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20050526A - Cleaner - Google Patents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526A
KR20220050526AKR1020200134294AKR20200134294AKR20220050526AKR 20220050526 AKR20220050526 AKR 20220050526AKR 1020200134294 AKR1020200134294 AKR 1020200134294AKR 20200134294 AKR20200134294 AKR 20200134294AKR 20220050526 AKR20220050526 AKR 20220050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disposed
unit
suction motor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황
현기탁
고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filedCritical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294ApriorityCriticalpatent/KR20220050526A/en
Priority to EP21880577.8Aprioritypatent/EP4230104A4/en
Priority to PCT/KR2021/014332prioritypatent/WO2022080930A1/en
Priority to CN202180070458.2Aprioritypatent/CN116507255A/en
Priority to US18/248,481prioritypatent/US20230404347A1/en
Publication of KR20220050526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20050526A/en
Pendinglegal-statusCritical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ranslated fromKorean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상기 싸이클론부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부의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a suction motor generating a flow of the air to introduce the air into the suction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unit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air A cyclone part, a handl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uction part based on the cyclone part and comprising a grip part gripped by a user, and a power supply part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the length of the suction motor The directional axis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and disposed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청소기{Cleaner}Cleaner {Cleaner}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흡입구의 길이 방향 축과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된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arranged such that a longitudinal axis of a suction port and a longitudinal axis of a suction motor ar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일반적으로 청소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작은 쓰레기나 먼지를 빨아들여 제품 속에 있는 먼지통에 채우는 가전기기로, 진공 청소기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a vacuum cleaner is a household appliance that sucks in small garbage or dust by suck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fills the dust bin in the product, and is generally called a vacuum cleaner.

이러한 청소기는 사용자가 직접 청소기를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수행하기 위한 수동 청소기와, 스스로 주행하면서 청소를 수행하는 자동 청소기로 구분될 수 있다. 수동 청소기는 청소기의 형태에 따라, 캐니스터형 청소기, 업라이트 청소기, 핸디형 청소기 및 스틱형 청소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Such a vacuum cleaner may be divided into a manual cleaner in which the user directly moves the cleaner and performs cleaning, and an automatic cleaner in which the user cleans while driving by themselves. Manual vacuum cleaners may be classified into canister-type cleaners, upright cleaners, handy-type cleaners, stick-type cleaner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cleaner.

가정용 청소기에서는 과거 캐니스터형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먼지통과 청소기 본체를 일체로 제공하여 사용 편의성이 좋아진 핸디형 청소기와 스틱 청소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In the past, canister-type vacuum cleaners were often used in household cleaners, but recently, a hand-held cleaner and a stick cleaner, which are convenient to use by providing a dust container and a cleaner body, are increasingly being used.

캐니스티형 청소기는 본체와 흡입구가 고무호스나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흡입구에 솔을 끼어서 사용 가능하다.The canisty type vacuum cleaner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the suction port by a rubber hose or pipe, and in some cases, it can be used by inserting a brush into the suction port.

핸디형 청소기(Hand Vacuum Cleaner)는 휴대성을 극대화시킨 것으로, 무게가 가볍지만 길이가 짧기 때문에 앉아서 청소 영역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책상 또는 소파 위나, 자동차 안과 같이 국부적인 장소를 청소하는데 사용된다.The Hand Vacuum Cleaner maximizes portability, and since it is light in weight but short in length,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cleaning area while sitting. Therefore, it is used to clean localized places such as on a desk or sofa, or in a car.

스틱 청소기는 서서 사용할 수 있어 허리를 숙이지 않고도 청소가 가능하다. 따라서 넓은 영역을 이동하면서 청소하는데 유리하다. 핸디형 청소기가 좁은 공간의 청소를 한다면, 스틱형은 그보다는 넓은 공간 청소를 할 수 있고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의 청소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틱 청소기를 모듈 타입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대상에 능동적으로 청소기 타입을 변경하여 사용하기도 한다.The stick vacuum cleaner can be used while standing, so you can clean without bending your back. Therefore, it is advantageous for cleaning while moving a large area. If a hand-held vacuum cleaner cleans a narrow space, the stick-type vacuum cleaner can clean a wider space than that, and can clean a high place that cannot be reached by hand. Recently, a stick cleaner is provided in a module type, and the cleaner type is actively changed and used for various objects.

스틱 청소기에 대한 선행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2604호에는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가 개시된다. 핸드헬드 진공 청소기는, 본체, 사이클론 분리 장치, 원드(wand) 및 청소기 헤드를 포함한다.A handheld vacuum clean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02604 as a prior document on a stick cleaner. A handheld vacuum cleaner includes a body, a cyclone separation device, a wand and a cleaner head.

또한, 본체는 모터 및 팬 유닛을 수용하는 상부 및 배터리 팩 형태의 전원을 수용하는 하부를 갖는다.In addition, the main body has an upper portion accommodating the motor and fan unit and a lower portion accommodating a power source in the form of a battery pack.

여기서 모터 및 팬 유닛의 길이 방향 축은 입구 덕트의 길이 방향 축과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러한 배치구조는 모터 및 팬 유닛의 손목 방향으로 돌출 길이가 길어지게 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청소를 수행할 때 손목 상측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간섭이 발생하여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Her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otor and fan unit is dispos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inlet duct, and this arrangement makes the protruding length in the wrist direction of the motor and fan unit longer, and as a result, the user holds the handle and When cleaning, interference occurs over a wide range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wrist, which may cause discomfort.

한편, 스틱 청소기에 포함되는 구성 중 흡입 모터와 배터리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품으로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함에 있어서 부하를 덜 느낄 수 있도록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stick cleaner, the suction motor and the battery are relatively heavy parts, and thus need to be placed in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feel less load when cleaning.

스틱 청소기에 대한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6644호에 개시된 청소기를 살펴보면, 흡입 모터의 회전축이 이물질 분리부의 무게중심을 통과하는 직선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Looking at the vacuum clean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36644 as another prior document on the stick cleaner, the rotary shaft of the suction motor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oreign material separation unit.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136644에 개시된 청소기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배터리의 상부에 배치되며, 핸들의 전방으로 흡입 모터가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leaner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36644 includes a handle, the handle is disposed above the battery, and a suction motor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andle.

하지만, 이와 같이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가 핸들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면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ed forward when the heavy suction motor is disposed in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handle.

한편,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를 기준으로 흡입 모터 및 배터리에 의해 어느 한쪽으로 무게 중심이 쏠리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목에 모멘트(moment) 힘이 걸리게 되고, 이러한 모멘트 힘에 의한 부하를 지속적으로 받는 경우 사용자의 손목에 무리가 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ed to either side by the suction motor and the battery based on the handle gripped by the user, a moment force is applied to the user's wrist, and when the user continues to receive the load by the moment force, the user It puts a strain on your wrist.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260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02604

본 발명은, 무게 밸런스를 최적화하여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reducing a load applied to a user's wrist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by optimizing the weight balance.

