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30013341A - Cleaner station - Google Patents

Cleaner s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3341A
KR20230013341AKR1020210093977AKR20210093977AKR20230013341AKR 20230013341 AKR20230013341 AKR 20230013341AKR 1020210093977 AKR1020210093977 AKR 1020210093977AKR 20210093977 AKR20210093977 AKR 20210093977AKR 20230013341 AKR20230013341 AKR 20230013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ust collection
collection container
disposed
clea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현기탁
송현섭
우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977ApriorityCriticalpatent/KR20230013341A/en
Priority to CN202280048683.0Aprioritypatent/CN117729870A/en
Priority to PCT/KR2022/010260prioritypatent/WO2023003267A2/en
Priority to EP22846137.2Aprioritypatent/EP4374761A4/en
Priority to US18/580,686prioritypatent/US20240423434A1/en
Publication of KR20230013341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30013341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coupled to a vacuum cleaner to collect dust inside a dust bin of a vacuum cleaner,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ing a bin type member other than a bag type member as a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which is no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so that it is not only economical but also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a dust separator such as a cyclone is not included, a structure is simple and ha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of a dust collector.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청소기 스테이션{Cleaner station}Cleaner station {Cleaner station}

본 발명은,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포집하기 위해 청소기와 결합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station coupled to a cleaner to collect dust inside a dust bin of the cleaner.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에 의해,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me appliance that sucks up small garbage or dust and fills a dust bin in a product by a method of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is commonly referred to as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manual cleaners for cleaning while a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automatic cleaners for performing cleaning while driving by itself. Manual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held cleaners, and stick-type cleaner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household cleaners,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have been widely used in the past, but recently, handheld vacuum cleaners and stick vacuum cleaners, which provide convenience in use by integrally providing a dust bin and a cleaner body, have been widely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main body of the canister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intake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a brush can be inserted into the intake.

핸디형 청소기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A handhel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is light in weight, but has a short length, so a sitting area may be limited. Thus,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area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standing up,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o clean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the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 type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and can clean high places that are out of reach.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In addition, recently, robot cleaners that perform self-cleaning without a user's manipulation are commonly used.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the area to be cleaned.

그러나, 종래의 스틱 청소기와 로봇 청소기는 집진된 먼지를 저장하는 먼지통의 용량이 작아 사용자가 매번 먼지통을 비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in conventional stick cleaners and robot cleaners, the capacity of the dust bin for storing the collected dust is small, and the user has to empty the dust bin every time, which is inconvenien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74001호는 진공 청소기와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74001 disclos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and a docking station.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이물질이 집진되는 집진통을 포함하는 진공 청소기와 상기 집진통에 집진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상기 집진통과 연결되는 도킹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도킹 스테이션은 상기 집진통 내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장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ior patent document discloses a cleaning device including a vacuum cleaner including a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which foreign substances are collected, and a docking station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ction device for suck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dust collector.

또한, 상기 선행특허문헌은, 도킹 스테이션 내부에서 이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patent documen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llection unit for collecting foreign substances inside the docking station.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문헌의 일 실시예에서 포집부는 더스트백으로 구성되어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또한, 더스트백은 그 재질의 특성상 교체를 위해 도킹 스테이션으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먼지가 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one embodiment of the prior patent document, the collecting unit is composed of a dust bag, and thus requires periodic replacement, which is inconvenient. In addi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of the dust bag, a problem of dust scattering may occur during the process of being separated from the docking station for replacement.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10595692호는 로봇 청소기와 도킹하는 배출 스테이션으로서 빈(bin) 형태인 캐니스터(canister)와 먼지 분리기를 포함하는 배출 스테이션의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다.US Patent Registration No. 10595692 discloses an embodiment of a discharge station including a canister in the form of a bin and a dust separator as a discharge station docked with a robot cleaner.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서 먼지 분리기는 원심 분리의 원리를 이용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구성되며 캐니스터 내부에 포함된다. 상기 선행특허문헌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는 캐니스터 상부에 배치된 다단 분리 장치로부터 분리된 먼지가 캐니스터에 수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one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ior patent document, the dust separator is configured in a conical shape to use the principle of centrifugal separation and is included inside the canister. In another embodiment disclosed in the prior patent document, the dust separated from the multi-stage separation device disposed above the canister is collected in the canister.

다만, 상술한 선행특허문헌에서 개시하는 먼지 분리기를 포함한 배출 스테이션은 사용자로 하여금 복잡한 먼지 분리기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만들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먼지 분리기의 유지보수 방법에 대한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어렵게 하여 배출 스테이션이 위생적으로 관리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the discharging station including the dust separator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patent document may cause users to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dust separator. As a result,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intuitively access the maintenance method of the dust separator, and the discharge station may not be hygienically managed.

또한, 캐니스터의 내부에 먼지 분리기가 포함되는 실시예의 경우 캐니스터의 내부에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용량이 먼지 분리기의 부피만큼 작아진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 which the dust separator is included inside the canis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pacity for collecting dust inside the canister is reduced by the volume of the dust separator.

상기 선행특허문헌에서는 먼지 분리기가 포함되지 않은 실시예 또한 개시하고 있다. 먼지 분리기를 포함하지 않은 실시예는 캐니스터의 내부에 필터 벽을 포함하고 필터 벽은 환형 고리 형태로 구비되며, 캐니스터로 흡입된 먼지가 포함된 공기는 필터 벽을 통과한 후에 배기 되도록 구성된다.The prior patent document also disclos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ust separator is not included. An embodiment without a dust separator includes a filter wall inside the canister, the filter wall is provided in the form of an annular ring, and dust-laden air sucked into the canister is configured to be exhausted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wall.

다만, 상술한 이처럼 먼지 분리기를 포함하지 않고 필터 벽만 포함한 실시예의 경우 분리되지 않은 많은 먼지가 필터 벽에 순간적으로 유입될 수밖에 없으므로 필터 벽의 수명이 줄어들어 교체 주기가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including only the filter wall without including the dust separator as described above, since a lot of unseparated dust inevitably flows into the filter wall, the life of the filter wall is reduced and the replacement cycle is shortened.

따라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지 않고 먼지의 비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이물질 저장 부재를 포함하면서도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이물질 저장 부재의 세척 등의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청소기 스테이션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leaner station that includes a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that does not require periodic replacement and does not cause dust scattering problems and has a simple structure so that users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the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there is.

또한,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라 하여도 이물질 저장 부재에 포집된 먼지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비워주어야 하는 바 같은 용량을 가진 이물질 저장 부재를 포함하더라도 먼지 비움 주기를 길게 늘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청소기 스테이션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periodic replacement is not required, even if the dust collect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is included in the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having a capacity such that the user must manually empty the dust, the dust emptying period can be extended. A cleaner station needs to be developed.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7400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20-0074001미국 등록특허공보 제10595692호US Patent Registration No. 10595692

본 발명은, 교체가 필요 없는 이물질 저장 부재를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that does not require replacement.

또한, 본 발명은, 긴 먼지 비움 주기를 가지도록 먼지 저장 용량 및 효율이 증가된 집진통을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dust collection bin having increased dust storage capacity and efficiency to have a long dust emptying cycle.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세척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마련된 이물질 저장 부재(이하 '집진통')를 포함한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station including a foreign matter storage memb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ust collection container') provided to facilitate maintenance such as washing due to a simple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집진통의 먼지를 비울 때 먼지가 비산하지 않는 청소기 스테이션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가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oviding a cleaner station in which dust does not scatter when dust is emptied from a dust collec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청소기의 먼지통의 먼지를 포집하도록 청소기가 결합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서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과 연통되는 흡입 유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 모터; 상기 흡입 유로의 타측에서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포집된 먼지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집진통;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집진통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모으는 회전 유닛; 및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판;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압축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압축판과의 사이에서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ousing coupled to the cleaner to collect the dust of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 suction passag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t one side; a dust collection m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dust bin through the suction passage; a cylindrical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and having an air out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t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assage and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collected dust;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introduced and moved; a rota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collect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le rotat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compress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disposed in a fixed state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erein the rotation unit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ompression plate to be disposed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and the compression plate. can compress the dust in

여기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집진통의 벽면 중, 상기 집진통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집진통의 벽면 중, 상기 집진통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let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가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배치되는 메쉬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esh network disposed at the outlet to filter dust from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한편,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온 공기가 상기 집진 모터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집진 모터와 연통되는 집진 모터 연결부; 및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가는 공기에서 먼지를 여과하도록 상기 집진 모터 연결부에 배치되는 프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scharge air moving unit, the dust collecting motor connec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motor so that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ves toward the dust collecting motor; and a pre-filter dispos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to filter dust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또한,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흡입 유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air moving unit may include a suction passage connecting portion disposed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let.

한편, 상기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하우징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includes a long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ust collection box is disposed on the out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box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using. can

한편,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서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집진통의 반경방향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on unit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rotation plat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a radiall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이때, 상기 회전축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과 상기 압축판 사이의 먼지가 압축된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otating shaft may rotate in a first direction to compress dust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compression plate, and then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또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고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된 스크러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scrubber coupled to the rotation plate and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이때, 상기 집진통 내부의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스크러버의 하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배출구의 하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스크러버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배출구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inside the dust collector to the lower end of the scrubber is lower than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port, and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to the upper end of the scrubber is lower than the lower end surface. It may be higher than the height from the end face to the upper end of the outle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먼지 압축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ust compression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driven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rotation shaft.

이때, 상기 먼지 압축 모터는, 상기 집진통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통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ust compression motor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out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separable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포집된 먼지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집진통의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 모터;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는 스크러버; 및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가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배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망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통의 벽면 중 회전하는 상기 스크러버와 맞닿는 벽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acuum cleaner station that sucks and collects dust inside a dust bin, and has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contains collected dust. A cylindrical dust collection container providing space; a dust collection motor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so that dust flows in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the inlet; a scrubber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rotating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mesh network disposed at the discharge port to filter dust from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erein the mesh network is part of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s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scrubber. can be placed in an area.

