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거치대에서 생성된 다양한 주행정보를 복수개의 스마트폰이 이벤트 및 센서 정보로 인공지능이 탑재된 서버에 제공하고, 서버는 이를 빅데이터화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과 도로 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추출하여 운전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phone cradle for automobiles, and in detail, a plurality of smartphones provides various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radle to a server equipp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s event and sensor information, and the server Relates to a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capable of providing driving guide information by converting this into big data and extracting a driver's driving pattern and traffic condition pattern for each road section.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들의 편의와 안전을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추가되어왔다. 대표적으로는 장거리 운전이나 야간 주행시 운전자 자신도 모르게 찾아오는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졸음 방지장치, 차선 이탈을 경고하는 차선이탈 경고 장치, 전방 추돌 경고 장치, 차간거리 모니터링 장치, 환기장치, 스마트폰의 충전과 통신을 위한 회로 및 어플리케이션, 거치대 등등이 제안되어 왔다.In general, automobiles have been added with various devices for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drivers. Typically, a drowsiness prevention device to prevent drowsiness that the driver does not know when driving long distances or night driving, lane departure warning device to warn of lane departure, front collision warning device, distance monitoring device, ventilation device, charging of smartphone Circuits and applications, cradles, and the like have been proposed for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하지만, 위와 같은 다양한 편의장치들은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구현됨에 따라 운전자가 별도로 구매해야 되었고, 특히 다양한 편의시설들이 중구난방식으로 추가됨에 따라 자동차 내의 공간 활용에 대한 제약이 발생되었다.However, as the above various convenience devices were implemented as independent devices, the driver had to purchase separately, and in particular, as various convenience facilities were added in a medium rescue method, restrictions on space utilization in the vehicle occurred.
즉, 종래에는 다양한 편의장치를 통합하여 일괄 구매할 수 있고, 차내의 좁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통합된 편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at is,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need for an integrated convenience device capable of integrating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nd purchasing them at once and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a narrow space in a vehicle.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운전 중 실내 공기의 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환기를 유도할 수 있는 졸음 운전 방지 기능이 부가되는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owsy driving capable of automatically inducing ventilation by detecting the quality of indoor air while driving on a cradle of a smartphone installed in a vehicle. It is to provide a smartphone cradle for automobiles to which a prevention function is add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운전 중 발생되는 차선 이탈, 차간거리 모니터링, 보행자충돌 경고, 전방 추돌 경고가 가능한 기능이 부가되는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to which a function that enables lane departure, inter-vehicle distance monitoring,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and forward collision warning occurring while driving is added to the cradle of a smartphone installed in a vehicle. .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고상황 발생 시 경고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상황별, 각기 다른 시각적 경고와 운행 기록 및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블랙박스 겸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mit a warning signal to a smartphone when a warning situation occurs to provide the driver with different visual warnings, driving records, and images for each situation, and thus,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that can be used as a black box. It is in providing.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embodiment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에서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고, 거치대는 하나 이상의 색상으로서 경보를 발령하는 발광모듈과, 음성메세지 및 경고음중 적어도 하나로서 경고를 발령하는 오디오 모듈을 포함하는 경보부와,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및 이산화탄소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된 기준치를 초과하면, 발광신호와 음성메세지 및 경고음 중 어느 하나로서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유도 및 안내하는 환기유도 제어부를 포함하는 안전 운전가이드가 가능한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radle for mounting a smartphone in a vehicle, and the cradle includes a light emitting module for issuing an alarm in one or more colors, and an audio module for issuing a warning as at least one of a voice message and a warning sound. Wow, when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detected by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and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the indoor carbon dioxide exceeds the set reference value, ventilation induces and guides ventilation of the indoor air as one of a light-emitting signal, a voice message, and a warning sou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capable of a safe driving guide including a control unit.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중량을 감지하여 가압바의 가압이 진행됨에 따라 스마트폰의 거치가 용이하고, 운전 중 거치대 내 이산화탄소 감지센서가 실내 공기의 질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환기를 유도할 수 있어 졸음운전 방지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enses the weight of the smartphone and makes it easier to mount the smartphone as the pressurization bar proceeds, and the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in the cradle detects the quality of indoor air while driving, so that it can automatically induce ventil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driving.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에 설치되는 스마트폰의 거치대에 운전 중 발생되는 차선 이탈 경고, 차간거리 모니터링, 보행자충돌 경고, 전방 추돌 경고가 가능한 기능이 부가됨에 따라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자동차의 안전운전을 위한 옵션을 강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afe driving of a vehicle at a lower cost as functions capable of lane departure warning, inter-vehicle distance monitoring,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and front collision warning generated during driving are added to the cradle of a smartphone installed in a vehicle. Options can be enhanced.,
또한, 본 발명은 경고상황 발생 시 경고신호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여 상황별, 각기 다른 시각적 경고와 운행 기록 및 영상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거치대에서 촬영된 영상을 스마트폰에 저장할 수 있고 실시간 출력이 가능하여 블랙박스를 대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warning signal to a smartphone when a warning situation occurs to provide the driver with different visual warnings, driving records and images for each situation, and can store images taken from the cradle in a smartphone, and in real time. It can be output and can replace a black box.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를 이용하여 운전 중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고스마트폰으로부터 수집된 다수의 센서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별 운전패턴과 도로교통상황패턴을 추출할 수 있어 운전자의 운전습관 및 선호도에 따른 맞춤형 길안내와, 운전 중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cradle to record event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driving, and analyzes a plurality of sensor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smartphone to extract driving patterns and road traffic condition patterns for each driver, so that the driver's driving habits and preferences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directions and guides while driving.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홀더부재를 간략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홀더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는 환기유도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을 차선이탈 경고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전방추돌 경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보행자추돌 경고부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충전부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스마트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서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에서 S11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S1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S21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5는 차선감지 및 차선 이탈 감지 과정을 순차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S2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차간거리 감지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S2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1A and 1B are views showing an overview of a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phone cradle.
3 is a view showing a simplified holder member.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holder member.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ventilation induction member.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lane departure warning unit.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ront collision warning unit.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unit.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lling member.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phone.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12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110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120.
