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30014100A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4100A
KR20230014100AKR1020230006898AKR20230006898AKR20230014100AKR 20230014100 AKR20230014100 AKR 20230014100AKR 1020230006898 AKR1020230006898 AKR 1020230006898AKR 20230006898 AKR20230006898 AKR 20230006898AKR 20230014100 AKR20230014100 AKR 20230014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housing
coupling
connector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68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권
김진모
강민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유비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74399Aexternal-prioritypatent/KR102496203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유비씨에스filedCritical주식회사유비씨에스
Publication of KR20230014100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30014100A/en
Withdrawn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을 다양한 전기 장치들에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과 결합되는 플러그(plug); 및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를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socket)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 슬리브사이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래치(latch)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connect electrical cables to various electrical devices.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coupled to the electric cable (plug); and a socke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nd coupled to the plu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device to the electric cable, wherein the plug is made of a hollow member and accommodates the electric cable. A housing configured to; and a coupling sleeve that surrounds the end of the housing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slidable, wherein the socket is made of a hollow member and is coupled to the socket and the plug. a body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sleeve; And a latch provided on the body and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selectively protruding inward or outward from the body in the radial direction to couple the body to the housing. A connector assembly can be provided.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단일조작으로 결합가능한 커넥터 어셈블리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Connector assembly that can be combined with a single operation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케이블을 상기 전기설비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connect an external cable to the electrical equipment.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기설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이 이용된다. 전기 케이블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설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해당 전기설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기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중에서, 통신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전기신호의 교환을 위해서도 전기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설비에서, 전기 케이블은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기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기 케이블은 통신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및 물리적 상태량,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며, 이들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 및 교환을 위해 전기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In general, electrical equipment is driven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n electric cable is us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electrical equipment. An electric cabl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facility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 facility. In this case, the electric cable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cable. In addition, among electrical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figured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n order to enable various types of two-way communication, and an electric cable can also be used for the exchange of such electrical signals. there is. In communication facilities, electric cables connect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to each other and function as a transmission medium for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over long distances. In this case, the electric cables may be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cables. That is, an electric cable is a medium that transmits various types of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electricity or electrical signals, and can be connected to electrical equipment to transfer and exchange these electrical properties.

이러한 전기 케이블을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커넥터가 여러 부품들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상기 전기 케이블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및 통신설비의 이동 및 다른 여러가지 요구되는 상황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로부터 전기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such an electric cable to an electric facility or communication facility, a dedicated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in the form of an assembly in which several parts are combined. In addition, this connector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disconnect an electric cable from the electrical or communication equipment to cope with the movement of the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various other required situations.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플러그 및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플러그 및 소켓은 선택적인 탈착을 위해 통상적인 체결메커니즘, 예를 들어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체결 메커니즘은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는 하나, 나사결합을 위해 체결부재를 다수회 회전시켜야 하므로, 플러그 및 소켓의 결합시 많은 작업 및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 케이블을 전기설비에 연결하는 경우,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g connected to an electric cable and a socket installed in an electrical facility and coupled with the plug. Also, in most cases, the plug and so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conventional fastening mechanism, for example, screw coupling, for selective detachment. However, although this conventional fastening mechanism provides a firm coupling, since the fastening member must be rotated many times for screw coupling, a lot of work and time are required when coupling the plug and the socket. Therefore, when an electric cable is connected to an electric facility using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작업으로 신속하게 전기 케이블을 전기장치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quickly couple an electric cable to an electric device with little wor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be effectively sealed.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과 결합되는 플러그(plug); 및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를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socket)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 슬리브사이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결합 슬리브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래치(latch)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coupled with an electric cable (plug); and a socke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nd coupled to the plu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device to the electric cable, wherein the plug is made of a hollow member and accommodates the electric cable. A housing configured to; and a coupling sleeve that surrounds the end of the housing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slidable, wherein the socket is made of a hollow member and is coupled to the socket and the plug. a body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sleeve; and is provided on the body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trude inward or outward from the body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oupling sleeve and the housing to couple the body to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latch (latch) to be.

또한,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은 이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plug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configured to engage the latch.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래치는: 상기 소켓의 몸체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슬리브를 후퇴시키면서 상기 결합홈에 접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도달하면,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슬리브를 전진시키면서 상기 결합홈내에 삽입 및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atch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the body of the socket is inserted and approach the coupling groove while retracting the coupling sleeve, and when reaching the coupling groove, radially inward. I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to and be inserted into and constrained in the coupling groove while advancing the coupling sleeve.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에 씌워지는 캡(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ap covered with the socke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ocke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래치를 갖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결합되는 동안 소켓의 래치는 이의 주변에 배치되는 플러그의 부재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면서 플러그에 형성된 결합홈을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고 이 내부에 삽입 및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래치의 구성과 주변 부재들의 최적의 배치로 인해, 플러그와의 결합되는 동안의 소켓의 상대적 이동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를 소켓에 밀어붙이는 단일의 동작만으로도 래치에 의해 소켓과 플러그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과정을 거쳐,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잡아당기는 단일의 동작만으로도 소켓과 플러그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cket having a latch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and a plug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ocket. While the plug and the so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latch of the socket protrudes radially or protrud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electively by the members of the plug disposed around it to expose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plug to be accessible and Can be inserted and restrained. This series of operations can be performed only by relative movement of the socket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plug,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atch and the optimal arrangement of peripheral members. Accordingly, the socket and the plug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latch with only a single operation of pushing the plug into the socket. In addition, through the reverse process, the socket and the plug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single operation of pulling the plug from the socket.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소켓 및 플러그는 적은 작업으로 신속하게 전기 케이블을 전기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ket and plug can quickly couple the electric cable to the electric device with little work, and thus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케이블, 즉 플러그와 결합되지 않을 때 소켓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캡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효과적으로 폐쇄하도록 최적화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의 완전한 밀폐를 위해 다양한 개스킷들로 구성된 내부 밀폐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 configured to close the socket when not engaged with the electrical cable, ie the plug. Such a cap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optimized to effectively close the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ternal sealing mechanism composed of various gaskets for complete sealing of the socket.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소켓은 완전하게 폐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소켓내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소켓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전기장치 자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외부 이물질에 의한 감전, 합선 및 부품의 고장등과 같은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 뿐만 아니라 이에 연결된 전기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ket is completely clos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ocket. In addition, foreign mat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entering the electric device itself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socket. For this reas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electric shock, short circuit, and component failure caused by external foreign substances, and accordingly,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not only the connector assembly but also the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hereto can be greatly improved. ca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andable to you.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플러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과정들을 나타내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서로 결합된 소켓 및 플러그를 보여주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소켓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캡이 소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 소켓 및 캡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에 포함된 다양한 밀폐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3 is a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assembly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coupling processes between a socket and a plu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the socket and plug mated together.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p of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ocket.
9 is a partial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ap is coupled to a socket.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ocket and cap fully engaged with each other;
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various sealing structures included in a socket of a connector assembly.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Examples of connector assemblies for electrical c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se examples,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xampl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alternative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some features from combinations of rel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and parts described using the above-mentioned terms, unless departing from the intended technical purpose and eff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However,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combinations in which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etc. are omitted are also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플러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기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이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 3 is a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Finally,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assembly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on of an electric cable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는 매체인 전기 케이블(C)을 소정의 전기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200)에 관한 것이다.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기 케이블(C)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기 케이블(C)은 상기 전기장치, 즉 통신장치와 다른 이격된 통신장치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기 신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전원 또는 통신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C)을 의도된 전기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200)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설명된 커넥터 어셈블리(100,200)의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에 대한 실질적인 변형없이 전기 및 전기신호이외에 다른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의 연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connector assemblies 100 and 200 configured to connect an electric cable C, which is a medium that transmits various types of electrical properties, to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s mentioned in the prior art, these electric cables (C) may be power cable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device, respectively,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electric device.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cable (C) can be a communication cable that enables the exchange of electric signals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electric device, that is, the communication device and other remote communication devices. In the following,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connector assemblies 100 and 200 configured to connect an electric cable C made of such a power or communication cable to an intended electric device, but examples of the describedconnector assemblies 100 and 200 are those It can be applied as it is to the connection of cables configured to transmit other electrical state quantities in addition to electricity and electrical signals without substantial modification to the principle and configuration of .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plug)(100)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socket)(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C)과 일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소켓(200)은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소켓(200)이 결합되면, 이러한 물리적 결합에 의해 전기적 결합 또는 연결이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된 플러그(100) 및 소켓(200), 즉 연결 또는 조립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전기장치는 전기 케이블(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적 에너지 또는 상태량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0) 및 소켓(200)의 결합시, 플러그(100)의 전방부, 즉, 소켓(200)을 마주하는 플러그(100)의 끝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소켓(200)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견고한 결합을 위해, 소켓(200)의 전방부, 즉 플러그(100)를 마주하는 소켓(200)의 끝단부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플러그(100)내에 삽입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a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plug 100 and asocket 200 coupled thereto. As shown, theplug 100 may be primarily coupled with the electric cable (C). Thesocket 200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electrical device and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al device. Accordingly, wh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electrical coupling or connection is achieved by such physical coupling. Therefore, the electrical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al cable C by the combinedplug 100 and thesocket 200, that is, the connected or assembled connector assembly, and supplies various electrical energy or state quantities including electricity or electrical signals. can receive More specifically, as described in detail later, wh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the front portion of theplug 100, that is, the end of theplug 100 facing thesocket 200 is It can be at least partially inserted into thesocket 200, and also, for secure coupling, the front part of thesocket 200, that is, the end of thesocket 200 facing theplug 100 is also at least partially connected to the plug 100. ) can be inserted into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의 설명에서, "전방"은 결합될 대상장치(즉, 플러그(100)에 대해서는 소켓(200), 소켓(200)에 대해서는 플러그(10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즉, 상대적 근접 및 이격)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itself and its components that follow, "front" refers to a relatively close proximity to the target device to be coupled (i.e.,socket 200 to plug 100, plug 100 to socket 200). location, and “rear” means a location relatively far from such a target device. However, this definition is relative to the reference position (ie, relative proximity and distance), and may chang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reference position, and the defini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its components may also change.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 즉 플러그(100) 및 소켓(200)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중공 실린더 구조 또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is configured to enclose the whole while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to be coupled for stable connection. Accordingly,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ll of the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in the following may consist of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or member. In addition, in order to maintain sufficient strength, all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unless otherwise specified. Furthermore, all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in the illustrated examples have circular cross-sections, but may also have other shapes, such as triangular or square cross-sections.

