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개시는 복강경 수술에서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일반적으로, 복강경 수술은 전통적인 개복 수술을 하지 않고 최소한의 부위만을 절개한 후 그곳을 통하여 복강을 카메라로 들여다보면서 하는 비침습 수술로, 절개 부위의 개수에 따라 크게 다중 복강경 수술과 단일공 복강경 수술로 구분할 수 있다. 다중 복강경 수술은 다중 투과침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배꼽 주변에 다수의 상처가 남는 단점에 불구하고, 수술의 용이성 때문에 많은 시술에서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laparoscopic surgery is a non-invasive surgery performed while looking into the abdominal cavity with a camera after making only a minimal incision without traditional open surgery. can be distinguished. Multiple laparoscopic surgery is a method using multiple penetrating needles, and is used in many procedures because of the ease of operation despite the disadvantage of leaving multiple scars around the navel.
단일공 복강경 수술은 예를 들어 배꼽 부위의 한 군데에 대략 3cm 내지 4cm 정도 절개하여 매우 작은 구멍, 즉 1개의 창상만을 내어, 이곳으로 모든 수술도구를 넣어 수술하는 방법으로, 다중 투과침을 사용하는 복강경 수술에 비해 훨씬 더 우월한 비침습성을 나타내며, 배꼽 주변의 상처가 거의 보이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Single-hole laparoscopic surgery is a method of performing surgery by inserting all surgical tools into a very small hole, that is, only one wound, by incising approximately 3 cm to 4 cm in one place, for example, in the navel area. Compared to laparoscopic surgery, it exhibits much superior non-invasiveness and has the advantage that scars around the navel are almost invisible.
그런데, 단일공 복강경 수술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겨우 3-4cm 정도의 크기의 창상만으로 수술을 해야 하므로, 창상의 크기 제한으로 인해 카메라를 잡기 위한 손과 수술을 수행하는 집도의의 두 손을 제외하고 보조 수술자의 손이 들어가기 어려우며, 보조 의사의 팔이 수술 대상인 인체 조직을 정확한 방향으로 당겨주지 못하기 때문에 수술을 안전하고 쉽게 진행하기 힘들다.However, in order to perform single 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the operation must be performed with only a wound of only about 3-4 cm in size.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size of the wound, auxiliary surgery is performed except for the hands to hold the camera and the surgeon performing the operation. It is difficult for the operator's hand to enter, and the assistant surgeon's arm cannot pull the human tissue to be operated in the correct direction, so it is difficult to safely and easily perform the operation.
또한, 종래의 단일공 복강경 수술에서는 견인을 위한 어시스트의 팔을 사용할 수 없고, 수술자의 기구만 겨우 들어갈 수 있으므로, 보조 수술자의 손을 대체할 수 있도록 집게 모양의 클립으로 조직 및 장기를 들어올려서 원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하여 투관 총을 피부 바깥에서부터 배 안으로 뚫어 넣은 후에 배 속의 클립에 달린 실을 잡아 물고 배 바깥쪽으로 다시 빼내어 줘야 하였다. 즉, 종래 복강경 수술에서의 견인 장치는 수술 도중 견인의 위치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매번 견인 부재의 실 끝 부분에 위치하는 직침을 복강내에서 복강 밖으로 투과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복벽에 여러 번 상처가 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single-port laparoscopic surgery, the assist's arm for traction cannot be used, and only the operator's instrument can be barely entered. Directional traction was used, and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the bushing gun had to be pierced from the outside of the skin into the stomach, and then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stomach by grabbing the thread attached to the clip in the stomach. That is, the conventional traction device in laparoscopic surgery had the inconvenience of passing a direct needle located at the end of the thread of the traction member from the inside of the abdominal cavity to the outside of the abdominal cavity each time to adjust the position or direction of the traction during the operation. I had a problem with multiple cuts.
