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vatterモバイル変換


[0]ホーム

URL:


KR20200071809A -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1809A
KR20200071809AKR1020180151986AKR20180151986AKR20200071809AKR 20200071809 AKR20200071809 AKR 20200071809AKR 1020180151986 AKR1020180151986 AKR 1020180151986AKR 20180151986 AKR20180151986 AKR 20180151986AKR 20200071809 AKR20200071809 AKR 20200071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ibition
virtual
data
exhibition space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19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1451B1 (en
Inventor
박선규
Original Assignee
데이터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터킹주식회사filedCritical데이터킹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1986ApriorityCriticalpatent/KR102151451B1/en
Publication of KR20200071809ApublicationCriticalpatent/KR20200071809A/en
Application grantedgranted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451B1publicationCriticalpatent/KR102151451B1/en
Activelegal-statusCritical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legal-status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Landscapes

Abstract

Provided are a system for guiding an exhibit display posi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nd a method thereof. The method for guiding an exhibit display posi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of: receiving exhibition information of an actual exhibi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genera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same to a visitor terminal; receiving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from the visitor terminal; analyz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to generate big data rela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generating a heat map based on the big data; and providing the heat map to the customer terminal.

Description

Translated fromKorean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exhibition loca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본 발명은 VR 영상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관람객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이를 추후 전시에 적용하는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visitor's interest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collected from VR images and applying it to future exhibitions.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은 인공현실(AR, Artificial reality), 사이버공간(Cyberspace) 및 가상세계(Virtual worlds) 등이라고도 하며, 컴퓨터로 만들어 놓은 가상의 세계에서 사용자가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Virtual reality (VR) is also known as artificial reality (AR), cyberspace, and virtual worlds, and allows users to experience life in a virtual world created by computers. Means

최근 들어, 가상현실은 시간과 공간을 초월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각종 행사장에(전시장, 공연장, 박람회 및 전망대) 가상현실 체험장치를 설치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In recent years, virtual realit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transcend time and space, and is currently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re are increasing cases where virtual reality experience devices are installed at various event venues (exhibition halls, performance halls, fairs and observation decks).

이에 따라, 전시회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도 VR기기를 통해서 실제로 전시회를 감상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전시회의 내부 구조와 전시품들의 배치에 따라 관람객들의 반응과 관심도에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전시가 완료된 전시회의 전시 데이터로부터 관람객들의 반응과 관심도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다.Accordingly, technologies for actually viewing an exhibition through a VR device without directly visiting the exhibition are being develop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the reaction and interest of the visitors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hibition and the arrangement of exhibits, it is becoming important to analyze the reaction and interest of visitors from the exhibition data of the exhibition where the exhibition is completed.

그러나, 오프라인 전시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로는 관람객들의 반응과 관심도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데이터를 추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extract significant data that can predict the reaction and interest of viewers with data collected through offline exhibitio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VR을 이용한 가상 전시 관람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람객의 관심도를 분석하고, 분석된 관심도를 통해 추후 진행될 전시회의 전시품의 배치를 가이딩(Guiding)할 수 있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nalyze the audience's interest based 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collected from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using VR, and guide the placement of exhibition items to be progressed through the analyzed interes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an exhibition loca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은 고객 단말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맵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 method of guiding an exhibition location based on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ncludes receiving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Genera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a visitor terminal; Receiving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from the spectator terminal; Analyz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nd generating virtual data rela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Generating a heat map based on the big data; And providing the heat map to the customer terminal.

여기서,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표현한 것을 의미하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스팟 데이터(spot data), 태그 데이터(tag data),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Her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eans that a real exhibition is represented by a VR image,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ncludes spot data, tag data, and other data.

또한,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팟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의 위치 이동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전시품의 설명정보가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횟수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 또는 시간별 가상 전시 관람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related big data may include analyzing the spot data and generating big data of the spectator's location movement within the VR image; Analyzing the tag data and generating big data the number of times the explanatory information of the exhibit is selected by the visitor within the VR image; And analyzing the other data to generate virtual data for viewing a virtual exhibition by date or time.

