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H빔의 플랜지 및 웨브에 플레이트형 또는 라운드형 보강판을 보강하고, 상기 보강판에 고강도 강재를 삽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강축방향 강성을 증대시킨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the same, particularly by reinforcing plate-type or round-type reinforcing plates on the flanges and webs of H-beams, and inserting high-strength steel materials into the reinforcing plates to reduce prestress. It relates to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which increases the rigidity in the strong axis direction by introducing it,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흙막이 가시설은 건축물을 건설하기 위해 지반 굴착시 생기는 수직면이나 사면에 구조물을 설치하여 지반붕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임시구조물이다.In general, temporary retaining facilities are temporary structures installed to prevent ground collapse or deformation by installing structures on vertical surfaces or slopes that occur during excavation of the ground to construct a building.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하는 흙막이 가시설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상호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항타된 H빔(10)과, 상기 H빔(10) 사이에 결합되며 H빔(10) 사이의 공간을 메워 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토류판(20)과, 상기 H빔(10)과 토류판(20)을 지지하는 띠장(30)과, 상기 H빔(10)의 대향측 H빔(10)에 각각 단부가 접촉, 설치되거나 띠장(30)과 띠장(30)의 사이에 설치되어 H빔(10) 및 토류판(20)의 지지강성을 보강하는 스트럿(40)과, 상기 띠장(30)과 스트럿(40) 사이에 설치되는 잭(5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functioning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between the driven H-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60)을 굴착하여 천공홀(61)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홀(61)에 H빔(10)을 근입시킨 후, 상기 H빔(10)의 일정 높이마다 띠장(30)을 가로질러 설치한 후, 상기 띠장(30)과 띠장(30) 간에 스트럿(40)을 지지시킨 후, 상기 토류판(20)을 상기 H빔 사이에 끼워 넣어 시공이 완료된다.As shown in FIG. 2, the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ms a
상기한 바와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comprising the steps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H빔(10)의 직각방향으로 시공된 복수의 스트럿(40)은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A plurality of
즉, 상기 스트럿(40)은 H빔(10)의 직각방향으로 다단으로 시공되는데, 스트럿(40)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토공, 스트럿 설치 및 해체 공사, 기타 공사에 간섭을 받게 되므로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스트럿(40) 개수로 제한할 필요가 있다.That is, the
따라서, 토압에 대한 가시설의 저항모멘트를 증가시켜 스트럿(40)의 시공을 최소화하는 가시설 구조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temporary facility to minimize the construction of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H빔의 플랜지 및 웨브에 플레이트형 또는 라운드형 수직 및 수평보강판을 보강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보강판에 고강도 강재를 삽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강축방향 강성을 증대시켜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응력이 초과되는 구간에만 적용하여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며, 엄지말뚝 근입을 위한 천공홀 지름 내에서 최대 강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by reinforcing plate-type or round-type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ing plates on the flange and web of the H-beam, and adding high-strength steel to the vertical and horizontal reinforcing plates. Insert prestress to increase rigidity in the strong axial direction to improve economical efficiency and structural stab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은 상, 하부플랜지 및 웨브로 이루어진 H빔과; 상기 H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수직보강판과; 상기 H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수평보강판과; 상기 H빔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정착구와; 상기 H빔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정착구에 고정 설치되는 고강도 강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thumb stake 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n H-beam composed of upper and lower flanges and a web; a vertical reinforcing plate fixed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a horizontal reinforcing plate fixedly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Anchors which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H-beam,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a predetermine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beam and is composed of high-strength steel that is fixedly installed in the anchorage at the same time.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S 1); 상기 천공홀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상호 대향되게 근입시키는 단계(S 2);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긴장하는 단계(S 3);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사이에 스트럿을 설치하는 단계(S 4)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the steps of drillin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round to form a perforation hole ( S 1); The step of inserting the thumb pegs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drilling hole to face each other (S 2); Tensioning the thumb peg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S 3);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tep (S 4) of installing a strut between the thumb pegs 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tress-introduced thumb pile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H빔의 플랜지 및 웨브에 플레이트형 또는 라운드형 보강판을 보강하고, 상기 보강판에 고강도 강재를 삽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강축방향 강성을 증대시켜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는 이점이이 있다.First, the present invention reinforces a plate-type or round-type reinforcing plate on the flange and web of the H-beam, and inserts a high-strength steel material into the reinforcing plate to introduce prestress to increase the rigidity in the strong axi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economic efficiency and structural stability. there is this
둘째, 본 발명은 응력이 초과되는 구간에만 적용하여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한 공법이다.Seco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allows efficient design and construction by applying only to the section in which the stress is exceeded.