14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210.
15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lane and detecting a lane departure.
16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220.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distance between vehicles.
18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230.
19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300.
이하에서는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application pertains can be easily carried out.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examples described herein, and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construed as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도면이다.1A and 1B are views showing an overview of a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스마트폰(20)과, 자동차에 설치되어 스마트폰(20)을 거치 및 충전시키는 거치대(10)를 포함한다.1A and 1B,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및 센서정보를 빅데이터화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과 도로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추출하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서버(3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스마트폰(20)은 스마트폰 거치대(10)와 와이파이,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을 통하여 스마트폰 거치대(10)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20)은 거치대(10)를 통하여 주행 중 발생된 이벤트 정보(주행 중 발생된 차간거리 경보, 보행자 추돌 경보, 환기유도, 차선이탈, 주행거리, 주행시간)를 수집하여 네비게이션 정보와 맵핑된 주행기록을 생성하여 서버(30)로 송신한다.The
서버(30)는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다수개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수신된 주행기록을 빅데이터화하고, 이를 데이터마이닝하여 운전자별 운전패턴과, 각 도로 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거치대(10)는 스마트폰(20)을 거치하는 기구적인 구조와, 자동차에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환하여 스마트폰(20)의 배터리(도시되지 않음)를 충전시킨다. 여기서 스마트폰 거치대(10)는 스마트폰(20)의 거치 및 충전 외에 전방을 감시하여 차간거리, 전방추돌 및 보행자 추돌, 졸음운전 경보를 포함하는 운전자 가이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또한, 거치대(10)는 주행 중 발생된 이벤트 정보를 스마트폰(20)으로 송신할 수 있고, 스마트폰(20)은 거치대(10)로부터 수신되는 경보 및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인지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거치대(1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Th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는 스마트폰(20)을 지지하는 홀더부재(100)와, 실내공기를 감지하여 환기유도 경보를 발령하는 환기유도부재(200)와, 카메라(350)를 이용하여 전방을 감시 및 경보하는 전방감시부재(300)와, 스마트폰(20)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재(400)와, 스마트폰(20)의 충전용 전원 및 구동전원을 변환 및 출력하는 전원부재(500)와, 스마트폰(20)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이중 홀더부재(100)는 자동차 내에서 스마트폰(20)을 거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가 스마트폰(20)을 거치 및 해제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자동으로 가압 및 해제가 가능하다. 이는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도 3은 홀더부재를 간략 도시한 도면, 도 4는 홀더부재를 도시한 블럭도이다.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implified holder member,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holder member.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홀더부재(100)는 직립되어 일면에서 스마트폰(20)이 밀착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의 양측에서 슬라이딩되어 스마트폰(20)을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바(120)와, 하우징(110)을 지지하는 직립바(140)와, 하우징(110) 하측의 받침대(130)와 가압바(120)를 구동시키는 모터(160)와, 스마트폰(20)을 감지하는 중량 감지 센서(170)와, 모터(160)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부(150)를 포함한다.3 and 4, the
하우징(110)은 받침대(130)에서 직립바(14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일면은 스마트폰(20)의 일면에 밀착되어 지지하며, 바람직하게로는 충전 안테나(461)(예를 들면, WPC:Wireless Power Consoritium)가 내장된 충전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The
직립바(140)는 받침대(130)의 일측에서 직립되고, 하우징(110)에 연결되는 힌지수단(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하우징(11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The
받침대(130)는 차량의 대쉬보드 또는 기타 구성의 표면에 설치된다.The
중량 감지센서(170)는 받침대(130) 또는 하우징(110)의 일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스마트폰(20)의 중량을 감지한다. 중량 감지센서(170)는 스마트폰(20)의 중량이 감지되면, 모터 제어부(150)에 감지신호를 출력한다.The
해제스위치(180)는 가압바(120)의 해제명령을 출력한다. 해제스위치(180)는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푸쉬형 스위치로 구성하되, 바람직하게는 압전센서를 적용할 수 있다.The
모터 제어부(150)는 중량감지센서(170)(170)의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모터(160)를 구동시켜 가압바(120)를 작동시킨다. 모터 제어부(150)는 중량이 감지되면 가압바(120)를 외측에서 내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제어하고, 해제스위치가 동작되면 가압바(120)를 외측으로 슬라이딩하여 해제할 수 있다.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예를 들면, 사용자는 스마트폰(20)을 거치할 경우에 하우징(110) 또는 받침대(130)에 올려놓는다. 그러면 모터 제어부(150)는 중량감지센서(170)의 중량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가압바(120)를 슬라이딩시켜 스마트폰(20)의 양측을 가압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user mounts the
반대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제스위치(170)의 온오프에 의해 가압바(120)를 외측으로 이동시켜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In the opposite case, the user may release the pressurization by moving the
환기유도부재(200)는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사용자(운전자)에게 실내 공기의 환기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환기유도부재(200)에 대한 설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환기유도부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The
도 5를 참조하면, 환기유도부재(200)는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와,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240)와, 환기를 유도하는 시청각적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부(220)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 또는 타이머(240)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 발령을 제어하는 환기유도 제어부(21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5, the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는 자동차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졸음은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일 경우를 감지하여 차내의 공기를 환기시키도록 유도한다.The
경보부(220)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개의 LED로 이루어진 발광모듈(222)과, 경보음 또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하는 오디오 모듈(221)을 포함한다.The
발광모듈(222)은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순차 점등된다. 예를 들면, 쾌적과 환기, 또는 쾌적과 주의 및 환기와 같이 여러 단계로서 나뉘어서 순차 표시할 수 있다.The
오디오 모듈(221)은 경보음 및/또는 음성메세지를 저장하고, 환기유도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하여 설정된 경보음 및/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한다. 여기서 경보음 및 음성 메시지는 실내 공기의 쾌적함, 주의, 환기와 같은 등급 안내 메시지거나 기타 내용의 음성일 수 있다.The
아울러 경보부(220)는 환기유도부재(200)외에도 전방감시부재(300)와 충전부재(400)와 연동되어 다양한 경보를 발령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한다.In addition, the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보부(220)를 순차 제어한다. 예를 들면, 차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기준 이하일 경우에는 발광모듈(222)을 제어하여 공기의 쾌적함(예를 들면, 녹색 점등)을 표시하도록 발광을 제어한다. 또는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설정기준 이상일 경우에 운전자에게 경보하기 위하여 발광모듈(222)과 오디오 모듈(221)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발광모듈(222)은 주의를 요하는 적색등을 점등하고, 오디오 모듈(221)은 경고음 또는 음성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ventilation
타이머(240)는 실시간 시계(Real Time Clock)로서 자동차가 시동이 걸려 전원부재(5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시간을 카운팅하여 설정된 시간주기별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The
또는 타이머(24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타이머(240)는 자동차의 시동이 꺼지면,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으로 작동됨에 따라 계속적으로 시간을 카운팅함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타이머(240)로부터 시간주기별 카운팅신호를 통하여 시동이 걸린 후 전원부재(5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시점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실내 공기를 환기하도록 경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타이머(240)를 이용한 환기유도는 상술한 이산화탄소 농도의 감지를 이용한 환기유도와 동시에 진행되거나 단독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여기서 전원부재(500)는 시거잭과 같은 전원장치로 연결되며, 내부 구동전원레벨에 따른 전원으로 변환시켜 공급한다. 아울러 전원부재(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이 꺼진 뒤에도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충전용 배터리가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와 타이머(24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경보를 발령할 경우, 통신부재(600)를 통하여 스마트폰(20)에 경보를 전송함도 가능하다. 이때 경보는 거치대(10)에 저장된 경보음과 음성메세지 및 약정된 코드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스마트폰(20)은 스마트폰 거치대(10)로부터 환기유도 경보 신호가 수신되면, 화면을 점멸시키는 플리커링을 진행하거나, 수신 또는 저장된 경보음과 음성 메시지 중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ntilation
전방감시부재(300)는 전방을 촬영하는 카메라(350)와, 카메라(350)의 영상을 통하여 자동차의 차선이탈을 예측 및/또는 경보하는 차선이탈 경고부(314)와, 카메라(350)의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추돌 가능성을 예측 경보하는 전방추돌 경고부(320)와, 카메라(350)의 영상을 분석하여 보행자 추돌 가능성을 예측 및 경고하는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와, 자동차 운행중 발생된 이벤트를 기록하여 실시간으로 저장 및/또는 스마트폰(20)으로 송신하는 운행기록부(340)를 포함한다.The
카메라(350)는 홀더부재(100)의 받침대(130)와 하우징(110) 및 직립바(140) 중 어느 하나에서 전방을 촬영하도록 설치된다. 또는 카메라(350)는 거치대(10)의 기구적 구성들과 별개의 구성으로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50)는 거치대(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거나, 독립된 구성으로 거치대(10)와 케이블로 연결되어 자동차의 대쉬보드, 전면 유리창, 룸미러 중 어느 하나에 별도 설치됨도 가능하다.The
차선이탈 경고부(314)는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영상에서 차선을 구분하여 이탈 여부를 경보한다. 이와 같은 차선이탈 경고부(314)에 대한 세부 구성은 도 6과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lane
도 6은 차선이탈 경고부를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차선감지 및 차선 이탈 감지 과정을 순차 예시한 도면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lane departure warning unit, and FIG. 16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 lane detection and a lane departure detection process.
