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11697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1697A
KR20240111697AKR1020230191268AKR20230191268AKR20240111697AKR 20240111697 AKR20240111697 AKR 20240111697AKR 1020230191268 AKR1020230191268 AKR 1020230191268AKR 20230191268 AKR20230191268 AKR 20230191268AKR 20240111697 AKR20240111697 AKR 2024011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contact
axis directio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1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우
최정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111697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11697A/ko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커넥터(1)는 외부와 접속되는 플러그 컨택트(300);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되는 플러그 절연체(200); 및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플러그 절연체(2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플러그 절연체(200)와 결합되고, 접지(ground)를 구성하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는, 외부와 접속되어 RF 신호(RF signal)을 전송하는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와 이격되고, 외부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상기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 중 어느 하나에만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는 플러그 RF 실장부(324)가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배화가 가능하고, 각 단자가 이중 접점으로 접속되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회로기판 및 이를 다른 부재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또한 소형화되고 있다. 반면, 전자기기에서 처리하는 정보의 양은 증가되어, 회로기판 또는 커넥터에 구비되는 단자의 개수는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에, 소형화된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신호를 동시에 보내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 일반 신호 및 RF 신호를 모두 전송할 수 있는 RF 커넥터를 들 수 있다.
RF 커넥터는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컨택트를 모두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전송되는 일반 신호 및 RF 신호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간의 전자적 차폐가 요구된다.
그런데, 전통적인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구조적 한계로 인해 각 컨택트 간의 완전한 전자적 차폐가 수행되기 어렵다. 또한, 전통적인 형태의 RF 커넥터의 경우 완전한 전자적 차폐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구성이 증가되어, 조립성이 저하되고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및 RF 신호를 전송하는 컨택트 사이를 전자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접지를 구성하는 컨택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구비되는 컨택트의 종류가 증가되고 이들을 전자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커넥터 전체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 또한 상존한다.
또한, 커넥터의 크기가 감소됨에 따라 각 구성 간의 정확한 결합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잘못된 체결에 의해 커넥터의 구성이 손상되어, 전송 신뢰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3-0145310호 (2023.10.17.)한국공개특허문헌 제10-2023-0019919호 (2023.02.2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의 소형화 및 저배화가 가능한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이 서로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같은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접속되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호의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와 접속되는 플러그 컨택트(300);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되는 플러그 절연체(200); 및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플러그 절연체(2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플러그 절연체(200)와 결합되고, 접지(ground)를 구성하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는, 외부와 접속되어 RF 신호(RF signal)을 전송하는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와 이격되고, 외부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상기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 중 어느 하나에만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는 플러그 RF 실장부(324)가 형성되는, 커넥터(1)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와 접속되는 리셉터클 컨택트(600);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600)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고, 접지(ground)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외부와 접속되어 RF 신호(RF signal)을 전송하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와 이격되고, 외부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 중 어느 하나에만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RF 실장부(624)가 형성되는, 커넥터(1)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크기의 소형화 및 저배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다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다른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이 서로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같은 신호를 전송하는 구성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접속되어, 신호 전송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는 신호의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플러그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플러그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절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플러그 절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3의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되는 플러그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플러그 컨택트에 구비되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플러그 컨택트에 구비되는 플러그 RF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플러그 컨택트에 구비되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의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6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절연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리셉터클 절연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리셉터클 절연체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4는 도 16의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리셉터클 컨택트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리셉터클 컨택트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RF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4의 리셉터클 컨택트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관계를 도시하는 A-A 단면도(도 28), B-B 단면도(도 29) 및 C-C 단면도(도 30)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통신"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저배화 및 소형화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1)의 높이 및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1)는 B2B(Board to Board) 커넥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커넥터(1)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각각 저배화 및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1)가 실장되는 외부의 기판(미도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전체가 저배화 및 소형화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는 그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을 따라 결합되거나 탈거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결합 방향은 각 커넥터(10, 20)가 실장되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이 겹쳐지는 방향과 동일함이 이해될 것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에 구비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도시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외부의 기판(미도시)과 통전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전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쉴드 부재(hold down)(100), 플러그 절연체(200) 및 플러그 컨택트(3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플러그 커넥터(10)는 플러그 실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실장부(미도시)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 및 플러그 컨택트(300)를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킬 수 있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외형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을 구성한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외부의 접지(ground)(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후술될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와 접속되어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따라서, 플러그 쉴드 부재(100)의 내측에 위치되는 플러그 컨택트(300)는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됨이 이해될 것이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절연체(200)와 결합된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절연체(2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게 형성된다.