또한, 본 발명은, 먼지통의 높이를 높여 먼지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increasing a dust storage capacity by increasing the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또한, 본 발명은, 흡입 모터를 손잡이의 후방에 배치하면서도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손잡이를 잡았을 때 손목에 접촉하여 간섭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capable of reducing a portion interfered by contact with a wrist when a user holds the handle for cleaning while disposing the suction motor at the rear of the handle.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넓은 면적으로 표시부가 구성되어 사용자의 정보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eaner in which the display unit is configured to have a larger area to improve the user's information recogni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상기 싸이클론부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부의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a suction motor generating a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a cyclon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unit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air; a handl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part based on the cyclone part and including a grip part gripped by a user's h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wherein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and disposed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power unit.

이때,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상기 흡입 모터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상기 전원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uction motor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power unit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또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접선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연장선은, 상기 흡입 모터의 반경 방향의 외주면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입 모터를 관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extension line formed by extending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er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uction mo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oes not penetrate the suction motor.

또한, 상기 흡입 모터의 무게중심은 상기 파지부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의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motor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part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손잡이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원통형 형태이며 상기 흡입 모터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후방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청소 동작시 사용자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ar housing dispos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andle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and seated, a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hou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formed to face the use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is provided.

이때,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청소기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may be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파지부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art may be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grip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또한,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흡입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lso,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가 걸러지고 남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가 마련된 배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scharge cover coupl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dust is filtered and the remaining air is discharged.

또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개구는 상기 배출 커버가 상기 흡입 모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un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each of the opening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exhaust cover is coupled to the suction motor. direc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의 무게중심이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의 후방에 형성되도록 흡입 모터를 배치함으로써, 흡입 모터의 무게중심에 의한 모멘트 힘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suction motor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motor is formed behi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oment force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motor from being tilted forwar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wrist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먼지통의 높이를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먼지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suction motor at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le, the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can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dust accommodating capacit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손잡이의 후방에 배치함에 있어서,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이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그리고 전원부의 저면과는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흡입 모터가 손잡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손잡이를 파지했을 때 손목에 접촉하여 간섭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isposing the suction motor at the rear of the handl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motor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and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power unit By doing so, the length of the suction motor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handle can be minimized, so that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for cleaning, it is possible to reduce a portion that contacts and interferes with the wris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후방 하우징에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은 후방 하우징의 길이만큼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에 표시부가 구성되도록 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정보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on the rear housing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and seated,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as long as the rear housing and a display unit is configured on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a larger area can configure the disp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information recogni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 횡단면도이다.
도 6은 경사면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청소 동작의 완료 후 청소기가 충전을 위해 충전대에 거치되는 경우의 표시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A-A 횡단면도이다.
도 10은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기 위한 도 2의 B-B 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inclined surface.
7 i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 unit when the vacuum cleaner is mounted on the charging stand for charging after completion of the cleaning operation.
8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to show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to show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 “and/or”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may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t may not be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lan view, FIG.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청소기(1)는,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 theclea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body 2 . Thebody 2 may include asuction unit 10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이 배치되는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때, 흡입부(10)가 위치한 일측의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후술할 흡입 모터(20)가 위치한 다른 일측의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또한, 후술할 싸이클론부(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이 배치되는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한다.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is disposed is defined as the front-rear direction, the direction of one side where thesuction unit 10 is locat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other side where thesuction motor 20 to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The direction of is defined as backward. In addition, a direction in which the axis A3 of the cyclone flow of thecyclone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is arranged is defined as the vertical direction.

본체(2)는 다수의 하우징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Thebody 2 may have an external shape formed by a plurality of housings.

일 예로, 본체(2)는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되며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의 제1 하우징(3)과, 제1 하우징(3)의 상측에 결합되며 실질적으로 원통 형태인 제2 하우징(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2)는 본체(2)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우징(4)은 제3 하우징(6)을 통해 후방 하우징(21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4)의 길이 방향은 본체(2)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후방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은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과 모두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이 배치되는 방향을 x축 방향이라 할 때, 후방 하우징(210)은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4)은 길이 방향이 z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main body 2 is disposed in front of themain body 2 and includes afirst housing 3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second housing 3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housing 3 ( 4)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body 2 may include arear housing 210 disposed at the rear of thebody 2 . At this time, thesecond housing 4 may be connected to therear housing 210 through thethird housing 6 , and the lengthwise directions of thefirst housing 3 and thesecond housing 4 are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main body 2 .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rear housing 210 may be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both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is disposed is the x-axis direction, therear housing 210 may be disposed in the y-axis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irst housing ( 3) and thesecond housing 4 may be disposed in the z-axis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4)이 본체(2)의 전방에 배치되고 후방 하우징(210)이 본체(2)의 후방에 배치된다고 표현함에 있어서, 후술할 손잡이(40)의 파지부(450)의 길이 방향 축(A4)이 기준이 될 수 있다.(도 2 참고)On the other hand, in expressing that thefirst housing 3 and thesecond housing 4 are arranged in front of themain body 2 and therear housing 210 is arranged in the rear of themain body 2, thehandle 40 to be described later The longitudinal axis A4 of thegripper 450 may be a reference (refer to FIG. 2).

제1 하우징(3)의 상단부 및 제2 하우징(4)의 하단부는 각각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하우징(3)은 상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4)은 하측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제1 하우징(3)의 상측에 제2 하우징(4)이 결합된다는 것은 제1 하우징(3)의 상측 개구와 제2 하우징(4)의 하측 개구가 결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4)의 지름(D3)은 제3 하우징의 폭(W)과 후방 하우징의 길이(D4)보다 크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3참고)The upper end of thefirst housing 3 and the lower end of thesecond housing 4 may have an open shape, respectively. That is, thefirst housing 3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and thesecond housing 4 may include a lower opening. The coupling of thesecond housing 4 to the upper side of thefirst housing 3 may mean that the upper opening of thefirst housing 3 and the lower opening of thesecond housing 4 are coupled. Also, the diameter D3 of thesecond housing 4 may be greater than the width W of the third housing and the length D4 of the rear housing. (See FIG. 3 ).

흡입부(10)는 내부가 개구된 원통형 형상이고,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되는 구성이며,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흡입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흡입부(10)를 통해서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본체(2)로 안내될 수 있다.Thesuction unit 1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inside, is configured to suck air containing dust, and may provide a suction flow path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can flow. Air including dust may be guided to thebody 2 through thesuction unit 10 .

본체(2)는 흡입 모터(20), 싸이클론부(30), 손잡이(40) 및 전원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body 2 may further include asuction motor 20 , acyclone unit 30 , ahandle 40 , and apower supply unit 50 .

여기서, 흡입 모터(20)는 흡입부(10)로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즉, 기류)을 생성하는 구성이다. 흡입 모터(20)는 후방 하우징(210)에 수용될 수 있다.(도 4 참고)Here, thesuction motor 2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air flow (ie, air flow) so that air containing dust can be introduced into thesuction unit 10 . Thesuction motor 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ar housing 210 (refer to FIG. 4).

후방 하우징(210)은 소정의 지름을 갖는 원통형 형태이고 이때, 흡입 모터(20)는 후방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도록 안착되어 수용될 수 있다.Therear housing 210 has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in this case, thesuction motor 20 may be seated and accommodated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rear housing 210 .

흡입 모터(20)는 모터 샤프트(220)와 모터 샤프트(220)에 연결되어 회전 동작하는 임펠러(230)를 포함할 수 있다.Thesuction motor 20 may include amotor shaft 220 and animpeller 230 connected to themotor shaft 220 to rotate.

