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30089463A - Assembly for animal implants - Google Patents

Assembly for animal impl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9463A
KR20230089463AKR1020210178101AKR20210178101AKR20230089463AKR 20230089463 AKR20230089463 AKR 20230089463AKR 1020210178101 AKR1020210178101 AKR 1020210178101AKR 20210178101 AKR20210178101 AKR 20210178101AKR 20230089463 AKR20230089463 AKR 202300894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eointegration
fixture
bent
implant assembly
anim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81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이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규filedCritical이종규
Priority to KR1020210178101ApriorityCriticalpatent/KR20230089463A/en
Publication of KR20230089463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30089463A/en
Abandon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lant including a crown and an abutment, and includes a fixture provided to be fastened to alveolar bone, wherein the fixture includes a screw thread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by external force and an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form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toward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fixture. The alveolar bone and implant can be combined through the fixture, and through the formed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an area that induces osseointegration of osteoblasts is expanded,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Assembly for animal implants}Animal implant assembly {Assembly for animal implants}

본 발명은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조골에 식립되어 골유착 보조부를 형성함으로써 치조골과 픽스쳐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동물의 수평 저작운동에 의해 임플란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lant assembly for animals, and more particularly,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to form an osseointegration aid, thereby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a fixture, thereby preventing the implant from being dislodged due to horizontal chewing motion of the animal. It relates to an implant assembly for use.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In general, an implant means a substitute for restoring human tissue when it is lost, but in dentistry, it refers to implanting an artificially made tooth. It is a procedure that restores the function of a tooth by planting a replacement tooth root that can replace the lost tooth root (root) in the alveolar bone where the tooth was lost, and then fixing the artificial tooth.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general prostheses or dentures, the surrounding teeth and bones are damaged over time, but implants do not damage the surrounding dental tissue, and have the same function and shape as natural teeth, but do not cause cavities, so they can be used semi-permanently.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In addition, implants improve the function of dentures for partially edentulous and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s well as single missing tooth restorations, and improve the aesthetic aspect of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s. Furthermore, it helps to stabilize the dentition as well as dispersing excessive stress applied to the surrounding supporting bone tissue.

한편, 최근 들어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가족구성원이 핵가족화됨에 따라 적적함을 달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는 등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가축, 짐승을 포함, 이하 애완동물이라 칭함)을 기르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as living standards have improved and family members have become nuclear families, many people have pets (including livestock and anima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t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such as appeasement of suitability and emotional stability. are raising

이에 따라, 상기 애완동물의 이빨 건강을 위해 애완동물용 치과가 늘어나고 있으며, 애완동물의 임플란트 시술 또한 행해지고 있으나, 이는 인간의 임플란트 시술을 그대로 적용한 것으로 기능성보다는 심미성에 국한되는 등 여러가지 한계점이 있다.Accordingly, pet dentistry is increasing for the dental health of the pet, and pet implant surgery is also performed, but this is an application of human implant surgery as it is, and has various limitations such as being limited to aesthetics rather than functionality.