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부재(10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 플러그 쉴드 공간(130) 및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를 포함한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의 외형을 구성한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플러그 쉴드 공간(130) 및 플러그 쉴드 공간(130)에 수용된 플러그 절연체(200)와 플러그 컨택트(300)를 수평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플러그 쉴드 공간(130), 플러그 절연체(200) 및 플러그 컨택트(30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에서 각각 둘러싼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와 접속되어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Y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부분의 각 단부와 연속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의 부분을 포함한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는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와 연속된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와 연속된다.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각 부분 중 상기 다른 한 쌍의 부분에는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가 형성된다.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구비되는 접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상기 접지에 실장될 수 있다.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상기 접지와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과 연속된다.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Y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부분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쉴드 벽체(110)에 비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쉴드 실장 부재(12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더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플러그 쉴드 공간(130)은 플러그 절연체(200) 및 이와 결합된 플러그 컨택트(300)를 수용한다. 플러그 쉴드 공간(130)은 플러그 쉴드 벽체(110)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플러그 쉴드 공간(13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플러그 쉴드 벽체(110)에 둘러싸인다.
플러그 쉴드 공간(13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의 각 측은 개방 형성된다. 플러그 쉴드 공간(130)에는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플러그 쉴드 공간(130)은 플러그 절연체(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공간(130)은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는 플러그 커넥터(10)를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전력을 인가하는 프로브(probe)(미도시)가 접속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Z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형성된다.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상측 면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부분 중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가 형성되는 부분은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다른 부분에 비해 낮은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브가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플러그 쉴드 부재(100)에 의한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일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접촉부(140)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의 상기 다른 한 쌍의 부분, 즉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체(200)는 플러그 컨택트(300)를 지지한다. 플러그 절연체(20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와 결합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플러그 절연체(20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절연체(200)에 결합된 플러그 컨택트(300)의 각 구성은 플러그 절연체(2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절연체(200)의 강성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의 강성보다 낮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에 의해 플러그 절연체(20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 쉴드 부재(100)가 플러그 절연체(2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플러그 절연체(20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체(2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체(200)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 플러그 절연 섬부(230), 플러그 절연 공간(240),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 및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을 포함한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외형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다른 구성을 수평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다른 구성들을 Y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와 결합된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도 30 참조).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와 연속된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의 Y축 방향의 외측 단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두 쌍 구비된다. 어느 한 쌍의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다른 한 쌍의 플러그 절연 벽체(210)는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외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다른 구성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의 폭을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와 연속된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의 폭 방향의 외측, 즉 Y축 방향의 외측 단부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의 하측 단부와 연속될 수 있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와 결합된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하측과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한 쌍 구비된다. 한 쌍의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는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X축 방향의 각 측에 위치되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와 각각 연속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와 결합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 사이에 형성되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절연 벽체(210)의 내측에 위치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와 연속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플러그 컨택트(300)를 지지한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플러그 절연체(200) 또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이때,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는 내부에 플러그 절연 공간(24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 부분에는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 및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이 형성된다. 상기 부분은 덩어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섬부(230)는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을 포함한다.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형성되는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를 수용한다.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연장 방향의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의 단부에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상기 단부에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총 한 쌍으로 구비된다.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에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가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 절연체(200)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가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폭 방향(즉, Y축 방향)에서 지지함에 따라,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의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내부에는 플러그 절연 공간(240)이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공간(240)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플러그 절연 공간(24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내부에, Z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공간(24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내면 및 하측 면에 둘러싸인다.
