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10065436A - 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 Google Patents

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436A
KR20210065436AKR1020190154158AKR20190154158AKR20210065436AKR 20210065436 AKR20210065436 AKR 20210065436AKR 1020190154158 AKR1020190154158 AKR 1020190154158AKR 20190154158 AKR20190154158 AKR 20190154158AKR 20210065436 AKR20210065436 AKR 20210065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formation
information confirmation
sole
foot
attach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98744B1 (en
Inventor
우성택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우성택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택, 최성호filedCritical우성택
Priority to KR1020190154158ApriorityCriticalpatent/KR102398744B1/en
Publication of KR20210065436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10065436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744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398744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quipment for checking a sole pressure information for body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Specifically,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are formed wherein by being attached to a bottom of a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that forms a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the invention is capable of being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and a position moved so that a person wearing the shoe can feel a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or exercising.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of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기본적인 자세교정을 위해 발에 착용하는 신발 속의 깔창이나 양말 속에 장착되거나 자신의 엄지발가락에 직접 착용하여 자신이 서 있을 때의 자세 및 보행시 자세에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이 서 있는 자세 및 보행이나 운동시 자신의 자세를 확인하여 교정하거나 또는 운동능력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정보 확인장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hecking plantar pressure information for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of the human body,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ounted in an insole or a sock in a shoe worn on the foot for basic posture correction of a person or attached to one's big toe. It is used to check and correct a person's standing posture and one's own posture during walking or exercise by directly wearing it t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in the posture when standing and when walking. It is about a device for checking information on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that can help.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제각기 다른 신체골격을 가지고 태어나게 되며, 사람의 신체골격은 자라면서 자신의 행동 습관 등에 의하여 조금씩 변하게 되고, 그 변화는 자신이 교정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신체 골격이 정상인 것으로 믿고 있다.In general, people are born with different bodily skeletons, and as they grow up, their bodily skeletons change little by little, depending on their behavioral habits, etc., and the changes can be corrected by themselves, but most people have a normal skeleton of their own. believe that

그렇지만, 일부의 사람들은 신체골격이 정상인 사람과 조금 다른 골격을 가지고 있다. 그 일례로서, 0자형 휜다리가 있다. 이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칭, 근육강화운동, 세라밴드운동, 요가 등을 통한 방법이 있는바, 이러한 방법들은 대부분 허벅지나 종아리 안쪽 근육을 강화하여 바깥쪽 근육과 안쪽 근육이 대칭을 이루도록 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However, some people have a slightly different skeleton from a normal person. As an example, there is a 0-shaped hinge. To correct this, there are methods such as stretching,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thera band exercise, and yoga. Most of these methods are based on strengthening the inner thigh or calf muscles so that the outer and inner muscles are symmetrical. have.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키나 테니스 등의 운동시 해당 운동에서 요구되는 특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에 대한 자세 확인을 원하고 있지만 그렇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most people want to check whether they are taking a specific posture required for the exercise, such as skiing or tennis, but they are not.

상기와 같이 0자형 휜다리를 교정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도 꾸준히 0자형 휜다리를 교정할 수 있는 기구, 장치 등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또한 운동하는 사람들은 운동시 자신이 해당 종목에 알맞는 자세를 취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그 자세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 내지 장치 등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ose who want to correct the flexure of the figure 0 need instruments and devices that can continuously correct the flexion of the figure of 0 even in busy daily life. There is a need for a mechanism or a device that can confirm information about the posture with respect to whether the person is taking it.

등록특허공보 제10-1091599호(2011. 12. 13.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091599 (2011. 12. 13. Announcement)등록특허공보 제10-1246874호(2013. 03. 25.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46874 (2013. 03. 25.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람이 발에 신는 운동화, 특수화 등의 신발 속에 장착되는 깔창에 장착되거나 또는 자신이 발에 신는 양말 속에 장착되어 사람의 서 있는 자세 및 보행시 또는 운동시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그 교정 정보를 자신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람의 엄지발가락에 착용하여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appearing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mounted on an insole that is installed in shoes such as sneakers or special shoes worn by a person, or is mounted in a socks worn on the person's feet. Not only can you correct your posture and posture when walking or exercising, you can check the correction information yourself, and you can also check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to correct the posture by wearing it on a person's big toe. It was inven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 plantar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device that allow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pursuing the above object,

신발깔창의 하부창을 형성하는 벨크로 부직포층의 저부에 부착되어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 부직포층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forming the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so that the person wearing the shoe can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or exercising.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possibl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are formed.

