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겨울철 식물의 동사를 방지하기 위한 식물 보온 효과를 높이는크기 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to prevent freezing of plants in winter.
일반적으로 화분은 식물의 식생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부분의 식물은 기온차에 민감하여 겨울철에는 실외에 들어놓지 않으면 동사한다.In general, potted plants are intended to provide a vegetative environment for plants, and most plants are sensitive to temperature differences, so if they are not put outdoors in winter, they will freeze.
그러나, 실내는 일조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화분을 매번 실내외로 옮기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1752호(2008.06.12.공개)의 "화분용 보온 비닐덮개"가 개시된 바가 있다.However, because it is cumbersome to move the flowerpots indoors and outdoors every time due to the lack of sunlight indoor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8-0001752 (published on Jun. 12, 2008) "insulating plastic cover for potted plants" has been disclosed.
상기한 종래의 화분용 보온 비닐덮개는 일면에 에어캡을 다수개 구비한 제 1 비닐지의 양면에 각각 제2, 3 비닐지를 부착한 3중 또는 그보다 많은 여러겹의 비닐지를 이용해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 비닐덮개와, 화분을 받치되 상부에 십자형 배수홈이 있는 받침판을 구비하여 화분의 하부를 받침판이 받치고 화분의 외측으로 비닐덮개를 덮어 거치하는 것으로서, 겨울철 냉기나 여름철 냉방에 의한 외부의 냉기를 차단하여 화분의 식물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었다.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hermal insulation plastic cover for flowerpots i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using triple or more multiple layers of vinyl paper with second and third vinyl paper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vinyl paper having a plurality of air caps on one side, respectively. It is equipped with a plastic cover and a support plate with a cross-shaped drainage groove on the upper part to support the flowerpot, and the base plate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flowerpot and covers the outside of the flowerpot with a plastic cover to mount it. This made it possible to easily protect potted plants.
하지만 종래의 화분용 보온 비닐덮개는 온도에만 식물을 보호할 뿐, 물을 주기 위해서는 화분용 보온 비닐덮개를 제거한 후 다시 씌워야 하고, 화분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thermal insulation plastic cover for pots only protects plants from temperature, and in order to water them, the insulation plastic cover for pots must be removed and then put on again. There was a problem.
또한, 화분용 보온 비닐덮개를 덮어 놓을 경우, 공기가 통하지 못해 식물이 고사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화분용 보온 비닐덮개 하나만으로 보온하기 때문에 보온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thermal insulation plastic cover for pots is cover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lants die because air does not pass through.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측덮개와 내측덮개로 감싸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덮개가 조절와이어에 의해 둘레의 크기가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화분에 크기에 맞춰 둘레를 조절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키고, 부피를 최소화하여 공간의 낭비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투과부재를 통해 식생에 필요한 수분의 공급과 빛, 및 공기를 공급하여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improve the heat retention by wrapping the outer cover and the inner cover, but also to adjust the siz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ver by the adjusting wire. Because this is possible, by adjusting the circumferen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o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heat retention and minimize the volume to prevent wastage of spa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that can prevent plants from dying.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는 화분의 둘레를 감싸 보온하는 내측덮개, 상기 내측덮개의 외부를 감싸 보온하면서 상기 내측덮개를 보호하는 외측덮개, 및 상기 화분의 크기에 따라 상기 내측덮개의 둘레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덮개는 상기 내측덮개의 상단 둘레를 따라 상기 조절와이어가 삽입되는 상단삽입부, 상기 내측덮개의 양측단에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단삽입부에 삽입된 조절와이어를 상기 내측덮개의 하부로 안내하는 측단안내부, 및 상기 측단안내부를 통해 상기 내측덮개의 하부로 안내된 상기 조절와이어의 양단이 상기 내측덮개의 둘레를 따라 삽입되는 하단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와이어는 상기 조절와이어를 당길 때, 상기 내측덮개의 상단 및 하단의 둘레가 함께 축소되도록 상기 상단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교차되어 각각 상기 측단안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측단안내부를 통해 상기 내측덮개의 하부로 안내된 상기 조절와이어의 양단은 다시 교차되어 상기 하단삽입부에 삽입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sized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inner cover that wraps around the perimeter of the pot to keep it warm, and the inner cover wraps the outside of the inner cover to keep it warm. An outer cover for protecting the cover, and an adjustment wire for adjusti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v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lowerpot, wherein the inner cover is an upper insertion part into which the adjustment wire is insert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ver , a side end guid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cover in the height direction to guide the adjustment wire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over, and guid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over through the side end guide Both ends of the control wire include a lower insertion portion insert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inner cover, the adjustment wire is the upper insertion portion so that the circumference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cover is reduced together when the adjustment wire is pulled. In the inserted state, both ends are crossed and inserted into the side end guides,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control wire guided to the lower part of the inner cover through the side end guides are crossed again and inserted into the lower insertion unit.