여기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집진통의 벽면 중, 상기 집진통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discharge port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서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러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ry shaft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rotary plat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crub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압축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압축판과의 사이에서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includes a compression plate disposed in a fixed state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rotation plate is moved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ompression plate. By rotating, dust can be compressed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s.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저장 부재로서 백 타입(bag type)이 아닌 빈 타입(bin type)의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이물질 저장 부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ing a bin type member instead of a bag type as a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there is no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which is economical as well as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클론과 같은 먼지분리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집진통의 세척 등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ust separator such as a cyclone is not include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망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낼 수 있는 스크러버를 구비함으로써 먼지분리기를 통과하지 않은 다량의 먼지가 메쉬망으로 유입되더라도 메쉬망이 막히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crubber capable of scraping off dust attached to the mesh network, even if a large amount of dust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dust separator flows into the mesh net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logging of the mesh network in advan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클론과 같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집진통에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집진통의 내부에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집진통의 먼지를 비워주어야 하는 주기가 길어지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mponent provided for separating dust, such as a cyclone, is not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pace for stor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is allows the user to use the dust collection box. As the cycl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ecomes longer, user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 dust storage efficiency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creased, which increases user convenience.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비움에 있어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ust from scattering when emptying th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흡입 유로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흡입 유로와 청소기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집진통 커버를 개폐하는 커버 조립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커버 조립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커버 조립부를 버튼 덮개를 제외하고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집진통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를 상부면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C-C 선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집진통 커버를 제외하고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집진통 내부의 회전판과 메쉬망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8은 회전 유닛과 먼지 압축 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회전 유닛이 먼지 압축 모터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은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의 저면도이다.
도 21 내지 도 23는 회전 유닛의 회전에 따른 먼지의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집진통을 빠져나온 공기의 배출 방향과 함께 나타낸 청소기 스테이션의 측면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view of a cleaner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3 is a front view of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uction passage.
5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a suction passage and a vacuum cleaner.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to which a cleaner is coupl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viewed from abov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assembly unit that opens and closes a dust collector cover.
9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assembly of FIG. 8 .
10 is a view showing the cover assembly part of FIG. 8 excluding the button cover.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st collector cover is opened.
12 is a view looking dow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of FIG. 12 .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2;
15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of FIG. 12 .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on box and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viewed from the lower side, except for the dust collection box cover.
1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mesh network inside the dust collector.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on unit and a dust compression motor.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unit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mpression motor.
20 is a bottom view of a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21 to 2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pressing dus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unit.
2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vacuum cleaner station shown along with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 결합되는 청소기의 저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청소기 시스템의 정면도이고, 도 4는 흡입 유로의 배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흡입 유로와 청소기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system including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leaner coupled to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and FIG. 3 is a cleaner st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uction passage, and FIG.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uction passage and the vacuum cleane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 시스템(1)은 청소기 스테이션(10)과 청소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 중 일부의 구성을 제외하고 실시될 수도 있고, 이외 추가적인 구성을 배제하지도 않는다.Referring to FIGS. 1 to 5 , acleaner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cleaner station 10 and a cleaner 20 .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it may be implemented except for some of these configurations, and other additional configurations are not excluded.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이러한 먼지 흡입 동작을 위해 위해 청소기(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청소기 스테이션(10)과 결합되는 청소기(20)는 자율로 주행하여 청소 동작을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일 수 있다.Thecleaner station 10 is a devic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of suctioning and removing dust inside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and the cleaner 20 may be coupled thereto for such a dust suction operation. In this case, the cleaner 20 coupled with thecleaner station 10 may be a robot cleaner that autonomously travels and performs a cleaning operation.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청소기(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Befo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cleaner station 10, the structure of the cleaner 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rst.

청소기(20)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 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 사무용품 또는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와, 이동을 위한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로 흡입된 먼지는 후술할 흡입홀(121)을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내부로 수집될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automatically clean the area to be cleaned by sucking in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traveling on its own in the area to be cleaned. The cleaner 20 may include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a distance to an obstacle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or a wall installed in the cleaning area, and left and right wheels for movement. The cleaner 20 may be coupled to thecleaner station 10 . Dust sucked into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may be collected into thecleaner station 10 through asuction hole 121 to be described later.

청소기(20)는 먼지 배출홀(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먼지 배출홀(22)은 청소기(20)의 먼지통(21)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후술할 흡입 유로(140)가 연통될 수 있다. 일 예로, 먼지 배출홀(22)은 사각홀의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먼지 배출홀(22)의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dust discharge hole 22 . At this time, thedust discharge hole 22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and through this,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and asuction passage 140 to be described later may communicate. For example, thedust discharge hole 22 may have a square hole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dust discharge hole 22 is not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청소기(20)는 배출 커버(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배출 커버(23)는 먼지 배출홀(22)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먼지 배출홀(22)을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 커버(23)는 먼지 배출홀(22)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배출 커버(23)는 일측이 먼지 배출홀(22)에 고정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측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청소기(20)의 먼지통(21)을 향해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고정단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자유단이 하측(결합부(120)의 흡입홀(121)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먼지 배출홀(22)이 개방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먼지통(21)을 향하던 흡입력이 사라지면 배출 커버(23)의 상기 자유단은 상측으로 이동하여 다시 먼지 배출홀(22)을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자유단의 이동방향에 따라 배출 커버(23)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흡입관(126)을 연통시키거나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discharge cover 23 . At this time, thedischarge cover 23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dust discharge hole 22 to close thedust discharge hole 22 . To this end, thedischarge cover 23 may be disposed in thedust discharge hole 22 . In addition, one side of thedischarge cover 23 may be fixed to thedust discharge hole 22 to form a fixed end, and the other side may form a free end. Through this configuration, when a suction force is generated toward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the fixed end is fixed and the free end moves downward (direction toward thesuction hole 121 of the coupling part 120). It is movable and thedust discharge hole 22 can be opened. When the suction force directed toward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disappears, the free end of thedischarge cover 23 moves upward to block thedust discharge hole 22 again. In this way, thedischarge cover 23 may communicate or close thedust container 21 and thesuction pipe 126 of the cleaner 20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ree end.

청소기(20)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대응 단자(2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응 단자(24)는 청소기(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충전 단자에 접속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응 단자(24)는 청소기(20)의 저면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대응 단자(24)와 충전 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청소기 스테이션(10)으로부터 청소기(20)에 전원이 공급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The cleaner 20 may include a correspondingterminal 24 for charging a battery when coupled to thecleaner station 10 . The correspondingterminal 24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ccessible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cleaner station 10 i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20 is coupled.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terminals 24 may be arranged as a pai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leaner 20 . When the correspondingterminal 24 and the charging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is supplied from thecleaner station 10 to the cleaner 20 so that the cleaner 20 can be charged.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cleaner station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3 to 5 .

청소기 스테이션(10)은 스테이션 본체(100)와 먼지 분리 모듈(200)을 포함할 수 있다.Thecleaner station 10 may include astation body 100 and adust separation module 200 .

청소기 스테이션(1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명세서 전반에서 언급하게 될 방향에 대해서 먼저 정의하자면,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하기 위해 이동하는 방향을 전후방향이라고 정의할 때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는 일측을 전방이라 정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방의 반대편은 후방이 된다. 또한, 스테이션 본체(120)의 장축(A1)과 나란한 방향을 상하방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Prior to describing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cleaner station 10, the direction that will be referred to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s first defined.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leaner 20 moves to couple to thecleaner station 10 is defined as the front-back direction. One side where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leaner station 10 may be defined as a front side. In addition, the opposite side of the front becomes the rear. In additio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station body 120 may be defined as a vertical direction.

스테이션 본체(100)는 청소기(20)가 결합되어 청소기(20)의 먼지통(21)의 먼지를 내부로 흡입하는 구성으로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장축(A1)을 형성할 수 있다.The stationmain body 100 is configured to suck dust in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to the inside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hereto, and may form a long axis A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스테이션 본체(100)는 다수의 외벽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예를 들어,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집진 모터(140), 청소기(20)를 충전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전원 모듈, 청소기 스테이션(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 등일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의 먼지를 포집할 수 있도록 청소기(20)가 결합될 수 있다.Thestation body 100 may include ahousing 110 having an inner space surrounded by a plurality of outer walls. Various parts may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and protected from external impact. The components include, for example, adust collection motor 140 generating suction force inside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a power module provided to charge the cleaner 20, and overall operation of thecleaner station 10. It may be a control circuit that controls and the like. The cleaner 20 may be coupled to thehousing 110 to collect dust in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

하우징(110)은 상기 다수의 외벽을 통해 스테이션 본체(100)의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장축(A1)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장축(A1)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장축(A1)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사각 기둥에 유사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전체적으로 사각 기둥에 유사한 형태이되, 청소기(20)가 결합되는 일 부분이 후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하우징(110)의 외형은, 청소기(20)가 결합될 수 있고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부품들을 수용하여 보호할 수 있는 기능의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housing 110 may form the exterior of thestation body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Thus, thehousing 110 may form a long axis A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ng axis A1 of thehousing 110 may be coaxial with the long axis A1 of thestation body 100 . Thehousing 1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square pillar. More specifically, thehousing 110 may have a shape similar to a rectangular pillar as a whole, but a portion to which the cleaner 20 is coupled may have a shape bent toward the rear. However, the exterior of thehousing 110 is variously changed within a range of functions in which the cleaner 20 can be coupled, a space can be formed inside thecleaner station 100, and the above-described parts can be accommodated and protected. It can be.

