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가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의류(1)에 내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센서 장치(100)는 의류(1)에 부착된 태그(tag)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의류(1) 내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의류(1)는 내의(underwea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의류(1)는 내의를 포함하여, 상의, 하의 또는 양말 등 사용자가 입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의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이를 외부 장치(200)에게 통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착의하였는지 또는 탈의하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착의하였는지 또는 탈의하였는지를 정전용량(capacitance)의 크기에 기초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탈의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다시 의류(1)를 입지 않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의 착의 또는 탈의 사실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탈의 후 소정의 시간이 흘렀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알림 신호를 제 3 자의 외부 장치(200)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의 외부 장치에게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외부 장치는 서버를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제 3 자의 외부 장치(200)에게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센서 장치(100)가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예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여기에서, 제 3 자의 외부 장치(200)는 다른 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디지털 기기를 의미하고, 예를 들어, 스마트 폰,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랩탑 PC, 테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센서 장치(100)가 제 3 자의 외부 장치(200)에게 알림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 3 자는 사용자가 의류(1)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자의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의 착의 또는 탈의 사실에 대한 정보, 사용자가 탈의 후 소정의 시간이 흘렀다는 정보를 음향, 진동 및/또는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 3 자는 사용자의 의류(1)의 착/탈의 사실 또는 사용자가 탈의 후 소정의 시간이 흘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센서 장치(100)와 제 3 자의 외부 장치(200)가 통신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제1 외부 장치(300)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외부 장치(300)는 의류(1)를 착용하는 사용자의 장치이고, 제2 외부 장치(200)는 사용자가 아닌 제 3 자의 장치이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장치(300) 및 제2 외부 장치(200)는 스마트 폰, 데스크 탑 PC, 노트북 PC, 랩탑 PC, 테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 일 수 있다.
제1 외부 장치(300)는 서버(400)를 통하여 제2 외부 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1 외부 장치(300)는 제2 외부 장치(200)와 직접 통신할 수도 있다. 즉, 제1 외부 장치(300)는 센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신호를 서버(400)에게 전송하고, 서버(400)가 알림 신호를 제2 외부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1 외부 장치(300)는 센서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알림 신호를 제2 외부 장치(200)에게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외부 장치(200)는 제1 외부 장치(300) 또는 서버(400)로부터 전송된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제 3 자에게 사용자가 의류(1)를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사용자가 의류(1)를 탈의한 후 소정의 시간이 흘렀다는 정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장치(200)는 스피커를 통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진동 모터를 통하여 진동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 프로세서(120), 블루투스 모듈(130) 및 배터리(14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의류(1)를 입은 경우, 접촉 패드(111)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된다. 예를 들어, 접촉 패드(111)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함에 따라 변경되는 정전용량의 크기에 따른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접촉 패드(111)는 생성된 신호를 프로세서(120)에게 전송한다. 접촉 패드(111)가 동작하는 예는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장치(100)가 의류(1)에 삽입됨에 따라, 센서 장치(100)는 의류(1)에 부착된 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태그는 일반적인 태그와는 다른 재료로 제작됨으로써,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접촉 패드(111)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패드(111)는 유리(glass)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제작된 기재(substrat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태그의 재료는 니켈(Ni) 또는 은(Ag)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태그에 포함된 문자는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AlH3)를 포함하는 잉크로 프린팅될 수 있다. 패드(1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된 태그의 예들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전도성 섬유(112)는 의류(1)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의류(1)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 전도성 섬유(112)로 제작될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섬유(112)로 제작된 의류(1)에 의할 때,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었는지의 확인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착의 또는 탈의가 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섬유(112)는 섬유 속에 탄소나 금속 등의 전도성 물질을 혼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섬유(112)는 니켈(Ni), 금(Au) 또는 은(Ag) 등의 금속 물질이나 카본 또는 그래파이트 등의 탄소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도성 고무줄(113)은 사용자가 의류(1)를 입음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가 의류(1)에 접촉하고, 의류(1)의 일부가 늘어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1)를 입지 않은 경우, 전도성 고무줄(113)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인 바 일정한 저항 값(예를 들어, 인치 당 약 350Ω)을 갖으나, 사용자가 의류(1)를 입음에 따라 전도성 고무줄(113)이 늘어나면 저항 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전도성 고무줄(113)에 의할 때, 사용자가 의류(1)를 입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도성 고무줄(113)은 의류(1)의 벤드 부분을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전도성 고무줄(113)은 탄소 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은 하나의 센서 모듈로서 동작할 수도 있고, 각각이 별도의 센서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는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이 사용자의 신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별도의 구성(예를 들어, 전극 등)은 기재되지 않았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프로세서(120)는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가 센서 장치(100)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100)가 의류(1)에 삽입되면, 사용자가 의류(1)를 착용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는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20) 신체의 접촉에 따른 정전용량의 크기가 변화함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의류(1)를 착의하였는지 또는 탈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가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130)은 제1 외부 장치(30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의 동작에 의하여 사용자가 의류(1)를 착의 또는 탈의하였는지, 탈의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에 따른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블루투스 모듈(130)는 알림 신호를 제1 외부 장치(300)에게 전송한다.