플러그 절연 공간(240)은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절연 공간(240)은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플러그 절연 공간(240)은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과 연통된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에 수용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절연 공간(24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를 수용한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일 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부분 중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부분에 함몰 형성된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X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 사이에 위치된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을 사이에 두고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에 의해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전자적으로 차폐되어, 신호 및 RF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은 Y축 방향의 일 측에,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세 개 및 Y축 방향의 타 측에,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세 개로 구비된다.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의 개수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수용한다.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상기 각 단부에 함몰 형성된다.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X축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위치된다.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을 사이에 두고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두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각 쌍의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 쌍의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쌍의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획된 두 개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가, 다른 하나의 공간에는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가 수용된다. 상기 두 개의 공간은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를 수용한다.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각 단부에 인접하되,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의 내측에 위치된다.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함몰 형성된다.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 및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 사이에 위치된다.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X축 방향의 일 측 및 X축 방향의 타 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각 쌍의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은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 및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각 수용 공간(250, 260, 270)은 Z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수용 공간(250, 260, 2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 또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각 수용 공간(250, 260, 270)에 수용된 각 컨택트(310, 320, 330)는 관통된 부분을 통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리셉터클 컨택트(600)와 접속되어 다양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의 접지와 접속되어 접지를 구성한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절연체(200)와 결합되어 지지된다.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플러그 컨택트(300)의 일 부분은 플러그 절연체(2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노출된다. 플러그 컨택트(300)의 상기 일 부분은 리셉터클 컨택트(6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플러그 컨택트(300)의 다른 부분은 플러그 절연체(200)의 Z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노출된다. 플러그 컨택트(300)의 상기 다른 부분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컨택트(300)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를 포함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접속되어 신호(signal)를 전송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절연체(20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수평 방향으로 플러그 쉴드 부재(100)에 둘러싸여,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를 사이에 두고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RF 컨택트(320)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전송하는 신호와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전송하는 RF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에 수용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의 Y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절연 공간(240)에 노출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의 Y축 방향의 타 측은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외측에 위치된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접속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두 개의 지점에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세 개의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Y축 방향의 일 측에서 플러그 절연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나머지 세 개의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Y축 방향의 타 측에서 플러그 절연체(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Y축 방향의 각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는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 및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접속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는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 또는 이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신호 접촉 돌기(611a)와 접속된다.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는 Y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는 Y축 방향을 따라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와 이격된다.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와 연속된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접속되는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는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와 접속된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는 Y축 방향의 내측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와 이격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와 연속된다.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와 연속된다.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는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 및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 312)가 서로 연속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는 제1 및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 312)와 각각 연속된다.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부분 중 플러그 신호 수용 공간(250)이 형성된 부분의 Z축 방향의 일 측을 덮는다.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의 Y축 방향의 일 단부는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플러그 신호 연결부(313)의 Y축 방향의 타 단부는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는 솔더링(soldering) 등에 의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는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와 연속된다.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는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의 Z축 방향의 상기 타 측에서 Y축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일 부분의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는 상기 일 단부에 비해 Y축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된다. 플러그 신호 실장부(314)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하측에 노출된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접속되어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 RF signal)를 전송한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플러그 절연체(20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수평 방향으로 플러그 쉴드 부재(100)에 둘러싸여,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를 사이에 두고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전송하는 RF 신호와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전송하는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플러그 RF 수용 공간(260)에 수용된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는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는 각각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와 접속될 수 있다. 즉,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접속된다.
이때,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 중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어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 중 다른 하나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되되, RF 신호는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물리적으로는 두 개의 지점에서 접속되되, 전기적으로는 단수 개의 지점에서 접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 중 물리적으로만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접속되는 상기 다른 하나는 외부의 캐리어(carrier, 미도시)와 접속되되,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는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와 물리적으로만 접속된다. 따라서,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에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복수 개의 지점에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물리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총 두 개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된다. 다른 하나의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된다. 이때, 각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두 개의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 및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 플러그 RF 연결부(323) 및 플러그 RF 실장부(32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 플러그 RF 연결부(323) 및 플러그 RF 실장부(324)를 포함하고,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는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는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접속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된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는 Y축 방향을 따라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와 이격된다. 이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가 이격되는 방향과 동일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RF 연결부(323)와 연속된다.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플러그 RF 실장부(324)와 연속된다.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는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접속되는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는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와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는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는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와 이격된다.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의 단부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하측에 노출되되,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유지된다.
