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전기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의 케이블을 상기 전기설비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lectrical equip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connect an external cable to the electrical equipment.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전기설비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기 케이블이 이용된다. 전기 케이블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설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해당 전기설비에 공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기 케이블은 전원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전기설비중에서, 통신설비는 다양한 형태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송신측과 수신측사이에서 통신을 위한 전기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전기신호의 교환을 위해서도 전기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통신설비에서, 전기 케이블은 송수신측 장비들을 서로 연결하며 장거리에 걸친 전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전송매체로서 기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전기 케이블은 통신 케이블로 불릴 수 있다. 즉, 전기 케이블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및 물리적 상태량, 예를 들어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하는 매체이며, 이들 전기적 상태량의 전달 및 교환을 위해 전기설비에 연결될 수 있다.In general, electrical equipment is driven by electricity supplied from the outside, and an electric cable is used to supply electricity to the electrical equipment. An electric cable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electric facility to supply electricity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corresponding electric facility. In this case, the electric cable may be referred to as a power cable. In addition, among electrical equipment, communication equipment is configured to exchange electrical signals for communication between a transmitting side and a receiving side in order to enable various types of two-way communication, and an electric cable can also be used for the exchange of such electrical signals. there is. In communication facilities, electric cables connect transmitting and receiving equipment to each other and function as a transmission medium for transmitting electric signals over long distances. In this case, the electric cables may be referred to as communication cables. That is, an electric cable is a medium that transmits various types of electrical and physical properties, for example, electricity or electrical signals, and can be connected to electrical equipment to transfer and exchange these electrical properties.
이러한 전기 케이블을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전용의 커넥터가 여러 부품들이 조합된 어셈블리 형태로 상기 전기 케이블에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및 통신설비의 이동 및 다른 여러가지 요구되는 상황에 대응하도록 상기 전기설비 또는 통신설비로부터 전기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connect such an electric cable to an electric facility or communication facility, a dedicated connector is installed on the electric cable in the form of an assembly in which several parts are combined. In addition, this connector assembly may be configured to selectively disconnect an electric cable from the electrical or communication equipment to cope with the movement of the electrical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various other required situations.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어셈블리는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플러그 및 전기설비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플러그 및 소켓은 선택적인 탈착을 위해 통상적인 체결메커니즘, 예를 들어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서로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통상적인 체결 메커니즘은 견고한 결합을 제공하기는 하나, 나사결합을 위해 체결부재를 다수회 회전시켜야 하므로, 플러그 및 소켓의 결합시 많은 작업 및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커넥터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전기 케이블을 전기설비에 연결하는 경우, 작업성과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for example, a plug connected to an electric cable and a socket installed in an electrical facility and coupled with the plug. Also, in most cases, the plug and socket are coupled to each other using a conventional fastening mechanism, for example, screw coupling, for selective detachment. However, although this conventional fastening mechanism provides a firm coupling, since the fastening member must be rotated many times for screw coupling, a lot of work and time are required when coupling the plug and the socket. Therefore, when an electric cable is connected to an electric facility using a conventional connector assembly,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may be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은 작업으로 신속하게 전기 케이블을 전기장치에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quickly couple an electric cable to an electric device with little wor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be effectively sealed.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 케이블과 결합되는 플러그(plug); 및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를 상기 전기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는 소켓(socket)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기 케이블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를 감싸며, 상기 하우징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은: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의 결합을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결합 슬리브사이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제공되어 상기 몸체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결합 슬리브 및 상기 하우징에 의해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반경방향 안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는 래치(latch)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g coupled with an electric cable (plug); and a socket provided in a predetermined electric device and coupled to the plu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electric device to the electric cable, wherein the plug is made of a hollow member and accommodates the electric cable. A housing configured to; and a coupling sleeve that surrounds the end of the housing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nd of the housing and configured to be slidable, wherein the socket is made of a hollow member and is coupled to the socket and the plug. a body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upling sleeve; and is provided on the body to be movabl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ody, and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trude inward or outward from the body in the radial direction by the coupling sleeve and the housing to couple the body to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a latch (latch) to be.
또한, 상기 플러그의 하우징은 이의 외주부에 형성되며 상기 래치가 걸리도록 구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of the plug may include a coupling groov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ce thereof and configured to engage the latch.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래치는: 상기 소켓의 몸체가 삽입되는 동안, 상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슬리브를 후퇴시키면서 상기 결합홈에 접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도달하면,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슬리브를 전진시키면서 상기 결합홈내에 삽입 및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atch is configur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the body of the socket is inserted and approach the coupling groove while retracting the coupling sleeve, and when reaching the coupling groove, radially inward. I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into and be inserted into and constrained in the coupling groove while advancing the coupling sleeve.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켓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소켓에 씌워지는 캡(cap)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cap covered with the socket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ocke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래치를 갖는 소켓과 상기 소켓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와 소켓이 서로 결합되는 동안 소켓의 래치는 이의 주변에 배치되는 플러그의 부재들에 의해 선택적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면서 플러그에 형성된 결합홈을 접근가능하게 노출시키고 이 내부에 삽입 및 구속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동은 래치의 구성과 주변 부재들의 최적의 배치로 인해, 플러그와의 결합되는 동안의 소켓의 상대적 이동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를 소켓에 밀어붙이는 단일의 동작만으로도 래치에 의해 소켓과 플러그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과정을 거쳐, 플러그를 소켓으로부터 잡아당기는 단일의 동작만으로도 소켓과 플러그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ocket having a latch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and a plug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socket. While the plug and the socket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latch of the socket protrudes radially or protrudes inward in the radial direction selectively by the members of the plug disposed around it to expose the engaging groove formed in the plug to be accessible and Can be inserted and restrained. This series of operations can be performed only by relative movement of the socket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plug,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latch and the optimal arrangement of peripheral members. Accordingly, the socket and the plug can b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latch with only a single operation of pushing the plug into the socket. In addition, through the reverse process, the socket and the plug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a single operation of pulling the plug from the socket.
따라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 소켓 및 플러그는 적은 작업으로 신속하게 전기 케이블을 전기장치에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증가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ket and plug can quickly couple the electric cable to the electric device with little work, and thus workability and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 케이블, 즉 플러그와 결합되지 않을 때 소켓을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캡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효과적으로 폐쇄하도록 최적화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의 완전한 밀폐를 위해 다양한 개스킷들로 구성된 내부 밀폐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ap configured to close the socket when not engaged with the electrical cable, ie the plug. Such a cap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optimized to effectively close the s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more,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internal sealing mechanism composed of various gaskets for complete sealing of the socket.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소켓은 완전하게 폐쇄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소켓내에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소켓을 통해 이에 연결된 전기장치 자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외부 이물질에 의한 감전, 합선 및 부품의 고장등과 같은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어셈블리 뿐만 아니라 이에 연결된 전기장치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cket is completely closed, so that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socket. In addition, foreign matter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entering the electric device itself connected thereto through the socket. For this reason, the connecto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electric shock, short circuit, and component failure caused by external foreign substances, and accordingly,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not only the connector assembly but also the electrical device connected thereto can be greatly improved. can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함께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effects not mentioned are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more clearly understandable to you.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플러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과정들을 나타내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서로 결합된 소켓 및 플러그를 보여주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소켓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캡이 소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다.
