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반려동물 진료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반려인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관리하고 공유하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manages and shares the treatment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while protecting the companion animal's personal information using identified and processed information. will be.
반려동물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정의할 수 있다. 애완동물이란 단어로 사용되어 오다 동물이 인간에게 주는 여러 혜택을 존중하여 현재에는 반려동물이란 단어로 개칭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 companion animal can be defined as an animal that lives with humans. It has been used as a word for pets, but in respect of the many benefits that animals give to humans, it has now been renamed as a companion animal and is widely used.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며 국내 반려동물 양육가구 비율은 2012년 17%에서 2017년 28.1%로 증가했다고 한다. 인구 구조의 고량화가 심화됨은 물론 독신 가구 비율의 증가, 스트레스 사회 등의 사회적 요인과, 반려동물에 대한 가족구성원, 동반자, 파트너로서의 의식변화 등으로 인해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가구 비율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남에 따라 동물 병원, 의료기기, 각종 보험 상품 등 반려동물과 관련된 산업 역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According to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in Korea increased from 17% in 2012 to 28.1% in 2017.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has increased exponentially due to social factors such as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single households, a stressful society, and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companion animals as family members, companions, and partners, as well as the deepening of the demographic structure. expected to do As the number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increases, industries related to companion animals such as veterinary hospitals, medical devices, and various insurance products are also rapidly growing.
그러나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비율 및 관련 산업이 성장함에도 불구하고 반려동물의 등록제가 아직 정착되지 못함으로써, 학대와 방치, 유기 및 분실되는 반려동물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문제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However, despite the growth of the proportion of companion animal rearing households and related industries, the registration system for companion animals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so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efficiently manage abused, neglected, abandoned and lost companion animals continues to occur.
일 예로, 대부분의 동물병원에서는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을 전산화하여 보관하되 이를 공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해당 동물병원이 폐업하거나, 반려인이 이사하거나, 반려동물이 유기되어 새로 입양된 경우에도 반려인 혹은 타 동물병원에서는 이전의 진료기록을 참조할 수 없기 때문에, 예방접종 혹은 질병치료를 위한 시간적, 경제적 비용을 추가 지불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For example, most animal hospitals computerize and store companion animals' medical records but do not share them. Since previous medical records cannot be referred to in human or other veterinary hospitals, there is a problem of additional payment of time and economic costs for vaccination or disease treatment.
또한,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은 항상 반려인의 개인정보와 함께 보관되어지는데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이 공유되는 경우 반려인의 개인정보도 함께 공유되므로, 반려인의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유출될 수 있는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최근 개인정보보호 문제가 사회적 이슈가 됨에 따라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으면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records are always kept together with the companion's personal information. Concerns exist. In particular, as the issu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has recently become a social issue,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efficiently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while sharing medical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또한, 동물병원에서 작성되는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이 서버 등에 저장되어 관리되는 경우에도, 병원 측에서 진료기록을 PDF 등으로 데이터베이스화 한 후 직접 서버에 업로드하여야 하고, 반려인 또는 타 동물병원의 요구시 PDF 자료를 다운받아 제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medical records of companion animals created at the veterinary hospital are stored and managed on the server, etc., the hospital must convert the medical records into a PDF, etc., and then upload them directly to the server. Inconvenience exists in having to download and provide PDF data.
이에 반려동물 양육가구의 급성장에 발맞추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반려동물의 양육 및 진료정보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반려동물 관리 컨설팅 시스템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Accordingly, in line with the rapid growth of households raising companion animal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troduce a new concept of companion animal management consulting system that can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manage companion animals and treatment information.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창안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반려인의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하면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necessity, and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share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information while efficiently protecting the companion's personal information. .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신체, 습관, 진료기록 등의 정보들을 분석하여 양육에 필요한 컨설팅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provide consul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raising a companion animal by analyzing information such as a companion animal's body, habits, and medical records.
또한, 본 발명은 등록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양육과 관련된 최상의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해 줄 수 있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generate and provide the best consulting information related to parenting by analyzing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registered companion animals.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반려동물의 진료정보가 공유되도록 하고, 공유 가능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양육과 관련된 최상의 컨설팅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해 주며, 제공된 컨설팅 정보의 수행결과를 피드백 받아 진료정보의 분석 성능을 개선해 나갈 수 있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to be shared through a network, analyzes shareable medical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to create and provide the best consulting information related to parenting, and receives feedback on the results of the provided consulting information for treatment It aim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improve the analysis performance of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보다 쉽게 저장,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anion animal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that can more easily store, manage, and use medical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은, 수의사 단말로부터의 진료기록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반려인의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식별코드 생성부, 수의사 단말로부터의 진료기록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반려동물의 종별 시리얼 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종별 시리얼 번호 생성부, 반려동물의 종별 시리얼 번호, 생체식별정보, 진료내역 및 반려인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진료정보를 상기 수의사 단말로부터 전송받아 암호화하여 종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진료정보 등록부, 및, 수의사 단말로부터 진료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종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수의사 단말 요청의 상기 진료정보를 복호화하여 상기 수의사 단말로 전송하는 진료정보 관리부를 포함한다.Companion animal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identification code generato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an identification code of a companion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generating medical records from a veterinarian terminal, The type serial number generator that generates and transmits the type serial number of the companion animal in response to the request to create a medical record, recalls the type of companion animal serial number, biometr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medical history and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code of the companion A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register that is received from the veterinarian terminal, encrypted and registered in the type database, and when there is a request for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veterinarian terminal, the treatment information of the veterinarian terminal request registered in the type database is decrypted and transmitted to the veterinarian terminal Includes information management department.