도 6 및 도 16을 참조하면, 차선이탈 경고부(314)는 카메라(35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여 탐색 영역을 설정하는 탐색영역 설정모듈(311)과, 탐색영역에서 차선을 검출하는 차선검출모듈(312)과, 영상에서 노이즈 및 명도와 채도 등을 조절하여 영상화질을 개선하는 칼만필터(313)와, 영상을 통하여 차선이탈 여부를 검출하는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을 포함한다.6 and 16, the lane
카메라(350)는 자동차가 시동이 걸려 전원부재(5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온되어 전방을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차선이탈 경고부(314)를 통하여 분석된다.The
탐색영역 설정모듈(311)은 도 16의 (a)와 같은 촬영 영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참조선(A)(도 16의 (b) 참조)을 구획한다. 즉, 탐색영역 설정모듈(311)은 참조선(A)을 통과하는 객체들을 탐색영역으로 한정한 것이다.The search
차선검출모듈(312)은 참조선(A)을 통과하는 객체들 중에서 연속하여 연장되거나, 일정 규칙을 갖고 계속하여 탐지되는 객체(B)들을 차선으로 인식한다. 이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다.The
칼만필터(313)는 도 15의 (a) 또는 (b)와 같은 영상에서 날씨나 밝기, 영상의 노이즈로 인하여 차선(B)의 검출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 영상에서 노이즈 제거 및 화면 보정을 진행한다. 즉, 차선검출모듈(312)은 차선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 칼만필터(313)를 구동시켜서 재 검출을 진행한다.The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은 도 1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차선과 일치되는 폭을 갖는 양측의 수직 기준선(C')과, 양측의 수직 기준선(C') 사이의 중심점을 구획하는 중심 기준선(C)을 설정한다. 그리고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은 양측의 수직 기준선(C')과 중심 기준선(C)의 위치가 차선 객체(B)와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그 오차 거리에 따라 차선이탈을 경보할 수 있다.The lane
여기서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은 차선이탈이 예측 또는 감지될 경우에 경보부(220)를 구동시켜 경보음 및/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는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은 통신부재(600)를 제어하여 스마트폰(20) 화면을 점멸시키거나 음성 및/또는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경고신호를 송신한다.Here, the lane
여기서 발광모듈(222)은 환기유도와는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경보부(220)는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발광 표시하므로 운전자가 발광되는 색상을 통해서 경보의 이유를 알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는 경보부(220)는 환기유도 시 출력된 경보음과 음성메세지와는 다른 경보음 및/또는 음성 메시지를 출력함도 가능하다.Here, the
전방추돌 경고부(320)는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전방의 차간 거리 및/또는 다른 객체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추돌 발생을 예측하여 경보한다. 이는 도 7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forward
도 7은 전방추돌 경고부(320)를 도시한 블록도, 도 17은 차간거리 감지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7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ront
도 7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전방추돌 경고부(320)는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속도를 산출하는 제1속도 산출모듈(321)과, 영상 화질을 개선하는 영상 전처리 모듈(322)과, 입력 영상에서 차량을 검증하는 차량검증모듈(323)과, 검증된 차량과의 거리를 산출하는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을 포함한다.7 and 17, the forward
제1속도 산출모듈(321)은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자동차의 속도를 산출한다. 예를 들면, 제1속도 산출모듈(321)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참조선(A)(도 15 참조)을 기준객체로 설정하고, 기준객체를 통과하는 각각의 객체(B)들(예를 들면, 차선, 도로 시설물, 차량)(도 15 참조)을 이동객체로 설정하여, 기준객체(A)들을 통과하는 이동객체들의 시간을 통해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first
영상 전처리 모듈(322)은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여 보다 명확한 화질로 표시되도록 한다. 이는 차선이탈 경고부(314)의 칼만필터(313)를 적용함도 가능하다.The
차량검증모듈(323)은 영상에서 원근법에 의한 소실점, 배경, 차폭을 검출하고, 차폭 내의 객체들을 자동차로 검출한다. 이는 도 17의 (c)에 그 일예가 도시되었다.The
도 17의 (c)를 참조하면, 차량검증모듈(323)은 원근법에 의한 소실점(D)과 배경구분선(E)을 접선으로 구획하고, 전방 객체(G)의 폭을 원근법에 의해 상호 이격된 복수개의 가로구획선(F)으로 설정하여 그 폭을 예측하여 자동차를 검출한다. 여기서 가로구획선(F)을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됨에 따라 그 숫자를 통하여 전방의 자동차와의 거리가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가로구획선(F)은 차폭에 따라 산출된 것이다.Referring to (c) of FIG. 17, the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제1속도 산출모듈(321)에 의해 산출된 속도가 설정 속도 이상이라면, 차량검증모듈(323)에서 검출된 전방 차량의 차폭으로 구획된 가로구획선(F)들을 이용하여 차간 거리가 설정된 거리 이상이라면 경고신호를 출력한다.If the speed calculated by the first
차간거리 경고신호는 경보부(220)를 이용한 발광신호와, 음성 및/또는 경고음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광신호와 경고음 및 음성메세지는 환기유도 및 차선이탈과는 다른 색상과 경고음 및 메시지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경고신호를 통신부재(600)를 통하여 스마트폰(20)으로 송신할 수 있다.The inter-vehicle distance warning signal may include one or more of a light-emitting signal using the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는 카메라(350)의 영상에서 보행자를 감지하여 추돌 가능성을 예측하여 경고한다. 이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pedestrian
도 8은 보행자 추돌 경고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unit.
도 8을 참조하면,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는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자동차의 운행속도 및 보행자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제2속도 산출모듈(331)과, 영상에서 보행자를 검출하는 보행자 검출모듈(332)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the pedestrian
제2속도 산출모듈(331)은 영상에서 자동차 운행속도와 보행자의 이동속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제2속도 산출모듈(331)은 자동차 운행속도를 산출함과 동시에 전방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을 특정하고 이동속도를 산출한다.The second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특정된 객체들과 자동차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전방 객체의 거리를 원근법에 따른 복수개의 가로기준선을 구획하고, 그 가로기준선의 간격과, 속도를 통하여 객체들의 거리를 산출한다.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specified objects and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divides the distance of the front object into a plurality of horizontal reference lines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method, and calculates the distance of the objects through the distance and the speed of the horizontal reference line.
그리고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제2속도 산출모듈(331)에서 산출된 거리와 이동속도를 통하여 영상에 포함된 객체들 중에서 보행자를 특정하고, 설정된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경보부(220)를 제어한다. 보행자 감지신호는 경보부(220)의 발광모듈(222)과 오디오 모듈(221) 중 하나 이상을 통하여 출력되고, 통신부재(600)를 통하여 스마트폰(20)으로 송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identifies a pedestrian among objects included in the image through the distance and movement speed calculated by the second
운행기록부(340)는 주행 중 발생된 이벤트를 기록 및 저장하고, 스마트폰(20)으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운행기록부(340)는 자동차의 시동 온 시간부터 시동 오프 시간동안에 발생되는 차간거리 경고, 보행자 경고, 환기유도 이력과, 경고시마다 촬영된 영상정보가 포함된 운행기록을 생성한다. 또는 운행기록부(340)는 주행 중 발생된 전체 영상을 저장하고, 스마트폰(20)의 선택 명령에 따라 송신함도 가능하다. The driving
예를 들면, 블랙박스에 저장된 영상의 확인 및 추출을 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카드를 분리하여 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을 통하여 관련 영상을 출력해야 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check and extract an image stored in a black box,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in that a memory card must be separated and a related image must be output through a laptop or desktop.
하지만, 본 발명은 운행기록부(340)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고, 스마트폰(20)의 선택 명령에 따라 송신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기존의 블랙박스와 달리 자신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당일 전체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captured by the driving
또는 운행기록부(340)는 촬영 영상중 이벤트가 발생된 구간을 기준으로 앞뒤 의 소정의 시간구간만을 별도로 편집하여 운행기록에 포함시킬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riving
충전부재(400)는 무선충전과 USB를 이용한 케이블 충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하며, 충전 중 발생되는 스마트폰(20) 배터리의 과충전과 과열 여부를 감지하여 전원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charging
도 9는 충전부재를 도시한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lling member.
도 9를 참조하면, 충전부재(400)는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410)와, 스마트폰(20)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센싱하는 충전 센싱부(420)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30)와, 전원을 변환하는 컨버터(440)와, 충전 전원라인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450)와, 스마트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4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charging
충전 센싱부(420)는 스마트폰(20) 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센싱하여 충전 제어부(410)에 출력한다.The charging
온도센서(430)는 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하여 충전 제어부(410)에 출력한다.The
충전 제어부(410)는 충전 센싱부(420) 및 온도센서(4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스위치부(450)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과충전 또는 과열을 방지한다. 예를 들면, 충전 제어부(410)는 충전 센싱부(420)를 통하여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기준치에 해당되면, 스위치부(450)를 제어하여 컨버터(44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The charging
또는 충전 제어부(410)는 온도센서(430)에서 감지된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에 스위치부(450)를 제어하여 배터리의 충전을 차단한다.Alternatively, when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컨버터(440)는 전원부재(500)에서 공급된 전원을 배터리의 충전전원 레벨로 변환시킨다. 여기서 컨버터(440)에서 변환된 전원은 스위치부(450)가 연결된 전원라인을 통항 충전부(460)로 공급된다.The
충전부(460)는 무선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 안테나(461)와, USB케이블로서 스마트폰(20)에 연결되어 충전시키는 충전 커넥터(462)를 포함한다.The charging
충전 안테나(461)는 하우징(110)의 일면에서 내장되는 무선 충전 안테나로서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charging
충전 커넥터(462)는 USB 케이블로서 스마트폰(20)과 유선 연결되어 충전전원을 공급한다.The charging
즉, 본 발명은 거치대(10)를 통하여 과충전 및 고온에 의한 배터리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구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mplementing a 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capable of preventing battery failure due to overcharging and high temperature through the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20)은 거치대(10)와 무선통신(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을 수행하여 거치대(10)의 경고신호(환기유도, 차간거리, 차선이탈 및 보행자 추돌 경고)에 따른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서버(30)로 송신한다. 여기서 스마트폰(20)은 이벤트 및 센서정보와 네비게이션 정보를 합성한 주행기록를 생성하여 원격지의 서버(3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마트폰(20)에 대한 설명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0은 스마트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mart phone.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20)은 거치대(1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및 센서정보와 네비게이션 정보가 포함된 주행기록을 생성하여 서버(30)로 송신하는 단말 제어부(21)와, 거치대(10) 및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통신부(23)와, 경고 메세지 및 앱화면을 출력하는 단말 디스플레이(24)와, 이벤트 정보와 영상정보 및 주행기록을 저장하는 단말 저장부(25)와,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단말 출력부(22)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0, the
단말 출력부(22)는 단말 제어부(21)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오디오신호는 경고음 또는 음성메세지중 어느 하나로서 단말 디스플레이(24)의 플리커링(점멸)과 연동하여 출력될 수 있다.The
단말 통신부(23)는 거치대(10)와 타 스마트폰(20) 및 서버(30)와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 통신부(23)는 근거리 무선 및 원거리 무선통신하는 장치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단말 디스플레이(24)는 앱화면(예를 들면, 네비게이션, 경고메세지)을 출력하거나, 거치대(10)의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점멸되면서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실행되는 앱은 네비게이션 및 거치대(10)의 경고신호를 수신 및 출력하고, 거치대에서 영상을 요청 및 출력할 수 있고, 서버로부터 운전가이드 정보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있는 전용앱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앱은 특정 서버(30) 또는 외부의 공용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된다.The
단말 저장부(25)는 네비게이션 및 거치대(10) 전용앱과, 주행기록, 이벤트 정보, 영상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단말 제어부(21)는 네비게이션 앱을 구동시키는 네비게이션 모듈(21a)과, 이벤트 정보를 맵핑하여 네비게이션정보와 합성된 주행기록을 생성하는 주행기록 생성모듈(21b)과, 거치대(10) 및 서버로부터 송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전용앱 실행모듈(21c)을 포함한다.The
네비게이션 모듈(21a)은 전자맵에서 운전자가 설정한 운행경로를 표시한다. 여기서 네비게이션 모듈(21a)은 교통서버(30)로부터 교통정보를 수신하고, 이릍 통하여 최적의 경로를 추천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임에 따라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The
주행기록 생성모듈(21b)은 거치대(10)로부터 수신된 이벤트 정보와, 네비게이션 모듈(21a)에서 생성된 운행기록을 상호 맵핑시켜 주행기록을 생성한다. 여기서 주행기록은, 주행 중 발생된 이벤트 정보의 시간을 확인하여 네비게이션 모듈(21a)의 운행경로 중 발생지점을 특정하여 완성된다.The driving
예를 들면, 주행기록 생성모듈(21b)은 운전자가 XXX 도로를 4시간동안 운행하였다면, 운행중 차간거리 경보가 울려진 시간을 확인하여 네비게이션의 운행경로가 포함된 전자맵상에서 해당 지점을 특정한다.For example, if the driver has been traveling on the XXX road for 4 hours, the driving
즉, 본 발명에서 주행기록은 운전자가 네비게이션을 활성화한 뒤에 운행을 개시하면, 운행중 발생된 이벤트가 발생된 지점을 특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최종적으로 완성된 주행기록은 운전자의 운행경로에서 발생된 모든 이벤트가 기록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starts driving after activating the navigation, the driving record can specify a point at which an event occurred during driving occurs. Therefore, in the finally completed driving record, all events occurring in the driving route of the driver can be recorded.