더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메인 구성요소, 즉 플러그(100) 및 소켓(200)은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지므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100,200)에 제공되는 모든 추가적인 부재 및 구조는 이들(100,200)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거나, 커넥터 어셈블리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 또는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have a hollow cylindrical structure, unless otherwise stated, thesecomponents 100 and 200 are provided. All additional members and structures that are provided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or inner periphery of these 100, 200, or may extend or be formed entire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or inner periphery for more stable coupling of the connector assembly.

이러한 전제하에서,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플러그(100)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내부공간에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C)도 상기 내부부품들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후술되는 다양한 내부부품들(130,140)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110)은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하우징(110a,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a)은 플러그(100), 정확하게는 하우징(110)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2 하우징(110b)은 상대적으로 하우징(11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및 제 2 하우징(110a,110b)는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에는 밀폐를 위해 탄성 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Under this premise, to describe the connector assembly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and 2 , first, theplug 100 may include ahousing 110 made of a hollow member. Thehousing 110 can accommodate various components in its internal space, and for example, an electric cable C can also be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housing 110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f the variousinternal parts 130 and 140 described later, thehousing 110 may include two first andsecond housings 110a and 110b coupled to each other. Thefirst housing 110a may form a front portion of theplug 100, more precisely, thehousing 110, and thesecond housing 110b may form a relatively rear portion of thehousing 110. For example, the first andsecond housings 110a and 110b may be fastened to each other by screwing, and an elastic ring member may be disposed at the fastening part for sealing.

제 1 하우징(11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소켓(200)과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a)은 후술되는 결합 슬리브(120)의 설치를 위한 다양한 구조들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제 1 하우징(110a)의 결합 및 설치구조가 설명되며, 제 1 하우징(110a)이 하우징(110)의 일부이므로 결합 및 설치구조의 특징들은 하우징(110) 자체의 특징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first housing 110a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socket 200, and thus may include various structures for coupling with thesocket 200. Also, thefirst housing 110a may include various structures for installing thecoupling sleeve 120 described later. In the following, the coupling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first housing 110a will be described, and since thefirst housing 110a is a part of thehousing 110,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upling and installation structure will also be describ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housing 110 itself. can

먼저, 제 1 하우징(110a)은 이의 몸체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1)은 후술되는 소켓(200)의 래치(220)가 이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세부적인 기능은 상기 래치(2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결합홈(111)은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로부터 소정거리로 뒤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111)의 위치는 소켓(200)의 크기 및 상기 소켓(200)내의 래치(220)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a)는 도 7을 참조하면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하우징(110a)이 소켓(200)내에 삽입될 때,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는 몸체(210)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210)에 배치된 래치(220)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또한, 래치(2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First, thefirst housing 110a may include acoupling groove 111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thereof. Thecoupling groove 11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latch 220 of thesocket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and caught therein, and its detailed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latch 220. Thecoupling groove 111 may be spac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ront end of thefirst housing 110a. The position of thecoupling groove 111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socket 200 and the position of thelatch 220 within thesocket 200 . Also, referring to FIG. 7 , thefirst housing 110a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socket 200, more precisely, thebody 210 thereof. Therefore, when thefirst housing 110a is inserted into thesocket 200,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comes into contact with or comes very clos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body 210, and thus thebody 210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It may be configured to press thelatch 220 radially outward. This function is also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spect to latch 220 .

또한, 제 1 하우징(110a)은 결합홈(111)의 후방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의 몸체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부(112)는 소켓(200)의 전방 끝단부에 걸리며, 이에 따라 플러그(100)내로의 소켓(20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a)은 결합홈(111) 및 스텝부(112)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키부재(key member)(113)를 포함할 수 있다. 키 부재(113)은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키 홈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키 부재(113)는 후술되는 결합 슬리브(120)가 제 1 하우징(110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 슬리브(120)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이의 세부적인 기능은 상기 결합 슬리브(1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더 나아가, 키 부재(113)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플랜지(114)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14)는 제 1 하우징(110a)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동시에 이의 원주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114)는 후술되는 탄성부재(124)와 함께 결합 슬리브(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이의 세부적인 기능은 상기 결합 슬리브(1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In addition, thefirst housing 110a may include astep portion 112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coupling groove 11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body thereof. Thestep portion 112 is caught on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and thus can function as a stopper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socket 200 into theplug 100. In addition, thefirst housing 110a may include akey member 113 disposed rearwardly spaced apart from thecoupling groove 111 and thestep portion 11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key member 113 extend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and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key groove extending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s well. Thekey member 113 is configured to be caught on thecoupling sleeve 120 so that thecoupling sleeve 120 described later is not separated from thefirst housing 110a, and its detailed function is related to thecoupling sleeve 120. This will be explained in detail later. Furthermore, aflange 114 may be disposed rearward from thekey member 11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flange 114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first housing 110a and may als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reof. Theflange 114 is configured to elastically support thecoupling sleeve 120 together with theelastic member 124 described later, and its detailed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coupling sleeve 120.

또한, 플러그(100)는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중공 부재, 정확하게는 슬리브(sleeve)로 이루어지는 결합 슬리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슬리브(120)는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슬리브(120)의 구성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와 제 1 하우징(110a)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가 소켓(200)과 결합될 때,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가 상기 소켓(220)내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소켓(220)은 제 1 하우징(110a)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에 삽입되며, 결합 슬리브(120)는 상기 소켓(220)을 구속하여 플러그(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plug 100 may include acoupling sleeve 120 made of a hollow member, precisely a sleeve, like the housing. Thecoupling sleeve 12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front end of thehousing 110, that is, thefirst housing 110a,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coupling sleeve 120, a predetermined space S may be formed between thecoupling sleeve 120 and thefirst housing 110a. Therefore, when theplug 100 is coupled with thesocket 200, while the front end of thehousing 110, that is, thefirst housing 110a is inserted into thesocket 220, thesocket 220 is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between thehousing 110a and thecoupling sleeve 120, and thecoupling sleeve 120 binds thesocket 220 and couples it to theplug 100.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슬리브(120)는 실린더 형상의 중공부재인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슬리브(120)는 몸체(121)의 전방 끝단부에 배치되는 림(rim)(122)를 포함할 수 있다. 림(122)은 소켓(200)의 외경 및 몸체(12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림(122)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확장된 입구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소켓(200)이 공간(S)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반면, 몸체(121)의 내경은 소켓(200)의 외경에 상당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이 공간(S)내에 삽입될 때, 상기 몸체(121)의 내주부는 상기 소켓(200)의 몸체(210)의 외주부에 접촉하거나 상당히 인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켓(200)의 몸체(210)에 설치된 래치(220)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21)의 기능은 래치(220)와 관련하여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몸체(121)와 림(122)사이에는 스텝부(123)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123)는 앞서 설명된 몸체(121) 및 림(122)의 내경들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슬리브(120)의 내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텝부(123)는 후술되는 소켓(200)의 래치(220)가 걸리도록 구성되며, 이의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래치(220)가 스텝부(123)에 원활하게 걸리고 이후 이로부터 분리되게 하기 위해, 상기 스텝부(123)는 결합 슬리브(120)의 내주부에서 경사지게 배향될 수 있다. 즉, 스텝부(123)는 래치(220)가 걸리는 경사진 표면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진 표면은 결합 슬리브(120)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coupling sleeve 120 may include abody 121 that is a cylindrical hollow member. In addition, thecoupling sleeve 120 may include arim 122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body 121 . Therim 122 may have an inn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socket 200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body 121 . Accordingly, thecoupling sleeve 120 has an expanded inlet by therim 122, and thus thesocket 20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space S. On the other hand, the inner diameter of thebody 121 may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socket 200 . Therefore, when thesocket 200, more precisely, its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121 contacts or is substantially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Accordingly, thelatch 220 installed on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may be pressed radially inward. The function of thisbody 12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spect to thelatch 220 . In addition, astep portion 123 may be provided between thebody 121 and therim 122 . Thestep portion 123 may be relatively formed due to the difference in inner diameters of thebody 121 and therim 122 described above, and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coupling sleeve 120. Thestep unit 123 is configured to engage thelatch 220 of thesocket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its fun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In order for thelatch 220 to be smoothly hooked onto and then separated from thestep portion 123, thestep portion 123 may be inclined at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coupling sleeve 120. That is, thestep portion 123 has an inclined surface on which thelatch 220 is engaged, and this inclined surface may form an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r a par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oupling sleeve 120 .

