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103055A - cartomizer - Google Patents

cartom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3055A
KR20240103055AKR1020247020433AKR20247020433AKR20240103055AKR 20240103055 AKR20240103055 AKR 20240103055AKR 1020247020433 AKR1020247020433 AKR 1020247020433AKR 20247020433 AKR20247020433 AKR 20247020433AKR 20240103055 AKR20240103055 AKR 20240103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mizer
evaporator
aerosol generating
aerosol
generating devi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0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하워드 로스웰
크리스토퍼 다니엘스
톰 우드만
Original Assignee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2206239.2Aexternal-prioritypatent/GB202206239D0/en
Application filed by 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filedCritical니코벤처스 트레이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103055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103055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에어로졸(aerosol) 생성 디바이스(1)를 위한 카토마이저(cartomiser)(3)가 설명되며, 이 카토마이저(3)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와 인터페이스(interface)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및 카토마이저(3)의 저장소(46)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6)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들(74)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관통 홀(74)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의 전력 공급 핀(pin)(23)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증발기(6)는, 카토마이저(3)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와 맞물릴 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의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23)이 증발기(6)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증발기(6)가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74)에 인접하도록 카트리지(3)에 배열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카토마이저(3)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1)가 설명된다.A cartomiser (3)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is described, the cartomiser (3)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nd an evaporator (6) for generating aerosol from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the reservoir (46) of the cartomizer (3).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through holes 74, each through hole 74 sized to receive a power supply pin 2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Determined, the evaporator 6 is such that when the cartomizer 3 is engaged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the respective power supply pins 2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1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vaporator 6. Preferably the evaporator 6 is arranged in the cartridge 3 so that it is adjacent to one or more through holes 74 . Addition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1 comprising the above-described cartomizer 3 is described.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카토마이저cartomizer

본 발명은 베이핑 디바이스(vaping device)와 같은 에어로졸(aerosol)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cartomiser)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tomis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such as a vaping device.

베이핑 디바이스는 전력 소스(source) 및 제어 전자장치를 포함하는 메인(main) 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의 최상부 단부에 플러그인(plug in)되는 교체형 또는 리필형 카토마이저를 포함할 수 있다.The vaping device may include a main housing containing a power source and control electronics, and a replaceable or refillable cartomizer plugged in to the top end of the main housing.

카토마이저는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액체는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 저장될 수 있으며, 위킹(wicking) 및 가열 기능이 결합된 증발기는 저장소로부터 액체를 위킹하고 위킹된 액체를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에어로졸은 카토마이저의 최상부 단부에 있는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통해 빠져나간다. 증발기는 메인 하우징의 최상부 단부와 카토마이저의 최하부 단부 사이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가로질러 이루어지는 전기 연결들을 통해 메인 하우징의 전력 소스(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저장소의 액체가 모두 소진된 경우, 카토마이저의 저장소를 리필하여 카토마이저는 리필될 수 있으며, 이는 전형적으로 메인 하우징으로부터 카토마이저를 언플러깅(unplugging)하는 단계, 저장소를 새로운 액체로 충전하는 단계, 및 그 다음 카토마이저를 다시 메인 하우징의 최상부 단부에 플러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기존의 (비어 있는) 카토마이저를 언플러깅하여 폐기하거나 또는 리사이클링(recycle)하고, 새로운 (가득 찬) 카토마이저를 메인 하우징에 플러그인할 수 있다.Cartomizers are used to heat liquids to create aerosols. The liquid may be stored in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and an evaporator with combined wicking and heating functions may be used to wick the liquid from the reservoir and heat the wicked liquid to generate an aerosol, which is then stored in the cartomizer. It exits through the mouthpiece at the top end of the. The evaporator may be powered by a power source (eg, a battery) in the main housing via electrical connections made across the interface between the uppermost end of the main housing and the lowermost end of the cartomizer. When all of the liquid in the reservoir has been depleted, the cartomizer can be refilled by refilling the cartomizer's reservoir, which typically involves the following steps: unplugging the cartomizer from the main housing, filling the reservoir with fresh liquid; and then plugging the cartomizer back into the top end of the main housing. Alternatively, the existing (empty) cartomizer can be unplugged and discarded or recycled and a new (full) cartomizer plugged into the main housing.

어느 시나리오(scenario)에서든, 메인 하우징은 다수의 카토마이저들과 함께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리필용 카토마이저의 경우에도, 액체들의 교차 오염 또는 증발기의 더럽혀짐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일정 기간 사용 후 이러한 리필용 카토마이저들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음). 따라서, 카토마이저들을 폐기하거나 리사이클링할 수 없는 경우, 많은 양의 물질적 폐기물이 발생할 수 있다.In either scenario, the main housing is likely to be used with multiple cartomizers (even in the case of refillable cartomizers, cross-contamination of liquids or fouling of the evaporator may cause users to discard these refillable cartomizers after a period of use). may lead to a situation where they need to be replaced). Therefore, if cartomizers cannot be disposed of or recycled, large amounts of material waste can be generated.

이러한 문제들 중 일부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다양한 접근 방식들이 설명되어 있다.Various approaches are described to help solve some of these problems.

특정 실시예들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가 제공되며, 이 카토마이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및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 유지되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관통 홀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 핀(pin)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증발기는, 카토마이저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이 증발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증발기가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에 인접하도록 카트리지(cartridge)에 배열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certain embodiments, a cartomiz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the cartomizer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an aerosol from aerosol generating material maintained in a reservoir of the cartomiz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through holes, each through hole sized to receive a power supply pi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evaporator is arranged in a cartridge such that the evaporator is adjacent one or more through holes such that when the cartomizer is engaged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respective power supply pin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vaporator.

특정 실시예들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제1 양태에 따른 카토마이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certain embodiment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artomiz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is provided.

본 발명의 제1 및 다른 양태들과 관련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양태들은 상술한 특정 조합들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양태들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이들과 적절하게 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The features and aspec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o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are equally applicable not only to the specific combinations described above, but also to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other aspects of the invention. ,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se can be appropriately combined.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예시적으로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베이핑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베이핑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들이며, 명확한 묘사를 위해 일부 구성요소들은 생략되었다.
도 5 및 도 6은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수직 단면도 및 사시 단면도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상부 클램핑 유닛의 측면도,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각각 예시적인 카토마이저의 하부 지지 유닛의 상부 사시도(일부 숨겨진 특징들을 예시하기 위해, 블록(block)이 투명하게 도시됨), 상부 사시도(투명도 없음)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베이핑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개시내용에 따른 카토마이저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카토마이저의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확대된 단면도 부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카토마이저의 실시예의 변형예의 구성요소들의 일부 치수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도면이다.
도 12는 카토마이저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공기 흐름 경로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카토마이저의 제2 실시예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1의 베이핑 디바이스와 유사한 베이핑 디바이스에 사용하기 적합한 실시예이다.
도 14는 제1 예에 따른 카토마이저의 제2 실시예에 사용하기 적합한 미세 유체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2 예에 따른 카토마이저의 제2 실시예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미세 유체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제3 예에 따른 미세 유체 증발기의 사시도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by way of example only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ping device.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cartomizer suitable for use in the vaping device of FIG. 1.
3 and 4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an exemplary cartomizer, with some components omitted for clarity.
5 and 6 are vertical and perspective cross-sectional views of an exemplary cartomizer.
7A, 7B, and 7C are a side view, top perspective view, and bottom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an upper clamping unit of an exemplary cartomizer.
8A, 8B, and 8C are a top perspective view (blocks shown transparently to illustrate some hidden features), a top perspective view (no transparency),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the lower support unit of an exemplary cartomizer. am.
Figure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a cartom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suitable for use in the vaping device of Figure 1.
Figures 10A, 10B and 10C are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an enlarged cross-sectional portion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an embodiment of a cartomizer.
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depicting some dimensions of components of a variant embodiment of a cartomizer.
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depicting air flow paths in a variant of the cartomizer embodiment.
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cartom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embodiment suitable for use in a vaping device similar to the vaping device of Figure 1.
Figure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vaporizer suitable for us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rtomizer according to the first example.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vaporizer suitable for use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cartomizer according to the second exampl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crofluidic evaporator according to a third example.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베이핑 디바이스 또는 전자 니코틴 전달 시스템(END)으로도 알려져 있는 전자 시가렛(cigarette)이지만, 에어로졸 생성 액체에 니코틴이 존재하는 것이 필요사항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n electronic cigarette (cigarette), also known as a vaping device or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END), although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ce of nicotine in the aerosol generating liquid is not required. .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는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하이브리드 시스템이다. 에어로졸 생성 재료들 각각은 니코틴을 포함할 수도 있고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 및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포함한다. 고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예를 들어, 담배 또는 비-담배 제품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a hybrid system that generates an aerosol using a combination of aerosol generating materials. Each of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s may or may not contain nicotine. In some embodiments, the hybrid system includes a liquid aerosol-generating material and a solid aerosol-generating material. Sol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s may include, for example, tobacco or non-tobacco products.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생성 재료 또는 각각의 에어로졸 생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활성 성분들, 하나 이상의 향미들,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포머(former) 재료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erosol-generating material or each aerosol-generating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one or more flavors, one or more aerosol former materials, and/or one or more other functional materials. .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활성 물질은 생리학적 활성 재료일 수 있으며, 이는 생리학적 반응을 달성하거나 향상시키도록 의도된 재료이다. 활성 물질은 예를 들어 뉴트라수티컬(nutraceutical)들, 누트로픽(nootropic)들, 향정신성 물질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자연적으로 발생하거나 합성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활성 물질은 예를 들어 니코틴, 카페인, 타우린, 테인, B6 또는 B12 또는 C와 같은 비타민들, 멜라토닌, 카나비노이드들, 또는 이들의 구성 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물질은 담배, 대마초 또는 다른 식물생약(botanical)의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As used herein, an active agent may be a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 which is a material intended to achieve or enhance a physiological response. The active substance may be chosen, for example, from nutraceuticals, nootropics, psychoactive substances. The active substances may occur naturally or be obtained synthetically. The active substance may include, for example, nicotine, caffeine, taurine, theine, vitamins such as B6 or B12 or C, melatonin, cannabinoids, or constituents, derivatives, or combinations thereof. The active substance may include one or more constituents, derivatives or extracts of tobacco, cannabis or other botanicals.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니코틴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카페인, 멜라토닌 또는 비타민 B12를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active substance includes nicotine. In some embodiments, the active agent includes caffeine, melatonin, or vitamin B12.

본 명세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활성 물질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그 구성 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식물생약"이라는 용어는 추출물들, 잎들, 나무껍질, 섬유들, 줄기들, 뿌리들, 씨앗들, 꽃들, 과일들, 꽃가루, 껍질, 쉘들 등을 포함하는(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식물들로부터 유도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재료는 합성적으로 얻어지는, 식물생약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는 액체, 가스, 고체, 분말, 먼지, 분쇄된 입자들, 과립들, 펠릿들, 조각들, 스트립들, 시트들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식물생약들은 담배, 유칼립투스, 스타 아니스, 대마, 코코아, 대마초, 회향, 레몬그라스,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루이보스, 카모마일, 아마, 생강, 은행나무, 헤이즐, 히비스커스, 로렐, 감초(liquorice), 말차, 마테, 오렌지 껍질, 파파야, 장미, 세이지, 녹차 또는 홍차와 같은 차, 타임, 정향, 계피, 커피, 아니스(anise), 바질, 월계수 잎들, 카다몬, 고수, 커민, 육두구, 오레가노, 파프리카, 로즈마리, 사프란, 라벤더, 레몬 껍질, 민트, 주니퍼, 엘더플라워, 바닐라, 윈터그린, 비프스테이크 식물, 커큐마, 강황, 샌달우드, 고수, 베르가못, 오렌지 블라썸, 머틀, 카시스, 발레리안, 피멘토, 메이스, 데미안, 마조람, 올리브, 레몬 밤, 레몬 바질, 골파, 카르비, 버베나, 타라곤, 제라늄, 멀베리, 인삼, 테아닌, 테아크린, 마카, 아슈와간다, 다미나, 과라나, 클로로필, 바오밥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이다. 민트는 다음 민트 품종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멘타 아르벤티스, 멘타 씨.브이., 멘타 닐리아카, 멘타 피페리타, 멘타 피페리타 시트라타 씨.브이., 멘타 피페리타 씨,브이, 멘타 스피카타 크리스파, 멘타 카디폴리아, 멘타 롱기폴리아, 멘타 수아베올렌스 바리가타, 멘타 풀레지움, 멘타 스피카타 씨.브이. 및 멘타 수아베올렌스.As mentioned herein, the active substance may comprise or be derived from one or more herbal medicines or their constituents, derivatives or extracts. As used herein, the term “herbal medicine” includes extracts, leaves, bark, fibers, stems, roots, seeds, flowers, fruits, pollen, bark, shells, etc.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ny material derived from plants. Alternatively, the material may comprise an active compound naturally present in the herbal medicine, which is obtained synthetically. The material may be in the form of liquid, gas, solid, powder, dust, ground particles, granules, pellets, pieces, strips, sheets, etc. Exemplary botanicals include tobacco, eucalyptus, star anise, hemp, cocoa, cannabis, fennel, lemongrass, peppermint, spearmint, rooibos, chamomile, flax, ginger, ginkgo, hazel, hibiscus, laurel, licorice, and matcha. , mate, orange peel, papaya, rose, sage, tea such as green or black tea, thyme, cloves, cinnamon, coffee, anise, basil, bay leaves, cardamom, coriander, cumin, nutmeg, oregano, paprika, Rosemary, saffron, lavender, lemon peel, mint, juniper, elderflower, vanilla, wintergreen, beefsteak plant, curcuma, turmeric, sandalwood, coriander, bergamot, orange blossom, myrtle, cassis, valerian, pimento, mace. , damian, marjoram, olive, lemon balm, lemon basil, chive, carvi, verbena, tarragon, geranium, mulberry, ginseng, theanine, theacrine, maca, ashwagandha, damina, guarana, chlorophyll, baobab or these. It is a random combination of . Mint may be chosen from the following mint varieties: Mentha arventis, Mentha C.V., Mentha niliaca, Mentha piperita, Mentha piperita citrata C.V., Mentha piperita C.V., Mentha spica. Tacrispa, Mentha cardiofolia, Mentha longifolia, Mentha suaveolens varigarta, Mentha pulegium, Mentha spicata C.V. and Mentha suaveolens.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그 구성 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유도되며, 식물생약은 담배이다.In some embodiments, the active agent comprises or is derived from one or more herbal medicines or components, derivatives or extracts thereof, and the herbal medicine is tobacco.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그 구성 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유도되며, 식물생약은 유칼립투스, 스타 아니스, 코코아 및 대마 중에서 선택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active agent comprises or is derived from one or more botanicals or components, derivatives or extracts thereof, wherein the botanicals are selected from eucalyptus, star anise, cocoa and hemp.