도 10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 소켓 및 캡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에 포함된 다양한 밀폐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3 is a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assembly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coupling processes between a socket and a plu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the socket and plug mated together.
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p of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ocket.
9 is a partial sid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ap is coupled to a socket.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ocket and cap fully engaged with each other;
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various sealing structures included in a socket of a connector assembly.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케이블용 커넥터 어셈블리의 예들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된다.Examples of connector assemblies for electrical cab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러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se examples,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uni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meanings or role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xample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alternatives.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에서, "이루어진다(comprise)",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같은 이유에서, 본 발명은 개시된 발명의 의도된 기술적 목적 및 효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앞선 언급된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 관련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의 조합으로부터도 일부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등이 생략된 조합도 포괄하고 있음도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n addition, for the same reason,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provide some features from combinations of rel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and parts described using the above-mentioned terms, unless departing from the intended technical purpose and eff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However,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combinations in which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etc. are omitted are also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플러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정면도 및 부분단면도이며, 도 4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끝으로,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얻어진 플러그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전기 케이블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이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lug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 3 is a side view, a front view, and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of FIG. 1,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Finally,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assembly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a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on of an electric cable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예들은 다양한 형태의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는 매체인 전기 케이블(C)을 소정의 전기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200)에 관한 것이다. 앞서 종래기술에서도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전기 케이블(C)은 외부의 전원과 전기장치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상기 전기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전원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기 케이블(C)은 상기 전기장치, 즉 통신장치와 다른 이격된 통신장치사이의 통신을 위해 전기 신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케이블이 될 수 있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전원 또는 통신 케이블로 이루어지는 전기 케이블(C)을 의도된 전기장치에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100,200)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설명된 커넥터 어셈블리(100,200)의 예들은 이들의 원리(principle) 및 구성(configuration)에 대한 실질적인 변형없이 전기 및 전기신호이외에 다른 전기적 상태량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케이블의 연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Example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plug)(100)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socket)(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플러그(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C)과 일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소켓(200)은 소정의 전기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소켓(200)이 결합되면, 이러한 물리적 결합에 의해 전기적 결합 또는 연결이 달성된다. 따라서, 결합된 플러그(100) 및 소켓(200), 즉 연결 또는 조립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해 전기장치는 전기 케이블(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포함한 다양한 전기적 에너지 또는 상태량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100) 및 소켓(200)의 결합시, 플러그(100)의 전방부, 즉, 소켓(200)을 마주하는 플러그(100)의 끝단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소켓(200)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견고한 결합을 위해, 소켓(200)의 전방부, 즉 플러그(100)를 마주하는 소켓(200)의 끝단부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플러그(100)내에 삽입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 , a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
다음의 커넥터 어셈블리 자체 및 그 구성요소들의 설명에서, "전방"은 결합될 대상장치(즉, 플러그(100)에 대해서는 소켓(200), 소켓(200)에 대해서는 플러그(100))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를 의미하며, "후방"은 그와 같은 대상장치에 상대적으로 먼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기준위치(즉, 상대적 근접 및 이격)에 상대적인 것으로, 기준위치의 변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의 구성요소들의 해당부위에 대한 정의도 달라질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itself and its components that follow, "front" refers to a relatively close proximity to the target device to be coupled (i.e.,
또한, 커넥터 어셈블리, 즉 플러그(100) 및 소켓(200)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인 연결을 위해 결합되는 다른 구성요소를 수용하면서 전체적으로 감싸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다음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중공 실린더 구조 또는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다음에서 특별히 다른 설명이 없는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도시된 예들에서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구성요소들은 원형 단면을 가지나 이외에도 다른 형상, 예를 들어 삼각, 또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the
더 나아가,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의 메인 구성요소, 즉 플러그(100) 및 소켓(200)은 중공 실린더 구조를 가지므로, 특별히 반대되는 설명이 없는 경우, 이들 구성요소(100,200)에 제공되는 모든 추가적인 부재 및 구조는 이들(100,200)의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되거나, 커넥터 어셈블리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외주부 또는 내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 또는 형성될 수 있다.Furthermore, as mentioned above, since the main components of the connector assembly, that is, the
이러한 전제하에서,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플러그(100)는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그 내부공간에 다양한 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기 케이블(C)도 상기 내부부품들과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10)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후술되는 다양한 내부부품들(130,140)의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110)은 서로 결합된 두 개의 제 1 및 제 2 하우징(110a,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우징(110a)은 플러그(100), 정확하게는 하우징(110)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2 하우징(110b)은 상대적으로 하우징(110)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 1 및 제 2 하우징(110a,110b)는 서로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부에는 밀폐를 위해 탄성 링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Under this premise, to describe the connector assembly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S. 1 and 2 , first, the
