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20063044A -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3044A
KR20220063044AKR1020200148916AKR20200148916AKR20220063044AKR 20220063044 AKR20220063044 AKR 20220063044AKR 1020200148916 AKR1020200148916 AKR 1020200148916AKR 20200148916 AKR20200148916 AKR 20200148916AKR 20220063044 AKR20220063044 AKR 20220063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information
caregiver
care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89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김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민filedCritical김성민
Priority to KR1020200148916ApriorityCriticalpatent/KR20220063044A/en
Publication of KR20220063044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063044A/en
Ceased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보호자가 케어자 곁에서 케어자의 활동을 직접 현장에 있는 것처럼 볼 수 있고, 케어자는 자신의 성실함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일정변경 등 업무에 있어 중요한 활동을 유연하게 전달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업무 외의 일도 케어대상자를 위해 연결된 케어자, 보호자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면서 서로에 대한 불만을 깨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관계에 대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어자가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함께 전달하면, 보호자가 이에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을 포함하는 대응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케어자-보호자 사이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egiver can see the caregiver's activities as if they were directly on the site, the caregiver can convey their sincerity, and can flexibly deliver important activities in work, such as schedule change, as well as outside work. We provide 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that induces smooth communication so that connected caregivers and caregivers can communicate their thoughts and break their dissatisfaction with each other and come to the forum to build trust in relationships. make it a task to solv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so that when a caregiver transmits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including images, videos, and voice data together, the guardian can deliver corresponding contents including comments, replies, and thanks icons. , to induc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케어대상자의 케어자와 보호자가 이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케어자가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를 포함하는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함께 전달하면, 보호자가 이에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을 포함하는 대응컨텐츠를 전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케어자-보호자 사이의 원활한 소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used by caregivers and guardians of care recipients, and more specifically, when a caregiver transmits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including images, videos, and voice data together, the guardians reply It relates to 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made to deliver corresponding content including , replies, and thank-you icons, thereby inducing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어느 날 아들은 어머니를 보니 거동이 예전 같지 않다는 것을 느꼈다. 집안에서도 거의 누워 지내는 시간이 많았으며, 아들과 병원 가는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외출도 하지 않고 있었다. 병원에서는 여러 질병에 더해 소화기능, 배뇨기능도 문제가 있었고, 걸음걸이도 불편해져 아들 없이는 식사가 어려운 상황에 처해졌다. 이 때문에 아들은 어머니 대신 약을 처방 받으러 가는 등 어머니를 돌보기 위해 빈번히 연차를 사용하다가 이제는 더 이상 쓸 연차도, 버틸 수 있는 체력도 없는 상황이 되었다. 이제 아들에게 선택의 순간이 다가왔다. 직업을 내려놓고 어머니를 돌볼 것인가, 아니면 어머니를 요양원에 보내거나 요양보호사의 주기적 방문을 요청할 것인가.One day, the son looked at his mother and realized that his behavior was not what it used to be. He spent a lot of time lying down at home, and hardly went out except to go to the hospital with his son. In the hospital, in addition to various diseases, there were problems with digestive and urination functions, and the walking became uncomfortable, making it difficult to eat without a son. Because of this, the son frequently used annual leave to take care of his mother, such as going to get a prescription for his mother, but now he has neither the annual leave nor the stamina to endure. Now, the moment of choice has come for the son. Will you give up your job and look after your mother, or will you send your mother to a nursing home or request periodic visits from a caregiver?

이것은 거동이 불편하거나 편찮으신 부모님을 부양해야 하는 현 시대의 자식들 대부분이 하는 고민이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한국사회가 곧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면서 50년 안에 생산인구 1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하는 시대가 온다고 한다. 즉 노인 수는 점점 늘어나는데 이를 부양할 젊은 사람 수는 부족하다는 의미로, 이러한 자식들의 고민은 점차 더 커질 것이고, 요양보호의 확대는 불가피하다.This is a concern for most of the children of today's age, who have to support their parents who are not able to move or are ill. And experts say that as Korean society soon enters a super-aged society, the era will come when one working-age population will have to support one elderly person within 50 years.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older people is increasing, but it means that the number of young people to support them is insufficient.

최근에는 요양보호사, 간병사 등의 케어자에 의한 요양보호 시스템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요양보호 시스템은 자식 등의 보호자가 케어대상자와 멀리 떨어져 살거나 직장 또는 가정 때문에 케어대상자를 직접 돌보지 못하는 상황에도 이용할 수 있어, 다수의 보호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시스템이다.Recently, the long-term care system by caregivers, such as caregivers and nurses, has been expanding in earnest. This nursing care system is a system used by many guardians because it can be used even in situations where the guardians such as children live far away from the care recipients or cannot directly take care of the care recipients due to work or home.

다만, 상기 요양보호 시스템은 다수의 보호자와 케어자 사이 관계를 형성하는데, 그 관계에서 발생하는 트러블이 적지 않다.However, the nursing care system forms a relationship between a plurality of guardians and caregivers, and there are not a few troubles occurring in the relationship.

멀리 떨어져 케어자의 손에 부모님을 맡겨둔 보호자의 입장에서는 케어대상자를 돌보기는 커녕 행여나 해꼬지 할까 케어자를 감시하려 한다. 보호자 입장에서는 가족 또는 가족과 같은 케어대상자를 아주 가까이에서 의식주를 돌보아주는 케어자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스타일로 업무를 처리하는지, 케어대상자와는 좋은 관계를 맺고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케어대상자의 배설을 처리해주고, 음식이나 몸의 청결을 관리해주는 섬세한 케어 업무 특성상 더욱 그렇다.From the point of view of a caregiver who has left their parents in the hands of a caregiver from afar, instead of looking after the person to be cared for, they try to monitor the caregiver to avoid harm. For the caregiver, it is very important to know who the caregiver is who takes car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close proximity to the person to be cared for, such as a family member or family member, what style of work he does, and whether he has a good relationship with the person to be cared for. This is even more so due to the nature of the delicate care work that processes the excretion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and manages the cleanliness of food and body.

