a technique that selectively excises tissue.

종래 소화기관 내시경용 스네어는 대표적으로 인체 내의 용종 등 환부 표적 조직을 절제하기 위해 생체 조직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단극성의 모노폴라(monopolar) 방식이 사용되었다.Conventional snares for digestive endoscopes typically use a monopolar method to transmit electrical energy to living tissue to excise target tissue in the affected area, such as polyps in the human body.

상기 모노폴라(monopolar) 방식은 인체 내의 환부 표적 조직에 제1 전극(+ 또는 - 전극)을 접촉시키고, 허리, 엉덩이 등과 같은 인체 외부에 제2 전극(- 또는 + 전극)을 접촉시킴으로써 환부 국소 조직을 포함한 광역대의 범위로 전기적 에너지가 가해져 필요 이상의 에너지 비용은 물론, 국소 환부 외의 정상 생체 범위까지 전기 에너지 가열에 따른 외상이 우려되고 또는 정상 세포의 파괴가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었다.The monopolar method involves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 or - electrode) with the target tissue of the affected area within the human body, and contacting the second electrode (- or + electrode) with the outside of the human body, such as the waist, buttocks, etc., to control the local tissue of the affected area. Electrical energy was applied over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excessive energy costs, as well as side effects such as concerns about trauma due to heating of electric energy to the normal biological range other than the local affected area, or destruction of normal cells.

또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체 내의 환부 표적 조직을 절제하기 위해 국소 생체 조직에만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방식이 연구되고, 환부 국소 범위 외의 정상 세포를 보호하여 용종 제거 등의 내시경 절제 시술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한 양극성의 바이폴라 ±조가 개발되기는 하였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실제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 method of transmitting electrical energy only to local biological tissues to excise the target tissue of the affected area within the human body has been studied, and endoscopic resection procedures such as polyp removal by protecting normal cells outside the local area of the affected area. Although a bipolar ± group that minimized side effects was developed, its structure was complex and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actual use.

1)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42136호 "용종절제시술용 더블 스네어장치"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42136 “Double snare device for polypectomy surgery”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바이폴라 구조체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폴라의 구조를 내시경 시술기구인 스네어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시술환경 및 장비에 사용하는데도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한 용종 절제 시술이 가능한 연성 내시경 시술기구인 바이폴라 스네어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bipolar structure. By applying the bipolar structure to the snare, a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exible polypectomy procedure using electrical energy that is convenient and effective for use in existing surgical environments and equip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bipolar snare structure, which is a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에 있어서,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 손잡이,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축방향 관통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에 연결되는 통전 가능한 와이어 어셈블리,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연장하는 중공의 외측 튜브, (-)극 또는 (+)극 중 하나의 제1전극과 (+)극 또는 (-)극의 제2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전극, 및 상기 바이폴라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의 선단부에 통전 가능한 스네어가 부설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외측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스네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edical bipolar snare, comprising a hollow body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lider handle coupled to allow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axially inserted through the body from the front end inward, the other end of which is A conductive wire assembly connected to a slider handle, a hollow outer tub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tip of the body, a first electrode of either a (-) pole or a (+) pole, and a second electrode of a (+) pole or (-) pole. It includes a bipolar electrode having two electrodes, and a power connector for applying power to the bipolar electrode, wherein the wire assembly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and protrudes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wire assembly. A snare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is installed,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outer tube, and the second electrode is formed of the snare.

또한, 상기 외측튜브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고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일자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외측튜브의 일자형 관통공에 내삽되어 상기 전원연결부로부터 상기 외측튜브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전극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tube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ght through-holes arranged radially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axis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ip, and the power connector is interpolated into the straight through-hole of the outer tube to provide the power supply. It extends from the connection portion along the outer tube and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power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또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외측튜브의 선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ing shap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of the outer tube.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는 (-)극 연결부 및 (+)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와 내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ower connection unit includes a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and a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and either the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or the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wire assembly. connected, and the other one of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or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는 (-)극 연결부 및 (+)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dditionally, the power connection unit includes a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and a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and either the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or the (+) polarity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wire assembly to operate the slider knob. It extends backward through the electrode, and the other one of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or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또한,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에 상기 바디부의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다이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다이얼의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를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art is coupled to the slider handle to enable axial rotation of the body part, and further includes a dial that rotates the wire assembly, and the body part has a slit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po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al. It is characterized by forming.

또한,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의 내측에 상기 바디부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내삽되고 그 일측단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의 선단부로 돌출 형성되는 다이얼 체결부를 형성한 회전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다이얼 체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fixing memb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lider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forming a dial fastening portion whose one end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slider handle, wherein the dial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dial fastening part.

