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40053906A -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3906A
KR20240053906AKR1020220134013AKR20220134013AKR20240053906AKR 20240053906 AKR20240053906 AKR 20240053906AKR 1020220134013 AKR1020220134013 AKR 1020220134013AKR 20220134013 AKR20220134013 AKR 20220134013AKR 20240053906 AKR20240053906 AKR 20240053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input device
detachable input
dial knob
ty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filedCritical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4013ApriorityCriticalpatent/KR20240053906A/ko
Priority to US18/377,521prioritypatent/US20240126400A1/en
Publication of KR20240053906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40053906A/ko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전 식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탈부착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DISPLAY DEVICE USING DETACHABLE INPUT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SAME}
본 발명은 차량의 디스플레이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의 내부에는 차량의 탑승자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다수의 기능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은 에어 컨디셔닝(air conditioning) 시스템,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전자 장치들, 예를 들어 휴대폰 및 인터넷 어플리케이션들과 같은 통신수단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시스템이다.
종래의 시스템은 조작성 개선을 위하여 화면상에서 간단하게 버튼을 추가하기 위해, 조작버튼기구, 스위치, 작은 램프 등의 전장 회로 추가가 필요하게 되어 터치패드 기반의 AVN, 공조 장치의 경우 터치 시 감각적으로 입력을 알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AVN의 다양화되어가고 있는 기능을 실행하고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가 요구되고 있으며, 복잡해지는 차량용 AVN에 다양한 입력 기능을 갖는 물리적 인터페이스 장치가 구비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치스크린 상단에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탈부착 입력 장치를 추가하여 터치스크린에서 인식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정전 식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탈부착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는 물리 버튼 레이어, 다이얼 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물리 버튼 레이어는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출력되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는 투명창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물리 버튼; 상기 복수의 물리 버튼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버튼 돌기; 및 상기 버튼 돌기와 상기 터치스크린 사이의 갭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리턴 기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다이얼 노브는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 건반형 다이얼 노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편심돌기; 및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서 상면까지 연결되며, 상면이 노출되는 투명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편심돌기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접촉식 방식, 상기 터치스크린과 기설정된 거리에 배치되는 비접촉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는 상기 편심돌기의 접촉 위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호의 형태로 스파이프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건반형 다이얼 노브는 상기 터치스크린과 접촉되도록 구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상기 고정부의 둘레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건반돌기; 및 상기 회전부의 저면에서 상면까지 연결되며, 상면이 노출되는 투명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건반돌기와 접하는 표면 상에 배치되는 회전 돌출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건반형 다이얼 노브는 상기 건반돌기와 상기 터치스크린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회전 돌출부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건반돌기의 일 영역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터치패드 기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부착이 가능한 물리 버튼을 추가하여 저렴하고 간단한 방식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여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버튼 레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형 다이얼 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예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서, 차량은 센서부(110), 인터페이스부(120), 구동부(130) 및 프로세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상기 차량 내부 및/또는 외부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10)는,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음성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게 상기 차량과 관련된 혹은 관련 없는 각종 시청각 데이터 또는 정보를 제공, 및/또는 상기 차량 혹은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 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예를 들어, 탑승자(들)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들), 및/또는 탑승자(들)에게 제공되는 음향 기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차량 내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교환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는 상기 차량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하여 상기 프로세서부(14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프로세서부(140)의 제어를 기반으로 상기 차량의 내부 또는 외부의 구성요소들을 물리적으로 구동 및/또는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바퀴(들), 