또한,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반려인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this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any one or mor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s name, address, and phone number.
또한,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가상 이메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configured as a virtual email.
또한,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상 이메일은, 반려인의 실제 이메일과 연동되어 수의사 단말이 상기 가상 이메일로 진료정보를 전송할 때 상기 실제 이메일로 전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this embodiment, the virtual email may be configured to be transmitted to the real email when the veterinarian terminal transmits medical information to the virtual email in conjunction with the companion's actual email.
또한,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에 있어서, 수의사 단말 또는 반려인 단말로부터 컨설팅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종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기능별 사료, 활동량, 예방접종, 수술시기, 교미시기, 건강검진시기, 재활기구, 패션소품, 장난감, 생활패턴조언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추천 컨설팅 정보를 컨설팅 DB에서 추출하여 전송하는 컨설팅 정보 추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this embodiment, when there is a request for consulting information from a veterinarian's terminal or a companion's terminal,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registered in the type database is analyzed to provide feed, activity amount, vaccination, and surgery for each func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onsulting information extraction unit that extracts and transmits recommended consulting information for any one or more of timing, mating period, health examination period, rehabilitation equipment, fashion accessories, toys, and life pattern advice from the consulting DB.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은 반려인의 개인정보에 식별코드를 부여하여 반려동물과 반려인을 매칭시킨 후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반려인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다.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by giving an identification code to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to match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mpanion and then sharing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can do.
또한, 본 발명은 반려인의 가상 이메일을 식별코드로 이용하여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반려인의 의사에 기초하여 진료정보를 쉽게 저장, 관리 및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storing, managing, and using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companion's intention by using the companion's virtual email as an identification code to store the companion animal's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in the server.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진료정보에 기초하여 수의사 혹은 반려인이 컨설팅 전송 요청한 정보를 생성하여 주기 때문에, 수의사 혹은 반려인은 반려동물의 양육과 관련된 정보들을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전문가 자문에 의해 설정된 컨설팅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최상의 상태로 반려동물을 양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the information requested by the veterinarian or the companion for consulting transmission based on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e veterinarian or the companion ha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easil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upbringing of the companion animal, By utilizing the consulting information set by expert advisors, there is an advantage in nurturing companion animals in the best possible condition.
또한, 본 발명은 수의사 단말로부터 진료기록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그에 응답하여 해당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종별 시리얼 번호를 생성하여 반려동물을 관리함으로써, 반려동물에게 별도의 칩을 주입하지 않고서도 반려동물을 등록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companion animal by generating a serial number for each type that can identify the companion animal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generating a medical record from the veterinarian's terminal, thereby providing the companion animal without injecting a separate chip. You can get the effect of registering an animal.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을 네트워크상에 보관하고 정당한 권리자만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료기록지의 분실, 손상, 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타 진료기관에서 발급된 이전 진료기록을 공유하여 조회해 볼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s of loss, damage, and management of medical records used offline by storing the medical records of companion animals on the network and allowing only the right holders to read them, as well as other medical care. It is convenient to share and inquire previous medical records issued by institutions.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암호화 진료기록을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보안정보들을 타 사설망 혹은 블록체인망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는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에 대한 보안성 및 무결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등록된 반려동물의 습득시 동물병원을 이용해 반려인을 편리하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반려인 입장에서 반려동물을 찾기 위한 수고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crypts and stores the medical records of companion animals, and distributes and stores security information that can be viewed and accessed by accessing the stored encrypted medical records in other private networks or block chain networks, so that the medical records of companion animals shared on the network are stored in an encrypted manner. It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strengthening the security and integrity of the companion animal, and when acquiring a registered companion animal,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find the companion using the veterinary hospital, thereby reducing the effort and cost of finding a companion animal from the companion's point of view. possible effects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활용하여 습득된 반려동물의 반려인을 찾는 과정을 나타난 순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eripheral configuration of a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tro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and providing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finding a companion of a companion animal acquired by using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의 주변 구성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peripheral configuration of a companion animal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mpanion animal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통신망을 통해 전국 각지에 분포 혹은 행정구역 내에 분포하는 수의사 단말(200)과 연결 가능함은 물론,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반려동물 양육자(이하, '반려인'이라 함) 단말(300)과도 연결 가능하다.