또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 각각은 신발깔창의 하부창을 형성하는 벨크로 부직포층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벨트로 후크고리층과 상기 벨크로 후크고리층의 저부에 고정 부착되는 완충부재의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s a belt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forming the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and has a structure of a hook ring layer and a buffer member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hook ring lay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은 발바닥의 새끼발가락에 근접한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 발바닥의 앞꿈치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 발바닥의 아치부위 바깥쪽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 발바닥의 뒷꿈치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nclude a first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a portion close to the little toe of the sole, a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forefoot of the sole, and arch of the s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a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site and a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heel portion of the sole are formed.

또한, 신발깔창의 하부창을 형성하는 벨크로 후크고리층의 저부에 부착되어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 후크고리층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과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을 덮어주도록 상기 하부창의 벨크로 후크고리층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벨트로 부직포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덮개창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hook ring layer that forms the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so that the person wearing the shoe can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or exercising. A belt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hook ring layer of the lower window to cover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and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attached so as to include a lower cover window in which a nonwoven fabric layer is formed. characterized.

또한, 양말의 바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밀착 부착되는 복수의 고무자석과, 양말의 바닥 안쪽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고무자석의 자력에 의해 양말 바닥 안쪽에 밀착 부착되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ubber magnets closely attach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 and a click sound that is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rubber magnet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inside the bottom of the s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on which a magnetic steel plate is formed.

또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은 양말 바닥 바깥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무자석 각각의 자력에 의해 양말 바닥 안쪽에 밀착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과,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을 받쳐주는 받침부재와,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과 받침부재를 감싸주는 피복부재가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nclude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and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that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ock bottom by the magnetic force of each of a plurality of rubber magnets located outside the bottom of the soc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cladding member,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the click sound, and a covering member surrounding the support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 각각에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은 고무자석판에 대하여 반대방향을 향해 돔(dome) 형상을 이루도록 탄력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which is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s configured to protrude elastically and convexly to form a dome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ubber magnetic plate.

또한,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사람의 엄지발가락이 끼워지는 발가락 삽입밴드와, 상기 발가락 삽입밴드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앞꿈치부위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oe insertion band into which a person's big toe is fitted so that a person wearing shoes can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or walking and exercising, and the toe insertion band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본 발명은 운동화, 특수화 등의 신발 속에 장착되는 신발깔창의 저부에 착탈 및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양말에 착탈 및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발바닥 위치에 설치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이 서 있을 때와 보행할 때 및 운동할 때에 따라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선 자세 와 보행 자세 등을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사용자는 테니스를 하거나 또는 스키를 탈 때 등과 같이 특정 운동을 수행할 때 올바른 자세를 제대로 취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특정 자세에 대해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and remov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a shoe insole that is mounted in shoes such as sports shoes and special shoes, or is detachably and removably mounted on a sock, so that the user can install it at the desired position of the sole of the foot, and the user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and exercising,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orrect his or her standing and walking posture. It has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correct a specific posture by allowing the user to check the information on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as to whether the correct posture is being taken when performing a specific exercise, such as when playing sports or ski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신발깔창의 평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설치된 신발깔창의 분리 상태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내지 (라)도시는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의 설치상태 및 위치 이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설치되는 신발깔창의 분리 상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설치된 신발깔창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을 착탈 및 위치 이동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하부 덮개창을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의 (가)(나)(다)도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으로 클릭음을 발생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을 양말에 장착한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을 발가락에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착용상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 shoe insole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shoe insole installed with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5 (A) to (D) are plan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and positional movement state of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first embodiment,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ed state of the shoe insole in which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hoe insole installed with a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lower cover window is removed to show the operating state of detaching and moving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 (B) (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generating a click sound with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socks.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wearing state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toe.

