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 용기에 대한 것으로,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의 상단에 탑재되는 구조로 장착되어, 커피 원두의 투입과 함께 다양한 첨가물(맛과 향이 다른 원두)들을 투입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진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 용기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mber container for a coffee bean grinder, which is equipped with a structure mounted on the top of a grinder that grinds coffee beans, and is suitable for adding various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along with the input of coffee beans. This is about a chamber container for a coffee bean grinder consisting of a structure.
일반적으로 커피의 생두는 로스팅 과정을 거친 후 그라인더를 통한 분쇄 과정을 거치게 된다. 상업화된 그라인더를 버 그라인더(burr grinder)라고 부르고, 그라인딩 챔버 부분의 형상에 따라 코니컬버(Conical burr)와 플랫버 (Flat burr)로 분류될 수 있다.Generally, green coffee beans go through a roasting process and then go through a grinding process using a grinder. Commercialized grinders are called burr grinders, and can be classified into conical burrs and flat burrs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grinding chamber.
코니컬버는 챔버 부분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입된 원두가 눌려지면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칼날에 의해 절단되면서, 커피의 분말이 깔때기의 하부로 이동되는 방식이다.The conical burr is a method in which the chamber par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unnel, and the inserted coffee beans are pressed and cut by a blade rotating at high speed, and the coffee powder is moved to the lower part of the funnel.
플랫버는 챔버 부분이 수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투입된 커피 원두가 고속 원심력에 의해 평편한 디스크 형태의 그라인딩 챔버에 부딪치면서 분쇄되는 방식이다.The flat burr is a method in which the chamber part is formed in a horizontal shape, and the coffee beans are ground by hitting a flat disk-shaped grinding chamber by high-speed centrifugal force.
대다수의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그라인더에 장착된 챔버 용기들은 단순히 커피 원두만을 투입할 수 있는 구조적 용도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이렇게 커피 원두만이 챔버에 투입된 상태로 분쇄될 수 있고, 분쇄된 커피 원두로부터 우려낸 원액은 물과 함께 희석된 상태로, 커피의 애호가들에게 음용되고 있다.The chamber containers installed in the majority of grinders on the market are simply structured for the purpose of allowing only coffee beans to be input, and in this way, only coffee beans can be ground while being input into the chamber, and the concentrate brewed from the ground coffee beans. It is diluted with water and consumed by coffee lovers.
이처럼, 대부분의 챔버 용기들은 커피 원두만을 투입하는 용도에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커피 외의 다른 부가적인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은 적기에 투입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성분의 커피 원두를 미리 첨가하여야 만이 커피 본연의 맛과 향기가 난다.As such, since most chamber containers are limited to the use of only coffee beans, it is difficult to add additional additives other than coffee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in a timely mann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ix coffee beans with different ingredients. Only by adding it in advance can the coffee's original taste and aroma be released.
따라서, 풍미와 풍성한 향내도 발휘되기에 한계가 있고, 소량의 특유한 맛을 첨부하기에도 한계가 있으며, 커피의 입자가 균일하지 않아, 커피의 향과 맛이 일정치 않다.Therefore, there are limits to the ability to exert flavor and rich aroma, there are limits to adding a small amount of unique taste, and the particles of coffee are not uniform, so the aroma and taste of coffee are not consistent.
전술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그라이더에서 단순히 커피 원두만을 투입하는 호퍼 용도보다 확장된 호퍼의 구조로서 커피 원두뿐만 아니라 다양한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을 함께 선택적으로 투입할 수 있는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호퍼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a hopper structure that is expanded from the hopper used in existing grinders to simply inject only coffee beans, and selectively injects not only coffee beans but also various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togeth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hopper for grinding coffee beans.