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 수의사 단말(200) 및 반려인 단말(300)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동물 보호기관, 동물 입양기관, 정부부처(농림축산식품부)에서 운영하는 서버와도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필요한 정보를 상호 송수신 가능하다.First, referring to FIG. 1 ,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 혹은 서버 컴퓨터 시스템의 메모리에 설치되어 실행 가능한 코드 데이터들의 집합체(응용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최초 동물병원을 방문한 반려동물에 대해 진료정보 관리를 위해 필요한 식별코드 및 종(種)별 시리얼 번호를 자동 생성하여 주고, 각 동물병원에 위치한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전송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등록, 저장 및 관리하며, 등록, 저장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다양한 컨설팅 정보를 제공해 준다.The companion animal medical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진료정보를 요청(열람 요청)한 수의사 단말(200)에게 해당 진료정보를 제공해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treatmen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 습득신고가 접수되는 경우 습득신고된 반려동물의 반려인을 찾아 해당 수의사와 연결시켜 주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companion animal acquisition report is received from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반려인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반려인을 대상으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부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반려동물의 진료정보와 반려인 정보의 보안성, 무결성을 높이기 위해 시스템이 아닌 사설망에 진료정보를 보관할 수도 있으며, 진료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필요한 해시값들을 블록체인망에 분산 저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이를 위한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인의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부(110), 반려동물의 종별 시리얼 번호를 생성하는 종별 시리얼 번호 생성부(120),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진료정보 등록부(130), 수의사 단말(200) 등의 요청에 따라 진료정보를 전송하는 진료정보 관리부(140), 반려동물에 대한 추천 컨설팅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컨설팅 정보 추출부(150)와, 각종 DB가 저장되는 DB 서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또한,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습득된 반려동물에 대한 반려인 정보를 검색하는 반려인 정보 검색부(160)와,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를 반려인 단말(300)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파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식별코드 생성부(110)는 수의사 단말(200)로부터의 진료기록 생성 요청에 응답해 반려인의 식별코드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하는 구성이다. 병원을 처음 방문하는 반려인 및 반려동물에 대하여 수의사는 수의사 단말(200)을 통하여 진료기록 생성을 시스템(100)에 요청하고, 식별코드 생성부(110)는 반려인을 대상으로 하는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수의사 단말(200)에 전송한다.Specifically, the identification
식별코드는 다수의 반려인을 식별하는 코드로서, 숫자, 특수문자, 알파벳 등이 하나 이상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식별코드는 반려인의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포함될 수 있고, 반려인의 정보가 공유될 때 이러한 개인정보를 대신하여 식별코드가 공유 및 공개됨으로써 반려인의 개인정보가 무단으로 공개되거나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identification code is a code for identifying a plurality of companions, and may be composed of a mixture of one or more numbers, special characters, alphabet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name, address, phone number, etc. of the person of the companion, and when the information of the person is shared, the identification code is shared and disclosed on behalf of the personal information, so tha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person of the partner is shared. Prevent unauthorized disclosure or leakage.
또한, 본 실시예의 식별코드는 가상 이메일로 구성될 수 있다. 가상 이메일은 다수의 반려인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가상 계정으로 부여되어 반려인을 특정할 수 있다. 다수의 가상 이메일은 서로 동일한 도메인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다수의 가상 이메일은 ani001@drtail.com, ani002@drtail.com, ani003@drtail.com 등과 같이 동일한 도메인(drtail.com)을 이용하고, 다수의 반려인은 ani001, ani002, ani003과 같은 서로 다른 ID를 이용한 식별코드로 구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virtual email. The virtual e-mail may be assigned to different virtual accounts for a plurality of recipients to specify the recipient. Preferably, multiple virtual emails have the same domain as each other. For example, a plurality of virtual e-mails use the same domain (drtail.com) such as ani001@drtail.com, ani002@drtail.com, ani003@drtail.com, and the like, and a plurality of recipients use the same domain (drtail.com), such as ani001, ani002, and ani003. It can be divided into identification codes using different IDs.
또한, 식별코드 생성부(110)에서 식별코드로 생성된 가상 이메일은 반려인의 실제 이메일에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려인의 실제 이메일은 수의사 단말(200)의 요청으로 수집될 수 있으며, 반려인의 식별코드 즉, 가상 이메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실제 이메일로 전달되어 반려인은 실제 이메일을 통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email generated by the identification code in the identification
따라서 가상 이메일을 식별코드로 이용하는 경우, 수의사 입장에서는 식별코드를 통하여 진료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통일화된 가상 이메일을 통하여 반려인을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반려인의 입장에서는 별도의 웹사이트에 회원 가입하지 않고도 기존에 가지고 있는 이메일을 통하여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 virtual email as an identification code, the veterinarian can transmit medical information throug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can easily identify the recipient through the unified virtual email,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cipient, the member can register on a separate website. There i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receive medical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s through an existing e-mail without registering.