또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소정 길이로 그 외주면에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내측에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와이어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상기 다이얼의 와이어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ir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wire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al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dial forms a wire fixing groove on the inside to accommodate the wire fixing member, and the wire fixing member is a wire of the d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and rotates along the dial to rotate the wire assembly.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양극성의 바이폴라의 개념을 내시경 시술기구인 스네어(Snare, 올가미)에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복잡하면서 사용하는데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으로 결합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basically applying the concept of bipolar bipolar to the snare (snare), a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there is an advantage of simple and effective combination by improving the complex and inconvenient use of the conventional device.

본 발명은 바이폴라 전극이 통합 구성된 스네어를 이용하여 환자의 소화기관 내시경 시술부위의 인체 내의 용종 등 환부 표적 조직을 쉽게 절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환부의 생체 조직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성요소가 모두 상기 스네어 장비에 부설되어 종래 기술의 단극 모노폴라 방식의 스네어의 단점들이 모두 해소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asily excise target tissue of the affected area, such as polyps, within the human body at the endoscopic procedure site of the patient's digestive tract using a snare with integrated bipolar electrodes, and at this time, a component that transmits electrical energy to the biological tissue of the affected area. are all attached to the snare equipment, so that all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single-pole monopolar snare can be eliminated.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슬라이더 손잡이의 측면(도 5a), 정면(도 5b), 및 단면(도 5c)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단면과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선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외측튜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ide (Figure 5a), front (Figure 5b), and cross-section (Figure 5c) views of a slider hand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and a portion of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ross section of the tip of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outer tube of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id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plan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Hereinafter,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For reference, in the drawings below, each component is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and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iz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nd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components in individual drawings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슬라이더 손잡이의 측면(도 5a), 정면(도 5b), 및 단면(도 5c)을 나타낸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단면과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선단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며, 도 8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외측튜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ures 1 to 4 are a perspective view, side view, top view,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side view (Figure 5a) and front view (Figure 5) of the slider hand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and cross section (FIG. 5c). In addition, Figure 6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nlarged cross-section and a portion of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 of the distal end of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conceptual diagram, and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 of the outer tube of a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는,As shown,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의 바디부(400), 상기 바디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 손잡이(500),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축방향 관통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에 연결되는 통전 가능한 와이어 어셈블리(100),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연장하는 중공의 외측 튜브, (-)극의 제1전극(310)과 (+)극의 제2전극(320)을 갖는 바이폴라 전극(300), 상기 바이폴라 전극(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연결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상기 외측 튜브의 내측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통전 가능한 스네어(10)가 부설되며, 상기 제1전극(310) 또는 제2전극(320) 중 하나는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전극(310) 또는 제2전극(32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스네어(10)로 이루어진다.A hollow body portion 400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lider handle 500 coupl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00, and an axial direction inward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00. A wire assembly 100 that is inserted through and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lider handle 500, a hollow outer tub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400, and a first electrode of the (-) pole ( 310) and a bipolar electrode 300 having a (+) second electrode 320, and a power connection unit 800 for applying power to the bipolar electrode 300. Here, the wire assembly 100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and protrudes to the tip of the outer tube, and a snare 10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wire assembly 100, and the first electrode. One of the first electrode 310 or the second electrode 320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outer tube 200, and the other of the first electrode 310 or the second electrode 320 is made of the snare 10.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함에 있어, 바이폴라 전극(300)을 구성하는 상기 제1전극(310)은 외측튜브(200)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320)은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연결된 스네어(10)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0 constituting the bipolar electrode 300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outer tube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is a wire assembly.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an embodiment consisting of a snare 10 connected to the tip of 10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는 내시경 시술 기구인 스네어(10)에 바이폴라 전극(300)을 부설함으로써, 인체 소화기관 점막의 용종 등의 환부 조직을 절제함에 있어 (+), (-) 양극성의 바이폴라 전극(300)을 통전 가능한 스네어(10)에 인가하여 그 전기 에너지를 환자의 복강 내부 국소 환부에 집중함으로써 환부를 용이하게 절단하여 제거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양극성의 바이폴라 전극(300)이 스네어(10) 시술 기구에 부설되어 있으므로, 시술을 위하여 복강 내부로 진입하는 시술 기구 이외의 부가적인 장치들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시술 기구의 소형화가 가능하며, 종래의 모노폴라 전극을 사용하는 기술이 가지는 국소 환부 외의 정상 생체 범위까지 전기 에너지 가열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a bipolar electrode 300 to the snare 10, which is an endoscopic surgical instrument, to excise (+), (-) affected tissue such as polyps of the human digestive tract mucosa. ) The bipolar bipolar electrode 300 is applied to the current-capable snare 10 to focus the electric energy on the local affected area inside the patient's abdominal cavity, thereby easily cutting and removing the affected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ipolar bipolar electrode 300 is attached to the snare 10 surgical device, no additional devices other than the surgical device entering the abdominal cavity for the procedure are required,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or's convenience and performing the procedure. It is possible to miniaturize the devic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ide effects caused by electrical energy heating up to the normal biological range other than the localized lesion, which is inherent in the technology using conventional monopolar electrode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기술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edical bipolar sna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몸체를 형성하는 바디부(400)는 일 방향으로 소정 구간 연장하는 일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디부(400)에 