한편, 상기 다수의 외벽은 전방에 배치된 전면벽(110a), 전면벽(110a)을 마주보고 후방을 향해 배치된 후면벽(110b) 및 전면벽(110a)과 후면벽(110b) 사이에 배치된 측면벽(110c,110d)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벽(110a) 상에는 청소기(20)가 결합되는 결합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전면벽(110a)은 청소기(20)가 결합되는 형상에 대응하여 후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후면벽(110b)은 전면벽(110a)과는 대조적으로 평평한 면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이 놓여지는 실내 공간에서 후면벽(110b)을 상기 실내 공간의 벽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실내 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후면벽(110b)에서는 청소기 스테이션(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이 인출될 수 있다. 측면벽(110c,110d)은 전면벽(110a)과 후면벽(110b)을 연결하기 위해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면벽(110a)과 측면벽(110c,110d) 또는 후면벽(110b)과 측면벽(110c,110d)을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include afront wall 110a disposed in the front, a rear wall 110b disposed toward the rear facing thefront wall 110a, and disposed between thefront wall 110a and the rear wall 110b. may includeside walls 110c and 110d. Acoupling portion 120 to which the cleaner 20 is coupled may be provided on thefront wall 110a. Thefront wall 110a may be provided in a shape bent toward the rear to correspond to a shape to which the cleaner 20 is coupled. In contrast to thefront wall 110a, the rear wall 110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lat surface. Accordingly, since the rear wall 110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wall of the indoor space in the indoor space where thecleaner station 10 is placed,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indoor space may be increased. Also,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cleaner station 10 may be drawn out from the rear wall 110b.Side walls 110c and 110d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to connect thefront wall 110a and the rear wall 110b. At this time, at least one corner connecting thefront wall 110a and theside walls 110c and 110d or the rear wall 110b and theside walls 110c and 110d may be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radius of curvature.

하우징(110)의 일부 영역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과 하우징(110)의 외부 간을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벽(110a)의 일부 영역에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는 하우징 개방 커버(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개방 커버는 후술할 헤파 필터(150)가 배치되는 인접 영역을 개폐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 partial area of thehousing 11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between the inner space of thehousing 110 and the exterior of thehousing 110 . For example, a housing opening cover (not shown)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may be provided in a partial area of thefront wall 110a. The housing opening cover may be disposed to open and close an area adjacent to theHEPA filter 150 to be described later.

스테이션 본체(100)는 청소기(20)가 결합되는 결합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결합부(120)의 상부면을 등반하여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20)는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외벽 중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결합부(120)는 전면벽(110a)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부(12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Thestatio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coupling part 120 to which the cleaner 20 is coupled. The cleaner 20 may be coupled to thecleaner station 100 by climbing the upper surface of thecoupling part 120 . Thecoupling part 120 may be disposed on one of the outer walls constituting thehousing 110 .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1 , thecoupling part 120 may be disposed on thefront wall 110a. The structure of thecoupler 12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스테이션 본체(100)는 흡입 유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statio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suction passage 130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흡입 유로(13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로(130)는 결합부(120)에 결합되며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의 먼지를 흡입할 수 있도록 속이 빈 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청소기(20)의 먼지통(21)에서 빠져나온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흡입 유로(130)의 내부에서 유동할 수 있다. 흡입 유로(130)의 일측 단부는 결합부(120)의 흡입홀(123)과 결합되며 이에 따라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흡입 유로(130)가 흡입홀(123)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흡입 유로(130)의 타측 단부는 먼지 분리 모듈(200)과 연결되어 흡입 유로(130)를 통해 유동해온 공기가 먼지 분리 모듈(200)로 유입될 수 있고 먼지 분리 모듈(200)에서 먼지가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5 , the suction passage 130 may be disposed in an inner space of thehousing 110 . The suction passage 130 is coupled to thecoupling part 12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to suck dust inside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 That is, air containing dust escaping from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may flow inside the suction passage 130 . One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is coupled to thesuction hole 123 of thecoupling part 120, and accordingly,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leaner station 10, thedust bin 21 and the suction passage of the cleaner 20 (130) may communicate through the suction hole (123). The other end of the suction passage 130 is connected to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so that air flowing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30 can flow into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and dust is separated from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It can be.

흡입 유로(130)는 제1 흡입 유로(130a) 및 제2 흡입 유로(13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 유로(130a)는 길이 방향 축(A3)이 스테이션 본체(100)의 장축(A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흡입 유로(130b)의 일측 단부는 제1 흡입 유로(130a)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입 유로(130b)는 결합부(120)의 하측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자면, 제1 흡입 유로(130a)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2 흡입 유로(130b)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흡입 유로(130a)는 집진 모터(140)의 길이 방향 축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흡입 유로(130a)의 길이 방향 축(A3)과 집진 모터(140)의 길이 방향 축은 서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uction passage 130 may include afirst suction passage 130a and asecond suction passage 130b. The longitudinal axis A3 of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station body 100 . One end of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be connected to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In addition,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exten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lower side of thecoupling part 120 . To explain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be configured to extend in a horizontal direction.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 The longitudinal axis A3 of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2 흡입 유로(130b)의 타측 단부는 흡입홀(12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기(20)가 결합부(132)에 결합되면 제2 흡입 유로(130b)의 타측 단부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연통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be connected to thesuction hole 123 . Accordingly,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32 , the other end of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communicate with thedust container 21 of the cleaner 20 .

스테이션 본체(100)는 집진 모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statio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dust collecting motor 140 .

집진 모터(140)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140)는 청소기(20)의 먼지통(21) 내부의 먼지가 흡입 유로(130)를 통해 이동하도록 먼지통(21)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흡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 모터(140)가 구동하면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하는 기류의 흐름이 생성되면서 후술할 먼지 분리 모듈(200)로부터 집진 모터(140)를 향하는 흡입력이 발생될 수 있다. 흡입 유로(130)의 내부에서는 상기 흡입력의 방향이 먼지통(21)의 먼지를 흡입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Thedust collecting motor 14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of thehousing 110 .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may provide a suction force from the inside of thedust bin 21 to the outside so that the dust inside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moves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30 . More specifically, when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is driven, a flow of air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station body 100 is generated, and a suction force toward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may be generated from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Inside the suction passage 130, the direction of the suction force may act in a direction in which dust in thedust bin 21 is sucked.

스테이션 본체(100)는 헤파 필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statio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HEPA filter 150.

도 5를 참조하면, 헤파 필터(15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고 집진 모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최종적으로 여과될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헤파 필터(150)는 집진 모터(1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헤파 필터(150)는 집진 모터(14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헤파 필터(150)는 집진 모터(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HEPA filter 15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housing 110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dust collecting motor 150 may be finally filtered before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housing 110. position can be placed.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HEPA filter 150 may be disposed under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 Alternatively,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HEPA filter 1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 Alternatively,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HEPA filter 150 may be disposed behind thedust collection motor 140.

스테이션 본체(10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statio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not shown).

상기 제어부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청소기(20)가 청소기 스테이션(10)에 결합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후의 흡입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housing 110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leaner station 10 to overall control subsequent suction operations. In this case, the controller may include all kinds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a 'processor'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functions expressed by codes or instructions included in a program, for example. As an example of such a data processing device built into hardwar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etc.,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스테이션 본체(100)는 전원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statio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power module (not shown).

상기 전원 모듈은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고,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공급받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청소기(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The power modu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housing 110, convert AC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housing 110 into DC power, and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oupling part 120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leaner 20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cleaner 20 .

스테이션 본체(100)의 하우징(110)에는 배기부(160)가 마련될 수 있다.(도 1 참조) 배기부(160)는 헤파 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우징(110)의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배기부(160)는 전면벽(110a)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배기부(160)는 후면벽(110b)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배기부(160)는 측면벽(110c,110d)에 형성될 수 있다.Anexhaust unit 160 may be provided in thehousing 110 of the station body 100 (see FIG. 1). Theexhaust unit 160 discharges air passing through theHEPA filter 150 to the outside of thehousing 1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housing 110 to be discharged.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exhaust unit 160 may be formed on thefront wall 110a. Alternatively,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exhaust part 160 may be formed on the rear wall 110b. Alternatively,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exhaust unit 160 may be formed on theside walls 110c and 110d.

도 6은 도 1의 청소기 스테이션에서 청소기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part to which a cleaner is coupled in the cleaner station of FIG. 1 .

도 6을 참조하면, 결합부(120)는 결합면(120a)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120a)은 하우징(110)의 전면벽(110a)이 절곡되어 형성된 면으로서 상부를 바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결합면(120a)은 청소기(20)가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청소기(20)의 저면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청소기(20)는 결합부(120)의 전방에서 접근하여 결합부(120)를 등반하며 결합면(120a)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면(120a)의 형태는 청소기(20)의 저면의 형태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면(120a)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다만, 가능한 실시예에서 결합면(120a)의 형태는 청소기(20)의 저면의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coupling surface 120a. Thecoupling surface 120a is a surface formed by bending thefront wall 110a of thehousing 110 and may mean a surface facing upward. In addition, thecoupling surface 120a may refer to a surface facing the bottom of the cleaner 20 based on the coupled state of the cleaner 20 . The cleaner 20 may approach thecoupling portion 120 from the front, climb thecoupling portion 120, and be seated on thecoupling surface 120a. The shape of thecoupling surface 120a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20 . For example, thecoupling surface 120a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However, in a possible embodiment, the shape of thecoupling surface 120a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leaner 20.

결합부(120)는 청소기(20)가 결합되기 위해 등반할 때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지나가는 구름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름부(121)는, 결합부(12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했을 때 각각 결합부(120)의 좌우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좌우측 구름부(121)의 간격은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간격과 대응할 수 있다. 또한, 구름부(121)는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가 이동시 이동 경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부(120)의 결합면(120a) 대비 하방으로 함몰된 형태일 수 있다. 즉, 구름부(121)와 인접하는 결합면(120a) 대비 구름부(121)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 rollingpart 121 through which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pass when the cleaner 20 climbs to be coupled. The rollingpart 121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coupling part 120, respectively,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coupling unit 120 is viewed from the front.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rollingparts 121 may correspon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so a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 In addition, the rollingpart 121 may be recessed downward compared to thecoupling surface 120a of thecoupling portion 120 so that the left wheel and the right wheel of the cleaner 20 do not deviate from the moving path. That is, compared to thecoupling surface 120a adjacent to the rollingpart 121, the rollingpart 121 may be defined as an area concave downward.

또한, 구름부(121)에는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지지하는 바퀴 안착부(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바퀴 안착부(122)는 구름부(121) 상에서 청소기(20)의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를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을 이루어 패인 오목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In addition, awheel mounting portion 122 may be provided in the rollingportion 121 to support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so that the cleaner 20 does not move after being coupled to thecoupling portion 120. there is. Thewheel seating portion 122 may be defined as a concave area made of a curved surface so as to surround and support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cleaner 20 on the rollingportion 121 .