전술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그라이더의 본체(100) 상단에 탑재되는 구조로 장착되어 커피 원두의 투입뿐만 아니라 다양한 풍미와 풍성한 향내를 가미하기 위한 첨가물(맛과 향이 다른 원두)들이 함께 투입될 수 있도록 챔버(200)의 상단 내주연 어느 지점에서부터 그 하단의 내주연을 향해 뻗쳐 있거나 곡률을 이루는 구조의 첨가투입관(220)을 포함하는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 용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s is equipped with a structure mount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of the grinder, and includes not only the input of coffee beans but also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to add various flavors and rich aromas. An example of this is an example of a chamber container for a grinder of coffee beans including an
상기 첨가투입관(220)은 상기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종류에 따른 사이즈별로 투입될 수 있게 구성된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을 포함하는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 용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The
상기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되, 투입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이 챔버(200)의 내부에 분류되는 방식대로 유출되는 투하를 유도할 수 있게 구성된 중도유출공(221a)(222a)들이 더 포함되는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 용기에 그 일례의 특징이 있다.The large additive inlet pipe 221 and the small additive inlet pipe 222 ar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ir length, and the injected additives of various siz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are stored inside the
이상, 상술된 바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그라인드의 상단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챔버의 용기에 커피 원두뿐만 아니라, 다양한 풍미감과 향내를 낼 수 있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까지 선택적으로 적기에 투입할 수 있는 관계로, 커피 자체의 맛과 향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풍미감과 향내까지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not only coffee beans but also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that can produce various flavors and aromas are selectively placed in the container of the chamber mounted on the top of the grind. Because it can be added at the right time, it has the effect of bringing out not only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itself, but also a variety of flavors and arom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200)가 그라인더의 본체(100) 상단에 장착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챔버(200)의 내부 구조로서 일 실시예의 첨가투입관(220)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챔버(200)의 내부 구조로서 다른 실시예의 첨가투입관(220)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첨가투입관(220)에 투입되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막힘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막힘해소날(240)이 장착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첨가투입관(220)에 투입된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막힘시 이를 해소하기 위해 막힘해소날(240)이 첨가투입관(220)의 내부로 진입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three-dimension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G. 3 is a diagram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igure 4 is a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gure 5 conceptually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에 있어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 대한 참고용으로 유첨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참조에 불과하므로, 유첨된 도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권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l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specific to the fact that they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other forms. I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overall technical idea, and the drawings attached for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for reference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e attached drawings do not limit the technical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피 원두의 그라인더용 챔버 용기에 있어서, 예컨대 도면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라이더의 본체(100) 상단에 탑재되는 방식으로 장착된 챔버(200)는 그 상단을 개폐할 수 있는 뚜껑(210)과 함께, 챔버(200)의 내주연 어느 특정 지점에 형성된 첨가투입관(220)들이 일체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In the chamber container for a coffee bean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1, the
이러한 상기의 첨가투입관(220)들은 커피의 투입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맛과 향내의 발휘 효과를 갖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투입을 위한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se
즉, 상기의 첨가투입관(220)은 쓴맛 및 신맛을 내는 다양한 풍미의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을 크기별로 투입할 수 있는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특히, 상기의 대형첨가투입관(221)은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량을 많이 첨가할 수 있도록 비교적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투입을 위한 용도이고, 상기의 소형첨가투입관(222)은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량을 적게 첨가할 수 있도록 비교적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투입을 위한 용도이다.In particular, the large addition tube 221 is used for inserting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that have a relatively large size so that a large amount of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can be added. The small addition tube 222 is used for inserting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that have a relatively small size so that a small amount of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can be added. am.
이러한 상기의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은 예컨대 상기 챔버(200)의 상단 내주연 어느 지점에서부터 그 하단 내주연을 향해 뻗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은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이 중력 작용에 따라 하부로 투하되는 동작성에 심미감도 제공할 수 있게 곡률을 이루는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large additive injection pipe 221 and the small additive injection pipe 222 may be configured to extend from a point on the upper inner periphery of the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은 커피 본연의 맛과 향기에 더한 풍미감과 풍부한 향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은 예컨대 그 종류에 한정될 필요 없이 커피 본연의 맛과 향기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것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can perform the function of providing flavor and rich aroma in addition to the original taste and aroma of coffee, and these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need to be limited to their type, for example. It can include all things that can harmonize with the natural taste and aroma of coffee.
상기 대형첨가투입관(221)에는 예컨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 중간 중간에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이 챔버(200)의 내부로 곧장 유출될 수 있게 한 중도유출공(221a)들이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the large additive inlet pipe 221 has an intermediate outlet hole 221a that allows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to flow out straight into the interior of the
물론, 상기의 소형첨가투입관(222)에도 그 사이즈 직경에 맞는 중도유출공(222a)들이 예컨대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형첨가투입관(222)의 중간 중간에 형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the above-mentioned small additive injection pipe 222, intermediate outlet holes 222a that match the size and diameter may b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small additive injection pipe 222,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3.