여기서, 히트맵은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Here, the heat map indicates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xhibits of the visitors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the heat map may be generated by fusion of virtual data related to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은 서비스 제공 서버로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전시 공간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히트맵을 제공받는, 고객 단말;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제공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가상 전시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스팟 데이터, 태그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상기 관람객 단말;을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based 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quests the cre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by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of an actual exhibition to a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service A customer terminal receiving a heat map indicating a degree of interest in the exhibits of a visitor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from a provision server; Create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audience terminal, analyz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provided from the audience terminal, generate virtual exhibition space related big data, and generate a heat map based on the big data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spectator terminal provid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ncluding spot data, tag data, and other data collected from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을 실행하며, 매체에 저장된다.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pro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is coupled to a hardware computer,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exhibition location guiding method. Run and stored on the medium.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르면, 전시 기간이 종료된 전시회에 대해서, VR을 이용한 가상 전시 관람을 통해서 전시회를 직접 방문한 것처럼 감상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n exhibition in which the exhibition period is over, there is an effect of viewing the exhibition through a virtual exhibition using VR as if visiting the exhibition directly.

또한, VR을 이용한 가상 전시 관람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람객의 관심도를 분석하여 추후 진행될 전시회의 전시품의 배치에 적용함으로써, 관람객의 전시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analyzing the audience's interest based 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collected from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using VR, and applying it to the arrangement of exhibits in the future exhibition, the effect of inducing the audience's interest and curiosity is hav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람객 단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 내지 도 9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된 빅데이터가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된 히트맵이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udienc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n more detail.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guiding a location of exhibits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to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at the big data analyzed based 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10 to 12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at the heat map generat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clarifi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are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person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also includes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components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entioned.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used as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the meaning of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description of terms is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not us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described as a limi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재현한 것을 의미하며, 다면 영상을 이어서 실제와 같은 하나의 3D공간을 구현한 영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영상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고, 특정 오브젝트(VR 영상 내의 전시품)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관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means that a real exhibition is reproduced as a VR image, and a multi-dimensional image is a realization of one 3D space, which is a real image, and can be moved with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 It can be observed by enlarging or reducing a specific object (exhibition in the VR ima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람객은 실재 오프라인 전시에 방문하여 전시를 관람하는 관람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상 전시 공간, 즉, VR 영상을 통해 온라인 가상 전시를 관람하는 사용자를 의미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dience does not mean a visitor who visits an actual offline exhibition and views the exhibition, but a user who views an online virtual exhibition through a virtual exhibition space, that is, a VR image. it mea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관람객을 이동시킨다는 것은 관람객의 물리적인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VR 영상 내의 관람객의 위치 및 시점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ving the spectator means not moving the physical position of the spectator, but moving the spectator's position and viewpoint in the VR i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네트워크(미 도시)를 통해 고객 단말(200) 및 관람객 단말(300)과 연결되어 있다.1,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is connected to thecustomer terminal 200 and thevisitor terminal 300 through a network (not shown).

여기서, 네트워크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 도시권 통신망(MAN), 광역 통신망(WAN) 및 인터넷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뿐만 아니라 방송망, 전화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모든 통신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Here, the network may include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including a local area information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the Internet, as well as a broadcasting network, a telephone network, etc. Communication method can be used.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300)로 제공하고, 관람객 단말(300)로부터 제공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한다.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exhibition at the request of thecustomer terminal 200 and provides it to thevisitor terminal 300,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provided from thevisitor terminal 300 Analyzes to generate big data rela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generates a heat map based on the big data.

고객 단말(200)은 전시 주최 측의 단말로서, 컴퓨터, 태블릿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스마트폰 등을 의미한다. 고객 단말(200)은 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 전시회에 대해 온라인으로도 전시회를 제공하기를 원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실재 전시에 대응하는 가상 전시 공간의 생성을 요청한다. 이때, 오프라인 전시회는 전시 기간이 끝난 전시회일 수도 있고, 또는 진행 중인 전시회일 수도 있다.Thecustomer terminal 200 is a terminal of the exhibition organizer, and means a computer,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smartphone, and the like. Thecustomer terminal 200 requests the cre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corresponding to the actual exhibition by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when it is desired to provide an exhibition online for an exhibition held offline. At this time, the offline exhibition may be an exhibition in which the exhibition period is over, or it may be an exhibition in progress.

