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발명은 보안성을 높인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을 융합하여 AR카드의 위변조를 방지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임과 동시에 AR카드의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 card with enhanced security and a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and in detail, it is configured to prevent forgery of the AR card by fusing NFC and hologram, which are different authentication means, thereby increasing security.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n AR card that can maximiz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an AR card and a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 또는 콘텐츠를 합성시켜 전용 단말기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합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이다.Augmented Reality (AR) is a technology that synthesizes a 3D virtual image or content on a real image or background and displays the synthesized image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or a dedicated program.
특히 AR 카드는 해당 카드를 소지(구매)한 사용자의 단말기에 AR 콘텐츠가 전시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User)의 흥미 및 관심을 쉽게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정보전달력 및 오락성이 우수한 장점으로 인해 교육, 게임, 검색, 정보제공 등의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AR Cards not only easily induce interest and interest of users by providing a service that allows AR contents to be displayed on the terminal of the user who has (purchased) the card, but also due to the advantages of excellent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entertainment.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education, games, search, and information provision.
예를 들어, 공연장에서 출연진, 공연, 안무 및 뮤직비디오 등의 정보를 AR콘텐츠로 제공하기 위한 AR카드가 제작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For example, AR cards have been produced and widely used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cast members, performances, choreography and music videos as AR contents in concert halls.
그러나 최근 들어 위변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AR 카드를 제작하여 판매 또는 공급한다고 하더라도, 종래의 AR 카드에는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보안기술이 취약하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의 피해가 발생하여 AR 카드의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고,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서 홀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However,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forgery technology, even if AR cards are manufactured and sold or supplied, conventional AR cards have weak security technologies to prevent forgery, so damages such as copyright infringement and economic loss of producers due to forgery are caused. As a result, there is an urgent need for research to increase the security of AR cards, and holograms are being used as one of these measures.
홀로그램(Hologram)이란 두 개의 레이저광이 서로 만나 일으키는 빛의 간섭효과를 이용하여 2차원 평면의 필름에 3차원 이미지를 기록한 것을 의미하며, 플라스틱 필름에 구현된 후 필름을 피착체에 직접 부착하거나 전사하는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다.Hologram refers to recording a three-dimensional image on a two-dimensional plane film by using the interference effect of light caused by two laser beams meeting each other. After being implemented on a plastic film, the film is directly attached to an adherend or transferred It is implemented in a way that
그러나 이러한 홀로그램은 식별성은 우수하나, 위변조에 취약한 단점을 갖기 때문에 홀로그램 자체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없어 보안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such a hologram is excellent in discrimination, but has a disadvantage that is vulnerable to forgery and alteration, so when the hologram itself is forged, it cannot be prevented, and thus security is significantly lowered.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923503호(발명의 명칭 : 코드화된 패턴을 이용한 보안필름과 그 검출 장치)에 개시된 보안필름 및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curity film and a detectio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3503 (name of the invention: a security film using a coded pattern and a detection device thereof).
도 1의 보안필름(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은 베이스기판의 일면 또는 양면 각각에 형성된 복수개의 코드화된 패턴(101)들을 포함한다.The security fil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ior art) 100 of FIG. 1 includes a plurality of coded
또한 코드화된 패턴(101)들은 검출 장치(130)에 의해 검출 가능한 기준 크기보다 1배 이하 축소 배율의 작은 크기로 물류 제품(120)의 여러 곳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coded
이때 코드화된 패턴(101)들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홀로그램, 1차원 바코드, QR코드, 2차원 바코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ded
검출 장치(130)는 코드화된 패턴(101)들을 확대 및 증폭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31)에 이를 디코딩 및 전시함으로써 물류 제품(120)의 생산이력, 유통경로, 진위여부 등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 및 추적할 수 있게 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100)은 코드화된 패턴(101)의 상면 또는 베이스필름의 일면에 홀로그램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정품인증을 위한 수단이 형성됨으로써 물류 제품의 높은 보안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e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코드화된 패턴(101)을 구성하는 정품인증 수단이 위변조에 취약하기 때문에 코드화된 패턴(101)들 자체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이루어질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However, the
즉 종래기술(100)은 물류 제품(120)의 표면에 복수개의 코드화된 패턴(101)들이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복수개의 코드화된 패턴(101)들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이 전혀 기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보안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That is, in the
또한 종래기술(100)을 AR카드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코드화된 패턴(101)들의 위변조가 이루어지는 경우, AR카드를 구매하지 않은 사용자들로 손쉽게 AR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addition, even if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d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NFC and holograms, which are different authentication means, but the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of NFC and holograms is not performed individually, but is mutually related. This is to provide an AR card that can significantly increase security by effectively preventing forgery and alteration by being configured to perform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sex, and a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AR 어플리케이션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R application reads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 card us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hen compares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gistration list to perform the first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By doing so, it is to provide an AR card tha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authenticating AR cards and a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us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AR카드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plurality of holograms having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on the AR card, and the pattern information of each hologram is pre-set and stored in the NFC chip, and the AR application is a holographic image obtained by shooting. The AR card that can maximize the security of the AR card and AR using the same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cond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detected pattern information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after detecting the pattern of each hologram by reading the It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AR카드에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정보를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AR카드 및 이를 이용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plurality of holograms having different locations are formed on the AR car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hologram is preset and stored in the NFC chip, and the hologram image acquired by the AR application is photographed. The AR card that can further increase the security of the AR card and AR using the same is configured to perform a second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by comparing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each hologram by reading It is to provide a content providing system.