스티어링 휠, 시트(들), 디스플레이(들)의 물리적 위치(들)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140) 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구성 요소들(예, 센서부, 인터페이스부, 통신부(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할 수 있으며, 상기 차량의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140)는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하나 이상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하나 이상의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하나 이상의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또는 하나 이상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들은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모듈, 절차, 기능 등을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본 명세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및 또는 방법들은 코드, 명령어 및/또는 명령어의 집합 형태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부(140)는 상기 센서부(110) 및/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부(110), 상기 인터페이스부(120) 및/또는 상기 구동부(130)에 대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의 동작들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거나, 아래에서 설명/제안한 절차 및/또는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는 명령들, 지시들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들, 지시들 또는 프로그램들은, 실행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에 작동가능하게(operably)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통해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본 명세에 개시된 기능, 절차, 제안, 방법 및/또는 동작 순서도 등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는 상기 프로세서부(14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로세서부(140) 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장치에게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부(140)는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가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로부터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또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와 연결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통해 다른 장치(들)과 사용자 데이터, 제어 정보, 무선 신호/채널 등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상기 차량 내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헤드-업 콘솔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 HUD), 탑승자(들)에게 시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전면 콘솔 디스플레이(들), 탑승자에게 상기 차량의 상태 정보를 제공 및/또는 상기 차량의 기어, 공조, 및/또는 시트(들)에 대한 제어를 제공하는 콘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은 또한 스티어링 휠, 시트(들), 조명(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솔 디스플레이는 콘솔의 센터페시아에 위치하는 거치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솔 디스플레이는 운전석 시트의 한쪽 또는 보조석이 있을 경우에는 운전석 시트와 보조석 시트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 탈부착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과 출력을 동일 영역에서 수행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정전 식 터치가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조작버튼 기구일 수 있다. 탈부착 입력 장치는 물리 버튼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물리 버튼 레이어는 복수의 투명 버튼이 바(bar) 형태의 레이어로 이루어진 기구일 수 있다. 이때, 투명 버튼은 터치스크린에서 출력되는 빛과 텍스트(text)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투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 버튼 레이어는 터치스크린의 상면에 놓여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영역 중 어느 위치에 배치 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물리 버튼 레이어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물리 버튼 레이어와 디스플레이 사이는 기본적으로 갭(GAP)을 있으며 버튼을 누르게 되면 터치스크린과 버튼이 만나게 된다. 버튼 하단에는 정전 식 터치가 가능한 소재를 붙여서 터치스크린에서 인식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에서 버튼의 수 및 화면상에서 자주 쓰는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가 5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AM/PM. AUX, USB, CD, NAV 을 각각의 버튼에 할당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에 대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이에 대응하는 입력 이벤트를 수용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탈부착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 정전 식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가 디스플레이 상에 장착되는 경우, 버튼 용도변경, 버튼 디자인 및 색상 변경, 버튼 on/off 표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물리 버튼 레이어에서 USB에 대응하는 버튼을 누른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USB에 대응하는 영역의 색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에 따른 인터렉트(interact)를 투명버튼을 통해 인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물리 버튼 레이어에 연관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시니어 모드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가 5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AM/PM. AUX, USB, CD, NAV 의 기능을 각각의 버튼에 할당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시니어 모드인 경우, 물리 버튼 레이어에 할당되어 출력되는 텍스트의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M/FM이란 텍스트는 검정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미도시)는 AM/FM 기능에 대응하는 출력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AM/FM 기능에 대응하는 출력은 주파수 및 주파수에 대응하는 신호의 