종별 시리얼 번호 생성부(120)는 수의사 단말(200)의 진료기록 생성 요청에 응답해 반려동물의 종별(강아지, 고양이, 소, 말, 타조 등) 시리얼 번호를 자동 생성하여 전송한다. 병원을 처음 방문하는 반려인 및 반려동물에 대하여 수의사는 수의사 단말(200)을 통하여 진료기록 생성을 시스템(100)에 요청하고, 종별 시리얼 번호 생성부(120)는 반려동물을 대상으로 하는 종별 시리얼 번호를 생성하여 수의사 단말(200)에 전송한다.The
진료정보 등록부(130)는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비문, 정맥, 외피 문양 패턴 등), 반려인 식별코드(성명, 주소, 반려인 단말 정보 등) 및 반려동물 진료내역(품종, 혈통, 나이, 체중, 신장, 혈압과 같은 신체정보와 질병에 관한 기록)이 포함된 진료정보를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아 암호화하여 DB 서버(180)에 등록한다.The medical
진료정보 등록부(130)는 진료정보의 보안성과 무결성을 높이기 위해 진료정보를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아 해싱처리 및 암호화하여 종별 DB(181)에 등록하는 진료정보 암호화 등록부(131)와, 진료정보를 해싱처리하여 생성된 해시값을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켜 해시 DB(182)에 분산 저장하는 해시값 분산 저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eatment
진료정보 관리부(140)는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진료정보 열람 요청이 있는 경우 그 열람 요청에 포함된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해시값을 추출하고, 그 추출 해시값에 해당하는 암호화된 진료정보를 찾아 복호화한 후 수의사 단말(200)로 전송한다.When there is a request to view medical information from the
컨설팅 정보 추출부(150)는 수의사 단말(200) 또는 반려인 단말(300)로부터 컨설팅 정보 요청이 있는 경우,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기능별 사료, 활동량, 예방접종, 수술시기, 교미시기, 건강검진시기, 재활기구, 패션 소품, 장난감, 생활패턴 조언 등에 대한 추천 컨설팅 정보를 컨설팅 DB(183)에서 추출하여 수의사 단말(200) 또는 반려인 단말(300)로 전송한다.When there is a request for consulting information from the
반려인 정보 검색부(160)는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 혹은 종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반려동물 습득신고 정보 수신시 그 습득신고 정보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 혹은 종별 시리얼 번호를 이용하여 이에 매칭되는 반려인의 식별코드를 추출한다.When receiving companion animal acquisition report information including biometr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r species serial number from the
메시지 전파부(170)는 검색된 반려인의 식별코드로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를 전파하되, 반려동물을 습득한 수의사의 연락처가 포함된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를 전파한다. 반려인 식별코드로 전파된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는 반려인의 실제 이메일로 전송되며, 필요에 따라 엄밀하게는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반려인 단말로 직접 전파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DB 서버(180)는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DB 서버(180)는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및 진료정보를 저장하는 종별 DB(181), 진료정보를 해싱처리하여 생성한 해시값은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해시 DB(182), 반려동물의 진료정보에 따라 기능별 사료, 활동량, 예방접종, 수술시기, 교미시기, 건강검진시기, 재활기구, 패션 소품, 장난감, 생활패턴 조언 등의 컨설팅 정보를 저장하는 컨설팅 DB(1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컨설팅 DB(183)에는 수의사 혹은 반려인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추천 컨설팅 정보가 등록되는데, 이러한 추천 컨설팅 정보는 반려동물의 진료정보에 포함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반려동물의 종별(1차 분류 항목)로 품종(2차 분류 항목)을 구분하고, 각 품종을 다시 혈통(3차 분류 항목)으로 구분하며, 각 혈통의 하위에 성별 및 나이(4차 분류 항목)를, 다시 각각의 나이별로 체중/혈압과 같은 신체정보, 질병 증상(5차 분류 항목)을 구분해 놓고, 이러한 일련의 분류 항목 조합에 기능별 사료, 활동량, 예방접종, 수술시기, 교미시기, 건강검진시기, 재활기구, 패션 소품, 장난감, 생활패턴 조언과 같은 항목에 추천 컨설팅 정보들을 매칭시켜 놓으면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수의사 또는 반려인이 의뢰한 최적의 컨설팅 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Recommended consulting information that can be provided to a veterinarian or companion is registered in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활용하여 습득된 반려동물의 반려인을 찾는 과정을 나타난 순서도이다. 3 is a control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toring and providing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of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is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ocess of finding a companion.
