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고안은 정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의류, 의류부속품 또는 침구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을 물론 작업장 등에서 작업자의 활동 중 작업복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정전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clothes, clothing accessories, or bedding, as well as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friction generated from work clothes during worker's activities in the workplace. It relates to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의복의 마찰 또는 의복과 침구류의 마찰에 의해 정전기가 발생하고, 이러한 정전기는 사람을 놀라게 하며, 심장이 약한 사람은 쇼크가 있을 수 있고, 피부질환이 사람은 염증이 악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general,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clothes or between clothes and bedding indoors, and such static electricity surprises people, people with a weak heart may have a shock, and those with skin diseases may worsen inflammation. there is a problem with
또한, 작업장 등에서는 작업자의 활동 등에 의한 요소로 인하여 마찰 대전압이 항상 발생되고 있는데, 이러한 마찰 대전압은 반도체, 전자제품, 컴퓨터와 같은 정밀 기기 제품에 대전되었을 경우에 전자 제품의 소자를 파괴시키며, 폭발성 가스를 취급하는 데에서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로 인해 스파크가 발생하여 화재 폭발 사고의 위험성도 내재하고 있다.In addition, frictional electrification voltage is always generated due to factors such as worker's activity in the workplace, and this frictional electrification voltage destroys the elements of electronic products when charged to precision equipment products such as semiconductors, electronic products, and computers. In handling explosive gases, sparks are generated due to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friction, and there is also a risk of fire and explosion accidents.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표면 저항값을 일정하게 내포하고 있는 도전사와 폴리에스테르 사로 제작된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된 작업복을 이용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종래의 작업복 및 그 구성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Due to these problems, work clothes manufactured using fabrics made of conductive yarn and polyester yarn having a constant surface resistance value were used. These conventional work clothes and their configuration will be reviewed.
종래의 작업복은 첫째, 미국 특허등록 US5715536호로서 봉제 접합 부분에 금속성 파이버로 제직된 도전성테이프를 사용하여 봉제 접합부위사이에 넣어서 봉제 접합을 한다. 이것은 근본적으로 원단의 기본소재 즉, 폴리에스테르 사와 카본 사와는 전혀 다른 금속사를 소재로, 봉제용 테이프를 만들어 패턴과 패턴사이에 넣어 접합 봉제 하고 있다. 이것은 작업복 세탁 시 분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정전기 방지 기능이 저하 될 수 있다.As for the conventional work clothes, first, as US Patent Registration No. US5715536, a conductive tape made of metallic fiber is used in the sewing joint part to be put between the sewing joint parts to perform sewing bonding. This is basically a basic material of the fabric, that is, a metal yarn completely different from polyester yarn and carbon yarn, and a sewing tape is made and put between the pattern and the pattern for bonding and sewing. It is likely to come off when washing work clothes, so the anti-static function may be deteriorated.
둘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6-028199호를 살펴보면, 정전기를 제어할 목적으로 일정한 크기의 금속 편을 작업화 바닥에 삽입하여 작업자의 발바닥과 작업장 바닥이 전기적인 접지된다. 착용 초기에는 어느 정도의 정전기 방지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나 내 세탁 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정전기 제거효과가 저하 될 수 있다. 또한 금속편을 바닥 창과 연결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접착재를 사용하여 접착시키고 있다. 이것은 착용 시 사람 발 바닥의 땀과 세탁 시 수분의 침투로 접착력이 약해져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Second, looking at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28199, a metal piece of a certain size is inserted into the floor of the work shoe for the purpose of controlling static electricity so that the sole of the worker's foot and the floor of the workshop are electrically grounded. At the beginning of wearing, it can exhibit some antistatic function, but the effect of removing static electricity may be reduced in terms of washing resistance and durability. In addition, in order to connect the metal piece to the floor window, it is artificially bonded using an adhesive material.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adhesive strength is weakened due to permeation of sweat on the sole of the person's feet when worn and the penetration of moisture during washing, so that it cannot perform its functions.