특히나, 인간은 음식물을 섭취할 때 구강의 수직 저작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씹어먹는 방식을 이용하는 반면, 동물은 구강의 수평 저작운동을 통해 음식물을 찢어먹는 방식을 이용한다. 인간과 동물의 저작운동 방식에 있어서, 이러한 차이점이 존재함에 따라, 동물에게 기존의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 식립된 임플란트가 수평 방향의 외력을 받아 쉽게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In particular, humans use a method of chewing food through vertical masticatory movements of the mouth when ingesting food, whereas animals use a method of tearing food through horizontal masticatory movements of the mouth. Due to the existence of these differences in the masticatory movement methods of humans and animals, when an existing implant is operated on an anima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implant is easily removed by receiving a horizontal external force.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086335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86335 (Fixture of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구강의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쳐 상에 골유착 보조부를 형성하여 치조골과 픽스쳐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동물의 수평 저작운동에 의해 픽스쳐 및 임플란트가 치조골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forming an osseointegration aid on a fixture to be placed in the alveolar bone of the oral cavity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so that the fixture and implant are removed from the alveolar bone by horizontal chewing motion of the anim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imal implant assembly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는,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스쳐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쳐는, 외력에 의해 치조골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나사산 및 상기 픽스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픽스쳐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골유착 보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mplant including a crown and an abutment, includes a fixture provided to be fastened to an alveolar bone, wherein the fixture includes a screw thread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fix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sseointegration aid to form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fixtur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단면이 적어도 한 구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nt surface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is bent in at least one secti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절곡면은, 상기 골유착 보조부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bent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plurality on the osseointegration ai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절곡면은,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bent surface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uxiliary osseointegration.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는, 상기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is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on surface provided to connect the bent surfaces.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픽스쳐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fix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protrusions formed on the osseointegration ai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단면이 적어도 한 구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 및 상기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절곡면 및 연결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further includes a bending surface form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is bent in at least one section and a connection surface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 and provided to connect the bent surface, , The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being formed on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selected from the be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절곡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돌기부 및 상기 연결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formed on the bent surface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는, 상기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osseointeg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crew threa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는, 상기 픽스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auxiliary osseointeg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본 발명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는, 픽스쳐를 통해 치조골과 임플란트의 결합이 가능하며, 픽스쳐에 형성된 골유착 보조부를 통해 조골 세포의 골유착을 유도하는 면적이 넓어져 치조골과 픽스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alveolar bone and the implant through a fixture, and the area for inducing osseointegration of osteoblast cells is widened through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formed in the fixture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possible effects can be provided.

그리고, 골유착 보조부에 형성되는 절곡면을 통해 조골 세포의 골유착 면적을 넓힘으로써 한층 더 향상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further improved bonding force by expanding the osseointegration area of the osteoblasts through the bent surface formed i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그리고,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절곡면을 통해 골유착 보조부가 픽스쳐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골유착이 진행되는 표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어 치조골과 픽스쳐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is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xture through a plurality of bent surfaces provided to expand the surface area on which osseointegration progresses,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그리고, 골유착 보조부 상의 절곡면이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통해 절곡면 사이에 골유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동물의 수평 저작 운동에 의해 픽스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ent surfaces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bending surfaces 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face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thereby preventing the fixture from being separated by the horizontal mastication movement of the animal.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면을 통해 절곡면 간의 소정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유착 공간 및 표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secur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bent surfaces through the connection surface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s, an effect capable of expanding the osseointegration space and surface area is provided.

그리고, 돌기부 상에 골유착이 진행됨으로써 조골 세포의 골유착 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동물의 수평 저작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방향 외력에 의한 픽스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nd, as the osseointegration proceeds on the protrusion, as well as widening the osseointegration area of the osteoblasts, it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viation of the fixture due to the horizontal direction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chewing motion of the animal.

그리고, 돌기부의 형성 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임플란트 착용 대상 동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rotrus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 to be worn with the implant.

그리고, 절곡면과 연결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2 돌기부를 통해 골유착이 진행되는 표면적을 넓혀 픽스쳐와 치조골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by expanding the surface area in which osseointegration progre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be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그리고, 골유착을 보조 및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골유착 보조부가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픽스쳐가 유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결합이 해제되어 이탈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provided to assist and induce osseointegra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crew thread, so that the fixture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adhered state,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from progressing. .

그리고, 골유착 보조부가 픽스쳐의 길이방향 및 임플란트의 식립 방향과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가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외력을 받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is formed to 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and the direction of implant placement, the fixture can provide an effect that prevents it from easily falling out even when subjected to external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a horizontal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commo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knowledgeable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lso,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In this specification, singular forms also include plural form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components than the recited components.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in a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irst, referring to FIG. 1, 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는 크라운(C) 및 어버트먼트(A)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스쳐(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the animal implan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lant including a crown (C) and an abutment (A),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fixture 100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alveolar bone. do.

여기서, 상기 픽스쳐(100)는, 외력에 의해 치조골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나사산(110) 및 상기 픽스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픽스쳐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골유착 보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fixture 100 includes ascrew thread 110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alveolar bone by an external force and an osseointegrationauxiliary unit 120 form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toward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특히,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crew thread.

또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픽스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auxiliary part 120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이처럼, 픽스쳐를 통해 치조골과 임플란트의 결합이 가능하며, 픽스쳐에 형성된 골유착 보조부를 통해 조골 세포의 골유착을 유도하는 면적이 넓어져 치조골과 픽스쳐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alveolar bone and the implant through the fixture, and the area inducing the osseointegration of the osteoblast cells is widened through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formed in the fixtur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

그리고, 골유착을 보조 및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골유착 보조부가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픽스쳐가 유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회전하여 결합이 해제되어 이탈이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provided to assist and induce osseointegration is form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screw thread, so that the fixture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in the adhered state, and the coupling is released, thereby preventing the separation from progressing. .