도 3을 참조하면,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반려인이 진료를 위해 동물병원을 처음 방문하거나 동물병원에서 반려동물을 입양할 경우 수의사는 수의사 단말(200)에 설치된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진료기록 생성을 요청한다(S11). 반려동물에 대한 진료기록 생성 요청에는 반려인을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반려동물의 종류를 나타내는 종 정보가 포함된다. 수의사 단말(200)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과 정보를 정상적으로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별도의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이 사전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Referring to FIG. 3 , when a companion raising a companion animal visits a veterinary hospital for the first time for medical treatment or adopts a companion animal from the veterinary hospital, the veterinarian creates a medical record through the veterinary us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이러한 요청에 따라 식별코드 생성부(110)와 종별 시리얼번호 생성부(120)는 정해진 규칙에 따라 각각 반려인의 식별코드와 반려동물의 종별 시리얼번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고(S12,S14), 생성된 식별코드와 반려동물의 종별 시리얼번호를 수의사 단말(200) 측으로 전송한다(S13,S15).In response to this request, the identification
식별코드는 반려인에 대한 가상 이메일 일 수 있으며, 종별 시리얼 번호는 별도의 인자 수단에 인자되어 반려동물에 부착 착용되어 분실시 이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상 이메일은 특정 도메인에 대하여 일련번호 순으로 계정을 부여하여 생성할 수 있고, 종별 시리얼 번호는 단순하게 일련번호 순으로 생성하거나 반려인의 주소와 일치하는 행정구역상의 코드를 앞자리에 부여하고 이에 뒤이어 일련번호를 부여해 결합하는 형태로 생성할 수도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may be a virtual email for the companion, and the serial number for each type may be printed on a separate printing means, attached to the companion animal, and used in case of loss. In addition, virtual e-mail can be created by assigning accounts in the order of serial number to a specific domain, and serial number by type is simply created in order of serial number, or a code in the administrative district that matches the address of the sender is assigned to the front digit. Following this, serial numbers may be assigned to create a combined form.
수의사 단말(200)에 설치된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으로부터 식별코드 및 종별 시리얼 번호가 전송되면 정해진 양식의 진료기록카드에 마련된 식별코드 및 종별 시리얼 번호 기재란에 전송된 식별코드와 종별 시리얼 번호를 자동으로 기재하고, 수의사의 정보 입력을 대기한다.In the veterinary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이에 수의사는 방문 혹은 입양할 반려동물의 정보(암, 수, 품종, 나이, 혈통 등)와 반려인 정보(성명, 주소, 반려인 단말 정보, 실제 이메일 정보 등), 진료내역(체중, 습관, 신장, 혈압, 질병정보 등)을 해당란에 기재하고, 해당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를 카메라, 스캐너 등을 이용해 획득한 후 이를 진료기록카드에 마련된 해당란에 삽입하여 일련의 진료정보를 작성 완료한다(S16). 반려인 정보는 식별코드에 매칭되어 다수의 반려인은 식별코드에 의하여 서로 식별된다.Accordingly, the veterinarian must visit or adopt the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cancer, number, breed, age, ancestry, etc.), companion information (name, address, companion terminal information, actual email information, etc.) height, blood pressure, disease information, etc.) in the relevant column, obtain biometr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using a camera, scanner, etc. S16). The dissent person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identification code, and a plurality of dissenters are identified with each other by the identification code.
한편, 진료정보 작성이 완료되면 수의사는 수의사 단말(200)을 통하여 반려인의 식별코드로 진료정보를 전송한다(S17). 반려인의 식별코드는 가상 이메일로 구성되고, 가상 이메일은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미리 입력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메일 주소 입력없이 정보 전송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par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is completed, the veterinarian transmits the medical information to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recipient through the veterinarian terminal 200 (S17). Since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recipient is composed of a virtual e-mail, and the virtual e-mail is entered in advance by the veterinary applic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ithout entering a separate e-mail address.