와이어 어셈블리(100), 손잡이 등의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이 설치되는 몸체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4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바디부(400)를 상하로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릿은 상기 바디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후술할 슬라이더 손잡이(500)에 포함된 고정돌출부(510)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를 고정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슬릿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body portion 400, which forms the body of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ight shap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or a predetermined section, and the body portion 400 is equipped with a wire assembly 100, a handle, etc. for medical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bipolar snare forms a body on which it is installed. As shown, the body portion 400 may be formed with a slit that penetrates the body portion 400 up and down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400, and a fixing protrusion 510 included in the slider handle 5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slit to fix the slider handle 500. It can function as a guide slit that guides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바디부(400)의 후단부에는 파지부(41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410)는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사용시 상기 바디부(400)를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링 형상의 부재의 일측에 상기 바디부(400)의 후단부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부(410)의 체결부재는 공지의 어떠한 체결구조라도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파지부(410)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측으로 삽입되는데 용이하도록 링 형상의 부재가 세로로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사용 시 상기 파지부(410)에 약지 등의 손가락을 횡방향으로 삽입하여 파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dditionally, a gripping portion 410 may be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400. The gripping part 410 is provided to easily grip the body part 400 when using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400 on one side of the ring-shaped member. It includes fastening members for. The fastening member of the grip part 410 may be any known fastening structur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art 410 has a ring-shaped member arranged vertically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user's finger inside. Therefore, when using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grip the device by inserting a finger, such as the ring finger, into the gripping portion 4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에 캡결합부(430)가 부설된다. 상기 캡결합부(430)는 후술할 캡(420)이 결합되는 체결구조를 구성하되, 상기 바디부(40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와이어 어셈블리(100)가 연장할 수 있도록 상기 캡결합부(430)는 중심축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캡결합부(430)와 캡(420)의 체결구조 역시 공지의 어떠한 체결구조라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결합부(430)는 후술할 전원연결부(800)의 (+)극 연결부(820)가 삽입되는 상방향으로 천공 형성된 관통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 cap coupling portion 430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400. The cap coupling portion 430 constitutes a fastening structure to which the cap 4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and the cap coupling portion 430 allows the wire assembly 100 to extend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400. )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Since any known fastening structure can be applied between the cap coupling portion 430 and the cap 420,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cap coupling portion 430 may further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ward direction into which the (+) terminal connecting portion 820 of the power connecting portion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슬라이더 손잡이(500)는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인체의 복강 내부의 환부 조직에 스네어(10)를 위치시키도록 스네어(10)의 진퇴 조작이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선후단이 개구된 중공의 형상을 가지며, 파지를 위한 링 형상의 손잡이가 하나 이상 부설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슬라이더 손잡이(500)는 두개의 링 형상의 손잡이가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최소 하나 이상의 링 형상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을 걸어 파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개의 링 형상의 손잡이가 세로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를 삽입하여 파지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The slider handle 500 is a component that moves the snare 10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user using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osition the snare 10 on the affected tissue inside the abdominal cavity of the human body, and the front and rear ends are open. It has a hollow shape and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ring-shaped handles for gripping. The slider handle 500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rised of two ring-shaped handl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t least one ring-shaped handle so that it can be gripped by hooking the user's fingers. .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4, two ring-shaped handles are arranged vertically so that the user can insert and hold the user's index and middle fingers.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와 상기 바디부(400)의 결합 구조는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중공부에 상기 바디부(400)가 축방향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가 상기 바디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는 후술할 와이어 어셈블리(100) 및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부설된 스네어(10)를 축방향 진퇴시키는 수단으로, 이를 위하여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가 내측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바디부(400)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이동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를 전후방 진퇴 이동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1 to 4,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slider handle 500 and the body portion 400 is such that the body portion 400 is axially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of the slider handle 500. Thus, the slider handle 500 is coupl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00. The slider handle 500 is a means for axially advancing and retracting the wire assembly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nare 10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For this purpose, the wire assembly 100 is fixed on the inside. It is coupled, and has a structure that moves the wire assembly 100 forward and backward when moving forward and back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400.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는 와이어 어셈블리(1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회전고정부재(710)(후술함)가 내측에 축방향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회전고정부재(710)를 고정하기 위하여 형성된 고정돌출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측면(도 5a), 정면(도 5b), 및 도 5b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부분의 단면(도 5c)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돌출부(510)는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내주면 상에서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돌출부(510)는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한쌍의 제1고정돌출부(510) 및 제2고정돌출부(5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slider handle 500 is arranged so that a rotational fixing member 710 (described later) provided for fixing the wire assembly 100 can be rotated axially on the inside. In order to fix the rotating fixing member 710. It includes a fixed protrusion 510 formed. Figure 5 shows a side view (Figure 5a), a front view (Figure 5b), and a cross-section of the 'medical bipolar snare' portion of Figure 5b (Figure 5c) of the slider handle 500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fixing protrusion 510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ral axi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er handle 500. Preferably, the fixing protrusion 51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der handle 500. It includ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fixing protrusions 510 and 510 respectively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arts toward the central axis.