여기서 주행기록 생성모듈(21b)은 서버(30)로부터 주행기록의 요청 시 단말 통신부(23)를 제어하여 서버(30)로 생성된 주행기록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기록은 실시간 또는 단말저장부에 저장된 후 설정된 주기(날짜/요일/시간/주행거리/네비게이션 실행횟수)별로 송신될 수 있다.Here, the driving
전용앱 실행모듈(21c)은 거치대(10)로부터 수신된 메세지 및 오디오신호를 단말 디스플레이(24) 및 단말 출력부(22)로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용앱 실행모듈(21c)은 단말 디스플레이(24)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거치대(10)의 경고음 조절이나, 촬영된 영상의 요청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dedicated
즉, 운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20)을 통하여 출력된 전용앱을 통하여 거치대(10)에서 촬영된 영상 리스트를 확인하고, 선택하여 단말 디스플레이(24)에 출력 및 단말저장부에 저장하도록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river checks the list of images captured in the
이와 같이 스마트폰(20)에서 송신된 주행기록은 빅데이터로서 활용되어 운전자의 운전습관과, 각 도로 및 구간별로 계절/월/시간별 도로상황패턴을 산출하기 위한 원시데이터로 활용된다. 이를 위하여 서버(30)는 빅데이터의 수집 및 데이터마이닝을 위한 인공지능을 탑재할 수 있다. 서버(30)는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is way, the driving record transmitted from the
도 11은 서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erver.
도 11을 참조하면, 서버(30)는 다수의 스마트폰(20)으로부터 주행기록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33)와, 데이터 수집부(33)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DB(34)와, DB(34)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 및 도로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추출하는 AI데이터 처리부(32)와, 데이터 수집부(33) 및 AI 데이터 처리부(32)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31)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1, the
데이터 수집부(33)는 다수개의 스마트폰(20)으로부터 주행기록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DB(34)에 저장한다. 여기서 스마트폰(20)들은 거치대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 스마트폰(20)들에 해당된다. 데이터 수집부(33)는 서버 제어부(31)의 제어에 의해 실시간 또는 설정된 주기별로 스마트폰(20)들에 주행기록을 요청하고, 수집된 주행기록들을 DB(34)에 저장한다.The
DB(34)는 수집된 주행기록을 년/계절별/월/일/시간대별 및 도로 구간별/운전자 중 하나 이상의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The
AI 데이터 처리부(32)는 DB(34)에 저장된 데이터를 참조하여 운전자별 운전패턴을 추출하는 운전자별 패턴 추출모듈(32a)과, 도로 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추출하는 경로별 패턴 추출모듈(32b)을 포함한다. The AI
운전자별 패턴 추출모듈(32a)은 스마트폰(20)들로부터 주행기록을 수신하여 해당 운전자들의 운전습관(예를 들면, 속도위반, 차선이탈횟수, 년/월/일간 평균 운전시간, 차간거리 유지 여부)에 대한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The driver-specific
경로별 패턴 추출모듈(32b)은 주행기록에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참조하여 도로 구간별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를 특정함에 따라 특정 구간에서의 시간대별 교통상황을 추론하여 교통상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경로별 패턴 추출모듈(32b)은 동일 구간을 주행한 복수의 운전자들의 스마트폰(20)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주행기록으로부터 해당 도로 구간의 년/월/일/시간대별 도로 교통상황을 추론하여 패턴을 산출한다.The
예를 들면, 경로별 패턴 추출모듈(32b)은 A국도의 'a'구간에서 XX 시간대에 운행한 다수 주행기록을 통하여 해당 시간대의 자동차의 속도와 차간거리를 통하여 해당 구간에서 가장 막히는 시간대와, 날씨, 요일을 특정할 수 있다. 반대로 인접도로구간 중 가장 한가한 도로 구간을 산출함도 가능하다.For example, the
즉, AI 데이터 처리부(32)는 특정 도로 구간에서 특정 시간대 교통상황 패턴 및 운전자의 운전패턴(습관)을 산출할 수 있어 해당 구간 및 시간대에 해당 구간이 포함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요청하는 스마트폰(20)에 교통상황패턴에 따라 예측된 경로와 운전자의 잘못된 운전습관(차간거리유지, 졸음방지를 위한 환기, 차선이탈 방지)에 대한 주의 사항을 안내할 수 있다.That is, the AI
즉, 본 발명에서 서버(30)는 스마트폰(20)에 네비게이션 정보를 송신하는 네비게이션서버(30)와 연계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서버 제어부(31)는 입력 또는 설정된 명령에 따라 AI 데이터 처리부(32)와 데이터 수집부(33)를 제어하여 스마트폰(20)별로 주행기록을 수집하여 DB(34)에 저장하도록 하고, AI 데이터 처리부(32)를 제어하여 스마트폰(20)별(운전자별) 운전 패턴과, 각 도로구간별 시간대 교통상황패턴을 산출하도록 제어한다.The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10)와, 이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이용한 안전운전 가이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The
본 발명은 졸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S110 단계 및 S120 단계를 포함하고, 차선이탈, 차간거리 및 보행자 감지를 위하여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 스마트폰(20) 거치를 위한 S300 단계와, 서버(30)의 운전패턴 및 교통 패턴을 산출하여 운전 가이드 정보를 생성하는 S400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ps S110 and S120 to prevent drowsiness, steps S210 to S230 for detecting lane departure, inter-vehicle distance and pedestrians, steps S300 for mounting the
이중 졸음방지를 위한 S110 단계 및 S120 단계는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Steps S110 and S120 for preventing double sleepin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2 and 13.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스마트폰 거치대(10)의 제어방법에서 S11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12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110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도 12를 참조하면, S110 단계는 자동차가 시동온되어 전원이 공급되는 S111 단계와, 실내의 CO2 농도를 감지하는 S112 단계와, 감지농도를 제1기준치와 비교하는 S113 단계와, 감지농도가 제1기준치보다 낮으면 제1표시를 진행하는 S114 단계와, 감지농도와 제2기준치를 비교하는 S115 단계와, 감지농도가 제2기준치보다 낮으면 제2표시를 진행하는 S116 단계와, 감지농도와 제3기준치를 비교하는 S117 단계와, 제3감지농도가 제3기준치 보다 높으면 경고 및/또는 스마트폰(20)에 송신하는 S118 단계를 포함한다.12, step S110 includes step S111 in which the vehicle is started and power is supplied, step S112 for detecting the indoor CO2 concentration, step S113 for comparing the detected concentration with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the detected concentration is deducted. If it is low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step S114 of performing a first display, step S115 of comparing the detected concentration with the second reference value, step S116 of performing a second display when the detected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step S116 of performing a second display, and And a step S117 of comparing the third reference value, and step S118 of transmitting a warning and/or transmission to the
S111 단계는 시동 온되어 전원부재(500)로부터 거치대(10)로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이다.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전원이 온되면,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신호를 대기한다.Step S111 is a step in which power is supplied from the
S112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에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는 자동차의 시동이 온되면, 실내의 공기에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여 환기유도 제어부(210)에 출력한다.Step S112 is a step of receiving a detection signal from the carbon
S113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값과 설정된 제1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이다.Step S113 is a step in which the ventilation
S114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값이 제1기준치보다 낮으면 발광모듈(222)을 구동시켜 설정된 제1표시를 출력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표시는 실내 공기가 쾌적한 상태를 의미한다.Step S114 is a step in which the ventilation
S115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값을 제1기준치와 제2기준치에 비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기준치는 제1기준치보다 높은 값이며,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감지농도가 제1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 제2기준치와 비교한다. Step S115 is a step in which the ventilation
S116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의 감지값이 제1기준치보다 높고, 제2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 제2표시를 출력하도록 발광모듈(222)을 제어하는 단계이다. 발광모듈(222)은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하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된다. 따라서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복수개의 LED 중에서 제2표시로 설정된 LED를 발광시킨다. 제2표시는 실내의 이산화탄소가 주의할 수준을 의미할 수 있다.Step S116 is a step in which the ventilation
S117 단계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감지값이 제2기준치 보다 높으면, 제3기준치에 비교하는 단계이다.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감지값이 제2기준치보다 높으면, 제3기준치에 비교한다.Step S117 is a step of comparing to a third reference value when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If the detection value is high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ventilation
S118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환기를 유도하도록 경고를 발령하는 단계이다.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이산화탄소 농도 감지값이 설정된 제3기준치를 초과하면, 오디오 모듈(221)을 제어하여 저장된 경고음 또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하도록 안내한다. 또는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스마트폰(20)에 경고신호를 송신한다.Step S118 is a step of issuing a warning so that the ventilation