제 1 하우징(110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소켓(200)과의 결합을 위한 다양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a)은 후술되는 결합 슬리브(120)의 설치를 위한 다양한 구조들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이러한 제 1 하우징(110a)의 결합 및 설치구조가 설명되며, 제 1 하우징(110a)이 하우징(110)의 일부이므로 결합 및 설치구조의 특징들은 하우징(110) 자체의 특징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먼저, 제 1 하우징(110a)은 이의 몸체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111)은 후술되는 소켓(200)의 래치(220)가 이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의 세부적인 기능은 상기 래치(2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결합홈(111)은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로부터 소정거리로 뒤쪽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결합홈(111)의 위치는 소켓(200)의 크기 및 상기 소켓(200)내의 래치(220)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a)는 도 7을 참조하면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의 내경에 해당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하우징(110a)이 소켓(200)내에 삽입될 때,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는 몸체(210)의 내주면과 접촉하거나 매우 근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몸체(210)에 배치된 래치(220)를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또한, 래치(2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First, the
또한, 제 1 하우징(110a)은 결합홈(111)의 후방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이의 몸체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텝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텝부(112)는 소켓(200)의 전방 끝단부에 걸리며, 이에 따라 플러그(100)내로의 소켓(20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0a)은 결합홈(111) 및 스텝부(112)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키부재(key member)(113)를 포함할 수 있다. 키 부재(113)은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외주부를 따라 연장되는 키 홈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키 부재(113)는 후술되는 결합 슬리브(120)가 제 1 하우징(110a)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결합 슬리브(120)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이의 세부적인 기능은 상기 결합 슬리브(1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더 나아가, 키 부재(113)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플랜지(114)가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14)는 제 1 하우징(110a)의 반경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동시에 이의 원주방향으로도 연장될 수 있다. 플랜지(114)는 후술되는 탄성부재(124)와 함께 결합 슬리브(1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이의 세부적인 기능은 상기 결합 슬리브(120)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In addition, the
또한, 플러그(100)는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중공 부재, 정확하게는 슬리브(sleeve)로 이루어지는 결합 슬리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슬리브(120)는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슬리브(120)의 구성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와 제 1 하우징(110a)사이에는 소정의 공간(S)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가 소켓(200)과 결합될 때,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가 상기 소켓(220)내에 삽입되는 동안, 상기 소켓(220)은 제 1 하우징(110a)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에 삽입되며, 결합 슬리브(120)는 상기 소켓(220)을 구속하여 플러그(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 슬리브(120)는 실린더 형상의 중공부재인 몸체(1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슬리브(120)는 몸체(121)의 전방 끝단부에 배치되는 림(rim)(122)를 포함할 수 있다. 림(122)은 소켓(200)의 외경 및 몸체(121)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림(122)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확장된 입구를 가지게 되며, 이에 따라 소켓(200)이 공간(S)내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다. 반면, 몸체(121)의 내경은 소켓(200)의 외경에 상당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이 공간(S)내에 삽입될 때, 상기 몸체(121)의 내주부는 상기 소켓(200)의 몸체(210)의 외주부에 접촉하거나 상당히 인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소켓(200)의 몸체(210)에 설치된 래치(220)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몸체(121)의 기능은 래치(220)와 관련하여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몸체(121)와 림(122)사이에는 스텝부(123)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123)는 앞서 설명된 몸체(121) 및 림(122)의 내경들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슬리브(120)의 내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스텝부(123)는 후술되는 소켓(200)의 래치(220)가 걸리도록 구성되며, 이의 기능에 대해서는 나중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래치(220)가 스텝부(123)에 원활하게 걸리고 이후 이로부터 분리되게 하기 위해, 상기 스텝부(123)는 결합 슬리브(120)의 내주부에서 경사지게 배향될 수 있다. 즉, 스텝부(123)는 래치(220)가 걸리는 경사진 표면을 가지며, 이러한 경사진 표면은 결합 슬리브(120)의 내주부 또는 내주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결합 슬리브(120)는 하우징(110), 정확하게는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운동을 위해, 결합 슬리브(120)는 이의 내주부로부터 반경방향 안쪽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는 플랜지(12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124)는 결합 슬리브(120)의 후방 끝단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제 1 하우징(110a)의 키부재(113)와 플랜지(114)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플랜지(124)가 키부재(113)에 걸리므로, 결합 슬리브(120)는 상기 키부재(113)에 의해 이의 전방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며, 플랜지(124)가 플랜지(114)에 걸리므로, 결합 슬리브(120)의 후방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된다. 즉, 결합 슬리브(120)는 실질적으로 키부재(113)과 플랜지(114)사이의 거리로 이의 전 후방 방향, 즉 플러그(100)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120)의 플랜지(124)와 제 1 하우징(110a)의 플랜지(114) 사이에 는 탄성부재(125)가 개재될 수 있다. 탄성부재(125)는 결합 슬리브(120)가 외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때, 압축되며, 상기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하면서 결합 슬리브(120)에 전방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탄성부재(125)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키부재(113)의 위치까지 전방방향으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결합 슬리브(120)는 하우징(110)의 끝단부의 외주부상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플러그(100)의 길이방향 중심축 방향으로 연속적인 후퇴 및 전진, 즉 연속적인 이동 및 복귀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운동을 하면서, 결합 슬리브(120)는 소켓(200)의 래치(220)가 결합홈(111)에 삽입되게 허용한후 상기 래치(220)를 상기 결합홈(111)내에 구속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작동에 의해 플러그(100)와 소켓(200)의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은 후술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the
또한, 플러그(100)는 하우징(110)내에 배치되는 제 1 터미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터미널(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C)와 결합되어 상기 전기 케이블(C)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터미널(130)은 제 1 인슐레이터(insulator)(131)와 상기 제 1 인슐레이터(131)내에 수용되는 하나이상의 제 1 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31)은 전기절연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가 플러그(100)의 몸체, 즉 하우징(110)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슐레이터(131)는 이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 1 관통공(133)을 포함하며, 제 1 핀(132)이 상기 관통공(133)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인슐레이터(131)는 제 1 핀(132)를 감싸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핀(132)는 실제적으로 긴 길이를 가지므로, 제 1 관통공(133)과 제 1 핀(132)사이에 공차가 발생하면, 제 1 핀(132)과 제 1 인슐레이터(131)의 조립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슐레이터(131)는 서로 분리된 두개의 몸체들, 즉, 제 1 및 제 2 보조 인슐레이터들(131a,1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보조 인슐레이터(131a)는 제 1 인슐레이터(131)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2 보조 인슐레이터(131b)는 제 1 인슐레이터(13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제 1 인슐레이터(131)의 밀폐를 위해 제 1 및 제 2 보조 인슐레이터들(131a,131b)사이에는 개스킷(131c)이 개재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제 1 핀(132)은 대체적으로 솔리드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 또는 전기 신호를 소켓(200), 정확하게는 후술되는 이의 제 2 터미널(230)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핀(132)는 제 1 인슐레이터(131), 정확하게는 이의 관통공(133)을 따라 플러그(100)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핀(132)의 후방 끝단은 전기 케이블(C)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핀(132)의 전방끝단은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제 2 터미널(230)과 결합되도록 제 1 인슐레이터(132)의 전방 끝단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제 1 터미널(130)은 하우징(110)의 내주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130)의 외주부, 즉 제 1 인슐레이터(132)의 외주부에는 스텝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텝부가 하우징(110)의 내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터미널(130)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하우징(1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130)는 이의 외주부와 하우징(110)의 내주부사이에 개재되는 금속재질의 링 부재(135), 예를 들어 C-링 부재에 의해 상기 하우징(110)에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 부재(135)는 제 1 터미널(13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하우징(1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 및 제 1 터미널(130)의 외주부, 즉 제 1 인슐레이터(132)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홈(134)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링부재(135)에 의해, 제 1 터미널(130)은 플러그(100)의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플러그(100)에 고정될 수 있다.Such a