반대로 케어자는 몫이 아닌 일까지 허드레일을 해주며 케어대상자를 정성 다해 돌보았지만 보호자가 던지는 것은 의심의 질문뿐일 때가 많다. 특히 요양원에서 케어대상자를 돌보는 케어자에게는 대뜸 "감금하고 때린다면서요?"라는 질문이 자주 던져진다. 케어자가 의심과 감시의 눈초리에 대응하는 감정노동은 육체노동보다 배로 가혹하다.Conversely, caregivers take care of the caregivers with all their heart and hustle even in tasks that are not their duty, but often only questionable questions are asked by the caregivers. In particular, caregivers who take care of care recipients in nursing homes are often asked the question, "Constraint and beaten?" Emotional labor, which the caregiver responds to in the eyes of suspicion and surveillance, is twice as harsh as physical labor.

종래에는 케어대상자를 케어하기 위해 이어진 케어자와 보호자 사이 관계를 원활히 이어줄 수 있는 특별한 소통의 통로가 없었다. 종래 기술도 케어자의 업무를 감시하거나 케어대상자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용도로만 개발되어 왔다. 삶이 팍팍해지면서 삶이 바빠 케어자와 보호자가 마주할 일도 적어졌고, 이에 따라 서로에 대한 꺼림직한 의심과 불만은 쌓여만 졌다. 작은 일로 발생한 의심과 불만은 소통의 통로가 없어 열 배, 백 배로 커져가고, 결국에는 관계가 끊어져 케어대상자에게 해가 가기 십상이었다.In the past, there was no special communication channel that could smoothly conn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giver and the caregiver, which was connected to care for the person to be cared for. The prior art has also been developed only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the work of a caregiver or monitoring the health of a care recipient. As life became more hectic, life became busier, and caregivers and guardians had less to face each other. Doubts and dissatisfaction caused by small things grew ten times or a hundred times as there was no communication channel, and eventually the relationship was cut off and it was easy to harm the person being cared for.

이러한 케어자와 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케어대상자를 사이에 둔 케어자와 보호자 간의 "소통"은 상호 원활한 관계를 위해 핵심역할을 한다. 자주 대화하고 이미지나 음성데이터 등으로 구체적인 상황을 공유하는 "소통"은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있더라도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공감할 수 있게 한다.In order to restore this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communication" is essenti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aregiver and the caregiver between the person to be cared for plays a key role for a smooth mutu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which involves frequent conversations and sharing specific situations through images or voice data, makes it possible to empathize as if you were there even if you were far away from the scene.

또한, 케어대상자의 병 증상을 관찰해 보호자에게 이야기하거나, 케어자가 개인사정으로 방문이 어려운 경우에 미리 양해를 구하는 일 등은 요양보호 시스템의 유연한 운용을 위해 꼭 필요하다.In addition, observing the symptoms of a patient's illness and talking to the guardian, or asking for permission in advance if the caregiver is unable to visit due to personal circumstances, is essential for the flexible operation of the nursing care system.

한편으로는, 단순히 업무를 공유하기 위한 데이터 전달 방식에 그치지 않고, 서로 담소를 나누며 쌓이는 "소통"의 데이터는 케어자와 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해주며, 서로를 신뢰할 수 있게 도와준다.On the one hand, the data of “communication” that is accumulated while chatting with each other, not just a data transfer method for sharing work, strengthen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and helps them to trust each other.

따라서 케어자-보호자 사이의 관계를 위한 효율적인 "소통" 매개체가 필요하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dium for the caregiver-caregiver relationship.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0030호 "단말을 이용한 요양서비스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010030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erminal"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75644호 "디지털 건강 관리 및 원격 환자 모니터링 지원을 위해 설계된 모바일 플랫폼용 시스템 및 방법"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75644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latform designed to support digital health management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보호자가 케어자 곁에서 케어자의 활동을 직접 현장에 있는 것처럼 볼 수 있고, 케어자는 자신의 성실함을 전달할 수 있으며, 일정변경 등 업무에 있어 중요한 활동을 유연하게 전달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업무 외의 일도 케어대상자를 위해 연결된 케어자, 보호자가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면서 서로에 대한 불만을 깨고 대화의 장으로 나와 관계에 대한 신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원활한 소통을 유도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o that the guardian can see the activities of the caregivers as if they are directly on the site next to the caregivers, the caregivers can convey their sincerity, and important activities such as schedule changes smooth communication so that caregivers and caregivers who are connected for care recipients in work other than work can communicate their thoughts, break their dissatisfaction with each other and build trust in th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s a forum for dialogue It aims to provide 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that induces