또한, 식별코드인 가상 이메일은 반려인의 실제 이메일과 연동되어 있으므로, 가상 이메일로 전송되는 진료정보는 반려인의 실제 이메일을 통하여 반려인 단말(300)로 전달된다(S18). 반려인이 반려인 단말(300)에서 전송된 진료정보를 확인하면, 메일 수신정보가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으로 전송되고(S19), 진료정보 등록부(130)에서 진료정보를 DB 서버(180)에 등록 및 저장한다(S20). 이때, 반려인은 진료정보 등록을 승낙하는 별도의 회신 메일을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virtual e-mai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code, is linked with the actual e-mail of the person who sends it, the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virtual e-mail is transmitted to the
진료정보 등록부(130)는 진료정보를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전송받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진료정보 암호화 등록부(131)와 해시값 분산 저장부(132)를 포함하므로, 진료정보 암호화 등록부(131)는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가 포함된 진료정보를 해싱처리하여 해시값을 생성하고, 해싱처리된 진료정보를 암호화하여 종별 DB(181)에 등록 및 저장한다. 또한, 해시값 분산 저장부(132)는 진료정보를 해싱처리하여 생성된 해시값을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하나 이상에 매칭시켜 해시 DB(182)에 저장하거나, 사설망 혹은 블록체인망에 분산 저장한다.The medical
이렇게 저장된 진료정보는 수의사 또는 다른 수의사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수의사의 수의사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The stored medical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진료기록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먼저 반려인에 대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반려인의 개인정보를 식별코드를 통하여 관리하고, 반려인의 식별코드와 반려동물의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매칭시킨 후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반려인의 개인정보를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As such,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또한, 본 실시예의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은 여러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진료기록 생성 요청이 있는 경우 그에 응답하여 해당 반려동물을 식별할 수 있는 종별 시리얼 번호를 생성하여 줌으로써, 반려동물에게 별도의 칩을 주입하지 않고서도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에 등록한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반려인의 거부감 없이, 또한 칩을 이식할 수 없는 반려동물에게도 반려동물 등록제에 참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어 이후의 반려동물 사후 관리가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또한 상술한 과정에 의하면 동물병원이 폐업/이사, 반려인이 타지로 이사한 경우에도 그 등록 반려동물에 대한 진료정보를 언제, 어디서나 수의사의 도움 하에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even if the veterinary hospital closes/moves and the companion moves to another country, medical information on the registered companion animal can be conveniently shared anytime, anywhere with the help of a veterinaria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과정을 통해 반려인의 식별코드 및 반려동물에 대한 진료정보가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에 등록되면, 수의사는 물론 반려인은 자신의 단말(200, 300)을 통해 반려동물에 대한 컨설팅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When the companion animal's identification code and medical information about the companion animal are registered in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즉, 수의사 혹은 반려인 단말(200, 300)로부터 수의사 혹은 반려인이 전송받고자 하는 항목이 포함된 컨설팅 정보의 전송 요청이 있으면(S21), 컨설팅 정보 추출부(150)는 정보 전송 요청된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분석하여 기능별 사료, 활동량, 예방접종, 수술시기, 교미시기, 건강검진시기, 재활기구, 패션소품, 장난감, 생활패턴조언과 같은 항목 중 수의사 혹은 반려인이 요청한 항목에 매칭되는 추천 컨설팅 정보를 컨설팅 DB(183)에서 추출한다(S22).That is, if there is a request for transmission of consulting information including an item that the veterinarian or companion wants to be transmitted from the veterinarian or
동시에 컨설팅 정보 추출부(150)는 추출된 추천 컨설팅 정보를 수의사 단말(200) 혹은 반려인 단말(300)로 전송함으로써(S23), 최종적으로 단말(200,300)에 추천 컨설팅 정보, 예를 들면 수의사 혹은 반려인이 요청한 양육 반려동물의 예방접종시기 혹은 연령대에 따른 사료의 종류 혹은 질병 치료 후의 사료 혹은 특정 수술 후의 재활기구와 같은 정보가 표시된다.At the same time, the consulting
이에 수의사는 표시된 컨설팅 정보를 반려인에게 전달하거나, 직접 전송받은 반려인은 컨설팅 정보에 따라 반려동물을 효과적으로 양육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eterinarian can deliver the displayed consulting information to the companion, or the companion who receives it directly can raise the companion animal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consulting informa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의사 혹은 반려인은 반려동물의 양육과 관련된 정보들을 손쉽게 제공받을 수 있는 편리함이 있으며, 전문가 자문에 의해 설정된 컨설팅 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최상의 상태로 반려동물을 양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eterinarian or companion can easil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aring of companion animals, and by using consulting information set by expert advice, it is possible to raise companion animals in the best state. There are advantages.