제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네비게이션 모드인 경우를 도시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물리 버튼 레이어에 할당되는 기능을 네비게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으로 할당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가 5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 'HOME', '최근 경로', '현재위치', '목적지', '취소 기능'을 각각의 버튼에 할당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네비게이션 모드인 경우, 물리 버튼 레이어에 할당되어 출력되는 텍스트의 색상 및 버튼 색상을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경로'에 대응하는 텍스트는 검정색에서 녹색으로 변경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최근 경로'에 대응하는 버튼의 색상은 파랑색에서 노란색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미도시)는 최근 경로에 대응하는 출력을 터치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최근 경로에 대응하는 출력은 지도 및 최근 경로에 대응하는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를 참조하면, 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스크린(1000), 물리 버튼 레이어(2000), 다이얼 노브(300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1000) 및 물리 버튼 레이어(2000)는 도 3 내지 도 5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탈부착 입력 장치는 터치스크린 기반의 정전 식 터치가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는 조작버튼 기구일 수 있다. 탈부착 입력 장치는 물리 버튼 레이어(2000) 및 다이얼 노브(30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노브(3000)는 터치스크린의 상면에 놓여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스크린 영역 중 어느 위치에 배치 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다이얼 노브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이얼 노브는 터치스크린에서 출력되는 빛과 텍스트(text)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해 투명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이얼 노브의 하단의 편심돌기가 배치되고, 다이얼 노브를 회전하게 되면 다이얼 노브의 편심돌기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터치 지점이 변경되어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편심돌기는 디스플레이와 상시 접촉을 유지하는 정전 터치 방식 및 디스플레이와 간극을 유지하며 위치를 검출하는 비접촉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물리 버튼 레이어에서 버튼의 수 및 화면상에서 자주 쓰는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다이얼 노브가 부착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중인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상기 다이얼 노브의 회전 동작에 대응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다이얼 노브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공조기 온도, 풍량, 볼륨(vol)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할당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탈부착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탈부착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다이얼 노브를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접촉 위치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호의 형태로 입력되어 할당된 기능을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탈부착 입력 장치의 다이얼 노브를 회전축 X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을 감지하여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따른 대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리 버튼 레이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리 버튼 레이어(2000)는 투명 버튼(2100), 버튼 돌기(2200) 및 리턴 기구(2300)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버튼(2100)은 터치스크린(1000)에 반응하지 않는 비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투명 버튼(2100)은 투명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터치스크린에서 출력되는 내용이 외부로 출력되도록 빛을 투과하는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버튼 돌기(2200)는 전도성 고무와 같이 정전 터치가 가능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버튼 돌기(2200)는 물리 버튼 레이어(200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스크린(1000)과 마주보는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턴 기구(2300)는 스프링, 판스프링,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턴 기구(2300)는 투명 버튼(210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턴 기구(2300)가 물리 버튼 레이어(2000) 상에서 버튼 돌기(2200)가 배치된 표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리턴 기구(2300)에 의해 버튼 돌기(2200)가 상기 터치스크린(100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물리 버튼 레이어(2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되는 경우, 리턴 기구(2300)에 의해 터치스크린(1000)과 버튼 돌기(2200)는 일정한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의해 투명 버튼(2100)이 누르게 되면 터치스크린(1000)과 버튼 돌기(2200)이 접촉하고, 터치스크린(1000)은 버튼 돌기(2200)의 정전 식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 (4000)는 회전부(4100), 편심돌기(4200), 고정부(4300), 투명 버튼(44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40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4000)는 일정 직경을 갖는 고정부(4300)와 고정부(4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회전부(410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4100)는 고정부(43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41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4100)의 외주면에는 널링 공정 등을 통하여 외주면의 마찰력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유리한 조작성을 갖도록 기설정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편심돌기(4200)는 회전부(4100)가 터치스크린(1000)과 접하는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편심돌기(4200)는 사용자 입력을 정전 식 터치로 터치스크린(1000)에 입력하는 