또한, 본 발명은 케어자, 케어대상자, 보호자 사이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요양보호 플랫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information between caregivers, care recipients, and guardians, and convert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into big data to perform a nursing care platform func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케어대상자를 돌보는 케어자가 소지하게 되는 케어자 단말기(100); 상기 케어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케어대상자에 대한 양치, 세안, 목욕 횟수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청결 수행정보와 식사 수행정보, 투약 수행정보를 포함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입력받는 수행정보 입력모듈(220),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입력받는 소통컨텐츠 입력모듈(230)을 포함하는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 케어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로 송신하는 관리서버(300); 상기 케어대상자의 보호자가 소지하게 되는 보호자 단말기(400);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수행정보 출력모듈(510), 출력된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에 대한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대응컨텐츠를 입력받는 대응컨텐츠 입력모듈(520), 상기 케어활동 대응컨텐츠를 관리서버(300)를 통해 케어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대응컨텐츠 송신모듈(530)을 포함하는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으로 이루어지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egiver terminal 100 carried by a caregiver taking care of a person to be cared for; It is installed and activated in the caregiver terminal 100, an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clean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rushing, washing face, and bathing frequency for the care recipient, meal performance information, and medic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s input an application for caregivers 200 including a communication content input module 230 for receiving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including one or more of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odule 220, an image, a video, and voice data; a management server 300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00 and transmitting it to the caregiver terminal 400; a guardian terminal 400 carried by the guardian of the subject to be cared for;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that is installed and activated in the guardian terminal 400 and outpu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as a list, and comments on the output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Corresponding content input module 520 for receiving care activity corresponding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 reply, and audit icon, and corresponding content for transmitting the care activity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aregiver terminal 10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0 A caregiver consisting of a guardian application 500 including a transmission module 530; provides a guardian communication system.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행정보 입력모듈(220)은, 청결 분류, 식사 분류, 투약 분류, 인지활동 분류, 대화, 상담, 격려, 위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서지원 분류, 가사도움 분류, 외출동행 분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분류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케어활동 분류 출력유닛(221); 상기 출력된 분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분류를 선택받는 케어활동 분류 선택유닛(222);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분류에 대한 수행정보 입력메뉴를 자동 출력하는 수행정보 입력메뉴 출력제어유닛(223);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분류와 입력된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수행정보 입력유닛(224);을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information input modul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otional support class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cleanliness classification, meal classification, medication classification, cognitive activity classification, conversation, counseling, encouragement, and comfort, household help classification,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output unit 221 for outputting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outing companion classifications as a list;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selection unit 222 for selecting any one classification from the output classification list;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output control unit 223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for the selected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and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unit 224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and input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to themanagement server 300 .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은,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수행정보 출력유닛(511);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읽음표시정보 송신유닛(512);을 포함하고, 상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수행정보 출력유닛(211),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읽음표시정보 수신유닛(212), 상기 리스트 중 수신된 상기 읽음표시정보를 대응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읽음표시정보 출력유닛(213)으로 이루어진 수행정보 출력모듈(2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출력되는 상기 읽음표시정보를 통해 상기 보호자의 리스트 열람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511 for outputting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s a list; and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12 that transmits the read indication information for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list to themanagement server 300, wherein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transmi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211 for outputting a list,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2 for receiving read indication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the read indic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list A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230 comprising a reading ind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a;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list of guardians has been rea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 및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은, 케어활동 외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입력받는 게시판 입력유닛(241, 541),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리스트로 출력하는 게시판 출력유닛(242, 542), 출력된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에 대한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게시용 대응컨텐츠를 입력받는 대응컨텐츠 입력유닛(243, 543), 상기 게시용 대응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대응컨텐츠 송신유닛(244, 544)으로 이루어진 게시판 관리모듈(240, 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lication forcaregivers 200 and the application forguardians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ulletin board input units 241 and 541 for receiving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made up of one or more of images, videos, and voice data other than care activities. ), bulletin board output units 242 and 542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and outputting it as a list, including one or more of comments, replies, and thanks icons for the output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Bulletin board management module (240, 540) consisting of corresponding content input units (243, 543)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posting, and corresponding content sending units (244, 544)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pos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 may be further inclu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어대상자의 지인이 소지하게 되는 지인 단말기(600); 상기 지인 단말기(6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의 게시판 관리모듈(540)을 포함하여, 상기 보호자 외 지인도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입력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nacquaintance terminal 600 possessed by an acquaintance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quaintance application ( 700); may further include.

본 발명에 따른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은 케어자-보호자 사이 소통의 매개체로서, 이에 의하면 케어자의 관점에서는 자신의 케어활동에 대한 보호자의 의심과 감시의 눈초리를 걷어낼 수 있으며, 보호자의 관점에서는 케어대상자를 대하는 케어자를 그 공간에 함께 하는 것과 같이 보거나 공감할 수 있으며, 케어활동 외의 사항에 대해서도 케어자와 보호자가 모두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며 대화할 수 있어, 케어자-보호자 간 신뢰 관계를 확고히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The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According to this, from the caregiver's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guardian's suspicion and monitoring about their care activities, and from the caregiver's point of view, You can see or sympathize with the caregiver who treats the person to be cared for as if they were together in the space, and both the caregiver and the caregiver can communicate and communicate their thoughts on matters other than care activities, thereby strengthening the trusting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It has the effect of encouraging you to do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케어자, 케어대상자, 보호자에 대한 정보와, 케어활동 수행정보, 대응컨텐츠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추후 케어자, 케어대상자, 보호자에 대한 평가나 성향 추측에 따른 매칭추천, 요양보호 관련 정보공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요양보호 플랫폼화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bout caregivers, care recipients, and guardians,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s, and converts the collected information into big data, so that future caregivers, care recipients, and guardians It can become a nursing care platform that can perform evaluation or propensity prediction, matching recommendation, and sharing information related to nursing ca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또는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정보 출력모듈의 활용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의 수행정보 입력모듈의 활용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또는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의 게시판 관리모듈의 활용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의 보호자 로그인 관리모듈의 활용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자용 또는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의 공유알림장 관리모듈의 활용 예시도;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for caregi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n application for guardi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ample of utilization of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of the application for guardians or caregi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odule of a caregiver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of the bulletin board management module of the application for guardians or caregi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of the parental login management module of the parental appl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n exemplary view of the use of the shared reminder management module of the application for guardians or caregiv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7 .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서버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 drawings and descriptions of configurations and actions that can be easily recognized by those skilled in this field from general terminals, applications, management servers, etc. are simplified or omitted. In particular, in the drawings and detailed descriptions, detailed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s and actions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illustrated or described. di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케어자 단말기(100),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 관리서버(300), 보호자 단말기(400),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 지인 단말기(600),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aregiver terminal 100, acaregiver application 200, amanagement server 300, aguardian terminal 400, and aguardian application 500, as shown in FIG. , anacquaintance terminal 600 , and consists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nacquaintance application 700 .

이때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은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 과정 또는 실행 후 설정 과정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케어자용, 보호자용 또는 지인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설치 후 작동되는 초기 화면에서 사용자가 케어자, 보호자 또는 지인인지를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케어자로 선택된 경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으로 동작되고, 보호자로 선택된 경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으로 동작되며, 지인으로 선택된 경우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으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 theguardian application 500 , and theacquaintance application 700 may be installed as one application. It can be applied as an application. For example, the user is induced to select whether the user is a caregiver, a guardian, or an acquaintance on the initial screen operated after installation of the application, and when the user is selected as a caregiver, it operates as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and when selected as a guardian, the guardian application (500) ), and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nacquaintance application 700 when selected as an acquaintance.

