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차고지가 없는 대중교통(마을버스, 통근 버스, 기타)의 승무사원에 대해 차량에 구비된 버스 운전자 단말기에서 음주 측정기와 연동하여 음주 측정을 하고, 그 음주 측정 결과 음주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만 대중교통의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and in particular, for crew members of public transport (town buses, commuter buses, etc.) without a separate parking lot, in connection with a breathalyzer in a bus driver terminal provided in a vehic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which promotes safe driving by allowing the operation of public transport only in a situation where alcohol is not consumed as a result of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음주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는 대형 사고로 이어지므로, 음주운전으로 인한 사고 및 피해의 심각성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나, 음주운전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Since traffic accidents caused by drunk driving lead to large-scale accidents, the severity of accidents and damages caused by drunk driving is continuously promoted, but drunk driving has not decreased.
특히, 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운전하는 승무사원은 본인만이 아니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생명까지도 책임져야 하므로, 더욱 음주운전을 차단해야 한다.In particular, because the crew member who drives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bus is responsible for the lives of users who use public transportation as well as himself, it is necessary to further block drunk driving.
한편, 우리나라에서 음주운전이 매우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경찰의 단속만으로 음주운전을 줄이는 것은 단기간의 대책에 불과하다. 더욱이 상습적·만성적 음주운전자에게 이러한 억제수단은 별다른 효과가 없다. 경찰이 지속적으로 음주 운전을 단속한다 하더라도, 운전자가 막상 술을 마시면 자기 자신도 모르게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이 사라져 버리기에, 결국은 음주운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drunk driving is very common in Korea, but reducing drunk driving only by police crackdown is only a short-term countermeasure. Moreover, these deterrent measures have little effect on habitual and chronic drunk drivers. Even if the police continue to crack down on drunk driving, if a driver drinks alcohol, the awareness about drunk driving disappears without knowing it, and in the end, he drives drunk.
일반적으로, 대중교통의 음주측정을 통한 차량 관제시스템은, 음주측정시스템을 별도의 장소(예를 들어, 차고지 사무소)에서 운영하는 데, 마을버스나 통근 버스와 같이 별도의 차고지가 없는 대중교통은 차량의 운행 출발지가 일정하지 않아서 별도의 장소에 마련된 음주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관제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general, the vehicle control system through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operates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system in a separate place (for example, a garage office), and public transportation without a separate garage such as a village bus or commuter bu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vehicle using a drinking measurement system provided in a separate location because the starting point of the vehicle is not constant.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05968호에는 운전자가 음주 측정기에 신체를 접촉시키면 측정되는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고, 음주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만 차량의 변속 레버를 언록킹시켜 차량의 음주 운전을 방지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05968 states that the driver's drinking alcohol is checked using biometric information that is measured when the driver touches the body of the breathalyzer, and the vehicle is drunk driving by unlocking the shift lever of the vehicle only when not drinking Prevent.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운전자를 식별하지 않은 상태에서 음주 측정을 수행하므로, 음주를 하지 않은 타인이 음주 측정을 대신하고 실제 음주를 한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경우에, 음주 운전을 예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is prior art performs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without identifying the driver, when the driver who has actually drunk instead of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and the driver who has actually drunk drives the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event drunk driving. hav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대중교통 음주 측정 및 차량 관제시스템 및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차고지가 없는 대중교통(마을버스, 통근 버스, 기타)의 승무사원에 대해 차량에 구비된 버스 운전자 단말기에서 음주 측정기와 연동하여 음주 측정을 하고, 그 음주 측정 결과 음주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만 대중교통의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하도록 한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general public transport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and vehicle control system and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crew of public transport (town bus, commuter bus, etc.) without a separate parking lot. For employees,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a breathalyzer at the bus driver's terminal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s a result of the alcohol consumption, the public transport is operated only in a situation where they do not drink alcohol to promote safe driv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traffic control system.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주를 하지 않은 타인이 음주를 한 승무사원을 대신하여 음주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한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a drink measurement that prevents another person who does not drink alcohol from performing a drink measurement on behalf of a crew member who has consumed alcoho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은, 차량에 구비되어 음주측정 대상 승무사원을 인식하고, 인식한 승무사원의 음주측정 정보를 기초로 음주 유무를 판단하며, 음주시 차량장치와 연동하여 차량 운행을 제어하는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에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승무사원 음주측정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음주측정 정보를 승무사원별로 통계처리하여 대타 음주측정을 방지하는 관제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ublic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alcohol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crew member who is provided in a vehicle to measure alcohol consumption, and based on the recognized crew member's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nformation. A crew drink measurement system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drinking alcohol is present and controls vehicle operation by interlocking with a vehicle device when drinking alcohol; Control that provides driving information to the flight attendant drink measurement system, stores the flight attendant drink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light attendant breath measurement system, and statistically processes the stored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flight attendant to prevent pinch-to-blow alcohol consump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rver.