스마트폰(20)은 거치대(10)의 환기유도 경고신호를 수신하여 점멸되거나, 저장된 음성메세지 또는 문자메세지를 출력하여 실내 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The
즉, 본 발명은 졸음운전 방지를 위하여 실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고,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 운전자에게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것을 안내한다.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운전자에게 졸음이 올 수 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이산화탄소농도를 감지하여 환기를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in order to prevent drowsy driving,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indoor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if it is higher than the set reference value, guides the driver to ventilate the indoor air. It is a well-known fact that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e more the driver may become drowsy.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and induces ventilation.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지하는 것 이외에 시동온 상태에서 설정된 시간 주기별로 실내환기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S120 단계로서 구현되며,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detect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door ventilation may be induced for each set time period in the starting-on state. This is implemented as step S120,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도 13은 S1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13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120.
도 13을 참조하면, S120 단계는 전원 온되는 S121 단계와, 타이머(240)를 구동시켜 시간을 카운팅하는 S122 단계와, 설정시간을 감지하는 S123 단계와, 설정 시간이 카운팅 되면 환기 유도를 안내하는 S124 단계를 포함한다.13, step S120 includes step S121 of turning on the power, step S122 of counting time by driving the
S121 단계는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서 전원이 공급되는 단계이다.In step S121, the vehicle is started and power is supplied.
S122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에 의해 타이머(240)가 작동되고,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이다.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 전원이 공급되면, 타이머(240)를 온시키고, 설정된 시간을 카운팅하도록 구동시킨다.In step S122, the
S123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타이머(240)의 카운팅신호를 확인하여 설정된 시간의 카운팅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타이머(240)는 시동이 걸린 이후로 2시간 주기로 카운팅 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환기유도 제어부(210)는 타이머(240)의 카운팅 신호를 통하여 시동 이후에 설정된 시간의 경과 유무를 감지한다.Step S123 is a step in which the ventilation
S124 단계는 환기유도 제어부(210)가 설정된 시간이 경과됨을 감지하여 오디오 모듈(221) 및 발광모듈(222)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하도록 유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오디오 모듈(221)과 발광모듈(222)은 각각 설정된 음성메시지 또는 경고음을 출력하거나, 설정된 색상으로 발광하여 환기를 유도한다. 아울러, 환기유도 신호는 스마트폰(2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스마트폰(20)에서 플리커링을 통한 발광신호와, 음성 및/또는 경고음을 출력함도 가능하다.Step S124 is a step in which the ventilation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이산화탄소 감지센서(230)와, 타이머(240)를 이용한 환기유도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y one or both of the above-described carbon
S210 단계는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tep S2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and 15.
도 14는 S21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15는 차선감지 및 차선 이탈 감지 과정을 순차 예시한 도면이다.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tep S210, and FIG. 15 is a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 lane and detecting a lane departure.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S210 단계는 시동이 걸리면 전원이 온되는 S211 단계와, 촬영된 영상에서 참조선을 배치하는 S212 단계와, 탐색영역을 설정하는 S213 단계와, 탐색영역에서 차선을 검출하는 S214 단계와, 차선이 검출되지 않으면 영상을 필터링하는 S215 단계와, 차선을 재검출하는 S216 단계와, 차선폭과 차로 중앙을 검출하는 S217 단계와, 차선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S218 단계와, 차선 이탈을 경고하고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S219 단계를 포함한다.14 and 15, in step S210, the power is turned on when the engine is started, step S212 of arranging a reference line in a captured image, step S213 of setting a search area, and step S213 of setting a search area. Step S214 of detecting, step S215 of filtering the image if the lane is not detected, step S216 of re-detecting the lane, step S217 of detecting the width of the lane and the center of the lane, and step S218 of detecting whether the lane is deviated, And a step S219 of warning of lane departure and generating event information.
S211 단계는 자동차의 시동 걸린 이후에 공급되는 전원으로 온되는 단계이다. 따라서 차선이탈 경고부(314) 및 카메라(350)가 온된다. 이때, 카메라(350)의 촬영 영상은 도 15의 (a)에서 예시되었다.Step S211 is a step of turning on the power supplied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Accordingly, the lane
S212 단계는 차선이탈 경고부(314)에서 카메라(35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촬영영상에서 참조선(A)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참조선(A)은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영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가로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참조선(A)들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며, 이격된 그 간격은 실제 거리차를 표시할 수 있다.In step S212, the lane
S213 단계는 차선이탈 경고부(314)가 촬영된 영상에서 탐색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선이탈 경고부(314)는 촬영된 영상에서 배경과 차로를 구분하고, 배경이외의 영역을 탐색 영역으로 설정한다. 예를 들면, 탐색영역 설정모듈(311)은 촬영 영상에서 도로와 하늘의 경계점(예를 들면, 지평선)을 구분하여 지면을 탐색영역으로 설정한다. 이는 원근법에 의한 소실점을 검출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In step S213, the lane
S214 단계는 차선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차선검출모듈(312)은 탐색영역에서 차선을 검출한다. 이때 차선검출모듈(312)은 영상 내의 객체들 중에서 설정된 간격 별 또는 구간동안 연장되는 객체들을 차선으로 지정할 수 있다.Step S214 is a step of detecting a lane. The
S215 단계는 S214 단계에서 차선이 검출되지 않는다면, 칼만필터(313)가 구동되어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촬영영상은 명암이나 채도 또는 노이즈에 의해 영상에 포함된 객체가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S214 단계에서 차선검출모듈(312)은 차선 검출을 시도하였으나, 차선이 검출되지 않을 경우에 칼만필터(313)를 구동시킨다. 칼만필터(313)는 작동되어 영상 속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영상의 채도나 명암비를 조절한다.In step S215, if no lane is detected in step S214, the
S216 단계는 차선검출모듈(312)에서 차선을 재검출하는 단계이다. 차선검출모듈(312)은 S214 단계에서 필터링이 완료되면, 차선을 재검출한다. 이는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다.In step S216, the
S217 단계는 차선검출모듈(312)에서 차로 중앙선과 차선폭을 검출하는 단계이다. 차선검출모듈(312)은 S216 단계에서 검출된 차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끓기지 않고 연속하여 연장되는 객체를 중앙선으로 인지한다. 또한 차선검출모듈(312)은 중앙선과 차선, 차선과 차선 사이의 폭을 검출하여 객체들이 연속되는 양측 지점에서 수직 기준선(C')을 설정한다. 여기서 양측의 수직 기준선(C')은 차선 또는 중앙선 객체와, 그 사이의 중앙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다. 즉, 수직 기준선(C')은 양쪽 차선(차선과 중앙선, 차선과 차선)이 연장되는 위치를 기준점을 설정하여 구획되고, 양측 수직 기준선(C') 사이에 다시 중앙 기준선(C)을 설정한다.In step S217, the
S218 단계는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이 수직 기준선(C') 및 중앙 기준선(C)의 위치와 차선 및/또는 중앙선으로 지정된 객체의 위치를 비교하여 차선이탈을 감지하는 단계이다.In step S218, the lane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은 수직 기준선(C')과 중앙 기준선(C)의 위치와 차선 및 중앙선의 객체들과의 위치를 비교하여 차선이탈 여부를 감지한다.The lane
S219 단계는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이 차선 이탈을 감지하여 오디오 모듈(221)과 발광모듈(222)을 차선이탈을 경보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선이탈 감지모듈(314)은 스마트폰(20)으로 차선이탈 감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발광모듈(222)은 환기유도와 다른 색상으로 발광을 표시하고, 오디오 모듈(221)은 차선이탈로 설정된 경고음 또는 음성메세지를 출력한다.In step S219, the lane