구름부(121)는 그 상부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된 다수개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돌기는 구름부(121)에 요철을 형성하여 좌측 바퀴와 우측 바퀴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llingpart 12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its upper surface.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form irregularities on the rollingportion 121 to prevent slipping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결합부(120)는 청소기(20)가 결합부(1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청소기(20)의 먼지통(21)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에 마련되는 흡입홀(12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홀(123)을 통해 흡입 유로(130)와 먼지통(21)이 연통될 수 있다. 흡입홀(123)은 결합면(120a)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124)에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124)는 청소기(20)의 바퀴가 바퀴 안착부(122)에 안착되었을때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과 결합면(120a)의 위치 차이를 보상할 수 있는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24)에 흡입홀(123)이 마련됨으로써 먼지통(21)이 흡입 유로(130)와 연통될 때 흡입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coupling part 120 may include asuction hole 123 provided to correspond to a position where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is disposed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oupling part 110. there is. The suction passage 130 and thedust container 2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suction hole 123 . Thesuction hole 123 may be provided in theprotrusion 124 formed by protruding thecoupling surface 120a upward. The protrudingportion 124 protrudes to a height capable of compensating for a difference in position between thedust discharge hole 22 of the cleaner 20 and thecoupling surface 120a when the wheel of the cleaner 20 is seated on thewheel seating portion 122. It can be. Since thesuction hole 123 is provided in theprotrusion 124 , reduction in suction power when thedust container 21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130 can be prevented.

이때, 돌출부(124)에는 캐스터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결합면(120a)과 동일한 높이로 캐스터 가이드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돌출부(124)는 청소기(20)의 좌우측 균형유지를 위해 좌우측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124)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돌출부(124) 사이 결합면(120a)의 일 영역을 캐스터 가이드부(125)로 정의할 수 있다.At this time, acaster guide part 125 may be formed on theprotrusion 124 at the same height as thecoupling surface 120a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aster. Describing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eprotrusions 124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order to maintain the left and right balance of the cleaner 20, and the coupling surfaces between theprotrusions 124 formed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e area of 120a may be defined as thecaster guide part 125 .

흡입홀(123)은 청소기(20)가 결합부(120)에 결합되었을 때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이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흡입홀(123)은 청소기(20)의 먼지 배출홀(22)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흡입홀(123)은 사각홀 형태일 수 있다.Thesuction hole 123 may be disposed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dust discharge hole 22 of the cleaner 20 is disposed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oupling part 120 . Thesuction hole 123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dust discharge hole 22 of the cleaner 20 . For example, thesuction hole 123 may have a square hole shape.

한편, 결합부(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는 제2 흡입 유로(130b)가 수용될 수 있고 제2 흡입 유로(130b)의 단부가 흡입홀(123)에 연결될 수 있다.(도 5 참조) 즉, 청소기(20)의 배출 커버(23)가 먼지 배출홀(22)을 개방하면 흡입홀(123)을 통해 제2 흡입 유로(130b)와 먼지통(21)의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housing 110 disposed under thecoupling part 120, and an end of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may be connected to thesuction hole 123. (See FIG. 5 ) That is, when thedust discharge hole 22 is opened by thedischarge cover 23 of the cleaner 20,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and the inside of thedust bin 21 pass through thesuction hole 123. can be communicated.

결합부(120)는 청소기(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청소기(20)가 충전되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부(126)는 결합부(120)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 1개씩 마련된 충전단자(126a,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청소기(20)가 결합부(110)에 결합되면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와 충전단자(126a,126b)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 모듈이 청소기(20)에 전원을 공급하여 청소기(20)가 충전될 수 있다. 좌우측 충전단자(126a,126b)의 간격은 청소기(20)의 대응 단자(24)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Thecoupling unit 120 may include acharging unit 126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leaner 20 and supplies power so that the cleaner 20 is charged. The chargingunit 126 may include chargingterminals 126a and 126b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coupling unit 120 when viewed from the front. When the cleaner 20 is coupled to thecoupling part 110, the correspondingterminal 24 of the cleaner 20 and thecharging terminals 126a and 126b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power module provided inside thehousing 110 is the cleaner. The cleaner 20 may be charged by supplying power to the 20 . The spacing between the left andright charging terminals 126a and 126b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corresponding terminals 24 of the cleaner 20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청소기 스테이션(10)에 포함되는 먼지 분리 모듈(2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included in thecleaner station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집진통(211)과 배출공기 이동부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집진통 막음판(217) 및 하우징 막음판(222)을 제거하고 도시하였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viewed from above. 7 shows the dust collectionbox blocking plate 217 and thehousing blocking plate 222 removed in order to explai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and the exhaust air moving unit.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먼지 분리 모듈(200)은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7 ,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may include adust collection unit 210 and an exhaustair moving unit 220 .

먼지 포집부(210)는 집진통(211)을 포함할 수 있다.Thedust collecting unit 210 may include a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

집진통(211)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며, 공기와 함께 유동하는 먼지를 포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진통(211)은 하우징(110)의 외측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is disposed above the stationmain body 100 and may be provided to collect dust flowing together with the air.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may be disposed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housing 110 .

집진통(211)은 집진통 바디(2111)와 집진통 커버(2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may include a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and a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

집진통 바디(2111)는 포집된 먼지를 저장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집진통 바디(2111)는 원통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집진통 바디(2111)의 길이 방향 축(A2)은 하우징의 장축(A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집진통 바디(2111)의 길이 방향 축(A2)은 제2 흡입 유로(130b)의 장축(A3)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도 3 참조)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collected dust.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 axis A1 of the housing. Also,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 axis A3 of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see FIG. 3).

집진통 바디(2111)의 하측은 집진통 커버(2112)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진통 바디(2111)의 상측은 집진통 막음판(217)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도 1 참조) 집진통 막음판(217)은 집진통 바디(2111)의 상면을 구성함과 동시에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집진통 막음판(217)은 집진통 바디(2111)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통 바디(2111)는 내부가 보이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먼지의 포집 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집진통(211)에 포집된 먼지를 비워주어야 할지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집진통 바디(2111)는 세척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통 바디(2111)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ower side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may be coupled to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to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The upper side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may be closed by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blocking plate 217 (see FIG. 1). The dust collectioncontainer blocking plate 217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and is a vacuum cleaner. The upper surface of thestation 100 may be configured. The dustcollector blocking plate 21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which the inside is visible. Through this, the user can grasp the degree of dust collection and can easily determine whether or not to empty the dust collected in thedust collector 211 .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made of a washable material. For example,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청소기 스테이션(100)에 구비되는 먼지 저장 부재가 백 타입(bag type)인 먼지 봉투인 경우에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먼지 봉투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이때, 먼지 봉투의 용량이 작은 경우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반대로 먼지 봉투의 용량이 큰 경우 먼지가 먼지 봉투에 다 채워질 때까지 기다려야 하므로 교체 주기가 길어져 먼지 봉투의 내부에 세균이 번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dust storage member provided in thecleaner station 100 is a bag-type dust bag, the user has to periodically replace the dust bag. At this time, if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is small, the user's convenience is reduced because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is small, and on the contrary, if the capacity of the dust bag is large, the dust bag must wait until the dust bag is completely filled, so the replacement cycle becomes longer and the inside of the dust bag Bacterial growth can cause problems.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먼지 저장 부재로서 빈 타입(bin type)의 집진통(211)이 구비되는 경우, 집진통(211)은 교체할 필요 없이 반 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므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세척이 가능하여 언제든지 원하는 시기에 먼지 비움과 세척이 가능하므로 청소기 스테이션(10)이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bin typedust collection box 211 is provided as a dust storage member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dust collection box 211 is economical because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ithout the need for replacement. In addition, since cleaning is possible, dust can be emptied and washed at any time, so thecleaner station 10 can be managed more hygienically.

한편, 집진통 바디(2111)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1a)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ninlet 2111a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may be provided in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유입구(2111a)는 흡입 유로(130)의 타측(흡입 유로(130)가 청소기(20)의 먼지통(21)과 연결되는 일측의 반대측임)에서 흡입 유로(130)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입구(2111a)는, 흡입 유로(130)와 집진통 바디(2111)의 내부를 연통시키도록 집진통 바디(2111)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inlet 2111a communicates with the suction passage 130 on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assage 130 (the suction passage 130 is the opposite side of one side connected to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there is. More specifically, theinlet 2111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with the suction passage 130 .

유입구(2111a)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통(211)의 벽면 중 집진통(211)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통 바디(2111)가 원통 형태를 갖는 실시예에서 집진통(211)은, 집진통 막음판(217)에 의해 형성되는 집진통 상부벽과, 집진통 바디(2111)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반경방향에 배치된 원통 형태의 집진통 측벽과, 후술할 집진통 커버(2112)에 의해 형성되는 집진통 하부벽에 의해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2111a)는 상기 집진통 측벽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청소기(20)의 먼지통(21)에서 흡입된 공기는 집진통(211)의 측면에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공기가 집진통(211)의 측면에서 유입되도록 구성된 배치를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더 높일 수 있다.Theinlet 2111a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More specifically,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 dustcollection box body 2111 has a cylindrical shape, thedust collection box 211 includes an upper wall of the dust collection box formed by the dust collectionbox blocking plate 217 and a length of the dustcollection box body 2111. The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by a sidewall of a cylindrical dust collector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axis and a lower wall of a dust collector formed by a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to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inlet 2111a may be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at is, air sucked from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may be introduced from the side of thedust collection bin 211 . Through the arrangement configured such that air is introduced from the side of thedust collector 211, the overall height of thecleaner station 10 may be lowered and the usability of the indoor space may be further increased.

집진통 바디(2111)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11b)가 마련될 수 있다.Anoutlet 2111b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may be provided in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배출구(2111b)는, 집진통 바디(2111)의 내부와 후술할 배출공기 이동부(220)를 연통시키도록 집진통 바디(2111)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discharge port 2111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ole penetrating thedust collector body 2111 so as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with an exhaustair moving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배출구(2111b)에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통(211)의 벽면 중 집진통(211)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2111b)는 유입구(2111a)와 마찬가지로 집진통 측벽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2111b)와 유입구(2111a)는 집진통 측벽에서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outlet 2111b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forming an accommodation space. That is, theoutlet 2111b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like theinlet 2111a. Theoutlet 2111b and theinlet 2111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하에서는, 집진통 커버(2112)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will be described.