셋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6-023454호로서 도전성원단으로 의료용 가운을 만들어 중환자실에 적용시키는 것으로, 이것은 환자에게 정전기로 인한 폐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되었다. 근본적으로 정전기 방지를 위한 대책으로는 작업자의 작업화 및 작업복의 표면 저항 값이 등가를 이루어야 되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중환자실의 바닥은 일반적으로 표면저항 값과 관계없는 일반적인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전기 제어 측면에서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다.Third,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6-023454, a medical gown made of conductive fabric is appli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which was developed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static electricity on patients. Fundamentally, as a measure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the surface resistance value of the worker's work shoes and work clothes should be equivalen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 insufficient problem.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제1987-0002706호(1987.08.17. 공고)의 '정전기 제거용 리스트스트랩'은 직편물의 기포(基布)에다 도전성 카본블랙, 폴리우레탄 수지 및 가교제의 혼합물을 도포하여 제조한 반도전성포지를 신축성이 있는 소폭의 직편물로 된 리스트스트랩 내측면에 부착시키고, 그 중앙부에는 공지의 금속판 및 레지스터를 형성하여 전선으로 연결시켜 접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 prior docume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tatic Removal Wrist Strap'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87-0002706 (August 17, 1987 announcement) is based on the foam of the woven and knitted fabric, conductive carbon black, poly A semi-conductive cloth prepared by applying a mixture of urethane resin and a crosslinking agent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a wrist strap made of a stretchy, narrow woven knitted fabric, and a well-known metal plate and resistor are formed in the center of it and connected with an electric wire to be ground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to b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문헌은 어스용 집게가 지면과 닿아 있는 전도체에 물려있지 않는 경우 정전기의 제거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실내에서는 바닥에 깔리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장판, 나무마루 등이 설치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이기 때문에 장판, 나무마루 위에 놓인 금속의 물체에 어스용 집게를 물려도 정전기의 제거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e prior literatu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roblem in that static electricity cannot be removed when the ground tongs are not bitten by a conductor in contact with the ground. In other words, since a floor board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s installed indoors and it is an insulator that practically does not flow current, even if you bite the earth tongs on a metal object placed on the floor board or floor, static electricity is not removed. There is a problem.
또한, 작업장 등에서는 바닥에 접지된 물체 즉, 파이프 등에 연결하는 경우 접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기는 하나, 이러한 파이프는 대부분 천장 또는 벽면 쪽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스용 집게를 파이프 쪽에 연결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lthough grounding is easily made when connecting to a grounded object, that is, a pipe in the workplace, etc., since most of these pipes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or wall side,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earth tongs to the pipe side. Have.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 의류부속품 또는 침구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작업장 등에서 작업자의 활동 중 작업복에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capable of removing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clothes, clothing accessories, or bedding, as well as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friction generated from work clothes during the activities of workers in the workplace. It is intended to provide
또한, 본 고안은 가정이나 작업장 등에 설치된 접지콘센트에 접지플러그를 꼽아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복 등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that completely removes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clothes and the like by plugging a grounding plug into a grounding outlet installed at home or in a work place.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that can be used conveniently by a user.
또한, 본 고안은 제조가 용이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t a low cost and easy to manufacture.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고안의 의복(평상복, 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를 포함하는 정전기발생부재에 설치되어 정전기가 발생되면 접지부재로 인가하는 정전기인가부재와; 정전기인가부재에 결합되어 접지단자가 설치된 콘센트에 결합되어 정전기를 접지시키는 접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장치를 제공한다.An electrostatic applying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including clothes (including casual wear, work clothes), clothing accessories (arms, wrist guards, socks, etc.) or bed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pplies static electricity to the grounding member when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Provided is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comprising a; a grounding member coupled to the static electricity applying member and coupled to an outlet provided with a grounding terminal to ground the static electricity.
본 고안의 정전기인가부재는, 정전기발생부재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스냅단추의 수스냅단추로 이루어지는 고정부재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tic electricity apply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fixing member consisting of a male snap button of a snap button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본 고안의 접지부재는, 접지연결선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전기발생부재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와; 결합부재와 접지플러그 사이에 설치되어 정전기를 접지부재로 흘려보내는 접지연결선; 및 접지연결선에 결합되어 접지단자가 형성된 콘센트에 결합되는 접지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The grounding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member installed on one side of a grounding connection line and coupled to a fixing member installed on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a grounding connection line installed between the coupling member and the grounding plug to flow static electricity to the grounding member; and a grounding plug coupled to a grounding connection line and coupled to an outlet having a grounding terminal formed thereon.
본 고안의 접지플러그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본체와; 플러그본체에 결합되어 콘센트의 구멍에 꼽힌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플러그단자와; 플러그단자와 직각으로 위치되게 플러그본체에 설치되어 접지연결선과 연결되는 접촉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unding plug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g body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formed to be easily gripped by a user; a plug terminal coupled to the plug body to prevent power from being applie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hole of the outlet; and a contact terminal installed on the plug body to be positioned at right angles to the plug terminal and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line.
본 고안의 접촉단자는, 접지연결선에 연결되어 콘센트에 설치된 접지단자로 정전기가 흐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c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ground connection line and allows static electricity to flow to the ground terminal installed in the outlet.
본 고안은 의류, 의류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을 물론 작업장 등에서 작업자의 활동 중 발생되는 마찰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작업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static electricity that may occur in work clothe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during worker's activities in the workplace, as well a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clothes, clothing accessories (bands, wrist guards, socks, etc.) or bedd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본 고안은 특히 작업장 등에 설치된 접지콘센트에 접지플러그를 꼽아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의복 등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첨단소자들이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fatal damage to high-tech devices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by completely removing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friction between clothes, et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done.
