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체 모니터링 및 불활성화를 갖는 공기 필터[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20년 10월 29일자 발명의 명칭 "Air Filter with Pathogen Monitoring and Inactivation"의 U.S. 특허 임시 출원 제63/107,388호 및 2021년 10월 5일자 발명의 명칭 "Air Filter with Pathogen Monitoring and Inactivation"의 U.S. 특허 임시 출원 제63/252,514호에 대하여 우선권 혜택을 주장하는 바, 이들 양자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병원체 불활성화 작용제, 더 구체적으로는 추가적인 병원체 불활성화 물질이 환경에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노출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중합체 내에 주입되는 병원체 불활성화 작용제에 관한 것이다.
HVAC 시스템용 공기 필터는 뛰어난 입자 여과를 제공한다. 필터의 등급에 따라, 점점 더 작은 입자가 공기로부터 여과될 수 있다. 공기로부터 마이크로미터 및 미이크로미터이하 입자를 여과하는 데에는, 특별한 유형의 필터인 고효율 미립자 공기 (HEPA) 필터가 이용된다.
매우 미세한 미립자 필터가 알레르기원 및 기타 문제가 되는 물질 예컨대 미세 먼지의 포획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수동 공기 필터는 모두 공기가 HVAC 시스템을 통해 유동할 때 공기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병원체의 불활성화는 허용하지 않는다. HEPA 필터는 필터를 가로지르는 높은 압력 강하를 유발하여 HVAC 시스템을 통한 기류를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예컨대 HVAC 시스템용의 장기-지속형이며 병원체를 불활성화시키는 고도 백분율 포획 공기 필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실시양태는 종이, 직조 섬유유리, 부직 섬유유리, 부직 중합체 등으로 구성되는 공기 필터 또는 필터들의 용도로서, 여기서 상기 공기 필터 또는 필터들은 추가적으로 공기 필터에 또는 공기 필터상에 주입되거나 코팅되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사용을 통한 병원체 불활성화 방법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공기 필터 또는 필터들은 또한 바이러스 및 박테리아과 같은 병원체를 불활성화시키는 살생물제 또는 살바이러스제와 같은 화합물이 주입되거나 혼합된 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중합체는 중합체의 표면이 시간에 따라 마모됨으로써 중합체의 새로운 신규 표면을 노출할 수 있는 삭마성(ablative) 또는 희생성(sacrificial) 특징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레이트 백본으로 구성되는 에멀젼 중합체일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중합체의 외부 표면은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됨으로써 새로운 표면을 환경에 노출시키게 된다.
상기 희생성 중합체는 폴리 락트산 (PLA), 폴리카프로락톤 (PCL), 폴리(락트산-co-글리콜산) (PLGA),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PGMA), 젤라틴, 폴리사카라이드,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군에 속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중합체들은 사무실 건물, 학교 또는 거주지의 환경과 같은 표준 온도 및 압력 (STP) 조건에서 용이하게 분해되게 된다. 거주지의 경우에서, 거주지는 호텔 또는 모텔과 같은 일시적인 것, 또는 주택 또는 아파트와 같은 영구적인 것일 수 있다.
살바이러스제 또는 살생물제 주입 중합체는 필터 기재상에 코팅되었을 때 필터를 통하여 유동하는 공기에 연속적인 살바이러스제 또는 살바이러스제 공급을 제공하도록 컴파운딩될 수도 있다. 이를 수행하는 한 가지 방법은 많은 과량의 살바이러스제 또는 살생물제를 중합체 혼합물에 도입함으로써, 표면 에너지, 확산, 모세관 작용 또는 다른 수동 수송 메커니즘을 통해 살바이러스제 또는 살생물제가 중합체 표면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필터 시스템상에 코팅되는 중합체는 살생물제 또는 살바이러스제와 그것이 비상용성이어서 살생물제 또는 살바이러스제, 또는 병원체를 불활성화시키는 임의의 다른 물질이 중합체 매트릭스로부터 삼출 또는 유출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특성을 갖는 것일 수도 있다. 이는 소결된 베어링에 오일이 주입됨으로써 소결된 베어링으로부터 오일이 삼출되면서 수명이 긴 윤활을 나타내는 영구 오일첨가 베어링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중합체 매트릭스는 고체, 용액 또는 에멀젼 유형일 수 있다. 중합체는 유기 용매에 의해 전달될 수 있거나, 또는 수계의 것일 수 있거나, 또는 100 % 고체일 수 있다.