플러그 RF 연결부(323)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가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RF 연결부(323)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와 각각 연속된다. 플러그 RF 연결부(32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RF 연결부(323)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Z축 방향의 일 측을 덮는다. 플러그 RF 연결부(323)의 Y축 방향의 일 단부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플러그 RF 실장부(324)는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RF 실장부(324)는 솔더링 등에 의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RF 실장부(324)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와 연속된다. 플러그 RF 실장부(324)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의 Z축 방향의 상기 타 측에서 Y축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일 부분의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플러그 RF 실장부(324)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에 비해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된다. 플러그 RF 실장부(324)는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 또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하측에 노출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접속되어 함께 접지(ground)를 구성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플러그 RF 컨택트(320) 사이에 위치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및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각각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에 수용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의 일 측은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의 타 측은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는 플러그 절연 벽체(2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의 Y축 방향의 상기 일 측 및 상기 타 측 사이의 부분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접속될 수 있다. 후술될 바와 같이,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두 개의 지점에서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와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가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총 두 개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어,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하나의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어,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사이에 위치된다.
즉, 한 쌍의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X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또한, 한 쌍의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의 X축 방향의 외측에는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위치된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 및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를 포함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가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접속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는 어느 하나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와 접속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는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를 사이에 두고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는 Y축 방향을 따라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와 이격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와 연속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가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접속되는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는 다른 하나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에 구비되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와 접속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는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는 Y축 방향을 따라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를 사이에 두고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와 이격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2)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와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332)는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332)는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가 플러그 절연 섬부(2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에 형성되는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의 하측에 삽입 결합될 수 있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332) 사이에 위치된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는 제1 및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332)와 Y축 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 배치된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의 일 부분에 수용되어 외측에 노출되지 않는다.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와 연속된다.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는 솔더링 등에 의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Y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는 제1 및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332)와 각각 연속된다. 또한,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는 플러그 접지 결합부(333)와 연속된다.
플러그 접지 실장부(334)는 플러그 절연 실장 부재(220) 또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하측에 노출된다.
상술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및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플러그 절연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및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의 방식으로 플러그 절연체(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별도로 형성되어 플러그 절연체(200)와 조립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는 플러그 절연체(200)의 하측을 통해 플러그 접지 수용 공간(270)에 수용되어 플러그 절연체(200)와 결합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에 구비되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20)가 도시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외부의 기판(미도시)과 통전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10)와 탈거 가능하게 결합되어 통전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실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실장부(미도시)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 및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외형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외부의 접지(ground)(미도시)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와 접속되어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따라서,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의 내측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수평 방향,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됨이 이해될 것이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강성을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도 20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는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 및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의 외형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 및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에 수용된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수평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에서 각각 둘러싼다.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플러그 쉴드 벽체(110)와 접속되어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연속되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Y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부분 및 상기 한 쌍의 부분의 각 단부와 연속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의 부분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는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은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구비되는 접지와 통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상기 접지에 실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상기 접지와 함께 접지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의 높이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과 연속된다.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Y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한 쌍의 부분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X축 방향으로 이격되는 다른 한 쌍의 부분을 포함한다.
