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병원에서 환자에게 정맥주사시 사용하는 주사기 형태의 정맥주사용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약액을 주사한 이후에 주사니들이 형성된 챔버를 혈관에 카테터 니들로 연결되어 있는 허브로부터 분리하더라도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맥주사용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theter for intravenous injection in the form of a syringe used for intravenous injection to a patient in a hospital, and even if the chamber in which the injection needle is formed is separated from the hub connected to the blood vessel by the catheter needle after the injection of the drug solution, the blood flows backward. It relates to an intravenous catheter that can be prevented.
일반적으로 정맥주사용 카테터는 병원에서 환자의 정맥 내로 약물이나 수액, 혈액 등(이하 '약액'이라함)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한다.In general, an intravenous catheter is used in hospitals to supply drugs, fluids, blood,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medical solutions') into a patient's vein.
정맥 주사용 카테터의 구조는 카테터 니들이 형성된 허브와 주사니들이 형성된 챔버가 분리구성되는 것으로, 주사니들은 환자의 피부를 뚫고 들어감으로써 카테터 니들이 환자의 혈관에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카테터 니들이 환자의 정맥에 연결된 이후에는 허브로부터 챔버가 분리되어 폐기되고, 약액 공급관을 연결하여 약액을 공급한다.The structure of the intravenous catheter is that the hub with the catheter needle and the chamber with the needle are separated.The needle penetrates the patient's skin and guides the catheter needle to enter the patient's blood vessel, and the catheter needle guides the patient's veins. After being connected to, the chamber is separated from the hub and discarded, and the chemical solution is supplied by connecting a chemical solution supply pipe.
이러한 정맥주사용 카테터의 경우, 허브로부터 챔버를 분리한 이후에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을 연결해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챔버를 분리하면 혈액이 역류하기 때문에 주사자는 카테터 니들을 손으로 막아서 누른 상태에서 혈액 역류를 차단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약액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을 연결한다.In the case of such an intravenous catheter, after the chamber is separated from the hub, a supply pipe for supplying the chemical solution must be connected.When the chamber is disconnected in the process, blood flows back, so the injector blocks the catheter needle and presses it. Connect the supply pipe to supply the chemical solution with the other hand while blocking the blood backflow.
즉, 허브로부터 챔버를 분리하면 혈액이 역류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주사가 여렵고, 환자에게 신속한 대처가 필요한 응급상황에서도 주사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That is, when the chamber is separated from the hub, there is a problem in that blood flows back, so injection is diffic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jection time is delayed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requiring rapid response to the patient.
뿐만 아니라, 혈액을 차단하는 과정에서 해당 신체부위에 통증을 느끼게 되는 문제는 물론, 혈액차단이 정확하게 이루어지 않으면 혈액이 새나오면서 응고가 시작되고, 응고상태의 혈액이 재주입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blocking blood, there is a problem that pain is felt in the body part. If blood blocking is not done correctly, blood leaks and coagulation start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lood in the coagulated state may be reinjected. Needs improvement.
따라서 최근에는 위와 같이 허브 자체에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prevent the backflow of blood to the hub itself as described above.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43163호에서 허브 내부에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방안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제조과정에서 허브 내에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체크밸브의 위치를 고정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면 유해물질이 혈액속으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43163 has proposed a method to prevent blood from flowing backward by installing a check valve inside the hub, but this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check valve in the hub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ix the position of the check valve, and if an adhesive is used to fix it, there is a concern that harmful substances may flow into the bloo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13호에서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물질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감염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체크밸브 구조를 2중으로 차단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66713,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check valve structure is formed to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check valve structure is double-blocked in order to prevent an infection accident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foreign substances to prevent the backflow of blood. A plan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역류방지 구조는 상기와 같이 체크밸브를 정위치에 삽입하기 위한 제조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거나, 또는 그 조립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하기 때문에 내부 구조설계가 복잡해지고, 제조공정이 늘어나게 되므로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며,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the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difficult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inserting the check valve into the correct position as described above, or because the assembly structure is too complex, the internal structure desig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increases, so productivity This is very 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또한, 구성의 복잡함에 비하여 기밀성이 떨어지며,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각 부품의 정밀도를 높여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작업성이 떨어지고, 사용상 불편을 초래한다.In addition, the airtightness is inferior compared to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and since the precision of each component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the airtightness,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workability is deteriorated due to the complexity of the structure, and the use of it is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혈액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조가 용이하도록 하고, 주사니들이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의 정위치에 삽입되어 정밀한 밸브 동작에 의하여 혈액 역류를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simplifies the structure for preventing blood backflow to facilitate manufacturing, and the injection needle is inserted in the correct position of the means for blocking backflow, and blood backflow by precise valve operation It was designed to be able to effectively suppress it.