흡입 모터(20)는 BLDC(Brushless DC) 모터일 수 있다. BLDC 모터는 브러쉬가 없는 타입의 DC 모터이다. BLDC 모터는 마모성 부품인 브러쉬가 없으므로 전기적, 기계적 잡음이 적을 뿐 아니라 고속회전에 문제가 없고 회전 소음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Thesuction motor 20 may be a brushless DC (BLDC) motor. A BLDC motor is a brushless type DC motor. The BLDC motor has no brushes, which are abrasive parts, so there is less electrical and mechanical noise, and there are no problems with high-speed rotation and low rotational noise.

싸이클론부(30)는 흡입부(10)와 연통되며, 흡입부(10)를 통해 본체(2)의 내부로 흡입된 먼지를 분리하기 위해, 원심력을 이용하는 집진기의 원리를 적용한 구성이다.Thecyclone unit 30 communicates with thesuction unit 10 and is configured to apply the principle of a dust collector using centrifugal force to separate dust sucked into thebody 2 through thesuction unit 10 .

일 예로, 싸이클론부(30)는 싸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먼지를 분리할 수 있는 제1 싸이클론(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은 흡입부(10)와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10)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와 먼지는 제1 싸이클론(310)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 유동하게 된다. 제1 싸이클론(3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cyclone unit 30 may include afirst cyclone 310 capable of separating dust by cyclone flow. Thefirst cyclone 310 may communicate with thesuction unit 10 . Air and dust sucked in through thesuction unit 10 are spirally flow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first cyclone 310 . The axis A3 of the cyclone flow of thefirst cyclone 310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싸이클론부(30)는 제1 싸이클론(310)에서 배출된 공기에서 먼지를 재차 분리하는 제2 싸이클론(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싸이클론부(30)의 크기가 최소화되도록 제2 싸이클론(330)은 제1 싸이클론(3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싸이클론(330)은 병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싸이클론(310)에서 배출된 공기는 다수의 싸이클론 바디로 나뉘어 통과될 수 있다.Thecyclone unit 30 may further include asecond cyclone 330 that again separates dust from the air discharged from thefirst cyclone 310 . In this case, thesecond cyclone 330 may be located inside thefirst cyclone 310 so that the size of thecyclone unit 30 is minimized. Thesecond cyclone 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arranged in parallel. The air discharged from thefirst cyclone 3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yclone bodies and passed through.

이때, 제2 싸이클론(3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1 싸이클론(31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과 제2 싸이클론(3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상하 방향으로 동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싸이클론부(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으로 통칭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xis (A3) of the cyclone flow of thesecond cyclone 330 may als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axis (A3) of the cyclone flow of thefirst cyclone 310 and the second cyclone (330) ) of the cyclone flow axis (A3) may be coaxial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the cyclone flow axis (A3) of the cyclone unit (30).

본체(2)는 제 2 싸이클론부(33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싸이클론 필터(3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일 예로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싸이클론부(31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를 제2 싸이클론(330)으로 안내한다. 싸이클론 필터(350)는 공기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를 필터링할 수 있다.Thebody 2 may further include acyclone filter 350 disposed to surround thesecond cyclone unit 330 . Thecyclone filter 3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and guides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n thefirst cyclone unit 310 to thesecond cyclone 330 . Thecyclone filter 350 may filter dust while air passes.

이를 위하여 싸이클론 필터(350)는 복수의 구멍을 가지는 메쉬부(mesh por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부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cyclone filter 350 may include a mesh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holes. The mesh portion is not limited, bu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한편, 다른 예로서, 싸이클론부(30)가 단일의 싸이클론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cyclone unit 30 has a single cyclone, and even in this case, the axis A3 of the cyclone flow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손잡이(40)는 사용자가 파지하여 청소기(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싸이클론부(30)를 기준으로 흡입부(10)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부분인 파지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부(450)는 대략 원통형의 형태를 가지며, 길이 방향의 축(A4)을 갖는다. 또한, 파지부(450)는 상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40)와 제3 하우징(6)은 일체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Thehandle 4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user to grip and move thecleaner 1, and is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suction unit 10 with respect to thecyclone unit 30 and is a part that the user grips with his/her hand. Agripper 450 may be included. Here, thegripper 450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has an axis A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gripper 450 may be disposed with an upper portion inclined toward the front. Thehandle 40 and thethird housing 6 may be integrally formed.

전원부(50)는 흡입 모터(20)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배터리(510)를 포함한다. 전원부(50)는 상측으로는 손잡이(40)와 인접하도록 배치되고, 전방으로는 후술할 먼지통(60)의 외주면의 하부 일부분이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power supply unit 50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power to thesuction motor 20 , and includes abattery 510 . Thepower supply unit 50 may be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handle 40 on the upper side, and disposed to be adjacent to a low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dust container 6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front.

본체(2)는 싸이클론부(30)에서 분리된 먼지를 저장하기 위한 먼지통(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dust container 60 for storing the dust separated from thecyclone unit 30 .

먼지통(60)은, 원통 형상의 집진 바디(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싸이클론(310)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집진 바디(610)의 상측부가 제1 싸이클론(310)의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싸이클론(330)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먼지통(60) 내에 위치될 수 있다.Thedust container 60 may include adust collecting body 610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first cyclone 310 does not exist separately, and the upper portion of thedust collecting body 610 serves as thefirst cyclone 310 . All or at least a part of thesecond cyclone 330 may be located in thedust container 60 .

집진 바디(610) 내에는 제2 싸이클론(330)에서 분리된 먼지의 저장을 가이드하는 먼지 저장 가이드(604)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 저장 가이드(604)는 제2 싸이클론(33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Adust storage guide 604 for guiding storage of the dust separated from thesecond cyclone 330 may be disposed in thedust collecting body 610 . Thedust storage guide 60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second cyclone 330 .

먼지 저장 가이드(604)는 집진 바디(610) 내부의 공간을, 제1 싸이클론(31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1 먼지 저장부(602)와, 제2 싸이클론(330)에서 분리된 먼지가 저장되는 제2 먼지 저장부(606)로 구획한다. 다시 말해, 먼지 저장 가이드(604)의 내부 공간이 제2 먼지 저장부(606)이고, 먼지 저장 가이드(604)와 집진 바디(610) 사이 공간이 제1 먼지 저장부(602)이다.Thedust storage guide 604 separates the space inside thedust collecting body 610 from the firstdust storage unit 602 in which the dust separated from thefirst cyclone 310 is stored, and thesecond cyclone 330 . It is divided into a seconddust storage unit 606 in which the dust is stored. In other words, the inner space of thedust storage guide 604 is the seconddust storage unit 606 , and the space between thedust storage guide 604 and thedust collecting body 610 is the firstdust storage unit 602 .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1)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각 구성의 배치관계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cusing on the arrangement relationship of each configuration.

도 1 내지 도 5를 다시 참고하면, 제1 하우징(3)은 제1 싸이클론(310), 제2 싸이클론(330) 및 먼지통(60)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3)의 상부는 제1 싸이클론(310)으로 정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3)의 내부에 제2 싸이클론(330)이 수용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3)의 하부는 상술한 먼지통(60)으로 정의될 수 있다.1 to 5 , thefirst housing 3 may include afirst cyclone 310 , asecond cyclone 330 , and adust container 60 . More specifically, an upper portion of thefirst housing 3 may be defined as afirst cyclone 310 , and asecond cyclone 330 may be accommodated in thefirst housing 3 , and the first A lower portion of thehousing 3 may be defined as thedust container 60 described above.