또한, 본 고안은 의복, 의복의 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에 스냅단추를 결합시키는 거와 같이 체결한 상태에서 콘센트에 접지플러그를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it by inserting the grounding plug into the outlet while it is fastened, just like attaching a snap button to clothes and clothing accessories (arms, wrist guards, socks, etc.). have.
또한, 본 고안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갖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having price competitiveness because it is easy to manufacture at a low cos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전기발생부재의 실시예인 양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정전기발생부재의 다른 실시예인 손목보호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접지연결선과 접지플러그의 결합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정전기 제거장치가 손목보호대로 이루어진 정전기발생부재와 연결되어 정전기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정전기 제거장치가 양말로 이루어진 정전기발생부재와 연결되어 정전기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1 is a view showing a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sock as an embodiment of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shown in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wrist gu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shown i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configuration of a grounding connection line and a grounding plug shown in FIG. 1 .
5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made of a wrist protector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6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made of socks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이하, 본 고안의 정전기 제거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의 정전기 제거장치는 의복(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 등을 포함하는 정전기발생부재(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접지단자가 형성된 콘센트(40)에 꼽아 접지플러그(33)의 접지단자가 접지부재(30)에 밀착되어 정전기가 접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utlet with a grounding terminal in the state in which the static
본 고안에 의한 정전기 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An apparatus for removing static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의한 정전기 제거장치는 정전기발생부재(10), 정전기인가부재(20) 및 접지부재(30)를 포함한다.1 to 5 , 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atic
상기 정전기발생부재(10)는 의복(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전기발생부재(10)에는 정전기인가부재(20)가 설치되고, 상기 정전기인가부재(20)는 고정부재(21)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재(21)는 스냅단추의 수스냅단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atic
상기 고정부재(21)는 의복(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접지부재(30)의 결합부재(31)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The
또한, 상기 고정부재(21)는 스냅단추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복(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 등에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그 어떠한 형태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지부재(30)는 결합부재(31), 접지연결선(32) 및 접지플러그(33)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결합부재(31)는 접지연결선(3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정전기발생부재(10)에 설치된 고정부재(21)에 결합하여 정전기발생부재(1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접지플러그(33)를 통해 콘센트(40)를 거쳐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스냅단추의 암스냅단추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또한, 상기 결합부재(31)는 스냅단추의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의복(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1)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그 어떠한 형태든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접지연결선(32)은 고정부재(21)와 결합되는 결합부재(31)와 접지플러그(33) 사이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정전기발생부재(10)에서 발생한 정전기가 고정부재(21)와 결합된 결합부재(31)로부터 인가되면, 접지플러그(33)에 의해 콘센트(40)의 접지단자로 접지된다.The
상기 접지플러그(33)는 결합부재(31)가 일측에 설치된 접지연결선(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기발생부재(10)로부터 발생한 정전기가 콘센트(40)의 접지단자(42)로 흐르도록 한다.The grounding plug 33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상기 접지플러그(33)는 사용자가 잡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본체(33-1)와, 플러그본체(33-1)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콘센트(40)의 구멍(41)으로 인입되는 플러그단자(33-2)와, 플러그단자(33-2)와 직각으로 위치되게 플러그본체(33-1)에 설치되어 접지연결선(32)과 연결되는 접촉단자(33-3)를 포함한다.The grounding plug 33 includes a plug body 33-1 formed to be easily grasped by a user, and a plug terminal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plug body 33-1 and introduced into the
상기 접지플러그(33)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져 플러그단자(33-2)가 콘센트의 구멍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류가 인가되지 못하도록 한다.The grounding plug 33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to prevent current from being applied while the plug terminal 33-2 is coupled to the hole of the outlet.