따라서, 상기 고정돌출부(510)는 상기 회전고정부재(710)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후술함)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고정부재(710)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회전고정부재(710)는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내측에 전후방 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고정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xing protrusion 510 is inserted into a groov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tating fixing member 710 to limi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otating fixing member 710. As a result, 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is fixedly disposed inside the slider handle 500 in a rotatable state with limite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and can be moved together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r handle 500. .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절제 시술이 이루어지는 스네어(10)를 선단에 연결하고, 상기 스네어(10)를 소정구간 진퇴시키도록 조작이 이루어지는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와 상기 스네어(10)를 연결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통전 가능한 와이어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스네어(1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ire assembly 100 connects the snare 10, where the resection procedure of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to the tip, and the slider handle 500, which is operated to advance and retreat the snar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slider handle 500. It is a means of connecting the snare (1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assembly 100 includes a wire capable of carrying electricity, and also include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on to the snare 10.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하여 축방향 관통 결합되고, 그 일단(선단)은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외측튜브(200)(후술함)의 내부를 따라 전방으로 연장하고, 그 타단은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내측에 고정 배치된 회전고정부재(710)에 연결되는 통전 가능한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는 통전가능한 스네어(10)가 부설되며,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진퇴이동에 따라 상기 스네어(10)가 진퇴이동하여 환부에 위치될 수 있다.The wire assembly 100 is axially coupled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00, and one end (tip) thereof is an outer tube 200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00 ( It extends forward along the inside of the slider handle (described later), and its other end includes a conductive wire connected to a rotating fixing member 710 fixedly disposed inside the slider handle 500. In addition, a snare 10 capable of carrying electricity is installed at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and the snare 1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wire assembly 100 and can be positioned on the affected area.

한편,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통전 가능한 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와이어에 인가되는 전극에 따라 양극성의 바이폴라 전극(300)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부설된 스네어(10)가 바이폴라 전극(300)중 하나로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wire assembly 100 includes a wire capable of carrying electricity, so it can be made of one of the bipolar electrodes 300 of positive polarity depending on the electrode applied to the wire. Accordingly, the snare 10 attached to the tip of the wire assembly 100 may be configured as one of the bipolar electrodes 300.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와이어는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된 외측튜브(200)의 내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스네어(10)는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스네어(10)는 통전 가능한 소재,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부설되어 올가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올가미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스네어(10)를 환자의 복강 내부의 국소 환부에 위치시키고 바이폴라 전극(300)을 인가하여 전기에너지를 집중시켜 환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는 시술이 가능해진다.The wire of the wire assembly 100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200 extend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400 and protrudes to the front end of the outer tube 200, and the snare 10 is It is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that protrudes through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200. The snare 1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preferably the same material as the wire assembly 100, and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to form a snare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lace the snare 10, which is shaped like a snare, on the local affected area inside the patient's abdominal cavity and apply the bipolar electrode 300 to concentrate electrical energy to cut and remove the affected area.

한편,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중단부에 와이어 고정부재(110)가 더 부설된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110)는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110)는 후술할 다이얼(600)의 내측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홈(610)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600)의 회전시 맞물려 상기 다이얼(600)과 함께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상기 다이얼(6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스네어(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10)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상기와 같은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와이어 고정부재(110)와 다이얼(600)에 형성된 와이어 고정홈(610)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Meanwhile, a wire fixing member 110 is further installed at the middle portion of the wire assembly 100. The wire fixing member 110 includes one or more protrusions vertically protruding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assembly 100. The wire fixing member 110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groove 61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dial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engages when the dial 600 rotates, so that the wire assembly 100 is held together with the dial 600. It is configured so that it can be rotated. As a result, the wire assembly 100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al 600 so that the snare 10 can rotate. Figure 6 is a partial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medical bipolar snar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ormed on the wire fixing member 110 and the dial 600 of the wire assembly 100 as described above. The wire fixing groove 610 is shown in detail.