본 발명에 의한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버튼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lantar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for correcting the posture of the human body and enhancing the exercise 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부호 1,2,3,4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 각각은 신발깔창(5a,5b)에 장착되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발바닥의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은 양말에 장착되어 발바닥에 가해지는 촉감과 함께 "딸각"하는 클릭음을 청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고, 상기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4)은 엄지발가락에 끼워주는 방법으로 착용하여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Reference numerals 1, 2, 3 and 4 denot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and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 and 2 of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respectively, areshoe insoles 5a and 5b. ) and configured to confirm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by the touch of the sole,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is mounted on the socks and "click" with the touch applied to the sole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click sound can be confirmed aurally, and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of the fourth embodiment is worn by inserting it into the big toe so tha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can be checked by tactile sense.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 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3) 각각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촉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부착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 2, and 3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s configured to have a different size according to an attachment position that allows the user to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이 장착되는 신발깔창(5a)(5b)은 상부창(51)과 중간창(52) 및 하부창(53)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창(53)은 벨크로 태이프를 구성하는 부직포층 및 후크고리층 중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 각각의 구성과 함께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은 양말(6)에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4)은 사용자 자신의 엄지발가락(7)에 착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shoe insoles 5a and 5b in which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 and 2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mounted are composed of anupper window 51 , a middle sole 52 and alower window 53 . In addition, thelower window 53 is formed of any one of a nonwoven fabric layer and a hook ring layer constituting the Velcro tape. For a specific configura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 1,2)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and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sock 6, and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of the four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worn on the user's own big toe (7).

먼저,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은 신발깔창(5a)의 하부창(53)이 벨크로 부직포층(53a)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이에 착탈이 가능한 벨크로 후크고리층(11)과, 실리콘 재질로 된 완충재(13)로 구성되어 있다.(도 3 참조)When thelower sole 53 of theshoe insole 5a is made of a Velcrononwoven fabric layer 53a,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of the first embodiment is a velcrohook ring layer 11 that is detachable thereto, and a silicone It is composed of acushioning material 13 made of a material (see Fig. 3).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은 신발깔창(5a)의 하부창(53)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으로 구분되도록 도 2의 도시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first to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 It has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 to be divided into 1b), 1c, and 1d.

도 2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상기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1a)은 가장 작은 소형 크기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새끼발가락이 위치하는 부위에 근접한 곳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1a)보다 조금 큰 중간 크기로 형성되는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1b)은 발바닥의 엄지발가락에 근접해 있는 앞꿈치부위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발바닥의 아치부위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1c)은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1b)보다 큰 대형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발바닥의 뒷꿈치부위에 부착되는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d) 역시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1c)과 같은 크기의 대형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2, the first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a is formed in the smallest compact size and is attached to a place close to the part where the little toe of the sole is located, and the first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a The secon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b, which is formed in a medium size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1a), is attached to the forefoot, which is close to the big toe of the sole. And the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c) located outside the arch part of the sole is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b), and the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attached to the heel part of the sole (1d) is also formed in a large size of the same size as the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c).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 각각은 신발깔창(5a)의 하부창(53)을 형성하는 벨크로 부직포층(53a)에 벨크로 후크고리층(11)이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이므로, 사용자 임의로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 각각의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도 5 참조)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1c, and 1d constituting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of the first embodiment is the lower sole 53 of theshoe insole 5a. Since the Velcrohook ring layer 11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nonwoven fabric layer 53a forming a, the user arbitrarily selects the first to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1c) (1d) Each attachment position can be adjusted (see Fig. 5).

다음,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신발깔창(5b)의 하부창(53)이 벨크로 후크고리층(53b)으로 구성되었을 경우, 이에 착탈이 가능한 벨크로 부직포층(12)과, 실리콘 재질로 된 완충재(13)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은 신발깔창(5b)의 하부창(53)을 형성하는 벨크로 후크고리층(53b)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부직포층(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덮개창(54)에 의해 은폐되도록 구성된다.(도 7 참조)As shown in FIGS. 6 to 8,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is, when thelower sole 53 of theshoe insole 5b is composed of a Velcrohook ring layer 53b, this It is composed of a detachabl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12 and acushioning material 13 made of a silicone material, and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is thelower sole 53 of theshoe insole 5b. It is configured to be concealed by thelower cover window 54 in which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symbol omitted) is formed so as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hook ring layer 53b to form. (See FIG. 7)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은 신발깔창(5a)의 하부창(53)에 부착되는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으로 구분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first to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divided into 2b) and 2c.

도 6의 도시를 기준하여 볼 때, 상기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2a)은 가장 작은 소형 크기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앞꿈치부위 부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2b)은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2a)보다 큰 대형 크기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아치부위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c)은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1b)와 같은 대형 크기로 형성되어 발바닥의 뒷꿈치부위에 부착되어 있다.6,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a) is formed in the smallest compact size and is attached to the heel region of the sole, and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b) is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b). 1 It is formed in a larger size than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a) and is attached to be located outside the arch part of the sole, and the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c) has the same large size as the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b). It is formed in size and is attached to the heel part of the sole of the foot.