셋째, 본 발명은 엄지말뚝 근입을 위한 천공홀 지름 내에서 최대 강성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Thir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that can obtain maximum rigidity within the diameter of the drilling hole for rooting of the thumb pile.
넷째, 본 발명은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스트럿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ourth,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struts used in the conventional temporary retaining facilities.
도 1은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도시한 모멘트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3 is a front view showing a thumb peg to which pre-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3;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8 is a moment diagram showing a thumb pile to which the pre-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C-C선 단면도이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am.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은 상, 하부플랜지(110, 120) 및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수직보강판(200)과; 상기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수평보강판(300)과; 상기 H빔(100)의 양단부(14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정착구(400)와; 상기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정착구(400)에 고정 설치되는 고강도 강재(50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thumb stake (P) 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H-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은 H빔(100), 수직보강판(200), 수평보강판(300), 정착구(400) 및 고강도 강재(500)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구조물이다.That is, the thumb pile (P) to which the pre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i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H-
여기서, 상기 H빔(100)은 건축물, 선박 등의 대형 구조물의 골조나 토목공사에 널리 사용되는 단면이 H형인 형강으로 열간압연에 의해서 만들어진다.Here, the H-
H빔(100) 중앙의 가로봉에 해당하는 부분을 웨브(130), 양쪽의 세로봉에 해당하는 부분을 상, 하부플랜지(110, 120)라고 한다.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bar in the center of the H-
상기 상, 하부플랜지(110, 120)가 300mm 이하인 것을 주니어 사이즈, 300mm 이상인 것을 시니어 사이즈라고 한다.Those in which the upper and
비슷한 단면의 I빔이 있는데, H빔(100)에서는 상, 하부플랜지(110, 120)의 두께가 끝부분까지 일정한 점, 상, 하부플랜지(110, 120) 끝부분이 둥그스름하지 않은 점, I빔에서는 너비가 높이보다 작으나 H빔(100)에서는 너비가 높이와 같은 치수인 것도 있다는 점 등이 다르다.There is an I-beam of a similar cross-section. In the H-
너비가 넓은 것은 와이드 플랜지 H빔(100)이라 하는데, 전체적으로 단면이 정사각형 모양으로 건물의 기둥으로 사용하기 쉽다.The wide one is called the wide flange H-
규격은 KS D 3503에, 모양, 치수는 KS D 3051에 규정되어 있다.The standard is specified in KS D 3503, and the shape and dimensions are specified in KS D 3051.
또한, 상기 수직보강판(200)은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H빔(100)의 웨브(130) 내에 용접 설치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수평보강판(300)은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플랜지(110) 외면 또는 하부플랜지(120) 외면 및 상, 하부플랜지(110, 120) 외면에 용접 설치된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수직보강판(200)과 수평보강판(300)은 H빔(100)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재이다.Here, the
또한, 상기 정착구(400)는 포스트텐션 방식에서 고강도 강재(500)의 단부를 H빔(100)에 정착하기 위한 장치로서, 쐐기식, 나사식, 못대가리식 및 이것들을 조합한 것을 사용한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고강도 강재(500)는 PC강선, PC강연선, PC강봉, PC강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gh-
필요에 따라 개별적인 PC강재를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다발로 하여 프리스트레싱할 수 있는 상태로 해놓은 긴장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If necessary, one or several bundles of individual PC steels may be used to pre-stress the tension member.
특히, 상기 고강도 강재(500)는 H빔(100)에 파형상으로 고정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high-
즉, 상기 고강도 강재(500)에 인장력을 작용시켜 긴장시킨 상태로 그 단부를 정착구(400)에 정착시킨 것이다.That is, the end is fixed to the
여기서, 상기한 프리스트레싱의 효율을 좋게 하려면 최초에 긴장재에 주는 인장응력이 커야 하며, 이것이 PC에서 고강도 강재(500)를 긴장재로 사용해야 하는 이유이다.Here,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above-mentioned prestressing, the tensile stress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should be large at first, which is why the high-
특히 상기 PC강재는 지름이나 형상에 따라 PC강선, 이형 PC강선, PC강연선, PC강봉, 이형 PC강봉, 기타의 PC강재가 사용된다.In particular, as the PC steel, PC steel wire, deformed PC steel wire, PC steel wire, PC steel bar, deformed PC steel bar, and other PC steel are used according to the diameter or shape.