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기 제작된 AR콘텐츠들과, 상기 AR콘텐츠들 각각의 카드 식별정보, 상기 카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인 등록리스트가 기 설정되어 저장되는 AR서비스 관리서버; NFC 통신모듈 및 카메라를 포함하며, AR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AR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기; 카드식별정보가 태그정보로 저장되는 NFC칩과, 외면에 콘텐츠 식별정보를 콘텐츠 인증수단이 표시되는 AR카드를 포함하고,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실행 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NFC 통신모듈을 활성화 시키는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 상기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에 의해 접속된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에 포함된 카드 식별정보를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인증을 수행하는 제1 인증모듈;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며, 인증된 상기 AR카드의 AR콘텐츠를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AR서비스 관리서버로부터 해당 AR콘텐츠를 수신 받으면, 수신 받은 AR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AR콘텐츠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solution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is an AR service management server in which pre-produced AR contents,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AR contents, and a registration list, which is a list of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preset and stored; A user terminal including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a camera, and on which an AR application for providing an AR service is installed; An NFC chip in which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stored as tag information, and an AR card on which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n outer surface, and the AR application is a short-range for activating the NFC communication module of the user terminal when executed. Communication activation module; After reading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 card connected b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activation module, the firs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with the registration list transmitted from the AR service management server. module; Operates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authentication module, and transmits the AR content of the authenticated AR card to the AR service management server, and when the AR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AR service management server, the received AR content is It includes an AR content management module to be displayed on the monitor of the user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AR카드의 표면에는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정품인증수단들이 형성되고, 상기 태그정보에는 기 설정된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패턴특징정보들이 포함되고, 상기 AR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는 제2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여 상기 AR카드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의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 및 판독하는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 상기 정품인증수단 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각 정품인증수단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특징패턴을 검출하는 특징패턴 검출모듈; 상기 특징패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특징패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특징패턴정보들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모듈;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데이터들이 일치할 때, 제2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하는 패턴 인증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AR콘텐츠 관리모듈은 상기 제2 인증모듈에 의해 인증이 이루어질 때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authenticity authentication means having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AR card,The tag information includes predetermined pattern feature information of each of the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means, and the AR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authentication module that operates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first authentication module,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The module includes: a photographing module for acquiring an image by photographing the AR card by controlling the camera of the user terminal; A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reading module for analyzing and reading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images of the image acquired by the photographing module; A feature pattern detection module that analyzes each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read by the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reading module and detects a feature pattern of each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A comparison module for comparing the feature patterns detected by the feature pattern detection module with feature patter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read by the first authentication modu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pattern authentication module for determining that the second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when the data are matched by the comparison module, and the AR content management module is preferably operated when authentication is performed by the second authentica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품인증수단들은 상기 AR카드의 표면에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태그정보에는 상기 AR카드 상에서 상기 정품인증수단들 각각의 좌표정보를 나타내는 위치정보들이 포함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패턴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위치정보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비교모듈은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들을 상기 제1 인증모듈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의 위치정보들과 각각 비교하고, 상기 패턴 인증모듈은 상기 비교모듈에 의해 데이터들이 일치할 때, 제2 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means are formed at different locations on the surface of the AR card, and the tag information includes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on the AR card, and the second The authentication module further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that analyzes the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images read by the pattern reading module to detec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and the comparison module is detec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It is preferable that the loca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read by the first authentication module, and the pattern authentica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second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when the data match by the comparison module. .