또한 상기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 각각은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신발깔창(5b)의 하부 덮개창(54)을 하부창(52)에서 분리시킨 다음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을 상기 하부창(53)의 벨크로 후트고리층(53b)에서 떼었다 붙이는 방법으로 부착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도 8 참조)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2b, and 2c constituting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can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That is, after separating thelower cover window 54 of theshoe insole 5b from thelower window 52,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2b, and 2c are pressed into thelower window 53. ), the attachment position can be adjusted by detaching and attaching it from the velcrohook ring layer 53b (see FIG. 8).

다음,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크기에 따라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으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의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은 양말(6)의 바닥 안쪽에 위치하여 양말(6)의 바닥 바깥쪽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하는 복수의 고무자석(30)에 자력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0 참조)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is divided into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according to the size as shown in FIG. 9, and the third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of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embodiment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of thesock 6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sock 6 It is configured to be magnetically attached to a plurality ofrubber magnets 30 positioned in the state. (See FIG. 10)

이를 위해,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은 자성강판 재질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과,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을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받침부재(32)와,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과 받침부재(32)를 감싸주는 실리콘 재질의 피복부재(33)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은 상기 양말(6)의 바닥 바깥쪽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하는 복수의 고무자석(30) 각각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이 부착되는 작용으로 양말(6) 바닥의 안쪽에 고정되는 상태로 부착된다.(도 10 참조)To this e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constituting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generates a click sound formed of a magnetic steel plate material.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the click sound, theplastic support member 32 for supporting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the click sound, and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the click sound generation and thesupport member 32 It is composed of asilicone covering member 33, etc., and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is positioned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sock 6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each of the plurality ofrubber magnets 30,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a clicking sound is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sock 6 bottom in a state of being fixed (see FIG. 10).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 각각은 자체 탄력에 의해 "딸각"하는 클릭음을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고무자석(30)의 반대방향으로 향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도록 돔(dome)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돔 형상으로 형성된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은 양말(6)을 착용한 사용자가 서 있거나 보행 및 운동할 때 발바닥으로 눌러주는 가압작용과 이를 해제하는 작용을 반복하게 될 때마다 탄력적으로 "딸각"하는 클릭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magnetic steel plates 31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formed 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can generate a clicking sound “clicking” by its own elasticity. Therubber magnet 30 is formed in a dome shape so as to protrude convexly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formed in the dome shape as described above is a user wearing asock 6 .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a click sound that elastically “clicks” whenever the pressing action of pressing with the sole of the foot and releasing action are repeated when standing or walking and exercising.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부재(32)에는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이 탄력적으로 압착 및 복원되는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중심공(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복부재(33)은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과 받침부재(32)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복부재(33)는 양말(6)을 신는 사용자의 발바닥이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발바닥의 피부에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위생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the click sound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restored to thesupport member 32 formed 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A central hole (32a) is formed to form a space that makes it smooth, and the covering member (33) is configured to fix the 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a clicking sound and the support member (32), The coveringmember 33 is made of a sanitary silicone material that allows the user's soles of thesocks 6 to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kin of the soles can feel soft.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은 제1 및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과 같이 양말에 착탈 및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nd removably attached to the socks like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 and 2 of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즉,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은 양말(6)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들 중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3a)을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양말(6)의 앞꿈치부위 바닥 바깥쪽에 하나의 고무자석(30)을 밀착시키는 상태로 위치시킨 다음, 양말(6)의 안쪽에 장착되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들 중 상기 압력정보 확인버튼(3a)을 양말(6)의 안쪽 앞꿈치부위에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고무자석(30)의 자력에 의해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3a)의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이 부착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이 양말(6)의 바닥 안쪽 앞꿈치부위에 장착되는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3a)은 양말(6)의 바닥 바깥쪽 앞꿈치부위에 위치하는 고무자석(3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That is,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is a first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among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to be mounted on thesock 6 . When (3a) is to be installed, first, onerubber magnet 30 is placed on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heel of thesock 6 in a state in which it is in close contact, and then the first to third one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sock 6 . Among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forefoot of thesock 6 by the magnetic force of therubber magnet 30 located outside. The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of the first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a is attached, and as such, the first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a mounted on the inner heel part of the bottom of thesock 6 is It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attached and fixed by the magnetic force of therubber magnet 30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heel of thesock 6 .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양말(6)의 바닥 안쪽에 장착되는 제2 및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b)(3c)을 양말(6)의 바닥 바깥쪽에 밀착되는 상태로 위치 조정된 복수의 고무자석(30) 각각의 안쪽에 위치시키게 되면 상기 복수의 고무자석(30) 각각의 자력으로 상기 제2 및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b)(3c)을 부착시킬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rubber magnets positioned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b and 3c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ttom of thesock 6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sock 6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30) When positioned inside each of the plurality ofrubber magnets 30, it is possible to attach the second and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b and 3c by magnetic force of each.