또한, 플러그(100)는 하우징(110), 정확하게는 제 2 하우징(110b)의 후단부에 끼워지는 부싱(140) 및 상기 제 2 하우징(110b)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백 너트(back nut)(150)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140)은 변형되면서 전기 케이블(C)를 붙잡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변형이 용이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싱(140)은 이의 외주부에 설치되는 탄성 링 부재(141)를 포함하며, 상기 링 부재(141)와 제 2 하우징(110b)의 내주부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제 2 하우징(110b) 후방 끝단부내에 움직이지 않게 압입될 수 있다. 또한, 백 너트(150)의 후단부(151)는 점차적으로 축소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백 너트(150)가 제 2 하우징(110b)의 후단부에 체결되면, 이의 후단부(151)에 의해 부싱(140)은 압축되면서, 전기 케이블(C)을 플러그(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견고하게 붙잡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200)은 중공 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켓(200)과 플러그(100)가 결합될 때,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정확하게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부는 몸체(210)내에 삽입되며, 동시에 상기 몸체(210)는 상기 제 1 하우징(110a)와 결합 슬리브(120)사이, 즉 공간(S)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몸체(210)는 이의 외주부로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라켓(2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211)을 이용하여 소켓(200)은 전기장치에 고정될 수 있다. 몸체(210)는 이의 전방 끝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홈(212)과 이에 결합되는 탄성 링 부재(2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부재(213)는 소켓(200)과 플러그(100)가 결합될 때, 결합 슬리브(120), 정확하게는 이의 림(122)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이에 따라 이물질이 공간(S)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공간(S)를 폐쇄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또한, 소켓(200)은 몸체(210)에 제공되며, 상기 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래치(latch)(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래치(220)는 몸체(210)의 두께보다 큰 두께 또는 높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볼 부재인 래치(220)는 몸체(210)의 반경방향 두께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래치(220)는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거나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210)는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외경에 상당하는 내경과 결합 슬리브(120)의 몸체(121)의 내경에 상당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몸체(210)이 공간(S)내에 삽입되면 몸체(210)의 내주부는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210)의 외주부는 상기 결합 슬리브(210)의 몸체(121)의 내주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접촉들은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몸체(210)의 삽입정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몸체(210)의 내주부가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와 접촉 또는 인접하는 동안 래치(220)는 상기 제 1 하우징(110a)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즉 몸체(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몸체(210)의 외주부가 결합 슬리브(210)의 몸체(121)의 내주부와 접촉 또는 인접하는 동안 상기 몸체(121)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되어 반경방향 안쪽으로, 즉 몸체(210)의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적 접촉 및 선택적 돌출에 의해 래치(220)는 결합홈(111)에 삽입되어 소켓(200)과 플러그(1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와 하우징(110)을 서로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도 6 및 도 7에 기초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In addition, the
보다 상세하게는, 소켓(200)은 이러한 래치(220)을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정적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용구조로서, 소켓(200)은 도 3(a) 및 이의 부분 단면도에서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에 형성되는 관통공(221) 및 상기 관통공(221)내에 수용되는 리테이너(222)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공(221)은 래치(220)의 반경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몸체(210)의 반경방향으로 연장 및 배향될 수 있다. 리테이너(222)는 래치(220)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래치(220)을 수용하는 관통공(222a)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의 관통공(221)과 마찬가지로, 리테이너(222)의 관통공(222a)도 래치(22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반경방향으로 연장 및 배향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222)는 몸체(210)의 외주부에 인접하는 이의 외부표면 또는 외주부에 제공되는 제 1 스토퍼(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222b)는 관통공(222a)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브(rib)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통공(222a)를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래치(220)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유사하게, 소켓(200)은 몸체(210)의 내주부에서 관통공(221) 주위에 제공되는 제 2 스토퍼(22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스토퍼(221a)는 관통공(221)의 가장자리로부터 안쪽으로 연장되는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통공(221)을 부분적으로 폐쇄하여 래치(220)의 반경방향 안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관통공(221) 및 리테이너(222)에 의해, 래치(220)는 몸체(21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상기 관통공(221) 및 리테이너(222)내에서 수용되면서 안정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몸체(210)가 하우징(110)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에 삽입되는 동안, 래치(220)는 반경방향 바깥쪽 또는 안쪽으로 돌출되도록 하우징(110) 또는 결합 슬리브(120)와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접촉동안 래치(220)와 하우징(110)/결합 슬리브(120)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마찰에 의해 몸체(210)의 삽입이 원활하게 수행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마찰을 줄이기 위해, 래치(220)는 몸체(210)내에서, 정확하게는 리테이너(222)내에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회전가능하도록 래치(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한편 유사하게 롤러(roll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래치(220)는 몸체(210)가 하우징(110) 또는 결합 슬리브(120)와 접촉 또는 인접하면서 공간(S)내에 삽입되는 동안, 리테이너(222)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하우징(110) 또는 결합 슬리브(120)상을 구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래치(220)에 의해 몸체(210)는 실질적인 마찰없이 원활하게 하우징(110)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에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또한, 소켓(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내에 배치되는 제 2 터미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터미널(230)은 전기장치의 내부부품들에 결합되어 상기 부품들과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터미널(230)은 제 2 인슐레이터(insulator)(231)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는 하나이상의 제 2 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31)은 전기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소켓(200)의 몸체(210)로의 누전 및 이로 인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슐레이터(231)는 이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관통공(233)을 포함하며, 제 2 핀(232)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공(133)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제 1 인슐레이터(131)과 마찬가지로, 제 2 인슐레이터(231)도 제 2 핀(232)를 감싸면서 수용하는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 1 핀(132)와 마찬가지로 제 2 핀(232)도 소켓(200)의 몸체(210)를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실제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 2 관통공(233)과 제 2 핀(232)사이에 공차가 존재하면, 긴 길이로 인해 제 2 핀(232)을 제 2 관통공(233)를 따라 삽입시키면서 제 2 인슐레이터(231)에 적절하게 조립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인슐레이터(231)는 서로 분리된 두개의 몸체들, 즉, 제 3 및 제 4 보조 인슐레이터들(231a,23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3 보조 인슐레이터(231a)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전방부를 형성하며, 제 4 보조 인슐레이터(231b)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후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할된 제 2 인슐레이터(231)의 밀폐를 위해 제 3 및 제 4 보조 인슐레이터들(231a,231b)사이에는 개스킷(231c)이 개재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4 , the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이 결합될 때, 실제적으로 제 1 터미널(130)의 제 1 핀(132)이 제 2 터미널(230)의 제 2 핀(232)과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핀(132)이 솔리드한 부재로 이루어지므로, 제 2 핀(232)은 이러한 제 1 핀(132)과의 결합을 위해, 파이프 또는 튜브 부재, 즉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receptac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이 