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위치정보는 해당 정품인증수단의 기 설정된 방식에 따른 위치인 기준점을 기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인증모듈은 상기 패턴판독모듈 이후에 동작하며, 상기 패턴판독모듈에 의해 판독된 정품인증수단 이미지들을 분석하여 각 정품인증수단의 기준점을 검출하는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 검출모듈은 상기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에 의해 검출된 기준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is formed on the basis of a reference point, which is a position according to a preset method of the corresponding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means, and the second authentication module operates after the pattern reading module, and is read by the pattern reading modul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pattern reference point detection module which analyzes the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images to detect a reference point of each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detects the position of the reference point detected by the pattern reference point detection module.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정품인증수단은 홀로그램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means is preferably a hologram.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AR카드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한 수익구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problems and solutions, si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an AR card, it is possible to reduce copyright infringement and economic loss of producers due to forgery, and to provide a fair profit structure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is performed using NFC and holograms, which are different authentication means, but the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of NFC and holograms is not performed individually, but is configured to perform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mutual relations, thereby forgery and altera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increase the security by effectively preventing.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R 어플리케이션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 application reads the tag information of the AR card using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hen compares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gistration list to perform the first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It can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R카드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ograms having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on the AR card, and pattern information of each hologram is pre-set and stored in the NFC chip, and the AR application reads the hologram image obtained by shooting. After detecting the pattern of the hologram, the detected patter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patter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to perform the second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thereby maximizing the security of the AR car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AR카드에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정보를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ograms having different locations are formed on the AR car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hologram is preset and stored in the NFC chip, and the AR application reads the hologram image acquired by shooting. After detecting the location of the hologram,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is compared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to perform the second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security of the AR card.
도 1은 국내등록특허 제10-1923503호(발명의 명칭 : 코드화된 패턴을 이용한 보안필름과 그 검출 장치)에 개시된 보안필름 및 검출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AR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의 AR카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A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제1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6의 제2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비교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ecurity film and a detection devic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23503 (name of the invention: a security film using a coded pattern and a detection device thereof).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ser terminal of FIG. 2.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AR card of FIG. 2.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AR card of FIG. 4.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R application of FIG. 2.
7 is an exemplary view of FIG. 6.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uthentication module of FIG. 6.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authentication module of FIG. 6.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arison module of FIG. 9.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AR content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1)AR카드(5) 및 AR 어플리케이션(3)을 이용하여 AR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4)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함과 동시에 2)AR카드(5)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The AR content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1) an
또한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사용자에게 판매/지급되는 AR카드(5)와, 사용자(User)가 소지한 단말기인 사용자 단말기(4)와, 사용자 단말기(4)에 설치되어 AR카드(5)의 위변조를 판별하여 정품인증 시 사용자 단말기(4)에 기 제작된 AR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AR 어플리케이션(3)과, AR 어플리케이션(3) 및 AR카드(5)를 관리 및 제어하며 AR서비스를 제공하는 AR서비스 관리서버(7)와, AR서비스 관리서버(7), 사용자 단말기(4) 및 AR카드(5)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과, AR카드(5) 및 사용자 단말기(4) 사이의 데이터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근거리 통신망(20)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AR content providing system 1 includes an
통신망(10)은 접속된 AR서비스 관리서버(7), 사용자 단말기(4) 및 AR카드(5)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광역통신망(WAN),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데이터통신망, LTE, 3G, 4G, 5G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근거리 통신망(20)은 AR카드(5) 및 사용자 단말기(4)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며, 상세하게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도 3은 도 2의 사용자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user terminal of FIG. 2.
사용자 단말기(4)는 사용자가 소지한 단말기이며, 상세하게로는 데스크톱-PC(Desktop-PC), 노트북(Notebool), 태블릿PC(Tablet PC), 스마트폰(Smart-phone), PDA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또한 사용자 단말기(4)에는 후술되는 도 6의 AR 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4)는 AR 어플리케이션(3)의 제어에 따라 AR서비스 관리서버(7)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사용자 단말기(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41)와, AR 어플리케이션(3)에서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들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니터(42)와,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43)와, 통신망(10)에 접속하여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모듈(44)과,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하여 AR카드(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모듈(45)과, 사용자 단말기(4)의 O.S(Operating System)를 담당하는 제어모듈(46)과, AR 어플리케이션(3)과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모듈(47)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도 4는 도 2의 AR카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의 AR카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AR card of FIG. 2, and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the AR card of FIG. 4.