상기 외측튜브(200)는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시술시 환자의 피부조직을 관통하여 복강 내부로 진입하는 수단으로,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상기 슬라이드 손잡이와 상기 바디부(400)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하여 형성된 절연소재의 튜브로 이루어진다.The outer tube 200 is a means of penetrating the patient's skin tissue and entering the abdominal cavity during the procedure of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ong in front of the slide handle and the body portion 400, where the user's manipulation is performed. It consists of an extended tube of insulating material.

상기 외측튜브(200)의 단면 지름은 환자의 피부조직의 천공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 및 스네어(10)의 이동 및 회전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단면 지름이 결정되어야 한다.It is desirable that the cross-sectional diameter of the outer tube 200 be as small as possible in order to minimize the size of the puncture of the patient's skin tissue, but within the range where the movement and rotation of the wire assembly 100 and the snare 10 are possible. The cross-sectional diameter must be determin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튜브(200)는 소정 두께로 이루어진 튜브로 구성되며, 상기 외측튜브(2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일자형 관통공(21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일자형 관통공(210)은 후술할 전원연결부(800)의 전원와이어(830)가 내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자형 관통공(210)을 따라 내삽되어 제1전극(310)에 연결되는 전원와이어(830)를 통하여 전원이 연결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tube 200 is composed of a tub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radially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axis of the outer tube 200, and has a tip of the outer tube 200.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ght through holes 210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straight through holes 210 are configured to interpolate the power wire 830 of the power connection unit 8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power supply is interpolated along the straight through holes 210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10. Power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wire 830.

한편, 상기 외측튜브(200)와 상기 바디부(400)의 연결부를 커버하는 캡(420)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420)부재는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에 부설된 캡결합부(430)에 체결되며,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연장을 제한하지 않도록 중공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420)부재는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튜브(200)의 연결부를 보호하며, 상기 전원연결부(800)의 (-)극 연결부(810)가 삽입될 수 있는 상방향 관통공을 더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a cap 420 member cover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uter tube 200 and the body portion 40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cap 420 member is fastened to the cap coupling portion 430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00, and has a hollow shape so as not to restrict the extension of the wire assembly 100. The cap 420 member protects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outer tube 200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00, and the (-) terminal connection portion 810 of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800 can be inserted. An upward through hole can be further formed.

상기 다이얼(600)은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의 절제 시술이 이루어지는 스네어(10)를 환부에 정확하게 위치시키도록 상기 스네어(10)를 회전시키는 조작이 이루어지는 수단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이얼(600)은 상기 스네어(10)와 연결된 와이어 어셈블리(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연결된 스네어(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The dial 600 is a means for rotating the snare 10 so that the snare 10, where the ablation procedure of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is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affected area. More specifically, the dial 60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nare 10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by rotating the wire assembly 100 connected to the snare 10.

상기 다이얼(600)은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내측에 수납되는 회전고정부재(7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이얼(600)은 상기 바디부(4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상기 회전고정부재(710)에 의하여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이얼(600)은 상기 바디부(400)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그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바디부(400)의 슬릿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다이얼(600)의 외주면을 축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 어셈블리(100)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dial 6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stored inside the slider handle 500. The dial 600 is disposed inside the body portion 400 and is configured to be moved together by 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which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lider handle 500. At this time, the dial 600 is configured so that a portion of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slit formed in the body portion 400. Therefore, the user may use the dial (60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lit in the body portion 400. By rotat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600) in the axial direction, the wire assembly 100 can be rotated in a desired direction.

상기 다이얼(600)은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가 중심축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600)은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에 부설되는 와이어 고정부재(110)와 내부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600)의 노출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상기 다이얼(6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함께 회전된다.The dial 600 may be connected to the wire assembly 100 by penetrating the central axis. As shown in FIG. 6, the dial 600 may be internally coupled to the wire fixing member 110 attached to the wire assembly 100. Therefore, when the user rotates the exposed portion of the dial 600, the wire assembly 100 is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ial 6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얼(600)은 그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일자형 돌기를 포함하는 마찰부를 포함한다. 상기 일자형돌기는 상기 다이얼(600)의 외주면에 일정한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다이얼(60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l 600 includes a friction portion including one or more straight protrusions formed on its outer peripheral surfac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raight protrusion forms certain irregularitie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al 600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dial 600.