또한, 결합 슬리브(120)는 하우징(110), 정확하게는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운동을 위해, 결합 슬리브(120)는 이의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플랜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24)는 결합 슬리브(120)의 후방 끝단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제 1 하우징(110a)의 키부재(113)와 플랜지(114)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24)가 키부재(113)에 걸리므로, 결합 슬리브(120)는 상기 키부재(113)에 의해 이의 전방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플랜지(124)가 플랜지(114)에 걸리므로, 결합 슬리브(120)의 후방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즉, 결합 슬리브(120)는 실질적으로 키부재(113)과 플랜지(114)사이의 거리로 이의 전 후방 방향, 즉 플러그(100)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20)의 플랜지(124)와 제 1 하우징(110a)의 플랜지(114) 사이에 는 탄성부재(125)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125)는 결합 슬리브(120)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하면서 결합 슬리브(120)에 전방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125)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키부재(113)의 위치까지 전방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결합 슬리브(120)는 하우징(110)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플러그(100)의 길이방향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적인 후퇴 및 전진, 즉 연속적인 이동 및 복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결합 슬리브(120)는 소켓(200)의 래치(220)가 결합홈(111)에 삽입되게 허용한후 상기 래치(220)를 상기 결합홈(111)내에 구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작동에 의해 플러그(100)와 소켓(200)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은 후술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thecoupling sleeve 120 may be configured to slide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housing 110, precisely thefirst housing 110a. For this sliding movement, thecoupling sleeve 120 may include aflange 124 extending radially inward from its inner periphery for a predetermined length. Theflange 124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of thecoupling sleeve 1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key member 113 and theflange 114 of thefirst housing 110a. Since theflange 124 is caught on thekey member 113, thecoupling sleeve 120 is limited in its forward movement by thekey member 113, and theflange 124 is caught on theflange 114, Movement of thecoupling sleeve 120 in the rearward direction is restricted. That is, the movement of thecoupling sleeve 12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at i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plug 100, may be substantially limit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key member 113 and theflange 114. In addition, anelastic member 125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flange 124 of thesleeve 120 and theflange 114 of thefirst housing 110a. Theelastic member 125 is compressed when thecoupling sleeve 120 moves backward by an external force, and can apply force to thecoupling sleeve 120 in a forward direction while recovering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After thecoupling sleeve 120 is moved backward by theelastic member 125, it can return to the position of thekey member 113 in the forward direction. Therefore, due to this configuration, thecoupling sleeve 12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housing 110 while continuously retreating and advanc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plug 100, that is, continuously moving and It can be configured to perform reversion. While performing this sliding movement, thecoupling sleeve 120 allows thelatch 220 of thesocket 200 to be inserted into thecoupling groove 111 and then constrains thelatch 220 in thecoupling groove 111. , It is possible to achieve coupling betwe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by such a series of operations. These processe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플러그(100)는 하우징(110)내에 배치되는 제 1 터미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미널(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C)와 결합되어 상기 전기 케이블(C)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터미널(130)은 제 1 인슐레이터(insulator)(131)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131)내에 수용되는 하나이상의 제 1 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31)은 전기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가 플러그(100)의 몸체, 즉 하우징(110)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슐레이터(131)는 이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관통공(133)을 포함하며, 제 1 핀(132)이 상기 관통공(133)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31)는 제 1 핀(132)를 감싸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핀(132)는 실제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므로, 제 1 관통공(133)과 제 1 핀(132)사이에 공차가 발생하면, 제 1 핀(132)과 제 1 인슐레이터(131)의 조립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131)는 서로 분리된 두개의 몸체들, 즉, 제 1 및 제 2 보조 인슐레이터들(131a,1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보조 인슐레이터(131a)는 제 1 인슐레이터(131)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2 보조 인슐레이터(131b)는 제 1 인슐레이터(13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제 1 인슐레이터(131)의 밀폐를 위해 제 1 및 제 2 보조 인슐레이터들(131a,131b)사이에는 개스킷(131c)이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plug 100 may include afirst terminal 130 disposed within thehousing 110 . As shown in FIG. 2 , thefirst terminal 130 may be combined with the electric cable C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electric cable C. More specifically, thefirst terminal 130 may include afirst insulator 131 and one or morefirst pins 132 accommodated in thefirst insulator 131 . Thefirst insulator 131 may be made of an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and accordingly, electricity from the electric cable C may be prevented from leaking into the body of theplug 100, that is, thehousing 110. In addition, thefirst insulator 131 includes a first throughhole 133 formed inside its body, and thefirst pin 132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133 . Thefirst insulator 131 may be formed of a single member surrounding thefirst pin 132 . However, since thefirst pin 132 has a substantially long length, if a tolerance occurs between the first throughhole 133 and thefirst pin 132, thefirst pin 132 and the first insulator 131 ) can be difficult to assembl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2 , thefirst insulator 131 may be formed of two separate bodies, that is, first and secondauxiliary insulators 131a and 131b. The firstauxiliary insulator 131a may form a front portion of thefirst insulator 131 , and the secondauxiliary insulator 131b may form a rear portion of thefirst insulator 131 . In addition, agasket 131c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auxiliary insulators 131a and 131b to seal the dividedfirst insulator 131 .

제 1 핀(132)은 대체적으로 솔리드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 또는 전기 신호를 소켓(200), 정확하게는 후술되는 이의 제 2 터미널(2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핀(132)는 제 1 인슐레이터(131), 정확하게는 이의 관통공(133)을 따라 플러그(100)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핀(132)의 후방 끝단은 전기 케이블(C)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핀(132)의 전방끝단은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제 2 터미널(230)과 결합되도록 제 1 인슐레이터(132)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Thefirst pin 132 may be made of a substantially solid member,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so as to transmit electricity or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electric cable C to thesocket 200, to be precise, itssecond terminal 230 described later. can be made with Thefirst pin 132 may exten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plug 100 along thefirst insulator 131, more precisely along the throughhole 133 thereof. In addition, the rear end of thefirst pin 132 can be coupled with the electric cable C, and the front end of thefirst pin 132 is coupled with thesocket 200, precisely itssecond terminal 230. It may protrude from the front end of thefirst insulator 132 to a predetermined length.

이와 같은 제 1 터미널(130)은 하우징(110)의 내주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130)의 외주부, 즉 제 1 인슐레이터(132)의 외주부에는 스텝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텝부가 하우징(110)의 내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130)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우징(1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130)는 이의 외주부와 하우징(110)의 내주부사이에 개재되는 금속재질의 링 부재(135), 예를 들어 C-링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 부재(135)는 제 1 터미널(13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하우징(1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 및 제 1 터미널(130)의 외주부, 즉 제 1 인슐레이터(132)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홈(134)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링부재(135)에 의해, 제 1 터미널(130)은 플러그(100)의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플러그(100)에 고정될 수 있다.Such afirst terminal 130 may be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housing 110 . In addition, as shown, a step par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terminal 130,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insulator 132, and the step part is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housing 110 so as to be attached to thehousing 110. can be stably supported. In addition, thefirst terminal 130 may be fastened to thehousing 110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As shown in FIG. 2, thefirst terminal 130 is formed by a metal ring member 135 interposed between its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housing 110, for example, a C-ring member to the housing ( 110) can be fastened. More specifically, the ring member 135 is a member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first terminal 130,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housing 110 a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terminal 130, that is, the first It may be inserted into the groove 13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insulator 132 . Therefore, by the ring member 135, thefirst terminal 130 can be stably fixed to theplug 100 without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or axial direction of theplug 100.

또한, 플러그(100)는 하우징(110), 정확하게는 제 2 하우징(110b)의 후단부에 끼워지는 부싱(140) 및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백 너트(back nut)(15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140)은 변형되면서 전기 케이블(C)를 붙잡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변형이 용이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싱(140)은 이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탄성 링 부재(141)를 포함하며, 상기 링 부재(141)와 제 2 하우징(110b)의 내주부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110b) 후방 끝단부내에 움직이지 않게 압입될 수 있다. 또한, 백 너트(150)의 후단부(151)는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백 너트(150)가 제 2 하우징(110b)의 후단부에 체결되면, 이의 후단부(151)에 의해 부싱(140)은 압축되면서, 전기 케이블(C)을 플러그(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다.In addition, theplug 100 includes ahousing 110, more precisely, abushing 140 fitted to the rear end of thesecond housing 110b and a back nut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housing 110b. (150) may be included. Thebushing 140 is configured to hold the electric cable C while being deformed, and thus may be made of an easily deformable elastic member. Thebushing 140 includes anelastic ring member 141 installed on its outer circumference, and the rear end of thesecond housing 110b is caused by friction between thering member 141 and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second housing 110b. It can be press-fitted immovably into the section. In addition, therear end 151 of theback nut 150 may have an inner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Therefore, when theback nut 150 is fastened to the rear end of thesecond housing 110b, thebushing 140 is compressed by therear end 151 and the electric cable C is not separated from theplug 100. You can hold onto it firmly.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200)은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켓(200)과 플러그(100)가 결합될 때,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정확하게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부는 몸체(210)내에 삽입되며, 동시에 상기 몸체(210)는 상기 제 1 하우징(110a)와 결합 슬리브(120)사이, 즉 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210)는 이의 외주부로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211)을 이용하여 소켓(200)은 전기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210)는 이의 전방 끝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홈(212)과 이에 결합되는 탄성 링 부재(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부재(213)는 소켓(200)과 플러그(100)가 결합될 때, 결합 슬리브(120), 정확하게는 이의 림(122)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이물질이 공간(S)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공간(S)를 폐쇄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socket 200 of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body 210 made of a hollow memb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socket 200 and theplug 100 are coupled,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precisely the front portion of thefirst housing 110a, is inserted into thebody 210, and at the same time the Thebody 210 may be inserted between thefirst housing 110a and thecoupling sleeve 120, that is, in the space S. In addition, thebody 210 may include abracket 211 extending radially from its outer periphery. Thesocket 200 may be fixed to the electric device using thebracket 211 . Thebody 210 may include agroove 212 formed adjacent to its front end and anelastic ring member 213 coupled thereto. As shown in FIG. 7, when thesocket 200 and theplug 100 are coupled, thering member 213 comes into contact with thecoupling sleeve 120, more precise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rim 122 thereof, and thus foreign matter The space (S) can be closed so as not to enter the space (S).