따라서, 종래 견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이 진행되는 경우, 견인 방향을 바꾸는 과정으로 인해 수술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불필요한 출혈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외과의사들이 단일공 복강경 수술의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부득이하게 다중 복강경 수술을 택하고 있으며, 단일공 복강경 수술을 선택하여 수술을 진행 중에 수술자가 수술 시간 지체 등의 이유로 단일공 수술 자체를 포기하고 개복 수술로 전환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Therefore, when surgery is performed using a conventional trac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ion time is prolonged and unnecessary bleeding occurs due to the process of changing the traction direction. For this reason, many surgeons inevitably choose multiple laparoscopic surgery despite the many advantages of single 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There are times when you give up and switch to open surgery.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수술 도중에 견인 장치가 인체 조직을 견인하는 방향, 세기 등이 쉽게 조절 가능한 복강경 수술에서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in which the direction and intensity of the traction device traction of human tissue during surgery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본 개시는 단일공 복강경 수술에서 복부에 최소한의 상처를 내면서도 수술 대상인 인체 조직을 다양한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으며, 복강 내 삽입 및 수술 후 인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device that can pull human tissue to be operated in various directions while making minimal scars on the abdomen in single-incision laparoscopic surgery, and can als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and removed after surgery. .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강경 수술에서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는 인체의 복벽 절개부를 통해 복강 내에 삽입 가능하게 제공되고, 견인 대상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의 일측을 걸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의 격자 형상 영역을 포함하는 씰링(ceiling)부; 및 상기 씰링부를 상기 복강 내 천장 측에 지지하도록 상기 씰링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to be inserted into the abdominal cavity through an incision in the abdominal wall of the human body, and has a mesh structure so that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for traction target tissue can be hung. a sealing portion including a lattice-shaped region; and at least one fixing part provided on the sealing part to support the sealing part on the ceiling side of the abdominal cavity.
상기 고정부는 상기 씰링부의 복수개의 모서리에 구비되어 인체 조직의 일부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씰링부를 상기 복강 내 천장과 대향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견인부의 일측은 상기 격자 형상 영역의 적어도 일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견인 대상 조직과 연결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may be provided at a plurality of corners of the sealing part and connected to a part of human tissue to support the sealing part to face the ceiling in the abdominal cavity. One side of the traction part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a part of the lattice-shaped region, and the other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tissue to be pulled.
상기 견인부의 일측이 격자 형상 영역의 제1 영역과 연결되는 경우, 견인 대상 조직은 견인부에 의해 제1 방향으로 견인되고, 상기 견인부의 일측이 격자 형상 영역의 제2 영역과 연결되는 경우, 견인 대상 조직은 견인부에 의해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견인될 수 있다.When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first region of the lattice-shaped region, the tissue to be hauled is pulled in the first direction by the traction unit, and when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gion of the lattice-shaped region, the tissue to be pulled is towed. The target tissue may be pulled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by the traction uni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는 상기 복강 내 천장과 대응되도록 볼록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in a convex shape to correspond to the ceiling of the abdominal cavit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는 인체에 형성된 창상을 통과할 때 접혀지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part may include one or more folding parts configured to be folded when passing through a wound formed in the human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접힘부 각각은 경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folds may include a hinge structur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는 제1 씰링부, 제2 씰링부 및 제3 씰링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접힘부는 제1 씰링부 및 제2 씰링부와 연관된 제1 접힘부 및 제2 씰링부 및 제3 씰링부와 연관된 제2 접힘부를 포함하고, 제1 접힘부는 제1 씰링부의 일면과 제2 씰링부의 일면이 마주하도록 접히고, 제2 접힘부는 제2 씰링부의 타면과 제3 씰링부의 타면이 마주하도록 접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sealing portion, a second sealing portion and a third sealing portion, and the one or more folds are associated with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the first folded portion and the second sealing portion, and A second folded portion associated with the third sealing portion, wherein the first folded portion is folded so that one surface of the first sealing portion and one surface of the second sealing portion face each other, and the second folded portion has a second sealing portion and an other surface of the third sealing portion. It can be configured to be folded to fa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는 인체에 형성된 창상을 통과할 때 창상과 연관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유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unit may include a flexible member configured to be deformable into a shape associated with a wound when passing through a wound formed in the human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는 인체에 형성된 창상을 통과한 후 창상을 통과하기 전의 기존 형태로 복구 가능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unit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configured to recover to an original shape before passing through a wound after passing through a wound formed in the human body.