추가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을 이용해 수의사는 언제 어디서나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을 조회해 볼 수 있다.Additionally, by using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예를 들어, 반려인이 타지로 이사하여 해당 지역의 동물병원을 새로이 방문했을 경우를 가정하면, 우선 동물병원의 수의사는 반려인 혹은 반려동물로부터 해당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열람하기 위해 필요한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하나를 획득한다. 이에 수의사는 자신의 수의사 단말(200)에 설치된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 진료정보 관리 시스템(100) 측으로 진료정보 열람을 요청한다. 진료정보 열람 요청에는 반려동물의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가 포함된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mpanion moves to another country and visits the local veterinary hospital anew, the veterinarian at the veterinarian first needs the type of serial serial required to read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from the companion or companion animal. Obtain one of number, companion animal biometr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panion identification code. Accordingly, the veterinarian requests the viewing of medical information to the companion animal medical
진료정보 열람 요청이 있으면, 진료정보 관리부(140)는 수의사가 제공한 종별 시리얼 번호,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반려인 식별코드 중 어느 하나에 매칭되는 해시값을 해시 DB(182)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 해시값에 해당하는 암호화된 진료정보를 종별 DB(181)에서 찾아 복호화한 후 열람 요청한 수의사 단말(200)로 전송한다.When there is a request to view medical information, the medical
이에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복호화된 진료정보를 모니터상에 표시해 줌으로써, 해당 수의사는 방문한 반려인과 반려동물의 그간의 진료기록을 조회해 볼 수 있다.Accordingly, the veterinarian application program displays the decoded medical information on the monitor, so that the veterinarian can inquire the medical records of the visiting companion and companion animal.
따라서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을 네트워크상에 보관하고 정당한 권리자, 예를 들면 수의사만(경우에 따라서는 수의사와 반려인 정보의 결합 인증)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료기록지의 분실, 손상, 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음은 물론, 이전에 방문하였던 동물병원에서 내려진 진료기록을 공유하여 조회해 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tores the medical records of companion animals on the network and allows only legitimate rights holders, for example, veterinarians (in some cases, combined authentication of veterinarian and companion information) to read, so that medical records used offline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solve the problems of loss, damage, and management,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sharing and inquiring medical records from veterinary hospitals you have visited before.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서 반려동물의 진료기록을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그 저장된 암호화 진료기록을 액세스하여 볼 수 있는 보안정보들을 타 사설망 혹은 블록체인망에 분산 저장함으로써, 네트워크상에서 공유되는 반려동물의 진료정보에 대한 보안성 및 무결성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고, 반려인에 대한 개인정보는 별도로 부여된 식별코드로 표시되므로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ncrypts and stores the medical records of companion animals in some cases, and distributes and stores security information that can be viewed by accessing the stored encrypted medical records in other private networks or blockchain networks. The security and integrity of the medical information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cipient can be safely protected because it is displayed with a separately assigned identification code.
이하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활용하여 유기 혹은 분실된 반려동물의 반려인을 찾는 과정을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finding a companion of an abandoned or lost companion animal by using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4 .
우선, 반려인이 반려동물을 분실하였다고 가정하고, 분실된 반려동물을 습득한 자가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반려동물 습득사실을 알리면, 수의사는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으로 반려동물 습득신고를 한다. 참고적으로, 반려동물 습득신고 정보에는 습득된 반려동물의 소유자 즉, 반려인을 검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면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 혹은 종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다.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는 카메라 혹은 스캐너를 통해 획득 가능하며, 종별 시리얼 번호는 반려동물에 부착 혹은 착용된 액세서리에 인자된 정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First, assuming that the companion has lost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person who acquired the lost companion animal visits the veterinary hospital and informs the veterinarian of the acquisition of the companion animal, the veterinarian uses the companion animal treatment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의 반려인 정보 검색부(160)는 수의사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 혹은 종별 시리얼 번호가 포함된 반려동물 습득신고 정보가 수신되면(S31), 그 습득신고 정보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생체식별정보 혹은 종별 시리얼 번호를 이용해 반려인 정보를 검색한다(S32).When the companion animal
보다 구체적으로, 반려인 정보 검색부(160)는 수신된 반려동물 생체식별정보 혹은 종별 시리얼 번호에 매칭된 해시값을 해시 DB(182)를 검색해 추출하고, 그 추출된 해시값에 해당하는 암호화된 진료정보를 종별 DB(181)에서 찾아 복호화한다. 이어 복호화된 진료정보에서 반려인 정보 즉, 식별코드를 독출한다.More specifically, the companion
이와 같이 반려인 정보 검색부(160)에 의해 반려인의 식별코드가 검색되면, 메시지 전파부(170)는 검색된 반려인의 식별코드에 포함된 반려인 단말(300)로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를 전파하되(S33), 반려동물을 습득한 수의사의 연락처가 포함된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를 전파한다. 이때, 반려인의 식별코드가 가상 이메일로 구성되는 경우 반려동물 습득 메시지는 가상 이메일을 통하여 반려인 단말로 전파될 수 있다.As such, when the companion person's identification code is searched for by the companion person