또한, 역류 차단 수단이 비틀림 없이 허브 내에 삽입되도록 하고 높은 압력에도 기밀성을 유지하여 감염우려가 없이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backflow block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hub without twisting, and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even under high pressure, so that stable use is possible without fear of infec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일단에 카테너 니들이 구비되고 타단이 개방되어 수용공간을 갖는 카테터 허브와, 카테터 허브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카테너 니들을 관통하는 주사니들이 일단에 구비되는 챔버와, 상기 카테터 허브에 수용되되 챔버가 카테터 허브로부터 인출시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역류방지수단은 수용공간의 내경에 밀착되는 연질의 밸브본체 및 밸브본체에 삽입되는 가이드로 구성되어 밸브본체에 의하여 혈액 역류를 방지하면서 가이드에 의하여 주사니들의 정위치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밸브본체는 카테터 니들을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개폐부와 개폐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역류 방지구조를 갖고 가이드에는 주사니들의 정중앙 삽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가이드를 형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idea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atheter hub provided with a catheter needle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pen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and a syringe needl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catheter hub to penetrate the catheter needle at one end. And a backflow preventing means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atheter hub and prevents backflow of blood when the chamber is withdrawn from the catheter hub, and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is a soft valve body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It is composed of a guide inserted into the valve body to prevent the backflow of blood by the valve body and to assemble the injection needle in position by the guide, and the valve body is an opening and closing part protruding forward toward the catheter needle and an incision formed 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t has a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by a part, and a guide is formed in the guide in order to induce the insertion of the injection needle in the center.
또한, 역류방지수단을 카테터 허브에 삽입할 때 개폐부 또는 절개부에 압력이 작용하여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밸브본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되게 가압테를 형성하여 가압테가 카테터 허브의 수용공간 내경에 밀착되어 실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가압테를 복수로 구성하면서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밸브본체를 카테터 허브에 삽입할 때 기울어짐이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정위치에 삽입되어 정밀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inserting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into the catheter hub, in order to prevent twisting due to the pressure acting on the opening or closing portion or the incision, a pressurization frame is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valve body. When the valve body is inserted into the catheter hub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receiving space to ensure sealing, and the pressing frames are arranged at a distance, it is inserted in the correct position while maintaining the horizontal state without inclination when inserting the valve body into the catheter hub. It was made to be done.
본 발명의 혈액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정맥주사용 카테터에 의하면, 주사후 챔버를 허브로부터 분리하더라도 혈액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역류방지 구조가 기밀성을 갖도록 되므로 혈액이 새나오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여 외부환경에 노출된 혈액이 재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travenous catheter having a blood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hamber is separated from the hub after inje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ackflow of blood, and the backflow prevention structure is made to have airtightness, so that the leakage of blood is completely prevented. By blocking, blood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introduced.
또한, 역류방지수단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므로 작업성 향상은 물론, 생산성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ucture of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is very simple and easy to assemble, it is expected to improve workability as well as increase productivity.