흡입부(10)는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4)이 결합되는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부(10)의 흡입 유로의 일부는 제1 하우징(3)에 연통되고 다른 일부는 제2 하우징(4)에 연통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suction part 10 may be disposed where thefirst housing 3 and thesecond housing 4 are coupled. More specifically, a portion of the suction passage of thesuction unit 10 may b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first housing 3 and the other portion may be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second housing 4 .

또한, 제1 하우징(3)의 후방으로는 손잡이(40)와 전원부(50)가 배치되고, 제2 하우징(4)과 후방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제3 하우징(6)이 배치된다.In addition, thehandle 40 and thepower supply unit 50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first housing 3 , and thethird housing 6 is disposed at a portion connecting thesecond housing 4 and therear housing 210 . do.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에 있어서, 흡입 모터(20)의 길이 방향 축(A2)은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과 수직하도록 배치되며, 전원부(50)의 저면(B)과는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 또한 전원부(50)의 저면(B)과 평행하도록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suction motor 20 is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and the power supply unit ( 50)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At this time,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is also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B of thepower supply unit 5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는 달리, 흡입 모터(20)의 길이 방향 축(A2)이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를 가정해보자. 즉, 이는 흡입 모터(20)가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을 따라 연장되는 경우이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흡입 모터(20)의 장축이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므로 손잡이(40)를 파지했을 때 손목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청소기의 본체가 길게 돌출되게 된다. 따라서, 그립감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Unlik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ssumed that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suction motor 20 is arranged to be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 That is, this is a case in which thesuction motor 20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 In this arrangement, since the long axis of thesuction motor 20 is disposed along the front-rear direction, the main body of the cleaner protrudes long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rist extends when thehandle 40 is gripp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rip feeling is not good.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에 있어서는, 흡입 모터(20)의 장축(A2)이 청소기(10)의 전후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본체(2)의 일 구성이 파지부(450)의 후방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손잡이(40)를 잡았을 때 손목에 접촉하여 간섭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In contrast to this, in thevacuum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ng axis A2 of thesuction motor 20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vacuum cleaner 10, one of themain body 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figuration from excessively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gripper 450 . Accordingly, when the user holds thehandle 40 for cleaning, it is possible to reduce a portion that contacts and interferes with the wris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1)에 있어서, 청소기(1)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후방 하우징(210)의 외주면이 원형의 형태를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손잡이(40)를 잡았을 때 손등에서 손목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청소기(1)에 대한 그립감이 더욱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leaner 1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rear housing 210 has a circular shape when thecleaner 1 is viewed from the side. Due to this, when the user holds thehandle 40 for cleaning, it is possible to naturally form a curved surfa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rist extends from the back of the han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grip on thecleaner 1 is further improved.

한편, 후방 하우징(210)은 표시부(250)가 배치되는 경사면(215)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rear housing 210 may include aninclined surface 215 on which thedisplay unit 250 is disposed.

도 6은 경사면(215)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inclined surface 215 .

도 6을 참고하면, 경사면(215)은 후방 하우징(210)의 외주면의 일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경사면(215)은 청소동작시 사용자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사면(215)은 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경사면(215)의 상단부가 전방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경사면(215)과 싸이클론부(30)의 싸이클론 유동의 축(A3)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내지 45도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inclined surface 215 may be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rear housing 210 , and theinclined surface 215 may be formed to face the user during a cleaning operation. Specifically, theinclined surface 215 may be disposed to face rearward, and an upper end of theinclined surface 215 may be disposed to be inclined toward the front. For example, the angle between theinclined surface 215 and the axis A3 of the cyclone flow of thecyclone unit 30 may form an angle of 30 degrees to 45 degrees.

경사면(215)은 본체(2)의 후방 상측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경사면(215)이 마련됨에 따라 후방 하우징(210)은 후방 상측이 경사면(215) 부분만큼 잘려나간 형태의 원통 형상을 갖게 된다.Theinclined surface 21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pper rear side of themain body 2 . That is, as theinclined surface 215 is provided, therear housing 2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rear upper side is cut off by theinclined surface 215 portion.

경사면(215)에 배치된 표시부(250)에는 청소기(1)의 작동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경사면(215)이 사용자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청소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청소기(1)의 상태(예를 들어, 배터리의 잔량, 흡입 모터의 흡입 세기 등)를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operating state of thecleaner 1 may be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250 disposed on theinclined surface 215 . At this time, since theinclined surface 215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user, the state of thecleaner 1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250 in the process of cleaning (e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suction of the suction motor) strength, etc.) can be easily checked by the user.

표시부(25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다수의 발광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형태일 수 있다.Thedisplay unit 250 is not limited, but may be in the form of a display screen includ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units.

후방 하우징(210)의 외주면 일 부분에 마련된 경사면(215)에 표시부(150)가 배치되는 경우, 후방 하우징(210)의 길이(D4)와 경사면(215)의 길이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표시부(250)는 가로 길이를 후방 하우징(210)의 길이(D4)와 대응되도록 길게 구성할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150 is disposed on theinclined surface 215 provided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rear housing 210 , the length D4 of therear housing 210 and the length of theinclined surface 215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That is, thedisplay unit 250 may have a longer horizontal length to correspond to the length D4 of therear housing 210 .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경사면(215)에 배치되는 표시부(250)는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게 되고,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청소기(1)의 작동 상태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 인지성이 높아지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display unit 250 disposed on theinclined surface 215 has a larger area, and the user's awareness of information about the operating state of thecleaner 1 displayed on thedisplay unit 250 is increased. It has the advantage of increasing convenience.

한편, 표시부(250)가 넓은 면적으로 구성될수록 청소기(1) 상태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Meanwhile, as thedisplay unit 250 has a larger area, various information on the state of thecleaner 1 may be displayed.

도 7은 청소 동작의 완료 후 청소기(1)가 충전을 위해 충전대에 거치되는 경우의 표시부(250)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7 is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display unit 250 when thevacuum cleaner 1 is mounted on the charging stand for charging after the cleaning operation is completed.

표시부(25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향으로 청소기(1)가 거치되어 흡입부(10)가 하부를 향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이 상하 반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display unit 25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vacuum cleaner 1 is mounted in the direction shown in FIG. 7 and thesuction unit 10 faces downward,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are vertically inverted.

이를 위해, 본체(2)에는 화면의 뒤집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예를 들어, 지자계 센서, 가속도계 등) 따라서, 사용자는 충전대에 청소기(1)가 거치된 경우에도 청소기(1)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o this end, thebody 2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creen is turned over. (For example, a geomagnetic sensor, an accelerometer, etc.)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tate of thecleaner 1 can be easily checked.

한편, 경사면(215)에는 표시부(250)와 함께 조작부(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하여 청소기(1)의 동작이나 정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표시부(250)와 조작부가 한 경사면(215)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청소기(1) 조작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Meanwhile, a manipulation unit (not shown) together with thedisplay unit 250 may be further disposed on theinclined surface 215 . The user may input an operation or stop command of thecleaner 1 through the operation unit. On the other hand, when thedisplay unit 250 and the operation unit are disposed on oneinclined surface 215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n operating thecleaner 1 is increas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손잡이(40)의 상부에는 흡입 모터(20)가 배치되고, 손잡이(40)의 하부에는 전원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40)는 흡입 모터(20)와 전원부(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uction motor 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handle 40 , and thepower supply unit 5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handle 40 . That is, thehandle 40 may be disposed between thesuction motor 20 and thepower supply unit 50 .