살바이러스제 또는 살생물제는 각각 상이한 병원체 표적 영역을 갖는 살바이러스제들 또는 살생물제들의 블렌드일 수 있다.
몇 가지 적용분야를 거명하자면 HVAC 장치 및 차량용 공기 필터, 커피 필터, 연료 필터, 크로마토그래피 분리, 실험실 필터 및 티백을 포함한 많은 유형의 적용분야에서 필터 종이(filter paper)가 사용된다. HVAC 시스템의 다공성 공기 필터는 다른 크기는 필터를 통과할 수 있으면서도 또 다른 크기의 입자들은 포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종이는 다양한 물질들의 지속적이고 정밀한 여과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계속적인 개선 및 가공이라는 이점을 갖는다.
많은 상이한 유형의 필터 종이들을 사용하면, 한 자릿수 및 분수 마이크로미터 여과가 가능하다. 필터 종이는 공기 중에서 순환중일 수 있는 감염성 입자로부터의 보호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살생물제 및 살바이러스제로 처리될 수도 있다.
필터 기재의 코팅은 스프레이, 침지, 롤(roll), 인쇄, 또는 특수 종이의 표면으로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가 전달되는 다른 전달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살생물제 또는 살바이러스제와 같은 병원체 불활성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롤 공정은 메이어 로드(Mayer rod) 공정 또는 그라비아 공정일 수 있다.
HVAC 필터용으로는 섬유유리 기재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살생물제 또는 살바이러스제, 또는 병원체를 불활성화시키는 임의의 다른 물질을 수반하는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섬유유리 기재로 전달된다. 섬유유리 기재는 직조 또는 부직의 것일 수 있다. 섬유유리 기재상에 그것이 코팅되어 있는 동안,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마모되어, 새로운 표면을 환경에 노출시키게 된다.
공기 필터의 등급은 다양한 수준의 것일 수 있다. 가열, 냉장 및 공-조 엔지니어 미국 협회(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ASHRAE)는 최소 효율 기록 값(Minimum Efficiency Reporting Value) (MERV)에 대한 ANSI/ASHRAE 52.2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표준을 이용한다. 질병 억제 센터(Center for Disease Control) (CDC)에 의해서는 MERV 13 표준 이상의 것이 규정되어 있다.
Covid-19 범유행을 야기하고 있는 SARS-CoV-2 바이러스를 포함한 병원체들의 불활성화용으로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다양한 살생물제 및 살바이러스제들이 존재한다. 상기 살생물제 및 살바이러스제에는 염소 분자가 결합되어 있는 사급 암모늄 염과 같은 염소화된 분자를 포함하는 물질들이 포함된다.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가 사급 암모늄 구성요소 및 염소 구성요소를 갖는 물질의 예이다. 소듐 히포클로라이트 (보통 표백제로 알려져 있음), 수소 퍼옥시드 및 이소프로필 알콜과 같은 많은 다른 유형의 살생물제 및 살바이러스제들이 가용하다. 다른 분자로는 붕소, 아이오딘 및 다른 염소 함유 분자들이 포함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기호는 대체로 다른 도면들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양태들이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 그 중:
도 1은 살바이러스제가 주입 코팅된 섬유유리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HVAC 필터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를 도시하며;
도 2는 살바이러스제 주입 기재 및 기재용 홀더를 포함하는 HVAC 필터의 도시이고;
도 3은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의 화학식이며;
도 4는 폴리(락트산-co-글리콜산) (PLGA)의 화학식이고;
도 5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PGMA)의 화학식이며;
도 6은 공기 필터의 MERV 수준을 나타내는 표이고;
도 7은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포함하는 퓨라노스 분자의 도시이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다양한 실시양태들은 중합체에 의해 코팅되며 여기서 상기 중합체는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작용제를 함유하는 HVAC 필터 시스템에 대해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일부 예에서는, Covid-19 범유행을 야기하는 SARS-CoV-2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중합체 중 살바이러스제가 사용된다.
상기 중합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표면에서 마모 제거됨으로써 새로운 물질을 환경에 노출시키게 되는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일 수 있다. 불활성화 작용제, 예를 들어 살생물제 또는 살바이러스제가 오랜 시간 기간 동안 중합체로부터 삼출됨으로써 이와 같은 중합체 구성에 의해 코팅되어 있는 필터상에 그것이 접촉하였을 때 바이러스 입자를 불활성화시키도록, 상기 중합체는 불활성화 작용제와 비상용성인 물질일 수도 있다.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환경 조건에서 마모에 적용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희생성 물질로 알려져 있을 수도 있다. 중합체 매트릭스의 삭마는 열적 상호작용, UV 상호작용, 및 다른 에너지형, 산화성 또는 수소화 환경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나노 복합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희생성 중합체는 환경 상호작용에 의해 마모 제거 및 분해될 수 있다.