S220 단계는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S22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차간거리 감지 과정을 예시한 도면이다.Step S2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 and 17. 16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220.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cting an inter-vehicle distance.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S220 단계는 자동차가 시동 온되면, 카메라(350) 영상을 수신 및 분석하는 S221 단계와, 전방 영상에서 자동차를 검출하는 S222 단계와, 상대 속도 및 차간거리를 검출하는 S223 단계와, 차간거리와 설정된 제1기준치와 비교하는 S224 단계와, S224 단계에서 차간거리 유지상태를 표시하는 S225단계와, 차간거리가 제1기준치와 제2기준치를 비교하는 S226 단계와, S226 단계의 차간거리를 표시하는 S227 단계와, 차간거리와 제2기준치와 제3기준치를 비교하는 S228 단계와, 차간거리를 경고하고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S229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in step S220, when the vehicle is started, step S221 of receiving and analyzing an image of the
S221 단계는 전방추돌 경고부(320)에서 자동차 시동 후 카메라(35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이다.Step S221 is a step of receiving an image captured by the
S222 단계는 전방추돌 경고부(320)의 영상 전처리 모듈(322)에서 촬영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명도나 채도등의 화질을 자동 조절하고, 차량 검증모듈에서 전방에 주행 중인 자동차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량 검증 모듈은 자동차의 속도가 설정속도 이상이면 촬영 영상에 자동차의 검출과정을 진행한다 즉, 차량 검증 모듈은,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근법에 의한 소실점(D)을 접선으로 표시하고, 지면과의 경계선(E)을 추출하여 접선으로 표시한다.In step S222, the
또한, 차량검증모듈(323)은 차선이탈 경고부(314)의 차선검출모듈(312)에서 검출된 차선과 중앙선 객체를 확인하고, 객체의 폭(F)을 산출하여 차선 및 중앙선 사이에서 설정 폭 의 범위에 속한 객체를 자동차(G)로서 검출한다. 여기서 객체의 폭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구획되는 복수개의 가로구획선(F)은 검출된 자동차의 차폭을 의미한다. 가로구획선(F)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획되며 그 간격은 실제 거리의 비율을 갖고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구획된다.In addition, the
S223 단계는 현재 속도와 영상속의 자동차 속도 및 차간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S222 단계에서 검출된 전방의 자동차 사이에 구획된 차폭들을 의미하는 가로구획선(F)으로 차간거리를 산출하고, 제1속도 산출모듈(321)은 현재 속도를 기준으로 상대속도(전방 자동차의 속도)를 산출한다.Step S223 is a step of calculating the current speed, the vehicle speed in the image, and the inter-vehicle distance. Here, the inter-vehicle
S224 단계는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에서 산출된 차간거리가 제1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제1기준치는 70M 이상의 차간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In step S224, the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ed by the inter-vehicle
S225 단계는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에서 현재 차간거리가 제1기준치보다 크다면 발광모듈(222)을 표시하여 현재 차간거리를 특정 색상으로 발광표시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이다.In step S225, if the current inter-vehicle distanc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in the inter-vehicle
S226 단계는 S225 단계 이후에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에서 산출된 차간거리와 제1기준치와 제2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2기준치는 제1기준치보다 짧은 거리로서 30~70M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차간거리 산출 모듈은 차간거리가 제1기준치 이상이라면, 제2기준치와 비교한다.Step S226 is a step of comparing the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ed by the inter-vehicle
S227 단계는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에서 산출된 차간거리가 제2기준치 이내라면 발광모듈(222) 및 오디오 모듈(221)을 작동시켜 현재 차간거리를 알림 및 경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제1속도 산출모듈(321)은 전방 자동차의 속도를 확인하여 감속 여부를 감지한다. 따라서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제1속도 산출모듈(321)에서 감속이 감지되고, 차간거리가 제2기준치 이내에 속하다면 오디오 모듈(221)과 발광모듈(222)을 제어하여 차간거리를 경고한다.In step S227, if the inter-vehicle distance calculated by the inter-vehicle
바람직하게는 오디오 모듈(221)은 '앞차와의 거리가 XX 입니다' 와 같이 차간거리가 포함된 음성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228 단계는 S227 단계에서 차간거리가 제2기준치 이하이고, 감속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3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S227 단계에서 감지된 차간거리가 제2기준치 보다 짧은 거리이고, 전방의 자동차가 감속되지 않을 경우에 제2기준치 보다 짧은 거리로 설정된 제3기준치로 비교한다. 제3기준치는, 예를 들면, 30M 이하로 설정될 수 있다.The step S228 is a step of comparing the distance with the third reference valu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s is less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no deceleration is detected in the step S227. The inter-vehicle
S229 단계는 S228 단계에서 감지된 차간거리가 제3기준치에 해당되면,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에서 오디오 모듈(221) 및 발광모듈(222)을 구동시켜 경고를 발령하고,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이다.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현재 시간과, 관련 영상에서 설정된 시간구간이 포함된 영상을 이벤트 정보로 기록한다. 또한, 차간거리 산출모듈(324)은 오디오 모듈(221) 및 발광모듈(222)을 구동시켜 추돌 위험을 경보하고, 스마트폰(20)을 이용한 경고 출력을 진행할 수 있다.In step S229, when the inter-vehicle distance detected in step S228 corresponds to the third reference value, the
S230 단계는 보행자 추돌을 감지 및 경고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S23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Step S230 is a step of detecting and warning a pedestrian collis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8. 18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230.
도 18을 참조하면, S230 단계는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는 S231 단계와, 자동차 속도를 감지하는 S232 단계와, 촬영 영상에서 보행자를 검출하여 거리를 산출하는 S233 단계와, 보행자와의 거리별로 순차 발광표시하는 S234 단계와, 설정 거리 이내에서 보행자를 감지하는 S235 단계와, 설정거리 이내에서 보행자가 감지되면 경고 및 이벤트 정보를 기록하는 S236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8, the step S230 includes a step S231 of receiving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pedestrian
S231 단계는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에서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 이후에 카메라(350)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촬영영상은 차선 이탈 경고부(314) 및/또는 전방 추돌 경고부에서 영상 개선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Step S231 is a step of receiving an image from the
S232 단계는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에서 자동차의 속도를 검출하는 단계이다.In step S232, the pedestrian
S233 단계는 보행자 추돌 경고부(330)의 제2속도 산출모듈(331)에서 영상으로부터 검출된 객체의 상대속도가 설정 속도 이하일 경우에 보행자로 간주하고,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자동차의 운행속도가 설정속도 이하에서 설정 속도 이하로 이동 중인 객체를 보행자로 간주할 수 있다.In step S233, when the relative speed of the object detected from the image by the second
예를 들면,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촬영된 영상에서 차선과 차선사이, 중앙선과 차선 사이에서 설정된 차폭을 갖는 객체를 자동차로 감지하고, 차선과 차선을 횡단하거나 정지상태, 또는 이동 중인 객체들 중에서 속도가 설정속도 이하인 객체를 보행자로 간주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detects as a vehicle an object having a vehicle width set between a lane and a lane, and a center line and a lane in the captured image, and crosses the lane and the lane, is in a stationary state, or objects in motion. Among them, an object whose speed is less than the set speed can be regarded as a pedestrian.
S234 단계는 보행자와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발광모듈(222)을 제어하여 보행자와의 거리를 발광표시 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설정된 제1거리 이상일 경우에 파란색 LED를 점등하고, 제1거리보다 짧은 제2거리일 경우에 노란색 LED를 점등하여 거리별로 순차 발광표시 하도록 발광모듈(222)을 제어할 수 있다.Step S234 is a step of controlling the
S235 단계는 설정된 경고 거리 이내에서 보행자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설정된 경고 거리는 자동차와 인접된 거리(예를 들면, 20M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설정 경고거리는 자동차의 현재 운행 속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가 시속 50KM 이상일 경우에 50M 이상의 거리를 경고거리로 설정하거나, 자동차가 시속 10KM 이하로 운행 중일 경우에는 10M로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보행자가 자동차의 운행 방향에 위치될 경우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할 경우를 모두 고려할 수 있다.Step S235 is a step of detecting a pedestrian within a set warning distance. The warning distance set here may be set to a distance adjacent to the vehicle (eg, within 20M). Alternatively, the set warning distance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For example, a distance of 50M or more may be set as a warning distance when the vehicle is at least 50KM per hour, or 10M may be set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t a speed of 10KM or less. Alternatively,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may consider both the case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in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case where the pedestrian is located in an adjacent distance.