일부 실시예들에서, 활성 물질은 하나 이상의 식물생약들 또는 그 구성 성분들, 유도체들 또는 추출물들을 포함하거나 이들로부터 유도되며, 식물생약은 루이보스 및 회향 중에서 선택된다.In some embodiments, the active agent comprises or is derived from one or more herbal medicines or components, derivatives or extracts thereof, wherein the herbal medicine is selected from rooibos and fennel.

여기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향미" 및 "향미제"라는 용어들은, 현지 규정들이 허용하는 경우, 성인 소비자들을 위한 제품에 원하는 맛, 향 또는 다른 소마토센소리얼(somatosensorial) 감각을 조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향미 재료들, 식물생약들, 식물생약들의 추출물들, 합성으로 얻어진 재료들, 또는 이들의 조합들(예를 들어, 담배, 대마초, 감초(liquorice), 수국, 유제놀, 일본 백목련 잎, 카모마일, 호로파, 정향, 메이플, 말차, 멘톨, 일본 박하, 아니스(anise), 계피, 강황, 인도 향미, 아시아 향미, 허브, 윈터그린, 체리, 베리, 레드 베리, 크랜베리, 복숭아, 사과, 오렌지, 망고, 클레멘타인, 레몬, 라임, 열대 과일, 파파야, 루바브, 포도, 두리안, 용과, 오이, 블루베리, 오디, 감귤류, 드램부이, 버번, 스카치, 위스키, 진, 테킬라, 럼, 스피어민트, 페퍼민트, 라벤더, 알로에 베라, 카다몬, 셀러리, 카스카릴라, 육두구, 샌달우드, 베르가못, 제라늄, 카트, 나스와르, 빈랑, 시샤, 소나무, 꿀 에센스, 장미 오일, 바닐라, 레몬 오일, 오렌지 오일, 오렌지 블라썸, 벚꽃, 계수나무, 캐러웨이, 코냑, 자스민, 일랑일랑, 세이지, 회향, 와사비, 피멘, 생강, 고수, 커피, 대마, 멘타 속의 임의의 종들의 민트 오일, 유칼립투스, 스타 아니스, 코코아, 레몬그라스, 루이보스, 아마, 은행나무, 헤이즐, 히비스커스, 월계수, 마테, 오렌지 껍질, 장미, 녹차 또는 홍차와 같은 차, 타임, 주니퍼, 엘더플라워, 바질, 베이 잎들, 커민, 오레가노, 파프리카, 로즈마리, 사프란, 레몬 껍질, 민트, 비프스테이크 식물, 커큐마, 고수, 머틀, 카시스, 발레리안, 피멘토, 메이스, 데미안, 마조람, 올리브, 레몬 밤, 레몬 바질, 차이브, 카르비, 버베나, 타라곤, 리모넨, 티몰, 캄펜), 향미 증진제들, 쓴맛 수용체 사이트 차단제들, 감각 수용체 사이트 활성화제들 또는 자극제들, 설탕들 및/또는 설탕 대체물들(예를 들어, 수크랄로스, 아세설팜칼륨, 아스파탐, 사카린, 사이클라메이트들, 유당, 자당, 포도당, 과당, 솔비톨, 또는 만니톨), 및 숯, 엽록소, 미네랄들, 식물생약들, 또는 방향제들과 같은 다른 첨가제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것들은 모조, 합성 또는 천연 성분들 또는 이들의 블렌드들일 수 있다. 이것들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일 수 있다.As used herein, the terms “flavor” and “flavor” refer to the term “flavor” and “flavor” used to describe a product intended to impart a desired taste, aroma or other somatosensorial sensation in products intended for adult consumers, where local regulations permit. This refers to materials that can be used. These include naturally occurring flavoring ingredients, herbal medicines, extracts of herbal medicines, synthetically obtained ingredients, or combinations thereof (e.g. tobacco, cannabis, liquorice, hydrangea, eugenol, Japanese white magnolia leaf, chamomile, fenugreek, clove, maple, matcha, menthol, Japanese mint, anise, cinnamon, turmeric, Indian flavor, Asian flavor, herbs, wintergreen, cherry, berry, red berry, cranberry, peach, Apples, oranges, mangoes, clementines, lemons, limes, tropical fruits, papaya, rhubarb, grapes, durian, dragon fruit, cucumbers, blueberries, mulberries, citrus fruits, drambuoy, bourbon, scotch, whiskey, gin, tequila, rum. , spearmint, peppermint, lavender, aloe vera, cardamom, celery, cascarilla, nutmeg, sandalwood, bergamot, geranium, khat, naswar, betel nut, shisha, pine, honey essence, rose oil, vanilla, lemon oil. , orange oil, orange blossom, cherry, cassia, caraway, cognac, jasmine, ylang-ylang, sage, fennel, horseradish, pimen, ginger, coriander, coffee, hemp, mint oil of any species of the genus Mentha, eucalyptus, star Anise, cocoa, lemongrass, rooibos, flax, ginkgo, hazel, hibiscus, laurel, mate, orange peel, rose, tea such as green or black tea, thyme, juniper, elderflower, basil, bay leaves, cumin, oregano, Paprika, rosemary, saffron, lemon peel, mint, beefsteak plant, curcuma, coriander, myrtle, cassis, valerian, pimento, mace, damian, marjoram, olive, lemon balm, lemon basil, chive, carvi, verbena. , tarragon, limonene, thymol, camphene), flavor enhancers, bitter receptor site blockers, sensory receptor site activators or stimulants, sugars and/or sugar substitutes (e.g. sucralose, acesulfame potassium, aspartame, saccharin, cyclamates, lactose, sucrose, glucose, fructose, sorbitol, or mannitol), and other additives such as charcoal, chlorophyll, minerals, botanicals, or fragrances. These may be imitation, synthetic or natural ingredients or blends thereof. These may be in any suitable form.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멘톨, 스피어민트 및/또는 페퍼민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오이, 블루베리, 시트러스 과일들 및/또는 레드베리의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유제놀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담배에서 추출된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대마초에서 추출된 향미 성분들을 포함한다.In some embodiments, the flavor includes menthol, spearmint, and/or peppermint. In some embodiments, the flavor includes flavor components of cucumber, blueberry, citrus fruits, and/or redberry. In some embodiments, the flavor includes eugenol. In some embodiments, the flavor includes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tobacco. In some embodiments, the flavor includes flavor components extracted from cannabis.

일부 실시예들에서, 향미는, 일반적으로 화학적으로 유도되고 아로마 또는 미각 신경들에 추가하여 또는 이에 대신하여 제5 뇌신경(삼차 신경)의 자극에 의해 인지되는 소마토센소리얼 감각을 달성하도록 의도되는 감각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가열, 냉각, 따끔거림, 마비 효과를 제공하는 제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가열 효과 제제는 바닐릴 에틸 에테르일 수 있고(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 적절한 냉각 제제는 유콜립톨, WS-3일 수 있다(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In some embodiments, the flavor is intended to achieve a somatosensory sensation, which is generally chemically induced and perceived by stimulation of the fifth cranial nerve (trigeminal nerve)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the aroma or taste nerves. Sensory agents may be included, and these may include agents that provide heating, cooling, tingling, or numbing effects. A suitable heating effect agen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vanillyl ethyl ether, and a suitable cooling agent may be (but not limited to) eucolyptol, WS-3.

에어로졸 포머 재료는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성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에어로졸 포머 재료는 글리세린,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에리스리톨, 메소-에리스리톨, 에틸 바닐레이트, 에틸 라우레이트, 디에틸 수버레이트, 트리에틸 시트레이트, 트리아세틴, 디아세틴 혼합물, 벤질 벤조에이트, 벤질 페닐 아세테이트, 트리부티린, 라우릴 아세테이트,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aerosol former material may include one or more constituents capable of forming an aerosol. In some embodiments, the aerosol former material is glycerin, glycerol, prop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triethylene glycol, tetraethylene glycol, 1,3-butylene glycol, erythritol, meso-erythritol, ethyl vanillate, ethyl laurate. , diethyl suberate, triethyl citrate, triacetin, diacetin mixture, benzyl benzoate, benzyl phenyl acetate, tributyrin, lauryl acetate, lauric acid, myristic acid, and propylene carbonate. can do.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성 재료들은 pH 조절제들, 착색제들, 방부제들, 바인더(binder)들, 충전제들, 안정제들, 및/또는 항산화제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One or more other functional ingredients may include one or more of pH adjusters, colorants, preservatives, binders, fillers, stabilizers, and/or antioxidants.

에어로졸 개질제는, 전형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영역의 하류에 위치(locate)되고 예를 들어 에어로졸의 맛, 향미, 산도 또는 다른 특성을 변경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을 개질하도록 구성된 물질이다. 에어로졸 개질제는 에어로졸 개질제를 선택적으로 방출하도록 작동될 수 있는 에어로졸 개질제 방출 구성요소에 제공될 수 있다.An aerosol modifier is a substance that is typically located downstream of the aerosol generating area and is configured to modify the produced aerosol, for example by altering the taste, flavor, acidity or other properties of the aerosol. The aerosol modifier may be provided to an aerosol modifier releasing component that can be operable to selectively release the aerosol modifier.

에어로졸 개질제는 예를 들어 첨가제 또는 흡수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개질제는 향미제, 착색제, 물, 및 탄소 흡착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개질제는 예를 들어 고체, 액체 또는 겔일 수 있다. 에어로졸 개질제는 분말, 스레드(thread) 또는 과립 형태일 수 있다. 에어로졸 개질제에는 여과 재료가 없을 수 있다.Aerosol modifiers may be, for example, additives or absorbents. For example, an aerosol modifier may include one or more of flavoring agents, colorants, water, and carbon adsorbents. Aerosol modifiers can be, for example, solid, liquid or gel. Aerosol modifiers may be in powder, thread or granular form. Aerosol modifiers may be devoid of filtration material.

도 1은 메인 하우징(2)과 카토마이저(3)를 포함하는 베이핑 디바이스(1)를 도시한다. 메인 하우징(2)은 충전식 배터리와 제어 전자장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파워 팩(power pack)의 형태이다. 카토마이저(3)는 메인 하우징(2)의 최상부 단부(21)에 플러그인되며, 카토마이저(3)에 액체를 리필하거나 원래 카토마이저의 액체가 고갈되어 새로운 카토마이저로 교체해야 할 때 여기에서 언플러깅될 수 있다. 이러한 플러깅 및 언플러깅은 베이핑 디바이스(1)의 종축(L1)을 따라 이루어진다.Figure 1 shows a vaping device (1) comprising a main housing (2) and a cartomizer (3). The main housing 2 is in the form of a power pack because it contains the rechargeable battery and control electronics. The cartomizer (3) is plugged into the uppermost end (21) of the main housing (2), from which the cartomizer (3) can be refilled with liquid or when the original cartomizer has run out of liquid and needs to be replaced with a new cartomizer. Can be plugged. This plugging and unplugging is done along the longitudinal axis L1 of the vaping device 1.

도 2 내지 도 8은 도 1의 베이핑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1 유형의 카토마이저(3A)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의 분해도에서, 카토마이저(3A)는 구성요소들: 외부 하우징(4), 상부 클램핑 유닛(5), 평면형 증발기(6), 하부 지지 유닛(7) 및 단부 캡(cap)(8)의 스택으로 조립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Figures 2-8 show examples of a first type of cartomizer 3A suitable for use in the vaping device of Figure 1. In the exploded view of Figure 2, the cartomizer 3A consists of: outer housing 4, upper clamping unit 5, flat evaporator 6, lower support unit 7 and end cap 8. It can be seen that it is assembled as a stack of .

도 3 및 도 4의 분해도들에서, 평면형 증발기(6)와 단부 캡(8)은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묘사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해 생략되었다.In the exploded views of FIGS. 3 and 4 , the planar evaporator 6 and the end cap 8 are omitted to improve clarity of depiction of the components shown.

도 5 및 도 6에는 구성요소들 모두가 함께 조립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Figures 5 and 6 show all of the components assembled together.

카토마이저(3A)는 베이핑 디바이스(1)의 종축일 뿐만 아니라 카토마이저의 종축이기도 한 종축(L1)을 따라 이격된 최상부 단부(31)와 최하부 단부(32)를 갖는다. 카토마이저의 최상부 단부(31)는 베이핑 디바이스의 마우스피스 단부를 정의하고, 마우스피스(33)는 최상부 면(43)의 중앙에서 외부 하우징(4)의 최상부 단부(42)에 제공되는 마우스피스 오리피스(orifice)(41)를 포함한다.The cartomizer 3A has an uppermost end 31 and a lowermost end 32 spaced apart along a longitudinal axis L1, which is not only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aping device 1 but als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rtomizer. The uppermost end (31) of the cartomizer defines the mouthpiece end of the vaping device, and the mouthpiece (33) is provided at the uppermost end (42) of the outer housing (4) at the center of the uppermost face (43). It includes an orifice (41).

외부 하우징(4)은, 외부 하우징(4)의 최상부 단부(42)로부터 최하부 단부(45)로 이어지고 내부 저장소(46)를 정의하는 원주 방향 측벽(44)을 포함한다. 카토마이저(3A)를 조립하기 전에, 외부 하우징의 최하부 단부(45)는 개방되어 있지만, 조립 시 최하부 단부(45)는, 그 사이에 끼워진 평면형 증발기(6)와 함께 적층된 하부 지지 유닛(7)과 상부 클램핑 유닛(5)에 의해 형성된 플러그에 의해 폐쇄된다.The outer housing 4 includes a circumferential side wall 44 that runs from the uppermost end 42 of the outer housing 4 to the lowermost end 45 and defines an internal reservoir 46 . Before assembling the cartomizer 3A, the lowermost end 45 of the outer housing is open, but upon assembly the lowermost end 45 is a stacked lower support unit 7 with a planar evaporator 6 sandwiched therebetween. ) and the plug formed by the upper clamping unit (5).

