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사용자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 방법이 저장된 사용자 단말 및 사용자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바타를 활용한 대화형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terminal in which a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is stored and a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to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ing interactiv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using an avatar.
종래 인지행동 치료방법은 특별한 컨텐츠의 구분없이 전문 상담인력을 통하여 대면 진료에 의해 치료방법이 제공되었다. 전문상담인력에 의하여 대면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실시간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전문상담인력에 의하여 대면 치료가 이루어지는 경우 별도로 예약을 해야 하고, 사용자가 청소년인 경우 교육기관이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할 수 없어서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돌발행동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In the conventional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method, the treatment method was provided by face-to-face treatment through professional counselors without distinction of special contents. When face-to-face treatment is performed by professional counselor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emotional state cannot be grasped in real time. In addition, when face-to-face treatment is performed by professional counselors, a separate reservation is required, and when the user is a teenager, the educational institution cannot grasp the user's emotional state,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ser's sudden action cannot be substantially prevent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바타(Avartar)와 사용자의 대화를 통해서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는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that can determine a user's emotion through a user's conversation with an avatar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교육기관 및 전문 상담사와 실시간 공유하고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인지 여부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는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that can share the user's emotional state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in real time and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tate in real time.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가 저장된 사용자 단말은 아바타가 사용자에게 일상적인 대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의 대화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답변을 입력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사용된 단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단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감정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우울증 또는 불안증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인지행동치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행동치료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문 상담인력을 연결해주는 것을 포함한다.A user terminal stor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 avatar attempting a daily conversation with a user; inputting an answer by a user in response to the dialogue of the avatar; analyzing words used in the user's answer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Determining the user's emotional state from the words used by the user; and providing prese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user is in a state of depression or anxiety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emotional state; including, Behavioral therapy content includes connecting a professional counselor to the user.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교육기관 및 전문 상담사에게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provide the emotional state information of the user to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아바타가 상기 사용자에게 자유 대화 형식의 대화를 시도하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는 단어의 의미를 분석하고,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vatar attempts a conversation in the form of a free conversation with the user, the processor may analyze the meaning of a word input by the user and determine the emotional state of the user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미리 저장된 질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제출된 답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판단하되, 상기 질문지는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provides a pre-stored questionnaire to the user and determines the emotional state of the user based on an answer submitted by the user, wherein the questionnaire is a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ca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아바타가 사용자에게 일상적인 대화를 시도하는 단계; 상기 아바타의 대화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 답변을 입력하는 단계; 프로세서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사용된 단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단어로부터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감정상태를 판단한 결과 상기 사용자가 우울증 또는 불안증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미리 설정된 인지행동치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지행동치료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에게 전문 상담인력을 연결해주는 것을 포함한다.A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an avatar attempting a daily conversation with a user by means of a user terminal; In response to the dialogue of the avatar, the user inputs an answer to the user terminal; analyzing, by a processor, words used in the user's answer according to preset criteria; determining, by the processor, the emotional state of the user from words used by the user; and providing preset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when the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user is in a state of depression or anxiety as a result of determining the emotional state; Including, but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includes connecting a professional counselor to the user.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아바타(Avartar)와 사용자의 대화를 통해서 사용자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는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존재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ontents capable of determining a user's emotion through a user's conversation with an avatar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교육기관 및 전문 상담사와 실시간 공유하고 사용자가 위험한 상태인지 여부를 실시간 판단할 수 있는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효과가 존재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gnitive-behavioral therapy content capable of sharing the user's emotional state wit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 counselors in real time and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s in a dangerous state in real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빅데이터화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주체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전문 상담사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질문지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subjects performing a process of transforming a user's emotional state into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vision