고객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전시 공간 생성을 요청하고,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히트맵을 제공받는다. 이때,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것이다.Thecustomer terminal 200 requests the cre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by providing the exhibition information of the actual exhibition to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receives a heat map from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t this time, the heat map indicates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xhibits of the viewers who visi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관람객 단말(300)은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가상 전시 공간(VR 영상)을 실시간 또는 다운로드 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VR기기,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과 같이 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무엇이든 적용 가능하다.Visitor terminal 300 refers to a device that can be used in real time or by download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VR video) provided by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d can play a video such as a VR device, computer, laptop, smartphone, etc. Any available means are applicable.

관람객 단말(300)은 가상 전시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한다. 이때,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관람객이 관람객 단말(300)을 통해 VR 영상을 관람할 때 수집되는 정보를 의미한다.Thevisitor terminal 300 provides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collected from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to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t this time,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means information that is collected when the viewer views the VR image through thevisitor terminal 300.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관람객 단말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2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audienc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n more detail.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 단말(300)은 디스플레이 모듈(320) 및 조작 모듈(340)을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2, thespectator terminal 300 may include adisplay module 320 and anoperation module 340.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사용자(관람객)에게 가상 전시 공간의 VR 영상을 제공하는 매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2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관람객은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얼굴에 착용할 수 있으며, 관람객의 시야는 실재현실과 차단될 수 있다.Thedisplay module 320 may be a medium that provides a VR image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to a user (visitor). Thedisplay module 3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Therefore, the spectator can wear thedisplay module 320 on his face, and the spectator's field of view may be blocked from the reality.

조작 모듈(340)은 관람객의 조작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조작 모듈(340)은 스마트 패드(Smart pad), 터치스크린 형태(Touch screen type)의 키오스크(Kiosk)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manipulation module 340 may be provided for manipulation by the spectator. For example, theoperation module 340 may be a smart pad, a touch screen type kiosk,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관람객은 조작 모듈(340)을 통해, 관람객 단말(300)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관람객 단말(300)의 On/Off와, 가상 전시 공간으로 체험하는 실재 전시의 공간과 가상 전시 공간의 영상의 재생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제공받을 수 있다.Through theoperation module 340, the visitor can receive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visitor terminal 300, the on/off of thevisitor terminal 300 and the actual exhibition space and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experienced as a virtual exhibition space An interface capable of selecting at least one of the playback time points of the video may be provided.

한편, 조작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모듈(32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여, 관람객의 조작 명령을 디스플레이 모듈(32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관람객은 자신이 선택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모듈(320)을 통해 가상 전시 공간의 영상으로 체험할 수 있다.Meanwhile, themanipulation module 340 may communicate with thedisplay module 320 throug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and transmit an operation command of the spectator to thedisplay module 320. That is, the viewer can experience the content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display module 320 as an image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일 예로, 관람객은 스마트 패드를 터치하여 콘텐츠 메뉴를 선택하고, 조작 모듈(340)은 디스플레이 모듈(320)로 와이파이 통신을 통해 관람객의 조작 명령을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모듈(320)에서는 관람객이 선택한 컨텐츠의 영상이 재생됨으로써, 관람객은 자신이 선택한 가상 전시 공간의 영상을 체험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pectator selects the content menu by touching the smart pad, and themanipulation module 340 transmits the manipulation command of the spectator to thedisplay module 320 through Wi-Fi communication, and thedisplay module 320 selects the content. By reproducing the video of, viewers can experience the video of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of their choic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의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guiding a location of exhibits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다(S10). 여기서, 실재 전시회는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진 전시회를 의미하며, 고객 단말(200)은 실재 전시회의 관련 사진 및 내부 배치도 등을 포함하는 전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하면서 가상 전시 공간의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receives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from the customer terminal 200 (S10). Here, the actual exhibition refers to an exhibition made offline, and thecustomer terminal 200 requests cre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while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related photos and internal layout of the actual exhibition to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Can be.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고객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300)로 제공한다(S20).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재현한 VR 영상으로, 관람객은 관람객 단말(300)을 통해 VR 영상을 관람함으로써, 실재 전시회를 방문하여 관람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받을 수 있다.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creates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customer terminal 200 and provides it to the visitor terminal 300 (S20).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a VR image reproducing a real exhibition, and a visitor can feel the same as visiting a real exhibition by viewing the VR image through thevisitor terminal 300.