즉,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제2속도 산출모듈(331)에서 산출된 현재 자동차의 운행속도에 따라서 보행자의 경고 거리를 선택하되, 보행자가 자동차의 주행방향에 위치되었을 경우를 고려하여 보행자와의 거리를 비교한다.That is,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selects the warning distance of the pedestrian according to the current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calculated by the second
S236 단계는 보행자 검출모듈(332)에서 보행자가 설정된 경고거리에 위치될 경우에 오디오 모듈(221) 및 발광모듈(222)을 구동시켜 보행자를 경고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면,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촬영된 영상에서 보행자로 간주된 객체의 위치가 자동차의 운행 범위(수직 기준선과 중앙 기준선에서 양측으로 설정된 범위 이내) 이고, 설정 경고거리 이내라면 음성메세지와 경고음을 출력하고, 적색LED로서 발광 표시함도 가능하다.Step S236 is a step of warning the pedestrian by driving the
또한, 보행자 검출모듈(332)은 보행자 추돌 경고 여부를 이벤트 정보로 기록하고, 스마트폰(20)으로 송신하도록 통신부재(600)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32 may control the
S300 단계는 충전부재(400) 및 홀더부재(100)에서 스마트폰(20)을 가압하여 고정하고, 스마트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Step S300 is a step of pressing and fixing the
도 19는 S300 단계를 도시한 순서도이다.19 is a flow chart showing step S300.
도 19를 참조하면, S300 단계는 대기 상태의 S311 단계와, 중량을 감지하는 S312 단계와, 가압바(120)를 작동시켜 스마트폰(20)을 고정시키는 S313 단계와, 스마트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고 충전량을 감지하는 S314 단계와, 충전량과 설정 기준을 비교하는 S315 단계와, 충전량이 설정기준 이하라면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S316 단계와, 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S317 단계와, 감지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에 충전을 오프시키는 S318 단계와, 배터리의 과열을 경보하고 이벤트 정보를 기록 및 송신하는 S319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9, the step S300 includes step S311 in the standby state, step S312 for sensing the weight, step S313 for fixing the
S311 단계는 홀더부재(100)에서 스마트폰(20)의 중량을 감지하기 이전 대기상태이다. 여기서 홀더부재(100)는 시동이 걸리면 전원이 공급되어 스마트폰(20)의 거치를 대기하거나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설치됨에 따라 시동 여부와 상관없이 중량감지센서(170)에서 스마트폰(20)의 거치를 감지할 수 있다.Step S311 is a standby state before sensing the weight of the
S312 단계는 중량감지센서(170)에서 스마트폰(20)을 감지하면, 모터 제어부(150)가 모터(160)를 작동시켜 가압바(120)로 스마트폰(20)을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중량감지센서(170)는 예를 들면, 하우징(110)의 일면과, 받침대(1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스마트폰(20)을 하우징(110)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받침대(130)의 상면에 거치하면, 중량감지센서(170)가 스마트폰(20)의 중량을 감지한다.In step S312, when the
S313 단계는 모터 제어부(150)가 모터(160)를 제어하여 가압바(120)를 구동시키는 단계이다. 가압바(120)는 하우징(110)의 양측면에서 슬라이딩 식으로 이동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스마트폰(20)의 양측단을 가압하여 고정시킨다.Step S313 is a step in which the
여기서 하우징(110)은 가압바(120)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도록 별도의 해제 스위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314 단계는 충전 센싱부(420)에서 하우징(110)에 밀착된 스마트폰(20)의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단계이다.Step S314 is a step of sensing the amount of charge of the battery of the
S315 단계는 충전 제어부(410)가 충전 센싱부(420)에서 감지된 충전량과 설정된 배터리의 충전량을 비교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충전 제어부(410)는 감지된 충전량이 설정된 충전량 이상이면, 스위치부(450)를 오프시켜 컨버터(440)에서 충전부(46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tep S315 is a step in which the charging
S316 단계는 S315 단계에서 충전량이 설정된 충전량 이하일 경우에 컨버터(440)에 충전부(460)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온시키는 단계이다. 따라서 충전부(460)는 스마트폰(20)의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여기서 충전부(460)는 WPC 방식의 충전안테나 또는 USB케이블로 구성되는 충전 커넥터(462)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Step S316 is a step of turning on the power line connected to the
S317 단계는 충전 제어부(410)가 온도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설정온도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온도센서(430)는 하우징(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밀착된 배터리의 온도를 감지한다. 충전 제어부(410)는 온도센서(430)에서 감지된 온도를 설정된 온도와 비교한다.Step S317 is a step in which the charging
S318 단계는 충전 제어부(410)가 충전부(460)를 오프시키는 단계이다. 충전 제어부(410)는 감지된 배터리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일 경우에 스위치부(450)를 제어하여 컨버터(440)부에서 충전부(460)로 연결되는 전원라인을 차단하여 배터리의 과열을 방지한다.Step S318 is a step in which the charging
S319 단계는 충전 제어부(410)가 배터리의 충전 차단 및 과열을 경보하도록 오디오 모듈(221) 및 발광모듈(222)을 제어하고, 이벤트 및 센서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0)으로 송신하는 단계이다.Step S319 is a step in which the charging
즉,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는 스마트폰(2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되, 충전량과 온도를 감지하여 충전전원을 차단할 수 있음에 따라 스마트폰(20)의 과충전 및 과열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400 단계는 서버(30)에서 스마트폰(20)의 이벤트 및 센서 정보가 포함된 주행기록을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완성하고, 빅데이터를 통하여 운전자별 운전 패턴과, 도로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산출하는 단계이다.In step S400, the
먼저, 스마트폰(20)은 거치대(10)로부터 이벤트 및 센서 정보가 수신되면, 현재 활성화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합성하여 주행기록을 생성한다. 즉, 스마트폰(20)의 단말 제어부(21)는 주행기록 생성모듈(21b)이 구동되어 이벤트 및 센서 정보와 네비게이션 모듈(21a)의 네비게이션정보를 합성하여 주행기록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이벤트 및 센서 정보에 포함된 특정 날짜의 시간대에서 차선이탈, 차간거리 경고, 보행자 추돌 경고, 환기유도 경고된 시간을 확인하여 운행구간 중에 해당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First, when event and senso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즉, 주행기록은 날짜와 시간이 포함된 이벤트 및 센서 정보와, 운행기록(출발지점과 목적지, 이동 경로와, 평균속도, 운행시간)이 합성되어 이벤트가 발생된 위치정보까지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스마트폰(20)은 이벤트가 발생된 영상 정보를 포함함도 가능하다.That is, the driving record may include event and sensor information including a date and time, and a driving record (departure point and destination, moving route, average speed, and driving time) to include information on the location at which the event is generated. Alternatively, the
또는 스마트폰(20)은 전용앱 실행모듈(21c)을 구동시켜 거치대(10)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 또는 선택적으로 수신 및 저장하여 블랙박스로서 그 기능을 수행함도 가능하다.Alternatively, the
S400 단계는 서버(30)가 스마트폰(20)에서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생성된 주행기록을 빅데이터화하여 운전자의 운전패턴과 도로 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산출하는 단계이다.Step S400 is a step in which the
예를 들면, 서버(30)의 데이터 수집부(33)는 등록된 다수의 스마트폰(20)으로부터 주행기록을 수집하여 DB(34)에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 수집부(33)는 운전자별과, 도로 구간별 주행기록으로 분류하여 운전자와 도로 구간별로 설정된 주제에 따라 데이터를 분류한다.For example, the
여기서 서버(30)는 인공지능을 탑재함에 따라 빅데이터로부터 각 운전자별 운전패턴과, 도로 구간별 교통상황패턴을 년월일 시간대별로 추출할 수 있다.Here, as the
즉, AI 데이터 처리부(32)부는 DB(34)에 저장된 운전자별 주행기록을 통하여 운전자의 운전습관, 예를 들면, 주행기록을 통하여 과속여부, 차간거리 유지여부, 환기유도 횟수를 통하여 졸음운전 가능성과, 주행 중 평균 휴식시간, 평소 선호하는 도로(예를 들면,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많이 방문하는 장소(도시, 휴게소, 가게, 지역)를 산출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AI
이와 같은 운전 패턴은 운전자에게 운전시 안전을 위하여 주의할 점이나 선호하는 여행 방식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평소 주행 거리에 비하여 이동시간이 타 운전자들에 비하여 짧고, 과속횟수가 많은 운전자에게는 과속을 방지하기 위한 안내 및 경고가 강화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uch a driving pattern enables the driver to be guided by points to be careful about or a preferred travel method for safety while driving. For example, guide information with reinforced guidance and warning for preventing speeding may be provided to a driver whose moving time is shorter than that of other drivers compared to the usual driving distance and has a large number of speeding times.