마지막으로, 상기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4)은 도 11 및 도 12의 도시와 같이 사람의 엄지발가락에 직접 끼워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서 있거나 또는 보행 및 운동을 할 때 엄지발가락 및 앞꿈치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정보를 촉감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inally,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of the fourth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fitted directly to a person's big toe, as shown in FIGS. 11 and 12, so that when the user is standing or walking and exercising, the big toe And it is configured to check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orefoot by tactile sense.

상기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4)은 유연한 재질(실리콘 등)을 소재로 하여 제조되며, 사용자의 엄지발가락을 삽입시킬 수 있는 엄지삽입고리부(41)와 엄지발가락에서부터 앞꿈치부위를 받쳐주는 받침부(42)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도 12 참조)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of the fourth embodiment is manufactured by using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 and supports thethumb insertion ring 41 into which the user's big toe can be inserted and the forefoot from the big toe. The main bod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support part 42 is integrally formed. (See FIG. 12)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과 같이 신발깔창에 장착되는 각 실시예와 제3 실시예와 같이 양말(6)에 장착되는 실시예 및 발가락에 직접 착용하는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4) 각각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Each embodiment mounted on the shoe insole like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2) of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configured in this way, and the embodiment mounted on the sock (6) as in the third embodiment and to the toe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4 of the fourth embodiment directly worn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of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제1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은 신발깔창(5a) 저부의 복수 곳에 하나씩 부착되는데,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 각각은 신발깔창(5a)의 하부창(53)에 부착하였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서 있거나 보행 및 운동할 때 발바닥의 새끼발가락에 근접한 부위, 앞꿈치부위, 아치부위 바깥쪽 부위 및 뒷꿈치부위 각각을 압박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체중에 의하여 자신의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압력정보를 촉감을 통해 느낄 수 있게 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으로부터 전달되는 촉감으로부터 압력정보에 대한 세기를 느낄 수 있게 된다.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of the first embodiment is attached one by one to a plurality of places at the bottom of theshoe insole 5a, and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first to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 (1c) and (1d), when attached to thelower sole 53 of theshoe insole 5a, the part close to the little toe of the sole of the foot, the forefoot part, and the part outside the arch part when the user is standing or walking and exercising And since each heel region is pressed, the user can feel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ole of his/her foot by the weight through tactile sense, and at this time, the user can feel the first to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 1c) It is possible to feel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information from the sense of touch transmitted from (1d).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서 있는 자세 및 보행시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서 있는 자세가 무릎이 벌어지는 0자형 휜다리인 것을 인식하고 있을 경우, 이를 교정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의 (다)도시와 같이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1b)은 신발깔창(5a)의 하부창(35)에서 떼어낸 상태에서 제1 및 제3,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c)(1d)을 발바닥의 바깥쪽 부위에 일직선을 이루도록 부착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두 다리가 서 있는 상태에서 안쪽으로 힘이 가해지는 상태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교정함으로써 서 있을 때 무릎이 벌어지는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user can correct his or her standing posture and posture when walking. For example, when the user recognizes that his or her standing posture is a 0-shaped bent leg with the knee widened, and wants to correct this, the secon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b as shown in FIG. In a method of attaching the first, third, and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c, and 1d to the outside of the sole of the foot in a straight line in a state removed from the lower sole 35 of theinsole 5a. By continuously correcting one's two legs so that the force is applied inward from a standing state,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ture in which the knee is opened while standing.

또한 사용자는 보행할 때 및 운동할 때 신발깔창(5a)에 부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를 통해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압력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의 부착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일부를 떼어내는 방법으로 자신의 보행시 및 운동시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도 5 참조)In addition, the user checks the pressur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through the first to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1c, and 1d attached to theshoe insole 5a when walking or exercising. Then, by adjusting the attachment positions of the first to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1c, and 1d, or by removing a part, the user can correct his/her posture during walking and exercise. (see Fig. 5)

다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action of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6 to 8 will be described.