상부 클램핑 유닛(5)은 구성요소들의 스택의 중간 구성요소이며, 도 7a 내지 7c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부 클램핑 유닛(5)은 블록 형태의 풋(foot)(51) 및 위쪽으로 연장되는 공기 튜브(52)를 포함한다. 공기 튜브(52)의 각각의 측면에서, 풋(51)은 평평한 최상부 표면(54)으로부터 풋(51)의 평평한 최하부 표면(55)으로 내려가는 웰(well)(53)을 포함한다. 최하부 표면(55)에서, 각각의 웰(53)은 개방되어 있으며(도 7c 참조), 구체적으로, 최하부 표면(55)에 형성된 세장형 오목부(recess)(56)로 개방되며, 오목부(56)의 깊이는 평면형 증발기(6)의 두께와 일치한다. 풋(51)은 저장소(46)에서 액체의 누출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2 개의 원주 방향 모세관 차단부(57)를 포함한다. 공기 튜브(52)는 웰들(53)의 최하부로부터 위로 연장되고, 공기 튜브(52)의 내부 공기 통로(58)는 오목부(56)의 중앙 부분에 최하부 단부(581)를 갖고 공기 튜브(52)의 최상부에 최상부 단부(582)를 갖는다. 도 5에서, 공기 튜브(52)의 최상부는 외부 하우징(4)의 최상부 면(43)에서 마우스피스 오리피스(4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공기 튜브(47)의 최하부 단부(471)에 맞는다. 따라서, 공기 통로(58)는 공기 튜브(47)의 공기 통로(48)에 연결된다.The upper clamping unit 5 is the middle component of the stack of components and is shown in detail in Figures 7a to 7c. The upper clamping unit 5 includes a block-shaped foot 51 and an upwardly extending air tube 52. On each side of the air tube 52 , the foot 51 includes a well 53 extending from the flat top surface 54 to the flat bottom surface 55 of the foot 51 . At the lowermost surface 55, each well 53 is open (see Figure 7c), specifically into an elongated recess 56 formed in the lowermost surface 55, the recess ( The depth of 56) corresponds to the thickness of the planar evaporator (6). Foot 51 includes two circumferential capillary blocks 57 to reduce or prevent leakage of liquid from reservoir 46. The air tube 52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wells 53, and the internal air passage 58 of the air tube 52 has a lowermost end 581 in the central part of the recess 56. ) has an uppermost end 582 at the top. In Figure 5, the uppermost end of the air tube 52 fits the lowermost end 471 of the air tube 47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mouthpiece orifice 41 at the uppermost face 43 of the outer housing 4. Accordingly, the air passage 58 is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48 of the air tube 47.

하부 지지 유닛(7)은 도 8a 내지 도 8c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평평한 최상부 표면(71)과 평평한 최하부 표면(72)을 갖는 블록 형태이다. 중앙 공기 통로(73)는 최하부 표면(72)으로부터 최상부 표면(71)으로 위쪽으로 연장된다. 공기 통로(73)의 각각의 측면에서, 하부 지지 유닛(7)의 블록은, 도 8a 내지 도 8c에는 비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 참조) 핀 형태의 공동 성형된 접촉 패드(75)를 포함하는 관통 홀(74)을 포함한다. 각각의 접촉 패드(75)는 개개의 관통 홀(74)에 압입된다. 각각의 접촉 패드(75)는 평면형 증발기(6)가 하부 지지 유닛(7)의 최상부 표면(71)과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최하부 표면(55)의 오목부(56) 사이에 끼워질 때 최하부 표면(72)으로부터 평면형 증발기(6)의 개개의 단부 부분까지 전기 연결 경로를 제공한다(예를 들어, 도 5 참조).The lower support unit 7 is shown in detail in FIGS. 8a to 8c and is in the form of a block with a flat upper surface 71 and a flat lowermost surface 72 . A central air passage 73 extend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72 to the top surface 71. On each side of the air passage 73 a block of the lower support unit 7 is shown as empty in FIGS. 8A to 8C but in reality (see for example FIGS. 5 and 6) a fin-shaped and a through hole (74) containing a co-molded contact pad (75). Each contact pad 75 is press-fitted into an individual through hole 74. Each contact pad 75 is positioned when the planar evaporator 6 is sandwiched between the uppermost surface 71 of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the recess 56 of the lowermost surface 55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is provided from the lowermost surface 72 to the respective end portions of the planar evaporator 6 (see, for example, Figure 5).

하부 지지 유닛(7)의 블록은 저장소(46)에서 액체의 누출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한 2 개의 원주 방향 모세관 차단부들(76)을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 유닛(5)의 풋(51)과 하부 지지 유닛(7)(블록과 같은 형태를 가짐)은 함께 결합하여 저장소(46)의 최하부 단부를 밀봉하는 플러그를 형성하며(도 5 참조), 총 4 개의 원주 방향 모세관 차단부들(57, 76)이 저장소(46)에서 액체의 누출을 감소시키거나 방지하기 위해 존재한다.The block of the lower support unit 7 comprises two circumferential capillary blocks 76 to reduce or prevent leakage of liquid from the reservoir 46. The foot 51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lower support unit 7 (having a block-like form) join together to form a plug sealing the lowermost end of the reservoir 46 (see Figure 5), A total of four circumferential capillary blocks 57, 76 are present to reduce or prevent leakage of liquid from the reservoir 46.

카토마이저(3A)의 구성요소들이 함께 조립되면, 카토마이저(3A)의 최하부 단부(32)로부터 최상부 단부(31)까지 전체 공기 통로(34)가 존재하며, 이는 공기 통로(73)가 공기 통로(58)로 이어지고 이 공기 통로는 다시 공기 통로(48) 및 마우스피스 오리피스(41)로 이어짐으로써 형성된다. 공기 통로(73)가 공기 통로(58)와 만나는 곳에서, 공기 흐름은 평면형 증발기(6)의 측면 에지(edge)들 주위를 통과하면서 분기된다.When the components of the cartomizer 3A are assembled together, there is an entire air passage 34 from the lowermost end 32 to the uppermost end 31 of the cartomizer 3A, which means that the air passage 73 is an air passage 73. (58) and this air passage is formed by being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48) and the mouthpiece orifice (41). Where air passage 73 meets air passage 58, the air flow diverges as it passes around the side edges of planar evaporator 6.

카토마이저(3A)에 사용되는 증발기(6)의 버전은 평면형이며, 판 형태이고, 종축 방향으로 세장형 형태이다. 평면형 증발기(6)는 스트립 형상을 갖고, 평행한 측면들을 가지고 있다. 평면형 증발기(6)는 평행한 상부 및 하부 주 (평면) 표면들 및 평행한 측면 표면들 및 평행한 단부 표면들을 갖는다. 평면형 증발기(6)의 길이는 10 mm이다. 폭은 1 mm이고, 두께는 0.12 mm이다. 평면형 증발기의 저항은 0.5 내지 0.6 옴이다. 평면형 증발기(6)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대형 증발기에 비해 원하는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고,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도 적다. 평면형 증발기(6)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카토마이저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키고 카토마이저의 구성요소들의 전체 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The version of the evaporator 6 used in the cartomizer 3A is planar, plate-shaped and longitudinally elongated. The planar evaporator 6 has a strip shape and has parallel sides. The planar evaporator 6 has parallel upper and lower main (planar) surfaces and parallel side surfaces and parallel end surfaces. The length of the planar evaporator 6 is 10 mm. The width is 1 mm and the thickness is 0.12 mm. The resistance of a flat evaporator is 0.5 to 0.6 ohm. Because the planar evaporator 6 is small, it takes less time to reach the desired operating temperature than a large evaporator, and less energy is used in this process. Because the size of the planar evaporator 6 is smal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cartomizer and the overall mass of the components of the cartomizer.

종축을 따라, 증발기(6)는 중앙 부분(67) 및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68, 69)을 갖는다(도 2에 도시됨). 증발기가 카토마이저에서 제 위치에 있을 때, 중앙 부분(67)은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로(34)에 위치결정(position)된다. 중앙 부분(67)은 하부 지지 유닛(7)의 공기 통로(73)의 최상부 단부를 가로질러, 그리고 상부 클램핑 유닛(5)의 공기 통로(58)의 최하부 단부(581)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단부 부분들(68, 69)은 상부 클램핑 유닛(5)과 하부 지지 유닛(4) 사이에 클램핑된다.Along the longitudinal axis, the evaporator 6 has a central part 67 and first and second end parts 68, 69 (shown in Figure 2). When the evaporator is in place in the cartomizer, the central portion 67 is positioned in the air passage 34,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central portion 67 extends across the uppermost end of the air passage 73 of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across the lowermost end 581 of the air passage 58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The end portions 68, 69 are clamped between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lower support unit 4.

단부 부분들(68, 69)은 접촉 패드들(75) 상에 안착됨으로써 아래로부터 히터 전류 회로에 연결된다. 단부 부분들(68, 69)은 또한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웰들(53) 아래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위에서부터 저장소(46)로부터 액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축(L1)과 관련하여, 웰들(53)은 접촉 패드들(75)의 내측에 있다.The end portions 68, 69 are connected to the heater current circuit from below by seating on contact pads 75. The end portions 68 , 69 are also configured to receive liquid from the reservoir 46 from above by being positioned below the wells 53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 As can be seen in FIGS. 5 and 6 ,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L1 , the wells 53 are inside the contact pads 75 .

증발기(6)는 다공성 및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평균 직경이 12 미크론 이하인 소결 금속 섬유들로 형성된다. 재료는 316L 스테인리스강 부직포 소결 메쉬(mesh)일 수 있다. 섬유들의 밀도는 100 g/m2 내지 500 g/m2일 수 있다. 메쉬 두께는 0.10 mm 내지 1 mm일 수 있다. 소결 온도 범위는 0.5 kg 내지 25 kg의 가중 질량 하에서 850 ℃ 내지 1400 ℃일 수 있다. 진공 및 질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이클 시간은 2 시간 내지 16 시간 범위이다. 그런 다음 결과물인 메쉬를 전동 프레스를 사용하여 필요한 두께로 압축한다. 그런 다음 기계 절단 또는 레이저 절단을 사용하여 메쉬를 필요한 형상으로 절단한다. 하스탈로이 또는 니켈 크롬과 같은 다른 금속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evaporator 6 is made of porous an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it is formed from sintered metal fibers with an average diameter of less than 12 microns. The material may be a 316L stainless steel non-woven sintered mesh. The density of the fibers can be from 100 g/m2 to 500 g/m2 . The mesh thickness may be between 0.10 mm and 1 mm. The sintering temperature range may be 850° C. to 1400° C. under a weighted mass of 0.5 kg to 25 kg. Vacuum and inert gases such as nitrogen can be used, and cycle times range from 2 to 16 hours. The resulting mesh is then compressed to the required thickness using an electric press. The mesh is then cut into the required shape using machine cutting or laser cutting. Other metals such as hastalloy or nickel chromium may also be used.

평면형 증발기(6)가 카토마이저(3A) 내부에서 제 포지션(position)에 클램핑되면, 평면형 증발기(6)의 종축(L2)은 카토마이저(3A)의 종축(L1)에 횡 방향이다. 판형 평면형 증발기(6)의 평면은 종축(L1)에 수직이다. 증발기의 단부 부분들(68, 69)은 그 최상부 표면(71)의 하부 지지 유닛(7)의 상단에 평평하게 놓여 있다. 평면형 증발기의 두께 치수는 전형적으로 작고(예를 들어, 이미 언급한 0.12 mm의 두께), 평면형 증발기의 배향은 (평면형 증발기가 카토마이저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평면형 증발기가 직립한 카토마이저에 비해 평면형 증발기가 카토마이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전체 높이에 거의 기여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평면형 증발기가 저장소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소(46)의 액체 저장 부피가 감소될 필요가 없다.When the planar evaporator 6 is clamped in position inside the cartomizer 3A, the longitudinal axis L2 of the planar evaporator 6 is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L1 of the cartomizer 3A. The plane of the plate-shaped flat evaporator 6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L1. The end parts 68 , 69 of the evaporator lie flat on top of the lower support unit 7 on its uppermost surface 71 . The thickness dimensions of the planar evaporator are typically small (e.g. the thickness of 0.12 mm already mentioned) and the orientation of the planar evaporator is such that the planar evaporator is positioned in an upright position (with the planar evaporator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tomizer). Compared to the flat evaporator, it is made to contribute little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components that make up the cartomizer. Additionally, since the planar evaporator protrudes into the reservoir, the liquid storage volume of reservoir 46 does not need to be reduced.

평면형 증발기(6)가 오목부(56)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형 증발기의 존재 자체가 카토마이저의 내부 구성요소들(하부 지지 유닛, 증발기 및 상부 클램핑 유닛)의 스택의 전체 높이에 전혀 임의의 높이도 기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Since the planar evaporator 6 is seated in the recess 56, the very presence of the planar evaporator does not affect the overall height of the stack of internal components of the cartomizer (lower support unit, evaporator and upper clamping unit) at all. Height may also be considered non-contributory.