이때, 파지부(450)의 외주면에 접하는 접선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연장선(L1,L2)은 흡입 모터(20)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and L2 formed by extending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gripper 450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suction moto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손잡이 연장선(L1, L2)은,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본체(2)를 절단하여 바라볼 때, 파지부(450)의 외부로 가장 돌출된 최외곽 지점(P1, P2)에서 파지부(450)에 접하는 접선이 연장되어 형성된 가상의 연장선(L1, L2)을 의미할 수 있다.(도 4 참고)More specifically,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and L2 are the outermost of thegripping portion 450 when themain body 2 is cut and viewed in a plane including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portion 10 . It may mean virtual extension lines L1 and L2 formed by extending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thegripper 450 from the protruding outermost points P1 and P2 (see FIG. 4 ).

손잡이 연장선(L1, L2)이 흡입 모터(20)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손잡이 연장선(L1, L2)은 흡입 모터(20)를 관통하지 않게 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손잡이 연장선(L1, L2)과 흡입 모터(20)는 어느 한 점에서도 접하지 않게 된다. 또 다르게 표현하면, 손잡이 연장선(L1, L2)은 흡입 모터(20)의 어느 일 부분과도 만나지 않게 배치된다.Since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and L2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suction motor 2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and L2 do not pass through thesuction motor 20 . In other words,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and L2 and thesuction motor 20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t any one point. In other words,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and L2 are disposed so as not to meet any part of thesuction motor 20 .

이를 통해, 흡입 모터(20)의 무게중심(G1)은 손잡이 연장선(L1, L2)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흡입 모터(20)의 무게중심(G1)은 파지부(450)의 길이 방향 축(A4)을 기준으로 흡입부(10)와는 반대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center of gravity (G1) of thesuction motor 2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handle extension lines (L1, L2). Also, the center of gravity G1 of thesuction motor 20 may be dispos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suction unit 1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4 of thegripper 450 .

이러한 배치관계를 통해, 흡입 모터(20)의 무게중심(G1)이 사용자의 손목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중심(G1)에 의한 모멘트 힘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하중이 줄어들고, 장시간의 청소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피로를 덜 느끼는 효과를 갖는다.Through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the center of gravity G1 of thesuction motor 20 may be formed close to the user's wris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oment force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G1),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wrist is reduced, has the effect of feeling less fatigue in performing a cleaning operation for a long tim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40)의 파지부(450)는 상부가 전방을 향해 기울어진 형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전원부(50)의 무게중심(G2)은 파지부(450)의 길이 방향 축(A4)보다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흡입 모터(20)의 무게중심(G1)과 전원부(50)의 무게중심(G2)은 파지부(450)의 길이 방향 축(A4)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고)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grip portion 450 of thehandle 40 is disposed in a shape with an upper portion inclined toward the front. 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G2 of thepower supply unit 5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longitudinal axis A4 of the holdingunit 450 . That is, the center of gravity G1 of thesuction motor 20 and the center of gravity G2 of thepower supply unit 5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axis A4 of thegripper 450 . .(See Fig. 4)

이러한 배치관계를 통해, 사용자가 움켜쥐는 부분인 파지부(450)를 기준으로 무게가 무거운 일 구성인 전원부(50)의 무게중심(G2)과, 무게가 무거운 다른 일 구성인 흡입 모터(20)의 무게중심(G1)이 서로 반대방향에 존재하게 되므로, 본체(2)의 무게 밸런스가 최적화되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arrangement relationship, the center of gravity (G2) of thepower supply unit 50, which is one component with a heavy weight, based on thegrip unit 450, which is the part that the user grips, and thesuction motor 20, which is another component with heavy weight. Since the centers of gravity (G1) ar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re is an effect of optimizing the weight balance of the main body (2).

아울러, 손잡이(40)는 파지부(450)가 흡입 모터(20)와 인접하는 일측에 연결부(451)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부(451)는 후방 하우징(210)의 외주면과 파지부(450)가 결합되는 부위를 소정의 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단차없이 자연스럽게 연장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handle 40 may form aconnection part 451 on one side of thegrip part 450 adjacent to thesuction motor 20 . The connectingportion 451 may have a shape that naturally extends without a step difference by forming a portion w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rear housing 210 and thegripper 450 are coupled to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이를 통해, 사용자가 파지부(450)를 움켜쥐는 경우 사용자의 엄지 손가락과 검지 손가락 사이에 연결부(451)가 안착됨으로써 무게가 무거운 흡입 모터(20)가 손등 위로 받쳐지는 형태가 되므로, 청소 동작 수행 시 청소기(1)가 보다 안정적인 형태로 지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when the user grabs thegrip part 450, theconnection part 451 is seated between the user's thumb and index finger, so that theheavy suction motor 20 is supported on the back of the hand, so the 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city cleaner 1 can be supported in a more stable form.

한편, 전원부(50)의 저면(B)과 먼지통(60)의 저면(B')(제1 하우징(3)의 저면이라고 할 수도 있음)은 한 평면상에 존재하지 않고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즉, 전원부(50)의 저면(B)과 먼지통(60)의 저면(B')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2, 도 4 참고)Meanwhile, the bottom surface B of thepower supply unit 50 and the bottom surface B ′ of the dust container 60 (which may be referred to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 ) do not exist on one plane and may have a step difference. That is, the bottom surface B of thepower supply unit 50 and the bottom surface B' of thedust container 60 may be configured to have different heights. (See FIGS. 2 and 4 )

바람직하게는, 전원부(50)의 상방으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구성인 흡입 모터(20) 및 배터리(510)가 배치되는 바, 전원부(50)의 저면(B)이 하방으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suction motor 20 and thebattery 510, which are relatively heavy components, are disposed above thepower supply unit 50,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B) of thepower supply unit 50 protrude further downward.

이를 통해, 전원부(50)의 저면(B)을 바닥면에 두었을 때, 청소기(1)의 본체(2)가 먼지통(60)의 방향으로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bottom surface B of thepower supply unit 50 is placed on the floor surface, themain body 2 of thecleaner 1 may be stably supported without falling in the direction of thedust container 60 .