상기 측단안내부는 상기 와이어를 당길 때, 상기 내측덮개가 수직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내측덮개의 양측단에 강성을 부여하며 상기 조절와이어가 삽입되는 와이어삽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end guide portion may include a wire insertion tube into which the control wire is inserted, giving rigidity to both ends of the inner cover to prevent the inner cover from being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wire is pulled.
상기 외측덮개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외측덮개의 상단과 상기 내측덮개의 상단을 관통하여 상기 내측덮개의 내부에 위치한 화분에 외부의 빛을 유입시키는 광투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t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member that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ver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ver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cover to introduce external light into the flowerpot located inside the inner cover.
상기 광투과부재는 상기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물이 충전되는 충전공간, 상기 충전공간에 충전된 물에 의해 빛이 확산되어 상기 내측덮개의 내부로 확산되도록 하부로 볼록한 형태의 확산부, 및 상기 충전공간에 충전된 물을 흡수하여 상기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흡습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ncludes a charging space filled with wat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plants, a diffusion part having a convex shape downward so that light is diffused by the water filled in the charging space and diffused into the inner cover, and the It may include a moisture absorption member for supplying water to the flowerpot by absorbing the water filled in the charging space.
상기 외측덮개는 상기 광투과부재의 무게로 인해 상기 외측덮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외측덮개의 둘레에 일정 간격 세워지는 복수 개의 보강대를 포함하고, 상기 광투과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강성보강대에 걸쳐져 상기 외측덮개의 상단에 안착되도록 상기 강성보강대에 걸쳐지는 보강대걸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cover includes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erected at regular intervals around the outer cover to prevent the outer cover from being deformed due to the weight of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and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s spanned over the plurality of rigid reinforcing bars It may include a reinforcing bar hanging portion that spans the rigid reinforcing bar so as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uter cover.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덮개와 외측덮개 이중으로 보온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의 크기에 따라 조절와이어에 의해 내측덮개의 크기를 조절하여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광투과부재에 의해 식생에 필요한, 빛, 물을 제공하여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광투과부재가 강성보강대에 지지되어 최소한의 공기를 내부로 도입함으로써, 공기가 통하지 않아 식물이 고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not only to improve the heat retention by keeping the inner cover and the outer cover double, but also to minimize the installation space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inner cover by the adjusting wir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lowerpot to prevent wastage of space. It can prevent plants from dying by providing light and water necessary for vegetation by the light transmitting member. It can prevent plants from dyin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를 구성하는 내측덮개의 전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를 구성하는 외측덮개의 전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a flowerpot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insulation effect of a pl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flower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inner cover constituting the double insulation cover for flowerpots that can be sized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outer cover constituting the double insulation cover for flowerpots that can be sized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100)는 내측덮개(110), 외측덮개(150) 및 조절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doubl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덮개(110)는 화분(200)의 둘레를 감싸 화분(200)을 보온할 수 있으며, 내측덮개(110)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덮개(110)의 둘레를 감싸 보온할 수 있다.1 to 3 , the