상기 회전고정부재(710)는 상기 다이얼(600)을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에 고정한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고정부재(7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되, 외주면을 따라 중심축을 향하여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링 형상의 회전고정부재홈(7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회전고정부재홈(720)에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돌출부(510)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고정부재(710)의 전후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fixes the dial 600 to the slider handle 500 so that it can be rotated. As shown in FIG. 5, 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is cylindrical and includes a ring-shaped rotation fixing member groove 720 that is drawn inwar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ward the central axis. Accordingly, the fixing protrusion 510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lider handle 50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fixing member groove 720 to limi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rotary fixing member 710.

또한, 상기 회전고정부재(710)의 선단부에는 상기 다이얼(600)과의 체결을 위한 다이얼(600)체결부가 구성된다. 상기 다이얼 체결부(712)는 상기 회전고정부재(710)의 선단부와 상기 다이얼(600)의 후단부 간의 결합을 위하여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다이얼(600)의 후단부에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얼(600)체결부는 상기 다이얼(600)의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는 상기 다이얼 체결부(712)가 소정구간 이격되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U자형 부재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상기 다이얼(600)체결부의 형상은 어떠한 형상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a dial 600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o the dial 600 is formed at the tip of 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The dial fastening part 712 is configured to couple the front end of the rotation fixing member 710 to the rear end of the dial 600, and for this purpose, a coupling groove (not shown)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dial 600. is formed, and the dial 600 fastening portion can be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dial 600. In FIG. 4, the dial fastening part 712 is shown as a pair of U-shaped me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but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of the dial fastening part 600 has no shap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can also be achieved.

바이폴라 전극(300)은 본 발명의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를 구성하는 스네어(10)에 전기에너지를 인가하도록 (-)극의 제1전극(310)과 (+)극의 제2전극(320)을 갖는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310)은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320)은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부설된 스네어(1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은 각각 (+)극과 (-)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가되는 전원에 따라 서로 바뀔 수 있다.The bipolar electrode 300 has a first electrode 310 of a (-) pole and a second electrode 320 of a (+) pole to apply electrical energy to the snare 10 that constitutes the medical bipolar sna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onsists of electrodes.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0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20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may be formed of a (+) pole and a (-) pole, respectively, a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pplied pow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310)은 통전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0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and has a ring shap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2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절연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체부를 통하여 상기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의 접촉을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전극(310)과 상기 제2전극(320)이 시술부위인 환자의 신체 내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직접 접촉하는 경우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절연체부가 구비되어 상기와 같은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are brought into contact through an insulator portion that includes an insulating material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Can be configured to block.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or part is located inside the patient's body where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are treated, and thus, a medical accident may occur if they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Accordingly, the insulator part that prevents direct conta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is provided, so that the above problem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상기 전원연결부(800)는 상기 바이폴라전극에 (-)극과 (+)극을 연결하는 부재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전원으로부터 (-)극과 (+)극이 각각 별도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연결부(800)는 상기 제1전극(310)과 연결되는 (-)극 연결부(810)와 상기 제2전극(320)과 연결되는 (+)극 연결부(820)가 각각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에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극 연결부(810)는 상기 제1전극(310)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튜브(200)에 형성된 일자형 관통공(210)에 내삽되어 상기 전원연결부(800)로부터 상기 외측튜브(200)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에 배치된 상기 제1전극(310)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와이어(8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전원와이어(830)는 전술한 상기 외측튜브(200)에 구성된 복수의 일자형 관통공(210)에 내삽되어 상기 외측튜브(200)의 선단부에 배치된 제1전극(310)까지 연장되어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복수의 전원와이어를 도시하고 있다.The power connection unit 800 is a member that connects the (-) pole and the (+) pole to the bipolar electrode, and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to which the (-) pole and (+) pole are separately connected from a commonly used power source. This is don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connection part 800 includes a (-) electrode connection part 810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10 and a (+) electrode connection part (+)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320. 82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400,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810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10 through a straight through hole formed in the outer tube 200. One or more power wires 830 interpolated into 210, extending along the outer tube 200 from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800, and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310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200. ), including. The one or more power wires 830 are interpolated into the plurality of straight through holes 210 formed in the outer tube 200 described above and extend to the first electrode 310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200. can be connected Figure 6 shows a plurality of power wires configured as above.