이때, 관람객 단말(300)은 관람객이 VR 영상을 관람하면서 이동하는 경로, 멈추는 위치, 멈춘 시간, 관람객의 시야, 관람한 전시품 정보, 각 전시품을 관람한 시간, 가상 전시 관람 날짜 및 시간 등을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한다(S30).At this time, thespectator terminal 300 includes a path that the spectator travels while viewing the VR image, a stop position, a stop time, the spectator's view, information on the exhibits viewed, the time of viewing each exhibit, and the date and time of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Collects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nd provides it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100 (S30).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한다(S40).Thereafter,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alyzes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nd generates virtual exhibition space related big data (S40).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스팟 데이터(spot data), 태그 데이터(tag data),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팟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의 위치 이동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전시품의 설명정보가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횟수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기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 또는 시간별 가상 전시 관람 빅데이터를 생성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ncludes spot data, tag data, and other data, and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analyzes the spot data, and allows viewers Generates big data by moving the location, analyzes the tag data, generates big data the number of times the explanatory information of the exhibit is selected by the visitor within the VR image, analyzes other data, and displays the big data by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by date or time. To create.

이후,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생성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여(S50), 고객 단말(200)로 제공한다. 이때,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낸다.Thereafter,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generates a heat map based on the generated big data (S50) and provides it to thecustomer terminal 200. At this time, the heat map indicates the degree of interest in the exhibits of the spectators view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히트맵을 생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service providing server 100 may generate a heat map by fusing big data related to a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도 4 내지 도 9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된 빅데이터가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4 to 9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at the big data analyzed based o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스팟 데이터(spot data)(20)는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위치에 대한 이동 데이터의 통계를 나타낸다. VR 영상 내에는 영상 내 각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VR 영상 내의 이동 경로에 표시되어, 관람객에 의해 선택되면 해당 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스팟(위치)이 다수 개 표시되어 있으며, 각 스팟마다 고유 번호가 부여된다.Thespot data 20 represents statistics of movement data for a location selected by the viewer in the VR image. In the VR image, a plurality of spots (locations) are displayed on a movement path in the VR image so as to be able to move to each point in the image, and when selected by the spectator, the spot (location) is displayed, and each spot has a unique number Is given.

도 4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 특정 전시회(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의 쇼케이스 사진이 표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관람객의 위치 이동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나타낸 바 차트가 표시된다. 즉, x축에는 스팟의 고유 번호가 표시되어 있고, y축에는 이동 횟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141번의 스팟이 관람객이 가장 많이 이동한 위치임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바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스팟의 고유 번호를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쇼케이스에 해당 위치의 장면이 표시되고, 오른쪽에는 해당 위치에서 관람객이 이동 가능한 스팟들이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4, a picture of a showcase of a specific exhibition (for example, National Museum of Korea: Tiger Art of East Asia)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 bar chart is displayed at the bottom by arranging the number of visitor positions in descending order. do. That is, since the unique number of the spot is displayed on the x-axis and the number of movements is displayed on the y-axis, it can be seen thatspot 141 is the position where the most visitor has moved. In addition, when the unique number of the spot displayed on the bar chart is clicked, as shown in FIG. 5, a scene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showcase on the left, and spots to which a spectator can mov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re displayed on the right.