내측덮개(110)는 세워진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면서, 식물에 다공에 의해 공기가 유통되며 보온할 수 있도록 다공성을 갖는 부직포 또는 스펀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내측덮개(110)는 하기에 설명할 조절와이어(130)가 삽입되어 화분(200)의 크기에 따라 둘레가 조절될 수 있다.The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측덮개(110)는 조절와이어(130)의 당김에 따라 화분(200)의 둘레 크기에 맞춰 직경이 축소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주름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내측덮개(110)에는 상단 둘레를 따라 조절와이어(130)가 삽입되는 상단삽입부(111)와, 상단삽입부(111)에 삽입된 조절와이어(130)의 양단을 내측덮개(110)의 하부로 안내하는 측단삽입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측단삽입부(113)는 내측덮개(11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내측덮개(110)에는 측단삽입부(113)로 삽입된 조절와이어(130)가 하단 둘레를 경유하도록 삽입되는 하단삽입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And, the
이때, 상단삽입부(111), 하단상입부 및 측단삽입부(113)는 내측덮개(110)의 테두를 일부 겹쳐지도록 접은 상태에서 단부를 내측덮개(110)에 접합하여 조절와이어(130)가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조절와이어(130)가 상단 둘레, 하단 둘레, 측단 둘레를 지그재그로 관통하여 끼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한편, 내측덮개(110)의 측단삽입부(113)는 와이어삽입관(114)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ide
와이어삽입관(114)은 조절와이어(130)에 의해 내측덮개(110)의 직경을 축소시킬 때, 조절와이어(130)의 장력에 의해 내측덮개(110)에 수직방향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조절와이어(130)가 용이하게 당겨지거나, 풀어질 수 있도록 조절와이어(130)가 삽입될 수 있다.When the diameter of the
와이어삽입관(114)은 각 측단삽입부(113)에 끼워지거나, 부착될 수 있으며, 와이어삽입관(114)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와이어삽입관(114)는 조절와이어(130)의 당김력에 의해 강성을 유지하면서 휘어질 수 있으며, 조절와이어(130)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초기 형상으로 복귀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The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덮개(150)는 내측덮개(110)의 둘레를 감싸 화분(200)을 보온할 수 있으며, 외측덮개(150)는 외부와의 단열성이 높은 재료 예컨대, 단열포장재, 단열재, 에어캡포장재, 또는 에어캡포장재가 부착된 단열재로 구현될 수 있다.1, 2 and 4, the
외측덮개(150)도 판의 형상으로 가요성을 가져 내측덮개(110)에 덮인 화분(200)의 둘레를 감싸 보온할 수 있다.The
외측덮개(150)는 화분(200)을 감싼 상태에서 형태가 수직방향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외측덮개(150)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강성보강대(153)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외측덮개(150)에 부착될 수 있다.The
강성보강대(153)는 유연하게 휘어지는 가요성을 가지며, 강제적으로 휜상태에서 강제력을 해제하면 초기 형상으로 복귀하는 합성수지와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rigid reinforcing bar 153 has flexibility to be flexibly bent, and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uch as synthetic resin that returns to its initial shape when the force is released in the forcibly bent state.
외측덮개(150)는 내측덮개(110)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강성보강대(153)는 외측덮개(150)도보다 더 높은 높이로 돌출되도록 외측덮개(150)에 설치될 수 있다.The
외측덮개(150)의 양단부는 화분(200)의 둘레를 감싼 상태로 서로 접착되도록 벨크로테입, 양면접착테입이 설치되거나, 접착제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Both ends of the
외측덮개(150)의 일측단에는 내측덮개(110)의 일측단이 부착되어 내측덮개(110)와 외측덮개(150)가 서로 일체화되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One end of the
그리고, 외측덮개(150)에는 내측덮개(110)에 설치된 조절와이어(1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조절와이어(130)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와이어(130)가 외부로 노출되는 와이어공(15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And, the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100)는 조절와이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3 , the double
조절와이어(130)는 내측덮개(110)의 상단, 측단, 및 하단을 경유하여 조절와이어(130)를 당길 때, 내측덮개(110)의 직경을 축소시킬 수 있다.The
조절와이어(130)는 조절와이어(130)의 중앙부분이 내측덮개(110)의 상단삽입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절와이어(130)의 양단부를 서로 교차하고, 교차된 양단부를 각각 대응되는 위치의 측단삽입부(113)를 통해 내측덮개(110)의 하부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조절와이어(130)의 양단을 다시 교차시키며, 교차된 양단부와 각각 대응되는 하단삽입부(115)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통과시키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그리고, 하단삽입부(115)를 통과한 조절와이어(130)의 양단은 외측덮개(150)의 와이어공(15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이렇게 설치된 조절와이어(130)의 양단을 외측에서 당기면, 내측덮개(110)에 삽입된 조절와이어(13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내측덮개(110)의 하단 둘레가 찌그러지며 직경이 축소되어 화분(200)의 둘레에 밀착된다.When both ends of the