결합될 때, 제 1 핀(132)은 해당 제 2 핀(232)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제 2 핀(232)의 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제 2 핀(232)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 앞서 설명된 것과 반대로 제 1 핀(132)가 중공의 리셉터클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제 2 핀(232)가 솔리한 부재로서 상기 제 1 핀(132)에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제 1 핀(132)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 2 핀(232)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결합된 제 1 핀(132)을 통해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기 또는 전기신호를 전달받아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핀(232)는 제 2 인슐레이터(231), 정확하게는 이의 관통공(233)을 따라 소켓(200)의 중심축에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핀(232)의 후방 끝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의 몸체(210) 외부로 돌출되어 전기장치의 내부 부품들과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핀(232)의 전방끝단은 제 1 터미널(130)의 제 1 핀(132)과 결합되도록 제 2 인슐레이터(231)의 관통공들(233)과 정렬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이와 같은 제 2 터미널(230)은 소켓(200)의 몸체(210)의 내주부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터미널(230)의 외주부, 즉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에는 스텝부가 형성되며, 상기 스텝부가 몸체(210)의 내주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몸체(210)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2 터미널(230)은 소정의 체결부재에 의해 몸체(210)에 체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터미널(230)는 이의 외주부와 몸체(210)의 내주부사이에 개재되는 금속재질의 링 부재(235), 예를 들어 C-링 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210)에 체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링 부재(235)는 제 2 터미널(23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재로서,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 및 제 2 터미널(230)의 외주부, 즉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에 형성되는 홈(234)내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링부재(235)에 의해, 제 2 터미널(230)은 소켓(200)의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소켓(200)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소켓(200)의 몸체(210)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200) 또는 제 2 터미널(230)은 제 2 인슐레이터(231)와 몸체(210)사이에 개재되는 보조 개스킷(231d)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개스킷(231d)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몸체(210)의 내주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보조 개스킷(231d)는 몸체(210)의 개방된 전방 끝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 및 소켓(200)이 결합될 때, 보조 개스킷(231d)은 이를 지지하는 몸체(210)의 스텝부와 함께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정확하게는 제 1 하우징(110a)의 끝단부의 삽입을 제한할 수 있다. 즉, 보조 개스킷(231d)은 플러그(100)의 삽입 깊이를 제한하는 스토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The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와 소켓(200)이 결합될 때, 의도된 전기적 연결을 얻도록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을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플러그(100) 및 소켓(200)이 서로 정확하게 정렬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100) 및 소켓(200)을 서로 정렬시키도록 구성되는 정렬 구조 또는 정렬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은 제 1 및 제 2 터미널(130,230)의 정확한 결합으로부터 수립되므로, 정렬구조는 제 1 터미널(130)을 제 2 터미널(230)에 정확하게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고 설명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터미널들(130,230)의 결합은 제 1 및 제 2 핀들(132,232)의 결합을 요구하므로, 최종적으로 정렬구조는 제 1 핀(132)과 제 2 핀(232)을 정확하게 정렬시키도록 구성된다고도 정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러한 정렬구조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에 제공되는 돌기들(115a,115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렬구조로서, 소켓(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몸체(210)의 내주부 전방 끝단부에 형성되는 홈(215a,215b)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들(115a,115b)은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의 외주부상에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홈들(215a,215b)은 몸체(210)의 전방 끝단부의 내주부상에 마찬가지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소켓(200)이 결합될 때, 돌기들(115a,115b)이 홈들(215a,215b)에 정렬되지 않으면,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은 소켓(200)의 몸체(210)내로 삽입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돌기들(115a,115b) 및 홈들(215a,215b)은 서로 결합되면서 실질적으로 제 1 및 제 2 핀들(132,232)를 서로 정렬시키며, 이들 핀들(132,232)의 정확한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15a,215b)은 서로 다른 원주방향 길이, 즉 폭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돌기들(115a,115b)도 서로 다른 원주방향 길이, 즉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로 동일한 폭을 갖는 돌기들(115a,115b) 및 홈들(215a,215b)만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is alignment structure may include
또한, 도 2 특히, A-A의 단면부 및 이러한 단면부를 확대한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추가적인 정렬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 1 핀(132) 및 이를 수용하는 제 2 핀(232)사이에 공차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핀(132)는 상기 제 2 핀(232)내에 삽입되면서 원주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으며, 이러한 비틀림에 의해 제 1 터미널(130)도 전체적으로 비틀릴 수 있다. 이외에도 다른 여러 주변 부품들에서도 공차가 발생하거나 다른 여러 이유들로 인해서도 플러그(100)와 소켓(200)의 결합시 제 1 터미널(130)의 비틀림 및 이에 포함된 제 1 핀(132)의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만일 제 1 핀(132) 및 제 1 인슐레이터(131)가 플러그(100)의 하우징(110)에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하게 구속되는 경우, 이러한 비틀림이 크게 발생되면 플러그(100) 및 소켓(200)의 결합동안 제 1 인슐레이터 및 핀(131,132)의 변형 및 더 나아가 파손도 발생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 in particular, a cross-section of A-A and FIG. 5 in which the cross-section is enlarged,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n additional alignment structure. If there is a tolerance between the
이러한 이유로, 추가적인 정렬구조는 플러그(100)의 하우징(110)의 내주부로부터 돌출되는 리브(117) 및 제 1 터미널(130), 정확하게는 제 1 인슐레이터(131)의 외주부에 형성되어 상기 리브(1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세스(131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세스(131d)의 원주방향 길이, 즉 폭은 리브(117)의 원주방향 길이, 즉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세스(131d) 및 리브(117)는 제 1 터미널(130)을 하우징(110)에 결합시키면서도, 상기 제 1 터미널(130), 즉 제 1 인술레이터(131) 및 제 1 핀(132)을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추가정렬구조, 즉 리세스(131d) 및 리브(117)는 제 1 터미널(130)에 원주방향으로 비틀림이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비틀림에 대해 제 1 터미널(130)을 구속하는 대신에 가해진 원주방향 비틀림과 같은 방향으로 제 1 터미널(130)을 회전시키도록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으로 인해, 가해진 비틀림은 제 1 터미널(13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쇄될 수 있으며, 제 1 터미널(130)은 더욱 정확하게 제 2 터미널(230)에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 1 터미널(130)은 원주방향을 따라 연정되는 링 부재(135)에 의해 체결되므로, 이러한 링부재(135)에 의해 가해진 비틀림으로 인한 제 1 터미널(13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터미널(130)은 링 부재(130)와 함께 하우징(110)내에 형성된 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링 부재(135) 및 이를 수용하는 홈들도 상술된 추가 정렬구조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리세스(131d) 및 리브(117)는 제 2 보조 인슐레이터(131b)에 제공되나, 동일한 리세스(131d) 및 리브(117)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인슐레이터(131a)에도 제공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additional alignment structur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상술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은 이의 작동에 의해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이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or assembl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its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such a connecto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related drawings.
도 6은 소켓과 플러그의 결합과정들을 나타내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7은 서로 결합된 소켓 및 플러그를 보여주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도 5도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동과 관련된 특징들을 잘 보여주므로, 다음에서 함께 참조된다.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showing coupling processes between a socket and a plug,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or assembly showing a socket and a plug coupled to each other. Figures 1-5 also illustrate featur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nd are therefore referenced together in the following.