또한, 소켓(200)은 몸체(210)에 제공되며, 상기 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래치(latch)(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치(220)는 몸체(210)의 두께보다 큰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볼 부재인 래치(220)는 몸체(210)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래치(220)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거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210)는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외경에 상당하는 내경과 결합 슬리브(120)의 몸체(121)의 내경에 상당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몸체(210)이 공간(S)내에 삽입되면 몸체(210)의 내주부는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10)의 외주부는 상기 결합 슬리브(210)의 몸체(121)의 내주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들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삽입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10)의 내주부가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와 접촉 또는 인접하는 동안 래치(220)는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즉 몸체(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몸체(210)의 외주부가 결합 슬리브(210)의 몸체(121)의 내주부와 접촉 또는 인접하는 동안 상기 몸체(121)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되어 반경방향 안쪽으로, 즉 몸체(21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적 접촉 및 선택적 돌출에 의해 래치(220)는 결합홈(111)에 삽입되어 소켓(200)과 플러그(1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와 하우징(1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도 6 및 도 7에 기초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thesocket 200 is provided on thebody 210 and may include alatch 220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body 210 . In addition, thelatch 220 may have a greater thickness or height than the thickness of thebody 210, and as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latch 220, which is a ball member, has a diameter greater than the radial thickness of thebody 210. can With this configuration, thelatch 220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 or radially inward. As described above, thebody 210 may have an inn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diameter of thehousing 110, that is, thefirst housing 110a, and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body 121 of thecoupling sleeve 120, , Therefore, when the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may be connected to the coupling sleeve 210. ) may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121, and these contacts may selectively occur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sertion of thebody 210, as described in detail later. Accordingly, whil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is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thelatch 220 is pressed radially outward by thefirst housing 110a and radially outward, that is, It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body 210 . On the other hand, whil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is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121 of thecoupling sleeve 210, it is pressed radially inward by thebody 121 and is radially inward, that is, the body ( 210) may protrude into the interior. By such selective contact and selective protrusion, thelatch 220 is inserted into thecoupling groove 111 to couple thesocket 200 and theplug 100, precisely itsbody 210 and thehousing 110, , This series of process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based on FIGS. 6 and 7 .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200)은 이러한 래치(220)을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용구조로서, 소켓(200)은 도 3(a) 및 이의 부분 단면도에서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에 형성되는 관통공(221) 및 상기 관통공(221)내에 수용되는 리테이너(22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221)은 래치(220)의 반경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및 배향될 수 있다. 리테이너(222)는 래치(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래치(220)을 수용하는 관통공(222a)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의 관통공(221)과 마찬가지로, 리테이너(222)의 관통공(222a)도 래치(2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연장 및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222)는 몸체(210)의 외주부에 인접하는 이의 외부표면 또는 외주부에 제공되는 제 1 스토퍼(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222b)는 관통공(222a)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브(ri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통공(222a)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래치(220)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켓(200)은 몸체(210)의 내주부에서 관통공(221) 주위에 제공되는 제 2 스토퍼(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221a)는 관통공(2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통공(221)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래치(220)의 반경방향 안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공(221) 및 리테이너(222)에 의해, 래치(220)는 몸체(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기 관통공(221) 및 리테이너(222)내에서 수용되면서 안정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socket 200 may have a structure configured to stably accommodate thelatch 220 so as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As such an accommodation structure, thesocket 200, as well shown in FIG. 3 (a)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hereof, includes a throughhole 221 formed in thebody 210 and a retainer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221 ( 222) may be included. Throughhole 221 may extend and orient radially ofbody 210 to guide radial movement oflatch 220 . Theretainer 222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latch 220 , and more specifically, may include a throughhole 222a accommodating thelatch 220 . Like the throughhole 221 of thebody 210, the throughhole 222a of theretainer 222 may also be radially extended and orient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latch 220. In addition, theretainer 222 may include a first stopper 222b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r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The first stopper 222b may be formed of a rib extending inwardly from an edge of the throughhole 222a, and partially closes the throughhole 222a to prevent thelatch 220 from mov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can be limited Similarly, thesocket 200 may include asecond stopper 221a provided around the throughhole 221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 Thesecond stopper 221a may be formed of a rib extending inwardly from an edge of the throughhole 221, and may partially close the throughhole 221 to limit the radially inward movement of thelatch 220. . By the throughhole 221 and theretainer 222, thelatch 220 is not separated from thebody 210 and can be stably move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throughhole 221 and theretainer 222. can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210)가 하우징(110)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에 삽입되는 동안, 래치(220)는 반경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10) 또는 결합 슬리브(12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동안 래치(220)와 하우징(110)/결합 슬리브(120)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마찰에 의해 몸체(210)의 삽입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마찰을 줄이기 위해, 래치(220)는 몸체(210)내에서, 정확하게는 리테이너(222)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가능하도록 래치(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유사하게 롤러(roll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래치(220)는 몸체(210)가 하우징(110) 또는 결합 슬리브(120)와 접촉 또는 인접하면서 공간(S)내에 삽입되는 동안, 리테이너(222)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10) 또는 결합 슬리브(120)상을 구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래치(220)에 의해 몸체(210)는 실질적인 마찰없이 원활하게 하우징(110)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the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between thehousing 110 and thecoupling sleeve 120, thelatch 220 protrudes outward or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housing ( 110) or thecoupling sleeve 120. During this contact, friction occurs between thelatch 220 and thehousing 110/coupling sleeve 120, and it may be difficult to smoothly insert thebody 210 due to such friction. Thus, to reduce friction, thelatch 220 can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within thebody 210, precisely within theretainer 222. As an example, therotatable latch 220 may be made of a ball member, as shown, while similarly made of a roller. Thelatch 220 rotates in theretainer 222 while thebody 210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while being in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housing 110 or thecoupling sleeve 120, and thehousing 110 or the coupling It can be configured to roll over thesleeve 120 . Accordingly, thebody 210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space S between thehousing 110 and thecoupling sleeve 120 without substantial friction by thelatch 220 as described above.

또한, 소켓(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내에 배치되는 제 2 터미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터미널(230)은 전기장치의 내부부품들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들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터미널(230)은 제 2 인슐레이터(insulator)(231)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는 하나이상의 제 2 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31)은 전기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소켓(200)의 몸체(210)로의 누전 및 이로 인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슐레이터(231)는 이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관통공(233)을 포함하며, 제 2 핀(232)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공(133)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 1 인슐레이터(131)과 마찬가지로, 제 2 인슐레이터(231)도 제 2 핀(232)를 감싸면서 수용하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핀(132)와 마찬가지로 제 2 핀(232)도 소켓(200)의 몸체(210)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실제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관통공(233)과 제 2 핀(232)사이에 공차가 존재하면, 긴 길이로 인해 제 2 핀(232)을 제 2 관통공(233)를 따라 삽입시키면서 제 2 인슐레이터(231)에 적절하게 조립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231)는 서로 분리된 두개의 몸체들, 즉, 제 3 및 제 4 보조 인슐레이터들(231a,2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보조 인슐레이터(231a)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4 보조 인슐레이터(231b)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제 2 인슐레이터(231)의 밀폐를 위해 제 3 및 제 4 보조 인슐레이터들(231a,231b)사이에는 개스킷(231c)이 개재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4 , thesocket 200 may include asecond terminal 230 disposed within thebody 210 . Thesecond terminal 230 may be coupled to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 device to 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parts. More specifically, thesecond terminal 230 may include asecond insulator 231 and one or moresecond pins 232 accommodated in thesecond insulator 231 . Thesecond insulator 231 is made of an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and can prevent electric leakage to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and electric shock caused thereby. In addition, thesecond insulator 231 includes a second throughhole 233 formed inside its body, and thesecond pin 232 is accommodated in thesecond insulator 231 in the throughhole 133. It can be stably inserted. Like thefirst insulator 131 described above, thesecond insulator 231 may also be formed of a single member that surrounds and accommodates thesecond pin 232 . However, like thefirst pin 132, thesecond pin 232 may have a substantially longer length so as to extend across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Therefore, if there is a tolerance between the second throughhole 233 and thesecond pin 232, thesecond insulator 231 inserts thesecond pin 232 along the second throughhole 233 due to the long length. ) can be difficult to properly assembl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4 , thesecond insulator 231 may be formed of two separate bodies, that is, third and fourthauxiliary insulators 231a and 231b. The thirdauxiliary insulator 231a may form a front portion of thesecond insulator 231 , and the fourthauxiliary insulator 231b may form a rear portion of thesecond insulator 231 . In addition, agasket 231c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third and fourthauxiliary insulators 231a and 231b to seal the dividedsecond insulator 231 .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이 결합될 때, 실제적으로 제 1 터미널(130)의 제 1 핀(132)이 제 2 터미널(230)의 제 2 핀(232)과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핀(132)이 솔리드한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제 2 핀(232)은 이러한 제 1 핀(132)과의 결합을 위해, 파이프 또는 튜브 부재, 즉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receptac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이 결합될 때, 제 1 핀(132)은 해당 제 2 핀(232)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2 핀(232)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핀(232)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 앞서 설명된 것과 반대로 제 1 핀(132)가 중공의 리셉터클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제 2 핀(232)가 솔리한 부재로서 상기 제 1 핀(132)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핀(132)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 2 핀(232)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된 제 1 핀(132)을 통해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핀(232)는 제 2 인슐레이터(231), 정확하게는 이의 관통공(233)을 따라 소켓(200)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핀(232)의 후방 끝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의 몸체(210) 외부로 돌출되어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핀(232)의 전방끝단은 제 1 터미널(130)의 제 1 핀(132)과 결합되도록 제 2 인슐레이터(231)의 관통공들(233)과 정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second terminals 130 and 230 are coupled, thefirst pin 132 of thefirst terminal 130 may be coupled to thesecond pin 232 of thesecond terminal 230 . As described above, since thefirst pin 132 is made of a solid member, thesecond pin 232 is a pipe or tube member, that is, substantially a receptacle ( receptacles). Therefore, when the first andsecond terminals 130 and 230 are coupled, thefirst pin 132 is inserted into the correspondingsecond pin 232 and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second pin 232 while thefirst pin 132 is inserted into thesecond pin 232. 2 can be received inpin 232. On the other hand, contrary to 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thefirst pin 132 may be made of a hollow receptacle, and thesecond pin 232 may be inserted into thefirst pin 132 as a solid member.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first pin 132, thesecond pin 232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thus transfers electricity or electrical signals from the electric cable C through the coupledfirst pin 132. It can be received and provided to the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al device. Thesecond pin 232 may extend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of thesocket 200 along thesecond insulator 231, more precisely along the throughhole 233 thereof. In addition, as shown, the rear end of thesecond pin 232 protrudes outside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and can be coupled with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 device, and the front end of thesecond pin 232 The end may be aligned with the through-holes 233 of thesecond insulator 231 to be coupled with thefirst pin 132 of thefirst terminal 130 .

이와 같은 제 2 터미널(230)은 소켓(200)의 몸체(210)의 내주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터미널(230)의 외주부, 즉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에는 스텝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텝부가 몸체(210)의 내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몸체(2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터미널(230)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2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터미널(230)는 이의 외주부와 몸체(210)의 내주부사이에 개재되는 금속재질의 링 부재(235), 예를 들어 C-링 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210)에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 부재(235)는 제 2 터미널(23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 및 제 2 터미널(230)의 외주부, 즉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홈(234)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링부재(235)에 의해, 제 2 터미널(230)은 소켓(200)의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소켓(200)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소켓(200)의 몸체(2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200) 또는 제 2 터미널(230)은 제 2 인슐레이터(231)와 몸체(210)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개스킷(231d)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개스킷(231d)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몸체(210)의 내주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보조 개스킷(231d)는 몸체(210)의 개방된 전방 끝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 및 소켓(200)이 결합될 때, 보조 개스킷(231d)은 이를 지지하는 몸체(210)의 스텝부와 함께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정확하게는 제 1 하우징(110a)의 끝단부의 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보조 개스킷(231d)은 플러그(1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Thesecond terminal 230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a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second terminal 230,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 step portion is caught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so that the body ( 210) can be stably supported. In addition, thesecond terminal 230 may be fastened to thebody 210 by a predetermined fastening member. As shown in FIG. 4, thesecond terminal 230 is formed by ametal ring member 235 interposed between its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body 210, for example, a C-ring member to the body ( 210) can be fastened. More specifically, thering member 235 is a member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second terminal 230, and the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second terminal 230, that is, the second It may be inserted into thegroove 234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insulator 231 . Accordingly, thesecond terminal 230 can be stably fixed in thesocket 200 without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or axial direction of thesocket 200 by thering member 235 .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thesocket 200 or thesecond terminal 230 is an auxiliary gasket interposed between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body 210. (231d). The auxiliary gasket 231d may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second insulator 231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for stable fixation. may be The auxiliary gasket 231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 front end of thebody 210 rearwar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 wh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the auxiliary gasket 231d is attached to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together with the step portion of thebody 210 supporting it. ), precisely, it is possible to limit the insertion of the end of thefirst housing 110a. That is, the auxiliary gasket 231d may also function as a stopper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of theplug 100 .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와 소켓(200)이 결합될 때, 의도된 전기적 연결을 얻도록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플러그(100) 및 소켓(200)이 서로 정확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100) 및 소켓(200)을 서로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구조 또는 정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은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의 정확한 결합으로부터 수립되므로, 정렬구조는 제 1 터미널(130)을 제 2 터미널(230)에 정확하게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터미널들(130,230)의 결합은 제 1 및 제 2 핀들(132,232)의 결합을 요구하므로, 최종적으로 정렬구조는 제 1 핀(132)과 제 2 핀(232)을 정확하게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고도 정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required to couple the first andsecond terminals 130 and 230 to obtain an intended electrical connection. They need to be precisely aligned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n alignment structure or alignment mechanism configured to align theplug 100 andsocket 200 with each other. It can be described that the alignment structure is configured to precisely align thefirst terminal 130 to thesecond terminal 230, since substantially electrical connection is established from the correct coupling of the first andsecond terminals 130 and 230. Furthermore, since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second terminals 130 and 230 requires the coupling of the first andsecond pins 132 and 232, the alignment structure finally forms the first andsecond pins 132 and 232. It can also be defined as configured to align precisely.