이 상태에서 더 조절와이어(130)를 더 잡아당기면, 내측덕패의 하단은 화분(200)에 지지되어 더 이상 축소되지 못하고, 측단삽입부(113) 또한 와이어삽입관(114)에 의해 축소되지 못하기 때문에 상단삽입부(111)의 둘레가 축소되어 내측덮개(110)의 상단 즉, 화분(200)의 개방된 상단을 밀폐함으로써, 조절와이어(130)를 당길 경우, 내측덮개(110)가 화분(200)의 하단뿐만 아니라, 화분(200)의 상단까지 덮어 밀폐하기 때문에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f the
그리고, 당겨진 조절와이어(130)는 풀림방지 클램프를 체결하거나, 매듭을 지어 풀어짐을 방지한다.And, the pulled
한편, 내측덮개(110)의 직경을 확장시킬 때에는 풀림방지 클램프 또는 매듭을 조절와이어(130)에서 푼 상태에서 강제적으로 내측덮개(110)를 확장시키면, 당겨졌던 조절와이거가 다시 하단삽입부(115)와 측단삽입부(113) 및 상단삽입부(111)로 삽입되면서 내측덮개(110)의 둘레를 확장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expanding the diameter of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100)는 광투과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double
광투과부재(170)는 외측덮개(150)의 외부에서 빛을 전달받아 내측덮개(110)의 덮여진 화분(200)으로 식물에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제공할 수 있다.The light-transmitting
광투과부재(170)는 외측덮개(15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측덮개(11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측덮개(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광투과부재(17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The
광투과부재(170)는 확산부(171), 충전공간(173), 수분흡습부재(177), 및 보강대걸침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The
확산부(171)는 광투과부재(170)를 통해 내측덮개(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빛이 식물에 촛점을 맞춰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확산시켜 식물 전체적으로 고르게 빛을 전달할 수 있도록 광투과부재(170)의 하부에 볼록한 곡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충전공간(173)은 광투과부재(170)에 형성되어 식물에 필요한 물을 화분(200)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charging
충전공간(173)은 물을 충전할 수 있도록 광투과부재(170)에 상부가 개방된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공간(173)에 충전된 물은 식물로 제공되어 식물성장에 도움을 줌과 동시에 물에 의한 굴절률에 의해 식물에 제공되는 빛의 확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charging
수분흡습부재(177)는 충전공간(173)과 연통되는 확산부(171)의 중앙에 충전공간(173)에 수용된 물을 화분(200)으로 공급하는 공급공을 형성하고, 공급공에 수분흡습부재(177)를 설치하여 공급공을 통해 화분(200)으로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수분흡습부재(177)에서 충전공간(173)에 수용된 물을 흡수하여 화분(200)으로 전달하는 형태로 화분(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The
여기서, 겨울철에는 식물의 식생활동이 활발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보다 수분흡습부재(177)에 의해 간접적으로 화분(200)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o supply water to the
수분흡습부재(177)는 수분을 흡수하여 공급할 수 있는 부직포 또는 직물 또는 지류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수분흡습부재(177)는 공급공에서 화분(200)까지 연장되도록 광투과부재(170)에 설치될 수 있다.The
여기서, 수분흡습부재(177)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량을 고려하여 물을 전달할 수 있는 흡습량에 대응되는 재료로 형성된 수분흡습부재(177)를 설치함으로써, 과도한 물의 공급으로 인해 식물이 부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Here, the
보강대걸침부(175)는 외측덮개(150)에 광투과부재(170)를 걸쳐지지할 수 있도록 광투과부재(170)의 둘레에서 돌출형성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대걸침부(175)는 광투과부재(170)의 둘레에서 플랜지의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대걸침부(175)에는 외측덮개(150)에 설치된 강성보강대(153)의 끝단에 보강대걸침부(175)가 걸쳐지는 형태로 광투과부재(170)를 외측덮개(150)에 설치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이때, 보강대걸침부(175)에는 복수 개의 강성보강대(153)의 끝단이 각각 끼워지는 보강대공(176)이 관통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대걸침부(175)는 외측덮개(150)의 둘레보다 작은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강성보강대(153)를 보강대걸침부(175)가 위치한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휘어 걸쳐지도록 함으로써, 외측덮개(150)의 개방된 상부의 개도를 최소화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inforcing
여기서, 강성보강대(153)는 외측덮개(150)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기 때문에 강성보강대(153)의 상부에 광투과부재(170)를 안착시켜 외측덮개(150)의 상부가 밀폐되더라도 강성보강대(153)들의 사이를 통해 외측덮개(15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식물성장에 필요한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공기를 화분(200)으로 공급할 수 있다.Here, since the rigid reinforcing bar 153 has a higher height than the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The operation and effect between each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100)는 내측덮개(110)의 상단삽입부(111), 측단삽입부(113) 및 하단삽입부(115)에 조절와이어(130)가 상단삽입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이 교차되어 서로 대응되는 측단삽입부(113)를 통해 내측덮개(110)의 하부로 위치되고, 내측덮개(110)의 하부에 위치한 조절와이어(130)의 양단은 다시 교차되어 각각 대응되는 하단삽입부(115)의 일측에서 타측을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된다.The double