이때,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에 비해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쉴드 실장 부재(42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더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은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이와 결합된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수용한다.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은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에 둘러싸여 정의된다.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은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에 둘러싸인다.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의 높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Z축 방향의 각 측은 개방 형성된다.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에는 리셉터클 커넥터(50)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쉴드 공간(430)은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지지한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와 결합되어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결합된 리셉터클 컨택트(600)의 각 구성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은 전기 전도성 소재로 형성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의 강성보다 낮게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10)가 결합될 때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에 의해 리셉터클 절연체(500)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체(500)는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 및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형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다른 구성을 수평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다른 구성들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에서 둘러싼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일 부분 및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폭 방향,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다른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다른 부분은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쉴드 벽체(4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도 30 참조).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의 X축 방향의 외측 단부 및 Y축 방향의 외측 단부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두 쌍 구비된다. 어느 한 쌍의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다른 한 쌍의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 및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을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에서 둘러싸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외형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다른 구성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의 폭을 갖는 판형으로 구비된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의 길이 방향의 외측 및 폭 방향의 외측, 즉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외측 단부 각각은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다른 부분의 하측 단부와 연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하측과 연속된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한 쌍 구비된다. 한 쌍의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는 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X축 방향의 각 측에 위치되는 각 쌍의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와 각각 연속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플러그 절연체(200)에 구비되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일 부분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를 둘러싼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일 부분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내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절연 공간(240)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의 내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와 이격되어, 그 사이에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가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리셉터클 컨택트(600)와 결합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리셉터클 컨택트(600)를 지지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 또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 및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외측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와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 사이에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가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을 수평 방향에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각 측에서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을 둘러싼다.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부분 및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부분의 각 단부 및 상기 다른 한 쌍의 부분의 각 단부는 서로 연속된다.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에는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리셉터클 절연 섬부(351)에는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 및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는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 및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을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의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은 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를 Y축 방향의 외측에서 둘러싼다.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은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와 Y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은 복수 개 구비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은 한 쌍 구비되어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은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의 X축 방향의 각 단부는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과 연속된다.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의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은 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를 X축 방향의 외측에서 둘러싼다.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은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와 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된다.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은 복수 개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은 한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한 쌍의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은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 리셉터클 소켓 벽(531b)의 Y축 방향의 각 단부는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b)과 연속된다.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내측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 사이에는 플러그 절연 섬부(230)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이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에는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는 플러그 절연 수용 홈(231)에 수용된다.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의 내면 및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와 연속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의 상기 다른 한 쌍의 부분의 내면에서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를 향해 돌출된다. 또한,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는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에서 돌출된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인서트 몰딩되어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는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에 정확하게 수용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플러그 절연체(200)의 플러그 절연 섬부(230)를 인출 가능하게 수용한다.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내부에, Z축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와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 사이에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내면 및 하측 면에 둘러싸인다.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플러그 절연 섬부(23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X축 방향의 길이가 Y축 방향의 폭보다 길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게 형성된다.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은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 및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과 각각 연통된다. 각 공간(550, 560, 570)에 수용된 각 컨택트(610, 620, 630)는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된다.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수용한다.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일 부분에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부분 중 X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Y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부분에 함몰 형성된다.
이때,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 각각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의 Y축 방향의 일 측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에, Y축 방향의 타 측은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에 각각 함몰 형성된다.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X축 방향을 따라 한 쌍의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 사이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을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에 의해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전자적으로 차폐되어, 신호 및 RF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중 가동 가능한 부분, 즉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가 Y축 방향을 따라 가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은 Y축 방향의 일 측에,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세 개 및 Y축 방향의 타 측에,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세 개로 구비된다.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의 개수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의 개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를 수용한다.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함몰 형성된다.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X축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을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또한,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중 가동 가능한 부분, 즉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가 Y축 방향을 따라 가동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복수 개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두 쌍 구비되어,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각 쌍의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X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각 쌍의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획되는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쌍의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은 서로 물리적으로 구획된 두 개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어느 하나의 공간에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가, 다른 하나의 공간에는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가 수용된다. 상기 두 개의 공간은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를 수용한다.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각 단부에 인접하되,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의 내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에 함몰 형성된다.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 및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 사이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Y축 방향의 일 측에,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 및 Y축 방향의 타 측에, X축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을 포함하여 총 네 개 구비된다. 각 쌍의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은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 및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 사이에 위치된다.