이로써, 반려동물을 분실한 반려인은 메시지에 포함된 수의사 연락처로 연락을 취하여 해당 동물병원을 방문하고 분실한 반려동물을 찾아갈 수 있다. 이때 진정한 반려인임을 확인하기 위해 수의사는 해당 반려동물의 진료정보를 조회하여 확인할 수 있고, 진정한 반려인인 경우 수의사용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반려동물 습득신고 철회를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철회 요청은 습득 반려동물이 정상적으로 반려인에게 전달(S34)된 것을 의미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100)의 진료정보 관리부(140)에서는 해당 반려동물에 대한 습득신고내역과 철회요청내역을 기록하여 진료정보를 갱신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35).Accordingly, the companion who has lost the companion animal can contact the veterinarian's conta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essage to visit the veterinary hospital and find the lost companion animal. At this time,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veterinarian is a true companion, the veterinarian can check the medical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if it is a true companion, request the withdrawal of the companion animal acquisition report through the veterinary use application. It can be assumed that this withdrawal request means that the acquired companion animal is normally delivered to the companion (S34).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dical
만약, S34 단계에서 습득신고에 대한 철회요청이 없으면 습득된 반려동물의 반려인의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하여, 진료정보 관리부(140)는 반려동물 습득 신고를 한 수의사 단말(200)로 사후 처리, 예를 들면 동물보호센터로 인도할 것을 전달하거나 하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고(S36) 그 사실을 해당 반려동물의 진료정보에 기록 저장한다.If there is no request for withdrawal of the acquisition report in step S34, it is considered that the companion of the acquired companion animal does not appear, and the medical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such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intended to be contemplat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반려동물 진료정보 공유시스템
200 : 수의사 단말
300 : 반려인 단말
110 : 식별코드 생성부120 : 종별 시리얼번호 생성부
130 : 진료정보 등록부131 : 진료정보 암호화 등록부
132 : 해시값 분산 저장부140 : 진료정보 관리부
150 : 컨설팅 정보 추출부160 : 반려인 정보 검색부
170 : 메시지 전파부180 : DB 서버
181 : 종별 DB182 : 해시 DB
183 : 컨설팅 DB100: Companion animal treatment information sharing system
200: veterinarian terminal
300: companion terminal
110: identification code generation unit 120: type serial number generation unit
130: medical information register 131: medical information encryption register
132: hash value distributed storage unit 140: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50: Consulting information extraction unit 160: Companion person information search unit
170: message propagation unit 180: DB server
181: Type DB 182: Hash DB
183 : Consulting DB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11790AKR20210098066A (en) | 2020-01-31 | 2020-01-31 |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ompanion animal using identification cod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200011790AKR20210098066A (en) | 2020-01-31 | 2020-01-31 |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ompanion animal using identification cod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98066Atrue KR20210098066A (en) | 2021-08-10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11790ACeasedKR20210098066A (en) | 2020-01-31 | 2020-01-31 |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ompanion animal using identification code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98066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27701B1 (en)* | 2022-09-08 | 2023-04-28 | 문시훈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database of companion animal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527701B1 (en)* | 2022-09-08 | 2023-04-28 | 문시훈 |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database of companion animals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1636477B2 (en) | Data usage method, system, and program thereof employing blockchain network (BCN) | |
| AU2005237612A1 (en) | Internet based animal tracking information system | |
| US20220125022A1 (en) | Universal animal records platform | |
| JP2015208234A (en) | Animal individual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 |
| KR102394031B1 (en)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pet using e-mail | |
| KR20220101325A (en) | Companion animal medical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ock chain | |
| KR102186174B1 (en) | System for sharing medical records of a companion animal | |
| Avgan et al. | Do recent leopard Panthera pardus records from northern Iraq and south-eastern Turkey reveal an unknown population nucleus in the region? | |
| KR102280058B1 (en) | Dog comprehensive service center operation system that uses dog information protected by dog owner management authority | |
| Caney et al. | Veterinary surgeons’, veterinary nurses’ and owners’ experiences of feline telemedicine consultations during the 2020 COVID‐19 pandemic | |
| Leme et al. | Secure cattle stock infrastructure for the Internet of Things using blockchain | |
| US20210294908A1 (en) | Sharing system of veterinary information for pets using identification code | |
| JP2009110421A (en) |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 |
| KR20070081610A (en) | Integrated pe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 KR10133326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t items servies | |
| KR20210098066A (en) | Medical information sharing system of companion animal using identification code | |
| Oliva et al. | Are Patagonia grasslands being overgrazed? A response to Marino et al.(2020) | |
| KR20210098065A (en)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of companion animal using virtual e-mail | |
| KR20220094930A (en) | Blockchain-based pet protection history management system | |
| KR100982810B1 (en) | History / Quality Management and Customized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nd System of Animals and Related By-products Using Online Central Database | |
| CA2568439A1 (en) | Internet based animal registration system | |
| KR102709275B1 (en) | Distributed storage method of medical information of pet | |
| KR20240080512A (en) | Method of managing medical information and apparatus thereof | |
| McDonald et al. | Communicating biosecurity information to Australian‐registered veterinarians | |
| Powell et al. | Assessing veterinarians’ opinions of antimicrobial stewardship initiative acceptability for farm practice in Wal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20013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825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20211110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210825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