상기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2)은 신발깔창(5b)의 하부창(53)에 부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의 부착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상기 하부창(53)에 부착된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를 은폐시키고 있는 하부 덮개창(54)을 도 8 도시와 같이 하부창(53)에서 분리시키고, 이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을 하부창(53)에 떼었다가 다시 붙이는 방법으로 부착 위치를 조정하거나 또는 일부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은 떼어내고 일부만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따라 보행시 및 운동시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 of the second embodiment determines the attachment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2b, and 2c attached to thelower sole 53 of theshoe insole 5b. When adjusting, first, thelower cover window 54 hiding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2b, and 2c attached to thelower window 53 is lowered as shown in FIG. 8 . After separating from thewindow 53,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2b, and 2c are removed and reattached to thelower window 53 to adjust the attachment position, or to adjust the pressure of some By removing th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and attaching only a part, the user can correct his/her posture during walking and exercising according to his/her physical condition.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은 양말(6)의 바닥 바깥쪽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키는 복수의 고무자석(30)에서 발생하는 자력으로 양말(6)의 바닥 안쪽에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의 부착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shown in FIG. 9 is located inside the bottom of thesock 6 with magnetic force generated by a plurality ofrubber magnets 30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sock 6 .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can be attached, and the attachment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can be adjusted. can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3a)(3b)(3c) 각각은 사용자가 서 있거나 보행 및 운동시 발바닥으로 압력을 가하는 작용과 압력을 해제하는 작용이 반복될 때마다 돔형상의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31)이 도 9의 (가)(나)(다)에 도시된 가상선부분과 같이 하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눌림되었다가 원상복귀될 때마다 "딸각"하는 클릭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발바닥으로 전해지는 압력의 세기에 따른 압력정보와 함께 상기 클릭음 발생금속판(33)에서 발생하는 "딸각"하는 클릭음을 듣고, 자신의 선 자세와 보행 및 운동할 때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3a, 3b, and 3c constituting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applies pressure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the user is standing or walking and exercising. Whenever the action of releasing the overpressure was repeated, the dome-shapedmagnetic steel plate 31 for generating a clicking sound was elastically pressed downward as shown in the imaginary line portion shown in (A) (B) (C) of FIG. Every time i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a "click" click sound is generated, so the user hears a "click" click sound generated from the click sound generatingmetal plate 33 together with pressur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transmitted to the sole of the foot. , it is possible to correct one's standing posture and posture when walking and exercising.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4)의 경우 사용자는 엄지삽입고리부(41)를 자신의 엄지발가락에 끼워주는 방법으로 상기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4)을 엄지발가락에 직접 착용하게 되며, 이렇게 엄지발가락에 착용되는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4)의 받침부(42)가 엄지발가락과 앞꿈치부위를 받쳐주게 되므로 사용자는 서 있을 때는 물론이고 보행시 및 운동시 엄지발가락과 앞꿈치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자신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And, in the case of the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shown in FIGS. 11 and 12, the user inserts the thumbinsertion ring part 41 into his or her big toe, and the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 is directly worn on the big toe, and since thesupport part 42 of the fourth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worn on the big toe supports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the user is not only standing up, but also walking. And it is possible to correct one's posture by checking the strength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during exercis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신이 신은 신발(운동화, 특수화 포함)의 신발깔창에 장착되어 있는 제1 내지 제2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 및 양말(6)에 장착되는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3)을 통해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촉감 및 청각으로 느낄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1)(2)(3)을 구성하는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1a,1b,1c,1d) 및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2a,2b,2c)(3a,3b,3c) 각각의 부착위치를 자신이 원하는 발바닥에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방법으로 신발을 착용하거나 양말(6)을 착용한 상태에서 서 있을 때 또는 보행할 때의 자세를 지속적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스키, 테니스 등의 운동을 할 때에도 자신의 자세가 올바른지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자세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에는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1)(2)(3) 각각의 부착위치를 조절하는 방법으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uses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2) of the first to second embodiments mounted on the shoe insole of the shoe (including sports shoes and special shoes) worn by the user and the second device mounted on the sock (6).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 (2) (3)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is configured because the intensity o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can be sensed by tactile and auditory sense through th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3) of the third embodiment. The first to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1a, 1b, 1c, 1d) and the first to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2a, 2b, 2c) (3a, 3b, 3c) By adjusting it to be positioned on the desired sole, it has the effect of continuously correcting the posture when standing or walking while wearing shoes or socks (6). Also, exercise such as skiing, tennis, etc. Since you can recognize whether your posture is correct even when you do this, if your posture is incorrect, you can correct your posture by adjusting the attachment positions of the first to third pressure information check buttons (1), (2) and (3). has the effect of making it possible.