살바이러스제 또는 살생물제, 또는 임의의 병원체 불활성화 물질과 블렌딩된 중합체 물질은 스프레이, 침지, 롤 코팅 및 인쇄와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기재에 적용될 수 있다. 일단 중합체가 기재에 적용되고 나면, 그것은 UV 경화, 가열 오븐 내에서의 건조 또는 공기 건조와 같은 다양한 공정을 통하여 경화되거나 건조될 수 있다.
다공성 기재의 항-바이러스 능력을 입증하는 데에는 ISO-18184:2019와 같은 시험 절차가 이용될 수 있다. ISO-18184:2019에 따라,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함유 혼합물인 스테판(Stepan) BTC-885가 주입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처리된 13의 MERV 등급을 갖는 부직 섬유유리의 샘플을 시험하였다. ISO-18184:2019 표준을 이용하여 시험된 병원체는 SARS-CoV-2 바이러스 WA1 주였다. 시험의 결과는 중합체 및 살바이러스제 주입된 부직 섬유유리 MERV 13 필터가 15분 이내에 모든 SARS-CoV-2 WA1 바이러스를 불활성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시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열거하였다.
<표 1>
중합체가 그 위에 코팅되는 기재는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질에는 직조 및 부직 양자의 섬유유리, 종이, 부직 중합체 매트릭스, 직조 중합체 매트릭스 및 유사 지지 물질들이 포함된다.
다음에, 중합체 코팅된 기재는 현행 규칙적인 유형의 여과 매체를 수용하는 HVAC 시스템에 그것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프레임에 정합될 수 있다.
도 1은 코팅된 섬유유리 메시(101)가 종이 프레임에 통합되어 있는 유형의 HVAC 필터(100)를 도시한다. 섬유유리 메시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및 폴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구성되는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102)를 사용하여 코팅된다. 상기 삭마성 또는 희생성 중합체는 또한 살바이러스제인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103)를 함유한다.
도 2는 공기 필터(200)의 도시이다. 공기 필터 프레임(202)의 교차 멤브레인(201)은 여과 기재(203)를 보유한다. 여과 기재(203)는 직조 또는 부직 기재일 수 있다. 필터 기재(203)의 물질은 종이, 섬유유리, 또는 또 다른 적합한 물질일 수 있다. 여과 기재(203)는 중합체를 사용하여 코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중합체에는 살바이러스제가 주입된다.
도 3은 강한 항-바이러스 물질인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분자(300)를 도시한다.
도 4는 폴리(락트산-co-글리콜산) (PLGA)(400)의 일반 화학식이다. 폴리(락트산-co-글리콜산) (PLGA) 중합체(400)는 시간이 지나면서 삭마, 마모 및 분해되게 되는 생분해성 물질이다.
도 5는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PGMA)의 일반 화학식이다. 폴리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PGMA) 중합체(500)는 시간이 지나면서 삭마, 마모 및 분해되게 되는 생분해성 물질이다.
도 6은 ASHRAE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바와 같은 공기 필터의 MERV 수준을 나타내는 차트이다. CDC에서는, 13 이상의 MERV 수준이 사무실 건물, 학교, 거주지 및 기타 점유 내부 공간의 공기 여과용으로 규정되어 있다.
공기 필터는 필터상에 접촉하는 바이러스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이러스 물질을 검출하기 위한 그와 같은 한 가지 수단은 마이크로칩에 커플링된 단일-가닥 DNA의 이용이다. SARS-CoV-2 특유의 단일-가닥 RNA와 같은 물질이 단일-가닥 DNA에 결합될 경우, 단일-가닥 DNA에 결합되어 있는 마이크로칩에 의해 전기 전하의 차이가 측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칩에서의 이와 같은 전기적 차이는 검출기에의 특정 RNA 가닥 결합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게 된다. 점점 더 많은 RNA 가닥이 단일-가닥 DNA에 결합될수록, DNA 단일-가닥 물질에 결합되어 있는 마이크로칩에서는 더 많은 표시를 볼 수 있다. 이는 단일-가닥 DNA에 결합된 단일-가닥 RNA의 양을 보여주며 그에 따라 바이러스 적재량 및 검출되는 바이러스의 변이 양자를 식별하게 되는 신호를 생성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SARS-CoV-2 바이러스 델타 변이의 단일 가닥 RNA와 일치하는 서열을 갖는 단일-가닥 DNA는 상기 바이러스 RNA와 결합하여 바이오센서 칩의 전기적 특징 변화를 야기하게 된다. 이는 델타 변이가 존재한다는 것뿐만 아니라 존재하는 델타 변이의 양도 보여주게 된다.