이러한 정렬구조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에 제공되는 돌기들(115a,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렬구조로서, 소켓(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몸체(210)의 내주부 전방 끝단부에 형성되는 홈(215a,215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들(115a,115b)은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홈들(215a,215b)은 몸체(210)의 전방 끝단부의 내주부상에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소켓(200)이 결합될 때, 돌기들(115a,115b)이 홈들(215a,215b)에 정렬되지 않으면,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은 소켓(200)의 몸체(210)내로 삽입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돌기들(115a,115b) 및 홈들(215a,215b)은 서로 결합되면서 실질적으로 제 1 및 제 2 핀들(132,232)를 서로 정렬시키며, 이들 핀들(132,232)의 정확한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5a,215b)은 서로 다른 원주방향 길이, 즉 폭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돌기들(115a,115b)도 서로 다른 원주방향 길이, 즉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동일한 폭을 갖는 돌기들(115a,115b) 및 홈들(215a,215b)만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is alignment structure may includeprotrusions 115a and 115b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that is, the front end of thefirst housing 110a. . Also, as an alignment structure, thesocket 200 may includegrooves 215a and 215b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as shown in FIG. 3 . Theprotrusions 115a and 115b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first housing 110a and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grooves 215a and 215b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ont end of thebody 210 and may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if theprotrusions 115a and 115b are not aligned with thegrooves 215a and 215b,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that is, the first housing ( 110a) cannot be inserted into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For this reason, theprotrusions 115a and 115b and thegrooves 215a and 215b substantially align the first andsecond pins 132 and 232 with each other while be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can guide the correct coupling of thesepins 132 and 232.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grooves 215a and 215b have different circumferential lengths, that is, widths, and similarly, theprotrusions 115a and 115b may also have different circumferential lengths, that is, widths. . In this case, since only theprotrusions 115a and 115b and thegrooves 215a and 215b having the same width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more accurate alignment can be performed.

또한, 도 2 특히, A-A의 단면부 및 이러한 단면부를 확대한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추가적인 정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 1 핀(132) 및 이를 수용하는 제 2 핀(232)사이에 공차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핀(132)는 상기 제 2 핀(232)내에 삽입되면서 원주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으며, 이러한 비틀림에 의해 제 1 터미널(130)도 전체적으로 비틀릴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여러 주변 부품들에서도 공차가 발생하거나 다른 여러 이유들로 인해서도 플러그(100)와 소켓(200)의 결합시 제 1 터미널(130)의 비틀림 및 이에 포함된 제 1 핀(132)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제 1 핀(132) 및 제 1 인슐레이터(131)가 플러그(100)의 하우징(110)에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하게 구속되는 경우, 이러한 비틀림이 크게 발생되면 플러그(100) 및 소켓(200)의 결합동안 제 1 인슐레이터 및 핀(131,132)의 변형 및 더 나아가 파손도 발생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 in particular, a cross-section of A-A and FIG. 5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enlarged,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n additional alignment structure. If there is a tolerance between thefirst pin 132 and thesecond pin 232 receiving it, thefirst pin 132 can be twis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second pin 232, Due to this twisting, thefirst terminal 130 may also be twisted as a whole. In addition, whe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the twisting of thefirst terminal 130 and the twisting of thefirst pin 132 included in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are caused by tolerances in other peripheral parts or for other reasons. this can happen If thefirst pin 132 and thefirst insulator 131 are completely constrained so as not to move in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if such a large twist occurs,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Deformation and further breakage of the first insulator and pins 131 and 132 may occur during coupling.

이러한 이유로, 추가적인 정렬구조는 플러그(100)의 하우징(110)의 내주부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17) 및 제 1 터미널(130), 정확하게는 제 1 인슐레이터(131)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브(1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131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131d)의 원주방향 길이, 즉 폭은 리브(117)의 원주방향 길이, 즉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131d) 및 리브(117)는 제 1 터미널(130)을 하우징(110)에 결합시키면서도, 상기 제 1 터미널(130), 즉 제 1 인술레이터(131) 및 제 1 핀(132)을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정렬구조, 즉 리세스(131d) 및 리브(117)는 제 1 터미널(130)에 원주방향으로 비틀림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비틀림에 대해 제 1 터미널(130)을 구속하는 대신에 가해진 원주방향 비틀림과 같은 방향으로 제 1 터미널(130)을 회전시키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가해진 비틀림은 제 1 터미널(13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쇄될 수 있으며, 제 1 터미널(130)은 더욱 정확하게 제 2 터미널(230)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130)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정되는 링 부재(135)에 의해 체결되므로, 이러한 링부재(135)에 의해 가해진 비틀림으로 인한 제 1 터미널(13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미널(130)은 링 부재(130)와 함께 하우징(110)내에 형성된 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링 부재(135) 및 이를 수용하는 홈들도 상술된 추가 정렬구조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리세스(131d) 및 리브(117)는 제 2 보조 인슐레이터(131b)에 제공되나, 동일한 리세스(131d) 및 리브(117)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인슐레이터(131a)에도 제공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additional alignment structur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rib 117 and thefirst terminal 130, precisely thefirst insulator 131,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and the rib ( 117) may include arecess 131d configured to receive it. Also, the circumferential length, ie, the width, of therecess 131d may be greater than the circumferential length, ie, width, of therib 117 . Therecess 131d and therib 117 couple thefirst terminal 130 to thehousing 110, while thefirst terminal 130, that is, thefirst insulator 131 and thefirst pin 132 As indicated by an arrow in FIG. 5 relative to thehousing 110, it may be allowed to rotate about its central axis. Therefore, the additional alignment structure, i.e., therecess 131d and therib 117, when twist is applied to thefirst terminal 13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stead of restraining thefirst terminal 130 against this twist, is applied. It is possible to allow rotation of thefirst terminal 13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ircumferential twist. Thus, due to this rotation, the applied twist can be offset to prevent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first terminal 130, and thefirst terminal 130 can more accurately align with thesecond terminal 230.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first terminal 130 is fastened by the ring member 135 connec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first terminal 130 due to the twist applied by the ring member 135 Rotation can be guided stably. For example, thefirst terminal 130 may rotate while being guided by a groove formed in thehousing 110 together with thering member 130 . Accordingly, this ring member 135 and the grooves accommodating it may also be part of the additional alignment structure described above. Further, arecess 131d and arib 117 are provided in the secondauxiliary insulator 131b, but thesame recess 131d and arib 117 are provided in the firstauxiliary insulator 131a as shown in FIG. ) can also be provided.

상술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은 이의 작동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이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assembl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its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such a connecto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6은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과정들을 나타내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서로 결합된 소켓 및 플러그를 보여주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도 5도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과 관련된 특징들을 잘 보여주므로, 다음에서 함께 참조된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coupling processes between a socket and a plug,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ocket and a plug coupled to each other. Figures 1-5 also illustrate featur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are therefore referenced together in the following.

일반적으로 전기장치는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며, 이러한 고정된 전기장치에 전기 케이블(C)이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소켓(200)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C)의 플러그(100)가 고정된 전기장치의 소켓(200)으로 밀어붙여지게 된다.In general, an electric device is fixed in a predetermined place, and an electric cable (C) can be moved and coupled to this fixed electric device. Therefore, for coupling of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theplug 100 of the electric cable C is pushed into thesocket 200 of the fixed electric devic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소켓(200)쪽으로 밀어붙여지면, 상기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이 상기 소켓(200)의 몸체(210)내로 진입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동시에, 소켓(200)의 몸체(2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제 1 방향(A)으로 진입하면서 제 1 하우징(110a)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로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 when theplug 100 is pushed toward thesocket 200, thehousing 110 of theplug 100, that is, thefirst housing 110a is attached to thesocket 200. It can be inserted while entering thebody 210. At the same time, as shown,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can be relatively inserted into the space S between thefirst housing 110a and thecoupling sleeve 120 while entering in the first direction A. there is.

이와 같이, 몸체(210)가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로부터 공간(S)내로 이동하는 동안 몸체(210)의 내주부는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와 매우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220)는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반경방향 바깥쪽, 즉 몸체(2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돌출은 래치(220)가 제 1 하우징(110a)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즉 결합홈(111)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돌출된 래치(2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슬리브(210) 즉 이의 내주부, 더 정확하게는 스텝부(12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00)의 밀어붙임 또는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즉 몸체(210)의 상대적인 제 1 방향(A)으로의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몸체(210)의 이동, 즉 전진과 함께 래치(220)에 걸린 결합 슬리브(120)도 제 2 방향(B)으로 이동 즉,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방향(B)으로의 후퇴동안, 결합 슬리브(120)는 탄성부재(125)를 압축시키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결합홈(111)을 래치(220)가 접근가능하게 상기 래치(220)에 노출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ile thebody 210 moves from the front end of thefirst housing 110a into the space S,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comes into close proximity or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 Accordingly, thelatch 220 is pressed radially outward by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first housing 110a and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that is, to the outside of thebody 210 . This protrusion may continue while thelatch 220 is pressed by thefirst housing 110a, that is, until it reaches thecoupling groove 111. As shown in FIG. 6 (a), the protrudinglatch 220 is caught on thecoupling sleeve 210, that is, its inner periphery, more precisely, thestep portion 123. Therefore, as the pushing or insertion of theplug 100 proceeds, that is, as the relative movement of thebody 210 in the first direction A proceeds, as shown in FIG. 6(b), such a body Along with the movement of 210, i.e., forward movement, thecoupling sleeve 120 caught on thelatch 220 may also move in the second direction B, i.e., may be retracted. During retraction in the second direction (B), thecoupling sleeve 120 is elastically supported while compressing theelastic member 125, and thelatch 220 makes thecoupling groove 111 accessible to the latch 220. ) can be exposed or opened.