기구로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터치 영역을 갖도록 편심돌기(4200)가 배치되었으나, 다양한 개수 및 다양한 배치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심돌기(4200)의 크기 및 배치 구조에 의해 터치스크린(1000)는 다접점 터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편심돌기(4200)의 위치, 크기 및 개수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이용하여 구성된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이의 터치 패턴에 기초하여 좌표를 산출하여 다이얼 노브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4000)를 회전시킨 경우 편심돌기(4200)의 접촉 위치가 터치스크린 상에서 호의 형태로 스파이프(Swipe)되고, 터치 위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에어컨 온도, 풍량, 볼륨 조절 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편심돌기(4200)는 접촉식 방식과 비접촉식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편심돌기(4200)가 접촉식 방식인 경우, 전도성 고무와 같이 정전 터치가 가능한 소재 적용되고, 터치스크린에 장착 시 터치스크린과 편심돌기(4200)는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편심돌기(4200)가 비접촉식 방식인 경우, 터치스크린(1000) 상에서 비접촉 위치 검출이 가능한 부품이 적용되고, 터치스크린과 기설정된 거리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43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4300)는 터치스크린(1000)의 상면에 그 위치가 고정되며, 회전부(4100)만이 고정부(430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투명 버튼(4400)는 회전부(4100)의 저면에서 상면까지 연결되며, 상면이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버튼(4400)는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4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000)에서 출력되는 광을 투명 버튼(4400) 외부로 출력할 수 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버튼(4400)의 일 측면에는 터치스크린(1000)과 마주보는 표면에 버튼 돌기(4450)가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돌기(4450)는 전도성 고무와 같이 정전 터치가 가능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투명 버튼(4400)의 일 측면에는 터치스크린(1000)과 마주보는 표면에 리턴 기구(4500)가 배치될 수 있다. 리턴 기구(4500)는 스프링, 판스프링,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턴 기구(4500)는 투명 버튼(210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턴 기구(4500)의 하부에는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4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될 때, 투명 버튼(4400) 및 리턴 기구(45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트(46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시트(46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비 전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4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되는 경우, 투명 버튼(44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일정한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르기 전 상태에서는 터치스크린(1000)과 버튼 돌기(4450)는 갭(GAP)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투명 버튼(4400)이 누름 상태가 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000)과 버튼 돌기(4450)이 접촉하고, 터치스크린(1000)은 버튼 돌기(4450)의 정전 식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반형 다이얼 노브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반형 다이얼 노브 (5000)는 회전부(5100), 고정부(5200), 건반돌기(5300), 투명 버튼(5400)을 포함할 수 있다.
건반형 다이얼 노브(500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반형 다이얼 노브(5000)는 일정 직경을 갖는 고정부(5200)와 고정부(52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방식으로 회전부(5100)가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5100)는 고정부(520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51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부(5100)의 외주면에는 널링 공정 등을 통하여 외주면의 마찰력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유리한 조작성을 갖도록 기설정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회전부(5100)는 건반돌기(5300)와 접하는 표면 상에 배치되는 회전 돌출부(511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52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200)는 터치스크린(1000)의 상면에 그 위치가 고정되며, 회전부(5100)만이 고정부(5200)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건반돌기(5300)는 고정부(5200)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건반돌기(5300)는 회전부(5100)가 터치스크린(1000)과 접하는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건반돌기(5300)는 사용자 입력을 정전 식 터치로 터치스크린(1000)에 입력하는 기구로써, 전도성 고무와 같이 탄성이 있으며 정전 터치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건반돌기(5300)는 건반형 다이얼 노브(5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과 건반돌기(5300)는 기설정된 거리의 갭(GAP)을 가질 수 있다. 건반돌기(5300)는 회전부(5100)의 동작에 대응하여 회전 돌출부(5110)가 눌러줄 경우, 해당 부위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 발생하여 터치 패턴을 인식하고, 이의 터치 패턴에 기초하여 좌표를 산출하여 다이얼 노브에 의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어, 건반돌기(5300)와 터치스크린(1000)은 비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회전부 돌출부와 건반돌기(5300)가 만나게 되면서 생기는 마찰력 변화는 노브 회전 시 적당한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돌출부의 회전에 따라 연속된 터치 입력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입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의 에어컨 온도, 풍량, 볼륨 조절 등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투명 버튼(5400)는 회전부(5100)의 저면에서 상면까지 연결되며, 상면이 노출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 버튼(5400)는 건반형 다이얼 노브(5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000)에서 출력되는 광을 투명 버튼(5400) 외부로 출력할 수 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투명 버튼(5400)의 일 측면에는 터치스크린(1000)과 마주보는 표면에 버튼 돌기(5450)가 배치될 수 있다. 