또한, 카테터 조립과정에서 카테터 허브와 챔버의 주사니들의 표면 윤활코팅이 제거되지 않으므로 주사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잔류하는 윤활코팅에 의하여 챔버 인출이 더욱 부드럽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since the lubrication coating on the surface of the catheter hub and the injection needle of the chamber is not removed during the catheter assembly process, pain during injection can be minimized, and the withdrawal of the chamber is made smoother by the remaining lubricating co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정맥주사용 카테터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맥주사용 카테터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와 역류방지수단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8는 본 발명의 챔버가 카테터 허브로부터 이탈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에 공급관이 연결되어 약액이 투여되는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는 본 발명의 카테터 허브와 챔배의 조립구조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intravenous cathe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atheter for intravenous inj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atheter hub and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is a state diagram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the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catheter hub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drug solution is administered by connecting a supply pipe to the catheter hub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n assembly structure diagram of the catheter hub and the cha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약액을 주입할 때 유로흐름이 발생하는 진행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그 반대 방향인 혈액이 역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emplary embodiments.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a chemical solution is injected, the direction in which flow path flow occurs is referred to as'forward', and the direction in which blood flows backward, which is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rear'.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혈액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정맥주사용 카테터의 구조를 나타낸다.1 and 2 show the structure of an intravenous catheter having a blood reflux prevention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카테터 허브(100)는 일단에 카테터 니들(120)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개방된 상태의 수용공간(140)이 형성된다.1 and 2, the
카테터 니들(120)은 후술하는 주사니들(220)에 안내되어 환자의 혈관으로 유입되며, 주사니들(220)이 이탈된 이후에 약액의 공급을 위한 공급관(100a)이 연결되면 혈관 내에 삽입된 카테터 니들(120)을 통하여 지속적인 약액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카테터 니들(120)은 연질의 튜브체로 구성되될 수 있으며, 카테터 허브(100)은 상대적으로 경질체로 제작하고 카테터 니들(120)은 연질의 튜브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형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의 고정을 위하여 수용공간에는 카테터 니들(120)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재가 더 내장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카테터 니들(120)을 구성하는 튜브체가 탄력있고 휘어지기 때문에 왠만한 움직임에도 혈관내 링거가 잘 투여되며, 공급관이 건드려져 움직임 되는 경우에도 튜브체가 유연성있게 움직임 되면서 환자에게 지속적인 약액을 공급하고, 외력에 의한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because the tubular body constituting the
상기 카테터 허브(100)의 수용공간(140)에는 챔버(200)가 삽입되며, 챔버(200)에는 약액 주사를 위한 주사니들(220)이 구비된다.The
주사니들(220)은 챔버(200)가 카테터 허브(100)에 삽입될 때 카테터 니들(120)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주사니들(220)은 카테터 니들(120)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선단부가 카테터 니들(120)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구성된다.The
따라서 카테터 허브(100)에 챔버(200)를 삽입한 상태에서 환자에게 주사하면 주사니들(220)이 피부를 파고들어 혈관으로 꽂히게 되며, 이때 카테터 니들(120)이 주사니들(220)과 함께 안내되어 혈관에 삽입된다.Therefore, when the
정맥주사용 카테터는 수혈이나 링거와 같이 지속적으로 약액을 투여하여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주사기를 이용하여 약액을 1회성으로 투여한 이후에도 위와 같이 카테터 허브(100)를 매개로 하여 혈관 연결상태를 지속함으로써 카테터 허브(100)에 공급관(100a)만을 연결하여 지속적인 약액 공급이 이루어진다.The intravenous catheter is used when a drug solution must be continuously administered, such as blood transfusion or Ringer, and the state of blood vessel connection is maintained through the
그리고 이 과정에서는 주사기, 더욱 상세하게는 주사니들(220)이 형성된 챔버(200)를 제거하는 과정이 수반된다.In addition, in this process, a process of removing the