이 후, 래치(220)가 몸체(210)의 제 1 방향(A)로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결합홈(111)까지 이동되면, 스텝부(123)의 표면과 상기 결합홈(111)의 엣지와 접촉한 상태로 구름운동을 하면서, 원활하게 상기 결합홈(111)내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 즉 이의 몸체(121) 내주부는 몸체(210)의 외주부와 매우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220)는 결합 슬리브(120)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되어 몸체(210)의 반경방향 안쪽, 즉 몸체(210)의 내부로 돌출되어 결합홈(111)내에 삽입되고 걸리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래치(220)가 몸체(210) 내부로 돌출되면, 더 이상 상기 몸체(210)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결합 슬리브(120)는 래치(2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에 의해, 즉 가해진 외력의 제거에 의해 탄성부재(125)는 복원되며, 이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제 3 방향(C)으로 이동 또는 복귀, 즉 전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 3 방향(C)으로의 전진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원 위치로 복귀되면서, 래치(220)를 덮으면서 계속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슬리브(120)는 래치(220)를 결함홈(1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구속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속에 의해 플러그(100)과 소켓(20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100)를 소켓(200)으로 푸쉬(push)하는 것만으로, 플러그(100)의 결합 슬리브(120)는 후퇴 및 전진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래치(220)를 결합홈(111)에 로딩(loading)하면서도 동시에 락킹(locking)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200)에 대한 플러그(100)의 푸쉬와 같은 단일 조작 또는 액션(action)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플러그(100)와 소켓(200)을 결합시키고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C)를 전기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latch 220 is moved to thecoupling groove 111 according to the continuous movement of thebody 210 in the first direction (A), the surface of thestep portion 123 and the edge of thecoupling groove 111 It is possible to smoothly enter into thecoupling groove 111 while performing a rolling motion in a state of contact with. By this entry,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coupling sleeve 120, that is, thebody 121 thereof, comes into close proximity or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Therefore, thelatch 220 is pressed radially inward by thecoupling sleeve 120 and protrudes radially inside thebody 210, that is, into thebody 210, and is inserted into and caught in thecoupling groove 111. In addition, when thelatch 220 protrudes into thebody 210 in this way, since it no longer protrudes out of thebody 210, thecoupling sleeve 120 can be released from thelatch 220. By this release, that is, by removing the applied external force, theelastic member 125 is restored, and thecoupling sleeve 120 can move or return, that is, move forward, in the third direction (C) by its restoring force. As shown in FIG. 7, by the advancement in the third direction (C), thecoupling sleeve 1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ile covering thelatch 220, it can be continuously pressed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 Accordingly, thecoupling sleeve 120 can restrain thelatch 22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defective groove 111, and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such restraint.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by pushing theplug 100 into thesocket 200, thecoupling sleeve 120 of theplug 100 continuously retracts and advances while Thelatch 220 may be simultaneously loaded and locked into thecoupling groove 111 . Accordingly,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and conveniently couples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by a single operation or action such as pushing theplug 100 to thesocket 200, thereby electrically The cable (C) can be connected to an electrical device.

다른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과 플러그(100)가 결합된 경우, 결합 슬리브(120)를 제 4 방향(D)으로 이동 즉, 후퇴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플러그(100)는 소켓(200)으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다. 즉, 결합 슬리브(120)를 잡은 상태로 플러그(100)을 잡아당기면, 상기 결합 슬리브(120)가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100)가 소켓(200)으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다. 결합 슬리브(120)가 이러한 잡아당김동안 후퇴되면, 래치(220)는 결합 슬리브(120)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결합홈(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결합과정과 반대의 과정들을 통해, 즉각적으로 소켓(200)으로부터 플러그(100)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결합 슬리브(120)을 후퇴시키면서 플러그(100)를 소켓(200)으로부터 잡아당기는(pull) 것만으로, 래치(220)를 결합홈(111)에 언로딩(unloading)하면서도 동시에 언락킹(unlocking)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100)를 잡아당기는 단일 조작 또는 액션(action)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기 플러그(100)와 소켓(200)을 분리시키고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C)를 전기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when thesocket 200 and theplug 100 are coupled, theplug 100 moves naturally while moving thecoupling sleeve 120 in the fourth direction D, that is, retracting the socket. It can be pulled from (200). That is, when theplug 100 is pulled while holding thecoupling sleeve 120, thecoupling sleeve 120 is retracted and theplug 100 can be pulled out of thesocket 200 at the same time. When thecoupling sleeve 120 is retracted during this pulling, thelatch 220 can be released from thecoupling sleeve 120 and separated from thecoupling groove 111 . Accordingly, theplug 100 may be immediately separated from thesocket 200 through the process opposite to the coupling process described above. That is, 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latch 220 is unloaded from thecoupling groove 111 by simply pulling theplug 100 from thesocket 200 while retracting the coupling sleeve 120. ) and unlocking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quickly and conveniently separates theplug 100 and thesocket 200 by a single manipulation or action of pulling theplug 100, thereby disconnecting the electrical cable C. can be separated from the device.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의 보다 향상된 성능을 위해, 앞서 설명된 구성에 추가적으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양한 부속장치 또는 부속구조(access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or mor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assembly, the connect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ttachments or accessorie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추가적 부속장치의 일 예로서, 도 8-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200)에 씌워지는 캡(cap)(30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켓(200)은 전기장치에 설치되어 플러그(100)와의 결합을 통해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전기장치의 내부부품들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소켓(200)은 기본적으로 전기장치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100)의 결합을 위해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는 개방된 전방부, 즉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플러그(100)가 소켓(200)으로부터 분리되면, 소켓(200), 즉 이의 입구는 개방되며, 이러한 개방된 입구를 통해 수분,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켓(200)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200)을 통해 전기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합선, 감전, 고장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러그(100)가 분리되면, 캡(300)은 소켓(200)의 전방부를 덮어 소켓(20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으며, 이물질 유입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n additional accessory device, as shown in FIGS. 8 to 10 ,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cap 300 covering thesocket 200 . As described above, thesocket 200 is installed in the electrical device and coupled to theplug 100 to supply power or electrical signals from the electrical cable C to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al device. Therefore, thesocket 200 is basically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of the electric device, and for the coupling of theplug 100, thesocket 200, precisely itsbody 210, has an open front part, that is, an open entrance. have Due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plug 100 is separated from thesocket 200, thesocket 200, that is, its inlet is opened, and foreign substances such as moisture and dust can pass through the opened inlet as well as thesocket 200.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 electric device through thesocket 200 and may cause various problems such as short circuit, electric shock, and failure. For this reason, when theplug 100 is separated, thecap 300 covers the front portion of thesocket 200 to close the inlet of thesocket 200 and prevent problems caused by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캡(300)은 앞서 설명된 기본적인 기능에 추가적으로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캡(300)의 상세한 구성이 다음에서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Thecap 300 of such a connector assembly may be optimized to provide more advanced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described above, and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cap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in the following.

도 8은 소켓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캡이 소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며, 도 10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 소켓 및 캡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다음에서,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캡(300)이 결합되는 소켓(200)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소켓(200)은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소켓(200)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만이 설명되며,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앞서 도 1-도 7에 따른 설명들이 그대로 적용되며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p of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ocket. Also, FIG. 9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ap is coupled to the socket, and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ocket and the cap complete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thesocket 200 to which thecap 300 is coupled. Since thesocket 200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configurations not previously described in relation to thesocket 200 ar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s of FIGS. 1 to 7 are applied to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as they are, and additional descriptions are given It is omitted.

도 8-도 9를 참조하면, 캡(300)은 소켓(200)의 폐쇄를 위해 상기 소켓(200), 상세하게는 적어도 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소켓(200)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소켓(200) 전방부 끝단의 개방된 입구를 덮도록 폐쇄되는 전방부 및 상기 소켓(200) 전방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310)는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의 외주부를 감싸는 원통형 사이드 월(side wall)(312) 및 사이드 월(312)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끝단을 폐쇄하는 프론트 페이스(front face)(3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cap 300 is a body configured to surround thesocket 200, in detail, the front portion of thesocket 200 where at least an inlet is formed to close the socket 200 ( 310) may be included. As shown, thebody 310 has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nd includes a front portion closed to cover the open entrance at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and a rear portion opened to allow insertion of the front portion of thesocket 200. can do. More specifically, thebody 310 is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precisely, acylindrical side wall 312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and theside wall 312, It may include a front face (front face) 311 closing the end.

또한, 캡(300)은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 정확하게는 이의 프론트 페이스(311)에 제공되는 보스(bos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320)는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페이스(3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은 소켓(200)과 상기 캡(300)을 연결하는 스트랩(strap)(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330)의 어느 하나의 끝단은 캡(300), 즉 이의 몸체(310)의 보스(320)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330)의 다른 하나의 끝단은 소켓(200), 예를 들어 이의 몸체(210) 또는 브라켓(21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스트랩(330)의 다른 하나의 끝단은 소켓(200)대신에 전기장치, 예를 들어, 이의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캡(300)은 스트랩(330)에 의해 소켓(200)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소켓(200)으로부터 플러그(100)가 분리되면 바로 상기 소켓(200)을 폐쇄하도록하도록 상기 소켓(20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well shown in FIG. 8 , thecap 300 may include aboss 320 provided on thebody 210, to be precise, thefront face 311 thereof. In more detail, theboss 320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of thefront face 311 to a predetermined length. Also, thecap 300 may include astrap 330 connecting thesocket 200 and thecap 300 . One end of thestrap 330 is coupled to thecap 300, that is, theboss 320 of thebody 310 thereof, and the other end of thestrap 330 is coupled to thesocket 200, for example, the It may be coupled to thebody 210 or thebracket 211.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strap 330 may be attached to an electrical device, for example, its housing instead of thesocket 200 . Therefore, thecap 300 is always connected to thesocket 200 by thestrap 330, and accordingly, when theplug 100 is separated from thesocket 200, thesocket 200 is immediately closed. It may be coupled to thesocket 200.