아울러,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은 손잡이(40)의 파지부(450)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고, 흡입 모터(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3)과 제2 하우징(4)의 연결부에 배치되는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은 손잡이(40)의 파지부(450)로부터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부에 배치되며, 다시 말해,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이 손잡이(40)의 파지부(450)를 관통하지 않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도 2, 도 4 참고)In addition,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may be formed above thegrip portion 450 of thehandle 40 , and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at least a portion of thesuction motor 20 . More specifically,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part 10 dispos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first housing 3 and thesecond housing 4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grip part 450 of thehandle 40 . It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spaced apart, that is,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part 10 may be disposed in such a way that it does not penetrate thegrip part 450 of the handle 40 ( FIGS. 2 and 4 ). Reference)

종래, 흡입 모터(20)가 싸이클론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흡입 모터(20)의 길이를 고려할 때 제1 하우징(3)의 높이를 높이는 것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따라서 제1 하우징(3)의 상단부 인근에 배치되어야 하는 흡입부(10)의 길이 방향 축(A1)은 손잡이(40)의 파지부(450)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밖에 없었다.Conventionally, when thesuction motor 20 is disposed above thecyclone unit 30 , there is a limit to increasing the height of thefirst housing 3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suction motor 20 . Accordingly, the longitudinal axis A1 of thesuction unit 10 to be disposed near the upper end of thefirst housing 3 had to be disposed to penetrate thegrip portion 450 of thehandle 40 .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 모터(20)가 손잡이(40)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싸이클론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하우징(4)의 높이를 줄이고 종래보다 제1 하우징(3)의 상단부의 높이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On the contrary,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suction motor 20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handle 40, the height of thesecond housing 4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cyclone unit 30 is reduced an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It becomes possible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first housing 3 .

따라서, 본체(2)의 전체 높이가 동일한 상태에서, 종래보다 제1 하우징(3)의 높이를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먼지통(60)의 높이 또한 높게 형성될 수 있으며, 먼지통(60)이 먼지를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먼지통(60)의 먼지를 자주 비워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when the overall height of themain body 2 is the same, the height of thefirst housing 3 can be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one, so that the height of thedust container 60 can also be formed high, and thedust container 60 can collect dust. The acceptable dose may be increased. This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frequently emptying the dust of thedust container 60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한편, 본체(2)는 싸이클론부(30)의 상부에 배치되는 프리 필터(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71)는, 싸이클론부(30)에서 집진되지 않은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 구성이다.Meanwhile, thebody 2 may further include a pre-filter 71 disposed on thecyclone unit 30 . The pre-filter 71 is configured to filter out dust not collected by thecyclone unit 30 .

프리 필터(71)의 일부는 제1 하우징(3)에 수용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제2 하우징(4)에 수용될 수 있다. 싸이클론부(30)와 프리 필터(71)의 사이에는 싸이클론부(3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프리 필터(71)에 안내하기 위한 공기 가이드(75)가 마련될 수 있다.A part of the pre-filter 71 may be accommodated in thefirst housing 3 , and the remaining part may be accommodated in thesecond housing 4 . An air guide 75 for guid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cyclone unit 30 to the pre-filter 71 may be provided between thecyclone unit 30 and the pre-filter 71 .

여기서, 프리 필터(71)는 원통 형상을 가진 메시 필터(mash filter)일 수 있다. 일 예로, 프리 필터(71)는 나일론(Nylone) 및 스펀 본드 부직포(spun-bonded fabric)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펀 본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PP, polypropylene) 등의 합성 섬유를 방사한 후 열을 가해 접착해서 만드는 부직포의 일종이다.Here, the pre-filter 71 may be a mesh filter having a cylindrical shape. For example, the pre-filter 71 may include a material of nylon and a spun-bonded fabric. The spunbond nonwoven fabric is a type of nonwoven fabric made by spinning synthetic fibers such as polypropylene (PP, polypropylene) and then applying heat to adhere them.

공기 가이드(75)는 하부가 좁고 상부가 넓은 원추형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공기 가이드(75)의 하부는 싸이클론부(30)의 상측에 결합되고 공기 가이드(75)의 상부는 프리 필터(71)의 하부에 결합되어, 제2 싸이클론(330)에서 배출된 공기가 흡입부(10)로 유입되는 공기와 섞이지 않고 흡입 모터(20)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air guide 75 is configured in a conical shape with a narrow lower portion and a wider upper portion.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 guide 75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cyclone unit 30 ,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guide 75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re-filter 71 , and thesecond cyclone 330 is discharged. It may serve to guide the air to flow to thesuction motor 20 without mixing with the air flowing into thesuction unit 10 .

또한, 본체(2)는 프리 필터(71)의 상부에는 헤파 필터(72)(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헤파 필터(72)는 전체가 제2 하우징(4)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main body 2 may further include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filter) on an upper portion of the pre-filter 71 . Theentire HEPA filter 72 may be accommodated in thesecond housing 4 .

헤파 필터(72)는 프리 필터(71)에서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먼지를 최종적으로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TheHEPA filter 72 serves to finally filter fine dust not filtered by the pre-filter 71 .

싸이클론부(30)에서 배출되어 프리 필터(71)를 통과한 공기는 헤파 필터(72)를 거쳐 흡입 모터(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cyclone unit 30 and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71 passes through theHEPA filter 72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suction motor 20 .

종래에는, 공기가 흡입 모터(20)를 통과한 후에 헤파 필터(72)를 거쳐 청소기(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헤파 필터(72)의 위치가 배치되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흡입 모터(20)가 Brushless DC모터이므로 기류가 흡입 모터(20)로 유동하기 전에 헤파 필터(72)를 먼저 거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채용하더라도 기류의 최종단에서의 이물 비산이 적다.Conventionally, the location of theHEPA filter 72 has been arranged so that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cleaner 1 through theHEPA filter 72 after passing through thesuction motor 20. Since themotor 20 is a brushless DC motor, even if a structure in which the air flow passes through theHEPA filter 72 first before flowing to thesuction motor 20 is adopted, foreign matter scattering at the final end of the air flow is small.

본 발명에서는 청소기(1)가 프리 필터(71)와 헤파 필터(72)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터의 종류 및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cleaner 1 has been described as including the pre-filter 71 and theHEPA filter 72, but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and number of filters.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2)는 배출 커버(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body 2 may further include adischarge cover 270 .

배출 커버(270)는 흡입 모터(20)의 길이 방향으로 후방 하우징(210)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다. 배출 커버(270)에는 먼지가 걸러지고 남은 공기가 본체(2)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275)가 마련될 수 있다.Thedischarge cover 27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rear housing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suction motor 20 . Theexhaust cover 270 may be provided with anair exhaust unit 275 through which dust is filtered and the remaining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main body 2 .

도 6을 참고하면, 배출 커버(270)는 원형으로 형성된 제1 커버부(271) 및, 제1 커버부(271)에 결합되고 제1 커버부(271)의 가장자리에서 원통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가 연장되는 제2 커버부(27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discharge cover 270 has afirst cover portion 271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coupled to thefirst cover portion 271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t the edge of thefirst cover portion 271 by a predetermined length. includes an extendedsecond cover part 273 .

보다 구체적으로, 배출 커버(270)는 길이 방향 일측이 개방된 형상의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배출 커버(270)의 상기 개방된 일측과 후방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 일측은 서로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discharge cover 27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ide ope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open one side of thedischarge cover 270 and one longitudinal side of therear housing 210 are separable from each other. can be combined.

한편, 배출 커버(270)의 제2 커버부(273) 상에는 흡입 모터(20)를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275)가 마련된다. 이때, 공기 배출부(275)는 제2 커버부(273) 상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 마련되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개구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2 커버부(273)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second cover portion 273 of thedischarge cover 270, anair discharge unit 275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suction motor 20 is discharged is provided. In this case, theair discharge unit 275 may include a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on thesecond cover unit 273 at predetermined intervals. Here, each of the openings may b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second cover part 273 in a rectangular shape.