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자 형상 영역은 견인부의 일측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lattice-shaped region may include one or more holes to which one side of the traction part is connec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부의 일측은 격자 형상 영역에 훅킹(hooking)되는 형태로 씰링부에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side of the traction part may be connected to the sealing part in a form hooked to the lattice-shaped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부는 일측과 타측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연결부의 길이는 외력에 의해 연장 또는 축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부는, 일측과 타측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일측과 타측 사이의 길이 및 장력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기 위하여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감겨지거나 또는 연결부의 적어도 일부를 풀어내는 도르래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part may be configured to be extended or contracted by an external for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traction unit is a pulley structur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wound or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unwound in order to adjust at least one of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nd a length and tension betwe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can includ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 대상 조직과 연결되는 견인부의 타측은 견인 대상 조직을 집기위한 클립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part connected to the traction target tissue may include a clip structure for holding the traction target tissu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강경 수술에서 인체 조직의 견인을 위한 장치는 격자 형상 영역에 대하여 견인부를 연결시키거나 격자 형상 영역에 대한 견인부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일측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apparatus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further includes a support for supporting at least a part of one side to connect the traction unit to a lattice-shaped area or to disconnect the traction unit from the lattice-shaped area. can do.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자는 수술 도중에 인체 조직의 견인 방향을 쉽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rator can easily change the traction direction of human tissue during surgery.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자는 수술 도중에 인체 조직의 견인 세기를 쉽게 변경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rator can easily change the traction strength of human tissue during surgery.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자는 작은 사이즈의 창상을 통해서도 견인 장치를 체내로 쉽게 삽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n operator can easily insert the traction device into the body even through a small-sized wound.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부재의 형태를 오목하게 구성함으로써 해당 부재를 복강경 기복 상태의 복강내 천장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onfiguring the shape of the member to be concave, the member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traperitoneal ceiling in a laparoscopic relief state.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대상인 조직 및 주변 조직에 적절하게 부재의 모양 및 크기를 구성함으로써, 수술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onfiguring the shape and size of the member appropriate for the tissue to be operated and the surrounding tissu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 대상인 조직 및 주변 조직에 적절하게 부재의 부착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수술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properly setting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member to the tissue to be operated and the surrounding tissu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부재를 복강내 천장에 부착함으로써, 수술자가 견인 방향 및/또는 세기를 보다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attaching one or more members to the intra-abdominal ceiling, the operator may more delicately control the traction direction and/or strength.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부재가 작은 사이즈의 창상을 통과한 후 수술자의 조작 없이도 기존 형태로 복구되므로, 수술자의 조작 단계를 단순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member passes through a small-sized wound a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without an operator's manipulation, the operation steps of the operator can be simplified.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수술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수술 대상의 불필요한 출혈 빈도를 줄임으로써 수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urgical effect by reducing the surgical time by facilitating the operation of the operator and reducing the frequency of unnecessary bleeding of the surgical target.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장치가 사용된 인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견인 장치가 견인 대상 조직을 견인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의 예시를 나타낸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uman body using a tra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direction in which a traction device pulls a target tissue is chang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3 is a plan view of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5 is a side view of a seal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6 shows an example of a tra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f there is a risk of unnecessarily obscuring the gist of the present disclosure,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may be omitted. However, omission of a description of a component does not intend that such a component is not included in an embodiment.