한편, 각 공간(550, 560, 570)은 Z축 방향을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간(550, 560, 570)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 또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각 공간(550, 560, 570)에 수용된 각 컨택트(610, 620, 630)는 관통된 부분을 통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의 외측의 일 부분으로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의 Y축 방향의 외측 면에서 돌출 형성된다.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실장시키는 솔더링 부재, 예를 들면 납 등이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따라 유동하는 상황을 방지하게 구성된다.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상기 솔더링 부재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따라 유동되지 못하게 제한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X축 방향의 길이 및 Y축 방향의 두께를 갖고, Z축 방향의 높이를 갖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의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의 상측에 위치된다. 이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를 실장시키는 상기 솔더링 부재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와 밀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납 타오름 방지부(580)는 한 쌍의 제1 리셉터클 소켓 벽(531a)에 각각 형성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플러그 컨택트(300)와 접속되어 다양한 신호를 전송하거나, 외부의 접지와 접속되어 접지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어 지지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에 의해 둘러싸여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의 일 부분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Z축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에 노출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의 상기 일 부분은 리셉터클 컨택트(6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의 다른 부분은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Z축 방향의 타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하측에 노출된다. 리셉터클 컨택트(600)의 상기 다른 부분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도 24 내지 도 2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및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접속되어 신호(signal)를 전송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수평 방향으로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에 둘러싸여,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를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전송하는 신호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전송하는 RF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 및 리셉터클 절연 섬부(532)에 각각 형성되는 리셉터클 신호 가동 공간(550)에 수용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 절연 공간(540)에 노출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두 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가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총 여섯 개 구비된다. 세 개의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Y축 방향의 일 측에서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나머지 세 개의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Y축 방향의 타 측에서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된다.
이때, Y축 방향의 각 측에 위치되는 복수 개의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X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는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 및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를 포함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접속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와 접속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Y축 방향의 외측에 위치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Y축 방향을 따라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와 이격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 및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 사이에 위치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와 연속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와 연속된다.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는 리셉터클 신호 접촉 돌기(611a)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 접속 돌기(611a)는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에서 Y축 방향의 내측으로 돌출된다.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 접속 돌기(611a)는 제1 플러그 신호 접촉부(311)와 접속된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접속되는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와 접속된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Y축 방향의 내측에 위치된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와 이격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와 연속된다.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가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는 제2 플러그 신호 접촉부(312)를 가압하며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의 단부는 Y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는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 및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 612)가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는 제1 및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 612)와 각각 연속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의 Y축 방향의 일 단부는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결부(613)의 Y축 방향의 타 단부는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는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 및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를 연결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는 Y축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를 사이에 두고 제2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신호 접촉부(611)와 이격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와 결합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는 솔더링 등에 의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는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는 리셉터클 신호 연장부(614)의 Z축 방향의 상기 타 측에서 Y축 방향의 외측을 향해 연장된 일 부분의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는 상기 일 단부에 비해 Y축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신호 실장부(615)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하측에 노출된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접속되어 RF 신호(RF signal)를 전송한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수평 방향으로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에 둘러싸여, 외부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된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를 사이에 두고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에 대해 전자적으로 차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전송하는 RF 신호와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가 전송하는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리셉터클 RF 가동 공간(560)에 수용된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복수 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는 Y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는 각각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와 접속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접속된다.
이때,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 중 어느 하나는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어 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 중 다른 하나는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되되, RF 신호는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물리적으로는 두 개의 지점에서 접속되되, 전기적으로는 단수 개의 지점에서 접속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 중 물리적으로만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접속되는 상기 다른 하나는 외부의 캐리어(미도시)와 접속되되, 플러그 RF 컨택트(320)와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을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는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와 물리적으로만 접속된다. 따라서, 후술될 바와 같이, 제2 리셉터클 컨택트(620b)에는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기 위한 실장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복수 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물리적으로 접속됨에 따라,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플러그 RF 컨택트(320)가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총 두 개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X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된다. 다른 하나의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X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된다. 이때, 각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를 각각 포함하여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두 개의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 및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도 26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 리셉터클 RF 연결부(623) 및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 리셉터클 RF 연결부(623) 및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를 포함하고,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는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접속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Y축 방향을 따라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와 이격된다. 이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가 이격되는 방향과 동일함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리셉터클 RF 연결부(623)와 연속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리셉터클 RF 실장부(624)와 연속된다.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가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는 제1 플러그 RF 접촉부(321)를 가압하며 접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의 단부는 Y축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접속되는 다른 부분을 구성한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와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즉,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된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Y축 방향을 따라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와 이격된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의 단부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하측에 노출되되,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유지된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는 리셉터클 RF 접촉 돌기(62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셉터클 RF 접촉 돌기(622a)는 제2 리셉터클 RF 접촉부(622)의 Y축 방향의 내측, 즉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를 향하는 일 면에서 돌출된다. 리셉터클 RF 접촉 돌기(622a)는 제2 플러그 RF 접촉부(322)와 물리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RF 연결부(623)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와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를 연결한다. 리셉터클 RF 연결부(623)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 및 리셉터클 RF 실장부(624)와 각각 연속된다.