메인 하우징(2)의 최상부 단부(21)는 메인 하우징(2)의 각각의 측면에 공기 유입 홀(22)을 포함한다(도 1에 2 개의 공기 유입 홀들(22) 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음). 공기는 공기 유입 홀들(22)로 진입하여 종축(L1)에 대해 횡 방향으로 안쪽으로 흐르면서 하부 지지 유닛(7)의 공기 통로(73)의 최하부 단부에 진입하여 종축(L1)의 방향으로 마우스피스(33)를 향해 흐르기 시작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2)은 접촉 패드들(75)의 최하부 단부들과 접촉하는 2 개의 전력 공급 핀들(도시되지 않음)을 갖는다. 접촉 패드들(75)의 최상부 단부들은 평면형 증발기(6)의 단부 부분들(68, 69)과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평면형 증발기(6)의 단부 부분들(68, 69)은 웰들(53)의 최하부에서 저장소(46)의 액체에 노출되고, 다공성 평면형 증발기(6)의 위킹 특성은 공기 통로(34)(공기 통로(73), 공기 통로(58), 및 공기 통로(48))를 따라 공기 흐름에 노출되는 평면형 증발기(6)의 중앙 부분(67)으로 액체 공급을 수송한다. 메인 하우징(2)의 전력 소스(예를 들어, 배터리)로부터 접촉 패드들(75)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는 평면형 증발기(6)의 중앙 부분(67)이 가열되게 한다. 평면형 증발기(6)의 중앙 부분(67)에 있는 위킹된 액체는 에어로졸이 되어, 공기 통로(34)를 따라 공기 흐름에 혼입된다. 에어로졸은 공기 통로(34)를 따라 마우스피스 오리피스(41) 밖으로 이동하여, 베이핑 디바이스(1)의 사용자에 의해 흡입된다.The uppermost end 21 of the main housing 2 includes an air inlet hole 22 on each side of the main housing 2 (one of the two air inlet holes 22 is shown in Figure 1). . Air enters the air inlet holes 22 and flows inward in the direction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L1, enters the lowermost end of the air passage 73 of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flows into the mouthpiece in the direc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L1. It can begin to flow towards (33). The main housing 2 has two power supply pins (not shown) that contact the lowermost ends of the contact pads 75. The uppermost ends of the contact pads 75 are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end portions 68, 69 of the planar evaporator 6. The end portions 68, 69 of the planar evaporator 6 are exposed to the liquid of the reservoir 46 at the bottom of the wells 53, and the wicking properties of the porous planar evaporator 6 are expressed in the air passage 34 (air passage 34). 73, air passage 58, and air passage 48 transport the liquid supply to the central part 67 of the planar evaporator 6, which is exposed to the air flow. The current supplied by the contact pads 75 from a power source (eg a battery) of the main housing 2 causes the central part 67 of the planar evaporator 6 to heat up. The wicked liquid in the central part 67 of the planar evaporator 6 becomes an aerosol and is entrained in the air flow along the air passage 34. The aerosol travels out of the mouthpiece orifice 41 along the air passage 34 and is inhaled by the user of the vaping device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3A)는 그 최하부 단부에 단부 캡(8)을 포함한다. 단부 캡(8)은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카토마이저(3A)가 메인 하우징(2)의 최상부 단부에 플러그인될 때, 메인 하우징(2)에는 단부 캡(8)의 금속에 끌어 당겨지는 자석들이 제공되기 때문에, 카토마이저(3A)를 메인 하우징(2)에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단부 캡(8)은 하부 지지 유닛(7)의 최하부 표면(72)의 상승된 중앙 부분의 형상에 부합하는 중앙 개구부(82)를 갖는 최하부 벽(81)을 갖는다(도 5 참조). 단부 캡(8)은 또한 외부 하우징(4)의 측벽(44)의 최하부 단부의 외부 표면 상의 상응하는 돌출부들(49) 상으로 래칭(latch)되는 2 개의 대향되는 컷아웃(cut-out)들(84)을 갖는 원주 방향 측벽(83)을 가지므로, 단부 캡(8)은 외부 하우징(4)의 최하부 단부 상에 스냅-핏 유형의 연결을 갖는다. 단부 캡(8)이 제 포지션에 장착되면, 하부 지지 유닛(7), 상부 클램핑 유닛(5), 및 하부 지지 유닛(7)과 상부 클램핑 유닛(5) 사이에 끼워지는 평면형 증발기(6)를 제 포지션에 유지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cartomizer 3A includes an end cap 8 at its lowermost end. The end cap (8) is made of metal, and when the cartomizer (3A) is plugged into the uppermost end of the main housing (2), the main housing (2) is provided with magnets that are attracted to the metal of the end cap (8). Therefore, it serves to assist in maintaining the cartomizer (3A) in the main housing (2). The end cap 8 has a lowermost wall 81 with a central opening 82 that conforms to the shape of the raised central part of the lowermost surface 72 of the lower support unit 7 (see Figure 5). The end cap 8 also has two opposing cut-outs that latch onto corresponding projections 49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most end of the side wall 44 of the outer housing 4. Having a circumferential side wall 83 with (84), the end cap 8 has a snap-fit type connection on the lowermost end of the outer housing 4. Once the end cap (8) is in place, the lower support unit (7),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flat evaporator (6) are fitted between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the upper clamping unit (5). Maintain your position.

하부 지지 유닛(7)이 외부 하우징(4)의 측벽(44)의 최하부 단부와 스냅-핏 유형의 연결을 형성하도록 배열함으로써 (구성요소 개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단부 캡(8)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카토마이저(3A)에는 메인 하우징(2)의 최상부 단부(21)에서 돌출부들과 맞물리는 인덴테이션(indentation)들이 제공되어, 카토마이저와 메인 하우징 사이에 해제 가능한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By arranging the lower support unit 7 to form a snap-fit type connection with the lowermost end of the side wall 44 of the outer housing 4, the end cap 8 can be omitted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there is. Additionally, the cartomizer 3A is provided with indentations that engage protrusions at the uppermost end 21 of the main housing 2, so that a releasable connection can be provided between the cartomizer and the main housing.

임의의 경우든, 카토마이저(3A)에는 메인 하우징(2)(또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과 인터페이스하는 카토마이저(3A)의 일부인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라고 보다 일반적으로 지칭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된다. 위의 예에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최하부 벽(81) 및 원주 방향 측벽(83)을 포함하는 금속 캡(8) 및/또는 최하부 표면(72)을 포함하는 하부 지지 유닛(7)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일반적으로, 카토마이저(3A)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메인 하우징(2)에 접촉하거나, 맞닿거나, 맞물리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토마이저(3A)의 임의의 부품 또는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ny case, the cartomizer 3A is provided with what may be more commonly referred to as a device interface, which is the part of the cartomizer 3A that interfaces with the main housing 2 (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 the example above, the device interface may include a metal cap 8 comprising a bottom wall 81 and a circumferential side wall 83 and/or a lower support unit 7 comprising a bottom surface 72. . More generally,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artomizer 3A may include any part or parts of the cartomizer 3A that contact, abut, engage, or otherwise couple to the main housing 2. there is.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따르면, 도 9 내지 도 12는 도 1의 베이핑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카토마이저(3B)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토마이저(3B)는 일반적으로 카토마이저(3A)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카토마이저(3B)는 베이핑 디바이스(1)의 메인 하우징(2) 내의 배터리와 증발기(6) 사이에 전기 접촉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특히 카토마이저(3B) 자체의 구성요소들의 개수를 감소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베이핑 디바이스(1)가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가 고갈된 경우) 다수의 카토마이저들(3, 3A, 3B)이 메인 하우징(2)과 함께 사용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하면, 카토마이저(3B)의 구성요소들의 개수를 줄이면 카토마이저가 폐기될 때 폐기물을 줄이고 및/또는 카토마이저가 생산될 때 비용들을 절감하는 데 유리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S. 9-12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cartomizer 3B suitable for use in the vaping device of FIG. 1. Cartomizer 3B is generally identical to cartomizer 3A; However, as discussed below, the cartomizer 3B is configured in a way to provide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vaporizer 6 and the battery within the main housing 2 of the vaping device 1, in particular the cartomizer ( 3B) Reduce the number of its components. In this regard, note that the vaping device 1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cartomizers 3, 3A, 3B are used with the main housing 2 (e.g. when the cartomizer is depleted). In this case, reducing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cartomizer 3B may be advantageous in reducing waste when the cartomizer is disposed of and/or reducing costs when the cartomizer is produced.

카토마이저(3B)는 위에서 설명한 예시적인 카토마이저(3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유사한 참조 부호들로 표시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간결성을 위해 생략될 것이다; 이와 관련된 차이점들만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될 것이다.Cartomizer 3B is substantially identical to exemplary cartomizer 3A described above. Similar components are indicated by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brevity; Only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is will be discussed herein.

카토마이저(3B)는 카토마이저(3A)의 2 개의 접촉 패드들(75)을 생략한다. 대신에, 카토마이저(3B)에서, 하부 지지 유닛(7)의 관통 홀들(74)은 카토마이저(3A)와 함께 사용되는 메인 하우징의 전력 공급 핀들보다 더 긴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을 수용하도록 설계된다. 추가 길이는 대략 하부 지지 유닛(7)의 높이에 해당한다. 따라서, 카토마이저(3A)가 메인 하우징(2)과 맞물릴 때, 메인 하우징(2)의 일부에서 돌출된 전력 공급 핀들(23)이 카토마이저(3B)로 들어가서 관통 홀들(74)을 통과한다. 전력 공급 핀들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포고 핀(pogo pin)들이라고도 함).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는, 전력 공급 핀들에 스프링이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The cartomizer 3B omits the two contact pads 75 of the cartomizer 3A. Instead, in the cartomizer 3B, the through holes 74 of the lower support unit 7 have the power supply pins of the main housing 2 longer than the power supply pins of the main housing used with the cartomizer 3A. It is designed to accommodate (23). The additional length approximatel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unit 7. Therefore, when the cartomizer 3A engages with the main housing 2, the power supply pins 23 protruding from a part of the main housing 2 enter the cartomizer 3B and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74. . The power supply pins are spring loaded (also called pogo pins). However,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power supply pins may not be spring loaded.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르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예를 들어, 하부 지지 유닛(7)을 관통하는 2 개의 관통 홀들(74))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에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이 수용되도록 구성된다(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1 관통 홀에 수용되는 하나의 전력 공급 핀(23) 및 제2 관통 홀에 수용되는 다른 전력 공급 핀(23)을 포함할 수 있음). 즉, 관통 홀들(74)은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이 카트리지(3B)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하는 디바이스 인터페이스의 일부를 형성한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전력 공급 핀(23)의 최상부 단부(231)는 평면형 증발기(6)의 단부 부분들(68, 69) 중 개개의 하나의 단부 부분의 아래 표면(하부 표면(62))에 닿아 이와 전기적 연결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전력 공급 핀들(23)은 카토마이저(3B)의 평면형 증발기(6)와 인터페이스/접촉하여 이와 전기 회로를 형성한다. 또한, 평면형 증발기(6)는 증발기가 관통 홀들(74)에 인접하도록 카트리지(3B)에 배열되어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구체적으로, 단부 부분들(68, 69)은 각각 개개의 관통 홀(74)과 공간적으로 중첩됨).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device interface includes one or more through holes (e.g., two through holes 74 through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are connected to the main housing ( 2)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supply pins 23 (as shown in FIG. 3b, one power supply pin 23 received in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other power supply pin 23 received in the second through hole) may include pins (23)). That is, the through holes 74 form part of a device interface that allows the power supply pins 23 of the main housing 2 to interface with the cartridge 3B. As shown in FIGS. 10A and 10B, the uppermost end 231 of each power supply pin 23 is located below the lower surface of each one of the end portions 68, 69 of the planar evaporator 6. It is shown touching and forming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lower surface 62). Accordingly, the power supply pins 23 interface/contact and form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planar evaporator 6 of the cartomizer 3B.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lanar evaporator 6 is arranged in the cartridge 3B such that the evaporator is adjacent to the through holes 74 (specifically, the end portions 68, 69 each have respective through holes 74 ) and spatially overlap with ).

또한, 최상부 단부(231)와 관통 홀(74)의 측벽 사이에는 환형 갭(gap)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74)에 테이퍼(taper)가 제공되고 전력 공급 핀(23)의 최상부 단부(231)에 상응하는 테이퍼가 제공되어, 전력 공급 핀(23)이 완전히 삽입될 때, 최상부 단부(231)가 관통 홀(74)의 측벽에 대해 밀봉되도록 하면, 이 환형 갭은 생략될 수 있다. 이는 2 개의 관통 홀들(74)을 통해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각각의 관통 홀(74)의 테이퍼링과 관련하여, 이는 하부 지지 유닛(7)의 최하부 표면(72)에서 약간 더 넓은 폭을 갖는 홀과 하부 지지 유닛(7)의 최상부 표면(71)에서 약간 더 좁은 폭을 갖는 홀을 포함한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전력 공급 핀(23)(또는 그 최상부 단부(231))이 대응하는 밀봉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유연한 부재(예를 들어, O-링)와 같은, 누출을 감소 또는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기 위한 추가적인 또는 대안적인 기구들이 채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관통 홀(74)은 메인 하우징(2)으로부터 대응하는 전력 공급 핀(23)(또는 그 최상부 단부(231))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또는 형상이 정해진다.Additionally, an annular gap is shown between the uppermost end 231 and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74. For example, the through hole 74 is provided with a taper and the uppermost end 231 of the power supply pin 23 is provided with a corresponding taper, so that when the power supply pin 23 is fully inserted, the uppermost end 231 is provided. If the end 231 is sealed against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74, this annular gap can be omitted. This may help prevent liquid from leaking through the two through holes 74. Regarding the tapering of each through hole 74 , this means that the hole has a slightly wider width at the lowermost surface 72 of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a slightly wider width at the uppermost surface 71 of the lower support unit 7 . Contains a hole with a narrow width.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power supply pin 23 (or its top end 231) is provided with a flexible member (e.g., an O-ring), for example made of silicone, that forms a corresponding seal to reduce leakage. Alternatively, additional or alternative mechanisms may be employed to help prevent However, more generally, each through hole 74 is sized and/or shaped to receive a corresponding power supply pin 23 (or its top end 231) from the main housing 2.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르면, 평면형 증발기(6)는 평면형 증발기(6)가 하부 지지 유닛(7)의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74)에 인접하도록 배열되어, 카토마이저(3B)가 메인 하우징(2)(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과 맞물릴 때, 메인 하우징(2)의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23)이 평면형 증발기(6)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planar evaporator 6 is arranged such that the planar evaporator 6 is adjacent one or more through holes 74 of the lower support unit 7, so that the cartomizer 3B is the main When engaged with the housing 2 (or more generally,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individual power supply pins 23 of the main housing 2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planar evaporator 6.

도 11은 카토마이저(3B)의 변형예의 구성요소들의 일부 치수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도면이다. 이 변형예에서는, 카토마이저(3B)에 비해, 상부 클램핑 유닛(5)의 높이와 하부 지지 유닛(7)의 높이가 감소되었다. 또한, 카토마이저(3B)의 단부 캡(8)이 생략되었다. 도 11에서, 마찰 결합 및/또는 접착제 및/또는 용접을 사용하여 상부 클램핑 유닛(5)과 하부 지지 유닛(7)을 외부 하우징(4)의 최하부 단부(45)에 고정할 수 있다.Figure 11 is a diagram schematically depicting some dimensions of components of a variant of the cartomizer 3B. In this variant, compared to the cartomizer 3B, the height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unit 7 have been reduced. Additionally, the end cap 8 of the cartomizer 3B has been omitted. In FIG. 11 ,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lower support unit 7 may be secured to the lowermost end 45 of the outer housing 4 using friction bonds and/or adhesives and/or welding.

도 12는 카토마이저(3B)의 상기 변형예의 공기 흐름 경로들을 개략적으로 묘사한 도면이다. 화살표들(A1)은, 메인 하우징(2)의 공기 유입 홀들(22)을 통해 베이핑 디바이스(1)로 유입되어 베이핑 디바이스의 중앙 (종 방향) 축을 향해 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화살표들(A2)은 하부 지지 유닛(7)의 공기 통로(73)로 진입하기 위해 수평에서 수직으로 회전하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화살표(A3)는, 평면형 증발기(6)의 하부 표면(62)에 접근하여 평면형 증발기의 측면들 주위를 통과하기 위해 분기할 준비를 하고 있는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 화살표(A4)는 평면형 증발기(6)의 가열에 의해 생성된 에어로졸을 이를 따라 흐르는 전기 전류에 의해 혼입한 공기 흐름을 나타낸다.Figure 12 is a diagram schematically depicting the air flow paths of the above variant of the cartomizer 3B. The arrows A1 represent the air flow entering the vaping device 1 through the air inlet holes 22 of the main housing 2 and moving transversely towards the central (longitudinal) axis of the vaping device. . Arrows A2 indicate an air flow rotating from horizontal to vertical to enter the air passage 73 of the lower support unit 7. Arrow A3 represents the air flow approaching the lower surface 62 of the planar evaporator 6 and preparing to diverge to pass around the sides of the planar evaporator. Arrow A4 represents an air flow in which the aerosol generated by heating of the planar evaporator 6 is entrained by an electric current flowing along it.