상기에서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은 운전자를 인식하면 음주 측정기를 동작시키며, 상기 음주 측정기를 통해 획득한 운전자의 음주측정 정보를 기초로 음주 유무를 판단하며, 음주시 차량 장치와 연동하여 차량 운행을 제어하고 음주측정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에 전송하는 버스 운전자 단말기;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며, 운전자로부터 측정한 음주 측정 정보를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음주 측정기를 포함하고,In the above, the flight attendant breathalyzer system operates the breathalyzer when it recognizes the driver, determines the presence of alcohol based on the driver's breathalyzer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breathalyzer, and controls the vehicle operation by interlocking with the vehicle device when drinking. A bus driver terminal for transmitting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An opera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bus driver terminal, and includes a breathalyzer measuring information measured by the driver to the bus driver terminal,
상기 음주 측정기와 버스 운전자 단말기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음주측정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eathalyzer and the bus driver terminal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transmit and receive breathalyzer information through wired communication or wireless communication.
상기에서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은 승무사원이 태깅하는 사원카드를 판독하여 승무사원의 ID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승무사원의 ID 정보를 운전자 인식정보로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버스 승차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flight attendant drink measurement system reads the employee card tagged by the flight attendant to obtain the ID information of the flight attendant, and transmits the acquired ID information of the flight attendant to the bus driver terminal as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상기에서 버스 운전자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승무사원 ID를 통해 운전자를 인식하거나 상기 버스 승차 단말기에서 전송된 승무사원의 ID 정보를 통해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부; 상기 운전자 인식부에 의해 운전자가 인식되면 음주 측정기를 동작시키는 음주 측정기 제어부; 음주 측정기에서 전송되는 음주 측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관제 서버에서 전송되는 버스 운행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관제 서버로 승무사원 음주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bus driver terminal may include a driver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a driver through an ID of a crew member input through an input unit or for recognizing a driver through ID information of a crew member transmitted from the bus boarding terminal; A breathalyzer control unit operating a breathalyzer when a driver is recognized by the driver recogni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the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breathalyzer, receiving the bus oper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server, or transmitting the crew drink measurem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 server.
상기에서 버스 운전자 단말기는 수신한 음주 측정정보를 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 음주 측정정보와 음주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음주 유무를 판단하는 음주 판단부; 음주 판단부에 의해 음주로 판단되면 차량장치 연동부를 통해 차량 장치에 차량관제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차량 운행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bus driver terminal includes a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received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nformation i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A drinking determination unit that compares the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with reference data for determin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lcohol consump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drinking is drunk by the drinking determination unit,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stopping vehicle operation by transmitting vehicl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to the vehicle device through the vehicle device linkage.
상기에서 관제서버는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음주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 상기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음주측정 정보를 승무사원별로 통계 처리하여 승무사원별 대타 음주측정 방지를 위한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음주측정정보 통계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 the control server includes a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light attendant drinking measurement system;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atistics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nd storing the history information for preventing the pinch drinking measurement for each crew member by statistically processing the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ored in the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each crew member.