상기 (+)극 연결부(820)는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극 연결부(820)는 상기 바디부(40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디부(40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와이어 어셈블리(100)와 내부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 pole connection portion 82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ire assembly 100. The (+) pole connection portion 820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400, It may be internally connected to the wire assembly 100 extending through the central axis of the body portion 4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극 연결부(820)가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500)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하여 후방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은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 pole connection portion 8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extends rearward, penetrates the slider handle 500, extends rearward, and is disposed at the rear.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9 to 12 are a perspective view, a side view, a top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is structur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중공의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연체 성질의 외측튜브(200)는 내부에 (+)극의 제2전극(320)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어셈블리(100)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는 상기 외측튜브(200) 내에서 전후로 왕복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연결된 스네어(10)가 상기 제2 전극(320)의 극성을 띠어 환부 등의 인체 조직에 접촉하여 전후로 이동하면서 조직에 목표하는 절제시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tube 200 of insulating nature, which is made of a hollow tube shape, has a wire assembly 100 made of a second electrode 320 of the positive pole inserted therein, and the wire assembly is inserted therein. (100) is capable of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within the outer tube (200), so that the snare (10)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wire assembly (100) assumes the polarity of the second electrode (320) and is applied to human tissue such as the affected area. It is configured to enable targeted resection of tissue by touching and moving back and forth.

이때, 상기 (-)극의 제1전극(310)은 상기 외측튜브(200)의 외주면에 O링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환부 등의 인체 조직을 상기 제1전극(310)과 제2전극(320)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어셈블리(100)의 선단부에 부설된 스네어(10)를 사이에 두고 전기 에너지가 인가되면 상기 스네어(10)를 통한 고주파 열에너지의 방출에 따라 인체조직이 가열되어 절제 시술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first electrode 310 of the (-) pole is formed in an O-ring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and the first electrode 310 and the second electrode 320 ), when electric energy is applied across the snare 10 attached to the tip of the wire assembly 100, the human tissue is heated according to the emission of high-frequency heat energy through the snare 10, and an ablation procedure is perform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바이폴라 전극(300)이 통합 구성된 스네어(10)를 이용하여 환자의 소화기관 내시경 시술부위의 인체 내의 용종 등 환부 표적 조직을 쉽게 절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때, 환부의 생체 조직에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구성요소가 모두 상기 스네어(10) 장비에 부설되어 종래 기술의 단극 모노폴라 방의 스네어(10)의 단점들이 모두 해소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asily excise target tissue such as polyps in the human body at the endoscopic treatment site of the patient's digestive tract using the snare 10 in which the bipolar electrode 300 is integra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ll components that transmit electrical energy to the biological tissue of the affected area are installed in the snare 10 equipment, so that all the shortcomings of the snare 10 of the conventional monopolar room can be eliminated.

또한, 상기 스네어(10)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외주면을 따라 마찰부를 형성한 다이얼(600)을 구성하고, 상기 다이얼(600)을 통하여 스네어(1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한손으로도 내시경 시술을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snare 10, a dial 600 is formed with a friction por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snare 10 is configured to rotate through the dial 600, so that the user can It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easily completing endoscopic procedures with one han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is is not the ca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is applica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스네어
100: 와이어 어셈블리
110: 와이어 고정부재
200: 외측튜브
210: 일자형 관통공
300: 바이폴라 전극
310: 제1전극
320: 제2전극
400: 바디부
410: 파지부
420: 캡
430: 캡결합부
500: 슬라이더 손잡이
510: 고정돌출부
600: 다이얼
610: 와이어 고정홈
710: 회전고정부재
711: 회전고정부재홈
712: 다이얼 체결부
800: 전원연결부
810: (-)극 연결부
820: (+)극 연결부
830: 전원와이어
10: Snare
100: wire assembly
110: Wire fixing member
200: Outer tube
210: straight through hole
300: bipolar electrode
310: first electrode
320: second electrode
400: body part
410: gripping part
420: cap
430: Cap coupling part
500: Slider knob
510: fixed protrusion
600: Dial
610: Wire fixing groove
710: Rotation fixing member
711: Rotation fixing member groove
712: Dial fastening part
800: Power connection part
810: (-) pole connection part
820: (+) pole connection part
830: Power wire

Claims (8)