여기서, 상기 PC강선은 지름 2.9∼9mm 정도의 원형 강선을 의미한다.Here, the PC steel wire means a circular steel wire with a diameter of about 2.9 to 9 mm.
또한, 상기 PC강연선은 두 개의 소선을 꽈배기 모양으로 꼰 2연선(S연)과 한 개의 소선 둘레에 6개의 소선을 S연으로 꼬아 만든 7연선이 많이 사용된다.In addition, as for the PC stranded wire, two strands (S strand) twisted in a twist shape and 7 strands made by twisting 6 strands around one strand into an S strand are often used.
그리고, 상기 PC강봉은 지름이 9.2∼32mm 정도로서, PC강선이나 PC강연선 보다 강도는 떨어지지만 단부를 제두가공하거나 나사전조를 함으로써 쉽게 정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또 PC강선이나 PC강연선보다 릴렉세이션이 작은 이점이 있다.And, the PC steel bar has a diameter of about 9.2 to 32mm, and although the strength is lower than that of a PC steel wire or a PC steel wir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fixed by machining the ends or thread rolling, and has more relaxation than PC steel wire or PC steel wire. There is a small advantage.
그 반면에 지름이 크기 때문에 구부림 가공을 하면 그 부분의 품질이 저하하는 비율이 크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iameter is large, the rate of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part is large when bending is performed.
특히, 제두가공이나 나사전조한 부분의 품질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는가를 확인해 두어야 한다.In particular, it should be checked whether the quality of the iron-making process or the thread-rolled part can be sufficiently guaranteed.
또, 상기 정착구(400)에서 PC강봉과 정착면이 직각을 이루지 않거나 접속장치로 이은 PC강봉이 일직선으로 되지 않거나 할 경우에는 PC강봉에 국부적인 휨이 작용하여 PC강봉의 응력부식이나 지연파괴를 일으켜 나중에 파단될 염려가 있다.In addition, if the PC steel rod and the fixing surface do not form a right angle in the
따라서, PC강봉은 될 수 있는 대로 연신율이 크고 인성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PC steel bar having high elongation and high toughness as much as possibl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of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a thumb stak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도시한 모멘트도이다.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humb stake 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nd FIG. 8 is a moment diagram showing the thumb stake to which the prestr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roduced.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하는 단계(S 1); 상기 천공홀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을 상호 대향되게 근입시키는 단계(S 2);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을 긴장하는 단계(S 3);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 사이에 스트럿(S)을 설치하는 단계(S 4)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perforation hole by drillin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round (S) One); Step (S 2) of inserting the thumb pile (P) in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drilling hole to face each other; Tensioning the thumb pile (P) 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S 3); It consists of a step (S 4) of installing a strut (S) between the thumb pegs (P) to which the pre-stress is introduced.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지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직경 및 깊이로 지반을 천공하여 천공홀을 형성한 후, 상기 천공홀에 상, 하부플랜지(110, 120) 및 웨브(130)로 이루어진 H빔(100)과; 상기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수직보강판(200)과; 상기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 설치되는 수평보강판(300)과; 상기 H빔(100)의 양단부(140)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정착구(400)와; 상기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정착구(400)에 고정 설치되는 고강도 강재(500)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보강판(200)은 H빔(100)의 웨브(130) 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수평보강판(300)은 H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플랜지(110) 외면 또는 하부플랜지(120) 외면 및 상, 하부플랜지(110, 120) 외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고강도 강재(500)는 PC강선, PC강연선, PC강봉, PC강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고강도 강재(500)는 H빔(100)에 파형상으로 고정 설치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을 상호 대향되게 근입시킨 후,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을 긴장한 후, 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 사이에 스트럿(S)을 설치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시행하여 흙막이 가시설을 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a thumb pile to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ole is formed by drilling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depth at regular intervals in the ground, and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drilling hole are H-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 및 단계로 이루어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은 H빔(100)의 상, 하부플랜지(110, 120) 및 웨브(130)에 플레이트형 또는 라운드형 수직 및 수평보강판(200, 300)을 보강하고, 상기 수직 및 수평보강판(200, 300)에 고강도 강재(500)를 삽입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강축방향 강성을 증대시켜 경제성 및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응력이 초과되는 구간에만 적용하여 효율적인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하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P) 근입을 위한 천공홀 지름 내에서 최대 강성을 얻을 수 있으며, 종래의 흙막이 가시설에 사용되는 스트럿(S)의 개수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The pre-stress-introduced thumb pile and the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onfiguration and steps as described above are plate-shaped or round-shaped perpendicular to the upper an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나 있고, 그들 특허청구범위의 의미중에 들어가는 모든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falling within the meaning of those claims are intended for the present invention. Pho