상기의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은 신맛과 쓴맛을 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 없이 다양한 맛과 향내도 첨가 가능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고,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사이즈별 혹은 양별 조절을 통한 투입이 가능하도록 상기의 첨가투입관(220)은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을 포함하되, 더 세부적인 사이즈 크기별로도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additives (coffee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can produce a sour and bitter taste, but are not limited to this and can include ingredients that can also add various tastes and aroma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additives (coffee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Alternatively, the above-mentioned
특히,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에 각각 형성된 중도유출공(221a)(222a)들은 그 구멍의 사이즈 직경 크기가 달라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이 자연스럽게 챔버(200)의 내부로 이탈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termediate outlet holes 221a and 222a formed in the large additive inlet pipe 221 and the small additive inlet pipe 222, respectively, have different hole sizes and diameters, so that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naturally flow into the chamber. It may escape into the interior of (200).
한편, 이러한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을 통해 투입되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은 투입 과정에서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물성 특성에 따라 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막힘 현상 시에는 예컨대 도면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힘해소날(240)들이 첨가투입관(220)을 향해 도면 5와 같이 진입되면서, 막힌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을 뚫게 효과를 통해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 내에서의 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다.Meanwhile, the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introduced through the large additive inlet pipe 221 and the small additive inlet pipe 222 are blocked depending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during the input process. A phenomenon may occur. In this case of clogg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이러한 상기의 막힘해소날(240)들은 소정의 일정한 이격을 유지하는 구조로서 하나의 연결대(241)에 통합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대(241)의 중앙 부위에는 인출부(242)가 상기 막힘해소날(240)의 반대 방향 즉 상기 연결대(241)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구조이다.These blockage-removing
그리고, 상기 인출부(242)가 형성된 반대 방향 즉 막힘해소날(240)을 향한 방향에는 인장스프링(243)이 걸림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의 인장스프링(243)은 상기 인출부(242)를 잡아 당길 경우, 막힘해소날(240)들이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를 향해 진입할 수 있게 상기 막힘해소날(240)들에게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a
물론, 상기 인출부(242)를 잡아 당긴 상태에서 놓게 되면, 상기의 막힘해소날(240)들은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를 향해 진입하는 과정에서 항타하는 방식으로 진입함에 따라,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에 막혀 있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을 예리하게 뚫게 되고, 이로 인해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에 대한 막힘 현상이 해소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when the draw-out
상기 인장스프링(243)은 그 일단이 챔버(200)의 외관에 걸림되고 그 타단은 인출부(242)의 반대측에 위치된 해당 막힘해소날(240)에 걸림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인출부(242)를 잡아 당길 경우, 막힘해소날(240)들이 도면 5와 같이 함께 상기 인출부(242)의 잡아 당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물론, 이렇게 상기 막힘해소날(240)들이 상기 인출부(242)의 잡아 당김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챔버(200)의 외관에서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 조작부(245)에 구성된 걸림해제핀(244)이 최상단에 위치된 해당 막힘해소날(240)을 관통하는 방식으로 걸려 있게 됨에 따라, 탄성력의 텐션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in this state in which the
이렇게 텐션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가,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로 투입된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막힘 현상이 발생될 경우, 조작부(245)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작동되게 함과 동시 걸림해제핀(244)도 최상단에 위치된 막힘해소날(240)로부터 인출되면서 걸림의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While the tension state is maintained in this way, if clogging of the additives (beans with different tastes and aromas) introduced into the large additive injection pipe 221 and the small additive injection pipe 222 occurs, the
이렇게 막힘해소날(240)의 걸림 해제와 동시 막힘해소날(240)들은 인장스프링(243)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기반하여 항타되는 방식으로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로 도 4와 같이 진입하면서 막혀 있는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을 예리하게 뚫게 되고, 이로 인해 대형첨가투입관(221) 및 소형첨가투입관(222)의 내부에서 발생된 첨가물들(맛과 향이 다른 원두)의 막힘 현상은 해결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way, the
물론, 상기 막힘해소날(240)들이 도면 5와 같이 본래의 위치대로 복귀될 경우, 걸림해제핀(244)은 조작부(245)의 상단에 설치 구성된 압축코일스프링(246)으로부터 제공되는 탄성력에 근거하여 최상단에 위치된 막힘해소날(240)을 다시 관통하는 방식으로 막힘해소날(240)들에 대한 걸림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Of course, when the