케어자 단말기(100)는 PC, 스마트폰와 같이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케어대상자를 돌보는 케어자가 소지하게 된다. 이때 케어자는 요양보호사, 요양사 뿐만 아니라 케어대상자를 돌보는 역할을 맡는 자가 적용될 수 있다.Thecaregiver terminal 100 is an electronic hardware device used to input or display data to a computer or computing system, such as a PC or a smart phone, and is possessed by a caregiver taking care of a person to be cared for. In this case, the caregiver may be applied not only to a caregiver, a caregiver, but also a person in charge of taking care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의 준말으로, 케어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된다.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수행정보 입력모듈(220)과 소통컨텐츠 입력모듈(230)을 포함한다. 수행정보 입력모듈(220)은 케어대상자에 대하여 수행한 청결 수행정보, 식사 수행정보, 투약 수행정보 등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입력받는다. 소통컨텐츠 입력모듈(230)은 상기 수행정보 입력모듈(220)과 관련된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이렇게 입력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는 보호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보호자 단말기(400)로 전달되고, 이를 열람한 보호자는 현장에서 케어자의 활동을 직접 현장에 있는 것처럼 보며 케어자와 소통할 수 있게 된다.Thecaregiver application 200 is an abbreviation of application software, and is installed and activated in thecaregiver terminal 100 .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includes a performanceinformation input module 220 and a communicationcontent input module 230 . The performanceinformation input module 220 receives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cleaning performance information, meal performance information, medic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etc. performed on the subject to be cared for. The communicationcontent input module 230 receives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video, and voice data related to the performanceinformation input module 220 .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input in this way are transmitted to theguardian terminal 400 so that the guardian can read it, and the guardian who reads it sees the caregiver's activities on the spot as if they were directly in the field and communicates with the caregiver. be able to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관련하여, 청결 수행정보는 양치, 세안, 목욕 횟수, 머리감기, 배변 도움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식사 수행정보는 아침, 점심, 저녁, 간식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투약 수행정보는 케어대상자가 주기적 또는 일시적으로 흡수해야하는 약품을 투약하였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In relation to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the clean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brushing teeth, washing face, bathing times, washing hair, and helping with defecation. Meal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related to breakfast, lunch, dinner, and snacks. The dos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re subject has administered a drug that needs to be absorbed periodically or temporarily.

이 외에도, 도 5와 같이 인지활동 수행정보, 정서지원 수행정보, 가사도움 수행정보, 외출동행 수행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지활동 수행정보는 신체운동, 단순놀이, 요리 등의 사회활동훈련과 배우기, 만들기, 도구활용 놀이 등 인지향상훈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서지원 수행정보는 일상대화, 생활상담, 격려, 위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사도움 수행정보는 취사, 방 청소, 세탁, 업무대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출동행 수행정보는 병원동행, 장보기, 산책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 it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performing cognitive activities, information on performing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on performing housework help, and information on performing accompanying outings. The cognitiv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may include training for social activities such as physical exercise, simple play, and cooking, and cognitive enhancement training such as learning, making, and playing with tools. The emotional support performance information may include daily conversations, life counseling, encouragement, comfort, and the like. The household help performance information may include cooking, room cleaning, laundry, business proxy, and the like. The outing accompaniment performance information may include hospital accompaniment, shopping, and walking.

구체적으로, 수행정보 입력모듈(220)은 케어활동 분류 출력유닛(221), 케어활동 분류 선택유닛(222), 수행정보 입력메뉴 출력제어유닛(223), 수행정보 입력유닛(224)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erformanceinformation input module 220 may include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output unit 221 ,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selection unit 222 ,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output control unit 223 , and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unit 224 . can

케어활동 분류 출력유닛(221)은 도 5와 같이 청결 분류, 식사 분류, 투약 분류, 인지활동 분류, 대화, 상담, 격려, 위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서지원 분류, 가사도움 분류, 외출동행 분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분류를 리스트로 출력한다. 케어활동 분류 선택유닛(222)은 케어자로부터 상기 출력된 분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분류를 선택받는다. 수행정보 입력메뉴 출력제어유닛(223)은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분류에 대한 수행정보 입력메뉴를 자동으로 출력한다. 수행정보 입력유닛(224)은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분류와 입력된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The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output unit 221, as shown in FIG. 5, includes an emotional support class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cleanliness classification, meal classification, medication classification, cognitive activity classification, conversation, counseling, encouragement, and comfort, household help classification, and outing companion classification Care activity classifications including one or more of these are output as a list. The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selection unit 222 receives a selection of any one classification from the output classification list from the caregiver.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output control unit 223 automatically outputs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for the selected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unit 224 transmits the selected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and the input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to themanagement server 300 .

이러한 구성에 따라, 케어자는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에서 보호자와의 소통을 위한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관련된 주제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관련 주제의 입력모듈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어, 케어활동 수행정보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caregiver can automatically switch to the input module of the related topic simply by selecting the topic related to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caregiver in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so that the input of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보다 구체적으로,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은 도 2와 같이 수행정보 출력모듈(210), 게시판 관리모듈(240), 케어자 로그인 관리모듈(250), 공유알림장 관리모듈(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pplication forcaregivers 200 may further include a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210 , a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240 , a caregiverlogin management module 250 , and a sharedreminder management module 260 as shown in FIG. 2 . can

여기서 수행정보 출력모듈(210)은 관리서버(300)로부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수행정보 출력모듈(210)은 수행정보 출력유닛(211), 읽음표시정보 수신유닛(212), 읽음표시정보 출력유닛(213)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210 receives and outpu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210 may include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211 ,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2 , and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

게시판 관리모듈(240)은 게시판 입력유닛(241), 게시판 출력유닛(242), 대응컨텐츠 입력유닛(243), 대응컨텐츠 송신유닛(244)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240 may include a bulletin board input unit 241 , a bulletin board output unit 242 , a corresponding content input unit 243 , and a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ssion unit 244 .