도 8은 집진통 커버를 개폐하는 커버 조립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커버 조립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커버 조립부를 버튼 덮개를 제외하고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집진통 커버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ver assembly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 dust collector cover, FIG. 9 is a front view of the cover assembly unit of FIG. 8 , and FIG. 10 is a view showing the cover assembly unit of FIG. 8 excluding the button cover.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ust collector cover is opened.

집진통 커버(2112)는 커버 본체(2112a)와 힌지부(2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112a)는 집진통 바디(2111)의 하측면을 막도록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본체(2112a)는 힌지부(2112b)를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힌지부(2112b)는 후술할 배출공기 이동부(220)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집진통 커버(2112)는 결합 후크(2112c)를 통해 집진통 바디(2111)의 결합 돌기(2111c)와 결합되면 집진통 바디(2111)의 하측면을 폐쇄할 수 있다.The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may include acover body 2112a and ahinge portion 2112b. Thecover body 2112a may be form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Thecover body 2112a may rotate downward based on thehinge portion 2112b. Thehinge part 2112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xhaustair moving part 22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dustcollection box cover 2112 is coupled to thecoupling protrusion 2111c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through thecoupling hook 2112c, the lower surface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may be closed.

한편, 집진통(211)은 커버 조립부(2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통 커버(2112)는 커버 조립부(2113)를 통해 집진통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커버 조립부(2113)에 의해 집진통 커버(2112)는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 일측 단부를 개폐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커버 조립부(2113)는 힌지부(2112b)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부(2113)는 집진통 바디(2111)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집진통 바디(2111)의 하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may further include acover assembly part 2113.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may be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thecover assembly 2113 . More specifically, the dustcollection box cover 2112 can be rotated to open and close one end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cover assembly part 2113 . Thecover assembly part 2113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hinge part 2112b. Thecover assembly part 2113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lower end of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body 2111 .

커버 조립부(2113)는 외력이 인가되는 버튼(2113a), 버튼(2113a)과 연결되어 버튼(2113a)에 외력이 인가되면 집진통 커버(2112)와 연결된 결합 후크(2112c)를 탄성 변형시키도록 이동하는 후크 압박 돌기(2113b) 및, 결합 후크(2112c)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버튼 덮개(2113c)를 포함할 수 있다.Thecover assembly part 2113 is connected to thebutton 2113a to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thebutton 2113a to elastically deform thecoupling hook 2112c connected to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button 2113a. A movinghook pressing protrusion 2113b and abutton cover 2113c provid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coupling hook 2112c may be included.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2113a)은 좌우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외력이 결합 후크(2112c)를 향하는 방향(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좌우측 버튼(2113a)에 동시에 가해지면, 버튼(2113a)에 연결된 후크 압박 돌기(2113b)가 결합 후크(2112c)를 향해 이동하여 결합 후크(2112c)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결합 후크(2112c)는 후크 압박 돌기(2113b)에 의해 결합 돌기(2111c)와의 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집진통 커버(2112)와 집진통 바디(2111)의 결합이 해제되면 힌지부(2112b)를 기준으로 집진통 커버(2112)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집진통 바디(2111)를 개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진통(211)에 저장되어 있는 먼지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buttons 2113a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simultaneously applied to the left andright buttons 2113a in a direction toward thecoupling hook 2112c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10), thebutton 2113a is connected to Thehook pressing protrusion 2113b may move toward thecoupling hook 2112c to apply pressure to thecoupling hook 2112c. Thecoupling hook 2112c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engagement with thecoupling protrusion 2111c is released by thehook pressing protrusion 2113b.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and thedust collector body 2111 is released,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rotates downward with respect to thehinge 2112b to open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hrough this configuration, dust stored in thedust collector 211 can be easily removed.

한편, 먼지 포집부(210)는 집진통(211)을 빠져나가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도록 집진통(211)의 배출구(2111b)에 배치되는 메쉬망(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dust collector 210 may further include amesh 212 disposed at theoutlet 2111b of thedust collector 211 to filter dust from air passing through thedust collector 211 .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메쉬망(mesh net)(212)은 배출구(211b)의 면적과 동일한 형태 및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쉬망(212)은 배출구(211b)를 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메쉬망(212)은 집진통 바디(2111)의 외형 일부를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쉬망(212)은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부재로서 제한적인 것은 아니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메쉬망(212)은 입자가 큰 먼지가 집진통 바디(2111)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므로 집진통(211)에 먼지가 포집될 수 있다. 메쉬망(212)은 배출구(2111b)와 함께 집진통(211)의 측벽 벽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집진통 바디(2111)를 빠져나가는 배출 공기는 집진통(211)의 측면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처럼 배출 공기가 집진통(211)의 측면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배치를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더 높일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7 , themesh net 212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area as that of the outlet 211b. Themesh network 212 may be disposed to block the outlet 211b. That is, themesh network 212 may be disposed to form part of the outer shape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Themesh network 212 is a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holes are form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ince themesh network 212 prevents large-particle dust from passing through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dust may be collected in thedust collector 211 . Themesh network 212 may be disposed on the side wall of thedust collector 211 together with theoutlet 2111b. That is, exhaust air passing through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dust collector 211 . As such, through the arrangement configured such that exhaust air is discharged to the side of thedust collector 211, the overall height of thecleaner station 10 may be lowered and the usability of the indoor space may be further increased.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집진통(211)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compressing dust collected in thedust collector 211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7 .

도 12는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를 상부면에서 내려다 본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2의 B-B 선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C-C 선의 단면도이며, 도 16은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로서 집진통 커버를 제외하고 바라본 사시도이다.12 is a view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discharge air movement unit looking down from the upper surface,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2,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12, FIG. 1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in FIG. 12,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ust collection box and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viewed from the lower side, except for the dust collection box cover.

먼지 포집부(210)는 회전 유닛(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dust collector 210 may further include arotation unit 213 .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회전 유닛(213)은 집진통(2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집진통(2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집진통(211) 내부의 먼지를 모으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 유닛(213)은 회전축(2133) 및 회전판(2131)을 포함할 수 있다.12 to 16, therotation unit 213 is disposed inside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and rotate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arou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211) It can be configured to collect dust inside. More specifically, therotating unit 213 may include arotating shaft 2133 and arotating plate 2131 .

회전축(2133)은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집진통(211)의 외부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133)은 집진통(211)의 길이 방향의 축과 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축(2133)의 하측 단부는 외부로부터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집진통 커버(2112)에 연결될 수 있다. 회전축(2133)은 집진통(211)의 상측 단부에 인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축(2133)은 집진통 상부벽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rotating shaft 2133 is dispo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and may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outsid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 Therotating shaft 2133 may be coaxial with the shaft of thedust collector 2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lower end of therotary shaft 2133 may be connected to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to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erotating shaft 2133 may extend adjacent to an upper end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 For example, therotating shaft 2133 may b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an upper wall of the dust collector.

회전판(2131)은 회전축(2133)과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축(2133)에 결합되며 회전축(2133)과 집진통(211)의 반경방향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판(2131)은 회전판(2131)의 일측 단부가 회전축(2133)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집진통 바디(2111)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즉, 집진통(211) 중심에서 집진통 측벽을 향해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전판(2131)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131)의 상하 방향 길이는 집진통 바디(2111)의 길이에 유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판(2131)이 회전축(2133)과 함께 회전하게 되면 회전판(2131)의 넓은 일면이 후술할 압축판(214)의 넓은 일면과 맞닿으면서 회전판(2131)과 압축판(214) 사이에 모인 먼지가 압축될 수 있다.Therotation plate 2131 is coupled to therotation shaft 2133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rotation shaft 2133 and may be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rotation shaft 2133 and the radi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dust collector 211 . More specifically, therotary plate 2131 has one end of therotary plate 2131 connected to therotary shaft 2133 and the other end toward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hat is, from the center of thedust collector 211. It may be formed in a form extending toward the side wall. For example, therotating plate 213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flat plate. The vertical length of therotating plate 2131 may be formed to be similar to the length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 When therotary plate 2131 rotates together with therotary shaft 2133, the wide surface of therotary plate 213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ide surface of thecompression plate 214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dust collected between therotary plate 2131 and thecompression plate 214. can be compressed.

먼지 포집부(210)는 압축판(2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dust collector 210 may further include acompression plate 214 .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압축판(214)은 회전 유닛(213)이 회전하여 모은 먼지를 압축하도록 집진통(211)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압축판(214)의 일측 단부가 집진통 측벽의 내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가 집진통(211)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판(214)은 회전판(213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압축판(214)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2 to 16 , thecompression plate 214 may be disposed in a fixed state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dust collector 211 so that therotation unit 213 rotates and compresses the collected dust.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compression plate 214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other end may extend radially inward of thedust collector 211 . Thecompression plate 214 may b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rotation plate 2131 . For example, thecompression plate 21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flat plate.

회전 유닛(213)은 압축판(214)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축판(214)과의 사이에 모인 먼지를 압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전축(2133)이 회전하면 회전판(2131)과 압축판(214)이 점점 가까워지며 회전판(2131)의 넓은 일면과 압축판(214)의 넓은 일면이 만나 그 사이에 모인 먼지가 압축될 수 있다.Therotating unit 213 may rotate in a direction closer to thecompression plate 214 to compress dust collected between thecompression plate 214 and thecompression plate 214 . More specifically, when therotating shaft 2133 rotates, therotating plate 2131 and thecompression plate 214 get closer and closer, and the wide surface of therotary plate 2131 and the wide surface of thecompression plate 214 meet and the dust collected between them is compressed. It can be.

한편, 회전축(2133)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판(2131)과 압축판(214) 사이의 먼지가 압축된 후,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133)의 회전 방향은 후술할 먼지 압축 모터(21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Meanwhile, therotary shaft 2133 may rotate in a first direction to compress dust between therotary plate 2131 and thecompression plate 214, and then rotate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rotating shaft 2133 may be controlled by adust compaction motor 215 to be described later.