이때, 측단삽입부(113)에는 조절와이어(130)를 당길 때, 내측덮개(110)의 상하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와이어삽입관(114)이 설치되어 와이어삽입관(114)을 통해 조절와이어(130)가 삽입된다.At this time, a
그리고, 내측덮개(110)에 하단삽입부(115)를 관통한 조절와이어(130)는 외측덮개(150)의 와이어공(151)을 통해 노출된다In addition, the
한편, 내측덮개(110)의 일단에는 외측덮개(150)의 일단이 부착되며, 외측덮개(150)는 내측덮개(110)의 높이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되며, 외측덮개(150)에는 복수 개의 강성보강대(153)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그리고, 외측덮개(150)의 상단에는 광투과부재(170)가 설치되며, 광투과부재(170)는 외측덮개(150)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내측덮개(110)의 상단을 통해 내측덮개(110)의 내부에 끝단이 위치하며, 내측덮개(110)에 위치하는 끝단에는 입사된 빛을 확산시켜 출사하는 확산부(171)가 형성된다.And, the
광투과부재(170)에는 식물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이 충전되는 충전공간(173)이 형성되며, 충전공간(173)에는 충전된 물을 화분(200)까지 공급하기 위한 수분흡습부재(177)가 설치되며, 광투과부재(170)의 둘레에는 외측덮개(150)의 강성보강대(153)에 광투과부재(170)를 안착시키기 위한 보강대걸침부(175)가 형성된다.A charg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100)는 내측덮개(110)가 외측덮개(15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화분(200)을 감싼상태에서 외측덮개(150)의 양측단을 부착한다.The double
그리고, 외측덮개(150)의 상단에 광투과부재(170)의 보강대걸침부(175)에 강성보강대(153)가 걸쳐지도록 강성보강대(153)를 휘어 보강대걸침부(175)에 형성된 보강대공(176)에 끼운다.Then, the rigid reinforcing bar 153 is bent so that the rigid reinforcing bar 153 is spanned over the reinforcing
이렇게 보강대걸침부(175)에 강성보강대(153)를 휘어 고정하면, 외측덮개(150)의 개방된 상단부가 최소화되며, 강성보강대(153)들의 사이로만 공기가 유통된다.When the rigid reinforcing bar 153 is bent and fixed to the reinforcing
광투과부재(170)가 외측덮개(150)에 안착되면, 내측덮개(110)가 화분(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조절와이어(130)를 외측으로 당기면, 내측덮개(110)에 삽입되었던 조절와이어(13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내측덮개(110)의 하단 부분이 오므라들어 화분(200)의 둘레에 밀착되고, 하단이 화분(200)에 완전히 밀착되면 측단삽입부(113)를 통해 내측덮개(110)의 상단부분이 조절와이어(130)에 의해 오므라든다.When the
한편, 내측덮개(110)의 상단부분이 계속적으로 오므라들어 광투과부재(170)의 둘레에 밀착면 더 이상 조절와이어(130)가 당겨지지 않기 때문에 조절와이어(130)에 매듭을 지어 조절와이어(130)의 풀림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upper part of the
그리고, 조절와이어(130)에 의해 내측덮개(110)가 화분(200)을 감싸면, 광투과부재(170)의 충전공간(173)에 물을 충전한다.Then, when the
이렇게 화분(200)에 설치되면, 화분(200)이 내측덮개(110)에 의해 덮여있어도 외부의 빛은 광투과부재(170)를 통해 내측덮개(110)의 내부로 조사되면서, 광합성에 필요한 빛을 제공하고, 외부의 공기는 외측덮개(150)와 광투과부재(170)의 사이에 위치하는 강성보강대(153)의 사이로 외측덮개(150)의 내부로 유입된다.When installed in the
외측덮개(15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측덮개(110)가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다공성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측덮개(110)를 통해 화분(200)으로 공급되며, 성장에 필요한 물은 충전공간(173)에서 수분흡습부재(177)를 통해 화분(200)으로 공급되어 겨울철 외측덮개(150)와 내측덮개(110)에 의해 보온을 하면서,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제공받을 수 있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100)는 화분(200)을 내측덮개(110)와 외측덮개(150)로 덮어 보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식물이 동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덮개(110)에 조절와이어(130)가 상단, 측단, 및 하단을 경우하도록 설치되어 화분(200)의 크기에 맞춰 내측덮개(110)에 의해 화분(200)을 덮어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double
또한, 광투과부재(170)가 설치되어 식생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고, 광투과부재(170)를 통해 내측덮개(110)의 내부까지 외부의 빛을 전달하여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투과부재(170)가 강성보강대(153)의 상부에 안착되어 외측덮개(150)의 개도를 최소화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여 식생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easily chang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recognized as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 scope of
100: 식물 보온효과를 높이는 크기조절이 가능한 화분용 이중 보온 덮개
110: 내측덮개111: 상단삽입부
113: 측단삽입부114: 와이어삽입관
115: 하단삽입부130: 조절와이어
150: 외측덮개151: 와이어공
153: 강성보강대170:광투과부재
171: 확산부173: 충전공간
175: 보강대걸침부176: 보강대공