케어자 로그인 관리모듈(250)은 자격정보 생성유닛(251), 케어대상자 선택유닛(252), 요청정보 출력유닛(253)을 포함할 수 있다. 자격정보 생성유닛(251)은 도 7과 같이 케어자 ID, 소속정보, 소지 자격증정보, 경력정보를 입력받아 케어자 자격정보를 생성한다. 케어대상자 선택유닛(252)은 상기 케어대상자정보 중 매칭된 케어대상자정보에 대한 선택정보 출력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요청정보 출력유닛(253)은 관리서버(300)로부터 상기 선택정보 출력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케어대상자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렇게 케어대상자정보가 로딩된 후 케어자가 상기 케어대상자정보에 대응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수행정보 입력유닛(224)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러한 케어자 로그인 관리모듈(250)의 구성을 통해, 케어자는 다수의 케어대상자와 관련된 케어활동을 유용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The caregiverlogin management module 250 may include a qual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51 , a care subject selection unit 252 , and a request information output unit 253 . The qualification information generating unit 251 generates caregiver qualification information by receiving the caregiver ID, affiliation information, possession qualification information, and career information as shown in FIG. 7 . The care subject selection unit 252 transmits a selection information output request signal for the matched care subject information among the care subject information to themanagement server 300 . The request information output unit 253 receives and outputs the care targ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 After the care target information is loaded in this way,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unit 224 may be activated so that the caregiver can input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are target informatio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caregiverlogin management module 250, the caregiver can effectively manage care activities related to a plurality of care recipients.

공유알림장 관리모듈(260)은 케어활동 수행정보 이외에 케어자가 보호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알림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서버(300)를 통해 보호자 단말기(400)로 송신하거나, 보호자가 케어자에게 전달하고자 입력한 알림정보를 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한다.The sharedreminder management module 260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caregiver wants to deliver to the caregiver in addition to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guardian terminal 400 through themanagement server 300, or the guardian enters to deliver to the caregive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s received and output through themanagement server 300 .

관리서버(300)는 온라인 통신망에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케어자 단말기(100) 및 보호자 단말기(400)와 연결되어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 관련 데이터를 저장, 생성, 출력,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관리서버(300)는 케어자 단말기(100)로부터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보호자 단말기(400)로 송신한다.Themanagement server 300 is connected to the online communication network, and is connected to thecaregiver terminal 100 and thecaregiver terminal 400 to store, generate, output, and manag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related data. will do Specifically, the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and store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from thecaregiver terminal 100 , and then transmits it to thecaregiver terminal 400 .

관리서버(300)는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 외에도 후술할 케어활동 대응컨텐츠, 게시용 소통컨텐츠, 공유알림장용 소통컨텐츠를 수신하여 데이터로서 DB(DataBase)에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시간이 갈 수록 축적되어 다양한 기능 수행을 위한 빅데이터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집된 상기 정보들은 케어자, 케어대상자, 보호자에 대한 평가나 성향 추측에 따른 매칭추천, 요양보호 관련 정보공유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다.Themanagement server 300 receives, in addition to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care activity response content to be described later,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and communication content for a shared notification room, and stores it in a DB (DataBase) as data. These data are accumulated over time and can be converted into big data for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the collected information may serve as a basis for performing evaluation of caregivers, care recipients, and guardians, matching recommendations according to propensity guesses, and information sharing related to nursing care.

보호자 단말기(400)는 전술한 케어자 단말기(100)와 같이 PC, 스마트폰 등의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케어대상자의 보호자가 소지하게 된다. 이때 보호자는 케어대상자의 아들, 딸, 형제, 친척 뿐만 아니라 케어대상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맡는 자가 적용될 수 있다.Thecaregiver terminal 400 is an electronic hardware device used to input or display data to a computer or computing system such as a PC or a smart phone, like thecaregiver terminal 100 described above, and is possessed by the caregiver's guardian. In this case, the guardian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son, daughter, brother, or relative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but also a person in charge of protecting the person to be cared for.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은 응용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의 준말으로, 케어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된다.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은 수행정보 출력모듈(510), 대응컨텐츠 입력모듈(520), 대응컨텐츠 송신모듈(530)을 포함한다.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은 보호자 단말기(400)로부터 관리서버(300)를 통해 전달된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리스트로 출력한다. 대응컨텐츠 입력모듈(520)은 출력된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에 대해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대응컨텐츠를 입력받는다. 대응컨텐츠 송신모듈(530)은 상기 케어활동 대응컨텐츠를 관리서버(300)를 통해 케어자 단말기(100)로 송신한다.Theguardian application 500 is an abbreviation for application software, and is installed and activated in thecaregiver terminal 100 . Theguardian application 500 includes a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 a correspondingcontent input module 520 , and a correspondingcontent transmission module 530 .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outpu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transmitted from theguardian terminal 400 through themanagement server 300 as a list. The correspondingcontent input module 520 receives care activity corresponding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mment, a reply, and an audit icon with respect to the outputte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The correspondingcontent transmission module 530 transmits the care activity corresponding content to thecaregiver terminal 100 through themanagement server 300 .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이 케어자의 세안 및 투약과 관련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이미지로 구성된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출력하면, 대응컨텐츠 입력모듈(520)은 보호자의 선택에 의해 댓글을 달거나 감사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은 대응컨텐츠 입력모듈과 대응컨텐츠 송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만약 보호자가 단 댓글이나 답글에 대해서도 도 4와 같이 대응컨텐츠를 입력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outputs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composed of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images related to the caregiver's face-wash and medication as shown in FIG. 4 , the correspondingcontent input module 520 selects the guardian You will be able to comment or select the thank you icon. In addition, the application forcaregivers 500 may further include a corresponding content input module and a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ssion module, so that if the guardian can input and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as shown in FIG. 4 for a comment or reply.

이러한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의 구성을 통해, 보호자는 자신이 열람한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에 대하여 의견이나 감정, 요청 등을 구체적인 대응컨텐츠로 전달할 수 있어, 케어자-보호자 사이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된다. 즉 보호자는 케어대상자를 돌보는 케어자에 대한 불만 또는 감사함을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 소통의 장이 없어 생길 수 있는 서로에 대한 불만을 깨고 신뢰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application 500 for guardians, the guardian can deliver opinions, feelings, requests, etc. with respect to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that they have read as specific corresponding contents, This leads to smooth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 caregiver can specifically convey dissatisfaction or gratitude towards the caregiver who takes care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breaking the dissatisfaction with each other that may arise due to the lack of a place for communication and forming a relationship of trust.

보다 구체적으로,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은 수행정보 출력유닛(511), 읽음표시정보 송신유닛(512)을 포함할 수 있다. 수행정보 출력유닛(511)은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한다. 읽음표시정보 송신유닛(512)은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More specifically,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may include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511 and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512 .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511 outpu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s a list. The read mark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512 transmits the read mark information for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list to themanagement server 300 .