이와 같은 캡(300)은 앞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소켓(200)의 외주부에 밀폐를 위해 제공된 링 부재(213)(이하, 밀폐부재(213))와 이의 몸체(310)의 내주면의 긴밀한 접촉에 의해 상기 소켓(20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캡(300) 및 소켓(200)에는 추가적인 결합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메커니즘으로써, 먼저 캡(300)은 몸체(310), 정확하게는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 후방부에 제공되는 제 1 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300)과의 결합을 위해, 소켓(200)은 이의 몸체(210) 외주면상에 제공되며, 상기 캡(300)의 제 1 결합부(340)와 결합되게 구성되는 제 2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에는 다양한 결합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은 서로 회전에 하면서 결합되는 나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cap 300 is aring member 213 provided for sealing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socket 200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7 (hereinafter, a sealing member 213) and abody 310 thereof. A coupled state with thesocket 200 can be maintained by close contact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However, an additional coupling mechanism may be applied to thecap 300 and thesocket 200 for more robust coupling. As such a coupling mechanism, first, thecap 300 may include afirst coupling portion 340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rear portion of thebody 310, more precisely, theside wall 312. In addition, for coupling with thecap 300, thesocket 200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body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configured to be coupled with thefirst coupling portion 340 of the cap 300 (240). Various coupling mechanisms may be applied to the first andsecond coupling portions 340 and 240, and, for example, as illustrated, a screw coupling capable of firmly coupling may be applied. That is, the first andsecond coupling parts 340 and 240 may be formed of screws coupled while rotating with each other.

캡(300)이 소켓(200)의 전방부에 씌워진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의 나사들이 상호 결합되면서, 캡(300)을 소켓(2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캡(300), 즉 사이드 월(312)의 외주면상에는 다수개의 리브(rib)(314)가 형성되며, 작업자는 리브(314)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캡(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캡(30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의 외주부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상기 캡(300)의 사이드 월(312)은 밀폐부재(213)과 접촉하면서 상기 소켓(200)의 외주부를 감싸게 되며, 상기 캡(300)의 프론트 페이스(311)은 상기 소켓(200) 전방부 끝단의 개방된 입구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캡(300)에 의해 소켓(200)의 측부, 즉 외주부 뿐만 아니라 전방 끝단도 폐쇄되며,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소켓(200)의 내부 및 전기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cap 300 is rotated by an operator while being covered with the front portion of thesocket 200, as shown in FIG. ) can be firmly coupled to thesocket 200. In addition, a plurality ofribs 31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ap 300, that is, theside wall 312, and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rotate thecap 300 using theribs 314. . As shown in FIG. 10 , when thecap 30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socket 200, theside wall 312 of thecap 300 contacts the sealingmember 213 and thesocket 200 I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cap 300, and thefront face 311 of thecap 300 may cover the open entrance at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Accordingly, not only the side, that is, the outer circumference, but also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is closed by thecap 300, and thus external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socket 200 and the electric device.

한편, 만일 캡(300)과 소켓(200)이 결합될 때, 소켓(200)의 밀폐부재(213)가 캡(300)의 내주면의 후방부에 바로 접촉하면, 밀폐부재(213) 앞쪽에 존재하는 소켓(200)과 캡(300)의 사이의 상당히 큰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캡(300)과 소켓(300)의 결합이 진행되면, 즉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캡(300)이 소켓(200)에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면 이러한 밀폐된 공간이 압축되면서 큰 압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캡(300)의 이동, 즉 캡(300)과 소켓(200)의 결합이 방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cap 300 and thesocket 200 are coupled, if the sealingmember 213 of thesocket 200 directly contacts the rear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cap 300, the sealingmember 213 is present in front. A fairly large space between thesocket 200 and thecap 300 may be sealed. Therefore,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cap 300 and thesocket 300 proceeds, that is, when thecap 300 moves backward relative to thesocket 200 due to screw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second coupling parts 340 and 240. As this closed space is compressed, a large pressure is generated, and thus movement of thecap 300, that is, coupling between thecap 300 and thesocket 200 may be hindered.

이러한 이유로,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의 후방부, 즉 제 1 체결부(340)는 밀폐부재(213)의 직경(P)보다 큰 직경(D1,D2)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캡(300)이 소켓(200)에 결합되기 시작할 때, 제 1 체결부(340), 즉 캡(300)의 내주면 후방부가 밀폐부재(213)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300)의 이동 및 결합을 방해하는 밀폐 및 이로 인한 내압이 바로 발생되지 않으며, 캡(300)과 소켓(20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well shown in FIG. 9, the rear portion of thecap 300, that is, thefirst fastening portion 340 is configured to have larger diameters D1 and D2 than the diameter P of the sealingmember 213. It can be. Due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cap 300 starts to be coupled to thesocket 200 , thefirst fastening portion 340 ,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rear portion of thecap 300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alingmember 213 . Accordingly, sealing and resulting internal pressure that hinder the movement and coupling of thecap 300 are not immediately generated, and thecap 300 and thesocket 200 can be smoothly coupled.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340)는 나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나사의 골부(bottom)(341)가 형성하는 외경, 즉 제 1 직경(D1) 및 산부(peak)(342)가 형성하며 상기 외경(D1)보다 작은 내경, 즉 제 2 직경(D2)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 1 직경(D1)이 적어도 밀폐부재(213)의 외경(P)보다 크게 설정되면, 산부(342)가 밀폐부재(213)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사이의 나사결합이 진행되면서 제 1 결합부(340)가 계속 이동하므로, 그와 같은 접촉은 일시적으로만 발생하며 제 1 결합부(340)와 밀폐부재(213)사이의 밀폐가 형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의 밀폐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직경(D1)은 적어도 밀폐부재(213)의 직경(P)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직경(D2)이 밀폐부재(213)의 외경(P)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결합부(340)는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밀폐부재(213)과 어떠한 접촉도 하지 않으므로, 밀폐가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since thefirst coupling part 340 is made of a screw, the outer diameter formed by thebottom 341 of the screw, that is, the first diameter D1 and the peak part ( peak) 342 and may include an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D1, that is, the second diameter D2. If the first diameter D1 is set to be greater than at least the outer diameter P of the sealingmember 213, even when themountain portion 342 contacts the sealingmember 213, the first andsecond coupling portions 340 and 240 Since thefirst coupling part 340 continues to move while the screw coupling between them proceeds, such contact occurs only temporarily and a seal between thefirst coupling part 340 and the sealingmember 213 is not formed. . For this reason, in order to prevent sealing while coupling is in progress, the first diameter D1 may be set larger than the diameter P of the sealingmember 213 at least. Also, preferably, the second diameter D2 may be set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P of the sealingmember 213 . In this case, since thefirst coupling part 340 does not make any contact with the sealingmember 213 during the coupling process, sealing can be completely prevented.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은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경사부 또는 리세스(recess)(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313)는 제 1 결합부(340)의 전방끝단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313)는 제 1 결합부(340)의 앞쪽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결합부(340)가 제 2 결합부(240)과 완전하게 결합되면, 즉 제 1 결합부(340)의 후방끝단이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까지 이동하면, 상기 리세스(313)는 상기 제 2 결합부(240)의 앞쪽에 배치되는 밀폐부재(213)와 만나게 된다. 또한, 리세스(3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내면을 가지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부재(213)의 외경(P)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게 된다. 더 나아가, 리세스(313)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재(213)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의 내면, 예를 들어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과 소켓(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밀폐부재(213)의 끝단부는 리세스(313)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내면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세스(313)에 의해 캡(300)과 소켓(200)사이의 밀폐가 완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 thecap 300 may include an inclined portion or arecess 313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side wall 312, therecess 313 It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end of thefirst coupling part 340 . Since therecess 313 is disposed in front of thefirst coupling portion 340, when thefirst coupling portion 34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second coupling portion 240, that is, of thefirst coupling portion 340. When the rear end moves to the rear end of thesecond coupling part 240, therecess 313 meets the sealingmember 213 disposed in front of thesecond coupling part 240. In addition, as shown, therecess 313 has an inclined inner surface, so that it at least partially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P of the sealingmember 213 . Furthermore, therecess 313 may preferably have an inner surfac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sealingmember 213, for example, an inner surface formed in a curved surface. For this reason, as shown in FIG. 10,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cap 300 and thesocket 200 is completed, the end of the sealingmember 213 is stab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recess 313 and is uniform with the inner surface. can make contact. Thus, sealing between thecap 300 and thesocket 200 can be completed by therecess 313 .

또한, 도 10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캡(300)이 소켓(200)과 완전하게 결합될 때, 캡(300)의 몸체(310),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310)의 후단부가 상기 소켓(200)의 제 2 결합부(240)를 넘어서 연장되면, 이러한 연장부와 소켓(200)의 몸체(210)사이에는 공간(R)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R)내에 여러가지 이물질들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캡(300)의 분리를 방해하거나 상기 캡(300)의 분리후 소켓(200)내에 유입될 수도 있다.10, when thecap 30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socket 200, thebody 310 of thecap 300, precisely the rear end of thebody 310, is the socket ( When extending beyond thesecond coupling portion 240 of thesocket 200, a space R may be formed between the extension portion and thebody 210 of thesocket 200. Accordingly, various foreign substances may be interposed in the space R, and thus may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of thecap 300 or may flow into thesocket 200 after the separation of thecap 300.

이러한 이유로, 캡(300)이 소켓(200)에 완전하게 결합될 때, 즉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사이의 결합이 완성될 때, 상기 캡(300)의 몸체(310)는 상기 소켓(200)의 제 2 결합부(240)를 넘어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캡(300)의 몸체(310)의 후방 끝단은 결합이 완료될 때, 제 2 결합부(240)의 후방에 배치되지 않도록, 더 정확하게는 제 2 결합부(240)의 후방 끝단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배치를 위해, 캡(300)(즉,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 길이, 정확하게는 사이드 월(312) 내주면의 후방 끝단부터 상기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과 프론트 페이스(311)의 내면의 연결부(C)(즉, 사이드 월(312) 내주면 전방끝단)까지의 길이(L1)는 소켓(200)의 전방 끝단부터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까지의 길이(L2)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L1,L2) 설정에 의해, 캡(300)의 후방끝단이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에 도달하면, 소켓(200)의 전방끝단이 캡(300)의 프론트 페이스(311)의 내면과 맞닿아 캡(300)이 더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캡(300)의 후방끝단이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를 넘어서 배치되지 않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공간(R)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물질의 개재가 방지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cap 300 is completely coupled to thesocket 200, that is,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andsecond coupling parts 340 and 240 is completed, thebody 310 of thecap 300 It may be configured not to extend beyond thesecond coupling portion 240 of thesocket 200 . That is, when the coupling is completed, the rear end of thebody 310 of thecap 300 is not disposed behind thesecond coupling portion 240, more precisely, on the rear end of thesecond coupling portion 240. It can be configured to be placed. More specifically, for this arrangement, the length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300 (that is, the side wall 312), to be precise, from the rear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side wall 312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side wall 312 and the front face The length L1 to the connection part C on the inner surface of 311 (that is, the front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312) is the length from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to the rear end of thesecond coupling part 240. It can be set the same as (L2). By setting the lengths (L1, L2), when the rear end of thecap 300 reaches the rear end of thesecond coupling part 240, the front end of thesocket 200 moves to thefront face 311 of thecap 300. ), so that thecap 300 can no longer move. Therefore, since the rear end of thecap 300 is not disposed beyond the rear end of thesecond coupling part 240, the above-mentioned space R is not formed, and foreign matt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한편,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소켓(200)은 전기장치에 부착되어 이의 내부와 연통하므로, 플러그(100)와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도 상기 소켓(200)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전기장치내에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캡(300)에 추가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장치내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200)내에 제공되어 상기 소켓(200)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밀폐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iscussed above, since thesocket 200 is attached to the electrical device and communicates with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device, external foreign substances may flow into the electrical device through thesocket 200 even while being coupled to theplug 100. there is. Accordingly, in addition to thecap 300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sealing mechanism provided in thesocket 200 and configured to seal thesocket 200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electrical device. .