배터리(140)는 센서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110)는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 블루투스 모듈(130) 및 프로세서(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40)는 리튬이온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배터리(140)는 리튬인산철(LiFePO4) 배터리, 산화 리튬 코발트(LiCoO2) 배터리, 리튬 티탄산염 배터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접촉 패드가 사용자의 신체를 감지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 및 도 4b에는 센서 장치(100)에 포함된 접촉 패드(111) 및 전극들(310, 320)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4a에는 접촉 패드(111)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은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접촉 패드(111)에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서(120)는 접촉 패드(111)에 대상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지 않는 제1 조건 및 접촉 패드(111)에 대상체가 접촉되는 제2 조건에서의 정전용량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대상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대상체가 접촉 패드(111)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전극(310)에서 출력된 전류가 제2 전극(320)으로 수신됨에 따라 생성되는 전하량을 체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가 접촉 패드(111)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를 제1 조건으로 지칭한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대상체가 접촉 패드(111)에 접촉되는 경우, 제1 전극(310)에서 출력된 전류 중 일부가 대상체로 흘러간다. 따라서, 도 4b의 제2 전극(320)으로 수신되는 전류는 도 3a의 제2 전극(320)으로 수신되는 전류와는 다르다. 프로세서(120)는 제1 전극(310)에서 출력된 전류가 제2 전극(320)으로 수신됨에 따라 생성되는 전하량을 체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상체가 접촉 패드(111)에 접촉되는 경우를 제2 조건으로 지칭한다.
프로세서(120)는 제1 조건에서의 전하량 및 제2 조건에서의 전하량의 차이에 따라 대상체가 접촉 패드(111)에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프로세서(120)는 피크(peak)의 비교하는 방식을 통하여 대상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조건에서의 전하량에 비하여 제2 조건에서의 전하량이 증가되면 피크가 감소되는 원리를 통하여 대상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로세서(120)는 주파수 변환 방식을 통하여 대상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제1 조건에서의 전하량에 비하여 제2 조건에서의 전하량이 증가되면 주파수가 낮아지는 원리를 통하여 대상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의류 내에서 센서 장치가 삽입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a 및 도 5b에는 센서 장치(100)가 의류에 부착된 태그로 구현된 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센서 장치(100)는 의류(특히, 속옷)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센서 장치(100)는 의류에 부착된 태그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태그는 일반적인 의류에 부착된 태그와는 다른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센서 장치(100)는 태그(510)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태그(510)는 니켈(Ni) 또는 은(Ag)을 포함하여 제작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류의 태그는 비전도성 물질의 섬유를 직조하여 제작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태그(510)의 재료로 니켈(Ni) 또는 은(Ag)을 추가함으로써, 태그(510)는 센서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510)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의함에 따른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태그(520)에 포함된 문자 기타 도형(521)은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AlH3)를 포함하는 잉크로 프린팅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류의 태그에 프린팅된 문자 기타 도형은 비전도성 잉크로 프린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문자 기타 도형(521)이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AlH3)를 포함하는 잉크로 프린팅됨으로써, 태그(520)는 센서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태그(520)는 사용자가 의류를 착의함에 따른 신체의 접촉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상술한 예가 조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태그의 재료로서 니켈(Ni) 또는 은(Ag)이 추가되고, 태그에 포함된 문자 기타 도형이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AlH3)를 포함하는 잉크로 프린팅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의류의 태그로서 초경량형 센서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의류를 착용하더라도 이질감이나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된다.