177: 수분흡습부재200: 화분100: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resized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110: inner cover 111: upper insertion part
113: side end insertion portion 114: wire insertion tube
115: lower insert 130: control wire
150: outer cover 151: wire ball
153: rigid reinforcing band 170: light transmitting member
171: diffuser 173: charging space
175: reinforcing bar hanging portion 176: reinforcing anti-aircraft
177: moisture absorption member 200: flowerpo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4864AKR102450544B1 (en) | 2020-12-14 | 2020-12-14 |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174864AKR102450544B1 (en) | 2020-12-14 | 2020-12-14 |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84913Atrue KR20220084913A (en) | 2022-06-21 |
| KR102450544B1 KR102450544B1 (en) | 2022-10-0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174864AActiveKR102450544B1 (en) | 2020-12-14 | 2020-12-14 |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450544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8303282A (en)* | 2024-06-11 | 2024-07-09 | 郴州市农业科学研究所 | Overwintering regeneration method for open field planting of Tolubam in south Hunan provinc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36656A (en)* | 2003-01-15 | 2004-08-26 | Katsumi Kasahara | Protective cov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236656A (en)* | 2003-01-15 | 2004-08-26 | Katsumi Kasahara | Protective cov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8303282A (en)* | 2024-06-11 | 2024-07-09 | 郴州市农业科学研究所 | Overwintering regeneration method for open field planting of Tolubam in south Hunan provin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450544B1 (en) | 2022-10-05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319757B1 (en) | Plant factory of vertical-dual modual type | |
| JP4629713B2 (en) | Outdoor greening device and outdoor greening system | |
| JP5660558B2 (en) | Elevated cultiv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moisture permeable waterproof sheet in elevated cultivation device | |
| KR20130106913A (en) |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 |
| KR102450544B1 (en) | Double thermal insulation cover for pots that can be adjusted in size to increase the thermal effect of plants | |
| KR101684651B1 (en) | An apparatus for hydroponics | |
| US3261125A (en) | System for controlling the moisture content of soil | |
| JP3076904B2 (en) |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pparatus for potted ornamental plants and dendritic plants | |
| CA2722674C (en) | Watering device | |
| KR20190040575A (en) | Water pack for supplying trees with water | |
| US20160022060A1 (en) | Flower Pot Cover | |
| KR102326338B1 (en) | Hydroponic cultivation module and hydroponic cultivation tower using same | |
| KR20180004556A (en) | Planting apparatus of heating for mini succulent plant in a greenhouse | |
| US5896988A (en) | Wrapper for a bunch of flowers | |
| KR101195578B1 (en) | Pot apparatus with device for absorting and transporting mineral water | |
| KR20200055348A (en) | double flowerpot | |
| JP5231134B2 (en) | Wall greening panel and wall greening structure using it | |
| KR100717579B1 (en) | Heating device of the thermal cover | |
| JP2001299101A (en) | Elevated cultivation equipment | |
| JPH0823786A (en) | Double aeration type planting pot | |
| KR20160001762U (en) | Size-controllable flower pot | |
| JPH0681241U (en) | Automatic water bowl seat | |
| JP2000166393A (en) | Cultivation container | |
| CN221283876U (en) | Flower cultivation special flowerpot ring and flowerpot using same | |
| CN219228551U (en) | Cold-proof structure for tre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12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712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20928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928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20928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