리셉터클 RF 연결부(62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일 단부가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RF 연결부(623)의 폭 방향, 즉 Y축 방향은 리셉터클 RF 실장부(624)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RF 연결부(623)는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에 의해 지지된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RF 연결부(62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 절연 돌기(553)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인서트 몰딩의 방식으로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의 위치가 유지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는 솔더링 등에 의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의 Z축 방향의 상기 타 측에서 Y축 방향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일 부분의 단부로 정의될 수 있다.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는 제1 리셉터클 RF 접촉부(621)에 비해 X축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RF 실장부(624)는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 또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하측에 노출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와 접속되어 함께 접지(ground)를 구성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사이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및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와 각각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를 전자적으로 차폐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에 형성된 리셉터클 접지 수용 공간(570)에 수용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의 Y축 방향의 일 측은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의 Y축 방향의 타 측은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는 리셉터클 절연 벽체(51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와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두 개의 지점에서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와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가 신뢰성 있게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총 두 쌍 구비된다. 어느 한 쌍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X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되어,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및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사이에 위치된다. 다른 한 쌍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X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되어,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및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사이에 위치된다.
즉, 각 쌍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X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또한, 각 쌍의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의 X축 방향의 외측에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위치된다.
도 2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 및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는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가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와 접속되는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는 제1 및 제2 플러그 접지 접촉부(331, 332)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는 Y축 방향의 일 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와 이격된다. 상기 이격에 의해,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가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와 결합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는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가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는 일 부분을 구성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는 리셉터클 소켓 벽부(531)에 의해 Y축 방향에서 지지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는 Y축 방향의 타 측에 위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는 Y축 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와 이격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는 Z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의 Z축 방향의 일 측은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의 Z축 방향의 타 측은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 및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를 연결한다.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 및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와 각각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의 Y축 방향의 일 단부는 리셉터클 접지 접촉부(631)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결합부(633)의 Y축 방향의 타 단부는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의 Z축 방향의 일 단부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는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가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는 솔더링 등에 의해 외부의 기판(미도시)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Y축 방향의 각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는 리셉터클 접지 지지부(632)와 연속된다. 리셉터클 접지 실장부(634)는 리셉터클 절연 실장 부재(520) 또는 리셉터클 절연 지지부(530)의 하측에 노출된다.
상술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및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및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인서트 사출의 방식으로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셉터클 RF 컨택트(62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하기 위해, 리셉터클 절연 돌기(533)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가 예로서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플러그 쉴드 부재(100) 및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가 서로 접속되어 접지를 구성한다.
도 28을 참조하면,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복수 개의 지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지점에서 서로 접속된다. 또한, 도 29를 참조하면, 플러그 접지 컨택트(330)와 리셉터클 접지 컨택트(630)는 복수 개의 지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지점에서 서로 접속된다. 더 나아가, 도 30을 참조하면, 플러그 신호 컨택트(310) 및 리셉터클 신호 컨택트(610) 역시 복수 개의 지점, 즉 두 개의 지점에서 서로 접속된다.