예를 들어, 바 차트에서 141번의 스팟을 클릭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하단에 클릭된 스팟의 고유번호(22)와 해당 스팟의 이동 횟수(23)가 표시되고, 오른쪽 상단엔 해당 스팟이 현재위치(21)로 표시되고, 현재 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는 거리와 이동 확률을 나타내는 숫자들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spot number 141 is clicked on the bar chart, as shown in FIG. 5, theunique number 22 of the clicked spot and the number of moves 23 of the spot are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corner, and in the upper right corner. The spot is displayed as thecurrent location 21, and numbers indicating the distance and the probability of movement from the current location can be displayed.

태그 데이터(tag data)(30)는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전시품의 설명정보에 대한 태킹 클릭 데이터 통계를 나타낸다.Thetag data 30 represents the tacking click data statistics for the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 selected by the viewer in the VR image.

도 6를 참조하면, 화면 중앙에 특정 전시회(예를 들어, 국립중앙박물관: 동아시아의 호랑이 미술)의 쇼케이스 사진이 표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관람객이 선택한 태깅 클릭 횟수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나타낸 바 차트가 표시된다. 즉, x축에는 전시품의 설명정보에 대한 태깅의 고유 번호가 표시되어 있고, y축에는 클릭 횟수가 표시되어 있으므로, 22번의 태깅이 관람객이 가장 많이 선택한 전시품의 설명정보임을 알 수가 있다. 또한, 바 차트에 표시되어 있는 태깅의 고유 번호를 클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에 쇼케이스에 해당 태깅 위치의 장면이 표시되고, 오른쪽에는 해당 위치에서 관람객이 볼 수 있는 태깅들의 위치가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6, a showcase picture of a specific exhibition (for example, National Museum of Korea: Tiger Art of East Asia) is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screen, and a bar chart showing the number of clicks clicked by the viewers in descending order is shown. Is displayed. That is, since the unique number of tagging for the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 is displayed on the x-axis, and the number of clicks is displayed on the y-axis, it can be seen that taggingnumber 22 is the description information of the exhibit most selected by the viewer. In addition, when the unique number of tagging displayed on the bar chart is clicked, as shown in FIG. 7, a scene of the tagging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showcase on the left side, and on the right side, the location of the taggings that the viewer can se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s displayed.

예를 들어, 바 차트에서 22번의 태깅을 클릭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쪽 하단에 클릭된 태깅의 고유번호(32)와 해당 태깅이 클릭된 횟수(33)가 표시되고, 오른쪽 상단엔 해당 태깅 위치가 현재위치(31)로 표시되고, 현재 태깅 위치에서 볼 수 있는 태깅들의 위치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22 tagging is clicked on the bar chart, as shown in FIG. 7, theunique number 32 of the tagging clicked on the bottom right and thenumber 33 of the tagging clicked are displayed, and the upper right corner is displayed. The corresponding tagging position is indicated by thecurrent position 31, and the positions of the taggings visible from the current tagging position may be displayed.

기타 데이터(data view)(40)는 날짜별, 시간대별 관람객 데이터 통계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방문 정보(visitor info)(41)는 날짜별로 전시에 대한 조회 수 및 방문 수를 차트로 표시하는 정보인데, 여기서, 조회 수는 가상 전시 공간을 조회한 수이고, 방문수는 가상 전시 공간의 VR 영상을 플레이한 수이고, 재방문 수는 VR 영상을 두 번 이상 플레이한 수를 의미한다. 또한, 시간 정보(time info)(42) 전시에 대한 시간대별 조회수 및 방문 수를 합친 것을 그래프로 나타낸 정보이다.Other data (40) (40) shows statistics of visitor data by date and time. Referring to FIG. 8,visitor information 41 is information displaying charts of the number of visits and visits to an exhibition by date, where the number of inquiries is the number of inquiries about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the number of visits The number of VR videos played in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d the number of revisiting means the number of VR videos played more than once. In addition, the time information (time info) 42 is a graph showing the sum of the number of visits and the number of visits by time zone for the exhibition.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기타 데이터(40)는 브라우저 정보(browser info)(43)과 플랫폼 정보(platform info)(4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브라우저 정보(43)는 전체 전시에 대해 VR 영상을 플레이했던 관람객들의 브라우저 접속 기록을 나타낸 정보이고, 플랫폼 정보(44)는 전체 전시에 대해 VR 영상을 플레이했던 관람객들의 플랫폼별 접속 기록(백분율)을 나타낸 정보이다.Referring to FIG. 9, according to an embodiment, other data 40 may includebrowser information 43 andplatform information 44. At this time, thebrowser information 43 is information indicating the browser access record of the viewers who played the VR video for the entire exhibition, and theplatform information 44 is the access record for each platform of the viewers who played the VR video for the entire exhibition (percentage) ).