도 6은 센서 장치의 전도성 고무줄이 동작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의류(1)의 밴드 부분이 전도성 고무줄(113)로 구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의류(1)를 입지 않은 경우, 전도성 고무줄(113)은 늘어나지 않은 상태인 바 일정한 저항 값을 갖는다. 한편, 사용자가 의류(1)를 입음에 따라 전도성 고무줄(113)이 늘어나면 저항 값이 증가한다. 따라서, 전도성 고무줄(113)에 의할 때, 사용자가 의류(1)를 입었는지 여부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가 동작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 장치(100) 가 동작하는 예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것이라도,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 장치(100) 에 대한 내용은 도 7의 흐름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71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입은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됨에 따라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이 생성한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류(1)를 입은 것을 감지할 수 있다.
72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벗은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의 신체의 접촉이 해제됨에 따라 접촉 패드(111), 전도성 섬유(112), 전도성 고무줄(113)이 생성한 정전 용량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의류(1)를 벗은 것을 감지할 수 있다.
73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벗은 후에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가 의류(1)를 벗은 후에 소정의 시간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의류(1)를 벗은 후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지나도록 의류(1)를 다시 입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가 생리 현상의 해결을 위하여 의류(1)를 벗은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74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0)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블루투스 모듈(130)을 통하여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치의 동작에 따라 제2 외부 장치에서 알림 신호가 출력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들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흐름도들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 장치(100), 제1 외부 장치(300), 서버(400) 및 제2 외부 장치(200)가 동작하는 예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것이라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센서 장치(100), 제1 외부 장치(300), 서버(400) 및 제2 외부 장치(200)에 대한 내용은 도 8 및 도 9의 흐름도들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81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와 제1 외부 장치(300)는 상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1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130)과 제1 외부 장치(3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이 페어링 됨으로써, 센서 장치(100)와 제1 외부 장치(3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82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인체의 접촉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의류(특히, 속옷) 내에 삽입된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착의함으로써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은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될 수 있다.
83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 후에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840 단계 내지 860 단계에서, 알림 신호는 센서 장치(100) → 제1 외부 장치(300) → 서버(400) → 제2 외부 장치(200)의 순서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제1 외부 장치(300)는 센서 장치(100)가 삽입된 의류를 입은 사용자의 장치이고, 제2 외부 장치(200)는 제 3 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알림 신호가 장치들 사이에 전달되는 과정은 통상적인 무선 통신의 과정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870 단계에서, 제2 외부 장치(200)는 알림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제2 외부 장치(200)는 스피커를 통하여 사운드를 출력하거나, 진동 모터를 통하여 진동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과 도 8을 비교하면, 도 9의 흐름도에는 서버(400)가 생략되어 있다. 다시 말해, 서버(400)의 관여 없이, 제1 외부 장치(300)는 제2 외부 장치(20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알림 신호는 제1 외부 장치(300)에서 제2 외부 장치(200)로 직접 전송 될 수 있다.
91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와 제1 외부 장치(300)는 상호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1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130)과 제1 외부 장치(300)에 포함된 블루투스 모듈이 페어링 됨으로써, 센서 장치(100)와 제1 외부 장치(300)가 상호 연결될 수 있다.
92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인체의 접촉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센서 장치(100)는 의류(특히, 속옷) 내에 삽입된 경우, 사용자가 의류를 착의함으로써 센서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의 신체가 접촉되는 것은 정전 용량의 변화에 기초하여 감지될 수 있다.
930 단계에서, 센서 장치(100)는 알림 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센서 장치(100)의 프로세서(120)는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기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 후에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940 단계 및 950 단계에서, 알림 신호는 센서 장치(100) → 제1 외부 장치(300) → 제2 외부 장치(200)의 순서로 전달된다. 여기에서, 제1 외부 장치(300)는 센서 장치(100)가 삽입된 의류를 입은 사용자의 장치이고, 제2 외부 장치(200)는 제 3 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한편, 알림 신호가 장치들 사이에 전달되는 과정은 통상적인 무선 통신의 과정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의 이전 설명은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수행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된 실시형태들로 제한하려고 의도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성들에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허여하려는 것이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