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make the present disclosure complete, and the present disclosure fully cover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provided only to inform you.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disclos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from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disclosure, but they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a person skilled in the related field, a precedent, or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lso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erms used in the present disclosure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general cont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not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Expressions in the singular number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that they are singular. Also, plural expressions include singular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specifies that they are plural.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n the entire specification,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 장치(120, 130)가 사용된 인체(120)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술자가 복강경(110)을 이용하여 수술을 진행하는 동안, 견인 장치(120, 130)는 인체(100)의 복강내 삽입되어 견인 대상 조직(140)을 견인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인체(100)에 하나의 창상이 형성되는 단일공(single-port) 복강경 수술에서 견인 장치(120, 130)가 사용되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견인 장치(120, 130) 각각은 복수의 창상을 통한 복강경 수술, 개복 수술 등 모든 외과적 수술의 상황에서 인체 조직을 견인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 장치(120, 130)는 인체(100)의 복강 내 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견인 장치(120, 130)에 포함된 부재의 일면은 인체(100)의 복강 내 인체 조직의 일면(예를 들어, 복강 내 천장)에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견인 장치(120, 130)가 부착되는 위치는 견인 대상 조직(140)의 위치, 수술 방법, 견인 세기 등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 장치(120, 130)가 견인 대상 조직(140)을 견인하는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자는 수술하는 도중 견인 장치(120, 130)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도구(미도시)를 이용하여 견인 장치(120, 130) 중 적어도 하나가 견인 대상 조직(140)을 견인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견인 장치(120, 130)가 견인 대상 조직(140)을 견인하는 세기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자는 수술하는 도중 견인 장치(120, 130)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도구를 이용하여 견인 장치(120, 130) 중 적어도 하나가 견인 대상 조직(140)을 견인하는 세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견인 장치(120, 130)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도구는 견인 장치(120, 130)의 부속품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견인 장치(120, 130)를 조작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도구는 복강경(110)의 부속품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견인 장치(212, 214)가 견인 대상 조직(216)을 견인하는 방향이 변경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 장치(212, 214)는 창상을 통해 복강 내에 삽입되어 인체 조직의 일면(예를 들어, 복강 내 천장)에 접촉되거나 근접하게 배치되는 씰링부(ceiling unit)(214) 및 씰링부(214)에 일측이 연결되는 견인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견인부(212)의 일측은 씰링부(214)에 포함된 격자 형상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irection in which the
씰링부(214)는 인체의 복벽 절개부(창상)를 통해 복강 내에 삽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견인 대상 조직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212)의 일측을 걸 수 있도록 그물망 구조의 격자 형상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제1 단계(210)는 견인부(212)의 일측이 씰링부(214)에 포함된 격자 형상 영역의 제1 영역에 연결된 예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 견인부(212)는 견인 대상 조직(216)을 제1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수술자가 견인 대상 조직(216)에 대한 다른 수술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제2 단계(220)와 같이 씰링부(214)의 제1 영역에 대한 견인부(212)의 연결을 해제하고, 견인부(212)의 일측을 씰링부(214)의 제2 영역에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견인부(212)는 견인 대상 조직(216)을 제1 방향과 상이한 제2 방향으로 견인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수술자는 수술 도중에 인체에 추가의 창상을 낼 필요 없이 쉽게 견인 대상 조직(216)을 견인하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도시된 예에서, 복강에 2개의 씰링부(214)가 삽입되어 복강의 천장에 고정되어 있으나, 1개의 씰링부(214)를 복강에 삽입하여 복강경 수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two sealing
본 개시와 관련하여, 씰링부(214)를 포함하는 견인 장치 및 씰링부(214)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 견인 장치를 이용한 수술시간의 차이 및 출혈 빈도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이 수행되었다. 여기서, Group A는 씰링부(214)를 포함하는 견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이 수행된 돼지군을 나타내고, Group B는 씰링부(214)를 포함하지 않는 종래 견인 장치를 이용하여 수술이 수행된 돼지군을 나타낸다.In relation to the present disclosure,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surgical time and bleeding frequency using a traction device including a