도 11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에 포함된 다양한 밀폐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11을 참조하여, 소켓(200)을 위한 내부 밀폐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various sealing structures included in the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Referring to FIG. 11, an internal sealing mechanism for thesocke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소켓(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내에 배치되어 전기장치의 내부부품들에 결합되는 제 2 터미널(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터미널(100)의 제 1 터미널(13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터미널(230)은 제 2 인슐레이터(insulator)(231)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는 하나이상의 제 2 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31)는 이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관통공(233)을 포함하며, 제 2 핀(232)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공(233)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중공부재와 다르게, 제 2 핀(23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한 부재, 즉 로드(rod)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미널(100)의 제 1 터미널(130)의 제 1 핀(132)은 이러한 제 2 핀(232)과의 결합을 위해, 중공부재인 파이프 또는 튜브 부재, 즉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receptac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솔리드한 제 2 핀(2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 2 인슐레이터(231)의 관통공(233)내에는 스텝부(231s)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텝부(231s)와 맞물리도록 제 2 핀(232)도 스텝부(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231s,232a)에 의해 제 2 핀(232)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다음에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As shown in FIG. 11, thesocket 200 may include asecond terminal 230 disposed in thebody 210 and coupled to internal parts of the electric device, and as described above, power or electricity It may be coupled with thefirst terminal 130 of the terminal 100 to receive a signal. More specifically, thesecond terminal 230 may include asecond insulator 231 and one or moresecond pins 232 accommodated in thesecond insulator 231 . Thesecond insulator 231 includes a second throughhole 233 formed inside its body, and thesecond pin 232 is stably accommodated in the throughhole 233 to be accommodated in thesecond insulator 231. can be inserted. Unlike the hollow member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thesecond pin 232 may be formed of a solid member, that is, a rod member, as shown in FIG. 11 . In this case, thefirst pin 132 of thefirst terminal 130 of the terminal 100 is a hollow pipe or tube member, that is, substantially a receptacle, for coupling with thesecond pin 232. can be made with In addition, in order to stably support such a solidsecond pin 232, astep portion 231s may be formed in the throughhole 233 of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 steppedportion 231s engages with thesecond insulator 231. Thesecond pin 232 may also include astep portion 232a. Thesecond pin 232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being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step portions 231s and 232a. Since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as those previous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additional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조립을 위해 허용된 치수공차로 인해, 제 2 인슐레이터(231)(정확하게는 관통공(233)의 내주면)과 제 2 핀(232)(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면)사이에는 미세한 간극(clearance)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간극을 따라 외부공기 및 이에 포함된 먼지 및 수분이 전기장치내에 유입되어 합선, 감전 및 내부부품의 고장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due to the dimensional tolerances allowed for smooth assembly, between the second insulator 231 (exact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33) and the second pin 232 (exactly,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ne clearance may be formed. Therefore, as indicated by arrows, outside air and dust and moisture contained therein may flow into the electric device along these gaps,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short circuit, electric shock, and failure of internal parts.

이러한 이유로, 소켓(200)은 밀폐 메커니즘으로서, 관통공(233)내에 배치되면서, 제 2 인슐레이터(231)과 제 2 핀(232)사이에 개재되는 제 1 개스킷(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개스킷(251)은 제 2 인슐레이터(231)의 관통공(233) 내주면과 제 2 핀(23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와 제 2 핀(232)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스킷(251)은 관통공(233)을 따라 제 2 인슐레이터(231)과 제 2 핀(232)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밀폐하여 외부의 공기 및 이에 포함되는 이물질들이 전기장치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스킷(251)은 제 2 인슐레이터(231) 및 제 2 핀(232)의 스텝부들(231s,232a)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밀폐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적인 제 2 핀(232)과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지지 및 결합도 달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socket 200 may include afirst gasket 251 disposed in the throughhole 233 and interposed between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second pin 232 as a sealing mechanism. More specifically, thefirst gasket 251 is inter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hole 233 of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second pin 232, and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 second pin (232) can be configured to close the gap between. Therefore, thefirst gasket 251 seals the gap formed between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second pin 232 along the throughhole 233 so that external air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therein cannot enter the electric device. Intrus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urthermore, as shown in FIG. 11 , thefirst gasket 251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step portions 231s and 232a of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second pin 232, not only sealing but also further Stable support and coupling of thesecond pin 232 and thesecond insulator 231 can also be achieved.

또한, 밀폐 메커니즘으로, 소켓(200)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인슐레이터(231)와 몸체(210)의 전방부사이에 개재되는 제 2 개스킷(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스킷(242)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몸체(210)의 내주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밀폐 메커니즘으로서, 소켓(200)은 제 2 인슐레이터(231)와 몸체(210)의 후방부사이에 개재되는 제 3 개스킷(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스킷(242)도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및 제 3 개스킷(252,253)은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과 몸체(210)사이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인슐레이터(231)의 내부 간극을 폐쇄하는 제 1 개스킷(251)과 더불어, 이들 제 2 및 제 3 개스킷들(252,253)에 의해 소켓(200)내부의 모든 간극들은 폐쇄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전기장치내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lso, as a sealing mechanism, thesocket 200 may include asecond gasket 252 interposed between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 front portion of thebody 210 to prevent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The second gasket 242 may exten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second insulator 231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in a radi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for stable fixation. may lose Also, as an additional sealing mechanism, thesocket 200 may include athird gasket 253 interposed between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 rear portion of thebody 210 . The second gasket 242 may also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body 210 for stable fixation. The second andthird gaskets 252 and 253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front and rear of thesecond insulator 231 to effectively close the gap between thesecond insulator 231 and thebody 210 . Accordingly, all gaps inside thesocket 200 can be closed by the second andthird gaskets 252 and 253 together with thefirst gasket 251 that closes the internal gap of thesecond insulator 231,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electric devic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러그110: 하우징
120: 결합 슬리브130: 제 1 터미널
140: 부싱150: 백 너트
200: 소켓210: 몸체
220: 래치221: 관통공
222: 리테이너230: 제 2 터미널
300: 캡310: 몸체
320: 보스330: 스트랩
100: plug 110: housing
120: coupling sleeve 130: first terminal
140: bushing 150: back nut
200: socket 210: body
220: latch 221: through hole
222: retainer 230: second terminal
300: cap 310: body
320: Boss 330: Strap

Claims (4)

Translated fromKorean
전기 케이블과 결합되는 플러그(plug); 및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를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socket)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 슬리브사이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래치(latch)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plug coupled with the electric cable; and
It is provided in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nd consists of a socket coupled to the plu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device to the electric cable,
The plug is:
a housing made of a hollow member and configured to receive the electric cable; and
A coupling sleeve wrapped around the end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slidable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housing,
The socket is:
a body made of a hollow member and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sleeve for coupling the socket and the plug; and
A connector including a latch provided on the body to be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trude inward or outward from the body in the radial direction to couple the body to the housing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은 이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of the plug is formed on its outer periphery and includes a coupling groove configured to engage the latch.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소켓의 몸체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슬리브를 후퇴시키면서 상기 결합홈에 접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도달하면,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슬리브를 전진시키면서 상기 결합홈내에 삽입 및 구속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2,
The latch is:
While the body of the socket is inserted, it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to approach the coupling groove while retracting the coupling sleeve,
When reaching the coupling groove, the connector assembly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restrained in the coupling groove while protruding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dvancing the coupling slee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에 씌워지는 캡(cap)을 더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es a cap covered with the socke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ocket.
KR1020230006898A2021-04-062023-01-17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WithdrawnKR2023001410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447332021-04-06
KR202100447332021-04-06
KR10202100981642021-07-26
KR10202100981642021-07-26
KR10202101015052021-08-02
KR202101015052021-08-02
KR1020220074399AKR102496203B1 (en)2021-04-062022-06-17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20074399ADivisionKR102496203B1 (en)2021-04-062022-06-17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30014100Atrue KR20230014100A (en)2023-01-27

Family

ID=8510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30006898AWithdrawnKR20230014100A (en)2021-04-062023-01-17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3001410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5618204A (en)Circular bulkhead connector assembly
KR102496203B1 (en)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US3848950A (en)Electrical connector
US11637387B2 (en)Coaxial and cluster connector assemblies
US6048229A (en)Environmentally resistant EMI rectangular connector having modular and bayonet coupling property
US6692285B2 (en)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CN101562296B (en)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ing mechanism
US6695636B2 (en)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US7011544B1 (en)Multiphase connector
CN105322347B (en)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Cables
EP3789648B1 (en)Ball-lock connector
US11404833B2 (en)Enhanced electrical grounding of hybrid feedthrough connectors
KR102573088B1 (en) Connector assembly that can be mated in a single operation
KR20230014100A (en)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KR102782576B1 (en)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cable
KR20220139250A (en)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US20220200205A1 (en)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3980373A (en)Electrical connector
CN213878612U (en)Inner core par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5144972B (en)Waterproof and dustproof connector, adapter and connector assembly
CN217934407U (en)Steel ball type push-pull quick-locking round electric connector with twist needles
CA2419352A1 (en)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KR102665452B1 (en)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USRE31462E (en)Electrical connector
JP3472175B2 (en) Cable connection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A107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8-div-PA0107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PC1203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N-1-6-B10-B12-nap-PC1203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