한편, 배출 커버(270)가 후방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공기 배출부(275)의 상기 각각의 개구들은 흡입 모터(20)의 길이 방향 축(A2)에 수직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흡입 모터(20)의 임펠러(230)가 회전하면 공기가 흡입 모터(20)의 길이 방향(20)으로 배출 커버(270)까지 유동하여 공기 배출부(275)의 상기 개구들을 통해 본체(2)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exhaust cover 270 is coupled to therear housing 210 , the respective openings of theair exhaust part 275 are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A2 of thesuction motor 20 . direction can be opened. When theimpeller 230 of thesuction motor 20 rotates, air flows to thedischarge cover 270 in thelongitudinal direction 20 of thesuction motor 20 to thebody 2 through the openings of theair discharge unit 275 . will come out of the

아울러, 공기 배출부(275)는 배출 커버(270)의 제2 커버부(273) 상에서 적어도 일부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기 배출부(275)는 배출 커버(270)의 제2 커버부(273)의 일 부분에만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air discharge unit 275 may not be formed in at least a partial area on thesecond cover unit 273 of thedischarge cover 270 . That is, theair discharge unit 275 may be provided only in a portion of thesecond cover unit 273 of thedischarge cover 270 .

일 예로, 배출 커버(270)가 후방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할 때, 공기 배출부(275)는 배출 커버(270)의 상부측에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청소 수행 중에 청소기(1)를 청소 진행 방향으로 기울임에 따라 본체(2)에서 빠져나오는 공기는 청소 진행 방향을 향해서만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본체(2)에서 빠져나오는 공기가 사용자의 방향을 향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exhaust cover 270 is coupled to therear housing 210 , theair exhaust unit 275 may be provided only on the upper side of theexhaust cover 270 . In this case, as thecleaner 1 is tilted in the cleaning direction while cleaning is performed, the air exiting from themain body 2 flows out only in the cleaning direc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escaping from themain body 2 from being discharged toward the user.

도 8 내지 도 10은 청소기 내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8 to 10 are views illustrating air flow in the vacuum cleaner.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흡입 모터(20)의 작동에 의해 흡입부(10)를 통하여 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흡입된다. 공기는 흡입부(10)를 통해 제1 싸이클론(310)의 내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수평 유입되고, 상기 내주면을 따라 회전 유동하면서 하강한다. 하강하는 공기에서, 먼지와 공기는 밀도 차이에 의하여 각각 크기가 다른 원심력을 받는다. 따라서, 비교적 무거운 먼지는 하방으로 수직배출되어 먼지통(60)의 제1 먼지 저장부(602)에 수집된다.8 to 10 ,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through thesuction unit 10 by the operation of thesuction motor 20 . Air is horizontally introduc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first cyclone 310 through thesuction unit 10 in a tangential direction, and descends while rotatingly flow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descending air, dust and air are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s of different magnitudes due to the difference in density. Accordingly, relatively heavy dust is vertically discharged downward and collected in the firstdust storage unit 602 of thedust container 60 .

한편, 하강하던 공기는 어느 순간 역방향으로 상승기류를 형성하여 제2 싸이클론(330)으로 유입되며, 제2 싸이클론(330)으로 유동된 공기는 재차 먼지와 분리된다. 제2 싸이클론(330)에서 공기와 분리된 먼지는, 다시 하방으로 유동하여 제2 먼지 저장부(606)에 저장된다. 제2 싸이클론(330)에서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제2 싸이클론(330)에서 배출되어 공기 가이드(75)를 지나 프리 필터(71)로 상승한다.Meanwhile, the descending air forms an upward airflow in the reverse direction at some point and flows into thesecond cyclone 330 , and the air flowing into thesecond cyclone 330 is again separated from dust. The dust separated from the air in thesecond cyclone 330 flows downward again and is stored in the seconddust storage unit 606 . Air separated from dust in thesecond cyclone 330 is discharged from thesecond cyclone 330 , passes through the air guide 75 , and ascends to the pre-filter 71 .

공기는 프리 필터(71)를 통과하면서 미처 걸러지지 않은 미세한 먼지를 필터링한다. 또한, 프리 필터(71)를 통과한 공기는 흡입 모터(20)에 도달하기 전에 헤파 필터(72)를 먼저 통과하게 된다.As the air passes through the pre-filter 71, fine dust that has not been filtered is filtered. In addition,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pre-filter 71 first passes through theHEPA filter 72 before reaching thesuction motor 20 .

헤파 필터(72)를 통과한 공기는 제2 하우징(4)을 지나 흡입 모터(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3 하우징(6)을 통과하게 되고, 헤파 필터(72)를 통과하면서 최종적으로 먼지가 걸러진 공기는 흡입 모터(20)로 유입되고, 임펠러(230)의 회전에 의해서 흡입 모터(20) 내부를 모터 샤프트(220)의 축을 따라 유동한 후에 배출 커버(270)의 공기 배출부(275)를 통해 본체(2)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HEPA filter 72 passes through thesecond housing 4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suction motor 20 and passes through thethird housing 6, and as it passes through theHEPA filter 72, dust is finally removed. The filtered air is introduced into thesuction motor 20, and after the inside of thesuction motor 20 flows along the axis of themotor shaft 220 by the rotation of theimpeller 230, theair discharge unit 275 of thedischarge cover 27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 through th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의 무게중심이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의 후방에 형성되도록 흡입 모터를 배치함으로써, 흡입 모터의 무게중심에 의한 모멘트 힘이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사용자가 청소를 수행할 때 사용자의 손목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motor is formed behi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le, so that the moment force du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motor moves for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pulling,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load applied to the user's wrist when the user performs cleaning.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손잡이의 길이 방향 축의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먼지통의 높이를 높일 수 있고, 결과적으로 먼지 수용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suction motor at the rear of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handle, the height of the dust container can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dust accommodating capacity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를 손잡이의 후방에 배치함에 있어서,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이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그리고 전원부의 저면과는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흡입 모터가 손잡이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손잡이를 파지했을 때 손목에 접촉하여 간섭되는 부분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isposing the suction motor at the rear of the handl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motor 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and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power uni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suction motor protruding to the rear of the handle, so that when the user grips the handle for cleaning, it is possible to reduce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wrist and interferes with i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는, 흡입 모터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후방 하우징에 경사면이 마련되고 상기 경사면은 후방 하우징의 길이만큼 구비되며 상기 경사면에 표시부가 구성되도록 하여, 보다 넓은 면적으로 표시부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정보 인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on the rear housing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and seated,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as long as the rear housing length, and a display unit is configured on the inclined surface, so that a larger area can configure the displa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r's information recognition.