상기 플러그단자(33-2)는 콘센트(40)에 형성된 구멍(41)에 결합되어도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즉, 접지연결선(32)과 연결되지 않게 설치된다.The plug terminal 33 - 2 is installed so that current is not applied even when it is coupled to the
그리고 상기 접촉단자(33-3)는 결합부재(31)를 통해 접지연결선(32)으로 인가되는 정전기를 접지단자(42)로 흐르도록 접지연결선(32)에 연결된다.And the contact terminal 33-3 is connected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정전기 제거장치를 이용하여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의복(평상복, 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 또는 침구류로 이루어지는 정전기발생부재(10)에 설치된 정전기인가부재(20)의 고정부재(21)와 접지부재(30)의 결합부재(31)를 꼽아 정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한다.In order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using 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in order for the user to remove static electricity, clothes (including casual clothes, work clothes), clothing accessories (bands, wrist guards, socks, etc.) or bedding The fixing
그리고 사용자가 정전기발생부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접지플러그(33)를 콘센트(40)에 꼽아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The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wears the static
상기와 같이 정전기발생부재(10)에 설치된 정전기인가부재(20)의 고정부재(21)와 접지부재(30)의 결합부재(31)가 결합된 상태에서 접지플러그(33)의 접촉단자(33-3)가 콘센트(40)의 접지단자(42)에 접촉된 상태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면, 정전기인가부재(20)의 고정부재(21)를 통해 접지부재(30)의 결합부재(31)로 흐르고, 결합부재(31)와 연결된 접지연결선(32)을 통해 접촉단자(33-3)로 인가되어 접지단자(42)에 의해 접지가 이루어진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상기와 같이 접지가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정전기에 의해 놀라거나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작업장 등에서 의복 등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의 제거가 완벽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정전기에 의한 첨단소자들이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ecause grounding is made as described above, users can not only solve the problem of being surprised by static electricity, but also completely remov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clothes, etc.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전기 제거장치는 의복(평상복, 작업복 포함), 의복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또는 침구류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는 것은 물론 작업장 등에서 작업자의 활동 중에 작업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atic electricity remova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from clothes (including casual wear, work clothes), clothing accessories (arms, wrist guards, socks, etc.) You can easily remove static electricity that may occur in the
또한, 본 고안은 의복, 의복의 부속품(아대, 손목보호대, 양말 등)에 고정부재를 스냅단추가 결합되는 것과 같이 체결한 상태에서 콘센트(40)에 접지플러그를 꼽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저렴한 비용에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에 가격경쟁력을 갖추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conveniently use the grounding plug by inserting the grounding plug into the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정전기발생부재 20: 정전기인가부재
21: 고정부재 30: 접지부재
31: 결합부재 32: 접지연결선
33: 접지플러그 33-1: 플러그본체
33-2: 플러그단자 33-3: 접촉단자
40: 콘센트 41: 구멍
42: 접지단자10: static electricity generating member 20: static electricity applying member
21: fixing member 30: grounding member
31: coupling member 32: ground connection line
33: grounding plug 33-1: plug body
33-2: plug terminal 33-3: contact terminal
40: outlet 41: hole
42: ground terminal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00002734UKR20220000312U (en) | 2020-07-27 | 2020-07-27 | Static electricity elimination devic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2020200002734UKR20220000312U (en) | 2020-07-27 | 2020-07-27 | Static electricity elimination devic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20000312Utrue KR20220000312U (en) | 2022-02-04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2020200002734UCeasedKR20220000312U (en) | 2020-07-27 | 2020-07-27 | Static electricity elimination devic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20000312U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01028U (en) | 2023-12-26 | 2025-07-03 | 박현일 | Sleep socks with earthing fun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70002706A (en) | 1985-08-02 | 1987-04-06 | 가와무라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 Voice transmission method in dataway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870002706A (en) | 1985-08-02 | 1987-04-06 | 가와무라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 Voice transmission method in dataway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50001028U (en) | 2023-12-26 | 2025-07-03 | 박현일 | Sleep socks with earthing function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3596134A (en) | Apparatus for discharging electrostatic energy | |
| US5991922A (en) | Monitored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garment | |
| US4677521A (en) | Static dissipative grounding strap | |
| US7869182B1 (en) | Monitoring device for use with an insulated dual portion garment | |
| US4878148A (en) | Crocheted fabric elastic wrist bracelet bearing an interior conductive yarn | |
| US6707659B2 (en) | Heel grounder | |
| US10178882B2 (en) | Electric garment | |
| KR20220000312U (en) | Static electricity elimination device | |
| US5576924A (en) | Heel grounding device | |
| MX2011010446A (en) | An electrostatic discharge (esd) garment. | |
| US4680668A (en) | Anti-static device | |
| US6767603B1 (en) | Dissipation of static electricity in workwear | |
| US4868710A (en) | Clean room garment | |
| JPS61160461A (en) | Antistatic elastic fabric | |
| JP2005522006A (en) | Articles that dissipate static charge | |
| US6014773A (en) | Monitored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garment | |
| JP5329888B2 (en) | Dust-proof clothing and antistatic method in clean room | |
| CN103127611A (en) | Personnel electrostatic grounding device | |
| JP2000178810A (en) | Dustproof working wear | |
| JP3593149B2 (en) | Electrostatic discharge prevention mat | |
| KR100336304B1 (en) | manufacture and working clothes for remove of Triboelectrification | |
| TW394672B (en) | Monitored static electricity dissipation garment | |
| JP3731188B2 (en) | Wristband ground wiring | |
| JP2000262303A (en) | Static eliminator and electrically conductive shoes | |
| KR102013900B1 (en) | Functional wear with adhesive pattern minimizing cut off of power supply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UA01011R08D Patent event date:20200727 |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UE09021S01D Patent event date:20220324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U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UE06011S01D Patent event date: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