이와 관련하여,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의 수행정보 출력모듈(230)은, 수행정보 출력유닛(211), 읽음표시정보 수신유닛(212), 읽음표시정보 출력유닛(213)으로 이루어진다. 수행정보 출력유닛(211)은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한다. 읽음표시정보 수신유닛(212)은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 읽음표시정보 출력유닛(213)은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한다.In this regard,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230 of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includes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211 ,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2 , and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211 outpu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s a list. The read mark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2 receives the read mark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 The read mark information output unit 213 receives the read mark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

이러한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의 수행정보 출력모듈(510) 및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의 수행정보 출력모듈(230)의 구성에 의하여,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출력되는 상기 읽음표시정보를 통해 케어자는 보호자의 리스트 열람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케어자와 보호자 사이의 소통 여부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of the application forcaregivers 500 and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230 of the application forcaregivers 200, the read indica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application 200 for caregivers The caregiver can check whether the guardian has read the list. This becomes a channel through which communication between caregivers and guardians can be clearly checked.

한편,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은 게시판 관리모듈(540), 보호자 로그인 관리모듈(550), 공유알림장 관리모듈(56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guardian application 500 may include a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540 , a guardianlogin management module 550 , and a shared notificationroom management module 560 .

게시판 관리모듈(540)은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의 게시판 관리모듈(240)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시판 관리모듈(240, 540)은 게시판 입력유닛(241, 541), 게시판 출력유닛(242, 542), 대응컨텐츠 입력유닛(243, 543), 대응컨텐츠 송신유닛(244, 5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540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240 of thecaregiver application 200 . 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240 and 540 may include bulletin board input units 241 and 541, bulletin board output units 242 and 542, corresponding content input units 243 and 543, and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ssion units 244 and 544. there is.

게시판 입력유닛(241, 541)은 케어활동 외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입력받는다. 게시판 출력유닛(242, 542)은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리스트로 출력한다. 대응컨텐츠 입력유닛(243, 543)은 출력된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에 대한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게시용 대응컨텐츠를 입력받는다. 대응컨텐츠 송신유닛(244, 544)은 상기 게시용 대응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The bulletin board input units 241 and 541 receiv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made up of one or more of images, videos, and voice data in addition to care activities. The bulletin board output units 242 and 542 receive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and output it as a list. The corresponding content input units 243 and 543 receive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posting including one or more of comments, replies, and thanks icons for the output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tting units (244, 544) transmit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pos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도 6은 게시판 관리모듈(540)의 활용예로, 게시판 관리모듈(540)에는 케어활동과는 별도의 이야기나 감정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케어자와 보호자는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업무 관련 대화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보호자가 건강기능식품을 케어대상자에게 전달하면서 케어자에게도 함께 나누어준 사실에 대한 감사를 표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도 6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 대한 소통을 유도함으로써 케어자-보호자 간 신뢰 관계를 향상시키도록 한다.6 is an example of the use of 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540. Since 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540 is configured to express a story or emotion separate from care activities, caregivers and guardians may feel rigid in relation to work. You can talk about a variety of things without just having a conversation. In FIG. 6 , the guardian expresses gratitude for the fact that the health functional food is delivered to the care recipient and shared with the care person.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caregivers by inducing communication about various situations as shown in FIG. 6 .

보호자 로그인 관리모듈(550)은 케어대상자정보 생성유닛(551), 케어대상자 선택유닛(552), 요청정보 출력유닛(553)을 포함할 수 있다. 케어대상자정보 생성유닛(551)은 케어대상자 ID, 상기 케어자의 방문일정정보, 상기 케어대상자에 대한 양치, 세안, 목욕 횟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청결 요청정보와 식사 요청정보, 투약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케어활동 요청정보를 입력받아 케어대상자정보를 생성한다. 케어대상자 선택유닛(552)은 상기 케어대상자정보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케어대상자정보 중 선택된 케어대상자정보에 대한 선택정보 출력요청신호를 상기 관리서버(300)로 송신한다. 요청정보 출력유닛(553)은 관리서버(300)로부터 상기 선택정보 출력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케어대상자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전술한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의 수행정보 출력유닛(511)은 관리서버(300)로부터 상기 선택정보 출력요청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 로그인 관리모듈(550)의 구성을 통해, 보호자는 다수의 케어대상자와 관련된 케어활동을 유용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The guardianlogin management module 550 may include a care subject information generation unit 551 , a care subject selection unit 552 , and a request information output unit 553 . The care subject information generating unit 551 includes a care subject ID, visit schedule information of the caretaker, clean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brushing, washing face, and bathing frequency for the care subject, meal request information, and medication request information It receives care activity request information to create care target information. The care subject selection unit 552 transmits a selection information output request signal for the selected care subject information among the care subjec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care subject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 ) to themanagement server 300 . The request information output unit 553 receives and outputs the care targe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511 of the aforementioned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is configured to receive and output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information output request signal from themanagement server 300 . can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guardianlogin management module 550, the guardian can effectively manage care activities related to a plurality of care subjects.

공유알림장 관리모듈(560) 도 8과 같이 케어활동 수행정보 이외에 보호자가 케어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알림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서버(300)를 통해 케어자 단말기(100)로 송신하거나, 케어자가 보호자에게 전달하고자 입력한 알림정보를 관리서버(300)를 통해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때 공유알림장 관리모듈(560)은 지인 단말기(600)을 제외한 케어자 단말기(100) 및 보호자 단말기(400)에 대해서만 열람 권한이 허용되어, 케어자 단말기(100) 및 보호자 단말기(400)만의 소통 통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Sharedreminder management module 560 As shown in FIG. 8, in addition to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the guardian receive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hat the guardian wants to deliver to the caregiver and transmits it to thecaregiver terminal 100 through themanagement server 300, or the caretaker sends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caregiver. The notification information input to be transmitted is received and output through themanagement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sharednotification management module 560 is permitted to read only thecaregiver terminal 100 and thecaregiver terminal 400 except for theacquaintance terminal 600, so that only thecaregiver terminal 100 and thecaregiver terminal 400 communicate It may be configured to be a passage.