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차고지가 없는 대중교통(마을버스, 통근 버스, 기타)의 승무사원에 대해 차량에 구비된 버스 운전자 단말기에서 음주 측정기와 연동하여 음주 측정을 하고, 그 음주 측정 결과 음주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만 대중교통의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차고지가 없는 대중교통에 대해서도 음주측정 기반 관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crew members of public transport (town buses, commuter buses, etc.) without a separate parking lot, alcohol consumption is measured by interlocking with a drink meter at a bus driver terminal provided in the vehicle, and as a result of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alcohol consumption is not allow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alcohol monitoring-based control even for public transportation without a parking lot by allowing public transportation to be operated only in situations where there is no parking lo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주를 하지 않은 타인이 음주를 한 승무사원을 대신하여 음주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fundamentally preventing another person who does not drink alcohol from performing alcohol consumption on behalf of a crew member who has consumed alcoho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버스 운전자 단말기의 실시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의 관제 서버의 실시 예를 보인 블록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us driver terminal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the control server of FIG.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should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equivalents that can replace them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로서,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 차량 장치(300) 및 관제 서버(200)를 포함한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alcohol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crew drink measurement system 100, a
여기서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과 차량 장치(300)는 차량에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crew drink measurement system 100 and the
차량 장치(300)는 CAN 통신이나 기타 유선 통신을 통해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과 통신을 하며, 차량관제 요청정보를 수신하면 변속 레버를 록킹하는 것과 같은 제어를 통해 차량 운행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량 장치(300)는 차량에 통상적으로 구비된 차량제어장치(ECU)를 이용할 수 있다.The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은 차량에 구비되어 음주측정 대상 승무사원을 인식하고, 인식한 승무사원의 음주측정 정보를 기초로 음주 유무를 판단하며, 음주시 차량장치(300)와 연동하여 차량 운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flight attendant drinking measurement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vehicle to recognize the flight attendant subject to alcohol consumption, and determines the presence of alcohol based on the recognized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flight attendant, and interlocks with the
이러한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은 운전자를 인식하면 음주 측정기(110)를 동작시키며, 상기 음주 측정기(110)를 통해 획득한 운전자의 음주측정 정보를 기초로 음주 유무를 판단하며, 음주시 차량 장치(300)와 연동하여 차량 운행을 제어하고 음주측정 정보를 상기 관제 서버(200)에 전송하는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의 제어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며, 운전자로부터 측정한 음주 측정 정보를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110)에 전달하는 음주 측정기(110), 승무사원이 태깅하는 사원카드를 판독하여 승무사원의 ID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승무사원의 ID 정보를 운전자 인식정보로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에 전달하는 버스 승차 단말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driver is recognized, the flight attendant breathalyzer system 100 operates the
여기서 음주 측정기(110)와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음주측정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Here, the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승무사원 ID를 통해 운전자를 인식하거나 상기 버스 승차 단말기(130)에서 전송된 승무사원의 ID 정보를 통해 운전자를 인식하는 운전자 인식부(123), 상기 운전자 인식부(123)에 의해 운전자가 인식되면 음주 측정기(110)를 동작시키는 음주 측정기 제어부(121), 음주 측정기(110)에서 전송되는 음주 측정 정보를 수신하거나 관제 서버(200)에서 전송되는 버스 운행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관제 서버(200)로 승무사원 음주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또한, 상기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는 수신한 음주 측정정보를 정보 저장부(128)에 저장하는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122), 측정한 음주 측정정보와 음주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음주 유무를 판단하는 음주 판단부(124), 음주 판단부(124)에 의해 음주로 판단되면 차량장치 연동부(127)를 통해 차량 장치(300)에 차량관제 요청정보를 전송하여 차량 운행을 정지시키는 제어부(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저장부(128)는 차량 운행정보가 저장되며, 차량 운행정보에는 승무사원의 ID 정보, 승무사원의 사원카드 ID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관제 서버(200)는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에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승무사원 음주측정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한 음주측정 정보를 승무사원별로 통계 처리하여 대타 음주측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관제서버(2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에 차량 운행정보를 제공하는 운행정보 제공부(202),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01),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음주 측정 정보를 저장하는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203), 상기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203)에 저장된 음주측정 정보를 승무사원별로 통계 처리하여 승무사원별 대타 음주측정 방지를 위한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음주측정정보 통계처리부(20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음주측정 기반의 대중교통 관제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ublic transport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alcoh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마을버스나 통근버스와 같은 대중교통을 운전하는 승무사원은 대중교통을 운전하기 위해서 버스의 시동을 켠다. 버스에 시동이 걸리면 차량장치 연동부(127)는 차량 장치(300)와 연동하여 버스에 시동이 걸린 것을 인지하며, 이에 따라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도 정보 저장부(128)에 저장된 버스 운행 정보에 따라 버스 운행 준비를 한다.First, a crew member who drives public transportation such as a village bus or commuter bus turns on the bus to drive public transportation. When the bus is started, the vehicle