AR카드(5)는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정보가 저장되는 NFC칩(51)과, AR카드(5)의 외면에 표시되어 AR콘텐츠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워터마킹(53)과, 서로 다른 코드화된 패턴들로 이루어져 AR카드(5)의 외면에 표시되는 홀로그램(55)들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4 and 5, the
NFC칩(51)은 태그정보가 저장되며,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4)에 의해 판독된다.The
이때 태그정보는 AR카드(5)의 카드식별정보와, 홀로그램(55)들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패턴정보들과, 해당 AR카드(5)에 표시된 홀로그램(55)들 각각의 위치정보들로 이루어지고, 패턴정보는 형성된 홀로그램(55)의 패턴특징을 의미한다.At this time, the tag information includes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워터마킹(53)은 해당 AR카드(5)에 대응되는 AR콘텐츠의 식별정보를 제공하고, 이러한 워터마킹 기술은 각종 다양한 이미지 및 동영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홀로그램(55)들은 육안으로 관찰되지 않는 홀로그램으로 형성되며, 서로 다른 패턴들로 형성된다.The
또한 홀로그램(55)들은 AR카드(5)의 외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즉 본 발명의 AR카드(5)는 제작 시, AR카드(5)에 형성되는 홀로그램(55)들 각각을 식별할 수 있는 패턴정보들이 부여될 뿐만 아니라 AR카드(5)에 형성되는 홀로그램(55)들 각각의 기준점의 위치정보(좌표정보)들이 설정되고, 패턴정보들 및 위치정보들은 NFC칩의 태그정보로 저장된다. 이때 기준점은 홀로그램(55)의 위치를 나타내는 기준점이고, 예를 들어 해당 홀로그램(55)의 좌상측 또는 우상측이 기준점으로 적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관리서버(7)는 기 제작된 AR콘텐츠들과, AR콘텐츠들 각각의 카드 식별정보들이 저장된다.The
또한 관리서버(7)는 카드 식별정보들의 리스트인 등록리스트를 생성 및 갱신하여 저장한다.In addition, the
또한 관리서버(7)는 AR 어플리케이션(3)으로부터 AR콘텐츠를 요청받으면, 해당 AR콘텐츠를 AR 어플리케이션(3)으로 전송한다.In addition, when the
도 6은 도 2의 AR 어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예시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AR application of FIG. 2, and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of FIG. 6.
AR 어플리케이션(3)은 사용자 단말기(4)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4)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에게 AR서비스를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 소프트웨어(Software)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다.The
또한 AR 어플리케이션(3)은 제어모듈(30)과, 데이터입출력모듈(31),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33), 제1 인증모듈(34), 제2 인증모듈(35), 워터마킹 판독모듈(36), AR콘텐츠 관리모듈(37)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제어모듈(30)은 AR 어플리케이션(3)의 O.S(Operating System)이며, 제어대상(31), (32), (33), (34), (35), (36), (37)들을 관리 및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30 is an OS (Operating System) of the
데이터입출력모듈(31)은 해당 AR 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4)와 데이터를 입출력한다.The data input/
인터페이스 처리모듈(32)은 기 제작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익스피어런스(GUX, Graphic User Experience)를 사용자 단말기(4)의 모니터(42)에 전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요청(명령)에 따라 연산을 처리한 후, 결과데이터를 이에 대응되는 GUI 또는 GUIX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한다.The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33)은 AR 어플리케이션(3)이 실행될 때,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The short-range
또한 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33)은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하여 사용자 단말기(4)의 근거리 통신모듈(45)을 활성화 시킨다.In addition, the short-range
도 8은 도 6의 제1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authentication module of FIG. 6.