위에서 설명한 구현들에서, 증발기의 배향은 (세장형 증발기가 카토마이저의 종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에서) 증발기가 직립한 카토마이저에 비해 카토마이저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높이에 대한 증발기의 기여가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implementations described above, the orientation of the evaporator (with the elongated evaporator extending longitudinally of the cartomizer) reduces the contribution of the evaporator to the height of the components comprising the cartomizer compared to a cartomizer in which the evaporator is upright. It means that it becomes.

하부 지지 유닛과 증발기의 높이는 하부 지지 유닛에서 직립(수직)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증발기를 갖는 하부 지지 유닛보다 더 낮다.The height of the lower support unit and the evaporator is lower than that of the lower support unit with an elongated evaporator extending upright (vertically) from the lower support unit.

증발기 위에 위치결정되는 저장소와 관련하여, 증발기가 저장소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저장소의 액체 저장량은 감소될 필요가 없다.In relation to a reservoir positioned above the evaporator, the liquid storage capacity of the reservoir does not need to be reduced since the evaporator protrudes into the reservoir.

증발기의 중앙 부분의 주름들은 공기 통로의 공기 흐름에 노출되는 중앙 부분의 유효 길이를 증가시키며, 이는 중앙 부분으로부터의 증발 속도의 증가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부분이 회전되면(트위스팅(twist)되면), 이는 중앙 부분이 공기 통로에 존재함으로써 부여되는 공기 흐름 저항을 감소시키면서, 중앙 부분에 의해 제공되는 증발 표면적을 유지할 수 있다.The corrugation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increase the effective length of the central portion exposed to the air flow in the air passage, which can provide an increase in the rate of evapora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If the central portion is rotated (twisted), this can maintain the evaporation surface area provided by the central portion while reducing the air flow resistance imparted by the central portion's presence in the air passage.

상부 클램핑 유닛이 하부 지지 유닛의 상단에 놓이도록 배열하면 (평면) 증발기를 제 포지션에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증발기의 배향은 구성요소들(하부 지지 유닛, 증발기 및 상부 클램핑 유닛)의 스택의 전체 높이에 대한 증발기의 기여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Arranging the upper clamping unit to lie on top of the lower support unit securely holds the (flat) evaporator in position, and the orientation of the evaporator allows the entire height of the stack of components (lower support unit, evaporator and upper clamping unit) to be positioned. The contribution of the evaporator to can be minimized.

오목부의 제공은, 오목부가 증발기가 위치결정되는 목적 로케이션(location)을 제공하기 때문에, 카토마이저의 구성요소들을 조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오목부의 깊이가 증발기의 단부 부분들의 두께와 같거나 더 큰 경우, 증발기는 구성요소들(하부 지지 유닛, 증발기, 상부 클램핑 유닛)의 스택의 전체 높이에 그 자체로 임의의 높이도 기여하지 않는다.Providing a recess can assist in assembling the components of the cartomizer because the recess provides a destination location at which the evaporator is positioned. If the depth of the reces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nd parts of the evaporator, the evaporator itself does not contribute any height to the overall height of the stack of components (lower support unit, evaporator, upper clamping unit).

외부 하우징의 최하부 단부를 폐쇄하는 플러그(하부 지지 유닛과 상부 클램핑 유닛으로 형성됨)는 외부 하우징 내부에 정의된 저장소를 폐쇄하는 제2 목적도 수행한다.The plug (formed by a lower support unit and an upper clamping unit) closing the lowermost end of the outer housing also serves a second purpose of closing a reservoir defined inside the outer housing.

하부 지지 유닛의 제1 및 제2 관통 홀들은, 카토마이저가 메인 하우징에 플러그되어 있을 때, 메인 하우징의 전력 공급 핀들이 증발기의 단부 부분들에 직접 접촉할 수 있게 한다.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in the lower support unit allow the power supply pins of the main housing to contact the end parts of the evaporator directly when the cartomizer is plugged into the main housing.

홀들의 테이퍼링은 상응하게 테이퍼진 전력 공급 핀들에 대해 홀들이 밀봉되게 하여,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서 액체가 누출되는 것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Tapering of the holes can help reduce liquid leakage from the cartomizer's reservoir by ensuring that the holes are sealed against correspondingly tapered power supply pins.

공동 성형된 접촉 패드들은 관통 홀들의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동 성형된 접촉 패드들은, 카토마이저가 메인 하우징에 플러그되고 언플러깅될 때 테이퍼진 관통 홀들에 반복적으로 삽입되고 제거되는 테이퍼진 전력 공급 핀들로 테이퍼진 관통 홀들을 밀봉하는 것에 비해,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서 액체의 누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다 안전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Co-molded contact pads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through holes. Co-molded contact pads seal the tapered through holes of the cartomizer, versus tapered power supply pins that are repeatedly inserted and removed from the tapered through holes as the cartomizer is plugged and unplugged into the main housing. can provide a safer means of reducing liquid leakage.

웰들을 하부 지지 유닛의 제1 및 제2 관통 홀들 또는 하부 지지 유닛의 제1 및 제2 공동 성형된 접촉 패드들 안쪽에 위치결정함으로써, 사용 중에, 위킹된 액체가 증발기의 중앙 부분으로 이동할 때 저장소 액체가 증발기의 가열된 부분들을 따라 위킹되도록 보장한다.By positioning the wells inside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of the lower support unit or the first and second co-shaped contact pads of the lower support unit, during use, the wicked liquid flows in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as it moves into a reservoir. Ensures that the liquid wicks along the heated parts of the evaporator.

증발기의 크기가 작으면 대형 증발기에 비해 원하는 작동 온도에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짧게 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사용되는 에너지도 적다. 증발기의 크기가 작으면 카토마이저의 전체 크기가 감소되게 할 수 있고, 카토마이저의 구성요소들의 전체 질량도 감소되게 할 수 있다.If the size of the evaporator is small, the time it takes to reach the desired operating temperature can be shortened compared to a large evaporator, and less energy is used in this process. A smaller evaporator can cause the overall size of the cartomizer to be reduced and the overall mass of the cartomizer's components to be reduced as well.

평면형 증발기의 길이를 따라 폭이 균일한 대신에 좁은 중앙 부분을 가짐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속도를 높일 수 있고, 에어로졸 입자 크기를 예를 들어 평균 약 0.5 미크론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By having a narrow central portion instead of a uniform width along the length of the planar evaporator, the aerosol production rate can be increased and the aerosol particle size can be reduced, for example, to an average of about 0.5 microns.

하부 지지 유닛을 사용하여 카토마이저의 최하부 표면을 제공하면, 카토마이저의 구성요소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 최하부 단부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클립으로 고정되는 최하부 단부 캡(예를 들어, 금속 단부 캡)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카토마이저의 구성요소들의 개수가 감소되면, 카토마이저의 비용도 줄어든다.Using a lower support unit to provide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cartomizer can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in the cartomizer. For exampl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lowermost end cap (eg, a metal end cap) that clips to other components of the lowermost end of the cartomizer. As the number of components of the cartomizer is reduced, the cost of the cartomizer is also reduced.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들에 따른 추가의 카토마이저(3C)의 분해 사시도이다. 카토마이저(3C)는 도 1의 베이핑 디바이스와 유사한 베이핑 디바이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카토마이저(3B)와 관련된 차이점들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논의될 것이다.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dditional cartomizer 3C according to aspects of the present disclosure. Cartomizer 3C is suitable for use in a vaping device similar to the vaping device of FIG. 1. Differences related to the cartomizer (3B)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below.

카토마이저(3C)에서, 증발기(6')는 위에서 설명한 증발기(6)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증발기(6)는 다공성 및 전기 전도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그러나, 카토마이저(3C)의 증발기(6')는 미세 유체 증발기(6')이다.In the cartomizer 3C, the evaporator 6' is different from the evaporator 6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he evaporator 6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porous and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However, the evaporator 6' of the cartomizer 3C is a microfluidic evaporator 6'.

미세 유체 증발기(6')는 도 14에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미세 유체 증발기(6')는 (예를 들어, 이산화규소와 같은) 비전도성 기판 재료(162)로 형성되고, 전기 저항 층(164)이 기판 재료(162)의 표면 상에 제공된다. 전기 저항 층(164)은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니켈 크롬(NiCr) 또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저항 층(164)은 (예를 들어, 메인 하우징(2)에 의해 공급되는 바와 같은) 적절한 전기 전류가 전기 저항 층(164)을 통과할 때 가열될 수 있다.The microfluidic vaporizer 6' is shown very schematically in Figure 14.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is formed from a non-conductive substrate material 162 (eg, silicon dioxide), and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or metal alloy such as nickel chromium (NiCr) or titanium.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may be heated when an appropriate electrical current (such as supplied by the main housing 2) passes through the electrically resistant layer 164.

미세 유체 증발기(6')는 3 개의 섹션들 또는 부품들을 포함한다; 중앙 부분(167), 및 중앙 부분(167)에 인접한 2 개의 단부 부분들(168, 169).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유체 증발기(6')는 또한 중앙 부분(167)에 복수의 모세관 튜브들(166)을 포함한다. 모세관 튜브들(166)은 미세 유체 증발기(6')를 통해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세관 튜브들(166)은 전기 저항 층(164)이 배치된 표면(도 14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반대편에 있는 기판 재료(162)의 제1 표면으로부터, 기판 재료(162)를 통해, 그리고 전기 저항 층(164)을 통해 연장된다. 즉, 모세관 튜브들(166)은 증발기(6')의 제1 측면으로부터, 증발기(6')를 통해 그리고 증발기(6')의 제2 측면으로 연장된다. 전기 저항 층(164)의 반대편에 있는 기판 재료(162)의 측면은 저장소(46)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카토마이저(3C)에 배열된다(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됨). 모세관 튜브들(166)은 모세관 작용/모세관 힘들을 통해 기판 재료(162)의 일 측면에서 전기 저항 층(164)으로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세관 튜브들(166)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전기 저항 층(164)에 제공하고, 이 전기 저항 층은, 에너지가 공급되면,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증발시킨다.The microfluidic vaporizer 6' comprises three sections or parts; A central portion 167, and two end portions 168, 169 adjacent to the central portion 167. As shown in Figure 14,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also includes a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166 in the central portion 167. Capillary tubes 166 extend through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More specifically, the capillary tubes 166 extend the substrate material 162 from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opposite the surface on which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s disposed (not shown in FIG. 14 ). and extends through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That is, the capillary tubes 166 extend from the first side of the evaporator 6', through the evaporator 6' and to the second side of the evaporator 6'. The side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opposite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s arranged in the cartomizer 3C to receive fluid from the reservoir 46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Capillary tubes 166 are configured to facilitate transfer of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from one side of substrate material 162 to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via capillary action/capillary forces. Accordingly, the capillary tubes 166 provide liquid aerosol-generating material to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which, when energized, vaporizes the liquid aerosol-generating material.

모세관 튜브들(166)은 제조 프로세스를 통해 증발기(6') 내에 형성된다. 즉, 모세관 튜브들(166)은 예를 들어 다공성 재료와 같은 기판 재료의 선택의 결과로서 기판 재료(162)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모세관 튜브들(166)은 적절한 프로세스를 통해 기판 재료(162) 및/또는 전기 저항 층(164) 내에 형성된다. 적합한 프로세스는 레이저 드릴링이지만, 모세관 튜브들(166)을 생성하기 위해 임의의 다른 적합한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모세관 튜브들(166)은 수십 미크론, 예를 들어 10 ㎛ 내지 100 ㎛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모세관 튜브들(166)의 정확한 크기는 모세관 튜브들(166)을 따라 통과하도록 의도된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의 특성들(예를 들어, 점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즉, 카토마이저(3C)의 저장소(46) 내의 액체의 특성들). 또한, 모세관 튜브들(166)은 증발기(6') 내에서 엔지니어링되기 때문에, 모세관 튜브들(166)은 증발기(6')의 일 측면으로부터 증발기(6')의 다른 측면까지 실질적으로 선형 (직선) 경로를 따른다. 다시 말해, 엔지니어링된 모세관 튜브들(166)은 증발기(6')의 상이한 측면들 상에 있는 지점들 사이의 최단 거리에 걸쳐 있다. 엔지니어링된 모세관 튜브들(166)을 제공함으로써, 기판 재료(162)로 사용할 재료를 보다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기(6')와 함께 사용될 특정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대해 최적의 모세관 작용을 제공하도록 모세관 튜브들(166)이 엔지니어링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Capillary tubes 166 are formed within the evaporator 6' through a manufacturing process. That is, the capillary tubes 166 do not naturally exist within the substrate material 162 as a result of selection of the substrate material, for example a porous material, but rather the capillary tubes 166 are formed into the substrate material 162 through an appropriate process. (162) and/or is formed within the electrical resistance layer (164). A suitable process is laser drilling, but any other suitable technique may be used to create the capillary tubes 166. The capillary tubes 166 may have a diameter of several tens of microns, for example, on the order of 10 μm to 100 μm. However, the exact size of the capillary tubes 166 may vary depending on the properties (e.g., viscosity) of the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intended to pass along the capillary tubes 166 (i.e., cartomizer (3C ) properties of the liquid in the reservoir 46). Additionally, because the capillary tubes 166 are engineered within the evaporator 6', the capillary tubes 166 are substantially linear (straight) from one side of the evaporator 6' to the other side of the evaporator 6'. ) follow the path. In other words, the engineered capillary tubes 166 span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points on different sides of the evaporator 6'. Providing engineered capillary tubes 166 allows for more flexibility in selecting the material to be used as the substrate material 162 as well as optimal capillary action for the particular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to be used with the vaporizer 6'. Capillary tubes 166 may be engineered to provide

도 13으로 돌아가서, 미세 유체 증발기(6')는 카토마이저(3B)의 증발기(6)와 관련하여 논의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 유닛(7')과 상부 클램핑 유닛(5') 사이에 유사한 포지션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 유체 증발기(6')는 전기 저항 층(164)이 하부 지지 유닛(7')을 향하도록 배향되고, 기판 재료(162)의 반대쪽 측면(즉, 도 14에 도시되지 않은 하부 표면)은 상부 클램핑 유닛(5')을 향해 배향된다.Returning to Figure 13, the microfluidic evaporator 6' is positioned in a similar position between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the upper clamping unit 5' as discussed with respect to the evaporator 6 of the cartomizer 3B. is located. More specifically,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is oriented with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facing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i.e., the lower side not shown in FIG. 14). surface) is oriented towards the upper clamping unit 5'.