그리고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 버튼(4)은 엄지삽입고리부(41)를 사용자 자신의 엄지발가락에 끼워주는 방법으로 장착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서 있을 때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이 발바닥의 엄지발가락과 앞꿈치부위에 제대로 가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nd since the pressure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4 of the fourth embodiment is installed and used by inserting the thumbinsertion ring part 41 into the user's own big toe, the user can use thebutton 4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or exercising. It has the effect of checking whether the pressure is properly applied to the big toe and forefoot of the sole of the foot.

1,2,3,4 :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압력정보 확인버튼
1a∼1d : 제1 내지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
2a∼2c,3a∼3c : 제1 내지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
11 : 벨크로 후크고리층 12 : 벨크로 부직포층
13 : 완충재 30 : 고무사석
31 :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 32 : 받침부재
33 : 피복부재 41 : 엄지삽입고리부
42 : 받침부 5a,5b : 신발깔창
51 : 상부창 52 : 중간창
53 : 하부창 53a : 벨크로 부직포층
53b : 벨크로 후크고리층 6 : 양말
1,2,3,4: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1a to 1d: 1st to 4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2a~2c, 3a~3c: 1st to 3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11: Velcro hook ring layer 12: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13: cushioning material 30: rubber stone
31: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click sound 32: support member
33: covering member 41: thumb insert ring portion
42:support part 5a, 5b: shoe insole
51: upper window 52: middle window
53:lower window 53a: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53b: Velcro hook ring layer 6: socks

Claims (8)

Translated fromKorean
신발깔창의 하부창을 형성하는 벨크로 부직포층의 저부에 부착되어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 부직포층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한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forming the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nonwoven fabric layer so that the person wearing the shoe can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or exercising. Foot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plurality of possible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 각각은 신발깔창의 하부창을 형성하는 벨크로 부직포층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벨트로 후크고리층과 상기 벨크로 후크고리층의 저부에 고정 부착되는 완충부재의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The method of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s a belt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lcro nonwoven layer forming the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and is composed of a hook ring layer and a buffer member fixed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hook ring layer. A device for checking foot pressure information for body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은 발바닥의 새끼발가락에 근접한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1 압력정보 확인버튼, 발바닥의 앞꿈치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압력정보 확인버튼, 발바닥의 아치부위 바깥쪽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3 압력정보 확인버튼, 발바닥의 뒷꿈치부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제4 압력정보 확인버튼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The method of claim 1,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nclude a first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a portion close to the little toe of the sole, a secon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forefoot of the sole, and outside the arch of the sole A third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ody and a fourth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heel of the sole are formed. Foot pressure information check equipment.
신발깔창의 하부창을 형성하는 벨크로 후크고리층의 저부에 부착되어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상기 벨크로 후크고리층에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과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을 덮어주도록 상기 하부창의 벨크로 후크고리층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벨트로 부직포층이 형성되어 있는 하부 덮개창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It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hook ring layer forming the lower sole of the shoe insole so that the person wearing the shoe can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walking, or exercising. A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and a belt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Velcro hook ring layer of the lower window so as to cover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cover window in which a nonwoven fabric layer is formed. Foot pressure information checking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of the human body.
양말의 바닥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밀착 부착되는 복수의 고무자석과, 양말의 바닥 안쪽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고무자석의 자력에 의해 양말 바닥 안쪽에 밀착 부착되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이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A plurality of rubber magnets closely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s, and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that are closely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bottom of the socks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rubber magnets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inside the bottom of the socks Foot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that are form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은 양말 바닥 바깥쪽에 위치하는 복수의 고무자석 각각의 자력에 의해 양말 바닥 안쪽에 밀착되는 상태로 부착되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과,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을 받쳐주는 받침부재와, 상기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과 받침부재를 감싸주는 피복부재가 각각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support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and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which ar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sock in a state of close contact with the magnetic force of each of a plurality of rubber magnets located outside the bottom of the sock. Foot pressure information checking equipment for body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reinforc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ing member, a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click sound, and a covering member surrounding the supporting member are combined one by on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력정보 확인버튼 각각에 하나씩 결합되어 있는 클릭음발생용 자성강판은 고무자석판에 대하여 반대방향을 향해 돔(dome) 형상을 이루도록 탄력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gnetic steel plate for generating a click sound coupl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buttons is configured to protrude elastically and convexly to form a dome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rubber magnetic plate. Foot pressure information checking equipment for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신발을 신은 사람이 서 있거나 보행시 및 운동시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을 느낄 수 있도록 사람의 엄지발가락이 끼워지는 발가락 삽입밴드와, 상기 발가락 삽입밴드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어 엄지발가락과 앞꿈치부위를 받쳐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의 자세교정 및 운동능력강화를 위한 발바닥 압력정보 확인장비.
A toe insertion band in which a person's big toe is fitted so that a person wearing shoes can feel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ole of the foot when standing or walking and exercising, and the toe insertion band are integrally formed to support the big toe and the forefoot Plantar pressure information confirm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exercise ability enhance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give.
KR1020190154158A2019-11-272019-11-27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ActiveKR1023987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90154158AKR102398744B1 (en)2019-11-272019-11-27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90154158AKR102398744B1 (en)2019-11-272019-11-27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10065436Atrue KR20210065436A (en)2021-06-04
KR102398744B1 KR102398744B1 (en)2022-05-17