그리고 이렇게 챔버(200)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혈액의 역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차단하기 위하여 역류방지수단(300)이 카테터 허브(100)의 수용공간(140)에 내장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withdrawing the
그리고 챔버(200)는 정확한 혈관위치에 주사가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주사니들(220)에 혈관에 정확하게 주사가 이루어진 상태라면 혈액이 주사니들을 경유하여 역류하면서 챔버(200)에 맺히게 되므로 주사자가 정위치 주사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챔버(200)를 카테터 허브(100)로부터 분리시키면 역류방지수단(300)에 의하여 혈액 역류가 방지된다.Therefore, if the
즉, 챔버(200)가 카테터 허브(100)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주사니들(220)이 역류방지수단(300)을 관통하여 혈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혈액 역류가 발생하여 주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챔버(200)를 카테터 허브(100)로부터 분리하면 역류방지수단(300)이 차단되면서 혈액이 후방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at is, in a state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수단(300)은 챔버(200)를 분리할 때 뿐 아니라, 이후 약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공급관(100a)을 연결한 상태에서 공급관(100a)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혈액 역류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도록 된다.The
이하, 역류방지수단(30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backflow preventing means 3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역류방지수단(300)은 카테터 허브 수용공간(140)의 내경에 밀착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연질의 밸브본체(320)와, 주사니들의 삽입경로를 안내하는 경질의 가이드(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3,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diameter of the catheter
밸브본체(320)는 약액공급을 위한 배출로(322)와, 상기 카테터 니들을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개폐부(324)와, 개폐부(324)의 중앙에 유로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절개부(326)가 마련된다.The
상기 배출로(322)에는 가이드(340)가 삽입되며, 가이드(340)가 삽입된 상태에서 약액 흐름이 방해되지 않도록 내벽이 일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로(322)의 내벽에는 단턱이 구성될 수 있다.A
상기 개폐부(324)는 주사니들(220)은 출입시키되 카테터 니들(120)로부터 역류해 들어오는 혈액을 차단하기 위하여 선단이 밀폐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돔 형상의 개폐부(324) 중앙에 일자 또는 십자형으로 절개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또한, 상기 배출로(322)에 삽입되는 가이드(340)에는 주사니들(220)의 정중앙 삽입을 유도하기 위하여 경사면(34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로(322)에도 이에 대응하는 기울기로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가이드(340)의 경사면(342)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도록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테이퍼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주사니들(220)이 삽입될 때 어느 일측으로 편심되더라도 경사면을 타고 정중앙으로 삽입되도록 유도될 수 있으며, 가이드(340)가 금속 등의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표면에 스크래치가 발생하지 않고 주사니들의 안내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가이드(340)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점차 좁아지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형태, 즉 확관부로 구성되는 후방의 테두리 선단부를 카테터 허브(100)의 내경과 수평으로 밀착되게 절단면(344)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340)와 카테터 허브(100) 내경과 연접부위에 단턱이 발생하지 않고 주사니들을 삽입할 때 걸리는 부위가 없이 삽입유도가 이루어진다.At this time, the
한편, 상기 상기 주사니들(220)은 주사시 환자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윤활제에 함침되어 윤활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주사니들(220)의 외측 표면에만 윤활코팅이 잔류하고 내측 표면에 도포된 윤활코팅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사니들의 관통된 내경으로 에어를 주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에어가 주입되는 상태 그래도 챔버(200)를 카테터 허브(100)에 조립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되면서 에어가 역류방지수단(300)의 절개부(326)를 벌려서 주사니들(22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주사니들의 외측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윤활코팅이 손상되지 않고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그리고 주사시 윤활체로 인하여 환자가 통증을 덜 느끼게 되며, 챔버를 분리할 경우에도 환자 피부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의 윤활코팅에 의하여 챔버의 초기인출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atient feels less pain due to the lubricating material during injection, and even when the chamber is separated, the initial withdrawal of the chamber is made easier by the lubricating coating of the part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patient's skin.