함되는 것이다.it will be included
100: H빔 110: 상부플랜지
120: 하부플랜지 130: 웨브
140: 단부 200: 수직보강판
300: 수평보강판 400: 정착구
500: 고강도 강재 P: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엄지말뚝
S: 스트럿100: H-beam 110: upper flange
120: lower flange 130: web
140: end 200: vertical reinforcement plate
300: horizontal reinforcement plate 400: anchorage
500: high-strength steel P: pre-stress introduced thumb pile
S: Strut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19287AKR20210104484A (en) | 2020-02-17 | 2020-02-17 | Thrust piles with prestr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19287AKR20210104484A (en) | 2020-02-17 | 2020-02-17 | Thrust piles with prestr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104484Atrue KR20210104484A (en) | 2021-08-25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19287ACeasedKR20210104484A (en) | 2020-02-17 | 2020-02-17 | Thrust piles with prestr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104484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57616B1 (en) | 2022-03-16 | 2022-10-20 | 차석규 | Safety reinforcement structure of timbering temparary facility structure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58821B1 (en) | 2002-01-09 | 2004-12-03 | 금광개발 주식회사 | The length adjustable lagging and its using method of braced wall constru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458821B1 (en) | 2002-01-09 | 2004-12-03 | 금광개발 주식회사 | The length adjustable lagging and its using method of braced wall constructio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457616B1 (en) | 2022-03-16 | 2022-10-20 | 차석규 | Safety reinforcement structure of timbering temparary facility structure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683347B2 (en) | Systems and methods to reinforce excavation walls | |
| KR102382845B1 (en) | Thrust pile with prestress and self-supporting type pile construction using it | |
| KR101061516B1 (en) | Temporary wall structure using arched steel pile | |
| KR20210104484A (en) | Thrust piles with prestress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 KR20230032050A (en) | Grouting at the bottom of the drilling hole, a fixed prestressed thumb pile for displacement suppression and a self-supporting temporary retainer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 KR102610817B1 (en) |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using guide bracket and ground anch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2626433B1 (en) | Temporary earth retaining facility using guide bracket and ground anchor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2597718B1 (en) | Retaining wall preventing or reducing lateral displacement of the front part thereof,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JP5579403B2 (en) | Masonry wall reinforcement structure and masonry structure | |
| KR102626432B1 (en) | Temporary retaining facility using guide bracket and ground anchor for step-by-step support of deep excavatio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 KR101298020B1 (en) | Special prestressed method | |
| KR20230035903A (en) | Thumb piles introduced with inclined and crossed prestres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elf-supporting temporary retaining using the same | |
| JP3857257B2 (en) | Seismic reinforcement structure for bridge piers | |
| KR200263281Y1 (en) | Apparatus for reinforcing a construction by enlarging its' size | |
| EP4098802B1 (en) | Geotechnical method and geotechnical arrangement | |
| US12158002B1 (en) | Reinforced concrete beam with corrugated web reinforcement plate | |
| KR102517411B1 (en) | Prestressed soldier piles for displacement control and it's application to construction method for self-supporting temporary earth retaining walls | |
| KR102840856B1 (en) | Thumb pile using support bracket and ground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
| KR102587630B1 (en) | Thumb pile using guide bracket and hanging bracket and construction method for retaining temporary facility using the same | |
| JP7525789B2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steel pipe and precast member | |
| AU2007100296B4 (en) | Construction Assemblies | |
| KR101834157B1 (en) | Temporary soil sheath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basis piles and basis piles for temporary soil sheathing work | |
| JP4393945B2 (en) |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construction method and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 |
| KR101690960B1 (en) | Soil retaining method using earth anchor without wale | |
| JP2023125216A (en) | Bridge pier structur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