또는 서버(30)는 평소 이동경로들 중에서 관광지나 휴양지를 경유하여 이동하는 운전자의 스마트폰(20)에게는 네비게이션 모듈(21a)을 통하여 입력된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볼거리나 먹거리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이동경로를 안내한다.Alternatively, the
또한, 서버(30)는 주행기록을 통하여 도로의 각 구간별로 계절별, 월별, 일별, 시간대별 교통상황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도로의 B 구간의 특정 시간대에는 차선이탈 경고 횟수가 많을 경우에 해당 구간에서는 차선이탈 및 졸음 경보를 보다 강화할 수 있고, 차간거리 및 보행자 추돌 경보가 유독 많이 발생되는 구간 및 시간대에는 해당 구간을 우회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은 서버(30)의 운전패턴과 교통상황패턴은 스마트폰(20)의 네비게이션 모듈(21a)과 연계될 수 있다.The driving pattern and traffic condition pattern of the
즉, 본 발명은 거치대(10)를 이용하여 운전 중에 발생되는 차간거리, 차선이탈, 졸음운전, 보행자 추돌, 전방추돌과 같은 이벤트 상황을 경보하고, 이벤트 및 센서 정보와 스마트폰(20)의 네비게이션정보가 합성된 주행기록을 빅데이터하여 인공지능을 이용한 운전패턴 및 도로교통상황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하며,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cope.
10 : 거치대20 : 스마트폰
21 : 단말 제어부21a : 네비게이션 모듈
21b : 주행기록 생성모듈21c : 전용앱 실행모듈
22 : 단말 출력부23 : 단말 통신부
24 : 단말 디스플레이25 : 단말 저장부
30 : 서버31 : 서버 제어부
32 : AI 데이터 처리부32a : 운전자별 패턴 추출모듈
32b : 경로별 패턴 추출모듈33 : 데이터 수집부
34 : DB100 : 홀더부재
110 : 하우징120 : 가압바
130 : 받침대140 : 직립바
150 : 모터 제어부160 : 모터
170 : 중량감지센서180 : 해제 스위치
200 : 환기유도부재210 : 환기유도 제어부
220 : 경보부221 : 오디오 모듈
222 : 발광모듈230 : 이산화탄소 감지센서
240 : 타이머300 : 전방감시부재
310 : 차선이탈 경고부311 : 탐색영역 설정모듈
312 : 차선검출모듈313 : 칼만필터
314 : 차선이탈 감지모듈320 : 전방추돌 경고부
321 : 제1속도 산출모듈322 : 영상 전처리 모듈
323 : 차량검증모듈324 : 차간거리 산출모듈
330 : 보행자 추돌 경고부331 : 제2속도 산출모듈
332 : 보행자 검출모듈340 : 운행기록부
350 : 카메라400 : 충전부재
410 : 충전 제어부420 : 충전 센싱부
430 : 온도센서440 : 컨버터
450 : 스위치부460 : 충전부
461 : 충전 안테나462 : 충전 커넥터
500 : 전원부재600 : 통신부재10: cradle 20: smartphone
21:
21b: driving
22: terminal output unit 23: terminal communication unit
24: terminal display 25: terminal storage
30: server 31: server control unit
32: AI
32b: pattern extraction module for each path 33: data collection unit
34: DB 100: holder member
110: housing 120: pressure bar
130: base 140: upright bar
150: motor control unit 160: motor
170: weight detection sensor 180: release switch
200: ventilation induction member 210: ventilation induction control unit
220: alarm unit 221: audio module
222: light-emitting module 230: carbon dioxide detection sensor
240: timer 300: front monitoring member
310: lane departure warning unit 311: search area setting module
312: lane detection module 313: Kalman filter
314: lane departure detection module 320: forward collision warning unit
321: first speed calculation module 322: image preprocessing module
323: vehicle verification module 324: vehicle distance calculation module
330: pedestrian collision warning unit 331: second speed calculation module
332: pedestrian detection module 340: operation record
350: camera 400: charging member
410: charging control unit 420: charging sensing unit
430: temperature sensor 440: converter
450: switch unit 460: charging unit
461: charging antenna 462: charging connector
500: power member 600: communication member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1887AKR102274046B1 (en) | 2019-11-07 | 2019-11-07 |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smartphone mounting device for vehicle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41887AKR102274046B1 (en) | 2019-11-07 | 2019-11-07 |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smartphone mounting device for vehicle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55848Atrue KR20210055848A (en) | 2021-05-18 |
| KR102274046B1 KR102274046B1 (en) | 2021-07-09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41887AActiveKR102274046B1 (en) | 2019-11-07 | 2019-11-07 |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smartphone mounting device for vehicle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274046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610331A (en)* | 2021-07-13 | 2023-01-17 |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 Support frame an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606136B1 (en)* | 2022-09-26 | 2023-11-23 | 주식회사 랩큐 | Artificial intelligence non-face-to-face mental health care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44717A (en)* | 1994-03-02 | 1995-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hicle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
| KR20090022909A (en) | 2007-08-31 | 2009-03-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Driver's drowsiness prevention device |
| KR20130115313A (en)* | 2010-11-25 | 2013-10-21 | 토마스 부흐할터 |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
| KR101462918B1 (en) | 2013-11-13 | 2014-11-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A Crash Alarm For Roof Rack Using LDWS |
| KR20160100505A (en)* | 2015-02-15 | 2016-08-24 | 김영수 | Detecting and processing system of traffic accident using smart stand |
| US9961306B1 (en)* | 2017-05-22 | 2018-05-01 | Yaron LEV | Smart holder |
| KR20180120353A (en)* | 2017-04-27 | 2018-11-06 | 김수종 |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holder and mobile terminal |
| KR102000923B1 (en) | 2017-08-28 | 2019-10-01 | 우성묵 | Car smart phone hold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7244717A (en)* | 1994-03-02 | 1995-09-19 | Mitsubishi Electric Corp | Vehicle environment recognition device |
| KR20090022909A (en) | 2007-08-31 | 2009-03-04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Driver's drowsiness prevention device |
| KR20130115313A (en)* | 2010-11-25 | 2013-10-21 | 토마스 부흐할터 |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
| KR101462918B1 (en) | 2013-11-13 | 2014-11-2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For Providing A Crash Alarm For Roof Rack Using LDWS |
| KR20160100505A (en)* | 2015-02-15 | 2016-08-24 | 김영수 | Detecting and processing system of traffic accident using smart stand |
| KR20180120353A (en)* | 2017-04-27 | 2018-11-06 | 김수종 | Air purification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holder and mobile terminal |
| US9961306B1 (en)* | 2017-05-22 | 2018-05-01 | Yaron LEV | Smart holder |
| KR102000923B1 (en) | 2017-08-28 | 2019-10-01 | 우성묵 | Car smart phone holder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5610331A (en)* | 2021-07-13 | 2023-01-17 |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 Support frame and vehic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 KR102606136B1 (en)* | 2022-09-26 | 2023-11-23 | 주식회사 랩큐 | Artificial intelligence non-face-to-face mental health care system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274046B1 (en) | 2021-07-09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984922B1 (en) | Method for platooning of vehicles and vehicle | |
| JP6002405B2 (en) | User interface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terminal,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 JP4688981B1 (en) | Sound generator outside the car | |
| KR102368812B1 (en) | Method for vehicle driver assistance and Vehicle | |
| KR20210016761A (en) | Electronic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reof | |
| KR101750159B1 (en) | Assistance Apparatus for Driving of a Vehicle, Method thereof,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
| US20170174129A1 (en) | Vehicular visual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 |
| KR20190001145A (en) | Interface system for vehicle | |
| KR102077113B1 (en) | Traffic sign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cloud | |
| JP2019502183A (en) |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to a vehicle | |
| KR20170082670A (en) | Lamp for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 |
| KR2018009061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a lane | |
| KR101309670B1 (en) | Vehicle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 |
| CN112298022A (en) | Welcome system, method, vehic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CN112298024A (en) | Avoidance reminding system and method, vehic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CN112298016A (en) | High beam warning system, method, vehic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KR20150111468A (en) | System for providing safety information of bicycle using smart device | |
| KR102274046B1 (en) | Safe driving guide system using smartphone mounting device for vehicle | |
| CN112298021A (en) | Environment interaction system, method, vehic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US20250010719A1 (en) | Information presentation method, information presentation device,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 |
| CN113597401B (en) | Smart Connected Instrument Cluster | |
| CN112298020A (en) | Vehicle information display system, method, vehic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CN112298017A (en) | Interactive system, method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 JP4889822B1 (en) | Sound generator outside the car | |
| CN112298023A (en) | Vehicle distance reminding system and method, vehicl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9110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903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1209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0426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0701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10702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501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50602 Start annual number:5 End annual number: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