제1 인증모듈(3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그정보 판독모듈(341)과, 데이터 파싱모듈(343),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8, the
태그정보 판독모듈(341)은 사용자 단말기(4)로부터 기 설정된 통신거리 이내에 위치하여 근거리 통신망(20)에 접속된 AR카드(5)에 저장된 태그정보를 판독한다.The tag
데이터 파싱모듈(343)은 태그정보 판독모듈(341)에 의해 판독된 태그정보로부터 카드 식별정보,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 및 위치정보를 파싱한다.The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은 기 등록된 등록리스트를 참조하여 데이터 파싱모듈(343)에 의해 추출된 카드 식별정보가 등록리스트에 포함되는지를 비교한다. 이때 등록리스트는 제작된 AR카드(5)의 카드 식별정보가 등록된 리스트이고, AR 어플리케이션(3)은 주기적으로 AR서비스 관리서버(7)로부터 등록리스트를 수신 받아 해당 사용자 단말기(4)의 메모리(41)에 저장한다.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odule 345 compares whether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xtracted by the
또한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은 만약 등록리스트에 해당 카드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1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에 의해 제1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제1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4)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한다.In addition, if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does not exist in the registration list,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odule 345 determines that the first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has failed. At this time, when the control module 30 determines that the first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has failed by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odule 345, the user terminal so that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genuine product has failed is displ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또한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은 만약 등록리스트에 해당 카드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제1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345)에 의해 제1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인증모듈(35)이 동작하도록 이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odule 345 determines that the first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if the corresponding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present in the registration list. At this time, the control module 30 controls the
도 9는 도 6의 제2 인증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cond authentication module of FIG. 6.
제2 인증모듈(35)은 도 8의 제1 인증모듈(34)에서 제1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될 때, 제어모듈(30)의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When the
또한 제2 인증모듈(35)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모듈(351)과, 패턴판독모듈(352), 패턴정보 검출모듈(353),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4), 위치정보 검출모듈(355), 비교모듈(356), 패턴 인증모듈(357)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the
촬영모듈(351)은 사용자 단말기(4)의 카메라(43)를 통해 AR카드(5)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때 촬영모듈(351)은 촬영 시, AR카드(5)를 기 설정된 각도 및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 후, 소정의 조명이 출력되도록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하고, 이러한 홀로그램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기술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hotographing
패턴판독모듈(352)은 촬영모듈(351)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홀로그램 이미지들을 각각 추출한다.The
또한 패턴판독모듈(352)은 추출된 각 홀로그램 이미지의 패턴을 판독하여 검출한다.In addition, the
패턴정보 검출모듈(353)은 기 설정된 제1 기준테이블을 참조하여 패턴판독모듈(352)에 의해 검출된 패턴데이터에 대응되는 패턴정보를 검출한다. 이때 제1 기준테이블은 패턴별로 패턴정보가 매칭된 데이터로 정의된다.The pattern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4)은 기 설정된 기준점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패턴판독모듈(352)에 의해 추출된 각 홀로그램 이미지를 분석하여 각 홀로그램 이미지의 기준점을 검출한다. 이때 기준점 검출 알고리즘은 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해당 홀로그램의 기준점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방식이 홀로그램 이미지의 좌측 및 상부라고 할 때, 기준점 검출 알고리즘은 홀로그램 이미지의 좌상측 지점을 기준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The pattern reference
위치정보 검출모듈(355)은 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4)에 의해 검출된 각 홀로그램 이미지의 기준점이 AR카드 상에서의 좌표정보를 검출한다.The location
도 10은 도 9의 비교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mparison module of FIG. 9.