단일-가닥 DNA (ssDNA) 검출기는 살바이러스제 필터의 효율을 점검하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살바이러스제 주입 필터를 통과하는 공기가 이후 ssDNA 검출기와 접촉하게 되도록, ssDNA 검출기는 살바이러스제 주입 필터의 하류에 탑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ssDNA 검출기는 살바이러스제 주입 필터를 통하여 들어오는 임의의 바이러스 적재량을 검출함으로써, 살바이러스제 주입 필터의 효율이 저하되었음을 표시하고, 전자 통신 수단을 통하여 이와 같은 더 낮은 살바이러스제 전체 활성을 기록하게 된다.
ssDNA 검출기는 건물 또는 구조물의 바이러스 적재량을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로 이용될 수도 있다. 병원과 같은 건물 또는 구조물에서의 바이러스 감염이 등록 및 기록되고 적절하게 처리될 수 있도록, 상기 검출기는 건물 또는 구조물의 다양한 영역에 배치되어 화재 경보 통신 시스템과 유사한 통신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다.
다중 유형의 병원체를 검출하는 데에는, 바이오센서 어레이(array)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ARS-CoV-2 바이러스의 알파, 베타 및 델타 변이를 검출하기 위한 바이오센서 세트가 특정 영역에서의 바이러스 적재량뿐만 아니라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유형을 검출하는 데에도 이용되게 된다.
바이오센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바이오센서는 세포 멤브레인을 모방하는 물질, 예컨대 지질 단층 또는 이중층 또는 폴리사카라이드 층에 의해 코팅될 수도 있다. 모방 세포 멤브레인은 SARS-CoV-2 바이러스와 같은 표적 병원체에 대한 수용체도 모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층의 존재는 세포 멤브레인을 모방하여 센서에 의한 식별용으로 그의 핵심 핵산에 결합하여 그것을 제공하도록, 바이러스와 같은 병원체를 유인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은 특수한 살바이러스제, 예컨대 바이러스 병원체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한 RNA 뉴클레아제와 같은 효소의 사용이다. 클러스터화되어 있는 규칙적으로 이격된 짧은 팔린드롬 반복체(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CRISPR) / CRISPR 연관 단백질 13 (Cas13)의 사용이 RNA 핵산 서열을 절단하는 데에 이용될 수도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서, RNA 뉴클레아제는 RNA 중 핵산의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절단함으로써, SARS-CoV-2와 같은 단일 가닥 RNA 바이러스 (ssRNA)를 불활성화한다.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은 도 7에 나타내었다. Cas13은 DNA가 아니라 RNA를 표적으로 한다. 그의 CRISPR-RNA (crRNA) 스페이서에 대하여 상보성인 ssRNA 서열에 의해 그것이 활성화될 경우, Cas13은 비특이적 RNase 활성을 방출함으로써, RNA 서열에 관계없이 Cas13 부근의 RNA를 불활성화한다. 따라서, crRNA와 커플링된 Cas13은 SARS-CoV-2와 같은 ssRNA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불활성화할 수 있는 복합체를 형성한다.
본원에서 제시된 각 숫자 값은 해당 파라미터 범위 내에서의 최소값 또는 최대값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포함될 때, 숫자 값은 본원의 교시에 따라 상기 숫자 값의 초과 또는 미만에 위치할 수 있는 범위를 청구하기 위한 표현상의 토대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제시되며 고려되고 본원에서 명시적으로 뒷받침되는 각 숫자 범위 내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모든 값은 각 특정 범위에서 표현되는 유의 자릿수 숫자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양태들을 본원에 기술한 바,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라면 상기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된 것들 이외의 다양한 다른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들을 알게 되었을 것이다. 따라서, 전기는 본 발명 원리의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관련 기술분야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본원에서 언급된 다양한 요소 및 성분들의 다양한 변형 및 첨가물은 물론 조합 및 변경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첨부된 청구범위는 나타내어 기술한 특정 특징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할 뿐만 아니라, 그의 자명한 임의의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청구범위는 하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