일반적으로 전기장치는 소정의 장소에 고정되며, 이러한 고정된 전기장치에 전기 케이블(C)이 이동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100)와 소켓(200)의 결합을 위해, 전기 케이블(C)의 플러그(100)가 고정된 전기장치의 소켓(200)으로 밀어붙여지게 된다.In general, an electric device is fixed in a predetermined place, and an electric cable (C) can be moved and coupled to this fixed electric device. Therefore, for coupling of the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00)가 소켓(200)쪽으로 밀어붙여지면, 상기 플러그(100)의 하우징(110), 즉 제 1 하우징(110a)이 상기 소켓(200)의 몸체(210)내로 진입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동시에, 소켓(200)의 몸체(21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제 1 방향(A)으로 진입하면서 제 1 하우징(110a)과 결합 슬리브(120)사이의 공간(S)내로 삽입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a) , when the
이와 같이, 몸체(210)가 제 1 하우징(110a)의 전방 끝단부로부터 공간(S)내로 이동하는 동안 몸체(210)의 내주부는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와 매우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220)는 제 1 하우징(110a)의 외주부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어 반경방향 바깥쪽, 즉 몸체(21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돌출은 래치(220)가 제 1 하우징(110a)에 의해 가압되는 동안, 즉 결합홈(111)에 도달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돌출된 래치(22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슬리브(210) 즉 이의 내주부, 더 정확하게는 스텝부(12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00)의 밀어붙임 또는 삽입이 진행됨에 따라, 즉 몸체(210)의 상대적인 제 1 방향(A)으로의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몸체(210)의 이동, 즉 전진과 함께 래치(220)에 걸린 결합 슬리브(120)도 제 2 방향(B)으로 이동 즉, 후퇴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방향(B)으로의 후퇴동안, 결합 슬리브(120)는 탄성부재(125)를 압축시키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며, 결합홈(111)을 래치(220)가 접근가능하게 상기 래치(220)에 노출 또는 개방시킬 수 있다. In this way, while the
이 후, 래치(220)가 몸체(210)의 제 1 방향(A)로의 계속적인 이동에 따라 결합홈(111)까지 이동되면, 스텝부(123)의 표면과 상기 결합홈(111)의 엣지와 접촉한 상태로 구름운동을 하면서, 원활하게 상기 결합홈(111)내에 진입할 수 있다. 이러한 진입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 즉 이의 몸체(121) 내주부는 몸체(210)의 외주부와 매우 근접하거나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래치(220)는 결합 슬리브(120)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되어 몸체(210)의 반경방향 안쪽, 즉 몸체(210)의 내부로 돌출되어 결합홈(111)내에 삽입되고 걸리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래치(220)가 몸체(210) 내부로 돌출되면, 더 이상 상기 몸체(210)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결합 슬리브(120)는 래치(2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에 의해, 즉 가해진 외력의 제거에 의해 탄성부재(125)는 복원되며, 이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제 3 방향(C)으로 이동 또는 복귀, 즉 전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제 3 방향(C)으로의 전진에 의해, 결합 슬리브(120)는 원 위치로 복귀되면서, 래치(220)를 덮으면서 계속적으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슬리브(120)는 래치(220)를 결함홈(111)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구속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속에 의해 플러그(100)과 소켓(20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100)를 소켓(200)으로 푸쉬(push)하는 것만으로, 플러그(100)의 결합 슬리브(120)는 후퇴 및 전진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면서 래치(220)를 결합홈(111)에 로딩(loading)하면서도 동시에 락킹(locking)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200)에 대한 플러그(100)의 푸쉬와 같은 단일 조작 또는 액션(action)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플러그(100)와 소켓(200)을 결합시키고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C)를 전기장치에 연결할 수 있다.Thereafter, when the
다른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과 플러그(100)가 결합된 경우, 결합 슬리브(120)를 제 4 방향(D)으로 이동 즉, 후퇴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플러그(100)는 소켓(200)으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다. 즉, 결합 슬리브(120)를 잡은 상태로 플러그(100)을 잡아당기면, 상기 결합 슬리브(120)가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플러그(100)가 소켓(200)으로부터 잡아당겨질 수 있다. 결합 슬리브(120)가 이러한 잡아당김동안 후퇴되면, 래치(220)는 결합 슬리브(120)로부터 해제될 수 있으며, 결합홈(1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된 결합과정과 반대의 과정들을 통해, 즉각적으로 소켓(200)으로부터 플러그(100)는 분리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결합 슬리브(120)을 후퇴시키면서 플러그(100)를 소켓(200)으로부터 잡아당기는(pull) 것만으로, 래치(220)를 결합홈(111)에 언로딩(unloading)하면서도 동시에 언락킹(unlocking)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100)를 잡아당기는 단일 조작 또는 액션(action)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상기 플러그(100)와 소켓(200)을 분리시키고 이에 의해 전기 케이블(C)를 전기장치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 when the
한편, 커넥터 어셈블리의 보다 향상된 성능을 위해, 앞서 설명된 구성에 추가적으로 상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다양한 부속장치 또는 부속구조(accessory)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or more improved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assembly, the connector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various attachments or accessories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추가적 부속장치의 일 예로서, 도 8-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어셈블리는 소켓(200)에 씌워지는 캡(cap)(300)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소켓(200)은 전기장치에 설치되어 플러그(100)와의 결합을 통해 전기 케이블(C)로부터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전기장치의 내부부품들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소켓(200)은 기본적으로 전기장치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100)의 결합을 위해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는 개방된 전방부, 즉 개방된 입구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플러그(100)가 소켓(200)으로부터 분리되면, 소켓(200), 즉 이의 입구는 개방되며, 이러한 개방된 입구를 통해 수분, 먼지등과 같은 이물질이 소켓(200) 뿐만 아니라 상기 소켓(200)을 통해 전기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합선, 감전, 고장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플러그(100)가 분리되면, 캡(300)은 소켓(200)의 전방부를 덮어 소켓(200)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으며, 이물질 유입에 의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n additional accessory device, as shown in FIGS. 8 to 10 , the connector assembly may include a
이와 같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캡(300)은 앞서 설명된 기본적인 기능에 추가적으로 보다 향상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으며, 이러한 캡(300)의 상세한 구성이 다음에서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The
도 8은 소켓에 결합되게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캡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9는 캡이 소켓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부분 측면도이며, 도 10은 서로 완전하게 결합된 소켓 및 캡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다음에서,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여, 캡(300)이 결합되는 소켓(200)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소켓(200)은 이미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므로, 소켓(200)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만이 설명되며, 나머지 구성들에 대해서는 앞서 도 1-도 7에 따른 설명들이 그대로 적용되며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8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cap of a connector assembly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socket. Also, FIG. 9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cap is coupled to the socket, and FIG. 10 is a side view showing the socket and the cap complete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e following, with reference to these drawings, a description will be made with respect to the
도 8-도 9를 참조하면, 캡(300)은 소켓(200)의 폐쇄를 위해 상기 소켓(200), 상세하게는 적어도 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소켓(200)의 전방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체(31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310)는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가지며, 소켓(200) 전방부 끝단의 개방된 입구를 덮도록 폐쇄되는 전방부 및 상기 소켓(200) 전방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개방된 후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310)는 소켓(200), 정확하게는 이의 몸체(210)의 외주부를 감싸는 원통형 사이드 월(side wall)(312) 및 사이드 월(312)의 전방 끝단에 배치되어 상기 전방끝단을 폐쇄하는 프론트 페이스(front face)(31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8 and 9 , the