비교모듈(356)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3561)과, 제1 비교모듈(3563), 제2 비교모듈(3565)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0, the
입력모듈(3561)은 전술하였던 도 8의 제1 인증모듈(34)의 데이터0 파싱모듈(343)에 의해 추출된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 및 위치정보를 입력받는다.The input module 3601 receives patter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hologram extracted by the data 0
제1 비교모듈(3563)은 입력모듈(3561)에 의해 입력된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와, 전술하였던 도 9의 패턴정보 검출모듈(353)에 의해 검출된 패턴정보를 비교한다.The first comparison module 363 compares the pattern information of each hologram input by the input module 361 and the patter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pattern
제2 비교모듈(3565)은 입력모듈(3561)에 의해 입력된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와, 전술하였던 도 9의 위치정보 검출모듈(355)에 의해 검출된 위치정보를 비교한다.The
다시 도 9로 돌아가서 패턴 인증모듈(357)을 살펴보면, 패턴 인증모듈(357)은 제1 비교모듈(3563) 및 제2 비교모듈(3565)에서 모두 데이터들이 일치하는 경우, 제2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패턴 인증모듈(357)에 의해 제2 정품인증이 성공하였다고 판단되면, 도 6의 워터마킹 판독모듈(36)이 동작하도록 이를 제어한다.Returning to FIG. 9 and looking at the
또한 패턴 인증모듈(357)은 제1 비교모듈(3563) 및 제2 비교모듈(35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서 일치하지 않는 데이터들이 존재하는 경우, 제2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한다. 이때 제어모듈(30)은 패턴 인증모듈(357)에 의해 제2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고 판단되면, 제2 정품인증이 실패하였다는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4)를 통해 외부로 표출되도록 사용자 단말기(4)를 제어한다.In addition, the
다시 도 6으로 돌아가서, 워터마킹 판독모듈(36)은 촬영모듈(351)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워터마킹을 추출한 후, 추출된 워터마킹을 판독하여 재생대상인 AR콘텐츠(C)의 식별정보를 검출한다.Returning to FIG. 6 again, the
AR콘텐츠 관리모듈(37)은 워터마킹 판독모듈(36)에 의해 검출된 콘텐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AR서비스 관리서버(7)로 전송한다. 이때 AR서비스 관리서버(7)는 콘텐츠 요청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콘텐츠 요청데이터의 콘텐츠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AR콘텐츠(C)를 해당 AR 어플리케이션(3)으로 전송한다.The AR
또한 AR콘텐츠 관리모듈(37)은 AR서비스 관리서버(7)로부터 전송받은 AR콘텐츠(C)를 사용자 단말기(4)의 모니터(42)를 통해 디스플레이 시킴으로써 사용자가 AR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카드(5)의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변조로 인한 저작권 침해, 제작자의 경제적 손실 등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공정한 수익구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R contents providing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revent forgery and altera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서로 다른 방식의 인증수단인 NFC 및 홀로그램들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되, NFC 및 홀로그램들의 정품인증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 관계성을 이용하여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변조를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보안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AR contents provid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using NFC and holograms, which are different authentication means, but genuine product authentication of NFC and holograms is not performed individually, but by using mutual relations. By being configured to perform authentication, forgery and altera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secur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 어플리케이션(3)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여 AR카드의 태그정보를 판독한 후, 태그정보의 카드식별정보를 기 설정된 등록리스트와 비교하여 제1 정품인증을 수행함으로써 AR카드의 정품인증의 신뢰도 및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AR content provid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ag information with a preset registration list after the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카드(5)에 서로 다른 패턴을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패턴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3)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패턴을 검출한 후, 검출된 패턴정보를 태그정보의 패턴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5)의 보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AR content provid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ograms having different patterns are formed on the
또한 본 발명의 AR콘텐츠 제공시스템(1)은 AR카드(5)에 서로 다른 위치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그램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해당 각 홀로그램의 위치정보가 NFC 칩에 기 설정되어 저장되고, AR 어플리케이션(3)이 촬영에 의해 획득된 홀로그램 이미지를 판독하여 각 홀로그램의 위치를 검출한 후, 검출된 위치정보를 태그정보의 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제2 정품인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AR카드(5)의 보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AR content providing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lograms having different locations are formed on the
1:AR콘텐츠 제공시스템3:AR 어플리케이션4:사용자 단말기
5:AR카드7:AR서비스 관리서버10:통신망
20:근거리 통신망30:제어모듈31:데이터 입출력모듈
32:인터페이스 처리모듈33:근거리통신 활성화모듈
34:제1 인증모듈35:제2 인증모듈36:워터마킹 판독모듈
37:AR콘텐츠 관리모듈41:메모리42:모니터
43:카메라44:통신 인터페이스모듈
45:근거리 통신모듈46:제어모듈
47:어플리케이션 연동모듈51:NFC칩
53:워터마킹55:홀로그램341:태그정보 판독모듈
343:데이터 파싱모듈345:카드 식별정보 인증모듈
351:촬영모듈352:패턴판독모듈353:패턴정보 검출모듈
354:패턴 기준점 검출모듈355:위치정보 검출모듈
356:비교모듈357:패턴 인증모듈
3561:입력모듈3562:제1 비교모듈3563:제2 비교모듈1: AR content providing system 3: AR application 4: User terminal
5:AR card 7:AR service management server 10:communication network
20: local area network 30: control module 31: data input/output module
32: interface processing module 33: near-field communication activation module
34: first authentication module 35: second authentication module 36: watermarking reading module
37: AR content management module 41: memory 42: monitor
43: camera 44: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
45: near field communication module 46: control module
47: application interlocking module 51: NFC chip
53: watermarking 55: hologram 341: tag information reading module
343: data parsing module 345: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odule