표 1을 참고하면, Group A에 대한 수술의 수술시간이 Group B에 대한 수술의 수술시간보다 짧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Group A에 대한 수술의 출혈 빈도가 Group B에 대한 수술의 출혈 빈도보다 37.4% 정도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각 견인 장치를 이용한 수술 도중 복강경 수술에서 개복 수술로 전환한 경우에도, Group A에 대한 수술의 출혈 빈도가 Group B에 대한 수술의 출혈 빈도보다 21.5% 정도 적은 것으로 확인되어, 수술 시간 및 출혈 빈도 측면에서 씰링부(214)를 포함하는 견인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씰링부(214)를 포함하지 않는 견인 장치를 이용하는 것 보다 수술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고 불필요한 출혈 빈도를 줄여 수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Referring to Table 1, it was confirmed that the operation time for Group A surgery was shorter than that for Group B surgery.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bleeding frequency of Group A surgery was 37.4% less than that of Group B surgery. Furthermore, even when switching from laparoscopic surgery to open surgery during surgery using each traction device, it was confirmed that the bleeding frequency of Group A surgery was 21.5% less than that of Group B surgery, which reduced the operation time and bleeding. In terms of frequency, the use of a traction device including a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300)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300)는 격자 형성 영역(310) 및 하나 이상의 고정부(322 내지 328)을 포함할 수 있다.3 is a plan view of a seal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자 형성 영역(310)은 길고 가는 형태의 부재가 격자(lattice) 형태로 짜인 영역을 지칭할 수 있다. 이 경우, 격자 형성 영역(310)은 견인부(예: 견인부(212))의 일측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홀(hole)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격자 형성 영역(310)은 단단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격자 형성 영역(310)은 경첩 구조 등을 통해 인체의 창상을 통과할 때 접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5에 후술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격자 형성 영역(310)은 유연성 및 탄성이 있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씰링부(300)는 인체의 창상의 형태에 맞게 변형되어 복강 내에 삽입된 후, 다시 변형되기 이전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한편, 도 3에서는 격자 형성 영역(310)이 9*9의 사각 격자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격자 형성 영역(310)은 복수의 삼각형, 육각형, 원형 등이 배열된 형태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2에서는 격자 형성 영역(31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홀에 견인부의 일측이 훅킹(hooking)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격자 형성 영역(310)은 길고 가는 형태의 부재 사이에 형성된 영역이 메탈을 포함하고, 자성을 띄는 물질을 포함하는 견인부의 일측은 인력에 의해 격자 형성 영역(310)에 부착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격자 형성 영역(310)의 길고 가는 형태의 부재 사이에 형성된 영역이 자성을 띄는 물질을 포함하고, 메탈 또는 자성을 띄는 물질을 포함하는 견인부의 일측은 인력에 의해 격자 형성 영역(310)에 부착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도 있다.Meanwhile, in FIG. 3 ,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고정부(322 내지 328)가 씰링부(30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부(322 내지 328)은 씰링부(300)의 외곽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322 내지 328)는 인체 조직의 일부와 연결됨으로써 씰링부(300)를 복강 내 천장과 대향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322 내지 328)는 씰링부(300)를 복강 내 천장 측에 지지하도록 씰링부(300)에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ne or more fixing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고정부(322 내지 328)은 씰링부(300)의 복수개의 꼭지점 영역(모서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고정부(322 내지 328)의 소재는 일반적으로 외과적 수술에서 인체 조직에 대한 고정 부재로 사용되는 모든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one or more fixing
고정부(322 내지 328)는 매우 얇은 바늘 크기의 직침이 달려 있는 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고정부(322 내지 328)의 직침을 복부를 통해 투과시킨 후에 실을 피부 부위에서 단추 형태 고정부재(예를 들어, 모스키토)로 잡아 고정함으로써, 씰링부(300)를 복강 천정 영역에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400)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씰링부(400)는 펼쳐진 상태에서 복강경 기복 상태의 복강 내 천장과 대응되도록 볼록한 형태(둥근 아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씰링부(400)의 일 측면의 중심부는 해당 일 측면의 가장자리부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곡면으로 구성된 복강 내 천장에 씰링부(4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ling
실시예에서, 씰링부(400)는 다양한 환자의 평균적인 복강 내 천장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되거나, 의료 영상 기기에 의해 분석되는 대상 환자의 복강 내 천장 형상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al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400)는 하나 이상의 접힘부(43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힘부(430, 440)는 씰링부(400)가 인체에 형성된 창상(예를 들어, 도 1의 복강경(110)이 삽입된 창상)을 통해 삽입될 때, 씰링부(400)가 창상과 대응되는 크기로 변형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를 위해, 접힘부(430, 440) 각각은 경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부(430, 440)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경첩, 또는 경첩축의 아랫 부분이나 윗 부분 끝을 누르면 경첩이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거나 경첩의 고정이 풀리도록 전환되는 경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접힘부(430, 440) 각각은 씰링부(400)의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 수술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쉽게 접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씰링부(400)는 제1 씰링부(410), 제2 씰링부(420) 및 제3 씰링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힘부(440)는 제1 씰링부(410) 및 제2 씰링부(420)와 연관되고, 제2 접힘부(450)는 제2 씰링부(420) 및 제3 씰링부(430)와 연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접힘부(440)는 제1 씰링부(410) 및 제2 씰링부(420) 사이에 위치하고, 제2 접힘부(450)는 제2 씰링부(420) 및 제3 씰링부(4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씰링부(400)는 복수의 접힘부(430, 450)를 포함하여, 창상에 대응하는 크기로 쉽게 변형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aling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씰링부(510, 520)의 측면도이다. 제1 상태의 씰링부(510)는 변형되기 이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태의 씰링부(510)의 일측면은 볼록한 형태로 구성되어, 일측면의 중심 영역이 일측면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씰링부(510)는 그 자체가 볼록한 곡면 형태를 가지거나, 혹은 접힘부의 각도를 170° 내지 180°사이의 각도로 제한하여 씰링부(5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전체적으로 볼록항 형태를 이루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2 상태의 씰링부(510)는 제1 상태의 씰링부(510)에 외력을 인가하여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힘부(522)는 제1 씰링부(512) 및 제2 씰링부(514)의 일면(또는, 표면)이 마주하도록 접힐 수 있다. 또한, 제2 접힘부(524)는 제2 씰링부(514) 및 제3 씰링부(516)의 타면(또는, 배면)이 마주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상태의 씰링부(520)의 폭(W; width)은 제1 상태의 씰링부(510)의 폭보다 축소되어, 작은 폭(예를 들어, 3cm)을 갖는 창상을 통해 쉽게 인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5 is a side view of sealing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610, 620)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부(610, 620) 각각은 고리부(612, 622), 연결부(614. 