이후, 승무사원은 음주 측정을 위해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해 운전자(승무사원) ID를 입력하거나, 휴대한 사원카드를 버스 승차 단말기(130)의 태깅 부분(RF리더기 부분)에 태깅한다.Thereafter, the flight attendant inputs the driver (crew member) ID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버스 승차 단말기(130)는 사원카드가 태깅되면 사원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승무사원 ID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에 전달한다. 여기서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와 버스 승차 단말기(130)는 상호 통신이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e employee card is tagged, the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의 운전자 인식부(123)는 입력부를 통해 승무사원 ID가 입력되거나 버스 승차 단말기(130)를 통해 승무사원 ID가 전달되면, 정보 저장부(128)에 저장된 승무사원 ID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승무사원 여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정상적으로 등록된 승무사원일 경우, 운전자 인식정보를 음주 측정기 제어부(121)에 전달한다.When the crew member I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r the crew member ID is transmitted through the
음주 측정기 제어부(121)는 운전자 인식정보가 도래하면, 음주 측정기(110)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음주 측정기(110)는 상시 동작하는 것이 아니고 운전자가 인식되는 경우에 한하여 버스 운전자 단말기(130)의 제어에 따라 온/오프되는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e driver recognition information arrives, the
음주 측정기(110)는 동작 명령(구동 전원일 수 있음)에 따라 웨이크업을 하고, 음주 측정 대기 상태로 전환하게 되며, 음주 측정 대기상태에서 정해진 위치를 입에 물고 불면 음주 측정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음주 측정기(110)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난 상태에서도 음주 측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음주 측정기(110)를 오프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타인이 대신 음주 측정을 시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된 시간이다. 이렇게 시간을 기준으로 음주 측정기(110)를 자동으로 오프하면 타인이 운전자를 대신하여 음주 측정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음주 측정기(110)에서 정해진 시간에 음주 측정이 이루어져, 음주 측정 정보가 수신되면, 음주 측정기 제어부(121)는 음주 측정기(110)의 동작을 자동으로 오프한다. 아울러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122)는 정보 저장부(122)에 인식한 운전자 정보(승무사원 ID)와 음주 측정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되는 음주 측정 정보는 데이터 송수신부(126)를 통해 일정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관제 서버(200)에 전송된다.When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s made at a predetermined time in the
운전자의 음주 측정이 이루어지면, 음주 판단부(124)는 측정된 음주 측정 정보 값과 정보 저장부(128)에 저장된 음주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데이터 값을 비교하여, 상기 음주 측정 정보 값이 상기 기준 데이터 값보다 작으면 음주를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을 하고, 정상적으로 버스 운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차량장치(300)에 차량관제 요청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When the driver's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s made, the alcohol
이와는 달리 상기 음주 측정 정보 값이 상기 기준 데이터 값 이상이면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을 하고, 버스 운행을 제어하기 위해서 차량장치(300)에 차량관제 요청정보를 전송한다.On the contrary, if the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nformation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data value, it is determined that alcohol has been consumed, and vehicl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차량장치(300)는 버스 운전자 단말기(120)로부터 전송된 차량관제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변속 레버 록킹이나 기타 차량 운행 정지를 위한 차량 관제 동작을 수행하여 차량 운행을 강제로 정지시킨다. 이로써 음주를 한 승무사원은 버스 운행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When the vehicle control reque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여기서 음주한 승무사원이 차량의 운행이 이루어지지 않아, 다시 버스의 시동을 켜면 상기와 같이 운전자 인식 과정, 음주 측정 과정, 차량 관제 과정이 다시 이루어져, 음주 상태로 대중교통을 운전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Here, when the crew member who has drunk does not operate the vehicle and turns on the bus again, the driver recognition process, the drinking measurement process, and the vehicle control process are re-formed as described above, fundamentally preventing driving public transportation while drinking alcohol. can do.
한편, 상기와 같이 승무사원이 음주를 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제어부(125)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부(126)는 승무사원 정보와 음주 측정 정보를 함께 관제 서버(200)로 전송한다.Meanwhi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flight attendant has been drinking alcohol as described above, the data transmission/
관제 서버(200)는 상기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00)에 승무사원의 ID, 승무사원의 사원카드 ID 등을 포함한 운행정보를 제공하며,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수신한 음주 측정 정보를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203)에 누적 저장한다.The
음주측정정보 통계 처리부(204)는 누적 저장된 승무사원 음주 측정 정보를 승무사원별로 통계 처리하고, 통계 처리된 정보를 이용하여 승무사원별 대타 음주측정 방지를 위한 이력 정보를 생성한다. 이렇게 승무사원별 이력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면 다른 승무사원을 대신하여 음주 측정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It is self-evident to those who have.