여기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46)의 상단에 위치된 스톱부(247)는 상기 조작부(245)의 슬라이드 작동시 상기 압축코일스프링(246)의 수축을 유지하도록 하는 상기 조작부(245)의 슬라이드 작동에 대한 멈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100 : 본체
200 : 챔버210 : 뚜껑
220 : 첨가투입관221 : 대형첨가투입관
221a : 중도유출공
222 : 소형첨가투입관222a: 중도유출공
240 : 막힘해소날241 : 연결대
242 : 인출부243 : 인장스프링
244 : 걸림해제핀245 : 조작부
246 : 압축코일스프링247 : 스톱부100: main body
200: Chamber 210: Lid
220: Addition injection pipe 221: Large addition injection pipe
221a: Middle outflow hole
222: Small additive injection pipe 222a: Medium outflow hole
240: Clog removal blade 241: Connecting rod
242: Drawout portion 243: Tension spring
244: Jam release pin 245: Control panel
246: Compression coil spring 247: Stop par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3082AKR102764665B1 (en) | 2022-07-27 | 2022-07-27 | grinding chamber container of coffee bea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20093082AKR102764665B1 (en) | 2022-07-27 | 2022-07-27 | grinding chamber container of coffee bea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40015345Atrue KR20240015345A (en) | 2024-02-05 |
| KR102764665B1 KR102764665B1 (en) | 2025-02-11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93082AActiveKR102764665B1 (en) | 2022-07-27 | 2022-07-27 | grinding chamber container of coffee bean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764665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971259A (en)* | 1987-06-15 | 1990-11-20 | Bunn-O-Matic Corporation | Dual hopper coffee grinder |
| KR101926749B1 (en)* | 2017-06-30 | 2018-12-07 | 위덕환 | Duct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
| KR101931451B1 (en) | 2017-12-12 | 2018-12-2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Low temperature maintenance hopper for roasted coffee grinder |
| KR20190060987A (en)* | 2016-09-28 | 2019-06-04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White heat-shrinkable polyester-based film roll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4971259A (en)* | 1987-06-15 | 1990-11-20 | Bunn-O-Matic Corporation | Dual hopper coffee grinder |
| US4971259B1 (en)* | 1987-06-15 | 1996-04-30 | Bunn O Matic Corp | Dual hopper coffee grinder |
| KR20190060987A (en)* | 2016-09-28 | 2019-06-04 |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 White heat-shrinkable polyester-based film roll |
| KR101926749B1 (en)* | 2017-06-30 | 2018-12-07 | 위덕환 | Ducth Coffee Extraction Apparatus |
| KR101931451B1 (en) | 2017-12-12 | 2018-12-2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Low temperature maintenance hopper for roasted coffee grinder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764665B1 (en) | 2025-02-11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035728B2 (en) | Extraction cell | |
| CN105517470B (en) | Coffee machine for providing coffee brew with reduced caffeine content | |
| EP112553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espresso coffee | |
| AU2009213029B2 (en) | Brewing device for coffee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ffee beverage with a brewing device | |
| KR102047559B1 (en) | Beverage cartridge and filter element | |
| US20150327718A1 (en) |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olute extraction | |
| AU2014308005A1 (en) | Coffee machine for providing coffee brew with reduced caffeine content | |
| CN106028883A (en) | Method for preparing long coffee with crema from capsule in centrifugal coffee machine, capsule and liquid coffee extract thereof | |
| US20210100398A1 (en) | Pair of millstones for grinding coffee beans | |
| US20220125068A1 (en) | Extraction cell | |
| EP3684190A1 (en) | Coffee brewing apparatus | |
| KR20240015345A (en) | grinding chamber container of coffee bean | |
| AU2015308188B2 (en) | Improvements in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beverage and liquid food products | |
| WO2021146217A1 (en) | Extraction filter basket | |
| US2118010A (en) | Process of treating coffee and preserving its flavor | |
| KR102078457B1 (en) |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 |
| CN106714628B (en) | Ice drips coffee extracting device and extracting method | |
| CN106163350B (en) | The brewing unit and coffee machine of coffee machine | |
| KR20100123570A (en) | Automatic drip coffee machine | |
| KR102740319B1 (en) | Coffee production method and coffee produced by | |
| CN220557822U (en) | Automatic tea extraction machine | |
| US20180153333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homogenizing ground coffee beans | |
| GB2533549B (en) | Process for preparing a concentrated tea-based beverage | |
| KR102732317B1 (en) | Apparatus for grinding coffee beans | |
| KR20240020788A (en) | Capsules for extracting traditional tea including red ginseng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