이러한 구성을 통해, 집진통(211)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제 집진통(211)의 용량 대비 포집할 수 있는 먼지의 용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어 집진통(211) 내부의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집진통(211) 내부의 먼지가 압축되면 집진통(211)의 먼지를 비울 때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축(2133)의 방향이 제1 방향과 제2 방향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므로 먼지를 압축판(214)의 양 방향에서 압축할 수 있어 집진통(211)의 먼지 저장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dust collector 211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is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apacity of dust that can be collected compared to the capacity of the actualdust collection box 211, thereby increasing the dust storage efficiency inside thedust collection box 211, and thus increasing user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the dust inside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is compressed,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ust from scattering when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is emptied. 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rotating shaft 2133 can be switched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dust can be compressed in both directions of thecompression plate 214, so that the dust storage efficiency of thedust collector 211 can be maximized. .

한편, 회전 유닛(213)은 스크러버(2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rotation unit 213 may further include ascrubber 2132 .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스크러버(2132)는 집진통(211)의 내주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회전축(2133)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러버(2132)는 회전축(2133)이 배치된 반대편에서 회전판(21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크러버(2132)의 일측이 집진통(211)의 내주면에 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크러버(2132)의 일측 가장자리가 집진통 측벽의 내면에 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크러버(2132)는 회전판(2131)과 함께 회전할 때 집진통 측벽의 내면을 긁으면서 회전할 수 있다. 스크러버(2132)는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스크러버(2132)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7 , thescrubber 2132 may be provid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rotating shaft 2133 whil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 Thescrubber 2132 may be coupled to therotation plate 2131 at the opposite side where therotation shaft 2133 is dispose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scrubber 2132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 That is, one side edge of thescrubber 2132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this, when thescrubber 2132 rotates together with therotating plate 2131, it can rotate while scrap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scrubber 2132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ductility. For example, thescrubber 2132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한편, 스크러버(2132)가 맞닿는 벽면의 일부 영역에 상술한 메쉬망(214)이 배치될 수 있다. 스크러버(2132)가 집진통 바디(2111)의 반경방향에 배치되는 실시예에서 메쉬망(214)은 집진통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집진통 바디(2111)에서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2111b)가 집진통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크러버(2132)가 메쉬망(214)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mesh network 214 may be disposed in a partial area of the wall surface where thescrubber 2132 contacts. In an embodiment in which thescrubber 2132 i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hemesh network 214 may be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That is, theoutlet 2111b for discharging air from thedust collector body 2111 may be disposed on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scrubber 2132 can scrape and remove dust attached to themesh 214 .

청소기 스테이션에 사이클론과 같은 먼지분리기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집진통의 세척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나 먼지분리기를 통하지 않은 다량의 먼지가 메쉬망에 부착되어 메쉬망이 막히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메쉬망(214)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낼 수 있는 스크러버(2132)가 구비됨으로써 메쉬망(214)의 막힘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해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f the vacuum cleaner station does not include a dust separator such as a cyclon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lean the dust collector, but a large amount of dust that does not pass through the dust separator is attached to the mesh net. There may be a problem with the mesh network being clogge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liminate clogging of themesh net 214 by providing ascrubber 2132 capable of scraping off dust attached to themesh net 214 .

도 17은 집진통 내부의 회전판과 메쉬망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tating plate and the mesh network inside the dust collector.

도 17을 참조하면 스크러버(2132)의 상하방향 길이는 배출구(2111b)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스크러버(2132)는 스크러버(2132)가 회전할 때 배출구(2111b)의 전체 영역을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7, the vertical length of thescrubber 2132 may be long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outlet 2111b. In addition, thescrubber 2132 may be disposed to pass the entire area of thedischarge port 2111b when thescrubber 2132 rotates.

보다 구체적으로, 집진통 바디(2111) 내부의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스크러버(2132)의 하측 단부까지의 높이(H1)는 집진통 바디(2111) 내부의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배출구(2111b)의 하측 단부까지의 높이(H3)보다 낮고, 집진통 바디(2111)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스크러버(2132)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H2)는 집진통 바디(2111)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배출구(2111b)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H4)보다 높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ight H1 from the lower end surface inside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scrubber 2132 is from the lower end surface inside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let 2111b. is lower than the height H3, and the height H2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scrubber 2132 extends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dust collector body 2111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outlet 2111b. It may be configured to be higher than the height (H4) of.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크러버(2132)가 배출구(2111b)에 배치된 메쉬망(212)의 전체면적을 모두 긁고 지나가면서 메쉬망(212)에 붙은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dust adhering to themesh 212 can be removed while thescrubber 2132 scrapes the entire area of themesh 212 disposed at theoutlet 2111b.

이하에서는, 회전 유닛(213)이 회전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먼지 압축 모터(215)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that provides power so that therotating unit 213 can rotate will be described.

도 18은 회전 유닛과 먼지 압축 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9는 회전 유닛이 먼지 압축 모터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unit and the dust compression motor, and FIG.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on unit separated from the dust compression motor.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먼지 포집부(210)는 먼지 압축 모터(2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8 and 19 , thedust collector 210 may further include adust compression motor 215 .

먼지 압축 모터(215)는 회전축(2133)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먼지 압축 모터(215)는 집진통(21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집진통 커버(2112)를 통해 회전축(2133)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먼지 압축 모터(215)는 먼지 압축 기어부(216)를 통해 회전축(2133)과 연결될 수 있다. 먼지 압축 기어부(216)는 제1 기어(2161)와 제2 기어(2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2161)와 제2 기어(2162)는 원형 기어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어(2161)는 먼지 압축 모터(215)의 샤프트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2162)는 제1 기어(2161)와 치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2162)는 회전축(2133)과 연결될 수 있다.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may provide power for rotating therotation shaft 2133 .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may be disposed outside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and may be connected to therotating shaft 2133 through the dustcollection container cover 2112 . For exampl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8 ,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may be connected to therotating shaft 2133 through the dustcompression gear unit 216 . The dustcompression gear unit 216 may include afirst gear 2161 and asecond gear 2162 . Thefirst gear 2161 and thesecond gear 216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circular gears. Thefirst gear 2161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dust compaction motor 215 . Thesecond gear 2162 may be meshed with and connected to thefirst gear 2161 . Thesecond gear 2162 may be connected to therotating shaft 2133 .

다만, 먼지 압축 모터(215)와 회전축(2133) 간의 연결은 이러한 실시예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압축 모터(215)는 집진통 커버(2112)의 커버 본체(2112a)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먼지 압축 모터 샤프트를 통해 회전축(2133)과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However, the connection between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and therotating shaft 2133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is embodiment.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rotary shaft 2133 through a dust compression motor shaf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cover body 2112a of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먼지 압축 모터(215)의 일측에는 회전축(2133)을 정지 제어하기 위해 회전축(2133)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degree of rotation of therotation shaft 2133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to stop and control therotation shaft 2133 . The sensor may be a microswitch.

먼지 압축 모터(215)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2133)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 간의 회전 방향을 전환할 수 있고 이는 먼지 압축 모터(215)의 회전 방향의 전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지 압축 모터(215)가 정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회전축(2133)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먼지 압축 모터(215)가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면 회전축(2133)은 제2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As described above, therotating shaft 2133 may switch the rotation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and this may be performed by switchi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dust compaction motor 215 . For example, when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rotates in a forward direction, therotation shaft 2133 may rotate in a first direction, and when 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rotates in a reverse direction, therotation shaft 2133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can be rotated to

먼지 압축 모터(215)는, 집진통(211)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0은 집진통과 배출공기 이동부의 저면도를 개시하고 있다.Thedust compression motor 215 may be configured to be separable from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 Figure 20 discloses a bottom view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도 20과 함께 도 19를 참조하면, 제2 기어(2162)는 회전축 연결부(2162a)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 연결부(2162a)는 집진통 커버(2112)의 결합홈(2112d)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 연결부(2162a)의 단부의 형태는 결합홈(2112d)의 형태와 일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축 연결부(2162a)가 결합홈(2112d)에 끼워지면 회전축(2133)과 제2 기어(2162)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어(2162)가 회전하면 회전축(2133)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9 together with FIG. 20 , thesecond gear 2162 may include a rotatingshaft connecting portion 2162a. The rotatingshaft connecting portion 2162a may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coupling groove 2112d of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The shape of the end of the rotatingshaft connecting portion 2162a may be configured to match the shape of thecoupling groove 2112d. Through this, when the rotatingshaft connecting portion 2162a is inserted into thecoupling groove 2112d, therotating shaft 2133 and thesecond gear 2162 may be coupled. Accordingly, when thesecond gear 2162 rotates, therotating shaft 2133 may also rotate.

도 21 내지 도 23는 회전 유닛(213)의 회전에 따른 먼지의 압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1 to 2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mpressing dust according to rotation of therotating unit 213 .

도 21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회전판(2131)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압축판(214)과의 사이에서 먼지를 압축한 후 정지할 수 있다. 회전판(2131)은 제2 방향으로 회전 방향을 전환 후 회전하여 압축판(214)과의 사이에서 먼지를 압축한 후 정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2131)의 회전 및 정지의 제어는 제어부가 먼지 압축 모터(215)를 제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먼지는 압축판(214) 근처에서 압축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고 저장된 먼지의 제거를 위해 집진통 커버(2112)가 개방되는 때에도 먼지가 비산하지 않고 깔끔하게 제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1 to 23 , therotation plate 2131 may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to compress dust between thecompression plate 214 and then stop. Therotary plate 2131 may change its rotation direction to the second direction, rotate, compress dust between therotary plate 214 and thecompression plate 214, and then stop. As described above, rotation and stop of therotating plate 2131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dust compaction motor 215 . 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dust can be stored in a compressed state near thecompression plate 214, and even when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is opened to remove the stored dust, the dust can be removed neatly without scattering.

이하부터는, 도 7, 도 12 내지 도 16을 다시 참조하여 배출공기 이동부(22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and 12 to 16 again.