지인 단말기(600)는 PC, 스마트폰와 같이 컴퓨터나 컴퓨팅 시스템에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표시하는데 쓰이는 전자 하드웨어 기기로서, 케어대상자의 지인이 소지하게 된다. 이때 지인은 케어대상자의 친척, 며느리, 사위, 형제, 이웃, 친구 등이거나 보호자의 이웃, 친구 등 케어대상자와 친분이 형성된 사람 모두가 해당될 수 있다.Theacquaintance terminal 600 is an electronic hardware device used to input or display data in a computer or computing system, such as a PC or a smart phone, and is possessed by an acquaintance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In this case, the acquaintance may be a relative, daughter-in-law, son-in-law, brother, neighbour, friend, etc.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or any person who has formed close acquaintance with the person to be cared for, such as a neighbor or friend of the guardian.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은 지인 단말기(6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된다. 구체적으로,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은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의 게시판 관리모듈(540)을 포함하여, 보호자 외 지인도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입력 생성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Theacquaintance application 700 is installed on theacquaintance terminal 600 and is activated. Specifically, theacquaintance application 700 may include the bulletinboard management module 540 of theguardian application 500 so that acquaintances other than the guardian can input and generate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이러한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의 구성을 통해, 케어자는 보호자 외 케어대상자와 관련된 다양한 사람들과 친분을 쌓을 수 있으며, 상기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을 통한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통해 다양한 의견을 나눌 수 있다. 또한, 지인들이 게시한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어플리케이션 활용이 어려운 케어대상자에게 제시해주며 케어대상자와도 소통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케어대상자의 손주의 모습이 담긴 동영상을 게시용 소통컨텐츠로 업로드 한 경우, 케어자는 케어대상자에게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보여주어 케어대상자에게까지 게시용 소통컨텐츠가 전달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application 700 for acquaintances, caregivers can build acquaintance with various people related to care subjects other than guardians, and can share various opinions through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through theapplication 700 for acquaintan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sent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posted by acquaintances to the care recipients who have difficulty using the application, and induce communication with the care recipients. For example, if a video containing the appearance of the grandchild of a care recipient is uploaded as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the caregiver can induce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to be delivered to the care recipient by showing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to the care recipient. there is.

이때,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은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의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의 일부 권한이 제한되어 일부의 상기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출력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이 출력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 중 청결 수행정보에 대해서만 출력이 차단되거나, 상기 청결 수행정보 중 목욕, 배변 도움 등 일부 정보에 대해서만 출력이 차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acquaintance application 700 may be set to not output some of the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because some authority of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of theguardian application 500 is limited. For example, the output of only the cleanliness performance information among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by the performance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may be blocked, or the output may be blocked only for some information such as bathing and defecation assistance among the cleaning performance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 : 케어자 단말기
200 :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
210 : 수행정보 출력모듈
220 : 수행정보 입력모듈
230 : 소통컨텐츠 입력모듈
240 : 게시판 관리모듈
250 : 케어자 로그인 관리모듈
260 : 공유알림장 관리모듈
300 : 관리서버
400 : 보호자 단말기
500 :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
510 : 수행정보 출력모듈
520 : 대응컨텐츠 입력모듈
530 : 대응컨텐츠 송신모듈
540 : 게시판 관리모듈
550 : 보호자 로그인 관리모듈
560 : 공유알림장 관리모듈
600 : 지인 단말기
700 : 지인용 어플리케이션
100: caregiver terminal
200: application for caregivers
210: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220: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odule
230: communication content input module
240: bulletin board management module
250: caregiver login management module
260: shared notification room management module
300: management server
400: guardian terminal
500: application for guardians
510: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520: corresponding content input module
530: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ssion module
540: bulletin board management module
550: parental login management module
560: shared notification room management module
600: acquaintance terminal
700: acquaintance application

Claims (5)