상부 클램핑 유닛(5') 및 하부 지지 유닛(7')은 카토마이저(3B)에서 설명된 대응되는 것들과 실질적으로 유사한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증발기들(6, 6')의 차이점들로 인해, 카토마이저(3C)에서는 공기 흐름이 카토마이저(3B)에 비해 상이하다. 특히, 카토마이저(3B)의 증발기(6)를 사용하면, 액체는 증발기(6)의 종축을 따라 증발기(6)의 중앙 부분(67)을 향하는 방향으로 위킹될 수 있으며, 이후 증발되고 중앙 공기 통로(73)를 통해 그리고 공기 튜브(52)를 따라 흐르는 공기 흐름에 혼입된다.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lower support unit 7'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rresponding ones described in the cartomizer 3B. However, due in part to differences in the evaporators 6, 6', the air flow is different in cartomizer 3C compared to cartomizer 3B. In particular, using the evaporator 6 of the cartomizer 3B, the liquid can be wick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vaporator 6 in a direction towards the central part 67 of the evaporator 6, and then evaporated and released into the central air. It is entrained in the air flow flowing through passage 73 and along air tube 52.

반대로, 증발기(6')는 증발기(6')의 종축을 따라 액체를 수송하는 데 덜 적응되는데; 이는 주로 모세관 튜브들(166)이 상대적으로 수직 배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3에 도시된 예시적인 카토마이저(3B)에서, 상부 클램핑 유닛(5')은 증발기(6')의 중앙 부분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중앙 웰/개구부(도 13에는 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저장소(46)에 유지된 액체는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중앙 개구부를 통해 증발기(6')의 중앙 부분(보다 구체적으로 모세관 튜브들(166))으로 흐를 수 있다.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중앙을 통과하는 공기 흐름 채널 대신에, 공기 흐름 채널(52')은 상부 클램핑 유닛(5')의 풋(51)에서 인덴테이션에 의해 제공된다.In contrast, the evaporator 6' is less adapted to transport liqui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vaporator 6'; This is primarily because the capillary tubes 166 extend in a relatively vertical orientation. Accordingly, in the exemplary cartomizer 3B shown in Figure 13, the upper clamping unit 5' has a central well/opening (not shown in Figure 13) that is substantially aligned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6'. Equipped with The liquid held in the reservoir 46 can flow through the central opening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evaporator 6' (more specifically the capillary tubes 166). Instead of the air flow channe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an air flow channel 52' is provided by an indentation in the foot 51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공기 흐름 경로를 완성하기 위해, 하부 지지 유닛(7')에는 중앙 공기 통로(73')를 형성하는 상당히 더 큰 개구부가 제공된다. 도 9와 비교하면, 중앙 공기 통로(73')는 정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증발기(6')의 폭 치수보다 상당히 더 큰 폭 치수를 갖는다. 즉, 증발기(6')(또는 그 중앙 부분)는 공기 통로(73')의 개구부의 일부를 가로질러 연장되지만, 공기 통로(73')는 증발기(6')의 어느 쪽이든 연장된다. 카토마이저(3C)가 조립될 때, 인덴테이션은 공기 통로(73')의 개구부의 한쪽 면과 중첩되어, 인덴테이션은 공기가 공기 통로(73')를 통과하여 공기 흐름 채널(52')을 따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하부 지지 유닛(7')으로 유입되어 공기 통로(73')를 따라 통과하는 공기는 증발기(6')의 표면을 가로질러 통과하여, 증발된 액체를 공기 흐름에 혼입시킬 수 있고, 이후 증발기(6')의 일 측면 주위로 그리고 공기 흐름 채널(52')을 통해 위로 통과할 수 있다.To complete the air flow path, the lower support unit 7' is provided with a significantly larger opening forming a central air passage 73'. Compared to Figure 9, the central air passage 73' is shown as square and has a width dimension that i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the evaporator 6'. That is, the evaporator 6' (or its central portion) extends across a portion of the opening of the air passage 73', but the air passage 73' extends on either side of the evaporator 6'. When the cartomizer 3C is assembled, the indentation overlaps one side of the opening of the air passage 73', so that the indentation allows air to pass through the air passage 73' and into the air flow channel 52'. Follow it so it can pass. Accordingly, the air flowing into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passing along the air passage 73' can pass across the surface of the evaporator 6', thereby entraining the evaporated liquid into the air flow, and then It may pass around one side of the evaporator 6' and up through the air flow channel 52'.

또한, 외부 하우징(4')은 상이한 공기 흐름을 수용하도록 그에 따라 적응된다. 이와 관련하여, 카토마이저(3B)의 외부 하우징(4)은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중앙 공기 채널(5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카토마이저(3C)에서, 외부 하우징(4')에는 하우징(4')의 최하부 단부(45)로부터 마우스피스 오리피스(41)로 연장되는 관형 통로를 제공하는 측면 채널(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하우징(4')의 최하부 단부(45)에 있는 측면 채널의 단부는 상부 클램핑 유닛(5')의 풋(51)의 인덴테이션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즉, 하우징(4')의 측면 채널의 벽은 인덴테이션의 로케이션에서 상부 클램핑 유닛(5')과 맞물리도록 가압되어 둘 사이에 유밀(fluid tight)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측면 채널은 하우징(4')과 상부 클램핑 유닛(5')이 함께 결합될 때 인덴테이션을 따라 또는 그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벽을 포함하여, 인덴테이션/풋(51)이 측면 채널의 벽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4')과 상부 클램핑 유닛(5') 사이의 결합은, 저장소(46)로부터의 액체가 하우징(4')의 공기 채널(52')/측면 채널로 누출되지 않고 하우징(4')의 공기 채널(52')/측면 채널로부터의 공기/에어로졸은 저장소(46) 내로 통과할 수 없도록 유밀 방식으로 구성된다. 임의의 적합한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outer housing 4' is adapted accordingly to accommodate different air flows. In this regard, the outer housing 4 of the cartomizer 3B is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central air channel 52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Conversely, in cartomizer 3C, the outer housing 4' has side channels (not shown) providing a tubular passageway extending from the lowermost end 45 of the housing 4' to the mouthpiece orifice 41. provided. The end of the side channel at the lowermost end 45 of the housing 4' is adapted to engage the indentation of the foot 51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That is, the walls of the side channels of the housing 4' can be pressed into engagement with the upper clamping unit 5' at the location of the indentation, providing a fluid tight fit between the two. In some implementations, the side channel includes a wall extending along or along a portion of the indentation when the housing 4' and upper clamping unit 5' are joined together, such that the indentation/foot 51 It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walls of the side channels. The coupling between the housing 4' and the upper clamping unit 5' ensures that liquid from the reservoir 46 does not leak into the air channels 52'/side channels of the housing 4' and is not released into the housing 4'. The air channel 52'/side channel is configured in an oil-tight manner so that air/aerosol cannot pass into the reservoir 46. Any suitable combination may be used.

도 13에 도시된 상부 클램핑 유닛(5')은 하나의 인덴테이션을 포함하고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예에서, 공기 통로(73')의 개구부의 반대쪽 측면은 상부 클램핑 유닛(5')에 의해 차단되어, 공기가 증발기(6')의 한쪽 측면을 지나 흐르는 것만이 허용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상부 클램핑 유닛(5')의 반대쪽 측면에 제2 인덴테이션이 제공되어, 대응하는 공기 채널을 형성할 수 있고, 후속적으로, 이러한 구현들에서 공기는 증발기(6')의 양 측면들을 지나 흐르도록 허용될 수 있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upper clamping unit 5' shown in Figure 13 includes one indentation. In this example, the side opposite the opening of the air passage 73' is blocked by the upper clamping unit 5', allowing air to flow only past one side of the evaporator 6'. However, in other implementations, a second indentation may be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forming a corresponding air channel, and subsequently in these implementations the air may be directed to the evaporator 6'. ) can be allowed to flow past both sides.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6')는 하부 지지 유닛(7')의 관통 홀들(74)에 인접하도록 배열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증발기(6')는 관통 홀들(74) 위로 연장되고/관통 홀들과 중첩된다. 도 11을 참조하여, 이 예에서 증발기(6')는 약 9 내지 10 mm의 종 방향 범위(즉, 종 방향으로의 범위)를 갖는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증발기(6')는 4 mm 이상, 3 mm 이상 또는 2 mm 이상의 종 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증발기(6')의 에어로졸 생성 성능 및 전력 공급 핀들(23)의 분리 거리는 모두 증발기(6')의 전체 크기/풋프린트(footprint)를 규정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ure 13, the evaporator 6' is arranged adjacent to the through holes 74 of the lower support unit 7'. More specifically, the evaporator 6' extends over/overlaps the through holes 74. Referring to Figure 11, in this example the evaporator 6' has a longitudinal extent (i.e., sp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approximately 9 to 10 mm. However,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evaporator 6' may have a longitudinal extent of at least 4 mm, at least 3 mm, or at least 2 mm. The aerosol generating performance of the evaporator 6' and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power supply fins 23 can both define the overall size/footprint of the evaporator 6'.

도 14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발기(6')의 2 개의 단부 부분들(168 및 169)은 각각 개개의 관통 홀(74)과 중첩된다. 단부 부분들(168 및 169)은 임의의 모세관 튜브들(166)을 포함하지 않고, 전기 저항 층(164)이 제공된다. 따라서, 카토마이저(3B)와 마찬가지로,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및 최상부 단부들(231))은 카토마이저(3C)가 메인 하우징(2)에 결합될 때 관통 홀들(74)을 통해 연장되어 증발기(6')의 개개의 단부들에 접촉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사하게, 메인 하우징(2)의 충전식 배터리와 전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전력 공급 핀들(23)을 통해 충전식 배터리로부터 증발기(6')에 전기 전력이 공급되어 전기 저항 층(164)을 가열하고, 이어서 전기 저항 층(164)에 접촉/접근되는 임의의 액체를 가열할 수 있다.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ure 14, the two end portions 168 and 169 of the evaporator 6' each overlap a respective through hole 74. The end portions 168 and 169 do not contain any capillary tubes 166 and are provided with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 Accordingly, like the cartomizer 3B, the power supply pins 23 (and uppermost ends 231) of the main housing 2 have through holes (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can extend through 74) and contact individual ends of the evaporator 6'. In this way, similarly, an electrical circuit with the rechargeable battery of the main housing 2 can be formed. Electrical power is supplied to the evaporator 6' from a rechargeable battery via power supply pins 23 to heat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which in turn heats any liquid contacting/approaching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You can.

전술한 카토마이저(3C)에서, 저장소(46)는 외부 하우징(4')의 내부 표면, 상부 클램핑 유닛(5') 및 하부 지지 유닛(7'), 및 적어도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중앙 웰(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맞닿도록 위치결정되는 증발기(6')의 중앙 부분(167)에 의해 정의되는 효과적으로 밀봉된 부피라는 것이 인식되어야 한다. 증발기(6')의 구조로 인해, 즉, 모세관 튜브들(166)이 실질적으로 저장소(46) 내로/외부로 설계된 유일한 유체 통로이기 때문에, 모세관 튜브들(166)이 액체로 채워질 때, 공기가 저장소(46) 내로 통과할 수 없을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저장소(46)의 액체가 고갈됨에 따라, 이러한 압력 변화의 균형을 맞추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공기가 저장소(46)로 유입될 수 없는 경우 저장소(46) 내의 압력이 변경될 수 있다. 압력의 변화는 증발기/모세관 튜브들(166)이 전기 저항 층(164)으로 액체를 수송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카토마이저(3C)는 압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기가 저장소(46)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저장소(46)와 유체 연통하는 공기 입구를 갖도록 설계된다. 공기 입구는 공기 입구를 통해 저장소(46)를 빠져나가는 액체를 방지하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액체 불투과성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공기 입구는 표면 장력으로 인해 임의의 액체가 개구부를 통해 저장소를 빠져나갈 수 없도록 작은 직경을 갖는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3C)의 최상부 단부(31)를 향한) 개구부일 수 있거나, 또는 개구부는 공기가 저장소(46)로 유입될 수는 있지만 액체가 빠져나가는 것은 방지하기 위해 액체 불투과성, 공기 투과성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상부 클램핑 유닛(5') 및/또는 하부 지지 유닛(7')은 풋(51)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 또는 하부 지지 유닛(7')의 외부 원주 방향 표면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에 약화부가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약화부는 상부 클램핑 유닛(5')/하부 지지 유닛(7')의 벽의 얇아짐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압력 변화에 노출될 때 일시적으로 변형되거나 외부 하우징(4')과 약간 분리되어, 공기가 저장소(46)로 유입될 수 있는 일시적인 갭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광범위하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 카토마이저는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 유지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 ― 증발기는 기판, 및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전기 저항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모세관 튜브들은 기판의 다른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전기 저항 층을 통해 연장되고, 카토마이저는 공기가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공기 입구를 포함함 ― . 공기 입구는 선택적으로 공기 입구를 통해 저장소를 빠져나가는 액체를 감소시키거나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입구는 선택적으로 카토마이저의 하나 이상의 액체 밀봉 요소들에서 약화된 구역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artomizer 3C, the reservoir 46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4',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 the lower support unit 7', and at least the upper clamping unit 5'. It should be appreciated that this is an effectively sealed volume defined by the central portion 167 of the evaporator 6' positioned to abut against the central well (not show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evaporator 6', i.e. the capillary tubes 166 are essentially the only fluid passages designed into/out of the reservoir 46, when the capillary tubes 166 are filled with liquid, air is It may not be possible to pass into the reservoir 46. In some implementations, as the liquid in reservoir 46 is depleted, the pressure within reservoir 46 may change if air cannot be drawn into reservoir 46 to help balance these pressure changes. there is. Changes in pressure may affect the ability of the evaporator/capillary tubes 166 to transport liquid to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n these cases, cartomizer 3C is designed to have an air inle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reservoir 46 to allow air to flow into reservoir 46 to counter pressure changes. The air inlet may be liquid impermeable to prevent or reduce liquid from escaping the reservoir 46 through the air inlet. In some implementations, the air inlet is an opening (e.g., towards the uppermost end 31 of the cartomizer 3C) with a small diameter such that surface tension prevents any liquid from escaping the reservoir through the opening. Alternatively, the openings may be provided with a liquid-impermeable, air-permeable layer to allow air to enter the reservoir 46 but prevent liquid from escaping.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upper clamping unit 5' and/or the lower support unit 7' have a seal formed b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oot 51 o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unit 7'. It can be designed to have a weakened section. This weakening may be provided through a thinning of the walls of the upper clamping unit 5'/lower support unit 7', which may temporarily deform when exposed to pressure changes or become slightly separated from the outer housing 4'. , may create a temporary gap through which air can enter the reservoir 46. Accordingly, broadly, a cartomiz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may be provided, which cartomizer may comprise: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an aerosol from an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a reservoir of the cartomizer - the evaporator comprising a substrate; , and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in one or more capillary tubes extend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rough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cartomizer - Contains an air inlet configured to allow air to enter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The air inlet may optionally be configured to reduce or prevent liquid from exiting the reservoir through the air inlet. An air inlet may optionally be provided through a weakened area in one or more liquid sealing elements of the cartomizer.