of a user's emotional state to a professional counselor 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questionnaire us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ber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or overlapping content between the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s omitted. The term 'unit, module, member, o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as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units, modules, members, or block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that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includes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being connect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when a certain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explain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도 1을 참조하면,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200), 전문 상담사(300) 및 교육기관(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사용자 단말(100)은 아바타(Avartar)를 표시하고, 사용자(200)에게 대화 컨텐츠를 제공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200)와 실시간 소통을 하면서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전문 상담사(300) 및 교육기관(400)에 제공할 수 있다.The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하거나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끼리 통신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사용자(2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제공되는 대화형 컨텐츠에 대응하여 대화를 입력한다. 여기서 사용자(200)는 청소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전문 상담사(300)는 실시간으로 사용자(200)의 감정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200)가 고위험 상태에 놓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200)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문 상담사(300)는 정신과 의사 또는 상담교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교육기관(400)는 사용자(200)가 청소년인 경우 사용자(200)의 감정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200)에게 적절한 처분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교육기관(400)은 교육청 또는 학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When th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 및 프로세서(103)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인지행동 데이터 베이스(101)는 사용자의 인지행동과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사용자의 인지행동 데이터를 빅 데이터화 할 수 있다. 또한, 인지행동 데이터 베이스(101)는 미리 설정된 복수의 인지행동 장애 유형에 기초하여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The cognitive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사용자(200)의 인지행동 장애를 친구를 사귀기 어려운 경우, 기존의 친구와 관계를 회복하기 어려운 경우, 또래 친구에게 질투를 느끼는 경우, 또래 친구가 학교 폭력을 당하는 경우, 또래 친구에게 사용자(200)가 학교 폭력을 당하는 경우, SNS(Social Network Service)상에서 욕설을 들어서 힘든 경우, 사이버 채팅에서 협박을 당하는 경우, 스마트폰 중독 현상이 있는 경우, 자신감이 부족한 경우, 이성친구와 문제가 있는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지행동 데이터 베이스(101)는 40개의 인지행동 장애유형을 분류하고, 분류된 장애유형을 각각 하나의 주제(Topic)으로 하여 사용자(200)에게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인지행동 장애 유형에 대응하는 치료 컨텐츠를 저장한다. 또한,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사용자(200)의 인지행동 장애유형에 따른 컨텐츠를 학습하고 빅데이터화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200)가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사용자(200)에게 자신감에 관한 주제로 대화를 제공하는 경우,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는 자신감에 관한 치료 컨텐츠를 사용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된 치료 컨텐츠의 갯수는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된 장애유형의 갯수와 일치하거나 더 많을 수 있다.The cognitive-behavioral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감정 상태를 판단하고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 미리 저장된 유형과 사용자의 감정 상태를 매칭하고,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102)에 미리 저장된 치료 컨텐츠를 사용자(200)에게 제공할 수 있게 사용자 단말(100)의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200)의 상태가 이성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03)는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이성문제를 주제로 하는 대화를 하도록 할 수 있다.The
예를 들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에게 "이성친구 때문에 어떤 감정이 들었어?"라는 질문을 제공하고, 사용자(200)가 "잘 모르겠어."라고 답변한 경우, 사용자(200)에게 우울함, 무기력, 슬픔, 짜증, 실망, 서운함, 원망, 역겨움, 죄책감 또는 수치심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감정을 선택하도록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03)가 다른 치료 컨텐츠를 더 제안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the
또한,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감정상태가 파악되면 인지 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미리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200)에게 제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200)의 감정상태가 우울 또는 불안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에게 우울 또는 불안의 정도를 점수화 할 것을 제안하게 할 수 있고, "나의 감정 살펴보기"라는 치료 컨텐츠를 사용자(200)에게 제안하게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프로세서(103)가 다른 치료 컨텐츠를 더 제안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또한,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전문 상담사(300) 또는 교육기관(40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빅데이터화 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주체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subjects performing a process of transforming a user's emotional state into bi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가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한 대화로부터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감정상태를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판단된 사용자(200)의 감정상태의 위험도를 분류하고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102)에 미리 저장된 치료 컨텐츠들과 사용자(200)의 상태를 매칭할 수 있다. 프로세서(103)는 계속하여 입력되는 사용자(200)의 대화내용을 판단하고 실시간으로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 사용자(200) 감정 상태를 저장함으로써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는 사용자(200)의 감정 상태를 빅데이터화 할 수 있다. 또한, 인지행도 데이터베이스(101)에 저장되는 사용자(200)의 감정상태가 빅데이터화 됨에 따라 사용자(200)의 감정상태에 대응되는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도 빅데이터화 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화 된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는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02)에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또한,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전문 상담사(300) 및 교육기관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이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200)는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에 가입하고 아바타를 생성한다(S1001).Referring to FIG. 4 , a
아바타가 생성되면 사용자(20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화를 입력한다(S1002). 여기서 사용자(200)는 아바타의 대화 제안에 응답하여 대화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아바타의 대화 제안은 미리 저장된 유형의 대화일 수 있고, 사용자(200)에게 자유 대화를 유도하는 방법의 대화 제안일 수 있다.When the avatar is created, the
예를 들면, 아바타가 "지금 혹시 생각나는 것이 있으면 하나만 말해줄래?"라고 대화를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200)는 자유로운 사용자(200)의 생각을 사용자 단말(100)에 입력할 수 있고,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자유대화로부터 사용자(200)의 감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vatar attempts a conversation saying "If there is something on your mind right now, can you tell me one thing?" 103) can determine the emotional state of the