또한, 골유착 보조부가 픽스쳐의 길이방향 및 임플란트의 식립 방향과 엇갈리게 형성되어 상기 픽스쳐가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수직방향의 외력을 받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is formed to cros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and the direction of implant placement, the fixture can provide an effect that prevents it from easily falling out even when subjected to an external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as well as a horizontal direction.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 2 , 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단면이 적어도 한 구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2, the osseointegrationauxiliary part 12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bent surface 121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is bent in at least one section.

여기서, 상기 절곡면(121)은, 상기 골유착 보조부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된다.Here, thebent surface 121 is formed in plurality on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특히, 상기 절곡면(121)은,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bent surface 121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id.

그리고,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122);을 더 포함한다.Further, the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120 includes aconnection surface 122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s to connect the bent surfaces.

이처럼, 골유착 보조부에 형성되는 절곡면을 통해 조골 세포의 골유착 면적을 넓힘으로써 한층 더 향상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such,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further improved bonding force by expanding the osseointegration area of the osteoblasts through the bent surface formed i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그리고, 복수 개로 구비되는 절곡면을 통해 골유착 보조부가 픽스쳐의 내측을 향해 형성되어 골유착이 진행되는 표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어 치조골과 픽스쳐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is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xture through a plurality of bent surfaces provided to expand the surface area on which osseointegration progresses,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fixture.

또한, 골유착 보조부 상의 절곡면이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는 구조를 통해 절곡면 사이에 골유착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동물의 수평 저작 운동에 의해 픽스쳐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sseointegr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bent surfaces through a structure in which the bending surfaces 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face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thereby preventing the fixture from being separated by the horizontal mastication movement of the animal. It provide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그리고,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면을 통해 절곡면 간의 소정 거리를 확보함으로써 골유착 공간 및 표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by securing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bent surfaces through the connection surface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s, an effect capable of expanding the osseointegration space and surface area is provided.

다음으로, 도 3, 4 및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Next, referring to FIGS. 3, 4 and 5, an animal implant assembly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은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 sec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또한,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Furth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그리고, 도 5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또 다른 추가 실시예에 따른 단면을 도식화한 단면도이다.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ross-section according to another additional embodimen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 3,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스쳐(100)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ures 3, 4 and 5, thefixtur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rmore protrusions 130 formed on the osseointegration aid.

여기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단면이 적어도 한 구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121) 및 상기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122)을 더 포함한다.Here, the osseointegrationauxiliary unit 120 is provided between a bendingsurface 121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is bent in at least one section and the connection surface provided to connect the bending surface ( 122) is further included.

특히, 상기 돌기부(130)는, 상기 절곡면 및 연결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theprotrusion 13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selected from the be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또한, 상기 돌기부(130)는, 상기 절곡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돌기부(131) 및 상기 연결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돌기부(132)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protrusion 130 includes afirst protrusion 131 formed on the bent surface and asecond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이처럼, 돌기부 상에 골유착이 진행됨으로써 조골 세포의 골유착 면적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동물의 수평 저작 운동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방향 외력에 의한 픽스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this way, as the osseointegration proceeds on the protrusion, as well as widening the osseointegration area of the osteoblasts, it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fixture from being displaced due to a horizontal external force generated by the animal's horizontal masticatory motion.

그리고, 돌기부의 형성 위치를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하여 임플란트 착용 대상 동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설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appl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protrus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imal to be worn with the implant.

또한, 절곡면과 연결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 1 및 2 돌기부를 통해 골유착이 진행되는 표면적을 넓혀 픽스쳐와 치조골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xture and the alveolar bone by expanding the surface area where osseointegration progre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respectively formed on the bent surface and the connecting surfa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or equivalent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embodiment is 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claims.