100: 승무사원 음주측정 시스템110: 음주 측정기
120: 버스 운전자 단말기121: 음주 측정기 제어부
122: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123: 운전자 인식부
124: 음주 판단부125: 제어부
126: 데이터 송수신부127: 차량장치 연동부
128: 정보 저장부130: 버스 승차 단말기
200: 관제 서버203: 음주 측정정보 저장부
204: 음주측정정보 통계 처리부300: 차량 장치100: flight attendant breathalyzer system 110: breathalyzer
120: bus driver terminal 121: breathalyzer control unit
122: alcohol consumption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123: driver recognition unit
124: drinking determination unit 125: control unit
126: data transmission/reception unit 127: vehicle device linkage unit
128: information storage unit 130: bus boarding terminal
200: control server 203: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orage unit
204: drinking measurement information statistics processing unit 300: vehicle devic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26698AKR102336160B1 (en) | 2019-10-14 | 2019-10-14 | Public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26698AKR102336160B1 (en) | 2019-10-14 | 2019-10-14 | Public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43858Atrue KR20210043858A (en) | 2021-04-22 |
| KR102336160B1 KR102336160B1 (en) | 2021-12-08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26698AActiveKR102336160B1 (en) | 2019-10-14 | 2019-10-14 | Public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36160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664525B1 (en)* | 2024-01-26 | 2024-05-10 | 주식회사 에이스큐브 | Vehicle recording device with sudden acceleration detection function and real-time recording of drunk driving occurrences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59678A (en)* | 2005-12-07 | 2007-06-12 | 에스앤티대우(주) |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and Driver Condition Detection |
| KR20090042003A (en)* | 2007-10-25 | 2009-04-29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environment by match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sensor |
| KR20140084938A (en)* | 2012-12-27 | 2014-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of prevention of drink-driving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
| KR101705968B1 (en) | 2015-03-24 | 2017-02-10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System for Preventing Drink Driving of Vehicle |
| KR20180120347A (en)* | 2017-04-27 | 2018-11-06 | (주)에이텍티앤 | Public Transportation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70059678A (en)* | 2005-12-07 | 2007-06-12 | 에스앤티대우(주) |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and Driver Condition Detection |
| KR20090042003A (en)* | 2007-10-25 | 2009-04-29 |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specific environment by matching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nd sensor |
| KR20140084938A (en)* | 2012-12-27 | 2014-07-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Method of prevention of drink-driving and apparatus for using the same |
| KR101705968B1 (en) | 2015-03-24 | 2017-02-10 |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 System for Preventing Drink Driving of Vehicle |
| KR20180120347A (en)* | 2017-04-27 | 2018-11-06 | (주)에이텍티앤 | Public Transportation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36160B1 (en) | 2021-12-08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258968B2 (en) | Remote transponder breathalyzer | |
| KR102307405B1 (en) | Drinking drive prevention control method and drinking drive prevention control system | |
| KR101101293B1 (en) | Vehicle smart key departure alarm system | |
| US9858734B2 (en) | Motor vehicle having a driver identification device and driver identification signal transmitter | |
| EP3349199B1 (en) | Method for determining a vehicle driven by a drunk driver, driving safety device and system, and server | |
| US20070025315A1 (en) |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to an Area Accessible by Persons, Particularly to a Space Closed by a Door | |
| US20130206495A1 (en) | Ignition interlock system | |
| CN106940922B (en) |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arried objects for a vehicle | |
| KR102440546B1 (en) | How to pay for bus fares using Bluetooth | |
| CN110869232B (en) | Distributed system for access control and awake testing | |
| KR20160041177A (en) | Monitoring device of a handicapped person's parking zone | |
| CN110154978A (en) | Convenient for the method and apparatus of Vehicle locking | |
| CN205632362U (en) | Novel discernment of locomotive driving person and monitored control system | |
| CN101795625B (en) | Drinking level detecting system and drinking level detecting method | |
| KR20210043858A (en) | Public Transport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 |
| JP2021039473A (en) | Moving object controlling device and moving object indo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device | |
| CN107992910B (en) |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drunk driving of vehicle keys | |
| KR20180081883A (en) | Vehicle Safety system for children using IoT | |
| CN106274792A (en) | Seat belt system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 |
| KR101141024B1 (en) | System of passenger manage in commuter bus | |
| KR101798787B1 (en) | Vehicle system with breath alcohol analyzer, control method of starting a vehicle using the same | |
| KR101987468B1 (en) | Public Transportation Access Control System Based on Drinking Measurement and Method Thereof | |
| CN201886514U (en) | Fingerprint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system for taxi drivers | |
| KR102855589B1 (en) | Public transportation biometric authentication access control method based on breathalyzer testing | |
| JP3329650B2 (en) | Non-contact automatic ticket gate for vehicles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PA01091R01D Comment text: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2019101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00928 Patent event code: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20210428 Patent event code: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PE07011S01D Comment text: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20211115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20211202 Patent event code: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20211203 End annual number:3 Start annual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20240913 Start annual number:4 End annual number: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