사용자(200)가 대화를 입력하면, 프로세서(103)는 대화의 주제(Topic)을 판단한다(S1003). 여기서, 대화의 주제는 미리 저장된 40개의 유형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200)의 상태가 이성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03)는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101)에서 이성문제를 주제로 하는 대화를 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프로세서(103)가 대화의 주제를 판단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감정을 판단한다(S1004).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가 입력한 단어의 의미를 분석하는 방법에 의해서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가 직접 선택한 감정 상태에 기초하여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사용자(200)의 감정상태가 판단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에게 답변 및 치료 컨텐츠를 제공한다(S1005). 여기서, 치료 컨텐츠는 미리 저장된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치료 컨텐츠는 전문 상담가(300)와 연계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200)의 감정상태가 고위험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문 상담가(300)와 대면 진료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emotional state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전문 상담사에게 제공하는 것을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provision of a user's emotional state to a professional counselor 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의 감정을 판단한다(S2001). 여기서, 감정은 우울함, 무기력, 슬픔, 짜증, 실망, 서운함, 원망, 역겨움, 죄책감 또는 수치심 중 하나일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사용자(200)의 감정 상태가 판단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가 고위험 상태인지 판단한다(S2002). 사용자(200)가 고위험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전문 상담사(300)에게 사용자(200)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003). 여기서, 제공되는 정보는 사용자(200)의 감정상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200)가 고위험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프로세서(103)는 계속하여 사용자(200)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도록 사용자(200)와 대화를 시도할 수 있다.When the emotional state of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제공방법에서 사용되는 질문지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 questionnaire used in the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03)는 사용자(200)에게 미리 저장된 질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200)가 제출한 질문지에 기초하여 사용자(200)의 감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저장된 질문지는 PHQ-9(Patient Health Questionnaire-9)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6 , the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s,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create program modules to perform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type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instructions that can be decoded by a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magnetic tape, magnetic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0 : 사용자 단말
101 : 인지행동 데이터베이스
102 : 인지행동 치료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03 : 프로세서
200 : 사용자
300 : 전문 상담사
400 : 교육기관100: user terminal
101: Cognitive Behavioral Database
102: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Database
103: processor
200: user
300: professional counselor
400: educational institution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69098AKR20230081230A (en) | 2021-11-30 | 2021-11-30 | User terminal storing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169098AKR20230081230A (en) | 2021-11-30 | 2021-11-30 | User terminal storing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81230Atrue KR20230081230A (en) | 2023-06-0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10169098AAbandonedKR20230081230A (en) | 2021-11-30 | 2021-11-30 | User terminal storing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30081230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51973B1 (en)* | 2023-10-20 | 2025-01-07 | 이영규 | Conversational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nd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751973B1 (en)* | 2023-10-20 | 2025-01-07 | 이영규 | Conversational interface providing apparatus and providing method of the sam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Vaidyam et al. | Chatbots and conversational agents in mental health: a review of the psychiatric landscape | |
| Bayer et al. | Facebook in context (s): Measuring emotional responses across time and space | |
| Easwara Moorthy et al. | Privacy concerns for use of voice activated personal assistant in the public space | |
| JP6625789B2 (en) | Automatic Proposal Response to Received Image in Message Using Language Model | |
| KR102274646B1 (en) | Method for providing cognitive reinforcement training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ementia and system thereof | |
| Baylor et al. | A qualitative study of interference with communicative participation across communication disorders in adults | |
| Schneider et al. | Is it really cheating? Understanding the emotional reactions and clinical treatment of spouses and partners affected by cybersex infidelity | |
| Richardson | Affective computing in the modern workplace | |
| Büttner et al. | Your phone ruins our lunch: Attitudes, norms, and valuing the interaction predict phone use and phubbing in dyadic social interactions | |
| Della Líbera et al. | Teenagers with visual impairment and new media: A world without barriers | |
| Lapierre et al. | Testing relationships between smartphone engagement, romantic partner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 |
| KR102644301B1 (en) | System for providing mentoring service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Yin et al. | smartphone usage, smartphone addiction, internet addiction and Nomophobia Inuniversity Malaysia Sabah (UMS) | |
| Paterson | The use of social media by adults with acquired conditions who use AAC: current gaps and considerations in research | |
| Higginbotham et al. | The effect of context priming and task type on augmentative communication performance | |
| Furey et al. | Alexa, emotions, privacy and GDPR | |
| Minato et al. | Design of a competition specifically for spoken dialogue with a humanoid robot | |
| Collett | The hustle: How struggling to access elites for qualitative interviews alters research and the researcher | |
| Kim | User experience of assistive apps among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 |
| KR20230081230A (en) | User terminal storing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us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ontent providing method | |
| Noble et al. | Seeking and attaining romantic relationships: Counseling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 |
| Ali et al. | Creative approaches to address online dating in counseling | |
| Malloch et al. | Advice padded with encouragement: A preliminary assessment of an extended integrated model of advice giving in supportive interactions | |
| KR20230163657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I-based startup item | |
| Gales et al. |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 and family status in retirement age on women’s incorporation of technical devices in their everyday lif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3-oth-PC1904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2-nap-PC1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