Translated fromKorean
케어대상자를 돌보는 케어자가 소지하게 되는 케어자 단말기(100);
상기 케어자 단말기(1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케어대상자에 대한 양치, 세안, 목욕 횟수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청결 수행정보와 식사 수행정보, 투약 수행정보를 포함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입력받는 수행정보 입력모듈(220),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입력받는 소통컨텐츠 입력모듈(230)을 포함하는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
케어자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로 송신하는 관리서버(300);
상기 케어대상자의 보호자가 소지하게 되는 보호자 단말기(400);
상기 보호자 단말기(4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수행정보 출력모듈(510), 출력된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와 케어활동 소통컨텐츠에 대한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대응컨텐츠를 입력받는 대응컨텐츠 입력모듈(520), 상기 케어활동 대응컨텐츠를 관리서버(300)를 통해 케어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대응컨텐츠 송신모듈(530)을 포함하는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으로 이루어지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
a caregiver terminal 100 possessed by a caregiver who takes care of a person to be cared for;
It is installed and activated in the caregiver terminal 100, an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cleaning performance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brushing, washing face, and bathing frequency for the care recipient, meal performance information, and medication performance information is input an application for caregivers 200 including a communication content input module 230 for receiving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including one or more of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odule 220, image, video, and voice data;
a management server 300 that receives and store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from the caregiver terminal 100 and transmits it to the caregiver terminal 400;
a guardian terminal 400 carried by the guardian of the subject to be cared for;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that is installed and activated in the guardian terminal 400 and outputs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as a list, and comments on the output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s Corresponding content input module 520 for receiving care activity corresponding content including one or more of , reply, and audit icon, and corresponding content for transmitting the care activity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aregiver terminal 10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300 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guardian application (500) including a transmission module (5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정보 입력모듈(220)은,
청결 분류, 식사 분류, 투약 분류, 인지활동 분류, 대화, 상담, 격려, 위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서지원 분류, 가사도움 분류, 외출동행 분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어활동 분류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케어활동 분류 출력유닛(221);
상기 출력된 분류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분류를 선택받는 케어활동 분류 선택유닛(222);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분류에 대한 수행정보 입력메뉴를 자동 출력하는 수행정보 입력메뉴 출력제어유닛(223);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분류와 입력된 케어활동 수행정보 및 케어활동 소통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수행정보 입력유닛(224);을 포함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odule 220,
Outputs a list of care activity classifications including one or more of cleanliness classification, meal classification, medication classification, cognitive activity classification, emotional support classifica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conversation, counseling, encouragement, and comfort, housekeeping help classification, and outing companion classification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output unit 221;
a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selection unit 222 for selecting any one classification from the output classification list;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output control unit 223 for automatically outputting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menu for the selected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and a performance information input unit (224) for transmitting the selected care activity classification and input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re activity communication content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정보 출력모듈(510)은,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수행정보 출력유닛(511);
상기 리스트 중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읽음표시정보 송신유닛(512);을 포함하고,
상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은,
상기 케어활동 수행정보를 리스트로 출력하는 수행정보 출력유닛(211), 상기 선택된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대한 읽음표시정보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읽음표시정보 수신유닛(212), 상기 리스트 중 수신된 상기 읽음표시정보를 대응되는 케어활동 수행정보에 표시하여 출력하는 읽음표시정보 출력유닛(213)으로 이루어진 수행정보 출력모듈(2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으로 출력되는 상기 읽음표시정보를 통해 상기 보호자의 리스트 열람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510,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511 for outputting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s a list;
and a read mark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512 for transmitting the read mark information on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list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caregiver application 200,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unit 211 for outputting the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as a list,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12 for receiving read indication information on the selected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from the list Further comprising; a performance information output module 230 comprising a read indication information output unit 213 for displaying and outputting the received reading indication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care activity performance information;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list of guardians is read through the read indication information output to the caregiver application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자용 어플리케이션(200) 및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은,
케어활동 외 이미지, 동영상, 음성데이터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입력받는 게시판 입력유닛(241, 541),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리스트로 출력하는 게시판 출력유닛(242, 542),
출력된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에 대한 댓글, 답글, 감사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게시용 대응컨텐츠를 입력받는 대응컨텐츠 입력유닛(243, 543),
상기 게시용 대응컨텐츠를 관리서버(300)로 송신하는 대응컨텐츠 송신유닛(244, 544)으로 이루어진 게시판 관리모듈(240, 540);을 더 포함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pplication for caregivers 200 and the application for guardians 500 are,
Bulletin board input units (241, 541) for receiving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consisting of one or more of images, videos, and voice data other than care activities;
bulletin board output units 242 and 542 fo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from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outputting it as a list;
Corresponding content input units (243, 543) for receiv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posting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mment, a reply, and a thanks icon for the output communication content for posting (243, 543);
The care-guardian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bulletin board management module (240, 540) compris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transmitting units (244, 544)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content for posting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어대상자의 지인이 소지하게 되는 지인 단말기(600);
상기 지인 단말기(600)에 설치되어 활성화되고, 상기 보호자용 어플리케이션(500)의 게시판 관리모듈(540)을 포함하여, 상기 보호자 외 지인도 상기 게시용 소통컨텐츠를 입력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지인용 어플리케이션(700);을 더 포함하는 케어자-보호자 소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 acquaintance terminal 600 carried by an acquaintance of the person to be cared for;
An acquaintance application ( 700); a caregiver-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KR1020200148916A2020-11-092020-11-09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CeasedKR2022006304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48916AKR20220063044A (en)2020-11-092020-11-09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48916AKR20220063044A (en)2020-11-092020-11-09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63044Atrue KR20220063044A (en)2022-05-17

Family

ID=8180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00148916ACeasedKR20220063044A (en)2020-11-092020-11-09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2022006304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718095B1 (en)2024-06-242024-10-16주식회사 엑스알프렌즈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 patent care platform and method of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10030B1 (en)2009-03-092011-01-21주식회사 레아정보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erminal
KR20180075644A (en)2015-10-292018-07-04라이 킹 티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platforms designed to support digital healthcare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1010030B1 (en)2009-03-092011-01-21주식회사 레아정보 Care service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a terminal
KR20180075644A (en)2015-10-292018-07-04라이 킹 티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platforms designed to support digital healthcare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718095B1 (en)2024-06-242024-10-16주식회사 엑스알프렌즈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 patent care platform and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Riche et al.PeerCare: supporting awareness of rhythms and routines for better aging in place
Sánchez et al.Older people’s attitudes and perspectives of welfare technology in Norway
Van Hout et al.Shining trinkets and unkempt gardens: on the materiality of care
Skouby et al.Smart cities and the ageing population
PerronOnline support for caregivers of people with a mental illness.
Buckwalter et al.Telehealth for elders and their caregivers in rural communities
Cornejo et al.Ambient displays for integrating older adults into social networking sites
Binda et al.Supporting effective sharing of health information among intergenerational family members
Birnholtz et al.Independence and interaction: understanding seniors' privacy and awareness needs for aging in place
Schomakers et al.Privacy concerns and the acceptance of technologies for aging in place
Chae et al.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information use and health orientation in Korean mothers: Focusing on the type of health information
Caldeira et al.How do I compare to the other people?": older adults' perspectives on personal smart home data for self-management"
Vadillo et al.A smart telecare system at digital home: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Soto-Mendoza et al.Design of a predictive scheduling system to improve assisted living services for elders
KR20220063044A (en)Communication system between keepert and guardian
Loane et al.Peer-to-peer value through social capital in an online motor neuron disease community
KR20240037219A (en)Method and Apparatus of Communicating between Neighbors to Prevent Dispute over Interfloor Noise
GlascockA conflicted view of telehomecare after a 20 year journey
Wang et al.The safety net of aging in place: Understanding how older adults construct, develop, and maintain their social circles
Amaxilatis et al.Delivering elder-care environments utilizing TV-channel based mechanisms
DugmoreThe presence of a ‘nanny’in South African infant observations: learn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student observers and their teachers
Högberg et al.To be a nurse or a neighbour? A moral concern for psychiatric nurses living next door to individuals with a mental illness
Anshari et al.Mobile health (mHealth)
CALDEIRA et al.łHow do I compare to the other people? ž: Older Adults’ Perspectives on Personal Smart Home Data for Self-Management
HaydenBeyond the gender differential: Very young children coping with HIV/AIDS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1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32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209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30111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22092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Patent event date:20220325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