도 10 내지 도 12는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생성된 히트맵이 고객 단말의 화면에 표시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10 to 12 are exemplary views showing that the heat map generated by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customer terminal.

도 10을 참조하면, 스팟의 고유번호와 함께 해당 스팟의 이미지가 목록으로 제공된다. 복수의 스팟의 고유번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스팟의 히트맵이 표시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141번의 스팟에 해당하는 히트맵이 표시된다. 빨간색의 히트가 많을수록 관람객의 관심도가 높은 곳이며, 141번의 스팟에서는 도면부호(51)에 해당하는 위치가 관람객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곳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140번의 스팟에서는 도면부호(52)에 해당하는 위치가 관람객의 관심도가 가장 높은 곳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an image of a corresponding spot is provided as a list along with a unique number of the spot. When one of the unique numbers of the plurality of spots is selected, a heat map of the corresponding spot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11, a heat map corresponding to spot 141 is displayed.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hits in red, the higher the audience's interest, and inspot 141,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reference number 51 is the highest interest.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seen that in thespot 140, the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reference numeral 52 is the place where the visitor's interest is highest.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은,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실행되기 위해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guiding an exhibition location based on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program (or application) to be executed in combination with a hardware computer, and stored in a medium.

상기 전술한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상기 방법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상기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Ruby,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상기 방법들을 실행하는 필요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al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상기 기능들을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상기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상기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상기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program includes C, C++, JAVA, Ruby, in which a processor (CPU) of the computer can be read through a device interface of the computer in order for the computer to read the program and execute the methods implemented as a program. It may include code coded in a computer language such as machine language. Such code may include functional code related to a function or the like that defines necessary functions for executing the above methods, and control code related to an execution procedure necessary for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to execute the function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cedure. can do. In addition, the code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reference-related code as to which location (address address) of the internal or external memory of the computer should be referred to additional information or media necessary for the computer's processor to perform the functions. have. Also, when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needs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to execute the functions, the code can be used to communicate with any other computer or server in the remote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of the computer. It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related code for whether to communicate, what information or media to transmit and receive during communication, and the like.

상기 저장되는 매체는,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저장되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가 접속할 수 있는 다양한 서버 상의 다양한 기록매체 또는 사용자의 상기 컴퓨터상의 다양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that can be read by a device, rather than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time, such as registers, caches, and memory. Specifically, examples of the medium to be stored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That is,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various recording media on various servers that the computer can access, or various recording media on the computer of the user. In addition, the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to store computer readable codes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 : 서비스 제공 서버
20 : 고객 단말
30 : 관람객 단말
32 : 디스플레이 모듈
34 : 조작 모듈
10: service providing server
20: customer terminal
30: audience terminal
32: display module
34: operation module

Claims (10)