상술한 바와 같이 먼지 분리 모듈(200)은 배출공기 이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dust separation module 200 may include 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배출구(2111b)와 연결될 수 있고 집진통(211)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 흡입 유로 연결부(223) 및 집진 모터 연결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may be connected to theoutlet 2111b and may provide a space in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is introduced and moved. More specifically, the exhaustair movement unit 220 may include an exhaust airmovement unit housing 221 , a suctionpassage connection unit 223 and a dust collectingmotor connection unit 224 .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도 1 참조)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집진통(21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스테이션 본체(100)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먼지 포집부(210)와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청소기 스테이션(10)의 전체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실내 공간의 활용성을 더 높일 수 있다.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may be disposed above the station main body 100 (see FIG. 1 ). 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may be disposed behind thedust collector 211 . That is, thedust collecting unit 210 and 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n the top of thestation body 100 .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dust collecting unit 210 and 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is arrangement, the overall height of thecleaner station 10 can be lowered and the usability of the indoor space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집진통 커버(2112)를 개방하기 위한 커버 조립부(2113)가 전방을 향해 배치될 수 있고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커버 조립부(2113)가 위치하지 않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집진통(211)의 힌지부(2111b)가 위치하는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사용자가 집진통 커버(2112)를 개방하기 위해 커버 조립부(2113)에 외력을 가하는 동작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Meanwhile, thecover assembly part 2113 for opening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may be disposed toward the front, and the dischargeair moving part 2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where thecover assembly part 2113 is not located. . For example, the dischargeair movement unit 22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dust collector 211 where thehinge unit 2111b is located. Through this arrangement, the user's operation of applying an external force to thecover assembly part 2113 to open thedust collector cover 2112 is not hindered.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은 배출구(2111b)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외형은 일 부분이 집진통(211)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테이션 본체(100)의 하우징(110)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은 집진통 측벽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제1 면(221a), 하우징(110)의 후면벽(110b)과 함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후면 외형을 형성하는 제2 면(22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은 제1 면(221a)과 제2 면(221b)을 연결하고 하우징(110)의 측면벽(110c,110d)과 함께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측면 외형을 형성하는 제3 면(221c)과 제4 면(221d)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charge air movingunit housing 221 may form a space into which air discharged through thedischarge port 2111b is introduced. As for the outer shape of the discharge airmovement unit housing 221, one part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and the other part may be provid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housing 110 of the stationmain body 100. More specifically, the exhaust airmovement unit housing 221 includes afirst surface 221a provid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and the rear surface of thecleaner station 100 together with the rear wall 110b of thehousing 110. It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221b) forming a. In addition, the exhaust air movingunit housing 221 connects thefirst surface 221a and thesecond surface 221b and defines the side surface of thecleaner station 100 together with theside walls 110c and 110d of thehousing 110. Athird surface 221c and afourth surface 221d may be further included.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제1 면(221a)은 집진통 측벽의 일부 영역과 일체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면(221a)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일면을 구성하는 동시에 집진통 측벽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유입구(2111a)와 배출구(2111b)는 제1 면(221a)에 형성될 수 있다.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first surface 221a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a partial area of the sidewall of the dust collector. That is, thefirst surface 221a may constitute one surface of the exhaust airmovement unit housing 221 and may constitute a sidewall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this case, theinlet 2111a and theoutlet 2111b may be formed on thefirst surface 221a.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하부는 집진 모터(140)와 연통될 수 있다.(도 16 참조)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은 하우징 막음판(222)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상부 일부 영역은 하우징 막음판(222)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 막음판(222)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상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청소기 스테이션(100)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A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ingunit housing 221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dust collecting motor 140 (see FIG. 16). An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ingunit housing 221 may be open. The exhaust air movingunit housing 221 may be coupled to thehousing blocking plate 222 . 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exhaust air movingunit housing 221 may be closed by thehousing blocking plate 222 . Thehousing blocking plate 222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exhaust air movingunit housing 2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cleaner station 100 .

흡입 유로 연결부(223)는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유로 연결부(223)는 일단이 흡입 유로(130)에 연결되고 타단이 유입구(2111a)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흡입 유로 연결부(223)의 일단은 제1 흡입 유로(130a)의 상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흡입 유로 연결부(223)의 타단은 유입구(2111a)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흡입 유로 연결부(223)를 통해, 흡입 유로(130)와 집진통(211)이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청소기(20)의 먼지통(21)에서 흡입된 먼지는 흡입 유로(130)와 흡입 유로 연결부(223)를 거쳐 집진통(211)에 유입될 수 있다.The suctionpassage connection part 223 may be made of a hollow cylindrical tube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haust airmovement unit housing 221 . One end of the suctionpassage connection part 223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130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inlet 2111a.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7 and 13 , one end of the suctionpassage connection part 223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and the other end of the suctionpassage connection part 223 is theinlet 2111a can be connected to That is, the suction passage 130 and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uctionpassage connection part 223, and dust sucked from thedust container 21 of the cleaner 20 is sucked into the suction passage 130. It may flow into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through thepassage connection part 223 .

집진 모터 연결부(224)는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집진 모터 연결부(224)는 집진통(211)을 빠져나온 공기가 집진 모터(140)를 향해 이동하도록 집진 모터(140)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을 연통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집진 모터 연결부(224)는 속이 빈 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가 모두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진 모터 연결부(224)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은 타원형태일 수 있다.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ion part 224 may be disposed inside the exhaust air movingpart housing 221 .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ion part 224 may communicate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and the exhaust airmovement unit housing 221 so that the air exiting thedust collecting container 211 moves toward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7 and 16 , the dust collectionmotor connection part 22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and open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For example, a cross section of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or 224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have an oval shape.

배출공기 이동부(220)는, 프리 필터(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xhaustair moving unit 220 may further include apre-filter 225 .

프리 필터(225)는, 배출공기 이동부(220)를 빠져나가는 공기에서 먼지를 한번 더 여과하도록 집진 모터 연결부(224)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 및 도 16을 참조하면, 프리 필터(225)의 단면 형상은 집진 모터 연결부(224)를 길이 방향으로 자른 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프리 필터(225)는 집진 모터(140)로 향하는 배출 공기의 흐름을 막도록 집진 모터 연결부(224)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출 공기에서 미세 크기 입자의 먼지가 여과될 수 있다.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225)는 집진 모터 연결부(224)의 개방된 상부를 막도록 배치되어 배출 공기가 프리 필터(225)를 통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는 가능한 일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225)는 집진 모터 연결부(224)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는 집진 모터 연결부(224)가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221)과 집진 모터(140)를 연통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프리 필터(225)를 고정시키는 프레임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프리 필터(225)는 물세척이 가능한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리 필터(225)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filter 225 may be disposed at the dust collectionmotor connection part 224 to once again filter dust from the air passing through the exhaustair moving part 220 .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7 and 16 ,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e-filter 225 may be provid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cross-section of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or 224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re-filter 225 may be disposed at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ion part 224 to block the flow of exhaust air toward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 This allows fine-sized particles of dust to be filtered out of the exhaust air.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 pre-filter 225 may be disposed to block the open top of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ion part 224 so that exhaust air passes through thepre-filter 225 . Alternatively, in one possible embodiment, the pre-filter 225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or 224 . In this case, the dust collectingmotor connection part 224 may serve as a passage for communicating the discharge air movingunit housing 221 and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and at the same time serve as a frame for fixing thepre-filter 225 . The pre-filter 225 may 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washed with water. The pre-filter 225 is typically made of non-woven fabric,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도 4, 도 7 및 도 24를 참조하여 청소기(20)의 먼지통(21)에서 배출된 먼지가 집진통(211)에 포집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Referring again to FIGS. 4, 7, and 24 , a process in which dust discharged from thedust bin 21 of the cleaner 20 is collected in thedust collection bin 211 will be described.

집진 모터(140)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통(21)을 빠져나온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2 흡입 유로(130b), 제1 흡입 유로(130a) 및 흡입 유로 연결관(223)을 거쳐 유입구(2111a)를 통해 집진통(211)의 내부로 유입된다. 집진통(211)에 유입된 공기는 배출구(2111b)를 통해 집진통(211)에서 빠져나가며, 이때 배출구(2111b)에 배치된 메쉬망(212)에 의해 입자가 큰 먼지가 공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먼지는 집진통(211)에 포집될 수 있다. 배출구(2111b)를 통해 빠져나온 배출 공기는 배출공기 유입구 하우징(221)으로 유입되어 프리 필터(225)를 통과한 후 집진 모터(140)와 헤파 필터(150)를 거쳐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된다.Air containing dust that has escaped from thedust bin 21 by the suction force of thedust collection motor 140 passes through thesecond suction passage 130b, thefirst suction passage 130a, and thesuction passage connector 223 to theinlet 2111a. It flows into the inside of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through. The air introduced into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is discharged from thedust collection container 211 through theoutlet 2111b, and at this time, large-particle dust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by themesh network 212 disposed in theoutlet 2111b. there is. The separated dust may be collected in thedust collector 211 . Exhaust air exiting through theoutlet 2111b flows into the exhaustair inlet housing 221,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225, and then passes through thedust collecting motor 140 and theHEPA filter 150 to the outside of thehousing 110. It is discharged.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물질 저장 부재로서 백 타입(bag type)이 아닌 빈 타입(bin type)의 부재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상기 이물질 저장 부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줄 필요가 없어 경제적일 뿐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vacuum cleaner station including a bin type member rather than a bag type member as a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it is economical because there is no need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oreign substance storage member. In addition, user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클론과 같은 먼지분리기가 포함되지 않으므로 구조가 단순하여 사용자가 집진통의 세척 등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dust separator such as a cyclone is not included, the structure is simple, so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perform maintenance such as cleaning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망에 부착된 먼지를 긁어낼 수 있는 스크러버를 구비함으로써 먼지분리기를 통과하지 않은 다량의 먼지가 메쉬망으로 유입되더라도 메쉬망이 막히는 문제가 생기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scrubber capable of scraping off dust attached to the mesh network, even if a large amount of dust that has not passed through the dust separator flows into the mesh network,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clogging of the mesh network in advance. there i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클론과 같이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마련되는 구성이 집진통에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집진통의 내부에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집진통의 먼지를 비워주어야 하는 주기가 길어지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mponent provided for separating dust, such as a cyclone, is not dispos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pace for stor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is allows the user to use the dust collection box. As the cycle of having to empty the dust becomes longer, user convenience may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 저장 효율이 증가되는 바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 dust storage efficiency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is increased, which increases user convenience. can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집진통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유닛을 통해 집진통에 포집된 먼지를 압축시켜 저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비움에 있어서 먼지가 비산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ust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on box can be compressed and stored through the rotation unit provid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ust from scattering when emptying the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box. there i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All simple modifications or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1: 청소기 시스템
10: 청소기 스테이션
100: 청소기 스테이션 본체
110: 하우징
120: 결합부
130: 흡입 유로
140: 집진 모터
150: 헤파 필터
160: 배기부
200: 먼지 분리 모듈
210: 먼지 포집부
211: 집진통
212: 메쉬망
213: 회전 유닛
2131: 회전판
2132: 스크러버
2133: 회전축
214: 압축판
215: 먼지 압축 모터
216: 먼지 압축 기어부
217: 집진통 막음판
220: 배출공기 이동부
221: 배출공기 이동부 하우징
222: 하우징 막음판
223: 흡입 유로 연결부
224: 집진 모터 연결부
225: 프리 필터
20: 청소기
21: 먼지통
22: 먼지 배출홀
23: 배출 커버
24: 대응 단자
1: cleaner system
10: cleaner station
100: cleaner station body
110: housing
120: coupling part
130: intake flow path
140: dust collection motor
150: HEPA filter
160: exhaust
200: dust separation module
210: dust collection unit
211: dust collector
212: mesh network
213: rotation unit
2131: Turning plate
2132: scrubber
2133: axis of rotation
214 compression plate
215: dust compression motor
216: dust compression gear unit
217: dust collector blocking plate
220: exhaust air moving unit
221: exhaust air moving unit housing
222: housing blocking plate
223: suction flow path connection
224: dust collection motor connection
225: pre-filter
20: cleaner
21: dust bin
22: dust discharge hole
23: exhaust cover
24: corresponding terminal