또한, 캡(300)은 도 8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 정확하게는 이의 프론트 페이스(311)에 제공되는 보스(boss)(3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320)는 보다 상세하게는, 프론트 페이스(311)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은 소켓(200)과 상기 캡(300)을 연결하는 스트랩(strap)(33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트랩(330)의 어느 하나의 끝단은 캡(300), 즉 이의 몸체(310)의 보스(320)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330)의 다른 하나의 끝단은 소켓(200), 예를 들어 이의 몸체(210) 또는 브라켓(211)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스트랩(330)의 다른 하나의 끝단은 소켓(200)대신에 전기장치, 예를 들어, 이의 하우징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캡(300)은 스트랩(330)에 의해 소켓(200)에 항상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소켓(200)으로부터 플러그(100)가 분리되면 바로 상기 소켓(200)을 폐쇄하도록하도록 상기 소켓(20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s well shown in FIG. 8 , the
이와 같은 캡(300)은 앞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소켓(200)의 외주부에 밀폐를 위해 제공된 링 부재(213)(이하, 밀폐부재(213))와 이의 몸체(310)의 내주면의 긴밀한 접촉에 의해 상기 소켓(200)과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해 캡(300) 및 소켓(200)에는 추가적인 결합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 메커니즘으로써, 먼저 캡(300)은 몸체(310), 정확하게는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 후방부에 제공되는 제 1 결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캡(300)과의 결합을 위해, 소켓(200)은 이의 몸체(210) 외주면상에 제공되며, 상기 캡(300)의 제 1 결합부(340)와 결합되게 구성되는 제 2 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에는 다양한 결합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나사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은 서로 회전에 하면서 결합되는 나사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Such a
캡(300)이 소켓(200)의 전방부에 씌워진 상태로 작업자에 의해 회전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의 나사들이 상호 결합되면서, 캡(300)을 소켓(2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캡(300), 즉 사이드 월(312)의 외주면상에는 다수개의 리브(rib)(314)가 형성되며, 작업자는 리브(314)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캡(3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캡(300)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200)의 외주부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상기 캡(300)의 사이드 월(312)은 밀폐부재(213)과 접촉하면서 상기 소켓(200)의 외주부를 감싸게 되며, 상기 캡(300)의 프론트 페이스(311)은 상기 소켓(200) 전방부 끝단의 개방된 입구를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캡(300)에 의해 소켓(200)의 측부, 즉 외주부 뿐만 아니라 전방 끝단도 폐쇄되며,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소켓(200)의 내부 및 전기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한편, 만일 캡(300)과 소켓(200)이 결합될 때, 소켓(200)의 밀폐부재(213)가 캡(300)의 내주면의 후방부에 바로 접촉하면, 밀폐부재(213) 앞쪽에 존재하는 소켓(200)과 캡(300)의 사이의 상당히 큰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캡(300)과 소켓(300)의 결합이 진행되면, 즉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사이의 나사결합에 의해 캡(300)이 소켓(200)에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면 이러한 밀폐된 공간이 압축되면서 큰 압력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캡(300)의 이동, 즉 캡(300)과 소켓(200)의 결합이 방해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이러한 이유로,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의 후방부, 즉 제 1 체결부(340)는 밀폐부재(213)의 직경(P)보다 큰 직경(D1,D2)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캡(300)이 소켓(200)에 결합되기 시작할 때, 제 1 체결부(340), 즉 캡(300)의 내주면 후방부가 밀폐부재(213)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300)의 이동 및 결합을 방해하는 밀폐 및 이로 인한 내압이 바로 발생되지 않으며, 캡(300)과 소켓(200)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reason, as well shown in FIG. 9, the rear portion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340)는 나사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나사의 골부(bottom)(341)가 형성하는 외경, 즉 제 1 직경(D1) 및 산부(peak)(342)가 형성하며 상기 외경(D1)보다 작은 내경, 즉 제 2 직경(D2)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제 1 직경(D1)이 적어도 밀폐부재(213)의 외경(P)보다 크게 설정되면, 산부(342)가 밀폐부재(213)와 접촉하는 경우에도,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사이의 나사결합이 진행되면서 제 1 결합부(340)가 계속 이동하므로, 그와 같은 접촉은 일시적으로만 발생하며 제 1 결합부(340)와 밀폐부재(213)사이의 밀폐가 형성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의 밀폐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직경(D1)은 적어도 밀폐부재(213)의 직경(P)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2 직경(D2)이 밀폐부재(213)의 외경(P)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1 결합부(340)는 결합이 진행되는 동안 밀폐부재(213)과 어떠한 접촉도 하지 않으므로, 밀폐가 완전하게 방지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since the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은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상에 형성되는 경사부 또는 리세스(recess)(3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세스(313)는 제 1 결합부(340)의 전방끝단의 앞쪽에 배치될 수 있다. 리세스(313)는 제 1 결합부(340)의 앞쪽에 배치되므로, 상기 제 1 결합부(340)가 제 2 결합부(240)과 완전하게 결합되면, 즉 제 1 결합부(340)의 후방끝단이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까지 이동하면, 상기 리세스(313)는 상기 제 2 결합부(240)의 앞쪽에 배치되는 밀폐부재(213)와 만나게 된다. 또한, 리세스(3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내면을 가지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폐부재(213)의 외경(P)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게 된다. 더 나아가, 리세스(313)는 바람직하게는 밀폐부재(213)의 외형에 부합하는 형상의 내면, 예를 들어 곡면으로 형성되는 내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300)과 소켓(2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밀폐부재(213)의 끝단부는 리세스(313)의 내면에 안정적으로 수용되면서 상기 내면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세스(313)에 의해 캡(300)과 소켓(200)사이의 밀폐가 완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 the
또한, 도 10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캡(300)이 소켓(200)과 완전하게 결합될 때, 캡(300)의 몸체(310), 정확하게는 상기 몸체(310)의 후단부가 상기 소켓(200)의 제 2 결합부(240)를 넘어서 연장되면, 이러한 연장부와 소켓(200)의 몸체(210)사이에는 공간(R)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R)내에 여러가지 이물질들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캡(300)의 분리를 방해하거나 상기 캡(300)의 분리후 소켓(200)내에 유입될 수도 있다.10, when the
이러한 이유로, 캡(300)이 소켓(200)에 완전하게 결합될 때, 즉 제 1 및 제 2 결합부(340,240)사이의 결합이 완성될 때, 상기 캡(300)의 몸체(310)는 상기 소켓(200)의 제 2 결합부(240)를 넘어 연장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캡(300)의 몸체(310)의 후방 끝단은 결합이 완료될 때, 제 2 결합부(240)의 후방에 배치되지 않도록, 더 정확하게는 제 2 결합부(240)의 후방 끝단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배치를 위해, 캡(300)(즉,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 길이, 정확하게는 사이드 월(312) 내주면의 후방 끝단부터 상기 사이드 월(312)의 내주면과 프론트 페이스(311)의 내면의 연결부(C)(즉, 사이드 월(312) 내주면 전방끝단)까지의 길이(L1)는 소켓(200)의 전방 끝단부터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까지의 길이(L2)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길이(L1,L2) 설정에 의해, 캡(300)의 후방끝단이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에 도달하면, 소켓(200)의 전방끝단이 캡(300)의 프론트 페이스(311)의 내면과 맞닿아 캡(300)이 더이상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캡(300)의 후방끝단이 제 2 결합부(240)의 후방끝단를 넘어서 배치되지 않아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은 공간(R)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물질의 개재가 방지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when the
한편, 앞서 논의된 바와 같이, 소켓(200)은 전기장치에 부착되어 이의 내부와 연통하므로, 플러그(100)와 결합되어 있는 동안에도 상기 소켓(200)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전기장치내에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캡(300)에 추가적으로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기장치내로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소켓(200)내에 제공되어 상기 소켓(200)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내부 밀폐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iscussed above, since the