Translated fromKorean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으로서,
고객 단말로부터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히트맵을 상기 고객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As a method of guiding the exhibition location of an exhibi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Receiving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from a customer terminal;
Generat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it to a visitor terminal;
Receiving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from the spectator terminal;
Analyz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and generating virtual data rela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Generating a heat map based on the big data; And
Providing the heat map to the customer terminal;
Inclu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표현한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method, which represents a real exhibition in VR vide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는 스팟 데이터(spot data), 태그 데이터(tag data),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ncludes spot data, tag data, and other data, and a method of guiding an exhibition location of an exhibi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팟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관람객의 위치 이동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태그 데이터를 분석하여, VR 영상 내에서 전시품의 설명정보가 관람객에 의해 선택된 횟수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기타 데이터를 분석하여, 날짜별 또는 시간별 가상 전시 관람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According to claim 3,
The step of generating the big data related to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Analyzing the spot data and generating big data of a spectator's location movement within a VR image;
Analyzing the tag data and generating big data the number of times the explanatory information of the exhibit is selected by the visitor within the VR image;
Analyzing the other data and generating virtual data for viewing a virtual exhibition by date or time;
Further comprising,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맵은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map is a method for guiding a display location of an exhibition based on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which indicates an audience's interest in the exhib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생성될 수도 있는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map may be generated by fusion of virtual exhibition space-related big data and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method.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 전시 공간 생성을 요청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전시품에 대한 관심도를 나타내는 히트맵을 제공받는, 고객 단말;
상기 전시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 전시 공간을 생성하여 관람객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관람객 단말로부터 제공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히트맵을 생성하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가상 전시 공간으로부터 수집된 스팟 데이터, 태그 데이터 및 기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상기 관람객 단말;
을 포함하는,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A customer terminal receiving a heat map indicating interest in exhibits of a visitor who views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by requesting creation of a virtual exhibition space by providing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to a service provision server;
Create a virtual exhibition space based on the exhibition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a visitor terminal, analyz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provided from the audience terminal, generate virtual exhibition space related big data, and generate a heat map based on the big data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The spectator terminal providing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 including spot data, tag data, and other data collected from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to the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전시 공간은 실재 전시회를 VR 영상으로 표현한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virtual exhibition space is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that represents a real exhibition in VR video.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맵은 가상 전시 공간 관련 빅데이터와 실재 전시회의 전시 정보를 융합하여 생성될 수도 있는 것인,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The heat map may be generated by fusion of virtual exhibition space-related big data and exhibition information of a real exhibition, 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system.
하드웨어인 컴퓨터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가상 전시 공간 데이터 기반의 전시품 전시 위치 가이딩 프로그램.A virtual exhibition space data-based exhibition location guiding program stored in a medium to execute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in combination with a hardware computer.
KR1020180151986A2018-11-302018-11-30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ActiveKR1021514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51986AKR102151451B1 (en)2018-11-302018-11-30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Priority DateFiling DateTitle
KR1020180151986AKR102151451B1 (en)2018-11-302018-11-30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20200071809Atrue KR20200071809A (en)2020-06-22
KR102151451B1 KR102151451B1 (en)2020-09-03

Family

ID=7114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TitlePriority DateFiling Date
KR1020180151986AActiveKR102151451B1 (en)2018-11-302018-11-30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Country Status (1)