Claims (17)

Translated fromKorean
청소기의 먼지통의 먼지를 포집하도록 청소기가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에서 상기 청소기의 먼지통과 연통되는 흡입 유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 유로를 통해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서 외부로 향하는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 모터;
상기 흡입 유로의 타측에서 상기 흡입 유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포집된 먼지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집진통;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집진통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어 이동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배출공기 이동부;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집진통 내부의 먼지를 모으는 회전 유닛; 및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압축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압축판과의 사이에서 먼지를 압축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 housing to which a cleaner is coupled to collect dust from a dust bin of the cleaner;
a suction passag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communicating with the dust bin of the cleaner at one side;
a dust collection mot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dust bin through the suction passage;
a cylindrical dust collector provided with an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and having an air out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t the other side of the suction passage and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collected dust;
an exhaust air movement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provides a space through whic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introduced and moved;
a rotation unit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collecting dust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le rotating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Including; a compress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disposed in a fixed state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 rotating unit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ompression plate to compress dust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and the compress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집진통의 벽면 중, 상기 집진통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outlet is
A vacuum cleaner sta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집진통의 벽면 중, 상기 집진통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inlet is
A vacuum cleaner sta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ng sp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가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배치되는 메쉬망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station further includes a mesh net disposed at the outlet to filter dust from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온 공기가 상기 집진 모터를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집진 모터와 연통되는 집진 모터 연결부; 및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온 공기에서 먼지를 여과하도록 상기 집진 모터 연결부에 배치되는 프리 필터;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 dust collecting motor connect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dust collecting motor so that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ng container moves toward the dust collecting motor; and
and a pre-filter dispos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dust collection motor to filter dust from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기 이동부는,
일단이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유입구에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흡입 유로 연결부를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exhaust air movement unit,
A cleaner station comprising a suction passage connection part disposed such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passage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축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통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장축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long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isposed on an outer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ng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서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상기 집진통의 반경방향 내주면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unit,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nd a rotation plat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and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rotation shaft and a radially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제1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회전판과 상기 압축판 사이의 먼지가 압축된 후,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8,
The axis of rotation is
The cleaner station rotates in a first direction to compress dust between the rotation plate and the compression plate, and then rotates in a second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회전판에 결합되고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에 맞닿도록 구비된 스크러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8,
The rotating unit,
The cleaner station further includes a scrubber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and provided to come into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 내부의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스크러버의 하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배출구의 하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낮고,
상기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스크러버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는 상기 하측 단부면에서부터 상기 배출구의 상측 단부까지의 높이보다 높은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0,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inside the dust collector to the lower end of the scrubber is lower than the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to the lower end of the outlet,
A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to the upper end of the scrubber is greater than a height from the lower end surface to the upper end of the outle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동하는 먼지 압축 모터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8,
The cleaner station further includes a dust compression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and driven to provide rotational power to the rotation shaf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압축 모터는, 상기 집진통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집진통과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2,
The dust compression motor is disposed out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o be separable from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청소기 먼지통 내부의 먼지를 흡입하여 집진하는 청소기 스테이션으로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되며 포집된 먼지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집진통;
상기 집진통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집진통의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도록 상기 먼지통의 내부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집진 모터;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집진통의 내주면에 맞닿은 상태로 회전하는 스크러버; 및
상기 집진통을 빠져나가는 공기로부터 먼지를 여과하도록 상기 배출구에 배치되는 메쉬망;을 포함하며,
상기 메쉬망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집진통의 벽면 중 회전하는 상기 스크러버와 맞닿는 벽면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청소기 스테이션.
A vacuum cleaner station that collects dust by sucking dust inside a vacuum cleaner dust bin, comprising:
a cylindrical dust collector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collected dust;
a dust collection motor disposed below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providing a suction force to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so that dust flows into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rough the inlet;
a scrubber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rotating around a longitudinal axis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le being in contact wit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A mesh network disposed at the outlet to filter dust from the air exiting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 mesh network,
A cleaner station disposed on a portion of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n contact with the rotating scrubbe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집진통의 벽면 중, 상기 집진통의 반경 방향으로 배치된 벽면에 소정의 면적으로 형성된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4,
The outlet is
A vacuum cleaner station having a predetermined area on a wall surfac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which is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forming the accommodating spa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서 상기 집진통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 및
일단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러버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4,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The cleaner station further includes a rotary plat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scrubber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통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집진통 내부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압축판;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판은, 상기 압축판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압축판과의 사이에서 먼지를 압축하는 청소기 스테이션.
According to claim 16,
Including; a compression plate disposed inside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and disposed in a fixed state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dust collection container,
The rotating plate rotates in a direction closer to the compression plate to compress dust between the compression plate and the compression plate.
KR1020210093977A2021-07-192021-07-19Cleaner stationPendingKR20230013341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93977AKR20230013341A (en)2021-07-192021-07-19Cleaner station
CN202280048683.0ACN117729870A (en)2021-07-192022-07-14Dust collector station
PCT/KR2022/010260WO2023003267A2 (en)2021-07-192022-07-14Cleaner station
EP22846137.2AEP4374761A4 (en)2021-07-192022-07-14Cleaner station
US18/580,686US20240423434A1 (en)2021-07-192022-07-14Cleaner s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10093977AKR20230013341A (en)2021-07-192021-07-19Cleaner s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30013341Atrue KR20230013341A (en)2023-01-26

Family

ID=84978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10093977APendingKR20230013341A (en)2021-07-192021-07-19Cleaner station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US20240423434A1 (en)
EP (1)EP4374761A4 (en)
KR (1)KR20230013341A (en)
CN (1)CN117729870A (en)
WO (1)WO2023003267A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CN117100181A (en)*2023-08-242023-11-24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Cleaning system and dust collection device
DE102024202004A1 (en)*2024-03-042025-09-04BSH Hausgeräte GmbH Base station and system for compressing dirt in the collection area of a suction un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595692B1 (en)2004-11-052006-07-03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KR20200074001A (en)2018-12-142020-06-24삼성전자주식회사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906848B1 (en)*2006-05-202009-07-08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KR101340207B1 (en)*2009-08-242013-12-10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CA2972252C (en)*2014-12-242023-02-28Irobot CorporationEvacuation station
JP2017123922A (en)*2016-01-122017-07-20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Vacuum cleaning apparatus
JP6570130B2 (en)*2016-10-312019-09-04株式会社コーワ Filter cleaning device and clothes dryer
CN115089055B (en)*2018-07-202024-02-13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Docking station and cleaning system for robotic cleaner
CA3116593A1 (en)*2018-10-222020-04-30Omachron Intellectual Property Inc.Air treatment apparatus
KR20210019940A (en)*2020-06-222021-02-23엘지전자 주식회사Station fo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0595692B1 (en)2004-11-052006-07-03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KR20200074001A (en)2018-12-142020-06-24삼성전자주식회사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WO2023003267A2 (en)2023-01-26
EP4374761A2 (en)2024-05-29
US20240423434A1 (en)2024-12-26
CN117729870A (en)2024-03-19
WO2023003267A3 (en)2023-03-16
EP4374761A4 (en)2025-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JP7262718B2 (en) discharge station
KR102656583B1 (en)Robot cleaner
RU2277372C2 (en)Dust collector of vacuum-cleaning robot
US20230148812A1 (en)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the same
EP4137027B1 (en)Station and dust removal system including same
TWI809524B (en)Station for cleaner
TW202206012A (en)Station for cleaner
KR20230013341A (en)Cleaner station
KR20240113432A (en)Cleaning apparatus with automatic electric charging and dust discharging
US20250082147A1 (en)Cleaner station
EP4356804A1 (en)Vacuum cleaner station
KR20220046861A (en)Station for cleaner and a method for cleaning thereof
KR20220052602A (en)Station for cleaner
KR102694203B1 (en)Cleaner
JP7664196B2 (en) Cleaning system
JP7538758B2 (en) Cleaning system
CN215820766U (en)Cleaning equipment with simple ash scraping operation
KR20230012904A (en)Cleaner station
EP4555907A1 (en)Cleaner and cleaner system
EP4385382A1 (en)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comprising same
KR20220046863A (en)Station for clean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10719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A02012R01D

Patent event date:20240708

Comment text: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