351: photographing module 352: pattern reading module 353: pattern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354: pattern reference point detection module 355: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module
356: comparison module 357: pattern authentication module
3561: input module 3562: first comparison module 3563: second comparison module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02215AKR102305439B1 (en) | 2019-08-21 | 2019-08-21 | 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90102215AKR102305439B1 (en) | 2019-08-21 | 2019-08-21 | 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210022884Atrue KR20210022884A (en) | 2021-03-04 |
| KR102305439B1 KR102305439B1 (en) | 2021-09-27 |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90102215AActiveKR102305439B1 (en) | 2019-08-21 | 2019-08-21 | 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
| Country | Link |
|---|---|
| KR (1) | KR102305439B1 (en)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110443A (en)* | 2012-03-29 | 2013-10-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 |
| KR20130131088A (en)* | 2012-05-23 | 2013-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
| KR20140016121A (en)* | 2012-07-17 | 2014-02-07 | 석인수 | Cer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honest goods using qr code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for performing it |
| KR20170001849A (en)* | 2015-06-26 | 2017-01-05 | 아이크래프트 (주) | Implement for a genuine certification, a genuine certification system |
| KR20180127841A (en)* | 2017-05-22 | 2018-11-30 | 권형석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quality certificate using identification code of product |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30110443A (en)* | 2012-03-29 | 2013-10-10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 |
| KR20130131088A (en)* | 2012-05-23 | 2013-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serv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rver |
| KR20140016121A (en)* | 2012-07-17 | 2014-02-07 | 석인수 | Cer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honest goods using qr code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for performing it |
| KR20170001849A (en)* | 2015-06-26 | 2017-01-05 | 아이크래프트 (주) | Implement for a genuine certification, a genuine certification system |
| KR20180127841A (en)* | 2017-05-22 | 2018-11-30 | 권형석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obile quality certificate using identification code of product |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2305439B1 (en) | 2021-09-27 |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4008059B1 (en) | Alignment of antennas on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for communication | |
| US9619807B2 (en) | Genuine product certification means and system | |
| US20150310421A1 (en) |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POS terminals | |
| CN106980983A (en) | Ser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virtual reality scenario | |
| US1202667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ligning documents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devices | |
| US20110176705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program | |
| CN113794569B (en) | Material inventory data provi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block chain | |
| KR101274098B1 (en) | Cert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the original using physical feature informa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for performing it | |
| KR101049090B1 (en) | Augmented Reality Marker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 |
| KR102033621B1 (en) | System for detecting false qr code | |
| US20190251722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authorized exportation of virtual content to an augmented reality device | |
| KR20210059518A (en) | Contents generating device for certificating genuine product and system for integrated certification of using the same | |
| US10482458B2 (en) | User equipment,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
| KR20140087084A (en) | Authentication server and method by using label and, mobile device | |
| KR20220037995A (en) | Platform for registering and processing visual encodings | |
| EP3171296B1 (en) | A method and a scanner for verifying an authenticity of an identity document | |
| US9607418B1 (en) | Method of transaction card recognition and interaction | |
| CN111429194B (en) | User track determination system, method, device and server | |
| CN105096115B (en)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point-of-sale terminal | |
| KR20170039463A (en) | User equipment, beacon, service providing device, payme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 |
| KR102305439B1 (en) | AR card for enhancing security and system for providing AR contents therewith | |
| CN105452007A (en) | Method for checkingauthenticity of document | |
| KR20220107363A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ertified augmented reality content | |
| KR20140061009A (en) | Hybrid augmented reality using voice recognition and method the same | |
| CN114266331A (en) | Method and system for inquiring and verifying article coding information |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N-2-6-B10-B15-exm-PE0601 | |
| AMND | Amendment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2-rex-PX0901 | |
| PE0801 | Dismissal of amend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2-nap-PE08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1-oth-X000 | |
| K12-X000 | Request for ip right revival rejected | St.27 status event code:A-6-4-K10-K12-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