624) 및 클립부(616, 62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견인부(620)는 조절부(6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6 shows examples of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부(612, 622)는 고리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리부(612, 622)는 고리 형태를 포함하여, 씰링부의 격자 형태 영역(예: 격자 형태 영역(3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홀(hole)에 훅킹되는 형태로 씰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견인 장치는 씰링부의 격자 형상 영역에 대하여 견인부(610, 620)를 연결시키거나, 씰링부의 격자 형상 영역에 대한 견인부(610, 620)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고리부(612, 622)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614, 624)는 실 형태의 길고 가는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614, 624)는 고리부(612, 622) 및/또는 클립부(616, 626) 중 적어도 하나에 탈착 가능한 소모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술자는 연결부(614, 624)의 길이를 수술 상황에 적합한 길이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술자는 수술 상황에 적합한 소재(예를 들어, 유연 소재, 탄성 소재 등)를 포함하는 연결부(614, 624)의 소재를 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614, 624)의 길이는 고리부(612, 622)와 클립부(616, 626) 사이의 거리를 지칭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necting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견인부(620)는 수술 도중에 연결부(624)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6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부(628)는 도르래 구조를 포함하여, 수술자가 수술 도중 조절부(628)를 풀거나 조이는 방식으로 연결부(624)의 길이 및/또는 연결부(624)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조절부(628)는 도르래의 회전축(회전봉)에 연결부(624)에 해당하는 실의 일 단부가 고정되며, 도르래의 일측에는 고리부가 연결될 수 있다. 도르래의 회전봉을 돌리면, 도르래에 감겨 있는 연결부(624)의 실이 감기거나 풀려 도르래와 실의 타 단부 사이의 길이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견인부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또는, 수술자는 수술 도중 조절부(628)에 연결된 연결부(624)의 끝을 당기거나 연결부(624)의 일부를 조절부(628)에 감는 방식으로 연결부(624)의 길이 및/또는 연결부(624)에 인가되는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본 개시의 앞선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들이 본 개시를 행하거나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수정예들이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쉽게 자명할 것이고, 본원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형예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원에 설명된 예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원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가 부여되도록 의도된다.The preced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disclosure. Various modifications of this disclosure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al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is disclosure. Thus,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xamples set forth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disclosed herein.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disclosure has been described in relation to some embodiments in this specific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disclosure that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omething to do. More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0: 인체
110: 복강경
120, 130: 견인 장치
140: 견인 대상 조직100: human body
110: laparoscopic
120, 130: traction device
140: organization to be towed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PCT/KR2022/006603WO2022240108A1 (en) | 2021-05-10 | 2022-05-10 | Apparatus for pulling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10059973 | 2021-05-10 | ||
| KR1020210059973 | 2021-05-10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152944Atrue KR20220152944A (en) | 2022-11-1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20056409ACeasedKR20220152944A (en) | 2021-05-10 | 2022-05-09 | 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152944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631254A (en)* | 2023-06-13 | 2023-08-22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 A pig abdomen punch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surgical robot training and its operating method |
| KR20250092911A (en) | 2023-12-15 | 2025-06-24 |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6631254A (en)* | 2023-06-13 | 2023-08-22 | 中国人民解放军海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 A pig abdomen punch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surgical robot training and its operating method |
| KR20250092911A (en) | 2023-12-15 | 2025-06-24 | 고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The organization retracting device used in laparoscopic surgery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01237826B (en) | Surgical retractor | |
| EP2755565B1 (en) | Devices for manipulating bodily tissues | |
| US11141256B2 (en) | Prosthesis for repairing a hernia defect | |
| US11147660B2 (en) | Prosthesis for repairing a hernia defect | |
| US10925638B2 (en) |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fts | |
| US11490882B2 (en) | Laparoscopic retractor devices | |
| BRPI0404237B1 (en) | SURGICAL INSTRUMENT FOR IMPLANT ANASTOMOTIC DEVICE | |
| BR112018013106B1 (en) | IMPLANTATION DEVICE FOR A SOFT TISSUE REPAIR PROSTHESIS | |
| KR20220152944A (en) | Device for traction of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 |
| JP2003164459A (en) | Retractor | |
| JP5221447B2 (en) | Exclusion device | |
| US20130066343A1 (en) |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fts | |
| WO2022240108A1 (en) | Apparatus for pulling human tissue in laparoscopic surgery | |
| US20210153858A1 (en) | Surgical retractor for robotic and/or laparoscopic system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205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40617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25022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