C : 크라운
A : 어버트먼트
100 : 픽스쳐
110 : 나사산
120 : 골유착 보조부
121 : 절곡면
122 : 연결면
130 : 돌기부
131 : 제 1 돌기부
132 : 제 2 돌기부
C: crown
A: Abutment
100: fixture
110: thread
120: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121: bending surface
122: connection surface
130: protrusion
131: first protrusion
132: second protrusion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크라운 및 어버트먼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에 있어서,
치조골에 체결되도록 구비되는 픽스쳐(100);를 포함하며,
상기 픽스쳐(100)는,
외력에 의해 치조골과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나사산(110); 및
상기 픽스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픽스쳐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향해 소정의 깊이를 형성하는 골유착 보조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In implants including crowns and abutments,
A fixture 100 provided to be fastened to the alveolar bone; includes,
The fixture 100,
A screw thread 110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alveolar bone by an external force; and
An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120 forming a predetermined depth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fixture toward a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animal implant assembly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단면이 적어도 한 구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1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120,
Animal implant assembly comprising a; bent surface 121 formed such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is bent in at least one s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121)은,
상기 골유착 보조부 상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bending surface 121,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pieces on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면(121)은,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길이방향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3,
The bending surface 121,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face each other around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i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2,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120,
The animal implant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surface 122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s to connect the bent surfac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쳐(100)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fixture 100,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r more protrusions 130 formed on the osseointegration assisting par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골유착 보조부의 단면이 적어도 한 구간에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121); 및
상기 절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절곡면을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연결면(1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130)는,
상기 절곡면 및 연결면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6,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120,
a bending surface 121 formed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part is bent in at least one section; and
It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surface 122 provided between the bent surfaces to connect the bent surfaces,
The protrusion 130,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t least one or more positions selected from the bent surface and the connection surfac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30)는,
상기 절곡면 상에 형성되는 제 1 돌기부(131); 및
상기 연결면 상에 형성되는 제 2 돌기부(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7,
The protrusion 130,
a first protrusion 131 formed on the bent surface; and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rotrusion (132)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나사산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120,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direction transverse to the screw threa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유착 보조부(120)는,
상기 픽스쳐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용 임플란트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osseointegration auxiliary unit 120,
Animal implant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ture.
KR1020210178101A2021-12-132021-12-13Assembly for animal implantsAbandonedKR202300894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178101AKR20230089463A (en)2021-12-132021-12-13Assembly for animal impl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178101AKR20230089463A (en)2021-12-132021-12-13Assembly for animal impl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30089463Atrue KR20230089463A (en)2023-06-20

Family

ID=86994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178101AAbandonedKR20230089463A (en)2021-12-132021-12-13Assembly for animal implants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3008946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00086335A (en)2009-01-222010-07-30(주)수민합금Implant fixture for dentist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00086335A (en)2009-01-222010-07-30(주)수민합금Implant fixture for dentist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8485820B1 (en)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ne growth
US20090191508A1 (en)Mini implant
JP2015504315A (en) An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re crown manufactured at multiple angles and performing a healing abutment function when a cap is attached, and an implant prosthesis manufacturing method and an implant operation method using the abutment
AU2002236309B2 (en)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101291754B1 (en)Implant parallel procedure device and method
Jain et al.Attachment-retained unilateral distal extension (Kennedy's class II modification I) cast partial denture
AU2002236309A1 (en)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Safarov et al.Permanent prosthetics on dental implants
JP6649555B2 (en) Integrated implant
KR20160033019A (en)Dental Implant assembly
KR20140118136A (en)Titanium multipl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RU2098040C1 (en)Cast pin-type insert for insertion into tooth stump
KR20230089463A (en)Assembly for animal implants
KR20150086699A (en)Multiple Abutment
KR20220084854A (en)Dental crown prosthesis for implants with improved processing structure
KR101928738B1 (en)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KR101205904B1 (en)Tube lock attachment for dental department
KR20210080199A (en)Bone-bonded artificial tooth structure
KR20160095260A (en)Dental implant having enhanced adaptation
KR101276539B1 (en)Implant
EP3838214B1 (en)A cad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superstructure for a customized dental prosthesis and providing the same.
KR20250088926A (en)Abutment for dental
KR20210066248A (en)Dental implant assembly
KR20180132592A (en)Protective instrument for stability of individualized tooth replicated implant
TR202011006A2 (en) IMPROVEMENTS ON IMPLANTED DENTAL PROSTHESIS PART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1213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31130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C1902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