CountryLink
KR (1)KR10215145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219367B1 (en)*2020-07-012021-02-24주식회사 씨몬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CN113612983A (en)*2021-08-112021-11-05张云峰Visual display exhibition system based on VR technology and use method thereof
CN114155027A (en)*2021-12-012022-03-08广州智会云科技发展有限公司 An enterprise customer acquisition management system
CN114543816A (en)*2022-04-252022-05-27深圳市赛特标识牌设计制作有限公司Gui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20230060424A (en)*2021-10-272023-05-04(주)피닉스스튜디오Metaverse Service Apparatus for Customer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394156B1 (en)2020-09-292022-05-03김종명system of exhibition platform through virtual space allocation on physical space
WO2022074683A1 (en)*2020-10-082022-04-14Sabhaney Arvind Jyot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ngaging virtual exposition using cloud computing
KR102263133B1 (en)*2021-01-152021-06-09(주)제주넷Device for providing 3d virtual exhibition space production service
KR102672516B1 (en)2021-08-042024-06-05주식회사 리모샷A platform system that provides cyber exhibition in the Virtual-Reality space
KR20230079573A (en)2021-11-292023-06-07정다운Apparatus and method for space tour service based on VR
KR102848831B1 (en)2025-01-242025-08-22주식회사 우리공간연구소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hibition space based on interaction between eco-friendly character sculptures, contents and visitors to enhance visitor immersion and save energ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249779A (en)*1998-03-031999-09-17Atr Chino Eizo Tsushin Kenkyusho:Kk Visitor guid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JPH11249779A (en)*1998-03-031999-09-17Atr Chino Eizo Tsushin Kenkyusho:Kk Visitor guide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Priority datePublication dateAssigneeTitle
KR102219367B1 (en)*2020-07-012021-02-24주식회사 씨몬Method, apparatus, and system of online virtual 3d exhibition
CN113612983A (en)*2021-08-112021-11-05张云峰Visual display exhibition system based on VR technology and use method thereof
CN113612983B (en)*2021-08-112024-01-19张云峰Visual display system based on VR technology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KR20230060424A (en)*2021-10-272023-05-04(주)피닉스스튜디오Metaverse Service Apparatus for Customer Management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14155027A (en)*2021-12-012022-03-08广州智会云科技发展有限公司 An enterprise customer acquisition management system
CN114543816A (en)*2022-04-252022-05-27深圳市赛特标识牌设计制作有限公司Gui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4543816B (en)*2022-04-252022-07-12深圳市赛特标识牌设计制作有限公司Guiding method, device and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Publication date
KR102151451B1 (en)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Publication DateTitle
KR102151451B1 (en)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location of exhibit based data of virtual exgibition space
US11216166B2 (en)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with embedded discoverable elements
US9024844B2 (en)Recognition of image on external display
US20190174191A1 (en)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Call-To-Action, Contextual Applications with Videos
US9409090B1 (en)Enhancing user experience by presenting past application usage
US20180025752A1 (en)Methods and Systems for Customizing Immersive Media Content
CN101193250B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frame information of moving pictures
CN107590771A (en)With the 2D videos for the option of projection viewing in 3d space is modeled
CN102193732A (en)Efficient navigation of and interaction with a remoted desktop that is larger than the local screen
EP3306571A1 (en)Three-dimensional advertising space determination system, user terminal, and three-dimensional advertising space determination computer
Kallioniemi et al.User experience and immersion of interactive omnidirectional videos in CAVE systems and head-mounted displays
Lo et al.Stats on-site—Sports spectator experience through situated visualizations
Roy et al.Web-based augmented reality for information delivery services: A performance study
WO2024077909A1 (en)Video-based interaction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2231702B2 (en)Inserting digital contents into a multi-view video
US20190026006A1 (en)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video and associated documents and for tracking viewing thereof
Yao et al.3DStoryline: immersive visual storytelling
Lu et al.Ego vs. Exo and Active vs. Passive: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Viewpoint and Navigation on Spatial Immersion and Understanding in Immersive Storytelling
KR102225494B1 (en)Method and apparatus for experiencing virtual fair using virtual realtiy device
Lu et al.Ego vs. Exo and Active vs. Passive: Investigating the Individual and Combined Effects of Viewpoint and Navigation on Spatial Immersion and Understanding in Immersive Storytelling
Haga et al.Web based interactive viewer for 360VR images/videos supporting VR/AR devices with human face detection
WO2019105004A1 (en)Information managing systems and methods
JP736125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020005336A (en)Advertisement method and apparatus by virtual reality modelling in internet
US20240378802A1 (en)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serv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CodeTitleDescription
PA0109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0-1-A10-A12-nap-PA0109

PA0201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1-exm-PA0201

D13-X000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3-srh-X000

D14-X000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14-srh-X000

PE0902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1-exm-PE0902

E13-X000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3-E10-E13-lim-X000

P11-X000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1-nap-X000

P13-X000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13-nap-X000

R17-X000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3-3-R10-R17-oth-X000

P22-X000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A-2-2-P10-P22-nap-X000

PG1501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1-Q10-Q12-nap-PG1501

E701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1-2-D10-D22-exm-PE0701

PR0701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A-2-4-F10-F11-exm-PR0701

PR1002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1

PG1601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A-4-4-Q10-Q13-nap-PG1601

R18-X000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A-5-5-R10-R18-oth-X000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4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5

PR1001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6


[8]ページ先頭

©2009-2025 Movatter.jp