도 11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소켓에 포함된 다양한 밀폐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11을 참조하여, 소켓(200)을 위한 내부 밀폐 메커니즘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1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various sealing structures included in the socket of the connector assembly. Referring to FIG. 11, an internal sealing mechanism for the
소켓(20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내에 배치되어 전기장치의 내부부품들에 결합되는 제 2 터미널(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원 또는 전기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터미널(100)의 제 1 터미널(13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터미널(230)은 제 2 인슐레이터(insulator)(231)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는 하나이상의 제 2 핀(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인슐레이터(231)는 이의 몸체 내부에 형성되는 제 2 관통공(233)을 포함하며, 제 2 핀(232)은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내에 수용되도록 상기 관통공(233)내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중공부재와 다르게, 제 2 핀(232)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리드한 부재, 즉 로드(rod)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터미널(100)의 제 1 터미널(130)의 제 1 핀(132)은 이러한 제 2 핀(232)과의 결합을 위해, 중공부재인 파이프 또는 튜브 부재, 즉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receptac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솔리드한 제 2 핀(2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 2 인슐레이터(231)의 관통공(233)내에는 스텝부(231s)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텝부(231s)와 맞물리도록 제 2 핀(232)도 스텝부(23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텝부(231s,232a)에 의해 제 2 핀(232)는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외에 다른 구성들은 앞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다음에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된다.As shown in FIG. 11, th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활한 조립을 위해 허용된 치수공차로 인해, 제 2 인슐레이터(231)(정확하게는 관통공(233)의 내주면)과 제 2 핀(232)(정확하게는 이의 외주면)사이에는 미세한 간극(clearance)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간극을 따라 외부공기 및 이에 포함된 먼지 및 수분이 전기장치내에 유입되어 합선, 감전 및 내부부품의 고장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due to the dimensional tolerances allowed for smooth assembly, between the second insulator 231 (exactly,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33) and the second pin 232 (exactly,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ine clearance may be formed. Therefore, as indicated by arrows, outside air and dust and moisture contained therein may flow into the electric device along these gaps, causing various problems such as short circuit, electric shock, and failure of internal parts.
이러한 이유로, 소켓(200)은 밀폐 메커니즘으로서, 관통공(233)내에 배치되면서, 제 2 인슐레이터(231)과 제 2 핀(232)사이에 개재되는 제 1 개스킷(25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개스킷(251)은 제 2 인슐레이터(231)의 관통공(233) 내주면과 제 2 핀(232)의 외주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와 제 2 핀(232)사이의 간극을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개스킷(251)은 관통공(233)을 따라 제 2 인슐레이터(231)과 제 2 핀(232)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밀폐하여 외부의 공기 및 이에 포함되는 이물질들이 전기장치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개스킷(251)은 제 2 인슐레이터(231) 및 제 2 핀(232)의 스텝부들(231s,232a)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밀폐뿐만 아니라 더욱 안정적인 제 2 핀(232)과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지지 및 결합도 달성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또한, 밀폐 메커니즘으로, 소켓(200)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 2 인슐레이터(231)와 몸체(210)의 전방부사이에 개재되는 제 2 개스킷(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스킷(242)는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외주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몸체(210)의 내주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또한, 추가적인 밀폐 메커니즘으로서, 소켓(200)은 제 2 인슐레이터(231)와 몸체(210)의 후방부사이에 개재되는 제 3 개스킷(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개스킷(242)도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210)의 내주부에 형성되는 홈에 끼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제 2 및 제 3 개스킷(252,253)은 제 2 인슐레이터(231)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 2 인슐레이터(231)과 몸체(210)사이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인슐레이터(231)의 내부 간극을 폐쇄하는 제 1 개스킷(251)과 더불어, 이들 제 2 및 제 3 개스킷들(252,253)에 의해 소켓(200)내부의 모든 간극들은 폐쇄될 수 있으며, 이물질이 전기장치내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Also, as a sealing mechanism, th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considered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러그110: 하우징
120: 결합 슬리브130: 제 1 터미널
140: 부싱150: 백 너트
200: 소켓210: 몸체
220: 래치221: 관통공
222: 리테이너230: 제 2 터미널
300: 캡310: 몸체
320: 보스330: 스트랩100: plug 110: housing
120: coupling sleeve 130: first terminal
140: bushing 150: back nut
200: socket 210: body
220: latch 221: through hole
222: retainer 230: second terminal
300: cap 310: body
320: Boss 330: Strap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10044733 | 2021-04-06 | ||
| KR20210044733 | 2021-04-06 | ||
| KR1020210098164 | 2021-07-26 | ||
| KR1020210098164 | 2021-07-26 | ||
| KR1020210101505 | 2021-08-02 | ||
| KR20210101505 | 2021-08-02 | ||
| KR1020220074399AKR102496203B1 (en) | 2021-04-06 | 2022-06-17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74399ADivisionKR102496203B1 (en) | 2021-04-06 | 2022-06-17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30014100Atrue KR20230014100A (en) | 2023-01-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30006898AWithdrawnKR20230014100A (en) | 2021-04-06 | 2023-01-17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30014100A (e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5618204A (en) | Circular bulkhead connector assembly | |
| KR102496203B1 (en)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 US3848950A (en) | Electrical connector | |
| US11637387B2 (en) | Coaxial and cluster connector assemblies | |
| US6048229A (en) | Environmentally resistant EMI rectangular connector having modular and bayonet coupling property | |
| US6692285B2 (en) | Push-on, pull-off coaxial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 |
| CN101562296B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ing mechanism | |
| US6695636B2 (en) |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 |
| US7011544B1 (en) | Multiphase connector | |
| CN105322347B (en) | Connectors and Connector Assemblies for Cables | |
| EP3789648B1 (en) | Ball-lock connector | |
| US11404833B2 (en) | Enhanced electrical grounding of hybrid feedthrough connectors | |
| KR102573088B1 (en) | Connector assembly that can be mated in a single operation | |
| KR20230014100A (en)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 KR102782576B1 (en) |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 cable | |
| KR20220139250A (en)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 US20220200205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 US3980373A (en) | Electrical connector | |
| CN213878612U (en) | Inner core par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 CN115144972B (en) | Waterproof and dustproof connector, adapter and connector assembly | |
| CN217934407U (en) | Steel ball type push-pull quick-locking round electric connector with twist needles | |
| CA2419352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coaxial cables | |
| KR102665452B1 (en) | Connector assembly couplable with single action | |
| USRE31462E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3472175B2 (en) | Cable connec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8-div-PA010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N-1-6-B10-B12-nap-PC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