Translated fromKorean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공의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더 손잡이;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축방향 관통 삽입되고, 그 타단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에 연결되는 통전 가능한 와이어 어셈블리;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로부터 일방향 연장하는 중공의 외측 튜브;
(-)극 또는 (+)극 중 하나의 제1전극과 (+)극 또는 (-)극의 제2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전극; 및
상기 바이폴라 전극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상기 외측 튜브의 내부를 따라 연장하여 상기 외측 튜브의 선단부로 돌출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의 선단부에 통전 가능한 스네어가 부설되고,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외측튜브의 선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전극은 상기 스네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 hollow body portion extending in one direction;
a slider handle coupled to enable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 wire assembly that is axially inserted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body and has its other end connected to the slider handle;
a hollow outer tube extending in one direction from the distal end of the body portion;
A bipolar electrode having a first electrode of either a (-) pole or a (+) pole and a second electrode of a (+) pole or (-) pole; and
A power connection unit that applies power to the bipolar electrode;
Including,
The wire assembly extends along the inside of the outer tube and protrudes from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A snare capable of conducting electricity is installed at the tip of the wire assembly,
The first electrode is disposed at the tip of the outer tube,
The second electrode is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na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튜브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동일 간격으로 배치되고 선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복수의 일자형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외측튜브의 일자형 관통공에 내삽되어 상기 전원연결부로부터 상기 외측튜브를 따라 연장하고, 상기 제1전극으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1,
The outer tube includes a plurality of straight through holes arranged radially at equal intervals around the central axis and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tip,
The power connection part is interpolated into a straight through hole of the outer tube, extends from the power connection part along the outer tube, and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power wire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은 상기 외측튜브의 선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1,
The first electrode is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electrode has a ring shape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outer tub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극 연결부 및 (+)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바디부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와 내부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1,
The power connection part includes a (-) pole connection portion and a (+) pole connection portion,
One of the (-) pole connection portion or the (+) pole connection portion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portion and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wire assembly,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f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or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극 연결부 및 (+)극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의 후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극 연결부 또는 (+)극 연결부 중 다른 하나가 상기 제1전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1,
The power connection part includes a (-) pole connection portion and a (+) pole connection portion,
Either the (-) pole connection portion or the (+) pole connection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wire assembly and extends rearwardly through the slider handle,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of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or the (+) electrod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에 상기 바디부의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다이얼;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다이얼의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를 관통하는 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1,
a dial coupled to the slider handle to enable axial rotation of the body and rotating the wire assembly;
It further includes,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forms a slit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xpos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ia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의 내측에 상기 바디부의 축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내삽되고 그 일측단이 상기 슬라이더 손잡이의 선단부로 돌출 형성되는 다이얼 체결부를 형성한 회전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상기 다이얼 체결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6,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fixing memb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lider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formed with a dial fastening portion whose one end protrudes from the front end of the slider handle,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l is coupled to the dial fastening par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는 소정 길이로 그 외주면에 결합되는 와이어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은 내측에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를 수용하는 와이어 고정홈을 형성하며,
상기 와이어 고정부재는 상기 다이얼의 와이어 고정홈에 삽입되어 상기 다이얼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와이어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바이폴라 스네어.
According to clause 6,
The wir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wire fixing member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assembly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he dial forms a wire fixing groove on the inside to accommodate the wire fixing member,
A medical bipolar sn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wire fixing groove of the dial and rotates along the dial to rotate the wire assembly.
KR1020230008764A2023-01-202023-01-20Medical Bipolar SnareCeasedKR2024011617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08764AKR20240116177A (en)2023-01-202023-01-20Medical Bipolar Sn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30008764AKR20240116177A (en)2023-01-202023-01-20Medical Bipolar Sna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16177Atrue KR20240116177A (en)2024-07-29

Family

ID=92176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008764ACeasedKR20240116177A (en)2023-01-202023-01-20Medical Bipolar Snar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4011617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20042136A (en)2010-10-222012-05-03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Apparatus with duoble snare for polyp res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20042136A (en)2010-10-222012-05-03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Apparatus with duoble snare for polyp rese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6110171A (en)Electrosurgical cutting and coagulating instrument for open surgery
US6692445B2 (en)Biopsy sampler
EP1259181B1 (en)Electro-cautery catheter
JP3839491B2 (en) Bipolar multiple sample biopsy forceps
EP2108326B1 (en)High-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AU2007202092B2 (en)Medical instrument having a needle knife
US6673087B1 (en)Elongated surgical scissors
US20240358431A1 (en)Rotatable snares and related methods
EP2526993A2 (en)Treatment tool
CN113384306B (en) bipolar electroprocessing device
US6346106B1 (en)Instrument and method employing snare electrode windable about rotatable spool for minimally invasive electrosurgical resection
WO2002078515A2 (en)Endoscopic ablation system with flexible coupling
WO1999052459A9 (en)Electro-cautery catheter
EP1987794B1 (en)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US12414684B2 (en)ENT instrument with deformable guide having translatable imaging feature
US12016612B2 (en)ENT ablation instrument with electrode loop
US20190328451A1 (en)Multifunctional electrosurgical instruments with dynamic electrode assemblies
WO2023278287A1 (en)Medical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20240116177A (en)Medical Bipolar Snare
JP3342034B2 (en) High frequency treatment tool
JP2020163001A (en) Microwave irradiation equipment for endoscopes
JPH09262245A (en)Rejectscope
KR20240159263A (en)Medical bipolar hemostatic forceps
US20250235253A1 (en)Medic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delivering energy and/or fluid
JP7459311B2 (en) treatment equipment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0120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1R01I

Patent event date:20230120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112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50428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