위에서는 미세 유체 증발기(6')를 채용한 카토마이저(3C)의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예시적인 카토마이저(3C)는, 전력 공급 핀들(23)이 카토마이저(3C)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내의 관통 홀들(74)을 통과하도록 제공되고 전력 공급 핀들(23)이 이후에 증발기(6')와 전기 회로를 형성하는 미세 유체 증발기(6')를 채용하는 카토마이저(3C)의 일 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형상들, 상이한 구성요소들, 상이한 구성들, 상이한 공기 흐름 경로들 등을 갖는) 미세 유체 증발기(6')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들의 다른 구성들이 구현될 수 있다.Above, an example of a cartomizer (3C) employing a microfluidic evaporator (6') was described. However, the exemplary cartomizer 3C is provided with power supply pins 23 passing through holes 74 in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artomizer 3C and the power supply pins 23 are then connected to the evaporator 6'. ) and a microfluidic evaporator 6' forming an electrical circuit. Different configurations of cartomizers including microfluidic vaporizer 6' may be implemented (eg, with different shapes, different components, different configurations, different air flow paths, etc.).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원리들에 따르면, 카토마이저 내에 유지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미세 유체 증발기(6')를 포함하는 카토마이저(3C)가 제공된다. 카토마이저(3C)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메인 하우징(2)과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여기서,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최하부 벽(81) 및 원주 방향 측벽(83)을 포함하는 금속 캡(8) 및/또는 최하부 표면(72)을 포함하는 하부 지지 유닛(7')을 포함할 수 있음). 보다 일반적으로, 카토마이저(3C)의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메인 하우징(2)에 접촉하거나, 맞닿거나, 맞물리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는 카토마이저(3C)의 임의의 부분 또는 부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74)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관통 홀(74)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23)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또한, 증발기(6')는 증발기(6')가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74)에 인접하도록 카토마이저(3C)에 배열되어, 카토마이저(3C)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메인 하우징(2)과 맞물릴 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23)이 증발기(6')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However,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cartomizer 3C is provided that includes a microfluidic vaporizer 6' for generating an aerosol from aerosol generating material retained within the cartomizer. The cartomizer 3C includes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main housing 2, wherein the device interface includes a metal cap comprising a bottom wall 81 and a circumferential side wall 83. 8) and/or may comprise a lower support unit 7' comprising a lowermost surface 72). More generally, the device interface of the cartomizer 3C may include any part or portions of the cartomizer 3C that contact, abut, engage or otherwise couple to the main housing 2.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through holes 74, each through hole 74 sized to receive a power supply pin 2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main housing 2. Additionally, the evaporator 6' is arranged in the cartomizer 3C such that the evaporator 6' is adjacent one or more through holes 74, such that the cartomizer 3C is fitted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main housing 2. When snapped, the individual power supply pins 23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becom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vaporizer 6'.

위에 도시된 예에서, 증발기(6')의 단부 부분들(168, 169)은 모세관 튜브들(166)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부 구현들에서, 단부 부분들(168, 169)은 모세관 튜브들(166)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구성에 따라, 단부 부분들(168, 169)의 모세관 튜브들(166)은, 단부 부분들(168, 169)의 모세관 튜브들(166)의 단부들이 상부 클램핑 유닛(5')의 중앙 개구부와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저장소(46)와 유체 연통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중복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above, the end portions 168, 169 of the evaporator 6' do not include capillary tubes 166. However, in some implementations, end portions 168, 169 may include capillary tubes 166. Depending on the particular configuration, the capillary tubes 166 of the end portions 168, 169 are provided such that the ends of the capillary tubes 166 of the end portions 168, 169 are positioned at the central opening of the upper clamping unit 5'. may be redundant in that they are not in contact with and therefore not in fluid communication with reservoir 46.

미세 유체 증발기(6')는, 일부 구현들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풋프린트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모세관 튜브들(166)은 카토마이저(3C)에 저장된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에 적합한 모세관 작용을 제공하도록 엔지니어링되기 때문에, 미세 유체 증발기(6')는 전기 저항 층(164)에 액체를 공급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고, 따라서 당면한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성능 특성들을 갖는 증발기(6')의 더 작은 풋프린트가 달성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경우들에서, 증발기(6')는 4 x 4 mm(16 mm2) 이하, 3 mm x 3 mm(9 mm2) 이하, 또는 2 mm x 2 mm(4 mm2) 이하의 풋프린트를 가질 수 있다. 정확한 풋프린트에 관계없이, 중요한 양은 종 방향 범위이다. 따라서, 일부 구현들에서, 증발기(6')는 4 mm, 3 mm 또는 2 mm보다 작거나 같은 종 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더 작은 풋프린트/종 방향 범위의 증발기(6')가 달성될 수 있지만, 증발기(6')를 전력 공급 핀들(23)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프로세스는 카토마이저(3C)의 추가적인 적응을 필요로 할 수 있다.Microfluidic vaporizer 6' may, in some implementations,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 footprint. Because the capillary tubes 166 are engineered to provide suitable capillary action for the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stored in the cartomizer 3C,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will be effective in supplying liquid to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may be possible, and thus a smaller footprint of the evaporator 6' may be achievable with performance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given application at hand. For example, in some cases, the evaporator 6' is no larger than 4 x 4 mm (16 mm2 ), no larger than 3 mm x 3 mm (9 mm2 ), or no larger than 2 mm x 2 mm (4 mm2 ). It can have a footprint of Regardless of the exact footprint, the important quantity is longitudinal coverage. Accordingly, in some implementations, evaporator 6' may have a longitudinal extent less than or equal to 4 mm, 3 mm, or 2 mm. Although this smaller footprint/longitudinal range of the evaporator 6' can be achieved, the process of electrically coupling the evaporator 6' to the power supply pins 23 requires additional adaptation of the cartomizer 3C. You can do this.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핀들(23)은 8.5 mm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고, 각각의 전력 공급 핀(23)은 1 mm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대응하는 관통 홀들(74)과 함께, 메인 하우징(2) 상의 전력 공급 핀들(23)의 간격은 (증발기(6')의 길이와 유사한 거리로) 감소될 수 있다. 그러나, 전력 공급 핀들을 서로 더 가깝게 하면 카토마이저(3C)를 통과하는 공기 흐름에 변동이 필요할 수 있다(예를 들어, 3 x 3 mm 증발기(6')의 경우, 핀들(23)은 약 2 내지 3 mm 이격될 수 있고, 이는 공기 채널(52')의 크기를 제한할 수 있음). 다른 구현들에서, 증발기(6')는 미세 유체 증발기(6')의 전기적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그 단부 부분들에 있는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seen that the power supply pins 23 are spaced apart at a distance of 8.5 mm, and each power supply pin 23 may have a diameter of about 1 mm. In some implementations, the spacing of the power supply pins 23 on the main housing 2, together with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s 74, can be reduced (to a distance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evaporator 6'). However, bringing the power supply fins closer together may require variations in airflow through the cartomizer 3C (e.g. for a 3 x 3 mm evaporator 6', fins 23 would to 3 mm apart, which may limit the size of the air channel 52').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vaporizer 6' can be coupled to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at its end portions to facilitate electrical coupling of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도 15는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에 결합된 미세 유체 증발기(6'')의 이러한 예를 매우 개략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판 재료(162)는 도 14의 기판 재료와 종 방향에서 상이한(즉, 더 작은) 치수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판 재료(162)는 복수의 모세관 튜브들(166)을 포함하는 중앙 부분(167)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다. 전기 저항 층(164)은 증발기(6'')의 중앙 부분(167)에 제공된다. 도 14에 도시된 단부 부분들 대신에, 증발기(6'')는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및 169'')에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은 임의의 적합한 전도성 재료(예를 들어, 전기 저항 층(164)을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169'')은 접촉 패드들의 형태일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169'')은 예를 들어, 적절한 와이어링(wiring) 또는 납땜 등을 통해, 전기 저항 층(164)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169'')은 전력 공급 핀들(23)을 증발기(6'')의 전기 저항 층(164)에 전기적으로 결합하도록 증발기(6'')에 대해 특정 포지션에 제공된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증발기 자체가 관통 홀들(74)과 중첩되는 적절한 풋프린트를 갖지 않는 경우에도,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169'')은 (예를 들어, 기판 재료(162)의 길이가 전력 공급 핀들(23) 사이의 거리와 상이할 때(즉, 더 작을 때))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의 배치에 의해 규정된 간격을 고려하도록 증발기(6'')에 제공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증발기(6'')는 관통 홀들(74)에 인접하여 제공된다; 그러나, 관통 홀들(74)과 중첩되는 것은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이다.Figure 15 depicts very schematically this example of a microfluidic vaporizer 6'' coupled to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As can be seen in FIG. 15 , substrate material 162 has different (i.e., smaller) dimens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the substrate material of FIG. 14 . More specifically, the substrate material 162 is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e central portion 167 containing the plurality of capillary tubes 166.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s provided in the central part 167 of the evaporator 6''. Instead of the end portions shown in Figure 14, the evaporator 6'' is shown coupled to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and 169''.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may be formed of any suitable conductive material (eg, the same or different material as the material forming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may be in the form of contact pad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for example via suitable wiring or soldering.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are positioned at specific positions relative to the evaporator 6'' to electrically couple the power supply pins 23 to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of the evaporator 6''. It must be recognized that it is provided to . Accordingly, even if the evaporator itself does not have a suitable footprint overlapping the through holes 74,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e.g., the length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on the evaporator 6'' to take into account the spacing defined by the arrangement of the power supply pins 23 in the main housing 2 when it is different (i.e.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ower supply pins 23. We must recognize that we can provide it. In these implementations, an evaporator 6'' is provided adjacent to through holes 74; However, overlapping the through holes 74 ar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또한, 도 15는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169'')이 증발기(6')의 대향하는 종 방향 단부들에 제공되는 증발기(6)를 도시하지만, 다른 구현들에서,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은 전기 저항 층(164)의 연장부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차후에 증발기(6'')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별도의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168'', 169'')을 제공하는 대신에, 전기 저항 층(164)은 기판 재료(162)보다 종 방향에서 더 큰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전기 저항 층(164)은 기판 재료(162)의 단부들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현들에서, 전기 저항 층(164)의 연장된 단부들은 관통 홀들(74)과 중첩되고, 전력 공급 핀들(23)과의 접촉을 제공한다.Figure 15 also shows the evaporator 6 in which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are provided at opposite longitudinal ends of the evaporator 6', but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ntact elements may be formed by extensions of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 That is, instead of providing separat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168'', 169'' that are subsequently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vaporator 6'',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s more longitudinal than the substrate material 162. It can have larger dimensions in direction. In other words,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may protrude from ends of substrate material 162. In these implementations, the extended ends of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overlap the through holes 74 and provide contact with the power supply pins 23.

대체로, 일부 구현들에서, 증발기(6', 6'')의 기판 재료(162)의 풋프린트가 전력 공급 핀들(23)의 직경의 2 배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선택되면, 증발기(6', 6'')에는 저항 층(164)의 연장부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이 제공된다. 또한, 증발기(6', 6'')의 기판 재료(162)의 풋프린트가 전력 공급 핀들(23)의 직경의 2 배보다 큰 길이를 갖도록 선택되는 구현들에서,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의 구성에 따라, 증발기(6', 6'')에는 여전히 저항 층(164)의 연장부 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general, in some implementations, if the footprint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of the evaporator 6', 6'' is selected to have a length that is less than twice the diameter of the power supply fins 23, then the evaporator 6', 6'' 6'') are provided with extensions of the resistive layer 164 or separat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as shown in FIG. 15 . Additionally, in implementations where the footprint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of the evaporator 6', 6'' is selected to have a length greater than twice the diameter of the power supply fins 23, the power supply of the main housing 2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supply pins 23, the evaporators 6', 6'' may still be provided with extensions of the resistive layer 164 or with separat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as shown in FIG. 15 .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 전력 공급 핀들(23)은 증발기(6')(특히 전기 저항 층(164))에 직접 접촉한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전기 저항 층(164)이 카토마이저(3C)의 최하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향하고 후속적으로 메인 하우징이 카토마이저(3C)에 결합될 때 메인 하우징(2)의 전력 공급 핀들(23)을 향하도록 하는 증발기(6')의 배향으로 인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증발기(6')의 배향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른 구현들에서, 증발기(6')는 예를 들어, 전기 저항 층이 카토마이저(3C)의 최하부(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부터 멀리 향하는 대안적인 구현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 13, the power supply pins 23 directly contact the evaporator 6' (in particular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This is in part due to the electrical resistance layer 164 facing the bottom (device interface) of the cartomizer 3C and subsequently the power supply pins of the main housing 2 when the main housing is coupled to the cartomizer 3C ( This can be achieved due to the orientation of the evaporator 6' towards 23). However, the orientation of the evaporator 6' is not limited to this, and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evaporator 6' may be configured in an alternative configuration, for example with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oriented away from the bottom (device interface) of the cartomizer 3C. Implementations may be provided.