앞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일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In the foregoing,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change to other specific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It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specified embodiment,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1: 청소기
2: 본체
3: 제1 하우징
4: 제2 하우징
6: 제3 하우징
10: 흡입부
20: 흡입 모터
210: 후방 하우징
215: 경사면
220: 모터 샤프트
230: 임펠러
250: 표시부
270: 배출 커버
275: 공기 배출부
30: 싸이클론부
310: 제1 싸이클론
330: 제2 싸이클론
350: 싸이클론 필터
40: 손잡이
450: 파지부
451: 연결부
50: 전원부
510: 배터리
60: 먼지통
602: 제1 먼지 저장부
604: 먼지 저장 가이드
606: 제2 먼지 저장부
610: 집진 바디
71: 프리 필터
72: 헤파 필터
75: 공기 가이드
1: vacuum cleaner
2: body
3: first housing
4: second housing
6: third housing
10: suction unit
20: suction motor
210: rear housing
215: slope
220: motor shaft
230: impeller
250: display
270: exhaust cover
275: air outlet
30: cyclone unit
310: first cyclone
330: second cyclone
350: cyclone filter
40: handle
450: grip part
451: connection
50: power unit
510: battery
60: dust bin
602: first dust storage unit
604: dust storage guide
606: second dust storage unit
610: dust collection body
71: pre-filter
72: hepa filter
75: air guide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먼지를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로 상기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을 생성하는 흡입 모터;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어 상기 공기로부터 상기 먼지를 분리하는 싸이클론부;
상기 싸이클론부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와 반대방향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쥐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손잡이; 및
상기 흡입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과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기 전원부의 저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 suction unit through which air containing dust is sucked;
a suction motor generating a flow of the air so that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uction unit;
a cyclone uni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unit to separate the dust from the air;
a handle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part based on the cyclone part and including a grip part gripped by a user's hand; and
Including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uction motor,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and disposed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power supply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부에 상기 흡입 모터가 배치되고,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상기 전원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andle, and the power supply unit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외주면에 접하는 접선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 연장선은, 상기 흡입 모터의 반경 방향의 외주면과 소정의 거리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흡입 모터를 관통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extension line formed by extending a tangent line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pper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a radial direction of the suction mo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does not penetrate the suction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의 무게중심은 상기 파지부의 길이 방향 축을 기준으로 상기 흡입부의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center of gravity of the suction motor is dispos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ction part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원통형 형태이며 상기 흡입 모터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후방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후방 하우징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청소 동작시 사용자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It is disposed at the rear with respect to the handle and has a cylindrical shape and further includes a rear housing in which the suction motor is accommodated and seate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housing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face the user during the cleaning opera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청소기의 작동 상태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eaner is disposed on the inclined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파지부에서 소정의 거리가 이격된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part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grip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의 길이 방향 축은 상기 흡입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unit is disposed to pass through at least a portion of the suction mo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으로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먼지가 걸러지고 남은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가 마련된 배출 커버를 더 포함하는 청소기.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cover coupled to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provided with an air discharge unit through which the air remaining after the dust is filtered out is discharg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다수개의 개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개구는 상기 배출 커버가 상기 흡입 모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 모터의 길이 방향 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air outlet includes a plurality of opening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ach of the openings is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longitudinal axis of the suction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cover is coupled to the suction motor.
KR1020200134294A2020-10-162020-10-16CleanerPendingKR20220050526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34294AKR20220050526A (en)2020-10-162020-10-16Cleaner
EP21880577.8AEP4230104A4 (en)2020-10-162021-10-15 VACUUM CLEANER
PCT/KR2021/014332WO2022080930A1 (en)2020-10-162021-10-15Vacuum cleaner
CN202180070458.2ACN116507255A (en)2020-10-162021-10-15Dust collector
US18/248,481US20230404347A1 (en)2020-10-162021-10-15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200134294AKR20220050526A (en)2020-10-162020-10-16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20050526Atrue KR20220050526A (en)2022-04-25

Family

ID=8120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200134294APendingKR20220050526A (en)2020-10-162020-10-16Cleaner

Country Status (5)

CountryLink
US (1)US20230404347A1 (en)
EP (1)EP4230104A4 (en)
KR (1)KR20220050526A (en)
CN (1)CN116507255A (en)
WO (1)WO2022080930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80102604A (en)2016-01-222018-09-17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Separators and Vacuum Cleane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US6613129B2 (en)*2001-06-222003-09-02Euro-Pro CorporationCyclone and dust filter vacuum cleaner
KR100637997B1 (en)*2005-09-292006-10-23엘지전자 주식회사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GB2474176A (en)*2006-07-182011-04-06Dyson Technology LtdA hand-held vacuum cleaner with handle and suction pipe relatively angled
KR100783143B1 (en)*2007-02-052007-12-07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Cyclone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EP1955630A3 (en)*2007-02-122009-10-07Black & Decker, Inc.Motor, fan and filter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KR101411801B1 (en)*2007-12-262014-06-24엘지전자 주식회사 Vacuum cleaner dust separator
US20100269289A1 (en)*2009-04-232010-10-28Ruben Brian KInternal air separators in a dirt separation device
EP2581012B1 (en)*2011-10-122015-01-21Black & Decker Inc.A motor, fan and cyclonic separation apparatus arrangement for a vacuum cleaner
GB2497945B (en)*2011-12-222014-11-12Dyson Technology LtdVacuum cleaner
KR20160034041A (en)*2014-09-192016-03-29최상훈Handy vacuum cleaner
CN207804191U (en)*2017-06-292018-09-04苏州凯丽达电器有限公司Portable dust collector with display plate component
GB2569591B (en)*2017-12-202020-07-15Dyson Technology LtdVacuum cleaner
CN108523761A (en)*2018-05-022018-09-14追觅科技(天津)有限公司Hand held cleaner
CN108542305B (en)*2018-05-022023-10-20追觅科技(苏州)有限公司Handheld dust collector
KR102081941B1 (en)*2018-05-312020-04-23엘지전자 주식회사Cleaning Appliance
KR102081942B1 (en)2018-05-312020-02-26엘지전자 주식회사Cleaning Appliance
GB2578872B (en)*2018-11-092021-04-14Dyson Technology LtdVacuum cleaner
CN210124715U (en)*2019-05-082020-03-06江苏美的清洁电器股份有限公司Hand-held cleaning device
CN110179387B (en)*2019-06-042024-05-28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A handheld cleaning device
CN210612011U (en)*2019-08-022020-05-26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Vacuum cleaner
CN210931151U (en)*2019-08-272020-07-07苏州百特电器有限公司Portable dust suction device
CN111265147A (en)*2020-03-272020-06-12爱源(厦门)电子有限公司Multi-cone cyclone separator and dust collecting device comprising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180102604A (en)2016-01-222018-09-17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Separators and Vacuum Clea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EP4230104A1 (en)2023-08-23
CN116507255A (en)2023-07-28
WO2022080930A1 (en)2022-04-21
US20230404347A1 (en)2023-12-21
EP4230104A4 (en)202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717461B1 (en)Cleaner
US11751739B2 (en)Cleaner
KR20220016265A (en)Cleaning device having vacuum cleaner and docking station
KR20220045717A (en)Cleaning system and docking device having the same
JP2016511671A (en) Surface cleaning device
US12016512B2 (en)Cleaner
KR20220134188A (en)cleaner
KR20220131888A (en) vacuum cleaner
KR20220122472A (en)Cleaner
KR102022098B1 (en)Cleaner
KR20220087200A (en)cleaner
KR20220050527A (en)Cleaner
CN111655102B (en)Cleaning device
KR20220050526A (en)Cleaner
KR102022096B1 (en)Cleaner
KR20190127652A (en)Cleaner
EP4260784A1 (en)Cleaner
KR102101705B1 (en)Cleaner
KR102101701B1 (en)Cleaner
JP7020111B2 (en)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system
KR102037329B1 (en)Cleaner
KR20220080818A (en)Cleaner
US20240277198A1 (en)Cleaner station and cleaner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7482288B1 (en) Electric Vacuum Equipment
KR102123680B1 (en)Cleaner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1016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