한편, 상기 역류방지수단(300)은 밸브본체(320)가 연질체로 이루어지므로 카테터 허브(100)의 수용공간(140)에 삽입할 때 압력에 의한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Meanwhile, since the
즉, 역류방지수단(300)을 카테터 허브(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기밀성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실링이 매우 중요한데, 밸브본체(320)의 외경과 수용공간(140)의 내경의 끼움 조립이 빡빡하게 구성될수록 더욱 강한 압력으로 삽입하여야 하고, 이로 인하여 밸브본체(320)의 외형이 비틀어짐은 물론, 개폐부(324)의 형상이 틀어지거나, 절개부(326)의 맞물림 상태가 벌어져 기밀성이 저하될 수 있다.That is, sealing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maintain high airtightness in a state where the backflow prevention means 300 is inserted into the
따라서 밸브본체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서 돌출 형성된 가압테(328)를 형성하면 역류방지수단(300)을 카테터 허브(100)에 삽입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테(328)가 수용공간(140)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실링이 이루어지므로 밸브본체(320)의 형상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이때, 상기 가압테(328)는 복수의 가압테가 구성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서로 이격되게 제1가압테(3281)와 제2가압테(3282)를 배치함으로써 밸브본체(320)를 카테터 허브(100)에 삽입할 때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정위치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100: 카테터 허브120: 카테터 니들140: 수용공간
200: 챔버220: 주사니들
300: 역류방지수단
320: 밸브본체322: 배출로324: 개폐부
326: 절개부328: 가압테
340: 가이드342: 경사면344: 절단면100: catheter hub 120: catheter needle 140: accommodation space
200: chamber 220: injection needle
300: backflow prevention means
320: valve body 322: discharge path 324: opening and closing part
326: incision 328: pressurized frame
340: guide 342: inclined surface 344: cut surfa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34139AKR20210049621A (en) | 2019-10-25 | 2019-10-25 | Intravenous catheters with blood backflow prevention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34139AKR20210049621A (en) | 2019-10-25 | 2019-10-25 | Intravenous catheters with blood backflow prevention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49621Atrue KR20210049621A (en) | 2021-05-06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34139ACeasedKR20210049621A (en) | 2019-10-25 | 2019-10-25 | Intravenous catheters with blood backflow prevention |
| Country | Link |
|---|---|
| KR (1) | KR20210049621A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69728A (en) | 2021-11-12 | 2023-05-19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Vascular puncture system and vascular puncture method |
| KR20230114993A (en)* | 2022-01-26 | 2023-08-02 | 한성욱 | Iv catheter |
| KR20240128477A (en) | 2023-02-17 | 2024-08-26 | 김성욱 | Improved catheter |
| KR102843744B1 (en)* | 2025-01-23 | 2025-08-07 | (주)메디퍼스트 | Catheters to prevent backflow of blood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30069728A (en) | 2021-11-12 | 2023-05-19 |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 Vascular puncture system and vascular puncture method |
| KR20230114993A (en)* | 2022-01-26 | 2023-08-02 | 한성욱 | Iv catheter |
| KR20240128477A (en) | 2023-02-17 | 2024-08-26 | 김성욱 | Improved catheter |
| KR102843744B1 (en)* | 2025-01-23 | 2025-08-07 | (주)메디퍼스트 | Catheters to prevent backflow of blood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2862025B1 (en) | Syringe-based delivery devices for vascular access devices | |
| KR20210049621A (en) | Intravenous catheters with blood backflow prevention | |
| JP4794463B2 (en) | Positive pressure flushing syringe | |
| RU2742869C2 (en) | Intravenous catheter with safety function and pressure controlled valve element | |
| US10744314B2 (en) | Medical valve with improved back-pressure sealing | |
| JP2888990B2 (en) | Implantable access device | |
| US5453097A (en) | Control of fluid flow | |
| AU653662B2 (en) | Implantable infusion device | |
| JP4809334B2 (en) | Catheter head with movable connector | |
| US6689109B2 (en) | Positive flow generator for indwelling medical fluid systems | |
| JPH07303697A (en) | Port cannula device | |
| US20060015074A1 (en) | Catheter flushing fluid lock system and method | |
| US20170319822A1 (en) | Intravenous Catheter Assembly | |
| EP2168619A2 (en) | Device for interfacing with standard luer lock syringes | |
| KR20220016118A (en) | Catheter Assemblies with Infusion Ports and Associated Methods | |
| CN112023181A (en) | Disposable continuous positive pressure remaining needle | |
| KR20230041742A (en) | Vascular Access Devices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 |
| JP2024023657A (en) | Low tensile septa for catheter systems | |
| KR200256333Y1 (en) | needle assembly for use with intravascular introducers | |
| CN216986002U (en) | Vascular access device | |
| KR200320341Y1 (en) | IV catheter for flowing backward prevention of blood | |
| CN112074319B (en) | Implantable access device for accessing the vascular system of a human or animal body | |
| KR102843744B1 (en) | Catheters to prevent backflow of blood | |
| JP3137360B2 (en) | Chemical injection port | |
| KR100517200B1 (en) | Reversible vein resin needle set for onetime use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8-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U-3-3-T10-T11-oth-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