이러한 구현들에서, 증발기에는 전력 공급 핀들(23)과 전기 저항 층(164)의 전기적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 전도성 요소들이 제공될 수 있다.In these implementations, the evaporator may be provided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that facilitate electrical coupling of the power supply fins 23 and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

도 16은 미세 유체 증발기(6''')의 이러한 예를 매우 개략적으로 묘사한 것이다. 미세 유체 증발기(6''')는 미세 유체 증발기(6')과 유사하다; 그러나, 미세 유체 증발기(6''')는 도 16에서 팬텀으로 도시된 증발기(6''')의 개개의 단부 부분들(168, 169)에 비아들(168a 및 169a)을 포함한다. 비아들(168a, 169a)은 기판 재료(162)의 일 측면으로부터 기판 재료(162)의 다른 측면으로 연장되며, 전기 저항 층(164)을 통해 연장될 수도 있고 또는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임의의 경우든, 비아들(168a, 169a)은 기판 재료(162)의 밑면(즉, 도 16에서 보이지 않는 면)과 전기 저항 층(164) 사이에 전기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증발기(6''')는 전기 저항 층(164)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카토마이저(3C) 내에서 배향된다. 따라서, 전력 공급 핀들(23)이 하부 지지 유닛(7')의 관통 홀들(74)을 통과할 때, 전력 공급 핀들(23)은 전기 저항 층(164)의 반대편에 있는 비아들(168a, 169a)의 표면과 전기적 접촉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 회로가 형성될 수 있지만, 이 구현에서, 전력 공급 핀들(23)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는 비아들(168a, 169a)을 추가로 통과한다.Figure 16 depicts very schematically this example of a microfluidic vaporizer 6'''.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is similar to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However, the microfluidic vaporizer 6''' includes vias 168a and 169a in respective end portions 168, 169 of the vaporizer 6''', shown as phantoms in Figure 16. Vias 168a, 169a extend from one side of substrate material 162 to the other side of substrate material 162 and may or may not extend through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n any case, vias 168a, 169a are configured to provide an electrically conductive path between the underside of substrate material 162 (i.e., the side not visible in FIG. 16) and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n this example, evaporator 6''' is oriented within cartomizer 3C such that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faces away from the device interface. Accordingly, when the power supply pins 23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74 of the lower support unit 7', the power supply pins 23 pass through the vias 168a, 169a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ectrical resistance layer 164. ) makes electrical contact with the surface. Nevertheless, an electrical circuit can be formed, but in this implementation, the current supplied by power supply pins 23 further passes through vias 168a and 169a.

또한, 도 16에 도시된 비아들(168a, 169a)은 전기 저항 층(164)이 전력 공급 핀들(23)에 직접 접촉할 수 없을 때 전기 저항 층(164)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설계된 전기 전도성 요소의 일 예라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다른 구현들에서, 증발기의 단부 부분들(168, 169)은 전기 저항성 재료로 코팅될 수 있고 및/또는 전기 트랙들이 기판 재료(162)의 외부 표면들 상에 제공되어 전기 경로가 기판 재료(162)의 외부 표면들 주위에 형성되고 전기 저항 층(164)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기판 재료(162) 자체는 증발기의 밑면에 전류가 인가되어 전기 저항 층(164)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전도성 요소들(예를 들어, 섬유들/와이어들)을, 단부 부분들(168, 169)에서 국부적으로 또는 기판 재료(162)에 걸쳐 전체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vias 168a and 169a shown in FIG. 16 are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s designed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whe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cannot directly contact power supply pins 23.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this is an example of.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end portions 168, 169 of the evaporator may be coated with an electrically resistive material and/or electrical tracks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substrate material 162 to allow an electrical path to pass through the substrate material 162. ) and can be formed around the outer surfaces of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In other implementations, the substrate material 162 itself includes conductive elements (e.g., fibers/wires) on the underside of the evaporator that allow electrical current to be applied and transferred to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and an end portion thereof. It may include locally at fields 168, 169 or globally across substrate material 162.

또한, 증발기(6''')가 전기 저항 층(164)이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부터 멀리 향하도록 배향될 때, 카토마이저는 증발기(6''')의 밑면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적응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저장소(46)는 증발기(6''') 아래에 놓이도록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증발기(6''')를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로부터 더 큰 마진(margin)만큼 분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몇 가지 단점들이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위킹 요소(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액체 수송 요소)가 (예를 들어, 카토마이저들(3B 및 3C)에서와 같이, 증발기(6''') 위에 위치될 수 있는) 저장소(46)로부터 증발기(6''')의 밑면으로 액체를 수송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It is further appreciated that when the evaporator 6''' is oriented such that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164 faces away from the device interface, the cartomizer can be adapted to supply liquid to the underside of the evaporator 6'''. Should be. In some implementations, reservoir 46 can be moved to lie below vaporizer 6'''. However, this has several disadvantages, including separating the evaporator 6''' from the device interface by a larger margin. In other implementations, a wicking element (or more generally a liquid transport element) may be positioned above the evaporator 6''', such as in cartomizers 3B and 3C, for example, in reservoir 46. ) to the underside of the evaporator 6'''.

따라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가 제공되고, 이 카토마이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및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 유지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관통 홀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 핀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증발기는, 카토마이저가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이 증발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증발기가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에 인접하도록 카트리지에 배열된다. 또한, 위에서 설명된 카토마이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가 설명된다.Accordingly, a cartomiz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s provided, the cartomizer comprising: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an aerosol from the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through holes, each through hole sized to receive a power supply pi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the vaporizer configured to generate an aerosol when the cartomizer engages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evaporator is arranged in the cartridge adjacent one or more through holes such that the respective power supply pins of the device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vaporator. Additionally,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the cartomizer described above is described.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청구된 특징들을 이해하고 가르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만 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대표적인 샘플로서만 제공되며, 완전한 및/또는 배타적인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점들, 실시예들, 예들, 기능들, 특징들, 구조들, 및/또는 다른 양태들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한 제한들 또는 청구항들에 대한 균등물들에 대한 제한들로 간주되지 않으며,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들이 활용될 수 있고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것들 이외의 다른 개시된 요소들, 구성요소들, 특징들, 부품들, 단계들, 수단들 등의 적절한 조합들을 적절하게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이들을 필수적 요소로 하여 구성(consist essentially of)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은 현재 청구되지는 않았지만 향후 청구될 수 있는 다른 발명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re presented solely for the purpose of assisting in understanding and teaching the claimed features. These examples are provided only as a representative sample of examples and are not complete and/or exclusive. The advantages, embodiments, examples, functions, features, structures, and/or other aspects described herein are not limitations on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claims or equivalents to the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mbodiments may be utilized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ed inventio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y include or consist of appropriate combinations of other disclosed elements, components, features, parts, steps, means, etc. other than those specifically described herein. Or, it may consist essentially of these elements. Additionally,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other inventions that are not currently claimed but may be claimed in the future.

Claims (23)

Translated fromKorean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cartomiser)로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인터페이스(interface)하도록 구성된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및
상기 카토마이저의 저장소에 유지된 에어로졸 생성 재료로부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는 하나 이상의 관통 홀(hole)들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관통 홀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전력 공급 핀(pin)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카토마이저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상기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이 상기 증발기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증발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에 인접하도록 카트리지(cartridge)에 배열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s a cartomiser for an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cartomize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interface configured to interface with a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an evaporator for generating an aerosol from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a reservoir of the cartomizer;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interface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through holes, each through hole sized to receive a power supply pin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evaporator is a cartridge such that the evaporator is adjacent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such that when the cartomizer is engaged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respective power supply pin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are electrically coupled to the evaporator. ) arranged in,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상기 증발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 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카토마이저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상기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이 상기 증발기에 직접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im 1,
the evaporator is arranged such that the evaporator extends over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and when the cartomizer is engaged with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the respective power supply pin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irectly contact the evaporato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2 mm 초과, 또는 3 mm 초과, 또는 4 mm 초과의 종 방향의 범위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use 2,
The evaporator has a longitudinal extent of greater than 2 mm, or greater than 3 mm, or greater than 4 mm.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증발기의 단부들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된 하나 이상의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 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카토마이저가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와 맞물릴 때, 상기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의 상기 개개의 전력 공급 핀들이 상기 전기 전도성 접촉 요소들과 직접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im 1,
The cartomizer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arranged to be electrically coupled to ends of the evaporator,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arranged to extend over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wherein the cartomizer is configured to distribute the aerosol When engaged with the generating device, the individual powered pins of the aerosol generating device directly contact the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lements.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4 mm, 3 mm 또는 2 mm보다 작거나 같은 종 방향의 범위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use 4,
The evaporator has a longitudinal extent of less than or equal to 4 mm, 3 mm or 2 mm,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종축을 따라 세장형이고, 중앙 부분과 제1 및 제2 단부 부분들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evaporator is elongated along a longitudinal axis and has a central portion and first and second end portions.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적어도 상기 중앙 부분은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위킹(wick)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use 6,
at least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is configured to wick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전기 저항 층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모세관 튜브(tube)들이 상기 기판의 다른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상기 기판의 상기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상기 전기 저항 층을 통해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The evaporator includes a substrate and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disposed on a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in one or more capillary tubes are disposed on the first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from another surface of the substrate. extending through an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기 다른 표면은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저장소와 유체 연통하여 제공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use 8,
the other surface of the evaporator is provided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8 항 또는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세관 튜브들은,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저장소에 유지되는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가 모세관 힘들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모세관 튜브들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직경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one or more capillary tubes have a diameter such that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can move along the one or more capillary tubes through capillary forces.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 튜브들은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저장소에 유지된 액체 에어로졸 생성 재료를 상기 증발기의 상기 전기 저항 층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capillary tubes are configured to move liquid aerosol generating material held in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to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of the evaporato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8 항 내지 제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모세관 튜브들은 레이저 드릴링 프로세스(laser drilling process)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1,
wherein the one or more capillary tubes are formed by a laser drilling process,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8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기 기판은 이산화규소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2,
wherein the substrate of the evaporator is formed of a non-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silicon dioxide,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8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기 전기 저항 층은 티타늄을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8 to 13,
wherein the electrically resistive layer of the evaporator is formed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titanium.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 항 내지 제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카토마이저의 종축을 따라 이격된 최상부 단부 및 최하부 단부를 갖고; 및
상기 증발기는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저장소 아래에 위치결정(position)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증발기의 상기 종축이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종축에 횡 방향으로 위치결정되도록 하부 지지 유닛의 상단에 평평하게 놓여 있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4,
the cartomizer has an uppermost end and a lowermost end spaced apart along a longitudinal axis of the cartomizer; and
The evaporator is positioned below the reservoir of the cartomizer, the evaporator lying flat on top of the lower support unit such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evaporator is positioned transversely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rtomizer. ,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상기 중앙 부분은 상기 증발기의 상기 단부 부분들과 평행하고,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의 공기 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According to claim 15,
the central portion of the evaporator is parallel to the end portions of the evaporator and extends across the air passage of the lower support unit,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5 항 또는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의 평면은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종축에 수직인,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of claim 15 or 16,
the plane of the evaporator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cartomize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5 항 내지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의 상단에 놓여 있는 상부 클램핑(clamping)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하부 지지 유닛과 상기 상부 클램핑 유닛 사이에 끼워져 있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7,
The cartomizer includes an upper clamping unit located on top of the lower support unit, and the evaporator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support unit and the upper clamping unit.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5 항 내지 제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토마이저는 외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최상부 단부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마우스피스(mouthpiece)를 포함하며;
상기 증발기는 상기 카토마이저의 상기 최하부 단부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위치결정되고,
상기 저장소는 상기 마우스피스와 상기 증발기 사이에서 상기 외부 하우징 내부에 위치결정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18,
the cartomizer includes an outer housing, at the uppermost end of the cartomizer the outer housing includes a mouthpiece;
the evaporator is positioned within the outer housing at the lowermost end of the cartomizer,
wherein the reservoir is positioned within the outer housing between the mouthpiece and the vaporize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8 항 또는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 유닛 및 상기 상부 클램핑 유닛은 상기 외부 하우징의 최하부 단부 및 상기 저장소의 최하부 단부를 폐쇄하는 플러그(plug)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of claim 18 or 19,
The lower support unit and the upper clamping unit form a plug closing the lowermost end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lowermost end of the reservoi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5 항 내지 제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관통 홀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관통 홀은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의 최하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증발기로 이어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0,
The lower support unit includes the one or more through holes, each through hole leading from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unit to the evaporator.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5 항 내지 제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관통 홀은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의 상기 최하부 표면에서 더 넓은 폭을 갖는 것으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 유닛의 상기 최상부 표면에서 더 좁은 폭을 갖는 것으로 테이퍼(taper)지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를 위한 카토마이저.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5 to 21,
each through hole tapering from having a wider width at the lowermost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unit to having a narrower width at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lower support unit,
Cartomizer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s.
제1 항 내지 제2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토마이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디바이스.A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artomiz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2.
KR1020247020433A2021-12-222022-12-21 cartomizerPendingKR20240103055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GB2118793.52021-12-22
GB2021187932021-12-22
GB2206239.22022-04-28
GBGB2206239.2AGB202206239D0 (en)2021-12-222022-04-28Cartomiser
PCT/GB2022/053342WO2023118864A1 (en)2021-12-222022-12-21Cartomi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103055Atrue KR20240103055A (en)2024-07-03

Family

ID=8501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47020433APendingKR20240103055A (en)2021-12-222022-12-21 cartomizer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US20250049119A1 (en)
EP (1)EP4451957A1 (en)
KR (1)KR20240103055A (en)
CA (1)CA3240935A1 (en)
WO (1)WO202311886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GB202206234D0 (en)*2022-04-282022-06-15Nicoventures Trading LtdHeater assembly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AT507187B1 (en)*2008-10-232010-03-15Helmut Dr Buchberger INHALER
GB201605101D0 (en)*2016-03-242016-05-11Nicoventures Holdings Ltd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KR102593862B1 (en)*2016-12-272023-10-24쥴 랩스, 인크. Thermal Wick for Electronic Vaporizers
EP3821726A1 (en)*2019-11-152021-05-19Nerudia LimitedSmoking substitut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CA3240935A1 (en)2023-06-29
EP4451957A1 (en)2024-10-30
US20250049119A1 (en)2025-02-13
WO2023118864A1 (en)2023-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20240103055A (en) cartomizer
WO2024157017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US20250057222A1 (en)Cartomiser
US20250295169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WO2024033623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CN118695789A (en) Atomizer cartridge
WO2024033615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WO2024033622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KR20250139888A (en) Heater assembly, aerosol delivery system, and method
EP4620264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EP4620261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WO2024189341A1 (en)Aerosol provision system, consumable, and method
EP4591735A1 (en)Aerosol provision system
EP4620262A1 (en)Heater assembly and method
EP4591729A1 (en)Article
EP4631373A1 (en)Article
EP4591731A1 (en)Article
WO2024157018A1 (en)Aerosol provision system, heater assembly and method
EP4591738A1 (en)Aerosol provision system
WO2025062135A1 (en)Article
WO2025088299A1 (en)Aerosol delivery systems
CN120154141A (en) Aerosol supply system
WO2025158154A1 (en)Article
WO2025158153A1 (en)Article
WO2025088300A1 (en)Aerosol delivery system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5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40619

Patent event code:PA01051R01D

Comment text: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