따라서, 플러그 컨택트(300)의 각 구성 및 리셉터클 컨택트(600)의 각 구성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접속됨에 따라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서로 물리적, 전기적으로 이격된 복수 개로 구성됨에 따라, RF 신호의 전송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서로 이격되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물리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 또한 서로 이격되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 중 어느 하나만이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 중 어느 하나만이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단수 개의 지점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결과, 플러그 RF 컨택트(320)와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복수 개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RF 신호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a, 320b)가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고,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제1 및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620b)가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되고, 전기적 절연되어 전송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반면,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복수 개의 지점에서 물리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단수 개의 지점에서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에 비해 물리적인 접속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플러그 RF 컨택트(320) 및 리셉터클 RF 컨택트(620)가 단수 개의 지점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 개의 지점에서 물리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1)는 전송 성능 및 접속 신뢰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커넥터10: 플러그 커넥터
20: 리셉터클 커넥터100: 플러그 쉴드 부재
200: 플러그 절연체300: 플러그 컨택트
400: 리셉터클 쉴드 부재500: 리셉터클 절연체
600: 리셉터클 컨택트

Claims (16)

  1. 외부와 접속되는 플러그 컨택트(300);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와 결합되는 플러그 절연체(200); 및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플러그 절연체(2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플러그 절연체(200)와 결합되고, 접지(ground)를 구성하는 플러그 쉴드 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컨택트(300)는,
    외부와 접속되어 RF 신호(RF signal)을 전송하는 플러그 RF 컨택트(320)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RF 컨택트(320)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와 이격되고, 외부와 물리적으로만 접속되는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러그 RF 컨택트(320a) 및 상기 제2 플러그 RF 컨택트(320b) 중 어느 하나만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는 플러그 RF 실장부(324)가 형성되는,
    커넥터(1).
  2. 외부와 접속되는 리셉터클 컨택트(600);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600)와 결합되는 리셉터클 절연체(500); 및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높이를 갖고,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절연체(500)와 결합되고, 접지(ground)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쉴드 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600)는,
    외부와 접속되어 RF 신호(RF signal)을 전송하는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RF 컨택트(620)는,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RF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상기 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와 이격되고, 외부와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리셉터클 RF 컨택트(620a) 및 상기 제2 리셉터클 RF 컨택트(620b) 중 어느 하나에만 외부의 기판에 실장되는 리셉터클 RF 실장부(624)가 형성되는,
    커넥터(1).
KR1020230191268A2023-01-102023-12-26커넥터PendingKR202401116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202300032232023-01-10
KR10202300032232023-0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11697Atrue KR20240111697A (ko)2024-07-17

Family

ID=9217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191268APendingKR20240111697A (ko)2023-01-102023-12-26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4011169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30019919A (ko)2018-07-172023-02-09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리셉터클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30019919A (ko)2018-07-172023-02-09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리셉터클 커넥터
KR20230145310A (ko)2018-07-172023-10-17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리셉터클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2166317B2 (en)Board-connecting electric connector device
US9318853B2 (en)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7179127B2 (en)Connector minimized in cross-talk and electrical interference
US6905367B2 (en)Modular coaxial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having a modular frame and electrically shielded signal paths and a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229319B2 (en)Printed board connector for differential signal transmission
KR101816411B1 (ko)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US7591684B2 (en)Electrical connector
US11664628B2 (en)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between low and high frequency terminals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using the same
KR20170015126A (ko)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장치
US9653850B1 (en)Electrical connector
JP2009140923A (ja)電気コネクタ
US12230926B2 (en)Cable assembly with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s attached to a pair of side plates
CN113131290A (zh)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101986902B1 (ko)접지 판의 접지 핀에 의해 두 줄의 단자 사이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커넥터
CN113131288A (zh)连接器和连接器装置
KR20070077440A (ko)다극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를 사용한 휴대형 무선단말또는 소형 전자기기
JP2023540709A (ja)基板コネクタ
KR102317945B1 (ko)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111697A (ko)커넥터
KR20210054449A (ko)기판 커넥터
KR20240111695A (ko)커넥터
KR20240111699A (ko)커넥터
KR20240111693A (ko)커넥터
KR200473302Y1 (ko)커넥터
KR102723264B1 (ko)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31226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