버튼 돌기(5450)는 전도성 고무와 같이 정전 터치가 가능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투명 버튼(5400)의 일 측면에는 터치스크린(1000)과 마주보는 표면에 리턴 기구(5500)가 배치될 수 있다. 리턴 기구(5500)는 스프링, 판스프링, 고무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턴 기구(5500)는 투명 버튼(5400)의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리턴 기구의 하부에는 건반형 다이얼 노브(5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될 때, 투명 버튼(5400) 및 리턴 기구(550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시트(5600)가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시트(5600)는 터치스크린(1000)과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비 전도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건반형 다이얼 노브(5000)가 터치스크린(1000) 상에 배치되는 경우, 투명 버튼(5400)은 터치스크린(1000)과 일정한 갭(Gap)이 발생할 수 있다. 버튼을 누르기 전 상태에서는 터치스크린(1000)과 버튼 돌기(5450)는 갭(GAP)을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입력에 의해 투명 버튼(5400)이 누름 상태가 되는 경우, 터치스크린(1000)과 버튼 돌기(5450)이 접촉하고, 터치스크린(1000)은 버튼 돌기(5450)의 정전 식 터치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aspect)로서, 앞서 설명한 제안 또는 발명의 동작이 “컴퓨터”(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 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에 의해 구현, 실시 또는 실행될 수 있는 코드 또는 상기 코드를 저장 또는 포함한 어플리케이션, 컴퓨터-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product) 등으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일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일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일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예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1000: 터치스크린
2000: 물리 버튼 레이어
3000: 다이얼 노브
4000: 스와이프형 다이얼 노브
5000: 건반형 다이얼 노브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정전 식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터치스크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를 입력하는 탈부착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는,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상에 배치된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터치스크린에 상기 정전 식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탈부착 입력 장치의 동작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134013A2022-10-182022-10-18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PendingKR2024005390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20134013AKR20240053906A (ko)2022-10-182022-10-18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8/377,521US20240126400A1 (en)2022-10-182023-10-06Display device using detachable input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20134013AKR20240053906A (ko)2022-10-182022-10-18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40053906Atrue KR20240053906A (ko)2024-04-25

Family

ID=90626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20134013APendingKR20240053906A (ko)2022-10-182022-10-18탈부착 입력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Link
US (1)US20240126400A1 (ko)
KR (1)KR202400539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WO2021240736A1 (ja)*2020-05-282021-12-02オムロン株式会社押しボタンスイッチ、操作ユニット、および遊技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200071835A (ko)*2018-12-032020-06-22현대자동차주식회사탈착식 조작계를 이용한 차량용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99560B2 (en)*2021-05-072023-07-11Aristocrat Technologies, Inc.Button deck with non-penetrating pushbutton
KR102578348B1 (ko)*2021-11-182023-09-18(주)코텍터치스크린 부착 버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US20240126400A1 (en)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9836142B2 (en)Capacitive rotary encoder
US20190250740A1 (en)Operation knob and display device in which same is used
JP4652186B2 (ja)ロータリーエンコーダー及びタッチセンサー付き回転操作ノブ
US10166868B2 (en)Vehicle-mounted equipment operation support system
JP6622264B2 (ja)車載機器操作支援システム
JP3382506B2 (ja)ディスプレイ装置
US20240126400A1 (en)Display device using detachable input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ing same
EP3059751B1 (en)Operating panel device
KR20190046215A (ko)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JP2015093493A (ja)車両用操作装置
JP6610452B2 (ja)車両用表示装置
JP5983225B2 (ja)入力装置、および入力システム
JP2017208185A (ja)入力装置
KR20190036069A (ko)로터리 스위치
KR20170029254A (ko)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80292924A1 (en)Input processing apparatus
US20180086289A1 (en)Vehicle-mounted equipment operating device
TWM660681U (zh)可實體觸控數位控制元件之觸控顯示裝置
WO2009139297A1 (ja)静電容量式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23080640A (ja)入力装置
KR101421739B1 (ko)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JP2014058233A (ja)ステアリングスイッチ、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H09282988A (ja)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
JP2006211542A (ja)複合入力装置
JP2018085023A (ja)入力装置、及び入力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21018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