Family

ID=763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90154158AActiveKR102398744B1 (en)2019-11-272019-11-27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398744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50122205A (en)*2003-03-062005-12-28애퍼런트 코퍼레이션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human balance and gait and preventing foot injury
KR101091599B1 (en)2010-01-152011-12-13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ysical exercis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KR101246874B1 (en)2008-09-292013-03-25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Exc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eft/right side excercise information of user body
JP2013212343A (en)*2012-04-022013-10-17Momix Japan:KkDome spring, dome spring switching, and foot pressure feedback system
KR20130141751A (en)*2012-06-182013-12-27임성용Shoes insole with arch support pad
KR20180013027A (en)*2016-07-282018-02-07주식회사 참좋은행복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toe corrector and toe correcto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20050122205A (en)*2003-03-062005-12-28애퍼런트 코퍼레이션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human balance and gait and preventing foot injury
KR101246874B1 (en)2008-09-292013-03-25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Exc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left/right side excercise information of user body
KR101091599B1 (en)2010-01-152011-12-13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hysical exercis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JP2013212343A (en)*2012-04-022013-10-17Momix Japan:KkDome spring, dome spring switching, and foot pressure feedback system
KR20130141751A (en)*2012-06-182013-12-27임성용Shoes insole with arch support pad
KR20180013027A (en)*2016-07-282018-02-07주식회사 참좋은행복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toe corrector and toe corrector manufacture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398744B1 (en)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US10595749B1 (en)Insole to aid in gait stability
KR101998706B1 (en)Health shoes
WO2011059045A1 (en)Footwear insole and footwear for preventing or treating flat-foot, reducing weight and/or training plantar muscle or enhancing leg muscle strength
KR100960562B1 (en)Functional shoes insole providing kinesis to metatarsals
KR20170003879U (en)Socks with ballansing pads
KR102398744B1 (en)Sole pressure information verification equipment for posture correction and athletic enhancement
JP2020103572A (en)Insole and footwear
JP3195381U (en) Sandal board and sandals
JP4878703B2 (en) Insoles for infants and shoes for infants
JP6321093B2 (en) Toe pad
KR200442354Y1 (en) Muscle Ligament Protector with Gait Assist
KR100867845B1 (en) Walking aid shoes
WO2016037879A1 (en)Size-adjustable sensor shoes
JP2003135557A (en)Pressure point stimulating health apparatus for footwear
JP7715332B1 (en) footwear
JP2006193844A (en)Health promoting sock
CN220477793U (en)Flexible ankle support stretching device
JP3200517U (en) Acupuncture orthoses and socks
JP7576893B1 (en) insole
JP2000296003A (en)Shoes with toe exercise tool
WO2019195912A1 (en)Supportive footwear with an adjustable medial arch support
KR200465099Y1 (en)Gait assistance device for a hemiplegia
CN209983569U (en)Multifunctional rehabilitation shoe for lower limb joint training
JP3225904U (en) Knee-back stretch sandals
JP3063360U (en) Walking aid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91127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E902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429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Amendment
E601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20211225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E06012S01D

Patent event date:20210429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PE06011S01I

X091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Amendment
PX0901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PX09011S01I

Patent event date:20211225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9012R01I

Patent event date:20210813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20220211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PX07013S01D

Patent event date:20220126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Patent event date:20211225

Comment text: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PX07011S01I

Patent event date:20210813

Comment text: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PX07012R01I

X701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2051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2022051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